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264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264B1
KR101059264B1 KR1020080109601A KR20080109601A KR101059264B1 KR 101059264 B1 KR101059264 B1 KR 101059264B1 KR 1020080109601 A KR1020080109601 A KR 1020080109601A KR 20080109601 A KR20080109601 A KR 20080109601A KR 101059264 B1 KR101059264 B1 KR 10105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ction
hose
filter
cylindric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768A (ko
Inventor
유우끼 우미자끼
야스따까 쯔루가
데루오 이리노
마꼬또 모또즈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6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3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filter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흡입 필터의 취출, 수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흡입 필터의 손상을 방지한다.
작동유 탱크(11)에는 흡입 호스(19)의 선단부측에 설치한 흡입 필터(20)를 수용하는 통 형상 케이스(29)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흡입 필터(20)는 통 형상 케이스(29) 내에 수용함으로써 흡입 호스(19)와 함께 작동유 탱크(11) 위에 격납할 수 있다. 이 작동유 탱크(11) 위는 유압 쇼벨(1)의 주위로부터 용이하게 손을 뻗을 수 있는 장소이며, 작업자는 주위에 충돌시키는 일 없이 흡입 필터(20)를 통 형상 케이스(29)에 대하여 용이하게 취출하거나,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 케이스(29)의 수용통체(30)의 소경 통부(30A)는 호스 접속부(21)를 약간의 간극을 두고 수용함으로써 흡입 필터(20)가 흔들려 손상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109601
흡입 호스, 흡입 필터, 작동유 탱크, 통 형상 케이스, 호스 접속부

Description

건설 기계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쇼벨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 탱크로 연료를 보급하기 위한 연료 펌프, 흡입 호스, 흡입 필터 등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쇼벨은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방측으로 부앙(elevating)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좌전방측에 설치되고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cab)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후방측에 탑재된 엔진, 유압 펌프와, 상기 선회 프레임의 우측에 탑재된 작동유 탱크, 연료 탱크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 쇼벨에 연료를 보급할 경우에는 자동차가 주행 가능한 경우에는 급유차를 사용하고, 그 급유 호스를 연료 탱크에 접속하여 연료를 보급한다. 그러나, 급유차를 주행할 수 있는 작업 현장은 적으며, 대부분의 경우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드럼통 등의 용기와 가반식의 연료 펌프를 작업 현장으로 반송하여, 용 기에 세트한 연료 펌프의 급유 호스로부터 연료 탱크로 급유하고 있다. 이 경우, 보급용의 용기와 함께 연료 펌프까지 운반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따라서, 유압 쇼벨에는 용기로부터 연료 탱크로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펌프와, 기단부측이 상기 연료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의 연료를 상기 연료 펌프를 향하여 흡입하는 장척의 흡입 호스와, 상기 흡입 호스의 선단부측에 설치되어 흡입하는 연료로부터 진애를 제거하는 흡입 필터(스트레너)를 미리 탑재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참조).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2002-266377호 공보
이 유압 쇼벨에서는 흡입 호스를 늘려 선단부의 흡입 필터를 보급용의 용기 내에 삽입하고, 이 상태로 연료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연료를 연료 탱크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연료의 보급을 행하지 않는 통상 시에는 흡입 호스를 작게 말아 선회 프레임 위에 설치한 케이스 내에 수용하고, 이 케이스의 저부측에 설치한 전용 공간에 흡입 필터를 수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특허 문헌1에 의한 유압 쇼벨에서는 흡입 호스를 케이스 내에 수용할 때에 선단부측의 흡입 필터를 전용 공간에 수납하고 있다. 그러나, 흡입 필터를 격납하기 위한 공간은 케이스 내의 저부측, 즉 좁고 안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간에 흡입 필터를 정확하게 수납하거나 취출하거나 하는 것이 어려워 작업 시에 흡입 필터가 주위에 충돌해 버린다. 이에 의해, 급유 시의 흡입 호스, 흡입 필터의 취출 작업, 격납 작업에 수고를 필요로 하고 게다가 이 때의 충돌 등에 의해 흡입 필터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필터를 용이하게 취출하거나, 수용하거나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넣다 뺄 때에 흡입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는 유압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을 탑재한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유압 펌프로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와, 상기 작동유 탱크와 인접하여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작동유 탱크 및 / 또는 상기 연료 탱크의 근방에 설치되어 보급용의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로부터 상기 연료 탱크로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펌프와, 기단부측이 상기 연료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의 연료를 상기 연료 펌프를 향하여 흡입하는 장척의 흡입 호스와, 상기 흡입 호스의 선단부측에 설치되어 흡입하는 연료로부터 진애를 제거하는 흡입 필터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작동유 탱크 및 / 또는 연료 탱크에는 상기 흡입 호스의 선단부측에 설치한 상기 흡입 필터를 수용하는 통 형상 케이스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탱크는 전방측 부위가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되고,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상기 흡입 필터로부터 누출된 연료를 저장하는 저부를 갖는 통 형상체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통 형상 케이스에는 그 내주면의 도중 위치에 상기 흡입 필터의 삽입 치수를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흡입 필터는 기단부측에 상기 흡입 호스가 접속되는 호스 접속부와, 상기 호스 접속부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필터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상기 호스 접속부를 수용하는 부위의 내경 치수를 상기 호스 접속부의 외경 치수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형성한 것에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부위의 내경 치수를 상기 필터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필터부의 외경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한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작동유 탱크 및 / 또는 연료 탱크에는 흡입 호스의 선단부측에 설치한 흡입 필터를 수용하는 통 형상 케이스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의 급유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통 형상 케이스로부터 흡입 필터를 제거하고, 흡입 호스를 인장하여 늘린다. 그리고, 흡입 호스의 선단부측의 흡입 필터를 건설 기계의 주위에 배치된 드럼통 등의 용기에 삽입하고, 이 상태로 연료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용기 내의 연료를 흡입 필터로부터 흡입하고, 흡입 호스를 통하여 연료 탱크로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연료의 보급이 종료되면 흡입 필터, 흡입 호스의 선단부측을 용기로부터 빼서, 탱크에 설치한 통 형상 케이스 내에 흡입 필터를 수용함으로써 흡입 호스와 흡입 필터를 소정의 위치에 격납할 수 있다.
