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272B1 -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272B1
KR101058272B1 KR1020100002229A KR20100002229A KR101058272B1 KR 101058272 B1 KR101058272 B1 KR 101058272B1 KR 1020100002229 A KR1020100002229 A KR 1020100002229A KR 20100002229 A KR20100002229 A KR 20100002229A KR 101058272 B1 KR101058272 B1 KR 10105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product
goods
axis
storag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722A (ko
Inventor
케이이치 나카지마
노리히로 우에다
타케시 카사이
유키 오노
타츠오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8Recessed draw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버킷의 핀부재가 도어체의 돌기부재에 간섭하지 않고, 버킷을 원하는 상품 수납 칼럼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21)을 좌우방향을 따라 병설하여 이루어지는 상품 랙(20)과, 상품 랙(20)의 전방 영역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40)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로서, 상품이 선택된 경우에,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버킷(40)을 이동시켜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향 배치시켜, 버킷(40)이 상품을 수용한 후에 중계 위치(가)로 이동시키면서 하방을 향하여 배출 이동시키는 제어부(60)를 구비하며, 제어부(60)는 선택된 상품이 미리 설정된 상품 수납 칼럼(21)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버킷(40)을 중계 위치(가)의 우측으로 설정한 경유위치(다)를 경유한 후에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향 배치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칼럼과, 상품을 반송하는 버킷을 단열구조를 가지는 상품 수용고에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품 수납 칼럼에 수납된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 판매기에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칼럼과, 상품을 반송하는 버킷을 단열구조를 가지는 상품 수용고에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 있다. 상품 수납 칼럼은, 복수의 상품을 정렬한 상태로 수납하는 한편, 상품 배출 기구가 구동되었을 경우에는 그 전단부로부터 상품을 1개씩 배출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품 랙에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이 좌우방향을 따라 병설되며, 또한 상기 상품 랙이 좌우 한 쌍의 랙 지지 측판 사이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버킷은, 상품 수납 칼럼과의 사이에서 상품의 전달을 행하는 것으로,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버킷은, 버킷 구동 수단에 의해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상하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버킷 구동 수단은, 버킷을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X축 반송 기구와, 상기 X축 반송 기구를 포함하는 상기 버킷을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Y축 반송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Y축 반송 기구는, 상품 랙을 지지하는 한 쌍의 랙 지지 측판의 서로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에서는,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외부 도어에 투광성 패널이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투광성 패널을 통해 전면측으로부터 상품 수용고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353546호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상품 수용고의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자동 판매기를 개량한 것으로서, 소정의 상품 수납 칼럼으로부터 지정된 상품을 수용한 버킷을 미리 결정된 중계 위치로 일단 이동시키고나서 하방을 향해 배출 이동시키고, 버킷에 설치된 핀 부재가 상품 수용고의 전면을 구성하는 도어체의 돌기 부재에 맞닿아 상기 버킷이 경도(傾倒) 자세가 되어 수용한 상품을 배출하도록 한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배출된 상품은, 도어체의 상품 반출구를 통해서 상품 인출부에 도달하여, 상품 인출구를 통해서 이용자에 의해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편리하다.
그런데, 이러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상품이 선택되어,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버킷을 소정의 상품 수납 칼럼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버킷의 핀 부재와 도어체의 돌기 부재가 접촉해버릴 우려가 있어, 구성 부재의 파손, 또는 접촉의 영향으로 버킷이 소정의 상품 수납 칼럼에 대향 배치되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버킷의 핀 부재가 도어체의 돌기 부재에 간섭하지 않고, 버킷을 원하는 상품 수납 칼럼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각각이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을 좌우방향을 따라 병설(倂設)하여 이루어지며, 좌우 한 쌍의 랙 지지 측판 사이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단(段)으로 설치된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임의의 상품 수납 칼럼에 대해 대향 배치된 경우에 상기 상품 수납 칼럼과의 사이에서 상품의 전달이 가능해지는 버킷(bucket)과, 상기 버킷을 이동시키기 위한 버킷 구동 수단을 단열 구조를 가지는 상품 수용고에 구비한 자동 판매기로서, 상품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버킷 구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버킷을 이동시켜 상기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칼럼에 대향 배치시키며, 상기 버킷이 상품을 수용한 후에 상기 버킷 구동 수단을 다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버킷을 미리 결정된 중계 위치로 일단 이동시키고 나서 하방을 향해 배출 이동시키며, 상기 버킷에 설치된 핀부재가 상기 상품 수용고의 전면을 구성하는 도어체의 돌기 부재에 맞닿아 상기 버킷이 경도(傾倒) 자세가 됨으로써 수용된 상품의 배출을 허용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선택된 상품이 미리 설정된 상품 수납 칼럼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버킷을 상기 중계 위치의 좌측 및 우측으로 설정된 가상 경유 위치 중 어느 일방을 경유한 후에 상기 상품 수납 칼럼에 대향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상술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 영역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부터 가압된 경우에는,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자신의 축심 둘레로 요동하여 상기 전방 영역으로부터 퇴피(退避)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상술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킷 구동 수단은, 상기 상품 수납 칼럼마다에 대응하여 설치된 정지 표식을 검지하는 정지 위치 검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버킷 구동 수단의 구동용 모터의 온도 환경 하에 따라서, 목표로 하는 상기 상품 수납 칼럼에 대응한 상기 정지 표식을 상기 정지 위치 검지 수단이 검지하고 나서의 상기 구동용 모터의 정지 타이밍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상술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버킷 