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958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958A
KR20100048958A KR1020097022509A KR20097022509A KR20100048958A KR 20100048958 A KR20100048958 A KR 20100048958A KR 1020097022509 A KR1020097022509 A KR 1020097022509A KR 20097022509 A KR20097022509 A KR 20097022509A KR 20100048958 A KR20100048958 A KR 20100048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uel
tank
hydraulic oil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끼 우미자끼
야스따까 쯔루가
데루오 이리노
마꼬또 모또즈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855Vehicle
    • Y10T137/6881Automotive
    • Y10T137/6892Floor or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855Vehicle
    • Y10T137/6899With hose reel storage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855Vehicle
    • Y10T137/6914Vehicle supports fluid compressor and compressed fluid storage t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918With hose storage or retriev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작동유 탱크(11)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12)의 덮개(13)의 상면(13A)에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설치한다. 이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덮개(13)에 설치된 설치 부재(22)와, 대략 J자 형상으로 절곡한 4개의 보유 지지 아암(23)에 의해 구성한다. 그리고, 흡입 호스(19)는 그 도중 부위를 원환 형상으로 감아, 이 호스 권회부(19B)를 각 보유 지지 아암(23)으로 권회하여 설치해 둔다. 한편, 연료 탱크(15)에 연료를 보급하는 경우에는,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를 직경 축소함으로써, 흡입 호스(19)를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각 보유 지지 아암(23)으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Figure P1020097022509
작동유 탱크, 흡입 호스, 호스 권회 지지구, 보유 지지 아암, 연료 탱크

Description

건설 기계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 탱크에 연료를 보급하기 위한 연료 펌프, 흡입 호스를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은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방측에 부앙(俯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주행체와 상부 선회체가 유압 셔블의 차체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좌측 전방측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후방측에 탑재된 엔진, 유압 펌프와, 상기 선회 프레임의 우측에 탑재된 작동유 탱크, 연료 탱크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에 연료를 보급하는 경우에는, 연료 급유차(연료 탱크차)를 사용하여, 그 급유 호스를 연료 탱크에 접속하여 연료를 보급한다. 그러나, 유압 셔블이 사용되는 작업 현장에서는 연료 급유차를 주행할 수 있는 도로는 적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드럼통 등의 오일 저장 용기, 휴대 용 연료 펌프 및 급유 호스를, 미리 작업 현장으로 반송해 둔다. 그리고, 연료 보급 시에는 오일 저장 용기에 연료 펌프를 세트하는 동시에, 급유 호스를 유압 셔블의 연료 탱크에 세트하여 급유를 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드럼통 등의 오일 저장 용기와 함께, 연료 펌프, 급유 호스도 작업 현장으로 운반해야만 해 번거롭다.
따라서, 유압 셔블에는 오일 저장 용기로부터 연료 탱크로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펌프와, 상기 연료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하여 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의 연료를 상기 연료 펌프를 향해 흡입하는 긴 흡입 호스를 미리 탑재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66377호 공보 참조).
이 유압 셔블에서는 흡입 호스를 신장하여 선단의 흡입구를 오일 저장 용기 내에 삽입하고, 이 상태로 연료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오일 저장 용기 내의 연료를 연료 탱크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연료의 보급을 행하고 있지 않은 통상 시에는, 흡입 호스를 작고 둥글게 하여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한 케이스 내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의한 유압 셔블에서는 급유 작업을 행할 때마다, 전체 길이에 걸쳐서 둥글게 된 흡입 호스를 신장하거나, 케이스 내에 저장하기 위해 작고 둥글게 해야만 해, 급유 작업에 수고와 시간을 필요로 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흡입 호스를 작고 둥글게 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결속 밴드 등을 사용하여 결속해야만 한다. 또한, 흡입 호스는 저장되어 있을 때에 전체를 작고 둥글게 하고 있으므로, 저장 시에 감기려고 하는 성질이 생겨 버려, 급 유 작업 시에 신장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호스의 취출, 저장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흡입 호스를 간단하게 보급용 용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급유 작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는 유압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을 탑재한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 펌프에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와, 상기 작동유 탱크와 인접하여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작동유 탱크 및/또는 상기 연료 탱크의 근방에 설치되어 보급용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로부터 상기 연료 탱크로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펌프와, 상기 연료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하여 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의 연료를 상기 연료 펌프를 향해 흡입하는 긴 흡입 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작동유 탱크와 연료 탱크 중 한쪽의 탱크의 상면측에는 상기 흡입 호스의 길이 방향의 도중 부위를 환 형상으로 감아 형성한 호스 권회부를 지지하는 호스 권회 지지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연료의 급유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호스 권회 지지구로부터 호스 권회부를 제거하고, 흡입 호스를 인장하여 호스 권회부를 신장한다. 그리고, 흡입 호스의 선단을 건설 기계의 주위에 배치된 드럼통 등의 오일 저장 용기에 삽입하여, 이 상태로 연료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용기 내의 연료를 흡입 호스로부터 흡입하여 연료 탱크에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연료의 보급이 종료되면, 흡입 호스의 선단을 오일 저장 용기로부터 빼내어, 상기 흡입 호스의 도중 부위를 환 형상으로 감아 탱크 상의 호스 권회 지지구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흡입 호스는 연료 펌프와 탱크의 상면측 사이에서 상기 탱크를 따르도록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호스 권회 지지구에 흡입 호스의 호스 권회부를 배치했을 때에는, 흡입 호스는 똑바로 복귀되려고 하여 반경 방향의 외향으로 벌어지려고 한다. 