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145B1 - 상품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145B1
KR102207145B1 KR1020187023954A KR20187023954A KR102207145B1 KR 102207145 B1 KR102207145 B1 KR 102207145B1 KR 1020187023954 A KR1020187023954 A KR 1020187023954A KR 20187023954 A KR20187023954 A KR 20187023954A KR 102207145 B1 KR102207145 B1 KR 10220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 storage
room
storage room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329A (ko
Inventor
유고 우에하타
Original Assignee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2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4Restock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상품 수납 장치(1)는, 상품을 수납함과 함께 수납한 상품을 냉각 또는 가온(加溫)하는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과,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에 수납된 상품이 반출되는 상품 취출구(31)와,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 중 일방(一方)을 수납한 상품이 반출되지 않는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 중 타방(他方)을 수납한 상품이 반출되는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순차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어부(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품 수납 장치
[0001] 본 발명은, 수납한 상품을 냉각 또는 가온(加溫)함과 함께, 수납한 상품을 상품 취출구(取出口)로 반출하도록 구성된 상품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이러한 종류의 상품 수납 장치의 일례로서 자동 판매기가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품이 품절되면, 새로운 상품이 상품 격납고(格納庫)에 보충되며, 이후, 보충된 상품의 냉각 또는 가온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충된 상품이 적온(適溫; 알맞은 온도)이 될 때까지, 상품의 판매(환언하자면, 상품의 반출)가 정지된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0003]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05-73767호
[0004]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충된 상품이 적온이 될 때까지 상품의 판매(또는 반출)가 정지되어 버리면, 상품의 판매 기회의 손실 등을 초래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예컨대, 상품이 품절되기 전에 상품을 적절히 보충하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상품의 판매(또는 반출) 정지를 억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0005] 그러나, 상기 보충되는 상품은, 냉각 또는 가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품의 보충에 의해 상기 상품 격납고 내의 온도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예컨대 상품의 적온 범위가 좁은 경우에는, 상품의 보충시에, 이미 적온 상태에 있는 상품이 적온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적온 범위 외의 상품이 반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0006] 따라서, 본 발명은, 상품의 적온 범위가 좁은 경우라 하더라도 적온 상태에 있는 상품을 계속적으로 반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품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7]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품 수납 장치는, 상품을 수납함과 함께 수납한 상품을 냉각 또는 가온(加溫)하는 복수의 상품 수납실과, 상기 복수의 상품 수납실에 수납된 상품이 반출되는 상품 취출구(取出口)와, 상기 복수의 상품 수납실 중 일부의 상품 수납실을 수납한 상품이 반출되지 않는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나머지의 상품 수납실을 수납한 상품이 반출되는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순차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0008]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던 상품 수납실은, 이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전환되며,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되어 있던 상품 수납실은, 이후, 상기 준비실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적절한 시기(타이밍)에 변경함과 함께, 상기 변경(즉, 상기 준비실이 되는 상품 수납실의 변경)에 맞추어 새롭게 상기 준비실로 설정된 상품 수납실에 대해 상품의 보충을 행함으로써, 상품의 적온 범위가 좁은 경우라 하더라도 적온 상태에 있는 상품을 계속적으로 반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09]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상품 수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내부(외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a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상품 수납 장치(외측 도어:폐쇄)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상품 수납 장치(외측 도어:개방)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상품 수납 장치(외측 도어:폐쇄)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상품 수납 장치(외측 도어:개방)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의 다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상품 수납 장치(외측 도어:폐쇄)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의 다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상품 수납 장치(외측 도어:개방)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의 다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상품 수납 장치(외측 도어:폐쇄)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의 다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상품 수납 장치(외측 도어:개방)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의 다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상품 수납 장치(외측 도어:폐쇄)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의 다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상품 수납 장치(외측 도어:개방)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0010]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상품 수납 장치는, 복수 종류의 상품(주로, 용기에 든 음료가 해당됨)을 수납함과 함께 수납한 상품을 냉각 또는 가온한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상품 수납 장치는, 카드 등의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판독하여, 수납된 상품 중, 판독한 상품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을 반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드 등의 정보 기록 매체를 「상품 지정 카드」라 한다. 또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드 등의 정보 기록 매체(상품 지정 카드)에는 금전 정보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상품 수납 장치는, 상품을 반출할 때, 잔고 확인이나 잔고 갱신 등의 금전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0011]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상품 수납 장치(1)의 정면도이며, 도 2는, 상품 수납 장치(1)의 내부(후술하는 외측 도어(3)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품 수납 장치(1)는, 전면(前面)이 개구(開口)된 박스 형상의 장치 본체(2)와, 장치 본체(2)의 전면을 개폐하는 외측 도어(3)와, 외측 도어(3)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 도어(4)를 가진다.
