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919B1 - 날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날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919B1
KR101121919B1 KR1020097018972A KR20097018972A KR101121919B1 KR 101121919 B1 KR101121919 B1 KR 101121919B1 KR 1020097018972 A KR1020097018972 A KR 1020097018972A KR 20097018972 A KR20097018972 A KR 20097018972A KR 101121919 B1 KR101121919 B1 KR 101121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wing
blade
gear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090A (ko
Inventor
히사시 가와모토
오사무 타카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날개 구동 장치는 개구(11, 61)를 각각 가진 날개 누름판(10), 개구(11, 61)의 면적을 변경시킴과 아울러 캠홈(24a~24c)을 각각 가지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날개(20a~20c)와, 전자 액추에이터(50)로부터의 동력을 날개(20a~20c)에 전달함과 아울러 캠홈(24a~24c)의 각각에 걸어맞춰지는 구동 핀(44a~44c)을 가진 구동 링(40)을 구비하고, 구동 링(40)은 구동 핀(44a~44c)이 날개(20a~20c)의 작은 조리개 상태에 있어서 캠홈(24a~24c)의 타단부(242a) 등에 맞닿음으로써 정지된다.
날개, 캠홈, 전자 액추에이터, 조리개, 맞닿음

Description

날개 구동 장치{VANE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날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카메라 등에 채용되는 조리개 장치 등의 날개 구동 장치는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의 면적을 변경시키는 날개와,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날개에 전달하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날개는 액추에이터(actuator)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작동한다. 상세하게는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은 기어를 통하여 구동 부재에 전달되고, 이 구동 부재가 날개를 구동한다. 또, 날개는 소정 위치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요동함으로써 개구의 면적을 변경시킨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구동 부재로서 조리개 링이 채용된 조리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7-17123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러한 날개 구동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부재의 구동 범위를 규제함으로써 날개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고 있었다. 구동 부재의 구동 범위는 기판에 설치된 돌기 형상의 스토퍼(stopper)에 구동 부재가 맞닿음으로써 규제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동 부재에는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이 기어 등을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구동 부재의 토크(torque)가 커져, 구동 부재와 스토퍼가 맞닿을 때에 생기는 소리가 큰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작동음이 저감된 날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은,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의 면적을 변경시킴과 아울러 캠홈(cam slot)을 가지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날개와,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날개에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캠홈에 걸어맞춰지는 구동 핀(pin)을 가진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구동 핀이 상기 날개의 완전 개방 상태 또는 작은 조리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캠홈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종래의 날개 구동 장치와 같이, 기판에 스토퍼를 설치하고, 이 스토퍼와 구동 부재의 맞닿음에 의해 구동을 정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충격음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기판에 스토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날개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복수의 날개의 각각에 형성된 캠홈에 걸어맞춰지도록 상기 구동 핀을 복수 가지고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각 부재에의 충격을 분산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구동 부재에 전달하는 기어에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어의 맞닿음에 의해 당해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지 수단은 상기 구동 핀이 상기 날개의 상기 완전 개방 상태 또는 작은 조리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캠홈의 단부에 맞닿음과 아울러 상기 기어에 맞닿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더욱 각 부재에의 충격을 분산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정지 수단은 상기 날개이고, 상기 캠홈은 당해 날개 및 기어의 맞닿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맞닿음 개소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캠홈은 날개 및 기어의 맞닿음에 의한 충격을 더 흡수할 수가 있으므로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음이 저감된 날개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셔터(shutter) 기판에 대해서 전자 액추에이터터(electromagnetic actuator)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셔터 기판에 구동 링을 더 조립한 상태에서의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 도이다.
도 4는 셔터 기판에 탄성 기어, 날개를 더 조립한 상태에서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셔터 기판에 탄성 기어, 날개를 더 조립한 상태에서의, 조임 상태에서의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날개 구동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날개 구동 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8 (A), (B), (C)는 치열부(齒列部)와 로터 피니언(rotor pinion)의 맞물림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날개와 로터 피니언의 맞닿음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0 (A), (B)는 캠홈의 단부에 걸어맞춤 돌기가 위치하는 경우에서의 걸어맞춤 돌기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1 (A), (B)는 전자 액추에이터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액추에이터실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3 (A), (B)는 제1변형예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도 13 (A)의 로터 피니언 주변을 확대한 도이다.
도 15 (A), (B)는 제2변형예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정지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는 도면 상측을 피사체측, 하측을 결상면측으로 했을 때, 피사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날개 누름판(10), 날개(20a~20c), 제1기어인 탄성 기어(30), 제2기어인 구동 링(ring)(40), 전자 액추에이터(electromagnetic actuator)(50), 셔터(shutter) 기판(60), 플렉서블(flexible) 프린트 기판(70) 등으로 구성된다.
날개(20a~20c), 탄성 기어(30), 구동 링(40), 전자 액추에이터(50)는 날개 누름판(10) 및 셔터 기판(60)의 양자 사이에 수납된다. 날개 누름판(10), 셔터 기판(60)은 각각 광로를 획정하기 위한 개구(11, 61)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50)는 구동 링(40), 탄성 기어(30)를 통하여 날개(20a~20c)에 그 동력을 전달한다. 구동 링(40)은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자 액추에이터(50)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제2치부(teeth portion)인 치열부(齒列部)(43)가 그 외주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셔터 기판(60)에 대해서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미끄럼 에지(sliding edge)(45)와 내연부(65)가 미끄럼 접합한다.
