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403B1 - 전력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403B1
KR101060403B1 KR1020080129414A KR20080129414A KR101060403B1 KR 101060403 B1 KR101060403 B1 KR 101060403B1 KR 1020080129414 A KR1020080129414 A KR 1020080129414A KR 20080129414 A KR20080129414 A KR 20080129414A KR 101060403 B1 KR101060403 B1 KR 101060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nvelope signal
envelope
low pass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085A (ko
Inventor
히로요시 이시까와
노부까즈 후다바
하지메 하마다
유이찌 우쯔노미야
가즈오 나가따니
도루 마니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 기기나 무선 중계 장치 등의 송신부의 전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부의 전력 이용 효율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송신 신호의 포락선의 상승과 하강에서, 전력 증폭기의 전압 조정 속도를 바꾸어, 포락선의 상승에서는 저속도로 조정하고, 포락선의 하강에서는 고속도로 조정하여, 송신부의 전력 이용 효율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다.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을 판정하는 판정 회로와, 이 판정 회로의 판정 결과가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을 검출할 때, 저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를 통과한 엔벨로프 신호를 선택하고, 엔벨로프 신호의 하강을 검출할 때, 고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를 통과한 엔벨로프 신호를 선택하여,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을 저속 조정하고, 엔벨로프 신호의 하강을 고속 조정하여, 스위칭 앰프인 전압 공급 회로의 구동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구동 전압을 전력 증폭기에 공급하는 전력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80129414
전력 증폭 장치, 엔벨로프 신호, 창 함수, 승산 회로, 유지 회로, 로우패스 필터

Description

전력 증폭 장치{POWER AMPL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단말 기기나 무선 중계 장치 등의 송신부에 사용되고, 특히 송신부의 전력 이용 효율의 개선을 도모하는 전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 기기나 무선 중계 장치 등의 송신부에서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의 전력 이용 효율을 개선하는 기술 중 하나로서, 엔벨로프 트랙킹법(ET: Envelope Tracking)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송신 신호의 포락선 변동에 따라서 드레인 전압, 또는 콜렉터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증폭기의 전력 이용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다.
도 12는 상기 엔벨로프 트랙킹법을 이용한 전력 증폭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전력 증폭 장치(70)는 엔벨로프 연산부(71), 전원 회로(72), 전력 증폭기(73)로 구성되고, 엔벨로프 연산부(71)는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엔벨로프(포락선) 정보를 연산하고, 이 엔벨로프 정보를 전원 회로(72)에 공급한다. 전원 회로(72)는, 예를 들면 전력 변환 효율이 높은 스위칭 앰프로 구성되고, 엔벨로프 연산부(71)로부터의 출력을 증폭하여 드레인 전압을 생성하고, 전력 증폭기(73)에 공급하여, 송신 신호를 증폭한다.
그러나, 상기 전력 증폭기(73)에서, 전원 회로(72)에 사용하는 스위칭 앰프는, 송신 신호의 엔벨로프 정보의 변화에 추종할 만큼의 충분한 변환 속도를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벨로프 연산부(71)와 전원 회로(72) 사이에, 로우패스 필터(LPF)로 구성되는 전압 제어 속도 조정부(74)를 설치하고, 엔벨로프 신호에 대역 제한을 가하여, 신호의 변화를 완만하게 하여 전원 회로(72)에 공급하고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반송파 입력부(75)는, 송신 신호에 반송파를 실어, 무선 주파수대로 업 컨버트하는 회로이다.
도 14는 상기 도 13에 도시하는 종래 회로의 파형도를 도시하며, 신호 변화가 크고, 전원 회로(72)에서의 추종이 불가능한 투 톤 신호를 송신 신호의 예로서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a는 엔벨로프 연산부(71)로부터 출력되는 엔벨로프 신호(투 톤 신호)를 나타내고, 이 엔벨로프 신호는 전압 제어 속도 조정부(74)에 의해 대역 제한이 행해져, 변화가 완만한 출력 신호 b로 조정된다. 이 출력 신호 b는, 전술한 전원 회로(스위칭 앰프)(72)에 의해 증폭 처리된 경우, 상기 속도 조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전원 회로(72)의 증폭 처리에 충분히 추종할 수 있고, 출력 신호 b와 거의 파형이 일치하는 출력 전압 c를 얻을 수 있다. 이 출력 전압 c는, 드레인 전압으로서 전력 증폭기(73)에 공급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은,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사다리꼴 형상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 및 하강을 임의로 파형 제어하고, 송신 출력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의 확대를 소정의 폭으로 제어하는 발명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05-316012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전압 제어 속도 조정부(74)에 의한 엔벨로프 신호의 저속화는, 스위칭 앰프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이용 효율이 낮은 전력 증폭 장치로 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상기 전원 회로(스위칭 앰프)(72)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변조기(77), 전력 스위치(78), 및 LC 필터(79)로 구성되어 있다. 엔벨로프 신호는, 우선 변조기(77)에 입력되어 펄스 변조되고, 전력 스위치(78)에 의해 증폭되며, 또한 LC 필터(79)에 의해 평활화되어, 전력 증폭기(73)의 드레인 전압으로서 생성된다.
