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988B1 -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988B1
KR101177988B1 KR1020107011682A KR20107011682A KR101177988B1 KR 101177988 B1 KR101177988 B1 KR 101177988B1 KR 1020107011682 A KR1020107011682 A KR 1020107011682A KR 20107011682 A KR20107011682 A KR 20107011682A KR 101177988 B1 KR101177988 B1 KR 101177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ying
tank
ai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861A (ko
Inventor
노부오 고모또
다모쯔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 효율적인 건조 운전을 행하여,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미 사용한 물을 저류하기 위한 탱크(11)를 설치하고, 탱크(11)의 물을 순환시켜, 건조 풍로(20)에 순환하는 공기의 제습에 이용한다. 탱크(11)의 물은 순환되므로, 제습수는 제습 효율을 우선하여 다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건조 공정 전반은, 순환하는 물의 양(냉각수(제습수)의 양)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고, 건조 공정 후반에서는, 그 물의 양을 상대적으로 많게 한다. 그 결과, 건조 운전 시의 건조 효율이 향상되어, 건조 운전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 건조기{WASHING/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의 건조 운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건조 기능을 구비하는 세탁 건조기에서는, 종래, 건조 공정에 있어서, 의류가 수용된 세탁 수조 내의 공기를 건조 풍로에 순환시켜 가열하고, 아울러, 세탁 수조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다습의 공기를 제습하기 위해, 건조 풍로에 물을 공급하여, 공기와 물을 열교환시킨다고 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3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수냉식의 제습기를 구비하고, 제습을 위해 약 6리터의 물을 필요로 하므로, 목욕물을 제습수로서 공급하고, 목욕물이 없어진 경우에는 수돗물로 절환하여 건조 운전을 속행한다고 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의 단락 [0003]~[0005] 참조).
특허 문헌 2에는, 제습 효과를 얻으면서, 제습용수의 과부족을 없애기 위해, 세탁 수조로부터 유출되는 열교환 전의 온풍의 온도와, 그 온풍과 열교환된 후의 제습수의 온도와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열교환을 위해 공급하는 제습용수의 공급량을 증감 제어한다고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의 [요약] 및 단락 [0003]~[0008] [0020] 참조).
특허 문헌 3에는, 높은 건조 성능을 확보하면서, 냉각수의 사용량을 줄여서 절수성을 높이기 위해, 세탁 수조로부터 취출되어 냉각수와 열교환한 후의 공기의 온도와, 공기와 열교환한 후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양쪽 온도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열교환을 위해 공급하는 냉각수의 간헐 공급 제어를 행한다고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의 [요약] 및 [청구항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49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36290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47185호 공보
종래의 세탁 건조기는, 건조 공정에서, 의류가 수용된 세탁 수조의 공기를 취출하여, 냉각수와 열교환함으로써 공기의 제습을 하고, 또한, 히터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세탁 수조 내에 순환시키는 구성을 가지므로, 순환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냉각수(제습수)가 다량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냉각수의 절수에 중점을 둔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어떠한 선행 기술에서도, 건조 효율의 향상이 충분히 도모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건조 공정의 운전을 효율적으로 행하고, 건조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킨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건조 공정에 있어서, 건조 풍로 내에 순환하는 공기의 제습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건조 효율이 개선된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건조 운전 후에, 건조 풍로 내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일 없이, 메인터넌스 성능이 개선된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건조 운전의 종료 시기를 적확하게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건조 운전을 정지하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건조 운전 제어에 있어서,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 수조와, 이미 사용한 물을 저류하기 위한 탱크와, 상기 세탁 수조의 외측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세탁 수조에 연결되어 있어서,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건조 풍로와, 상기 건조 풍로에 설치되고, 건조 공정에서, 건조 풍로의 일단부로부터 세탁 수조 내의 공기를 빨아내고, 그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 풍로의 타단부로부터 세탁 수조 내로 되돌리기 위한 송풍 가열 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탱크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건조 풍로의 제1 위치에 접속된 공급로, 및, 일단부가 상기 건조 풍로의 제2 위치 또는 상기 세탁 수조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탱크에 접속된 회수로를 포함하는 탱크수 순환 수로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설치되고, 탱크의 물을 공급로를 통하여 퍼 내고, 제1 위치로부터 건조 풍로 내에 공급하고, 건조 풍로 내에 낙하시켜 제2 위치 또는 세탁 수조로부터 회수로를 통하여 탱크로 되돌리도록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건조 공정 전반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고, 건조 공정 후반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도록,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 건조기의 설치된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온도 센서가 미리 정하는 온도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켜, 수돗물을 상기 순환 풍로 내의 소정 위치에 공급하기 위한 수돗물 공급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 건조기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건조 공정 말기의 쿨 다운 시에,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켜, 수돗물을 상기 건조 풍로 내의 소정 위치에 공급하기 위한 수돗물 공급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 건조기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건조 공정의 도중에 있어서, 상기 송풍 가열 수단을 일정 기간 정지시키는 중단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 건조기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건조 풍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 풍로에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한 후의 순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공기 온도 센서와, 상기 건조 풍로에 공급되고,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한 후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물 온도 센서와, 상기 공기 온도 센서 및 물 온도 센서의 각 검출 온도의 합산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건조 종료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 건조기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건조 공정 말기의 쿨 다운 시에, 상기 탱크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 건조기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그 온도 검출 수단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가열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 건조기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건조 운전 개시 시에, 탱크 내의 수온이 실온에 비해 소정 온도 이상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은, 건조 공정 전반이어도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을 건조 공정 후반과 동일한 정도로 많은 수량으로 되도록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 건조기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 수조와, 복수의 헹굼 공정 중 1개의 헹굼 공정에서 사용한 물을 저류하기 위한 소(小)내용적을 갖는 탱크와, 상기 세탁 수조의 외측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세탁 수조에 연결되어 있어서,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건조 풍로와, 상기 건조 풍로에 설치되고, 건조 공정에서, 건조 풍로의 일단부로부터 세탁 수조 내의 공기를 빨아내고, 그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 풍로의 타단부로부터 세탁 수조 내로 되돌리기 위한 송풍 가열 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탱크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건조 풍로의 제1 위치에 접속된 공급로, 및, 일단부가 상기 건조 풍로의 제2 위치 또는 상기 세탁 수조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탱크에 접속된 회수로를 포함하는 탱크수 순환 수로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설치되고, 탱크의 물을 공급로를 통하여 퍼 내고, 제1 위치로부터 건조 풍로 내에 공급하고, 건조 풍로 내에 낙하시켜 제2 위치 또는 세탁 수조로부터 회수로를 통하여 탱크로 되돌리도록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건조 공정 전반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고, 건조 공정 후반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도록,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 수조와, 복수의 헹굼 공정 중 1개의 헹굼 공정에서 사용한 물을 저류하기 위한 소내용적을 갖는 탱크와, 상기 세탁 수조의 외측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세탁 수조에 연결되어 있어서,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건조 풍로와, 상기 건조 풍로에 설치되고, 건조 공정에서, 건조 풍로의 일단부로부터 세탁 수조 내의 공기를 빨아내고, 그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 풍로의 타단부로부터 세탁 수조 내로 되돌리기 위한 송풍 가열 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탱크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건조 풍로의 제1 위치에 접속된 공급로, 및, 일단부가 상기 건조 풍로의 제2 위치 또는 상기 세탁 수조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탱크에 접속된 회수로를 포함하는 탱크수 순환 수로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설치되고, 탱크의 물을 공급로를 통하여 퍼 내고, 제1 위치로부터 건조 풍로 내에 공급하고, 건조 풍로 내에 낙하시켜 제2 위치 또는 세탁 수조로부터 회수로를 통하여 탱크로 되돌리도록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건조 공정에 있어서,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를 제습하기 위해 공급되는 물은, 탱크에 고여진 이미 사용한 물(예를 들어 건조 공정 전의 헹굼 공정에서 사용된 물)을 재활용하고, 또한, 그 물을 순환시켜 사용한다. 이로 인해, 물을 다량으로 사용하여도, 그에 의해 물의 소비량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물의 공급은, 양을 걱정하지 않고, 열교환이 바람직하게 행해지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필요량만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건조 공정 전반은, 공급하는 물의 양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고, 건조 공정의 후반에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도록 제어한다. 건조 공정 전반에서는,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키는 것이, 건조 효율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건조 공정 전반은, 물의 공급량을 적게 하여,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가 단시간에 상승하도록 한다. 한편, 건조 공정 후반에서는,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가 고온 다습으로 되어 있고, 물과 공기를 열교환함으로써 공기를 제습하는 것이, 건조 효율상에서는 바람직하다. 따라서, 건조 공정 후반에서는, 물의 공급량을 많게 하여,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의 제습을 양호하게 행하여, 의류의 건조가 촉진되도록 하였다.
또한, 건조 공정 후반은, 의류로부터 발생한 린트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어서, 건조 풍로 내에 흘러, 건조 풍로의 내벽 등에 부착되기 쉽다. 따라서, 공급하는 물의 양을 많게 하면, 물이 순환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린트를 씻어 내려보내고, 또는, 건조 풍로의 내벽에 부착된 린트 등의 이물질도 씻어 내려보내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공정 후반에 있어서,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을 많게 하는 데에 연동시켜,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의 풍량을 변화시키도록 하면, 열교환이 보다 양호해지고, 게다가, 공기 중에 포함되는 린트 등의 이물질의 제거 성능(씻어 내려보내기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세탁 건조기가 분위기 온도(실온)가 높은 중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탱크에 저류된 재활용수의 수온이 높아지거나, 재활용수와 공기가 열교환할 때에 열교환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에 의해, 분위기 온도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는, 탱크에 고여진 재활용수에 의해 순환 공기의 제습을 행하는 데에 대신하여, 수돗물에 의해 제습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수돗물은, 탱크의 재활용수와 비교하여 수온이 낮기 때문에, 효율적인 열교환을 할 수 있어, 건조 성능이 유지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건조 말기의 쿨 다운 시에는, 탱크에 고여진 재활용수 대신에, 수돗물이 건조 풍로에 공급된다. 따라서, 쿨 다운 시에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를 수돗물에 의해 신속하게 차갑게 하고, 냉각된 순환 공기에 의해 세탁 수조 내의 의류의 온도를 내릴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쿨 다운 처리를 행할 수 있어, 건조 공정의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건조 공정의 도중에, 송풍 가열 수단을 일정 기간 정지시키므로, 연속 운전에 의해 고온으로 되기 쉬운 송풍 가열 수단이, 고온으로 되어 동작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송풍 가열 수단을 일시 정지시킨 경우, 건조 풍로 내에 순환하는 공기의 이동이 정지하므로, 가열 수단에서 가열되어 있지 않은 공기가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일 없이, 건조 성능의 열화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공기 온도 센서와, 물 온도 센서와의 각 검출 온도의 합산값(각 검출 온도의 가산 합계값)에 기초하여 건조 종료를 검지하므로, 건조 종료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공기 온도 센서 및 물 온도 센서의 각 검출 온도의 합산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건조 공정 전반에 있어서 검출한 공기 온도 센서 및 물 온도 센서의 각 검출 온도의 합계값을 기억해 두고, 건조 공정의 후반에 있어서, 공기 온도 센서 및 물 온도 센서의 각 검출 온도를 모니터하고, 그 합계값이 앞서 기억해 둔 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증가하였을 때에, 건조 종료를 검지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쿨 다운 시에 탱크의 물이 배출되므로, 건조 공정 종료 시에는, 탱크에는 이미 사용한 물은 저류되어 있지 않고, 냄새의 발생 등이 생기지 않는, 위생적인 세탁 건조기로 할 수 있다. 또한, 한냉지 등에서 사용할 때에, 탱크에 남은 물이 동결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경우에, 그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한 경우, 가열 수단(예를 들어 히터)을 정지하면 되지만, 송풍 수단(예를 들어 블로어)을 구동시킨 상태에서는, 세탁 수조 내에 온도가 낮은 공기가 유입하여, 건조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가열 수단 및 송풍 수단을 연동시켜 구동 제어함으로써,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 건조 성능을 거의 열화시키는 일 없이, 에너지 절약 운전을 실현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건조 운전의 개시 시에, 탱크 내에 고여진 물의 온도(수온)가 실온에 비해 소정 온도 이상 낮은 경우, 예를 들어 탱크 내의 수온≤실온 -5℃에서는,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에 의해,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 상승이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보다도,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와 건조 풍로에 공급되는 물(제습수)과의 온도차가 큰 것에 의한 제습 효과의 쪽이, 건조에 있어서는 보다 유효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물을 순환시켜, 건조 풍로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건조 시간의 단축이나 소비 전력량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한, 건조 공정 전반이어도,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시키는 물의 양을 많게 함으로써, 건조 풍로 내에의 린트 등의 먼지나 이물질의 부착량을 저감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이미 사용한 물을 저류하기 위한 탱크의 내용적을 작게 할(예를 들어, 내용적을 8.5리터 정도) 수 있어, 내용적이 작은 탱크를 채용함으로써, 세탁 건조기 전체의 구성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탱크의 내용적은, 탱크수 순환 수로를 물이 도중에 끊어지지 않도록 순환하기 위해 필요 충분한 양이면 되고, 그 이상의 양의 물을 탱크에 고이게 해 둘 필요는 없으므로, 작은 내용적의 탱크이어도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도,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로, 소내용적의 탱크를 이용하여 세탁 건조기를 구성할 수 있고, 소내용적의 탱크의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공기를 열교환에 의해 제습할 수 있으므로, 세탁 건조기 전체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의 종단면 우측면도.