또, 구동 링(40)에는 복수의 구동 핀(pin)(44a~44c)이 미끄럼 에지(45)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핀(44a~44c)은 각각 탄성 기어(30)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34a~34c)에 걸어맞춰진다. 탄성 기어(30)는 구동 링(40)에 대해서 회전 중심축 방향, 즉 광축 방향으로 대략 포개어지도록 고정된다. 또, 치열부(43) 와 광축 방향으로 대략 포개어지도록, 탄성 기어(30)에도 그 외주의 일부에 제1치부인 치열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치열부(33)와 치열부(33)의 회전 중심의 사이에 변형 용이부인 구멍 모양의 원호홈(circular arc slot)(32)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치열부(33)를 따르도록 신장하여 변형 용이부인 구멍 모양의 원호홈(32)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기어(30)에도 그 중앙부에 광로를 획정하기 위한 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기어(30)는 구동 링(40)보다도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기어(30)는 구동 링(40)보다도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원호홈(32)에 의해 탄성 기어(30)의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용이화되어 있다. 또한, 개구(11, 31, 61) 중에서 개구(31)의 직경이 가장 작게 형성되어 있다.
날개(20a~20c)는 탄성 기어(30)보다도 피사체측에 배치된다. 날개(20a~20c)는 각각 단부에 축공(shaft hole)(22a~22c)이 형성되어 있고, 축공(22a~22c)은 각각 셔터 기판(60)에 형성된 지지축(62a~62c)에 걸어맞춰져 있다. 이에 의해 날개(20a~20c)는 셔터 기판(60)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날개(20a~20c)의 각각은 캠홈(24a~24c)이 형성되어 있고, 캠홈(24a~24c)은 각각 구동 핀(44a~44c)에 걸어맞춰진다. 이에 의해 구동 링(40)이 회전함으로써, 구동 핀(44a~44c)은 각각 캠홈(24a~24c) 내를 이동하고, 날개(20a~20c)는 각각 축공(22a~22c)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이에 의해 개구(11, 31, 61)의 개구 면적을 조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구동 링(40)은 전자 액추에이터(50)로부터의 동력을 날개(20a~20c)에 전달하는 구동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 날개 누름판(10)에는 개구(11)의 주변에 각각 구동 핀(44a~44c)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납공(14a~14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전자 액추에이터(50)의 로터 축(54)을 지지하는 축공(15)이 형성되어 있다. 날개 누름판(10) 및 셔터 기판(60)은 날개 누름판(10)의 에지부(edge portion)에 형성된 걸림 발톱(191)과, 셔터 기판(60)의 외연부(66)에 형성된 걸림부(691)가 걸어맞춰지고, 또 날개 누름판(10)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192)과 셔터 기판(60)의 외연부(66)에 형성된 돌기부(692)가 끼워맞춰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인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하, FPC라고 칭한다)(70)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고 있고, 셔터 기판(60)의 전자 액추에이터(50)가 수납되는 액추에이터실(actuator chamber)(AC)의 결상면측의 외벽면에 고정된다. FPC(70)는 전자 액추에이터(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자 액추에이터(5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확보한다.
도 2는 셔터 기판(60)에 대해서 전자 액추에이터(50)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듯이, 셔터 기판(60)에는 날개(20a~20c)를 수납하기 위한 날개실(SC)과, 전자 액추에이터(50)를 수납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실(AC)이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실(AC)은 날개실(SC)보다도 광축 방향의 결상면측으로 돌출하여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5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로터(rotor)(51), 스테이터(stator)(52), 코일(53a, 53b), 로터 피니언(rotor pinion)(55) 등으로 구성된다. 로터(51)는 둘레 방향으로 극성이 다른 자극에 착자(着磁)되어 있고, 로터(51) 및 로터 피니언(55)은 로터 축(54)에 일 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로터 피니언(55)은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도 2에 있어서는 부호가 나타나 있지 않은 로터 축(5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로터 축(54), 로터 피니언(55)은 로터(51)의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 축(54), 로터 피니언(55), 로터(51)는 일체로 형성된다. 스테이터(stator)(52)는 コ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양팔부에 각각 코일(53a, 53b)이 감겨 있다. 코일(53a, 53b)의 각각의 단부는 FPC(70)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코일(53a, 53b)에의 통전에 의해 스테이터(52)가 여자(勵磁)되고, 스테이터(52)와 로터(51)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로터(51)가 소정량 회전한다.
또, 액추에이터실(AC)에는 보스부(boss portion)(63)가 5개 설치되어 있고, 전자 액추에이터(50)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액추에이터실(AC)의 주변에는 코일(53a, 53b)의 단부를 각각 액추에이터실(AC)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671)이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공(671)은 개구(61)에 가까운 측에 2개소, 외주측에 2개소 형성되어 있다. 코일(53a, 53b)의 단부는 인출공(671)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프린트 기판인 FPC(70)의 땜납 랜드부(solder land portion)에 접속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도 3은 셔터 기판(60)에 구동 링(40)을 더 조립한 상태에서의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피구동 부재인 구동 링(40)은 치열부(43)와 로터 피니언(55)이 맞물리도록 조립되어 있다.
도 4는 셔터 기판(60)에, 탄성 기어(30), 날개(20a~20c)를 더 조립한 상태에 서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셔터 기판(60)에, 탄성 기어(30), 날개(20a~20c)를 더 조립한 상태에서의, 조임 상태에서의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날개 구동 장치는 날개(20a~20c)가 개구(31, 61)로부터 퇴피(退避)한 퇴피 위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완전 개방 상태로 된다. 또, 도 5에 나타내듯이, 날개(20a~20c)가 개구(31, 61)에 임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개구(31, 61)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하는 조임 상태로 된다.
