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771B1 - 그로밋 - Google Patents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771B1
KR101118771B1 KR1020107025726A KR20107025726A KR101118771B1 KR 101118771 B1 KR101118771 B1 KR 101118771B1 KR 1020107025726 A KR1020107025726 A KR 1020107025726A KR 20107025726 A KR20107025726 A KR 20107025726A KR 101118771 B1 KR101118771 B1 KR 101118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wall
vehicle body
tube
grommet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763A (ko
Inventor
다카시 오쿠하라
츠토무 사카타
사토시 우지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로밋에 마련된 차체 걸림 홈이 관통 구멍에 걸리는 일 없이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그로밋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그로밋은, 와이어 하네스의 전기 케이블을 밀착시켜 통과시키는 내측관; 및 환형 연결부를 통해 내측관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경사벽부를 구비한 외측관을 포함한다. 외측관의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에는, 축선 방향에 평행한 후육부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와 후육부 간의 경계 영역에서의 외주면에 환형의 차체 걸림 홈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로부터 대직경 단부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단차형 돌출 리브가, 경사벽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있다. 각 돌출 리브의 선단부가 차체 걸림 홈의 측면 단부에 배치된다. 각 돌출 리브의 단차형 상면에는, 차체 걸림 홈의 측면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져 있는 제1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고, 각 돌출 리브의 양측면에는, 제1 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상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져 있는 제2 경사면 및 제3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 경사면은 3면 컷트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그로밋{GROMMET}
본 발명은 그로밋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에 배선될 와이어 하네스에 장착되고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부착되어 이 관통 구멍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의 부분의 보호, 방수 및 방진을 도모하는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자동차의 엔진룸으로부터 객실로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그로밋을 장착하고, 이 그로밋을, 자동차의 차체를 엔진룸과 객실로 분할하는 차체 패널에 마련된 관통 구멍에 부착하여,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고, 엔진룸 측으로부터 객실 측으로 물, 먼지 및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있다.
본 출원인은, 그로밋을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일측으로부터 압입하는 것만에 의해, 외주면에 마련된 차채 걸림 홈이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소위 한 동작 타입의 그로밋을 제안하였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1647호(특허문헌 1)에 개시된 한 동작 타입의 그로밋(100)은 와이어 하네스(W/H)에 장착되고, 이 그로밋(100)은, 차체를 엔진룸(X)과 객실(Y)로 구획하는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와이어 하네스를 엔진룸(X)에서 관통 구멍(3)에 압입하는 것만에 의해 부착되며, 와이어 하네스(W/H)는 엔진룸(X)으로부터 객실(Y)로 인출된다. 즉, 차체 패널(2)을 사이에 두고 엔진룸(X)측이 와이어 하네스(W/H)의 압입측(P1)이 되는 한편, 차체 패널(2)을 사이에 두고 객실(Y)측이 와이어 하네스(W/H)의 인출측(P2)이 된다.
그로밋(100)은, 와이어 하네스(W/H)를 밀착시켜 통과시키는 소직경관부(103)와, 소직경관부(103)의 압입측 단부에 마련된 확경관부(104)를 포함한다. 확경관부(104)의 소직경 단부(104a)가 소직경관부(103)의 압입측에 연속해 있다. 확경관부(104)의 확경단부(104b)의 외주면에, 차체 걸림 홈(101)이 마련되어 있다.
그로밋(100)을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삽입하고 부착할 때, 관통 구멍(3)에 소직경관부(103)를 삽입하고, 와이어 하네스(W/H)를 압입측(P1)으로부터 인출측(P2)으로 압입한다. 그 후, 확경관부(104)를 안쪽으로 휘고,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가 차체 걸림 홈(101)에 빠져 들어간다. 그 결과, 그로밋(100)은 차체 패널(2)에 결합된다.