도 2는 세탁 건조기(1)를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로, 하우징(2)이 제거된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세탁 건조기(1)를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로, 하우징(2)이 제거된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세탁 건조기(1)의 수로 및 풍로를 중심으로 하는 구성을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세탁 건조기(1)의 배면도로, 제1 순환 수로(55), 순환 펌프(25), 제2 순환 수로(57), 유턴부(26), 기액 혼합기(27)(벤투리관(58)) 및 제3 순환 수로(59)를 포함하는 순환 수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유턴부(26) 및 기액 혼합기(27)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기액 혼합기(27)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은 필터 유닛(15)의 사시도.
도 9는 필터 본체(83)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필터 본체(83)로부터 조작 덮개(85)를 제거한 바스켓(84) 단일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필터 유닛(15)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에 따르는 필터 유닛(15)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B-B에 따르는 필터 유닛(15)의 횡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C-C에 따르는 필터 유닛(15)의 횡단면도.
도 15는 세탁 건조기(1)의 부분 정면도.
도 16은 세탁 건조기(1)의 하방부를 경사 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17은 세탁 건조기(1)의 하방부를 경사 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18은 세탁 건조기(1)의 하방부의 우측면 부분 단면도.
도 19는 세탁 건조기(1)의 하방부를 경사 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20은 세탁 건조기(1)의 하방부의 우측면 부분 종단면도.
도 21은 가동체(103)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E는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2는 세탁 건조기(1)의 전기적인 제어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3은 세탁 건조기(1)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타이밍차트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25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제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26은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제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소위 경사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세탁 건조기의 구성 및 동작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의 종단면 우측면도이다. 세탁 건조기(1)는, 하우징(筐體)(2) 내에 경사지게 배치된 세탁 수조(3)를 구비하고 있다. 세탁 수조(3)에는, 세탁 시에 물을 고이게 하기 위한 외조(4)와, 외조(4) 내에 회전 자유자재로 수용된 드럼(5)이 포함되어 있다. 드럼(5)은, 외조(4)의 후방에 구비된 DD 모터(6)에 의해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축(7)은, 전방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소위 경사 드럼 구조를 하고 있다. 드럼(5)의 출입구(8) 및 외조(4)의 출입구(9)는, 하우징(2)에 부착된 원형의 도어(1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10)가 열려, 출입구(8, 9)를 통하여 드럼(5) 내로의 의류(세탁물)의 출납이 이루어진다.
이 세탁 건조기(1)의 특징 중 하나는, 세탁 수조(3)의 하방에 이미 사용한 물(재활용수)을 저류하기 위한 탱크(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 탱크(11)는, 약 8.5리터의 내용적을 갖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헹굼에 사용된 물이 고여지고, 그 물이 건조 공정에 있어서 열교환용수 및 순환 풍로 내에 흐르는 린트 등의 세정수로서 활용된다.
하우징(2) 내의 하방 전방부에는, 주제어 기판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12)이 설치되고, 또한, 상방 전방부에는 표시 및 조작용의 전장 부품(13)이 구비되어 있다. 하방의 전장 부품(12)에는, 후술하는 기판 온도 센서(123)가 포함되어 있다.
하우징(2) 내의 상방에는, 또한, 후술하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구동되는 블로어(21) 및 블로어(21)에 의해 세탁 수조(3) 내에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가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를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로, 하우징(2)이 제거된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세탁 건조기(1)를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로, 하우징(2)이 제거된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부호 3은 세탁 수조이며, 세탁 수조(3)에는 외조(4) 및 드럼(5)이 포함되어 있다. 세탁 수조(3)는 코일 스프링 및 댐퍼를 포함하는 탄성 지지 부재(14)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세탁 수조(3)의 하방에 탱크(11)가 배치되어 있다. 탱크(11)의 전방 우측에는 필터 유닛(15)이 배치되어 있고, 필터 유닛(15)은, 소정의 호스나 파이프에 의해 세탁 수조(3) 및 탱크(11)와 접속되어 있다.
세탁 수조(3)의 상부에는 수도꼭지(16), 수도꼭지(16)로부터 들어온 물을 수로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급수 밸브(17), 주수구 유닛(18), 정화용 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 발생기(19), 건조 공정에서 건조 풍로(20) 내에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블로어(21), 블로어(21)에 의해 건조 풍로(20)에 순환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린트 등의 이물질을 포획하기 위한 건조용 필터 유닛(22)이 구비되어 있다.
세탁 공정에서는, 급수 밸브(17)가 제어되어, 수도꼭지(16)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세탁 수조(3) 내에 고여진다. 그 때, 물이 주수구 유닛(18) 내의 세제 용기(29)를 통과하여 세탁 수조(3)에 이르도록 하면, 세제가 풀려진 물을 세탁 수조(3)에 고이게 할 수 있다. 세탁 공정에서는, DD 모터(6)에 의해 드럼(5)이 회전된다. 또한, 순환 펌프(25)에 의해 세탁 수조(3) 내의 물이 필터 유닛(15)을 경유하여 퍼 내어지고, 퍼 내어진 물은 순환 수로(제2 순환 수로(57))를 통하여 외조(4)의 후방면 상방으로 유도되고, 그 후, 위에서 아래로 낙하하도록 흘려져, 세탁 수조(3)의 후방면 하방으로부터 세탁 수조 내로 되돌아가도록 순환된다. 순환 수로의 도중에는 기액 혼합기(27)가 개재되어 있고, 기액 혼합기(27)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물에 오존 발생기(19)에서 발생하는 오존이 혼입된다. 물에 오존이 혼입되면, 오존이 강력한 산화, 살균 작용에 의해 물이 정화된다. 즉, 세탁 수조(3) 내의 물은, 세탁 공정에 있어서 순환되고, 순환수 속에 오존이 혼입됨으로써 정화되면서, 세탁에 이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액 혼합기(27)의 근방에는, 외조(4)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82)가 설치되어 있고, 외조(4)가 흔들려 하우징과 부딪친 경우 등에, 외조(4)의 후방면에 부착된 기액 혼합기(27)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건조 공정에서는, 세탁 수조(3) 내의 후방면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빨아내어 건조 풍로(20)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도되고, 건조용 필터 유닛(22)에서 이물질이 여과되어 세탁 수조(3)의 상부 전방면측으로부터 세탁 수조(3) 내에 유입하도록 순환된다. 건조 풍로(20) 내에 공기가 순환할 때에, 고온 다습의 공기는 물과 열교환됨으로써 냉각 제습된다. 그로 인해, 건조 풍로(20) 내에는 물이 공급된다. 즉, 탱크(11) 내의 물이 건조용 펌프(23)에 의해 퍼 내어지고, 예를 들어 호스에 의해 구성된 풍로수 공급로(24)를 통하여 건조 풍로(20)의 소정 위치(제1 위치)에 공급되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급수 밸브(17)에 의해 수도꼭지(16)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필요에 따라서 건조 풍로(20)에 공급하는 수로도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풍로(20)의 하단부에는, 건조 풍로(20) 내에 낙하해 오는 제습수(열교환에 의해 순환 공기를 제습한 후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습수 온도 센서(12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건조 풍로(20)의 상방에는, 열교환된 후의 순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1)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제습수 온도 센서(122) 및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1)의 역할 등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상이 세탁 건조기(1)의 구성 및 동작의 개요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세탁 건조기(1)의 수로 및 풍로를 중심으로 하는 전체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세탁 건조기의 수로 및 풍로의 구성>
도 4는, 세탁 건조기(1)의 수로 및 풍로를 중심으로 하는 구성을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도꼭지(16)는 급수 밸브(17)의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밸브(17)에는 4개의 출구가 있고, 어느 쪽의 출구로부터 물을 내보낼지를 절환할 수 있다. 급수 밸브(17)의 제1 출구(28)는 주수구 유닛(18)에 접속되어 있고, 주수구 유닛(18) 내에 설치된 세제 용기(29)를 물이 통과하고, 세제가 풀려진 물이 급수로(30)를 통하여 세탁 수조(3) 내에 고여지도록 되어 있다. 급수 밸브(17)의 제2 출구(31)도 주수구 유닛(18)에 접속되어 있지만, 제2 출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세제 용기(20)를 통하지 않고, 급수로(32)를 통하여 세탁 수조(3)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출구(31)로부터 주수구 유닛(18)에 유입한 물의 일부는 마중물 수로(33)를 통하여 목욕물 펌프(34)에 마중물로서 주어진다. 목욕물 펌프(34)가 구동되면, 욕조(35)의 남은 목욕물이 퍼 올려져 수로(37)로부터 주수구 유닛(18)에 유입하고, 급수로(30) 또는 급수로(32)를 통하여 세탁 수조(3)에 주어진다.
급수 밸브(17)의 제3 출구(38)는 수로(39)에 의해 건조 풍로(20)의 소정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급수 밸브(17)의 제4 출구(40)는 수로(41)에 의해 건조 풍로(20)의 소정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출구(38)는 상대적으로 소직경의 출구이며, 제4 출구(40)는 상대적으로 대직경의 출구이다. 이로 인해, 제3 출구(38)가 열려지면, 상대적으로 소량의 물이 수로(39)를 경유하여 건조 풍로(20)에 공급된다. 이 물은, 건조 풍로(20) 내에서 고온 다습의 순환 공기와 접촉되어 열교환에 기여한다. 제4 출구(40)가 열려지면, 수로(41)를 통하여 건조 풍로(20)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물이 공급된다. 이 물은, 건조 풍로(20) 내에 상승해 오는 순환 공기에 포함되는 린트 그 밖의 이물질이나, 건조 풍로(20)의 내벽에 부착된 린트 그 밖의 이물질을 씻어 내려보내는 데에 기여한다.