도 4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로터 피니언(5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구동 링(4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날개(20a~20c)는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5에 나타낸 상태로 이행한다.
도 6은 날개 구동 장치의 배면도이다. FPC(70)는 셔터 기판(60)의 액추에이터실(AC)의 결상면측의 외벽에 양면 테이프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7은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날개 구동 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탄성 기어(30), 구동 링(40), 날개(20a), 로터(51), 로터 피니언(55)만을 나타내고 있다. 탄성 기어(30)는 구동 링(40)보다도 피사체측에 배치되어 있다. 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는 날개(20a)의 외연이 로터 피니언(55)에 맞닿는다.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또, 탄성 기어(30), 구동 링(40)은 치열부(33)와 치열부(43)가 조금 어긋나도록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 탄성 기어(30)는 구동 링(40)보다도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탄성 기어(30)는 구동 링(40)의 1/6 정도의 두께로 되어 있다. 또, 탄성 기어(3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아크릴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필름상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탄성 기어(30)는 일반적인 기어의 성형 재료인 폴리아세탈이나 나일론 수지 등으로 형성된 구동 링(40)보다도 탄성 변형이 용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 탄성 기어(30)의 재료의 예를 들었지만, 구동 링(40)보다도 탄성 변형이 용이한 재료라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치열부(33) 및 치열부(43)와, 로터 피니언(55)의 맞물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치열부(33) 및 치열부(43)와, 로터 피니언(55)의 맞물림의 설명도이다. 도 8 (A)는 치열부(33) 및 치열부(43)와, 로터 피니언(55)의 맞물림 후의 도이다. 도 8 (B)는 로터 피니언(55)과 맞물리기 전의 치열부(33) 및 치열부(43)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8 (C)는 그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8 (A), 도 8 (B), 도 8 (C)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로터 피니언(55)에 대해서도 도시하고 있다.
도 8 (A)에 나타내듯이, 치열부(33)는 복수의 치부(33a, 33b…)로 구성되고, 치열부(43)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치부(43a, 43b…)로 구성된다. 도 8 (A)에 나타내듯이, 치부(33a)의 치선(tooth tip)(331a)은 치부(43a)의 치선(431a)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또, 치부(33a)의 일방의 치면(332a)은 치부(43a)의 일방의 치면(432a)보다도 둘레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또, 치부(33a)의 타방의 치면(333a)과 치부(43a)의 타방의 치면(433a)은 거의 포개어져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인접하는 치부(33b, 43b)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 로터 피니언(55)은 복수의 치부(55a…)로 구성되고, 치부(55a)의 일방의 치면(tooth surface)(552a)은 치면(332b)과 맞닿고, 치부(55a)의 타방의 치면(553a)은 치면(333a, 433a)의 쌍방 과 맞닿는다.
또, 탄성 기어(30)에는 도 7 등에서 나타낸 것처럼, 치열부(33)를 따르도록 둘레 방향으로 신장하여 원호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원호홈(3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탄성 기어(30)의 탄성 변형, 특히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원호홈(32)은 탄성 기어(30)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변형 용이부로서 기능한다. 또, 탄성 기어(30)와 구동 링(40)은 걸어맞춤 구멍(34a~34c)과 구동 핀(44a~44c)의 끼워맞춤에 의해 축방향으로 포개어져 고정되어 있으므로, 탄성 기어(30) 및 구동 링(40)은 한 쌍의 기어로서 기능한다. 또, 로터 피니언(55)은 한 쌍의 기어와 맞물리는 상대 기어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치열부(33)는 치열부(43)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해 있으므로, 로터 피니언(55)이 치열부(33, 43)와 맞물릴 때는 치열부(33)가 치열부(43)보다도 우선하여 로터 피니언(55)에 맞물린다. 또, 탄성 기어(30)는 원호홈(3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치열부(33)의 직경 방향의 탄성 변형이 둘레 방향에 걸쳐 용이하기 때문에, 치열부(43)보다도 더 밀착시켜 치열부(33)가 로터 피니언(55)과 맞물리게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로터 피니언(55)과, 한 쌍의 기어로서 기능하는 탄성 기어(30) 및 구동 링(40) 사이의 백래쉬(backlash)를 억제할 수가 있다. 즉, 로터 피니언(55)과 탄성 기어(30) 및 구동 링(40)의 축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덜거덕거림이 억제되므로 이에 의해 특히, 로터 축(54)과 날개 누름판(10)에 설치된 축공(15) 사이나 셔터 기판(60)에 설치된 축공(64) 사이, 구동 링(40)과 셔터 기판(60)에 설치된 내연부(65) 사이에 있어서의 축 사이 방향 백래쉬에 기인하는 작 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치면(432a)으로부터의 치면(332a)의 둘레 방향으로의 돌출량과, 치면(433a)으로부터의 치면(333a)의 돌출량은 상위하다. 즉, 치면(552a)은 치면(332b)과 맞닿는데 대해, 치면(553a)은 치면(333a) 및 치면(433a)의 쌍방과 맞닿는다. 구동 링(40)은 탄성 기어(30)와 달리 탄성 변형을 용이화하는 것 같은 구성은 채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로터 피니언(55)의 회전 방향에 따라 탄성 기어(30)의 탄성 변형의 정도가 변화하게 된다. 즉, 로터 피니언(5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로터 피니언(55)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 전달면은 치면(332b)인데 대해, 로터 피니언(5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로터 피니언(55)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 전달면은 치면(333a) 및 치면(433a)으로 된다. 따라서, 로터 피니언(5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치면(332b)은 탄성 변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치면(552a)과 치면(332b)이 항상 맞닿도록 하여 로터 피니언(55)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므로 주로, 로터 피니언(55)과 구동 링(40)의 법선 방향의 백래쉬가 억제되고, 그 백래쉬에 기인하는 작동음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로터 피니언(5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치면(433a)과 치면(553a)의 맞닿음에 의해 주로 회전 동력의 전달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로터 피니언(5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날개(20a~20c)는 개구(11, 31, 61)의 개구 면적을 줄이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때문에 치면(433a, 433b)은 개구 면적을 작게 할 때에 로터 피니언(55)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치면 으로 된다. 