여기서, 통 형상 케이스는 탱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의 주위로부터 통 형상 케이스, 상기 통 형상 케이스에 수용된 흡입 필터 등에 용이하게 손을 뻗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입 필터는 주위에 구조물 등에 충돌시키는 일없이, 통 형상 케이스에 대하여 용이하게 취출하거나, 수용하거나 할 수 있다.
그 결과, 탱크에 흡입 필터를 수용하는 통 형상 케이스를 설치함으로써 급유 작업 시의 흡입 필터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작업 시에 흡입 필터가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흡입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탱크의 전방측 부위를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하고, 이 경사면을 따라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통 형상 케이스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통 형상 케이스의 저부측을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흡입 필터로부터 연료가 누출되었다고 해도 이 연료를 통 형상 케이스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료의 누락을 방지하여 주위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통 형상 케이스에는 그 내주면의 도중 위치에 흡입 필터의 삽입 치수를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통 형상 케이스에 흡입 필터를 삽입했을 때에는 흡입 필터가 통 형상 케이스의 저부에 달하 기 전에 스토퍼부가 흡입 필터의 삽입을 규제한다. 그 결과, 저부에의 충돌에 의해 흡입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통 형상 케이스는 흡입 필터의 호스 접속부를 수용하는 부위의 내경 치수를 호스 접속부의 외경 치수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주행 시, 작업 시에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통 형상 케이스는 흡입 필터의 호스 접속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덜걱거림에 의한 흡입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통 형상 케이스는 흡입 필터의 필터부를 수용하는 부위의 내경 치수를 필터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필터부의 외경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흡입 필터의 필터부는, 예를 들어 메쉬 형상(그물코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부하에 의해 변형 등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통 형상 케이스는 필터부를 수용하는 부위를 큰 내경 치수로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부가 통 형상 케이스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 유압 쇼벨을 예로 들어 도1 내지 도16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쇼벨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유압 쇼벨(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하부 주행체(2)와 함께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3)와, 상기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주행체(2)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는 선회 동작했을 때에 주위의 장해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서 보아 거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선회체(3)는 지지 구조체를 구성하는 동시에 전방부에 작업 장치(4)가 설치된 선회 프레임(5)과, 상기 선회 프레임(5)의 좌전방측에 설치되고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6)과, 상기 선회 프레임(5)의 후방측에 가로 놓기 상태(lateral placement state)로 탑재된 엔진(7)과, 상기 엔진(7)의 좌측에 설치된 유압 펌프(8)와, 상기 엔진(7)의 우측에 설치된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등의 열 교환기(9)와, 상기 캡(6)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5) 위에 설치된 후술하는 작동유 탱크(11), 연료 탱크(15), 연료 펌프(18), 흡입 호스(19), 흡입 필터(20), 통 형상 케이스(29)와, 이들 기기를 덮도록 선회 프레임(5) 위에 설치된 외장 커버(10)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장 커버(1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6)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엔진(7) 등을 덮는 엔진 커버(10A)와, 캡(6)의 우측에 설치되어 작동유 탱크(11), 연료 탱크(15), 연료 펌프(18) 등을 덮는 탱크 커버(10B)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 커버(10B)의 상부 전방측은 전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 후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더스트 커버(10B1)가 되고, 상기 더스트 커버(10B1)를 전방측으로 개방했을 때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11), 연료 탱크(15), 연료 펌프(18), 흡입 호스(19), 통 형상 케이스(29) 등을 외부에 노출할 수 있어 연료 탱크(15)에의 연료의 보급을 행할 수 있다.
참조 부호 11은 캡(6)의 우측 근방에 위치하고 선회 프레임(5) 위에 설치된 작동유 탱크이며, 상기 작동유 탱크(11)는 내부에 유압 펌프(8)로 공급하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유 탱크(11)는 후술하는 탱크 본체(12)와 덮개(13)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참조 부호 12는 작동유 탱크(11)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이며, 상기 탱크 본체(12)는 유압 펌프를 향해 효율적으로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강판, 수지 재료 등을 사용하여 전, 후 방향 및 상, 하 방향으로 장척의 직방체 형상의 박스 구조체로서 고강도로 형성되어 있다. 즉, 탱크 본체(12)는 도4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12A), 후면판(12B), 좌측면판(12C), 우측면판(12D), 상면판(12E), 하면판(12F)에 의해 대략 직방체 형상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11)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12)에는 그 전방측 부위에 경사면(12G)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면(12G)은 전면판(12A)과 상면판(12E) 사이의 코너 위치를 모따기하듯이 형성하고, 운전석(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우측 전방의 시계를 넓히기 위해 전방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경사면(12G)에는 후술하는 통 형상 케이스(29)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시트(12H)가 우측 근방에 위치하여 고착되어 있다.
