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745B1 -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745B1
KR101074745B1 KR1020070074946A KR20070074946A KR101074745B1 KR 101074745 B1 KR101074745 B1 KR 101074745B1 KR 1020070074946 A KR1020070074946 A KR 1020070074946A KR 20070074946 A KR20070074946 A KR 20070074946A KR 101074745 B1 KR101074745 B1 KR 10107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drive roller
transfer
conveying
intermediat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1240A (ko
Inventor
아츠유키 기타무라
마사히로 사토
준이치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09Transfer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3Fix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23Transfer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송 부재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수의 상(像)형성부(16Y, 16M, 16C, 16B)에서 형성된 토너상을 반송하는 중간 전사 벨트(14)를 갖는다. 중간 전사 벨트(14)는 주(主)구동 롤러(41)에 접하는 위치 및 보조 구동 롤러(42)가 접하는 위치의 2군데에서, 마찰력을 통하여 구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주구동 롤러(41)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은, 보조 구동 롤러(42)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보다도 크다. 또한, 주구동 롤러(41)의 원주 속도는 보조 구동 롤러(42)보다도 낮다.
상형성부, 중간 전사 벨트, 주구동 롤러, 보조 구동 롤러

Description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상담지체의 주위에 대전 수단 및 현상 수단을 배치한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전사 벨트를 따라 각 색마다 설치하고, 전사 벨트를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통과시킴으로써 컬러 화상을 형성시키는 탠덤형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 벨트는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 사이에 걸쳐지고,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 중 어느 한쪽의 롤러는 다른 쪽 롤러에 대하여 경사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전사 벨트 구동 시의 벨트 인장(引張) 측이 하방이 되도록 배열 설치하고, 상기 벨트 인장 측에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상담지체를 맞닿게 한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開示)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3-140435
본 발명은 반송 부재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복수의 상(像)형성부에서 형성된 상 또는 복수의 상형성부에서 형성된 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적어도 2군데에서 마찰력을 통하여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는 반송 장치이다.
제 2 발명은, 복수의 상형성부에서 형성된 상 또는 복수의 상형성부에서 형성된 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이 반송 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적어도 2개가 회전 구동하고, 이 회전하는 지지 부재가 마찰력을 통하여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반송 장치이다.
제 3 발명은,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 중, 어느 1개의 지지 부재는, 다른 지지 부재보다도 구동력이 큰 제 2 발명에 기재된 반송 장치이다.
제 4 발명은,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반송 부재 또는 상기 반송 부재가 반송하는 기록 매체에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가 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면이 형성되고, 이 전사면은 전사 전 입구와 전사 후 출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 중, 상기 출구에 가장 근접한 지지 부재의 구동력이 다른 지지 부재의 구동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제 3 발명에 기재된 반송 장치이다.
제 5 발명은,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반송 부재 또는 상기 반송 부재가 반송하는 기록 매체에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가 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면이 형성되고, 이 전사면은 전사 전 입구와 전사 후 출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 중, 상기 출구에 가장 근접한 지지 부재의 원주 속도가 다른 지지 부재의 원주 속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제 2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반송 장치이다.
제 6 발명은,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반송 부재 또는 상기 반송 부재가 반송하는 기록 매체에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가 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면이 형성되고, 이 전사면은 전사 전 입구와 전사 후 출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 중, 상기 출구에 가장 근접한 지지 부재의 상기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면적이, 다른 지지 부재가 상기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면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제 2 발명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반송 장치이다.
제 7 발명은,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반송 부재 또는 상기 반송 부재가 반송하는 기록 매체에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가 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면이 형성되고, 이 전사면은 전사 전 입구와 전사 후 출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 중, 상기 출구에 가장 근접한 지지 부재의 적어도 표면 마찰 계수가, 다른 지지 부재의 표면 마찰 계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제 2 발명 내지 제 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반송 장치이다.