이에 의해 개구 면적을 작게 할 때에 탄성 변형을 용이화하는 것 같은 구성이 채용되어 있지 않은 구동 링(40)의 치열부(43)에 대해서 동력이 전달되므로, 조임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로터 피니언(55)과 맞물리기 전의 치열부(33, 43)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B), 도 8(C)에 나타내듯이, 치면(333a)은 치면(433a)으로부터 조금 둘레 방향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이 맞물리기 전의 상태에서도, 치면(432a)으로부터의 치면(332a)의 둘레 방향으로의 돌출량과, 치면(433a)으로부터의 치면(333a)의 돌출량은 상위하다. 치면(333b, 433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로터 피니언(55)과, 탄성 기어(30) 및 구동 링(40)의 축 사이 거리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치면(433a)으로부터의 치면(333a)의 돌출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탄성 기어(30)에 대한 로터 피니언(55)으로부터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치면(433a)으로부터의 치면(333a)의 돌출량이 0으로 되고, 치면(433a)과 치면(333a)이 대략 일치하도록, 로터 피니언(55)과, 탄성 기어(30) 및 구동 링(40)의 축 사이 거리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해 백래쉬를 억제하면서 회전 동력의 전달 정밀도가 향상된다.
다음에, 탄성 기어(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원호홈(32)은 탄성 기어(30)의 외연의 일부에 형성된 치열부(33)를 따르도록, 치열부(33)와 치열부(33)의 회전 중심의 사이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신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탄성 기어(30)의 직경 방향의 탄성 변형을 둘레 방향에 걸쳐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탄성 기어(30)와 구동 링(40)은 각각 구동 핀(44a~44c)과 걸어맞춤 구멍(34a~34c)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양자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핀(44a~44c)과 걸어맞춤 구멍(34a~34c)은 걸어맞춤에 의해 양자를 고정하는 걸어맞춤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간이한 구조에 의해 양자를 고정할 수가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걸어맞춤 구멍(34a~34c)은 원호홈(32)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이유는, 탄성 기어(30)와 구동 링(40)을 고정하는 수단이 원호홈(32)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호홈(32)의 위치와 로터 피니언(55)의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탄성 기어(30)는 구동 링(40)에 대해서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탄성 기어(30)에 대한 로터 피니언(55)으로부터의 밀어붙이는 힘이, 원호홈(32)에까지 전달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원호홈(32)에 의해 로터 피니언(55)으로부터의 밀어붙이는 힘을 흡수할 수가 없고 , 탄성 기어(30)의 직경 방향의 탄성 변형이 억제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구동 핀(44a~44c)은 각각 캠홈(cam slot)(24a~24c)에 걸어맞춰진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구동 링(40)의 동력은 날개(20a~20c)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전자 액추에이터(50)로부터의 동력을 날개(20a~20c)로 전달하는 구조를 구동 링(40)에 설치한 이유는, 탄성 기어(30)에 설치한 경우, 탄성 기어(30)는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력을 안정하게 전달할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상술한 것처럼, 구동 핀(44a~44c)은 전자 액추에이터(50)로부터의 동력 을 날개(20a~20c)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탄성 기어(30)를 구동 링(40)에 대해서 고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고정 기능을 전달 기능과는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수의 삭감이 도모되고 있다. 또, 이 부품수가 삭감된 구성에 의해 날개 구동 장치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도 향상된다.
또, 도 1, 도 4, 도 5에 나타내듯이, 로터 피니언(55), 치열부(43), 치열부(33)는 전자 액추에이터(50)로부터의 동력을 날개(20a~20c)에 전달하는 기어 기구로서 기능하지만, 이 기어 기구는 로터(51)에 일체로 형성된 로터 피니언(55)과, 한 쌍의 기어로서 기능하는 탄성 기어(30) 및 구동 링(40)만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많은 기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기어끼리의 맞물림 지점이 줄어들어 그만큼 작동음도 저감할 수가 있다.
다음에, 날개(20a)와 로터 피니언(55)의 맞닿음에 대한 설명을 한다. 도 9는 날개(20a)와 로터 피니언(55)의 맞닿음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7의 로터 피니언(55) 주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그 외의 부재에 있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개구 면적을 완전 개방 상태로 한 경우에는, 날개(20a)는 로터 피니언(55)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에 의해 로터 피니언(55)의 회전은 정지된다. 따라서, 날개(20a)는 로터 피니언(55)에 대해서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로터 피니언(55)의 맞닿음에 의해 로터 피니언(5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탄성 기어(30), 구동 링(40)의 회전이 정지되어 날개(20a~20c)는 퇴피(退避)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 로터 피니언(55)은 전자 액추에이터(50)로부터 날개(20a~20c)로 동력이 전달되는 전달 경로 상에 있어서, 구동 링(40)보다도 전자 액추에이터(50)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로터 피니언(55)을 직접 정지시킴으로써, 전자 액추에이터(50)로부터의 동력이 날개(20a~20c)까지 전달되는 과정에 있어서 동력의 토크(torque)가 커지기 전에 그 동력의 전달을 차단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셔터 기판(60)에 돌기 모양의 스토퍼(stopper)를 설치하여, 이 스토퍼와 구동 링(40)의 맞닿음에 의해, 구동 링(4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맞닿음에 의한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정지 수단을 날개(20a)와는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좋지만, 날개(20a)를 정지 수단으로서 채용함으로써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날개(20a)는 퇴피 위치에서 로터 피니언(55)과 맞닿는다. 이에 의해 날개(20a)와 로터 피니언(55)이 맞닿을 때의 충격 등에 의해 날개(20a)가 진동한 경우라도 개구 면적에 주는 영향을 줄일 수가 있다.
