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140B1 -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140B1
KR101055140B1 KR1020040079871A KR20040079871A KR101055140B1 KR 101055140 B1 KR101055140 B1 KR 101055140B1 KR 1020040079871 A KR1020040079871 A KR 1020040079871A KR 20040079871 A KR20040079871 A KR 20040079871A KR 101055140 B1 KR101055140 B1 KR 10105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imaging device
barrel
flexible substrate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7944A (ko
Inventor
타니가와코우이치
하야시테츠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3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6Folded around rigid support or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145Edge details
    • H05K2201/09181Notches in edge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727Leadless chip carrier [LCC], e.g. chip-modules for c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05K3/0061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onto a metallic substrate, e.g. a heat sin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31Leadless components
    • H05K3/3442Leadless components having edge contacts, e.g. leadless chip capacitors, chip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Lens Barre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촬상 소자와 촬상 회로와의 사이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한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촬상 소자(128)의 패키지(128B)의 하면(128C3)에는 복수의 제 1 접속 단자(66)가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129)은 촬상 소자 재치부(70)와, 연출부(72)와, 연결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 재치부(70)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표면에 상기 각 제 1 접속 단자(66)에 합치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 2 접속 단자(68)를 갖고 있다. 금속판(64)은 촬상 소자 재치부(7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배면에서 패키지(128B)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패키지(128B)의 윤곽에 일치시킨 위치에서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렌즈 경통, 촬상 장치

Description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LENS MOUNT AND IMAGING APPARATUS}
도 1은 실시예 1의 촬상 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촬상 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실시예 1의 촬상 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메모리 카드 및 배터리의 수용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촬상 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렌즈 경통(10)을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렌즈 경통(10)을 비스듬히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렌즈 경통(10)의 일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렌즈 경통(10)의 나머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YY선 단면도.
도 12는 렌즈 경통(10)의 좌측 부분의 단면 사시도.
도 13은 렌즈 경통(10)의 우측 부분의 단면 사시도.
도 14는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횡단면도.
도 15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횡단면도.
도 16은 줌용 가동 렌즈군(18),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의 사시도.
도 17은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주요부의 단면 사시도.
도 18은 제 1 경통 분할체(1202), 제 2 경통 분할체(1204), 제 3 경통 분할체(1206)의 단면도.
도 19는 촬상 소자(128)의 부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XX선 단면도.
도 21은 홀더(46)에 부착된 촬상 소자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촬상 소자(128), 플렉시블 기판(129), 금속판(64)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촬상 소자(128), 플렉시블 기판(129), 금속판(64)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A화살로 본 도면.
도 25는 촬상 소자(128)의 제 1 접속 단자(66)과 플렉시블 기판(129)의 제 2 접속 단자(68)의 설명도.
도 26은 촬상 소자(128)의 제 1 접속 단자(66)과 플렉시블 기판(129)의 제 2 접속 단자(68)의 솔더링의 설명도.
도 27은 도 26의 XX선 단면도.
도 28은 촬상 소자(128)와 플렉시블 기판(129)과 금속판(64)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부호의 설명>
64 : 금속판 66 : 제 1 접속 단자
68 : 제 2 접속 단자 70 : 촬상 소자 재치부
100 : 촬상 장치 128 : 촬상 소자
128B : 패키지 129 : 플렉시블 기판
기술분야
본 발명은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부터, 촬상 소자가 경통에 조립된 렌즈 경통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렌즈 경통에서는 많은 경우, 촬상 소자는 그 접속 단자가 딱딱한 프린트 기판상에 솔더링으로 접속되고, 상기 프린트 기판과 경통의 외부에 마련된 촬상 회로와의 사이가 플렉시블 기판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프린트 기판 및 플렉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부재를 통하여 촬상 회로로부터 촬상 소자로 구동 신호가 공급됨과 함께,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가 촬상 회로에 전달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평10-336496호 공보
근래,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의 렌즈 경통에서는 촬상 소자와 촬상 회로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배선 부재로서, 딱딱한 프린트 기판과 플렉시블 기판의 2개의 부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렌즈 경통 및 촬상 장 치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촬상 소자를 소형화하려고 하면, 이들 2개의 부재가 스페이스를 점유하기 때문에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불리함이 있다.
또한, 딱딱한 프린트 기판을 마련하지 않고, 촬상 소자를 직접 플렉시블 기판에 솔더링하는 방법도 있지만,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플렉시블 기판 자체를 소형화하려고 하면, 플렉시블 기판은 그 면적이 작은 경우에 솔더링시에 플렉시블 기판에 가하여지는 열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변형이 조장되는 성질을 가지며, 촬상 소자와 촬상 회로와의 사이의 접속이 확실하게 행하여지지 않는 불리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촬상 소자와 촬상 회로와의 사이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한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경통의 내부에 마련되고 피사체 상을 인도하는 광학계와, 상기 경통의 내부에서 상기 광학계의 광로상에 마련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경통의 외부에 마련된 촬상 회로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갖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촬상 소자는 판형상을 나타내는 패키지와, 상기 패키지의 표면에 임하도록 패키지에 수용된 촬상부와, 상기 패키지의 배면에 마련된 복수의 제 1 접속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촬상 소자 재치부와,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로부터 연장된 연출부와, 상기 연출부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촬상 회로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각 제 1 접속 단자에 합치하는 복수의 제 2 접속 단자를 가지며, 상기 패키지는 각 제 1 접속 단자를 각각 상기 제 2 접속 단자에 솔더링에 의해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에 부착되고, 상기 패키지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패키지와 거의 같은 윤곽이나 또는 상기 패키지가 포함되도록 상기 패키지보다도 큰 윤곽을 갖음과 함께 상기 각 제 1 접속 단자와 상기 각 제 2 접속 단자를 솔더링할 때의 가열시의 온도하에 있어서 강성이 확보되는 성질을 갖는 금속판이 마련되고, 상기 금속판은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의 배면에서 상기 패키지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금속판의 윤곽을 상기 패키지의 윤곽에 합치시킨 위치에서 또는 상기 금속판의 윤곽 내에 상기 패키지의 윤곽이 들어가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경통의 내부에 마련되고 피사체 상을 인도하는 광학계와, 상기 경통의 내부에서 상기 광학계의 광로상에 마련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경통의 외부에 마련된 촬상 회로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갖는 렌즈 경통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로서, 상기 촬상 소자는 판형상을 나타내는 패키지와, 상기 패키지의 표면에 임하도록 패키지에 수용된 촬상부와, 상기 패키지의 배면에 마련된 복수의 제 1 접속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촬상 소자 재치부와,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로부터 연장된 연출부와, 상기 연출부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촬상 회로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각 제 1 접속 단자에 합치하는 복수의 제 2 접속 단자를 가지며, 상기 패키지는 각 제 1 접속 단자를 각각 상기 제 2 접속 단자에 솔더링에 의해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에 부착되고, 상기 패키지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패키지와 거의 같은 윤곽이나 또는 상기 패키지가 포함되도록 상기 패키지보다도 큰 윤곽을 갖음과 함께 상기 각 제 1 접속 단자와 상기 각 제 2 접속 단자를 솔더링할 때의 가열시의 온도하에 있어서 강성이 확보되는 성질을 갖는 금속판이 마련되고, 상기 금속판은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의 