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912B1 -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 Google Patents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912B1
KR101105912B1 KR1020107016365A KR20107016365A KR101105912B1 KR 101105912 B1 KR101105912 B1 KR 101105912B1 KR 1020107016365 A KR1020107016365 A KR 1020107016365A KR 20107016365 A KR20107016365 A KR 20107016365A KR 101105912 B1 KR101105912 B1 KR 101105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cattering
display body
light
diffraction grat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595A (ko
Inventor
도시키 도다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1988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0591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4Pass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4Reli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25Marking by deformation, e.g. embos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05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contributing to image formation, e.g. whereby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r optical aberrations are releva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6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with positional variation of the diffusing properties, e.g. gradient or patterned diff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42Gratings for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61Reflection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step profile, contours of substrate or grooves, pitch variations, mater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B42D2033/04
    • B42D2033/18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달성하는 위조 방지 기술이 실현된다. 표시체 (1)은, 길이 방향이 일치된 복수의 직선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광산란 영역 (20a, 20b)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광산란 영역 (20a, 20b)는 길이 방향이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LABELING MATERIAL AND LABELED GOODS ITEM}
본 발명은,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각종 카드류, 유가 증권류 및 각종 브랜드 제품 등의 물품의 위조 방지에 사용 가능하며, 광산란을 이용하여 상을 표시하는 표시체 및 이것을 포함한 라벨 부착 물품에 관한 것이다.
광산란에 의해 상을 표시하는 패턴(이하, 광산란 패턴으로 칭함)은, 통상적으로 기재의 표면에 요철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요철 가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를 에칭하는 방법, 기재의 표면부를 약품으로 거칠어지게 하는 방법, 전자빔(EB) 묘화 장치에 의해 기재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중, 에칭을 이용한 방법 및 약품을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를 형성하여야 할 표면의 어떠한 미소 영역과 다른 미소 영역에서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의 밀도를 변경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의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이들 영역의 산란의 정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은 어렵다. 한편, EB 묘화 장치를 사용하면, 미소 영역에 형성하는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의 밀도나 형상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5-273500호 공보에는, EB 묘화 장치를 사용하여 회절 격자 패턴 및 광산란 패턴을 동일면에 형성한 표시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 표시체는,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a) 회절광에만 의한 표시가 아니기 때문에, 관찰 조건의 제약이 적다.
(b) 산란광도 표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반짝이는 인상을 제공할 정도의 화상 표현이 아니다.
(c) 회절 격자 패턴 및 광산란 패턴이 모두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 패턴을 엠보싱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패턴의 위치 정렬이 불필요하다.
그러나,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는, 레이저 등의 설비가 있으면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체가 포함하고 있는 광산란 패턴의 시각 효과는, 예를 들면 투명 입자와 이것과는 굴절률이 상이한 투명 수지를 함유한 인쇄층에서도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표시체의 위조 방지 효과는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달성하는 위조 방지 기술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길이 방향이 일치된 복수의 직선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광산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이 서로 상이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제1측면에 따른 표시체와, 상기 표시체를 지지한 물품을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도 1]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도 1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II-II)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3] 회절 격자에 입사한 조명광과 회절 격자가 사출한 회절광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광산란 영역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광산란 영역에 이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광산란 영역에 이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광산란 영역에 이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 광산란 영역에 이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 광산란 영역에 이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 선상 이외의 형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한 광산란 영역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 선상 이외의 형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한 광산란 영역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 표시체를 지지한 물품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는 모든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II-II)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표시체 (1)은, 층 (2)를 포함하고 있다. 층 (2)는, 예를 들면 광투과성 재료층 (50)과 반사성 재료층 (51)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성 재료층 (51)의 광투과성 재료층 (50)과 반대측면에 접착층 (52)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광투과성 재료층 (50)측을 전면측으로 하고, 접착층 (52)측을 배면측으로 하고 있다.
반사성 재료층 (51)은, 광투과성 재료층 (50)의 배면을 피복하고 있다. 광투과성 재료층 (50)과 반사성 재료층 (51)의 계면에는, 요철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요철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반사성 재료층 (51)은 적어도, 광투과성 재료층 (50)의 계면에서 요철 구조에 의해 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피복할 수 있다. 접착층 (52)는, 반사성 재료층 (51) 위에 설치되어 있다.
광투과성 재료층 (50)은, 예를 들면 반사성 재료층 (51)의 바탕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광투과성 재료층 (50)은, 표면의 오염이나 손상 등으로부터 요철 구조를 보호하고, 이에 따라 표시체 (1)의 시각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광투과성 재료층 (50)은, 요철 구조를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그의 복제를 곤란하게 하고 있다. 광투과성 재료층 (50) 및 반사성 재료층 (51) 중 하나는, 생략할 수도 있다. 반사성 재료층 (51)을 생략하는 경우, 광투과성 재료 (50)과 접착층 (52)의 계면에서 반사하도록 광투과성 재료 (50)과 접착층 (52)의 굴절률차를 크게 하거나, 접착층 (52)가 반사성을 갖는 재료로 할 수 있다.
광투과성 재료층 (50)의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나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이 원판을 사용한 전사에 의해 요철 구조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엠보싱을 이용하는 경우, 후술하는 회절 격자 영역 (10), 광산란 영역 (20a) 및 (20b)에 대응하는 요철 구조를 원판에 고정밀도로 형성하면, 정밀한 양산 복제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투과성 재료층 (50)에는, 표면 강도나 요철 구조의 형성 용이함 등을 고려하여 2층 이상의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성 재료층 (51)의 재료로서 금속을 사용한 경우, 그것에서 유래하는 금속 광택색을 이것과는 상이한 색으로 변경하기 위해, 투과성 재료층 (50)에 염료 등을 섞고, 이 염료에 특정한 파장의 빛을 흡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반사성 재료층 (51)은, 요철 구조가 설치된 계면의 반사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반사성 재료층 (5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Al, Ag 등의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사성 재료층 (51)의 재료는, 유전체 재료 등의 광투과성 재료층 (50)과는 굴절률이 상이한 투명 재료일 수도 있다. 반사성 재료층 (51)은 단층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층막일 수도 있다.
접착층 (52)는, 표시체 (1)을 위조가 방지되어야 하는 물품에 부착하기 위해 설치된다. 접착층 (52)는, 표시체 (1)과 위조가 방지되어야 하는 물품의 접착 강도나 접착면의 평활성 등을 고려하여, 2층 이상의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광투과성 재료층 (50)측으로부터 표시체 (1)을 관찰하는 구성이 나타나고 있지만, 반사성 재료층 (51)측으로부터 표시체 (1)을 관찰하는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층 (2)에 설치된 요철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층 (2)는, 회절 격자 영역 (10)과 제1광산란 영역 (20a)와 제2광산란 영역 (20b)와 영역 (30)을 포함하고 있다.