이 때, 확경관부(104)의 경사진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단차형 돌출 리브(105)가 마련되어, 관통 구멍(3)의 내주면과 그로밋(100) 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고 삽입 저항이 저감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걸림 홈(101)의 측면(101a)의 선단부를 향하는 방향에서 돌출 리브(105)의 돌출량이 줄어들어, 측면(101a)의 선단부에서는 돌출 리브의 돌출량이 제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 리브의 돌출량이 차체 걸림 홈(101)을 향해 갈수록 점차 줄어든다면, 삽입력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그로밋을 관통 구멍에 삽입할 때에는, 그로밋이 관통 구멍에 똑바로 삽입되도록, 그로밋의 중심 축선과 관통 구멍(3)의 축을 맞추기가 곤란하다. 그 결과, 그로밋은 관통 구멍에 약간 경사진 자세로 삽입된다. 이 경우, 차체 걸림 홈은 관통 구멍에 대해 경사져 있어, 돌출 리브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릴 공산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버어가 돌출되어 있는 버어 구비 구멍의 경우, 버어의 선단이 돌출 리브의 측면을 붙잡을 공산이 크다. 그 결과, 관통 구멍이 원활하게 차체 걸림 홈에 빠져 들어가기가 무척 곤란하고, 돌출 리브가 손상될 공산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1647호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그로밋의 경사진 외주면에 돌출 리브를 마련함으로써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의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돌출 리브가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리는 일 없이 관통 구멍에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는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며,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그로밋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그로밋은, 와이어 하네스의 전기 케이블을 밀착시켜 통과시키는 내측관; 환형 연결부를 통해 내측관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경사벽부를 구비한 외측관을 포함한다. 외측관의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에는, 축선 방향에 평행한 후육부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와 후육부 간의 경계 영역에서의 외주면에 환형의 차체 걸림 홈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로부터 대직경 단부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단차형 돌출 리브가, 경사벽부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있다. 각 돌출 리브의 선단부가 차체 걸림 홈의 측면 단부에 배치된다. 각 돌출 리브의 단차형 상면에는, 차체 걸림 홈의 측면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져 있는 제1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고, 각 돌출 리브의 양측면에는, 제1 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상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져 있는 제2 경사면 및 제3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 경사면은 3면 컷트부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돌출 리브의 선단부에는, 돌출 리브의 상면을 컷트함으로써 형성된 제1 경사면뿐만 아니라, 돌출 리브의 양측면을 컷트함으로써 형성된 제2 및 제3 경사면도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차체 걸림 홈에 인접한 각 돌출 리브의 선단부에는 3면 컷트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3면 컷트부에 의하면, 차체 걸림 홈이 관통 구멍에 대해 경사져 있고 돌출 리브가 관통 구멍의 내면에 혹은 관통 구명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 버어에 걸리더라도, 내면은 3면 컷트부의 경사면 상에서 미끄럼 운동하여 차체 걸림 홈으로 가이드되고, 그 결과 관통 구멍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와 버어가 차체 걸림 홈에 원활하게 빠져 들어갈 수 있다.
외측관의 경사벽부 및 돌출 리브는, 차체의 관통 구멍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외경 위치에 굴곡부가 마련되어 있다. 굴곡부는 경사벽부에서 상이한 경사각을 갖는다. 경사벽부의 외주면은, 굴곡부를 기준으로 한 대직경측에서의 경사각이, 굴곡부를 기준으로 한 소직경측에서의 경사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 경사면은, 대직경측에 굴곡부로부터 차체 걸림 홈까지 마련되어 있다.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과 제3 경사면이 교차하는 릿지와, 상면과 제2 경사면과 제3 경사면이 교차하는 릿지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 리브가 관통 구멍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각 돌출 리브에는 3면 컷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로밋의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고, 관통 구멍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와 돌출 리브의 간섭을 없앨 수 있다. 이로써, 차체 걸림 홈은 관통 구멍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에 원활하게 결합되는 것이 허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대한 제1, 제2 및 제3 경사면의 경사각은 30 내지 60도로 설정된다.
돌출 리브의 개수는 4 내지 8개로 설정된다.
각 돌출 리브는 소기의 둘레방향의 폭을 갖는 단차형 돌기를 구비한다. 각 단차형 돌기의 상면이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접촉할 때, 그로밋은 안정된 자세로 관통 구멍에 들어갈 수 있다. 이 때, 접촉 면적이 작아질수록, 가해지는 삽입력이 저감된다. 그러나, 돌출 리브의 접촉 면적이 작으면, 돌출 리브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관통 구멍의 내주면이 접촉할 것이다. 돌출 리브의 최적의 개수와 접촉 면적은 전술한 서로간의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돌출 리브의 개수는 4 내지 8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 리브가 6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연결부는, 내측관의 압입측 단부와 인출측 단부 사이에 있는 종방향 중간부에서 내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외측관의 후육부는 환형 연결부의 외주 단부에 연속해 있다.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측에서의 내주면이, 내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내측관의 인출측 단부가 경사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에는, 내측관의 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가 마련된다. 인출 선단측 관부의 내주면과 내측관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전술한 그로밋에서는, 와이어 하네스를 밀착시켜 통과시키는 그로밋의 내측관은, 차체 걸림 홈이 마련된 외측관으로부터 큰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이격형 그로밋에서는, 그로밋으로부터 인출되어 객실에 배치된 와이어 하네스가 약 90도의 각도로 급격하게 구부러지고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에 따라 내측관이 변형되더라도, 내측관의 변형을 외측관에 직접 전달할 수 없다. 또한, 인출측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내측관의 종방향 중간부에 마련된 환형 연결부를 통해 내측관이 외측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환형 연결부도 내측관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어, 외측관의 대직경 단부측에 마련된 차체 걸림 홈에 상기 변형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연결부는 내측관과의 연결부로부터 압입측을 향해 경사져 돌출한다. 환형 연결부의 경사부로부터 외측관의 경사벽부의 내면을 향해 압박 리브가 돌출한다. 압박 리브가 접촉하는 경사벽부 상의 위치보다 굴곡부측에 굽힘 응력 흡수부가 배치된다.
그로밋을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삽입할 때, 작업자가 와이어 하네스를 내측관의 압입측에서 붙잡아 밀어 넣는다. 내측관은 환형 연결부를 통해 외측관에 연결되므로, 압박력은 외측관의 인출측의 경사벽부에는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압박 리브는 환형 연결부로부터 돌출하고, 압박 리브는 인출측에서의 경사벽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압박력을 경사벽부에 전달하며, 이를 통해 그로밋의 삽입 작업성이 향상된다.
