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454B1 - 날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날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454B1
KR101125454B1 KR1020097020989A KR20097020989A KR101125454B1 KR 101125454 B1 KR101125454 B1 KR 101125454B1 KR 1020097020989 A KR1020097020989 A KR 1020097020989A KR 20097020989 A KR20097020989 A KR 20097020989A KR 101125454 B1 KR101125454 B1 KR 101125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rotor
wing
upper case
iron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163A (ko
Inventor
코이치 마스자와
켄이치 쿠도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1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C-shaped cores
    • H02K1/143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C-shaped cores of the horse-sho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11, 21)를 각각 가지는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와, 개구부(11, 21)를 개폐하는 날개(30)와, 날개(30)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구동원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자(40)와, 여자용의 코일(70L, 70R)이 권회되어 있고 회전자(40)에 회전력을 주는 철편(50, 60L, 60R)을 포함하고, 철편(50, 60L, 60R)에는 상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 핀(15L, 15R)과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55L, 55R, 65L, 65R)이 형성되어 있다.
날개 구동, 개구부, 케이스, 개폐, 구동원, 회전자, 코일, 철편, 고정 핀

Description

날개 구동 장치{BLADE DRIVE DEVICE}
본 발명은 날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용의 날개 구동 장치로서는, 개구가 형성된 기판과, 개구를 개폐하는 날개와, 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인 액츄에이터(actuator) 등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자와, 여자용의 코일이 권회되어 있고 회전자(rotor)에 회전력을 주는 고정자(stato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는, 기판 상에 형성된 위치 결정 핀(pin)과 고정자의 외주부가 맞닿음으로써, 기판에 대해서 위치 결정 및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이러한 날개 구동 장치는 휴대전화 등에 탑재되는 경우도 많아 더욱 소형화가 요청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기판의 크기를 가능한 한 소형화함으로써, 날개 구동 장치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에서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는, 기판에 형성된 위치 결정 핀과 고정자의 외주부가 맞닿음으로써 기판에 위치 결정 및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 핀을 마련한 분만큼 기판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소형화된 날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은, 개구부를 가지는 기판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날개와, 상기 날개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자와, 여자용의 코일이 권회되어 있고 상기 회전자에 회전력을 주는 고정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돌기부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고정자의 외주부와 맞닿는 위치 결정 핀을 폐지할 수 있어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에서의 기판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돌기부를 열코킹(thermal caulking) 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돌기부를 열코킹 함으로써, 고정자를 보다 확실하게 기판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돌기부를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압입(壓入)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돌기부를 끼워맞춤 구멍에 압입함으로써, 고정자를 보다 확실하게 기판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복수의 철편(鐵片)이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철편의 각각에는, 상기 돌기부와 공통으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고정자가, 복수의 철편으로부터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돌기부가, 복수의 철편의 각각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과 공통으로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에서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고정자와 광축 방향으로 겹쳐져 상기 개구부로부터 퇴피(退避)한 퇴피 위치에 자리매김이 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평면 방향에서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퇴피 위치에 자리매김이 된 상기 날개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코일이 권회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평면 방향에서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소형화된 날개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 나타낸 철편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충전부(充塡部)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스냅 피팅(snap fitting) 구조를 채용하였을 경우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플렉서블(flexible) 프린트(print) 기판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실시예 2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있어서의 D-D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복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배면도이다.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는,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 날개(30), 회전자(40), 철편(50, 60L, 60R), 코일(70L, 70R),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80) 등으로 구성된다.
상(upper) 케이스(10) 및 하(lower) 케이스(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날개(30), 회전자(40), 철편(50, 60L, 60R),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80)의 일부 분 등을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상 케이스(10) 및 하 케이스(20)는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기판인 상 케이스(10)는 하 케이스(20)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는, 상 케이스(10)가 피사체측에, 하 케이스(20)가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측으로 향하도록 촬상 장치나 렌즈 구동 장치 등에 장착된다.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에는 각각 촬영용의 개구부(11, 2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1) 주변부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경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 상 케이스(10)는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날개(30)는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개구부(11, 21)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날개(30)는 회전자(40)와 일체로 요동한다. 도 1에 있어서 날개(30)는 개구부(11, 21)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개구부(11, 21)를 전체 개방 상태로 하고 있다.
회전자(40)는 둘레 방향에 다른 극성으로 착자되어 있고, 케이스를 형성하는 상 케이스(10) 및 하 케이스(2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자(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에는 스토퍼(stopper) 부재(41)가 압입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자(40)가 회전함으로써, 스토퍼 부재(41)도 일체로 회전한다.
