KR101135754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754B1
KR101135754B1 KR1020100000089A KR20100000089A KR101135754B1 KR 101135754 B1 KR101135754 B1 KR 101135754B1 KR 1020100000089 A KR1020100000089 A KR 1020100000089A KR 20100000089 A KR20100000089 A KR 20100000089A KR 101135754 B1 KR101135754 B1 KR 101135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goods
axis
product
opening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708A (ko
Inventor
케이이치 나카지마
노리히로 우에다
타케시 카사이
유키 오노
타츠오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8Recessed draw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의 기울어 쓰러진 자세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상품을 확실히 배출시킬 수 있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상품수납칼럼(21)을 좌우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상품 랙(20)과, 상품 랙(20)의 전방영역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버킷(40)을 구비한 자동판매기로서, 상품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대기위치에 위치하는 버킷(40)을 이동시켜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에 대향배치시키며, 버킷(40)이 상품을 수용한 후에 중계위치(가)로 이동시키고 나서 하방을 향해 배출이동시키는 제어부(60)를 구비하며, 제어부(60)는 배출이동을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정지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수납칼럼과, 상품의 반송을 수행하는 버킷을 단열구조를 갖는 상품수용고에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상품수납칼럼에 수납된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에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수납칼럼과, 상품의 반송을 수행하는 버킷을 단열구조를 갖는 상품수용고에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상품수납칼럼은, 복수의 상품을 정렬한 상태로 수납하는 한편, 상품배출유닛이 구동했을 경우에 그 전단부로부터 상품을 1개씩 배출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판매기에서는, 상품 랙에 복수의 상품수납칼럼이 좌우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며, 더욱이 상품 랙이 좌우 한 쌍의 랙 지지측판 사이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단(段)으로 설치되어 있다. 버킷은, 상품수납칼럼과의 사이에서 상품을 주고 받는 것으로서,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버킷은 버킷구동수단에 의해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버킷구동수단은, 버킷을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X축 반송기구와, 상기 X축 반송기구를 포함하는 상기 버킷을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Y축 반송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Y축 반송기구는, 상품 랙을 지지하는 한 쌍의 랙 지지측판의 서로 대향되는 면과 반대되는 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외부도어에 투광성 패널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투광성 패널을 통해 전면쪽에서 상품수용고의 내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11-353546호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상품수용고의 내부가 눈으로 확인가능한 자동판매기를 개량한 것으로서, 소정의 상품수납칼럼으로부터 지정된 상품을 수용한 버킷을 미리 정해진 중계 위치로 일단 이동시키고 나서 하방을 향해 배출이동시키고, 버킷에 설치된 핀 부재가, 상품수용고의 전면을 구성하는 도어체에 중계 위치의 수직하방영역을 향해 돌출설치된 돌기 부재와 맞닿아 상기 버킷이 기울어 쓰러지는 자세가 됨에 따라 수용된 상품을 배출하도록 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된 상품은, 도어체의 상품 반출구를 통해 상품 인출부에 도달하고, 상품 인출구를 통해 이용자에 의해 인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양호하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버킷의 배출이동이 빠르면, 버킷이 양호한 자세로 기울어 쓰러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상품이 배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버킷의 기울어 쓰러진 자세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상품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자동판매기는, 각각이 복수의 상품수납칼럼을 좌우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좌우 한 쌍의 랙 지지측판 사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단으로 설치된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임의의 상품수납칼럼에 대하여 대향 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상품수납칼럼과의 사이에서 상품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되는 버킷과, 상기 버킷을 이동시키기 위한 버킷구동수단을 단열구조를 갖는 상품수용고에 구비한 자동판매기로서, 상품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상기 버킷구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대기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버킷을 이동시켜 상기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수납칼럼에 대향 배치시키고, 상기 버킷이 상품을 수용한 후에 상기 버킷구동수단을 다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버킷을 미리 정해진 중계 위치로 일단 이동시키고 나서 하방을 향해 배출이동시키며, 상기 버킷에 설치된 핀 부재가, 상기 상품수용고의 전면을 구성하는 도어체에 상기 중계 위치의 수직하방영역을 향해 돌출설치된 돌기 부재와 맞닿아 상기 버킷이 기울어 쓰러지는 자세가 됨에 따라 수용된 상품의 배출을 허용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출이동을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자동판매기는, 상술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는, 상기 버킷으로부터 배출된 상품을 반출하기 위한 개구인 상품 반출구와, 자신의 축심(軸心) 둘레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상품 반출구를 폐쇄하는 한편, 상기 버킷이 기울어 쓰러지는 자세가 될 경우에는, 상기 버킷에 맞닿아 전방으로 요동하여 상기 상품 반출구를 개방하는 반출 플랩퍼와, 상기 반출 플랩퍼의 개방도를 검지하는 개방도 검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개방도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하회할 경우에는, 개방도가 불충분한 것으로 판정하고, 이를 알리는 알림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제어수단이 버킷구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대기위치에 위치하는 버킷을 이동시켜 상기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수납칼럼에 대향 배치시키고, 버킷이 상품을 수용한 후에 버킷구동수단을 재구동시킴으로써, 버킷을 미리 정해진 중계 위치로 일단 이동시키고 나서 하방을 향해 배출이동시키며, 버킷에 설치된 핀 부재가, 상품수용고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도어체에 중계 위치의 수직하방영역을 향해 돌출설치된 돌기 부재와 맞닿아 상기 버킷이 기울어 쓰러지는 자세가 됨에 따라 수용된 상품의 배출을 허용하고, 더욱이 배출이동을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정지시키기 때문에, 버킷의 기울어 쓰러진 자세의 시간을 장대화할 수 있어, 상품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품수용고의 내부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버킷을 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버킷을 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버킷을 구성하는 핀 부재의 퇴피이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자동판매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내부도어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측면도이다.