환형 연결부는 그 두께가 얇고, 반경방향으로 똑바로 돌출하는 것이 아니라 축선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으로 인하여 내측관이 변형될 때, 환형 연결부는 변형을 흡수할 수 있고, 그 결과 변형이 외측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가 엔진룸측의 압입측에서 급격히 구부러지더라도, 환형 연결부가 와이어 하네스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어, 외측관에 마련된 차체 걸림 홈은 변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연결부는, 일부분이 내측관으로부터 압입측을 향해 경사져 있고 나머지 부분이 능선부로부터 인출측을 향해 경사져 있는 V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V자형 구조로 인해, 환형 연결부에서 와이어 하네스의 변형을 흡수하는 양이 증대될 수 있다.
압박 리브가 환형 연결부의 전체 둘레에서 연속해 있다면, 압박 리브는 압박력을 경사벽에 균등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 또는 호스가 그로밋을 통과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압박 리브는 케이블 또는 호스의 통과부에서 나눠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박 리브의 두께가, 환형 연결부의 두께의 2 내지 4배로 설정되고, 경사벽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그로밋은 전술한 이격형 그로밋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가 환형 연결부를 통해 내측관에 연결되어 있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그로밋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로밋에 따르면, 외측관의 경사벽부에 마련된 단차형 돌출 리브 각각은, 차체 걸림 홈에 인접한 선단에 3면 컷트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돌출 리브가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관통 구멍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가 차체 걸림 홈에 원활하게 빠져 들어갈 수 있어, 삽입감이 향상된다.
도 1a는 인출측에서 취한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압입측에서 취한 본 발명의 그로밋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인출측에서 취한 도 1의 그로밋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그로밋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V-V를 따라 취한 그로밋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되어 있고 차체에 부착되어 있는 그로밋을 도 4와 유사하게 보여주는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7a는 와이어 하네스가 그로밋의 인출측에서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서의 그로밋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b는 와이어 하네스가 그로밋의 압입측에서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서의 그로밋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9a는 종래의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종래의 그로밋의 일부분의 종방향 확대 단면도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의 제1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룸(X)으로부터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을 거쳐 객실(Y)까지 배치되는 와이어 하네스(W/H)에, 그로밋(1)이 장착되어 있다. 그로밋(1)은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와 맞물려 차체에 부착된다. 그로밋(1)은, 엔진룸(X)으로부터 관통 구멍(3)에 삽입되어 차체에 부착되는 한 동작 타입의 그로밋이다. 그로밋(1)의 일단부는 압입측(P1)이 되는 한편, 타단부는 인출측(P2)이 된다. 그로밋(1)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성형된다.
제1 실시예의 그로밋(1)은,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와 내측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이격형 그로밋이다.
그로밋(1)은, 와이어 하네스(W/H)의 전기 케이블 세트를 밀착시켜 통과시키는 소직경의 내측관(5)과, 내측관(5)의 압입측(P1)의 압입 단부(5P1)와 인출측(P2)의 인출 단부(5P2) 사이에 있는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외주면(5a)으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연결부(6), 그리고 환형 연결부(6)의 외주면에 연속하는 대직경의 외측관(8)을 포함한다.
외측관(8)은 내측관(5)과 동축 관계이고, 내측관(5)의 그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에 공간을 두고서 배치된다. 내측관(5)은 압입측(P1)과 인출측(P2)에서 외측관(8)의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한다.
외측관(8)은, 환형 연결부(6)의 외주면과 외측관(8) 간의 접속부에서 인출측(P2)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접속부에 마련된 후육부(9)에 경사벽부(11)가 연속해 있고, 이 경사벽부(11)는 축선 방향으로 그 직경이 줄어들도록 인출측(P2)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후육부(9)와 경사벽부(11)의 대직경 단부 간의 경계 영역에 있어서 외주면에 환형의 차체 걸림 홈(10)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11)의 소직경 단부에는, 내측관(5)의 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인출 선단측 관부(12)의 내주면과 내측관(5)의 외주면(5a) 사이에는 환형의 공간(S)(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인출 선단측 관부(12)가 내측관(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외측관(8)의 소직경 단부가 환형 공간(S)을 두고서 내측관(5)의 외주면(5a)을 둘러싸고, 인출 단부(5P2)가 외측관(8)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공간(S)의 반경방향 거리(d1)가 내측관(5)의 반경(d2)의 1/2 내지 3/2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경방향 거리(d1)가 반경(d2)의 3/4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공간(S)을 두고서 내측관(5)의 외주면(5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12)의 길이(L1)가, 그로밋(1)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길이(L1)가 5 내지 1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8)의 후육부(9)는, 환형 연결부(6)의 외주면(6a)과 후육부(9) 간의 접속부로부터 압입측(P1)을 향해 약간 돌출한다. 압입측 선단면(9a)이 축선(O)에 직교하는 면을 형성한다. 후육부(9)와 경사벽부(11)의 대직경 단부(11a) 사이에 환형의 차체 걸림 홈(10)이 마련되어 있다. 차체 걸림 홈(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서 있는 인출측 면(10b)의 선단이, 경사벽부(11)의 대직경 단부(11a)에 연속해 있다. 대직경 단부(11a)와 소직경 단부(11b)의 사이에는, 경사벽부(11)의 외주면의 경사각을 변경하도록, 굴곡부(11c)가 마련되어 있다. 굴곡부(11c)를 기준으로 소직경 단부측에서의 경사각은 크게 설정되어 있는 한편, 굴곡부(11c)를 기준으로 대직경 단부측에서의 경사각은 작게 설정되어 있다.
