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551B1 - 피아노의 타현장치 - Google Patents

피아노의 타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551B1
KR101054551B1 KR1020057017457A KR20057017457A KR101054551B1 KR 101054551 B1 KR101054551 B1 KR 101054551B1 KR 1020057017457 A KR1020057017457 A KR 1020057017457A KR 20057017457 A KR20057017457 A KR 20057017457A KR 101054551 B1 KR101054551 B1 KR 10105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keyboard
piano
rail
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208A (ko
Inventor
무네오 이시다
미츠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08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0063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14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486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8427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87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20661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482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4/008755 external-priority patent/WO2004114275A1/ja
Publication of KR2006002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Abstract

건반의 연주 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를 제공한다. 건반(3)의 연주 측과는 반대 측 상부에서 건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한쪽 끝이 피아노 본체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개방 단측이, 자중으로 건반(3)의 윗면에 접촉하여 건반(3)에 하중을 걸도록 구성된 긴 형태의 무게 추(21)를 건반(3)마다 갖추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타현 장치를 분해하여 건반(3)을 빼지 않고, 무게 추(21)를 교환하여 건반(3)에 걸리는 정하중을 조정할 수가 있다.
없음

Description

피아노의 타현장치{STRING-STRIKING DEVICE FOR PIANO}
본 발명은, 건반을 조작할 때 건반의 연주 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조정할 수 있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건반(110), 전달부(120) 및 해머부(130)로 이루어진 피아노의 타현장치(10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종래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반(110)을 누를 때의 건반(110)의 연주 측 선단(111)에 걸리는 정하중을 조정하기 위해, 건반(110)의 연주 측 선단(111)의 측면(112)에 구멍을 만들고, 그 구멍에 납(115)으로 된 추(115)를 달았다. 그리고, 음색에 맞추어, 저음 측에서 고음 측으로 서서히 건반(110)의 정하중이 가벼워지도록, 납(115)의 무게를 조정하였다.
이 정하중은, 피아노의 연주자에게 건반(110)의 터치감으로 느껴지며, 이 조정여하에 따라 피아노의 좋고 나쁨이 결정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연주자의 기량이나 기호에 따라 신중하게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통상, 저음 측의 현은, 고음 측의 현에 비해 굵기 때문에, 저음 측의 현을 두드리는 해머(131)는, 고음 측의 해머(131)보다도 크고 무거운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정하중은 납(115)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도 저음 측이 무겁지만, 그 상태로는 두드리는 현의 개수가 다른 건반(110)이 서로 이웃하는 부분 등에서는, 다른 부 분에 비해 서로 이웃하는 건반(110) 간의 정하중의 차가 특히 큰 문제가 있다.
정하중의 조정은, 이러한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정하중이 고음 측에서 저음측으로 적정범위 내에서 자연스럽게 늘어나도록, 납(115)의 무게를 선정하여 각 건반(110)에 납(115)을 제작하여, 각 납(115)을 각 건반(110)에 달아서 조정되어 진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실공소 53-2321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피아노가 조립된 후, 건반의 연주 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조정하려면, 납(115) 또는 납(115)과 건반(110)의 양쪽 모두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타현장치(100)을 분해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따라서, 피아노를 조립한 후에 연주자의 숙련도에 따라 정하중을 조정하기가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서 착안 된 것으로, 건반의 연주 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본 발명의 피아노의 타현 장치는, 피아노 건반의 연주 측과는 반대 측 상부에서 건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한쪽 끝이 피아노 본체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개방단측이 자중으로 건반의 윗면에 접촉하여 건반에 하중을 걸도록 구성된, 긴 형태의 무게 추를 건반마다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무게 추는 건반에 하중을 걸고 있기 때문에, 무게 추의 중량을 변경하면 건반의 정하중을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무게 추는 건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건반에 달린 납을 교환하는 경우와 비교해, 용이하게 무게 추의 중량을 변경할 수 있어 건반의 정하중을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 다른 효과로는, 본 발명을 업라이트 피아노에 적용하면 그랜드 피아노에 가까운 터치감을 얻을 수 있다. 왜냐하면, 무게 추는 그랜드 피아노의 해머부의 운동과 비슷하여, 연주자가 건반을 누른 직후에는 건반의 움직임에 연동하고, 연주자가 건반을 꾹 눌러서 건반의 운동이 정지하면 그 후에는 건반에서 떨어져 단독으로 운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건반의 상부에 무게 추를 단순히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연주자가 건반을 세게 눌렀을 때에 무게추가 크게 튀어 올라 다시 건반에 접촉하는 상태로 돌아오기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연주자에게 위화감을 느끼게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무게 추의 상부에서 복수의 무게 추를 걸치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며, 복수의 무게 추의 윗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긴 형태의 스톱퍼 레일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톱퍼 레일을 마련하면, 무게추가 다시 건반에 접촉하는 상태로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스톱퍼 레일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가 있으므로, 연주자에게 양호한 터치감을 줄 수가 있다.