참조 부호 13은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 위에 설치된 덮개이며, 이 덮개(13)는 복수개, 예를 들어 6개의 볼트(14)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중 2개는 후술하는 호스 권회 지지구(25)를 상면(13A)에 고정하는 경우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덮개(13)의 중앙에는 작동유의 점검을 행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캡(cap)(13B)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유 탱크(11)는 캡(6)과 연료 탱크(15) 사이의 좁은 범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작동유를 저장할 수 있도록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탱크(15) 등에 비교하여 탱크 본체(12)가 큰 높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 경사면(12G)의 상측은 외장 커버(10)를 구성하는 탱크 커버(10B)의 더스트 커버(10B1)를 개방했을 때에 높은 위치가 되고, 그 주위는 장해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 경사면(12G)은 주위로부터 보이기 쉽고 용이하게 손을 뻗을 수 있는 장소로 되어 있다.
참조 부호 15는 작동유 탱크(11)의 우측에 인접하여 선회 프레임(5) 위에 탑재된 연료 탱크이며, 상기 연료 탱크(15)는 내부에 엔진(7)으로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수지 재료를 사용한 성형 가공, 강판을 사용한 용접 등에 의해 직방체 형상의 밀폐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15)의 전방측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5A)가 되고, 상기 돌출부(15A)의 상면측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cap)(16)이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5A)의 전방측에는 레벨 센서(17)가 설치되고, 상기 레벨 센서(17)는 급유 시에 탱크가 가득 차는 것을 알리는 것인데, 예를 들어 투명한 튜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유 탱크(11)와 연료 탱크(15)의 배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작동유 탱크(11)와 연료 탱크(15)는 인접한 상태로 상부 선회체(3)의 차체폭 방향(좌, 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작동유 탱크(11)는 캡(6)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연료 탱크(15)는 상부 선회체(3)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18은 연료 탱크(15)의 근방이 되는 작동유 탱크(11)의 전방측에 배치된 연료 펌프를 나타내고, 이 연료 펌프(18)는 작동유 탱크(11)와 연료 탱크(15)의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펌프(18)는 후술하는 보급용의 용기(34)로부터 연료 탱크(15)로 연료를 주입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플렁거 펌프, 기어 펌프, 트로코이드 펌프, 베인 펌프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료 펌프(18)는 설치 브래킷(18A)을 통하여 선회 프레임(5)에 고정되어, 스위치(18B)에 의해 운전, 정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펌프(18)의 흡입구에는 후술하는 흡입 호스(19)가 접속되고, 토출구(모두 도시하지 않음)에는 토출 호스(24)가 접속되어 있다.
참조 부호 19는 연료 펌프(18)에 접속된 흡입 호스이며, 상기 흡입 호스(19)는 용기(34) 내의 연료를 연료 펌프(18)를 향하여 흡입하는 것이다. 또한, 흡입 호스(19)는, 예를 들어 장척의 고무제, 수지제 등의 가요성의 호스로 이루어지고, 기단부측이 연료 펌프(18)의 흡입구에 접속되고, 자유단부로 된 선단부측에는 후술하는 흡입 필터(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입 호스(19)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쇼벨(1)의 주위에 배치된 연료의 용기(34)까지 닿도록 충분히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흡입 호스(19)는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호스(19)의 길이 방향의 도중 부위를 고리 형상으로 권회하여 호스 권회부(19A)를 형성하고, 이 호스 권회부(19A)를 연료 펌프(18)로부터 후방측으로 떨어진 작동유 탱크(11) 상의 호스 권회 지지구(25)에 지지함으로써 당해 흡입 호스(19)는 탱크 커버(10B) 내에 격납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A)는 큰 둥근 고리 형상(직경 치수)으로, 예를 들어 1주반 권회하는 것이기 때문에 잘못 감기는 일이 거의 없어서 용이하게 둥글게 말거나, 똑바로 펴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A)의 권회 수는, 흡입 호스(19)의 길이에 따라 또 후술하는 호스 권회 지지구(25)의 걸기 아암(27)의 크기에 따라 바뀌는 것이다.
참조 부호 20은 흡입 호스(19)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흡입 필터를 나타내고 있다(도9 내지 도11 참조). 이 흡입 필터(20)는 연료의 용기(34)로부터 연료를 흡입할 때에 진애를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흡입 필터(20)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통 형상체를 조합시켜 형성된 호스 접속부(21)와, 상기 호스 접속부(21)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필터부(22)와, 상기 호스 접속부(21) 내에 수용된 역지 밸브(23)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 접속부(21)의 기단부측에는 흡입 호스(19)의 선단부측이 액밀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호스 접속부(21)의 선단부 근방에는 직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어 직경 확장부(21A)가 설치되고, 상기 직경 확장부(21A)의 외경 치수(D1)는 흡입 필터(20)에서 가장 큰 치수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직경 확장부(21A)는 후술하는 수용통체(30)의 스토퍼부(30B)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2)는 외경 치수(D2)로 선단부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외주측은 진애를 포집하기 위한 메쉬부(22A)로 되어 있다. 이 메쉬부(22A)는, 예를 들어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의 부하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되어 버리기 때문에 후술하는 수용통체(30)의 대경 통부(30C)와 충분히 이격되어 있다.
