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219B1 - 그로밋 - Google Patents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219B1
KR101354219B1 KR1020127029469A KR20127029469A KR101354219B1 KR 101354219 B1 KR101354219 B1 KR 101354219B1 KR 1020127029469 A KR1020127029469 A KR 1020127029469A KR 20127029469 A KR20127029469 A KR 20127029469A KR 101354219 B1 KR101354219 B1 KR 10135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ortion
grommet
wire insertion
hol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767A (ko
Inventor
다카시 오쿠하라
츠토무 사카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삽입관부를 구비한 그로밋의 외주에 있는 차체 결합 리세스를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그로밋을 상기 관통 구멍에 장착하는 경우에, 와이어 삽입관부가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에 의해 걸려서, 차체 결합 리세스측을 향해 구부러지고,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와 차체 결합 리세스의 사이에 들이끼이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그로밋이 관통 구멍에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그로밋은, 중심축선을 따라 마련된 와이어 하네스 삽입용 중심관부와, 환형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중심관부의 외주면에 연속해 있고 상기 중심관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중심관부를 둘러싸는 대직경관부와, 상기 대직경관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환형의 차체 결합 리세스, 그리고 상기 중심관부 둘레의 편심 위치에서 상기 환형 접속부의 개구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케이블과 호스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 삽입관부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의 중심축선측의 베이스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의 중심축선측의 외주면과 상기 중심관부의 주변벽의 사이에는 리브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그로밋{GROMMET}
본 발명은 그로밋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또는 호스가 관통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관부를 구비하는 그로밋에 대한 기술로서, 차체의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와 그로밋의 차체 결합 리세스를 결합시킴으로써 그로밋을 상기 관통 구멍에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와 상기 차체 결합 리세스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가 들이끼이는 것으로 인하여, 그로밋이 상기 관통 구멍에 불완전하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에 있어서 엔진실에서부터 객실로 배선된 와이어 하네스의 외측에 그로밋이 끼워지고, 엔진실과 객실을 구획하는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가 보호되고, 물, 먼지 및 소리가 엔진실측으로부터 객실로 새어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많은 경우에, 엔진실에서부터 객실로 배선된 선재(線材), 예컨대 후드를 개방하기 위한 후드 오프너 케이블, 워셔 호스, 딜러 옵션용 회로 등이, 그로밋을 통해 삽입된다.
이러한 타입의 그로밋의 예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96741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그로밋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밋(1)은 소직경관부(2)와 대직경관부(3)를 포함한다. 소직경관부(2)는 와이어 하네스(W/H)가 꼭 맞게 삽입되는 중앙 관통 구멍(2a)을 구비한다. 대직경관부(3)는, 소직경관부(2)와 동심 관계를 이루며, 대직경관부(3)의 확경측과 소직경관부(2)의 외주면 사이에 공간을 갖도록, 소직경관부의 외측에 끼워져 있다. 대직경관부(3)의 확경단부측의 외주면에는, 엔진실(X)과 객실(Y)을 구획하는 차체 패널(6)의 관통 구멍(7)의 주변 가장자리(7a)와 결합하는 차체 결합 리세스(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삽입관부(5)가 상기 대직경관부(3)의 중심에서 떨어진 위치로부터 축경단부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데, 이 와이어 삽입관부(5)에는 오프너 케이블, 워셔 호스 등의 선재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와이어 삽입관부(5)의 선단이 폐쇄 단부이고, 와이어 삽입관부(5)의 전체 둘레에는, 상기 폐쇄 단부를 절단하여 개방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리브(rib) 형상의 절단 라인(5a)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 삽입관부(5)의 폐쇄 단부는, 케이블 호스 등의 선재가 삽입되는 경우, 절단 라인(5a)에서 절단을 실시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도 8의 (A)에서 화살표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에 부착된 그로밋(1)을, 상기 축경단부측을 선두로 하여, 엔진실(X)에서부터 객실(Y)을 향하는 방향으로, 차체 패널(6)의 관통 구멍(7)에 간단히 압입한다. 