그러나, 정하중을 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무게 추의 중량을 변경하여 조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거기에, 무게 추를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마련하여, 그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무게 추를 건반에 대응해 이동시켜서, 정하중을 조정하는 방법도 있다.
무게 추를 건반에 대응해 이동시켜서 정하중을 조정할 수 있는 이유는, 무게 추를 이동시킴에 따라, 건반이 무게 추로부터 받는 하중의 작용점과 건반의 지점(즉, 받침쇠의 접촉 위치)과의 거리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무게 추를 바꾸지 않고 정하중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하중의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연주자의 연령이나 기호 등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무게 추가 정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일시적으로 없애고 싶은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요망을 용이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으면 된다. 즉, 무게 추와 건반 사이에 복수의 건반을 걸치도록 배치되며, 무게 추를 들어올림으로써 무게추가 건반에 접촉 가능한 통상 위치에서 무게 추를 건반으로부터 떼어 놓는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피아노 본체에 고정된, 긴 형태의 리프팅 레일을 마련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무게 추가 건반에 대응해 접촉하지 않는 퇴피 위치(退避位置)까지 리프팅 레일을 상승시킴으로써, 건반에 무게 추에 의한 하중이 걸리지 않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또 반대로, 무게추가 건반에 접촉하는 통상 위치까지 리프팅 레일을 하강시키면, 건반에 무게 추에 의한 하중이 걸리는 상태를 만들 수가 있다. 즉, 상술한 무게 추를 떼어내거나 교환하지 않고, 용이하게 정하중을 2단계로 전환할 수 있는 피아노를 제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리프팅 레일을 위아래로 올리고 내리는 변환 조작은 피아노의 겉판을 떼어내고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되지만, 한쪽 끝이 리프팅 레일에 접속되고, 다른 쪽 끝이 피아노의 바깥쪽으로 빠져나온 접속 부재를 마련하며, 그 접속 부재의 다른 쪽 끝을 피아노의 외부에서 조작하여 리프팅 레일을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연주자가 피아노의 겉판을 떼어내지 않고, 리프팅 레일의 위치(즉, 건반에 가해지는 정하중)를 바꿀 수가 있어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접속 부재의 다른 쪽 끝은, 연주용 페달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연주중에 건반의 정하중을 다양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피아노는, 종래의 피아노에서는 낼 수 없었던 센 혹은 약한 연주 음을 낼 수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다른 연주용 페달(소프트 페달, 소스테누토 페달, 뎀퍼 페달)과 나란하게 배치하면 된다.
그런데, 무게 추가 건반과 접촉하는 부분은, 가령 앞쪽 끝을 둥글게 한 형태를 하고있어도 되지만, 무게 추의 중량에 따라서는 건반과의 사이에 과잉 마찰이 발생하여 건반의 터치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무게 추의 중량을 변경하지 않고 무게 추와 건반과의 사이에 마찰을 경감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무게 추가 건반과 접촉하는 부분은, 건반의 윗면을 전동가능한 롤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무게 추의 접촉부와 건반과의 사이의 마찰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접촉부의 마모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무게 추가 건반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무게 추와 마주보는 건반의 표면에 드롭 스크류를 설치하고, 이 드롭 스크류로 무게 추를 들어올리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 드롭 스크류와 마주보는 무게 추의 밑면에는, 드롭 스크류가 무게 추와 직접마찰하는 경우보다도 마찰력을 적게 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마찰 저감층을 적층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무게 추와 드롭 스크류의 사이에 마찰력이 생겨, 그 마찰력에 의해, 무게 추의 무게 이상으로 정하중을 늘릴 수 있는 한편으로, 드롭 스크류가, 무게 추 위를 직접 미끄러지게 하는 경우에 비해, 매끄럽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원활하게 무게 추를 누를 수 있다.