구동 수단의 구동용 모터는, PWM 구동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용 모터의 출력의 크기로서, PWM 구동 듀티(duty)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이, 선택된 상품이 미리 설정된 상품 수납 칼럼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버킷을, 중계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 설정된 가상의 경유 위치 중 어느 일방을 경유한 후에 상품 수납 칼럼에 대향배치시키므로, 버킷의 핀 부재가 도어체의 돌기 부재에 간섭하지 않고, 버킷을 원하는 상품 수납 칼럼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동 판매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품 수용고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버킷을 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버킷을 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버킷을 구성하는 핀 부재의 퇴피 이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자동 판매기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내부 도어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상품 수용고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버킷의 정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버킷의 배출 이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버킷의 배출 이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버킷의 배출 이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동 판매기를 도시하는 것이며, 도 1은 정면도, 도 2는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예를 들면 캔 음료, 페트병 음료, 종이팩 음료 등의 상품을 냉각,또는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서, 본체 캐비넷(10)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넷(10)은,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가 2개로 구획되어 상측이 상품 수용고(11), 하측이 기계실(12)로 되어 있다. 상품 수용고(11)는, 그 내부를 미리 설정한 온도상태로 유지하는 챔버이며, 상품 수용고(11)를 구성하는 벽부재는 각각 단열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 등, 내부 분위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이나, 전열 히터 등, 내부 분위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기계실(12)에는, 상기 증발기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13; 압축기 및 응축기)나, 각종 제어기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 수용고(11)의 좌우 한 쌍의 측판의 전단부(前端部)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14)이 병설되어 있다. 이들 광원(14)은, 예를 들면 LED등의 발광 소자를 내장하는 것이며, 자신의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 수단이다.
상기 본체 캐비넷(10)의 전면에는, 외부 도어(1) 및 내부 도어(2)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도어(2)는, 단열 유리 등의 투명판재(3)를 끼워 넣어 형성한 도어체이며, 상품 수용고(11)의 전면을 덮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내부 도어(2)는 닫힘 이동하여 상품 수용고(11)의 전면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용고(11)의 전면을 구성하는 단열 부재이다.
상기 내부 도어(2)의 투명판재(3)의 중앙부 하방 영역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품 반출구(4)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상품 반출구(4)를 개폐하기 위한 반출 플랩퍼(5; flapper)가 설치되어 있다. 반출 플랩퍼(5)는, 하단이 자유단이 되는 양태로 전후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보통의 상태에서는 자신의 자중(自重)에 의해 상품 반출구(4)를 폐쇄하는 것이다.
또한, 내부 도어(2)의 상품 반출구(4)의 수직 상부에는, 돌기 부재(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기 부재(6)는, 금속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내부 도어(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도어(2)가 상품 수용고(11)의 전면을 폐쇄하는 경우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외부 도어(1)는, 본체 캐비넷(10)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단열재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단열 유리 등의 투명판재를 끼워 넣어 이루어지는 윈도우(7; window)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 판매기는 외부 도어(1)의 윈도우(7)를 통해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이른바 '뷰 타입(view type)'인 것이다. 또한, 외부 도어(1)의 전면에는, 판매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8)나, 화폐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9) 등, 상품을 자동 판매할 때 필요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서, 좌측 방향은 자동 판매기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의 좌측 방향을 나타내며, 우측 방향은 자동 판매기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의 우측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상품 수용고(11)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3도 적절히 이용하여 상품 수용고(1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품 수용고(11)에는, 상품 랙(20)과 버킷 구동 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상품 랙(20)은,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21)을 좌우방향을 따라 병설함으로써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상품 수납 칼럼(21)에 구획된 상품 수납 통로(22)에 복수의 상품을 전후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품 랙(20)은, 상품 수용고(11)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이 되는 양태로 부착된 랙 지지 측판(23) 사이에 건너질러 놓이는 양태로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품 랙(20)을 지지하는 랙 지지 측판(23)은, 예를 들면 판금 등을 적절히 가공하여 구성한 길다란 판형상체이며, 서로의 일면(내면)이 대향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 수용고(11)를 구성하는 천정판이나 바닥판 등에, 예를 들면 나사 등의 부착 부재를 통해 부착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랙 지지 측판(23)에 지지된 상품 랙(20)의 각 상품 수납 칼럼(21)은, 도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후로 평행하게 배치된 롤러에 이음매 없는 형상의 벨트를 걸어 감은 반송 기구를 구비하며, 반송 벨트의 상면에 상품을 올려놓아 수납한다. 이러한 각 상품 수납 칼럼(21)의 전단부에는 상품의 배출을 제어하는 상품 배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배출 기구는, 구동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동력원으로부터 분리된 구동부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버킷(40)이 지정의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향 배치되었을 경우에 버킷(40)에 내장되는 전동식 구동 기구(411; 도 7 참조)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하는 것이다.
