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722A - 밀봉 플러그 - Google Patents

밀봉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722A
KR20140143722A KR20140068414A KR20140068414A KR20140143722A KR 20140143722 A KR20140143722 A KR 20140143722A KR 20140068414 A KR20140068414 A KR 20140068414A KR 20140068414 A KR20140068414 A KR 20140068414A KR 20140143722 A KR20140143722 A KR 20140143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folding
sealing plug
lip
sh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8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바일레르
Original Assignee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4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부품(14), 특히 차체 부품의 개구(12)를 밀봉하는 밀봉 플러그(10)는 밀봉면(18)에 의해 폐쇄되는 실질적으로 환형 또는 원통형 생크(shank)(16), 및 이 생크 상에 마련되고 원추형 구조를 갖는 밀봉 립(sealing lip)(20)을 구비한다. 이 밀봉 립은 부품(14)의 배면에서 제위치에 로킹되어 개구(12)를 폐쇄한다. 제1 밀봉 립(20)의 자유 에지(free edge)(44)는 조립된 상태에서 부품(14)의 배면(21)과 접촉한다. 밀봉 플러그의 밀봉 립(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접힘 구역(24)이 마련되며, 이 접힘 구역(24)은 밀봉 립(20)의 접힘 구역(24) 및/또는 에지(45)의 영역에서의 밀봉 립(20)의 둘레가 감소되도록 가역적으로 접힐 수 있다.

Description

밀봉 플러그{SEALING PLUG}
본 발명은, 부품, 특히 차체 부품의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 플러그로서, 밀봉면에 의해 폐쇄되는 실질적으로 환형 또는 원통형 생크(shank), 이 생크 상에 마련되고 원추형 구조를 갖는 밀봉 립(sealing lip)을 포함하고, 이 밀봉 립은 부품의 배면에서 제위치에 로킹되어 개구를 폐쇄하며, 밀봉 립의 자유 에지(free edge)는 조립된 상태에서 부품의 배면과 접촉, 특히 면접촉하는, 밀봉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밀봉 플러그는 예를 들면 DE 10 2009 018 395 A1, DE 34 46 151 A1, 또는 DE 10 2009 032 243 A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밀봉 플러그는 그 원추형 밀봉 립이 밀봉 립의 자유 에지가 부품의 배면측에서 제위치에 스냅 체결될 때까지 개구 내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장착이 완료된 경우, 밀봉 립은 개구를 둘러싸도록 부품의 배면에 기대어지며 이러한 식으로 개구를 밀봉한다. 밀봉 립이 원추형 구조를 갖고 그 직경이 개구보다 크기 때문에, 밀봉 립은 조립 시에 변형된다. 밀봉 립의 재료의 강성 및 밀봉 립과 개구 간의 직경차에 따라, 밀봉 립을 변형시켜 밀봉 플러그를 개구 내로 삽입하는 데에는 매우 큰 조립 힘이 요구된다. 그러나, 밀봉 립이 보다 가요성을 갖게 하거나 파형(wave shape)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 립을 절개(interruption)하는 것은 그러한 절개로 인해 밀봉 립이 더 이상은 개구 둘레에 연속하여 접촉할 수 없어 더 이상 개구를 밀봉할 수 없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조립 힘을 요구하는 조립을 가능하게 하지만, 여전히 밀봉 플러그가 확실하게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또한 개구가 신뢰성있게 밀봉될 수 있게 하는 밀봉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두에서 언급한 형태의 밀봉 플러그에 있어서 밀봉 립이 그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접힘 구역을 구비하도록 하되, 그 접힘 구역은 밀봉 립의 접힘 구역 및/또는 에지의 영역에서의 밀봉 립의 둘레가 감소되도록 가역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된다. 밀봉 립은 둘레 방향으로 완전히 폐쇄되어, 개구를 밀봉하도록 개구를 연속적으로 둘러싸게 그와 접촉할 수 있다. 하지만, 조립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접힘 구역이 마련되어, 밀봉 립은 접힘 구역이 접힌 상태에서 밀봉 립의 둘레를 감소시키도록 조립 시에 접힐 수 있다. 이러한 접힘 구역은 접힘 또는 변형에 대한 저항을 낮게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보다 작은 힘을 가함으로써 밀봉 립의 둘레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미조립 상태와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밀봉 립은 둘레 방향으로 완전히 폐쇄되어, 개구의 신뢰성 있는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중간 조립 상태에서는 밀봉 립이 접힘 구역에서 접혀져 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되고 보다 작은 조립 힘으로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접힘 구역은 밀봉 플러그를 개구 내로 삽입하는 중에 개구의 에지에 의한 밀봉 립의 변위에 의해 접힘이 말하자면 자동적으로 발생하게 한다. 즉, 임의의 변형이라기보다는 체계적 변형, 그 경우에는 접힘이 접힘 구역에 발생한다. 접힘 구역은 수고를 상당히 덜 드리고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예를 들면 굴곡 에지를 갖는다.