그러나, 마찰 저감층을 하나의 재료로 형성하면, 드롭 스크류와 무게 추와의 접점이 무게 추의 요동 중심인 회전축에 가까워짐에 따라, 급격하게 정하중이 무겁게 되기도 하고, 정하중을 조정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마찰저감층은, 무게 추의 요동 중심인 회전축에 가까울수록, 마찰력을 적게 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외관상 정하중이 거의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므로, 정하중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으로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는, 피아노 건반의 연주 측과는 반대 측 상부에서 건반의 길이 방향에 따라 건반마다 배치됨과 동시에, 한쪽 끝이 피아노 본체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개방단측이 자중으로 건반의 윗면에 접촉해서 건반에 하중을 걸도록 구성된 긴 형태의 무게 추와, 무게 추의 상부에서 복수의 무게 추를 걸치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그 복수의 무게 추의 윗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밑면이 연주측과 반대 측 방향으로 나감에 따라 윗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과, 무게 추를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등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피아노의 타현 장치에 따르면, 이동수단이 조작되어 무게 추가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건반의 지점(받침쇠)에서 무게 추에 따른 하중이 걸리는 건반의 부위까지의 거리가 변화한다. 따라서, 이동수단을 조작함으로써 건반의 연주 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변경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수단이 조작됨으로써 무게 추의 상측의 요동범위(즉 회전 한도각)가 변화한다. 왜냐하면,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의 밑면이 연주 측과 반대 측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윗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무게 추를 연주 측과 반대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무게 추의 상측 요동범위를 크게 할 수가 있으며, 거꾸로, 무게 추를 연주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무게 추의 상측 요동범위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이 결과,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윗 방향으로의 회전을 시작한 무게 추가 다시 건반에 하중을 걸기까지의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즉, 건반을 누른 후에 연주자가 느끼는 터치감도 변경할 수가 있다.
그리고, 건반의 윗면이고, 무게 추가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진 경우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무게 추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드롭 스크류가 설치되어있게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이 드롭 스크류의 형태는 일반적인 스크류와 같은 형태를 가진 것이다.
이와 같은 피아노의 타현 장치에 따르면, 이동수단이 조작되어 무게 추가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건반의 지점(받침쇠)에서 무게 추에 따른 하중이 걸리는 건반의 부위까지의 거리는 변화하지 않게 되지만, 무게 추의 요동지점으로부터, 무게 추와 드롭 스크류의 접촉점까지의 거리가 변화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피아노 타현 장치라도, 이동수단을 조작하여 건반의 연주 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는 동작에 따라 무게 추가 윗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면 무게 추는 운동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무게 추가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에 닿으면, 이 운동 에너지가 충격이나 음이나 열 등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피아노의 그것이라 하는 현이 해머에 의해 두드려졌을 때 나는 소리를 즐기는 악기에 있어서는, 무게 추가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에 닿을 때 나는 소리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의 밑면에 방음재를 부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무게 추가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에 닿을 때 발생하는 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1]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업라이트 피아노의 타현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무게 추의 주변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 도 3은 제 2 실시형태의 그랜드 피아노의 타현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도 4는 제 3 실시형태의 업라이트 피아노의 타현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도 5는 제 3 실시형태의 건반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6] 도 6은 제 4 실시형태의 업라이트 피아노의 타현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도 7은 제 4 실시형태의 업라이트 피아노의 타현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도 8은 무게 추의 위치변화에 따른 정하중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도 9는 제 5 실시형태의 그랜드 피아노의 정면도이다.
[도 10] 도 10은 업라이트 피아노의 타현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종래의 그랜드 피아노의 타현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 설명하겠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업라이트 피아노의 타현 장치(1)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현 장치(1)는, 주로, 건반(3), 전달부(5)(일부 도시) 및 해머부( 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건반(3)의 움직임을, 해머부가 현(도시하지 않음)을 두드리는 타현 운동으로 바꾸는 기능을 한다.
이 중, 건반(3)은, 피아노 1대당 88건반이 설치되며, 받침쇠(7)을 지점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건반(3)은 건반이 눌러지면 건반(3)의 연주자 측의 반대 측이 상승하여, 그 건반을 누르는 동작을 전달부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건반을 누르는 동작은, 건반(3)의 연주자 측과 반대 측 선단에 설치된 캡스턴 와이어(9) 끝의 캡스턴 버튼(11)을 통하여 전달부(5)로 전달되며, 그리고 다시 해머부로 전달된다. 이하, 건반(3)의 연주자 측(도 1 우측)을 앞 측, 그 반대 측(도 1 좌측)을 내측이라 한다.
건반(3)의 내측 상부에는, 복수의 건반(3)을 걸치도록 긴 형태의 스톱퍼 레일(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쪽 끝이 브라켓(15)(도시하지 않음)으로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톱퍼 레일(13)의 내측에는, 건반(3)마다 상하 방향으로 긴 후렌지(17)의 상부가 나사로 조여져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렌지(17)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축(19)에 무게 추(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또한, 무게 추(21)는, 건반(3)과 평행하게, 회전축(19)이 내측이 되고 앞 측이 움직이도록 장치되어 있다.