도 9는 상품수용고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버킷의 정지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버킷의 배출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버킷의 배출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버킷의 배출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정면도, 도 2는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판매기는, 예컨대 캔 음료, 페트병에 든 음료, 종이팩에 든 음료 등의 상품을 냉각 혹은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서, 본체 캐비닛(10)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닛(10)은, 전면(前面)이 개구된 직방체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내부가 2개로 구획되어 상측이 상품수용고(11), 하측이 기계실(12)로 되어 있다. 상품수용고(11)는, 그 내부를 미리 설정한 온도상태로 유지하는 챔버이며, 상품수용고(11)를 구성하는 벽부재는 각각 단열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 등, 내부 분위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이나, 전열히터 등 내부 분위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기계실(12)에는, 상기 증발기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압축기 및 응축기 ; 13)나, 각종 제어기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수용고(11)의 좌우 한 쌍의 측판의 전단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14)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광원(14)은, 예컨대 LED 등의 발광소자를 내장하는 것으로서, 자신의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수단이다.
상기 본체 캐비닛(10)의 전면(前面)에는, 외부도어(1) 및 내부도어(2)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도어(2)는, 단열유리 등의 투명 판재(3)를 끼워 넣어 형성한 도어체로서, 상품수용고(11)의 전면을 덮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이다. 상기 내부도어(2)는 폐쇄이동하여 상품수용고(11)의 전면을 폐쇄할 경우에는, 상기 상품수용고(11)의 전면을 구성하는 단열부재이다.
상기 내부도어(2)의 투명 판재(3)의 중앙부 하방 영역에는, 직사각형상의 상품 반출구(4)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상품 반출구(4)를 개폐하기 위한 반출 플랩퍼(5)가 설치되어 있다. 반출 플랩퍼(5)는, 하단이 자유단이 되는 양태로 전후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되며, 평상시에는 자신의 자중(自重)에 의해 상품 반출구(4)를 폐쇄하는 것이다.
또, 내부도어(2)의 상품 반출구(4)의 수직 상부에는, 돌기부재(6)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재(6)는, 금속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서, 내부도어(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도어(2)가 상품수용고(11)의 전면을 폐쇄할 경우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외부도어(1)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단열재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단열유리 등의 투명 판재를 끼워 넣어 이루어지는 윈도우(7)를 갖는다. 따라서, 해당 자동판매기는 외부도어(1)의 윈도우(7)를 통해 그 내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른바 뷰 타입(view type)인 것이다. 또한, 외부도어(1)의 전면에는, 판매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8)나, 화폐를 투입하기 위한 입금구(9) 등, 상품을 자동판매할 때 필요하게 되는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하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좌방향은, 자동판매기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의 좌측의 방향을 나타내고, 우방향은, 자동판매기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의 우측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상품수용고(11)의 내부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도 3도 적절히 이용하여 상품수용고(1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품수용고(11)에는, 상품 랙(20)과 버킷구동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상품 랙(20)은, 복수의 상품수납칼럼(21)을 좌우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함으로써 구성된 것으로서, 개개의 상품수납칼럼(21)에 구획형성된 상품수납통로(22)에 복수의 상품을 전후방향으로 정렬시킨 상태로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품 랙(20)은, 상품수용고(11)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이 되는 양태로 부착된 랙 지지측판(23) 사이에 걸쳐지는 양태로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단(段)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품 랙(20)을 지지하는 랙 지지측판(23)은, 예컨대 판금 등을 적절히 가공하여 구성한 길이가 긴 형상의 판형상체이며, 서로의 한 면(내면)이 대향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수용고(11)를 구성하는 천판(天板)이나 바닥판 등에 예컨대 나사 등의 부착부재를 통해 부착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랙 지지측판(23)에 지지된 상품 랙(20)의 각 상품수납칼럼(21)은, 도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앞뒤로 평행배치된 롤러에 이음매없는 형상의 벨트를 걸어 감은 반송기구를 구비하며, 반송벨트의 상면에 상품을 재치(載置)하여 수납한다. 이러한 각 상품수납칼럼(21)의 전단부에는 상품의 배출을 제어하는 상품배출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상품배출유닛은, 구동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동력원으로부터 분리된 구동부를 갖지 않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버킷(40)이, 지정된 상품수납칼럼(21)에 대향배치되었을 경우에 버킷(40)에 내장되는 전동식 구동기구(411, 도 7 참조)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하는 것이다.