제 8 발명은, 복수의 상형성부와,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에서 형성된 상을 각각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와,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의해 전사된 상 또는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의해 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적어도 2군데에서 마찰력을 통하여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9 발명은, 복수의 상형성부와,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에서 형성된 상을 각각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와,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의해 전사된 상 또는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의해 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이 반송 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적어도 2개가 회전하고, 이 회전하는 지지 부재가 마찰력을 통하여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10 발명은, 상기 복수의 전사부는, 서로 인접하는 전사부가 전사를 행하는 전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 중 다른 지지 부재보다도 구동력이 큰 지지 부재의 회전 둘레의 거의 정수배(整數倍)로 되도록 배치되는 제 9 발명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는, 상기 반송 부재 또는 상기 반송 부재가 반송하는 기록 매체에 전사되는 상을 유지하는 상유지체를 각각 갖고, 이들 상유지체는, 상기 반송 부재와 원주 속도가 상이한 제 8 발명 내지 제 10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1군데에서만 반송 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와 비교하여, 반송 부재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반송 장치를 소형화하려고 한 경우 등에, 1군데에서만 마찰력을 통하여 반송 부재를 구동하려고 해도 구동이 양호하게 전달되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제 1 발명에서는, 적어도 2군데에서 구동을 전달하기 때문에, 반송 부재에 대하여 구동의 전달이 이루어지기 쉬워지고, 반송 부재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지지 부재만으로 반송 부재에 구동을 전달하는 장치와 비교하여, 반송 부재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반송 장치를 소형화하려고 한 경우, 지지 부재가 소형화되는 경향이 있고, 지지 부재가 소형화된 경우, 지지 부재와 반송 부재가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1개의 지지 부재만을 회전 구동시켜, 마찰력을 통하여 반송 부재를 구동하려고 해도, 반송 부재가 양호하게 구동하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제 2 발명에서는, 적어도 2개의 지지 부재가 회전하고, 반송 부재에 구동을 전달하기 때문에, 반송 부재에 대하여 구동 전달이 이루어지기 쉬워지고, 반송 부재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각 지지 부재의 구동력이 동일한 장치와 비교하여, 반송 부재의 구동을 더 안정시킬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이고, 출구에 가장 근접한 지지 부재의 구동력보다도 구동력이 큰 지지 부재가 있는 장치와 비교하여, 전사면에 느슨해짐을 생성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이고, 출구에 가장 근접한 지지 부재보다도 원주 속도가 작은 지지 부재가 있는 장치를 비교하여, 전사면에 느슨해짐을 생성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이고, 출구에 가장 근접한 지지 부재보다도 반송 부재에 접하는 면적이 큰 지지 부재가 있는 장치와 비교하여, 전사면에 느슨해짐을 생성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이고, 출구에 가장 근접한 지지 부재보다도, 표면 마찰 계수가 큰 지지 부재가 있는 장치와 비교하여, 전사면에 느슨해짐을 생성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려 하고, 지지 부재의 외부 직경이 소경화(小徑化)하고, 반송 부재의 내측 면과의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한 경우일지라도, 1개의 지지 부재만으로 반송 부재에 구동을 전달하는 장치와 비교하여, 반송 부재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화상 장치를 소형화하려고 한 경우 등에, 1군데에서만 마찰력을 통하여 반송 부재를 구동하려고 해도 구동이 양호하게 전달되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제 8 발명에서는, 적어도 2군데에서 구동을 전달하기 때문에, 반송 부재에 대하여 구동의 전달이 이루어지기 쉬워지고, 반송 부재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9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지지 부재만으로 반송 부재에 구동을 전달하는 장치와 비교하여, 반송 부재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려고 한 경우, 지지 부재가 소형화되는 경향이 있고, 지지 부재가 소형화된 경우, 지지 부재와 반송 부재가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1개의 지지 부재만을 회전 구동시켜, 마찰력을 통하여 반송 부재를 구동하려고 해도, 반송 부재가 양호하게 구동하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제 9 발명에서는, 적어도 2개의 지지 부재가 회전하고, 반송 부재에 구동을 전달하기 때문에, 반송 부재에 대하여 구동 전달이 이루어지기 쉬워지고, 반송 부재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0 발명에 의하면, 전사 장치가, 서로 인접하는 전사 장치의 전사 위치 사이의 거리가, 다른 지지 부재보다도 구동력이 큰 지지 부대의 회전 직경의 거의 정수배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색 불균일 등의 화상 불량을 생성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1 발명에 의하면, 반송 부재와 상유지체의 원주 속도가 동일한 경우와 비교하여, 더 양호하게 전사가 이루어지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가 나타내져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갖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 중간 전사 벨트(14)와, 벨트 유닛(15)과, 예를 들어 4개의 상형성부(16Y, 16M, 16C, 16B)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중간 전사 벨트(14)가 복수의 상형성부(16Y, 16M, 16C, 16B)에서 형성된 상을 반송하는 반송 부재로서 사용되고, 벨트 유닛(15)이 반송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형성부(16Y, 16M, 16C, 16B)가 각각 상형성부로서 사용되고, 도 1에서의 우측 상부로부터 좌측 하부에 병렬 배치되어 있고, 화상 형성 장치(10)는 소위 탠덤 방식으로 되어 있다. 