도 16은, 상기 스위칭 앰프에서의 신호 파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d는 변조기(77)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로서, 변조기(77)에 의해 펄스 변조되어,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형 파형으로 된다. 또한, f는 LC 필터(79)에 의해 평활화된 출력 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 d와 출력 신호 f를 비교하면, 신호의 상승에서는 입력 신호 d와 출력 신호 f의 대소 관계는 입력>출력으로 된다. 한편, 신호의 하강에서는 이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해 엔벨로프 신호를 저속화한 경우, LC 필터(79)에 의해 생기는 신호 추종 속도의 저하는, 신호의 상승에 대해서만 개선하면 되고, 출력 신호의 하강에 대해서는 저속화할 필요가 없다. 즉, 신호의 하강에 대해서도 저속화를 행한 경우, 쓸데없는 전력 소비로 되어 전력의 이용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과 하강에서, 엔벨로프 신호의 조정 속도를 바꾸어, 엔벨로프 신호의 하강에서는 신호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아, 전력 증폭 장치의 전력 이용 효율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이 판정 결과가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을 검출할 때, 저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를 통과한 엔벨로프 신호를 선택하고, 엔벨로프 신호의 하강을 검출할 때, 고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를 통과한 엔벨로프 신호를 선택하여,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을 저속 조정하고, 엔벨로프 신호의 하강을 고속 조정하여, 스위칭 앰프인 전압 공급 수단에 의해 증폭한 전압을 드레인 전압으로서 전력 증폭기에 공급하는 전력 증폭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압 공급 수단의 구동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구동 전압을 전력 증폭기에 공급할 수 있어, 전력 이용 효율의 개선을 도모한다.
또한, 상기 고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 대신에,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를 사용하고, 저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 대신에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엔벨로프 신호의 하강을 검출할 때,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의 출력을 선택하고,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을 검출할 때,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의 출력을 선택하여, 전압 공급 수단의 구동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구동 전압을 전력 증폭기에 공급한다.
또한, 창 함수 처리 회로를 사용하고, 창 함수 계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엔벨로프 신호에 대한 속도 조정을 행하여, 전압 공급 수단의 구동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구동 전압을 전력 증폭기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과 하강에서, 전압 제어 조정부에서의 조정 속도를 바꾸어, 엔벨로프 신호의 하강에서는 조정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아, 전력 증폭기의 전력 이용 효율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증폭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에서, 전력 증폭 장치(1)는, 엔벨로프 연산부(2), 전압 제어 조정부(3), 전원 회로(4), 전력 증폭기(5), 반송파 입력부(6),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회로(이하, D/A 변환 회로로 나타냄)(7, 8)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전력 증폭 장치(1)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의 송신부나 무선 중계국의 송신부에 사용되며, 상기 송신 신호에는 음성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엔벨로프 연산부(2)는 상기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포락선 성분을 연산하고, 전압 제어 조정부(3)에 출력한다. 전압 제어 조정부(3)는 로우패스 필터(LPF)(10, 11), 상승/하강 판정 회로(12), 선택 회로(13), 불연속 제거 회로(14)로 구성되고, 로우패스 필터(LPF)(10)는 컷오프 주파수가 높은 (고속용) 로우패스 필터이며, 로 우패스 필터(LPF)(11)는 컷오프 주파수가 낮은 (저속용) 로우패스 필터이다.
또한, 상승/하강 판정 회로(12)는 입력되는 엔벨로프 신호의 골, 또는 산을 검출하고, 예를 들면 엔벨로프 신호의 골을 검출한 경우,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상승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엔벨로프 신호의 산을 검출한 경우,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하강한다고 판정한다.
선택 회로(13)는, 상기 상승/하강 판정 회로(12)로부터의 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로우패스 필터(LPF)(10 또는 11)의 출력을 선택하고, 선택한 출력을 불연속 제거 회로(14)에 출력한다. 불연속 제거 회로(14)는, 신호 절환 시에 발생하는 불연속성을 제거하는 회로이며, 예를 들면 로우패스 필터(LPF)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송파 입력부(6)는 송신 신호에 반송파를 공급하는 회로이며, D/A 변환 회로(7)는 전압 제어 조정부(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D/A 변환 회로(8)는 송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전원 회로(4)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위칭 앰프이며, 변조기, 전력 스위치, 및 LC 필터로 구성되고, 전압 제어 조정부(3)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펄스 변조하고, 전력 스위치에 의해 증폭한 후, LC 필터를 통과하여 드레인 전압을 생성하고, 전력 증폭기(5)에 공급한다.
도 2는 전압 제어 조정부(3)에서의 엔벨로프 신호의 속도 조정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우선, 전술한 엔벨로프 연산부(2)에 의해 연산된 엔벨로프 신호는, 로우패스 필터(LPF)(10, 11), 및 상승/하강 판정 회로(12)에 입력된다.
상승/하강 판정 회로(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벨로프 신호의 골(도 2에 나타내는 I)을 검출하면,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상승한다고 판정하고, 로우패스 필터(LPF)(11)를 선택할 판정 신호를 선택 회로(13)에 출력한다. 또한, 로우패스 필터(LPF)(11)의 출력에는 지연 회로(11a)가 개재하여 장착되고, 로우패스 필터(LPF)(11)의 출력은 소정 시간 T만큼 지연되어 선택 회로(13)에 출력된다. 따라서, 이 경우 로우패스 필터(LPF)(11)에 의해,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 h가 저속 조정되어, 도 2에 나타내는 i로 조정되고, 선택 회로(13)로부터 불연속 제거 회로(14)에 출력된다.