차체 걸림 홈(10)의 인출측 면(10b)의 선단의 대직경 단부(11a)로부터 소직경 단부(11b)까지 연장되고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축선 방향으로 단차를 이루고 있는 6개의 돌출 리브(15)가, 경사각이 변화하는 경사벽(11)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6개의 돌출 리브(15)는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므로, 소직경 단부로부터 대직경 단부를 향해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돌출 리브(15)는, 소직경 단부측에서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돌출 리브(15) 간의 거리가 좁고, 대직경 단부측에서 인접하는 돌출 리브(15) 간의 거리가 넓다.
단차형 돌출 리브(15)를 굴곡부(11c)의 둘레방향으로 이어서 형성한 가상의 원이,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의 내경과 동등하도록 설정된다.
도 1a,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벽부의 대직경측의 부분(11e)에서, 차체 걸림 홈(10)의 인출측 면(10b)으로부터 굴곡부(11c)에 이르는 범위에는, 각 돌출 리브(15)에 3면 컷트부가 마련되어 있다.
즉, 3면 컷트부는, 각 돌출 리브(15)의 상면(15a)으로부터 차체 걸림 홈(10)의 인출측 면(10b)의 선단을 향해 경사져 있는 제1 경사면(15c)과, 제1 경사면(15c)을 사이에 두고서 측면(15d, 15e)으로부터 하향 경사져 있는 제2 경사면(15f) 및 제3 경사면(15g)을 포함한다.
릿지(15m)가 제1 경사면(15c)과 제2 경사면(15f) 간의 교차선이 되고, 릿지(15n)가 제1 경사면(15c)과 제3 경사면(15g) 간의 교차선이 되며, 릿지(15p)가 상면(15a)과 제2 및 제3 경사면(15f, 15g) 간의 교차선이 된다. 릿지(15m, 15n 및 15p)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제1 경사면(15c), 제2 경사면(15f) 및 제3 경사면(15g)은 상면(15a)에 대해 30 내지 60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각은 48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벽부(11)를 휘기 쉽게 만들기 위해, 돌출 리브(15)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사벽부(11)의 외주면에는, 돌출 단부(15)의 근위 단부에 그리고 인접하는 돌출 리브(15) 사이의 중앙부에, 종방향 홈(15k, 15i)이 마련되어 있다.
외측관(8)의 내주면은, 후육부(9)로부터 경사벽부(11)의 굴곡부(11c)까지가, 즉 후육부(9)로부터 대직경측 부분(11e)까지가, 축선(O) 방향에 평행한 평행면(11h)을 형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출 리브(15)의 내주면에는, 돌출 리브(15)를 휘기 쉽게 만들기 위해 종방향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리세스(15h)가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8)과 내측관(5)을 서로 연결하는 환형 연결부(6)는 내측관(5)의 외주면(5a)에 연속하는 내주 단부(6b)로부터 압입측(P1)을 향해 V자 형상으로 돌출한다. 환형 연결부(6)의 외주 단부(6a)는 내주 단부(6b)보다 압입측(P1)에 배치되고, 외측관(8)의 후육부(9)에 연속한다.
즉,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종래의 한 동작 타입의 그로밋(100)에서는, 확경관부의 소직경측이 소직경관부에 연속해 있지만, 본 발명의 그로밋(1)에서는, (확경관부에 대응하는) 외측관(8)의 대직경측이 환형 연결부(6)를 통해 내측관(5)에 연결되어 있다.
환형 연결부(6)는 휠 수 있도록, 그 두께(t3)(도 3 참조)가 실질적으로 내측관(5)의 두께(t4)(도 4 참조) 이하로 설정된다. 내측관(5)의 외주면(5a)에 경사 연결되는 환형 연결부(6)의 각도(θ)는 20 내지 30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내측관(5)과 외측관(8)은 반경방향으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V자형의 환형 연결부(6)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W/H)가 구부러짐에 따라 내측관(5)이 변형될 때, 환형 연결부(6)는 내측관(5)의 변형을 흡수하며, 그 결과 내측관(5)의 변형이 외측관(8)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이로써, 도피부의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연결부(6)는 내주 단부(6b)와 V자형 돌출 단부(6c)의 사이의 경사부에, 경사벽부(11)를 향해 구부러져 있는 굴곡부(6d)가 마련되어 있다. 두꺼운 압박 리브(18)가 굴곡부(6d)로부터 경사벽부(11)를 향해 돌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리브(18)는 둘레방향으로 연속해 있지만, 오프너 케이블 및 급수 호스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가이드용 내측관(28, 29)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분할되어 있다.