회절 격자 영역 (10)에서는, 광투과성 재료층 (50)과 반사성 재료층 (51)의 계면에 릴리프형의 회절 격자로 이루어지는 회절 격자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절 격자는, 예를 들면 복수의 홈을 배열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용어 "회절 격자"는, 조명광을 조사함으로써 회절파를 발생하는 구조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복수의 홈을 평행하면서도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통상적인 회절 격자뿐만 아니라, 홀로그램에 기록된 간섭 줄무늬도 포함한다. 또한, 홈 또는 홈에 끼워진 부분을 "격자선"으로 부른다.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는 홈의 깊이는, 예를 들면 0.1 내지 1 ㎛의 범위 내로 한다. 또한, 회절 격자의 격자 상수는, 예를 들면 0.5 내지 2 ㎛의 범위 내로 한다.
광산란 영역 (20a) 및 (20b) 각각에서는, 광투과성 재료층 (50)과 반사성 재료층 (51)의 계면에 방향이 일치된 복수의 직선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영역 (20a)와 영역 (20b)에서는, 직선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다.
영역 (20a) 또는 (20b)를 영역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조명한 경우, 이 영역은 직선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내에는 가장 넓은 사출각 범위, 즉 광범위한 각으로 산란광을 사출하고, 직선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면서도 상기 영역의 주요면에 수직인 면내에는 가장 좁은 사출각 범위에서 산란광을 사출한다. 이하, 광산란 영역이 일정 강도 이상의 산란광을 사출하는 각도 범위의 크기를 용어 "광산란능"으로 표현한다. 예를 들면, 용어 "광산란능"을 사용한 경우, 상술한 광학 특성은 "영역 (20a) 및 (20b) 각각은, 직선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의 길이 방향에서 최소의 광산란능을 나타내고, 이것에 수직인 방향에서 최대의 광산란능을 나타낸다"고 기재할 수 있다. 또한, 최대의 광산란능과 최소의 광산란능의 차가 충분히 존재하는 성질을 "광산란능 이방성"으로 부른다.
직선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의 길이는, 예를 들면 10 ㎛ 이상으로 한다. 또한, 이들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의 폭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의 범위 내로 한다. 또한, 이들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의 높이 또는 깊이는, 예를 들면 0.1 내지 10 ㎛의 범위 내로 한다.
영역 (30)에서는, 광투과성 재료층 (50)과 반사성 재료층 (51)의 계면에 요철 구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영역 (30)에서는, 광투과성 재료층 (50)과 반사성 재료층 (51)의 계면은 평탄면이다.
층 (2)는, 예를 들면 영역 (10), (20a), (20b) 및 (30)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층 (2)를 예를 들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한 다수의 셀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들 셀의 일부에서 회절 격자 영역 (10)을 구성하고, 이들 셀의 다른 일부에서 영역 (20a)를 구성하고, 이들 셀의 또 다른 일부에서 영역 (20b)를 구성하고, 나머지 셀에서 영역 (3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층 (2)를 복수의 셀로 구성한 경우, 이들 셀의 각각을 화소로서 사용하여 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회절 격자 영역 (10)을 구성하고 있는 셀을 "회절 격자 셀"로 부르고, 영역 (20a) 및 (20b)를 구성하고 있는 셀을 "광산란셀"로 부른다.
층 (2)를 복수종의 셀로 구성하는 경우, 각 셀의 시각 효과를 알고 있으면 이들의 배열 변경에 의해 얻어지는 상의 예상이 용이하다. 그 때문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부터 각 화소에서 사용하여야 할 셀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표시체 (1)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세그먼트간 또는 화소간에서 시각 효과를 상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 설명하는 사항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회절 격자 영역 (10)에서 얻어지는 시각 효과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회절 격자에 입사한 조명광과 회절 격자가 사출한 회절광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격자선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조명광 (71)을 입사각 (α')으로 회절 격자 (11)에 입사시키면, 회절 격자 (11)은 대표적인 회절광인 1차 회절광 (73)을 사출각 (β)로 사출한다. 회절 격자 (11)에 의한 정반사광(0차 회절광) (72)의 반사각 또는 사출각 (α)는 입사각 (α')과 절대값이 동일하고, 법선에 대하여 대칭이다((α), (β)는 시계 방향을 정방향으로 함). 각도 (α)와 각도 (β)는, 회절 격자 (11)의 격자 상수를 d(nm), 조명광 (71)의 파장을 λ(nm)로 하면,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112010047060114-pct00001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백색광을 입사시킨 경우에는, 1차 회절광의 사출각은 파장에 따라 상이하다. 즉, 회절 격자 (11)은 분광 작용을 갖고, 회절 격자 영역 (10)의 색은 관찰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7색으로 변화된다.
또한, 어떠한 관찰 조건을 기초로 관찰자가 지각하는 색은, 격자 상수 d에 따라 변화된다.
예를 들면, 회절 격자 (11)이 그의 격자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1차 회절광 (73)을 사출하게 한다. 즉, 1차 회절광 (73)의 사출각 (β)는 0°로 한다. 이 경우, 조명광 (71)의 입사각 및 0차 회절광 (72)의 사출각의 절대값을 αN으로 하면, 수학식 1은 이하와 같이 간략화된다.
Figure 112010047060114-pct00002
수학식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관찰자에게 어떤 색을 지각시키기 위해서는, 그 색에 대응하는 파장 λ와 조명광 (71)의 입사각의 절대값 αN과 격자 상수 d를 이들이 수학식 2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장이 400 내지 700 nm인 백색광을 조명광 (71)로 하고, 조명광 (71)의 입사각의 절대값 αN을 45°로 하고, 회절 격자의 공간 주파수, 즉, 격자 상수의 역수가 1800 내지 1000 개/m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고 있는 회절 격자를 사용하면, 공간 주파수가 1600 개/mm 정도인 부분은 파랗게 보이고, 1100 개/mm 정도인 부분은 빨갛게 보인다. 따라서, 세그먼트간 또는 셀간에서 회절 격자의 공간 주파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이들의 표시색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절 격자는, 공간 주파수가 작은 것이 형성하기 쉽다. 그 때문에, 표시체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회절 격자의 대부분에서는, 공간 주파수를 500 내지 1600 개/mm로 하고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조명광 (71)을 격자선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회절 격자 (11)에 입사시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관찰 방향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회절 격자 (11)을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 이 회전 각도에 따라 격자 상수 d의 실효값이 변화된다. 그 결과, 관찰자가 지각하는 색이 변화된다. 또한, 이 회전 각도가 충분히 커지면, 관찰자는 앞서 행한 관찰 방향에서 회절광을 지각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세그먼트간 또는 셀간에서 격자선의 방위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이들의 표시색을 상이하게 하거나, 해당 셀이 회절광에 의해 빛나 보이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회절 격자 (11)을 구성하고 있는 홈의 깊이를 크게 하면, 회절 효율이 변화된다. 또한, 세그먼트 또는 셀에 대한 회절 격자의 면적비를 크게 하면, 회절광의 강도는 보다 커진다.