[0012] 장치 본체(2)는, 단열 구조의 상품 수납고(5)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또한, 상품 수납고(5)의 내부는, 칸막이 벽(51)에 의해, 상품 수납 장치(1)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제1 상품 수납실(52)과 제2 상품 수납실(53)로 구획되어 있다. 제1 상품 수납실(52)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正面視)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상품 수납실(53)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상품 수납실(52)과 제2 상품 수납실(53)은, 거의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상품(P)을 수납함과 함께 수납한 상품을 냉각 또는 가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상품 수납실(52)의 내부와 제2 상품 수납실(53)의 내부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온도 상태(설정 온도)로 유지된다.
[0013] 도 3은, 상품 수납 장치(1)의 측면 단면도이며, 주로,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상품 수납실(52)(제2 상품 수납실(53)도 동일)에는, 제1 상품 수납실(52)(제2 상품 수납실(53)) 내를 냉각하는 냉각기(54)와, 제1 상품 수납실(52)(제2 상품 수납실(53)) 내를 가온하는 가온기(5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각기(54)는, 도시가 생략된 냉동 사이클 장치의 구성 요소인 증발기이며, 가온기(55)는, 히터이다.
[0014] 또한, 제1 상품 수납실(52)(제2 상품 수납실(53)도 동일)에는, 복수 개(여기서는 세 개)의 상품 수납 칼럼(56)이 전후로 배치되어 있다. 각 상품 수납 칼럼(5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품 통로(57)를 가진다. 그리고, 오퍼레이터 등이 상품 수납 칼럼(56)의 상부의 각 상품 투입구(58)로부터 상품(P)을 투입함으로써 각 상품 통로(57)에 상품(P)이 수납된다. 여기서, 상품 통로(57)마다 상품(P)의 종류가 할당되어 있으며, 각 상품 통로(57)에는 동일 종류의 상품(P)이 수납된다. 각 상품 수납 칼럼(56)의 하부에는, 한 쌍의 상품 통로(57)에 대응시켜 두 개의 상품 반출기(59)가 배면(背面)을 맞대고 배치되어 있다. 각 상품 반출기(59)는, 대응하는 상품 통로(57) 내에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된 상품(P) 중 최하위의 상품(P)부터 차례로 낙하시킨다.
[0015] 외측 도어(3)는, 상품 수납 장치(1)의 폭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2)의 일단측(여기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외측 도어(3)의 하부에는, 각 상품 반출기(59)가 낙하시킨 상품이 반출되는 상품 취출구(31)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상품 취출구(3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외측 도어(3)의 전면(외측면)에는, 상기 상품 지정 카드가 투입되는 카드 투입구(32)가 설치되어 있고, 외측 도어(3)의 배면(내측면)에는, 상기 상품 지정 카드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판독 및/또는 상기 상품 지정 카드에 소정의 정보를 기입하는 카드 리더/라이터(33)와, 상기 상품 지정 카드를 회수하기 위한 카드 회수 박스(34)가 설치되어 있다.
[0016] 내측 도어(4)는, 단열 구조를 가지며, 상품 수납고(5)의 개구부를 덮는 동시에, 해당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측 도어(4)의 하부에는, 제1 상품 수납실(52) 내부와 상품 취출구(31)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제1 상품 반출구(41)와, 제2 상품 수납실(53) 내부와 상품 취출구(31)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제2 상품 반출구(4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상품 반출구(41)와 제2 상품 반출구(42)는,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에 대응하여 상품 수납 장치(1)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상품 수납실(52) 내의 상품 반출기(59)가 낙하시킨 상품(P), 즉, 제1 상품 수납실(52)에 수납된 상품(P)은, 제1 상품 반출구(41)를 통해 상품 취출구(31)로 반출되고, 제2 상품 수납실(53) 내의 상품 반출기(59)가 낙하시킨 상품(P), 즉, 제2 상품 수납실(53)에 수납된 상품(P)은, 제2 상품 반출구(42)를 통해 상품 취출구(31)로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상품 반출구(41) 및 제2 상품 반출구(42)의 각각에는, 단열성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반출 도어(43)가 설치되어 있다. 반출 도어(43)는, 예컨대, 상품 반출기(59)가 낙하시킨 상품에 의해 밀려 열리고 또한 자중(自重)에 의해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17] 상품 취출구(31)는, 외측 도어(3)의 전면 하부에 개구되는 개구부(311)와, 개구부(311)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312)와, 제1, 제2 상품 반출구(41, 42)를 통해 반출된 상품(P)을 수용하는 상품 수용부(313)를 가지고 있다.
