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924B1 - 폴리프로필렌용 베타-조핵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용 베타-조핵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924B1
KR101100924B1 KR1020097014611A KR20097014611A KR101100924B1 KR 101100924 B1 KR101100924 B1 KR 101100924B1 KR 1020097014611 A KR1020097014611 A KR 1020097014611A KR 20097014611 A KR20097014611 A KR 20097014611A KR 101100924 B1 KR101100924 B1 KR 10110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ting agent
group
acid
metal compound
di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232A (ko
Inventor
요하네스 울프슈벤저
마르쿠스 갈레이트너
Original Assignee
보레알리스 테크놀로지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레알리스 테크놀로지 오와이. filed Critical 보레알리스 테크놀로지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09010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1Preparation of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7C51/412Preparation of salts of carboxylic acids by conversion of the acids, their salts, esters or anhydrides with the same carboxylic acid par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5/00Saturated compounds hav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5/02Dicarboxylic acids
    • C07C55/16Pime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5/00Saturated compounds hav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5/02Dicarboxylic acids
    • C07C55/18Azela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5/00Saturated compounds hav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5/02Dicarboxylic acids
    • C07C55/20Sebac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발명은 신규한 β-조핵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β-조핵제는 탄산칼슘 및 이염기 유기산의 칼슘염의 무수 혼합물이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용 베타-조핵제 및 이의 제조방법{BETA-NUCLEATING AGENT FOR POLYPROPLYEN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용 β-조핵제를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 그에 의해 수득되는 신규한 β-조핵제 및 이 β-조핵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은 단사정계(monoclinic) α-변형에서 융해물이 냉각될 때 전형적으로 결정화된다. 그러나, 상기 α-변형에 더하여, 폴리프로필렌은 육방 β-변형 및 사방정계(orthorhombic) γ-변형에서 또한 결정화된다. 상기 β-변형은 개선된 기계적 특성, 특히 개선된 충격 강도 및 응력 균열(stress cracking)에 대한 개선된 내성을 특징으로 한다.
전형적으로, β-변형 내 결정화는 특정한 β-조핵제, 예컨대 유럽특허 제0 177 961 A2호에 개시된, 퀴나크리돈(quinacridone) 안료의 첨가에 의해 달성된다. β-조핵제의 다른 공지된 종류는 이염기 유기산의 그룹 Ⅱ 염이다.
미국특허 제5,231,126호는 β-핵형성이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에, 이염기산과 그룹 Ⅱ 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또는 산성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이-성분 β-조핵제를 혼합하여 달성될 수 있음을 교시하고 있다. 이염기산의 적당한 예시로 는 피멜린산, 아젤라산, o-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 등이 있다. 그룹 Ⅱ 금속의 적당한 산화물, 수산화물 또는 산성염은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또는 바륨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전형적인 예시로는 탄산칼슘 또는 다른 탄산염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선행 문헌에 기술된 이-성분 β-조핵제의 단점은, 이-성분 β-조핵제와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혼합이 용융 온도, 전단 조건, 조합 시간, 불순물 및 물의 존재 등으로 인해 다양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달성되는 효과의 불충분한 재현성이다. 유럽특허 제0682066 A1호는 폴리프로필렌이 칼슘스테아르산염 및 피멜린산의 존재 하에서 in situ로 생성된 β-조핵제를 형성하기 위하여 용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내 β-변형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비교예에 교시하고 있다. 이 선행 문헌에서 상기 비교예는 다량의 β-변형을 보여주고는 있지만, 용융 혼합 및 용융 반응 공정의 재현성은, 유사한 조건 하에서 β-변형의 양이 실질적으로 0임을 보여주는 본 출원에 포함된 비교예에 의해 더욱 입증되는 바와 같이, 매우 만족스럽지 못하다.
더욱이 β-조핵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선행 문헌에 사용된 수개의 출발물질들은 상당히 비싸서, 그렇게 값비싼 물질들의 신뢰성 있고 재현가능한 사용과 관련하여 특히, 개선이 요구됨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염기 유기산 및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을 토대로, β-핵형성을 달성하기 위한 보다 신뢰성 있는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특허 제0 682 066 A1호는 보다 신뢰성 있는 β-변형을 달성하기 위한 그 러한 시도를 교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은 1 mol의 디카르복실산과 1 mol의 탄산칼슘을 수성 에탄올 함유 용액 내에서 60 내지 80℃로 반응시켜 생성되는 일-성분 β-조핵제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개선이 달성될 수 있음을 개시한다. 상기 반응은 미세한 침전물의 형태로 수득되고 여과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디카르복실산의 칼슘염을 생성한다.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은 건조되어 β-조핵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성분 β-조핵제, 즉 디카르복실산의 칼슘염의 단점은 수득된 침전물이 β-핵형성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1 mol의 결정수를 포함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 결정수의 제거는 부가적인 가열 단계를 요구하기 때문에 첨가제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엄격한 조건 하에서만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단점은 상기 일-성분 β-조핵제가 여과 동안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미세한 침전물의 형태로 수득된다는 사실이다. 구체적으로, 미세한 침전물은 여과 효율의 급격한 감소를 유발할 것이기 때문에, 합성의 스케일-업을 고려할 때 미세한 침전물은 주된 결점이다.