버킷구동수단(30)은, X축 반송기구(31)와 Y축 반송기구(32)의 조립체로서 구성된 것이다. X축 반송기구(31)는,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이자 상품 랙(20)의 전방영역에 있어서 좌우방향을 따라 연이어 존재하는 레일부재(311)를 구비하고, X축 모터(312, 도 7 참조)의 구동에 의해 레일부재(311)의 연장존재방향(좌우방향)을 따라 탑재되는 버킷(4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X축 모터(312)는, 예컨대 PWM(Pulse Width Modulation) 구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PWM 구동이란, 모터의 구동전압을 간헐적으로 온오프하는 것으로서, 온(on)의 듀티(duty)가 클수록 해당 모터는 고속회전하고, 오프(off)의 듀티(duty)가 클수록 해당 모터는 저속회전한다. 이러한 X축 반송기구(31)의 구조 자체는 주지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버킷(40)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측부(41)와, 지지부재(42)와, 재치(載置)부재(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는 각각 버킷(40)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는 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측부(41)는, 서로의 내면이 대향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측부(41)는, 수지제의 하우징 내에 여러 기기가 수용되어 있으며, 일례로서 전동식 구동기구(411)가 수용되어 있다. 전동식 구동기구(411)는, 지정된 상품수납칼럼(21)에 버킷(40)이 대향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상품수납칼럼(21)의 전단부의 상품배출유닛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측부(41)에 의해 끼이는 영역은, 상품을 수용하는 수용영역(44)이 되며, 이로써 측부(41)는 수용영역(44)을 구획형성하는 것이다.
지지부재(42)는, 금속성 재료로 형성된 것으로서, 한 쌍의 측부(4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42)는, 평판상의 베이스부(421)와, 상기 베이스부(42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하여 연이어 존재하는 후방 연장부(42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후방 연장부(422)의 단부, 즉, 후단부가 각각 측부(41)에 축지지되어 그 결과, 지지부재(42)는 측부(41)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재치부재(43)는, 한 쌍의 측부(41) 사이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재치부재(43)는, 전면부(431)와 측벽부(432)와 재치부(433)를 구비한다. 전면부(431)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개구를 통해, 지지부재(42)에 설치된 핀 부재(424)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핀 부재(424)는, 지지부재(42)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부(425)의 축심 둘레로 요동할 수 있게 되는 양태로 설치되며, 스프링 부재(가압수단 ; 426)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영역을 향해, 즉, 내부도어(2)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핀 부재(424)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가 상방으로부터 가압되었을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42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방을 향해 요동하여,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영역으로부터 퇴피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432)는, 서로의 내면이 대향되는 양태로 전면부(43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 연이어 존재하는 것이다. 이들 측벽부(432)는, 도면에는 명확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 지지부재(42)의 후방 연장부(422)와 동일 축에 의해 축지지되어 측부(41)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재치부(433)는, 좌우 한 쌍이 되는 측벽부(432)의 후단 하부 사이에 축형상부(도시생략)를 통해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전방 단부(자유단)측이 버킷(40)의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이루어져 상품을 재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재치부(433)는 측벽부(432)의 요동과 연동하여 전방으로 밀려나오면서 앞으로 기울도록 구성되어 있다.
Y축 반송기구(32)는, 좌우 한 쌍의 반송 지지 프레임(도시 생략)에 설치된 것이다. 이들 반송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 근방에는 풀리(321)가 회전이 가능해지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풀리(321)에는, 길이가 긴 형상의 밧줄형상체인 벨트(322)가 감겨 있으며, 상기 벨트(322)의 일단에는 웨이트(323)가 접속되고, 타단에는 상기 레일부재(311)를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부재(도시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Y축 반송기구(32)는, Y축 모터(324)의 구동에 의해 풀리(321)가 회전하며, 이로써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레일부재(311) 및 탑재되는 버킷(40)을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Y축 모터(324)는, 상술한 X축 모터(312)와 마찬가지로 PWM 구동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버킷구동수단(30)은, X축 정지위치 검출판(331), X축 위치확인판(332), Y축 정지위치 검출판(341), Y축 위치확인판(342), X축 정지위치센서(351), X축 위치확인센서(352), X축 위치보정센서(353), Y축 정지위치센서(361), Y축 위치확인센서(362) 및 Y축 위치보정센서(363)를 구비한다.