그러나, 호스 권회 지지구는 벌어지려고 하는 호스 권회부를 외주측으로부터 억제할 수 있어, 상기 호스 권회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결과, 호스 권회 지지구는 별개로 결속 밴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흡입 호스의 호스 권회부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호스 권회 지지구에 대한 흡입 호스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에는 흡입 호스의 도중 부위를 감아 설치하고 있으므로, 호스를 둥글게 하는 것만으로 호스 권회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는 작동유 탱크 또는 연료 탱크의 상면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주위에 작업 시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적어, 흡입 호스를 넓은 스페이스에서 취급할 수 있어, 이 점에서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에는 상기 흡입 호스가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흡입 호스의 호스 권회부를 간격을 갖고 걸어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유 지지 아암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복수개의 보유 지지 아암은 흡입 호스가 벌어지지 않도록 호스 권회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취급성,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는 판 형상체로 이루어져 상기 탱크의 상면에 설치되는 설치 부재와, 막대 형상체를 대략 J자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설치 부재에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고착된 복수개의 보유 지지 아암에 의해 구성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대략 J자 형상을 이룬 보유 지지 아암은 호스 권회부가 똑바로 연장되려고 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호스 권회부로 걸어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 권회 지지구의 각 보유 지지 아암은 주행 시나 작업 시에 진동한 경우라도, 호스 권회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탱크에는 상기 흡입 호스 선단부의 흡입구를 보유 지지하는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해,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는 주행 시나 작업 시에 흡입 호스의 선단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입 호스 내로부터 약간 누출되는 잔류 연료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탱크 주위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탱크는 적어도 상면을 갖는 입체 형상의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의 상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는 상기 덮개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해, 호스 권회 지지구는 탱크의 덮개를 이용하여 탱크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덮개와 함께 호스 권회 지지구를 설치, 제거할 수도 있다.
(6).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는 상기 탱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치수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흡입 호스의 권회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해, 호스 권회 지지구가 흡입 호스의 호스 권회부를 지지했을 때에는, 탱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호스 권회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입 호스와 탱크의 접촉, 간섭 등을 방지할 수 있어, 흡입 호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탱크와 호스 권회 지지구, 흡입 호스 사이에 작업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호스 권회 지지구를 설치한 상태로 탱크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7).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체는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선회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작동유 탱크와 연료 탱크는 상기 작동유 탱크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선회 중심측이 되도록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고,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는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면측에 설치하고, 상기 연료 펌프는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방측에 설치하여 그 토출측을 연료 탱크와 접속하고, 또한 상기 흡입 호스는 그 기단부측을 상기 연료 펌프에 접속하고, 그 도중 부위를 상기 작동유 탱크 상에서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에 권회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해, 연료 펌프를 작동유 탱크의 전방측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의 상면측을 호스 권회 지지구의 설치 장소, 호스 권회부의 배치 장소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의 상면측에는, 예를 들어 배터리 등의 다른 기기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을 작업 장치와 외장 커버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상부 선회체의 우측 부분을 탱크 커버를 개방한 상태로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작동유 탱크, 연료 펌프, 흡입 호스, 호스 권회 지지구,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 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작동유 탱크, 호스 권회 지지구,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 4와 동일한 위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작동유 탱크, 호스 권회 지지구,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작동유 탱크, 호스 권회 지지구,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 6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작동유 탱크, 호스 권회 지지구,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호스 권회 지지구와 흡입 호스의 호스 권회부를 도시하는 도 3 중 주요부 확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작동유 탱크의 상부 후방측 부분과 호스 권회 지지구를 분해한 상태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호스 권회 지지구로부터 흡입 호스의 호스 권회부를 제거하여 오일 저장 용기 내의 연료를 보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의한 호스 권회 지지구를 도 9와 동일한 위치에서 본 주요부 확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를 도 3과 동일한 위치에서 본 주요부 확대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 하부 주행체(차체)
3 : 상부 선회체(차체)
5 : 선회 프레임
6 : 캡