따라서, 세그먼트간 또는 셀간에서 회절 격자의 공간 주파수 및/또는 방위를 상이하게 하면, 이들 세그먼트 또는 셀에 상이한 색을 표시시킬 수 있으며, 관찰 가능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간 또는 셀간에서, 회절 격자 (11)을 형성하고 있는 홈의 깊이와 세그먼트 또는 셀에 대한 회절 격자 (11)의 면적비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하면, 이들 세그먼트 또는 셀의 휘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풀컬러상 및 입체상 등의 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어서, 광산란 영역 (20a) 및 (20b)에서 얻어지는 시각 효과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광산란 영역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광산란 영역 (20)은, 복수의 광산란 구조 (25)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광산란 구조 (25)는 각각이 직선상이고, 각 광산란 영역 (20) 내에서 방향이 일치된 복수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이다. 즉, 각 광산란 영역 (20)에서, 광산란 구조 (25)는 거의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광산란 영역 (20)에서, 광산란 구조 (25)는 완전히 평행하게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광산란 영역 (20)이 충분한 광산란능 이방성을 갖고 있는 한, 그 광산란 영역 (20)에서, 예를 들면 일부의 광산란 구조 (25)의 길이 방향과 다른 일부의 광산란 구조 (25)의 길이 방향이 교차할 수도 있다. 이하, 광산란 영역 (20)의 주요면에 평행한 방향 중, 광산란 영역 (20)이 최소의 광산란능을 나타내는 방향을 "배향 방향"이라고 부르고, 광산란 영역 (20)이 최대의 광산란능을 나타내는 방향을 "광산란축"이라고 부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선상의 구조를 기본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배향 방향과 광산란축은 직교한다.
도 4에 나타내는 광산란 영역 (20)에서 화살표 (26)으로 나타내는 방향은 배향 방향이고, 화살표 (27)로 나타내는 방향은 광산란축이다. 예를 들면, 배향 방향 (26)에 수직인 경사 방향으로부터 광산란 영역 (20)을 조명하여, 광산란 영역 (20)을 정면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면, 광산란 영역 (20)은 그의 높은 광산란능에 기인하여 비교적 밝게 보인다. 한편, 광산란축 (27)에 수직인 경사 방향으로부터 광산란 영역 (20)을 조명하여, 광산란 영역 (20)을 정면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면, 광산란 영역 (20)은 그의 낮은 광산란능에 기인하여 비교적 어둡게 보인다.
이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광산란 영역 (20)을 경사 방향으로부터 조명하여 이것을 정면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 광산란 영역 (20)을 그의 법선 방향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 그의 밝기가 변화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광산란 영역 (20a)와 광산란 영역 (20b)에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고, 이들 영역 (20a) 및 (20b) 사이에서 광산란축의 방향만을 상이하게 한 경우, 영역 (20a)가 가장 밝게 보일 때에는 영역 (20b)가 비교적 어둡게 보이고, 영역 (20a)가 가장 어둡게 보일 때에는 영역 (20b)가 비교적 밝게 보인다. 또한, 영역 (20b)가 가장 밝게 보일 때에는 영역 (20a)가 비교적 어둡게 보이고, 영역 (20b)가 가장 어둡게 보일 때에는 영역 (20a)가 비교적 밝게 보인다.
즉, 영역 (20a)와 영역 (20b)에서 광산란축 (27)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밝기의 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라 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영역 (20a)와 영역 (20b)의 광산란축 (27)의 각도차를 충분하게 하거나(조명 광원의 크기에도 의존하지만, 예를 들면 조명 광원이 다수 천장에 배치된 일반적인 실내에서는 30° 이상), 또는 각각의 광산란 이방성을 충분히 크게 함으로써, 각각의 영역에서 표시된 상을 각각 별도의 관찰 조건으로 육안에 의해 관찰할 수 있다. 광산란 영역 (20a) 및 (20b)와 같이 광산란축이 직교하는 광산란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영역에 의해 표시된 상을 관찰할 수 있는 조건이 전혀 상이한 조건이 되고, 확실하게 각각의 상을 개별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광산란 영역 (20)의 밝기는, 다른 방법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산란 구조 (25)의 폭이 클수록 광산란축 (27)의 방향에 대한 광산란능이 작아진다. 한편, 광산란 구조 (25)를 길게 하면 배향 방향 (26)에 대한 광산란능이 작아진다.
광산란 구조 (25)의 형상은, 1개의 광산란 영역 (20)에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는, 1개의 광산란 영역 (20)은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 (2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동일한 형상의 광산란 구조 (25)만을 포함한 광산란 영역 (20)은, 광산란능의 설계가 용이하다. 또한, 이와 같은 광산란 영역 (20)은 전자선 묘화 장치나 스테퍼 등의 미세 가공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정밀도이면서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형상이 상이한 광산란 구조 (25)를 포함한 광산란 영역 (20)에 의하면,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서 완만한 광 강도 분포를 가진 산란광이 얻어진다. 그 때문에, 관찰 위치에 의한 명암의 변화가 작고, 안정된 백색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산란 구조 (25)의 배향 질서도가 높을수록 광산란 영역 (20)의 광산란능 이방성은 커진다.
광산란 영역 (20)에서 광산란 구조 (25)는 어느 정도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랜덤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산란 구조 (25)의 광산란축 (27)에 평행한 방향의 간격을 랜덤으로 하면, 배향 방향 (26)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산란광의 광 강도 분포가 완만해진다. 따라서, 관찰 각도에 따른 백색도나 밝기의 변화가 억제된다.
또한, 광산란축 (27)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광산란 구조 (25)의 간격을 작게 하면 입사광을 보다 많이 산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광산란능 이방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산란광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산란축 (27)에 평행한 방향에 대한 광산란 구조 (25)의 평균 간격이 10 ㎛ 이하이면, 시인성이 양호한 표시를 실현하는 데 충분한 광산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평균 간격을 충분히 작게 하면, 광산란 영역 (20)이 복수의 광산란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광산란셀의 크기를 100 ㎛ 정도로 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이 경우, 통상적인 관찰 조건에서의 인간의 눈의 분해능 이하의 미세함으로 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충분히 고정밀도의 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광산란축이 대략 직교하는 2개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를 배치하고 있지만, 광산란축이 상이한 3개 이상의 광산란 영역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광산란 영역에 이용 가능한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 각각 백색 부분이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대응하고 있다.