또한, 역지 밸브(23)는 통상은 밸브 스프링(23A)에 의해 호스 접속부(21) 내를 폐색하여 흡입 호스(19)로부터 연료가 역류(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후술하는 용기(34)로부터 연료를 흡입할 때에는 도11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스프링(23A)에 대항하여 밸브 개방하는 것이다.
참조 부호 24는 연료 펌프(18)에 접속된 토출 호스이며, 상기 토출 호스(24)는 그 기단부측이 연료 펌프(18)의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토출 호스(24)는 상측으로 연장된 선단부측이 연료 탱크(15)의 돌출부(15A) 위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연료 펌프(18)의 흡입 호스(19)를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호스 권회 지지구(25)의 구성에 대하여 서술한다.
참조 부호 25는 작동유 탱크(11)의 상면측에 설치된 호스 권회 지지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호스 권회 지지구(25)는 도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11)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덮개(13)의 상면(13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 권회 지지구(25)는 도5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설치 부재(26), 걸기 아암(2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참조 부호 26은 호스 권회 지지구(25)의 설치 부재이며, 상기 설치 부재(26)는 호스 권회 지지구(25)를 작동유 탱크(11)에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설치 부재(26)는, 예를 들어 스트립 형상의 금속판을 절곡시킴으로써 중앙의 아암 설치부(26A)가 상측으로 돌출된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설치 부재(26)는 덮개(13)의 상면(13A)에 설치했을 때에 호스 권회 지지구(25)의 각 걸기 아암(27)을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각 걸기 아암(27)이 지지한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A)를 덮개(13)의 상면(13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부재(26)는 메인터넌스 캡(13B)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2개의 볼트(14)를 이용하여 덮개(13)의 상면(13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설치 부재(26)는 아암 설치부(26A)의 전방측에 원호 형상의 절결 오목부(26B)를 갖고 있다. 이 절결 오목부(26B)는 덮개(13)의 메인터넌스 캡(13B)을 돌려 탈착할 때에 방해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참조 부호 27은 설치 부재(26)의 아암 설치부(26A)에 대하여, 전, 후 방향과 좌, 우 방향의 4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4개의 걸기 아암이며, 이들 4개의 걸기 아암(27)은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A)에 외주측으로부터 거는 것이다. 또한, 4개의 걸기 아암(27)은 서로 직교하도록 아암 설치부(26A) 위에 용접 등의 고착 수단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이때에 각 걸기 아암(27)은 지지한 호스 권회부(19A)가 덮개(13)의 메인터넌스 캡(13B)을 덮어 숨기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4개의 걸기 아암(27) 중 덮개(13)의 메인터넌스 캡(13B)측으로 연장되는 전 방측의 걸기 아암(27)은 상기 메인터넌스 캡(13B)을 피하도록 좌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걸기 아암(27)은, 예를 들어 금속제의 둥근 봉을 대략 J자 형상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설치 부재(26)의 아암 설치부(26A)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수평부(27A)와, 상기 수평부(27A)의 선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상향으로 연장된 수직부(27B)와, 상기 수직부(27B)의 선단부로부터 수평부(27A)측으로 경사져 연장된 경사부(27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걸기 아암(27)은 수평부(27A)가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A)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수직부(27B)가 구부리는 힘에 반발하여 펴지려고 하는 호스 권회부(19A)를 파지하여 외주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하고 있다. 또한, 호스 권회부(19A)가 수직부(27B)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경사부(27C)가 호스 권회부(19A)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빠짐 방지할 수 있다.
참조 부호 28은 각 걸기 아암(27)의 경사부(27C)에 감싸도록 설치된 보호 캡이며, 이 보호 캡(28)은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A)를 설치하거나, 제거하거나 할 때에 금속제의 걸기 아암(27)의 선단부에 의해 흡입 호스(19)를 흠집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다음에, 흡입 호스(19)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흡입 필터(20)를 수용하는 통 형상 케이스(29)의 구성에 대해, 도9, 도12 내지 도15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9에 있어서, 참조 부호 29는 작동유 탱크(11)에 설치된 통 형상 케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 통 형상 케이스(29)는 흡입 호스(19)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흡 입 필터(20)를 주행 시나 작업 시의 진동에 의해 덜컹거리지 않도록 수용하는 것이다. 