한편, 상승/하강 판정 회로(12)가 엔벨로프 신호의 산(도 2에 나타내는 II)을 검출하면,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하강한다고 판정하고, 로우패스 필터(LPF)(10)를 선택할 판정 신호를 선택 회로(13)에 출력한다. 또한, 이 로우패스 필터(LPF)(10)의 출력에도 지연 회로(10a)가 개재하여 장착되고, 로우패스 필터(LPF)(10)의 출력은 소정 시간 T만큼 지연되어 선택 회로(13)에 출력된다. 이 때 신호 회로에 입력되는 판정 신호도 T만큼 지연되어 변화시킨다. 따라서, 엔벨로프 신호의 산의 타이밍에서 선택 회로(13)의 출력은 로우패스 필터(LPF)(10)의 신호로 절환되어, 불연속 제거 회로(14)에 공급된다.
불연속 제거 회로(14)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된 엔벨로프 신호의 불연속성을 제거하고, D/A 변환 회로(7)를 통하여 전원 회로(4)에 조정된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회로(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신호를 펄스 변조하고, 전력 스위치에 의해 증폭한 후, LC 필터에 공급한다.
도 3은 LC 필터를 통과할 때의 신호 파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전술한 바 와 같이 LC 필터를 통과할 때, 도 3의 k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이 지연된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LC 필터에 공급되는 신호는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된 신호 파형이다. 즉, 본 예의 경우, 입력되는 신호의 상승이 빨라, 전술한 도 2의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르게 상승한 신호이며, LC 필터를 통과한 후, 도 2에 나타내는 j의 출력 파형으로 된다.
따라서, 전압 제어 조정부(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스위칭 앰프에 의해 증폭되고, 전력 증폭기(5)의 드레인에는 j의 전압 파형을 갖는 전압이 공급된다. 이 드레인 전압은, 하강이 엔벨로프 신호에 추종한 전압이며, 쓸데없는 소비 전력을 없애, 전력 이용 효율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회로도로서, 특히 전압 제어 조정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에서, 전압 제어 조정부 이외의 회로 구성은 전술한 도 1과 동일하며, 구성 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의 전압 제어 조정부(16)는, 창 함수 회로이며, 플립플롭(FF), 창 함수 계수 승산부(17), 및 최대값을 취득하는 최대값 취득부(도)로 구성되어 있다. 플립플롭(FF)에는, 엔벨로프 연산부(2)에서 연산된 엔벨로프 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입력되고, 예를 들면 N클럭분의 엔벨로프 신호가 유지된다. 승산부(17)는, 대응하는 플립플롭(FF)의 출력에 창 함수 계수 C1∼C5를 승산하고, 최대값 취득부(18)에 공급한다. 최대값 취득부(18)는 N개(예를 들면, 도 4에 나타 내는 예에서는 5개)의 승산 결과 중에서 최대값을 선택하고, D/A 변환 회로(7)를 통하여, 전술한 전원 회로(4)에 출력한다.
도 5는 상기 승산부(17)에 의해 승산 처리가 행해지는 창 함수 계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예는 5탭의 창 함수 계수(C1∼C5)를 사용하며, 창 함수 처리에 의해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을 빠르게 상승시키고, 하강에 대해서는 엔벨로프 신호의 상태를 유지하여 전원 회로(4)에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전압 제어 조정부(16)에 의한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창 함수 계수를 좌우 비대칭으로 하고, 특히 좌측의 창 함수를 우측의 창 함수보다 크게 설정하여, 신호의 상승을 빠르게 하고, 하강에서 엔벨로프 신호의 상태를 유지하여, 신호의 하강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없애, 전력 증폭 장치의 전력 이용 효율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전력 증폭 장치(30)의 회로도로서, 엔벨로프 연산부(2), 전압 제어 조정부(31), 전원 회로(4), 전력 증폭기(5), 반송파 입력부(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전력 증폭 장치(30)는, 전술한 도 1에 도시하는 장치에 대하여, 전압 제어 조정부(31)의 구성이 서로 다르고, 다른 회로는 전술한 도 1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전압 제어 조정부(31)의 구성을 설명하고, 다른 회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압 제어 조정부(31)는 상승/하강 판정 회로(32),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 로(33),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 및 선택 회로(3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승/하강 판정 회로(32)는, 전술한 도 1에서 설명한 상승/하강 판정 회로(12)와 동일한 구성이며, 엔벨로프 신호의 골과 산을 검출하고, 엔벨로프 신호의 골을 검출한 경우,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상승한다고 판정하고, 엔벨로프 신호의 산을 검출한 경우,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하강한다고 판정하여,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선택 회로(35)에 출력한다.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3), 및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회로 구성이지만, 래치 회로의 수나 사용하는 샘플링 클럭수가 서로 다르다. 여기에서는,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는, 래치 회로(36a∼36d), 최대값 취득 회로(37), 1/5 분주 회로(38), 및 최대값 유지 회로(3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 회로(36a∼36d)의 클럭 입력 단자(CLK), 및 1/5 분주 회로(38)에는, 샘플링 클럭이 입력되고, 데이터 단자(D)에 입력되는 엔벨로프 신호를 샘플링 클럭에 동기하여 출력 단자(Q)로부터 순차적으로 우 인접의 래치 회로에 전송한다.
또한, 최대값 취득 회로(37)는 래치 회로(36a∼36d)에 래치된 데이터 중에서 최대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최대값 유지 회로(39)에 출력한다. 최대값 유지 회로(39)는, 최대값 취득 회로(37)에 의해 취득한 상기 최대값의 데이터를 D 단자로부터 입력받고, 1/5 분주 회로(38)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Q 단자로부터 최대값의 데이터를 전술한 선택 회로(35)에 출력한다.