세탁 공정(세탁 공정 및 헹굼 공정)에 있어서, 세탁 수조(3)에 물이 고여진다. 세탁 수조(3)의 저면 최하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조(4)의 저면 최하부)에는 배수구(42)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42)에는 수로(43)를 통하여 제1 배수 밸브(44)의 유입구가 접속되어 있고, 제1 배수 밸브(44)의 유출구는 수로(45)를 통하여 필터 유닛(15)의 유입구(151)와 접속되어 있다. 제1 배수 밸브(44)가 닫혀짐으로써, 세탁 수조(3)(외조(4)) 내에 물을 고이게 할 수 있다. 세탁 수조(3) 내의 수위는, 수로(43)로부터 분기하고, 상방으로 연장된 에어 호스(46) 내의 압력 변화에 기초하여, 수위 센서(47)에 의해 검지된다.
필터 유닛(15)은, 케이스(150)를 갖고 있고, 케이스(150) 내에 이물질을 포획하기 위한 필터 본체(83)가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150)에는, 상술한 유입구(151) 외에, 배수구(152), 제1 유출구(153) 및 제2 유출구(154)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152)에는 제2 배수 밸브(48)의 유입구가 접속되어 있고, 제2 배수 밸브(48)의 유출구는 수로(49)를 통하여 외부 배수 호스(50) 및 배수 트랩(51)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수 밸브(44) 및 제2 배수 밸브(48)가 열려지면, 세탁 수조(3) 내의 물은, 배수구(42), 수로(43), 제1 배수 밸브(44), 수로(45), 필터 유닛(15), 배수구(152), 제2 배수 밸브(48), 수로(49), 외부 배수 호스(50)를 통하여 배수 트랩(51)으로 배출된다. 수로(49)에는 일수용 수로(52)의 일단부(하단부)가 합류되어 있다. 일수용 수로(52)의 타단부(상단부)는 외조(4)에 설치된 일수구(53)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세탁 수조(3)에 물이 지나치게 고여져, 그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으로 된 경우는, 일수구(53)로부터 물이 흘러넘쳐, 제2 배수 밸브(48)의 개폐의 여하에 관계없이, 그 물은 일수용 수로(52)로부터 수로(49) 및 외부 배수 호스(50)를 통하여 배수 트랩(51)으로 배출된다.
또한, 일수용 수로(52)의 상하 방향 도중부와, 필터 유닛(15)의 유입구(151)와의 사이에는 기압 조정용의 호스(54)가 접속되어 있다. 이 호스(54)를 설치함으로써, 세탁 수조(3) 내의 기압과 필터 유닛(15)의 유입구(151)측의 기압이 동등하게 되어, 필터 유닛(15) 내에 있어서 물이 역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방지되어 있다.
필터 유닛(15)의 제1 유출구(153)에는 제1 순환 수로(55)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제1 순환 수로(55)의 타단부는 순환 펌프(25)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순환 펌프(25)의 토출구에는 제2 순환 수로(57)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순환 수로(57)의 타단부측은, 세탁 수조(3) 내에 고여지는 물의 통상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전에는, 위에서 하향으로 유턴한 유턴부(2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유턴부(26)에는 기액 혼합기(27)로서의 벤투리관(58)의 상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벤투리관(58)의 하단부에는 제3 순환 수로(59)의 일단부(상단부)가 접속되고, 제3 순환 수로(59)의 타단부(하단부)는 세탁 수조(3)(외조(4))의 배면 하방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세탁 공정 및/또는 헹굼 공정에 있어서, 세탁 수조(3)에 일정량의 물이 고여져, 제1 배수 밸브(44)가 열려지고, 제2 배수 밸브(48)가 닫혀진 상태에서, 순환 펌프(25)가 구동됨으로써, 세탁 수조(3) 내에 고여진 물은, 배수구(42)→수로(43)→제1 배수 밸브(44)→수로(45)→유입구(151)→케이스(150)→제1 유출구(153)→제1 순환 수로(55)→순환 펌프(25)→제2 순환 수로(57)→유턴부(26)→벤투리관(58)→제3 순환 수로(59)→세탁 수조(3)로 순환된다.
여기서, 벤투리관(58)에는 공기 유입구(60)가 구비되어 있고, 공기 유입구(60)에는 에어 튜브(61)를 통하여 오존 발생기(19)가 접속되어 있다. 벤투리관(58)에 물이 흐를 때에, 오존 발생기(19)가 작동되면, 오존 발생기(19)에서 생성되는 오존을 포함하는 정화용 공기는, 에어 튜브(61)를 통하여 공기 유입구(60)로부터 벤투리관(58) 내에 유입된다. 유입 원리는, 벤투리관(58) 내에 흐르는 물에 의해 생기는 압력차(부압) 때문이다. 순환되는 물에 오존이 혼입되면, 오존이 강한 산화력 및 살균력에 의해 순환수가 정화되고, 정화된 물을 이용하여 세탁 수조(3) 내에서의 세탁을 행할 수 있다.
필터 유닛(15)의 제2 유출구(154)에는 저수용 수로(62)의 일단부(상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저수용 수로(62)의 타단부(하단부)는 저수 밸브(63)의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저수 밸브(63)의 유출구는 탱크(11)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헹굼 공정 종료 후, 제1 배수 밸브(44)가 열려지고, 제2 배수 밸브(48)가 닫혀져, 순환 펌프(25)가 정지된 상태에서, 저수 밸브(63)가 열려지면, 세탁 수조(3) 내에 고여져 있는 헹굼에 사용된 물은, 중력(자연 낙하)에 의해 배수구(42)→수로(43)→제1 배수 밸브(44)→수로(45)→유입구(151)→케이스(150)→제2 유출구(154)→저수용 수로(62)→저수 밸브(63)→탱크(11)로 흐른다. 이에 의해, 탱크(11) 내에 헹굼에서 사용한 이미 사용한 물을, 재활용수로서 저류할 수 있다.
탱크(11)의 상방에는 일수구(64)가 구비되어 있고, 일수구(64)에는 수로(65)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수로(65)의 타단부는 일수용 수로(52)의 도중에 합류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11) 내에 소정량 이상으로 물이 고여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 물은 일수구(64)→수로(65)→일수용 수로(52)→수로(49)→외부 배수 호스(50)→배수 트랩(51)으로 흘러 배출된다.
이 세탁 건조기(1)에서는, 탱크(11)에 고여진 이미 사용한 물이, 재활용수로서, 건조 공정에 있어서 재이용된다.
세탁 건조기(1)에는, 건조 기능을 행하기 위해, 건조 풍로(20)가 구비되어 있다. 건조 풍로(20)는, 세탁 수조(3)(외조(4))의 외측에 배치되고, 외조(4)의 배면 하방부로부터 세탁 수조(3) 내의 공기를 빨아내고, 그 공기를 외조(4)의 전방측 상방부로부터 세탁 수조(3) 내에 유입시키도록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풍로이다. 건조 풍로(20)에는, 접속 파이프(66), 필터 블로어 유닛(70)(블로어(21) 및 건조용 필터 유닛(22)이 포함됨) 및 접속 파이프(67)가 포함되어 있다. 필터 블로어 유닛(70)으로부터 접속 파이프(67)에 연결되는 풍로 내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고, 순환되는 공기가 가열된다. 건조 히터는, 예를 들어 반도체 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건조 풍로(20) 내에서는, 세탁 수조(3)로부터 빨아내어진 공기가 제습된다. 또한, 건조 풍로(20) 내에 순환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린트 등의 이물질 및 건조 풍로(20)의 내벽에 부착된 이물질을 씻어 내려보낼 수 있다. 그 때문에, 탱크(11)에 고여진 재활용수가 건조 풍로(20) 내에 통하도록 순환된다.
탱크(11)에는 건조용 펌프(23)의 흡입구가 접속되어 있다. 건조용 펌프(23)의 토출구에는 풍로수 공급로(24)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풍로수 공급로(24)의 타단부는 건조 풍로(20)의 제1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 건조용 펌프(23)가 구동되면, 풍로수 공급로(24)를 통하여 건조 풍로(20)의 제1 위치로부터 건조 풍로(20) 내에 물이 공급된다. 공급되는 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 풍로(20) 내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함과 함께, 공기 중의 린트 등의 이물질을 씻어 내려보내고, 또한, 건조 풍로(20) 내의 내벽에 부착되고자 하는 이물질도 씻어 내려보낸다. 그리고, 건조 풍로(20) 내에 하방으로 흘러 떨어진 물은, 린트 등의 이물질을 수반하여 외조(4)의 하방으로부터 배수구(42)를 통해, 수로(43)→제1 배수 밸브(44)→수로(45)→필터 유닛(15)으로 흐른다. 그리고 필터 유닛(15)에 있어서, 린트 등의 이물질은 포획되어 제거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후의 물은 제2 유출구(154)로부터 저수용 수로(62) 및 저수 밸브(63)를 통하여 탱크(11) 내로 되돌아간다.
또한, 건조 풍로(20) 내에 흘러 떨어진 물이 외조(4)에 유입하지 않고, 예를 들어 건조 풍로(20) 내의 제2 위치로서의 예를 들어 하단부로부터 배출되어, 탱크(11) 내로 되돌아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건조 공정에서는, 건조 풍로(20) 내에서 행하는 열교환 및 건조 풍로(20)의 내벽에 부착되는 린트 등의 이물질의 세정을 위해 다량의 물이 필요하게 된다. 이 세탁 건조기(1)에 따르면, 열교환 및 이물질의 세정에 필요한 물은, 탱크(11)에 고여진 이미 사용한 물을 재활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대폭적인 절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탱크(11)의 물을 순환시키는 구성이므로, 탱크(11)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탱크(11)를 설치하여도, 세탁 건조기의 외관은 커지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블로어 유닛(70)에는, 에어 튜브(71)를 통하여 오존 발생기(19)가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건조 공정에 있어서, 오존 발생기(19)가 작동되면, 오존 발생기(19)가 발생하는 오존을 포함하는 정화용 공기는, 필터 블로어 유닛(70) 내에 흡입되고, 세탁 수조(3)에 순환되는 공기에 오존을 포함하는 정화용 공기를 혼입할 수 있다. 그 결과, 건조된 의류의 악취 제거나 살균을 행할 수 있다.
<순환 수로의 구조>
도 5는, 세탁 건조기(1)의 배면도로, 제1 순환 수로(55), 순환 펌프(25), 제2 순환 수로(57), 유턴부(26), 기액 혼합기(27)(벤투리관(58)) 및 제3 순환 수로(59)를 포함하는 순환 수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설명에 필요한 요소만이 도시되어 있다.
필터 유닛(15)(도 4 참조)에서 여과된 후의 물은, 순환 펌프(25)가 구동됨으로써, 제1 순환 수로(55)를 통하여 흡입되어 제2 순환 수로(57)로 토출된다. 제2 순환 수로(57)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조(4) 내에 고여지는 물의 통상의 수위(1점 쇄선(72)으로 나타냄)보다도 상방까지 물을 유도한다. 그 물은 유턴부(26)에 의해 상향으로부터 하향으로 반전되어, 기액 혼합기(27)에 유입한다. 따라서, 기액 혼합기(27)에서는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기액 혼합기(27)도, 외조(4) 내에 고여지는 물의 통상의 수위(72)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순환 펌프(25)에 의해 제2 순환 수로(57)에 토출되는 물은 수위(72)보다도 상부에 있어서 흐름 방향이 반전되고, 수위(72)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기액 혼합기(27)를 위에서 아래로 낙하하도록 흐르기 때문에, 기세 좋게 기액 혼합기(27) 내에 흘러 떨어진다. 그리고 제3 순환 수로(59)를 통해, 외조(4)의 배면 하방으로부터 외조 내로 유입한다.