X축 정지위치 검출판(331) 및 X축 위치확인판(332)은, 레일부재(311)에 인접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X축 정지위치 검출판(331) 및 X축 위치확인판(332)은, 각각 길이가 긴 형상의 판형상 부재로서, 좌우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X축 정지위치 검출판(331)에는 정지표지로서의 슬릿형상의 절결홈(切缺溝)(이하에서는 '정지 절결홈'이라고도 함 ; 331a)이 상품수납칼럼(21)의 좌우방향의 간격과 동일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X축 위치확인판(332)에는, 확인표지로서의 슬릿형상의 절결홈(이하에서는 '확인 절결홈'이라고도 함 ; 332a)이 상품수납칼럼(21)의 좌우방향의 간격과 동일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정지 절결홈(331a)이 확인 절결홈(332a)보다 약간 앞쪽, 즉 약간 오른쪽에 형성되어 있다.
Y축 정지위치 검출판(341) 및 Y축 위치확인판(342)은, 반송 지지 프레임에 인접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Y축 정지위치 검출판(341) 및 Y축 위치확인판(342)은, 각각 길이가 긴 형상의 판형상 부재로서, 상하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Y축 정지위치 검출판(341)에는 정지표지로서의 슬릿형상의 절결홈(이하에서는 '정지 절결홈'이라고도 함 ; 341a)이 상품수납칼럼(21)의 상하 방향의 간격과 동일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Y축 위치확인판(342)에는, 확인표지로서의 슬릿형상의 절결홈(이하에서는 '확인 절결홈'이라고도 함 : 342a)이 상품수납칼럼(21)의 상하 방향의 간격과 동일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정지 절결홈(341a)이 확인 절결홈(342a)보다 약간 앞쪽, 즉 약간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X축 정지위치센서(351), X축 위치확인센서(352) 및 X축 위치보정센서(353)는, 각각 버킷(40)의 우측 측부(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X축 정지위치센서(351)는, X축 정지위치 검출판(331)을 끼우는 양태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조합시킨 포토 인터럽터, 즉, 근접센서이다. 상기 X축 정지위치센서(351)는, 정지 절결홈(331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X축 정지위치 검출판(331)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정지 절결홈(331a)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소자에 수광되어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X축 위치확인센서(352)는, X축 위치확인판(332)을 사이에 끼우는 양태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조합시킨 포토 인터럽터, 즉 근접센서이다. 상기 X축 위치확인센서(352)는, 확인 절결홈(332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X축 위치확인판(332)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확인 절결홈(332a)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소자에 수광되어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X축 위치보정센서(353)는, X축 정지위치 검출판(331)을 사이에 끼우는 양태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조합시킨 포토 인터럽터, 즉 근접센서이다. 상기 X축 위치보정센서(353)는, 정지 절결홈(331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X축 정지위치 검출판(331)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정지 절결홈(331a)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소자에 수광되어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X축 위치보정센서(353)는, X축 정지위치센서(351)보다 우측에 설치되어 있어, X축 정지위치센서(351)로부터 늦게 정지 절결홈(331a)을 검지하는 것이다.
Y축 정지위치센서(361), Y축 위치확인센서(362) 및 Y축 위치보정센서(363)는, 각각 레일부재(311)의 측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Y축 정지위치센서(361)는, Y축 정지위치 검출판(341)을 사이에 끼우는 양태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조합시킨 포토 인터럽터, 즉 근접센서이다. 상기 Y축 정지위치센서(361)는, 정지 절결홈(341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Y축 정지위치 검출판(341)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정지 절결홈(341a)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소자에 수광되어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Y축 위치확인센서(362)는, Y축 위치확인판(342)을 사이에 끼우는 양태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조합시킨 포토 인터럽터, 즉 근접센서이다. 상기 Y축 위치확인센서(362)는, 확인 절결홈(342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Y축 위치확인판(342)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확인 절결홈(342a)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소자에 수광되어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Y축 위치보정센서(363)는, Y축 정지위치 검출판(341)을 사이에 끼우는 양태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조합시킨 포토 인터럽터, 즉 근접센서이다. 상기 Y축 위치보정센서(363)는, 정지 절결홈(341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Y축 정지위치 검출판(341)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정지 절결홈(341a)의 위치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소자에 수광되어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Y축 위치보정센서(363)는, Y축 정지위치센서(361)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어, Y축 정지위치센서(361)로부터 늦게 정지 절결홈(341a)을 검지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동판매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것만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는, 상술한 X축 모터(312), Y축 모터(324), 전동식 구동기구(411), X축 정지위치센서(351), X축 위치확인센서(352), X축 위치보정센서(353), Y축 정지위치센서(361), Y축 위치확인센서(362), Y축 위치보정센서(363) 외에, 입력수단(50), 마이크로 스위치(51), 제어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수단(50)은, 예컨대 리모컨과 같은 것으로서, 제어부(60)에 대하여 각종 명령 등을 부여할 수 있는 입력수단(50)이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50)에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어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5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도어(2)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51)는, 반출 플랩퍼(5)의 개방도를 검지하기 위한 개방도 검지수단으로서, 검지신호를 제어부(60)에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서 반출 플랩퍼(5)는,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지만, 버킷(40)이 하방을 향해 배출이동하였을 경우에, 버킷(40)의 핀 부재(424)가 돌기부재(6)와 맞닿아 그 결과, 버킷(40)을 구성하는 재치부재(43)가 기울어 쓰러지는 자세가 되고, 이러한 기울어 쓰러지는 자세가 되는 재치부재(43)에 맞닿아 전방을 향해 요동하는 것이다.