상형성부(16Y)는 황색 토너상을, 상형성부(16M)는 자홍색 토너상을, 상형성부(16C)는 청록색 토너상을, 그리고 상형성부(16B)는 흑색 토너상을 형성하고, 형성한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사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시트 공급 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공급 장치(18)는 예를 들어 보통지, OHP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적재되는 시트 공급 카세트(20)와, 이 시트 공급 카세트(20)에 적재된 시트를 인출하는 픽업 롤러(22)와, 시트를 분류하면서 송출하는 공급 롤러(24) 및 지연 롤러(26)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시트가 복수의 상형성부(16Y, 16M, 16C, 16B)에서 형성된 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시트 공급 카세트(20)는 예를 들어 도면 중 앞쪽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보통지, OHP 시트 등의 시트가 적재 수납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일단(一端) 부근(도면 중 좌단(左端) 부근)에는, 시트 공급로(28)가 거의 연직(鉛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시트 공급로(28)의 주변에는, 시트 공급로(28)를 따라 반송 롤러(29), 레지스트 롤러(30), 2차 전사 롤러(32), 정착 장치(34) 및 배출 롤러(36)가 설치되어 있다. 레지스트 롤러(30)는 시트 공급로(28)로 송출된 시트를 1차 정지시키고, 타이밍을 잡아 2차 전사 롤러(32)로 보낸다. 정착 장치(34)는 가열 롤러(34a)와 가압 롤러(34b)로 이루어지고, 가열 롤러(34a)와 가압 롤러(34b)의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시트에 토너상을 정착하도록 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는, 배출 트레이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배출 롤러(36)에 의해 배출 트레이부(38)로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가 배출되고, 이 배출 트레이부(38)에 적층된다. 따라서, 시트 공급 카세트(20)의 시트는 차례로 C자 형상의 패스(path)를 통하여 배출 트레이부(38)에 배출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타단(他端) 측(도 1 중 우단(右端) 측)에는, 현상제 수용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예를 들어 4개의 토너 보틀(40Y, 40M, 40C, 40B)이 설치되어 있다. 토너 보틀(40Y)에는 황색 토너가, 토너 보틀(40M)에는 자홍색 토너가, 토너 보틀(40C)에는 청록색 토너가, 토너 보틀(40B)에는 흑색 토너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토너 보틀(40Y)은 상형성부(16Y)에, 토너 보틀(40M)은 상형성부(16M)에, 토너 보틀(40C)은 상형성부(16C)에, 토너 보틀(40B)은 상형성부(16B) 에, 각각 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되는 공급로(도시 생략)를 통하여 토너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형성부(16Y, 16M, 16C, 16B)는, 중간 전사 벨트(14)의 한쪽 면에 설치된 상 형성 유닛(48, 48, 48, 48)을 각각 갖고, 상 형성 유닛(48, 48, 48, 48)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각각 착탈 가능하고,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14)에 대하여 한 번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도 1 중에서의 앞쪽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14)는 주(主)구동 롤러(41), 보조 구동 롤러(42), 및 상기 중간 전사 벨트(14)에 소정의 장력을 가하고, 걸쳐있는 텐션 롤러(43)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주구동 롤러(41), 보조 구동 롤러(42), 및 텐션 롤러(43)가 반송 부재로서 사용되는 중간 전사 벨트(14)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주구동 롤러(41)와 보조 구동 롤러(42)는 중간 전사 벨트(14)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텐션 롤러(43)로부터 주구동 롤러(41)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에는, 중간 전사 벨트(14)에, 복수의 상형성부(16Y, 16M, 16C, 16B)에서 형성된 상(토너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면(45)이 형성되어 있다. 전사면(45)은 전사 전 입구로서 사용되는 선단부(P2)와, 전사 후 출구로서 사용되는 후단부(P1)를 갖고, 선단부(P2)로부터 후단부(P1)에 걸쳐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는 중간 전사 벨트(14)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중간 전사 벨트(14)를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한다. 보조 구동 롤러(42)는 2차 전사 롤러(32)와 대향 배치된 백업 롤러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텐션 롤러(43)에는 가압 부재로서 사용되는 탄성체(46)가 연결되어 있어, 탄성체(46)에 의해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중간 전사 벨트(14)에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14)의 내측에는, 상 형성 유닛(48, 48, 48, 48)에 각각 대향하도록 1차 전사 롤러(50, 50, 50, 5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전사 롤러(50, 50, 50, 50)가 복수의 상형성부(16Y, 16M, 16C, 16B)에서 형성된 토너상을, 각각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사하는 전사부로서 사용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14)의 상단 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용 청소 장치(44)가 배치되고, 텐션 롤러(43)가 중간 전사 벨트용 청소 장치(44)의 백업 롤러로서 사용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14), 주구동 롤러(41), 보조 구동 롤러(42), 텐션 롤러(43), 1차 전사 롤러(50, 50, 50, 50), 및 중간 전사 벨트용 청소 장치(44)는 상술한 벨트 유닛(15)으로서 일체화되어 있다. 벨트 유닛(15)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도 1에서의 앞쪽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차 전사 롤러(32)는 2차 전사 유닛(33)으로서 유닛화되어 있다. 2차 전사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도 1에서의 앞쪽 방향으 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는, 상형성부(16)의 상세가 나타내져 있다. 상형성부(16Y, 16M, 16C, 16B)는 사용하는 현상제의 색이 상이하지만,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상형성부(16)로서 통합하여 설명한다. 상형성부(16)는, 상 형성 유닛(48)을 갖고, 상 형성 유닛(48)은, 감광체(52)와, 감광체(52)를 대전시키는 예를 들어 롤러로 구성된 대전 장치(54)와,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감광체(52) 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56)와, 노광 장치(56)에 의해 형성된 감광체(52) 상의 잠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장치(58)와, 전사 후에 감광체(52) 상에 남은 토너를 청소하는 청소 장치(60)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감광체(52)가 상술한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사되는 현상제 상을 유지하는 상유지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 형성 유닛(48)은 분리 가능한 감광체 유닛(62)과 현상 유닛(64)이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감광체 유닛(62)은, 제 1 하우징(66)에 감광체(52), 대전 장치(54), 노광 장치(56) 및 청소 장치(60)가 수용되어 있다. 현상 유닛(64)은, 제 2 하우징(68)에 현상 장치(58)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하우징(66)과 제 2 하우징(68)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 형성 유닛(48)이 구성되어 있다.