또한, 통 형상 케이스(29)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 권회 지지구(25)에 흡입 호스(19)를 지지한 상태로 흡입 필터(20)가 부주의하게 빠지지 않도록 호스 권회 지지구(25)로부터 가까운 위치가 되는 작동유 탱크(11)의 경사면(12G)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 형상 케이스(29)는,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수용통체(30)와 장치 브래킷(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참조 부호 30은 통 형상 케이스(29)의 본체 부분을 형성하는 수용통체이며, 이 수용통체(30)는 도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필터(20)의 호스 접속부(21)를 수용하는 소경 통부(30A)와, 상기 소경 통부(30A)의 축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된 둥근 고리 형상의 스토퍼부(30B)와, 상기 스토퍼부(30B)의 외주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흡입 필터(20)의 필터부(22)를 수용하는 대경 통부(30C)와, 상기 대경 통부(30C)의 축방향의 일단부를 폐색한 저면을 이루는 저부(30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부(30B)에는 도13,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경 통부(30A)와 대경 통부(30C) 사이의 위치에 공기 배출구(30E)와 전해액 배출구(30F)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소경 통부(30A)는 그 내경 치수(d1)(도15 참조)가 흡입 필터(20)의 최대 외경이 되는 호스 접속부(21)의 직경 확장부(21A)의 외경 치수(D1)(도11 참조)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소경 통부(30A)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 접속부(21)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호스 접속부(21)의 직경 확장부(21A)를 덜걱거림을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30B)의 내주측은 소경 통부(30A)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그 내경 치수(d2)는 호스 접속부(21)의 직경 확장부(21A)의 외경 치수(D1)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부(30B)는 호스 접속부(21)가 소경 통부(30A)에 삽입되었을 때에 이 호스 접속부(21)의 직경 확장부(21A)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토퍼부(30B)는 수용통체(30)에 대한 흡입 필터(20)의 삽입 치수를 규제함으로써 필터부(22)가 저부(30D)에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대경 통부(30C)는 수용통체(30)에 흡입 필터(20)가 삽입되었을 때에 필터부(22)의 메쉬부(22A)에 대면하는 것이며, 그 내경 치수(d3)는 필터부(22)의 외경 치수(D2)보다도 충분히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대경 통부(30C)는 그 내부에 수용한 필터부(22)가 충돌(접촉)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경 통부(30C)의 일단부를 저부(30D)에 의해 폐색(밀폐)함으로써 그 내부에는 흡입 필터(20)로부터 누출된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용통체(30)의 공기 배출구(30E)와 전해액 배출구(30F)에 대하여 서술한다. 우선, 통 형상 케이스(29)에 도장을 실시한 경우, 흡입 필터(20)를 넣다뺐다할 때의 접촉, 각종 작업 시의 진동 등에 의해 도장면이 벗겨져 버린다. 한편, 통 형상 케이스(29)에 도장면보다도 딱딱한 도금 피막을 형성하고자 한 경우, 상술한 단차 통 형상의 수용통체(30)에서는 도금 처리용의 전해 욕조(도시하지 않음)에 침지했을 때에 내부에 공기가 남거나, 전해 욕조로부터 인상되었을 때에 전해액이 내부에 남거나 하여 양호한 도금 피막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스토퍼부(30B)에 형성한 공기 배출구(30E)는 후술하는 설치 브래킷(31)의 도금용 현수 구멍(31B)을 통해 통 형상 케이스(29)를 현수했을 때, 수용통체(3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 배출구(30E)는 통 형상 케이스(29)를 전해 욕조에 침지했을 때에 대경 통부(30C) 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 배출구(30F)는 도금용 현수 구멍(31B)을 통해 통 형상 케이스(29)를 현수했을 때에 수용통체(3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해액 배출구(30F)는 전해 욕조로부터 통 형상 케이스(29)를 인상했을 때에 대경 통부(30C) 내의 전해액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배출구(30E)와 전해액 배출구(30F)에 의해 통 형상 케이스(29)에 양호한 도금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참조 부호 31은 수용통체(30)에 설치된 설치 브래킷이며, 상기 설치 브래킷(31)은 도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통체(30)를 작동유 탱크(11)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12)의 경사면(12G)에 설치된 설치 시트(12H)에 볼트(32)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설치 브래킷(31)은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그 1변이 수용통체(30)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설치 브래킷(31)에는 수용통체(30)와 반대측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의 절결 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치 브래킷(31)은 2개의 절결 홈(31A)에 볼트(32)를 삽입 관통하여 설치 시트(12H)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절결 홈(31A)을 관통 구멍이 아니라, U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볼 트(32)를 조금 느슨하게 하기만 해도 설치 브래킷(31)을 가로 방향으로 빼내어 제거할 수 있어, 수용통체(30) 내에 저장된 연료의 배출 작업,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브래킷(31)에는 각 절결 홈(31A) 사이 위치에 도금용 현수 구멍(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금용 현수 구멍(31B)은 통 형상 케이스(29)에 도금 처리를 실시할 때에 걸어서 현수하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도2 중에서 참조 부호 33은 연료 탱크(15)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하고 작동유 탱크(11)의 우측에 설치된 배터리를 나타내고, 이 배터리(33)는 작동유 탱크(11)에 설치된 지지대(33A)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33)는 연료 탱크(15)의 상측에 한하지 않고, 작동유 탱크(11)의 하측, 엔진(7)의 전방측 등, 적당한 빈 곳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조 부호 34는 보급용의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드럼통 