또, 로터 피니언(55), 로터 축(54) 및 로터(51)는 전술한 것처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일체로 회전한다. 즉, 로터 피니언(55)은 로터(51)와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로터 피니언(55)은 구동원인 전자 액추에이터(50)에 가장 가까운 기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날개 구동 장치와 같이, 전자 액추에이터(50)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해서 중간 기어를 포함하 는 복수의 기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중간 기어에 맞닿음으로써 중간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중간 기어는 일반적으로, 구동원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기어보다도 회전이 감속되고 토크가 큰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중간 기어에 맞닿음으로써 작동음이 커질 우려가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구동원에 가장 가깝다고 할 수 있는 로터 피니언(55)에 맞닿아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로터 피니언(55)의 회전을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가 있고, 또 그 때의 충돌음이 저감된다.
또, 도 9에 나타내듯이, 날개(20a)에는 로터 피니언(55)의 맞닿음 개소에 절결부(cutout portion)(25a)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25a)는 날개(20a)의 외연에 비교적 작은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5a)의 원호 직경은 로터 피니언(55)의 중심으로부터 치선(tooth tip)까지의 최대 직경과 대응시키고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듯이, 로터 피니언(55)의 2개의 치부(55a, 55b)와 동시에 맞닿도록, 절결부(25a)의 길이, 및 날개(20a)가 퇴피 위치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의 로터 피니언(55)의 회전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결부(25a)는 치부(55a, 55b)의 치선의 2개소에서 맞닿으므로, 날개(20a)와 로터 피니언(55)의 맞닿음 면적을 늘릴 수가 있고, 로터 피니언(55)의 회전의 정지가 조장된다. 즉, 절결부(25a)는 날개(20a)와 로터 피니언(55)의 맞닿음에 의한 로터 피니언(55)의 회전의 정지를 조장하는 걸림 구조로서 기능한다.
또, 2개소에서 맞닿으므로 충격이 완화된다. 또, 날개(20a~20c)는 각각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도 더욱 날개(20a)와 로 터 피니언(55)의 맞닿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절결부(25a) 부근에 캠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홈(24a)에 의해 날개(20a)는 보다 구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이 캠홈(24a)은 상기 맞닿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맞닿음 개소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 캠홈(24a)은 부채 모양으로 형성된 날개(20a)의 원호 모양의 에지(edge)를 따르도록 신장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날개(20a)에 대한 캠홈(24a)의 크기를 크게 할 수가 있고, 날개(20a)의 구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캠홈(24a)과 구동 핀(44a)의 걸어맞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캠홈(24a)의 단부에 구동 핀(44a)이 위치하는 경우에서의 구동 핀(44a)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0 (A)는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구동 핀(44a) 주변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B)는 최소의 조리개 상태인 작은 조리개 상태에서의 구동 핀(44a) 주변을 나타내고 있다. 구동 핀(44a)은 도 10 (A)에 나타내듯이, 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는 캠홈(24a)의 일단부(241a)에 맞닿지 않는다. 한편, 구동 핀(44a)은 도 10 (B)에 나타내듯이, 작은 조리개 상태에 있어서는 캠홈(24a)의 타단부(242a)와 맞닿는다. 구동 핀(44b, 44c)과 캠홈(24b, 24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따라서, 조임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 핀(44a~44c)의 각각이 캠홈(24a~24c)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구동 링(40)이 정지되고, 날개(20a~20c)가 개구에 임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것처럼, 날개(20a~20c)는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날개 구동 장치와 같이, 셔터 기판(60)에 스토퍼를 설치하고, 당해 스토퍼와 구동 링(40)의 맞닿음에 의해 구동을 정지시키 는 경우와 비교하여 충격음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셔터 기판(60)에 스토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구동 핀(44a~44c)이 대략 동시에 각각 캠홈(24a~24c)의 단부에 맞닿으므로, 각 부재에의 충격을 분산할 수가 있다.
또, 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것처럼 날개(20a)가 로터 피니언(55)에 맞닿음으로써 구동 링(40)의 구동이 정지되게 되지만, 예를 들면 로터 피니언(55)에 맞닿을 때에 날개(20a)가 광축 방향으로 휘어 버려, 날개(20a)가 로터 피니언(55)의 일부에 올라앉은 것 같은 경우에는, 구동 핀(44a)이 일단부(241a)에 맞닿아 구동 링(40)의 구동이 정지된다.