이에 따라, 그로밋(1)의 차체 결합 리세스(4)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7)의 주변 가장자리(7a)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 관통 구멍(7)에의 그로밋(1)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러나, 그로밋(1)을 관통 구멍(7)에 장착할 때, 그로밋(1)의 중심축선이 관통 구멍(7)의 축선과 일렬로 배열되도록 그로밋(1)을 똑바로 하여 삽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그로밋(1)은 종종 삽입시에 어느 정도 편이(偏移)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관통 구멍(1)이 버어(burr)를 갖는 구멍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관부(5)의 리브 형상의 절단 라인(5a)이 튀어나온 주변 가장자리(7a)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삽입관부(5)는 차체 결합 리세스(4)측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고, 관통 구멍(7)의 주변 가장자리(7a)와 차체 결합 리세스(4)의 사이에 들이끼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삽입관부(5)가 들이끼이게 되면, 그로밋(1)의 차체 결합 리세스(4)와 관통 구멍(7)의 주변 가장자리(7a) 사이에 불완전한 감합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관통 구멍(7)에 그로밋(1)이 불안정하게 장착되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96741호 공보
본 발명은, 와이어 삽입관부를 구비한 그로밋의 외주에 있는 차체 결합 리세스를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그로밋을 상기 관통 구멍에 장착하는 경우에, 와이어 삽입관부가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에 걸려서, 차체 결합 리세스측을 향해 구부러지고,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와 차체 결합 리세스의 사이에 들이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그로밋이 관통 구멍에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축선을 따라 마련된 와이어 하네스 삽입용 중심관부; 환형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중심관부의 외주면에 연속해 있고, 상기 중심관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중심관부를 둘러싸는 대직경관부; 상기 대직경관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환형의 차체 결합 리세스; 및 상기 중심관부 둘레의 편심 위치에서 상기 환형 접속부의 개구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케이블과 호스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 삽입관부를 포함하는 그로밋을 제공한다.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에 있어서 베이스보다 선단측에 더 가깝게 소직경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의 중심축선측의 상기 베이스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선측의 반원 상의 외면과 상기 중심관부의 주변벽의 사이에만, 한 쌍의 리브 또는 반원방향으로 연속해 있는 하나의 리브가 마련되어 있고, 선재의 삽입시에 상기 소직경부의 선단에 있는 폐쇄 단부를 절단하여 개방하는 리브 형상의 절단 라인이, 상기 소직경부의 차체 결합 리세스측의 반원 부분에만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의 중심축선측의 베이스를 보강하기 위해, 본 발명의 그로밋은,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의 대직경 베이스의 중심축선측의 외주면과 와이어 하네스가 관통 삽입되는 상기 중심관부의 주변벽의 사이에 있는 반원측에만 마련되는 리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그로밋의 외주면 상의 차체 결합 리세스와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를 결합하여 그로밋을 관통 구멍에 장착하는 프로세스 동안에, 와이어 삽입관부가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에 걸리더라도, 와이어 삽입관부의 중심축선측의 외주면은 상기 리브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와이어 삽입관부는, 그로밋의 외주면 상의 차체 결합 리세스측으로 크게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와 차체 결합 리세스의 사이에 와이어 삽입관부가 들이끼이는 것이 방지되어, 그로밋이 관통 구멍에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삭제
또한, 폐쇄 단부를 절단하여 개방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리브 형상의 절단 라인이,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관부의 선단측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부의 외주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단 라인은 그로밋의 외주측의 반원 상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종래 기술의 일례에서는, 와이어 삽입관부의 선단측이 차체의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를 향해 구부러지는 경우, 와이어 삽입관부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마련된 리브 형상의 절단 라인의 중심축선측의 부분이 차체의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에 걸려, 와이어 삽입관부가 차체 결합 리세스측을 향해 더 