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282B1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282B1
KR101066282B1 KR1020090011832A KR20090011832A KR101066282B1 KR 101066282 B1 KR101066282 B1 KR 101066282B1 KR 1020090011832 A KR1020090011832 A KR 1020090011832A KR 20090011832 A KR20090011832 A KR 20090011832A KR 101066282 B1 KR101066282 B1 KR 10106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circulation
path
rotat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673A (ko
Inventor
겐지 데라이
츠요시 무라오
신지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9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회전 드럼을 수조 내에 설치하고, 회전 드럼을 모터로 구동하여 세탁 공정, 헹굼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로서, 수조 내의 물을 수조에 접속한 순환 경로를 통해 순환 펌프에 의해 순환시키는 물순환 기구를 구비하고, 물순환 기구는, 수조의 벽이면과 회전 드럼의 벽표면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 드럼 내에 순환수를 토출하는 유로를 가지며, 각 전단벽의 내주부간에서 형성하는 환상 출구로부터 회전 드럼 내에 순환수를 토출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 드럼을 수조 내에 가지며,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회전 드럼 내에 수용한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드럼식 세탁기로서, 수조 내의 물을 순환 펌프로 순환시키는 순환 기능을 가진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평11-276791호 공보(특허 문헌 1)에서는, 1개의 펌프를 2개의 상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제1은, 세탁 공정이나 헹굼 공정에서는 순환 펌프로서 이용하는 것이며, 헹굼수나 세탁수를 순환시켜, 세탁 공정 초기에서는 세제와 세탁수의 적극적인 교반, 세제의 조기 용해를 도모하고 있다. 제2는, 탈수나 배수 공정에서는 배수 펌프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순환 경로의 순환 펌프의 흡수(吸水)측 도중에는 필터 케이스를 설치하고, 흡수 중의 실밥 등의 세탁 찌꺼기를 포집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순환 펌프에 세탁 찌꺼기가 들어가지 않게 된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2005-58741호 공보(특허 문헌 2)에서는, 수 조 내의 물을 순환 펌프로 순환시킴으로써, 세제가 히터 설치 공간 또는 특정 공간에 모이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아울러, 세탁 전에 세탁물을 신속히 가열하여 세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2006-223572호 공보(특허 문헌 3)에서는, 순환 펌프부와 실밥류의 세탁 찌꺼기를 포획하는 필터링부를 구비한 순환 펌프 유닛을, 세탁기의 외부 케이스의 저부인 대판(臺板)에 설치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순환 펌프부를 탄성 쿠션을 개재하여 대판에 설치함으로써, 펌프 모터의 진동이 대판에 전파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결과, 펌프 모터의 진동과 외부 케이스의 진동이 공진함으로써 일어나는 소음을 막을 수 있을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2006-239142호 공보(특허 문헌 4)에서는, 수조 내의 물을 회전 드럼 내에 더하고, 건조용의 히터 주위에 분사하여 히터 주위에 부착한 실밥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 문헌 1~4에 개시된 물 순환에 관한 기술은, 모두, 순환수를 배관단으로부터 회전 드럼 내에 분사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소중한 순환수가 회전 드럼 내의 세탁물의 국부에 밖에 분사되지 못하고, 순환 효과를 충분히 살릴 수 없다. 그래서, 특허 문헌 2, 4에 기재된 기술은 광역으로 분사하는데 특별한 분사 노즐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특별한 분사 노즐은 코스트 상승의 원인이 되고, 또 펌프압을 상승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것과 아울러 코스트 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 특허 문헌 1, 3, 4에 개시된 기술은, 물 순환계의 배관이 수조의 전단벽부를 관통하여 회전 드럼 내에 임하는 구조이며, 배관 구조가 더 복잡해 지고 또한 코스트 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수조 내의 물을 순환 펌프에 의해 순환시키는데, 순환 펌프로부터의 토출측 경로에 의한 순환수의 회전 드럼 내로의 토출 구조가 간단하고,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 드럼을, 개구하는 정면측으로부터 저부가 되는 배면측을 향하여 회전축 방향이 수평 또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하향 경사가 되도록 하여 수조 내에 설치하고, 회전 드럼을 모터로 구동하여 세탁 공정, 헹굼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로서, 수조 내의 물을 수조에 접속한 순환 경로를 통해 순환 펌프에 의해 순환시키는 물순환 기구를 구비하고, 물순환 기구는, 수조의 전단벽 이면과 회전 드럼의 전단벽 표면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 드럼 내에 순환수를 토출하는 유로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순환 경로를 수조의 전단벽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순환 경로는 수조 및 회전 드럼의 각 전단벽간에서 형성한 유로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물순환 기구가 그 순환 펌프 및 순환 경로에 의해 세탁 공정 또는 및 헹굼 공정 등에서 수조 내의 물을 흡인하여 수조 내로 되돌려 순환시킬 때에, 이 유로를 통해 특별한 배관없이, 상기 각 전단벽의 내주부간에서 형성하는 환상 출구로부터 회전 드럼 내에 순환수를 토출한다. 또, 순환수가 수조 및 회전 드럼의 각 전단벽간의 유로를 통해 그들 전단벽 내주부간의 환상 출구로부터 토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드럼식 세탁기에 대해 도 1~도 9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예이며,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의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모드 설정이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모터(6), 급수 기구(7), 배수 기구(8), 건조 기구(9)를 자동 제어하여 적어도 세정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 공정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 건조 기구(9)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 상기에 아울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세정 준비 공정시, 세정 공정시, 헹굼 공정시 등, 필요에 따라서, 물순환 기구(16)에서 수조(3) 내의 물을 순환시켜 세제의 조기 용해나 치우침의 방지, 세탁이나 헹굼의 기능 향상을 도모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급수 기구(7)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에서 수조(3)까지 설치된 기구이다. 급수 기구(7)는, 전자 밸브의 개폐에 의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시에 급수할 수 있다. 또, 급수를 이용하여 세제 수용부의 세제를 수조(3) 내에 적시에 투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배수 기구(8)는, 수조(3)로부터 외부 배수까지 설치되어 있다. 배수 기구(8)는, 배수 밸브(19)의 개폐에 의해 세탁 공정 종료시, 헹굼 공정 종료시 등 필요한 때에 일점쇄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할 수 있다. 건조 기구(9) 는, 송풍기(12)와 수조(3)를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건조 기구(9)는, 수조(3) 및 회전 드럼(4) 내의 공기를 송풍기(12)에 의해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환시키는 건조 순환 경로를 가지고 있다. 이 건조 순환 경로에는, 수조(3) 및 회전 드럼(4)으로부터의 도입 공기 중의 실밥류를 포집해 제진하는 필터(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건조 순환 경로에는, 제진 후의 도입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건조 순환 경로에는, 제습 후의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한 고온 공기로 하는 가열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12)를 가열부(11)의 하류에 배치함으로써, 습기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고 있다. 제습부(10) 및 가열부(11)는, 압축기(17)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어 순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증발기 및 응축기이며, 공기 조화기(18)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 기구(9)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순환 기구(16)는, 수조(3) 내의 물을 순환 펌프(20)에 의해 흡입하고, 수조(3) 내로 되돌리는 것을 반복한다.
운전 코스 등의 모드나 각종 기능의 선택은, 세탁기 본체(2)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는 조작 패널(2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행한다. 제어 기구(22)가 그 입력 정보를 기초로 조작 패널(21) 상의 표시부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조작 패널(21)에서의 입력 설정부에 의해 운전 개시가 설정되면, 수조(3)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부 등으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고, 구동을 개시한다. 이로 인해, 배수 밸브, 급수 밸브 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세탁, 탈수, 건조 등의 운전을 행한다.