도 5의 광산란 영역 (20)에서는, 광산란 구조 (25)는 (y)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도 6의 광산란 영역 (20)에서는, 광산란 구조 (25)는 (y)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45° 회전시킨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도 7의 광산란 영역 (20)에서는, 광산란 구조 (25)는 (y) 방향과 직교하는 (x)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광산란축이 상이한 3개 이상의 광산란 영역을 배치하면, 예를 들면 계조 표시를 행하거나, 표시체 (1)의 방위를 변화시킴에 따라 상의 변화를 보다 복잡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체 (1)의 방위를 변화시킴으로써, 애니메이션적으로 상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는, 광산란 영역에 이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의 광산란 영역 (20)에서는, 광산란 구조 (25)는 (y)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도 9의 광산란 영역 (20)에서는, 광산란 구조 (25)는 (x)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광산란 구조 (25)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광산란 구조 (25)에 비해 폭이 보다 넓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광산란 영역 (20)이 사출하는 산란광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광산란 영역 (20)이 사출하는 산란광에 비해 배향 방향 (26)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확산이 보다 적다.
산란광의 확산이 적은 경우 특정 위치로부터 관찰했을 때의 산란광은 강해지기 때문에, 광산란축 (26)의 방향이 동일하고, 광산란 구조 (25)의 폭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광산란 영역 (20) 및 도 8에 나타내는 광산란 영역 (20)으로 구성된 상은, 소정의 위치로부터 관찰한 경우 농담(濃淡)을 동반하는 상으로서 보인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광산란 영역 (20a) 및 (20b)는, 도 5 내지 도 7 및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광산란 영역 (20)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에 의해 표시되는 상은 명확한 변환 효과를 갖는다. 즉, 서로 상이한 광산란축 (27)을 갖는 2개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에 의해 표시되는 2개의 상은 섞여서 보이지 않고, 육안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분명히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광산란축 (27)을 갖는 광산란 영역 (20)을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설치한 광산란축 (27)과 동일한 수만큼 표시체 (1)에 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찰 위치의 변화에 의한 애니메이션적인 상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광산란 구조 (25)는 깊이 또는 높이 방향에서 바이너리 (2치) 구조일 수도 있고,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바이너리 구조의 광산란 구조 (25)를 포함한 광산란 영역 (20)은, 미세 가공 능력이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형상 등의 설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구조의 광산란 구조 (25)를 포함한 광산란 영역 (20)은, 레이저광의 간섭을 이용하여 작은 반점(speckle)을 감광성 재료, 예를 들면 포토레지스트에 기록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광산란 영역 (20)의 면적에 대하여 광산란 구조 (25)가 설치된 부분의 면적이 바이너리 구조인 경우에는 50 %,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100 %, 즉 평활면이 없는 경우, 광산란 영역 (20)에서의 광산란 구조 (25)의 산란 효율이 가장 높아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의 층 (2)는, 광산란축이 서로 상이한 2개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를 포함하고 있다. 광산란 영역 (20a)는 "9"의 문자를, 광산란 영역 (20b)는 이 "9"의 문자의 가장자리 장식 부분을 각각 상으로서 표시하고 있다.
도 1의 표시체 (1)에서는, 광산란 영역 (20a) 및 (20b) 각각의 광산란축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배향 방향 (26)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광산란 영역 (20a) 또는 (20b)를 관찰한 경우 표시광이 확산되어 있기 때문에, 관찰 각도에 관계없이 밝은 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표시체 (1)을 광산란 영역 (20a)의 배향 방향 (26)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관찰하면, "9"의 문자만이 흰 빛을 띤 것처럼 보이고, 가장자리 장식 부분은 어둡게 보인다. 한편, 표시체 (1)을 광산란 영역 (20b)의 배향 방향 (26)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관찰하면, "9"의 가장자리 장식 부분만이 흰 빛을 띤 것처럼 보인다. 즉, 도 1의 표시체 (1)은, 광산란축이 서로 상이한 2개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를 포함하기 때문에, 표시체 (1)의 방위에 따라 영역 (20a) 및 (20b)의 명암이 역회전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광산란축 (27)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2개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를 포함하기 때문에, 산란축에 대응하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각각 미리 결정된 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관찰 위치에 따라 관찰되는 상의 변화는 회절 격자 영역 (10)에 의해서도 표현할 수 있지만, 회절 격자 영역 (10)에 의한 무지개색의 겉모습과는 달리, 비교적 넓은 관찰 위치 범위에서 거의 균일한 백색도로 보인다.
또한, 이상에서는, 도 2의 투과성 재료층 (50)이 가시 영역에서 특정한 흡수대를 갖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들어 백색의 산란광을 설명하였다. 투과성 재료층 (50)에 염료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산란 영역 (20)에 의한 산란광은 투과성 재료층 (50)을 투과하는 파장 성분의 산란광이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회절 격자 영역 (10) 및 광산란 영역 (20a) 및 (20b)뿐만 아니라, 요철 구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 (30)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영역 (30)은, 정반사광이 관찰되는 위치 이외에서는 관찰 위치를 변경하여도 지각되는 상이 변화되지 않는다. 층 (2)가 도 2에 나타내는 투명 재료층 (50) 및 반사성 재료층 (51)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영역 (30)은 반사성 재료층 (51)의 금속적인 외관을 나타낸다.
즉,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관찰 위치에 따라 크게 겉모습이 변화되는 시각 효과를 갖는 회절 격자 영역 (10)과, 서로 직교하는 광산란축 (27)을 갖고, 상의 변환과 안정된 관찰 효과를 갖는 2개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와, 시점에 따라 겉모습이 변화되지 않는 영역 (30)을 복합적으로 갖기 때문에 복잡한 시각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각 영역이 개별적으로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회절 격자 영역 (10) 또는 광산란 영역 (20a) 및 (20b) 중 어느 하나만으로 상을 표시하는 표시체에 비해 더욱 복잡한 시각 효과를 갖고, 유사품과의 구별을 매우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위조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회절 격자 영역 (10) 및 광산란 영역 (20a) 및 (20b) 각각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색이나 명도 등이 상이한 다양한 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의 색이나 명도에 따라 회절 격자 영역 (10) 및 광산란 영역 (20a) 및 (20b)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회절 격자 (11) 및 광산란 구조 (25)가 모두 요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철의 복제만으로 양자의 구성이나 위치 관계 및 기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정밀하고 용이한 제조를 행할 수 있다. 고정밀도로 제조된 표시체 (1)은 진정품인 표시체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하고, 진위 판정의 확실함이 증가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표시체 (1)은 회절 격자 영역 (10) 및 광산란 영역 (20a) 및 (20b)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관찰 위치에 따라 상의 겉모습이 변화된다. 이 시각 효과는, 이 표시체 (1)을 컬러 복사함으로써 재현할 수는 없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의 위조ㆍ모조를 행하고자 하여도, 종류가 상이한 2종의 효과를 가진 정밀한 요철 구조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회절 격자 (11)로부터의 회절광을 이용한 광학적인 복제 방법에 의해서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의 광산란 구조는 복제할 수 없다.