무게 추(21)의 윗면에는, 무게 추(21)가 스톱퍼 레일(13)과 접촉했을 때 발생하는 소리를 경감시키기 위한 펠트(2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무게 추(21) 아랫면의 앞 측에는 건반(3)에 접촉하는 접촉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 (25)가 접촉하는 건반(3)의 윗면에도, 접촉시의 소리를 경감하기 위한 펠트(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무게 추(21)의 측면에는 무게 추(21)의 중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납으로 이루어진 추(29)가 박혀있다.
무게 추(21)의 내측 아래에는, 복수의 무게 추(21)를 들어올리기 위한, 내부가 텅 빈 긴 형태의 리프팅 레일(31)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리프팅 레일(31)의 주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팅 레일(31)은, 건반(3)의 배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리프팅 레버(32)에 의해 양쪽 끝 및 중간 수 개소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리프팅 레버(32)는, 무게 추(21)와 마찬가지로 스톱퍼 레일(13)에 후렌지(17)를 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리프팅 레일(31) 윗면에는, 무게 추(21)와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펠트(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프팅 레일(31)의 한쪽 끝 하부에는, 데크(34)를 관통하여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늘어나는 밀대(35)가 설치되어 있다.
밀대(35)의 상단에는 리프팅 레일(31)과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고무 캡(37)이 장착되어, 그 중심부에는 더 돌출된 형태로 금속제의 핀(39)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리프팅 레일(31) 측에는, 그 핀(39)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만들어져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밀대(35)의 하단에는, L자 모양의 형상을 하고, 한쪽 끝 측에서 밀대(35)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L자형 금구(41)가 설치되어, L자형 금구(41)는 그 각 부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L자형 금구(41)의 다 른쪽 끝에는, 와이어(도시하지 않음)가 장치되고, 와이어의 끝에는 핸들(도시하지 않음)이 장치되어 있는데, 이 핸들은 앞 측으로 당기거나, 내측으로 되돌릴 수가 있으며, 고정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따라 각각의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현장치(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연주자에 의해 건반(3)이 눌려지면, 건반(3)의 내측이 상승하여, 선단에 설치된 캡스턴 와이어(9)와 함께 그 끝의 캡스턴 버튼(11)이 상승하고, 건반(3)의 운동이 전달부(5)로 전달된다. 그와 동시에, 건반(3)이, 무게 추(21)의 접촉부(25)를 통하여, 무게 추(21)를 윗쪽으로 들어올린다. 그 결과, 무게 추(21)는, 회전축(19)을 축으로 하여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톱퍼 레일(13)에 닿을 때까지 회전운동을 한다. 그리고, 무게 추(21)는 스톱퍼 레일(13)에 닿으면 일단 회전운동을 멈추고, 그 후, 무게 추(21)는 중력에 끌려 화살표(A)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축(19)을 축으로 하여 접촉부(25)가 건반(3)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운동을 한다.
또한, 전술한 도시하지 않은 핸들을 앞 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L자형 금구(41)가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여 밀대(35)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고, 리프팅 레일(31)이 위쪽으로 이동되어 무게 추(21)를 들어올린다. 그 결과, 건반(3)을 누르더라도 건반(3)이 무게 추(21)의 접촉부(25)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핸들을 내측으로 되돌림으로써, L자형 금구(41)가 화살표(B)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밀대(35)를 아래쪽으로 내려, 리프팅 레일(31)과 무게 추(21)가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그 결과, 무게 추(21)가 건반(3)에 접촉하게 되어, 건반(3)에 하중이 걸린다. 이하, 이 상태의 리프팅 레일(31)의 위치를 통상 위치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현 장치(1)에 있어서는, 무게 추(21)는, 타현 장치(1)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그 단일체, 또는 후렌지(17)와 함께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건반(3)에 걸리는 정하중을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건반을 처음 누를 때는 무게 추(21)에 의해 건반(3)에 하중이 걸려 있으나, 건반(3)을 완전히 눌러서 건반(3)의 운동이 일단 정지하면, 무게 추(21)는 건반(3)에서 떨어져서 스톱퍼 레일(13)에 닿을 때까지 단독으로 운동한다. 따라서, 무게 추(21)의 운동은, 그랜드 피아노의 해머부의 운동과 유사하며, 그랜드 피아노에 가까운 터치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시하지 않는 핸들을 당겨, 통상 위치에 있는 리프팅 레일(31)을 무게 추(21)가 건반(3)에 대응하여 접촉하지 않는 퇴피 위치까지 상승시키면, 건반(3)에 무게 추(21)에 의한 하중이 걸리지 않는 상태를 만들 수 있고, 반대로, 퇴피 위치에 있는 리프팅 레일(31)을 무게 추(21)가 건반(3)에 접촉하는 통상 위치까지 하강시키면, 건반(3)에 무게 추(21)에 의한 하중이 걸리는 상태를 만들 수가 있다. 즉, 무게 추(21)를 교환하지 않고, 건반(3)에 걸리는 정하중을 2단계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피아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 레일(31)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변환 조작은, 피아노의 외부에 장치된 핸들을 조작해서 할 수 있기 때문에, 피아노의 겉판을 떼어낼 필요 없이, 외부에서 건반(3)에 걸리는 정하중의 변환 조작을 할 수가 있어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그랜드 피아노의 타현 장치(51)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현 장치(51)는, 주로 건반(3), 전달부(5)(일부 도시) 및 해머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는 동작에 의한 건반(3)의 움직임을, 해머부가 현(도시하지 않음)을 두드리는 타현 운동으로 바꾸는 기능을 한다.