등의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용기(34)의 상부에는 흡입 호스(19), 흡입 필터(20)를 삽입하는 호스 삽입구(34A)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쇼벨(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을 갖는 것이며,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오퍼레이터는 캡(6)에 탑승하여 주행용의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에 의해 유압 쇼벨(1)을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용의 조작 레버(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를 부앙 이동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연료 탱크(15)에 연료를 보급할 경우의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용의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34)를 운반하여, 예를 들어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 배치한다. 또한, 유압 쇼벨(1)에서는 외장 커버(10)를 구성하는 탱크 커버(10B)의 더스트 커버(10B1)를 개방하여 작동유 탱크(11), 연료 탱크(15), 연료 펌프(18), 흡입 호스(19), 통 형상 케이스(29) 등을 노출시킨다. 이 때에, 흡입 호스(19)는 길이 방향의 도중 부위의 호스 권회부(19A)가 작동유 탱크(11) 상의 호스 권회 지지구(25)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흡입 호스(19)의 선단부측의 흡입 필터(20)는 통 형상 케이스(29)의 수용통체(3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통 형상 케이스(29)로부터 흡입 호스(19)의 선단부측의 흡입 필터(20)를 빼내고, 호스 권회부(19A)를 호스 권회 지지구(25)의 각 걸기 아암(27)로부터 제거한다. 이와 같이, 흡입 필터(20), 흡입 호스(19)는 별도 공구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통 형상 케이스(29), 호스 권회 지지구(25)로부터 간단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취출한 흡입 호스(19)는 용기(34)를 향하여 전방측으로 인장됨으로써 호스 권회부(19A)를 간단하게 펼 수 있다. 그리고, 흡입 필터(20)와 흡입 호스(19)의 선단부측을 보급용의 용기(34)의 호스 삽입구(34A)에 삽입한다. 이 흡입 호스(19)의 취급에서는 호스 권회부(19A)를 큰 둥근 고리 형상(직경 치수)으로 권회하고 있기 때문에 잘못 감기는 일이 거의 없어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다음에, 흡입 호스(19), 흡입 필터(20)를 용기(34) 내에 삽입하면 스위 치(18B)를 조작하여 연료 펌프(18)를 구동함으로써 용기(34) 내의 연료를 흡입 필터(20)로 여과하면서 흡입 호스(19)로부터 흡입하여 토출 호스(24)를 통하여 연료 탱크(15)로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연료 탱크(15)에의 연료의 보급이 종료되면 흡입 호스(19)를 작동유 탱크(11)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호스 권회 지지구(25)를 권회하여 호스 권회부(19A)를 형성한다. 이 호스 권회부(19A)에는 흡입 호스(19)가 똑바로 펴지도록 하는 힘이 직경 확장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호스 권회부(19A)를 주행 시나 작업 시의 진동에 대해서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호스 권회부(19A)를 형성함으로써 자유단부가 된 흡입 호스(19)의 선단부측의 흡입 필터(20)는 이 흡입 호스(19)가 펴지려는 힘에 의해 통 형상 케이스(29) 내에 밀듯이 하여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급유 작업이 끝난 흡입 필터(20)를 통 형상 케이스(29) 내에 수용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흡입 필터(20)의 필터부(22), 호스 접속부(21)를 통 형상 케이스(29)의 수용통체(30) 내에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이 때에, 수용통체(30)의 소경 통부(30A)에는 흡입 필터(20)의 호스 접속부(21)의 직경 확장부(21A)가 약간의(미소한) 간극을 두고 삽입되기 때문에 이 소경 통부(30A)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 접속부(21)의 직경 확장부(21A)를 덜거거림을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소경 통부(30A)에 호스 접속부(21)를 삽입했을 때에는 그 직경 확장부(21A)가 스토퍼부(30B)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수용통체(30)에 대한 흡입 필 터(20)의 삽입 치수를 스토퍼부(30B)에서 규제함으로써 필터부(22)가 저부(30D)에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2)를 대경 통부(30C)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는 필터부(22)의 메쉬부(22A)에 대면하는 대경 통부(30C)의 내면이 직경 확장되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 시, 작업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필터부(22)가 충돌(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부(30D)에 의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대경 통부(30C) 내에는 흡입 필터(20)로부터 누출된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용통체(30) 내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하거나, 통 형상 케이스(29)를 세정하거나 할 경우에는 작동유 탱크(11)로부터 통 형상 케이스(29)를 제거한다. 이때에는, 2개의 볼트(32)를 조금 느슨하게 한다. 이 상태로 통 형상 케이스(29)를 우측 가로로 인장함으로써 설치 브래킷(31)의 각 절결 홈(31A)을 따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연료의 배출 작업, 청소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작동유 탱크(11)에는 흡입 호스(19)의 선단부측에 설치한 흡입 필터(20)를 수용하는 통 형상 케이스(29)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흡입 필터(20)는 통 형상 케이스(29) 내에 수용함으로써 소정의 위치가 되는 작동유 탱크(11) 위에 격납할 수 있다. 이 작동유 탱크(11) 위는 유압 쇼벨(1)의 주위로부터 용이하게 손을 뻗을 수 있는 장소이며, 작업자는 주위에 충돌시키는 일 없이 흡입 필터(20)를 통 형상 케이스(29)에 대하여 용이하게 취출하거나, 수용하거나 할 수 있다.