회전 드럼(4)은 회전축(4a)에 수조(3)에 부착된 모터(6)가 직결되어, 수조(3)과 함께, 개구측으로부터 저부측을 향해서 회전축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각도 θ=20±10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에 비해, 회전 드럼(4)을 같은 높이에 설치해도, 수조(3) 및 회전 드럼(4)의 개구가 비스듬한 상향이 되므로, 사용자가 구부리거나 하는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세탁물을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의 경험으로부터는, 경사 각도는 20±10도로 함으로써, 아이(유아를 제외한다)에서 어른까지의 신장차가 있더라도, 휠체어 이용자라도, 세탁물을 넣고 빼는 작업이 가장 행하기 쉬운 상태가 얻어진다. 또, 회전 드럼(4) 내에 급수된 물이 배면측에 모여 적은 수량이라도 깊은 저수 상태를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수조(3)는 급수를 효율적으로 회전 드럼(4) 내의 세탁물에 작동시키기 위해서, 회전 드럼(4)과 같은 경사를 가지고 그 근처를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탁기 본체(2)에는 개폐문(5)이 설치되어, 수조(3)의 개구(13)를 그 개구 가장자리에 장착한 시일재(14)를 통해 밀폐하고, 또 열 수 있다.
또한, 회전 드럼(4)의 구동은, 탈수 공정이, 예를 들면 1000rpm이라는 높은 속도에서의 연속 회전으로 실행된다. 그 때문에, 세탁물을 세탁 공정이나 헹굼 공정에서의 휘감김, 뒤틀림, 주름진 상태인 채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게 하여 자국을 남게 해버린다. 그 결과, 세탁물을 꺼내기 어렵게 하고, 사후 처리에 시간이 걸린다. 또, 세탁물에 심한 주름이 남기 쉽고 주름 펴는데 시간이 많이 든다.
이것을 해소하는데,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세탁 공정 또는, 세탁 공정 및 헹굼 공정에 있어서, 휘감김, 뒤틀림의 발생을 크게 개선하고 기계력의 기능을 높이면서 주름도 생기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2개의 모드로 제어를 하고 있다. 제1은, 회전 드럼(4)의 90도를 초과하고 180도 미만의 급정호(急正弧)회전, 급역호(急逆弧)회전을 교대로 반복하는 정역호회전 구동 모드이다. 제2는, 회전 드럼(4)의 회전에 의해 들어 올려진 세탁물이 그 자중이 우수한 높이로부터 낙하하는 거동을 나타내는 회전 속도에서의 상기 회전 드럼(4)의 연속 회전을, 정역 교대로 반복하는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이다. 세탁 공정 또는, 세탁 공정 및 헹굼 공정에 있어서, 정역호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를, 교대로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회전 드럼(4)의 90도를 초과하고 180도 미만의 급속도에서의 호회전 및 급격한 제동에 의해 세탁물을 최대한 90도를 초과하고 180도 미만까지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들어 올림의 최종 단계인 급격한 제동에 의해 제동 상태가 생겨 세탁물을 그 관성 및 자중에 의해 회전 드럼(4) 내면으로부터 떼어내고 그 자중에 의해 들어 올림측과는 좌우 반대의 측으로 떨어뜨리는 것을 확실히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을 머금어 충분히 팽윤하고, 또한 느슨해지고,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에 있는 세탁물에 대해서, 특히 높은 비팅(beating) 작용을 부여할 수 있음과 더불어, 기계력을 세탁물에 미칠 수 있으므로 세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호회전 구동의 정방향의 급정호회전과 역방향의 급역호회전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정역호회전 구동 모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정역 교대의 급호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물의 들어 올림 위치, 낙하 위치를 매회의 호회전 구동에 있어서 좌우 교대로 바꿔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이 휘감기는 것을 보다 방지하면서 비팅 작용을 더 높일 수 있음과 더불어, 기계력을 세탁물에 미치는 회수를 늘릴 수 있으므로 세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 높은 비팅 작용에 의해, 세탁, 헹굼 공정이 진행함으로써 생기는 세탁물끼리의 휘감김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역호회전 모드에 있어서의 효과적인 두드림 세탁을 지속적으로 실행하여, 세정 효과 및 헹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정역호회전 구동 모드만에서는, 세탁물의 휘감김, 뒤틀림, 주름짐 등이 경감되는 한편으로, 세탁물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바뀌기 어렵고, 회전 드럼(4) 저부의 세탁물은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세탁 얼룩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를 병용함으로써, 세탁물의 상하 방향의 위치의 교체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있어서의 세탁물의 휘감김, 뒤틀림, 주름짐을 경감함과 더불어, 정역호회전 구동 모드에 있어서의 세탁물에 대한 기계력 부여의 불균형을 경감한다. 이로써, 양 모드에 의해 세탁이나 헹굼 중의 세탁물에 다른 2가지의 거동을 부여할 수 있다. 즉, 구체적으로는, 정역호회전 구동 모드에 따라서는, 세탁물의 휘감김, 뒤틀림, 주름짐을 경감하면서 확실한 손 세탁의 거동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따라서는, 세탁물을 크게 연속적으로 움직여 얼룩을 경감하면서 씻는, 균일하고 강한 더러움에 대한 효과적인 세정 거동이 부여된다.
건조 공정에서는, 특히, 정역호회전 구동 모드를 실행하면, 탈수 후의 세탁물의 주름 펴기에 적합하고, 마무리 품질을 현격히 높여 뒷마무리를 큰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그러나, 건조 공정의 세탁물은 가볍게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회전 드럼(4)의 회전각은 90° 이상 200°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정역 연속 구동 모드에서의 회전 드럼(4)의 최고 회전 속도는, 통상대로 45±5rpm으로 해도 되고, 정역호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회전 드럼(4)의 최고 회전 속도는, 세탁, 헹굼 공정에서 40rpm 이상, 탈수 후는 50rpm 이상으로서 적합하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수조(3)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20)를 세탁기 본체(2)의 저부인 대판(2a) 상에 설치하면, 순환 펌프(20)와 수조(3)를 연결하는 물순환 경로의 설치에 제한을 받는다. 즉, 대판(2a)에 고정한 고정측의 순환 펌프(20)와 진동측의 수조(3)의 각 접속 위치간의 거리나 위치 편차의 변화를 받는다. 그 때문에, 이 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신축성, 가요성을 가진 호스 등으로 연결할 필요가 생긴다. 그 결과, 이 호스가 진동이나 그에 따르는 진동적인 신축의 반복에 의해 조기에 열화하고, 누수가 생기는 것이 예측된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조(3) 내의 물을 물순환 경로(31)를 통해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20)를 수조(3)에 설치하고 있다. 또, 순환시키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32)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3)의 물순환시에 물을 흡입하는 물흡입부(33)에 설치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물흡입부 및 배수구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물흡입부 및 배수구부의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순환 펌프(20)가 수조(3)에 부착되어 있으면, 그것들에 접속되어 서로를 연결하는 물순환 경로(31)는, 순환 펌프(20)와 함께 같은 수조(3)에 부착되 게 된다. 