압박 리브(18)의 두께(t5)(도 4 참조)는 환형 연결부(6)의 두께(t3)의 2 내지 4배가 되도록 충분히 크고, 경사벽부(11)의 두께(t1)보다 크며, 실질적으로 후육부(9)의 두께와 동일하다.
압박 리브(18)가 두꺼운 이유는, 그로밋(1)을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삽입할 때,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경사벽부(1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압박력이 외측관(8)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그로밋(1)이 차체 패널(2)에 부착되어 있을 때,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는 경사벽부(1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 압박 리브의 돌출 단부와 경사벽부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박 리브(18), 내측관(5), 환형 연결부(6) 및 외측관(8)의 사이에 차음 공간(B)(도 4 참조)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리브(18)는 외경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돌출한다. 돌출 단부(18a)는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연속하는 경사벽부(11)의 소직경 단부에 대향한다. 압박 리브(18)가 접촉하는 경사벽부(11) 측에는, 경사벽부(11)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스토퍼 돌기(12a)가,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마련되어 있다.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스토퍼 돌기(12a)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인출 선단측 관부(12) 안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압박 리브(18)를 경사벽부(11)에 확실히 접촉시켜 압박력을 경사벽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벽부(11)에는,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접촉하는 부분의 외경측으로부터 굴곡부(11c)에 이르기까지의 내면에 환형의 얕은 홈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벽부(11)에는 얇은 두께(t6)의 박육부(19)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11)에는 굴곡부(11c)로부터 소직경측에 이르기까지 박육부(19)가 마련되므로,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으로 인하여 인출 선단측 관부(12)가 변형될 때, 박육부(19)가 응력 흡수부의 역할을 한다. 즉, 굽힘 응력이 박육부(19)에 집중되어, 인출 선단측 관부(12)는 그 변형을 차체 걸림 홈(10)에 전달하기가 어렵다. 박육부(19)의 두께(t6)는 환형 연결부(6)의 두께(t3)보다 작다.
보닛 개방용 오프너 케이블과 워싱용 급수 호스와 같은 2개의 선재가 그로밋(1)을 관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너 케이블 및 급수 호스용의 가이드용 외관(26, 27)이 관통 구멍(24, 2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경사벽부(11)에 관통 구멍(24, 25)에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용 외관(26, 27)의 선단부에는, 폐쇄 단부(26a, 27a)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용 외관(26, 27)을 사용할 때, 폐쇄 단부(26a, 27a)를 잘라내어 가이드용 외관(26, 27)을 개방한다.
와이어 하네스(W/H)를 밀착시켜 관통시키는 소직경의 내측관(5)은, 외측관(8)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돌출한다. 내측관(5)은, 외측관(8)보다 돌출한 각 단부의 내주면에 3개의 방수 립(lip)(33)(도 4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밋(1)을 수용하는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은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3a)로부터 압입측(P1)을 향해 돌출하는 버어(3b)를 갖는 개구이므로, 외측관(8)의 차체 걸림 홈(10)은 버어(3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와이어 하네스(W/H)를 그로밋(1)에 부착하는 공정은, 지그(도시 생략)에 의해 내측관(5)의 내주면을 확장하면서, 와이어 하네스(W/H)의 전선을 삽입함으로써 실시된다. 와이어 하네스(W/H)를 내측관(5)에 삽입한 후, 내측관(5)의 양단부(5P1, 5P2)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와이어 하네스(W/H)와 상기 양단부(5P1, 5P2)는, 그 둘레에 접착 테이프(40)를 권취함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와이어 하네스(W/H)의 직경의 증감이 환형 연결부(6)에서 흡수되므로, 환형 연결부(6)를 통해 내측관(5)에 연결된 외측관(8)은, 상기 직경 증감에 기인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외측관(8)의 외경을 설계 치수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환형 연결부(6)는 변형될 수 있을 정도로 얇고 V자형으로 형성되므로, 환형 연결부(6)는 단지 굴곡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통해 직경의 증감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에 장착된 그로밋(1)은, 차체를 엔진룸(X)과 객실(Y)로 구획하는 차체 패널(2)의 버어(3b)를 갖는 관통 구멍(3)에 삽입되어 부착된다.
그로밋(1)을 관통 구멍(3)에 삽입하는 작업은, 내측관(5)의 인출 단부(5P2)를 엔진룸(X)으로부터 관통 구멍(3)에 삽입한 후, 엔진룸(X)에서 작업자가 와이어 하네스(W/H)와 그로밋(1)을 붙잡고서, 그로밋(1)을 관통 구멍(3)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압입 동작이 일측에서 한번에 행해지는 한 동작 작업을 통해, 그로밋(1)이 관통 구멍(3)에 걸린다.