[0018] 개구부(311)는, 상품 수납 장치(1)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폐 도어(312)는, 합성 수지 등의 투명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이 개구부(311)의 상부 근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개폐 도어(312)는, 그 하단을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구부(311)를 개방하고, 자중에 의해 개구부(311)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품 수용부(313)는, 판금(板金) 부재 등에 의해 얕은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품 수용부(313)는, 개구부(311)의 폭 방향 사이즈보다 큰 폭 방향 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외측 도어(3)의 배면측에 있어서 개구부(31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외측 도어(3)에 고정되어 있다. 상품 수용부(313)의 상면에는, 반출된 상품을 수용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품 수용부(313)의 좌우 양단에는, 각각 개구부(311)의 상부보다 근소하게 상방까지 연장되는 측판(314)이 각각 부착되어 있고, 양 측판(314, 314)의 상부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상면판(315)이 부착되어 있다.
[0019] 상품 취출구(31) 내의 좌우 양측부에는, 상품 취출구(31) 내를 조명하는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 수납 장치(1)의 폭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일방의 조명 장치(316A)는, 상품 수용부(313)의 상면의 일단측(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배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설치되어 있고, 타방의 조명 장치(316B)는, 상품 수용부(313)의 상면의 타단측(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 배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는, 상품 취출구(31)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으면 되며, 형상이나 구성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LED 등의 광원과, 해당 광원을 수용하는 투광성 케이스를 가지고 구성될 수 있다.
[0020] 도 4는, 상품 수납 장치(1)의 제어 블록도이다. 상품 수납 장치(1)는, 상품 수납 장치(1)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외측 도어(3)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도 2 참조), 신호선 등을 통해 카드 리더/라이터(33), 냉각기(54)를 포함하는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 가온기(히터)(55), 상품 반출기(59) 및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 등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이하와 같은 제어를 실행한다.
[0021] 우선, 제어부(10)는, 제1 상품 수납실(52) 내의 온도 및 제2 상품 수납실(53) 내의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설정 냉각 온도 또는 설정 가온 온도)가 되도록, 제1 상품 수납실(52)용의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와 제2 상품 수납실(53)용의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제1 상품 수납실(52)용의 가온기(55)와 제2 상품 수납실(53)용의 가온기(55)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온도는, 제1 상품 수납실(52)과 제2 상품 수납실(53)에 공통되는 것이며, 상기 오퍼레이터 등에 의한 입력 장치(도시 생략)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0022] 제1 상품 수납실(52) 내부 및 제2 상품 수납실(53) 내부를 냉각하는 경우, 즉,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에 수납된 상품(P)을 냉각하는 경우, 제어부(10)는, 도시가 생략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제1 상품 수납실(52) 내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상기 설정 냉각 온도)의 하한치 이상 그리고 상한치 이하가 되도록 제1 상품 수납실(52)용의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를 동작시킨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0)는, 도시가 생략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제2 상품 수납실(53) 내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상기 설정 냉각 온도)의 하한치 이상 그리고 상한치 이하가 되도록 제2 상품 수납실(53)용의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를 동작시킨다.
[0023] 제1 상품 수납실(52) 내부 및 제2 상품 수납실(53) 내부를 가온하는 경우, 즉,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에 수납된 상품(P)을 가온하는 경우, 제어부(10)는, 도시가 생략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제1 상품 수납실(52) 내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상기 설정 가온 온도)의 하한치 이상 그리고 상한치 이하가 되도록 제1 상품 수납실(52)용의 가온기(55)를 동작시킨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0)는, 도시가 생략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제2 상품 수납실(53) 내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상기 설정 가온 온도)의 하한치 이상 그리고 상한치 이하가 되도록 제2 상품 수납실(53)용의 가온기(55)를 동작시킨다.
[0024] 또한, 제어부(10)는, 카드 리더/라이터(33)가 카드 투입구(32)에 투입된 상기 상품 지정 카드로부터 판독한 상품 정보가 카드 리더/라이터(33)로부터 입력되면, 해당하는 상품 반출기(59), 즉, 입력된 상품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P)을 수납한 상품 통로(57)용의 상품 반출기(59)에 대해 상품 반출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상품 반출 신호를 입력한 상품 반출기(59)가 동작하여 상품 통로(57) 내의 최하위의 상품(P)을 낙하시킨다. 이에 따라, 카드 리더/라이터(33)가 판독한 상품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P)이 상품 취출구(31)로 반출된다.