또한, 도 10 (A)에 나타낸 것처럼, 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 핀(44a)은 일단부(241a)에 맞닿지 않지만, 맞닿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때 날개(20a)와 로터 피니언(55)의 맞닿음과 대략 동시에 맞닿음으로써, 더욱 각 부재에의 충격을 분산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작동음을 저감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전자 액추에이터(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전자 액추에이터(50)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1 (A)는 도 6의 A-A 단면도이고, 도 11 (B)는 그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 (A)에 나타내듯이, 2개의 기판인, 셔터 기판(60)과 날개 누름판(10)의 양자 사이에 구동원실로서 형성된 액추에이터실(AC) 내에, 로터(51), 스테이터(52), 로터 축(54) 등이 수납되어 있다. 또, 로터 축(54)의 결상면측의 일단부(541)는 셔터 기판(60)에 형성된 축공(64)과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로터 축(54)의 피사체측의 타단부(542)는 날개 누름판(10)에 형성된 축 공(15)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 축(54)은 날개 누름판(10)과 셔터 기판(60)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 기판(60)은 전자 액추에이터(50)를 수납함과 아울러 로터 축(5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로서 기능한다.
도 11 (B)에 나타내듯이, 축공(64)에는 일단부(541)와 축공(64)의 사이를 윤활하는 윤활제(L)가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축공(64)은 셔터 기판(6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 직경이 감소하고 있다. 즉 축공(64)은 로터 축(54)의 일단부(541)보다도 직경이 약간 크게 형성되고, 일단부(54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일단부(541)보다도 직경이 작아지는 것과 같이 직경이 감소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액추에이터실(AC)의 내외를 관통한다. 축공(64)의 외측에는 FPC(70)가 고정되어 있다. 윤활제(L)는 일단부(541)와 축공(64)과 FPC(70)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에 충전되어 있다. 윤활제(L)는 예를 들면 윤활유이다. 이와 같이, 윤활제(L)를 충전함으로써, 간이한 구조로 로터 축(54)의 회전에 수반하는 작동음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이 간이한 구조로 함으로써 제조 비용도 억제된다.
다음에, 축공(64)에 대한 로터 축(54)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셔터 기판(60)의 외벽면, 즉 액추에이터실(AC)의 결상면측 이면에 FPC(70)를 양면 테이프로 고정한다. 이때 축공(64)을 막도록 하여 고정된다. 다음에, 단체(單體)인 셔터 기판(60)에 대해서, 액추에이터실(AC)측으로부터 축공(64)에 윤활제(L)를 충전한다. 축공(64)은 전술한 것처럼, 액추에이터실(AC)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 직경이 감소하고 있고, 또 FPC(70)에 의해 막혀 있다. 이 때문에 어느 정도 점도가 높은 윤활제(L)를 충전한 경우에는 축공(64)으로부터 외측으로 윤활제(L)가 누출될 우려는 적다.
다음에, 액추에이터실(AC)에, 코일(53a, 53b)을 감은 스테이터(52)를 보스부(boss portion)(63)와 걸어맞춘 상태로 밀어넣는다. 다음에, 로터 피니언(55), 로터 축(54), 로터(51)가 일체화된 부품의, 로터 피니언(5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일단부(541)를 축공(64)에 삽입한다. 이때 축공(64) 내의 윤활제(L)는 액추에이터실(AC)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밀려가지만, 축공(64)의 형상은 도 11 (B)에 나타내듯이, 일단부(541)의 직경보다도 작아지도록 하여 직경이 감소하고 있다. 또한, 축공(64)은 FPC(70)에 의해 막혀 있다. 이 때문에 일단부(541)는 축공(64)의 도중 위치까지밖에 밀어넣을 수가 없고, 윤활제(L)가 일단부(541)로 밀려 축공(64)으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축공(64)이 셔터 기판(60)의 내외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일단부(541)를 축공(64)에 삽입한 때라도 윤활제(L)에 들어간 공기를 외부로 누설시킬 수가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FPC(70)는 액추에이터실(AC)의 외측으로부터 축공(64)을 막도록 셔터 기판(60)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날개 구동 장치의 가동 중에, 축공(64)으로부터 윤활제(L)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FPC(70)에 의해, 윤활제(L)의 누출 방지용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축공(64)에 대해서 로터 축(54)을 조립할 수 있다.