버킷 구동 수단(30)은, X축 반송 기구(31)와 Y축 반송 기구(32)의 조립체로서 구성한 것이다. X축 반송 기구(31)은, 본체 캐비넷(10)의 내부이며 상품 랙(20)의 전방 영역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부재(311)를 구비하며, X축 모터(312; 도 7 참조)의 구동에 의해 레일 부재(311)의 연장방향(좌우방향)을 따라 탑재하는 버킷(4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X축 모터(312)는, 예를 들면 PWM(Pulse Width Modulation) 구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PWM구동은, 모터의 구동 전압을 간헐적으로 온/오프하는 것이며, 온(ON)의 듀티가 클수록 해당 모터는 고속회전하고, 오프(OFF)의 듀티가 클수록 해당 모터는 저속회전한다. 그러한 X축 반송 기구(31)의 구조 자체는 주지된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버킷(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측부(41)와, 지지 부재(42)와, 재치(載置) 부재(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는, 각각 버킷(40)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4는 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측부(41)는, 서로의 내면이 대향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측부(41)는 수지제의 하우징 내에 여러 기구가 수용되어 있으며, 일례를 들면, 전동식 구동 기구(411)를 수용하고 있다. 전동식 구동 기구(411)는, 지정된 상품 수납 칼럼(21)에 버킷(40)이 대향 배치된 경우에, 상기 상품 수납 칼럼(21) 전단부의 상품 배출 기구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측부(41) 사이에 끼어 있는 영역은, 상품을 수용하는 수용 영역(44)이 되며, 이에 따라 측부(41)는 수용 영역(44)을 구획하는 것이다.
지지 부재(42)는 금속성 재료로 형성되며, 한 쌍의 측부(4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42)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421)와, 상기 베이스부(42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42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후방 연장부(422)의 단부, 즉 후단부(後端部)가 각각 측부(41)에 축 지지되는 결과, 지지 부재(42)는 측부(41)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재치 부재(43)는 한 쌍의 측부(41) 사이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재치 부재(43)는, 전면부(431)와, 측벽부(432)와, 재치부(433)를 구비하고 있다. 전면부(431)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개구를 통해, 지지 부재(42)에 설치된 핀 부재(424)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핀 부재(424)는 지지 부재(42)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부(425)의 축심 둘레로 요동 가능한 양태로 설치되며, 스프링 부재(426; 가압 수단)에 가압됨으로써,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영역을 향해, 즉 내부 도어(2)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핀 부재(424)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상방으로부터 가압되었을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42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방을 향하여 요동하고,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영역으로부터 퇴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432)는 서로의 내면이 대향하는 양태로 전면부(43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이들 측벽부(432)는, 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 지지 부재(42)의 후방 연장부(422)와 동축상에 축 지지되어, 측부(41)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재치부(433)는, 좌우 한 쌍이 되는 측벽부(432)의 후단 하부 사이에 축 형상부(도시 생략)를 통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전방끝단(자유단) 측이 버킷(40)의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이루어지며, 상품을 올려놓기 위한 것이다. 이 재치부(433)는 측벽부(432)의 요동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다가오면서 전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Y축 반송 기구(32)는, 좌우 한 쌍의 반송 지지 프레임(도시 생략)에 설치된 것이다. 이들 반송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 근방에는 풀리(321; pulley)가 회전 가능한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풀리(321)에는, 길다란 로프 형상의 벨트(322)가 걸어 감겨 있으며, 이 벨트(322)의 일단에는 웨이터(323; weighter)가 접속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레일 부재(311)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Y축 반송 기구(32)는, Y축 모터(324)의 구동에 의해 풀리(321)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레일 부재(311) 및 탑재되는 버킷(40)을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Y축 모터(324)는, 상술한 X축 모터(312)와 마찬가지로 PWM구동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버킷 구동 수단(30)은, X축 정지 위치 검출판(331), X축 위치 확인판(332), Y축 정지 위치 검출판(341), Y축 위치 확인판(342), X축 정지 위치 센서(351), X축 위치 확인 센서(352), X축 위치 보정 센서(353), Y축 정지 위치 센서(361), Y축 위치 확인 센서(362) 및 Y축 위치 보정 센서(363)를 구비하고 있다.