그러한 접힘은 밀봉 립의 원추부에 더 큰 경사를 부여하여, 밀봉 립의 자유 에지가 작은 둘레를 갖게 한다. 극단적인 경우에, 밀봉 립은 실린더를 형성하도록 접힘 구역에 의해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접힘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그 둘레가 적어도 개구의 둘레보다 작아질 정도로 감소될 수 있게 한다. 여하튼, 접힘 구역은 밀봉 립이 작은 힘을 수반하면서 간단한 방식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밀봉 립은 접힘 구역으로 인해 보다 낮은 저항을 갖고 개구를 통해 밀어 넣어질 수 있다.
그 후에, 접힘 구역은 개구의 배면측에서 다시 펼쳐져, 밀봉 립이 개구의 배면측에 그 둘레 방향으로 기대어질 수 있도록 된다.
이는 조립에 요구되는 힘이 작은 동시에 밀봉 플러그의 신뢰성 있는 밀봉을 보장하기 때문에 밀봉 플러그의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접힘 구역은 예를 들면 생크의 종방향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특히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접혀져, 접힌 상태에서는 밀봉 립의 외주를 지나 돌출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접힘 구역의 사이즈에 따라, 접힘 구역은 접힌 상태에서 생크를 향해 내측으로 보다 많은 혹은 보다 적은 정도로 연장하게 된다. 접힘 구역이 특별히 크게 형성되거나 밀봉 립이 생크에 매우 근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접힘 구역을 내측으로 접을 때에 접힘 구역이 생크에 기대어져 접힘 구역을 추가로 접는 것을 보다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생크에는 리세스가 마련될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의 접힘 구역이 그 리세스 내로 연장하게 된다.
생크는 밀봉면 및 밀봉 립과 함께 개구를 밀봉한다. 밀봉 플러그가 설치된 상태에서, 특히 생크에 리세스가 마련된 실시예에서 개구를 완전히 밀봉하기 위해, 생크에는 밀봉 립의 적어도 하나의 접힘 구역의 영역에, 특히 리세스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접힘 구역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2 접힘 구역은 생크의 리세스를 어느 정도 폐쇄하여, 생크가 그 둘레 방향으로 완전히 폐쇄되어 개구를 밀봉할 수 있다. 제2 접힘 구역은 제1 접힘 구역과 함께 내측으로, 특히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생크는 둘레 방향으로 폐쇄되며, 밀봉 립의 접힘 구역은 접힌 상태에서 생크 내로 여전히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접힘 구역은 서로 연결되어, 두 접힘 구역이 함께 내측으로 접히도록 된다. 또한, 그러한 연결은 밀봉 플러그가 완전히 폐쇄되어 개구를 신뢰성있게 밀봉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예를 들면, 접힘 구역은 각각 실질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된 2개의 접힘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두 접힘면은 각각 굴곡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제1 에지와, 굴곡 가능하게 밀봉 립에 연결된 제2 에지를 갖는다. 접힌 상태에서, 그 접힘면들은 서로 면접촉할 수 있지만, 공유된 에지에 의해 서로를 향해 적어도 상호 접힐 수 있다.
미조립 상태에서, 접힘 구역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접힘 구역은 미조립 상태에서 단지 약간의 사전 접힘(pre-folding)을 요하게 내측으로 사전에 접히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사전 접힘은 밀봉 플러그를 개구 내로 삽입하는 중에 접힘 구역의 접힘을 간단하게 한다.
밀봉면에 보다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밀봉면에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가 마련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보강 리브는 생크 상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또는 제2 접힘 구역에 마련된다. 이러한 보강 리브는 첫 번째로는 밀봉면에 대한 지지체를 제공하여, 그 밀봉면이 보다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로는 생크가 리세스 또는 제2 접힘 구역의 영역에서 보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 리브는 그 단면이 U자 형상을 하며, "U"자의 각각의 다리는 리세스의 에지에서 생크와 연결되도록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접힘 구역은 보강 리브 내로 접힌다. 이를 위해, 보강 리브는 일종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접힌 상태의 제1 및/또는 제2 접힘 구역이 수용 공간 내로 연장하게 된다.