도 8은 전압 제어 조정부(31)에서의 엔벨로프 신호의 속도 조정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엔벨로프 연산 회로(2)에 의해 연산된 엔벨로프 신호는 상승/하강 판정 회로(32)에 입력됨과 함께,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3), 및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에 입력된다.
상승/하강 판정 회로(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벨로프 신호의 골(도 8에 나타내는 I)을 검출하면,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상승한다고 판정하고,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를 선택할 판정 신호를 선택 회로(35)에 출력한다. 또한,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의 출력에는 지연 회로(34a)가 개재하여 장착되고,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의 출력은 소정 시간 T만큼 지연되어 선택 회로(35)에 출력된다.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5회의 샘플링 클럭의 출력간에서의 최대값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따라서,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에서, 상기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를 사용함으로써,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 구간을 저속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승/하강 판정 회로(32)가 엔벨로프 신호의 산(도 8에 나타내는 II)을 검출하면,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하강한다고 판정하고,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3)를 선택할 판정 신호를 선택 회로(35)에 출력한다. 또한,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3)의 출력에도 지연 회로(33a)가 개재하여 장착되고,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3)의 출력은 소정 시간 T만큼 지연되어 선택 회로(35)에 출력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2회, 또는 3회의 샘플링 클럭의 출력간의 최대값의 데이터이며,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좁은 샘플링 간격 내의 최대값의 데이터가 얻어 진다. 따라서, 엔벨로프 신호의 하강에서, 상기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3)를 사용함으로써, 엔벨로프 신호의 하강 구간을 고속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속도 조정된 엔벨로프 신호는, D/A 변환 회로(7)를 통하여 전원 회로(4)에 출력되고, 전원 회로(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 앰프이며, 입력 신호를 펄스 변조한 후, 전력 스위치에 의해 증폭하여, LC 필터에 공급한다. 그리고, LC 필터를 통과할 때의 동작 특성에 대응하여, 최적의 드레인 전압으로 되어, 전력 증폭기(5)에 공급된다. 즉, 드레인 전압의 하강은, 엔벨로프 신호에 정확하게 추종한 전압이며, 전력 증폭기(5)에서의 전력의 낭비를 없애, 전력 이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도 7의 회로를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로서 설명하고,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3)를 2회 또는 3회의 샘플링 클럭간의 최대 데이터를 취득하는 회로(이 경우,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3)는 1 또는 2개의 래치 회로, 1/2 또는 1/3 분주 회로 등으로 구성되는 회로)로 설명하였지만, 도 7의 회로를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3)로 하고,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를 6회 이상의 샘플링 클럭간의 최대 데이터를 취득하는 회로(이 경우,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34)는 6개 이상의 래치 회로 등으로 구성되는 회로)로 하여도 된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전력 증폭 장치(40)의 회로도로서, 엔벨로프 연산부(2), 전압 제어 조정부(41), 전원 회로(4), 전력 증폭기(5)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전력 증폭 장치(40)는, 전술한 도 1에 도시하는 장치에 대하여, 전압 제어 조정부(41)의 구성이 서로 다르고, 다른 회로는 전술한 도 1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전압 제어 속도 조정부(41)의 구성을 설명하고, 다른 회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압 제어 조정부(41)는, 로우패스 필터(LPF)(42, 43), 선택 회로(44), 불연속 제거 회로(45)로 구성되고, 또한 경사각 θ 계산부(46), 선택 신호 생성부(4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로우패스 필터(LPF)(42)는 컷오프 주파수가 높은 (고속용) 로우패스 필터이며, 로우패스 필터(LPF)(43)는 컷오프 주파수가 낮은 (저속용) 로우패스 필터이다.
경사각 θ 계산부(46)는, 입력되는 엔벨로프 신호의 파형 형상으로부터 경사각 θ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축(X축)에서 나타내는 시간과 종축(Y축)에서 나타내는 전압값(진폭값)으로부터 경사각 θ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경사각 θ 계산부(46)는 도시하지 않은 시계 회로로부터 시간 정보를 취득함과 함께, 입력되는 엔벨로프 신호의 골로부터의 피크값까지의 전압(진폭)을 계측하여, 경사각 θ를 계산한다.