배면에서 상기 패키지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금속판의 윤곽을 상기 패키지의 윤곽에 합치시킨 위치에서 또는 상기 금속판의 윤곽 내에 상기 패키지의 윤곽이 들어가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소자가 재치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의 배면에 금속판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 소자의 패키지 및 촬상 소자 재치부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이 극히 소형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제 1 접속 단자와 각 제 2 접속 단자를 솔더링할 때에 촬상 소자 재치부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이 가열되어도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에 변형이 생기는 일 없이, 각 제 1 접속 단자와 각 제 2 접속 단자를 솔더링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촬상 소자와 화상 처리부와의 사이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촬상 소자와 촬상 회로와의 사이를 확실하게 접속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한다 는 목적을 촬상 소자가 재치된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의 배면에 금속판을 부착함에 의해 실현하였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이 촬상 장치에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촬상 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촬상 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실시예 1의 촬상 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메모리 카드 및 배터리의 수용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촬상 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디지털 카메라이고, 외장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케이스(102)를 가지며, 케이스(102)는 전측 케이스(102A)와 후측 케이스(102B)가 합하여저 구성되고, 전측 케이스(102A)에 의해 케이스(102)의 전면이 구성되고, 후측 케이스(102B)에 의해 케이스(102)의 후면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케이스(102)의 좌우는 케이스(102)를 전방에서 본 상태에서 말하는 것으로 한다.
케이스(102)의 우측부에는 도면중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경통(10)이 조립되어 있고, 렌즈 경통(10)에는 대물 렌즈(14)와, 촬상 소자(128)와, 대물 렌즈(14)에서 포착한 피사체 상(像)을 촬상 소자(128)에 인도하는 광학계(104) 등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대물 렌즈(14)와 광학계(104)에 의해 특 허청구의 범위의 광학계가 구성되어 있다.
대물 렌즈(14)는 전측 케이스(102A)에 마련된 렌즈 창(103)을 통하여 케이스(102) 전방에 임하여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2)의 전면 오른편의 개소에는 촬영 보조광을 출사하는 플래시(108), 셀프타이머 램프(110) 등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12)의 전면에는 커버(112)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커버(11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창(103), 플래시(108), 셀프타이머 램프(110)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하한 위치와, 이들 렌즈 창(103), 플래시(108), 셀프타이머 램프(110)를 덮는 상한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케이스(12)의 상면의 왼편 개소에는 셔터 버튼(114), 전원 버튼(116) 등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12)의 후면에는 정지화 및 동화 등의 화상이나 문자나 기호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8)(액정 표시기), 촬영 광학계(104)의 주밍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줌 스위치(120),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십자 스위치(122) 및 복수의 조작 버튼(124)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12)의 좌측면에는 촬상 장치(100)를 정지화 촬영 모드, 동화 촬영 모드, 재생·편집 모드 등으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126)가 마련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2)의 하면에는 정지화 또는 동화 등의 화상 등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132)를 장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메모리 수용실(102A)과, 촬상 장치(100)의 전원을 구성하는 배터리(138)를 장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실(102B)이 케이스(12)의 전후 방향(두께 방향)으로 나열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들 메모리 수용실(102A), 배터리 수용실(102B)은 케이스(102)의 하면에 힌지를 통하여 연결된 개폐 덥개(102C)에 의해 개폐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128)는 광학계(104)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 상을 촬상하는 CCD나 CMOS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128)는 화상 처리부(13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촬상 동작을 행함과 함께, 상기 촬상 소자(128)에서 촬상한 상을 촬상 신호로서 화상 처리부(130)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처리부(130)에 의해 본 발명의 촬상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130)에서는 상기 촬상 신호에 의거하여 정지화 또는 동화의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고, 메모리 카드(기억 매체)(132)에 기록된다. 또한, 상기 화상 데이터는 표시 처리부(134)에 의해 디스플레이(118)에 표시된다.
촬상 소자(128)에서 촬상된 상은 촬상 신호로서 화상 처리부(130)에 출력되고, 화상 처리부(130)에서는 상기 촬상 신호에 의거하여 정지화 또는 동화의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고, 메모리 카드(기억 매체)(132)에 기록된다. 또한, 상기 화상 데이터는 표시 처리부(134)에 의해 디스플레이(118)에 표시된다.
또한, 촬상 장치(100)는 셔터 버튼(114), 십자 스위치(122), 조작 버튼(124), 모드 스위치(126)의 조작에 응하여, 화상 처리부(130), 표시 처리부(134)를 제어하는 CPU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136)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은 렌즈 경통(10)을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렌즈 경통 (10)을 비스듬히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렌즈 경통(10)의 일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렌즈 경통(10)의 나머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YY선 단면도, 도 12는 렌즈 경통(10)의 좌측 부분의 단면 사시도, 도 13은 렌즈 경통(10)의 우측 부분의 단면 사시도, 도 14는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횡단면도, 도 15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횡단면도, 도 16은 줌용 가동 렌즈군(18),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의 사시도, 도 17은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주요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경통(10)은 경통(12)과, 대물 렌즈(14)와, 촬상 소자(128)와, 광학계(10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계(104)는 프리즘(16)과, 줌용 가동 렌즈군(18)과,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과, 제 1의 고정 렌즈군(22)과, 제 2의 고정 렌즈군(24)과, 제 3의 고정 렌즈군(26)과, 줌용 가동 렌즈군(18)용의 안내 기구(28)와,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용의 안내 기구(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줌용 가동 렌즈군(18)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32)과,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34)이 마련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통(12)은 전체로서 폭 및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평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대물 렌즈(14)와 촬상 소자(128)와 광학계(104)는 경통(12)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경통(12)의 길이 방향에 따라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경통(12)은 길이 방향에서 분할된 제 1 경통 분할체(1202) 및 제 2 경통 분 할체(1204)와, 이들 2개의 경통 분할체(1202, 1204)의 사이에 끼여지는 제 3 경통 분할체(1206)로 구성되고, 경통(12)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반부(半部)에 제 1 경통 분할체(1202)가 위치하고, 경통(12)의 길이 방향의 다른쪽의 반부에 제 2 경통 분할체(1204)가 위치하고, 이들 제 1 경통 분할체(1202) 및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사이에 제 3 경통 분할체(1208)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통(12)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경통(12)의 상부에 제 1 경통 분할체(1202)가 위치하고, 경통(12)의 하부에 제 2 경통 분할체(1204)가 위치하고, 경통(12)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제 3 경통 분할체(1208)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촬상 장치(100)의 케이스(102)의 전면에 평행하는 경통(12)의 두께 방향의 한쪽의 면이 경통(12)의 전면이 되고, 케이스(102)의 후면에 평행하는 다른쪽의 면이 경통(12)의 후면이 되고, 경통(12)의 폭방향의 한쪽의 면이 좌측면이 되고, 다른쪽의 면이 우측면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제 1, 제 2, 제 3 경통 분할체(1202, 1204, 1206)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8,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내부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하면으로 개방 상태의 부품 수용 공간(1202A)이 마련되어 있고, 대물 렌즈(14)는 그 전면측에 렌즈 누름(1402)이 위치하고 후면측에 차광테두리(1404)가 위치한 상태로,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전면의 상부이며 또한 폭방향의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다.