이와 같이, 외조(4) 내의 수위(72)보다도 상방으로 물을 유도하기 위한 제2 순환 수로(57)와, 상방으로 유도된 물을 반전시키는 유턴부(2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기액 혼합기(27)를, 외조(4) 내의 물의 수위(72)보다도 상방에 배치할 수 있고, 게다가, 기액 혼합기(27)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액 혼합기(27) 내에 흐르는 물은, 순환 펌프(25)에 의한 압송력 외에, 수위(72)에 의한 수압이 흐름의 방해로는 되지 않아, 중력의 작용에 의해 위에서 아래로 기세 좋게 흘러 떨어진다. 그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액 혼합기(27)에 있어서, 유로 내에 부압을 발생시켜, 오존을 포함하는 정화 공기를 효율적으로 물 속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기액 혼합기(27)에 흘러 떨어진 물은 제3 순환 수로(59)에 의해 하방까지 유도되어 외조(4)의 배면 하방으로부터 외조(4) 내로 순환된다. 이 순환되는 물은 오존을 포함하는 정화용 공기의 세밀한 기포가 혼합된 물이며, 그 물이 외조(4)의 하방으로부터 세탁 수조(3) 내로 되돌아감으로써, 물에 포함되는 정화용 공기의 세밀한 기포는 세탁 수조(3) 내에서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고, 세탁 수조(3) 내에 있어서, 의류에 대해, 살균, 악취 제거 등의 정화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순환 수로(59)는, 외조(4)의 하방까지 연장되지 않고, 외조(4)의 배면의 도중으로부터 외조(4) 내에 물을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부호 61은 에어 튜브이며, 에어 튜브(61)를 통하여 기액 혼합기(27)에 오존을 포함하는 정화용 공기가 공급된다.
<유턴부 및 기액 혼합기의 구성>
도 6은, 유턴부(26) 및 기액 혼합기(27)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유턴부(26) 및 기액 혼합기(27)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파이프가 조합되고,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기액 혼합기(27)에는 벤투리관(58), 공기 도입구(74) 및 버퍼실(75)이 포함되어 있다.
도 7은, 기액 혼합기(27)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기액 혼합기(27)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벤투리관(58)을 포함하고 있다. 벤투리관(5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방에 유로 직경이 큰 상측 유로(78), 상측 유로(78)의 하방에 유로 직경이 좁혀져 작게 된 조임부 유로(77), 조임부 유로(77)의 하방에 유로 직경이 서서히 크게 된 하측 유로(79)라고 하는, 유로 직경이 변화되는 3종류의 일련으로 된 유로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유로(78)→조임부 유로(77)→하측 유로(79)에 물이 흐르면, 조임부 유로(77)에 흐르는 물의 속도(유속)가 빨라진다. 그리고 조임부 유로(77)의 내측벽에는 공기 도입용의 작은 구멍(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작은 구멍(80)은, 벤투리관(58)의 외측면에 연결된 버퍼실(75)에 이어진다. 버퍼실(75)에는 공기 도입구(74)로부터 공기가 공급된다. 버퍼실(75)의 입구에는 예를 들어 고무로 생긴 역지 밸브(81)가 배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81)는, 공기 도입구(74)로부터 버퍼실(75) 내에 공기가 유입하는 것은 방해되지 않지만, 버퍼실(75) 내로부터 공기 도입구(74) 방향으로 기체나 액체가 흘러 나오는 것을 저지하는 작용을 한다.
유턴부(26)로부터 하방에 흘러 떨어지는 물은, 상측 유로(78)에 기세 좋게 유입하고, 조임부 유로(77)에 있어서 유속이 보다 빨라진다. 이로 인해, 공기 도입 구멍(80)을 통하여 버퍼실(75)의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부압을 발생한다. 부압에 의해 버퍼실(75)의 오존을 포함하는 정화용 공기가 공기 도입 구멍(80)을 통하여 조임부 유로(77)에 들어가, 흐르는 물 속에 세밀한 기포로 되어 혼입된다.
또한, 조임부 유로(77)의 물의 흐름이 정지된 경우에, 물이 공기 도입 구멍(80)을 통하여 버퍼실(75)로 유입하고, 또한, 공기 도입구(74)로부터 오존 발생기(19)(도 4 참조) 방향으로 역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는, 버퍼실(75)에는 역지 밸브(81)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결과, 오존 발생기(19)가, 에어 튜브(61)를 통하여 역류하는 물에 의해 문제점으로 되는 일은 없다. 또한, 건조 공정에 있어서, 세탁 수조(3) 내의 증기가 제3 순환 수로(59)에 침입하고, 벤투리관(58)을 통하여 공기 도입 구멍(80)으로부터 버퍼실(75)로 침입하고, 또한 공기 도입구(74)로부터 오존 발생기(19)로 역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건조 시의 증기의 역류도 역지 밸브(81)에 의해 저지된다.
그런데, 조임부 유로(77)의 내경(직경) 치수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φ=8㎜로 되어 있고, 이 내경 φ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 유닛(15)에 있어서의 필터의 여과 구멍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조임부 유로(77)에 있어서, 흐르는 물에 포함되는 린트 등의 이물질이 막힐 염려는 없다.
<필터 유닛의 구성>
다음으로, 필터 유닛(15)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필터 유닛(15)은, 도 2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1)의 전방측 우측 하방부에 부착되어 있다. 필터 유닛(15)에는, 도 4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150), 유입구(151), 배수구(152), 제1 유출구(153) 및 제2 유출구(154)가 구비되어 있다.
도 8은, 필터 유닛(15)의 사시도이며, 세탁 건조기(1)를 경사지게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필터 유닛(15)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필터 유닛(15)은, 케이스(150), 유입구용 파이프(155), 배수구용 파이프(156), 유출구용 파이프(157, 158), 정면 부착판(159), 및 부착용 다리(16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부재는, 수지(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50)에 대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정면 부착판(159) 및 부착용 다리부(16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배수구용 파이프(156), 유입구용 파이프(155) 및 유출구용 파이프(157, 158)가 액체 밀봉적으로 접속되어 일체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정면 부착판(159) 및 부착용 다리부(160)가 세탁 건조기(1)의 하우징(2)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150)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길이 형상을 갖고 있다. 케이스(150)의 상면(150a)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연통하도록 유입구용 파이프(155)가 부설되어 있다. 유입구용 파이프(155)의 상단부의 개구 단부인 유입구(151)에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로(45)가 접속된다. 유입구용 파이프(155)의 도중부에 돌출 형성된 통 형상 돌기(161)에는, 도 4에서 설명한 호스(54)가 접속된다.
케이스(150)의 좌우 측면 및 저면은, 경계선이 없이 원호 형상으로 하방으로 부풀어진 케이스 측저면(150b)으로 되어 있다.
배수구용 파이프(156)는, 케이스(150)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 방향으로 직교 방향, 케이스 측저면(150b)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부가 배수구(152)로 되어 있다. 배수구용 파이프(156)는, 케이스(150)의 길이 방향 안쪽측(경사지게 연장된 케이스(150)의 하방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유출구용 파이프(157)는, 길이 방향의 도중이 거의 직각으로 곡성(曲成)되어 있고, 케이스(150)에의 부착 위치는, 케이스(150)의 길이 방향을 보아, 유입구용 파이프(155)의 부착 위치와 배수구용 파이프(156)의 부착 위치와 중간 위치로 되어 있다. 배수구용 파이프(157)는, 케이스(150)의 측저면(150b)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어 있고, 대략 90° 곡성된 선단부측이 제2 유출구(154)로 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용 파이프(157)로부터 분기하도록 유출구용 파이프(158)가 연결되어 있고, 이 파이프(158)의 선단부는 제1 유출구(153)로 되어 있다. 배수구(152), 제1 유출구(153) 및 제2 유출구(154)에는, 각각,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배수 밸브(48)의 흡입측, 제1 순환 수로(55) 및 저수용 수로(62)가 접속된다.
정면 부착판(159)에는 필터 삽입구(162)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 삽입구(162)는 케이스(15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필터 삽입구(162)로부터 필터 본체(83)(도 9 참조)가 케이스(150) 내에 삽입되고, 조작 덮개(85)가 회전 조작되어 도 8에 도시한 상태로 됨으로써, 필터 유닛(15)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정면 부착판(159)의 필터 삽입구(162)가 형성된 위치의 하방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리브(113)가 설치되고, 이 리브(113)에 후술하는 가동체(도 21을 참조)를 회전 자유자재로 부착하기 위한 결합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필터 본체(83)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필터 본체(83)에는, 여과 부재로서의 바스켓(84) 및 조작 덮개(85)가 포함되어 있다. 바스켓(84)은 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측면 및 저면에 다수의 여과 구멍이나 여과 슬릿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필터 본체(83)로부터 조작 덮개(85)를 제거한 바스켓(84) 단일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바스켓(84)에 배열 형성된 여과 구멍에는, 구멍의 크기(최대 직경)가 소정 치수 이하인 소여과 구멍(86)과, 구멍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대여과 구멍(87)과, 빗 형상으로 나열된 막대 부재(88) 사이에 구획된 슬릿 구멍(89)이 포함되어 있다. 소여과 구멍(86)은, 바스켓(84)의 전방측 좌측면 및 전방측 저면의 일부에 배열 형성되어 있고, 소여과 구멍(86)이 배열 형성된 면은, 재이용수 여과면(90)으로 되어 있다. 한편, 대여과 구멍(87)이 배열 형성된 바스켓(84)의 후방 좌측면, 후방면, 저면의 일부 및 우측면의 일부와 복수의 막대 부재(88)가 설치되어 슬릿 구멍(89)이 구획된 면은, 배출수 여과면(91)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재이용수 여과면(90)과 배출수 여과면(91)과의 경계에는, 바스켓(84)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획용의 리브(92, 9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스켓(84)의 전방면은 밀봉 벽(94)으로 막아져 있고, 밀봉 벽(94)의 주위로부터는 고리 형상의 플랜지(95)가 돌출되어 있다(도 10 참조).