밀봉 플러그의 조립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중앙에 배치된 압력면이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웹이 생크로부터 그 압력면까지 연장한다. 이 압력면은 보다 큰 조립 힘이 밀봉 플러그의 조립 중에 밀봉 플러그에 가해지는 것을 허용한다. 웹은 또한 예를 들면 보강 리브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밀봉면은 높은 조립 힘에 대한 보다 큰 저항을 달성하거나 고압의 경우에 개선된 밀봉을 달성하도록 예를 들면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밀봉 플러그를 개구 내로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접힘 구역이 요구된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접힘 구역이 복수 개로 마련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봉 플러그의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치되어, 밀봉 립과 생크가 둘레 방향으로 폐쇄되도록 밀봉 립과 생크는 접힘 구역에 의해 각각 서로 연결된 복수의 섹션으로 어느 정도로 분할된다. 각 접힘 구역의 영역에는 보강 리브가 각각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배치된 압력면으로부터 접힘 구역으로 별 모양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밀봉 플러그에서, 밀봉 플러그의 조립 상태에서 부품의 전면에 기대어져 개구를 밀봉하는 제2 밀봉 립이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이점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한다면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은 조립 힘을 요구하는 조립을 가능하게 하지만, 여전히 밀봉 플러그가 확실하게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또한 개구가 신뢰성있게 밀봉될 수 있게 하는 밀봉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플러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밀봉 플러그의 아래쪽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조립된 상태에서의 도 1의 밀봉 플러그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밀봉 플러그에서의 밀봉 립의 접힘 구역을 나타내는 제1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밀봉 플러그에서의 밀봉 립의 접힘 구역을 나타내는 제2 상세도이며,
도 6은 접힘 구역의 영역에서의 도 1의 밀봉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밀봉 플러그의 제2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의 차체 부분인 부품(14)의 개구(12)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 플러그(10)를 도시하고 있다(도 3 참조).
밀봉 플러그(10)는 원형 밀봉면(18)에 의해 폐쇄된 실질적으로 환형의 생크(16)를 포함한다. 생크의 외주 상에는 부품(14)의 배면(21)과 접촉하고 이러한 식으로 개구(12)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 립(20)이 마련된다(역시, 도 3 참조). 또한, 제1의 밀봉 립(20)과는 반대쪽으로 배향되어 부품(14)의 전면(23)과 접촉하고 이러한 식으로 개구(12)를 추가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제2 밀봉 립(22)이 더 마련된다. 두 밀봉 립(20, 22) 모두 원추형 구조를 가지며, 제2 밀봉 립(22)은 제1 밀봉 립(20)과는 반대쪽으로 배향된다.
밀봉 플러그(10)의 조립을 위해, 생크(16)가 삽입 방향(E)으로 개구(12) 내에 삽입되어, 밀봉 립(20)이 개구(12)의 에지(25)에 의해 변위되고 이러한 과정 중에 변형되어 밀봉 플러그(10)를 개구(12) 내로 더 삽입할 수 있도록 된다.
일단 밀봉 플러그(10)가 개구(12) 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나면, 밀봉 립(20)은 부품(14)의 배면(21) 상에서 다시 펼쳐져 그 원래의 형상을 다시 취하게 되어, 부품(14)의 배면(21)에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그 둘레에 걸쳐 기대어져 개구(12)를 밀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밀봉 립(22)은 부품(14)의 전면(23)에 특히 예비 장력(pretension)이 가해진 상태로 기대어져 제2 시일을 형성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밀봉 플러그들은 개구(12) 내로 삽입하는 중에 밀봉 립(20)을 변형시키기 위해 비교적 큰 조립 힘을 요구한다. 그 밀봉 립(20)은 개구(12)의 에지(25)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예를 들면 파형(wave shape)으로 변형되며, 이는 개구(20)의 강성 또는 개구(12)의 사이즈에 따라 매우 큰 조립 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러한 조립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플러그(10)는 밀봉 립(20) 상에 그 둘레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의 접힘 구역(24)을 포함한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접힘 구역(24)은 2개의 접힘면(26)에 의해 형성되며, 본 명세서에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그 접힘면들이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에지(28)가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E)으로 연장하는 굽힘 에지를 형성하며, 이 굽힘 에지를 중심으로 하여 접힘면(26)들이 각각 밀봉 립(20)을 향해 선회될 수 있다. 접힘면(26)은 제1 에지(28)와는 반대쪽의 제2 에지(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지(28, 30)는 각각 실질적으로 밀봉 플러그(10)의 중심축선(M)을 통과해 연장하는 평면 내에 배치된다.
