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722B1 -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722B1
KR101132722B1 KR1020050115673A KR20050115673A KR101132722B1 KR 101132722 B1 KR101132722 B1 KR 101132722B1 KR 1020050115673 A KR1020050115673 A KR 1020050115673A KR 20050115673 A KR20050115673 A KR 20050115673A KR 101132722 B1 KR101132722 B1 KR 101132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film
hard mask
gate electrode
photoresis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692A (ko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72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123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01L27/14612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involving a transistor
    • H01L27/14614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involving a transistor having a special gat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9MOS based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MOS 이미지 센서의 게이트 전극 형성시 기판의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도전막, 하드 마스크 및 반사방지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방지막,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게이트 도전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차례로 식각하여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리버스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게이트 구조물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기판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일정 두께 제거하는 단계와, 습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반사방지막을 제거하는 동시에 상기 하드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CMOS, 이미지 센서, 게이트 전극, 반사방지막, 습식식각.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GATE ELECTRODE IN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기판
11, 21, 31 : 게이트 산화막
12, 22, 32 : 폴리 실리콘막
13, 23, 33 : 하드 마스크
14, 24 : SiON막
15, 25, 35 : 포토레지스트(또는, 포토레지스트 패턴)
16 : 건식식각공정
26, 36 : 습식식각공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CMOS 이미지 센서의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는 광학 영상(optical image)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이며, 이미지 센서는 크게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 이하, CCD라 함)와 CMOS(Complementary MOS)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진다.
CCD는 개개의 MOS(Metal-Oxide-Silicon) 캐패시터가 서로 매우 근접한 위치에 있으면서 전하 캐리어가 캐패시터에 저장되고 이송되는 소자이다.
반면, CMOS 이미지 센서는 반도체의 CMOS 공정을 적용하여 하나의 단위 화소에 하나의 포토 다이오드와 단위 화소 구동을 위한 3개 또는 4개 등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CMOS 이미지 센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는 일반적인 메모리 소자의 트랜지스터와 동일하게 게이트 전극과 소오스/드레인으로 이루어진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모스(CMOS) 이미지 센서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 상에 게이트 산화막(11)을 형성한 후, 게이트 산화막(11) 상에 폴리 실리콘막(12)을 증착한다. 그런 다음, 폴리 실리콘막(12) 상에 산화막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진 하드 마스크(13)를 증착한다. 예컨대, LP-TEOS(Low Pressure-Tetra Ethyle Ortho Silicate)로 이루어진 하드 마스크(13)를 증착한다.
이어서, 하드 마스크(13) 상에 반사방지막(ARC; Anti Reflective Coating)으로 SiON막(14)을 증착한다.
이어서, SiON막(14) 상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도포한 후, 노멀(normal)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소정의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이어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SiON막(14), 하드 마스크(13), 폴리 실리콘막(12) 및 게이트 산화막(11)을 차례로 식각한다. 이로써, 기판(10) 상에는 게이트 산화막(11), 폴리 실리콘막(12), 하드 마스크(13) 및 SiON막(14)이 적층된 구조의 게이트 구조물이 형성된다.
이어서, 게이트 구조물을 덮도록 기판(10) 상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15)를 도포한다. 그런 다음, 리버스(reverse)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15)을 형성한다. 이때, 포토레지스트 패턴(15)은 특정 사이즈 이상의 넓은 패턴의 상부는 오픈시키는 구조로 형성한다. 따라서, 도면상 좌측의 좁은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 전체에는 포토레지스트(15)로 덮혀 있고, 우측의 넓은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에는 포토레지스트(15)가 일 부분만을 덮고 있다.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15)을 일정 두께 제거하고, 포토레지스트 패턴(15)의 제거로 인해 노출된 SiON막(14)을 제거하기 위한 건식식각공정(16)을 실시하여 SiON막(14)을 식각한다.