7 : 엔진
8 : 유압 펌프
10 : 외장 커버
11 : 작동유 탱크
12 : 탱크 본체
13 : 덮개
14 : 볼트
15, 41 : 연료 탱크
18 : 연료 펌프
19 : 흡입 호스
19A : 흡입구
19B : 호스 권회부
20 : 토출 호스
21, 31, 21' : 호스 권회 지지구
22, 32, 22' : 설치 부재
23, 33, 23' : 보유 지지 아암
24 : 보호 캡
25, 25' :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
27 : 오일 저장 용기
H, H1, H2 : 높이 치수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고, 도 1 내지 도 11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상기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으로 부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사의 굴착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차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는 선회 동작했을 때에 주위의 장해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서 볼 때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선회체(3)는 지지 구조체를 구성하는 동시에 전방부에 작업 장치(4)가 설치된 선회 프레임(5)과, 상기 선회 프레임(5)의 좌측 전방측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6)과, 상기 선회 프레임(5)의 후방측에 수평 상태로 탑재된 엔진(7)과, 상기 엔진(7)의 좌측에 설치된 유압 펌프(8)와, 상기 엔진(7)의 우측에 설치된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등의 열교환기(9)와, 상기 캡(6)의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후술하는 작동유 탱크(11), 연료 탱크(15), 연료 펌프(18), 흡입 호스(19)와, 이들 기기를 덮도록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외장 커버(10)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장 커버(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6)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엔진(7) 등을 덮는 엔진 커버(10A)와, 캡(6)의 우측에 설치되어, 작동유 탱크(11), 연료 탱크(15), 연료 펌프(18) 등을 덮는 탱크 커버(10B)에 의해 대 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 커버(10B)는 전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 후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기 탱크 커버(10B)를 전방측으로 개방했을 때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11), 연료 탱크(15), 연료 펌프(18), 흡입 호스(19) 등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어, 연료 탱크(15)로의 연료의 보급을 행할 수 있다.
부호 11은 작동유 탱크를 나타내고, 상기 작동유 탱크(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중심(O)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작동유 탱크(11)는 내부에 유압 펌프에 공급하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유 탱크(11)는 후술하는 탱크 본체(12)와 덮개(13)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부호 12는 작동유 탱크(11)를 구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상면을 갖는 입체 형상의 탱크 본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탱크 본체(12)는 유압 펌프를 향해 효율적으로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탱크 본체(12)에는, 예를 들어 강판, 수지 재료 등을 사용하여 전, 후방향 및 상, 하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구조체로 하여 고강도로 형성되어 있다. 즉, 탱크 본체(12)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판(12A), 후방면판(12B), 좌측면판(12C), 우측면판(12D), 상면판(12E), 하면판(12F)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면판(12A)과 상면판(12E) 사이의 코너 위치는 운전석(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우측 전방의 시야를 넓히기 위해 경사면(12G)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면판(12E)에는 내부를 수리, 점검하기 위 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13은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의 개구부를 폐색하기 위해 상기 상면판(12E) 상에 설치된 덮개이다. 이 덮개(13)는, 복수개, 예를 들어 6개의 볼트(14)를 사용하여 설치,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중 2개는 후술하는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상면(13A)에 고정하는 경우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3)의 상면(13A)은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에 대해 높이 치수(H1)의 위치에 있다. 또한, 덮개(13)의 중앙에는 작동유의 점검을 행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캡(13B)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유 탱크(11)는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중심(O)측에서, 캡(6)과 연료 탱크(15) 사이의 좁은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동유 탱크(11)는 충분한 양의 작동유를 저장할 수 있도록, 도 1 중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탱크(15)에 비교하여 탱크 본체(12)가 큰 높이 치수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 상은 외장 커버(10)를 구성하는 탱크 커버(10B)를 개방했을 때에, 대략 평탄하고 가장 높은 위치로 되고, 그 주위는 장해물이 없는 넓은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부호 15는 연료 탱크를 나타내고, 상기 연료 탱크(15)는 작동유 탱크(11)에 대해 차체의 폭 방향의 우측에 인접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탑재되어 있다. 이 연료 탱크(15)는 내부에 엔진(7)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수지 재료를 사용한 성형 가공, 강판을 사용한 용접 등에 의해 직육면체 형상의 밀폐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15)의 전방측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5A)로 되고, 상기 돌출부(15A)의 상면측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6)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5A)의 전방측에는 레벨 센서(17)가 설치되고, 상기 레벨 센서(17)는 급유 시에 탱크가 가득 찬 것에 가까운 것을 알리는 것으로, 예를 들어 투명한 튜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유 탱크(11)와 연료 탱크(15)의 배치 관계에 대해 서술하면, 작동유 탱크(11)와 연료 탱크(15)는 인접한 상태로, 상부 선회체(3)의 좌, 우방향(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작동유 탱크(11)는 캡(6)에 근접하여,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중심(O)측에 설치되고, 연료 탱크(15)는 상부 선회체(3)의 외주측[선회 중심(O)으로부터 먼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15)는 작동유 탱크(11)보다도 높이 치수가 낮게 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후술하는 배터리(26)가 배치되어 있다.