따라서, 특징적인 시각 효과와 위조ㆍ모조의 곤란함으로 인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용이하게 진위 판정이 가능한 높은 안전 광학 매체로서, 예를 들면 유가 증권류나 각종 카드, 여권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표시체 (1)에서는, 회절 격자 영역 (10)을 생략할 수도 있다. 회절 격자 영역 (10)을 생략한 표시체는, 상의 변환과 안정된 관찰 효과를 갖는 2개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와, 시점에 따라 겉모습이 변화되지 않는 영역 (30)을 복합적으로 갖기 때문에 복잡한 시각 효과를 갖는다. 이 표시체는 각 영역이 개별적으로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1개의 광산란 영역 (20a) 또는 (20b)만으로 상을 표시하는 표시체에 비해 보다 복잡한 시각 효과를 갖고, 유사품과의 구별을 매우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위조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이하의 구성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표시체 (1)과 동일하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에서, 회절 격자 영역 (10) 및 광산란 영역 (20a) 및 (20b)는, 각각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셀로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에서는, 각각의 영역에서 복수의 셀이 화소로서 상을 표시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에서는, 회절 격자 영역 (10)은 방위가 상이한 복수의 회절 격자 셀 (12a) 내지 (12f)를 포함하고 있다.
도 10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 회절 격자 셀은 회절 격자의 방위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각각의 방위에 따른 회절광을 사출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 회절 격자 셀은, 동일한 시각 효과를 갖는 화소로서 상을 표시한다. 이에 비해, 회절 격자 셀 (12a) 내지 (12f)는 각각 회절 격자의 방위가 상이하기 때문에, 상이한 시각 효과를 갖고 있다. 즉, 도 10의 표시체 (1)은 상이한 시각 효과를 갖는 6개의 회절 격자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도 10의 표시체 (1)의 회절 격자 영역은, 관찰 조건에 따라 변화가 많은 겉모습을 취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에서는, 광산란 영역 (20a)는 광산란 구조의 배향 방향이 (x)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45° 회전시킨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광산란셀 (21a)로 이루어진다. 광산란 영역 (20a)는, 복수의 광산란셀 (21a)를 화소로서 "9"의 상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광산란 영역 (20b)는, 광산란 구조의 배향 방향이 광산란셀 (21a)가 포함하는 광산란 구조의 배향 방향과 직교하는 복수의 광산란셀 (21b)로 이루어진다. 광산란 영역 (20b)는, 복수의 광산란셀 (21b)를 화소로서, 광산란 영역 (20a)가 표시하는 "9"의 상을 가장자리 장식하는 상을 형성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는, 이들을 구성하는 광산란셀 (21a) 및 (21b)에서의 광산란 구조의 배향 방향이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의 광산란축이 직교한다. 따라서, (x)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45° 회전시킨 방향으로부터 도 10의 표시체 (1)을 조명하여 정면으로부터 관찰하면, 광산란 영역 (20b)에서는 산란광이 강하게 관찰되고, 한편으로 광산란 영역 (20a)에서는 산란광이 관찰되지 않거나 또는 매우 약하게 관찰되기 때문에 "9"의 상은 어둡게 보인다. 또한, (x)축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45° 회전시킨 방향으로부터 도 10의 표시체 (1)을 조명하여 정면으로부터 관찰하면, 광산란 영역 (20a)에서는 산란광이 강하게 관찰되고, 광산란 영역 (20b)에서는 산란광이 관찰되지 않거나 또는 매우 약하게 관찰되기 때문에 "9"의 상은 흰 빛을 띤 것처럼 보이고, 그 주위는 어둡게 보이는 상이 표시된다. 즉, 조명하는 각도를 90° 회전시키킬 때마다 "9"의 상과 그 주위의 상의 명암이 반전된다.
회절 격자 셀 (12a) 내지 (12f) 및 광산란셀 (21a) 및 (21b)의 크기는,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표시체 (1)이 작은 경우에는, 가까이하여 보는 것을 고려하여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셀이 이들 수치 이하의 크기이면 통상적인 관찰 조건하에서 육안으로 셀을 구별할 수 없게 되고, 위조 방지 효과의 향상과 의장성, 장식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회절 격자 셀 (12a) 내지 (12f) 및 광산란셀 (21) 및 (21b)는,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크기의 셀을 화소로서 사용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로부터 표시체 (1)의 상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서로 방위가 상이한 회절 격자 셀 (12a) 내지 (12f)로 구성되는 회절 격자 영역 (10), 및 서로 직교하는 광산란축 (27)을 갖는 광산란셀 (21a) 및 (21b)로 각각 구성되는 2개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가 각각 개별적으로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회절 격자 영역 (10) 및 광산란 영역 (20a) 및 (20b) 중 1개 또는 2개만으로 상을 표시하는 표시체에 비해 보다 복잡한 시각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유사품과의 구별을 매우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회절 격자 셀 (12a) 내지 (12f) 및 광산란셀 (21a) 및 (21b)를 화소로서 상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소마다 회절 격자나 광산란 구조의 배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으며, 표시체 (1)의 상을 용이하게 복잡ㆍ고정밀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각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위조 방지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회절 격자 (11) 및 광산란 구조 (25)가 모두 요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철의 복제만으로 양자의 구성이나 위치 관계 및 기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정밀하고 용이한 제조를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밀도로 제조된 표시체 (1)은 진정품인 표시체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하고, 진위 판정의 확실함이 증가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의 위조ㆍ모조를 행하고자 하여도, 이들의 시각 효과를 가진 정밀한 구조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회절 격자 (11)로부터의 회절광을 이용한 광학적인 복제 방법에 의해서도,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의 광산란 구조는 복제할 수 없다.
