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465B1 - 확장 가능한 그로멧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그로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465B1
KR102350465B1 KR1020210055711A KR20210055711A KR102350465B1 KR 102350465 B1 KR102350465 B1 KR 102350465B1 KR 1020210055711 A KR1020210055711 A KR 1020210055711A KR 20210055711 A KR20210055711 A KR 20210055711A KR 102350465 B1 KR102350465 B1 KR 102350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line
hole
folded
peripheral por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한식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21005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확장 가능한 그로멧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확장 가능한 그로멧은, 제1 홀이 형성되는 플랜지; 그리고, 상기 플랜지의 일측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홀에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일단이 상기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홀을 형성하는 제1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1 둘레부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1 둘레부는, 접힐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그로멧{EXTENDABLE GROMMET}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그로멧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와이어가 삽입되는 부위를 접을 수 있는 그로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로멧는 와이어 삽입구의 크기가 정해져 있다. 이에 따라 그로멧에 추가적으로 와이어를 삽입해야할 경우, 작업이 까다로워질 수 있다. 와이어를 억지로 삽입할 경우, 와이어 삽입구가 형성되는 부분이 벌어져 품질이 저하되거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7532호의 차량용 그로멧 확장 장치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와이어 삽입구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는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작업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그로멧 확장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와이어 삽입시 오일을 도포하여 작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753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 삽입구의 크기를 확장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 삽입구의 크기를 확장하면서도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홀이 형성되는 플랜지; 그리고, 상기 플랜지의 일측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홀에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일단이 상기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홀을 형성하는 제1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1 둘레부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1 둘레부는, 접힐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확장 가능한 그로멧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그로멧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접고 펼침으로써 간단하게 와이어 삽입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확장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확장부가 따라 접히는 접힘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확장부가 접히는 부위가 상기 와이어 삽입구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로멧의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그로멧(10)에 와이어 다발(20)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그로멧(10)의 확대도 이다.
도 3은, 도 1의 그로멧(10)과 와이어 다발(20)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그로멧(10)을 접었을 때의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의 그 넓이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넓이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그로멧(10)에 와이어 다발(20)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와이어 다발(20)은, 복수 개의 와이어(21)로 구비될 수 있다.
그로멧(10)은 플랜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0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00)는 홀(40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홀(400)은 와이어 삽입구일 수 있다. 플랜지(100)에 형성되는 홀(400)을 제1 홀(410, 도 3 참조)이라 할 수 있다. 제1 홀(410)은 플랜지(100)를 관통할 수 있다.
그로멧(10)은 플랜지(100)와 연결되는 연장부(200)와, 연장부(200)와 연결되는 확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00)는 플랜지(100)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00)는 홀(40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200)에 형성되는 홀(400)은, 플랜지(100)에 형성되는 제1 홀(410)과 연통될 수 있다.
연장부(200)는, 제2 둘레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둘레부(21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둘레부(210)의 일단은 플랜지(100)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둘레부(210)는 홀(400)의 단면적이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둘레부(2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2 둘레부(210)는, 제2 접힘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힘부(205)는 플랜지(100)에서 멀어질수록 제2 둘레부(2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힘부(205)로 인해 연장부(200)에 형성되는 홀(400)은, 플랜지(100)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제2 둘레부(210)는 접힐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둘레부(210)는 제2 접힘부(205)를 따라 접힐 수 있다.
제2 접힘부(205)는, 제3 면(220)과 제4 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220)과 제4 면(230)은 제2 둘레부(210)의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되, 서로 포개어 접힐 수 있다. 제4 면(230)은 제3 면(220)에 대해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둘레부(210)가 제2 접힘부(205)를 따라 접히면, 제3 면(220)과 제4 면(230)이 서로 접할 수 있다.
확장부(300)는 연장부(200)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300)는 홀(40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확장부(300)에 형성되는 홀(400)은, 연장부(200)에 형성되는 홀(400)과 연통될 수 있다. 확장부(300)에 형성되는 홀(400)을 제2 홀(420)이라 할 수 있다.