이 중, 건반(3)은, 피아노 1대당 88건반이 설치되며, 받침쇠(7)를 지점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 건반(3)은 앞 측(도 3 우측)을 누르면 건반(3)의 내측(도 3 좌측)이 상승하여, 그 누름 동작을 전달부(5)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건반을 누르는 동작은, 건반(3)의 내측에 설치된 캡스턴 스크류(47)를 통하여 전달부(5)로 전달되며, 전달부(5)를 통하여 해머부로 전달된다.
스톱퍼 레일(13)은, 받침쇠(7)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된다. 그리고, 스톱퍼 레일(13)의 앞 측에 후렌지(17)가 장치되며, 그 후렌지(17)의 회전축(19)에 무게 추(21)가 움직일 수 있도록 장치된다. 즉, 무게 추(21)는, 내측이 움직일 수 있도록 장치될 것이다.
무게 추(21)의 내측의 하부에는, 더 내측으로 늘어나는 연장롯드(43)와, 그 선단에 롤러(45)가 설치되어, 건반(3)의 윗면을 구르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롤러(45)가 접하는 건반(3)의 윗면에는, 롤러(45)와 건반(3)이 접촉했을 때에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펠트(49)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팅 레일(31)은 제 1 실시형태와 달리, 무게 추(21)의 앞 측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밀대(35)와 L자형 금구(41)가 설치되며, L자형 금구(41)의 밀대(35)와는 반대 측 한 끝에는,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가 장치된다. 그리고, 그 와이어의 끝에는 도시하지 않은 핸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현 장치(5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연주자에 의해 건반(3)이 눌러지면, 건반(3)의 내측이 상승하여, 캡스턴 스크류(47)를 통하여, 건반(3)의 운동이 전달부(5)로 전달된다. 그와 동시에, 건반(3)이 롤러(45)와 연장롯드(43)를 통하여, 무게 추(21)를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그 결과, 무게 추(21)는, 회전축(19)을 축으로 하여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톱퍼 레일(13)에 닿을 때까지 회전운동을 한다. 그리고, 무게 추(21)는 스톱퍼 레일(13)에 닿으면 일단 회전운동을 멈추고, 그 후에, 중력에 끌려 화살표(C)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축(19)을 축으로 하여 롤러(45)가 건반(3)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운동을 한다.
또한, 전술한 도시하지 않은 핸들을 앞 측으로 당김으로써, L자형 금구(41)가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하여 밀대(35)를 위쪽으로 밀어올리고, 리프팅 레일(31)이 위쪽으로 이동되어 무게 추(21)를 들어올린다. 그 결과, 건반(3)을 누르더라도 건반(3)이 롤러(45)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핸들을 내측으로 되돌림으로써, L자형 금구(41)가 화살표(D)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밀대(35)를 아래쪽으로 내려, 리프팅 레일(31)과 무게추(21)가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그 결과, 롤러(45)가 건반(3)에 접촉하여 무게 추(21)의 하중이 건반(3)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현 장치(51)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무게 추(21)의 내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늘어나는 연장롯드가 장치되어 있으므로, 무게 추(21)가 건반의 지점(받침쇠)에 가까운 경우라도, 효과적으로 건반(3)에 하중을 걸 수가 있다. 그리고, 연장롯드(43)의 선단 부분, 즉, 건반(3)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롤러(45)가 장치되어 있으므로, 무게 추(21)의 회전축(19)과, 건반(3)의 회전 중심(즉 받침쇠(7))을 어떠한 위치관계에 배치하더라도, 건반(3)이 원활하게 동작하며, 양호한 터치감을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업라이트 피아노의 타현 장치(71)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현 장치(71)의 무게 추(21)는, 제 1 실시형태의 타현 장치(1)의 무게 추(21)(도 1 참조)와는 설치 방향이 다르다. 타현 장치(71)의 무게 추(21)는, 내측(도 4의 좌측)으로 연장 배치되어, 회전축(19)을 축으로 하여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배치에 맞추어 스톱퍼 레일(13) 등도 설치 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타현 장치(1)의 무게 추(21)의 아랫면에는 접촉부(25)(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본 제 3 실시형태의 무게 추(21)에는, 접촉음을 경감하기 위한 펠트(89)가 아랫면에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펠트(89) 대신에 크로스나 고무로 해도 된다.