스토퍼 부재(41)는 합성수지에 의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 부재(41)의 내주에는, 상 케이스(10)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돌출한 회전자 고정축(13)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자(40)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41)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스토퍼 부재(41) 의 저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뻗은 핀부(pin portion)(411)가 형성되어 있다. 핀부(411)는 회전자(40)의 외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날개(30)는 스토퍼 부재(41)의 저면 부분과 걸어맞춰져 있고, 스토퍼 부재(41)의 회전에 의해 날개(30)는 회전자 고정축(1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따라서, 회전자(40)가 회전함으로써, 날개(30)는 개구부(11, 21)를 개폐하도록 요동한다. 또,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상 케이스(10)에는 핀부(411)와 맞닿는 위치에 규제 핀(restricting pin)(14L, 14R)이 형성되어 있고, 규제 핀(14L, 14R)이 핀부(411)와 맞닿음으로써, 회전자(40)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이에 의해 날개(30)의 요동 범위도 규제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듯이, 하 케이스(20)에는 핀부(411)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해제공(releasing hole)(2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자 고정축(13)은 하 케이스(20)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과 걸어맞춰진다.
철편(50, 60L, 60R)은, 도 1에 나타내듯이, 상 케이스(10) 및 하 케이스(20)의 내주측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개구부(11, 21)의 주위를 회전자(40) 이외의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듯이 배치되어 있다. 철편(50, 60L, 60R)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철편(50)은, 도 1에 나타내듯이, 대략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철편(60L, 60R)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각각 철편(5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철편(60L, 60R)은 각각 회전자(40)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자극부(62L, 62R)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철편(60L, 60R)은 철편(50)의 서로 대향하는 2변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철편(60L)과 철편(60R)의 단부가 대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도 2에 있어서, 철편(60L)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철편(50)에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코일(70L, 70R)이 각각 좌우의 암부(arm portion)에 권회되어 있다. 코일(70L, 70R)은 철편(50, 60L, 60R)을 여자하기 위한 것이다. 코일(70L, 70R)에의 통전에 의해 자극부(62L, 62R)는 각각 다른 극성으로 여자되어 회전자(40)에 대해서 자기적 흡인력, 또는 반발력이 작용하고, 회전자(40)에 회전력이 주어진다. 즉, 철편(50, 60L, 60R)은, 이들이 일체로, 회전자(40)에 회전력을 주는 고정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회전자(40), 철편(50, 60L, 60R), 코일(70L, 70R)은 날개(30)를 구동하는 구동원인 액츄에이터로서 기능한다.
또, 철편(50, 60L, 60R)은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거기에 대응하여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도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30)는 철편(50, 60L, 60R)에 의해 포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철편(50, 60L, 60R)은 광축 방향으로 편평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철편(50)에는 코일(70L, 70R)이 권회되어 있지만, 철편(60L, 60R)에는 코일은 권회되어 있지 않다. 또, 철편(60L)과 철편(60R)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 내에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이하, 「FPC」라고 칭한다)(80)이 삽입되어 있다. FPC(80)는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고 있다. FPC(80)의 하 케이스(20)와 대향하는 면에는 코일(70L, 70R)을 통전하기 위한 땜납 랜드부((land portion)(81L, 81R, 82L, 82R)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70L)의 양단부는 각각 땜납 랜드부(81L, 82L)와 접속하고, 코일(70R)의 양단부도 마찬가지로 각각 땜납 랜드부(81R, 82R)와 접속한다. 땜납 랜드부(81L, 81R, 82L, 82R)는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 케이스(10) 및 하 케이스(20) 내에 수납되어 있음과 아울러, 철편(50, 60L, 60R)에 포위되어 있다. FPC(80)에는 멈춤 구멍(87)이 형성되어 있고,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상 케이스(10)에 형성된 지지 핀(17)이 멈춤 구멍(attachment hole)(87)을 관통하고 있다. 또, 지지 핀(17)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걸어맞춤 구멍(27)과 걸어맞춰져 있다. 이에 의해 지지 핀(17)은 걸어맞춤 구멍(27)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짐과 아울러, FPC(8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듯이, FPC(80)는 상 케이스(10)에 형성된 삽입 구멍(18)으로부터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 내에 삽입되고, 철편(50)의 앞에서 만곡부(88)를 통해 상 케이스(10)의 내면을 따르도록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철편(50, 60L, 60R)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 나타낸 철편(50)과 철편(60R)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철편(60R)과 철편(50)의 연결 부분에서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된 얇은 부분(51R)과 얇은 부분(61R)이 맞닿아 있다. 