확장부(300)는, 제1 둘레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둘레부(310)는 제2 둘레부(210)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둘레부(31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둘레부(310)의 일단은 제2 둘레부(21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둘레부(310)는 플랜지(100)에서 멀어질수록 제2 홀(420)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둘레부(310)는 전체적으로 잘린 원뿔 형상일 수 있다.
제1 둘레부(310)는, 제1 접힘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힘부(305)는 플랜지(100)에서 멀어질수록 제1 둘레부(3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힘부(305)로 인해 제2 홀(420)은, 플랜지(100)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제1 둘레부(310)는 접힐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둘레부(310)는 제1 접힘부(305)를 따라 접힐 수 있다.
제1 접힘부(305)는, 제1 면(320)과 제2 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320)과 제2 면(330)은 제1 둘레부(310)의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되, 서로 포개어 접힐 수 있다. 제2 면(330)은 제1 면(320)에 대해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둘레부(310)가 제1 접힘부(305)를 따라 접히면, 제1 면(320)과 제2 면(330)이 서로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부(300)의 제1 둘레부(310)가 제1 접힘부(305)를 따라 접히면, 연장부(200)의 제2 둘레부(210)가 제2 접힘부(205)를 따라 접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200)의 제2 둘레부(210)가 제2 접힘부(205)를 따라 접히면, 확장부(300)의 제1 둘레부(310)가 제1 접힘부(305)를 따라 접힐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그로멧(10)의 확대도이다.
플랜지(100)는, 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110)는 플랜지(100)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스(110)는 제1 홀(410)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둘레부(210)는, 제2 둘레부 일단(211)에서 제2 둘레부 타단(212)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둘레부 일단(211)은 보스(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둘레부 타단(212)은 확장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면(220)은, 제2 접힘선(223)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2 접힘선(223)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힘선(223)의 일단은 제2 둘레부(210)의 일단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힘선(223)의 타단은 제2 둘레부 타단(2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면(220)은, 제3 보조 접힘선(222)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3 보조 접힘선(222)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보조 접힘선(222)의 일단은, 제2 접힘선(223)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보조 접힘선(222)은 플랜지(100)에서 멀어질수록 제2 접힘선(223)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3 보조 접힘선(222)의 타단은 제2 둘레부 타단(2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면(220)은, 제3 연결선(221)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3 연결선(221)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선(221)의 일단은 제2 접힘선(223)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결선(221)의 타단은 제3 보조 접힘선(22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연결선(221)은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제4 면(230)은, 제2 접힘선(223)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4 면(230)은, 제4 보조 접힘선(232)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4 보조 접힘선(232)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보조 접힘선(232)의 일단은, 제2 접힘선(223)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보조 접힘선(232)은 플랜지(100)에서 멀어질수록 제2 접힘선(223)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보조 접힘선(232)은, 제2 접힘선(223)을 중심으로 제3 보조 접힘선(222)과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보조 접힘선(232)의 타단은 제2 둘레부 타단(2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면(230)은, 제4 연결선(231)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4 연결선(231)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연결선(231)의 일단은 제2 접힘선(223)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연결선(231)의 타단은 제4 보조 접힘선(23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연결선(231)은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연결선(231)은 제2 접힘선(223)을 중심으로 제3 연결선(221)과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면(220)과 제4 면(230)은 제2 접힘선(223)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둘레부(210)는 제2 접힘선(223)과, 제3 보조 접힘선(222)과, 제4 보조 접힘선(232)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제2 접힘선(223)과, 제3 보조 접힘선(222)과, 제4 보조 접힘선(232)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는, 제2 둘레부(210)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둘레부(210)가 접히기 쉬워질 수 있다.