이로 인해, 수조(3)의 진동에 의해서도 각 접속 위치간의 거리가 변화하거나, 위치 편차가 생기거나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 펌프(20)와 수조(3)의 사이의 물순환 경로(31)에 신축성이나 가요성이 불필요해진다. 또, 물순환 경로(31)는 수조(3)와 이 수조(3)에 장착된 순환 펌프(20)의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면 되기 때문에, 짧고 내구성에 유리한 배관 구조로 수조(3) 내의 물을 순환한다. 또한, 순환 펌프(20)는, 회전 드럼(4)의 세탁물의 편재를 수반하는 구동시에 수조에 미치는 진동을 증대시키는 진동원으로 되지 않고, 그 중량분의 제진 작용을 수조(3)에 미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터(32)는 물순환 경로(31)의 수조(3)로부터의 물흡입부(33)에 수조(3) 내에 면해서, 노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밥류가 물순환 경로(31)의 흡수측 경로(31a)나 순환 펌프(20)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가 불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순환 펌프(20)와 물순환 경로(31)가 모두 수조(3)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순환 펌프(20)와 물순환 경로(31)의 접속 위치간, 및 수조(3)와 물순환 경로(31)의 접속 위치간에서, 수조(3)의 진동에 기인한 거리의 변화나 위치 편차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물순환 경로(31)가 짧고 또한 배관 구조가 간단하며, 신축성, 가요성이 불필요하고 내진동성이 뛰어난 재료, 구체적으로는 수지 성형품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경로(31)는, 간단하고 부피가 커지지 않고, 저비용으로 내구성이 뛰어난 것을 채용할 수 있고, 필요한 시점에서 수조(3) 내의 물을 순환시켜 세탁기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 순환 펌프(20)는, 수조(3)에 대해 그다지 진동원으로는 되지 않고, 중량에 의한 제진 작용으로 수조(3)의 진동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정음(靜音) 운전의 확보와 수명 저하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조(3)에 대한 중량 밸런스가 좋은, 둘레 방향 및 축선 방향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필터(32)는 물순환 경로(31)의 수조(3)로부터의 물흡입부(33)에 위치하여 실밥류가 순환 펌프(20)는 원래 물순환 경로(31)의 흡수측 경로(31a)에 침입하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밥류가 흡수측 경로(31a) 내나 순환 펌프(20)에 걸리거나, 퇴적하거나, 씹혀들어가거나 하여, 물순환계(16)의 막힘이나 손상, 파손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실밥류에 대한 특별한 메인터넌스없이 순환 동작의 안전, 안정을 장기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도 5C는,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에 이용한 순환 펌프의 단면도, 측면도, 및 하면도이다. 순환 펌프(2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3)의 저부(3b)에 하방으로부터 대고 볼트(34) 등으로 고정한다. 물순환 경로(31)의 순환 펌프(20)로부터의 토출측 경로(31b)는, 수조(3)의 개구(13)가 위치하는 세탁기 본체(2)의 전방을 향해,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에 대해 20° 이상의 오름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순환 펌프(20)는, 도 5A~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20a)를 수용한 수지제의 펌프 케이싱(20b)이, 그 개구측에서, 순환 모터(20c)의 금속제의 모터 케이싱(20d)의 전단에 있는 베어링 격벽(20d1)에 대고 일체화되어 있다. 임펠러(20a)가 모터축(20e)에 직결한 것으로 되어 있고, 이것이 수지제의 설치좌(35)에 끼워 붙여져 있다. 설치좌(35)는 그 주변 3개소(도 5C)에 거의 C형의 설치편(35a)을 가지고 있다. 이들 설치편(35a)을, 수조(3)의 저부(3b)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한 보스부(3c)에 끼워 맞추고, 볼트(34)를 보스부(3c)에 밀어 넣는다. 이로 인해, 순환 펌프(20)를 수조(3)의 저부(3b)에 하방으로부터 부착하여, 순환 펌프(20)의 축선이 세로 방향으로 순환 모터(20c)가 펌프 케이싱(20b)의 위쪽에 위치해도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순환 펌프(20)는 메인터넌스시에 수조(3)의 하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 수조(3)의 세탁기 본체(2) 후부측이 되는 저부(3b)의 아래라고 하는 저위에 있는 순환 펌프(20)로부터 토출측 경로(31b)를, 수조(3)의 회전 드럼(4)을 따른 경사 또는 및 원통 형상을 따른 최단 배관으로 실현할 수 있다. 즉, 세탁기 본체(2)의 앞부분을 향해 수평 방향에 대해 20° 이상의 오름 경사를 가지고 연장하는데, 복잡한 구성이 되지 않는다. 또, 순환 펌프(20)는, 수조(3) 내의 물을 흡수측 경로(31a)를 통해서 흡수하고, 토출측 경로(31b)에 보내 수조(3) 내에 토출한다. 이 때, 경사진 토출측 경로(31b)가, 펌프 케이싱(20b) 내로부터 토출측 경로(31b)로 공기를 빼는 것을 순조롭게 한다. 그 때문에, 순환 펌프(20)가 펌프 케이싱(20b) 내에서 공기를 흡수 중에 끌어들이는 이른바 에어 삽입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 펌프(20)의 만일의 경우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하다. 여기서, 회전 드럼(4)의 경사 각도가 20°±10°로 하는 경우, 20° 이상의 오름 경사로 하는 토출측 경로(31b)는 회전 드럼(4)의 경사 각도를 웃도는 조건 설정이 되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나, 수조(3)의 둘레 방향의 원통면의 만곡 형상을 복합하여 이용하면, 수조(3)로부터 떼어 놓지 않는 최단 배관이 가능하다.
또, 순환 펌프(2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3)의 경사에 맞추어 조금 경사져 있지만, 축선이 세로를 향한 펌프 케이싱(20b)의 하부로부터, 구체적으로는 하부에 일체 성형한 L자형의 흡인구(20f)를 통해 흡수한다. 그 후, 수조(3)의 주벽으로부터, 구체적으로는 접선 방향으로 일체 성형한 토출구(20g)(도 4)를 통해서 토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펌프 케이싱(20b) 및 물순환 경로(31)의 최하부(31c)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3)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계(8)의 배수 경로(8a)에 설치한 배수 밸브(19)보다 고위에 위치하고 있고, 배수 경로(8a)에 있어서의 배수 밸브(19) 상류와 동일 레벨 이하의 높이 위치에 이르고 있다. 즉, 펌프 케이싱(20b) 및 물순환 경로(31)의 최하부(31c)는, 그것과 동일 레벨인지, 혹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수 경로(8a)에 있어서의 배수 밸브(19)의 상류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배수 밸브(19)가 열리면 펌프 케이싱(20b) 및 물순환 경로(31) 내의 물이 그것들에 공통인 최하부(31c)로부터 배수 경로(8a) 내에 자연스럽게 흐르는데 적합하다.
이로 인해, 펌프 케이싱(20b) 및 물순환 경로(31)의 최하부(31c)는, 순환 펌프(20)나 배수 경로(8a)의 내부의 잔류수가 자연유화해 오는 개소로 되어 있다. 배수 경로(8a)는, 배수 밸브(19)의 상류와 동일 레벨 이하의 높이 위치로 통하고 있다. 이것으로, 배수 밸브(19)를 개방한 배수시에, 물순환 경로(8a) 및 순환 펌프(20) 내에 잔류하는 물은 배수 경로(8a)를 통해서 자연배수된다. 따라서, 물순 환 경로(31)는 순환 펌프(20)를 포함하고, 내부의 잔수가, 수조(3) 내의 물의 배수를 타고 배수되어, 단독의 배수 구조나 배수 제어는 불필요해진다.