여기서, 보통 SiON막(14)을 식각할 때에는 불소(F) 가스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건식식각공정(16)시에는 과도 식각(over-etch)이 발생되어 기판(10) 표면을 덮고 있던 포토레지스트 패턴(15)이 제거되면서 기판(10)에 데미지(damage, 'A' 부위 참조)를 입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BOE(Buffered Oxide Etchant)를 이용한 습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산화막 계열의 하드 마스크(13, 도 1b 참조)를 제거한다. 이로써, 기판(10) 상에는 CMOS 이미지 센서의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게이트 전극(17)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드 마스크(13)를 제거하는 이유는, 폴리 실리콘막(12) 상부에 실리사이드(silicide)를 형성하여 게이트의 컨택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CMOS 이미지 센서의 게이트 전극 형성시 기판의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도전막, 하드 마스크 및 반사방지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방지막,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게이트 도전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차례로 식각하여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리버스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게이트 구조물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기판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일정 두께 제거하는 단계와, 습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반사방지막을 제거하는 동시에 상기 하드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도전막, 하드 마스크 및 반사방지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브레이크쓰루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반사방지막을 미리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게이트 도전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차례로 식각하여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리버스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게이트 구조물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기판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일정 두께 제거하는 단계와, 습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실시예1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기판(20) 상에 게이트 산화막(21)을 형성한다. 여기서, 산화공정은 수증기와 같은 산화기체 내에서 실리콘 기판(20)을 대략 90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습식산화방식으로 실시하거나, 순수한 산소를 산화기체로 사용하여 약 120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건식산화방식으로 실시한다.
이어서, 게이트 산화막(21) 상에 게이트 도전막으로 폴리 실리콘막(22)을 증착한다. 여기서, 폴리 실리콘막(22)은 도프트(doped) 또는 언도프트(undoped) 실리콘막으로 형성한다. 예컨대, 언도프트 실리콘막의 경우에는 SiH4를 이용하여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으로 증착한다. 한편, 도프트 실리콘막의 경우에는 SiH4에 PH3, PCl5, BCl3 또는 B2H6를 혼합시킨 기체를 이용하여 LPCVD 방식으로 증착한다.
이어서, 폴리 실리콘막(22) 상에 산화막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진 하드 마스크(23)를 증착한다. 예컨대, LP-TEOS(Low Pressure-Tetra Ethyle Ortho Silicate)로 이루어진 하드 마스크(23)를 증착한다.
이어서, 하드 마스크(23) 상에 반사방지막(ARC)으로 SiON막(24)을 증착한다.
이어서, SiON막(24) 상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도포한 후, 노멀(normal)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소정의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여기서,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게이트 전극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노멀 마스크는 게이트 전극이 형성될 영역을 덮도록 형성한다.
이어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SiON막(24), 하드 마스크(23), 폴리 실리콘막(22) 및 게이트 산화막(21)을 차례로 식각한다. 이로써, 기판(20) 상에는 게이트 산화막(21), 폴리 실리콘막(22), 하드 마스크(23) 및 SiON막(24)이 적층된 구조의 게이트 구조물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어서, 게이트 구조물을 덮도록 기판(20) 상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25)를 도포한다.
이어서, 리버스(reverse)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25)을 형성한다. 여기서, 리버스 마스크란 통상적으로 쓰이는 리 버스 마스크로 게이트 구조물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노멀 마스크과 반대 영역을 오픈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포토레지스트 패턴(25)은 특정 사이즈 이상의 넓은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의 상부는 일부 오픈시키는 구조로 형성한다.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25)은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 중 적어도 0.4㎛ 이상의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는 일부 오픈시키는 구조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포토레지스트 패턴(25)은 적어도 0.4㎛ 이상의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에서 게이트 구조물의 양측단으로부터 0.15㎛만큼 중첩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도면상 좌측의 좁은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 전체는 포토레지스트(25)로 덮혀 있고, 우측의 넓은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에는 포토레지스트(25)가 일부분만을 덮고 있다.
이와 같이, 넓은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의 일부를 미리 오픈시킴에 따라 후속 습식식각공정시 넓은 패턴 사이즈를 갖는 SiON막(24)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기판(20)이 노출되지 않도록 포토레지스트 패턴(25)을 일정 두께 제거한다.
이어서, BOE 용액을 이용한 습식식각공정(26)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25)의 제거로 인해 노출된 SiON막(24, 도 2a 참조)을 제거하면서 산화막 계열의 하드 마스크(23, 도 2a 참조)를 제거한다. 이로써, 기판(20) 상에는 CMOS 이미지 센서의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게이트 전극(27)이 형성된다.