도 10에 도시한 플랜지(95)에 대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덮개(85)가 회전 자유자재로 끼워져 있다. 따라서, 조작 덮개(85)와 바스켓(84)과는 서로 회전할 수 있다. 조작 덮개(85)의 안쪽측 둘레면에는 고무 등으로 구성된 시일링(96)이 구비되어 있다. 필터 본체(83)의 바스켓(84)이 도 8에 도시한 필터 삽입구(162)로부터 케이스(150) 내에 삽입되고, 삽입 후에 조작 덮개(85)가 회전됨으로써, 필터 삽입구(162)와 조작 덮개(85)와의 사이가 시일링(96)에 의해 액체 밀봉적으로 밀봉되고, 필터 본체(83)의 케이스(150)에의 부착이 완성된다. 또한, 케이스(150) 내에 있어서, 바스켓(84)의 방향은 미리 정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케이스(150)의 내측벽의 형상이 특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1은 필터 유닛(15)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A-A에 따르는 필터 유닛(15)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1의 B-B에 따르는 필터 유닛(15)의 횡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1의 C-C에 따르는 필터 유닛(15)의 횡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스켓(84)에는, 저면 하방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케이스(1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93)가 구비되어 있다. 이 리브(93)는, 바스켓(84)이 케이스(150) 내에 세트되었을 때에, 케이스(150)의 내저면(150c)과의 간극이 d(㎜)(d는, 소여과 구멍의 크기(최대 직경) 이하임)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93)의 일부(931)는, 케이스(150)의 내저면(150c)에 접촉하여 케이스(150) 내에서의 바스켓(84)의 위치 결정을 하는 작용을 한다. 리브(93)는, 도 12에서 전방측에 존재하는 배출수 여과면(91)에 포함되는 대여과 구멍(87) 및 슬릿 구멍(89)(도 10 참조)으로부터 바스켓(84)의 외측에 유출되고, 바스켓(84)의 하면과 케이스(150)의 내저면(150c)과의 사이를 통하여 유출구용 파이프(157)의 입구(157a)에 흐르는 물 속에 큰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그 이물질이 입구(157)에 유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작용을 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케이스(150) 내에 필터 본체(83)가 세트된 상태에 있어서, 바스켓(84)의 외면측에 돌출 설치된 리브(92)는 케이스 내측면 및 내저면(150c)과 바스켓(84)과의 간극을 소정의 치수 d(㎜)(d는, 소여과 구멍의 크기(최대 직경) 이하임)로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바스켓(84)의 예를 들어 안쪽측 측면에 형성된 대여과 구멍(87)을 통하여 바스켓(84) 밖으로 유출된 물이 바스켓(84)과 케이스(150)의 내측면 또는 내저면(150c)과의 간극을 통하여 전방측으로 흐르고, 유출용 파이프(157)에 유입하고자 한 경우에, 그 흐르는 물 속에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이물질이 유출용 파이프(157)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소여과 구멍(86)이 형성된 재이용수 여과면(9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리브(92, 9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리브(92, 93)가 케이스(150)의 내면과 대향하여, 재이용수 여과면(90)의 주위에 소여과 구멍(86)의 크기보다도 큰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스켓(84) 내에 들어간 물은, 소여과 구멍(86)이 형성된 재이용수 여과면(90)을 통하여 여과되고, 재이용수 여과면(90)을 통한 물 및 리브(92, 93)와 케이스(150)의 내면과의 간극을 통한 물이 유출구용 파이프(157)에 유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출구용 파이프(157)에 유입하는 물에는, 소여과 구멍(86)보다도 큰 이물질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소여과 구멍(86)의 크기(최대 직경)를, 기액 혼합기(27)의 벤투리관(58)의 조임부 유로(77)의 내경 φ보다도 작게 해 둠으로써, 벤투리관(58)에 흐르는 물 속에는 조임부 유로(77)의 내경 φ보다도 큰 이물질은 존재하지 않게 되고, 흐름 직경이 좁혀진 조임부 유로(77)에 있어서 이물질이 막혀, 벤투리관(58)에 흐르는 물의 흐름이 저하되거나 멈추거나 하는 일이 없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구용 파이프(156)로부터 유출되는 물은, 바스켓(84)에 형성된 대여과 구멍(87) 및 슬릿 구멍(89)으로 여과되기 때문에, 큰 이물질이 배수구용 파이프(156)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아, 배수 구멍이 막히는 일이 없다.
도 8~도 14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필터 유닛(15)의 케이스(150)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길이의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안에 필터 본체(83)의 바스켓(84)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유출구용 파이프(157)는 배수구용 파이프(156)에 비해 전방측, 즉 케이스(150)의 상대적으로 상측에 부착되어 있다. 그에 맞추어,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이용수 여과면(90)은 전방측(상방측)에 위치하고, 배출구 여과면(91)은 후방측(하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바스켓(84) 내에 유입하는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큰 이물질은 후방측(하측)으로 물 속을 낙하하고, 이물질이 적은 물이 재이용수 여과면(90)을 통하여 여과된다. 즉, 필터 유닛(15)에 있어서의 세탁수나 헹굼수의 여과 효율이 좋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작 덮개의 조작 불량을 통지하는 구성>
다음으로, 필터 유닛(15)의 조작 덮개(85)가 적절하게 조작되고, 필터 본체(83)가 케이스(150)에 올바르게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유저에게 장착이 문제점인 것을 통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15는, 세탁 건조기(1)의 부분 정면도이다. 세탁 건조기(1)의 정면 하방 우측에는, 하우징(2)에 창(100)이 형성되어 있다. 창(100)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이 둥글게 된 직사각 형상이지만, 창(100)의 형상은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창(100)에는, 커버(101)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16은, 세탁 건조기(1)의 하방부를 경사 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01)는 그 하방 양측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하고, 도 15에 도시한 창(100)을 닫은 상태로부터, 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100)을 연 상태로 변위할 수 있다. 커버(101)를 열 때에는, 커버(101)의 상변에 형성된 손잡이 오목부(102)에 유저의 손가락을 걸쳐서 전방으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커버(101)는 열린다.
커버(101)가 열리면, 커버(101)의 후방에 배치된 필터 유닛(15)의 조작 덮개(85)가 노출된다. 조작 덮개(85)의 주위에는 도 8에서 설명한 케이스(150)의 정면 부착판(159)이 존재하고 있고, 정면 부착판(159)에 의해 창(100)의 안쪽이 막아져 있으므로, 정면 부착판(159)의 후방의 필터 유닛(15) 전체의 구성은, 창(100)을 통해서는 확인할 수는 없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101)와 조작 덮개(85)와의 사이에 가동체(103)가 구비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01)가 열려지면, 가동체(103)는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한다. 가동체(103)가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가동체(103)는 조작 덮개(85)의 조작이 방해로는 되지 않아, 조작 덮개(85)를 좌회전시켜 필터 삽입구(162)에 끼워 맞추어진 조작 덮개(85)를 느슨하게 하여, 필터 본체(83)를 전방으로 인출하고, 필터 본체(83), 특히 바스켓(84)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 등, 필터 본체(83)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터넌스 후에, 필터 삽입구(162)로부터 바스켓(84)을 삽입하고, 조작 덮개(85)를 오른쪽으로 돌려서 필터 본체(83)를 케이스(150)에 장착할 수 있다.
필터 본체(83)가 케이스(150)에 장착되어 조작 덮개(85)가 올바르게 회전된 상태에서는, 조작 덮개(85)의 조작 리브(104)가 수평 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조작 리브(104)가 수평하게 된 상태에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체(103)는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조작 덮개(85)의 조작 리브(104)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리브(104)는 가동체(103)가 상방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해로는 되지 않아, 가동체(103)는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통상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체(103)를 단독으로 상방으로 회전 시킬 필요는 없으며, 도 16의 상태로부터 커버(101)를 닫으면, 커버(101)의 내면에 눌려서 가동체(103)가 상방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1)의 하방부의 우측면 부분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전한 가동체(103)는, 커버(101)를 닫을 때의 방해로는 되지 않아, 커버(101)를 하우징(2)의 정면과 동일한 높이로 된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덮개(85)의 조작이 적절하지 않고, 조작 덮개(85)가 올바르게 회전되어 있지 않아, 필터 삽입구(162)와 조작 덮개(85)와의 사이의 시일이 불완전하며, 물이 필터 삽입구(162)로부터 전방으로 누출될 우려가 있는 경우 등에는, 가동체(103)는 상방 소정 위치까지 회전할 수 없다.
즉, 조작 덮개(85)가 적정하게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 조작 리브(104)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지 않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가동체(103)에 조작 리브(104)가 간섭하고, 가동체(103)는 상방 소정 위치까지 회전할 수 없다. 그 결과, 도 20의 세탁 건조기(1)의 하방부 우측면 부분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체(103)의 커버(101)가 완전하게 닫혀지는 것을 저해한다. 즉, 커버(101)의 내면에 가동체(103)가 부딪쳐, 커버(101)를 닫을 수 없게 된다.
커버(101)를 닫을 수 없기 때문에, 유저는, 조작 덮개(85)의 상태를 확인하고, 조작 덮개(85)의 조작이 부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 덮개(85)가 적절하게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커버(101)를 닫을 수 없도록 하여, 유저가 필터 유닛(15)의 조작 덮개(85)의 조작을 올바르게 행하지 않았던 경우에, 유저에게 그것을 알려, 필터 유닛(15)으로부터의 누수 등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가동체의 구성>
도 21의 A 내지 도 21의 E는, 가동체(103)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E는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여, 가동체(103)에는, 수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아암판(105), 좌측 아암판(106), 및, 우측 아암판(105) 및 좌측 아암판(106)의 사이에 구비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우측 아암판(105) 및 좌측 아암판(106)을 연결하고 있는 간섭판(107)이 포함되어 있다. 우측 아암판(105)의 안쪽측 하방에는, 좌측 아암판(106) 방향(내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지지축(10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아암판(106)의 안쪽측 하방에는, 우측 아암판(105) 방향(내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지지축(109)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 지지축(108, 109)은, 동일 직선상에 있고, 결합 지지축(108, 109)이 필터 유닛(15)의 케이스(150)의 정면 부착판(159)에 구비된 결합 구멍(114)(도 8 참조)에 끼워짐으로써, 가동체(103)는 상하에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된다.
우측 아암판(105)은, 전후 방향 길이가, 좌측 아암(106)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고, 좌측 아암판(106)보다도 선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간섭판(107)은, 평면에서 보아, 그 선단부 변이 오른쪽에서 왼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고, 우측의 폭이 좌측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또한, 간섭판(107)의 후단부 변은 전방을 향하여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하고 있다. 우측 아암판(105)의 길이를 좌측 아암판(106)보다도 길게 한 것에 의해, 가동체(103)는 우측 아암판(105)의 선단부만이 커버(101)의 내표면(도 16 참조)과 접촉할 수 있다. 커버(101)의 내표면과 가동체(103)와의 접점을 우측 아암판(105)의 선단부만으로 함으로써, 커버(101)의 폐쇄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가동체(103)의 회전을 보다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간섭판(107)은, 조작 덮개(85)가 적정하게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조작 덮개(85)의 조작 리브(104)와 간섭(충돌)하여, 가동체(103)가 그 이상 상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간섭판(107)이 조작 리브(104)와 부딪쳐도, 용이하게 만곡하거나 변형되는 일이 없도록, 간섭판(107)의 가로 방향 양단부와 우측 아암판(105) 및 좌측 아암판(106)과의 결합부에는, 간섭판(107) 및 우측 아암판(105), 좌측 아암판(106)의 면 방향에 각각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프레임(110)이 구비되어 있다.
가동체(103)는, 상방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는, 간섭판(107)이 조작 덮개(85)의 조작 리브(104)와 거의 평행하게 인접하고, 조작 리브(104)가 움직이는 것을 저지한다. 따라서, 간섭판(107)은 조작 덮개(85)가 진동 등에 의해 느슨하게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작용도 하고 있다.