그리고, 무게 추(21)는, 그 바로 아래 건반(3)의 윗면에 장치된 드롭 스크류(85)(캡스턴 스크류)에 의해 지지 되도록 되어 있다. 이 드롭 스크류는, 건반(3)에 대응하여 죄고 풀고 하면서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드롭 스크류(85)의 무게 추(21)와의 접촉부는 둥그스름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무게 추(21)에 펠트(89)가 장치되어 있었지만, 드롭 스크류(85)의 무게 추(21)와의 접촉부에 접촉음 방지를 위한 펠트를 장치해도 된다.
스톱퍼 레일(13)은, 판 모양의 레일 지지부재(73)에 의해 양끝 및 중간 부분(브레이크 부분)이 지지 되고 있다. 그리고, 레일 지지부재(73)는 각각 슬라이드 레일(75)의 상 레일(75a)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 존재하는 슬라이드 레일(75)은 각각이 유사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그 중 하나에 대해서 설명한다.
슬라이드 레일(75)은, 데크(34) 위에 건반(3)에 평행하게, 상술한 레일 지지부재(73)의 밑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75)은, 상 레일(75a)과 하 레일(75b)로 구성되는데, 그 중 하 레일(75b) 쪽은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 레일(75b)과 상 레일(75a)의 사이에는 양자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 레일(75a)은 하 레일(75b)의 위를, 내측과 앞측(도 4의 우측)의 사이를 자유롭게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 레일(75a)의 슬라이드를 따라 상 레일(75a)에 고정되어 있는 레일 지지부재(73)도 내측과 앞 측의 사이를 이동하며, 이 이동에 따라서 스톱퍼 레일(13) 및 스톱퍼 레일(13)에 장착되어 있는 후렌지(17) 및 무게 추(21) 등도 이동한다. 또한, 복수 존재하는 슬라이드 레일(75) 중 가장 바깥 측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75)의 상 레일(75a)의 앞 측 선단에는 후렌지(77)가 설치되어있고, 후렌지(77)에 장치된 아암핀(79)이, 후술할 아암(81)에서 주어지는 상 레일(75a)의 슬라이드 방향 이외의 힘을 떨어뜨려, 아암(81)과 상 레일(75a)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아암(81)은, 복수 존재하는 슬라이드 레일(75) 중의 가장 바깥 측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75)의 상 레일(75a)에만 장치되어 있다. 즉, 아암(81)은 2개 존재한다. 아암(81)의 각각의 한쪽 끝은, 데크(34)의 밑면에 마련된 취부부(83)에 있어서 연결 샤프트(87)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그 결과, 2개의 아암(81)은 연결 샤프트(87)를 통하여 연동한다. 한편, 아암(81)의 다른 쪽 끝은 데크(34)의 하부에서 데크(34)를 관통하여 건반(3)까지 늘어나 있다. 그리고, 2개의 아암(81) 중 한쪽은, 더욱더 케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피아노의 바깥쪽까지 돌출되어 있어, 연주자가 피아노를 열지 않고 아암(81)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현 장치(7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연주자가 아암(81)을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 레일(75a)이 내측으로 슬라이드 하며, 그 슬라이드에 따라 레일 지지부재(73), 스톱퍼 레일(13), 후렌지(17) 및 무게 추(21)가 내측(화살표(F)에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연주자가 아암(81)을 화살표(E)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 레일(75a)이 앞측으로 슬라이드 하며, 그 슬라이드에 따라 레일 지지부재(73), 스톱퍼 레일(13), 후렌지(17) 및 무게 추(21)가 앞측(화살표(F)에 나타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연주자가 아암(81)을 조작하여 무게 추(21) 등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무게 추(21)의 작용점이 이동된다. 그 결과, 건반(3)에 걸리는 정하중을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2개의 아암(81)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중 한쪽을 피아노의 바깥쪽에서 조작하는 것만으로 모든 무게 추(21)를 균일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건반(3)을 위쪽에서 본 도면을 이용하여 무게 추(21)와 드롭 스크류(85)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5는 저음 측의 건반(3), 무게 추(21) 및 드롭 스크류(85)를 한 쌍만 빼낸 것을 위쪽에서 본 도면이며, 도 5(a)는 무게 추(21)가 앞측에 있는 경우, 도 5(b)는 무게 추(21)가 내측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건반(3)은, 저음 측의 건반(3)이기 때문에, 중간부(3b)로 굴절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으나, 고음 측의 건반(3)은, 도 5와는 반대 측으로 굴절되어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무게 추(21)를 건반(3)의 연주 부분(3a)과 평행하게 이동시켜도, 드롭 스크류(85)에 의해 무게 추(21)를 지지할 수가 있다. 