프리즘(16)은 대물 렌즈(14)에서 포착한 상을 하부를 향하여(촬상 소자(128) 측으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즘이 이용되고 있다. 프리즘(16)은 부품 수용 공간(1202A)에서 대물 렌즈(14)에 임하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제 1의 고정 렌즈군(22)과 줌용 가동 렌즈군(18)은 부품 수용 공간(1202A) 내에서 프리즘(16)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1의 고정 렌즈군(22)은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부착부에 조립된 렌즈(2202)와, 상기 렌즈(2202)를 상기 부착부에 고정시키는 누름 부재(2204)(차광테두리를 겸한다)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줌용 가동 렌즈군(18)은 제 1의 줌렌즈(1802)와, 서로 맞붙여진 제 2, 제 3의 줌렌즈(1804, 1805)와, 이들 제 1, 제 2, 제 3의 줌렌즈(1802, 1804, 1805)의 외주부를 코킹에 의해 지지한 줌용 렌즈 테두리(1806)를 갖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통(12)의 두께 방향의 양 단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제 3의 줌렌즈(1802, 1804, 1805)의 부분은 각각 노치되고, 이로써 경통(12)의 두께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제 3의 줌렌즈(1802, 1804, 1805)의 양 단에는 경통(12)의 전면 및 후면에 평행하고 직선형상으로 연장하는 연부(緣部)(1808)가 마련되어 있다.
줌용 렌즈 테두리(1806)는 제 1, 제 2, 제 3의 줌렌즈(1802, 1804, 1805)의 주위에 위치하고 이들 제 1, 제 2, 제 3의 줌렌즈(1802, 1804, 1805)를 지지하는 지지부(1810)와, 상기 지지부(1810)로부터 부품 수용 공간(1202A) 내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재부(1812)를 갖고 있다.
지지부(1810)에는 제 1, 제 2, 제 3의 줌렌즈(1802, 1804, 1805)의 연부(1808)에 대응하여 경통(12)의 전면 및 후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부(181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재부(1812)에는 로드 삽통 구멍(1814)이 마련되고, 또한, 경통(12)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1816, 1816)가 마련되고, 이들 플랜지(1816, 1816)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3602, 3602)을 통하여 암나사(3604)를 갖는 암나사 부재(36)가 경통(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연재부(181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지부(1810)의 개소에서 부품 수용 공간(1202A)의 구석부(1202B)(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면과 후면이 교차하는 개소)에 위치한 개소에 계합 홈(1818)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 삽통 구멍(1814)에는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금속제의 메인 가이드 축(38)이 활주(滑動)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상기 메인 가이드 축(38)은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상면을 구성하는 벽부(壁部)와, 제 3 경통 분할체(1206)의 벽부로 지지되어 있다. 메인 가이드 축(38)은 제 1, 제 2, 제 3의 줌렌즈(1802, 1804, 1805)의 광축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 가이드 축(38)은 줌용 가동 렌즈군(18)을 상기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고 있다.
계합 홈(1818)에는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길이 방향으로장하는 서브 가 이드 축(40)이 활주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 가이드 축(40)은 줌용 렌즈(18)가 메인 가이드 축(38)의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서브 가이드 축(40)은 제 1 경통 분할체(120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합성 수지제이다. 서브 가이드 축(40)은 상세하게는 부품 수용 공간(1202A)의 구석부(1202B)로부터 돌출하는 각부(脚部)와, 상기 각부(4002)의 선단에 마련된 축형상 부분(40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브 가이드 축(40)은 제 1, 제 2, 제 3의 줌렌즈(1802, 1804, 1805)의 광축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줌용 가동 렌즈군(18)용의 안내 기구(28)는 이들 메인 가이드 축(38)과 서브 가이드 축(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8,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줌용 가동 렌즈군(18)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32)은 경통(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홀더(3202)와, 홀더(3202)의 상부에 마련된 모터(3204)와, 홀더(3202)에 따라 연장하고 모터(320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수나사 부재(3206)를 갖고 있다.
홀더(3202)는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우측면의 노치부에 부착되고, 이로써 수나사 부재(3206)가 부품 수용 공간(1202A)에 위치하고, 모터(3204)는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상면에 위치한다.
수나사 부재(3206)는 암나사 부재(36)의 암나사(3604)에 나사결합되고, 따라서 모터(3204)의 정역전에 의해 줌용 가동 렌즈군(18)은 메인 가이드 축(38) 및 서브 가이드 축(40)에 안내되면서 그들의 광축 방향에 따라 왕복 이동되고, 줌 동작 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줌용 가동 렌즈군(18)과 메인 가이드 축(38)과 수나사 부재(3206)가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내부에서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폭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서브 가이드 축(40)은 메인 가이드 축(38) 및 수나사 부재(3206)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줌용 렌즈 테두리(1806) 개소에 배치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경통 분할체(1206)는 부품 수용 공간(1202A) 내에 임하는 내부 부분(1206A)과, 부품 수용 공간(1202A) 밖에 위치하는 외부 부분(1206B)를 갖고 있다.