이염기 유기산은 상당히 비싼 원료 물질이기 때문에, β-핵형성에 요구되는 이염기 유기산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더욱 유리할 것이라는 점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다른 β-조핵제, 예컨대 상기에 언급된 퀴나크리돈 안료에 대해서는, 소량이 단독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안료가 폴리프로필렌의 변색을 야기한다는 사실이 또한 주목되고 있다. 10 ppm 이하의 양에서도, 이러한 β-조핵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의 색깔은 전형적으로 밝은 붉은 색깔로, 눈으로 식별가능한 변색을 나타내었다. 물론, 이는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또 다른 단점 이다.
국제특허 제WO02/078924호는 강도 및 투명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결정성 열가소성을 위한 핵형성 첨가제로서 헥사하이드로프탈산의 금속염을 기술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핵제는 또한 청징제(clarifying agent)로 상기 조핵제를 언급하는 이 선행 문헌 내 기재로부터 명백하게 구분되는, α-조핵제이다.
[기술적 과제]
상기에서 확인된 단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변색과 같은 통상적인 β-조핵제와 관련된 단점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β-변형으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를 가능케 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β-조핵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득되는 것과 같은 효과는 재현 가능해야 하고, 예컨대 이염기 유기산과 같은 값비싼 원료의 사용은 가능한 줄여야 한다. 나아가 β-조핵제는 또한 보다 큰 규모에서 β-조핵제의 제조를 가능케 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결정수의 제거와 같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이후의 처리를 피할 수만 있다면, 이는 또한 유용할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기 목적은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하기 명세서 내 뿐만 아니라 종속항인 제2항 내지 제7항에 기술된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 제8항 내지 제1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β-조핵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각각 종속항인 제12항 및 제13항뿐만 아니라, 제9항 및 제10항에도 기술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제14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염기 유기산 및 그룹 Ⅱ 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또는 산성염을 포한하는 혼합물을 120℃ 이상의 온도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β-조핵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1항에 정의되고 이후에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이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이 주어진 온도에서 이염기 유기산과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반응, 즉 상기 반응이 용융 중합체 물질과 같은, 임의의 추가적인 용매 또는 용융 물질의 부가적인 존재 없이 야기되는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염기 유기산과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반응은 임의의 추가적인 성분들(공기 또는 상기 반응을 방해하지 않는 다른 가스성 대기는 제외)의 부재 하에서 이들 두 성분들의 반응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용액 중 또는 중합체의 용융된 기질 내에서 수행되는 방법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그룹 Ⅱ 금속 화합물 및 이염기 유기산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본 명세서에 정의된 온도에서 반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이염기산은 4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이염기 유기산 중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이염기산의 바람직한 예시는 아이소프탈산 뿐만 아니라, 피멜린산, 서베린산, 아젤라산, o-프탈산, 테레프탈산이다. 이들 산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아젤라산뿐만 아니라 피멜린산, 서베린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그룹 Ⅱ 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또는 산성염은 전형적으로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 또는 바륨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칼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예시에는 중탄산마그네슘, 중탄산스트론튬 및 중탄산바륨 뿐만 아니라, 탄산칼슘과 수산화칼슘이 포함된다. 탄산칼슘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염기 유기산 및 그룹 Ⅱ 금속의 화합물은 임의의 바람직한 비율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염기 유기산보다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을 더 높은 혹은 동일한 몰 양으로 포함하는 혼합물이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β-조핵제의 제조를 위해 덜 값비싼 성분인,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을 매우 과량으로 포함하는 혼합물의 사용이다. 이염기 유기산에 대한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적합한 비율은 하기와 같다:
중량비: 10:5-0.1 , 특히, 10:3-0.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1
몰비: 10:5-0.1 , 특히, 10:3-0.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1.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이는 상기에-기술된 열처리 전에, 두 성분들을 바람직하게는 볼 밀, 롤 밀 또는 상응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격렬하게 혼합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혼합은 전형적으로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β-조핵제의 제조를 위한 성분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교시에 따라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된다. 상기 열처리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성분 β-조핵제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시간 동안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처리 시간의 전형적인 예시는 30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및 특히 약 2시간과 같은 1.5시간 이상이다. 이 열처리는 전형적으로 공기의 존재 하에서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수행된다. 상기 온도의 상한치가 결정적이지는 않지만, 이 온도가 유기 이염기산의 분해 온도 이상이 되어서는 안된다.
열처리는 유동층 반응기뿐만 아니라 교반되는 용기 및 볼 밀을 포함하는, 임의의 바람직하고 적합한 장치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특히, 유동층 반응기를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이들 장치들은 두 성분들의 친밀한 혼합을 가능케 하고, 나아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스케일-업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이점인, 연속적인 공정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는 용매 또는 다른 액체 반응 매질의 부재 하에서 수행된다. 하기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상기 열처리는 이염기산과 그룹 Ⅱ 금속 화합물 사이의 고체-상태 반응(즉,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은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반면, 유기산은 융용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는 반응)을 야기하여, 출발 화합물의 할당량에 따라, 이염기산의 상응하는 염과 잔여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동량의 혼합물을 사용할 때, 이염기산의 순수한 그룹 Ⅱ 금속염의 제조를 가능케 하고, 이와 동시에, 또한 출발 화합물의 할당량에 따라서, 이염기산의 염 및 잔여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임의의 바람직한 혼합물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가 고체-상태 반응을 유발시킨다는 사실과,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단지 낮은 함량의 이염기 산성염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열처리 후에, 비 동량 혼합물조차도 고효율의 β-조핵제를 생성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전후관계 내에서 놀라운 일이다.
열처리 후, 수득된 일-성분 β-조핵제는, 특히 실온으로 냉각된 이후에 추가적인 후처리를 거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1 내지 10 μ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μm, 및 특히 3 내지 5 μm의 중량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한 분말을 얻기 위하여 수득된 일-성분 β-조핵제를 추가적으로 분쇄 처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득된 β-조핵제는 반응된 형태로 이염기 유기산뿐만 아니라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일-성분 β-조핵제이다. 즉, 상기 이염기 유기산은 놀랍게도 열처리 동안에 그룹 Ⅱ 금속 화합물과 반응하여 조성비에 따라서 그룹 Ⅱ 금속 화합물과 이염기산의 그룹 Ⅱ 금속염을 포함하는 일-성분 β-조핵제를 형성한다. 유리 이염기산은 전형적으로 열처리 후 일-성분 β-조핵제 내에 더 이상 포함되지 않는다.
일-성분 β-조핵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수성 용액 또는 다른 액체 반응 매질 내에서의 임의의 반응 단계들을 포함하지 않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선행 기술과 관련하여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결정수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점은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고체-상태 반응이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 집약적 여과 공정을 회피할 수 있다. 나아가, 조성 비율에 따라, 잔여량의 그룹 Ⅱ 금속 화합물과의 혼합물로서 단지 소량의 이염기 유기산의 그룹 Ⅱ 금속염을 포함하는 일-성분 β-조핵제를 수득할 수 있다. 그러나 하기에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그의 표면이 이염기 유기산의 그룹 Ⅱ 금속염으로 개질되는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작은 입자로 간주될 수 있는, 이러한 일-성분 β-조핵제로도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내에서 재현 가능한 고효율의 β-핵형성을 달성하여, 종래의 β-조핵제와 비교하여, 요구되는 보다 소량의 이염기 유기산을 갖는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의 β-변형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나아가 신뢰성이 높고, 수행하기에 간단하며, 유동층 반응기와 같은, 개조되는 표준 장치를 적절히 이용하여 스케일-업이 가능하다. 고효율이고 신뢰성이 높은 β-조핵제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음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이 종래 기술에 현저한 개선을 부가하였음이 용이하게 명백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전에는 이염기산의 염이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용액 중에서만 제조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극성 용매, 예컨대 에탄올을 이용하고자 한 시도는 임의의 반응을 야기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고체-상태 반응이 달성된다는 사실은 특히 놀라운 것이다.