구부러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관부의 외주면 상의 리브 형상의 절단 라인은, 그로밋의 중심축선측의 반원 상의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그로밋의 외주측의 반원 상의 부분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와이어 삽입관부가 차체 결합 리세스측을 향해 구부러지는 경우에, 와이어 삽입관부의 중심축선측이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에 걸리는 상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절단 라인을 그로밋의 외주측의 반원 상의 부분에 마련함으로써, 절단 위치를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어, 절단 작업 중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그로밋에서는, 차체의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와 결합하는 환형의 차체 결합 리세스가, 대직경관부의 일단부측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고, 이 대직경관부의 직경은 타단부측을 향해 갈수록 줄어든다.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는, 대직경관부의 주변벽에 마련된 개구의 주변 가장자리에서부터 축경된 전방 단부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그로밋을, 상기 축경된 전방 단부를 선두로 하여, 차체의 관통 구멍에 삽입하고, 확경된 타단부 상의 차체 결합 리세스를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축경된 전방 단부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와이어 삽입관부는,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 특히 버어와 같이 튀어나온 주변 가장자리에 쉽게 걸린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용 리브를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의 베이스의 중심축선측의 반원 부분에만 마련함으로써, 와이어 삽입관부가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에 의해 걸리더라도, 선단측의 소직경부만이 휘고, 전체 와이어 삽입관부는 차체 결합 리세스측으로 구부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어 삽입관부가 들이끼이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로밋에서는, 와이어 삽입관부의 축선측의 베이스를 보강하기 위해, 와이어 삽입관부의 중심축선측의 반원 상의 외면과, 와이어 하네스가 관통 삽입되는 중심관부의 주변벽의 사이에 리브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그로밋의 외주면 상의 차체 결합 리세스와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를 결합하여 그로밋을 관통 구멍에 장착하는 프로세스 동안에, 와이어 삽입관부가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에 걸리더라도, 와이어 삽입관부의 중심축선측의 외주면은 리브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와이어 삽입관부는, 그로밋의 외주면 상의 차체 결합 리세스측으로 크게 구부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어 삽입관부가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와 차체 결합 리세스의 사이에 들이끼이는 것이 방지되어, 그로밋이 관통 구멍에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인출측에서 바라본 본 실시형태의 그로밋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개략 사시도이고, (B)는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그로밋의 인출측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그로밋이 와이어 하네스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와이어 하네스에 부착된 그로밋을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장착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A)는 장착 이전의 상태를, (B)는 장착 이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그로밋을 장착하는 작업 동안에, 와이어 삽입관부가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에 걸려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는 종래 기술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그로밋을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밋(10)은, 자동차에서 차체 패널(30)에 마련된 관통 구멍(31)을 통해 엔진실(X)측으로부터 객실(Y)측으로 배선된 와이어 하네스(W/H)에 부착되어, 차체 패널(30)의 관통 구멍(31)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그로밋(10)은, 간단히 엔진실(X)측으로부터 밀어넣음으로써 차체 패널(30)의 관통 구멍(31)에 장착될 수 있는 원모션(one-motion) 타입의 그로밋이다. 그로밋(10)에 있어서 확경되어 있는 일단부가 압입측이고, 축경되어 있는 타단부가 인출측이다. 그로밋(10)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일체 성형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밋(10)은 소직경을 갖는 중심관부(11)와 대직경관부(12)를 포함한다. 중심관부(11)에는, 와이어 하네스(W/H)가 중심축선(L)을 따라 꼭 맞게 관통 삽입되는 중앙 관통 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관부(12)는 중심관부(11)의 외주면의 외측에 끼워지며, 그 직경이 압입측으로부터 인출측으로 갈수록 줄어든다.