제 2의 고정 렌즈군(24)은 그 광축을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과 일치시켜서 내부 부분(1206A)에 부착되고, 또한, 제 2 고정 렌즈(24)의 후면에 아이리스(조리개)(4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아이리스(42)는 제 3 경통 분할체(1206)의 외부 부분(1206B)에 부착된 구동부(44)에 의해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가이드 축(40)은 제 1 경통 분할체(1202)의 하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경통 분할체(1202)가 제 3 경통 분할체(1206)에 합쳐지는 이음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서브 가이드 축(40)의 돌출 부분(40A)이, 제 3 경통 분할체(1206)의 이음면의 구멍(1206A)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제 1 경통 분할체(1202)와 제 3 경통 분할체(1206)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제 1 경통 분할체(1202)와 제 3 경통 분할체(1206)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44) 부근의 개소에서 나사(202)에 의해 부착되고, 제 2 경통 분할체(1204)와 제 3 경통 분할체(1206)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면 근처의 개소에 의해 나사(204)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내부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개방된 단면이 직사각형의 부품 수용 공간(1204A)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하부에 촬상 소자(128) 부착용의 홀더(46)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부품 수용 공간(1204A)의 하단은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는 홀더(4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과 제 3의 고정 렌즈군(26)은 부품 수용 공간(1204A) 내에서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은 서로 맞붙여진 제 1, 제 2의 포커스 렌즈(2002, 2004)와, 이들 제 1, 제 2의 포커스 렌즈(2002, 2004)를 지지하는 포커스용 렌즈 테두리(2006)를 갖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통(12)의 두께 방향의 양 단에 위치하는 제 1, 제 2의 포커스 렌즈(2002, 2004)의 부분은 각각 노치되고, 이로써 경통(12)의 두께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제 2의 포커스 렌즈(2002, 2004)의 양 단에는 경통(12)의 전면 및 후면에 평행하게 직선형상으로 연장하는 연부(2008)가 마련되어 있다.
포커스용 렌즈 테두리(2006)는 제 1, 제 2의 포커스 렌즈(2002, 2004)의 주 위에 위치하고 이들 제 1, 제 2의 포커스 렌즈(2002, 2004)를 지지하는 지지부(2010)와, 상기 지지부(2010)로부터 부품 수용 공간(1204A) 내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재부(2012)를 갖고 있다.
지지부(2010)에는 제 1, 제 2의 포커스 렌즈(2002, 2004)의 연부(2008)에 대응하여 경통(12)의 전면 및 후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부(201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연재부(2012)에는 로드 삽통 구멍(2014)이 마련되고,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통(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2016, 2016)가 마련되고, 이들 플랜지(2016, 2016)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4802, 4802)을 통하여 암나사(4804)를 갖는 암나사 부재(48)가 경통(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연재부(201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지부(2010)의 개소에서 부품 수용 공간(1204A)의 구석부(1402B)(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면과 후면이 교차하는 개소)에 위치하는 개소에 계합 홈(2018)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 삽통 구멍(2014)에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금속제의 메인 가이드 축(50)이 활주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상기 메인 가이드 축(50)은 그 길이 방향의 양 단이 제 3 경통 분할체(1206)의 벽부와,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하부에 마련된 벽부로 지지되어 있다. 메인 가이드 축(50)은 제 1, 제 2의 포커스 렌즈(2002, 2004)의 광축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 가이드 축(50)은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을 그 포커스용 가동 렌즈(28)의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고 있다.
계합 홈(2018)에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브 가이드 축(52)이 활주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 가이드 축(52)은 포커스용 렌즈(20)가 메인 가이드 축(50)의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서브 가이드 축(52)은 제 2 경통 분할체(120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합성 수지제이다. 서브 가이드 축(52)은 상세하게는 부품 수용 공간(1204A)의 구석부로부터 돌출하는 각부(5202)와, 상기 각부(5202)의 선단에 마련된 축형상 부분(52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브 가이드 축(52)은 제 1, 제 2의 포커스 렌즈(2002, 2004)의 광축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용의 안내 기구(30)는 이들 메인 가이드 축(38)과 서브 가이드 축(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가이드 축(52)은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상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가 제 3 경통 분할체(1206)에 합쳐지는 이음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서브 가이드 축(52)의 돌출 부분(52A)이, 제 3 경통 분할체(1206)의 이음면의 구멍(1206B)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제 2 경통 분할체(1204)와 제 3 경통 분할체(1206)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저 있다.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34)은 경통(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홀더(3402)와, 홀더(3402)의 하부에 마련된 모터(3404)와, 홀더(3402)에 따라 연장하고 모터(340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수나사 부재(3406)를 갖고 있다.
홀더(3402)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우측면의 노치부에 부착되고, 이로써 수나사 부재(3406)가 부품 수용 공간(1204A)에 위치하고, 모터(3404)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하부에 위치한다.
수나사 부재(3406)는 암나사 부재(48)의 암나사(4804)에 나사결합되고, 따라서 모터(3404)의 정역전에 의해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은 메인 가이드 축(50) 및 서브 가이드 축(52)에 안내되면서 그들의 광축 방향에 따라 왕복 이동되고,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과 메인 가이드 축(50)과 수나사 부재(3404)가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내부에서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폭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서브 가이드 축(52)은 메인 가이드 축(50) 및 수나사 부재(306)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포커스용 렌즈 테두리(2006) 개소에 배치되게 된다.
제 3의 고정 렌즈군(26)은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의 하방의 부품 수용 공간(1204A) 개소에 배치되고,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부착부에 조립되는 제 3의 고정 렌즈군(2602)과, 상기 제 3의 고정 렌즈군(2602)을 상기 부착부에 고정시키는 누름 부재(260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 도 12, 도 13,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 수용 공간 (1204A)에 임하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후면 개소에서 제 2 경통 분할체(1204A)의 상단과 제 2의 고정 렌즈군(24)과의 사이의 개소에는 요철부(1204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부품 수용 공간(1204A)에 임하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후면 개소에서 제 3의 고정 렌즈군(26)과 촬상 소자(128)와의 사이의 개소에는 요철부(1204D)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요철부(1204C, 1204D)는 대물 렌즈(14), 프리즘(16), 제 1의 고정 렌즈군(22), 줌용 가동 렌즈군(18), 제 2 고정 렌즈군(24),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을 통하여 진입하여 온 광 중, 부품 수용 공간(1204A)에 임하는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후면 개소에 도달한 광 그 후면 개소에서 반사됨으로써, 이른바 플레어 또는 고스트라고 불리는 반사광이 발생하고, 상기 반사광이 촬상 소자(128)의 수광면에 도달하여 촬상 소자(128)의 촬상 신호에 대해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128)로부터 먼 개소에 마련된 요철부(1204C)의 요철의 간격에 대해 촬상 소자(128)로부터 가까운 개소에 마련된 요철부(1204D)의 요철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요철부(1204C)에 닿는 상기 광의 각도에 대해 요철부(1204D)에 닿는 상기 광의 각도가 보다 작기 때문이고, 이와 같이 요철부(1204C, 1204D)의 요철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제 2 경통 분할체(1204)의 성형시에 금형으로부터의 분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촬상 소자(128)의 부착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9는 촬상 소자(128)의 부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XX선 단면도, 도 21은 홀더(46)에 부착된 촬상 소자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통(12)의 하부에는 촬상 소자(128)를 배설하기 위한 촬상 소자용 부착부(1205)가 마련되어 있다.