이것이, 제 1 실시형태의 타현 장치(1)와 같이, 무게 추(21)의 요동 측 선단에 접촉부(25)가 설치되어 있으면, 무게 추(21)를 건반(3)의 연주 측과 평행하게 이동시켰을 때 에, 접촉부(25)가 건반(3)의 윗면에서 벗어나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드롭 스크류(85)를 건반(3)에 장치함으로써, 무게 추(21)를 건반(3)의 연주 부분(3a)과 평행하게 이동시켜도 되고, 건반(3)의 내측 부분(3c)과 평행하게 이동시키지 않아도 된다. 그래서, 저음 측의 건반(3)과 고음 측의 건반(3)으로 무게 추(21)의 이동 방향을 바꾸는 복잡한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제 3 실시형태의 무게 추(21)는, 제 1 실시형태의 무게 추(21)와는 설치 방향, 즉 움직이는 측이 반대이다. 이 결과, 제 1 실시형태의 타현 장치(1)와 비교해서 본 제 3 실시형태의 타현 장치(71)는, 건반(3)이 눌려졌을 때에 무게 추(21)와 건반(3)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크다. 이하, 그 이유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반이 눌려졌을 때, 제 1 실시형태의 무게 추(21)의 접촉부(25)는 원호(L)를 따라 움직여 지며, 접촉부(25)에 접촉하는 건반(3)의 부위는 원호(M)를 따라 움직여 진다. 이와 같이 원호(L)와 원호(M)는 거의 탄젠트 상태이기 때문에 양원호의 접점 부근에서는, 접촉부(25)와 그 접촉부(25)에 접촉하는 건반(3)의 부위는, 운동 궤적에 그다지 차이가 없다.
한편, 본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롭 스크류(85)는 원호(Q)를 따라 움직여 지고, 드롭 스크류(85)에 접촉하는 무게 추(21)의 부위는 원호(P)를 따라 움직여 진다. 그래서, 양원호의 교점 부근이더라도, 드롭 스크류(85)와 그 드롭 스크류(85)에 접촉하는 무게 추(21)의 부위는, 운동 궤적이 크게 다르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타현 장치(1)에 비해 본 제 3 실시형태의 타현 장치(71) 쪽이, 무게 추(21)와 건반(3)(정확하게는 드롭 스크류(85))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크다. 그래서,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무게 추(21)를 설치하면, 무게 추(21)의 무게 이상으로 정하중을 늘릴 수가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 추(21)와 드롭 스크류(85)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따라, 무게 추(21)의 무게 이상으로 정하중을 늘릴 수가 있다. 그러나, 도 8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점선으로 나타낸 그래프), 드롭 스크류(82)와 무게 추(21)의 접점이 무게 추(21)의 요동중심인 회전축에 가까워짐에 따라, 급격하게 정하중이 무거워지는 수가 있어, 정하중을 조정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래서, 무게 추의 요동중심인 회전축에 가까운 펠트(마찰 저감층)일 수록 마찰력이 적은 펠트로 형성하는 것, 즉, 앞 측의 펠트(89a)를 내측의 펠트(89b)보다 마찰력이 적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찰력이 급격하게 증가 되는 것이 억제되며(도 8의 실선으로 표시한 그래프), 외관상 정하중이 거의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기 때문에, 정하중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앞 측 펠트(89a)는, 예컨데 인공 피혁(人工皮革)으로 구성하고, 내측 펠트(89b)는, 가령 인공 피혁보다 값이 싼 니들펠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펠트(89)의 재료로서 2종류의 마찰저항이 다른 재료를 사용했지만, 3종류 이상의 마찰저항이 다른 재료를 사용하고, 내측에서 앞 측으로 가면서 마찰저항이 적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펠트(89)는, 무게 추(21)의 밑면 전체에 적층 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드롭 스크류(85)가 접촉하는 부분에 조금이라도 적층 되어 있으면 된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제 3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은, 타현 장치(91) 중에서 무게 추(21)의 주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의 타현 장치(91)와 제 3 실시형태의 타현 장치(71)의 주된 차이점은, 스톱퍼 레일(13)의 유무와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93)의 유무이다. 즉, 제 4 실시형태의 타현 장치(91)에는, 스톱퍼 레일(13)이 없고, 대신에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9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93)은, 무게 추(21)의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건반(3)을 걸치게 해서 양단이 브라켓(95)으로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93)의 단면형태는, 거의 장방형 형태를 하고 있으며, 연주자 측과 반대 측(도 6의 좌측)의 하부는 곡선으로 되어 있다. 