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133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133B1
KR101114133B1 KR1020057009158A KR20057009158A KR101114133B1 KR 101114133 B1 KR101114133 B1 KR 101114133B1 KR 1020057009158 A KR1020057009158 A KR 1020057009158A KR 20057009158 A KR20057009158 A KR 20057009158A KR 101114133 B1 KR101114133 B1 KR 101114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od
lens hood
attached
light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731A (ko
Inventor
노부마사 사쿠라이
유키오 야마다
카이조 츠카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1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1Lens caps as separate access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렌즈 후드를 부착측의 베이스부와 전방측의 통형상부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통형상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광학계의 전방에 다른 렌즈를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렌즈가 상기 렌즈 후드의 내측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컨버전 렌즈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렌즈 후드를 그대로 사용 가능함과 함께 렌즈 후드에 의한 입사광의 조임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컨버전 렌즈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촬상 장치이다.
Figure R1020057009158
촬상 장치, 렌즈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ING DEVICE}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계의 전방에 렌즈 후드를 부착하도록 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시에 피사체에 점광원(點光源)을 넣은 때에 촬영 렌즈의 공기?유리의 접합면 등에서 반사하는 비결상(非結像) 광이 촬상 화면에 도달하여 불규칙한 광반(光斑)으로 되어 나타나고, 플레어가 발생하고, 촬상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 렌즈의 전방에 렌즈 후드를 부착하여 촬영시의 플레어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렌즈 후드의 주면(周面)이 전방으로 긴 경우에는, 모서리부의 전이 떨어진 촬상 화면이 되기 때문에, 렌즈 후드는 짧은 치수(短寸)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에 있어서, 촬영 렌즈의 전면측에 짧은 치수의 렌즈 후드를 부착한 경우는, 모서리부의 전이 떨어지는 일이 없는 촬상 화면을 얻을 수 있지만 촬영 렌즈에 대한 수광량이 많고, 이 때문에 피사체측에 점광원이 들어가기 쉽고, 촬상 화면에 플레어가 발생하는 부적당함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개평9-1875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 렌즈의 전면측에 렌즈 후드와 차광판을 구비하고, 차광판에 의해 입사광을 조이고, 피사체측의 점광원으로부터의 광량을 저감시켜 촬상 화면의 플레어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으로 촬상의 화각(畵角)을 넓히기 위해 컨버전 렌즈를 부착하는 일이 있다. 컨버전 렌즈는 촬영 렌즈의 전방측에 부착되는 보조 광학계로서, 이와 같은 보조 광학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렌즈 후드를 떼어내고, 렌즈 후드의 마련 위치에 컨버전 렌즈를 부착하여야 했다. 따라서 렌즈 후드의 차광판에 의해 입사광을 조임에 의한 플레어 발생의 방지 기능은 기대할 수 없고, 나아가서는 렌즈 후드를 떼어내는 조작에 힘이 든다는 결점이 있다.
특허 제2500892호 공보에는, 촬영 렌즈의 전방에 이 촬영 렌즈의 사각(寫角)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후드 테두리체를 카메라 본체와 일체로 마련한 카메라에, 보조 광학계를 부착하기 위한 보조 광학계 장착용 어댑터로서, 보조 광학계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마운트부와, 후드 테두리체의 개구부에 삽탈 자유롭게 끼워 맞추는 위치 결정 테두리와, 개구부 주연(周緣)의 일 측에 계착(係着) 가능한 고정 폴과, 개구부의 중심에 관해 다른 측에 계착 자유롭고, 보조 광학계를 장착함에 의해 해당 보조 광학계의 경통부(鏡筒部)에 가압되어 계착 방향으로 변위하는 가동 폴을 마련한 보조 광학계 장착용 어댑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어댑터를 이용함에 의해 후드 테두리체의 전방측에 컨버전 렌즈 등의 보조 광학계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후드 테두리체를 떼어낼 필요가 없다. 그런데 컨버전 렌즈 등의 보조 광학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컨버전 렌즈에서 입사광이 크게 굴절하기 때문에, 후드 테두리체에 의한 입사광의 조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즉 렌즈 후드의 차광판에 의한 입사광의 조임의 효과가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보조 광학계를 통상의 광학계의 전방에 장착하는 경우에, 렌즈 후드를 떼어낼 필요가 없도록 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보조 광학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렌즈 후드를 떼어내는 번잡한 조작을 불필요하게 하도록 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보조 광학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렌즈 후드의 차광판에 의한 입사광의 