촬상 소자용 부착부(1205)는 촬상 소자(128)를 부품 수용 공간(1204A)에 임하게 하는 개구(1204B)와, 상기 개구(1204B)의 주위에 마련된 부착 시트(1204C)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소자(128)는 홀더(46)에 의해 지지되어 촬상 소자 유닛(54)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촬상 소자 유닛(54)이 촬상 소자용 부착부(1205)에 부착됨으로써 촬상 소자(128)가 경통(12)에 배설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128)는 촬상부(128A)와, 상기 촬상부(128A)가 수용된 패키지(128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패키지(128B)는 폭과 상기 폭보다 큰 치수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판형상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폭은 5 내지 10mm 정도, 길이는 10 내지 20mm 정도로 극히 작다.
패키지(128B)는 케이스(128C)와 실 유리(128D)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28C)는 상면(128C1)과, 4개의 측면(128C2)과, 하면(128C3)을 가지며, 상면(128C1)에 오목부(128E)가 형성되고, 촬상부(128A)는 상기 오목부(128E)의 저면에 그 수광면을 상방에 임하게 하여 부착되어 있다. 촬상부(128A)는 예를 들 면, CCD나 CMOS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 유리(128D)는 오목부(128E)를 덮도록 케이스(128C)의 상면(128C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28C)의 하면(128C3)에는 촬상부(128A)와, 전술한 화상 처리부(130)과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 신호 및 촬상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배선 부재로서의 플렉시블 기판(129)이 부착되고, 플렉시블 기판(129)의 배면에는 금속판(64)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128), 플렉시블 기판(129), 금속판(64)에 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46)는 패키지(128B)의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부(4602)와, 테두리부(4602)로부터 돌출하여 촬상부(128A)를 상기 광학계의 광로에 임하게 한 상태로 부착 시트(1204C)에 부착되는 부착판부(4604)와, 테두리부(4602)에 마련된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를 갖고 있다.
테두리부(4602)는 패키지(128B)의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대향하는 2세트의 변부(邊部)를 갖고서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세트의 변부는 패키지(128B)의 측면의 외방으로 임하는 하벽(4608)과, 하벽(4608)의 상부에 접속되고 패키지(128B)의 상면의 상방으로 연장하는 상벽(4610)을 갖고 있다.
상벽(4610)의 하벽(4608) 가까운 부분에는 상방을 향한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의 상면(4612)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판부(4604)는 상기 2세트의 변부중의 한쪽의 1세트의 변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부착판부(4604)에는 나사 삽통 구멍(4614)이 형성되고, 부착판부(4604)의 양측과 하벽(4608)은 보강 리브(46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는 상기 2세트의 변부중의 다른 방향의 1세트의 변부의 하벽(4608)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는 패키지(128B)의 측면(128C2)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가로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는 하벽(4608)의 하단에 개방 상태로 형성되고, 패키지(128B)의 측면(128C2)의 연장 방향에 간격을 두고 3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의 패키지(128B)의 측면(128C2)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하벽(4608)의 하단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점차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서로 대향하여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부(4604A)의 사이는 하벽(4608)의 하단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점차로 커지는 치수로 형성되고, 한 쌍의 연부(1604A)는 경사하고 있다.
테두리부(4602)의 상기 2세트의 변부의 상벽(4610)의 내측에서 패키지(128B)의 상면 주위에 테두리형상의 실 고무(56)가 배설되고, 실 고무(56)의 내측에 촬상부(128A)에 임하는 공간(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57)을 폐색하도록 실 고무(56)의 상단에 테두리형상의 차광 시트(58)를 통하여 판형상의 필터(60)가 배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60)는 로우패스 필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필터(60)는 상벽(4610)에 부착된 누름 부재(62)에 의해 차광 시트(58)를 통 하여 실 고무(56)의 상단을 꽉 누르도록 배설되어 있고, 실 고무(56)는 필터(60)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누름 부재(62)는 상기 누름 부재(62)의 계합 홈(6202)에 상벽(4610)의 계합 폴(4611)이 걸어맞추어짐으로써 홀더(46)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공간(57)은 실 고무(56), 차광 시트(58), 필터(60) 등에 의해 폐색되고, 먼지 등의 침입이 방지되어 있다.
다음에, 홀더(46)를 이용한 촬상 소자 유닛(54)의 조립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조립 치구 등을 이용하여 촬상 소자(128)를 홀더(46)에 대해 위치 결정한다.
즉, 예를 들면, 플렉시블 기판(129)에 부착된 촬상 소자(128)와, 홀더(46)를 도시하지 않은 조립 치구에 부착하고, 촬상 소자(128)의 패키지(128B)의 4개의 측면(128C2)에 대해 홀더(46)의 하벽(4608)을 평행시키면서 패키지(128B)의 상면의 상방에 홀더(46)을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홀더(46)의 부착판부(4604)를 기준으로 하여 촬상 소자(128)의 위치, 즉 패키지(128B)의 위치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소자 유닛(54)이 촬상 소자용 부착부(1205)에 부착된 때에, 촬상부(128A)의 수광면의 중심이 상기 광학계의 광축과 일치하고, 또한, 상기 광축과 직교하도록 촬상 소자(128)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위치 조정은 소정의 테스트 차트(테스트 패턴)를 촬상 소자(128)로 촬상 시키고, 상기 촬상 소자(128)로부터 얻어진 촬상 신호에 의거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정이 완료되었으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조정이 이루어진 촬상 소자(128)와 홀더(46)을 반전시킨다.
그리고, 홀더(46)의 각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에 접착제 도포용의 실린지 등에 의해 UV 경화형 접착제(S)가 충전된다.