가동체(103)는, 결합 지지축(108, 109)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자재로 되어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101)가 열려졌을 때에, 가동체(103)는 자중에 의해 조작 덮개(85)로부터 멀어지게 전방으로 회전하도록, 가동체(103)의 무게 중심을 조정하기 위한 무게 중심 조정부(111)가, 우측 아암판(105)의 외표면 및 좌측 아암판(106)의 외표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체(103)가 결합 지지축(108, 109)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였을 때, 가동체(103)의 회전 위치가 미리 정하는 각도 위치에서 멈추도록, 결합 지지축(108)의 근방에 스토퍼 돌기(11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112)는, 도 16을 참조하여, 가동체(103)가 전방으로 회전할 때, 가동체(103)가 소정의 각도 위치까지 회전하였을 때, 스토퍼 돌기(112)가 예를 들어 정면 부착판(159)에 닿아, 가동체(103)의 회전 각도 위치를 규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에 의해, 가동체(103)를 소정의 각도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어, 가동체(103)가 커버(101)에 부딪칠 때까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령, 가동체(103)가 커버(101)에 닿아서 멈추게 하면, 커버(101)를 닫을 때에 가동체(103)를 버팀 부재와 같은 작용을 하여, 커버(101)를 닫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폐해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제어 회로의 구성>
도 22는, 세탁 건조기(1)의 전기적인 제어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2의 블록도는, 세탁 건조기(1)가 건조 공정을 실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요소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120)는, 세탁 건조기(1)의 제어 중추이며,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전장 부품(12)(도 1 참조)에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120)에는,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1), 제습수 온도 센서(122) 및 기판 온도 센서(123)의 검출 온도가 입력된다.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1)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 풍로(20)의, 공기 흐름 방향을 보아 블로어(21) 전방에 구비되어 있다.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1)는, 세탁 수조(3)로부터 건조 풍로(20)를 통하여 유출되고, 건조 풍로(20) 내에서 물과 열교환된 후의 공기 온도를 측정한다.
제습수 온도 센서(122)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외조(4)의 배면 하방에 접속된 건조 풍로(2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습수 온도 센서(122)는, 건조 풍로(20) 내에서 세탁 수조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와 열교환된 후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건조 공정 개시 시에는, 탱크(11)에 고여진 수온과 거의 동일한 온도가 검출된다.
기판 온도 센서(123)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2) 내의 전방 하방에 배치된 전장 부품(12)에 포함되는 회로 기판에 구비된 온도 센서이다. 기판 온도 센서(123)는, 세탁 건조기(1)가 배치된 분위기 온도(실온과 비례하고, 실온 +10℃ 정도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건조 공정 개시 시에는, 기판 온도가 상승하고 있지 않으므로, 실온과 거의 동일한 온도가 검출된다.
제어부(120)에는, 건조 히터(A124), 건조 히터(B125), 블로어 모터(126), 건조용 펌프(23), 급수 밸브(17), 제2 배수 밸브(48) 및 DD 모터(6)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20)에 의해 이들 접속되어 있는 각 부품의 구동이 제어된다.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 풍로(20)에서의 블로어(21)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있고,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는, 예를 들어 반도체 히터로 구성할 수 있고, 2개의 히터의 발열 용량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동등한 발열 용량으로 되어 있다. 한쪽의 건조 히터(124, 125)만을 통전하는지, 양쪽의 건조 히터(124, 125)를 통전하는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건조 공정의 진행에 따라서 제어된다.
블로어 모터(126)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건조 풍로(20)에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된다. 블로어 모터(126)에 의해, 블로어(21)가 회전한다.
건조용 펌프(23)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탱크(11)의 물을 건조 풍로(20) 내에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된다. 건조용 펌프(23)에 의해 탱크(11)로부터 퍼 내어지는 물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 풍로(20)에 열교환, 냉각, 세정용의 물로서 공급되고, 그 공급된 물은 건조 풍로(20)에 하방으로 흐르고, 외조(4)의 배수구(42)로부터 수로(43), 제1 배수 밸브(44, 45), 필터 유닛(15), 저수용 수로(62) 및 저수 밸브(63)를 통하여 탱크(11)로 되돌아가도록 순환된다. 따라서, 탱크(11)의 용량(탱크(11)에 고여진 물의 양)은, 건조 공정에 있어서 건조 풍로(20)에 공급하는 물의 전체량을 고이게 하는 데에 필요한 용량이 아니어도 된다. 그것보다도 적은 소용량의 탱크(11)이면 되고, 탱크(11)의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절수하면서 건조 공정에서 물을 순환 공급한다.
급수 밸브(17)는, 건조 공정의 후기에서, 탱크(11)의 재활용수가 순환되는 데에 대신하여, 보다 찬 수돗물을 열교환수로서 공급하기 위해 제어된다.
제2 배수 밸브(48)는, 건조 공정의 말기에 있어서, 탱크(11)의 물을 배출하기 위해 제어된다. DD 모터(6)는, 세탁 수조(3)의 드럼(5)을 회전하기 위해 제어된다.
<건조 공정의 제어 동작>
도 23은, 세탁 건조기(1)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23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세탁 건조기(1)의 건조 공정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세탁 건조기(1)에 있어서, 건조 공정이 개시되면, 건조 히터(A124)가 통전되고, 예를 들어 약 30초 정도 지연되어 건조 히터(B125)가 통전된다. 2개의 건조 히터(124, 125)를 동시에 통전하지 않는 것은, 돌입 전류를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건조용 펌프(23)가 강(强)운전된다. 건조 공정의 개시와 동시에 건조용 펌프(23)를 소정 시간 강운전하는 것은, 탱크(11)에 물이 고여져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건조 공정의 개시에 의해, 블로어 모터(126)가 약(弱)운전된다. 제2 배수 밸브(48)는 닫혀져 있고, 건조용 펌프(23)에 의해 순환되는 탱크(11) 내의 물이 수로(49)로부터 외부 배수 호스(50)(도 4 참조)로 배수되지 않도록 된다.
건조 운전의 개시에 수반하여, 건조 히터(A124), 건조 히터(B125), 건조용 펌프(23) 및 블로어 모터(126)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됨으로써, 세탁 수조(3) 내의 공기가 건조 풍로(20)를 통하여 천천히 흐르고,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에 의해 가열되어 세탁 수조(3) 내에 순환된다. 순환되는 공기는, 통전된 2개의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에 의해 가열되므로,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4)에 의해 검출되는 드럼 출구 온도 TDO는, 비교적 큰 구배의 상승 커브를 그린다.
한편, 제습수 온도 센서(122)에 의해 검출되는 제습수 온도 TW는, 건조용 펌프(23)가 강운전되어 있고, 건조 풍로(20) 내에서 다량의 물이 낙하되어 있기 때문에, 및, 세탁 수조(3)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충분히 가열되어 있지 않는 것도 아울러,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
이 제어 상태는, 건조 최초로서 예를 들어 약 25분간 계속되고, 건조 공정 개시 후 약 25분을 경과할 때에, 블로어 모터(126)가 약운전으로부터 중(中)운전으로, 또한 강운전으로 절환되어, 건조 풍로(20) 내에 순환하는 공기의 순환량이 증가된다.
그리고 운전 개시 후, 25분부터 70분 동안은, 건조 초기로서, 건조 히터(A124), 건조 히터(B125)가 모두 계속해서 통전되고, 블로어 모터(126)가 강운전되는 한편, 건조용 펌프(23)의 구동이 정지된다. 건조용 펌프(23)의 구동이 정지되면, 건조 풍로(20) 내에 있어서는 순환되는 공기의 제습은 되지 않고, 공기는 건조 히터(A124), 건조 히터(B125)에 의해 가열되어,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 즉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1)에 의해 검출되는 드럼 출구 온도 TDO가 상승해 간다.
한편, 제습수 온도 센서(122)는, 건조용 펌프(23)가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습수의 온도가 아니라, 세탁 수조(3)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다습의 공기 중의 수분 온도를 주로 하여 검출하게 된다. 검출되는 제습수 온도 TW는, 공기가 가열되므로, 급속하게 상승한다. 계속해서, 건조 공정 개시 후 70분부터 130분까지의 동안은, 건조 중기로서, 다음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건조 히터(A124), 건조 히터(B125)가 모두 계속해서 통전되고, 블로어 모터(126)는 중운전으로 절환되어 순환하는 공기의 풍량이 다소 작게 되고, 건조 풍로(20) 내에서 열교환이 행해지도록, 건조용 펌프(23)가 약운전되어 탱크(11) 내의 물이 순환된다. 건조용 펌프(23)가 운전되어 건조 풍로(20) 내에 탱크(11)의 물이 제습수로서 공급됨으로써, 제습수 온도 센서(122)에서 검출되는 제습수 온도 TW는 단숨에 내려가, 그 후 서서히 상승한다. 이 이유는, 건조 풍로(20) 내에 있어서 물과 공기가 열교환하므로, 순환하는 공기의 열량을 물이 빼앗아 물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1)에서 검출되는 드럼 출구 온도 TDO는, 순환하는 공기가 열교환하므로, 건조 중기의 전반에 있어서는 열이 빼앗겨서 온도가 일단 떨어지지만, 제습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는 데에 맞추어 순환 공기의 온도도 서서히 상승한다.
건조 중기는, 건조 공정 개시 후 예를 들어 130분에서 끝나고, 계속해서 건조 후기의 운전으로 절환된다. 건조 후기의 운전에서, 건조 중기의 운전과 다른 점은, 건조용 펌프(23)가 강운전으로 절환되고, 블로어 모터(126)가 약운전으로 절환되는 것이다. 건조용 펌프(23)가 강운전되면, 건조 풍로(20) 내에 흐르는 제습수의 양이 증가되므로, 건조 후기로 되었을 때는, 제습수 온도 센서(122)에서 검출되는 제습수 온도 TW가 일단 떨어지지만, 제습수는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계속하므로, 그 온도는 서서히 상승한다. 한편, 건조 풍로(20)에 순환하는 공기는, 블로어 모터(126)가 약운전으로 절환되므로, 그 풍량이 적어지고,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에서 충분히 가열되므로,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도,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1)에 의해 검출되는 드럼 출구 온도 TDO는 거의 보합 상태로부터 서서히 상승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 중기 및 건조 후기의 각 기간 중에 있어서, 건조 히터(A124), 건조 히터(B125) 및 블로어 모터(126)는, 동기하여, 일정 기간(예를 들어 2~3분간) 통전이 중단된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 건조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 1개는, 건조 풍로(20) 내에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이며, 드럼 출구 온도 TDO는 소정의 고온으로 유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운전 중에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의 통전을 중단하면, 순환하는 공기 온도(드럼 출구 온도 TDO)는 저하하지만, 건조 히터(A124), 건조 히터(B125)의 통전 중단에 동기시켜 블로어 모터(126)를 정지시키면, 공기의 순환이 멈추고, 공기의 온도는 내려가는 일 없이, 거의 그 온도를 유지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 중기 및 건조 후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1회씩 건조 히터(A124), 건조 히터(B125) 및 블로어 모터(126)를 동기하여 수분간 정지시킨다고 하는 제어를 추가함으로써, 건조 성능을 거의 열화시키는 일 없이, 에너지 절약 운전을 실현하고 있다.
다음으로, 건조 공정의 종료 시기의 검지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건조 시간은, 건조시켜야 할 의류의 양이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시간에 의해 종료를 제어하지 않고,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온도를 기초로 한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검지하고 있다.
도 23에 있어서, 상방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온도 곡선 TDO+TW는, 드럼 출구 온도 TDO와 제습수 온도 TW와의 합계값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 공정 개시 후 10분으로, TDO+TW의 값을 제어부(120) 내의 메모리에 스토어한다. 이 온도를, 예를 들어 T1로 한다. 그리고, 건조 공정 개시로부터 예를 들어 120분이 경과된 이후에, TDO+TW를 모니터하고, 그 온도를 T2로 한다. 그리고, T2와 T1과의 온도차 TX=T2-T1이 미리 정해지는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건조 운전의 종료를 검지한다.