그 결과, 작동유 탱크(11)에 흡입 필터(20)를 수용하는 통 형상 케이스(29)를 설치함으로써 급유 작업 시에 흡입 필터(20), 흡입 호스(19)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작업 시에 흡입 필터(20)가 주위의 부재에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흡입 필터(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11)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12)의 전방측에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2G)을 설치하고, 이 경사면(12G)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통 형상 케이스(29)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흡입 필터(20)로부터 잔류된 연료가 누출되었다고 해도 이 연료를 통 형상 케이스(29)의 수용통체(3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료의 누락을 방지하여 주위의 선회 프레임(5), 연료 탱크(15) 등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통 형상 케이스(29)를 구성하는 수용통체(30)의 소경 통부(30A)의 내경 치수(d1)는 흡입 필터(20)의 최대 외경이 되는 호스 접속부(21)의 직경 확장부(21A)의 외경 치수(D1)보다도 아주 약간만 큰 치수, 즉 소경 통부(30A) 내에서 호스 접속부(21)가 덜컹거리지 않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하부 주행체(2)의 주행 시, 작업 장치(4) 등에 의한 작업 시에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흡입 필터(20)는 통 형상 케이스(29)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흡입 필터(20)의 손상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 형상 케이스(29)에는 흡입 필터(20)의 삽입 치수를 규제하여 수용통체(30)의 저부(30D)에 흡입 필터(20)의 필터부(22)가 맞닿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 퍼부(30B)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통 형상 케이스(29)에 흡입 필터(20)를 삽입했을 때에 수용통체(30)의 저부(30D)에 맞닿아서 흡입 필터(20)의 필터부(2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통체(30)의 대경 통부(30C)는 그 내경 치수(d3)를 필터부(22)의 외경 치수(D2)보다도 충분히 큰 치수로 설정함으로써 대경 통부(30C)에 필터부(22)가 충돌(접촉)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그물코 형상을 이룬 무른 메쉬부(22A)를 보호할 수 있어 흡입 필터(20)의 여과 기능을 장기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 케이스(29)의 일부를 이루는 설치 브래킷(31)에는 작동유 탱크(11)에 설치하는데 사용하는 볼트(32)가 삽입 관통하는 2개의 절결 홈(31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2개의 절결 홈(31A)은 관통 구멍이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볼트(32)를 조금 느슨하게만 해도 설치 브래킷(31)을 가로 방향으로 빼내어 제거하거나, 설치하거나 할 수 있어, 수용통체(30) 내에 저장된 연료의 배출 작업,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용통체(30)의 스토퍼부(30B)에는 공기 배출구(30E)와 전해액 배출구(30F)를 형성하고 있다. 이 공기 배출구(30E)는 통 형상 케이스(29)를 전해 욕조에 침지했을 때에 대경 통부(30C) 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 배출구(30F)는 전해 욕조로부터 통 형상 케이스(29)를 인상했을 때에 대경 통부(30C) 내의 전해액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배출구(30E) 와 전해액 배출구(30F)를 형성함으로써 통 형상 케이스(29)에 양호한 도금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필터(20)를 수용하는 통 형상 케이스(29)를 작동유 탱크(11)에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17에 도시하는 변형예와 같이 연료 탱크(41)의 상면측에 통 형상 케이스(42)를 설치하고, 이 통 형상 케이스(42)에 흡입 필터(20)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연료 탱크(41) 위에 호스 권회 지지구(43)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는, 예를 들어 연료 탱크(41)의 하측 등의 빈 곳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통 형상 케이스는 작동유 탱크와 연료 탱크의 양 쪽에 걸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동유 탱크(11)의 전방측에 연료 펌프(18)를 배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연료 펌프(18)는 상부 선회체(3)에 탑재되는 기기류의 배치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연료 탱크(15)의 전방측 위치, 측방 위치 등의 다른 장소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펌프(18)는 토출 호스(24)를 통하여 연료 탱크(15)에 접속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토출 호스(24)를 폐지하고, 연료 펌프(18)의 토출구를 직접적으로 연료 탱크(15)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유압 쇼벨(1)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쇼벨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유압 쇼벨 이외에도, 예를 들어 유압 크레인, 휠 로더, 트랙터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쇼벨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2는 유압 쇼벨을 작업 장치와 외장 커버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3은 상부 선회체의 우측 부분을 탱크 커버의 더스트 커버를 개방한 상태로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의 평면도.
도4는 작동유 탱크, 연료 펌프, 흡입 호스, 흡입 필터, 통 형상 케이스 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5는 작동유 탱크와 호스 권회 지지구와 통 형상 케이스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6은 작동유 탱크와 호스 권회 지지구와 통 형상 케이스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7은 작동유 탱크와 호스 권회 지지구와 통 형상 케이스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8은 작동유 탱크와 호스 권회 지지구와 통 형상 케이스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9는 통 형상 케이스에 흡입 필터를 수용한 상태를 도8 중의 화살표 Ⅸ-Ⅸ 방향에서 본 주요부 확대의 단면도.
도10은 흡입 필터를 단체로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11은 흡입 필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2는 도9 중의 통 형상 케이스를 단체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13은 도9 중의 통 형상 케이스를 단체로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14는 통 형상 케이스를 단체로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15는 통 형상 케이스의 수용통체를 도12 중의 화살표 XV-XV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
도16은 통 형상 케이스로부터 흡입 필터를 제거하고 용기 내의 연료를 보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
도17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3과 마찬가지의 위치에서 본 주요부 확대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 쇼벨(건설 기계)
2 : 하부 주행체(차체)
3 : 상부 선회체(차체)
5 : 선회 프레임
6 : 캡
7 : 엔진
8 : 유압 펌프
11 : 작동유 탱크
12 : 탱크 본체
12G : 경사면
15, 41 : 연료 탱크
18 : 연료 펌프
19 : 흡입 호스
20 : 흡입 필터
21 : 호스 접속부
21A : 직경 확장부
22 : 필터부
22A : 메쉬부
29, 42 : 통 형상 케이스
30 : 수용통체
30A : 소경통부
30B : 스토퍼
30C : 대경통부
30D : 저부
30E : 공기 배출구
30F : 전해액 배출구
31 : 설치 브래킷
31A : 절결 홈
34 : 용기
d1 : 소경통부의 내경 치수
d2 : 스토퍼부의 내경 치수
d3 : 대경 통부의 내경 치수
D1 : 직경 확장부의 외경 치수
D2 : 필터부의 외경 치수

Claims (5)