여기서, 배수 경로(8a) 및 물순환 경로(3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3)의 배수 경로(8a)가 접속되는 배수구(36)와 물흡입부(33)로부터 물을 받는 물받이 케이스(37)를 일체로 형성하여 공유하고 있다. 물받이 케이스(37)는, 순환 펌프(20)측으로의 흡수 배관역(37a)과, 배수 경로(8a)측으로의 배수 배관역(37b)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수조(3)의 물흡입부(33)로부터의 흡수와 배수구(36)로부터의 배수를, 1개의 물받이 케이스(37)에 형성한 흡수 배관역(37a)과 배수 배관역(37b)에서 받고, 물받이의 구조나 시일의 구조를 간략화하고 있다. 흡수 배관역(37a)에서 받는 흡수는, 흡수 경로(31)를 통한 순환 펌프(20)로의 흡수에 대응한다. 배수 배관역(37b)에서 받는 배수는, 배수 경로(8a)를 통한 배수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대응이면서, 물받이 케이스(37)는, 배수시에 물순환 경로(31) 및 순환 펌프(20)의 잔수를 배수 배관역(37b)을 통해 배수 경로(8a)에 자연 배수된다. 즉, 수조(3)의 물흡입부(33)로부터의 흡수와, 배수구(36)로부터의 배수를, 일체 형성된 1개의 물받이 케이스(37)의 흡수 배관역(37a)과 배수 배관역(37b)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메인터넌스에 유리한 물받이 구조, 시일 구조로, 흡수 배관역(37a)을 통한 순환 펌프(20)로의 흡수와, 배수 배관역(37b)을 통한 배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배수시에 물순환 경로(31) 및 순환 펌프(20)의 잔수를 배수 배관역(37b)을 통해 배수 경로(8a)에 자연 배수시켜, 특별한 잔수 처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 배수를 위해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물받이 케이스(3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 배관역(37a)과 배수 배관역(37b)이 상호간의 격벽(37c)의 최하부(31c)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한 연통 구멍(37d)으로 연통하고 있다. 연통 구멍(37d)에, 배수 배관역(37b)측으로부터 흡수 배관역(37a)측에 역지(逆止) 기능을 가지는 역지 밸브(38)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38)의 배수 배관역(37b)측으로부터 흡수 배관역(37a)측으로의 역지 기능에 의해, 물흡입부(33)로부터 필터(32), 흡수 배관역(37a), 흡수측 경로(31a)를 통한 순환 펌프(20)로의 흡수시에, 배수 배관역(37b)측으로부터 실밥류가 섞인 물이 흡수 배관역(37a)측에 유입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순환 펌프(20)에 의해 수조(3) 내의 물을 문제없이 순환한다. 또한, 배수 밸브(19)를 열었을 때의 배수 배관(37b)을 통한 배수 경로(8a)로부터의 배수시, 물순환 경로(31) 및 펌프 케이싱(20b) 내의 잔류수는 연통 구멍(37d)의 역지 밸브(38)를 열어 배수 배관역(37b)측으로 흐르므로 자연 배수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또한, 역지 밸브(19)의 배수 배관역(37b)측으로부터 흡수 배관역(37a)측으로의 역지 기능은, 특별히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받이 케이스(37)는, 격벽(37c)의 소정 범위, 구체적으로는 연통 구멍(37d)보다는 큰 면적으로 흡수 배관역(37a)과 배수 배관역(37b)이 연통하고 있고, 그 연통부에 도시하지 않은 필터를 장착하거나 일체 형성한 스트레너부를 설치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배수 배관역(37b)과 흡수 배관역(37a)의 연통부의 역지 밸브를 없앨 수 있다. 이로 인해, 순환 펌프(20)로부터의 흡수 작용은, 흡수 배관역(37a)은 물론, 배수 배관역(37b)에도 연통부를 통해서 미친다. 그러나, 배수 밸브(19)가 닫혀 있으므로, 배수 경로의 배수 밸브(19)보다 하류에 미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물흡입부(33)로부터의 필터(32), 흡수 배관역(37a)을 통한 흡수에 더하여, 배수구(36), 배수 배관역(37b) 및 연통부의 필터나 스트레너부를 통한 흡수도 평행하게 행해져, 실밥류의 침입없이 흡수 저항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한, 배수 밸브(19)를 열었을 때의 배수 배관역(37b)을 통한 배수 경로(8a)로부터의 배수시, 물순환 경로(31) 및 펌프 케이싱(20b) 내의 잔류수는, 연통부의 필터나 스트레너를 통해서 배수 배관역(37b)측에 흐르므로 자연 배수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물순환 경로(31) 및 펌프 케이싱(20b) 내의 잔류수는, 실밥류의 섞임이 없기 때문에, 실밥류가 여과되어 흡수 배관역(37a) 내에 포획되는 일 없이, 배수 배관역(37b)측에 흐르므로 자연 배수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반대로 필터나 스트레너의 배수 배관역(37b)측에 흡수시의 부착 실밥류가 배수에 흘러가지 않고 또한 부착하고 있어도, 그것을 역세정하도록 배수 배관역(37b)측에 유입하여 자연 배수되도록 한다. 그 때문에, 잔류수나 흡수측 경로(31a), 배수 경로(8a) 내에 잔류하는 실밥류를 위한 특별한 메인터넌스를 불필요로 할 수 있다.
또, 물흡입부(33) 및 필터(3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3)에 있어서의 배수 경로(8a)가 접속되는 배수구(36)보다 고위이고, 또한 물순환시의 최저 수위 미만에 위치하고, 수조(3) 내의 물의 배수구(36)에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필터(32)는, 수조(3)의 둘레 벽에 있어서의 최저위부(3d)에 개구한 배수구(36)의 바로 위에 개구한 물흡입부(33)에 끼 워 붙여져 있다. 즉, 거의 평탄한 상면이 수조(3)의 둘레 벽 내면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고, 배수구(36)로의 물의 흐름을 막지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필터(32)가 평면에서 볼때 원형이나 타원형을 이루고 상방으로 돔형 내지는 산형으로 솟아오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러나, 최저 수위 이하의 높이, 즉, 최저 수위로부터의 배수에 의해서도 필터면이 배수시의 물의 흐름에 따라, 후술하는 세탁 작용을 받는 높이로 제한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물흡입부(33) 및 필터(32)가, 수조(3)의 배수구(36)보다 위에서, 물순환시의 최저 수위 이하에 위치하여, 또한, 수조(3) 내의 물의 배수구(36)로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필터(32)가 여과하면서 수조(3) 내로부터 격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필터(32)의 표면에 실밥류가 부착하고 있어도, 배수시에 수조(3) 내의 수량을 줄이는 흐름이나, 배수구(36)로 향하는 흐름에 노출되어 씻겨 나간다. 그 결과, 배수 배관역(37b)에 필터나 스트레너부를 설치한 경우에 부착될 수 있는 실밥류와 아울어, 배수에 섞여 배출되므로, 순환 동작 때마다 실밥류가 필터부에 축적하는 것이 회피된다. 따라서, 잔류수나 흡수측 경로(31a), 배수 경로(8a) 내에 잔류하는 실밥류를 위한 특별한 메인터넌스를 불필요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은,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필터 장착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물흡입부(33)의 필터(32)는, 도 2,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흡입부(33)에 개구하여 흡수측 경로(31a)가 접속되는 흡수구(39)보다 큰 덮개 공간(41)을 형성하여 흡수구(39)를 덮고 있다. 그 때문에, 필터(32)는 그 안쪽의 덮개 공간(41)과 협동하여, 흡수구(39)보다 큰 통수역을 확보하고, 이 통수역 전체가 덮개 공간(41)을 통해 흡수구(39)에 통하고, 통수역이 흡수구(39)보다 큰 만큼 통수시에 막히기 어렵게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또한, 수조 내에 생기는 수류에 의한 씻겨 나감과 함께, 막힘에 의한 압손(壓損)을 억제할 수 있고, 순환 중 소정의 유량을 확보하기 쉽다. 이것에는, 물흡입부(33)의 필터(32)의 총개구 면적은, 흡수구(39)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로 인해, 필터(32)의 흡수구(39)보다 큰 통수역에 있어서, 흡수구(39)의 개구 면적보다 큰 총개구 면적을 확보하여, 막힘 방지, 통수 저항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32)의 흡수구(39)보다 큰 통수역을, 흡수구(39)의 개구 면적보다 큰 총개구 면적을 확보하도록 유효하게 이용하여, 막힘 방지, 압손을 더 저감 할 수 있다.