[0025]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 중 일방을 수납한 상품(P)이 반출되지 않는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 중 타방을 수납한 상품(P)이 반출되는 상품 반출실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순차로 변경한다. 환언하자면, 제어부(10)는,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 중 일방을, 수납한 상품의 반출을 정지한 반출 정지 상태로 함과 함께,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 중 타방을, 수납한 상품을 반출하는 반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상기 반출 정지 상태로 하는 상품 수납실을 순차로 변경한다. 제어부(10)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상기 반출 정지 상태로 하는 상품 수납실)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0)는, 상기 오퍼레이터 등에 의한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순차로 변경해도 되고, 소정의 변경 타이밍으로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순차로 변경해도 된다. 이에 의해, 상품 수납 장치(1)는,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의 일방에 수납된 상품만을 상품 취출구(31)로 반출하게 된다.
[0026] 예컨대, 제어부(10)는, 제1 상품 수납실(52)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2 상품 수납실(53)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0)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된 제1 상품 수납실(52) 내의 각 상품 반출기(59)에는 상기 상품 반출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된 제2 상품 수납실(53) 내의 상품 반출기(59) 중 해당하는 상품 반출기(59)에 대해 상기 상품 반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미리 결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오퍼레이터 등에 의한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는, 제2 상품 수납실(53)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1 상품 수납실(52)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고, 이후, 더욱이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기 오퍼레이터 등에 의한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는, 제1 상품 수납실(52)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2 상품 수납실(53)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한다. 제어부(10)는, 이러한 상기 준비실 및 상기 상품 반출실의 설정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상품 수납 장치(1)에는, 상시, 상기 준비실과 상기 상품 반출실이 존재하며, 또한, 이들이 순차로(여기서는 주기적으로) 전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시간은, 반드시 일정할 필요는 없고, 외부 환경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내장하는 타이머 등에 근거하여, 상술한 상기 준비실 및 상기 상품 반출실의 설정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소정 시간은, 상품(P)의 적온(상기 설정 온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냉각 및 가온되어 있지 않은 상품(P)이 제1 상품 수납실(52) 또는 제2 상품 수납실(53)에 수납되고 나서 적온(상기 설정 온도)이 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또는 그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된다.
[0027] 이와 같이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순차로 변경하는 것은, 상품(P)의 적온 범위가 좁은 경우라 하더라도, 상품 수납 장치(1)가 적온 상태에 있는 상품(P)을 계속적으로 반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구체적으로는, 상품 수납 장치(1)에 대한 상품(P)의 보충이,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의 변경에 맞추어 새롭게 상기 준비실로 설정된 상품 수납실에 대해 행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된 상품 수납고 내의 온도(즉, 반출될 가능성이 있는 상품(P)의 온도 상태)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상품 수납 장치(1)에 대한 상품(P)의 보충이 가능하다. 또한, 보충된 상품(P)은, 상기 준비실로 설정된 상품 수납실이 상기 상품 반출실로 전환되기까지의 동안에 적온 또는 그에 가까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충된 상품(P)은, 상기 준비실이 상기 상품 수납실로 전환된 후, 신속하게 적온 상태의 상품(P)으로서 반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상품(P)의 적온 범위가 좁은 경우라 하더라도, 상품 수납 장치(1)는, 적온 상태에 있는 상품(P)을 계속적으로 반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0028] 그런데, 상기 오퍼레이터 등에 의한 상품(P)의 보충이 확실하게 상기 준비실로 설정된 상품 수납실에 대해 행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퍼레이터 등에 대해,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 중 어느 것이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품 취출구(31) 내를 조명하는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를 이용하여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의 변경(즉, 상기 준비실의 변경)에 연동하여,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의 점등 및 소등의 조합을 변경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에,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을 표시시킨다.