부호 18은 연료 탱크(15)의 근방이 되는 작동유 탱크(11)의 전방측에 배치된 연료 펌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료 펌프(18)는 작동유 탱크(11)와 연료 탱크(15)의 어느 쪽으로부터 보아도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펌프(18)는 후술하는 보급용 오일 저장 용기(27)로부터 연료 탱크(15)로 연료를 주입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플런저 펌프, 기어 펌프, 트로코이드 펌프, 베인 펌프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료 펌프(18)는 설치 브래킷(18A)을 통해 선회 프레임(5)에 고정되어, 스위치(18B)에 의해 운전, 정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펌프(18)의 흡입구에는 후술하는 흡입 호스(19)가 접속되고, 토출구(모두 도시하지 않음)에는 토출 호스(20)가 접속되어 있다.
부호 19는 연료 펌프(18)에 접속된 흡입 호스로, 상기 흡입 호스(19)는 오일 저장 용기(27) 내의 연료를 연료 펌프(18)를 향해 흡입하는 것이다. 또한, 흡입 호스(19)는 긴 고무제, 수지제 등의 가요성의 호스로 이루어져, 기단부측이 연료 펌프(18)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흡입 호스(19)의 선단부는 연료를 흡입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흡입구(19A)로 되고, 상기 흡입구(19A) 내에는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와, 흡입 호스(19) 내에 잔류한 연료의 유출(역류)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흡입 호스(19)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의 주위에 배치된 드럼통 등의 오일 저장 용기(27)까지 도달하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흡입 호스(19)는,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도중 부위를 환 형상으로 감아 호스 권회부(19B)를 형성하고, 이 호스 권회부(19B)를 후술하는 호스 권회 지지구(21)에 지지함으로써, 당해 흡입 호스(19)를 탱크 커버(10B)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는 큰 원환 형상(직경 치수)을 갖고, 예를 들어 1주 반 감아 돌리는 것이므로, 감기려고 하는 성질이 생기기 어려워, 용이하게 둥글게 하거나, 똑바로 신장할 수 있다. 또한, 호스 권회부(19B)의 권취수는 흡입 호스(19)의 길이에 따라서,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보유 지지 아암(23)의 크기에 따라서 바뀌는 것이다.
부호 20은 연료 펌프(18)에 접속된 토출 호스로, 상기 토출 호스(20)는 그 기단부측이 연료 펌프(18)의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토출 호스(20)는 상 측으로 연장된 선단측의 접속구(20A)가 연료 탱크(15)의 돌출부(15A) 상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연료 펌프(18)의 흡입 호스(19)를 지지하는 데 사용하는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구성에 대해,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서술한다.
부호 21은 작동유 탱크(11)의 상면측에 설치된 호스 권회 지지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11)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덮개(13)의 상면(13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설치 부재(22)와 보유 지지 아암(23)과 보호 캡(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22는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설치 부재로, 상기 설치 부재(22)는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작동유 탱크(11)에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설치 부재(22)는, 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의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중앙의 아암 설치부(22A)가 상측으로 높이 치수(H2) 돌출된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 부재(22)를 덮개(13)의 상면(13A)에 설치한 경우,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각 보유 지지 아암(23)은 덮개(13)의 높이 치수(H1)와 설치 부재(22)의 아암 설치부(22A)의 높이 치수(H2)의 합계 높이 치수(H)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각 보유 지지 아암(23)에 지지된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를 덮개(13)의 상면(13A)으로부터 상방으로 높이 치수(H)만큼 이격된 위치에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부재(22)의 양단부측에는 볼트 구멍(22B)이 형성되고, 상기 각 볼트 구멍(22B)은 메인터넌스 캡(13B)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2개의 볼트(14)의 설치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설치 부재(22)는 덮개(13)의 상면(13A)에 공통의 볼트(14)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부재(22)는 아암 설치부(22A)의 전방측에 원호 형상의 절결 오목부(22C)를 갖고 있다. 이 절결 오목부(22C)는 덮개(13)의 메인터넌스 캡(13B)을 돌려서 탈착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부호 23은 4개의 보유 지지 아암을 나타내고, 이들 보유 지지 아암(23)은 설치 부재(22)의 아암 설치부(22A)에 대해, 전, 후방향과 좌, 우방향의 4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보유 지지 아암(23)은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를 외주측으로부터 걸어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각 보유 지지 아암(23)은 서로 직교하고, 또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아암 설치부(22A) 상에 용접 등의 고착 수단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보유 지지 아암(23)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한 호스 권회부(19B)가 덮개(13)의 메인터넌스 캡(13B)을 덮어 가리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4개의 보유 지지 아암(23) 중, 덮개(13)의 메인터넌스 캡(13B)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측의 보유 지지 아암(23)은 상기 메인터넌스 캡(13B)을 피하도록 좌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보유 지지 아암(23)은, 예를 들어 흡입 호스(19)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금속제의 둥근 막대를 대략 J자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 세하게는, 각 보유 지지 아암(23)은 설치 부재(22)의 아암 설치부(22A)에 대해 외향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수평부(23A)와, 상기 수평부(23A)의 선단으로부터 굴곡하여 상향으로 연장된 수직부(23B)와, 상기 수직부(23B)의 선단으로부터 내향으로 경사져 절곡된 내측 굽힘부(2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보유 지지 아암(23)은 설치 부재(22)에 대해 수직부(23B)와 내측 굽힘부(23C)가 대략 등간격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보유 지지 아암(23)은 수평부(23A)가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를 하측에서 걸어 지지하고, 수직부(23B)가 굽힘력에 반발하여 벌어지려고 하는 호스 권회부(19B)를 파지하여, 외주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하고 있다. 