또, 얇은 부분(51R, 61R)에는 각각 끼워맞춤 구멍(55R, 65R)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55R, 65R)은 상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 핀(15R)과 공통으로 끼워맞춰져 있다. 또, 고정 핀(15R)의 선단부는 열코킹(thermal caulking)에 의해 철편(50)의 하단면과 압착되고, 이 결과, 얇은 부분(51R)과 얇은 부분(61R)이 압접(壓接)되어 있다. 이 구성은 끼워맞춤 구멍(55L, 65L), 고정 핀(15L)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도 5에 나타내듯이, 상 케이스(10)에는 고정 핀(15R)의 근처에 걸어맞춤 핀(16R)이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 핀(16R)은 얇은 부분(51R, 61R)에 각각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56R, 66R)와 걸어맞춰진다. 걸어맞춤 오목부(56R, 66R)는 끼워맞춤 구멍(55R, 65R)과 달리 각각 철편(50, 60R)의 외주면에 광축 방향을 따라 절결(切缺)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걸어맞춤 핀(16L), 걸어맞춤 오목부(56L, 66L)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도 4에 나타내듯이,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의 대각선 상의 모서리부의 2개소에 접착제 A가 충전된 충전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충전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충전부는 상 케이스(10)로부터 하 케이스(20)를 향해 일어선 돌기 모양의 제방부(19)와, 하 케이스(20)의 외주부로부터 상 케이스(10)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29)와, 상 케이스(10)의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내주측면에 의해 획정된다. 상 케이스(10)와 하 케이스(20)는 충전부에 충전된 접착제 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 케이스(10)의 내측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회전자(40), 스토퍼 부재(41), 날개(30)를 일체화한 것을 회전자 고정축(13)에 끼워 넣는다. 다음에, 고정 핀(15R), 걸어맞춤 핀(16R)과 각각 끼워맞춤 구멍(65R), 걸어맞춤 오목부(66R)가 걸어맞춰지도록 철편(60R)을 상 케이스(10)의 내측에 배치하고, 철편(60L)도 이와 마찬가지로 배치한다. 또, 철편(60R)은 고정 핀(15R), 걸어맞춤 핀(16R)이, 각각 끼워맞춤 구멍(65R), 걸어맞춤 오목부(66R)와 동시에 걸어맞춰지도록 장착한다. 걸어맞춤 핀(16R)은 철편(60R)이 고정 핀(15R)을 중심으로 회전하 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철편(60R)은 상 케이스(10)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철편(60R)이 고정 핀(15R), 걸어맞춤 핀(16R)과 각각 끼워맞춤 구멍(65R), 걸어맞춤 오목부(66R)와 압접하도록 장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철편(60R)은 회전자(40)에 대해서 소망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 케이스(10)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철편(60L)의 끼워맞춤 구멍(65L), 걸어맞춤 오목부(66L)와 고정 핀(15L), 걸어맞춤 핀(16L)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FPC(80)를 땜납 랜드부(81) 등이 상 케이스(10)의 내측을 향하도록 지지 핀(17)에 멈춤 구멍(87)을 끼워맞춰서 상 케이스(10)의 내측에 장착한다. 다음에, 코일(70L, 70R)이 권회된 철편(50)을, 고정 핀(15L, 15R)이 각각 끼워맞춤 구멍(55L, 55R)과 끼워맞춰지고, 걸어맞춤 핀(16L, 16R)이 각각 걸어맞춤 오목부(56L, 56R)와 걸어맞춰지도록 상 케이스(10)의 내주에 장착한다. 이때에 철편(50)의 얇은 부분(51R)은 얇은 부분(61R)과, 얇은 부분(51L)은 얇은 부분(61R)과 겹치도록 상 케이스(10)에 장착된다. 다음에, 고정 핀(15L, 15R)의 선단부를 열코킹에 의해 용해시켜 고정 핀(15L, 15R)의 선단부와 철편(50)의 외주면을 용착한다. 또, 보다 확실하게 상 케이스(10)에 고정하기 위해서 걸어맞춤 핀(16L, 16R)의 선단을 열코킹에 의해 용해시켜 철편(50)의 외주면을 용착해도 좋다. 다음에, 하 케이스(20)를, 지지 핀(17)과 걸어맞춤 구멍(27)이, 또 회전자 고정축(13)과 회전자 고정축(13)에 대응하는 걸어맞춤 구멍이 걸어맞춰지도록 상 케이스(10)에 조립한다. 그 후, 충전부에 접착제 A를 흘려 넣고 상 케이스(10)와 하 케이스(20)를 접착한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는 조립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에 관해서 광축 방향의 박형화를 유지하면서 핸들링성(handling property)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의 날개 구동 장치는, 개구부를 가진 기판에, 날개와, 날개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지만, 액츄에이터는 통상적으로 개구부로부터 퇴피한 기판 상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고정자도 이와 마찬가지로 기판 상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고정자를 배치했을 경우, 날개 구동 장치의 외주면은 기판이 노출로 되어 있는 부분이 있고, 이러한 기판은 일반적으로 박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 구동 장치의 조립시나, 날개 구동 장치의 조립 완성후에 촬상 장치나 렌즈 구동 장치에 이 날개 구동 장치를 조립할 때에는, 그 취급에 따라서는 기판이 휠 우려가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것처럼, 고정자로서 기능하는 철편(50, 60L, 60R)은, 이들이 일체가 되어,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의 내주측면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날개 구동 장치의 외주측면을 강하게 가진 경우라도,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가 휠 걱정은 적다. 따라서, 날개 구동 장치의 조립시나, 휴대전화 등에의 날개 구동 장치의 설치시의 핸들링성이 향상된다.