구체적으로, 외측관(8)의 경사벽부(11)의 소직경측의 부분(11d)은 관통 구멍(3)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그로밋(1)은 관통 구멍(3)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경사벽부(11)의 굴곡부(11c)가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에 도달하면, 경사벽부(11)의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내주면(3a)과 접촉하여, 삽입 저항이 발생한다. 그 후로는, 내주면(3a)으로 인해 외측관(8)이 관통 구멍(3)에 쉽게 더 압입되지 못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내측관(5)의 압입측(P1)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 하네스(W/H)를 잡고서 밀면, 와이어 하네스(W/H)와 밀착해 있는 내측관(5)이 인출측(P2)을 향해 인출 방향으로 전진한다. 또한, 이러한 내측관(5)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내측관(5)에 연결된 환형 연결부(6)의 압박 리브(18)도 외측관(8)의 경사벽부(11)의 내면을 향해 전진하고,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경사벽부(11)의 내주면에 부딪친다. 따라서, 경사벽부(11)가 압박 리브(18)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므로, 경사벽부(11)를 구비한 외측관(8)은 관통 구멍(3)을 통과하여 객실(Y)에 이른다.
압박 리브(18)가 경사벽부(11)를 압박할 때에는, 경사벽부(11)의 외주면에 돌출 리브(15)가 마련되어 있어 돌출 리브의 상면(15a)만이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 및 버어(3b)의 내주면에 접촉하므로, 경사벽부(11)와 관통 구멍(3) 간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삽입력이 저감된다. 또한, 리세스(15h)가 돌출 리브(15)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안쪽으로 휠 수 있도록 돌출 리브의 강성이 감소되므로,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고 굴곡부(11c)에서의 삽입력이 과도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압박 리브(18)가 경사벽부(11)를 압박하고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대직경측 부분이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에 도달할 때, 3면 컷트부의 제1, 제2 및 제3 경사면(15c, 15f, 15g)이 내주면(3a)과 접촉한다. 이 때, 차체 걸림 홈(10)이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 및 버어(3b)의 내주면과 동축 관계로 있지 않고 이들 내주면에 대해 경사져 있더라도, 각 돌출 리브(15)의 측면(15d, 15e)에 마련된 제2 및 제3 경사면(15f, 15g)은 버어(3b)의 선단에 걸리지 않고 버어(3b) 상에서 미끄럼 운동하여, 차체 걸림 홈(10)에 버어(3b)가 수용된다. 따라서,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과 버어(3b)의 내주면이 각 돌출 리브(15)의 3면 컷트부 상에서 미끄럼 운동하고 차체 걸림 홈(10)에 빠져 들어가서, 그로밋(1)에 차체 패널(2)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로밋(1)이 차체 패널(2)에 고정된 후,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실(Y) 안으로 인출된 와이어 하네스(W/H)는 90도 하향(또는 상향, 우향, 좌향)으로 급격히 구부러지는 경우가 많다.
와이어 하네스(W/H)가 90도 하향으로 구부러지면, 와이어 하네스(W/H)를 밀착시켜 통과시키며 접착 테이프(40)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W/H)에 고정되는 내측관(5)은, 와이어 하네스(W/H)의 굴곡 각도에 순응하며, 내측관(5)은 인출 단부(5P2)에서 하향 굴곡된다.
본 발명의 그로밋(1)에서는, 내측관(5)의 인출 단부(5P2)가 하향으로 구부러져 있더라도, 외측관(8)은 인출 단부(5P2)에서 내측관(5)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외측관(8)의 인출 선단측 관부(12)와 내측관(5)의 사이에는 큰 공간(S)이 존재한다. 따라서, 내측관(5)과 외측관(8) 사이의 공간(S)에서 내측관(5)만이 구부러지므로, 외측관(8)은 인출측(P2)에서 구부러지지 않는다.
와이어 하네스(W/H)가 90도 정도로 급격히 구부러져 있는 경우,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W/H)의 구부러짐으로 인해 내측관(5)이 크게 구부러지고, 이 구부러짐은 내측관(5)에 연결된 환형 연결부(6)를 통해 외측관(8)에 전달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V자형의 얇은 환형 연결부(6)가 내측관(5)의 변형을 흡수할 것이다.
또한, 차체 걸림 홈(10)의 내주면에 연속하는 경사벽부(11)의 내주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경사벽부(11)의 내주면이 축선방향에 평행한 평행면(11h)을 형성하여, 지지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차체 걸림 홈(10)이 부유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가 엔진룸(X) 내의 압입측(P1)에서 구부러진다면, 환형 연결부(6)가 와이어 하네스(W/H)의 구부러짐을 흡수할 수 있어, 차체 걸림 홈(10)이 관통 구멍(3) 내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구부러짐의 영향을 받아 차체 걸림 홈(10)이 부유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밀봉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1-1)의 제2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그로밋(1-1)은, 도 9a에 도시된 종래의 그로밋(100)과 마찬가지로, 경사벽부(52)의 인출측(P2)의 소직경 단부가 내측관(5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형 그로밋이다.
그로밋(1-1)은, 제1 실시예의 내측관(5)에 대응하는 소직경관(50)과, 제1 실시예의 외측관(8)에 대응하는 확경관부(51)를 포함한다. 확경관부(51)는 경사벽부(52)를 구비하고, 이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가 환형 연결부(53)를 통해 소직경관(50)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사벽부(52)에는, 경사벽부(52)의 소직경 단부로부터 대직경 단부까지 연장되고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단차형 돌출 리브(15)와, 굴곡부(52c)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돌출 리브(15)의 대직경측에는, 3면 컷트부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15c), 제2 경사면(도시 생략) 및 제3 경사면(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벽부(52)의 대직경 단부에는 후육부(19)가 마련된다. 후육부(54)와 경사벽부(52) 간의 경계 영역에 환형의 차체 걸림 홈(10)이 마련되어 있다.