X축 정지 위치 검출판(331) 및 X축 위치 확인판(332)는, 레일 부재(311)에 인접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X축 정지 위치 검출판(331) 및 X축 위치 확인판(332)은, 각각 길다란 판 형상 부재이며, 좌우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X축 정지 위치 검출판(331)에는 정지 표지로서의 슬릿 형상의 노치(331a; 이하, '정지 노치홈'이라고도 함)이 상품 수납 칼럼(21)의 좌우방향의 간격과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X축 위치 확인판(332)에는, 확인 표지로서의 슬릿 형상의 노치홈(332a; 이하, '확인 노치홈'이라고도 함)이 상품 수납 칼럼(21)의 좌우방향의 간격과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정지 노치홈(331a)이 확인 노치홈(332a)보다 약간 전측, 즉 약간 우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Y축 정지 위치 검출판(341) 및 Y축 위치 확인판(342)은, 반송 지지 프레임에 인접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Y축 정지 위치 검출판(341) 및 Y축 위치 확인판(342)은, 각각 길다란 판 형상 부재이며, 상하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Y축 정지 위치 검출판(341)에는 정지 표지로서의 슬릿 형상의 노치홈(341a; 이하, '정지 노치홈'이라고도 함)이 상품 수납 칼럼(21)의 상하방향의 간격과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Y축 위치 확인판(342)에는, 확인 표지로서의 슬릿 형상의 노치홈(342a: 이하, '확인 노치홈'이라고도 함)이 상품 수납 칼럼(21)의 상하방향의 간격과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정지 노치홈(341a)이 확인 노치홈(342a)보다 약간 전측, 즉 약간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X축 정지 위치 센서(351), X축 위치 확인 센서(352) 및 X축 위치 보정 센서(353)는, 각각 버킷(40)의 우측 측부(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X축 정지 위치 센서(351)는, X축 정지 위치 검출판(331)을 끼운 양태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조합시킨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er), 즉 근접 센서이다. 상기 X축 정지 위치 센서(351)는, 정지 노치홈(331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X축 정지 위치 검출판(331)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정지 노치홈(331a)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 소자에 수광되며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X축 위치 확인 센서(352)는, X축 위치 확인판(332)를 끼운 양태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조합시킨 포토인터럽터, 즉 근접 센서이다. 이 X축 위치 확인 센서(352)는, 확인 노치홈(332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X축 위치 확인판(332)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확인 노치홈(332a)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 소자에 수광되며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X축 위치 보정 센서(353)는, X축 정지 위치 검출판(331)을 끼운 양태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조합시킨 포토인터럽터, 즉 근접 센서이다. 이 X축 위치 보정 센서(353)는, 정지 노치홈(331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X축 정지 위치 검출판(331)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정지 노치홈(331a)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 소자에 수광되며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X축 위치 보정 센서(353)는, X축 정지 위치 센서(351)보다도 우측에 설치되어 있어, X축 정지 위치 센서(351)보다 지연되어 정지 노치홈(331a)을 검지하는 것이다.
Y축 정지 위치 센서(361), Y축 위치 확인 센서(362) 및 Y축 위치 보정 센서(363)는, 각각 레일 부재(311)의 측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Y축 정지 위치 센서(361)는, Y축 정지 위치 검출판(341)을 끼운 양태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조합시킨 포토인터럽터, 즉 근접 센서이다. 상기 Y축 정지 위치 센서(361)는, 정지 노치홈(341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Y축 정지 위치 검출판(341)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정지 노치홈(341a)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 소자에 수광되며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Y축 위치 확인 센서(362)는, Y축 위치 확인판(342)을 끼운 양태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조합시킨 포토인터럽터, 즉 근접 센서이다. 이 Y축 위치 확인 센서(362)는, 확인 노치홈(342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Y축 위치 확인판(342)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확인 노치홈(342a)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 소자에 수광되며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Y축 위치 보정 센서(363)는, Y축 정지 위치 검출판(341)을 끼운 양태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조합시킨 포토인터럽터, 즉 근접 센서이다. 상기 Y축 위치 보정 센서(363)는, 정지 노치홈(341a) 이외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Y축 정지 위치 검출판(341)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정지 노치홈(341a)의 위치에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이 수광 소자에 수광되며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Y축 위치 보정 센서(363)는, Y축 정지 위치 센서(361)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어, Y축 정지 위치 센서(361)보다 지연되어 정지 노치홈(341a)을 검지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것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판매기는, 상술한 X축 모터(312), Y축 모터(324), 전동식 구동 기구(411), X축 정지 위치 센서(351), X축 위치 확인 센서(352), X축 위치 보정 센서(353), Y축 정지 위치 센서(361), Y축 위치 확인 센서(362), Y축 위치 보정 센서(363) 이외에, 입력 수단(50), 마이크로스위치(51), 제어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수단(50)은, 예를 들면 리모컨과 같은 것이며, 제어부(60)에 대하여 여러가지 명령 등을 부여할 수 있는 입력 수단(50)이다. 또한 상기 입력 수단(50)에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어, 제어부(60)로부터 주어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5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도어(2)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51)는, 반출 플랩퍼(5)의 개방도를 검지하기 위한 개방도 검지 수단이며, 검지 신호를 제어부(60)에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서, 반출 플랩퍼(5)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버킷(40)이 하방을 향하여 배출 이동하였을 경우에, 버킷(40)의 핀 부재(424)가 돌기 부재(6)에 맞닿는 결과, 버킷(40)을 구성하는 재치 부재(43)가 경도 자세가 되고, 이러한 경도 자세가 되는 재치부재(43)에 맞닿아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이다.