또, 축공(64)의 형상은 일단부(541)의 직경보다도 작아지도록 하여 직경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날개 구동 장치의 조립 완료 후에, 로터 축(54)의 축방향의 덜거덕거림에 의해, 윤활제(L)가 충전된 충전 공간이 눌려 부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로터 축(54)의 일단부(541)는 날개(20a~20c)로부터 떨어진 측에 위치하고, 타단부(542)는 날개(20a~20c)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축공(64)은 이 날개(20a~20c)로부터 떨어진 측의 일단부(541)를 지지하므로, 조립 종료 후에 윤활제(L)가 축공(64)으로부터 액추에이터실(AC) 내로 누출되고, 날개(20a~20c)에까지 누출되어 부착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조립 중이라도 날개(20a~20c)에 가까운 측보다도 떨어진 측 쪽이 날개 구동 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소하기 때문에, 윤활제(L)를 충전하기 위한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액추에이터실(AC) 주변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도 1의 액추에이터실(AC)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듯이, 액추에이터실(AC)과 날개실(SC)은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액추에이터실(AC)과 날개실(SC)은 날개 누름판(10)과 셔터 기판(60)의 양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날개 구동 장치와 같이, 구동원인 액추에이터를 유닛(unit)화한 경우에는, 셔터 기판(60)의 두께와, 유닛화한 액추에이터의 커버의 두께에 의해, 날개 구동 장치의 광축 방향의 두께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광축 방향으로의 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듯이 로터(51)와 로터 축(54)과 로터 피니언(55)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부품의 간극이 없이 로터 축 방향으로 최소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 축 방향으로 효율 좋게 부품을 구성할 수가 있으므로 광축 방향의 두께를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 러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실(AC)에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코일(53a, 53b)의 광축 방향의 두께를 경감시키기 위한 코일 수납공(68)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전자 액추에이터(50)의 코일(53a, 53b)의 배선 작업을 용이화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FPC(70)는 액추에이터실(AC)의 이면의 외벽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일(53a, 53b)을 FPC(70)까지 둘러치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코일(53a, 53b)의 소선(素線)을 용이하게 FPC(70)에 접속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코일(53a, 53b)의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셔터 기판(60)의 액추에이터실(AC) 주변에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4개소에 걸쳐 인출공(671)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공(671)은 슬릿(slit)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인출공(671)과 연속하도록 광축 방향으로 안내홈(672)이 신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인출공(671) 및 안내홈(672)은 구동원실인 액추에이터실(AC)로부터 코일(53a, 53b)의 소선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 안내홈(672)은 셔터 기판(60)의 FPC(70)가 고정되는 면을 향해 신장하고 있다. 안내홈(672)은 각각 인출공(671)과 대응하도록 4개소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코일의 배선 작업은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실(AC)의 결상면측 이면의 외벽면에 FPC(70)를 고정한 후에 전자 액추에이터(50)를 액추에이터실(AC) 실내에 조립하고, 다음에 코일(53a)의 소선의 일단부를 각각 근방의 인출공(671)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한다. 다음에 코일(53a)의 소선을 안내홈(672)을 따라 FPC(70)를 향해 인출하여, FPC(70) 의 땜납 랜드부(solder land portion)에 접속한다. 이상의 작업을 코일(53a, 53b)의 타단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이와 같이, 인출공(671)은 액추에이터실(AC)로부터 외부로 코일(53a, 53b)의 소선을 인출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또 안내홈(672)은 코일(53a, 53b)의 소선을 FPC(70)까지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에 의해 코일(53a, 53b)의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날개 구동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제1변형예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또한, 변형예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에 대해서도, 전술한 날개 구동 장치와 마찬가지로 3매의 날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날개 구동 장치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A)는 제1변형예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 (A)에는 구동 링(40A)과, 날개(20aA)와, 로터 피니언(55A)과, 기어군(80A)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 (A)는 날개(20aA)가 개구로부터 퇴피(退避)한 퇴피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로터 피니언(55A)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로터 축에 압입(壓入)되어 있다. 로터 피니언(55A)이 회전함으로써 그 동력이 기어군(80A)에 전달되고, 구동 링(40A)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치열부(43A)와 맞물린다. 이에 의해 치열부(43A)가 회전하여 날개(20aA)는 축공(22aA)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도 13 (B)는 로터 피니언(55A)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3 (B)에 나타내듯이, 로터 피니언(55A)은 복수의 치부로 구성된 하단 치부(551A)와, 2개의 치부로 구성된 상단 치부(552A)의 2단 이 포개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터 피니언(55A)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하단 치부(551A)와 상단 치부(552A)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군(80A)에는 하단 치부(551A)를 통하여 그 동력이 전달된다.
도 14는 도 13 (A)의 로터 피니언(55A) 주변을 확대한 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날개(20aA)의 외주 측면에는 절결부(25aA)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20aA)가 퇴피 위치에 위치하게 된 때에는 절결부(25aA)가 상단 치부(552A)에 맞닿는다. 또, 하단 치부(551A)는 날개(20aA)의 배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단 치부(552A)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결부(25aA)와 맞닿을 때에는 상단 치부(552A)와 절결부(25aA)가 걸어맞춰져, 로터 피니언(55A)의 회전이 용이하게 정지된다. 즉, 상단 치부(552A)는 로터 피니언(55A)과 날개(20aA)의 맞닿음에 의한 로터 피니언(55A)의 회전의 정지를 조장하는 걸림 구조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간단한 구조로 로터 피니언(55A)의 회전을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가 있다.
도 15는 제2변형예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15 (A)는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제2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 15 (B)는 완전 폐쇄 상태에서의 제2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5 (A), 도 15 (B)에 나타내듯이, 제2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날개 구동 장치는 날개(20a~20c) 이외에 판 모양의 정지판(20d)을 구비하고 있다. 정지판(20d)은 지지축(62a)에 날개(20a)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정지판(20d)은 날개(20a)보다도 피사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정지판(20d)에는 원 호 모양의 캠홈(24d)이 형성되어 있다. 캠홈(24d)은 구동 핀(44a)에 걸어맞춰져 있다. 도 15 (A)의 경우, 즉 개구 면적을 완전 개방 상태로 한 경우에는 정지판(20d)이 로터 피니언(55)에 맞닿아 그 회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정지판(20d)은 로터 피니언(55)의 맞닿음에 의해 로터 피니언(5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어느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날개 누름판(10)을 피사체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셔터 기판(60)을 피사체측에, 날개 누름판(10)을 결상면측에 배치하여 날개 구동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로터 피니언(55)과 치열부(33, 43) 사이에 중간 기어를 설치하고, 이 중간 기어에 날개(20a)를 맞닿게 하여 구동 링(4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탄성 기어(30) 및 구동 링(40)은 한 쌍의 기어로서 기능하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러한 한 쌍의 기어를 중간 기어로서 채용해도 좋다.