여기서, 특허 문헌 3이 개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 취출구가 세탁기 본체(2)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서는, 세탁기의 필터 장착부가 아이의 장난이나 유저의 부주의로부터 안이하게 접해져 기능을 해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필터(32)는 수조(3) 내에 면한, 또는 노출한 것이면서, 수조(3)의 외부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필터(32)는 부주의하게 접할 수 없는 세탁기 본체(2) 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만일의 경우에, 세탁기 본체(2)의 대응부 개방을 조건으로 회전 드럼(4)이 덮는 내부, 즉 안쪽이 아닌, 수조(3)의 외부, 즉 바깥쪽으로부터 다른 방해없이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32)는 보통은 부주의하게 접촉되지 않지만, 만일의 경우에는, 바깥쪽으로 부터 다른 방해없이 착탈하여 용이하게 메인터넌스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필터(32)는, 도 2, 도 3,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3)의 앞부분으로부터 전후로 슬라이딩하여 착탈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필터(32)는 수조(3) 내에 면하여 장착되지만, 이 장착 위치에 대해, 세탁기 본체(2)의 개방되기 쉽고, 손이 미치기 쉬운 수조(3)의 앞부분으로부터의 착탈은 아니게 된다. 즉, 조작하기 쉬운 전후의 슬라이딩에 의해, 필터(32)의 뒷쪽의 덮개 공간(41)의 형성부가 이루는 여과 영역에 직접적으로 착탈할 수 있다. 또, 필터(32)의 수조(3) 내에 면하는 부분을,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적어도 전후 방향에 거의 평행한 형상으로 해두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편평한 필터를 이루어 대응하는 작은 스페이스에서 착탈할 수 있다.
또, 필터(32)는, 수조(3)의 외주에서 앞부분을 향한 필터 착탈구(42)를 통해서 착탈할 수 있다. 장착한 필터(32)의 뒷쪽에서 물순환 경로(31), 구체적으로는 흡수측 경로(31a)에 통하는 필터 수용부가 이루는 덮개 공간(41)의 형성부를 가진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수용부인 덮개 공간(41)의 형성부가 수조(3) 외주에서 앞부분을 향한 필터 착탈구(42)를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필터(32)를 전후의 슬라이딩으로 착탈하는데, 필터 착탈구(42)로부터 필터의 장착 위치까지는, 거의 여과 영역 분의 짧은 스트로크로 달성할 수 있다. 또, 필터(32)는, 수조(3) 내에 면하는 장착 위치에서, 수조(3) 내의 물을, 필터 수용부인 덮개 공간(41) 측에 통과시켜 여과하고, 물순환 경로(31), 구체적으로는 흡수측 경로(31a)로 유입한다. 또한, 필터 수용부인 덮개 공간(41)의 형성부의 필터 착탈 구(42)를 수조(3)의 외면에서 앞부분을 향해 개구하는 구성으로 하는 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3)의 외주의 앞부분을 향하는 단차부(3f)를 설치하여 거기에 개구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물흡입부(33)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구(36)와 함께 수조(3)의 둘레 벽에 있어서의 저부(3b)를 하방으로 함몰시킨 집수부(3e)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덮개 공간(41)이 집수부(3e)의 저부에 개구하고 있다. 또, 덮개 공간(41)의 저부에 흡수구(39)가 개구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수조(3)의 저부(3b) 주위에 위치하는 집수부(3e)의, 세탁기 본체(2)의 앞부분을 향하는 하방으로의 단차부(3f)를 이루고 있는 부분(도 2~도 4)에, 필터 착탈구(42)가 개구하도록 하고 있다. 세탁기 본체(2)의 전면 하부에는, 분해 커버(43)가, 나사(44)에 의한 나사 고정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필터(32)는, 만일의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해 커버(43)의 나사(44)에 의한 나사 고정을 풀어 분해하면, 필터(32)의 장착부가 세탁기 본체(2)의 앞부분 아래에 노출한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5)와 같은 방해물이 세탁기 본체(2)에 있는 경우라도, 나사(46)에 의한 예를 들면 경도(輕度), 즉 쓰러짐 방지 정도의 나사 고정을 풀어, 제어부(45)의 결선의 끌어 당김을 수반하여 앞으로 기울이는 등 하면, 필터(32)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막힘이나 파손과 같은 것에의 세정이나 교환과 같은 메인터넌스가 가능하다.
여기에, 필터 수용부인 덮개 공간(41)의 형성부는, 앞부분을 향한 필터 착탈구(42)와, 장착한 필터(32)가 수조(3) 내에 접하도록 노출시키는 개구(41a)와, 덮개 공간(41) 이외를 덮을 수 있는 저부(41b)를 구비하고 있다. 저부(41b)에는 물 순환 경로(31)가 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덮개 공간(41)의 형성부는, 단순한 박스 형태를 이루고, 필터 착탈구(42)를 통한 단순한 형 빼기를 수반하는 형 성형으로 수조(3)의 둘레 벽에 용이하게 일체 성형할 수 있고, 특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필터(32)의 착탈 가능한 설치 구조는 코스트 상승의 원인은 되지 않는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환수를 가열하여 세탁이나 헹굼 효과를 높이는 히터(71)을, 필터 수용부인 덮개 공간(41)의 형성부에 수용하고 있다. 히터(71)는, 필터 착탈구(42)를 공용하여 필터(32)와 마찬가지로 착탈할 수 있다. 또한, 히터(71)는, 필터 착탈구(42)와는 별도로 전용의 히터 착탈구를 설치하여, 수조(3)의 외부로부터 착탈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71)를 필터(32)의 뒷쪽의 오목부(32d)에 배치하면 필터(32)와 동시 착탈이 가능하다. 그러나, 거기에는, 필터(32)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 수조(3) 외측에 설치되는 급전부와의 절연 구조를 가진 전기 접속부를 설치해 두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상술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필터(32)는, 도 2,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공간(41)에 착탈구(42)를 통해 삽입하는 삽입부(32a)와, 덮개 공간(41)으로의 삽입 완료시에 착탈구(42)를 시일하는 플랜지부(32b)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32b)는, 필터(32)를 덮개 공간(41)에 삽입했을 때에, 착탈구(42)의 개구부 전면에 근접 내지는 맞닿게 하여 착탈구(42)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47)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삽입부(32a)에 필터(32)를 성형형에 의한 구멍 성 형으로 형성하고, 플랜지부(32b)의 전면에는 손잡이부(32c)를 형성하여 착탈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필터 착탈구(42)를, 이것을 통해서 장착하는 필터(32)와의 사이에서 특별한 조작없이, 시일 부재(47)에 끼워 맞춤압 또는 및 장착압을 작용시켜 용이하고 확실히 시일하고, 필터 착탈 구조에 기인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조(3)의 진동 등에 기인한 부주의한 삽입의 느슨해짐이나 시일의 느슨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랜지부(32b)를 수조(3)의 측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48)에 의해 나사 고정하기 위한 부착 구멍(49)이 설치되어 있다. 또, 삽입부(32a)는, 삽입 완료 상태로 필터(32)가 수조(3)의 덮개 공간(41)의 개구(41a)에 밀착 끼워 맞춤 상태로 수조(3) 내에 소정량 토출시키고 또는 소정의 노출 상태로 하는 돌출부(32a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삽입부(32a)에는, 돌출부(32a1)의, 플랜지부(32b)를 제외하는 바깥에, 돌출부(32a1)보다 낮고, 또한 삽입측, 즉 세탁기 본체(2)의 배부측을 향해 측면에서 볼때 쐐기 형상을 이루는 위치 결정 플랜지(32a2)가, 돌출부(32a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2a2)가, 수조(3)의 덮개 공간(41)의 개구(41a)의 가장자리 하면에 형성한 측면에서 볼때 쐐기 형상의 가이드 홈(41b)으로 안내된다. 이로 인해, 삽입부(32a)가 소정의 삽입 완료 위치까지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삽입되고, 소정의 돌출 상태 내지는 노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도 9A~도 9C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물순환 경로와 토출측 경로를 접속하는 덕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물순환 경로(31)의 토출측 경로(31b)는, 도 1, 도 4, 도 9A~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3)의 개구(13) 주위의 전단벽(3h)의 최하부에 설치한 분출구(51)에 외면으로부터 접속한다. 이로 인해, 수조(3)의 전단벽(3h)의 이면과 이것에 대응하는 회전 드럼(4)의 전단벽(4b)의 표면과의 사이에, 토출측 경로(31b)로부터의 순환수를 분사하고, 그들 사이에서 형성하는 유로(52)를 통해서 회전 드럼(4) 내에 토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토출측 경로(31b)로부터의 물의 분출구(51)가 회전 드럼(4) 내의 세탁물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있으므로, 세탁물이 걸려 세탁이나 헹굼, 건조 등에 필요한 거동을 흩뜨리거나, 혹은 세탁물을 손상시키거나, 찢어지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과 함께, 유로(52)는 수조(3) 및 회전 드럼(4)의 전단벽(3h, 4b)간에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부품이 불필요하고 시일 부재(56)를 이용하는 정도의 구조가 간단하고 염가로 누수의 리스크가 저감한다. 순환수의 분사 효과는, 정역연속 회전 구동 모드로 상하가 바뀌는 세탁물의 거동, 정역호회전 구동 모드시의 좌우가 바뀌는 세탁물의 거동과의 조합으로 보다 높아진다.