이 때, 각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는 하벽(4608)의 하단에 개방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반전시킴에 의해각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은 상방으로 개방 상태로 되기 때문에, UV 경화형 접착제(S)의 충전이 용이하며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UV 경화형 접착제(S)는 패키지(128B)의 측면(128C2)과 각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와의 사이, 및, 측면(128C2)과 각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의 주위의 하벽(4608) 내면과의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된다.
뒤이어, 각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에 충전된 UV 경화형 접착제(S)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때, 각 접착제 충전용 노치부(4606)는 홀더(46)의 하벽(4608)의 외측에 노출하고 있으며,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키지(128B)의 측면(128C2)과 홀더(46)의 하벽(4608)과의 사이는 상방으로 개방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된 UV 경화형 접착제(S)에 대한 자외선의 조사가 용이하며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이로써, 촬상 소자(128)와 홀더(46)는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접착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촬상 소자(128)가 접착된 홀더(46)에 대해 실 고무(56), 차광 시트(57), 필터(60), 누름 부재(62)를 조립한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46)의 테두리부(4602)의 상기 2세트의 변부의 상벽(4610)의 내측에서 패키지(128B)의 상면 주위에, 테두리형상의 실 고무(56), 실 고무(56), 차광 시트(58)를 상기 순번으로 재치하여 가고, 뒤이어 누름 부재(62)를 상벽(4610)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촬상 소자 유닛(54)이 조립된다.
경통(12)의 촬상 소자용 부착부(1205)에 대한 촬상 소자 유닛(54)의 부착은 경통(12)의 개구(1204B)에 홀더(46)의 상벽(4610) 부분을 삽입하고, 경통(12)의 부착 시트(1204C)에 촬상 소자 유닛(54)의 부착판부(4604)를 맞닿게 하고, 나사 삽통 구멍(4614)에 삽통한 나사를 부착 시트(1204)의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하여 체결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촬상 소자용 부착부(1205)와 촬상 소자 유닛(54)에는 예를 들면, 노크 핀과, 상기 노크 핀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 구멍 등의 종래 공지의 위치 결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경통(12)의 개구(1204B)에 홀더(46)의 상벽(4610) 부분을 삽입하고, 경통(12)의 부착 시트(1204C)에 촬상 소자 유닛(54)의 부착판부(4604)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촬상 소자(128)와, 플렉시블 기판(129)과, 금속판(64)과의 부착 구조 및 조립에 관해 설명한다.
도 22는 촬상 소자(128), 플렉시블 기판(129), 금속판(64)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촬상 소자(128), 플렉시블 기판(129), 금속판(64)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A화살로 본 도면, 도 25는 촬상 소자(128)의 제 1 접속 단자(66)와 플렉시블 기판(129)의 제 2 접속 단자(68)의 설명도, 도 26은 촬상 소자(128)의 제 1 접속 단자(66)과 플렉시블 기판(129)의 제 2 접속 단자(68)의 솔더링의 설명도, 도 27은 도 26의 XX선 단면도, 도 28은 촬상 소자(128)와 플렉시블 기판(129)과 금속판(64)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B화살로 본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128)의 패키지(128B)의 케이스(128C)의 하면(128C3)(배면)에는 복수의 제 1 접속 단자(66)가 마련되어 있다.
각 제 1 접속 단자(66)는 케이스(128C)의 하면(128C3)이 대향하는 1세트의 긴변 개소에 그 긴변의 연장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5,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8C)의 하면(128C3)의 대향하는 1세트의 긴변 개소에 상기 긴변의 연장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반원통형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반원통형상 오목부는 케이스(128C)의 하면(128C3)에 반원형상으로 개구되고, 케이스(128C)의 측면(128C2)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 1 접속 단자(66)는 이들의 원통형상 오목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에 접속하는 하면(128C) 개소에 마련된 도금층(660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129)은 촬상 소자(128)가 재치되는 촬상 소자 재치부(70)와,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70)로부터 연장된 연출부(72)와, 연출부(72)의 선단에 마련되고 화상 처리부(130)에 연결되는 연결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 재치부(70)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 (129)의 부분의 표면에 상기 각 제 1 접속 단자(66)에 합치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 2 접속단자(68)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소자 재치부(7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 및 연출부(72)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폭은 패키지(128B)의 폭과 거의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소자 재치부(7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 및 연출부(72)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폭은 패키지(128B)의 폭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접속 단자(68)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표면에 마련된 도금층(6802)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제 2 접속 단자(68)는 촬상 소자 재치부(7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폭방향의 양측에서 촬상 소자 재치부(7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128)의 패키지(128B)는 각 제 1 접속 단자(66)를 각각 제 2 접속 단자(68)에 솔더링에 의해 접속시킨 상태로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에 부착되고, 즉 패키지(128B)는 촬상 소자 재치부(70)에 부착되어 있다.
금속판(64)은 패키지(128B)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패키지(128B)와 거의 같은 윤곽이나 또는 상기 패키지(128B)가 포함되도록 상기 패키지(128B)보다도 큰 윤곽을 갖고 있다.
금속판(64)은 촬상 소자 재치부(7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 의 배면에서 패키지(128B)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패키지(128B)의 윤곽에 일치시킨 위치에서, 또는 상기 금속판(64)의 윤곽 내에 패키지(128B)의 윤곽이 들어가는 위치에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판(64)은 패키지(128B)의 폭과 거의 같은 치수의 폭 및 패키지(128B)의 길이와 거의 같은 치수의 길이로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패키지(128B)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금속판(64)의 윤곽과 패키지(128B)의 윤곽은 일치하고 있다.
또한, 금속판(64)은 각 제 1 접속 단자(66)와 각 제 2 접속 단자(68)를 솔더링할 때의 가열시의 온도하에 있어서 강성이 확보되는 성질을 갖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금속재료로서 알루미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출부(72)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표면에는 촬상 소자(128) 및 화상 처리부(130)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수수하는 예를 들면 촬상 신호를 증폭하는 전자 회로 등을 갖는 프린트 기판(78)이 실장된다.
또한, 상기 프린트 기판(78)을 사용하지 않고, 플렉시블 기판(129)에 부품 등을 직접 실장하여 상기 전자 회로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3,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출부(72)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과 촬상 소자 재치부(7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과의 경계가 굴곡되고, 프린트 기판(78)이 실장된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배면과 금속판(64)가 중합되어 부착되어 있다.
촬상 소자(128)와 플렉시블 기판(129)과 금속판(64)과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패키지(128B)를 촬상 소자 재치부(70)에 부착하기 전에, 우선, 금속판(64)을 촬상 소자 재치부(7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배면에 부착한다.