따라서, 특징적인 시각 효과와 위조ㆍ모조의 곤란함으로 인해,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용이하게 진위 판정이 가능한 높은 안전 광학 매체로서, 예를 들면 유가 증권류나 각종 카드, 여권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이하의 구성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표시체 (1)과 동일하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층 (2)는, 서로 방위가 상이한 2개의 회절 격자 영역 (10a) 및 (10b)와, 광산란축이 서로 직교하는 2개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와, 요철 구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 (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체 (1)에서, 회절 격자 셀 (12a)로 구성되어 있는 회절 격자 영역 (10a)는 "0"의 상을, 회절 격자 셀 (12b)로 구성되어 있는 회절 격자 영역 (10b)는 ":"의 상을, 광산란셀 (21a)로 구성되어 있는 광산란 영역 (20a)는 "1"의 상을, 광산란셀 (21b)로 구성되어 있는 광산란 영역 (20b)는 "9"의 상을 형성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체 (1)에서는, 광산란 영역 (20a) 및 광산란 영역 (20b)의 광산란축이 거의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관찰 위치에서는 한쪽 상만이 관찰되고, 다른 관찰 위치에서는 다른쪽 상만이 관찰된다. 즉, 광산란 영역 (20a) 및 광산란 영역 (20b) 양쪽의 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체 (1)에서는, 회절 격자 영역 (10a) 및 회절 격자 영역 (10b)의 회절 격자의 방위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회절 격자 영역 (10a)가 무지개색으로 빛나 보이는 관찰 위치와 회절 격자 영역 (10b)가 무지개색으로 빛나 보이는 관찰 위치는 상이하다.
또한, 도 11의 표시체 (1)에서는, 회절 격자 영역 (10b)와 광산란 영역 (20b)는 내부의 요철 구조가 거의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관찰 위치에 따라 이들 양자의 상이 관찰되거나, 어느 한쪽의 상만이 관찰되기도 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회절 격자도 광산란 구조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 (30)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영역 (30)은 관찰 위치에 따라 겉모습이 변화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서로 방위가 상이한 회절 격자 셀 (12a) 및 (12b)로 각각 구성되는 2개의 회절 격자 영역 (10a) 및 (10b), 및 서로 직교하는 광산란축 (27)을 갖는 광산란셀 (21a) 및 (21b)로 각각 구성되는 2개의 광산란 영역 (20a) 및 (20b)가 각각 개별적으로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이들 영역 중 1개 이상을 생략한 표시체에 비해 보다 복잡한 시각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유사품과의 구별을 매우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회절 격자 (11) 및 광산란 구조 (25)가 모두 요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철의 복제만으로 양자의 구성이나 위치 관계 및 기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정밀하고 용이한 제조를 행할 수 있다. 안정적이면서도 고정밀도로 제조된 표시체 (1)은, 진정품인 표시체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하고, 진위 판정의 확실함이 증가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의 위조ㆍ모조를 행하고자 하여도, 이들의 시각 효과를 가진 정밀한 구조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회절 격자 (11)로부터의 회절광을 이용한 광학적인 복제 방법에 의해서도,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의 광산란 구조는 복제할 수 없다.
따라서, 특징적인 시각 효과와 위조ㆍ모조의 곤란함으로 인해,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체 (1)은 용이하게 진위 판정이 가능한 높은 안전 광학 매체로서, 예를 들면 유가 증권류나 각종 카드, 여권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표시체 (1)은, 선 형상의 광산란 구조 (25)를 포함한 광산란 영역 (20a) 및 (20b) 등뿐만 아니라, 다른 형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한 광산란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선 형상 이외의 형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한 광산란 영역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의 광산란 영역 (20')은, 직방체 형상의 복수의 볼록부 (25a)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볼록부 (25a)의 배향 방향 (26')은, (x) 방향에 대략 평행하다. 도 13의 광산란 영역 (20')은, 타원 형상의 복수의 볼록부 (25b)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볼록부 (25b)의 배향 방향 (26')은, (x) 방향에 대략 평행하다.
도 12 및 도 13의 광산란 영역 (20')에서는, 광산란축 (27')이 (y) 방향에 대략 평행하다. 그러나, 도 12 및 도 13의 광산란 영역 (20')이 포함하고 있는 볼록부 (25a) 및 (25b)는, (y) 방향의 치수에 대한 (x) 방향의 치수의 비가 작다. 예를 들면, 1 내지 5의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설명한 선 형상의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 (25)에 비해 광산란능 이방성이 작다. 따라서, 도 12 및 도 13의 광산란 영역 (20')은, 산란광은 관찰되지만 관찰 위치에 따른 겉모습의 변화가 작다.
따라서, 이러한 광산란 영역 (20')을 추가함으로써, 표시체 (1)의 시각 효과를 더욱 복잡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체 (1)은, 인쇄물 등의 물품에 부착하여 위조 방지 매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4는, 표시체를 지지한 라벨 부착 물품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라벨 부착 물품 (100)은 자기 카드이다. 이 라벨 부착 물품 (100)은 인쇄가 실시된 기재 (90)과, 기재 (90)에 지지된 표시체 (1)을 포함하고 있다. 이 라벨 부착 물품 (100)이 포함하고 있는 표시체 (1)은, 상기 설명한 표시체 (1)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라벨 부착 물품 (100)은, 회절 격자 영역에 의한 시각 효과와 복수의 광산란 영역에 의한 시각 효과를 갖는 표시체 (1)의 상, 및 카드 (90)에 실시된 인쇄에 의한 상이라는 광학 특성이 상이한 복수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비진정품과의 구별이 용이하다. 표시체 (1)의 위조 및 모조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곤란하기 때문에, 라벨 부착 물품 (100)에 대한 위조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4의 라벨 부착 물품은 표시체 (1)의 적용예 중 하나의 형태이며, 표시체 (1)의 적용 형태는 도 14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체 (1)을 인쇄물과 같은 물품에 적용하는 경우, 쓰레드(스트립, 필라멘트, 실상물, 안전 밴드 등으로도 불림)로 불리는 형태로 종이에 넣어서 뜰 수도 있다. 또한, 표시체 (1)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층 (52)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물품에 용이하게 첩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라벨 부착 물품은 인쇄물이 아닐 수도 있다. 즉, 표시체 (1)은 미술품 등의 고급품에 지지시킬 수도 있다.
표시체 (1)은, 위조 방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완구, 학습 교재 또는 장식품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이익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용이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보다 넓은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한 기재나 대표적인 양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의 범위 및 그의 등가물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포괄적 개념의 진의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5)

  1. 길이 방향이 일치된 복수의 직선상의 볼록부, 오목부 또는 이들 둘다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광산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이 서로 상이한 표시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을 동일한 면내에 구비한 표시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은 상을 각각 표시하고, 이들 상은 육안에 의해 서로 구별 가능한 표시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 각각은, 상기 복수의 볼록부, 오목부 또는 이들 둘다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셀의 배열을 포함하고 있는 표시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이 광산란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셀은 상기 복수의 볼록부, 오목부 또는 이들 둘다의 길이, 폭 또는 이들 둘다가 서로 상이한 셀을 포함하고 있는 표시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선상의 볼록부, 오목부 또는 이들 둘다는 랜덤으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선상의 볼록부, 오목부 또는 이들 둘다는 길이 및 폭이 동일한 표시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 오목부 또는 이들 둘다의 평균 간격은 10 ㎛ 이하인 표시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2개의 광산란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표시체.