제어부(60)는, 버킷(40)의 이동, 및 광원(14)의 점등에 관하여 기억부(70)에 기억되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괄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제어부(60)는, 자동판매기의 판매동작, 즉 상품선택이나 금전처리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는 별개의 것이다.
기억부(70)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자동판매기의 운전시작시(전원투입시)에 수행되는 주지(周知)의 클리닝 동작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상품수납칼럼(21)의 위치정보 및 번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중계위치(가), 대기위치(나), 경유위치(다)를 기억하고 있다.
중계위치(가)는, 돌기부재(6)의 수직상방영역으로 미리 정해져 있다. 상기 중계위치(가)의 위치검출은, 도 3에 도시된 중계위치(가)를 나타내는 표지가 되는 전용(專用) 절결홈(80, 81)을 검지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로써 중계위치(가)의 수직하방영역에 내부도어(2)에 돌출설치된 돌기부재(6)가 위치하게 된다(도 9에서 돌기부재(6)의 위치를 부호 '라'로 나타낸다).
대기위치(나)는, 우측 하부의 위치, 즉 도 9의 예에서는, 칼럼번호 '49'의 상품수납칼럼(21)에 대향되는 위치로 미리 정해져 있다. 경유위치(다)는, 예컨대 2개가 정해져 있는데, 하나는 중계위치(가)의 우측, 또 하나는 중계위치(가)의 좌측으로 미리 정해져 있다. 여기서, 우측의 경유위치(다)는, 대기위치(나)를 기준으로 4분할된 도 9에서의 D존(zone)에 위치하는 버킷(40)이 A존으로 이동할 경우에 경유하는 것이며, 좌측의 경유위치(다)는, C존에 위치하는 버킷(40)이 B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경유하는 것이다.
도 9에서의 부호 15는, 단열구획판이며, 단열구획판(15)의 상방영역은 예컨대 가열영역, 단열구획판(15)의 하방영역은 냉각영역이 된다. 이 경우, 칼럼번호 1~14의 상품수납칼럼(21)은 가열영역에 위치하고, 칼럼번호 15~49의 상품수납칼럼(21)은 냉각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기억부(70)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단열구획판(15)의 상방영역을 가열영역, 하방영역을 냉각영역으로 함으로써, 기억부(70)에는, Y축 모터(324)가 고온환경 하에 위치하는 것이 기억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억부(70)에는, Y축 모터(324) 및 X축 모터(312)의 설치환경 하의 온도에 따라 정지위치센서(351, 361)가 정지 절결홈(331a, 341a)을 검지하고 나서 각 모터(312, 324)에 구동정지명령을 부여할 때까지의 설정시간이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모터의 설치환경이 고온 분위기에 있으면, 설정시간을 예컨대 0.01초간으로 하고, 각 모터의 설치환경이 저온 분위기에 있으면, 설정시간을 예컨대 0.1초간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판매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판매대기상태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8)를 통한 상품의 선택정보 및 입금구(9)를 통해 투입된 화폐의 입금정보가 각각 소정의 판매조건을 충족하면, 판매명령이 제어부(60)에 부여된다. 여기서는, 칼럼번호 '1'의 상품수납칼럼(21)에 수납된 상품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어부(60)는, X축 모터(312) 및 Y축 모터(324)에 구동명령을 부여하여 이들을 구동시킨다. 이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D존에 위치하는 버킷(40)을 A존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제어부(60)는, 버킷(40)을 우측 경유위치(다)로 경유시켜 이동시키고, 칼럼번호 '1'의 상품수납칼럼(21)에 대하여 대향배치시킨다. 이때, 제어부(60)는, 칼럼번호 '1'의 상품수납칼럼(21)에 근접한 광원(14)만 점등시켜도 무방하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60)는, 대기위치(나)에 위치하는 버킷(40)을 칼럼번호 '1'의 상품수납칼럼(21)으로 이동시킬 때, 미리 정해진 출력으로 모터를 구동시킨다. 예컨대, Y축 정지위치센서(361)에 의해 대기위치(나)보다 1단 위의 위치를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될 때까지는 Y축 모터(324)를 구동하는 듀티(duty)를 예컨대 70%로 하고, 더욱이 Y축 위치센서에 의해 2단 위의 위치를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면, 모터를 구동하는 듀티(duty)를 100%로 하여 상기 모터를 전속(全速)회전시킨다. 