또한 분출구(51)는, 수조(3)의 전단벽(3h)의 이면에 있어서,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4)의 회전 중심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조(3) 및 회전 드럼(4)의 전단벽(3h, 4b)간의 유로(52)에 있어서의 환상 출구(53)를 향해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분사구(51)로부터 분사하는 순환수는 유로(52)에 회전 드럼(4)의 회전 중심측을 향해 효율적으로 토출된다. 구체적으로 는, 환상 출구(53)를 향해 직경 방향으로 회전 드럼(4)의 내측 회전역에 효율적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다소에 관계없이 순환수를 효율적으로 공여할 수 있다. 수조(3)의 전단벽(3h)은, 경사면(3h1)과 만곡면(3h2)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3h1)은, 분출구(51)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내주 근처를 향해 세탁기 본체(2)의 후부측으로 경사져 있다. 만곡면(3h2)은, 경사면(3h1)으로부터 내주까지, 회전 드럼(4)의 개구측을 향해 만곡하고 있다. 경사면(3h1)과 만곡면(3h2)을 가지는 전단벽(3h)에 의해, 유로(52)에 분출되는 순환수를, 도 9C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3h1)으로부터 만곡면(3h2)을 따라서 토출한다. 즉, 유로(52)에 분출되는 순환수를, 회전 드럼(4)의 개구를 통해 회전 드럼(4)의 안쪽을 향해 토출하므로, 순환수의 세탁물로의 공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도 9A~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출구(51)는, 수조(3)의 전단벽(3h)에 형성된 접속구(51a)를 가지고 있다. 분출구(51)는, 토출측 경로(31b)가 접속되는 접속구(51a)로부터 순환수를 유로(52)에 분출시킨다. 분출구(51)는, 유로(52)에 회전 드럼(4)의 회전 중심측을 향해 둘레 방향의 소정 범위로 개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조(3)의 전단벽(3h)에 접속구(51a)를 설치하는데, 유로(52)를 향해 개구하는 분출구(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토출측 경로(31b)로부터의 순환수를, 분출구(51)를 통해 유로(52)측에 흐트러짐 없이 안내하여, 회전 드럼(4) 내에 환상 출구(53)의 분출구(51)의 둘레 방향역에 대응한 소정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좌우로의 확대를 수반하여 안정되게 토출한다. 따라서, 순환수를, 회전 드럼(4) 내의 세탁물에, 그 다소에 관계없이 유효하게 공여할 수 있다.
또, 분출구(51)는, 접속구(51a)에 접속되는 토출측 경로(31b)의 접속 단부(55d)와의 사이에서, 순환수를 유로(52)로의 개구부에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토출측 경로(31b)가 접속되는 접속구(51a)에 설치한 분출구(51)가 순환수를 유로(52)의 측에 안내하는데, 접속 단부(55d)와 협동한 상호의 간단한 형상을 맞춤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큰 토출류 폭, 전후 방향으로 충분한 토출류 두께, 착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는 토출류 속도 등, 세탁물의 다소에 관계없이, 순환수의 공급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배관 구조는 특별히 복잡화하지 않고 누수 리스크의 증대가 없고, 코스트 상승의 원인으로도 되지 않는다.
또, 분출구(51)는, 도 9A~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3)의 전단벽(3h)의 저부의 거의 중심 위치에 개구하고 있다. 분출구(51)와 토출측 경로(31b)를 도 4, 도 9A~도 9C에 나타내는 수지제의 덕트(5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덕트(55)는 전후 부재(55a, 55b) 2장 합쳐서 전후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토출측 경로(31b)는, 분출구(51)의 개구 위치에 대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고, 순환 펌프(20)로부터 수조(3)의 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덕트(55)는, 파이프 형상의 토출측 경로(31b)의 전단과 분출구(51)을 접속하고 있다. 즉, 후부재(55b)의 일단에 일체 형성한 접속 파이프(55c)가 토출측 경로(31b)에 그 연장부로서 접속되어 있다. 전(前)부재(55a)는, 후부재(55b)의 일단측으로부터 분출구(51)의 하방 근처에까지 거의 수평하게 연장한 후, 분출구(51)까지 만곡하여 상승하여 접속 단부(55d)를 형성하고 있다. 접속 단부(55d)에는,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부재(55a)에 일체 성형된 접속구(55e)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55e)는, 수조(3)의 전단벽(3h)에 개구하는 접속구(51a)에, 시일 부재(56)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나사(57)로 나사 고정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조(3)의 전단벽(3h)의 접속구(51a)와의 접속 단부(55d)로부터 수조(3)의 외주로 뻗어 나와 순환 펌프(20)측에 접속되는 덕트(55)부가 전후로 편평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조(3)의 전단벽(3h)과 세탁기 본체(2)의 전면벽의 사이에 작은 스페이스로 배관할 수 있다. 또한, 덕트(55)의 편편 형상에 따라 순환수를, 분출구(51)의 개구 등에 알맞는 수류 폭, 수류 두께에 정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순환수를, 접속구(51a)로부터 분출구(51)를 향하게 하여 유로(52)에 분출되도록 하고, 환상 출구(53)로부터의 큰 둘레 방향 토출 폭, 전후 방향으로 충분한 토출 두께, 착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는 토출 속도역을, 흐름에 흐트러짐 없이 만족할 수 있다. 그 결과, 세탁, 헹굼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또, 덕트(55)부가, 수조(3)의 외주로부터 전단벽(3h) 하부의 분출구(51)의 접속구(51a) 가까이의 아래까지 횡방향에 연장되고, 그곳으로부터 접속구까지의 만곡한 상승부에서 접속구(51a)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편평류에 정류한 순환수를 상승부의 만곡 형상으로 흩뜨리는 일 없이 접속구(51a), 및 편평 방향이 일치한 분출구(51)로 이끌고, 유로(52)의 둘레 방향 소정역에 분출시킨다. 그 때문에, 환상 출구(53)의 보다 광역으로부터 보다 안정되게 토출하고, 순환수의 세탁물에의 작용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분출구(51)는, 수조(3)의 전단벽(3h)에 개구하는 접속구(51a)로부터 이것에 직각으로 회전 드럼(4)의 전단벽(4b)측에 접근하여 일체 형성된 방어벽(5c)에 의해, 접속구(51a)의 상부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환상 출구(53)를 향해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속 단부(55d)는 방어벽(5c)과의 사이에서, 분출구(51)를 향해 분출 통로를 덕트(55)측으로부터 R면으로 매끄럽게 죄는 조임 벽(55f)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덕트(55)로부터 분출구(51)를 향하는 순환수를 가세하고, 수조(3)의 전단벽(3h)의 이면의 경사면(3h1) 및 만곡면(3h2)에 강하게 따르게 한 고속류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순환수는, 회전 드럼(4) 내에 상방 비스듬한 후방으로 소정의 경로로 확실히 토출하고 좌우로 퍼지면서 포물선을 그리는, 보다 긴 비상 경로로 회전 드럼(4) 내의 세탁물에 의해 광역으로부터 공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고속류로 하기 위한 조임 통로는 덕트(55)의 접속구(51a)로의 접속 단부(55d)와 분출구(51)의 사이에서 어떻게 형성되어도 된다. 즉, 접속구(51a)에 설치한 분출구(51)에 의해 유입하는 순환수를 유로(52)의 측에 안내한다. 그 때, 토출측 경로(31b)의 접속구(51)로의 접속 단부(55)와의 간단한 형상으로의 맞춤 형태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큰 토출류 폭, 전후 방향으로 충분한 토출류 두께, 착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는 토출류 속도 등, 세탁물의 다소에 관계없이 적합하게 작용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안내가 가능하다. 또한, 배관 구조는 특별히 복잡화하지 않고 누수 리스크의 증대가 없고, 코스트 상승의 원인으로도 되지 않는다.