β-조핵제가 핵화되는 폴리프로필렌에 첨가될 때,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되는 β-조핵제는 미립자 형태, 바람직하게는 미세한 분말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마스터-배치 형태, 즉, 중합체성 기질,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상당히 높은 농도의 β-조핵제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형태로, β-조핵제의 사용을 교시한다.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되는 β-조핵제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에 0.001 내지 5 wt%,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wt%, 예컨대 0.05 내지 1 wt%(폴리프로필렌 함량을 기준으로 계산됨)의 양으로 사용된다. 그로 인해 충전제, 안정화제, 윤활제 등과 같은 다른 첨가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DSC로 결정되는 바와 같이 80% 이상에 달하는 폴리프로필렌 내 β-변형의 수준이 달성될 수 있다. β-변형의 양은 또한 터너-존스(Turner-Jones)에 따른 k 값으로 표시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0.94 이상에 달하는 k 값(예컨대, 0.97)을 달성한다. 터너-존스에 따른 k 값과 그의 계산과 관련하여, 참고문헌이,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유럽 특허 제0 682 066 A1호 내 대응하는 기재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β-조핵제가 첨가될 수도 있는 폴리프로필렌은 랜덤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단독중합체일 수도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전형적으로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입체 규칙성 정도를 갖는, 엘라스토머성 폴리프로필렌 뿐만 아니라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입체규칙성 폴리프로필렌이다. 입체규칙성은 바람직하게는 입체규칙성의 측정 단위로서 이소택틱 5가(pentad) 규칙성(mmmm)을 취하여, 예를 들면, 문헌[Busico 등, in Macromolecules 28 (1995) 1887-189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용액 중에서 13C-NMR 분광기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출원 내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신규한 일-성분 β-조핵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하여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또한 동일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일-성분 β-조핵제와 관련하여 적용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산화물, 수산화물 및 산성염 중에서 선택되는 그룹 Ⅱ 금속 화합물과 이염기 유기산의 고체상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신규한 β-조핵제를 제공하고, 상기 β-조핵제는 그의 표면이 이염기 유기산의 그룹 Ⅱ 금속염으로 개질된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입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규한 β-조핵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데, 과량,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추가로 정의되는 바와 같은 과량의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이 사용되어,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개별적인 입자들이 이염기 유기산으로 표면에서만 개질되어 그룹 Ⅱ 금속 화합물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염기 유기산의 그룹 Ⅱ 금속염을 생성한다. 이러한 이염기 유기산의 그룹 Ⅱ 금속염은 이염기 유기산이 상기 입자와 접촉하게 되는 그룹 Ⅱ 금속 화합물 입자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수득된 β-조핵제는, 특히, 이염기 유기산의 그룹 Ⅱ 금속염이 예를 들어, 용액 중에서 화학적 반응으로 형성되는 종래 기술의 방법과 비교하여, 값비싼 출발 물질인 이염기 유기산의 상당히 소량을 사용하면서, 폴리프로필렌에 조핵제로 사용될 때 β-변형을 제공하는데 매우 충분한 능력을 여전히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는 비용면에서 매우 효과적이고 β-조핵제를 다루기가 용이하며, 이의 유익한 효과는 특히 하기에 나타낸 실시예 3에 의해 예시된다. 본 출원에 포함된 실시예에 제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따른 소량의 β-조핵제만으로도 만족스러운 수준의 β-핵형성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하여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동일하게 본 명세서에 정의된 β-조핵제와 관련하여 또한 적용된다.
특히 β-조핵제는 하기와 같은 이염기 유기산에 대한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비율을 포함한다:
중량비: 10:5-0.1 , 특히, 10:3-0.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1
몰비: 10:5-0.1 , 특히, 10:3-0.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1.
특히 바람직한 β-조핵제는 개별적인 탄산칼슘 입자의 표면 상에, 탄산칼슘 및 이염기산의 칼슘염, 바람직하게는 피멜린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β-조핵제를 생성하는 고체 상태 반응의 결과이다. 이러한 구조 및 조성물은 개별적인 입자의 표면 부분의 평가를 가능케 하는 현미경적 기술뿐만 아니라 IR-분광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β-조핵제, 특히 매우 과량의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실시형태는 β-핵형성에 요구되는 이염기산의 요구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면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내 충분히 만족스럽고 재현 가능한 함량의 바람직한 β-변형을 유발한다. 이는 충분히 재현 가능하지 않은 β-핵형성을 야기하거나 보다 많은 양의 값비싼 이염기산을 요구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현저한 개선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및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β-조핵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프로필렌은 상기에 개요된 바와 같이, 특히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예컨대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전형적으로 단지 소량의 공단량체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종류의 폴리프로필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조성물은, 프로필렌의 함량을 기준으로, β-변형의 바람직한 함량, 전형적으로 0.001 내지 5 wt%,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wt%, 및 실시형태에서는 0.05 내지 1 wt%를 생성하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β-조핵제를 포함한다.