또, 이와 같이, 철편(50, 60L, 60R)은, 이들이 일체가 되어,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의 내주측면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날개(30)의 작동을 보상할 수 있어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특히, 측방으로부터 충격에 대해서 향상된다.
또,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의 광축 방향에서의 두께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코일(70L, 70R)의 두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자를 여자하기 위한 코일은 날개 구동 장치의 구성 부재 중에서 가장 두께가 큰 부분으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코일(70L, 70R)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의 두께를 설정함으로써, 광축 방향의 박형화를 유지하면서 핸들링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FPC(80) 상에 형성된 땜납 랜드부(81R, 81L, 82R, 82L)는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 내에 수납되어 있음과 아울러, 철편(50, 60L, 60R)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날개 구동 장치의 조립시 등에 날개 구동 장치가 휘고, 내부의 코일의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시 등의 핸들링성이 향상된다. 또, FPC(80)는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의 측면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 구동 장치의 광축 방향에서의 박형화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종래의 날개 구동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회전자에 고정되고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광축 방향의 하방향으로 절곡된 구동 핀이, 날개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날개는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와 같이 구동 핀이 광축 방향의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날개 구동 장치의 광축 방향으로 두께가 증대되는 요인의 하나로 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에 있어서는, 날개(30)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자(4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광축 방향의 박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회전자 로부터 날개에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 핀을 폐지할 수가 있으므로 부품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또, 날개(30)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스토퍼 부재(41)에도 직접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날개(30)와 스토퍼 부재(41)는 별체로 성형되어 있지만, 일체로 성형해도 좋다. 이에 의해 더욱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자(40)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으로서 기능하는 회전자 고정축(13)은 상 케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자축이어도 좋다. 이 경우, 회전자 축에 날개(30)를 직접 고정 또는 회전자축과 일체로 날개(30)를 형성해도 좋다.
또,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에는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 A를 충전하는 충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는 접착제 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종래의 날개 구동 장치에 있어서는,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의 어느 일방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와, 이 돌기부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이 타방에 형성되고, 이 끼워맞춤 구멍과 끼워맞춰진 돌기부의 선단을 열코킹에 의해 용착함으로써 양자를 고정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열코킹에 의해 고정하면, 약간 돌기부의 선단부가 녹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광축 방향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요인의 하나로 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와 같이 접착제에 의해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를 고정함으로써 광축 방향의 박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그 외의 구성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스냅 피팅(snap fitting) 결합에 의해 양자를 고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도 7은 스냅 피팅 구조를 채용하였을 경우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가 조립되어 있을 때의 광축 방향의 두께를 넘지 않는 위치에, 걸어맞춤편(19s), 이것에 대응하는 걸어맞춤 구멍(29s)을 형성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접착제를 충전하는 공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광축 방향의 박형화를 유지하면서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 방향에서의 소형화도 유지할 수 있다.