또한, 기판 온도 센서(123)에서 검출되는 기판 온도로서의 실온 TB는, 건조 공정 중에 있어서 거의 일정하며, 세탁 건조기(1)가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동작에 수반하는 온도 상승에 의해 완만하게 상승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에서는,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에 의해 가열된(열교환된) 순환 공기의 온도는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1)에 의해 드럼 출구 온도 TDO로서 검출되고, 또한, 순환 공기의 온도는, 간접적으로, 열교환하는 제습수 온도 TW로서 제습수 온도 센서(122)에 의해 검출되지만, 건조 공정의 진행과 함께 이들 2개의 온도 TDO, TW는 상승한다. 이로 인해, 드럼 출구 온도 TDO와 제습수 온도 TW와의 합계값 T2는, 건조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는 상승 폭이 크고, 이 합계값 T2가 어느 정도 상승하였는지를 검출함으로써, 비교적 고정밀도의 건조 종료 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참고로 설명하면, 종래는, 건조 운전의 종료 결정은 드럼 출구 온도 센서(121)의 검출 온도에만 의지하고 있었다.
건조 공정의 종료 시기가 검지되면, 도 23에서는, 건조 히터(B125)가 일단 오프되어 있지만, 이 오프는 행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온도차 TX=T2-T1에 기초하여 건조 종료 검지가 행해진 후, 일정 기간, 예를 들어 5분이 경과된 시점에서, 우선, 건조 히터(A124)의 통전이 정지되고, 이어서 그 수분 후에 건조 히터(B125)의 통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건조 히터(B125)의 통전 정지와 동시에 건조용 펌프(23)가 정지되고, 제2 배수 밸브(48)가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절환된다. 이 결과, 열교환을 위해 공급되어 있었던 탱크(11) 내의 물은 수로(49) 및 외부 배수 호스(50)를 통하여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건조 펌프(23)의 운전을, 제2 배수 밸브(48)가 열려진 후에도 조금 동안 계속하도록 하면, 탱크(11) 내의 물을 모두 배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의 통전이 정지된 후, 블로어 모터(126)가 강운전으로 절환되고, 건조 풍로(20) 내의 순환 풍량이 증가되어 쿨 다운 공정이 행해진다. 쿨 다운 공정은, 미리 정하는 시간(예를 들어 10분 정도) 행해진다. 쿨 다운 공정은, 세탁 수조(3) 내에 수용되어 있는 건조 후의 의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행해진다. 쿨 다운 공정 중에 있어서는, 급수 밸브(17)가 제어되고, 수로(39)로부터 건조 풍로(20) 내에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쿨 다운 공정에 있어서 순환되는 공기는 수돗물에 의해 열교환되어, 빠르게 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4는, 상술한 도 23에 나타낸 타이밍차트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며, 이 제어 흐름은 도 22에 도시한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다.
도 24를 참조하여,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되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제어 운전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운전이 개시되면, 제어부(120)에 의해, DD 모터(6), 건조용 펌프(68), 블로어 모터(126),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의 순으로 통전된다(스텝 S1). 그리고 운전 개시 후 예를 들어 25분이 경과될 때까지의 건조 최초의 시기인지의 여부의 판별이 이루어지고(스텝 S2), 건조 최초의 동안은 2개의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의 양쪽에 통전이 이루어져 히터가 강운전되고, 건조용 펌프(23)도 강운전되어 냉각수가 다량으로 순환되고, 그 반면, 블로어 모터(126)는 약운전으로 순환 풍량은 적게 된다(스텝 S3).
건조 최초가 끝나고, 건조 운전 개시 후 25분부터 70분 동안의 건조 초기에서는(스텝 S4에서 "예"), 2개의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에 통전되고, 건조용 펌프(23)가 정지되어 탱크(11)의 물의 순환이 정지되고, 블로어 모터(126)가 강운전된다(스텝 S5). 이에 의해, 세탁 수조(3) 내의 공기가 신속하게 가열되어 공기 온도가 단시간에 상승한다. 이 제어는, 건조에는 효율적이며, 건조 시간의 단축에 이어진다.
계속해서, 건조 운전 개시 후, 70분부터 130분의 건조 중기인지의 여부의 판별이 이루어지고(스텝 S6), 건조 중기의 경우, 건조 운전 개시로부터 120분이 경과되고 123분이 경과되기 전인지의 여부의 판별이 이루어진다(스텝 S7). 건조 운전 중기에 들어간 직후는, 스텝 S6→S7→S9로 제어는 진행되고, 2개의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가 통전되어 히터는 강운전, 건조용 펌프(23)는 약운전되어 재활용수의 순환은 적게 되고, 블로어 모터(126)는 중운전되어 순환하는 공기의 풍량은 중간 정도로 된다(스텝 S9). 이에 의해, 순환하는 공기를 신속하게 가열하여, 세탁 수조(3) 내의 공기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키고, 의류의 건조를 촉진시켜 건조 운전 시간의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
건조 중기의 도중에 있어서, 스텝 S7에서 "예"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2개의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의 통전이 중단됨과 함께 , 블로어 모터(126)의 운전도 동기하여 중단된다(스텝 S8). 이에 의해, 건조 풍로(20) 내의 공기 온도를 거의 저하시키지 않고, 건조는 진행하면서, 히터(124, 125) 및 블로어 모터(126)에의 통전을 중단하여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는 스텝 S10으로 진행하고, 쿨 다운 공정으로 된 것이 판별되면, 2개의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에의 통전이 정지되고, 건조용 펌프(23)의 운전이 정지되고, 급수 밸브(17)에 의해 수돗물이 제습수로서 건조 풍로(20)에 공급된다. 그리고 블로어 모터(126)는 강운전되어 순환 풍량이 증가되고, 세탁 수조(3) 내의 가열된 공기가 신속하게 순환되어 냉각되고, 그에 수반하여 세탁 수조(3) 내의 의류 온도가 저하된다(스텝 S11).
그리고 쿨 다운 공정이 소정 시간 계속되어 종료가 판별되면(스텝 S12), 건조 운전은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0에 있어서 쿨 다운 공정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2개의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에의 통전이 이루어짐과 함께, 건조용 펌프(23)가 강운전되어 다량의 물이 건조 풍로(20)에 공급된다. 또한 블로어 모터(126)는 약운전으로 절환되어, 순환하는 풍량이 적게 된다(스텝 S13). 건조용 펌프(23)에 의해 다량의 물이 건조 풍로(20)에 공급되면, 건조 풍로(20)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린트 등의 이물질이 세정되고, 건조 공정의 종반에 있어서 건조 풍로 내의 정화를 행할 수 있다.
도 25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제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5의 타이밍차트는,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에 의해 가열된 후의 공기 온도가, 가열부 출구 온도로 하여 상방부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그리고 그 하방에는 가열 히터(A124) 및 가열 히터(B125)의 통전 상태가 나타내어지고, 그 하방에 블로어 모터(126)의 구동 상태가 나타내어지고 있다.
또한, 가열부 출구 온도는, 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에 의한 온도 변화가 나타내어져 있는 것만으로, 순환되는 공기가 냉각수에 의해 열교환되는 것에 의한 온도 변화는 생략되어 있다.
건조 운전이 개시되고, 2개의 건조 히터(A124), 건조 히터(B125)가 시간차를 두고 통전되고, 블로어 모터(126)가 약운전되면, 가열부 출구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해 간다. 그리고 건조 초기에 있어서 블로어 모터(126)가 약운전으로부터 강운전으로 절환되어, 건조 풍로(20)에 순환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가되면, 일단 가열부 출구 온도는 내려가지만 운전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점차 상승해 간다. 도 25에 나타낸 타이밍차트에서는, 건조 중기로부터 건조 후기로 옮겨졌을 때에, 소정 시간, 예를 들어 수분~10분 정도, 2개의 건조 히터 중 한쪽의 건조 히터(B125)의 통전을 중단하고, 그에 맞추어 블로어 모터(126)를 약운전하고 있다. 건조 히터(B125)의 통전을 중단하고, 블로어 모터(126)의 운전을 약운전하는 것을 동기시키면,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부 출구의 공기 온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고, 건조 후기의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참고로 하여, 파선으로 건조 히터(B125)만을 통전 중단하고, 블로어 모터(126)를 계속해서 강운전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건조 히터(B125)의 통전만을 일시 중단하면, 가열부 출구 온도(건조 공기 온도)가 크게 내려간다. 공기 온도가 크게 내려가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건조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 실시 형태와 같이, 건조 히터를 약으로 하는 것과 동기시켜, 블로어 모터(126)를 약으로 절환하면, 건조를 위한 공기 온도를 떨어뜨리는 일 없이, 통전량을 줄여서 에너지 절약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6은, 건조 공정의 제어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26에서는, 가열부 출구 온도(건조 히터(A124) 및 건조 히터(B125)를 통과한 후의, 세탁 수조(3)에 공급되는 순환 공기의 온도)가 최상부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그 아래에는 건조 공정 중에 서서히 상승하는 기판 온도(실온) TB가 나타내어져 있다. 통상, 기판 온도는 실온과 비례하고 있고, 실온 +10° 정도이다. 기판 온도 TB는, 건조 운전 시간에 수반하여 완만하게 상승한다.