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 및 충전제가 또한 전형적인 양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0.5 이상의 터너-존스에 따른 k 값을 나타내고, 본 발명은 0.85 이상과 같은 수준의 k 값을 나타내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이는 DSC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80% 이상에 달하는 β-변형의 함량에 상응한다.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혼합물 1-3을 탄산칼슘(플루카 아트(Fluka, Art)로부터 공급됨. No. 21060) 및 피멜린산(플루카 아트로부터 공급됨. No. 80500)을 실온에서 격렬하게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160℃의 대류식 오븐 내에 2시간 동안 넣어두어 제조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모든 혼합물을 3-5 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 분말로 분쇄하였다.
No. CaCO3(gram) 피멜린산(gram) 비고 열처리
1 10.00 10.00 중량 기준 중량
(wt. by wt.)
2 h/160℃
2 10.01 16.02 동몰 혼합물 2 h/160℃
3 10.00 1.00 중량 기준 중량
(wt. by wt.)
2 h/160℃
다른 혼합물은 하기 방식으로 제조하였다(혼합물 4):
16.02 g의 피멜린산을 100 ml의 순수 에탄올(플루카 아트로부터 공급됨. No. 02883)에 용해시키고 60℃까지 가열한 후, 10,01 g의 CaCO3(플루카 아트로부터 공급됨. No. 21060)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CO2 발생이 나타나지 않아 Ca-피멜린산염에 대한 반응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 현탁액을 여과하고, 110℃에서 건조시키고 IR-분광기로 분석하였다. 그 침전물은 순수한 CaCO3로 동정될 수 있었지만 Ca-피멜린산염은 전혀 동정되지 않았다.
혼합물 1 내지 4를 폴리프로필렌 내 β-핵형성과 관련하여 평가하였다:
방법 및 결과: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분말(MFR(230/2.16): 0.2 g/10분)을 0.5%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키스(3-(3',5'-다이-터트. 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이그라녹스(Irganox) 1010으로 공급됨, Ciba SC), 0.10% 트리스(2,4-다이-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이르가포스(Irgafos) 168로 공급됨, Ciba SC) 및 0.10% Ca-스테아르산염(Ca-스테아르산염 S로 공급됨, Faci)과 혼합하고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은 혼합물 1 내지 4를 하기 표에 지시된 바와 같은 양으로 첨가하고 230℃의 용융 온도에서 테이손(Theyson) TSE 24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조핵제 Tm
베타(℃)
Tm
알파(℃)
Hm
베타(J/g)
Hm
알파(J/g)
Tk(℃) 베타-함량(%)
no(CE1) 146.7 163.7 2.8 97.3 112.2 <5
0.1% 혼합물 1 150.8 163.8 70.1 34.9 123.1 66.8
0.2% 혼합물 1 152.1 165.3 69.3 28.6 122.8 70.8
0.1% 혼합물 2 151.9 168.1 79.2 24.4 121.7 76.7
0.2% 혼합물 2 151.8 168.2 78.0 21.4 122.6 78.5
0.1% 혼합물 3 152.0 164.9 69.5 35.7 124.2 66.1
0.2 혼합물 3 152.3 165.5 61.8 37.9 124.8 62.0
0.2% 혼합물 4(CE2) 148.2 164.8 3.1 96.9 113.7 <5
β-함량은 β-상의 용융 피크에 대한 융합의 열과 융합의 총 열(β-상 + β-상) 사이의 비율로서 계산하였다:
β-함량 = Hβ-상/(Hβ-상 + Hβ-상)
β-함량에 대한 부가적인 계산이 터너-존스 방정식(A. Turner-Jones 등, Makromol Chem., 75 (1964) 134)을 통해 수행되었다.
조핵제 k-값
0.2% 혼합물 1 0.82
0.2% 혼합물 2 0.71
0.2% 혼합물 3 0.59
0.2% 혼합물 4 0.04
혼합물 1-3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모든 혼합물의 β-함량은 DSC에 의해 60% 이상으로 현저히 높은데, 이는 이들 혼합물의 β-조핵제로서의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β-조핵제가 없는 비교예 1(CE1) 및 혼합물 4로 제조된 용액을 포함하는 비교예 2(CE2)는 유의미한 β-함량을 나타내지 않는다.
터너-존스에 따른 k-값은 본 발명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든 시료에 대해 0.5 이상으로 현저히 높은데, 이는 상기 시료들 내 높은 함량의 β-변형과 그로 인한 본 발명의 β-조핵제의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동몰비(혼합물 2)로부터 10의 매우 높은 중량비(혼합물 3)로의 이염기산의 상대적인 양의 감소가, 동일한 농도에서조차, β-조핵제로서의 효과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히 확인될 수 있다.
비교예 3 내지 5는 임의의 추가적인 처리 없이 독일특허 제36 10 644호(미국특허 제5,231,126호에 대응하는 독일어 명세서)에 따라 피멜린산과 CaCO3 및 Ca-스테아르산염을 각각 혼합하여(중량 기준으로 1:1) 제조하였다.
이전의 실시예에 사용된 바와 같이 동일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분말(MFR(230/2.16): 0.2 g/10분)을 0.5%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키스(3-(3',5'-다이-터트. 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이그라녹스 1010으로 공급됨, Ciba SC), 0.10% 트리스(2,4-다이-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이르가포스 168로 공급됨, Ciba SC) 및 0.10% Ca-스테아르산염(Ca-스테아르산염 S로 공급됨, Faci), 및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독일특허 제36 10 644호에 따라 제조된 CaCO3/피멜린산 혼합물과 혼합하고 230℃의 용융 온도에서 테이손 TSE 24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였다. 상기 조성 및 수득된 생성물의 후속 평가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조핵제 Tm
베타(℃)
Tm
알파(℃)
Hm
베타(J/g)
Hm
알파(J/g)
Tk(℃) 베타-함량(%)
0.1% 피멜린산/CaSt
(CE3)