[0029] 도 5a, 도 5b, 도 6a, 도 6b는, 제어부(10)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5a 및 도 6a는, 상품 수납 장치(1)(외측 도어(3):폐쇄)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5b 및 도 6b는, 외측 도어(3)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품 수납 장치(1)에 있어서, 제1 상품 수납실(52)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상품 수납실(53)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 중, 일방의 조명 장치(316A)는, 제1 상품 수납실(52)과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타방의 조명 장치(316B)는, 제2 상품 수납실(53)과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0030] 제어부(10)는, 제1 상품 수납실(52)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2 상품 수납실(53)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한 경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배치된 조명 장치(316B)를 점등시키는 한편,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배치된 조명 장치(316A)를 소등시킨다(도 5a). 또한, 제어부(10)는, 외측 도어(3)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조명 장치(316B)의 점등 상태 및 조명 장치(316A)의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된 제2 상품 수납실(53)에 수납된 상품(P)이 상품 취출구(31)로 반출된다. 따라서, 조명 장치(316B)를 점등시킴으로써, 상품 취출구(31)에 있어서의 상품(P)의 반출 위치(상품(P)의 취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동시에, 상품 취출구(31) 내에 있어서, 반출된 상품(P)을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0031] 또한, 상품(P)의 충전은, 외측 도어(3)가 개방된 상태에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 오퍼레이터 등은, 상품(P)을 보충할 때, 외측 도어(3)를 배면측으로부터 보게 된다. 이때, 점등되어 있는 조명 장치(316B)는, 상기 오퍼레이터 등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 즉,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상품 수납실(52)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며, 소등되어 있는 조명 장치(316A)는, 상기 오퍼레이터 등으로부터 보았을 때 우측, 즉,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상품 수납실(52)에 대응하는 위치가 된다(도 5b). 따라서, 상기 오퍼레이터 등은, 상품(P)의 보충을 행할 때 조명 장치(316A, 316B)를 확인함으로써, 점등되어 있는 조명 장치(316B)측, 즉, 상기 오퍼레이터 등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의 제1 상품 수납실(52)이 상품(P)의 보충을 행할 상기 준비실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터 등이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되어 있는 제2 상품 수납실(53)에 대해 잘못하여 상품(P)을 보충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0032] 한편, 제어부(10)는, 제2 상품 수납실(53)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1 상품 수납실(52)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한 경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배치된 조명 장치(316A)를 점등시키는 한편,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배치된 조명 장치(316B)를 소등시킨다(도 6a). 또한, 제어부(10)는, 외측 도어(3)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조명 장치(316A)의 점등 상태 및 조명 장치(316B)의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1 상품 수납실(52)에 수납된 상품(P)이 상품 취출구(31)로 반출된다. 따라서, 조명 장치(316A)를 점등시킴으로써, 상품 취출구(31)에 있어서의 상품(P)의 반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동시에, 상품 취출구(31) 내에 있어서, 반출된 상품(P)을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0033] 또한, 점등되어 있는 조명 장치(316A)는, 상품(P)의 보충을 행하는 상기 오퍼레이터 등으로부터 보았을 때 우측, 즉,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제2 상품 수납실(53)에 대응하는 위치가 된다(도 6b). 따라서, 상기 오퍼레이터 등은, 상품(P)의 보충을 행할 때, 점등되어 있는 조명 장치(316A)측에 위치하는 상품 수납실, 즉, 상기 오퍼레이터 등으로부터 보았을 때 우측의 제2 상품 수납실(53)이 상품(P)의 보충을 행할 상기 준비실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터 등이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상품 수납실(52)에 대해 잘못하여 상품(P)을 보충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0034] 이와 같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품 수납 장치(1)는, 상품(P)을 수납함과 함께 수납한 상품(P)을 냉각 또는 가온하는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을 가지고 있으며, 제1 상품 수납실(52) 또는 제2 상품 수납실(53)에 수납된 상품을 상품 취출구(31)로 반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품 수납 장치(1)의 제어부(10)는,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 중 일방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 중 타방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할 상품 수납실을 순차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10)가 상기 준비실로 설정할 상품 수납실을 적절한 시기(타이밍)에 변경하는, 즉, 제어부(10)가 상기 준비실의 변경을 적절한 시기(타이밍)에 행함과 함께, 상기 준비실의 변경 시기(변경 타이밍)에 맞추어, 새롭게 상기 준비실로 설정된 상품 수납실에 대해 상품(P)의 보충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상품(P)의 적온 범위가 좁은 경우라 하더라도, 상품 수납 장치(1)가 적온 상태에 있는 상품(P)을 계속적으로 반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참고로, 적온 범위가 좁은 상품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과냉각 상태로 제공할 필요가 있는 용기에 든 음료(과냉각 음료)가 해당된다.