감광체(52)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쪽 단부(端部)에는, 감광체(52)를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53)이 장착되어 있다. 이 베어링(53)의 일부는 감광체(52)의 일부와 함께 제 1 하우징(66) 및 제 2 하우징(68)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현상 장치(58)는 예를 들어 2성분 방식이고, 토너와 캐리어가 현상에 사용되고, 예를 들어 수평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오거(auger)(70, 72)와, 배출 측 오거(72)의 경사 상부에 배치된 현상 롤러(74)를 갖고, 토너와 캐리어를 오거(70, 72)에 의해 교반(攪拌)하여 현상 롤러(74)에 공급한다. 현상 롤러(74)에서는, 캐리어에 의한 자기 브러시가 형성되고, 이 자기 브러시에 의해 캐리어에 부착된 토너를 반송하고, 감광체(52) 상의 잠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한다. 이 실시예와 같이, 2성분 방식의 현상 장치(58)로서, 오거(70, 72)로부터 상방에 현상 롤러(74)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토너 및 캐리어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토너 및 캐리어를 균일하게 교반할 수 있고, 현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현상 장치(58)에는 상술한 토너 보틀(40)로부터 토너가 공급된다.
청소 장치(60)는 예를 들어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토너 스크레이핑부(76)와, 토너 스크레이핑부(76)에서 스크레이핑된 토너를 회수하는 회수부(78)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감광체(52)의 표면이 대전 장치(54)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52)의 표면에 노광 장치(56)에 의해 잠상이 기입되고, 이 잠상을 현상 장치(58)에서 현상함으로써 감광체(52)의 표면에 토너상이 형성되고, 이 토너상이 1차 전사 롤러(5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사된다. 여기서, 감광체(52)의 원주 속도는 중간 전사 벨트(14)의 원주 속도와 상이하고, 또한 중간 전사 벨트(14)보다도 느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감광체(52)와 중간 전사 벨트(14)의 원주 속도의 차에 의해, 감광 체(52)의 표면으로부터 스크레이핑되도록 하여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에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사되고, 중간 전사 벨트(14)의 표면에서 중첩된 토너상은, 2차 전사 롤러(32)에 의해 시트에 전사되고, 시트에 전사된 토너상이 정착 장치(34)에 의해 시트에 정착된다. 그리고,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가 배출 롤러(36)에 의해 배출 트레이부(38)에 배출된다.
도 3에는 주구동 롤러(41)와 보조 구동 롤러(42)가 나타내져 있다. 주구동 롤러(41)는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어(core)부(84)와, 코어부(84)의 외주(外周)에 코어부(84)를 덮도록 설치된 외주부(86)를 갖는다. 외주부(86)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충분한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에 의해 제작되어 있어, 주구동 롤러(41)의 회전이 외주부(86)와 중간 전사 벨트(14)의 내측 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을 통하여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되고, 주구동 롤러(41)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14)에 구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주구동 롤러(41)의 외부 직경 φ1은, 예를 들어 25㎜ 정도이고, 주구동 롤러(41)에 대한 중간 전사 벨트(14)의 접촉각 θ1은, 예를 들어 90°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보조 구동 롤러(42)는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부(88)와, 코어부(88)의 외주에 코어부(88)를 덮도록 설치된 외주부(90)를 갖는다. 외주부(90)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외주부(90)의 마찰 계수는 주구동 롤러(41)의 외주부(86)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외주부(90)의 마찰 계수는 주구동 롤러(41)의 외주부(86)보다도 낮지만, 보조 구동 롤러(42)의 회전은, 외주부(90)와 중간 전사 벨트(14)의 내측 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을 통하여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되고, 보조 구동 롤러(42)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14)에 구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또한, 외주부(90)의 마찰 계수는 주구동 롤러(41)의 외주부(86)보다도 낮기 때문에,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주구동 롤러(41)보다도 작다.
보조 구동 롤러(42)의 외부 직경 φ2는 주구동 롤러(41)와 거의 동일 값으로 정해지고, 예를 들어 25㎜ 정도이다. 보조 구동 롤러(42)에 대한 중간 전사 벨트(14)의 접촉각 θ2는, 주구동 롤러(41)에 대한 접촉각과 거의 동일 각도로 정해지고, 예를 들어 90°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4에는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에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부재로서 사용되는 구동 전달 기구(94)가 나타내져 있다. 구동 전달 기구(94)는, 기어(G1), 기어(G2), 및 기어(G3)를 갖는다. 기어(G1)는 주구동 롤러(41)(도 3, 도 1 참조)에 연결되고, 주구동 롤러(41)에 구동을 전달하는 기어이다. 기어(G1)에는 예를 들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원(96)이 연결되어 있어, 구동원(96)으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서 기어(G1)는 도 4에 나타내지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G2)는 기어(G1) 및 기어(G3)에 맞물리고, 기어(G1)의 회전을 기어(G3)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기어(G3)는 보조 구동 롤러(42)(도 3, 도 1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원(96)으로부터 기어(G1) 및 기어(G2)를 통하여 구동 전달을 받음으로써 기어(G3)는 회전하여, 보조 구동 롤러(42)에 구동을 전 달한다.