특히,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생크에는 접힘 구역(24)의 영역 각각에 리세스(32)가 마련되며, 이 리세스 내로 접힘 구역(24) 또는 접힘면(26)이 생크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내측으로, 특히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리세스(32)에는 역시 한 쌍의 접힘면(36)으로 각각 이루어진 제2 접힘 구역(34)이 마련되며, 그 접힘면(36)들은 각각 힌지 형태로 생크(16)에 연결된 제1 에지(38) 및 그들을 힌지 형태로 서로 연결하는 반대쪽의 제2 에지(40)를 구비한다.
제1 접힘 구역(24) 및 제2 접힘 구역(34)의 접힘면(26, 36)들은 각각 삽입 방향(E)에서의 전방 에지인 에지(42, 44) 각각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리세스(32)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된다.
밀봉 플러그(10)가 개구(12) 내로 삽입될 때, 밀봉 립(20)은 개구(12)의 에지와 접촉하게 되어, 그 에지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박된다. 이는 접힘 구역(24)이 중심축선(M)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접히게, 즉 접힘면(26)들이 서로를 향해서는 물론 밀봉 립(20)을 향해 선회되게 한다. 따라서, 접힘 구역(26)은 밀봉 립(20)이 이를 테면 콘서티나(concertina) 형상으로 접히게 한다.
이는 접힘 구역(24)의 영역에서의 밀봉 립(20)의 둘레를 감소시켜 밀봉 플러그(10)가 낮은 저항을 갖고 개구(12)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극단적인 경우에, 밀봉 립(20)은 원통형 외주부를 갖거나 적어도 개구(12)보다 작은 둘레를 가질 정도로 접힘 구역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세스(32)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압력면(48)에 이르기까지 각각 연장하는 보강 리브(46)들이 더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보강 리브(46)는 밀봉면(18)이 높은 압력 또는 보다 큰 조립 힘에 견딜 수 있도록 밀봉면(18)을 안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강 리브(46)는 각각 U자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보강 리브(46)에는 접힘 구역(24, 34)을 위한 수용 공간(50)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 리브(46)는 리세스(32)에 바로 인접하여, 리세스(32)에 의해 형성된 생크(16)에서의 절개부가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안정되고 밀봉된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봉 립(20)의 자유 에지(45)는 접힘 구역(24)의 일부분이 아니다. 그러나, 자유 에지(45)가 접힘 구역(24)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접힘 구역(24)이 접힐 때에 접힘 구역(24)과 함께 변형되며, 이 과정 중에 자유 에지(45)에는 예비 장력이 가해진다.
밀봉 립(20)이 개구(12) 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나면, 그러한 예비 장력 및/또는 접힘면(26)들의 서로를 향해서는 물론 밀봉 립(20)에 대한 선회로 의해 생성되는 예비 장력은 접힘 구역(24)이 그 원래의 형상을 취하도록 다시 펼쳐지게 하여, 밀봉 립(20)의 직경이 개구(12)의 직경보다 다시 커지도록 한다. 그러면, 밀봉 립(20)은 개구(12)를 둘러싸고 그 개구(12)를 밀봉하도록 부품(14)의 배면(21) 상에 기대어질 수 있다.
밀봉 립(20)의 자유 에지(45)가 접힘 구역(24)의 일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부품(14)과의 밀봉 립(20)의 보다 양호한 접촉, 나아가서는 개구(12)의 보다 양호한 밀봉을 보장한다. 그러나, 밀봉 립(20)의 자유 에지(45)를 접힘 구역(24)의 일부분으로 하는 것도 역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접힘 구역(24, 34)이 사전에 약간 내측으로 접혀져, 밀봉 플러그(10)의 조립 중에 보다 용이하게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접힘 구역(24)으로 인해 접힘에 대한 저항이 상당히 작기 때문에, 밀봉 립(20)의 연속적인 에지(45)의 경우더라도 조립 힘이 상당히 작게 된다.