또한, 호스 권회부(19B)가 수직부(23B)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내측 굽힘부(23C)가 호스 권회부(19B)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부호 24는 각 보유 지지 아암(23)의 내측 굽힘부(23C)에 덮도록 설치된 보호 캡이다. 이 보호 캡(24)은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를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에, 금속제의 보유 지지 아암(23)의 선단에 의해 흡입 호스(19)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부호 25는 작동유 탱크(11)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12)의 경사면(12G)에 설치된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는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를 호스 권회 지지구(21)로 지지하여 고정했을 때에, 선단부인 흡입 호스(19)의 흡입구(19A)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는,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 로 형성되어, 탱크 본체(12)의 경사면(12G)의 우측 단부에 저부를 전방측으로 하여 볼트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는 자유단부로 된 흡입 호스(19)의 흡입구(19A)를 수용함으로써, 주행 시나 작업 시에 흡입 호스(19)의 선단측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닥이 있는 형상의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는 흡입 호스(19) 내로부터 약간 누출되는 잔류 연료를, 주위로 비산하지 않도록 받아낼 수 있다.
부호 26은 연료 탱크(15)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어 작동유 탱크(11)에 의해 지지된 배터리이다. 즉, 이 배터리(26)는 작동유 탱크(11)에 설치되어 작동유 탱크(11)측으로 연장된 지지대(26A)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이 배터리(2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26)는 연료 탱크(15)의 상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작동유 탱크(11)의 하측, 엔진(7)의 전방측 등, 적절한 빈 곳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27은 보급용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드럼통 등의 오일 저장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오일 저장 용기(27)의 상부에는 흡입 호스(19)를 삽입하는 호스 삽입구(27A)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오퍼레이터는 캡(6)에 탑승하여 주행용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에 의해 유압 셔블(1)을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용 조작 레버(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를 부앙 이동시켜 토사의 굴착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연료 탱크(15)에 연료를 보급하는 경우의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용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오일 저장 용기(27)를 운반하여, 예를 들어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 배치한다. 또한, 유압 셔블(1)에서는 외장 커버(10)를 구성하는 탱크 커버(10B)를 개방하여 작동유 탱크(11), 연료 탱크(15), 연료 펌프(18), 흡입 호스(19) 등을 노출시킨다. 이때에, 흡입 호스(19)는 길이 방향의 도중 부위의 호스 권회부(19B)가 작동유 탱크(11) 상의 호스 권회 지지구(2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선단측의 흡입구(19A)는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로부터 흡입 호스(19)의 선단측의 흡입구(19A)를 빼내어, 호스 권회부(19B)를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각 보유 지지 아암(23)으로부터 제거한다. 이와 같이, 흡입 호스(19)는 별도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 호스 권회 지지구(21)로부터 간단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취출한 흡입 호스(19)는 오일 저장 용기(27)를 향해 전방측으로 인장함으로써 호스 권회부(19B)를 간단하게 신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선단의 흡입구(19A)를 오일 저장 용기(27)의 호스 삽입구(27A)에 삽입한다. 이 흡입 호스(19)의 취급에서는, 호스 권회부(19B)를 큰 원환 형상(직경 치수)을 갖고 권회하고 있으므로, 감기려고 하는 성질이 생기기 어려워,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다음에, 흡입 호스(19)의 흡입구(19A)를 오일 저장 용기(27) 내에 삽입하면, 스위치(18B)를 조작하여 연료 펌프(18)를 구동함으로써, 오일 저장 용기(27) 내의 연료를 흡입 호스(19)로부터 흡입하여, 토출 호스(20)를 통해 연료 탱크(15)에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연료 탱크(15)로의 연료의 보급이 종료되면, 흡입 호스(19)를 작동유 탱크(11)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각 보유 지지 아암(23) 내에 수납되도록 권회하여 호스 권회부(19B)를 형성한다. 