제어부(60)는, 버킷(40)의 이동, 및 광원(14)의 점등에 관하여 기억부(70)에 기억되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괄적으로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제어부(60)는, 자동 판매기의 판매 동작, 즉 상품 선택이나 금전 처리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는 별개의 것이다.
기억부(70)는,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자동 판매기의 운전 시작시(전원 투입시)에 행해지는 주지된 클리닝 동작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상품 수납 칼럼(21)의 위치 정보 및 번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미리 결정된 중계 위치(가), 대기 위치(나), 경유 위치(다)를 기억하고 있다.
중계 위치(가)는, 돌기 부재(6)의 수직 상방 영역에 미리 정해져 있다. 이 중계 위치(가)의 위치 검출은, 도 3에 도시한 중계 위치(가)를 도시하는 표지가 되는 전용의 노치홈(80, 81)을 검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중계 위치(가)의 수직 하방 영역에 내부 도어(2)에 돌출 설치된 돌기 부재(6)가 위치하게 된다(도 9에서, 돌기 부재(6)의 위치를 부호 '라'로 도시함).
대기 위치(나)는, 우측 하부 위치, 즉 도 9의 예에서는, 칼럼 번호 49의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향하는 위치에 미리 정해져 있다. 경유 위치(다)는, 예를 들면 2개 결정할 수 있으며, 하나는 중계 위치(가)의 우측, 또 하나는 중계 위치(가)의 좌측에 미리 정해져 있다. 여기에서, 우측의 경유 위치(다)는, 대기 위치(나)를 기준으로 4분할된 도 9에서의 D영역에 위치하는 버킷(40)이 A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경유하는 것이며, 좌측의 경유 위치(다)는, C영역에 위치하는 버킷(40)이 B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경유하는 것이다.
도 9에서 부호 15는, 단열 간막이판이며, 단열 간막이판(15)의 상방 영역은, 예를 들면 가열 영역, 단열 간막이판(15)의 하방 영역은 냉각 영역이 된다. 이 경우, 칼럼 번호 1∼14의 상품 수납 칼럼(21)은 가열 영역에 위치하고, 칼럼 번호 15∼49의 상품 수납 칼럼(21)은 냉각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기억부(70)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단열 간막이판(15)의 상방 영역을 가열 영역, 하방 영역을 냉각 영역으로 함으로써, 기억부(70)에는, Y축 모터(324)는 높은 온도 환경하에 위치하는 것이 기억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억부(70)에는, Y축 모터(324) 및 X축 모터(312)의 설치 환경하의 온도에 따라서 정지 위치 센서(351, 361)가 정지 노치홈(331a, 341a)을 검지하고 나서 각 모터(312, 324)에 구동 정지 명령을 부여할 때까지의 설정 시간이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모터의 설치 환경 하가 고온 분위기이면, 설정 시간을, 예를 들면 0.01초간으로 하고, 각 모터의 설치 환경하가 저온 분위기이면, 설정 시간을, 예를 들면 0.1초간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동 판매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판매 대기 상태에서, 선택 스위치(8)를 통해 상품의 선택 정보 및 투입구(9)를 통해 투입된 화폐의 입금 정보가 각각 소정의 판매 조건을 충족하면, 판매 명령이 제어부(60)에 부여된다. 여기에서는, 칼럼 번호 1의 상품 수납 칼럼(21)에 수납된 상품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어부(60)는, X축 모터(312) 및 Y축 모터(324)에 구동 명령을 부여하여 이를 구동시킨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D영역에 위치하는 버킷(40)을 A영역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제어부(60)는 버킷(40)을 우측 경유 위치(다)를 경유하여 이동시키고, 칼럼 번호 1의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하여 대향 배치시킨다. 이때, 제어부(60)는, 칼럼 번호 1의 상품 수납 칼럼(21)에 근접하는 광원(14)만 점등시켜도 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60)는, 대기 위치(나)에 위치하는 버킷(40)을 칼럼 번호 1의 상품 수납 칼럼(21)으로 이동시킬 때, 미리 결정된 출력으로 모터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Y축 정지 위치 센서(361)에 의해 대기 위치(나) 보다 1단(段) 위의 위치를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될 때까지는 Y축 모터(324)을 구동하는 듀티를, 예를 들면 70%로 하며, 또한 Y축 위치 센서에 의해 2단 위의 위치를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면, 모터를 구동하는 듀티를 100%로하여 상기 모터를 전속 회전시킨다. 그리고, 칼럼 번호 1의 상품 수납 칼럼(21)의 1단 아래의 위치를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면, 모터를 구동하는 듀티를, 예를 들면 30%로 하는 PWM 제어를 행한다. 한편, 여기에서는, Y축 모터(324)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X축 모터(312)의 구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PWM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칼럼 번호 1의 상품 수납 칼럼(21))에 버킷(40)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수행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Y축 모터(324)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제로서, Y축 모터(324)가 고온 분위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기억부(70)에 기억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모터(324)를 구동시켜 버킷(40)을 상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Y축 정지 위치 센서(361)는 정지 노치홈(341a)을 검지하고, Y축 위치 확인 센서(362)는 확인 노치홈(342a)을 검지한다. 