또, 한 쌍의 기어를 중간 기어로서 채용한 경우에, 변형 용이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기어의 제2치부의 일방의 치면이 이 중간 기어에 맞물려, 중간 기어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상대 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치면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 기어(30)를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된 예를 나타냈지 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아크릴 수지제의 시트(sheet) 부재나, 일반적인 광반사 방지용 필름이나 차광 필름, 예를 들면 소마블랙(somablack) 필름(소마사제) 등을 프레스(press) 가공으로 성형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날개(20a~20c)는 각각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그 가공 방법은 묻지 않고 성형품이라도 프레스 가공품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로터 피니언(55), 로터 축(54), 로터(51)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로터 피니언(55)과 로터 축(54)만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FPC(70)를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에폭시 수지 등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하드 기판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셔터 기판(60)에 인출공(671), 안내홈(672)이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날개 누름판(10)에 형성해도 좋다.

Claims (5)

  1.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의 면적을 변경시킴과 아울러 캠홈을 가지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날개와,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날개에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캠홈에 걸어맞춰지는 구동 핀을 가진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구동 핀이 상기 날개의 완전 개방 상태 또는 작은 조리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캠홈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정지되고,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구동 부재에 전달하는 기어에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어와의 맞닿음에 의해 당해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지 수단은 상기 구동 핀이 상기 날개의 상기 완전 개방 상태 또는 작은 조리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캠홈의 단부에 맞닿음과 아울러 상기 기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복수의 날개의 각각에 형성된 캠홈에 걸어맞춰지도록 상기 구동 핀을 복수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수단은 상기 날개이고,
    상기 캠홈은 당해 날개 및 기어의 맞닿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맞닿음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구동 장치.
KR1020097018972A 2007-11-30 2008-10-22 날개 구동 장치 KR101121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11298 2007-11-30
JP2007311298A JP5185602B2 (ja) 2007-11-30 2007-11-30 羽根駆動装置
PCT/JP2008/069097 WO2009069406A1 (ja) 2007-11-30 2008-10-22 羽根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090A KR20090125090A (ko) 2009-12-03
KR101121919B1 true KR101121919B1 (ko) 2012-03-20

Family

ID=4067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972A KR101121919B1 (ko) 2007-11-30 2008-10-22 날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18617B2 (ko)
JP (1) JP5185602B2 (ko)
KR (1) KR101121919B1 (ko)
CN (1) CN101681082B (ko)
WO (1) WO2009069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6190A1 (en) * 2012-06-06 2015-03-26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Light-quantity control apparatus and optical apparatus
JP6172955B2 (ja) * 2013-01-30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CN107147831B (zh) * 2017-05-31 2019-08-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的光圈组件、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CN109895641B (zh) * 2019-03-21 2024-03-15 南京康尼新能源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动汽车无线电充电设备的遮挡装置及其遮挡方法
CN110224349B (zh) * 2019-06-24 2024-06-14 上海理工大学 胶带助缠机
EP4425040A1 (en) * 2022-09-30 2024-09-04 Guangzhou Haoyang Electronic Co., Ltd. Small-sized aperture module and stage lamp hav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2860A (ja) * 2006-01-17 2007-08-02 Tokyo Micro:Kk 光路開閉装置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31A (ja) * 1985-07-08 1987-01-19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の絞り制御装置
US5594519A (en) * 1994-12-05 1997-01-1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Blade mechanism
JPH09197477A (ja) 1996-01-22 1997-07-31 Copal Co Ltd カメラ用羽根駆動機構
JP3733177B2 (ja) * 1996-07-02 2006-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駆動装置及び該回転駆動装置を備えた光学機器
JP3976836B2 (ja) * 1997-05-13 2007-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ー装置
JP2004061897A (ja) * 2002-07-30 2004-02-26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遮光羽根駆動装置
JP4467295B2 (ja) * 2003-12-12 2010-05-26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絞り装置
KR20050102841A (ko) * 2004-04-23 200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개 장치 및 조리개 구동장치 및 이를 가지는카메라유닛과 조리개 제어방법
JP2006053409A (ja) * 2004-08-13 2006-02-23 Nisca Corp 光量調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7171238A (ja) 2005-12-19 2007-07-05 Tokyo Micro:Kk 光路開閉装置
JP5326237B2 (ja) * 2007-08-06 2013-10-30 株式会社ニコン 絞り制御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9133440A (ja) * 2007-11-30 2009-06-18 Seiko Precision Inc 歯車機構及び羽根駆動装置
JP5185603B2 (ja) * 2007-11-30 2013-04-17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2860A (ja) * 2006-01-17 2007-08-02 Tokyo Micro:Kk 光路開閉装置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9406A1 (ja) 2009-06-04
US7918617B2 (en) 2011-04-05
CN101681082A (zh) 2010-03-24
JP5185602B2 (ja) 2013-04-17
CN101681082B (zh) 2011-05-25
US20100021157A1 (en) 2010-01-28
JP2009134165A (ja) 2009-06-18
KR20090125090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6791A (ko) 기어 기구 및 날개 구동 장치
KR101121848B1 (ko) 날개 구동 장치
KR101121919B1 (ko) 날개 구동 장치
KR101260625B1 (ko) 조리개 장치
US8100593B2 (en) Speed reducing mechanism, drive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JP5144359B2 (ja)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4906647B2 (ja) 羽根駆動装置
JP2008236829A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回転装置
JP4906645B2 (ja) 羽根駆動装置
JP4937092B2 (ja) 羽根駆動装置
JP5080952B2 (ja) 羽根駆動装置
US11274730B2 (en) Step motor and indicator instrument for vehicle
JP4906646B2 (ja) 羽根駆動装置
JP2019011616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10128357A (ja) カメラ用絞り装置
KR20180014620A (ko) 액츄에이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JP2017107146A (ja) 動力伝達装置およびレンズ鏡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