조임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촬상 화면에 플레어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보조 광학계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서, 렌즈 후드의 차광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렌즈 후드를 갖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과제 및 다른 과제는, 이하에 기술하는 발명의 기술 사상 및 실시의 형태에 의해 분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발명은, 광학계의 전방에 렌즈 후드를 부착하도록 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후드를 부착측의 베이스부(基部)와 전방측의 통형상부(筒狀部)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통형상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광학계의 전방에 다른 렌즈를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렌즈가 상기 렌즈 후드의 내측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렌즈 후드의 통형상부의 내측에 차광판이 마련되고, 해당 차광판의 개구에 의해 입사광을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후드의 통형상부와 베이스부가 바요네트 폴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후드의 통형상부의 차광판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캡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른 렌즈가 촬상 각도를 넓히는 와이드 컨버전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상기 차광판이 상기 통형상부의 내측에서 광축 방향으로 편의(偏倚)하여 마련됨과 함께, 상기 차광판이 광학계에 근접하는 자세와 이간하는 자세의 어느 쪽에서도 상기 통형상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고, 상기 컨버전 렌즈가 상기 렌즈 후드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광학계의 전방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광판이 광학계로부터 이간하는 자세로 상기 통형상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광판이 상기 통형상부의 내측에서 광축 방향으로 편의하여 마련됨과 함께, 상기 차광판이 광학계에 근접하는 자세와 이간하는 자세의 어느쪽에서도 상기 통형상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고, 상기 컨버전 렌즈가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차광판이 광학계에 근접하는 자세로 상기 통형상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촬상 장치에서는 차광 기능을 우선하고, 렌즈 후드를 사용하고 있을 때 컨버전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렌즈 후드를 떼어내고 상기한 컨버전 렌즈를 사용하여야 했다. 따라서 당연히 렌즈 후드 효과는 기대할 수 없고, 후드를 떼어내는 수고와 시간이 걸렸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렌즈 후드의 일부를 착탈 가능한 구조로 하고, 카메라의 렌즈 후드를 장착한 채로 컨버전 렌즈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후드의 일부를 착탈 반전하여 장착함에 의해, 컨버전 렌즈 장착의 경우와 없는 경우의 양쪽에 차광 효과가 작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하면, 컨버전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렌즈 후드를 벗기지 않고 후드의 일부를 착탈하는 것만으로 컨버전 렌즈를 렌즈 후드 내에 수납하는 형태를 채택할 수 있고, 그대로 컨버전 렌즈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착탈부를 반전 장착함으로써 차광 효과도 얻어지게 된다. 또한 컨버전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착탈한 부분을 반전하고, 원래의 상태로 하여 장착함으로써 통상의 렌즈 후드로서의 차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발명은, 광학계의 전방에 렌즈 후드를 부착하도록 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렌즈 후드를 부착측의 베이스부와 전방측의 통형상부로 구성하고, 베이스부와 통형상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광학계의 전방에 다른 렌즈를 부착하는 경우에 이 다른 렌즈가 렌즈 후드의 내측에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촬상 장치에 의하면, 렌즈 후드의 베이스부의 내측에 다른 렌즈가 수납되도록 되기 때문에, 이 다른 렌즈를 부착할 때에 렌즈 후드의 베이스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다른 렌즈를 부착함과 함께, 그 후에 렌즈 후드의 통형상부를 베이스부에 결합하면 좋고, 다른 렌즈를 사용할 때에도 렌즈 후드에 의한 차광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다른 렌즈를 부착할 때 후드를 떼어내는 번거로운 조작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비디오 카메라의 전체의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동 비디오 카메라의 후측에서 본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렌즈 후드의 부분의 광학계에 대한 부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렌즈 후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렌즈 후드의 베이스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A~A선 단면 화살표로 본 도면(矢視圖).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B~B선 단면 화살표로 본 도면.