이 호스 권회부(19B)에는 흡입 호스(19)가 똑바로 연장되려고 하는 힘이 직경 확장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호스 권회부(19B)를 압박력을 갖고 각 보유 지지 아암(23)에 접촉할 수 있어, 주행 시나 작업 시의 진동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입 호스(19)를 감은 상태에서는, 흡입 호스(19)의 흡입구(19A)를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 내에 확실하게 수용하여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는 흡입 호스(19)의 선단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입 호스(19) 내로부터 약간 누출되는 잔류 연료를 받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작동유 탱크(11)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12)의 상면측에는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설치하여,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흡입 호스(19)의 도중 부위를 원환 형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호스 권회부(19B)를, 4개의 보유 지지 아암(23)에 의해 외주측으로부터 걸어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흡입 호스(19)는 그 호스 권회부(19B)를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시 키는 것만으로,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각 보유 지지 아암(23)으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흡입 호스(19)는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각 보유 지지 아암(23) 내에서 도중 부위를 감아 호스 권회부(19B)를 형성함으로써, 호스 권회 지지구(21)에 간단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별개로 결속 밴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호스 권회 지지구(21)에 대한 흡입 호스(19)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연료 탱크(15)에 급유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21)에는 흡입 호스(19)의 도중 부위를 큰 원환 형상으로 권회하여 설치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둥글게 하여 호스 권회부(19B)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흡입 호스(19)의 선단측을 길게 잡아당김으로써 호스 권회부(19B)를 용이하게 신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입 호스(19)에는 감기려고 하는 성질이 생기기 어려워,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탱크 커버(10B) 내에서 가장 높은 장소가 되는 작동유 탱크(11)의 덮개(13) 상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흡입 호스(19)의 탈착 작업을 행할 때에 방해가 되는 것이 적어, 상기 흡입 호스(19)를 넓은 스페이스에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자세를 낮추거나 하지 않고 편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다. 이들의 점에서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호스 권회부(19B)가 똑바로 연장하려고 하는 힘을 이용하여, 직경 확장하려고 하는 호스 권회부(19B)에 압박력을 갖고 각 보유 지지 아암(23)을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주행 시나 작업 시에 진동한 경우라도, 호스 권회부(19B)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호스 권회 지지구(21)에는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 예를 들어 서로 직교하도록 4개의 보유 지지 아암(23)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보유 지지 아암(23)은 진동 등에 대해 호스 권회부(19B)의 원형 형상을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호스 권회부(19B)를 밸런스 좋게 지지할 수 있어, 취급성,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각 보유 지지 아암(23)의 선단측에는 내측으로 구부러진 내측 굽힘부(23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내측 굽힘부(23C)에 의해 호스 권회부(19B)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어, 호스 권회부(19B)를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굽힘부(23C)의 선단에는 보호 캡(2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유 지지 아암(23)의 선단에 의한 흡입 호스(19)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11)의 덮개(13)는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으로부터 높이 치수(H1)의 위치에 있고,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설치 부재(22)의 아암 설치부(22A)를 상측으로 높이 치수(H2)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아암 설치부(22A)에 설치된 각 보유 지지 아암(23)은 덮개(13)의 상면(13A)으로부터 상방으로 높이 치수(H)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 덮개(13)의 상면(13A), 볼트(14) 등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를 권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호스(19)와 작동유 탱크(11)가 접촉하여,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흡입 호스(19)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11)와 흡입 호스(19) 사이에 작업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설치한 상태로 작동유 탱크(11)의 메인터넌스 캡(13B)을 제거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 권회 지지구(21)의 설치 부재(22)에는 절결 오목부(22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메인터넌스 캡(13B)의 착탈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11)에는 흡입 호스(19)의 선단측의 흡입구(19A)를 보유 지지하는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주행 시나 작업 시에 흡입 호스(19)의 선단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는 흡입 호스(19)의 흡입구(19A)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19A)로부터 약간 누출되는 잔류 연료를 받아 들일 수 있어, 작동유 탱크(11) 등의 주위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덮개(13)를 탱크 본체(12)에 설치하기 위한 볼트(14)에 의해 상기 덮개(13)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덮개(13)와 함께 설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전용의 설치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덮개(13)를 설치하기 위한 기존의 볼트(14)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삭감, 조립 작업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작동유 