요구되는 조립 힘에 따라, 접힘 구역(24)은 밀봉 립(20)의 외주 상에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개구(12) 내로 밀봉 플러그(10)의 간단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밀봉 립(20)의 둘레를 접힘 구역(24)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실히 해야 할 것이다. 밀봉 립(20)으로부터 생크(16)의 거리에 따라, 생크(16) 상에 리세스(32) 또는 제2 접힘 구역(34)의 마련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밀봉면(18)이 충분한 고유의 안정성을 갖고 있다면 어떠한 보강 리브(46)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봉면(18)은 삽입 방향(E)과는 반대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높은 압력 또는 큰 조립 힘에 대한 추가적인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10 : 밀봉 플러그
12 : 개구
14 : 부품
16 : 생크
18 : 밀봉면
20 : 밀봉 립
21 : 부품의 배면
22 : 제2 밀봉 립
24 : 접힘 구역
26 : 접힘면
32 : 리세스
34 : 제2 접힘 구역
36 : 제2 접힘 구역의 접힘면
44 : 밀봉 립의 자유 에지
45 : 밀봉 립의 에지
46 : 보강 리브
48 : 압력면

Claims (13)

  1. 부품(14), 특히 차체 부품의 개구(12)를 밀봉하는 밀봉 플러그(10)로서:
    밀봉면(18)에 의해 폐쇄되는 실질적으로 환형 또는 원통형 생크(shank)(16), 이 생크 상에 마련되고 원추형 구조를 갖는 밀봉 립(sealing lip)(20)을 포함하고, 이 밀봉 립은 상기 부품(14)의 배면에서 제위치에 로킹되어 개구(12)를 폐쇄하며, 이 제1 밀봉 립(20)의 자유 에지(free edge)(44)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14)의 배면(21)과 접촉하는 밀봉 플러그(10)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접힘 구역(24)이 마련되며, 이 접힘 구역(24)은 밀봉 립(20)의 접힘 구역(24) 및/또는 에지(45)의 영역에서의 밀봉 립(20)의 둘레가 감소되도록 가역적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구역(24)은 상기 생크(16)의 종방향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특히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16)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32)가 마련되며, 접힌 상태에서의 상기 접힘 구역(24)이 리세스(32) 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16)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힘 구역(24)의 영역에,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32)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접힘 구역(34)이 마련되며, 이 제2 접힘 구역(34)은 제1 접힘 구역(24)과 함께 내측으로, 특히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 구역(24) 및 제2 접힘 구역(34)은 두 접힘 구역(24, 34)이 함께 접히도록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6. 제1항에 있어서, 접힘 구역(24, 34)은 각각 실질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된 2개의 접힘면(26, 36)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두 접힘면(26, 36)은 각각 굴곡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제1 에지(30)와, 굴곡 가능하게 상기 밀봉 립(20)에 연결된 제2 에지(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7. 제6항에 있어서, 미조립 상태에서, 접힘 구역(24, 34)은 내측으로 사전에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면(18)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46)가 마련되며, 이 보강 리브(46)는 보다 구체적으로 U자형 단면을 갖는 한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크(16)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3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접힘 구역(34)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46)는 수용 공간(50)을 포함하며, 접힌 상태에서의 제1 접힘 구역(24) 및/또는 제2 접힘 구역(34)이 수용 공간(50) 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10. 제8항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된 압력면(48)이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46)는 생크(16)로부터 압력면(48)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면(18)은 볼록하게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1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접힘 구역(24) 및 제2 접힘 구역(34)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봉 플러그(10)의 둘레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13. 제1항에 있어서, 제2 밀봉 립(22)이 마련되며, 이 제2 밀봉 립(22)은 밀봉 플러그(10)가 조립된 상태에서 부품(14)의 전면에 기대어져 개구(12)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플러그.
KR20140068414A 2013-06-07 2014-06-05 밀봉 플러그 KR201401437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5925.2A DE102013105925A1 (de) 2013-06-07 2013-06-07 Dichtstopfen
DE102013105925.2 2013-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722A true KR20140143722A (ko) 2014-12-17

Family

ID=5084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8414A KR20140143722A (ko) 2013-06-07 2014-06-05 밀봉 플러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61015A1 (ko)
EP (1) EP2810855B1 (ko)
KR (1) KR20140143722A (ko)
CN (1) CN104235364A (ko)
DE (1) DE102013105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0598A1 (de) * 2013-06-26 2014-12-31 Illinois Tool Works Inc. Verschlussstopfen für eine Öffnung in einer Karosseriestruktur eines Automobils
CH711627B1 (de) * 2015-10-13 2019-12-30 Morach Christoph Vorrichtung für Elektroinstallationen.