기어(G3)의 톱니 수는 기어(G1)의 톱니 수보다도 적다. 예를 들어 기어(G1)의 톱니 수가 52라면, 기어(G3)로서 톱니 수가 50인 기어가 사용된다. 따라서, 기어(G1)의 각속도(角速度), 즉 주구동 롤러(41)의 각속도보다도, 기어(G3)의 각속도, 즉 보조 구동 롤러(42)의 각속도는 커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구동 롤러(41)의 외부 직경 φ1과 보조 구동 롤러의 외부 직경 φ2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보조 구동 롤러(42)의 원주 속도는 주구동 롤러(41)의 원주 속도보다도 커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4)를 지지하고, 지지 부재로서 사용되는 지지 롤러 중, 주구동 롤러(41)와 보조 구동 롤러(42)의, 적어도 2개가 회전 구동하고, 이 회전 구동에 의해 마찰력을 통하여 중간 전사 벨트(14)를 구동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14)를, 2개 이상, 즉 적어도 2개의 구동 롤러를 사용하여 회전 구동시킬 경우, 각 구동 롤러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에 전달하는 구동력이 동일하면, 중간 전사 벨트(14)의 회전이 어느 구동 롤러로부터의 구동 전달에 따를지를 정하기 어렵고, 중간 전사 벨트(14)의 회전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구동 롤러(41) 외주부(86)의 마찰 계수를, 보조 구동 롤러(42) 외주부(90)의 마찰 계수보다도 높게 하고, 주구동 롤러(41)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보조 구동 롤러(42)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보다도 크게 하여, 중간 전사 벨트(14)를 구동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14)를, 2개 이상, 즉 적어도 2개의 구동 롤러로 구동하고, 또한 각각의 구동 롤러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상이하게 할 경우, 각 구동 롤러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의 대소 설정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전사면(45)이 느슨해지게 되고, 전사면(45)에서의 중간 전사 벨트(14)로의 토너상의 전사가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4)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전사면(45)의 후단부(P1)를 시점으로 하여, 중간 전사 벨트(14)의 회전 방향 이동 방향에서 상류 측에 위치할수록, 구동 롤러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크게 하는 동시에, 후단부(P1)에 가장 근접한 구동 롤러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다른 구동 롤러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14)를 2개 이상, 즉 적어도 2개의 구동 롤러로 구동할 경우, 각 구동 롤러의 원주 속도의 설정에 따라서는, 전사면(45)이 느슨해지게 되어, 전사면(45)에서의 전사가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주구동 롤러(41)와 보조 구동 롤러(42)의 원주 속도가 동일하거나, 보조 구동 롤러(42)의 원주 속도가 주구동 롤러(41)보다도 낮거나 하면, 중간 전사 벨트(14)의 주구동 롤러(41)와 보조 구동 롤러(42) 사이에 형성되는 면(98)(도 3 참조)에 느슨해짐이 생기고, 면(98)이 느슨해지는 것의 영향을 받아 전사면(45)에 느슨해짐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전사면(45)의 후단부(P1)를 시점으로 하 여, 중간 전사 벨트(14)의 회전 방향 이동 방향에서 상류 측에 위치할수록, 구동 롤러의 원주 속도를 크게 하고 있는 동시에, 후단부(P1)에 가장 근접한 구동 롤러의 원주 속도를, 다른 구동 롤러의 원주 속도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보조 구동 롤러(42)의 원주 속도는, 주구동 롤러(41)보다도 높고, 보조 구동 롤러(42) 외주부(90)의 마찰 계수는, 주구동 롤러(41)의 외주부(86)보다도 낮다. 따라서, 보조 구동 롤러(42)는 중간 전사 벨트(14)와의 접촉부에서 슬리핑(slipping)하면서, 중간 전사 벨트(14)에 구동을 전달하고 있다. 또한, 보조 구동 롤러(42)는 중간 전사 벨트(14)의 접촉부에서 슬리핑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14)에 부여하는 구동력을 제어하면서, 중간 전사 벨트(14)에 구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도 5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1차 전사 롤러(50)가 전사를 행하는 전사 위치(T) 사이의 거리 L과, 보조 구동 롤러(42)보다도 구동력이 큰 주구동 롤러(41)의 원주(회전 둘레)의 관계가 나타내져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주구동 롤러(41)의 외부 직경을 D라고 한 경우, 주구동 롤러(41)의 원주인 π·D와 간격 L이 거의 동일하게 정해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주구동 롤러(41)의 편심(偏心)을 원인으로 하여, 주구동 롤러(41)에 회전 불균일이 생기고, 중간 전사 벨트(14)의 원주 속도에 정기적인 변동이 생겼다고 해도, 이 속도 변동을 원인으로 하는 각 감광체(52)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14) 표면에 전사되는 토너상의 신축(伸縮)이, 중간 전사 벨트(14) 상에서 일치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색 불균일 등의 화상 불량을 생성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원주 π·D와 간격 L을 거의 동일 값으로 하는, 즉 간격 L을 원주 π·D의 거의 1배로 하는 것 대신에, 간격 L을 원주 π·D의 거의 2배, 거의 3배와 같이, 원주 π·D의 2 이상의 정수배로 할 수도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주구동 롤러(41)와 보조 구동 롤러(42)가 나타내져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주구동 롤러(41)의 외부 직경 φ1과 보조 구동 롤러(42)의 외부 직경 φ2는 거의 동일 직경이었던 것에 대하여,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주구동 롤러(41)의 외부 직경 φ1은 보조 구동 롤러(42)의 외부 직경 φ2보다도 크다. 예를 들어 φ2가 20㎜이면, φ1은 25㎜로 정해진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주구동 롤러(41) 외주부(86)의 마찰 계수는 보조 구동 롤러(42) 외주부(90)의 마찰 계수보다도 컸던 것에 대하여,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외주부(86)의 마찰 계수와 외주부(90)의 마찰 계수는 거의 동일하다.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의 원주 속도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조 구동 롤러(42)의 원주 속도가 주구동 롤러(41)의 원주 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정해져 있다. 이 경우, 기어(G1), 기어(G2), 및 기어(G3)(도 4)의 톱니 수는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의 외부 직경의 차이에 따라, 보조 구동 롤러(42)의 원주 속도가 주구동 롤러(41)의 원주 속도보다도 원하는 값만큼 높아지도록 정해져 있다.