도 8은 통형상부의 정면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C~C선 단면 화살표로 본 도면.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D~D선 단면 화살표로 본 도면.
도 11은 컨버전 렌즈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
도 12는 렌즈 후드 내에 컨버전 렌즈를 수납한 때의 입사광의 조임의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3은 컨버전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때의 렌즈 후드의 조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컨버전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때의 통형상부의 차광판에 의한 입사 광의 조임의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의 비디오 카메라(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고, 그 본체(2) 내에는 VTR 기구 및 전원 전지 등이 내장되어 수납되어 있고, 전면측에는 촬영 렌즈(3)가 부착되고, 후반부측에는 후방을 향하여 뷰 파인더(4)가 기복(起伏)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 비디오 카메라(1)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촬영 렌즈(3)의 전방에는 도 3에 도시한 어댑터(7)를 통하여 렌즈 후드(5)가 부착됨과 함께, 또한 렌즈 후드(5) 내에는 착탈 자유롭게 컨버전 렌즈(6)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렌즈 후드(5) 및 컨버전 렌즈(6)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비디오 카메라(1)의 본체(2)의 후면 측에는, 전지 수납부를 개폐하는 덮개(8)가 구비되어 있다. 이 덮개(8)의 외면측에는 액정 표시 패널(9)이 부착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프로그램 AE 버튼(10), 셔터 스피드 버튼(11), 화이트 밸런스 버튼(12), 녹음 레벨 버튼(13)이 배설되어 있고, 덮개(8)의 하측의 부분에는 덮개 개방 스위치(14), 제로 세트 메모리 버튼(15), 셀프 타이머 버튼(16), 원 푸시 화이트 밸런스 버튼(17), DV 단자(18)가 배설되고, 본체(2)의 후면측의 한 측부에는 전원 스위치(19), 오토 로크 스위치(20) 및 컨트롤 스위치(21)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본체(2)의 테이프 카세트의 장전부를 개폐하는 덮개는 주덮개(22)와 부덮개(23)의 2장으로 구성되어 2단계의 개폐 동작, 즉 개방시는 부덮개(23)가 열린 후에 주덮개(22)가 열리고, 폐색시는 주덮개(22)가 닫힌 후에 부덮개(23)가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부덮개(23)에는 VTR 기구의 테이프 주행 조작부(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의 전반부의 윗면측에는 촬영 렌즈(3)의 광축의 상방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손잡이(25)를 부착하고 있고, 이 손잡이(25)의 전단측에 스테레오 마이크로폰(26)이 홀더(27)에 의해 촬영 렌즈(3)의 광축을 따라 전방을 향하여 부착되고, 후단면에 후부 리모트 콘트롤 수광부(28)가 마련되어 있고, 스테레오 마이크로폰(26)의 홀더(27)의 전면에는 전부(前部) 리모트 콘트롤 수광부(29)가 마련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비디오 카메라의 본체(1)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촬영 렌즈(3)의 전단측에 부착되는 렌즈 후드(5)에 관해 설명하면, 렌즈 후드(5)는 특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7)를 통하여 광학계의 전단부에 부착되는 베이스부(35)와, 이 베이스부(35)에 착탈 자유롭게 결합되는 통형상부(36)로 구성된다. 통형상부(36)에는 차광판(37)이 마련됨과 함께, 이 차광판(37)의 직사각형의 개구(38)에 의해 입사광을 조이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렌즈 후드(5)의 베이스부(35)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면, 베이스부(35)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기단측에 원형의 개구(41)가 형성되고, 이 원형의 개구(41)가 상기 광학계의 전단측의 외주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원형의 개구(41)의 내주면에는 계지 홈(42)이 형성됨과 함께, 이 계지 홈(42)과 연속하는 도입부(43)가 형성되고, 이 도입부(43)를 통과하여 계지 홈(42) 내로 어댑터(7)의 폴을 도입함에 의해, 어댑터(7)를 통하여 촬영 렌즈(3)의 전단부에 베이스부(35)가 부착된다. 그리고 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35)는 고정 편(片)(44)에 의해 촬영 렌즈(3)의 외주연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고정용 나사(45)를 틀어넣음에 의해, 고정 편(44)이 이 베이스부(35)의 원형의 개구(41)를 촬영 렌즈(3)의 외주면상에 고정한다.