또, 회전 드럼(4)의 전단벽(4b)에는,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52)를 둘레 방향으로 횡단하는 환상의 리브 형상 볼록부(4c)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 형상 볼록부(4c)는, 경사면(3h1)과의 사이에, 조임 간극(S)을 남기고 형성된다. 또한, 이 리브 형상 볼록부(4c)는 그 위치가 직경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주름진 형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리브 형상 볼록부(4c)는 회전 드럼(4)이 회전하면 분출구(51) 근방에서의 유로(52)에 대한 횡단 위치, 즉 조임 간극(S)의 형성 위치를 도 9C에 3개의 구체적 위치(실선 및 점선)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 결과, 유로(52)가 환상 출구(53)를 향하는 순환수류는 환상 출구(53) 근처에서 조임 간극(S)에 의해 죄어지는 경우와, 환상 출구(53)로부터 먼 위치에서 조임 간극(S)으로 죄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순환수가, 회전 드럼(4) 내로 향하는 각도가 상하로 흔들리므로, 회전 드럼(4)의 축선 방향의 광역으로 순환수를 배분하여 세탁물에 공여할 수 있다.
여기에, 리브 형상 볼록부(4c)는, 회전 드럼(4)의 전단벽(3h)측에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하게 설치한 토출 가이드이다. 따라서, 유로(52)에 분출되고 환상 출구(53)로부터 회전 드럼(4) 내에 토출되는 순환수의 토출 방향을 전후로 흩뜨리고, 또는 변화시킨다. 그 때문에, 토출한 순환수가 회전 드럼(4) 내로의 세탁물에 착수하는 위치를 전후로 흩뜨리고, 또는 변화시킨다. 이러한 토출 가이드로서는, 둘레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주름진 내주, 둘레 방향으로 전후로 물결 모양으로 주름진 벽면, 유로측에 돌출하여 둘레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주름지고, 또는 및 단속한 리브 형상 볼록부, 또는 날개, 유로를 통과하여 분사되는 순환수의 통과 저항을 둘레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방해부 중 적어도 하나로서 토출 방향을 전후로 흩뜨리고 또는 변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고, 가능한 한 그것들을 복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이들 포물선 공여 작용, 전후 배분 작용에 의해 순환수는 세탁물에 전후 방향으로도 치우침없이 작용하고, 세제의 용해 효과, 세탁 효과, 헹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배수구(36)의 바로 윗쪽 위치 등에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물의 흡입을 방지하는 방해판(61)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 드럼을, 개구하는 정면측으로부터 저부가 되는 배면측을 향해 회전축 방향이 수평 또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하향 경사가 되도록 하여 수조 내에 설치하고, 회전 드럼을 모터로 구동하여 세탁 공정, 헹굼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로서, 수조 내의 물을 수조에 접속한 순환 경로를 통해 순환 펌프에 의해 순환시키는 물순환 기구를 구비하고, 물순환 기구는, 수조의 전단벽 이면과 회전 드럼의 전단벽 표면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 드럼 내에 순환수를 토출하는 유로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순환 경로를 수조의 전단벽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순환 경로는 수조 및 회전 드럼의 각 전단벽간에서 형성한 유로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물순환 기구가 그 순환 펌프 및 순환 경로에 의해 세탁 공정 또는 및 헹굼 공정 등에서 수조 내의 물을 흡인하여 수조 내로 되돌려 순환시킬 때에, 이 유로를 통해 특별한 배관없이, 상기 각 전단벽의 내주부간에서 형성하는 환상 출구로부터 회전 드럼 내에 순환수를 토출한다. 또, 순환수가 수조 및 회전 드럼의 각 전단벽간의 유로를 통해 그들 전단벽 내주부간의 환상 출구로부터 토출할 수 있다. 따라 서, 회전 드럼 내의 세탁물이 걸릴 듯한 특별한 형상, 구조의 토출구 없이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순환계는, 순환 펌프로부터의 토출측 경로가 접속되는 접속구와, 접속구로부터 순환수를 상기 유로에 분출시키는 분출구를 가지고 있다. 이 분출구는, 유로에 회전 드럼의 회전 중심측을 향해 둘레 방향의 소정 범위에서 개구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유로를 향해 개구하는 분출구를 형성함으로써, 토출측 경로로부터의 순환수를, 분출구를 통해 유로측에 흐트러짐 없이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드럼 내에 환상 출구의 분출구의 둘레 방향역에 대응한 소정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좌우로의 확대를 수반하여 안정되게 토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출구는, 접속구에 접속되는 토출측 경로의 접속 단부와의 사이에서, 순환수를 유로로의 개구부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또한, 토출측 경로가 접속되는 접속구에 설치한 분출구가, 순환수를 유로의 측에 안내하는데, 토출측 경로의 접속구로의 접속 단부와 협동한 상호의 간단한 형상으로의 맞춤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측 경로는, 접속 단부로부터 수조의 외주를 따라 순환 펌프측에 접속하는 덕트를 가지며, 이 덕트는, 전후로 편평하고, 또한 상기 토출구와의 사이에서 분출구의 상기 유로로의 개구 위치를 향해 순환수를 죄어 분출시키는 조임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덕트가 전후로 편평하므로, 토출측 경로가 수 조의 전단벽과 세탁기 본체의 전면벽의 사이의, 덕트의 필요 배관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속구 및 분출구로 향하는 순환수를, 각 전단벽간 유로의 확대 방향으로 평행하고 편평한 대폭류로 정류할 수 있다. 그 후, 접속구 및 분출구로부터 유로에, 순환수를, 그들 둘레 방향으로의 확대 방향으로 편평 방향을 일치하도록 이끌고, 동일하게 편평 방향이 일치한 환상 출구로부터 회전 드럼 내에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출구의 접속구는, 수조의 전단벽의 하부에 위치하고, 덕트는, 수조의 외주 위치로부터 분출구의 접속구의 아래 근방에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 분출구의 접속구까지 만곡하여 상승한 상승부를 가지며 분출구의 접속구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순환수를, 편평류에 정류하여 횡방향으로 안정되게 이끈 후, 상승부의 만곡 형상으로 흩뜨리는 일 없이 접속구에까지 이끌어 유입시킬 수 있다. 그 후, 폭넓은 편평류인 채, 그 편평 방향이 일치한 분출구 및 각 전단 벽면의 유로를 따라, 보다 광역인 환상 출구로부터 보다 안정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는, 분출되는 순환수를 수조 및 회전 드럼의 전단벽간이 형성하고 있는 환상 출구로부터 회전 드럼 내로 후방 비스듬한 상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환상 출구로부터의 토출 순환수는, 회전 드럼 내에 후방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는 높은 포물선을 그리는 긴 경로를 얻어 좌우로의 확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의 전단벽의 이면은, 그 내주측에서 회전 드럼 내방향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분출구로부터 유로에 분출되는 순환수를, 수조의 전단벽의 이면 내주측의 만곡면에 의해 회전 드럼 내로의 소정의 토출 방향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의 전단벽의 이면은, 분출구의 접속구측으로부터 만곡면을 향해 회전 드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분출구로부터 유로에 분사되는 순환수를, 수조의 전단벽의 이면에 있어서, 분출구의 접속구측으로부터 만곡면을 향해 회전 드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따라 흐름을 기울이고 나서 만곡면에 이르게 하므로, 만곡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토출을 보다 무리없이 흐트러짐 없이 회전 드럼 내에 토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의 전단벽의 내주단은, 회전 드럼의 내주단보다 회전 중심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금의 돌출량으로 환상 출구로부터 토출하는 순환수가 회전 드럼 내에 소정의 방향으로 확실히 유입하고, 만에 하나라도 수조 외는 물론 회전 드럼 외로 물방울이 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드럼의 전단벽은, 회전에 따라 유로를 통한 회전 드럼 내로의 순환수의 토출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흩뜨리고, 또는 변화시키는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한 토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토출 가이드는, 유로에 분출되고 환상 출구로부터 회전 드럼 내에 토출되는 순환수의 토출 방향을 전후로 흩뜨리고, 또는 변화시킨다. 따라서, 토출한 순환수가 회전 드럼 내로의 세탁물에 착수하는 위치가 전후로 흐트러지고, 또는 변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 가이드는, 회전 드럼의 전단벽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주름진 내주, 둘레 방향으로 전후로 물결 모양으로 주름진 벽면, 유로측으로 돌출하고 둘레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주름지고, 또는/및 단속한 리브 형상 볼록부 또는 날개, 유로를 통과하여 분사되는 순환수의 통과 저항을 둘레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방해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또한, 순환수를 토출 방향을 전후로 흩뜨리고 또는 변화시켜 토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물흡입부 및 배수구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물흡입부 및 배수구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에 이용한 순환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에 이용한 순환 펌프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에 이용한 순환 펌프의 하면도이다.