주구동 롤러(41)에 중간 전사 벨트(14)가 감기는 각도 θ1과, 보조 구동 롤러(42)에 중간 전사 벨트(14)가 감기는 각도 θ2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두 90°이고 양자는 거의 동일 각도로 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각도 θ1과 각도 θ2는 거의 동일 값이지만, 외부 직경 φ1이 외부 직경 φ2보다도 크기 때문에, 중간 전사 벨트(14)와 접촉하는 면적은 주구동 롤러(41) 쪽이 보조 구동 롤러(42)보다도 크다. 그리고, 외주부(86)와 외주부(90)는 마찰 계수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은, 보조 구동 롤러(42)와 비교하여 주구동 롤러(41)가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4)에 접촉하는 면적이 비교적 작은 것으로부터, 보조 구동 롤러(42)는 중간 전사 벨트(14)와의 사이에서 슬리핑을 하면서, 중간 전사 벨트(14)에 구동을 전달한다.
제 2 실시예와 상술한 제 1 실시예를 조합시켜, 보조 구동 롤러(42)의 외부 직경 φ2를 주구동 롤러(41)의 외부 직경 φ2보다도 작게 함과 동시에, 보조 구동 롤러(42) 외주부(90)의 마찰 계수를 주구동 롤러(41) 외주부(86)의 마찰 계수보다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주구동 롤러(41)와 보조 구동 롤러(42)가 나타내져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주구동 롤러(41)에 중간 전사 벨트(14)가 감기는 각도 θ1과, 보조 구동 롤러(42)에 중간 전사 벨트(14)가 감기는 각도 θ2는 거의 동일하고, 모두 약 90°이다. 이에 대하여,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각도 θ1은 각도 θ2보다도 크고, 각도 θ1은 약 135°, 각도 θ2는 약 35°이다. 주구동 롤러(41)의 외부 직경 φ1과 보조 구동 롤러(42)의 외부 직경 φ2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거의 동일하게, 모두 25㎜이 다. 또한, 주구동 롤러(41) 외주부(86)의 마찰 계수와, 보조 구동 롤러(42) 외주부(90)의 마찰 계수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거의 동일하다. 또한,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의 원주 속도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조 구동 롤러(42)의 원주 속도가 주구동 롤러(41)의 원주 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정해져 있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외부 직경 φ1이 외부 직경 φ2와는 거의 동일하지만, 각도 θ1은 각도 θ2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14)와 접촉하는 면적은 주구동 롤러(41) 쪽이 보조 구동 롤러(42)보다도 크다. 그리고, 외주부(86)와 외주부(90)는 마찰 계수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은, 보조 구동 롤러(42)와 비교하여 주구동 롤러(41)가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4)에 접촉하는 면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보조 구동 롤러(42)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간 전사 벨트(14)와의 사이에서 슬리핑을 하면서, 중간 전사 벨트(14)에 구동을 전달한다.
이 제 3 실시예와,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을 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4)는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의 2개의 구동 롤러에 의해 구동되지만, 중간 전사 벨트(14)를 3개 이상의 구동 롤러로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에 더하여 텐션 롤러(43)를 구동 롤러로서 사용하여, 3개의 구동 롤러로 중간 전사 벨트(14)를 구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텐션 롤러(43)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은, 주구동 롤러(41)보다도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이 약한 보조 구동 롤러(42)보다도, 더 약해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텐션 롤러(43)의 원주 속도는 주구동 롤러(41)보다도 원주 속도가 낮은 보조 구동 롤러(42)보다도, 더 원주 속도가 낮아지도록 설정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구동 전달 기구(94)가 나타내져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기구(94)는 기어(G1), 기어(G2), 기어(G3)를 사용하여, 구동원(96)으로부터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에 구동을 전달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기구(94)는 풀리(pulley)(110), 풀리(112), 및 벨트(114)를 사용하여 구동원(96)으로부터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에 구동을 전달하고 있다.