  1. 유압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을 탑재한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유압 펌프로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와, 상기 작동유 탱크와 인접하여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작동유 탱크 및 연료 탱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근방에 설치되어 보급용의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로부터 상기 연료 탱크로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펌프와, 기단부측이 상기 연료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의 연료를 상기 연료 펌프를 향하여 흡입하는 장척의 흡입 호스와, 상기 흡입 호스의 선단부측에 설치되어 흡입하는 연료로부터 진애를 제거하는 흡입 필터 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 및 연료 탱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흡입 호스의 선단부측에 설치한 상기 흡입 필터를 수용하는 통 형상 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보급용 연료를 상기 연료 탱크에 보급할 때에는, 상기 흡입 필터를 상기 통 형상 케이스로부터 빼내어 상기 용기 내에 삽입하고, 상기 연료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흡입 호스 내에 흡입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 및 연료 탱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는 전방측 부위가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되고,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상기 흡입 필터로부터 누출된 연료를 저장하는 저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케이스에는 그 내주면의 도중 위치에 상기 흡입 필터의 삽입 치수를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필터는 기단부측에 상기 흡입 호스가 접속되는 호스 접속부와, 상기 호스 접속부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필터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상기 호스 접속부를 수용하는 부위의 내경 치수를 상기 호스 접속부의 외경 치수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케이스는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부위의 내경 치수를 상기 필터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필터부의 외경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080109601A 2008-01-08 2008-11-06 건설 기계 KR101059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1340 2008-01-08
JP2008001340A JP4950080B2 (ja) 2008-01-08 2008-01-08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768A KR20090076768A (ko) 2009-07-13
KR101059264B1 true KR101059264B1 (ko) 2011-08-24

Family

ID=4087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601A KR101059264B1 (ko) 2008-01-08 2008-11-06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50080B2 (ko)
KR (1) KR101059264B1 (ko)
CN (1) CN1014819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9277B2 (ja) * 2009-08-28 2012-11-0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EP2708660B1 (en) * 2011-05-12 2017-09-2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631835B2 (ja) * 2011-10-05 2014-11-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205536B1 (ja) * 2012-06-28 2013-06-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ホイールローダ
JP6087175B2 (ja) * 2013-03-06 2017-03-01 住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
JP2014202010A (ja) * 2013-04-08 2014-10-27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燃料給油ホース格納構造
IT201700021336A1 (it) * 2017-02-24 2018-08-24 Ferri Srl Dispositivo a serbatoio per olio e simili
CN109017280B (zh) * 2018-07-18 2020-01-14 太原理工大学 一种方程式赛车用防油晃动油箱及油量监测方法
JP7103898B2 (ja) * 2018-09-14 2022-07-20 株式会社竹内製作所 作業用車両
CN112370843B (zh) * 2020-10-23 2023-04-21 无锡市张华医药设备有限公司 一种密闭式连续过滤洗涤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879A (ja) 1997-10-23 1999-05-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2004143707A (ja) * 2002-10-22 2004-05-2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2006077575A (ja) 2004-09-07 2006-03-23 Toyota Motor Corp オイルフィルタ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959Y2 (ko) * 1979-03-14 1987-10-20
JPS62177634U (ko) * 1986-04-30 1987-11-11
JPH0532335Y2 (ko) * 1988-06-14 1993-08-19
JPH0628303U (ja) * 1992-09-08 1994-04-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動油タンク
JP2002180497A (ja) * 2000-12-13 2002-06-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2266377A (ja) * 2001-03-09 2002-09-18 Komatsu Ltd 建設機械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2004052360A (ja) * 2002-07-19 2004-02-1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油圧ショベルの工具箱取付構造
JP2005262981A (ja) * 2004-03-17 2005-09-2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燃料給油口
JP4555095B2 (ja) * 2005-01-11 2010-09-29 日立建機株式会社 旋回式建設機械
CN2841773Y (zh) * 2005-11-25 2006-11-29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推土机燃油加注装置
JP4651557B2 (ja) * 2006-02-22 2011-03-16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KR100772060B1 (ko) * 2006-06-28 2007-11-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 또는 산림 중장비의 연료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879A (ja) 1997-10-23 1999-05-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2004143707A (ja) * 2002-10-22 2004-05-2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2006077575A (ja) 2004-09-07 2006-03-23 Toyota Motor Corp オイルフィルタ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62000A (ja) 2009-07-23
CN101481919A (zh) 2009-07-15
CN101481919B (zh) 2012-11-21
JP4950080B2 (ja) 2012-06-13
KR20090076768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264B1 (ko) 건설 기계
US20130071295A1 (en) Work machine
US9255382B2 (en) Construction machine
KR20100048958A (ko) 건설 기계
US20080014070A1 (en) Construction machine
JP2002266377A (ja) 建設機械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4800983B2 (ja) 建設機械
US9341196B2 (en) Hydraulic oil tank attachment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JP2014224364A (ja) 建設機械
JP6087175B2 (ja) 油圧ショベル
JP5631835B2 (ja) 建設機械
JP6091993B2 (ja) ショベル
JP7118933B2 (ja) 建設機械
JP2004217141A (ja)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
JP2008195345A (ja) 車両および作業機械
JP2007113325A (ja) 洗浄作業用バン型自動車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方法
JP2019065521A (ja) 建設機械
JP2022055033A (ja) 建設機械
JP6233378B2 (ja) 建設機械の燃料供給装置
JP2010060121A (ja) 作業機械の作動油タンク
JP2015132078A (ja) 作業機械のホースリール装置
JP2018193827A (ja) 建設機械
JP2020007884A (ja) 建設機械
JP2009293545A (ja) 作業車両
JP2014202010A (ja) 作業機械の燃料給油ホース格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