이때, 습식식각공정(26)은 SiON막(24) 뿐만 아니라 하드 마스크(23)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공정시간을 증가시켜 진행한다. 특히, SiON막(24)은 그 두께가 200~300Å으로 얇아 BOE 용액을 이용해 식각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기존에 도 1b에서와 같이 건식식각공정을 통해 SiON막(14)을 제거할 때 기판(10)을 덮는 포토레지스트(15)가 과도 식각되어 기판(10)이 데미지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드 마스크(23)를 제거하는 이유는, 폴리 실리콘막(22) 상부에 실리사이드(silicide)를 형성하여 게이트 전극의 컨택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비메모리 소자 영역에서는 폴리 실리콘막(22)의 저항이 소자 특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실시예2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기판(30) 상에 게이트 산화막(31)을 형성한다. 여기서, 산화공정은 도 2a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어서, 게이트 산화막(31) 상에 게이트 도전막으로 폴리 실리콘막(32)을 증착한다. 여기서, 폴리 실리콘막(32)은 도 2a에서와 같이 도프트(doped) 또는 언도프트(undoped) 실리콘막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폴리 실리콘막(32) 상에 산화막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진 하드 마스 크(33)를 증착한다. 예컨대, LP-TEOS(Low Pressure-Tetra Ethyle Ortho Silicate)로 이루어진 하드 마스크(33)를 증착한다.
이어서, 하드 마스크(33) 상에 반사방지막(ARC)으로 SiON막(40)을 증착한다. SiON막(40)은 200~3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SiON막(40) 상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도포한 후, 노멀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소정의 포토레지스트 패턴(5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50)을 마스크로 SiON막(40)과 하드 마스크(33)를 차례로 식각하고 포토레지스트 패턴(50)을 제거한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쓰루(Break-Through) 공정을 실시하여 SiON막(40)을 미리 제거한다. 브레이크쓰루 공정이란 통상적으로 게이트 전극용 폴리 실리콘막(32) 상에 형성되는 자연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게이트 전극 형성을 위한 건식식각공정 전에 미리 실시하는 공정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브레이크쓰루 공정을 기존보다 과도하게 진행하여 자연산화막과 함께 SiON막(40)을 제거한다. 특히, 브레이크쓰루 공정은 불소(Fluorine)를 이용한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한다. 또한, 브레이크쓰루 공정시에는 식각 시간을 조절하여 하드 마스크(33)의 CD(Critical Dimension)를 미리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브레이크쓰루 공정을 통해 SiON막(40)을 미리 제거함으로써, 기존에 도 1b에서와 같이 건식식각공정을 통해 SiON막(40)을 제거할 때 기판(10)을 덮는 포토레지스트(15)가 과도 식각되어 기판(10)이 데미지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하드 마스크(33)를 이용하여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폴리 실리콘막(32) 및 게이트 산화막(31)을 차례로 식각한다. 이로써, 기판(30) 상에는 게이트 산화막(31), 폴리 실리콘막(32) 및 하드 마스크(33)가 적층된 구조의 게이트 구조물이 복수 개 형성된다.
이어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구조물을 덮도록 기판(30) 상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35)를 도포한다.
삭제
삭제
이어서, 도 2a에서와 같은 리버스(reverse)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35)을 형성한다.
이때, 포토레지스트 패턴(35)은 특정 사이즈 이상의 넓은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의 상부는 일부 오픈시키는 구조로 형성한다.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35)은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 중 적어도 0.4㎛ 이상의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는 일부 오픈시키는 구조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포토레지스트 패턴(35)은 적어도 0.4㎛ 이상의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에서 게이트 구조물의 양측단으로부터 0.15㎛만큼 중첩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도면상 좌측의 좁은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 전체는 포토레지스트(35)로 덮혀 있고, 우측의 넓은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에는 포토레지스트(35)가 일부분만을 덮고 있다.