경사각 θ 계산부(46)는, 계측한 경사각 θ의 데이터를 선택 신호 생성부(47)에 출력한다. 선택 신호 생성부(47)에서는 입력되는 경사각 θ의 데이터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경사각 θ의 데이터가 임계값의 데이터보다 작은 경우, 후단의 전원 회로(4)가 충분히 추종할 수 있는 엔벨로프 신호의 변화라고 판단하고, 고속용의 로우패스 필터(LPF)(42)의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경사각 θ의 데이터가 임계값의 데이터보다 큰 경우, 후단의 전원 회로(4)를 추종할 수 있는 엔벨로프 신호의 변화를 초과한다고 판단하고, 저속용의 로우패스 필터(LPF)(43)의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엔벨로프 신호의 경사각 θ에 대응하여 적절한 드레인 전압의 생성을 행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엔벨로프 신호에 추종한 드레인 전압에 의해, 전력 증폭기(5)의 구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경사각 θ의 데이터가 임계값의 데이터보다 큰 경우, 저속용의 로우패스 필터(LPF)(43)를 선택하는 구성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상승/하강 판정 회로를 더 설치하고, 경사각 θ의 데이터가 임계값의 데이터보다 큰 경우, 상승/하강 판정 회로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로우패스 필터(LPF)(42 또는 43)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전력 증폭 장치(50)의 회로도로서, 엔벨로프 연산부(2), 전압 제어 조정부(51), 전원 회로(4), 전력 증폭기(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전력 증폭 장치(50)는, 전술한 도 1에 도시하는 장치에 대하여, 전압 제어 조정부(51)의 구성이 서로 다르고, 다른 회로는 전술한 도 1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전압 제어 조정부(51)의 구성을 설명하고, 다른 회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압 제어 조정부(51)는, 로우패스 필터(LPF)(52, 53), 상승/하강 판정 회 로(54), 선택 회로(55), 불연속 제거 회로(56)로 구성되고, 또한 엔벨로프 피크 판정 회로(57), 로우패스 필터(58), 차분 검출 회로(59), 및 선택 신호 생성부(6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로우패스 필터(LPF)(52)는 컷오프 주파수가 높은 (고속용) 로우패스 필터이며, 로우패스 필터(LPF)(53)는 컷오프 주파수가 낮은 (저속용) 로우패스 필터이다. 또한, 상승/하강 판정 회로(54)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엔벨로프 신호의 골을 검출한 경우,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상승한다고 판정하고, 엔벨로프 신호의 산을 검출한 경우,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하강한다고 판정하여, 대응하는 판정 신호를 선택 신호 생성부(60)에 출력한다.
엔벨로프 피크 판정 회로(57)는 엔벨로프 신호의 피크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선택 신호 생성부(60)에 출력한다. 차분 검출 회로(59)는 엔벨로프 신호와 로우패스 필터(58)의 출력 파형을 비교하고, 차분을 검출하여 선택 신호 생성부(60)에 출력한다.
선택 신호 생성부(60)에서는 엔벨로프 피크 판정 회로(57)로부터 출력되는 피크 판정 신호가 공급된 타이밍에서, 차분 검출 회로(59)로부터 출력되는 차분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선택 신호 생성부(60)는, 차분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승/하강 판정 회로(54)로부터 출력되는 판정 신호를 선택 신호로 하여 선택 회로(55)에 출력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A는 차분 검출 회로(59)에서의 회로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며,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파형 n은 엔벨로프 연산부(2)로부터 출력되는 엔벨로프 신호의 파형이고, 파형 p는 로우패스 필터(58)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이다. 차분 검출 회로(59)에서는 엔벨로프 파형이 피크에 도달하는 타이밍에서 파형 n과 p의 차분을 검출하고, 그 차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승/하강 판정 회로(54)로부터 출력되는 판정 신호를 선택 회로(55)에 출력한다.
즉, 이 경우, 엔벨로프 신호의 변화가 심한 경우이며, 이 경우에는 상승/하강 판정 회로(54)로부터 출력되는 판정 신호에 따라서 로우패스 필터(LPF)(52 또는 53)를 선택하고, 선택한 로우패스 필터(LPF)(52 또는 53)에 의해 엔벨로프 신호의 속도 조정을 행한다. 이 속도 조정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엔벨로프 신호의 골을 검출하면,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상승한다고 판정하고, 로우패스 필터(LPF)(53)를 선택하여 엔벨로프 신호를 저속 조정한다. 한편, 상승/하강 판정 회로(54)가 엔벨로프 신호의 산을 검출하면, 이후 엔벨로프 신호는 하강한다고 판정하고, 로우패스 필터(LPF)(52)를 선택하여 엔벨로프 신호를 고속 조정한다.
한편, 차분 검출 회로(59)에 의해 검출된 차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선택 신호 생성부(6O)는 선택 회로(55)에 대하여 로우패스 필터(LPF)(52)를 선택할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엔벨로프 신호의 변화는 완만하며, 컷오프 주파수가 높은 (고속용) 로우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엔벨로프 신호를 조정하고, 전원 회로(4)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엔벨로프 신호의 변화가 심할 때에는,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을 저속 조정하고, 하강을 고속 조정함으로써 전력 이용 효율을 도모하고, 엔벨로프 신호의 변화가 완만할 때에는, 엔벨로프 신호를 고속 조정하여 전력 이용 효율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전력 증폭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전압 제어 조정부에서의 엔벨로프 신호의 속도 조정을 설명하는 파형도.
도 3은 LC 필터를 통과할 때의 엔벨로프 신호의 파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 형태 2를 설명하는 회로도로서, 특히 전압 제어 속도 조정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창 계수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실시 형태 3을 설명하는 전력 증폭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 형태 3을 설명하는 파형도.
도 9는 실시 형태 4를 설명하는 전력 증폭 장치의 구성도.
도 10은 실시 형태 4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
도 11은 실시 형태 5를 설명하는 전력 증폭 장치의 회로도.