이 경우, 금속판(64)은 플렉시블 기판(129)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각 제 2 접속단자(68)가 상기 금속판(64)의 긴변에 따른 개소에 위치하도록 부착된다.
뒤이어, 촬상 소자 재치부(70)의 각 제 2 접속 단자(68)에 솔더링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그 상태로 패키지(128B)를 각 제 1 접속 단자(66)를 각 제 2 접속 단자(68)에 합치시켜서 촬상 소자 재치부(7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표면에 재치한다. 이로써, 각 제 1 접속 단자(66)와 각 제 2 접속 단자(68)의 쌍방에 상기 솔더링 페이스트가 부착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리플로 방식에 의해 상기 솔더링 페이스트를 가열 용융하고, 각 제 1 접속 단자(66)와 각 제 2 접속 단자(68)를 솔더링한다.
이와 같은 솔더링에 의해, 도 26,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제 1 접속 단자(66)와 각 제 2 접속 단자(68)와의 사이가 솔더(H)에 의해 접속된 상태로 되고, 이로써, 도 28(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키지(128B)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금속판(64)의 윤곽과, 패키지(128B)의 윤곽이 합치한 상태에서, 패키지(128B)가 촬상 소자 재치부(70)에 부착된다.
뒤이어, 연출부(72)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표면에 프린트 기판(78)을 실장하고, 연출부(72)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과 촬상 소자 재치부(70)을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과의 경계를 굴곡하고, 도 23,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78)이 실장된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배면과 금속판(64)을 중합시켜서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촬상 소자(128)와 플렉시블 기판(129)과 금속판(64)이 조립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금속판(64)은 플렉시블 기판(129)의 촬상 소자 재치부(70)의 배면에서 패키지(128B)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금속판(64)의 윤곽을 패키지(128B)의 윤곽에 합치시킨 위치에서 또는 상기 금속판(64)의 윤곽 내에 패키지(128B)의 윤곽이 들어가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소자(128)의 패키지(128B) 및 촬상 소자 재치부(7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이 극히 소형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제 1 접속 단자(66)와 각 제 2 접속 단자(68)를 솔더링할 때에 촬상 소자 재치부(7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이 가열되어도 상기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에 변형이 생기는 일 없이, 각 제 1 접속 단자(66)와 각 제 2 접속 단자(68)를 솔더링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플렉시블 기판(129)의 점유 스페이스를 삭감하면서 렌즈 경통(10) 및 촬상 장치(100)의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솔더링 시에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에 가하여지는 열이 금속판(64)에 의해손 평균화되어 각 제 1 접속 단자(66)와 각 제 2 접속 단자(68)에 전해지기 (때문에, 솔더링의 품질을 향상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금속판(64)가 플렉시블 기판(129)을 끼우고 촬상 소자(128)의 패키지(128B)의 배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촬상 소자(128)에 영향을 주는 불필요 복사를 억제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특히 금속판(64)를 어스함에 의해 불필요 복사의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기판(78)이 실장된 플렉시블 기판(129)의 부분의 배면과 금속판(64)이 중합되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78)에 영향을 주는 불필요 복사를 억제하는데도 유리하게 되고, 상기 경우에도 금속판(64)을 어스함에 의해 불필요 복사의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나 텔레비전 카메라 등 촬상 장치에 물론 적용 가능하다.

Claims (6)

  1. 경통의 내부에 마련되고 피사체 상을 인도하는 광학계와,
    상기 경통의 내부에서 상기 광학계의 광로상에 마련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경통의 외부에 마련된 촬상 회로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갖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촬상 소자는 판형상을 나타내는 패키지와, 상기 패키지의 표면에 임하도록 패키지에 수용된 촬상부와, 상기 패키지의 배면에 마련된 복수의 제 1 접속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촬상 소자 재치부와,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로부터 연장된 연출부와, 상기 연출부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촬상 회로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각 제 1 접속 단자에 합치하는 복수의 제 2 접속 단자를 가지며,
    상기 패키지는 각 제 1 접속 단자를 각각 상기 제 2 접속 단자에 솔더링에 의해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에 부착되고,
    상기 패키지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패키지와 같은 윤곽이나 또는 상기 패키지가 포함되도록 상기 패키지보다도 큰 윤곽을 갖음과 함께 상기 각 제 1 접속 단자와 상기 각 제 2 접속 단자를 솔더링할 때의 가열시의 온도하에 있어서 강성이 확보되는 성질을 갖는 금속판이 마련되고,
    상기 금속판은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의 배면에서 상기 패키지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금속판의 윤곽을 상기 패키지의 윤곽에 합치시킨 위치에서 또는 상기 금속판의 윤곽 내에 상기 패키지의 윤곽이 들어가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폭과 상기 폭보다 큰 치수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를 구성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은 상기 패키지의 폭과 같은 치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폭과 상기 폭보다 큰 치수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를 구성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 및 상기 연출부를 구성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은 상기 패키지의 폭과 같은 치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폭과 상기 폭보다 큰 치수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판형상으 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은 상기 패키지와 같은 치수의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를 구성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의 표면에 상기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회로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수수하는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프린트 기판이 실장되고, 상기 연출부와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와의 경계의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이 굴곡되고 상기 프린트 기판이 실장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의 배면과 상기 금속판이 중합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6. 경통의 내부에 마련되고 피사체 상을 인도하는 광학계와,
    상기 경통의 내부에서 상기 광학계의 광로상에 마련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경통의 외부에 마련된 촬상 회로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갖는 렌즈 경통을 구비한 촬상 장치로서,
    상기 촬상 소자는 판형상을 나타내는 패키지와, 상기 패키지의 표면에 임하도록 패키지에 수용된 촬상부와, 상기 패키지의 배면에 마련된 복수의 제 1 접속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촬상 소자 재치부와,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로부터 연장된 연출부와, 상기 연출부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촬상 회로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각 제 1 접속 단자에 합치하는 복수의 제 2 접속 단자를 가지며,
    상기 패키지는 각 제 1 접속 단자를 각각 상기 제 2 접속 단자에 솔더링에 의해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에 부착되고,
    상기 패키지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패키지와 같은 윤곽이나 또는 상기 패키지가 포함되도록 상기 패키지보다도 큰 윤곽을 갖음과 함께 상기 각 제 1 접속 단자와 상기 각 제 2 접속 단자를 솔더링할 때의 가열시의 온도하에 있어서 강성이 확보되는 성질을 갖는 금속판이 마련되고,
    상기 금속판은 상기 촬상 소자 재치부의 배면에서 상기 패키지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금속판의 윤곽을 상기 패키지의 윤곽에 합치시킨 위치에서 또는 상기 금속판의 윤곽 내에 상기 패키지의 윤곽이 들어가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40079871A 2003-10-20 2004-10-07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KR101055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59894 2003-10-20
JP2003359894A JP3827089B2 (ja) 2003-10-20 2003-10-20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944A KR20050037944A (ko) 2005-04-25