풀리(110)는 주구동 롤러(41)에 연결되고, 주구동 롤러(41)에 구동을 전달하는 부재이고, 풀리(110)에는, 구동원(96)이 연결되어 있어, 구동원(96)으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 도 8에 나타내지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벨트(114)는 예를 들어 고무제(製) 링(ring)으로 이루어지고, 풀리(110)와 풀리(112) 사이에 걸쳐지도록 부착되고, 풀리(110)로부터 풀리(112)에 구동을 전달한다. 벨트는 고무 등의 충분한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찰력에 의해 풀리(110)로부터 풀리(112)에 구동을 양호하게 전달할 수 있지만, 풀리(110)와 벨트(114) 사이의 위치나, 풀리(112)와 벨트(114) 사이의 위치에서 슬리핑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풀리(112)는 보조 구동 롤러(42)에 연결되어 있다. 풀리(112)의 외부 직경 φ4는 풀리(110)의 외부 직경 φ3보다도 작다. 따라서, 풀리(110)의 각속도, 즉 주구동 롤러(41)의 각속도보다도, 풀리(110)의 각속도, 즉 보조 구동 롤러(42)의 각속도는 커진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구동 롤러(41)의 외부 직경 φ1과 보조 구동 롤러의 외부 직경 φ2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보조 구동 롤러(42)의 원주 속도는 주구동 롤러(41)의 원주 속도보다도 커진다.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보조 구동 롤러(42)와 중간 전사 벨트(14) 사이에 슬리핑을 생기게 함으로써, 보조 구동 롤러(42)는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제한하면서, 중간 전사 벨트(14)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기구(9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풀리(110)와 벨트(114) 사이의 위치나, 풀리(112)와 벨트(114) 사이의 위치에서 슬리핑을 생기게 함으로써, 보조 구동 롤러(42)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제한하면서, 보조 구동 롤러(42)에 구동을 전달하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구동 전달 기구(94)가 나타내져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기어(G3)와 보조 구동 롤러(42) 사이에서 구동 전달의 손실(loss)이 생기지 않도록, 기어(G3)와 보조 구동 롤러(42)는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기어(G3)와 보조 구동 롤러(42) 사이에는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116)가 설치되어 있어, 토크 리미터(116)를 통하여, 기어(G3)로부터 보조 구동 롤러(42)에 구동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토크 리미터(116)는, 보조 구동 롤러(42)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이, 주구동 롤러(41)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달하는 구동력보다도 작아지도록, 기어(G3)로부터 보조 구동 롤러(42)에 전달되는 토크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 제 5 실시예에서도,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 전달 기구(94)는 구동원(96)으로부터 보조 구동 롤러(42)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제한하면서, 보조 구동 롤러(42)에 구동을 전달하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을 한 제 4 및 제 5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4)는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의 2개의 구동 롤러에 의해 구동되었지만, 중간 전사 벨트(14)를 3개 이상의 구동 롤러로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구동 롤러(41) 및 보조 구동 롤러(42)에 더하여 텐션 롤러(43)를 구동 롤러로서 사용하여 3개의 구동 롤러로 중간 전사 벨트(14)를 구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 전달 기구(94)는 텐션 롤러(43)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제한하면서, 텐션 롤러(43)에 대하여 구동을 전달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14)가 지지되는 상태가 나타내져 있다.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4)는 주구동 롤러(41), 보조 구동 롤러(42), 및 텐션 롤러(43)의 3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이 제 6 실시예에서는, 주구동 롤러(41), 보조 구동 롤러(42), 및 텐션 롤러(43)에, 입구측 면 롤러(120)와, 출구측 면 롤러(122)를 더하여 5개의 롤러로 중간 전사 벨트(14)는 지지되어 있다. 또 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입구측 면 롤러(120) 및 출구측 면 롤러(122)는 중간 전사 벨트(14)에 대하여 감광체(52, 52, 52, 52)로부터 토너상의 전사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사면(45)이 더 양호하게 형성되도록 사용되는 롤러이고, 전사면의 선단부(P2)의 뒤쪽에 입구측 면 롤러(120)가, 전사면의 후단부(P1)에 출구측 면 롤러(1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가 나타내져 있다.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반송 부재로서 사용되는 중간 전사 벨트(14)를 갖고, 중간 전사 벨트(14)가 상형성부(16Y, 16M, 16C, 16B)에서 형성된 토너상을 반송했다. 이에 대하여, 이 제 7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중간 전사 벨트 대신에 시트 반송 벨트(14)를 가지고 있다.
이 제 7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트 반송 벨트(14)는 복수의 상형성부(16Y, 16M, 16C, 16B)에서 형성된 상이 전사되는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로서 사용되고, 시트 공급 장치(18)로부터 공급된 시트를, 중력 방향 하방으로부터 중력 방향 상방으로 반송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간 전사 벨트, 시트 반송 벨트, 감광체 벨트 등의 반송 부재를 구비한 반송 장치 및 이 반송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상 형성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 롤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전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각 감광체의 간격과, 구동 롤러의 직경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 롤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 롤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전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전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중간 전 사 벨트가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상 형성 장치 12: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4: 중간 전사 벨트 15: 벨트 유닛
16Y, 16M, 16C, 16B: 상(像)형성부 41: 주(主)구동 롤러
42: 보조 구동 롤러 43: 텐션 롤러
45: 전사면 48: 상 형성 유닛
52: 감광체 94: 구동 전달 기구
96: 구동원 110, 112: 풀리(pulley)
114: 벨트
116: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 G1, G2, G3: 기어
P1: 후단부 P2: 선단부

Claims (14)

  1. 삭제
  2. 복수의 상(像)형성부에서 형성된 상 또는 복수의 상형성부에서 형성된 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이 반송 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와,
    구동 전달 기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반송 부재 또는 상기 반송 부재가 반송하는 기록 매체에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가 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사면은 전사 전 입구와 전사 후 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출구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주 구동부와, 보조 구동부를 적어도 갖고, 상기 주 구동부와 상기 보조 구동부의 쌍방은 회전하고 마찰력을 통하여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것이며,
    상기 구동 전달 기구는,
    복수의 기어와,
    상기 보조 구동부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를 갖고,
    상기 주 구동부의 원주 속도는 상기 보조 구동부의 원주 속도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반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 중, 어느 1개의 지지 부재는, 다른 지지 부재보다도 구동력이 큰 반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 중, 상기 주 구동부의 구동력이 다른 지지 부재의 구동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반송 장치.