그리고, 칼럼번호 '1'의 상품수납칼럼(21)의 1단 아래의 위치를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면, 모터를 구동하는 듀티(duty)를 예컨대 30%로 하는 PWM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여기서는, Y축 모터(324)의 구동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X축 모터(312)의 구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PWM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 ; 칼럼번호 1의 상품수납칼럼(21))에 버킷(40)을 정지시킬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Y축 모터(324)의 구동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Y축 모터(324)가 고온 분위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기억부(70)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Y축 모터(324)를 구동시켜 버킷(40)을 상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Y축 정지위치센서(361)는 정지 절결홈(341a)을 검지하고, Y축 위치확인센서(362)는 확인 절결홈(342a)을 검지한다. 또한, Y축 위치보정센서(363)는, Y축 정지위치센서(361)가 검지한 후에, 같은 정지 절결홈(341a)을 검지하게 된다. 그리고,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 ; 칼럼번호 '1'의 상품수납칼럼(21))에 대응하는 정지 절결홈(y3 ; 341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Y축 정지위치센서(361)로부터 부여받은 제어부(60)는,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ΔT ; Y축 모터(324)는 고온 분위기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설정시간은 예컨대 0.01초간임)만큼 대기하고, 이러한 설정시간(ΔT)의 경과후에는 Y축 모터(324)에 구동정지명령을 부여하여 버킷(40)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이때, Y축 위치확인센서(362)가 칼럼번호 '1'의 상품수납칼럼(21)에 대응하는 확인 절결홈(Y3 ; 342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면, 제어부(60)는, 버킷(40)이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에 대향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Y축 위치확인센서(362)가 확인 절결홈(Y3 ; 342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60)는, Y축 위치보정센서(363)로부터 정지 절결홈(y3 ; 341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킷(40)의 정지위치가,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보다 상방쪽으로 과도하게 이동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Y축 모터(324)를 정해진 시간만큼 역회전시켜 버킷(40)을 하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Y축 위치확인센서(362)로부터 확인 절결홈(Y3 ; 342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면, 버킷(40)이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에 대향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역회전시킨 시간을 설정시간(ΔT)으로부터 감산하고, 산출된 시간을 새로운 설정시간으로서 기억부(70)에 기억시킨다.
한편, Y축 위치보정센서(363)로부터 정지 절결홈(y3 ; 341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에는, 버킷(40)의 정지위치는,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보다 하방쪽에 있어 이동부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Y축 모터(324)를 정해진 시간만큼 동일 방향으로 추가 회전시켜 버킷(40)을 상방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Y축 위치확인센서(362)로부터 확인 절결홈(Y3 ; 342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면, 버킷(40)이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에 대향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추가회전시킨 시간을 설정시간(ΔT)에 가산하고, 산출된 시간을 새로운 설정시간으로서 기억부(70)에 기억시킨다.
여기서는 Y축 모터(324)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X축 모터(312)의 구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X축 모터(312)의 온도환경하에 따라 설정시간이 정해지고, 이러한 설정시간의 경과후에 제어부(60)가 구동 정지명령을 부여한다.