[0035]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의 변경(즉, 상기 준비실의 변경)에 연동하여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의 점등 및 소등의 조합을 변경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에, 그 시점에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을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용의 부품을 추가하는 일 없이, 상품(P)의 보충을 행하는 상기 오퍼레이터 등에 대해 제1 상품 수납실(52) 및 제2 상품 수납실(53) 중 어느 것이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인식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오퍼레이터 등이 잘못하여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에 상품(P)을 보충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0036] 참고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가 본 발명의 「표시 수단」 및 「복수의 발광부」에 해당한다.
[0037] 그런데,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품 수납 장치(1)는,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상품 수납실(제1 상품 수납실(52), 제2 상품 수납실(53))을 가지며, 제어부(10)는, 어느 일방의 상품 수납실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타방의 상품 수납실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품 수납 장치(1)는,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세 개의 상품 수납실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예컨대, 상기 세 개의 상품 수납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나머지 두 개를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하면 된다.
[0038] 또한, 상품 수납 장치(1)가 세 개의 상품 수납실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부(10)가,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의 변경(상기 준비실의 변경)에 연동하여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의 점등 및 소등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에, 그 시점에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배치되는 상품 수납실을 제1 상품 수납실(152)로 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배치되는 상품 수납실을 제2 상품 수납실(153)로 하고, 제1 상품 수납실(152)과 제2 상품 수납실(153) 사이에 배치되는 상품 수납실을 제3 상품 수납실(154)로 한다.
[0039]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도 9a, 도 9b는, 상품 수납 장치(1)가 세 개의 상품 수납실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10)에 의한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5a, 도 6a와 마찬가지로, 도 7a, 도 8a 및 도 9a는, 상품 수납 장치(1)(외측 도어(3):폐쇄)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5b, 도 6b와 마찬가지로, 도 7b, 도 8b 및 도 9b는, 외측 도어(3)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0040] 제어부(10)는, 제1 상품 수납실(152)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2 상품 수납실(153) 및 제3 상품 수납실(154)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는 경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배치된 조명 장치(316B)를 점등시키는 한편,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배치된 조명 장치(316A)를 소등시킨다(도 7a). 그리고, 제어부(10)는, 외측 도어(3)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조명 장치(316B)의 점등 상태 및 조명 장치(316A)의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2 상품 수납실(153) 또는 제3 상품 수납실(154)에 수납된 상품(P)이 상품 취출구(31)로 반출된다. 따라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배치된 조명 장치(316B)를 점등시킴으로써, 상품 취출구(31) 내에 있어서, 반출된 상품(P)을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점등되어 있는 조명 장치(316B)는, 상품(P)을 보충하는 상기 오퍼레이터 등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 즉,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상품 수납실(152)에 대응하는 위치가 된다(도 7b). 따라서, 상기 오퍼레이터 등은, 상품(P)의 보충을 행할 시에, 점등되어 있는 조명 장치(316B)측에 위치하는 상품 수납실, 즉, 상기 오퍼레이터 등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의 제1 상품 수납실(152)이 상품(P)의 보충을 행할 상기 준비실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터 등이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되어 있는 제2, 제3 상품 수납실(153, 154)에 대해 잘못하여 상품(P)을 보충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0041] 제어부(10)는, 제2 상품 수납실(153)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1 상품 수납실(152) 및 제3 상품 수납실(154)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는 경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배치된 조명 장치(316A)를 점등시키는 한편,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배치된 조명 장치(316B)를 소등시킨다(도 8a). 그리고, 제어부(10)는, 외측 도어(3)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조명 장치(316A)의 점등 상태 및 조명 장치(316B)의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1 상품 수납실(152) 또는 제3 상품 수납실(154)에 수납된 상품(P)이 상품 취출구(31)로 반출된다. 따라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배치된 조명 장치(316A)를 점등시킴으로써, 상품 취출구(31) 내에 있어서, 반출된 상품(P)을 효율적으로 조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점등되어 있는 조명 장치(316A)는, 상품(P)의 보충을 행할 상기 오퍼레이터 등으로부터 보았을 때 우측, 즉,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제2 상품 수납실(153)에 대응하는 위치가 된다(도 8b). 따라서, 상기 오퍼레이터 등은, 상품(P)의 보충을 행할 시에, 점등되어 있는 조명 장치(316A)측에 위치하는 상품 수납실, 즉,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의 제2 상품 수납실(153)이 상품(P)의 보충을 행할 상기 준비실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터 등이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제3 상품 수납실(152, 154)에 대해 잘못하여 상품(P)을 보충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0042] 제어부(10)는, 제3 상품 수납실(154)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제1 상품 수납실(152) 및 제2 상품 수납실(153)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는 경우,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의 양방을 점등시킨다(도 9a). 