기부(35)의 전단측으로서 그 외주면상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4개소에 돌기부(46)가 형성됨과 함께, 이들의 돌기부(46)에는 각각 계지용 벽부(壁部)(47)가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렌즈 후드(5)의 통형상부(36)에 관해 설명하면, 통형상부(36)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 치수가 짧은 비원형(非圓形)의 통체(筒體)로 구성되고, 그 한쪽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차광판(37)이 형성되고, 이 차광판(37)의 중앙부에 거의 직사각형의 개구(38)가 형성된다. 또한 이 통형상부(36)의 외주면상에는 그 광축 방향의 앞측과 후측에 각각 계지 폴(51, 52)이 형성된다. 계지 폴(51)은 광축 방향에 있어서 차광판(37)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이에 대해 계지 폴(52)은 광축 방향에 있어서 차광판(37)의 외주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계지 폴(51, 52)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통형상부(36)가 베이스부(35)에 결합된다. 즉 계지 폴(51, 52)은 바요네트 폴을 구성하고, 바요네트 결합에 의해 베이스부(35)의 돌기부(46)의 계지용 벽부(47)에 계지된다.
다음에 렌즈 후드(5) 내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되는 컨버전 렌즈(6)에 관해 도 11 및 도 12에 의해 설명한다. 컨버전 렌즈(6)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체(55)를 구비하고, 이 통체(55) 내에 축선 방향을 따라 렌즈(56, 57, 58, 59)를 부착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통체(55)의 기단측의 부분으로서 그 외주면상에 결합용 나사(60)가 마련되고, 이 결합용 나사(60)가 상기 촬영 렌즈(3)의 전단측의 내주면의 암나사에 나착(螺着)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렌즈 후드(5)의 전단측의 통형상부(36)의 차광판(37)의 직사각형의 개구(38)를 폐색하도록 부착되는 캡(62)에 관해 설명한다. 캡(62)은 그 상하에 한 쌍의 계지 편(63)을 구비하고, 이러한 계지 편(63)은 내장하는 스프링에 의해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계지 편(63)의 상하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계지 홈(64)이 상기 차광판(37)의 직사각형의 개구(38)의 주연부에 계합됨에 의해, 이 캡(62)이 차광판(37)의 직사각형의 개구(38)를 닫은 상태에서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캡(62)에는 스트랩(65)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특히 렌즈 후드(5)의 큰 특징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각을 확대하는 컨버전 렌즈(6)를 광학계의 전단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러고도 렌즈 후드(5)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촬영 렌즈(3)의 선단측에 렌즈 후드(5)의 베이스부(35)를 계지 홈(42)에 의해 결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35)의 전면측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컨버전 렌즈(6)의 통체(55)의 기단측의 결합용 나사(60)를 촬영 렌즈(3)의 전단측의 암나사에 틀어넣어 고정한다. 이로써 결합용 나사(60)를 통하여 컨버전 렌즈(6)가 촬영 렌즈(3)의 전단부에 결합 고정된다.
이 후에 다시 렌즈 후드(5)의 통형상부(36)를 베이스부(35)의 전면측에 결합한다. 이 때에 이 통형상부(36)의 차광판(37)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로써 차광판(37)이 컨버전 렌즈(6)와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지 폴(51)을 베이스부(35)의 돌기부(46)의 계지용 벽부(47)에 바요네트 결합되어 계지됨에 의해, 통형상부(36)가 베이스부(35)에 결합된 상태에서 렌즈 후드(5)가 조립된다.
이 때에 컨버전 렌즈(6)의 바로 전방에 통형상부(36)의 차광판(37)의 직사각형의 개구(38)가 위치하고, 이 직사각형의 개구(38)의 차광 효과에 의해, 점선(69)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입사광이 조여진다. 따라서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시에 피사체에 점광원을 넣은 때에 촬영 렌즈(3)의 공기?유리의 접합면 등에서 반사하는 비결상 광이 촬상 화면에 도달하고 불규칙한 광반이 생기고, 플레어가 발생하여 촬상에 지장을 초래하는 플레어의 발생이 방지된다.