도 12는 엔벨로프 트랙킹법을 이용한 종래의 전력 증폭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의 전력 증폭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스위칭 앰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종래 회로의 파형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종래 회로의 문제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력 증폭 장치
2: 엔벨로프 연산부
3: 전압 제어 조정부
4: 전원 회로
5: 전력 증폭기
6: 반송파 입력부
7, 8: D/A 변환 회로
10, 11: 로우패스 필터
10a, 11a: 지연 회로
12: 상승/하강 판정 회로
13: 선택 회로
14: 불연속 제거 회로
16: 전압 제어 조정부
17: 창 함수 계수 승산부
18: 최대값 취득부
30: 전력 증폭 장치
31: 전압 제어 조정부
32: 상승/하강 판정 회로
33: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
33a, 34a: 지연 회로
34: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
35: 선택 회로
36a∼36d: 래치 회로
37: 최대값 취득 회로
38: 1/5 분주 회로
39: 최대값 유지 회로
40: 전력 증폭 장치
41: 전압 제어 속도 조정부
42, 43: 로우패스 필터
44: 선택 회로
45: 불연속 제거 회로
46: 경사각 θ 계산부
47: 선택 신호 생성부
50: 전력 증폭 장치
51: 전압 제어 속도 조정부
52, 53: 로우패스 필터
54: 상승/하강 판정 회로
55: 선택 회로
56: 불연속 제거 회로
57: 엔벨로프 피크 판정 회로
58: 로우패스 필터
59: 차분 검출 회로
60: 선택 신호 생성부

Claims (10)

  1.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는 고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와,
    상기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는 저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와,
    상기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고, 그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고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 또는 저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에 따라서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전압을 생성하고, 그 전압을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전력 증폭기에 공급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 증폭을 행하게 하는 전압 공급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엔벨로프 신호의 골을 검출할 때, 상기 선택 수단에 대하여 저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엔벨로프 신호의 산을 검출할 때, 상기 선택 수단에 대하여 고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3. 삭제
  4. 삭제
  5.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는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와,
    상기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는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와,
    상기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고, 그 엔벨로프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 또는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를 선택하고, 어느 한쪽의 최대값 유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의 출력에 따른 전압을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전력 증폭기에 공급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 증폭을 행하게 하는 전압 공급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엔벨로프 신호의 골을 검출할 때, 상기 선택 수단에 대하여 상기 장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엔벨로프 신호의 산을 검출할 때, 상기 선택 수단에 대하여 상기 단구간 최대값 유지 회로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7.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는 고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와,
    상기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는 저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와,
    상기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고, 그 엔벨로프 신호의 경사각을 계산하는 계산 수단과,
    상기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고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 또는 저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의 출력에 따른 전압을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전력 증폭기에 공급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 증폭을 행하게 하는 전압 공급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는 로우패스 필터와,
    상기 엔벨로프 신호가 입력되고, 그 엔벨로프 신호의 피크를 판정하는 피크 판정 수단과,
    상기 엔벨로프 신호와 상기 로우패스 필터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와의 차분을 검출하는 차분 검출 수단과,
    상기 피크 판정 수단에 의해 피크가 판정되었을 때, 상기 차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가 소정값 이상일 때,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고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 또는 저속 추종용 로우패스 필터의 출력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선택 신호 생성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80129414A 2007-12-20 2008-12-18 전력 증폭 장치 KR101060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29371 2007-12-20
JP2007329371A JP4905344B2 (ja) 2007-12-20 2007-12-20 電力増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085A KR20090067085A (ko) 2009-06-24
KR101060403B1 true KR101060403B1 (ko) 2011-08-29

Family

ID=4047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414A KR101060403B1 (ko) 2007-12-20 2008-12-18 전력 증폭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54341B2 (ko)
EP (1) EP2073380B1 (ko)
JP (1) JP4905344B2 (ko)
KR (1) KR101060403B1 (ko)
CN (1) CN1014656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5369B2 (ja) * 2009-06-26 2013-12-11 富士通株式会社 送信装置、歪み補償装置及び歪み補償方法
US8164381B2 (en) 2009-07-08 2012-04-24 Lantiq Deutschland Gmbh Open-loop line driv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112452B1 (en) 2009-07-14 2015-08-18 Rf Micro Devices, Inc. High-efficiency power supply for a modulated load
US8258875B1 (en) * 2009-09-29 2012-09-04 Amalfi Semiconductor, Inc. DC-DC conversion for a power amplifier using the RF input
WO2011083758A1 (ja) * 2010-01-07 2011-07-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増幅装置
JP2011160031A (ja) * 2010-01-29 2011-08-18 Ricoh Co Ltd 音声音楽再生装置