  5. 삭제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 중, 상기 주 구동부의 상기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면적이, 다른 지지 부재가 상기 반송 부재에 접촉하는 면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반송 장치.
  7. 삭제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 중, 상기 주 구동부의 적어도 표면 마찰 계수가, 다른 지지 부재의 표면 마찰 계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반송 장치.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지지 부재 중, 상기 주 구동부의 적어도 표면 마찰 계수가, 다른 지지 부재의 표면 마찰 계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반송 장치.
  11. 삭제
  12. 복수의 상형성부와,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에서 형성된 상을 각각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와,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의해 전사된 상 또는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의해 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이 반송 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와,
    구동 전달 기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반송 부재 또는 상기 반송 부재가 반송하는 기록 매체에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가 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사면은 전사 전 입구와 전사 후 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출구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주 구동부와, 보조 구동부를 적어도 갖고, 상기 주 구동부와 상기 보조 구동부의 쌍방은 회전하고 마찰력을 통하여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것이며,
    상기 구동 전달 기구는,
    복수의 기어와,
    상기 보조 구동부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를 갖고,
    상기 주 구동부의 원주 속도는 상기 보조 구동부의 원주 속도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사부는, 서로 인접하는 전사부가 전사를 행하는 전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 중 다른 지지 부재보다도 구동력이 큰 지지 부재의 회전 둘레의 거의 정수배(整數倍)로 되도록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형성부는, 상기 반송 부재 또는 상기 반송 부재가 반송하는 기록 매체에 전사되는 상을 유지하는 상유지체를 각각 갖고, 이들 상유지체는, 상기 반송 부재와 원주 속도가 상이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070074946A 2006-12-27 2007-07-26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74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51650A JP4863004B2 (ja) 2006-12-27 2006-12-27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6-00351650 2006-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240A KR20080061240A (ko) 2008-07-02
KR101074745B1 true KR101074745B1 (ko) 2011-10-19

Family

ID=3958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946A KR101074745B1 (ko) 2006-12-27 2007-07-26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59794A1 (ko)
JP (1) JP4863004B2 (ko)
KR (1) KR101074745B1 (ko)
CN (1) CN1012111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7005B2 (ja) * 2008-11-10 2013-08-07 株式会社リコー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20189364A1 (en) * 2011-01-21 2012-07-26 Andrew Peter Kittleson Reducing drag on rotatable web drive member
JP6914618B2 (ja) * 2015-07-22 2021-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987A (ja) * 2002-03-19 2003-09-25 Fuji Xerox Co Ltd ベルト定着装置
US20050286931A1 (en) * 2004-06-28 200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duced image errors from driving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674A (ja) * 1985-09-03 1987-03-11 Canon Inc 複数の像担持体から順次トナ−像を転写するカラ−画像形成装置
JPH02215561A (ja) * 1989-02-16 1990-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KR100308693B1 (ko) * 1993-09-20 2002-04-24 제이.엠. 알스톤 액체현상방법및액체현상장치
JPH1026887A (ja) * 1996-07-10 1998-01-27 Canon Inc カラー画像記録装置
US5778287A (en) * 1997-01-21 1998-07-07 Xerox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belt drive system
US6408158B1 (en) * 1997-01-31 2002-06-18 Seiko Epson Corporation Intermediate transfer unit
JP3743812B2 (ja) * 1997-08-11 2006-02-08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1316505A (ja) * 1998-05-01 1999-11-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DE19827030A1 (de) * 1998-06-17 1999-12-23 Voith Sulzer Papiertech Patent Auftragsvorrichtung
US6798430B2 (en) * 2000-06-14 2004-09-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ndem type color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rocess cartridges arrayed in running direction of intermediate image transfer member
JP2002268316A (ja) * 2001-03-09 2002-09-18 Seiko Epson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DE60228358D1 (de) * 2001-03-09 2008-10-02 Seiko Epson Corp Farbbilderzeugungsvorrichtung
EP1239338B1 (en) * 2001-03-09 2006-11-22 Seiko Epson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80378A (ja) * 2003-08-29 2005-03-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駆動装置、画像形成装置
US7410412B2 (en) * 2005-01-21 2008-08-12 Black & Decker Inc. Belt san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987A (ja) * 2002-03-19 2003-09-25 Fuji Xerox Co Ltd ベルト定着装置
US20050286931A1 (en) * 2004-06-28 200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duced image errors from driving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59794A1 (en) 2008-07-03
KR20080061240A (ko) 2008-07-02
CN101211132A (zh) 2008-07-02
JP2008164736A (ja) 2008-07-17
CN101211132B (zh) 2011-11-16
JP4863004B2 (ja)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69462A (ja) 画像形成装置
JP698113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074745B1 (ko)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9288358A (ja) 駆動伝達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フル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1622985B1 (ko) 화상형성장치
JP7106339B2 (ja) 画像形成装置
US8641031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8494422B2 (en) Transfer belt driving control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9258164A (ja) 回転駆動力伝達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9217146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22786A (ja) 画像形成装置
US20190300309A1 (en) One-way clutch,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025731A (ja) 像担持体の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521512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7059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3664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82752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1112676A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装置
JP5731419B2 (ja) ベルト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570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47670A (ja) 歯車、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51712B2 (ja) 搬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88366A (ja)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14628B2 (ja) 駆動伝達機構を備えた現像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726442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