  10. 제1항에 있어서, 회절 격자를 형성하고 있는 릴리프 구조가 설치된 회절 격자 영역을 추가로 구비한 표시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 각각은, 상기 복수의 볼록부, 오목부 또는 이들 둘다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셀의 배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절 격자 영역은, 상기 릴리프 구조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셀의 배열을 포함하고 있는 표시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이 광산란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셀은 상기 볼록부, 오목부 또는 이들 둘다의 밀도, 크기, 형상, 및 깊이 또는 높이, 및 상기 셀에 대한 상기 볼록부, 오목부 또는 이들 둘다가 설치된 부분의 면적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절 격자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셀은, 상기 회절 격자를 형성하고 있는 홈의 공간 주파수, 방위, 및 깊이 또는 높이, 및 상기 셀에 대한 상기 회절 격자의 면적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셀을 포함하고 있는 표시체.
  13. 제1항에 있어서, 평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복수의 볼록부, 오목부 또는 이들 둘다가 설치된 광산란 영역을 추가로 구비한 표시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산란 영역은 광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의 주요면이 포함하고 있는 영역이고, 상기 표시체는 상기 주요면을 피복한 반사막 또는 반투과 반사막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표시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체와, 상기 표시체를 지지한 물품을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
KR1020107016365A 2008-04-18 2008-04-18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KR101105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7611 WO2009128168A1 (ja) 2008-04-18 2008-04-18 表示体およびラベル付き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595A KR20100094595A (ko) 2010-08-26
KR101105912B1 true KR101105912B1 (ko) 2012-01-17

Family

ID=4119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365A KR101105912B1 (ko) 2008-04-18 2008-04-18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8982465B2 (ko)
EP (3) EP2264488B1 (ko)
KR (1) KR101105912B1 (ko)
CN (1) CN101910876A (ko)
CA (1) CA2708526C (ko)
ES (1) ES2620654T3 (ko)
WO (1) WO2009128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20654T3 (es) * 2008-04-18 2017-06-29 Toppan Printing Co., Ltd. Material de marcaje de elemento de artículos marcados
WO2011046864A1 (en) * 2009-10-13 2011-04-21 Purchase Ken G Transmissive optical microstructure substrates that produce visible patterns
CN102770787B (zh) * 2009-12-01 2015-09-16 凸版印刷株式会社 显示体及带标签的物品
JP2011118034A (ja) * 2009-12-01 2011-06-16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形成体
DE102010047250A1 (de) 2009-12-04 2011-06-09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Wertdokument mit einem solchen Sicherheitselement sowie Herstellungsverfahren eines Sicherheitselementes
JP5609096B2 (ja) * 2009-12-15 2014-10-22 凸版印刷株式会社 ブランク媒体及び転写箔
US8939621B2 (en) * 2010-06-17 2015-0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dlamp with backlit side bezel signature image
JP2012088598A (ja) * 2010-10-21 2012-05-10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659786B2 (ja) * 2010-12-27 2015-01-28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27578B2 (ja) * 2011-02-14 2015-12-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光学素子の作製方法
DE102011014114B3 (de) * 2011-03-15 2012-05-10 Ovd Kinegram Ag Mehrschichtkörp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körpers
JP6382482B2 (ja) * 2011-06-16 2018-08-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回折格子記録媒体
JP6382483B2 (ja) * 2011-10-12 2018-08-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回折格子記録媒体
EP2635006B1 (en) 2012-03-02 2018-12-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omprising an image module provided thereon
JP6037103B2 (ja) * 2012-05-22 2016-1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凹凸構造体
JP2013246367A (ja) * 2012-05-28 2013-12-09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DE102012105571B4 (de) 2012-06-26 2017-03-09 Ovd Kinegram Ag Dekorelement sowie Sicherheitsdokument mit einem Dekorelement
JP6003450B2 (ja) * 2012-09-20 2016-10-05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4134739A (ja) * 2013-01-11 2014-07-24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EP2974879B1 (en) * 2013-03-12 2018-09-05 Toppan Printing Co., Ltd. Display body
EP2994318B1 (en) * 2013-05-09 2019-07-03 Idit Technologies Corp. Nanostructure array diffractive optics for motion and animation display
JP6413297B2 (ja) * 2013-06-05 2018-10-31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および印刷物
JP6369032B2 (ja) * 2014-01-29 2018-08-08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5949860B2 (ja) * 2014-09-03 2016-07-13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体、物品
JP6044815B2 (ja) * 2014-10-28 2016-12-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凹凸構造体及びセキュリティ媒体
EP3244240B1 (en) * 2015-01-08 2023-11-01 Toppan Printing Co., Ltd. Display body and article
JP6520359B2 (ja) * 2015-04-30 2019-05-29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物品、原版、および、原版の製造方法
CN107615111B (zh) 2015-06-02 2021-09-28 凸版印刷株式会社 层叠体及其制造方法
WO2017010548A1 (ja) 2015-07-15 2017-01-19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
JP6676951B2 (ja) * 2015-07-15 2020-04-08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
EP3370095B1 (en) 2015-10-26 2019-08-28 Toppan Printing Co., Ltd. Display body
DE102017002613A1 (de) * 2017-03-17 2018-09-20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Sicherheitselement mit reflektiven Farbfiltereigenschaften
DE102017005050A1 (de) 2017-05-26 2018-11-29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Sicherheitselement mit reflektivem Flächenbereich
US11112537B2 (en) * 2017-09-29 2021-09-07 Nike, Inc.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DE102018103236A1 (de) * 2018-02-14 2019-08-14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elements
JP7322871B2 (ja) * 2018-03-20 2023-08-08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認証体
GB2573816B (en) 2018-05-18 2021-06-09 De La Rue Int Ltd Securit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7435443B2 (ja) * 2018-07-05 2024-02-21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学構造体、および、光学構造体の製造方法
JP6531858B2 (ja) * 2018-07-12 2019-06-19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デバイス、画像表示媒体、および、ホログラムリボン
US11597996B2 (en) 2019-06-26 2023-03-07 Nike, Inc.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US20210022444A1 (en) 2019-07-26 2021-01-28 Nike, Inc.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US11129444B1 (en) 2020-08-07 2021-09-28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repurposed material with concealing layer
US11889894B2 (en) 2020-08-07 2024-02-06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concealing layer
US11241062B1 (en) 2020-08-07 2022-02-08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repurposed material with structural-color concealing la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411A (ja) * 1994-08-22 1996-03-08 Toppan Printing Co Ltd 回折格子パターン
JP2000131516A (ja) 1998-10-26 2000-05-12 Toppan Printing Co Ltd 回折格子パターン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9686A (en) * 1980-11-05 1986-05-20 Mcgrew Stephen P Anticounterfeiting method and device
DE58909370D1 (de) 1988-09-30 1995-09-07 Landis & Gry Tech Innovat Ag Strichkodefeld und Strichkodeleser.