165.4

1.6

106.6

117.0

<2
0.1% 피멜린산/CaCO3
(CE4)

166.9

0.0

109.4

123.8

0.0
0.1% 피멜린산/CaCO3
(CE5)

167.5

0.0

101.5

125.5

0.0
비교예 6:
BE 50(임의의 조핵제 무함유 보레알리스(Borealis)로부터의 상업적 PP-단독중합체, MFR(230/2.16): 0.2 g/10분)을 이용하여 2 mm 두께의 압축 주형된 플라크를 제조하고 터너-존스에 따라 k-값을 측정하였다. k-값은 <0.01이었는데, 이는 PP의 β-변형이 근본적으로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조성물은 상기에 제시된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대응한다.

Claims (15)

  1.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을 120℃ 이상의 온도에서 이염기 유기산으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임의의 용매 또는 용융 중합체 물질과 같은 용융 물질의 부재 하에 수행되는, β-조핵제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이 칼슘 화합물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염기 유기산이 피멜린산, 서베린산, 및 아젤라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가 15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가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수행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가 1.5시간 이상의 기간 동안에 수행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염기산이 이염기산에 대한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중량비 또는 몰비가 10:5-0.1이 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에 따른 방법의 어느 하나에 의해 수득가능한, β-조핵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Ⅱ 금속 화합물 및 이염기 유기산이 동몰량으로 또는 몰 초과의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율로 사용되는 β-조핵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염기 유기산에 대한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몰비 또는 중량비가 10:1인 β-조핵제.
  11. 그룹 Ⅱ 금속 화합물 및 이염기 유기산의 고체상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β-조핵제로서, 상기 β-조핵제가 그의 표면이 이염기 유기산의 그룹 Ⅱ 금속염으로 개질되는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입자를 포함하는, β-조핵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이 탄산칼슘이고 상기 이염기 유기산이 피멜린산인 β-조핵제 .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염기 유기산의 그룹 Ⅱ 금속염에 대한 그룹 Ⅱ 금속 화합물의 몰비 또는 중량비가 10:1인 β-조핵제.
  14. 폴리프로필렌 및 제8항에 따른 β-조핵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15. 폴리프로필렌 및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β-조핵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20097014611A 2006-12-19 2007-12-19 폴리프로필렌용 베타-조핵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0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26328.2 2006-12-19
EP06026328A EP1939167A1 (en) 2006-12-19 2006-12-19 Beta-nucleating agent for polyproplyen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PCT/EP2007/011203 WO2008074494A1 (en) 2006-12-19 2007-12-19 Beta-nucleating agent for polyproplyen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232A KR20090101232A (ko) 2009-09-24
KR101100924B1 true KR101100924B1 (ko) 2012-01-02