또, 고정자로서 기능하는 철편(50, 60L, 60R)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광축 방향으로 편평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축 방향의 박형화가 유지된다. 특히,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철편(50)과 철편(60L, 60R)이 연결되는 연결부에 있어서는, 철편(50)은, 얇은 부분(51L, 51R)과, 각각 얇은 부분(61L, 61R)이 광축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철편(60L, 60R)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광축 방향의 두께의 박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는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철편(50, 60L, 60R)은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쪽이 땜납 랜드부(81R, 81L, 82R, 82L) 등을 배치하는 면적이 넓게 잡히기 때문에, 부품 배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조립 완성후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상 케이스(10)에 대해서 구동원을 위치 결정 및 고정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고정자로서 기능하는 철편(50, 60L, 60R)은 상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 핀(15R, 15L), 걸어맞춤 핀(16R, 16L)과 끼워맞춰짐으로써, 위치 결정 및 고정이 되고 있다. 종래는, 고정자의 외주부와 기판에 설치된 위치 결정 핀이 압접함으로써, 고정자의 위치 결정 및 고정을 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고정자의 외주부와 압접하는 위치 결정 핀을 기판 등에 설치함으로써,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에서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가 없다.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에서는, 고정 핀(15R) 등과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55R)등이, 철편(50, 60R)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자의 외주부와 맞닿는 위치 결정 핀을 폐지할 수 있어 평면 방향에서의 상 케이스(10), 하 케이스(20)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날개 구동 장치의 평면 방향에서의 소형화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고정 핀(15R)의 선단부는 열코킹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철편(50, 60R)을 확실하게 상 케이스(10)에 고정할 수가 있다. 또, 고정 핀(15R)은 철편(50, 60R)에 각각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55R, 65R)과 공통으로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날개 구동 장치와 같이, 고정자가, 복수의 철편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부품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평면 방향에서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에 관해서 소형화를 유지하면서 셔터 스피드(shutter speed)를 향상시키기 위해 강구된 구조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것처럼, 철편(50, 60L, 60R)은, 이들이 연결되고, 개구부(11, 21)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듯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정자로서 기능하는 철편(50, 60L, 60R)의 전체 길이를 벌 수가 있어 이것에 권회되는 코일(70L, 70R)의 권수(卷數)를 늘릴 수가 있다. 이에 의해 회전자(40)의 출력이 증가하여 셔터 스피드가 향상된다. 또, 철편(50, 60L, 60R)은 개구부(11, 21)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듯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에서의, 철편(50, 60L, 60R)전체에서의 크기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철편(50, 60L, 60R)은 전체로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직선 모양의 부위를 가능한 한 길게 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 코일(70L, 70R)의 권회(卷回)가 용이한 직선 모양의 부위에 코일(70L, 70R)을 많이 권회할 수가 있다. 또, 코일(70L, 70R)은 철편(50)의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각에 권회되어 있으므로, 코일의 권수를 증대시킬 수가 있다. 또, 회전자(40)는 직사각형의 한 변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있고, 이러한 위치에 회전자(40)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코일(70L, 70R)은 각각 철편(50)의 서로 대향하는 2변에 권회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종래와 같이 고정자를 일체로 형성하고, 한편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와 같이 개구부(11, 21)의 주위를 둘러싸는 것 같은 복잡한 형상을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고정자에의 코일의 권회 작업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 렇지만,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에 채용되는 고정자는, 전술한 것처럼, 철편(50, 60L, 60R)이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철편(50, 60L, 60R)을 연결하기 전에 철편(50)에 코일(70L, 70R)을 권회하고, 그 후에 연결함으로써, 코일(70L, 70R)의 권회 작업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실시예 2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와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실시예 2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실시예 2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회전자(40a)는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상 케이스(10a), 하 케이스(20a)의 모서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고정자로서 기능하는 철편(50La, 50Ra)은 각각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편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철편(50La, 50Ra)은 개구부(11a, 21a)의 주위를 둘러싸고, 한편 상 케이스(10a), 하 케이스(20a)의 내주측면을 따르도록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철편(50La, 50Ra)의 각각의 일단부에 회전자(40a)와 대향하는 자극부(52La, 52R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철편(50La, 50Ra)은 각각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철편(50La, 50Ra)에는 상 케이스(10a)에 형성된 고정 핀(15La, 15Ra)과 각각 걸어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55La, 55R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핀(15La, 15Ra)은 스토퍼 부재(41a)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철편(50La, 50Ra)에는 코일 보빈(coil bobbin)(90a)이 조립되어 있다. 코일 보빈(90a)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각각 코일(70La, 70Ra)이 권회된 2개의 암부(arm portion)와, 일방의 암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flange portion)(91La, 92La)와, 타방의 암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91Ra, 92Ra)로 구성된다. 도 9에 나타내듯이, 플랜지부(91La, 91Ra)에는 각각 코일(70La)의 단부, 코일(70Ra)의 단부를 휘감기(wiring) 위한 단자부(94La, 94R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70La, 70Ra)은 하나의 선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이 선은, 도 8에 점선으로 나타내듯이, FPC(80A)에 형성된 땜납 랜드부(81a, 82a)와 접속되어 있다. 