또한, Y축 위치 보정 센서(363)는, Y축 정지 위치 센서(361)가 검지한 후에, 동일한 정지 노치홈(341a)을 검지하게 된다. 그리고,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칼럼 번호 1의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응하는 정지 노치홈(y3; 341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Y축 정지 위치 센서(361)로부터 부여된 제어부(60)는, 미리 결정된 설정 시간(ΔT; Y축 모터(324)는 고온 분위기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설정 시간이, 예를 들면 0.01초간)만큼 대기하고, 이러한 설정 시간(ΔT)의 경과 후에 Y축 모터(324)에 구동 정지 명령을 부여하여 버킷(4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그때, Y축 위치 확인 센서(362)가 칼럼 번호 1의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응하는 확인 노치홈(Y3; 342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면, 제어부(60)는 버킷(40)이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향 배치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Y축 위치 확인 센서(362)가 확인 노치홈(Y3; 342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60)는 Y축 위치 보정 센서(363)로부터 정지 노치홈(y3; 341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가 부여되었을 경우에는, 버킷(40)의 정지 위치가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 보다도 상방측으로 지나치게 이동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Y축 모터(324)를 결정된 시간만큼 역회전시켜서 버킷(40)을 하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Y축 위치 확인 센서(362)로부터 확인 노치홈(Y3; 342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면, 버킷(40)이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향 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역회전시킨 시간을 설정 시간(ΔT)으로부터 감산하고, 산출된 시간을 새로운 설정 시간으로서 기억부(70)에 기억한다.
한편, Y축 위치 보정 센서(363)로부터 정지 노치홈(y3; 341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에는, 버킷(40)의 정지 위치는,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 보다도 하측에 있어, 이동 부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Y축 모터(324)를 결정된 시간만큼 동일한 방향으로 추가 회전시켜 버킷(40)을 상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Y축 위치 확인 센서(362)로부터 확인 노치홈(Y3; 342a)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부여되면, 버킷(40)이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향 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추가 회전시킨 시간을 설정 시간(ΔT)에 가산하고, 산출된 시간을 새로운 설정 시간으로서 기억부(70)에 기억한다.
여기에서는, Y축 모터(324)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X축 모터(312)의 구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X축 모터(312)의 온도 환경 하에 따라서 설정 시간이 결정되며, 이러한 설정 시간의 경과 후에 제어부(60)가 구동 정지 명령을 부여한다.
버킷(40)이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향 배치되면, 제어부(60)는, 전동식 구동 기구(411)에 구동 명령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전동식 구동 기구(411)가 해당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의 상품 배출 기구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1개의 상품만이 버킷(40)으로 이동하고, 재치부(433)에 올려 놓여진 양태로 수용 영역(44)에 수용된다. 버킷(40)이 상품을 수용하면, 제어부(60)는 X축 모터(312) 및 Y축 모터(324)에 구동 명령을 부여하여, 중계 위치(가)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에도 제어부(60)는, 모터의 구동에 대해서는 미리 결정된 출력으로 행하는 PWM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버킷(40)이 중계 위치(가)에 위치하고 있음을 검지하면, 제어부(60)는 Y축 모터(324)만을 구동시켜 배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이 배출 이동하는 도중에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초간)만큼 Y축 모터(32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버킷(40)은, 관성(惰性)에 의해 하방을 향해 배출 이동한다. 이러한 시간이 경과한 후, 제어부(60)는 Y축 모터(324)를 구동시켜 버킷(40)을 하방을 향해 배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배출 이동시에도, 제어부(60)는 모터의 구동에 대해서는 미리 결정된 출력으로 행하는 PWM제어를 행한다.