그리고, 제어부(10)는, 외측 도어(3)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조명 장치(316A) 및 조명 장치(316B)의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1 상품 수납실(152) 또는 제2 상품 수납실(153)에 수납된 상품(P)이 상품 취출구(31)로 반출된다. 따라서,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의 양방을 점등시킴으로써, 상품 취출구(31) 내에 있어서, 반출된 상품(P)이 확실히 조명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오퍼레이터 등은,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의 양방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를 보게 되지만,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은 하나뿐이다. 따라서, 상기 오퍼레이터 등은, 점등되어 있는 조명 장치(316A, 316B)의 어느 것에도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3 상품 수납실(154)이 상품(P)의 보충을 행할 상기 준비실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터 등이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제2 상품 수납실(152, 153)에 대해 잘못하여 상품(P)을 보충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0043] 또한, 이상에서는, 상품 취출구(31) 내를 조명하는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에, 그 시점에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을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품 수납 장치(1)가, 외측 도어(3)의 배면에, 복수(상품 수납실과 동일한 개수이며, 여기서는 세 개)의 발광부(200a)를 가진 표시 장치(200)를 가져도 된다. 발광부(200a)는, 예컨대 LED 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수납 장치(1)는, 세 개 이상의 상품 수납실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부(200a)의 각각은, 복수의 상품 수납실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품 수납 장치(1)가 네 개 이상의 상품 수납실을 가지는 경우, 제어부(10)는, 두 개의 상품 수납실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0044] 그리고, 제어부(10)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의 변경(상기 준비실의 변경)에 연동하여, 표시 장치(200)의 복수의 발광부(200a)의 점등 및 소등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표시 장치(200)에, 그 시점에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을 표시시킨다. 예컨대, 제어부(10)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한 상품 수납실에 대응하는 발광부(200a)를 점등시킴과 함께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한 상품 수납실에 대응하는 발광부(200a)를 소등시키고, 이에 의해, 표시 장치(200)에,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을 표시시킬 수 있다. 혹은, 제어부(10)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한 상품 수납실에 대응하는 발광부(200a)를 소등시킴과 함께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한 상품 수납실에 대응하는 발광부(200a)를 점등시키고, 이에 의해, 표시 장치(200)에,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을 표시시킬 수 있다.
[0045] 참고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지만, 한 쌍의 조명 장치(316A, 316B)나 표시 장치(200)를 대신하여, 상기 준비실 및/또는 상기 상품 반출실을 나타내는 표시판 등을 적절히 장착함으로써, 그 시점에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됨은 물론이다.
[0046]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나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추가적인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0047] 1 : 상품 수납 장치
5 : 상품 수납고
10 : 제어부
31 : 상품 취출구
52, 152 : 제1 상품 수납실
53, 153 : 제2 상품 수납실
54 : 냉각기
55 : 가온기
59 : 상품 반출기
154 : 제3 상품 수납실
316A, 316B : 조명 장치
P : 상품

Claims (10)

  1. 상품을 수납함과 함께 수납한 상품을 냉각하는 복수의 상품 수납실과,
    상기 복수의 상품 수납실에 수납된 상품이 반출되는 상품 취출구(取出口)와,
    상기 복수의 상품 수납실 중 일부의 상품 수납실을 수납한 상품이 반출되지 않는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나머지의 상품 수납실을 수납한 상품이 반출되는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순차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은, 과냉각 상태로 상기 상품 취출구로 반출되는 용기에 든 과냉각 음료이고,
    상기 준비실과 상기 상품 반출실이 상시 존재하는, 상품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상품 수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퍼레이터의 입력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을 순차로 변경하는, 상품 수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 수납실의 각각에 냉각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품 수납실 내의 온도가 동일한 온도 상태가 되도록 각 상품 수납실의 냉각기를 제어하는, 상품 수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실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실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상품 수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이 개별적으로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는 복수의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의 변경에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부의 점등 및 소등의 조합을 변경하는, 상품 수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 수납실은, 제1 상품 수납실 및 제2 상품 수납실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품 수납실 및 상기 제2 상품 수납실 중 일방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타방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구 내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품 취출구 내를 조명하는 한 쌍의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의 변경에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조명 장치의 점등 및 소등의 조합을 변경하는, 상품 수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 수납실은, 제1 내지 제3 상품 수납실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상품 수납실 중 어느 하나의 상품 수납실을 상기 준비실로 설정함과 함께 나머지 두 개의 상품 수납실을 상기 상품 반출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구 내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품 취출구 내를 조명하는 한 쌍의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준비실로 설정하는 상품 수납실의 변경에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조명 장치의 점등 및 소등의 조합을 변경하는, 상품 수납 장치.