또, 코일 보빈(90a)에는 플랜지부(92La)와 플랜지부(92Ra)를 연결하는 얇은 부분(93a)이 형성되어 있다. 얇은 부분(93a)은 플랜지부(92La) 등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고,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코일 보빈(90a)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플랜지부(92La)와 플랜지부(92Ra)가 직각을 이루도록 얇은 부분(93a)에서 절곡되어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듯이, FPC(80A)는, 개구부(11a, 21a)를 통과하는 광로를 확보하기 위한 해제공(86a)이 형성되어 있고, 또 회전자(40a)의 회전에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해제공(84a)이 형성되고, 고정 핀(15La, 15Ra)에 관통되는 관통공(85La, 85R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도 8에 있어서의 D-D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FPC(80A)는 상 케이스(10a)에 형성된 삽입 구멍(18a)으로부터 상 케이스(10a), 하 케이스(20a) 내에 삽입되어 있고, 철편(50La)의 앞에서 만곡부(88a)를 통해 하 케이스(20a)의 내면을 따르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땜납 랜드부(81a, 82a)는 상 케이스(10a), 하 케이스(20a) 내로서 철편(50La, 50Ra)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내듯이, 고정 핀(15La)은 철편(50La)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55La)과 끼워맞춰지고, 고정 핀(15La)의 선단부는 열코킹에 의해 상 케이스(10a)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도, 고정자의 외주부와 맞닿는 위치 결정 핀을 폐지할 수 있어 평면 방향에서의 상 케이스(10a), 하 케이스(20a)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날개 구동 장치의 평면 방향에서의 소형화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끼워맞춤 구멍(55La)은 고정 핀(15La)에 압접하여 장착해도 좋다. 이 경우, 철편(50La)은 회전자(40a)에 대해서 소망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 케이스(10a)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듯이, 날개(30a)는 스토퍼 부재(41a)에 고정되어 있고, 스토퍼 부재(41a)는 회전자(40a)와 일체로 회전한다. 즉, 날개(30a)는 스토퍼 부재(41a)를 통해 회전자(40a)에 장착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듯이, 철편(50La)과 철편(50Ra)의 연결 부분에는 각각 얇은 부분(51La, 51R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 케이스(10a)에는 이 연결 부분을 지탱하는 대좌부(stage portion)(16a)가, 하 케이스(20a)에는 대좌부(26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16a)는 얇은 부분(51La)의 상면과 맞닿고, 대좌부(26a)는 얇은 부분(51Ra)의 하면과 맞닿는다. 또, 도 10에 있어서는, 코일 보빈(90a)이나 코일(70La)에 대해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날개(30a)는, 개구부(11a, 21a)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에 자리매김하여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날개(30a)는 이 퇴피한 위치에 있고, 날개(30a)의 일부와 철편(50Ra)의 일부와 광축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날개(30a)는, 광축 방향으로 철편(50Ra)보다 하 케이스(20a)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평면 방향에서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듯이, 코일(70Ra, 70La)의 양쪽 모두 퇴피 위치에 자리매김이 된 날개(30a)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권회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평면 방향에서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코일 보빈(90a)은, 전술한 것처럼, 얇은 부분(93a)에서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이, 고정자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었을 경우라도,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고정자의 대향하지 않는 2변에 코일을 권회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단일의 코일 보빈(90a)으로 코일의 권수를 증대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예 1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과 대응하는 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듯이, FPC(80A)에는 코일(70L, 70R)에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어 IC(100)가 실장되어 있다. 제어 IC(Integrated Circuit)(100)는 FPC(80A)의 하 케이스(20)에 대향하는 면에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어 IC(100)에 대해서도 철편(50, 60L, 60R)에 의해 포위되는 위치에 장착되기 때문에, 날개 구동 장치의 핸들링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 IC(100)를 상 케이 스(10), 하 케이스(20) 내에 수납함으로써, 날개 구동 장치와 제어 IC(100)를 유닛(unit)화 할 수 있고, 날개 구동 장치의 취급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날개 구동 장치가 장착되는 외부 기기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2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예 2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8과 대응하는 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듯이, FPC(80Aa)에는 회전자(40a)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IC(100a)가 실장되어 있다. 제어 IC(100a)에 대해서도 FPC(80Aa)의 하 케이스(20a)에 대향하는 면에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도 날개 구동 장치의 핸들링성 등이 향상된다. 또, 날개 구동 장치와 제어 IC(100a)를 유닛(unit)화 할 수 있고, 날개 구동 장치의 취급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날개 구동 장치가 장착되는 외부 기기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날개는, 전체 개방 및 전체 폐쇄한 상태를 형성하지만, 개구부의 개구량을 조정 가능한 조임 날개라도 좋다. 또, 날개를 복수매 설치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30)를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된 예를 나타냈지만, 일반적인 광반사 방지용 필름이나 차광 필름, 예를 들면 소마블랙(somablack) 필름(소마사제)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 회전자를 복수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실시예 2에 나타낸 것처럼, L자 모양의 철편 2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개구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상에 회전자를 2개 배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철편(50La)과 철편(50Ra)을 대좌부(16a, 26a)에 의해 연결부를 지탱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 케이스에 설치한 고정 핀과, 철편(50La)과 철편(50Ra)에 설치한 끼워맞춤 구멍을 끼워맞추고 고정 핀의 선단을 열코킹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끼워맞춤 구멍을 고정 핀에 압접하여 장착하여 보다 확실하게 상 케이스에 고정해도 좋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코일 보빈(90a)의 플랜지부(91La, 91Ra)에 각각 코일(70La)의 단부, 코일(70Ra)의 단부를 휘감기 위한 단자부(94La, 94Ra)가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단자부(94La, 94Ra)가 없는 코일 보빈을 이용해도 좋다.