여기에서, 배출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 위치(가)에 위치하는 버킷(40)을 배출 이동시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킷(40)의 핀 부재(424)가 돌기 부재(6)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핀 부재(424)가 돌기 부재(6)에 맞닿으면, 지지 부재(42)가 상방으로 요동하고, 상기 핀 부재(424)에 맞닿은 재치부재(43)도 상방을 향해 요동한다. 상기 재치부재(43)의 요동에 따라 재치부(433)도 전방으로 다가오면서 도 1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된다. 이에 따라, 재치부재(43)의 바닥면이 크게 개구되어 재치부(433)에 놓여 있던 상품은 기울어 넘어지므로, 버킷(40)으로부터 상품이 배출된다. 버킷(40)으로부터 배출된 상품은 반출 플랩퍼(5)에 맞닿아 상기 반출 플랩퍼(5)를 밀어 개방한 후에 개방된 상품 반출구(4)를 통해 소정의 상품 인출실에 도달한다. 그 후, Y축 모터(324)를 일단 구동 정지시키면, 버킷(40)은 관성에 의해 하방을 향해서 이동한다. 그렇다면, 핀 부재(424)의 선단이 돌기 부재(6)의 천정면(연직방향의 평면(수평면))에 맞닿아 지지 부재(42)과 재치부재(43)에 있어서의 전면부(431) 및 측벽부(432)의 경도 자세를 유지하게 되어, 상품이 버킷(40)으로부터 확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보증한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술한 클리닝 동작시에, 마이크로스위치(51)를 통해 반출 플랩퍼(5)의 개방도를 검지하고, 마이크로스위치(51)를 통해 검지한 개방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문턱값)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제어부(60)가 '개방도 불충분'으로 판정하여, 그 취지를 입력 수단(50)에 부여하고, 상기 입력 수단(50)의 소정의 표시부에 '개방도 불충분'이라는 취지를 표시하여 보고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핀 부재(424)와 돌기 부재(6)간의 접촉 불량을 인식할 수 있고, 이들 양자의 위치를 수정하여 양호한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제어부(60)가 선택된 상품이 미리 설정된 상품 수납 칼럼(21)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즉 선택된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이 소정의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대기 위치(나)에 위치하는 버킷(40)을 중계 위치(가)의 우측에 설정된 가상의 경유 위치(다)를 경유한 후에,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에 대향 배치시키므로, 이러한 이동시에 버킷(40)의 핀 부재(424)가 돌기 부재(6)에 맞닿을 우려가 없다. 따라서, 버킷(40)의 핀 부재(424)가 내부 도어(2)의 돌기 부재(6)에 간섭하는 일이 없어, 버킷(40)을 원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핀 부재(424)는 상측으로부터 가압된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426)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자신의 축심 둘레로 요동시켜서 돌출하는 전방영역으로부터 퇴피 이동하므로, 전원 투입시 등과 같이 버킷(40)의 위치정보가 아직 얻어지지 않은 단계에서의 버킷(40)의 이동에 대해서도, 상기 버킷(40)을 하방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핀 부재(424)가 돌기 부재(6)에 접촉하여 파손될 우려는 없다.
상기 자동 판매기에 따르면, 구동용 모터(X축 모터(312) 및 Y축 모터(324))의 설치 환경 하에 따라서 정지 위치 센서(351, 361)가 정지 노치홈(331a, 341a)을 검지하고나서의 설정시간에 폭을 두어, 해당 모터(312, 324)의 정지 타이밍을 가변시켰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와 검지판의 간단한 조합이라도 확실하게 원하는 위치에 버킷(40)을 정지시킬 수 있어, 비용의 절감, 및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판매기에 따르면, 제어부(60)가 미리 결정된 출력으로 X축 모터(312) 및 Y축 모터(324)의 구동을 행하는 PWM제어를 실시하므로, 벨트(322) 등에 작용하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모터(312, 324)의 사용 수명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판매기에 따르면, 상품 수용고(11)의 좌우 한 쌍의 측판의 전단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14)이 병설되어 있으므로, 버킷(40)을 목표로 하는 상품 수납 칼럼(21)으로 이동시킬 때 해당 상품 수납 칼럼(21)에 근접하는 광원(14)만을 점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품 수용고(11)의 조명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자동 판매기에 따르면, 버킷(40)의 배출 이동을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정지시키므로, 상기 버킷(40)은 관성에 의해 하방을 향해 이동하며, 버킷(40)이 경도 자세로 있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상품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4: 상품 반출구 5: 반출 플랩퍼
6: 돌기 부재 10: 본체 캐비넷
11: 상품 수용고 14: 광원
20: 상품 랙 21: 상품 수납 칼럼
22: 상품 수납 통로 30: 버킷 구동 수단
31: X축 반송 기구 311: 레일 부재
312: X축 모터 32: Y축 반송 기구
324: Y축 모터 331: X축 정지 위치 검출판
332: X축 위치 확인판 341: Y축 정지 위치 검출판
342: Y축 위치 확인판 351: X축 정지 위치 센서
352: X축 위치 확인 센서 353: X축 위치 보정 센서
361: Y축 정지 위치 센서 362: Y축 위치 확인 센서
363: Y축 위치 보정 센서 40: 버킷
424: 핀 부재 51: 마이크로스위치
60: 제어부 70: 기억부

Claims (4)

  1. 각각이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을 좌우방향을 따라 병설(倂設)하여 이루어지며, 좌우 한 쌍의 랙 지지 측판 사이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단(段)으로 설치된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임의의 상품 수납 칼럼에 대해 대향 배치된 경우에 상기 상품 수납 칼럼과의 사이에서 상품의 전달이 가능해지는 버킷(bucket)과,