대직경관부(12)는 환형 접속부(13)를 통해 중심관부(11)의 그 길이방향의 중간에서의 외주면(11b)과 연속해 있다. 대직경관부(12)는 중심관부(11)와 동심 관계를 이루고, 대직경관부(12)의 압입측인 확경측과 중심관부(11)의 외주면 사이에 공간을 갖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W/H)의 구부러짐 등에 의해 야기되는 중심관부(11)의 변형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대직경관부(12)에 있어서 관통 구멍(31)과 결합되어 있는 부분[후술하는 차체 결합 리세스(16)]에 전달될 가능성이 매우 낮고, 그 결과 우수한 밀봉력이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형 접속부(13)는 그로밋(10)의 압입측을 폐쇄하고, 대직경관부(12)는 환형 접속부(13)의 외주에 연속해 있는 후벽부(厚壁部)(14)로부터 인출측으로 경사져 연장된다. 대직경관부(12)에는, 상기 후벽부(14)에 연속해 있고 직경이 인출측을 향해 갈수록 줄어드는 주변벽(15)이 마련되어 있다. 후벽부(14)와 주변벽(15)의 확경단부 사이의 경계에서의 외주면에는, 차체 패널(30)에 마련된 버링 구멍인 관통 구멍(31)의 주변 가장자리에 있는 버어(31a)와 결합하는 환형의 차체 결합 리세스(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인출 전방 단부측의 관부(17)가 중심관부(11)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주변벽(15)의 축경단부로부터 이어져 있다.
또한, 관통 구멍(31)에의 삽입에 대한 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확경단부에서부터 상기 축경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단차형 돌출부(18)가, 주변벽(15)의 외면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6개의 돌출부(18)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의 돌출량은 차체 결합 리세스(16)를 향해 갈수록 점점 줄어든다. 또한, 주변벽(15)이 쉽게 변형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주변벽(15)의 외면에 있어서 돌출부(18)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 홈(19)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그로밋(10)은 쉽게 압입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그로밋(10)에서, 주변벽(15)은 후드 오프너 케이블과 워셔 호스가 각각 관통 삽입되는 개구(20 및 21)를 포함한다. 와이어 삽입관부(22 및 23)가 개구(20 및 21)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축경단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후드 오프너 케이블이 관통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관부(22)는, 기단측의 베이스(22a)보다 선단측에 더 가까운 소직경부(22b)를 갖는다. 베이스(22a)에 있어서 중심축선(L)측의 반원 위치에 있는 외주면과, 인출 전방 단부측의 관부(17)의 주변벽의 사이에 리브(2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 삽입관부(22)의 베이스(22a)의 중심축선측이 보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중심축선(L)측의 반원 위치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양측에 한 쌍의 리브(24)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둘레방향으로 연속해 있는 하나의 리브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드 오프너 케이블이 관통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관부(22)의 중심축선(L)측의 외주면에 리브(24)에 마련되어 있다. 와이어 삽입관부(22)는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을 갖고, 차체 결합 리세스(16)측으로 구부러져 들이끼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워셔 호스가 관통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관부(23)의 외주면에, 필요에 따라 유사한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폐쇄 단부를 갖는 와이어 삽입관부(22)의 소직경부(22b)의 외주면에는, 리브 형상의 절단 라인(25)이 마련되어 있다. 절단 라인(25)은 소직경부(22b)의 중심축선(L)측의 반원 부분에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절단 라인(25)은 차체 결합 리세스(16)측의 반원 부분에만 마련되어 있다. 후드 오프너 케이블을 와이어 삽입관부(22)에 삽입하는 경우, 와이어 삽입관부(22)의 소직경부(22b)의 폐쇄 단부를 개방하기 위해, 절단 라인(25)을 따라 절단을 실시한다. 