제1 둘레부(310)는, 제1 둘레부 일단(311)에서 제1 둘레부 타단(312)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둘레부 일단(311)은 제2 둘레부 타단(212) 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면(320)은, 제1 접힘선(323)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1 접힘선(323)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힘선(323)의 일단은 제2 접힘선(223)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접힘선(323)의 타단은 제1 둘레부 타단(3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면(320)은, 제3 연결선(221)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3 연결선(221)의 일단은 제1 접힘선(323)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면(320)은, 제1 보조 접힘선(322)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1 보조 접힘선(322)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조 접힘선(322)의 일단은, 제3 연결선(22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조 접힘선(322)은 플랜지(100)에서 멀어질수록 제1 접힘선(323)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보조 접힘선(322)의 타단은 제1 둘레부 타단(3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면(320)은, 제1 연결선(321)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1 연결선(321)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선(321)의 일단은 제1 접힘선(323)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선(321)의 타단은 제3 보조 접힘선(32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선(321)은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제2 면(330)은, 제1 접힘선(323)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2 면(330)은, 제4 연결선(231)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4 연결선(231)의 일단은 제1 접힘선(323)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면(330)은, 제2 보조 접힘선(332)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2 보조 접힘선(332)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조 접힘선(332)의 일단은, 제4 연결선(23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조 접힘선(332)은 플랜지(100)에서 멀어질수록 제1 접힘선(323)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조 접힘선(332)은 제1 접힘선(323)을 중심으로 제1 보조 접힘선(322)과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조 접힘선(332)의 타단은 제1 둘레부 타단(3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면(330)은, 제2 연결선(331)을 한 변으로 할 수 있다. 제2 연결선(331)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선(331)의 일단은 제1 접힘선(323)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선(331)의 타단은 제3 보조 접힘선(32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선(331)은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선(331)은 제1 접힘선(323)을 중심으로 제1 연결선(321)과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320)과 제2 면(330)은 제1 접힘선(323)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둘레부(310)는 제1 접힘선(323)과, 제1 보조 접힘선(322)과, 제2 보조 접힘선(332)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제1 접힘선(323)과, 제1 보조 접힘선(322)과, 제2 보조 접힘선(332)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는, 제1 둘레부(310)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둘레부(310)가 접히기 쉬워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그로멧(10)과 와이어 다발(20)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와이어(21)는 홀(400)에 삽입될 때 확장부(300)에서 플랜지(100)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둘레부(310)는, 와이어(21)를 홀(400)에 삽입할 때 와이어(21)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와이어 다발(20)의 최대 단면적은 제1 홀(410)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확장부(300)의 제1 둘레부(310)가 펼쳐져 있을 때, 제2 홀(420)의 단면적은 제1 홀(41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 다발(20)의 전체 단면적이 클 경우에도, 와이어 다발(20)과 제2 홀(4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와이어(21)를 추가로 삽입하기 용이해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그로멧(10)을 접었을 때의 도면이다.
제1 둘레부(310)를 접으면, 제1 면(320)과 제2 면(330)이 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홀(420)의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제1 면(320)과 제2 면(330)이 제2 홀(4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1 둘레부(310)를 접으면, 제2 홀(420)의 단면적이 더욱 작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둘레부(310)와 와이어 다발(20) 사이의 틈이 감소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둘레부(310)와 제2 둘레부(210)를 접은 상태에서, 확장부(300)와 연장부(200)의 둘레에 테이프(미도시)를 감을 수 있다. 상기 테이프로 인해 확장부(300)와 연장부(20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로멧(10)은 플랜지(100)와 확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300)는 플랜지(100)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 둘레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2 접힘부(205)와 제1 접힘부(305)는 제1 둘레부(310)에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이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자명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그로멧 20: 와이어 다발
21: 와이어 100: 플랜지
200: 연장부 205: 제2 접힘부
210: 제2 둘레부 220: 제3 면
223: 제2 접힘선 230: 제4 면
300: 확장부 305: 제1 접힘부
310: 제1 둘레부 320: 제1 면
323: 제1 접힘선 330: 제2 면
400: 홀 410: 제1 홀
420: 제2 홀

Claims (8)

  1. 삭제
  2. 제1 홀이 형성되는 플랜지; 그리고,
    상기 플랜지의 일측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홀에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일단이 상기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홀을 형성하는 제1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1 둘레부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1 둘레부는,
    접힐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둘레부는,