버킷(40)이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에 대향배치되면, 제어부(60)는, 전동식 구동기구(411)에 구동명령을 부여한다. 이로써 전동식 구동기구(411)가 해당하는 상품수납칼럼(21)의 상품배출유닛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1개의 상품만 버킷(40)으로 이동하고, 재치부(433)에 재치된 양태로 수용영역(44)에 수용된다. 버킷(40)이 상품을 수용하면, 제어부(60)는 X축 모터(312) 및 Y축 모터(324)에 구동명령을 부여하고, 중계위치(가)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때에도 제어부(60)는, 모터의 구동에 대해서는 미리 정해진 출력으로 행하는 PWM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버킷(40)이 중계위치(가)에 위치하는 것을 검지하면, 제어부(60)는, Y축 모터(324)만 구동시켜 배출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이러한 배출이동의 도중에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초간)만큼 Y축 모터(32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버킷(40)은, 타성(惰性)에 의해 하방을 향해 배출이동한다. 이러한 시간이 경과된 후, 제어부(60)는, Y축 모터(324)를 구동시켜 버킷(40)을 하측을 향해 배출이동시킨다. 이러한 배출이동시에도 제어부(60)는, 모터의 구동에 대해서는 미리 정해진 출력으로 행하는 PWM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배출이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위치(가)에 위치하는 버킷(40)을 배출이동시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40)의 핀 부재(424)가 돌기부재(6)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핀 부재(424)가 돌기부재(6)에 맞닿으면, 지지부재(42)가 상방으로 요동하고, 상기 핀 부재(424)에 맞닿은 재치부재(43)도 상방을 향해 요동한다. 상기 재치부재(43)의 요동에 따라 재치부(433)도 전방으로 밀려 나오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으로 기우는 자세가 된다. 이로써, 재치부재(43)의 바닥면이 크게 개구되어 재치부(433)에 재치되어 있던 상품이 기울어 쓰러지므로 버킷(40)으로부터 상품이 배출된다. 버킷(40)으로부터 배출된 상품은 반출 플랩퍼(5)에 맞닿아 상기 반출 플랩퍼(5)를 눌러 개방한 뒤에 개방된 상품 반출구(4)를 통해 소정의 상품 인출실에 도달한다. 그 후, Y축 모터(324)를 일단 구동정지시키면, 버킷(40)은 타성에 의해 하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렇게 하면, 핀 부재(424)의 선단이 돌기부재(6)의 천정면(연직방향의 평면(수평면))에 맞닿아 지지부재(42)와 재치부재(43)에 있어서의 전면부(431) 및 측벽부(432)의 기울어 쓰러진 자세를 유지하게 되어, 버킷(40)으로부터의 상품의 확실한 배출을 보증한다.
이러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클리닝 동작시에, 마이크로 스위치(51)를 통해 반출 플랩퍼(5)의 개방도를 검지하고, 마이크로 스위치(51)를 통해 검지한 개방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문턱값)을 하회할 경우에는, 제어부(60)가, 개방도가 불충분한 것으로 판정하고 그러한 취지를 입력수단(50)에 부여하며, 상기 입력수단(50)의 소정의 표시부에 개방도가 불충분하다는 취지를 표시시켜 알리도록 하여도 된다. 이로써, 작업자가 핀 부재(424)와 돌기부재(6)간의 접촉불량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들 양자의 위치를 수정하여 양호한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제어부(60)가, 선택된 상품이 미리 설정된 상품수납칼럼(21)에 수납되어 있을 경우, 즉 선택된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수납칼럼(21)이 소정의 존(zone)에 위치할 경우에는, 대기위치(나)에 위치하는 버킷(40)을, 중계위치(가)의 우측에 설정된 가상의 경유위치(다)를 경유한 후에,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에 대향배치시키므로, 이러한 이동시에 버킷(40)의 핀 부재(424)가 돌기부재(6)에 맞닿을 우려가 없다. 따라서, 버킷(40)의 핀 부재(424)가 내부도어(2)의 돌기부재(6)에 간섭하는 일없이 버킷(40)을 원하는 상품수납칼럼(2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핀 부재(424)는 상방으로부터 가압되었을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42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자신의 축심 둘레로 요동시켜 돌출하는 전방영역으로부터 퇴피이동하므로, 전원투입시 등과 같이 버킷(40)의 위치정보를 아직 얻지 못한 단계에서의 버킷(40)의 이동에 대해서도, 상기 버킷(40)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핀 부재(424)가 돌기부재(6)에 접촉하여 파손될 우려는 없다.
상기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구동용 모터(X축 모터(312) 및 Y축 모터(324))의 설치환경하에 따라 정지위치센서(351, 361)에 의한 정지 절결홈(331a, 341a)의 검지(檢知)로부터의 설정시간에 여유를 두어 상기 모터(312, 324)의 정지 타이밍을 가변(可變)화하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근접센서와 검지판의 간이한 조합으로도 원하는 위치에 버킷(40)을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어, 비용절감 및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제어부(60)가 미리 정해진 출력으로 X축 모터(312) 및 Y축 모터(324)의 구동을 수행하는 PWM 제어를 실시하기 때문에, 벨트(322) 등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모터(312, 324)의 사용수명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상품수용고(11)의 좌우 한 쌍의 측판의 전단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14)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킷(40)을 목표로 하는 상품수납칼럼(21)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상품수납칼럼(21)에 근접하는 광원(14)만 점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품수용고(11)의 조명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버킷(40)의 배출이동을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정지시키므로, 상기 버킷(40)은 타성에 의해 하방을 향해 이동하여, 버킷(40)의 기울어 쓰러진 자세의 시간을 장대화할 수 있어 확실하게 상품을 배출할 수가 있다.