또한, 워셔 호스가 관통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관부(23)의 경우도, 외주면의 반원 부분에만 절단 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그로밋(10)의 압입측의 환형 접속부(13)에는, 주변벽(15)의 개구(20 및 21)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26 및 27)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26 및 27)에는 후드 오프너 케이블과 워셔 호스가 각각 관통 삽입되어 있다. 삽입부(28 및 29)가 와이어 삽입관부(22 및 23)에 연결되어 있고, 개구(26 및 27)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그로밋(1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와이어 하네스(W/H)를 그로밋(10)에 부착하기 위해, 중심관부(11)의 중앙 관통 구멍(11a)을 지그(도면에 도시 생략)로 넓혀 놓은 상태에서, 와이어 하네스(W/H)의 전선 그룹을 삽입한다. 삽입이 완료된 후, 중심관부(11)의 양단부[인출 단부(11Y) 및 압입 단부(11X)]로부터 나와 있는 와이어 하네스(W/H)를, 중심관부(11)의 상기 양단부[인출 단부(11Y) 및 압입 단부(11X)] 각각에 접착 테이프(40)로 고정한다(도 4 참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에 부착된 그로밋(10)을, 엔진실(X)과 객실(Y)을 구획하는 차체 패널(30)에 있는 버어(31a)를 구비한 관통 구멍(31)에 삽입하고 장착한다. 관통 구멍(31)에 그로밋(10)을 장착하기 위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엔진실(X)측에 있는 중심관부(11)의 인출단부(11Y)를 차체 패널(30)의 관통 구멍(31)에 삽입한다. 이어서, 그로밋(10)에 부착된 와이어 하네스(10)를 작업자가 붙잡고서, 그로밋(10)을 축경단부측을 선두로 하여 관통 구멍(31)에 압입한다. 이러한 장착 작업 동안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실(X)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관통 구멍(31)의 버어(31a)에 걸려 와이어 삽입관부(22)의 소직경부(22b)가 반전(反轉)되고 와이어 삽입관부(22)의 중심축선측이 버어(31a)와 접촉하게 되더라도, 와이어 삽입관부(22)는 외주측의 차체 결합 리세스(16)에 닿게 될 정도로 크게 구부러지지는 않는다. 이는, 베이스(22a)의 중심축선(L)측의 외주면과, 인출 전방 단부측의 관부(17)의 주변벽의 사이에 마련된 리브(24)에 의해, 와이어 삽입관부(22)의 베이스(22a)의 중심축선(L)측이 보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와이어 삽입관부(22)는 관통 구멍(31)의 버어(31a)와 차체 결합 리세스(16)의 사이에 들이끼이지 않는다. 따라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결합 리세스(16)가 버어(31a)에 확실하게 감합된 상태로, 그로밋(10)이 관통 구멍(31)에 장착된다.
또한, 와이어 삽입관부(22)의 소직경부(22b)의 외주면에 있는 리브 형상의 절단 라인(25)은, 중심축선(L)측의 반원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차체 결합 리세스(16)측의 반원 부분에만 마련된다. 이에 따라, 리브 형상의 절단 라인(25)은 버어(31a)의 선단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어 삽입관부(22)가 차체 결합 리세스(16)측을 향해 구부러질 가능성이 있는 상황인, 와이어 삽입관부(22)가 중심축선(22L)측에서 버어(31a)에 걸리는 상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10 : 그로밋
11 : 중심관부
11a : 중앙 관통 구멍
12 : 대직경관부
16 : 차체 결합 리세스
20, 21 : 개구
22, 23 : 와이어 삽입관부
22a : 베이스
22b : 소직경부
24 : 리브
25 : 절단 라인
30 : 차체 패널
31 : 관통 구멍
31a : 관통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버어)

Claims (3)

  1. 중심축선을 따라 마련된 와이어 하네스 삽입용 중심관부;
    환형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중심관부의 외주면에 연속해 있고, 상기 중심관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중심관부를 둘러싸는 대직경관부;
    상기 대직경관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환형의 차체 결합 리세스; 및
    상기 중심관부 둘레의 편심 위치에서 상기 환형 접속부의 개구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케이블과 호스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 삽입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에 있어서 베이스보다 선단측에 더 가깝게 소직경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삽입관부의 중심축선측의 상기 베이스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선측의 반원 상의 외면과 상기 중심관부의 주변벽의 사이에만, 한 쌍의 리브 또는 반원방향으로 연속해 있는 하나의 리브가 마련되어 있고; 선재의 삽입시에 상기 소직경부의 선단에 있는 폐쇄 단부를 절단하여 개방하는 리브 형상의 절단 라인이, 상기 소직경부의 차체 결합 리세스측의 반원 부분에만 마련되어 있는 것인 그로밋.