탱크(11)의 상면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작동유 탱크(11)의 상측의 스페이스를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의 배치 장소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흡입 호스(19)를 외장 커버(10)의 탱크 커버(10B) 내에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11) 상에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설치함으로써, 연료 탱크(15)의 상면측에는 배터리(26) 등의 다른 기기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형성하는 보유 지지 아암(23)을,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직교하도록 4개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에 의한 호스 권회 지지구(31)와 같이, 설치 부재(32)의 상면측에 3개의 보유 지지 아암(33)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3개의 보유 지지 아암(33)은 호스 권회부(19B)의 둘레 방향에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덮개(13)의 메인터넌스 캡(13B)을 덮어 가리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보유 지지 아암을 2개 또는 5개 이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둥근 막대를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4개의 보유 지지 아암(23)을 설치 부재(22) 상에 설치함으로써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판재를 십자 형상으로 잘라내어, 4개의 아암 부분을 적절하게 절곡함으로써 4개의 보유 지지 아암을 일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동유 탱크(11)의 상면측에 위치하는 덮개(13) 상에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설치하여, 탱크 본체(12)의 경사면(12G)에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와 같이, 연료 탱크(15)의 상면측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한 호스 권회 지지구(21')와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호스 권회 지지구(21')를 설치 부재(22')와 보유 지지 아암(23')에 의해 구성하여, 이 보유 지지 아암(23')으로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는, 예를 들어 연료 탱크(15)의 하측 등의 빈 곳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덮개(13)를 탱크 본체(12)에 설치하기 위한 볼트(14)를 이용하여 상기 덮개(13)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덮개(13)를 탱크 본체(12)에 설치하는 볼트(14)와는 별개로 설치한 전용의 볼트 등을 사용하여 덮개(13)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호스 권회 지지구(21)는 탱크 본체(12)의 상면판(12E)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한편, 실시 형태에서는 작동유 탱크(11)의 전방측에 연료 펌프(18)를 배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연료 펌프(18)는 상부 선회체(3)에 탑재되는 기기류의 배치 조건에 따라서, 예를 들어 연료 탱크(15)의 전방측 위치, 측방 위치 등의 다른 장소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펌프(18)는 토출 호스(20)를 통해 연료 탱크(15)에 접속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토출 호스(20)를 폐지하여, 연료 펌프(18)의 토출구를 직접적으로 연료 탱크(15)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유압 셔블 이외에도, 예를 들어 유압 크레인, 휠 로더, 트랙터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압 펌프(8)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7)을 탑재한 상부 선회체(3)와, 상기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중심(O)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선회체(3)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 펌프(8)에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11)와, 상기 작동유 탱크(11)와 인접하여 상기 상부 선회체(3)의 폭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기 상부 선회체(3)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7)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5)와, 보급용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27)로부터 상기 연료 탱크(15)로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펌프(18)와, 상기 연료 펌프(18)의 흡입구에 접속하여 설치되어 상기 용기(27) 내의 연료를 상기 연료 펌프(18)를 향해 흡입하는 긴 흡입 호스(19)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18)는 상기 작동유 탱크(11)의 전방측에 설치하여 그 토출구를 상기 연료 탱크(15)와 접속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11)의 상면측에는 상기 흡입 호스(19)의 길이 방향의 도중 부위를 환 형상으로 감아 형성한 호스 권회부(19B)를 지지하는 호스 권회 지지구(21, 31, 21')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흡입 호스(19)는 그 기단부측을 상기 연료 펌프(18)에 접속하고, 그 도중 부위를 상기 작동유 탱크(11) 상에서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21)에 권회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21, 31, 21')에는 상기 흡입 호스(19)가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흡입 호스(19)의 호스 권회부(19B)를 간격을 갖고 걸어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유 지지 아암(23, 33, 23')을 갖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21, 31, 21')는 판 형상체로 이루어져 상기 작동유 탱크(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설치 부재(22, 32, 22')와, 막대 형상체를 대략 J자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설치 부재(22, 32, 22')에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고착된 복수개의 보유 지지 아암(23, 33, 23')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11)에는 상기 흡입 호스(19) 선단부의 흡입구(19A)를 보유 지지하는 흡입구 보유 지지 부재(25, 2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11)는 적어도 상면을 갖는 입체 형상의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의 상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21, 31)는 상기 덮개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권회 지지구(21, 31, 21')는 상기 작동유 탱크(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치수(H)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흡입 호스(19)의 권회부(19B)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7. (19조 보정에 의해 삭제)