JP2751721B2 (ja) 1992-03-26 1998-05-18 凸版印刷株式会社 回折格子パターン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
JPH06278396A (ja) * 1993-03-26 1994-10-04 Dainippo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印刷物、転写シート、転写シートを用いた偽造防止印刷物の製造方法および偽造防止方法
DE4446368A1 (de) * 1994-12-23 1996-06-27 Giesecke & Devrient Gmbh Datenträger mit einem optisch variablen Element
DE19516741C2 (de) * 1995-05-06 1997-05-07 Kurz Leonhard Fa Beugungsoptisch wirksame Strukturanordnung
AUPO957297A0 (en) 1997-10-02 1997-10-30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Micrographic security device
KR100843639B1 (ko) 1999-10-19 2008-07-07 롤리크 아게 위상 구조화 중합체 필름 또는 피막의 제조방법, 당해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필름 또는 피막, 및 당해 필름 또는 피막을 포함하는 광학 제품
DE10054503B4 (de) * 2000-11-03 2005-02-03 Ovd Kinegram Ag Lichtbeugende binäre Gitterstruktur und Sicherheitselement mit einer solchen Gitterstruktur
JP3982200B2 (ja) * 2001-04-27 2007-09-26 凸版印刷株式会社 光散乱パターン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
JP2002328210A (ja) * 2001-05-02 2002-11-15 Toppan Printing Co Ltd 光散乱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体
JP4269537B2 (ja) * 2001-05-07 2009-05-27 凸版印刷株式会社 光散乱体とそれを用いた光散乱パターンおよび表示体
JP2002341809A (ja) * 2001-05-14 2002-11-29 Toppan Printing Co Ltd 光散乱パターンおよび回折格子パターンから成るディスプレイ
DE10127980C1 (de) * 2001-06-08 2003-01-16 Ovd Kinegram Ag Zug Diffraktives Sicherheitselement
DE10129938B4 (de) 2001-06-20 2005-05-25 Ovd Kinegram Ag Als Echtheitsmerkmal auf einem Dokument angeordnetes optisch variables Flächenmuster
JP2003098324A (ja) * 2001-09-26 2003-04-03 Toppan Printing Co Ltd 光散乱パターン
DE10216562C1 (de) * 2002-04-05 2003-12-11 Ovd Kinegram Ag Zug Sicherheitselement mit Mikro- und Makrostrukturen
JP4501369B2 (ja) * 2003-06-30 2010-07-14 凸版印刷株式会社 光散乱要素を有する光学シート
DE102004003984A1 (de) 2004-01-26 2005-08-11 Giesecke & Devrient Gmbh Gitterbild mit einem oder mehreren Gitterfeldern
JP4416161B2 (ja) * 2004-05-12 2010-02-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回折構造体
CA2573352C (en) 2004-07-21 2012-06-19 Rolic Ag Anisotropic optical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4778261B2 (ja) * 2005-04-26 2011-09-21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JP4779792B2 (ja) * 2006-04-27 2011-09-28 凸版印刷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媒体の真偽判定装置
EP1855127A1 (en) 2006-05-12 2007-11-14 Rolic AG Optically effective surface relief micro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m
WO2008024813A2 (en) 2006-08-22 2008-02-28 Rynne Group, Llc A discernment card and a discernment card business system using the discernment card
CN101361026B (zh) * 2006-09-27 2013-07-24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元件、带标签物品、光学配套元件及判断方法
JP5157115B2 (ja) 2006-09-28 2013-03-06 凸版印刷株式会社 回折格子から成る表示体およびそれを応用した印刷物
JP2008083599A (ja) * 2006-09-28 2008-04-10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体
JP5157121B2 (ja) * 2006-10-24 2013-03-06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および印刷物
DE102007009646A1 (de) 2007-02-26 2008-08-28 Giesecke & Devrient Gmbh Gitterbild
ES2620654T3 (es) 2008-04-18 2017-06-29 Toppan Printing Co., Ltd. Material de marcaje de elemento de artículos marcados
EP2466345B1 (en) * 2009-08-13 2021-11-03 Toppan Printing Co., Ltd. Image-displaying body and labeled art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411A (ja) * 1994-08-22 1996-03-08 Toppan Printing Co Ltd 回折格子パターン
JP2000131516A (ja) 1998-10-26 2000-05-12 Toppan Printing Co Ltd 回折格子パタ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29610B2 (en) 2017-11-28
EP2264488B1 (en) 2016-12-28
EP3040747A1 (en) 2016-07-06
WO2009128168A1 (ja) 2009-10-22
CA2708526C (en) 2012-02-21
EP2264488A1 (en) 2010-12-22
EP3040746A1 (en) 2016-07-06
EP3040747B1 (en) 2022-06-22
US20180038998A1 (en) 2018-02-08
US9387720B2 (en) 2016-07-12
EP3040746B1 (en) 2022-06-22
US10473831B2 (en) 2019-11-12
KR20100094595A (ko) 2010-08-26
US20150151561A1 (en) 2015-06-04
CN101910876A (zh) 2010-12-08
US20160279999A1 (en) 2016-09-29
CA2708526A1 (en) 2009-10-22
ES2620654T3 (es) 2017-06-29
US20100254007A1 (en) 2010-10-07
EP2264488A4 (en) 2012-10-17
US8982465B2 (en) 201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912B1 (ko)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JP5157121B2 (ja) 表示体および印刷物
JP4420138B2 (ja) 表示体及び情報印刷物
JP5272434B2 (ja) 表示体
WO2011068002A1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338177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741125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143855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08107470A (ja) 表示体及び印刷物
JPWO2009040960A1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6089387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4998405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2123102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2159589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515244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1209376A (ja) 表示体及び表示体付き物品
JP2012078447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3020084A (ja) 計算機ホログラムを有する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CN105158830A (zh) 显示体及带标签物品
JP5994899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0249982A (ja) 表示体及び情報印刷物
JP2016212439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