    상기 버킷을 이동시키기 위한 버킷 구동 수단을 단열 구조를 가지는 상품 수용고에 구비한 자동 판매기로서,
    상품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버킷 구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버킷을 이동시켜 상기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칼럼에 대향 배치시키며, 상기 버킷이 상품을 수용한 후에 상기 버킷 구동 수단을 다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버킷을 미리 결정된 중계 위치로 일단 이동시키고 나서 하방을 향해 배출 이동시키며, 상기 버킷에 설치된 핀 부재가 상기 상품 수용고의 전면을 구성하는 도어체의 돌기 부재에 맞닿아 상기 버킷이 경도(傾倒) 자세가 됨으로써 수용된 상품의 배출을 허용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선택된 상품이 미리 설정된 상품 수납 칼럼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버킷을 상기 중계 위치의 좌측 및 우측으로 설정된 가상 경유 위치 중 어느 일방을 경유한 후에 상기 상품 수납 칼럼에 대향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 영역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부터 가압된 경우에는,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자신의 축심 둘레로 요동하여 상기 전방 영역으로부터 퇴피(退避)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구동 수단은, 상기 상품 수납 칼럼마다에 대응하여 설치된 정지 표식을 검지하는 정지 위치 검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버킷 구동 수단의 구동용 모터의 온도 환경 하에 따라서, 목표로 하는 상기 상품 수납 칼럼에 대응한 상기 정지 표식을 상기 정지 위치 검지 수단이 검지하고 나서의 상기 구동용 모터의 정지 타이밍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구동 수단의 구동용 모터는, PWM 구동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용 모터의 출력의 크기로서, PWM 구동 듀티(duty)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KR1020100002229A 2009-01-13 2010-01-11 자동 판매기 KR101058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05094 2009-01-13
JP2009005094A JP5163504B2 (ja) 2009-01-13 2009-01-13 自動販売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722A KR20100083722A (ko) 2010-07-22
KR101058272B1 true KR101058272B1 (ko) 2011-08-22

Family

ID=4258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229A KR101058272B1 (ko) 2009-01-13 2010-01-11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63504B2 (ko)
KR (1) KR101058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4668B (zh) * 2016-06-29 2018-06-08 微兔在线(济南)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
CN110657873B (zh) * 2018-06-29 2024-05-24 福建南方路面机械股份有限公司 自动称量配料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643364A (zh) * 2020-05-29 2020-09-11 重庆大学 一种基于转盘结构的智能配药箱
CN112208989A (zh) * 2020-09-28 2021-01-12 长沙强三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货物暂存、传输的自动货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6156A (ja) 2004-01-30 2005-08-11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3782U (ko) * 1989-04-14 1990-11-06
JPH08202935A (ja) * 1995-01-24 1996-08-09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952579B2 (ja) * 1997-02-27 2007-08-01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6156A (ja) 2004-01-30 2005-08-11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65063A (ja) 2010-07-29
JP5163504B2 (ja) 2013-03-13
KR20100083722A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7460A1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EP2587459B1 (en) Product stow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1058272B1 (ko) 자동 판매기
KR20100083723A (ko) 자동 판매기
JP2017076322A (ja) 商品収納装置
JP4835619B2 (ja) 自動販売機
KR102207145B1 (ko) 상품 수납 장치
KR101067032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래크
KR101135754B1 (ko) 자동판매기
KR20210072083A (ko)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KR101115809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JP5164607B2 (ja) 自動販売機
JP5316268B2 (ja) 商品収納装置
JP4973601B2 (ja) 商品収納装置
JP4737034B2 (ja) 自動販売機
JP4715665B2 (ja) 自動販売機
JP4483070B2 (ja) 自動販売機の制御方法
US20150060479A1 (en) Commodity storage device
JP4069871B2 (ja) 自動販売機
JP5381540B2 (ja) 自動販売機
JP5375530B2 (ja) 自動販売機
JP4888052B2 (ja) 自動販売機
JP2010277280A (ja) 商品収納装置
JP2011100219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