또, 개구부를 ND 필터의 시트로 가려도 좋다.

Claims (6)

  1. 개구부를 가지는 기판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날개와, 상기 날개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자와, 여자용의 코일이 권회되어 있고 상기 회전자에 회전력을 주는 고정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직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기판에 형성된 돌기부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고정자는, 복수의 철편이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철편의 각각에는, 상기 돌기부와 공통으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철편의 각각은, 상기 철편끼리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된 얇은 부분을 가지고, 이 얇은 부분에 상기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돌기부를 열코킹 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돌기부를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압입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고정자와 광축 방향으로 겹쳐져 상기 개구부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에 자리매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퇴피 위치에 자리매김이 된 상기 날개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코일이 권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
KR1020097020989A 2007-09-07 2008-07-16 날개 구동 장치 KR101125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33366A JP4906646B2 (ja) 2007-09-07 2007-09-07 羽根駆動装置
JPJP-P-2007-233366 2007-09-07
PCT/JP2008/062860 WO2009031364A1 (ja) 2007-09-07 2008-07-16 羽根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163A KR20090125163A (ko) 2009-12-03
KR101125454B1 true KR101125454B1 (ko) 2012-03-27

Family

ID=4042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989A KR101125454B1 (ko) 2007-09-07 2008-07-16 날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53635B2 (ko)
JP (1) JP4906646B2 (ko)
KR (1) KR101125454B1 (ko)
CN (1) CN101784956B (ko)
WO (1) WO2009031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4976B1 (en) * 2010-03-29 2013-12-2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 nickname associated with a mobile node
KR102194709B1 (ko) * 2018-08-28 202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914A (ja) * 2001-01-31 2002-10-18 Fuji Photo Film Co Ltd 電磁駆動シャッタ
JP2006242994A (ja) * 2005-02-28 2006-09-14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2510A (en) * 1956-01-25 1957-05-14 Gen Electric Motor structure
JPS5277720A (en) 1975-12-24 1977-06-30 Shiyouji Machida Motorrdriven shutter
US4262223A (en) * 1977-12-20 1981-04-14 Ebauches Electroniques S.A. Electro-magnetic motor for timepiece
JPS62127531A (ja) 1985-11-27 1987-06-09 Honda Motor Co Ltd デイスクブレ−キ装置
JPH0664281B2 (ja) * 1985-12-03 1994-08-22 ウエスト電気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絞りシヤツタの駆動装置
JPS6315164U (ko) * 1986-07-14 1988-02-01
US4881093A (en) 1988-04-21 1989-11-14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magnetic shutter apparatus
JP2759662B2 (ja) * 1988-09-26 1998-05-2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モータ駆動シャッタ付きカメラ
JPH03107832A (ja) * 1989-09-21 1991-05-08 Canon Inc 電磁駆動露光量調節装置
US5150149A (en) * 1991-07-25 1992-09-22 Eastman Kodak Company Multi-aperture electromagnetic camera shutter
WO1993010593A1 (en) * 1991-11-13 1993-05-27 Seiko Epson Corporation Brushless dc motor
JPH08251901A (ja) * 1995-03-03 1996-09-27 Canon Inc 電磁駆動装置
JPH0922042A (ja) 1995-07-10 1997-01-21 Canon Inc 電磁駆動装置
WO1997013179A1 (en) * 1995-10-04 1997-04-10 Samsung Aerospace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nic shutter of a camera
JPH1124125A (ja) 1997-06-30 1999-01-29 Canon Inc 光学機器
WO1999038241A1 (fr) * 1998-01-22 1999-07-29 Seiko Epson Corporation Convertisseur electromagnetique et dispositif electronique equipe de celui-ci
EP1071187B1 (en) * 1999-02-05 2008-01-30 Seiko Epson Corporation Magnetic circuit construction and power genera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3623702B2 (ja) * 1999-09-28 2005-02-23 山洋電気株式会社 回転電機用ステータ