  2. 삭제
  3. 삭제
KR1020127029469A 2010-06-07 2010-12-06 그로밋 KR101354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0025 2010-06-07
JP2010130025A JP5408043B2 (ja) 2010-06-07 2010-06-07 グロメット
PCT/JP2010/071791 WO2011155088A1 (ja) 2010-06-07 2010-12-06 グロ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767A KR20130029767A (ko) 2013-03-25
KR101354219B1 true KR101354219B1 (ko) 2014-01-22

Family

ID=4509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469A KR101354219B1 (ko) 2010-06-07 2010-12-06 그로밋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95860B2 (ko)
EP (1) EP2579410A4 (ko)
JP (1) JP5408043B2 (ko)
KR (1) KR101354219B1 (ko)
CN (1) CN102934306B (ko)
AU (1) AU2010354869B2 (ko)
WO (1) WO2011155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6380B2 (en) * 2013-08-13 2016-04-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Grommet for cable hanger
CN107408431B (zh) * 2015-04-07 2019-04-02 住友电装株式会社 护线套及线束
JP6512136B2 (ja) * 2016-03-01 2019-05-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7169424A (ja) * 2016-03-18 2017-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CN106058756A (zh) * 2016-07-29 2016-10-26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线束保护装置
JP6860535B2 (ja) * 2018-09-10 2021-04-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FR3103645A1 (fr) * 2019-11-22 2021-05-28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asse-ga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839A (ja) 1999-11-15 2001-05-22 Suzuki Motor Corp バンパの配設構造
WO2009147761A1 (ja) 2008-06-03 2009-1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4717A (ja) 1982-12-21 1984-07-02 株式会社東芝 真空開閉装置用真空バルブの製造法
JPS59114717U (ja) * 1983-01-24 1984-08-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グロメツト
JPH0969320A (ja) * 1995-08-31 1997-03-11 Yazaki Corp グロメット
US6495767B2 (en) * 2000-09-22 2002-12-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JP3714166B2 (ja) * 2001-01-25 2005-11-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4091277B2 (ja) * 2001-07-18 2008-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3918486B2 (ja) * 2001-09-28 2007-05-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4056727B2 (ja) * 2001-10-29 2008-03-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US6897380B2 (en) * 2002-11-29 2005-05-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for a wire harness
JP5136222B2 (ja) * 2008-06-03 2013-02-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5458878B2 (ja) * 2009-12-28 2014-04-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収納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839A (ja) 1999-11-15 2001-05-22 Suzuki Motor Corp バンパの配設構造
WO2009147761A1 (ja) 2008-06-03 2009-1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9410A1 (en) 2013-04-10
CN102934306A (zh) 2013-02-13
AU2010354869B2 (en) 2014-02-06
KR20130029767A (ko) 2013-03-25
US20130043059A1 (en) 2013-02-21
JP2011259553A (ja) 2011-12-22
JP5408043B2 (ja) 2014-02-05
WO2011155088A1 (ja) 2011-12-15
CN102934306B (zh) 2016-08-03
EP2579410A4 (en) 2014-09-03
US8895860B2 (en)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219B1 (ko) 그로밋
KR101092798B1 (ko) 그로밋
KR101118392B1 (ko) 그로밋
KR101118771B1 (ko) 그로밋
EP2246950B1 (en) Grommet
KR101078482B1 (ko) 그로밋
KR101089468B1 (ko) 그로밋
US20140166825A1 (en) Clamp
EP2075887A1 (en) Corrugated clamp
WO2010073856A1 (ja) グロメット
US20180138676A1 (en) Water-proofing member
JP3637851B2 (ja) 補助具付グロメット
JP5136223B2 (ja) グロメット
JP5327022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JP6673429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409472B1 (ko) 이중 구조를 갖는 그로멧 결합장치
JP2022038668A (ja) グロメット
JP4698258B2 (ja) 防水グロメットとその取付構造
JP5724740B2 (ja) グロメット
JP2016213096A (ja) グロメット
JP2002058141A (ja) グロメットおよび該グロメットの車体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