Family

ID=3809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611A KR101100924B1 (ko) 2006-12-19 2007-12-19 폴리프로필렌용 베타-조핵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010168A1 (ko)
EP (2) EP1939167A1 (ko)
JP (1) JP2010514846A (ko)
KR (1) KR101100924B1 (ko)
CN (1) CN101605749B (ko)
BR (1) BRPI0721160A2 (ko)
EA (1) EA014524B1 (ko)
WO (1) WO2008074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344585T3 (pl) 2008-10-01 2018-10-31 Borealis Ag Nowy materiał do rur kanalizacyjnych o polepszonych właściwościach
FR2949442B1 (fr) * 2009-08-28 2011-10-21 Nouvelle Manufacture Bourguignonne De Plastique Element d'emballage en polypropylene comportant un opercule
SI2325245T1 (sl) * 2009-11-19 2014-11-28 Omya International Ag Kislinsko modificirano naravno mineralno polnilo za initializacijo beta-nukleacije polipropilena
EP2325244B1 (en) * 2009-11-19 2012-03-14 Borealis AG Surface coated calcium carbonate for polyolefins
DE102009060446A1 (de) 2009-12-22 2011-06-30 Treofan Germany GmbH & Co. KG, 66539 Mikroporöse Separator-Folie für Doppelschichtkondensatoren
FR2955841B1 (fr) * 2010-02-01 2012-09-14 Nouvelle Manufacture Bourguignonne De Plastique Bouchon en plastique comportant une embase destinee a etre rapportee sur un corps d'emball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bouchon
CN101941296A (zh) * 2010-09-01 2011-01-12 宿迁市景宏彩印包装有限公司 一种大功率锂离子电池隔膜制备方法
CN102558683B (zh) * 2011-12-31 2014-01-22 广州呈和科技有限公司 一种聚丙烯β晶型成核剂组合物及其应用
CN102532716B (zh) * 2012-02-14 2013-09-18 浙江大学 一种对聚丙烯具有高β成核作用的贝壳粉填料及其制备方法
EP2838948A1 (en) 2012-04-19 2015-02-25 Technische Universiteit Eindhoven Nucleating agents for polypropylene and propylene copolymers
US10709619B2 (en) 2013-06-13 2020-07-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stening tape and mechanical fastener including microporous film
CN105283161B (zh) * 2013-06-13 2019-10-15 3M创新有限公司 个人卫生制品及其容器
BR112016023646A2 (pt) 2014-04-10 2017-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fibras e artigos as que incluem
WO2016003647A1 (en) 2014-06-19 2016-01-0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Loose-tube fiber optic cables having buffer tubes with beta phase crystallization
CN104558847A (zh) * 2015-01-07 2015-04-29 方文川 均聚聚丙烯β晶型成核剂及其制备方法
TR201810471T4 (tr) 2015-06-23 2018-08-27 Omya Int Ag Poliolefinlerin alfa nükleasyonu için yüzey işlemi görmüş dolgu malzemesi ürünü.
CN105479781B (zh) * 2015-12-14 2017-09-26 成都慧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热处理提高聚丙烯β晶含量的方法
CA2975803C (en) * 2016-09-02 2023-06-20 University Of Guelph Toughened polyolefin and biocarbon based light-weight biocomposit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916161B2 (ja) 2018-02-20 2021-08-11 インディアン オイル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ポリオレフィンポリマー用添加剤および熱可塑性組成物
JP7019862B2 (ja) 2018-07-24 2022-02-15 ミリケン・アンド・カンパニー 添加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使用してポリマー組成物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09354773B (zh) * 2018-10-31 2021-07-13 成都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成核剂在降低聚丙烯复合材料的析出发粘性的应用
EP4130137A4 (en) * 2020-03-24 2024-04-03 New Japan Chem Co Ltd MODIFIER FOR POLYOLEFIN RESINS AN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THIS MODIFIER
CN111363201B (zh) * 2020-05-09 2021-03-23 吉林大学 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成核剂及应用
EP4169896A1 (en) 2021-10-21 2023-04-26 Borealis AG A bifunctional beta-nucleating agent/filler, generated from the surface treatment of calcium carbonate with dicarboxylic acids