컨버전 렌즈(6)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사용한다. 즉 촬영 렌즈(3)의 전단에 우선 베이스부(35)를 부착함과 함께, 이 베이스부(35)에 통형상부(36)를 부착한다. 이 때에 통형상부(36)의 차광판(37)측의 계지 폴(52)을 베이스부(35)의 돌기부(46)의 계지용 벽부(47)에 계합시켜 고정한다. 그러면 직사각형의 개구(38)를 갖는 차광판(37)이 촬영 렌즈(3)에 근접하는 자세로 이 통형상부(36)가 부착되도록 된다. 그리고 이때의 차광판(37)의 직사각형의 개구(38)에 의한 차광은, 도 14에서 점선(70)으로 도시한 상태가 되고, 이로써 입사광이 조여져서 플레어의 발생이 회피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비디오 카메라(1)는, 렌즈 후드(5)를 베이스부(35)와 통형상부(36)로 구성하고, 이들을 서로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도록 하고, 컨 버전 렌즈(6)를 렌즈 후드(5)의 베이스부(35)와 통형상부(36)의 사이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되도록 함에 의해, 컨버전 렌즈(6)를 부착하고 있을 때에도 떼어내고 있을 때에도, 외형이 같아서 모양 좋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컨버전 렌즈(6)를 사용한 경우에도, 렌즈 후드(5)를 떼어내는 일 없이, 통형상부(36)를 착탈하는 것만으로 컨버전 렌즈(6)를 렌즈 후드(5) 내에 수납하는 형태를 채택할 수 있게 되어, 그대로 컨버전 렌즈(6)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베이스부(35)에 대해 통형상부(36)의 부착 자세를 전후를 역으로 반전하여 장착함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상태와 도 14에 도시한 상태를 선택적으로 채택함에 의해 어느 경우에도 차광판(37)의 직사각형의 개구(38)에 의한 차광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컨버전 렌즈(6)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통형상부(36)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를 반전하여 베이스부(35)에 결합함에 의해 통상의 렌즈 후드(5)로서의 차광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는 본체(2) 내에 VTR을 내장하는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그 밖에 각종의 촬상 장치,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나 스틸 카메라 등의 각종의 촬상 장치에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광학계의 전방에 렌즈 후드를 부착하도록 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후드를 부착측의 베이스부와 전방측의 통형상부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통형상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광학계의 전방에 다른 렌즈를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렌즈가 상기 렌즈 후드의 내측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후드의 통형상부의 내측에 차광판이 마련되고, 해당 차광판의 개구에 의해 입사광을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후드의 통형상부와 베이스부가 바요네트 폴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후드의 통형상부의 차광판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캡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렌즈가 촬상 각도를 넓히는 와이드 컨버전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057009158A 2003-10-14 2004-10-14 촬상 장치 KR101114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3684A JP3988051B2 (ja) 2003-10-14 2003-10-14 撮像装置
JPJP-P-2003-00353684 2003-10-14
PCT/JP2004/015567 WO2005036253A1 (ja) 2003-10-14 2004-10-14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731A KR20060110731A (ko) 2006-10-25
KR101114133B1 true KR101114133B1 (ko) 2012-04-10

Family

ID=3443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158A KR101114133B1 (ko) 2003-10-14 2004-10-14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61749B2 (ko)
EP (1) EP1586941B1 (ko)
JP (1) JP3988051B2 (ko)
KR (1) KR101114133B1 (ko)
CN (1) CN100465768C (ko)
DE (1) DE602004020318D1 (ko)
WO (1) WO2005036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6281B2 (ja) * 2005-04-20 2011-10-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カメラカバー
KR20080035690A (ko) 2005-08-11 2008-04-23 글로벌 바이오닉 옵틱스 피티와이 엘티디 광학 렌즈 시스템
JP4974592B2 (ja) * 2006-06-23 2012-07-11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レンズ補助部品の取付装置
CN101126830B (zh) * 2006-08-18 2011-12-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镜片固持结构及应用该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0900353B1 (ko) 2006-08-29 2009-06-02 윤필석 영상획득 매개장치 및 이 영상획득 매개장치가 구비된영상획득장치