이어서,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기판(30)이 노출되지 않도록 포토레지스트 패턴(35)을 일정 두께 제거한다. 그런 다음, BOE 용액을 이용한 습식식각공정(36)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35)의 제거로 인해 노출된 산화막 계열의 하드 마스크(33, 도 3b 참조)를 제거한다. 이로써, 기판(30) 상에는 CMOS 이미지 센서의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게이트 전극(37)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드 마스크(33)를 제거하는 이유는, 폴리 실리콘막(32) 상부에 실리사이드(silicide)를 형성하여 게이트 전극의 컨택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비메모리 소자 영역에서는 폴리 실리콘막(32)의 저항이 소자 특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습식식각공정을 통해 게이트 전극 상부의 하드 마스크 및 SiON막을 동시에 제거함으로써, SiON막을 식각하기 위한 건식식각공정을 생략하여 기존에 건식식각공정을 통해 SiON막을 제거할 때 기판을 덮는 포토레지스트가 과도 식각되어 기판이 데미지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쓰루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전극 형성을 위한 식각 전에 SiON막을 미리 제거함으로써, 기판의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쓰루 공정의 식각 시간을 조절하여 하드 마스크의 CD(Critical Dimension)를 미리 조절함으로써 하드 마스크 식각에서 발생하는 고립 패턴(Isolated Pattern)과 덴스 패턴(Dense Pattern) 간의 CD 차이를 보상할 수 있 다.

Claims (15)

  1.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도전막, 하드 마스크 및 반사방지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막,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게이트 도전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차례로 식각하여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리버스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게이트 구조물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기판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일정 두께 제거하는 단계; 및
    습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반사방지막을 제거하는 동시에 상기 하드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 중 적어도 0.4㎛ 이상의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는 일부 오픈시키는 구조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 중 적어도 0.4㎛ 이상의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에서 상기 게이트 구조물의 양측단으로부터 0.15㎛만큼 중첩되도록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SiON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200~3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는 산화막 계열의 물질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식각공정은 BOE 용액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8.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도전막, 하드 마스크 및 반사방지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반사방지막을 상기 하드 마스크와 함께 식각하여 패턴을 형성한 후에, 브레이크쓰루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반사방지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게이트 도전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차례로 식각하여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리버스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게이트 구조물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기판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일정 두께 제거하는 단계; 및
    습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 중 적어도 0.4㎛ 이상의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는 일부 오픈시키는 구조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조물 중 적어도 0.4㎛ 이상의 패턴 사이즈를 갖는 게이트 구조물 상부에서 상기 게이트 구조물의 양측단으로부터 0.15㎛만큼 중첩되도록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SiON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200~3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쓰루 공정은 불소 가스를 이용한 건식식각공정을 실시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는 산화막 계열의 물질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식각공정은 BOE 용액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20050115673A 2005-11-30 2005-11-30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1132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673A KR101132722B1 (ko) 2005-11-30 2005-11-30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673A KR101132722B1 (ko) 2005-11-30 2005-11-30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692A KR20070056692A (ko) 2007-06-04
KR101132722B1 true KR101132722B1 (ko) 2012-04-06

Family

ID=3835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673A KR101132722B1 (ko) 2005-11-30 2005-11-30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7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20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JP2003151914A (ja) * 2001-11-09 2003-05-2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02282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20050072316A (ko) * 2004-01-06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패턴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20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JP2003151914A (ja) * 2001-11-09 2003-05-2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02282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20050072316A (ko) * 2004-01-06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패턴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692A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404B1 (ko)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CN100499147C (zh) 图像感测元件及其制作方法
KR10026889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5226863B2 (ja) 2重ハードマスク層を使用したcmos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
KR20090096875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374690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586138B2 (en) Image sens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4391354B2 (ja) 側壁方式を用いたフラッシュメモリの形成方法
KR101132722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694480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US20070148863A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JP4778201B2 (ja) Cmos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
KR100344825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36575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7953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73260B1 (ko) 반도체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00255005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US20030087529A1 (en) Hard mask removal process
KR20100078045A (ko) 시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 방법
KR100663355B1 (ko) 금속막 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를제조하는 방법
KR10051622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70115353A (ko) 반도체 장치의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 휘발성메모리의 셀 패턴 형성 방법
KR2003005660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90070411A (ko) Cmos 이미지 센서의 콘택 플러그 및 그 형성 방법
KR19990057853A (ko) 반도체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