CA3234738A1 (en) * 2021-10-21 2023-04-27 Borealis Ag Synergistic .beta.-nucleating blends of dicarboxylic acids with calcium salts of fully saturated fatty acids
CN116769253B (zh) * 2023-08-24 2023-12-12 山东路德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土工格栅改性聚丙烯工程塑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1126A (en) 1985-04-01 1993-07-27 Shi Guan Yi Beta-crystalline form of isotactic polypropylen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EP0682066A1 (de) * 1994-05-13 1995-11-15 PCD-Polymere Gesellschaft m.b.H. Verfahren zur Erhöhung des Anteiles der Beta-Modifikation in Polypropylen
WO2002078924A2 (en) * 2001-03-29 2002-10-10 Milliken & Company Metal salts of hexahydrophthalic acid as nucleating additives for crystalline thermoplastic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76B (zh) * 1985-04-01 1989-05-03 中国科学院上海有机化学研究所 β-晶型聚丙烯生产方法
US6042369A (en) * 1998-03-26 2000-03-28 Technomics, Inc. Fluidized-bed heat-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for use in a manufacturing line
US6632850B2 (en) * 2001-04-04 2003-10-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porous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1126A (en) 1985-04-01 1993-07-27 Shi Guan Yi Beta-crystalline form of isotactic polypropylen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EP0682066A1 (de) * 1994-05-13 1995-11-15 PCD-Polymere Gesellschaft m.b.H. Verfahren zur Erhöhung des Anteiles der Beta-Modifikation in Polypropylen
WO2002078924A2 (en) * 2001-03-29 2002-10-10 Milliken & Company Metal salts of hexahydrophthalic acid as nucleating additives for crystalline thermopla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21160A2 (pt) 2014-04-01
EA014524B1 (ru) 2010-12-30
EP2094637B1 (en) 2012-10-31
CN101605749A (zh) 2009-12-16
KR20090101232A (ko) 2009-09-24
EA200970594A1 (ru) 2009-12-30
EP1939167A1 (en) 2008-07-02
EP2094637A1 (en) 2009-09-02
JP2010514846A (ja) 2010-05-06
US20100010168A1 (en) 2010-01-14
CN101605749B (zh) 2015-11-25
WO2008074494A1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924B1 (ko) 폴리프로필렌용 베타-조핵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5681922A (en) Process for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β-modification in polypropylene
EP2112200B1 (en) Resin additive master batch
JPH0784502B2 (ja) β―結晶形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又はエチレン―プロピ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製法
JPS6257405A (ja) 改善された透明性の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の製造法
JP2004083852A (ja) 造核剤及び該造核剤を含有してなる結晶性高分子組成物
KR20210064316A (ko)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JP2008202009A (ja) 固体難燃剤
EP2292688B1 (en) Process for solidification of phosphoric ester flame retardants
KR20230093352A (ko)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H0748473A (ja) 結晶性合成樹脂組成物
JPH1171487A (ja) β核剤を含む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US10214632B2 (en) Crystallinity modifier for polyolefins
JP3338498B2 (ja) 合成樹脂組成物
WO2003087175A1 (en) Highly nucleated syndiotactic polypropylene
JPH07242776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5307980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3034993B2 (ja) 透明性の改善された合成樹脂組成物
JPH04213344A (ja) マクロラジカル分解によって改質された結晶性ポリオレフィン用の成核剤
JPH101312A (ja) 四塩基性硫酸鉛及びその製造法
JPH03181533A (ja) 結晶性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H0881595A (ja) プロピレン/エチレンランダム共重合体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