JP2008058734A (ja) * 2006-08-31 2008-03-13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00681B1 (ko) * 2006-11-2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와 그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 기기
JP4424398B2 (ja) * 2007-09-05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453731B2 (ja) * 2007-09-05 2010-04-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5159334B2 (ja) * 2008-01-23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キャップ
US8000598B1 (en) * 2010-06-25 2011-08-16 Apple Inc. Lens baffle
KR20140038957A (ko) * 2011-04-02 2014-03-31 심천 피씨후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광학 렌즈용 마디가 부가된 링
JP5776002B2 (ja) 2011-08-04 2015-09-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装置
US8970689B2 (en) 2011-11-02 2015-03-03 Gopro, Inc. Camera mounting assembly
CN103907013B (zh) * 2011-11-09 2016-12-28 株式会社久保田 粒状体检查装置
US20160054643A1 (en) * 2012-06-21 2016-02-25 Shenzhen AEE Technology Co., Ltd Waterproof case for camera and camera device having the same
US9300847B2 (en) 2013-01-25 2016-03-29 Roy Lique Digital camera lens guard and use extender
CN103064179B (zh) * 2013-01-30 2015-07-01 武汉高明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瞄准镜遮光罩
JP6304930B2 (ja) * 2013-02-21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アクセサリ用アダプタ
JP2014204255A (ja) * 2013-04-04 2014-10-27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装置およびマウントアダプタ
JP6252788B2 (ja) * 2014-11-28 2017-12-27 株式会社タムロン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CA2960844A1 (en) * 2014-12-21 2016-06-30 Solocam Forever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broadcasting events
JP6195081B2 (ja) * 2015-02-26 2017-09-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JP6080057B2 (ja) * 2015-02-26 2017-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US9995990B2 (en) * 2015-12-15 2018-06-12 Gopro, Inc. Removable camera lens cover
DE102016220370A1 (de) * 2016-10-18 2018-04-19 Carl Zeiss Ag Adaptereinrichtung und Kameraobjektiv
CN106647106A (zh) * 2016-12-15 2017-05-10 丁小平 窗口板、前遮光罩筒和相机辅助装置
JP2018159746A (ja) * 2017-03-22 2018-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DE202019107267U1 (de) 2018-08-07 2020-02-27 Gopro, Inc. Kamera und Kamerahalterung
JP1629121S (ko) * 2018-08-24 2019-04-15
USD905786S1 (en) 2018-08-31 2020-12-22 Gopro, Inc. Camera mount
USD894256S1 (en) 2018-08-31 2020-08-25 Gopro, Inc. Camera mount
CN210093262U (zh) * 2019-06-12 2020-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TWI747017B (zh) * 2019-07-31 2021-11-21 廣州立景創新科技有限公司 攝影裝置
CN110376727A (zh) * 2019-08-25 2019-10-25 贵州大学 一种基于昆虫试验的双目解剖镜结构
USD920419S1 (en) 2019-09-17 2021-05-25 Gopro, Inc. Camera
US11425286B2 (en) 2020-03-31 2022-08-23 Gopro, Inc. Housing assembly for image capture devices
US11630376B2 (en) 2020-06-18 2023-04-18 Gopro, Inc. Removable lens accessories for image capture devices
USD946074S1 (en) 2020-08-14 2022-03-15 Gopro, Inc. Camera
USD967890S1 (en) 2020-08-28 2022-10-25 Gopro, Inc. Camera lens attachment
USD974450S1 (en) 2020-08-28 2023-01-03 Gopro, Inc. Camera lens attachment
US11600023B2 (en) 2020-08-31 2023-03-07 Gopro, Inc. Optical center calibration
US11528417B2 (en) 2020-08-31 2022-12-13 Gopro, Inc. Calibrating an image capture device with a detachable le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60A (ja) * 1992-06-29 1994-01-28 Canon Inc レンズフード