얇은 폐쇄면부(56)(56A, 56B)가, 차체 걸림 홈(1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확경관부(5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와이어 하네스 통과부를 형성하도록, 폐쇄면부(56)의 중앙부가 직경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폐쇄면부(56)는 얇고, 압입측(P1)을 향해 돌출하는 V자형 구조를 갖는다.
테이프를 감아서 와이어 하네스에 밀착시키는 반원통형 관부(55)(55A, 55B)가 폐쇄면부(56)로부터 돌출한다. 급수 호스용 가이드관(58)과 오프너 케이블용 가이드관(도시 생략)이 폐쇄면부(56)부터 돌출되어 있다.
전술한 그로밋(1-1)에서는 각 돌출 리브(15)의 선단에 3면 컷트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돌출 리브(15)가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로밋의 삽입 작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와이어 하네스가 구부러져서 반원통형 관부(55)가 구부러지더라도, 반원통형 관부(55)는 폐쇄면부(56)를 통해 경사벽부(52)에 연결되어 있어, 폐쇄면부(56)가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을 흡수할 수 있고, 이 구부러짐을 차체 걸림 홈(10)이 추종하지 않으며, 그 결과 차체 걸림 홈(10)이 부유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그로밋
2 : 차체 패널
3 : 관통 구멍
5 : 내측관
6 : 환형 연결부
8 : 외측관
9 : 후육부
10 : 차체 걸림 홈
11 : 경사벽부
11h : 평행면
15 : 돌출 리브
15a : 상면
15c : 제1 경사면
15f : 제2 경사면
15g : 제3 경사면
18 : 압박 리브

Claims (6)

  1. 차체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며,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그로밋으로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전기 케이블을 밀착시켜 통과시키는 내측관; 및
    환형 연결부를 통해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경사벽부를 구비한 외측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관의 상기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에는, 축선 방향에 평행한 후육부가 마련되고, 상기 경사벽부의 상기 대직경 단부와 상기 후육부 간의 경계 영역에서의 외주면에 환형의 차체 걸림 홈이 마련되며, 상기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로부터 상기 대직경 단부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단차형 돌출 리브가, 상기 경사벽부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 리브 각각의 선단부가 상기 차체 걸림 홈의 측면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 리브 각각의 단차형 상면에는, 상기 차체 걸림 홈의 상기 측면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져 있는 제1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 리브 각각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져 있는 제2 경사면 및 제3 경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경사면이 3면 컷트부를 형성하는 것인 그로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의 상기 경사벽부 및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차체의 상기 관통 구멍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외경 위치에 굴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경사벽부에서 상이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경사벽부의 외주면은, 상기 굴곡부를 기준으로 한 대직경측에서의 경사각이, 상기 굴곡부를 기준으로 한 소직경측에서의 경사각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경사면은, 상기 대직경측에 상기 굴곡부로부터 상기 차체 걸림 홈에 이르기까지 마련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경사면이 교차하는 릿지와, 상기 상면과 상기 제2, 제3 경사면이 교차하는 릿지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것인 그로밋.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 대한 상기 제1, 제2 및 제3 경사면의 경사각은 30 내지 60도로 설정되고, 상기 돌출 리브의 개수는 4 내지 8개로 설정되는 것인 그로밋.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연결부는, 상기 내측관의 압입측과 인출측의 양단부 사이에 있는 종방향 중간부에서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외측관의 상기 후육부는 상기 환형 연결부의 외주 단부에 연속하며, 상기 경사벽부의 상기 소직경 단부에서의 내주면이, 상기 내측관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미리 정해놓은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내측관의 상기 인출측 단부가 상기 경사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인 그로밋.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의 상기 경사벽부 및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차체의 상기 관통 구멍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외경 위치에 굴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경사벽부에서 상이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경사벽부의 외주면은, 상기 굴곡부를 기준으로 한 대직경측에서의 경사각이, 상기 굴곡부를 기준으로 한 소직경측에서의 경사각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경사면은, 상기 대직경측에 상기 굴곡부로부터 상기 차체 걸림 홈에 이르기까지 마련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경사면이 교차하는 릿지와, 상기 상면과 상기 제2, 제3 경사면이 교차하는 릿지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고,
    상기 환형 연결부는, 상기 내측관의 압입측과 인출측의 양단부 사이에 있는 종방향 중간부에서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외측관의 상기 후육부는 상기 환형 연결부의 외주 단부에 연속하며, 상기 경사벽부의 상기 소직경 단부에서의 내주면이, 상기 내측관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미리 정해놓은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내측관의 상기 인출측 단부가 상기 경사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환형 연결부는 상기 내측관과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압입측을 향해 경사져 돌출하고, 상기 환형 연결부의 경사부로부터 상기 외측관의 상기 경사벽부의 내면을 향해 압박 리브가 돌출하며, 상기 압박 리브가 접촉하는 상기 경사벽부 상의 위치보다 상기 굴곡부측에 굽힘 응력 흡수부가 배치되는 것인 그로밋.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부의 상기 소직경 단부는 상기 환형 연결부를 통해 상기 내측관에 연결되는 것인 그로밋.