EP3363715B1 (en) * 2017-02-21 2020-03-25 Newfrey LLC Closing plug for closing an opening
DE102019122038B4 (de) 2019-08-16 2021-03-25 Illinois Tool Works Inc. Verschlussstopfen zum Verschließen von Löchern in Gegenständen, insbesondere zum Verschließen von Karosserielöchern von Fahrzeugkarosserien
DE102020007221A1 (de) 2020-11-25 2022-05-25 Pöppelmann Holding GmbH & Co. KG Verschlusselement
DE102022126780A1 (de) 2021-10-29 2023-05-04 Illinois Tool Works Inc. Verschlussstopfen
DE102023119003A1 (de) 2022-08-11 2024-02-22 Illinois Tool Works Inc. Verschlussscheib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dichtenden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s Trägerbauteils mit einer solchen Verschlussscheibe
DE102023126008A1 (de) 2022-10-04 2024-04-04 Illinois Tool Works Inc. Verschlussstopfen
WO2024086528A1 (en) 2022-10-21 2024-04-25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piece sealing plu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6372A (en) * 1961-12-19 1964-11-10 George K Parker Closure for the exhaust opening of a jet engine
DE2454078A1 (de) * 1973-11-14 1975-05-15 United Carr Ltd Stopfen zum verschluss einer oeffnung in einem plattenfoermigen bauteil
DE8437046U1 (de) * 1984-12-18 1986-01-23 Akzo N.V., Arnhem Verschlußdeckel aus Kunststoff
JPH0619170B2 (ja) * 1986-01-22 1994-03-16 株式会社ニフコ 板の留め具
JP2834767B2 (ja) * 1989-05-01 1998-12-14 株式会社ニフコ ホールプラグ構造
US5292017A (en) * 1993-01-26 1994-03-08 Calmar Inc. Child-resistant closure with easy opening feature
FR2805503B1 (fr) * 2000-02-28 2002-05-31 Itw De France Obturateur pour une ouverture realisee dans une tole
JP2002211618A (ja) * 2001-01-19 2002-07-31 Mfv Kk 容器の異物混入防止構造
DE10333578B3 (de) * 2003-07-24 2004-10-14 A. Raymond & Cie Abdeckkappe
US20060201957A1 (en) * 2005-03-11 2006-09-14 Electrical Trade Development Corp. Enclosure plug
ES1067533Y (es) * 2008-03-17 2008-08-16 Itw Espana Sa Tapon obturador de orificios en chapas
US20090283526A1 (en) * 2008-04-25 2009-11-19 David Pierce Molded, recyclable, compostable cellulose fiber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DE102009018395B4 (de) * 2009-04-22 2011-02-10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Dichtstopfen
DE102009032243A1 (de) * 2009-07-03 2011-01-05 Illinois Tool Works Inc., Glenview Verschlussstopfen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DE202010005749U1 (de) * 2010-04-19 2011-09-0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Dichtstop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0855B1 (de) 2016-09-07
DE102013105925A1 (de) 2014-12-11
CN104235364A (zh) 2014-12-24
US20140361015A1 (en) 2014-12-11
EP2810855A1 (de)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3722A (ko) 밀봉 플러그
US9233652B2 (en) Closure plug
US10655662B2 (en) Connecting device between components of a piece of furniture
JP6122336B2 (ja) ホールプラグ
JP5880457B2 (ja) グロメット
CN104373693B (zh) 用于流体管路的壁贯通元件及壁贯通机构
CN108138998B (zh) 包括用于一系列管道直径的可折叠密封件的管道联接件
JP6152822B2 (ja) グロメット
US9970580B2 (en) Backlash-free plug-in connection for pipe lines and hose lines
US10574046B2 (en) Grommet and grommet-equipped wire harness
WO2019063752A3 (en) Tolerance ring
KR102430132B1 (ko) 적응형 밀봉 구멍 플러그
US10927922B2 (en) Hydraulic mount
JP7138120B2 (ja) プリアセンブリを用いて二つの管を連結する装置
CA299367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 restrained joint seal and lock
WO2012157614A1 (ja) ホールプラグ
EP3270013A1 (en) Sealing device
JP6019539B2 (ja) パイプ用カプラ
KR102258238B1 (ko) 폴더블 마운트 부싱
KR101410280B1 (ko) 파이프용 커플러
JP6975023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グロメット取付構造
JP2021048657A (ja) グロメット
FR3084856A1 (fr) Coque de réservoir et/ou de chargement avec agencement d'étanchéité
JP5684062B2 (ja) 枝管接続部構造
JP6273531B2 (ja) ワイパーグロ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