JPH0918757A (ja) * 1995-07-03 1997-01-17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2001013545A (ja) 1999-06-29 2001-01-19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フ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1821A (en) * 1940-04-10 1942-08-04 Bell & Howell Co Lens cap
US2707418A (en) * 1952-01-14 1955-05-03 Otto W Magnuson Camera filter holder
US3614196A (en) * 1969-09-12 1971-10-19 Leitz Ernst Gmbh Combined lens hood and filter support
US3828991A (en) * 1973-02-09 1974-08-13 Donald Moore Mac Carrier for interchangeable camera lenses
FR2420150A1 (fr) * 1978-03-14 1979-10-12 Coquin Jean Claude Dispositif porte-accessoires pour objectifs d'appareils de prise de vues
SE427878B (sv) * 1982-06-15 1983-05-09 Hasselblad Ab Victor Anordning for losbart festande av en objektivtub vid en hallare
US4416528A (en) * 1982-06-17 1983-11-22 Sima Products Corporation Camera lens accessory mounting construction
US5255120A (en) * 1987-08-06 1993-10-19 Sony Corporation Lens cap applicable to a video camera
US4909617A (en) * 1987-10-26 1990-03-20 Boyd Jeffrey M Camera hood with pivoting lens cap
CN2060235U (zh) * 1988-06-23 1990-08-08 白绍华 插片式多用特技遮光罩
DE4006388C2 (de) * 1990-03-01 1994-12-22 Leica Camera Gmbh Fotografisches Objektiv mit einer eingebauten Gegenlichtblende
US5294954A (en) * 1990-11-27 1994-03-1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Rotatably controllable lens hood and cover unit
JP2500892B2 (ja) * 1992-07-17 1996-05-29 吉田産業株式会社 補助光学系装着用アダプタ
JPH09236849A (ja) * 1996-03-01 1997-09-09 Canon Inc フィルターホルダー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補助装置
JPH11236909A (ja) * 1998-02-24 1999-08-31 Sony Corp リング組立構造及びそれを有する撮影装置
JP2000155356A (ja) * 1998-11-24 2000-06-06 Olympus Optical Co Ltd フード付きレンズ鏡筒
JP2000180918A (ja) * 1998-12-10 2000-06-30 Sony Corp 収納フード付きレンズ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3360818B2 (ja) * 1999-05-27 2003-01-07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フー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60A (ja) * 1992-06-29 1994-01-28 Canon Inc レンズフード
JPH0918757A (ja) * 1995-07-03 1997-01-17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2001013545A (ja) 1999-06-29 2001-01-19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フ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6941B1 (en) 2009-04-01
EP1586941A4 (en) 2006-06-21
EP1586941A1 (en) 2005-10-19
CN1717622A (zh) 2006-01-04
US20060007551A1 (en) 2006-01-12
JP2005121714A (ja) 2005-05-12
DE602004020318D1 (de) 2009-05-14
JP3988051B2 (ja) 2007-10-10
CN100465768C (zh) 2009-03-04
US7161749B2 (en) 2007-01-09
WO2005036253A1 (ja) 2005-04-21
KR20060110731A (ko)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133B1 (ko) 촬상 장치
JP3189843B2 (ja) カメラ用ケース
US20070081089A1 (en) Electronic image pickup apparatus
US8294816B2 (en) Imaging apparatus containing lens mount without mirror box
JP3951299B2 (ja) レンズアダプタ
JP2007212971A (ja) アダプターリング及び防水ケース
US7360956B2 (en) Camera with strap through hole in protruding area of object side surface
KR101013656B1 (ko) 이동단말기의 카메라장치
JP2000330179A (ja) カメラ
JP7237720B2 (ja) 撮像装置
JP2005309263A (ja) 防水ケースおよび拡散部材
JP2007026701A (ja) 電子機器の蓋装置
KR930008022Y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JPH0772530A (ja) 光学ファインダ
JP2009145580A (ja) 撮像装置
JP2009300927A (ja) カメラアクセサリ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H0353218Y2 (ko)
JPH11258690A (ja) 電子カメラ
JP2007133237A (ja) 撮像装置
JP2005157130A (ja) レンズキャップ
JP2007101887A (ja) デジタルカメラ用アタッチメント
JPH10282558A (ja) カメラ
JP2004272003A (ja) 撮像装置
JPH0763975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JPH08279882A (ja) 電子ビュア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