KR1020097022509A 2007-08-02 2008-07-22 건설 기계 KR201000489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1913 2007-08-02
JPJP-P-2007-201913 2007-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958A true KR20100048958A (ko) 2010-05-11

Family

ID=4030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509A KR20100048958A (ko) 2007-08-02 2008-07-22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13676B2 (ko)
EP (1) EP2199471B1 (ko)
JP (1) JP5043944B2 (ko)
KR (1) KR20100048958A (ko)
CN (1) CN101680205B (ko)
WO (1) WO2009017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4091B2 (ja) * 2009-03-17 2013-08-0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106711B2 (ja) * 2011-03-02 2012-12-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貯油タンク及び建設車両
JP5631835B2 (ja) * 2011-10-05 2014-11-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265840B2 (ja) * 2014-06-09 2018-01-24 株式会社クボタ タンク装置
US10399710B2 (en) * 2015-03-23 2019-09-03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lexible pressure line twist capsule rotary union for steerable spacecraft radiator
DE102018115036A1 (de) * 2018-06-22 2019-12-24 Weidemann GmbH Arbeitsfahrzeug mit elektrischem Energiespeicher
JP7166202B2 (ja) * 2019-02-28 2022-11-0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8808A (en) * 1945-03-20 1947-04-15 August H Benson Portable fire hydrant
US4064901A (en) * 1976-10-04 1977-12-27 The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Gasoline supply accessory
US5082217A (en) * 1991-03-27 1992-01-21 Deere & Company Hydraulic hose support for an implement
US5349980A (en) * 1993-07-19 1994-09-27 Spiegel Daniel J Service module for an automobile servicing vehicle
AT400053B (de) * 1994-01-13 1995-09-25 Kaiser Ag Fahrzeug mit einem behälter
US5732733A (en) * 1996-01-25 1998-03-31 Lisle Corporation Air hose reel
US6056168A (en) * 1999-03-31 2000-05-02 Owen, Jr.; Robert Davis Fuel tank for a trailer
US6543484B1 (en) * 2000-08-15 2003-04-08 Roderick Highsmith Waste water disposal system
CN1140676C (zh) * 2000-09-18 2004-03-03 日立建机株式会社 施工机械用驾驶室
JP2002089391A (ja) * 2000-09-19 2002-03-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燃料供給装置
JP2002266377A (ja) 2001-03-09 2002-09-18 Komatsu Ltd 建設機械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US6688328B2 (en) * 2002-01-07 2004-02-10 Force America Inc. Valve and tank enclosure assembly
EP1489234B1 (en) * 2002-03-26 2012-02-29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mall swing type shovel
US7025082B1 (en) * 2005-01-04 2006-04-11 Bruce Wood On-board refueling system for vehicles
JP4387983B2 (ja) * 2005-05-30 2009-12-24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作業機械の作動油タン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17076A1 (ja) 2010-10-21
EP2199471A1 (en) 2010-06-23
CN101680205B (zh) 2012-08-22
EP2199471B1 (en) 2014-05-21
US8413676B2 (en) 2013-04-09
WO2009017076A1 (ja) 2009-02-05
CN101680205A (zh) 2010-03-24
EP2199471A4 (en) 2013-06-19
US20100236642A1 (en) 2010-09-23
JP5043944B2 (ja)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264B1 (ko) 건설 기계
KR20100048958A (ko) 건설 기계
US20130071295A1 (en) Work machine
EP2896753B1 (en) Reducing agent tank arrangement in a construction machine
JP4800983B2 (ja) 建設機械
JP2002266377A (ja) 建設機械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H1122574A (ja) 建設機械
US20140000726A1 (en) Hydraulic Oil Tank Attachment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JP2015135000A (ja) 建設機械のツールボックス
JP5631835B2 (ja) 建設機械
JP6765766B2 (ja) 建設機械
JP5895951B2 (ja) 建設機械
JP2014173448A (ja) 建設機械
JP7118933B2 (ja) 建設機械
JP2005232712A (ja) バックホー
JP2002371590A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支持構造
JP2022055033A (ja) 建設機械
JP3461138B2 (ja) 建設機械
JP5153552B2 (ja) 建設機械の機械室
JP2010060121A (ja) 作業機械の作動油タンク
JP2009293545A (ja) 作業車両
JP2016223216A (ja) 建設機械
JP2000314151A (ja) 旋回作業車
JP2011111791A (ja) 燃料供給装置
JPH0740236U (ja) 移動農機の給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