건조 운전 중은, 건조 풍로(20)에 순환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냉각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건조용 펌프(23)가 구동되어, 탱크(11)의 물이 순환 공급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 개시 시에는, 탱크(11)에 물이 고여져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도 겸하여, 건조용 펌프(23)는 강운전되고, 건조 초기에는, 가열부 출구 온도(순환풍의 온도)의 상승을 우선하기 위해, 건조용 펌프(23)의 구동은 정지되고, 건조 중기에서는, 순환되는 건조풍을 제습하기 위해, 건조용 펌프(23)는 약운전된다. 그리고 건조 후기로 되면, 건조용 펌프(23)가 강운전되고, 공기와의 열교환량을 증가시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6의 제어에서는, 건조 후기에 있어서, 기판 온도 TB가, 소정의 온도, 예를 들어 45℃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는, 건조 풍로에 순환시키는 건조풍을 제습하기 위해 공급되는 물을, 탱크(11)의 물 대신에,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판 온도 TB가 미리 정하는 온도 이상을 검지하고 있을 때에는, 건조용 펌프(23)의 구동을 정지하고, 급수 밸브(17)를 절환하여, 수돗물을 건조 풍로(20)에 공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건조 풍로(20)에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는 다소 내려가지만, 순환풍의 제습 효율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건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 세탁 건조기
3 : 세탁 수조
4 : 외조
5 : 드럼
11 : 탱크
15 : 필터 유닛
17 : 급수 밸브
19 : 오존 발생기
20 : 건조 풍로
21 : 블로어
23 : 건조용 펌프
25 : 순환 펌프
26 : 유턴부
27 : 기액 혼합기
48 : 제2 배수 밸브
57 : 제2 순환 수로
58 : 벤투리관
59 : 제3 순환 수로
77 : 조임부 유로
81 : 역지 밸브
83 : 필터 본체
85 : 조작 덮개
86 : 소여과 구멍
90 : 재이용수 여과면
101 : 커버
103 : 가동체
111 : 무게 중심 조정부
112 : 스토퍼 돌기
120 : 제어부
121 : 드럼 출구 온도 센서
122 : 제습수 온도 센서
123 : 기판 온도 센서
124, 125 : 건조 히터
126 : 블로어 모터
150 : 케이스

Claims (10)

  1. 세탁 수조와,
    이미 사용한 물을 저류하기 위한 탱크와,
    상기 세탁 수조의 외측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세탁 수조에 연결되어 있어서,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건조 풍로와,
    상기 건조 풍로에 설치되고, 건조 공정에서, 건조 풍로의 일단부로부터 세탁 수조 내의 공기를 빨아내고, 그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 풍로의 타단부로부터 세탁 수조 내로 되돌리기 위한 송풍 가열 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탱크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건조 풍로의 제1 위치에 접속된 공급로, 및, 일단부가 상기 건조 풍로의 제2 위치 또는 상기 세탁 수조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탱크에 접속된 회수로를 포함하는 탱크수 순환 수로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설치되고, 탱크의 물을 공급로를 통하여 퍼 내고, 제1 위치로부터 건조 풍로 내에 공급하고, 건조 풍로 내에 낙하시켜 제2 위치 또는 세탁 수조로부터 회수로를 통하여 탱크로 되돌리도록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건조 공정 전반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고, 건조 공정 후반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도록,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건조 운전 개시 시에, 탱크 내의 수온이 실온에 비해 소정 온도 이상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은, 건조 공정 전반이어도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을 건조 공정 후반과 동일한 정도로 많은 수량으로 되도록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세탁 건조기의 설치된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온도 센서가 미리 정하는 온도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켜, 수돗물을 상기 순환 풍로 내의 소정 위치에 공급하기 위한 수돗물 공급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건조 공정 말기의 쿨 다운 시에,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켜, 수돗물을 상기 건조 풍로 내의 소정 위치에 공급하기 위한 수돗물 공급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건조 공정의 도중에 있어서, 상기 송풍 가열 수단을 일정 기간 정지시키는 중단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풍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 풍로에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한 후의 순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공기 온도 센서와,
    상기 건조 풍로에 공급되고,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한 후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물 온도 센서와,
    상기 공기 온도 센서 및 물 온도 센서의 각 검출 온도의 합산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건조 종료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건조 공정 말기의 쿨 다운 시에, 상기 탱크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풍로에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온도 검출 수단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가열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8. 삭제
  9. 세탁 수조와,
    복수의 헹굼 공정 중 1개의 헹굼 공정에서 사용한 물을 저류하기 위한 소(小)내용적을 갖는 탱크와,
    상기 세탁 수조의 외측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세탁 수조에 연결되어 있어서,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건조 풍로와,
    상기 건조 풍로에 설치되고, 건조 공정에서, 건조 풍로의 일단부로부터 세탁 수조 내의 공기를 빨아내고, 그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 풍로의 타단부로부터 세탁 수조 내로 되돌리기 위한 송풍 가열 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탱크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건조 풍로의 제1 위치에 접속된 공급로, 및, 일단부가 상기 건조 풍로의 제2 위치 또는 상기 세탁 수조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탱크에 접속된 회수로를 포함하는 탱크수 순환 수로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설치되고, 탱크의 물을 공급로를 통하여 퍼 내고, 제1 위치로부터 건조 풍로 내에 공급하고, 건조 풍로 내에 낙하시켜 제2 위치 또는 세탁 수조로부터 회수로를 통하여 탱크로 되돌리도록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건조 공정 전반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고, 건조 공정 후반은,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도록,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건조 운전 개시 시에, 탱크 내의 수온이 실온에 비해 소정 온도 이상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은, 건조 공정 전반이어도 상기 탱크수 순환 수로에 순환하는 물의 양을 건조 공정 후반과 동일한 정도로 많은 수량으로 되도록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0. 삭제
KR1020107011682A 2007-11-28 2008-11-28 세탁 건조기 KR101177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7038 2007-11-28
JP2007307038A JP5107684B2 (ja) 2007-11-28 2007-11-28 洗濯乾燥機
PCT/JP2008/071732 WO2009069788A1 (ja) 2007-11-28 2008-11-28 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861A KR20100089861A (ko) 2010-08-12
KR101177988B1 true KR101177988B1 (ko) 2012-08-28

Family

ID=4067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682A KR101177988B1 (ko) 2007-11-28 2008-11-28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11324B2 (ko)
EP (1) EP2216436A1 (ko)
JP (1) JP5107684B2 (ko)
KR (1) KR101177988B1 (ko)
CN (1) CN101874132B (ko)
TW (1) TWI356107B (ko)
WO (1) WO2009069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US7941936B2 (en) * 2007-05-24 2011-05-17 Ingenious Designs Llc Garment drying apparatus
JP5799267B2 (ja) * 2011-03-30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US20120292008A1 (en) * 2011-05-17 2012-11-22 Michael Goldberg Integrated energy recovery systems
JP6357453B2 (ja) * 2015-08-19 2018-07-1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
EP3192912A1 (en) 2016-01-14 2017-07-19 BSH Hausgeräte GmbH Washer-dryer with a cooling water circuit
CN109487481B (zh) * 2017-09-13 2021-07-16 青岛胶州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
CN110359253B (zh) * 2018-04-11 2022-03-15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和衣物处理设备
CN110359254B (zh) * 2018-04-11 2022-03-15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和衣物处理设备
US11319659B2 (en) 2018-12-28 2022-05-03 Whirlpool Corporation Button trap and sieve for a laundry appliance
JP7334894B2 (ja) * 2018-12-28 2023-08-29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機
KR20220021480A (ko) 2019-06-18 2022-02-22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세탁기 및 세탁기 작동 방법
CN111270467B (zh) * 2020-02-29 2021-03-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及控制方法
CN113494002A (zh) 2020-04-01 2021-10-1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涤设备的进水装置及洗涤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065A (ja) * 2003-01-07 2004-07-29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洗濯乾燥機
JP2007190139A (ja) * 2006-01-18 2007-08-0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乾燥機
JP2007209419A (ja) * 2006-02-08 2007-08-23 Sanyo Electric Co Ltd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9816A (en) * 1959-08-18 jacobsen
US2328256A (en) * 1941-05-13 1943-08-31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Laundry apparatus
US2434476A (en) * 1946-04-19 1948-01-13 Ind Patent Corp Combined dryer and automatic washer
US2555268A (en) * 1946-05-31 1951-05-29 Avco Mfg Corp Textile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US2607209A (en) * 1948-06-09 1952-08-19 Bendix Home Appliances Inc Combination washer and drier
US2892335A (en) * 1956-04-19 1959-06-30 Gen Electric Laundry machin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system
FR1190034A (fr) * 1956-11-06 1959-10-08 Hoover Ltd Perfectionnements aux machines à laver
US3006176A (en) * 1960-06-03 1961-10-31 Borg Warner Combination washer-dryer
US3121000A (en) * 1960-11-09 1964-02-11 Philco Corp Laundry dryer or washer-dryer
US3402576A (en) * 1966-02-28 1968-09-24 Michael R. Krupsky Combination clothes washer, dryer, dishwasher, drycleaner, and garment appearance-finishing machine
US3575193A (en) * 1968-05-20 1971-04-20 Whirlpool Co Total sensing combination washer-dryer
US4765162A (en) * 1987-08-10 1988-08-23 Raymond Ouellette Washer-dryer apparatus
IT1220748B (it) * 1988-05-04 1990-06-21 Zanussi A Spa Industrie Macchina lavabiancheria convertibile in macchina combinata per il lavaggio e l'asciugatura della biancheria
JP2749371B2 (ja) * 1989-05-20 1998-05-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全自動洗濯・乾燥機
US5887456A (en) * 1995-08-30 1999-03-30 Sharp Kabushiki Kaisha Drum type drying/washing machine
SE521337C2 (sv) * 1999-08-09 2003-10-21 Electrolux Ab Textiltvättmaskin med ångtorkning
JP3517618B2 (ja) * 1999-10-21 2004-04-12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2035492A (ja) 2000-07-27 2002-02-05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JP2003236290A (ja) 2002-02-20 2003-08-26 Toshiba Corp 洗濯機
US7380423B1 (en) * 2002-05-03 2008-06-03 Musone John P Combined washer dryer
TWI294473B (en) * 2002-10-16 2008-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0510680B1 (ko) * 2003-03-31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100504501B1 (ko) * 2003-04-14 2005-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US7168274B2 (en) * 2003-05-05 2007-01-30 American Dryer Corporation Combination washer/dryer having common heat source
JP4030523B2 (ja) * 2004-05-12 2008-01-09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100595555B1 (ko) * 2004-05-13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세탁기 및 그 온도보정방법
JP4293114B2 (ja) * 2004-11-09 2009-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3847318B2 (ja) * 2005-02-24 2006-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4439417B2 (ja) 2005-03-11 2010-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乾燥機
WO2006098571A1 (en) * 2005-03-16 2006-09-2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ing ste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841739Y (zh) * 2005-06-30 2006-11-29 海尔集团公司 冷凝干衣机
KR100925908B1 (ko) * 2005-07-28 2009-11-0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드럼식 건조 세탁기
US7921578B2 (en) * 2005-12-30 2011-04-12 Whirlpool Corporation Nebulizer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JP4711839B2 (ja) * 2006-01-30 2011-06-29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100692582B1 (ko) * 2006-03-24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 건조방법
US7707859B2 (en) * 2006-08-15 2010-05-04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841219B2 (en) * 2006-08-15 2010-11-30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utilizing steam
US7681418B2 (en) * 2006-08-15 2010-03-23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ing a temperature sensor
JP4889545B2 (ja) * 2007-03-30 2012-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乾燥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洗濯乾燥機
EP2067537A3 (de) * 2007-05-29 2011-08-31 Miele & Cie. KG Einrichtung zur Erzeugung von Dampf in einer Wäschebehandlungsmaschine und Wäschebehandlungs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065A (ja) * 2003-01-07 2004-07-29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洗濯乾燥機
JP2007190139A (ja) * 2006-01-18 2007-08-0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乾燥機
JP2007209419A (ja) * 2006-02-08 2007-08-23 Sanyo Electric Co Ltd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1324B2 (en) 2013-08-20
JP5107684B2 (ja) 2012-12-26
TWI356107B (en) 2012-01-11
EP2216436A1 (en) 2010-08-11
KR20100089861A (ko) 2010-08-12
CN101874132A (zh) 2010-10-27
US20100251777A1 (en) 2010-10-07
JP2009125537A (ja) 2009-06-11
TW200938686A (en) 2009-09-16
CN101874132B (zh) 2012-05-23
WO2009069788A1 (ja)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988B1 (ko) 세탁 건조기
KR20100088146A (ko) 세탁 건조기
TWI360596B (ko)
KR101339969B1 (ko) 드럼식 세탁기
JP2009131401A (ja) 洗濯機
KR20100083852A (ko) 세탁기
JP5053976B2 (ja) 洗濯乾燥機
JP4644554B2 (ja) 洗濯機
JPH11276791A (ja) 洗濯機の排水装置
CN112912553B (zh) 洗干一体机
CN112912560B (zh) 洗干一体机
WO2020103753A1 (zh) 洗干一体机
JP2009225871A (ja) 洗濯機
JP2009131399A (ja) 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洗濯機
KR20060103982A (ko) 드럼 세탁기의 물순환장치용 필터구조
JP2017055926A (ja) 洗濯機
JP2006149788A (ja) 洗濯機
JP2020081055A (ja) 洗濯乾燥機
CN112912552B (zh) 洗干一体机
JP3432122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2070976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7252679A (ja) 洗濯乾燥機
JP2020081054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