JP2002014404A (ja) * 2000-04-25 2002-01-18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4405062B2 (ja) * 2000-06-16 2010-01-2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固体撮像装置
CN1279684C (zh) * 2000-08-03 2006-10-11 Fdk株式会社 步进电机
JP2002359998A (ja) 2001-05-31 2002-12-13 Nidec Copal Corp モータ駆動装置
US6810207B2 (en) * 2002-05-13 2004-10-26 Olympus Corporation Camera
JP3932996B2 (ja) * 2002-07-03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7333143B2 (en) * 2002-07-16 2008-02-19 Olympus Corporation Light amount adjustment actuator unit, stepping motor, optical unit, and electronic camera
JP4293871B2 (ja) 2003-09-16 2009-07-0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4317411B2 (ja) * 2003-09-17 2009-08-1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2005189579A (ja) * 2003-12-26 2005-07-14 Seiko Precision Inc セクタ駆動装置
US20050152691A1 (en) * 2004-01-09 2005-07-14 Alps Electric Co., Ltd. Shutter apparatus
JP2005241957A (ja) 2004-02-26 2005-09-08 Alps Electric Co Ltd シャッタ装置
DE602005003972T2 (de) * 2004-01-13 2008-12-18 Seiko Epson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agnetkernen, Magnetkern, elektromagnetischer Wandler sowie Uhr und elektronisches Gerät
JP2005275375A (ja) * 2004-02-24 2005-10-06 Seiko Instruments Inc 光学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4391305B2 (ja) 2004-04-26 2009-12-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4549115B2 (ja) * 2004-06-29 2010-09-2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4534972B2 (ja) * 2005-03-30 2010-09-0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6118180A1 (ja) * 2005-04-28 2006-11-09 Nidec Copal Corporation 撮像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CN1862358B (zh) * 2005-05-11 2012-03-21 华移联科(沈阳)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调焦装置
JP4906296B2 (ja) 2005-09-22 2012-03-2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
ITPD20050099U1 (it) * 2005-12-16 2007-06-17 Promovet Srl Struttura di motore sincrono con rotore a magneti permanenti
JP4676338B2 (ja) 2006-01-05 2011-04-27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セクタ駆動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TWM292205U (en) * 2006-01-17 2006-06-11 Tricore Corp Step-motor of the driver device of a camera
US7800276B2 (en) * 2007-05-17 2010-09-21 Kurz-Kasch, Inc. Rotor assembly
US7821176B2 (en) * 2007-06-08 2010-10-26 A.O. Smith Corporation Electric motor,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914A (ja) * 2001-01-31 2002-10-18 Fuji Photo Film Co Ltd 電磁駆動シャッタ
JP2006242994A (ja) * 2005-02-28 2006-09-14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84956A (zh) 2010-07-21
WO2009031364A1 (ja) 2009-03-12
JP2009063933A (ja) 2009-03-26
US20100026106A1 (en) 2010-02-04
JP4906646B2 (ja) 2012-03-28
KR20090125163A (ko) 2009-12-03
CN101784956B (zh) 2014-11-05
US8353635B2 (en)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726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090116791A (ko) 기어 기구 및 날개 구동 장치
KR101121848B1 (ko) 날개 구동 장치
KR20090125190A (ko) 날개 구동 장치
JP4520796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KR20090125206A (ko) 블레이드 구동 장치
KR101125454B1 (ko) 날개 구동 장치
KR101121919B1 (ko) 날개 구동 장치
KR101041267B1 (ko) 촬상 장치
KR100830281B1 (ko) 전자 액츄에이터
KR100936417B1 (ko) 전자기 액츄에이터
US6981807B2 (en)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and light quantity adjustment device using the same
JP2002369489A (ja) 電磁駆動モータ及びそれを有する電磁駆動絞り装置
JP4610319B2 (ja) 駆動力伝達機構及び撮像装置
JPH09236841A (ja) カメラの駆動装置用パルスモータ
JP2006054506A (ja) 撮像装置
JPH09230420A (ja) カメラの駆動装置用パルスモータ
KR100205985B1 (ko) 카메라의 전자셔터
CN118050940A (zh) 光学驱动底座、光学驱动机构以及摄像头模组
CN110703401A (zh) 透镜驱动装置、照相机装置、电子设备及这些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