KR101055140B1 true KR101055140B1 (ko) 2011-08-08

Family

ID=3438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871A KR101055140B1 (ko) 2003-10-20 2004-10-07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57829B2 (ko)
EP (1) EP1526716A3 (ko)
JP (1) JP3827089B2 (ko)
KR (1) KR101055140B1 (ko)
CN (1) CN1285941C (ko)
TW (1) TWI2804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366A (ja) * 2004-11-04 2006-05-25 Konica Minolta Opto Inc レンズ鏡胴及び該レンズ鏡胴を備えたカメラ並びにレンズ鏡胴の組立方法
JP4771520B2 (ja) * 2005-05-25 2011-09-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JP4684771B2 (ja) * 2005-06-30 2011-05-18 Hoya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
US7848638B2 (en) * 2005-10-11 2010-12-07 Fujiflim Corporation Lens assembly, lens mov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KR100861687B1 (ko) * 2006-11-21 2008-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줌 트래킹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7783184B2 (en) 2006-02-15 2010-08-24 Lg Electronics Inc. Optical zoom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optical zoom tracking method
JP4237790B2 (ja) * 2006-08-24 2009-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WO2008082008A1 (en) * 2007-01-05 2008-07-10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P2104967B1 (en) 2007-01-06 2012-04-18 Apple Inc. Headset connector for selectively routing signals depending on determined orientation of engaging connector
EP2426825B1 (en) * 2007-01-06 2017-12-20 Apple Inc. Wireless headset comprising a housing and an earbu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using by a flexible circuit board
JP4893948B2 (ja) * 2007-02-21 2012-03-0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08245244A (ja) 2007-02-26 2008-10-09 Sony Corp 撮像素子パッケージ、撮像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レンズ鏡筒並びに撮像装置
JP2009109904A (ja) * 2007-10-31 2009-05-21 Sony Corp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4964842B2 (ja) * 2008-08-07 2012-07-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及びカメラの焦点調節方法
US8730386B2 (en) 2008-09-11 2014-05-20 Panasonic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metal main frame as assembly basis
JP2011097415A (ja) * 2009-10-30 2011-05-12 Casio Computer Co Ltd 電子部品の実装構造、及び電子機器
EP2368360A1 (en) * 2010-01-08 2011-09-2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A camera f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camera
JP5693085B2 (ja) * 2010-08-18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12145501A1 (en) 2011-04-20 2012-10-26 Magna Electronics Inc. Angular filter for vehicle mounted camera
CN108449533B (zh) 2011-08-02 2020-07-28 马格纳电子系统公司 车辆摄像机系统
US9871971B2 (en) 2011-08-02 2018-01-16 Magm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light baffling system
JP5575101B2 (ja) * 2011-12-26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素子保持装置、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6057538B2 (ja) * 2012-04-27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6592875B2 (ja) * 2014-05-14 2019-10-23 株式会社ニコン 焦点調節装置、カメラおよび光学機器
US11243375B2 (en) 2016-10-28 2022-02-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JP7163121B2 (ja) * 2018-09-27 202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11698525B2 (en) * 2019-09-06 2023-07-11 Tdk Taiwan Corp.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CN213182169U (zh) * 2019-11-01 2021-05-11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5073A1 (en) 2000-06-16 2001-12-27 Kohji Shinomiya Solid state imaging apparatus
JP2002330319A (ja) 2001-04-27 2002-11-15 Kyocera Corp 撮像素子モジュールの実装構造
US20030025824A1 (en) 1997-05-23 2003-02-06 Koji Ishikawa Image pickup device incorporating a position defin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82180B (en) * 1996-07-15 2000-02-11 Sony Corp Camera lens
GB9928025D0 (en) * 1999-11-27 2000-01-26 Vlsi Visi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mage sensor devices and endoscopes incorporationg improved image sensor devices
US6956615B2 (en) * 2000-01-28 2005-10-18 Pentax Corporation Structure for mounting a solid-state imaging device
US6898030B1 (en) * 2004-06-17 2005-05-24 Prodisc Technology Inc. Camera lens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5824A1 (en) 1997-05-23 2003-02-06 Koji Ishikawa Image pickup device incorporating a position defining member
US20010055073A1 (en) 2000-06-16 2001-12-27 Kohji Shinomiya Solid state imaging apparatus
JP2002330319A (ja) 2001-04-27 2002-11-15 Kyocera Corp 撮像素子モジュールの実装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27089B2 (ja) 2006-09-27
KR20050037944A (ko) 2005-04-25
TW200527029A (en) 2005-08-16
US7057829B2 (en) 2006-06-06
JP2005124099A (ja) 2005-05-12
CN1285941C (zh) 2006-11-22
US20050083590A1 (en) 2005-04-21
CN1609647A (zh) 2005-04-27
EP1526716A2 (en) 2005-04-27
TWI280432B (en) 2007-05-01
EP1526716A3 (en)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140B1 (ko)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JP5040412B2 (ja) 撮像素子パッケージ、撮像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レンズ鏡筒並びに撮像装置
US7860390B2 (en) Imaging element package, imaging element module and lens barrel,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JP4280779B2 (ja) 撮像装置
US7715128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6311232A (ja) 撮像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54310A (ja) 撮像素子ユニット、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6330388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デジタルカメラ
CN102768454A (zh) 摄像设备
JP4582407B2 (ja) 撮像素子ユニット、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9063392B2 (en) Imaging unit
JP2005121912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3222174B2 (ja) 撮像装置
JP4793285B2 (ja) 撮像素子パッケージ、撮像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レンズ鏡筒並びに撮像装置
JP4560383B2 (ja) レンズユニット
EP1531617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with image pickup apparatus
JP5083101B2 (ja) 撮像素子ユニット、撮像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レンズ鏡筒並びに撮像装置
JP4893948B2 (ja) 撮像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4873134B2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200914569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024073990A (ja) レンズ鏡筒
JP5430071B2 (ja) 光学素子の保持機構および撮像装置
JP2005121882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405376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JP2005121930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