4 : 상품 반출구 5 : 반출 플랩퍼
6 : 돌기부재 10 : 본체 캐비닛
11 : 상품수용고 14 : 광원
20 : 상품 랙 21 : 상품수납칼럼
22 : 상품수납통로 30 : 버킷구동수단
31 : X축 반송기구 311 : 레일부재
312 : X축 모터 32 : Y축 반송기구
324 : Y축 모터 331 : X축 정지위치 검출판
332 : X축 위치확인판 341 : Y축 정지위치 검출판
342 : Y축 위치확인판 351 : X축 정지위치센서
352 : X축 위치확인센서 353 : X축 위치보정센서
361 : Y축 정지위치센서 362 : Y축 위치확인센서
363 : Y축 위치보정센서 40 : 버킷
424 : 핀 부재 51 : 마이크로 스위치
60 : 제어부 70 : 기억부

Claims (2)

  1. 각각이 복수의 상품수납 칼럼을 좌우방향을 따라 병설(竝設)하여 이루어지고, 좌우 한 쌍의 랙 지지측판 사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단으로 설치된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임의의 상품수납칼럼에 대하여 대향 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상품수납칼럼과의 사이에서 상품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되는 버킷과,
    상기 버킷을 이동시키기 위한 버킷구동수단을 단열구조를 갖는 상품수용고에 구비한 자동판매기로서,
    상품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상기 버킷구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대기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버킷을 이동시켜 상기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수납칼럼에 대향 배치시키고, 상기 버킷이 상품을 수용한 후에 상기 버킷구동수단을 다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버킷을 미리 정해진 중계 위치로 일단 이동시키고 나서 하방을 향해 배출이동시키며, 상기 버킷에 설치된 핀 부재가, 상기 상품수용고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도어체에 상기 중계 위치의 수직하방영역을 향해 돌출설치된 돌기부재와 맞닿아 상기 버킷이 기울어 쓰러지는 자세가 됨에 따라 수용된 상품의 배출을 허용하며, 또한 상기 배출이동을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버킷의 기울어 쓰러지는 자세의 시간을 장대화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도어체는,
    상기 버킷으로부터 배출된 상품을 반출하기 위한 개구인 상품 반출구와,
    자신의 축심 둘레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상품 반출구를 폐쇄하는 한편, 상기 버킷이 기울어 쓰러지는 자세가 될 경우에는, 상기 버킷에 맞닿아 전방으로 요동하여 상기 상품 반출구를 개방하는 반출 플랩퍼(flapper)와,
    상기 반출 플랩퍼의 개방도를 검지하는 개방도 검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개방도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하회할 경우에는, 개방도가 불충분한 것으로 판정하고, 이를 알리는 알림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삭제
KR1020100000089A 2009-01-13 2010-01-04 자동판매기 KR101135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05095A JP5359291B2 (ja) 2009-01-13 2009-01-13 自動販売機
JPJP-P-2009-005095 2009-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708A KR20100083708A (ko) 2010-07-22
KR101135754B1 true KR101135754B1 (ko) 2012-04-16

Family

ID=4258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089A KR101135754B1 (ko) 2009-01-13 2010-01-04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59291B2 (ko)
KR (1) KR1011357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4266A (ja) * 1997-11-21 1999-06-08 Toshiba Corp 自動販売機
JP2000259941A (ja) 1999-03-08 2000-09-22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装置
JP2001084449A (ja) 1999-09-13 2001-03-30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3006730A (ja) 2001-06-25 2003-01-10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935A (ja) * 1995-01-24 1996-08-09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H0950552A (ja) * 1995-08-07 1997-02-18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4186829B2 (ja) * 2004-01-30 2008-11-26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4266A (ja) * 1997-11-21 1999-06-08 Toshiba Corp 自動販売機
JP2000259941A (ja) 1999-03-08 2000-09-22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装置
JP2001084449A (ja) 1999-09-13 2001-03-30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3006730A (ja) 2001-06-25 2003-01-10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59291B2 (ja) 2013-12-04
JP2010165064A (ja) 2010-07-29
KR20100083708A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61809A1 (ja) 自動販売機
WO2011161808A1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US9710993B2 (en) Product discharging device
KR101058272B1 (ko) 자동 판매기
JP5310008B2 (ja) 自動販売機
JP4835619B2 (ja) 自動販売機
KR101135754B1 (ko) 자동판매기
JP4946771B2 (ja) 自動販売機
JP4483054B2 (ja) 自動販売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64607B2 (ja) 自動販売機
KR101115809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JP5316268B2 (ja) 商品収納装置
CN107004329B (zh) 商品排出装置
JP4483070B2 (ja) 自動販売機の制御方法
US20150060479A1 (en) Commodity storage device
JP3885309B2 (ja) 自動販売機
JP5375530B2 (ja) 自動販売機
JPH062855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装置
JP2010277280A (ja) 商品収納装置
JPH0558416A (ja) 回転ラツクの作業位置表示装置
JP5434488B2 (ja) 自動販売機
JP4715665B2 (ja) 自動販売機
JP5381540B2 (ja) 自動販売機
JP2011100219A (ja) 自動販売機
JP2002157639A (ja) 自動販売機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