KR1020107025726A 2008-06-03 2008-12-17 그로밋 KR101118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6301 2008-06-03
JP2008146301A JP5176698B2 (ja) 2008-06-03 2008-06-03 グロメット
PCT/JP2008/072984 WO2009147760A1 (ja) 2008-06-03 2008-12-17 グロ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763A KR20100134763A (ko) 2010-12-23
KR101118771B1 true KR101118771B1 (ko) 2012-03-20

Family

ID=4139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726A KR101118771B1 (ko) 2008-06-03 2008-12-17 그로밋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75513B2 (ko)
EP (1) EP2284970B1 (ko)
JP (1) JP5176698B2 (ko)
KR (1) KR101118771B1 (ko)
CN (1) CN102047515A (ko)
AU (1) AU2008357389B2 (ko)
WO (1) WO2009147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342A (ja) * 2011-05-13 2012-12-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US20140250631A1 (en) * 2013-03-06 2014-09-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uned hinge
JP6040951B2 (ja) * 2014-03-27 2016-12-0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索状体保持具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2016015851A (ja) * 2014-07-03 2016-01-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EP3417198A1 (en) * 2015-11-23 2018-12-26 Bombardier Inc. Grommet
JP6512136B2 (ja) * 2016-03-01 2019-05-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US9944239B1 (en) * 2017-05-19 2018-04-17 Newfrey Llc Fluid and dust resistant split grommet
JP6793695B2 (ja) * 2018-08-30 2020-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6860535B2 (ja) * 2018-09-10 2021-04-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6843098B2 (ja) 2018-09-10 2021-03-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2020043676A (ja) * 2018-09-10 2020-03-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DE102019204717A1 (de) * 2019-04-03 2020-10-08 Mahle International Gmbh Heizungs-, Belüftungs- oder Klimaanlage
CN110635421B (zh) * 2019-09-10 2020-11-20 义乌市添诚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车身过线孔用带塑料骨架密封圈护套
KR20210057617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그로멧
KR102350465B1 (ko) * 2021-04-29 2022-01-13 (주)티에이치엔 확장 가능한 그로멧
CN217145872U (zh) * 2022-02-08 2022-08-09 北京车和家汽车科技有限公司 防火墙线束保护套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521A (ja) 2000-05-23 2001-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2171644A (ja) 2000-09-22 2002-06-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5190973A (ja) 2003-12-26 2005-07-14 Yazaki Corp グロ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8414B2 (ja) * 1996-06-27 2002-07-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USRE38788E1 (en) * 1997-07-04 2005-09-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EP1182091B1 (en) * 2000-01-11 2007-05-30 Yazaki Corporation Grommet
JP3743553B2 (ja) 2000-09-22 2006-0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DE60107345T8 (de) * 2000-09-22 2005-08-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Durchgangstülle
EP1190914B1 (en) * 2000-09-22 2004-03-3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US6495767B2 (en) * 2000-09-22 2002-12-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JP2003032854A (ja) * 2001-07-18 2003-01-31 Yazaki Corp グロメット
JP4056727B2 (ja) * 2001-10-29 2008-03-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US6897380B2 (en) * 2002-11-29 2005-05-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for a wire harness
JP4036135B2 (ja) * 2003-04-18 2008-01-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2005085644A (ja) * 2003-09-10 2005-03-31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JP4412148B2 (ja) * 2004-10-26 2010-0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US7105750B1 (en) * 2005-10-31 2006-09-12 Yazaki North America, Inc. Low insertion force grommet
JP4851830B2 (ja) * 2006-04-04 2012-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4933854B2 (ja) * 2006-07-20 2012-05-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該グロメットの成形方法
JP5266670B2 (ja) * 2007-06-13 2013-08-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521A (ja) 2000-05-23 2001-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2171644A (ja) 2000-09-22 2002-06-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5190973A (ja) 2003-12-26 2005-07-14 Yazaki Corp グロ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96740A (ja) 2009-12-17
EP2284970A1 (en) 2011-02-16
EP2284970B1 (en) 2013-01-23
AU2008357389B2 (en) 2013-01-31
CN102047515A (zh) 2011-05-04
WO2009147760A1 (ja) 2009-12-10
EP2284970A4 (en) 2012-07-11
US8375513B2 (en) 2013-02-19
JP5176698B2 (ja) 2013-04-03
AU2008357389A1 (en) 2009-12-10
US20110067201A1 (en) 2011-03-24
KR20100134763A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771B1 (ko) 그로밋
KR101118392B1 (ko) 그로밋
KR101092798B1 (ko) 그로밋
KR101078482B1 (ko) 그로밋
KR101089468B1 (ko) 그로밋
KR101354219B1 (ko) 그로밋
JP5136222B2 (ja) グロ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