EP2365628A1 (en) * 2010-03-09 2011-09-14 Alcatel Lucent Signal preprocessing for envelope modulators
JP5526884B2 (ja) * 2010-03-12 2014-06-18 富士通株式会社 増幅器、増幅器制御方法及び送信機
US9431974B2 (en) * 2010-04-19 2016-08-30 Qorvo Us, Inc. Pseudo-envelope following feedback delay compensation
US9099961B2 (en) 2010-04-19 2015-08-04 Rf Micro Devices, Inc. Output impedance compensation of a pseudo-envelope follower power management system
US8493141B2 (en) 2010-04-19 2013-07-23 Rf Micro Devices, Inc. Pseudo-envelope following power management system
US20130034250A1 (en) * 2010-05-14 2013-02-07 Panasonic Corporation Amplifier
US8174313B2 (en) 2010-05-17 2012-05-08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mplifier
JP2011250166A (ja) 2010-05-27 2011-12-08 Panasonic Corp 送信回路、通信機器、及び、送信方法
JP5446021B2 (ja) * 2010-07-27 2014-03-1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増幅装置
WO2012047738A1 (en) 2010-09-29 2012-04-12 Rf Micro Devices, Inc. SINGLE μC-BUCKBOOST CONVERTER WITH MULTIPLE REGULATED SUPPLY OUTPUTS
WO2012068258A2 (en) * 2010-11-16 2012-05-24 Rf Micro Devices, Inc. Digital fast cordic for envelope tracking generation
WO2012109227A2 (en) 2011-02-07 2012-08-16 Rf Micro Devices, Inc. Group delay calibration method for power amplifier envelope tracking
US9247496B2 (en) 2011-05-05 2016-01-26 Rf Micro Devices, Inc. Power loop control based envelope tracking
US9379667B2 (en) 2011-05-05 2016-06-28 Rf Micro Devices, Inc. Multiple power supply input parallel amplifier based envelope tracking
US9246460B2 (en) 2011-05-05 2016-01-26 Rf Micro Devices, Inc. Power management architecture for modulated and constant supply operation
US9178627B2 (en) 2011-05-31 2015-11-03 Rf Micro Devices, Inc. Rugged IQ receiver based RF gain measurements
US9019011B2 (en) 2011-06-01 2015-04-28 Rf Micro Devices, Inc. Method of power amplifier calibration for an envelope tracking system
US8952710B2 (en) 2011-07-15 2015-02-10 Rf Micro Devices, Inc. Pulsed behavior modeling with steady state average conditions
US9263996B2 (en) 2011-07-20 2016-02-16 Rf Micro Devices, Inc. Quasi iso-gain supply voltage function for envelope tracking systems
JP6064906B2 (ja) * 2011-08-23 2017-01-25 日本電気株式会社 歪補償増幅装置及び歪補償増幅方法
US8942652B2 (en) 2011-09-02 2015-01-27 Rf Micro Devices, Inc. Split VCC and common VCC power management architecture for envelope tracking
US8957728B2 (en) 2011-10-06 2015-02-17 Rf Micro Devices, Inc. Combined filter and transconductance amplifier
US9484797B2 (en) 2011-10-26 2016-11-01 Qorvo Us, Inc. RF switching converter with ripple correction
US9024688B2 (en) 2011-10-26 2015-05-05 Rf Micro Devices, Inc. Dual parallel amplifier based DC-DC converter
WO2013063364A1 (en) 2011-10-26 2013-05-02 Rf Micro Devices, Inc. Average frequency control of switcher for envelope tracking
US9515621B2 (en) 2011-11-30 2016-12-06 Qorvo Us, Inc. Multimode RF amplifier system
US9250643B2 (en) 2011-11-30 2016-02-02 Rf Micro Devices, Inc. Using a switching signal delay to reduce noise from a switching power supply
US8975959B2 (en) 2011-11-30 2015-03-10 Rf Micro Devices, Inc. Monotonic conversion of RF power amplifier calibration data
US9280163B2 (en) 2011-12-01 2016-03-08 Rf Micro Devices, Inc. Average power tracking controller
US8947161B2 (en) 2011-12-01 2015-02-03 Rf Micro Devices, Inc. Linear amplifier power supply modulation for envelope tracking
US9256234B2 (en) 2011-12-01 2016-02-09 Rf Micro Devices, Inc. Voltage offset loop for a switching controller
US9041365B2 (en) 2011-12-01 2015-05-26 Rf Micro Devices, Inc. Multiple mode RF power converter
US9494962B2 (en) 2011-12-02 2016-11-15 Rf Micro Devices, Inc. Phase reconfigurable switching power supply
US9813036B2 (en) 2011-12-16 2017-11-07 Qorvo Us, Inc. Dynamic loadline power amplifier with baseband linearization
US9298198B2 (en) 2011-12-28 2016-03-29 Rf Micro Devices, Inc. Noise reduction for envelope tracking
US20130228632A1 (en) * 2012-03-02 2013-09-05 Apple Inc. Controlling a cooling system for a computer system
US8981839B2 (en) 2012-06-11 2015-03-17 Rf Micro Devices, Inc. Power source multiplexer
CN104662792B (zh) 2012-07-26 2017-08-08 Qorvo美国公司 用于包络跟踪的可编程rf陷波滤波器
US9225231B2 (en) 2012-09-14 2015-12-29 Rf Micro Devices, Inc. Open loop ripple cancellation circuit in a DC-DC converter
US9197256B2 (en) 2012-10-08 2015-11-24 Rf Micro Devices, Inc. Reducing effects of RF mixer-based artifact using pre-distortion of an envelope power supply signal
US9207692B2 (en) 2012-10-18 2015-12-08 Rf Micro Devices, Inc. Transitioning from envelope tracking to average power tracking
US9627975B2 (en) 2012-11-16 2017-04-18 Qorvo Us, Inc. Modulated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with automatic transition between buck and boost modes
WO2014116933A2 (en) 2013-01-24 2014-07-31 Rf Micro Devices, Inc Communications based adjustments of an envelope tracking power supply
US9178472B2 (en) 2013-02-08 2015-11-03 Rf Micro Devices, Inc. Bi-directional power supply signal based linear amplifier
US9203353B2 (en) 2013-03-14 2015-12-01 Rf Micro Devices, Inc. Noise conversion gain limited RF power amplifier
WO2014152903A2 (en) 2013-03-14 2014-09-25 Rf Micro Devices, Inc Envelope tracking power supply voltage dynamic range reduction