도 6은,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필터 장착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전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물순환 경로와 토출측 경로를 접속하는 덕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b는,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물순환 경로와 토출측 경로를 접속하는 덕트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9c는, 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물순환 경로와 토출측 경로를 접속하는 덕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Claims (11)

  1.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 드럼을, 개구하는 정면측으로부터 저부가 되는 배면측을 향하여 회전축 방향이 수평 또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하향 경사가 되도록 하여 수조 내에 설치하고, 상기 회전 드럼을 모터로 구동하여 세탁 공정, 헹굼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로서,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수조에 접속한 순환 경로를 통해 순환 펌프에 의해 순환시키는 물순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물순환 기구는, 상기 수조의 전단벽 이면과 상기 회전 드럼의 전단벽 표면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회전 드럼 내에 순환수를 토출하는 유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기구는, 상기 순환 펌프로부터의 토출측 경로가 접속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순환수를 상기 유로에 분출시키는 분출구를 가지며, 상기 분출구는, 상기 유로에 대해서,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중심측을 향하여 소정의 둘레 방향 범위에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상기 접속구에 접속되는 상기 토출측 경로의 접속 단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순환수를 상기 유로로의 개구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출측 경로는, 상기 접속 단부로부터 상기 수조의 외주를 따라 상기 순환 펌프에 연결되는 덕트와 접속되고, 상기 덕트는, 전후로 편평하고, 상기 분출구의 상기 유로로의 개구 위치를 향해 순환수를 좁혀서 분출시키는 조임 통로(throttling passage)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의 접속구는, 상기 수조의 전단벽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수조의 외주 위치로부터 상기 분출구의 접속구의 아래쪽 근방에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분출구의 접속구까지 만곡하여 상승한 상승부를 가져 상기 분출구의 접속구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분출되는 순환수를 상기 수조 및 상기 회전 드럼의 전단벽 사이가 형성하고 있는 환상(環狀) 출구로부터 회전 드럼 내로 후방 경사 상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전단벽의 이면은, 그 내주측에서 상기 회전 드럼 내방향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전단벽의 이면은, 상기 분출구의 접속구측으로부터 상기 만곡면을 향해 회전 드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전단벽의 내주단은, 상기 회전 드럼의 내주단보다 회전 중심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전단벽은, 회전에 따라 상기 유로를 통한 회전 드럼 내로의 순환수의 토출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흩뜨리거나, 또는 변화시키는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한 토출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회전 드럼의 둘레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주름진 내주, 상기 둘레 방향으로 전후로 물결 모양으로 주름진 벽면, 상기 유로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둘레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주름진 리브 형상 볼록부 또는 날개, 상기 유로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둘레 방향으로 단속(斷續)한 리브 형상 볼록부 또는 날개, 상기 유로를 통해서 분사되는 순환수의 통과 저항을 둘레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방해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KR1020090011832A 2008-03-13 2009-02-13 드럼식 세탁기 KR101066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3472 2008-03-13
JP2008063472A JP4331243B1 (ja) 2008-03-13 2008-03-13 ドラム式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673A KR20090098673A (ko) 2009-09-17
KR101066282B1 true KR101066282B1 (ko) 2011-09-20

Family

ID=4067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832A KR101066282B1 (ko) 2008-03-13 2009-02-13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03728B1 (ko)
JP (1) JP4331243B1 (ko)
KR (1) KR101066282B1 (ko)
CN (2) CN101532232B (ko)
TW (1) TWI3679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860B1 (ko) * 2009-12-24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P2405053B1 (en) 2010-06-01 2014-04-02 Panasonic Corporation Washing machine
JP5560911B2 (ja) * 2010-06-01 2014-07-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2012085842A (ja) * 2010-10-20 2012-05-10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447333B2 (ja) * 2010-10-20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02733155B (zh) * 2012-06-02 2015-03-11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前置进水滚筒洗衣机
CN107385805A (zh) * 2017-08-04 2017-11-24 惠州市锦恒工业模具设计合伙企业(普通合伙) 一种残疾人专用环保洗衣机
CN109457436B (zh) * 2018-11-08 2020-11-10 山东大成洗涤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无功势能返流装置的滚筒式洗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3887A (ja) * 1991-05-22 1992-11-30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H10137488A (ja) 1996-11-15 1998-05-26 Keiyo Clean Life Kk 脱水洗濯機
JP2002224487A (ja) 2001-02-07 2002-08-13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3212B2 (ja) 1998-03-27 2003-07-07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の排水装置
FR2818669B1 (fr) * 2000-12-26 2003-04-25 Ciapem Dispositif permettant de realiser une recirculation de fluide destine notamment a un lave-linge
KR20050017490A (ko)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용 증기 세탁 방법
JP2006223572A (ja) 2005-02-17 2006-08-31 Toshiba Corp 洗濯機
JP2006239142A (ja) 2005-03-03 2006-09-14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US20070107475A1 (en) * 2005-11-04 2007-05-17 Hill Gregory P Integrated Washing Machine Pump
ITTO20070271A1 (it) * 2007-04-17 2008-10-18 Indesit Co Spa Macchina per il lavaggio di biancheri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3887A (ja) * 1991-05-22 1992-11-30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H10137488A (ja) 1996-11-15 1998-05-26 Keiyo Clean Life Kk 脱水洗濯機
JP2002224487A (ja) 2001-02-07 2002-08-13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31243B1 (ja) 2009-09-16
CN101532232B (zh) 2011-12-21
CN201372374Y (zh) 2009-12-30
TW201002902A (en) 2010-01-16
TWI367978B (en) 2012-07-11
CN101532232A (zh) 2009-09-16
EP2103728A3 (en) 2011-09-14
KR20090098673A (ko) 2009-09-17
EP2103728B1 (en) 2013-03-20
JP2009213801A (ja) 2009-09-24
EP2103728A2 (en)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282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1814397B1 (ko) 세탁장치
JP5406212B2 (ja) 洗濯装置
TWI383081B (zh) Drum type washing machine
JP4374375B2 (ja) 洗濯機
RU2300594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KR101386470B1 (ko) 세탁기
JP514005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177988B1 (ko) 세탁 건조기
JP2006239142A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11024409A1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2070810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921380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308585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572160B1 (ko) 세탁기
JP3939731B2 (ja) ドラム式乾燥洗濯機
WO2011030540A1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921379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6909757B2 (ja) 散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洗濯機
JP201303921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6738196B2 (ja) 洗濯乾燥機
KR10257754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22059241A1 (ja) 乾燥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洗濯機
JP483402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41898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