    상기 제1 둘레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접힘부를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그로멧.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는,
    상기 제1 둘레부의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되, 서로 포개어 접혀질 수 있는, 제1 면과 제2 면; 그리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1 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둘레부는 상기 제1 접힘선을 따라 접힐 수 있는,
    확장 가능한 그로멧.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확장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에 연통되는 제3 홀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되, 일단이 상기 플랜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확장부에 연결되는, 제2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둘레부는,
    접힐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확장 가능한 그로멧.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둘레부는,
    상기 제2 둘레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접힘부와 연결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그로멧.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상기 제2 둘레부의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되, 서로 포개어 접혀질 수 있는, 제3 면과 제4 면; 그리고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2 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둘레부는 상기 제2 접힘선을 따라 접힐 수 있는,
    확장 가능한 그로멧.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힘선은,
    일단이 상기 제2 둘레부의 일단에 가깝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둘레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접힘선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제2 접힘선의 타단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3 보조 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면은,
    상기 제2 접힘선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제2 접힘선의 타단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4 보조 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둘레부는,
    상기 제3 보조 접힘선과 상기 제4 보조 접힘선을 따라 접힐 수 있는,
    확장 가능한 그로멧.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선은,
    일단이 상기 제2 접힘선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둘레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3 보조 접힘선에 연결되되, 상기 제2 접힘선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보조 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4 보조 접힘선에 연결되되, 상기 제2 접힘선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보조 접힘선을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그로멧.
KR1020210055711A 2021-04-29 2021-04-29 확장 가능한 그로멧 KR102350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711A KR102350465B1 (ko) 2021-04-29 2021-04-29 확장 가능한 그로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711A KR102350465B1 (ko) 2021-04-29 2021-04-29 확장 가능한 그로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465B1 true KR102350465B1 (ko) 2022-01-13

Family

ID=7934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711A KR102350465B1 (ko) 2021-04-29 2021-04-29 확장 가능한 그로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46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6576B2 (ja) * 1995-02-06 2003-1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KR200406429Y1 (ko) * 2005-11-07 2006-01-20 경신공업 주식회사 다단 그로멧
KR20090006544U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다단형 그로멧
KR20100134763A (ko) * 2008-06-03 2010-12-23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그로밋
KR101400461B1 (ko) * 2008-11-24 2014-05-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그로멧
KR20200077532A (ko) 2017-11-02 2020-06-3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JP2020141471A (ja) * 2019-02-28 2020-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6576B2 (ja) * 1995-02-06 2003-1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KR200406429Y1 (ko) * 2005-11-07 2006-01-20 경신공업 주식회사 다단 그로멧
KR20090006544U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다단형 그로멧
KR20100134763A (ko) * 2008-06-03 2010-12-23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그로밋
KR101400461B1 (ko) * 2008-11-24 2014-05-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그로멧
KR20200077532A (ko) 2017-11-02 2020-06-3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JP2020141471A (ja) * 2019-02-28 2020-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6564B2 (en) Roof airbag apparatus
US20180312130A1 (en) Roof airbag apparatus
US20110265286A1 (en) Grommet
US7189113B2 (en) Coaxial plug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US11155232B2 (en) Folding method of far-side airbag apparatus
KR20140143722A (ko) 밀봉 플러그
JP2003111250A (ja) グロメット
JP2020047360A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KR102350465B1 (ko) 확장 가능한 그로멧
US6372995B1 (en) Grommet
JP4353136B2 (ja) グロメット
KR102125036B1 (ko) 에어백 및 에어백 조립체
US20160009240A1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JP4221331B2 (ja) ウォッシャーチューブのグロメットへの固定構造
JP5912458B2 (ja) ガス供給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
JP4818842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6725698B2 (en) Method for forming tube end
KR101400461B1 (ko) 자동차용 그로멧
JP2005093091A (ja) コネクタカバー
JP3685028B2 (ja) グロメット
JPH11346422A (ja) グロメット
CN100434313C (zh) 气囊组件
JP3395784B1 (ja) グロメット
KR20220046337A (ko) 커튼 에어백장치용 램프브라켓
JP7290471B2 (ja) グロ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