KR1020187023954A 2016-01-21 2016-07-19 상품 수납 장치 KR102207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0132A JP6712468B2 (ja) 2016-01-21 2016-01-21 商品収納装置
JPJP-P-2016-010132 2016-01-21
PCT/JP2016/071181 WO2017126140A1 (ja) 2016-01-21 2016-07-19 商品収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329A KR20180122329A (ko) 2018-11-12
KR102207145B1 true KR102207145B1 (ko) 2021-01-25

Family

ID=5936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954A KR102207145B1 (ko) 2016-01-21 2016-07-19 상품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24110B2 (ko)
JP (1) JP6712468B2 (ko)
KR (1) KR102207145B1 (ko)
PH (1) PH12018501775A1 (ko)
WO (1) WO2017126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0480A4 (en) 2017-07-03 2021-03-24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AND SHAPED BODIES
WO2019066024A1 (ja) * 2017-09-29 2019-04-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払出装置
CN113728208B (zh) * 2019-04-05 2023-10-27 百事可乐公司 用于饮料容器的冷藏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134A (ja) * 1998-12-15 2000-06-3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冷却・加熱制御装置
JP2014215870A (ja) * 2013-04-26 2014-11-17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用の照明装置、及び、自動販売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8998B2 (ko) * 1973-10-30 1981-09-10
JPH02148386A (ja) * 1988-11-30 1990-06-07 Toshiba Corp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H04275699A (ja) * 1991-03-01 1992-10-01 Sharp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放出装置
JPH0573767A (ja) 1991-09-12 1993-03-26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販売制御装置
JP3689141B2 (ja) * 1995-03-24 2005-08-31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における補充商品案内表示装置
JP3605890B2 (ja) * 1995-06-23 2004-12-22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温度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11224370A (ja) * 1998-02-04 1999-08-17 Nippon Conlux Co Ltd 自動販売機
US6389822B1 (en) * 1998-10-28 2002-05-21 Bayview Technology Group, Incorporated Refrigerated vending machine exploiting expanded temperature variance during power-conservation mode
JP2003109074A (ja) * 2001-09-28 2003-04-11 Kubota Corp 自動販売機
US20080142537A1 (en) * 2006-12-14 2008-06-19 The Coca-Cola Company First in First Out Vending Systems
US8708193B1 (en) * 2011-11-16 2014-04-29 Andrew Davis Vending machine
JP5915365B2 (ja) * 2012-05-09 2016-05-11 富士電機株式会社 冷媒回路装置
FR2994284B1 (fr) * 2012-08-06 2015-07-17 Johnson Contr Automotive Elect Dispositif d'affich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6478544B2 (ja) * 2014-09-29 2019-03-06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自動販売機
US9842454B2 (en) * 2016-03-31 2017-1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alytics based climate control in vending machi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134A (ja) * 1998-12-15 2000-06-3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冷却・加熱制御装置
JP2014215870A (ja) * 2013-04-26 2014-11-17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用の照明装置、及び、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329A (ko) 2018-11-12
US11024110B2 (en) 2021-06-01
WO2017126140A1 (ja) 2017-07-27
JP6712468B2 (ja) 2020-06-24
US20210049855A1 (en) 2021-02-18
JP2017130119A (ja) 2017-07-27
PH12018501775A1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2029B2 (en) Low 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207145B1 (ko) 상품 수납 장치
EP3811011B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n illuminated adjustable divider for a storage bin
KR20100023288A (ko) 냉장고
KR101067032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래크
JP2008310704A (ja) 自動販売機
KR20100083723A (ko) 자동 판매기
KR20120031301A (ko) 자동판매기
JP3146799B2 (ja) 自動販売機
JP5163394B2 (ja) 自動販売機
KR101115809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JP5440102B2 (ja) 自動販売機
JP4867934B2 (ja) 自動販売機
JP3718918B2 (ja) 自動販売機
JP2007293792A (ja) 自動販売機
JP5283304B2 (ja) 自動販売機
JP5062104B2 (ja) 自動販売機
JP5375530B2 (ja) 自動販売機
JP4077623B2 (ja) 商品収納庫の仕切構造
JP5919749B2 (ja) 自動販売機
JP5434487B2 (ja) 自動販売機
JP5434488B2 (ja) 自動販売機
JP2011186959A (ja) 自動販売機
JP2010218534A (ja) 自動販売機
JP2007257073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