US9479118B2 (en) 2013-04-16 2016-10-25 Rf Micro Devices, Inc. Dual instantaneous envelope tracking
KR101738730B1 (ko) 2013-04-23 2017-05-22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의 엔벨로프 정형화 장치 및 방법
US9374005B2 (en) 2013-08-13 2016-06-21 Rf Micro Devices, Inc. Expanded range DC-DC converter
JP5861844B2 (ja) * 2013-12-12 2016-0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モジュール
US9065509B1 (en) * 2014-01-09 2015-06-23 Mediatek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velope tracking system
US9614476B2 (en) 2014-07-01 2017-04-04 Qorvo Us, Inc. Group delay calibration of RF envelope tracking
CN105981450B (zh) * 2014-07-30 202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放大器的供电电压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9912297B2 (en) 2015-07-01 2018-03-06 Qorvo Us, Inc. Envelope tracking power converter circuitry
US9941844B2 (en) 2015-07-01 2018-04-10 Qorvo Us, Inc. Dual-mode envelope tracking power converter circuitry
US9973147B2 (en) 2016-05-10 2018-05-15 Qorvo Us, Inc. Envelope tracking power management circuit
US10476437B2 (en) 2018-03-15 2019-11-12 Qorvo Us, Inc. Multimode voltage tracker circuit
CN110988536B (zh) * 2019-12-06 2023-06-16 上海钎劢科技设备有限公司 直流电压上升跌落测试装置、测试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617B2 (ja) * 1990-07-19 1995-12-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増幅装置及び送信装置
JPH05316012A (ja) 1992-05-07 1993-11-26 Nec Corp 出力電力制御回路
US5281925A (en) * 1992-11-17 1994-01-25 Acrodyne Industries, Inc. RF amplifier providing reduced drive response rise times and fall times
JPH06260866A (ja) * 1993-03-04 1994-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出力電力制御回路装置
JPH10341114A (ja) * 1997-06-09 1998-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増幅器の電源電圧切換装置
FR2767013B1 (fr) * 1997-07-31 1999-10-01 Alsthom Cge Alcatel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 l'enveloppe d'un signal radio
JP4306933B2 (ja) * 2000-06-29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
AU2001276206A1 (en) * 2000-07-12 2002-01-21 Indigo Manufacturing Inc. Power amplifier with multiple power supplies
JP2002314345A (ja) * 2001-04-16 2002-10-25 Sony Corp 高周波増幅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DE50213057D1 (de) * 2002-07-17 2009-01-08 Nokia Siemens Network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Sendeverstärkers
US7092683B2 (en) * 2003-04-01 2006-08-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ssion circuit
JP3730985B2 (ja) 2003-04-01 2006-0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回路
JP2004312423A (ja) * 2003-04-08 2004-11-0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増幅器
US7043213B2 (en) * 2003-06-24 2006-05-0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Multi-mode amplifier system
US7026868B2 (en) * 2003-11-20 2006-04-11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Variable supply amplifier system
US7421037B2 (en) * 2003-11-20 2008-09-02 Nokia Corporation Reconfigurable transmitter with direct digital to RF modulator
JP4767583B2 (ja) * 2004-06-29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歪補償回路
US7474149B2 (en) * 2005-03-25 2009-01-06 Pulsewave Rf, Inc.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method using a controlled supply
US7391261B2 (en) * 2005-12-16 2008-06-24 Harris Corporation Enhanced bandwidth envelope elimination and restoration
JP4868846B2 (ja) 2005-12-22 2012-02-01 富士通株式会社 電圧制御信号調整装置及び電圧制御信号調整方法
US7519336B2 (en) * 2006-05-05 2009-04-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timizing efficiency of a power amplifier
JP4561697B2 (ja) 2006-06-09 2010-10-13 新神戸電機株式会社 積層回路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52904A (ja) 2009-07-09
US8154341B2 (en) 2012-04-10
CN101465621A (zh) 2009-06-24
US20090160548A1 (en) 2009-06-25
EP2073380A3 (en) 2014-06-11
KR20090067085A (ko) 2009-06-24
EP2073380A2 (en) 2009-06-24
JP4905344B2 (ja) 2012-03-28
CN101465621B (zh) 2012-05-16
EP2073380B1 (en)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403B1 (ko) 전력 증폭 장치
US751933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timizing efficiency of a power amplifier
US8489037B2 (en) Power amplifying apparatus with bandwidth limitation processing on variable power supply
JP4497470B2 (ja) 高周波電力増幅装置および送信装置
CN105229920B (zh) 延迟调整
JP4518968B2 (ja) 送信回路
JPH08186506A (ja) 送信電力増幅回路の出力制御回路
CN107277683B (zh) 一种音频放大系统及方法
US20130034250A1 (en) Amplifier
JP3323174B2 (ja) Tdma方式デジタル無線送信装置
US71909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a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of radios
KR101728041B1 (ko)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JP3857154B2 (ja) パルス符号変調信号再生装置
US9203359B2 (en) Amplifier and audio device provided with amplifier
JP2011044908A (ja) 音声処理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H05226943A (ja) パワーアンプ装置
KR101982065B1 (ko) 차량용 음원 신호 증폭 장치 및 이의 방법
JP2011044909A (ja) 音声処理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4559830B2 (ja) 自動利得制御回路
JP2017163525A (ja) 増幅回路と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無線通信装置
KR20090011543A (ko) 위상 검출부의 출력을 이용한 고속 적응형 등화기 및 상기등화기를 제어하는 방법.
KR200147519Y1 (ko) 고주파 안정화 회로
JP6887200B2 (ja) 増幅装置
JP2005223387A (ja) 送受信システム
JP2010288042A (ja) パルス変調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