즉,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93)의 밑면은, 연주자 측과 반대 측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위쪽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93)의 밑면 전체에는 접촉음을 방지하기 위한 펠트(9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무게 추(21)의 연주자 측과 반대 측(도 6의 좌측)의 상부에는, 납으로 된 추(99)가 장치되어 있다. 무게 추(21)가 회전축(19)를 축으로 해서 움직였을 때, 이 추(99)가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93)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타현 장치(9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무게 추(21)는, 건반(3)이 연주자에 의해 눌려지기 전에는 드롭 스크류(85)에 접촉해 있지만, 건반(3)이 연주자에 의해 눌려지면 회전축(19)을 축으로 해서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93)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한다. 그리고, 제 3 실시형태의 개소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아암(81)을 조작해서 무게 추(21)의 위치는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게 추(21)를 연주자로부터 먼 위치로 변경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7이다. 도 7은 도 6과 같이 타현 장치(91)의 무게 추(21) 주변을 나타낸 도면이다.도 6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무게 추(21)이 도 6에 나타낸 위치(즉 연주자에게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는, 건반(3)이 눌려졌을 때에 무게 추(21)는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93)의 연주자에게 가까운 밑면에 접촉한다. 한편, 무게 추(21)를 도 7에 나타낸 위치(즉 연주자로부터 먼 위치)로 변경하면, 건반(3)이 눌려졌을 때에 무게 추(21)는 연주자로부터 먼 위치의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93)의 하면에 접촉한다. 도 6 및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도 7의 위치에 있는 무게 추(21)는, 도 6의 위치에 있는 무게 추(21)에 비해 회전각도가 커진다. 또한, 도 7의 위치에 있는 무게 추(21)는, 드롭 스크류(85)와 접촉하는 저촉점과 회전축(19)과의 사이의 거리가 도 6의 위치에 있는 무게 추(21)에 비해 늘어나므로, 건반(3)의 정하중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 4의 타현 장치(91)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은 아암(81)을 조작해서 무 게 추(21)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그 변경에 따른 건반(3)의 정하중이 곡선적으로 변화한다. 다음으로 이 정하중의 변화 모습을 도 8의 그래프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8은, 무게 추(21)의 위치를 위치a(연주자에게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위치f(연주자에게서 가장 먼 위치)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건반(2)의 정하중을 구상한 그래프의 일례이다. 그리고, 위치a, 위치b, 위치c, 위치d, 위치e, 위치f의 각각의 사이 간격은 같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무게 추(21)의 위치를 위치a에서 위치c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정하중의 증가량은 적지만, 위치d에서 위치f로 변화시킴에 따라서 정하중의 장가량이 급격해 진다.
이와 같이 위치a ~ 위치c 사이는 위치d ~ 위치f 사이에 비해, 무게 추(21)의 위치변화에 따른 정하중의 변화량이 적으므로, 무게 추(21)의 위치에 따른 정하중의 조정을 섬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위치d ~ 위치f 사이는, 무게 추(21)의 위치변화에 따라 정하중을 크게 변화시킬 수가 있다. 그래서, 무게 추(21) 및 추(99)의 무게를 적절히 설정하면, 통상의 연주에 적합한 정하중의 조정범위에 대해서는 연주자의 기호에 따라 섬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손가락 훈련에 사용하는 듯한 정하중의 조정범위에 대해서는 크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제 3, 4 실시형태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도 9는, 업라이트 피아노의 정면도이다.
이 업라이트 피아노(6)는, 웨이트 페달(61), 소프트 페달(62), 소스테누토 페달(63), 뎀퍼 페달(64)를 갖추고 있다.
웨이트 페달(61)은, 다른 페달들과 같이, 한쪽 끝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 되고, 유단 측(페달의 밟는 부분)이 윗 쪽을 향해서 부착되어 있어, 연주자가 유단 측을 발로 밟아 조작하기 쉬운 소정의 연주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웨이트 페달(61)은, 웨이트 페달(61)의 움직임을 전하는 접속부재를 통해서 아암(81)(도 4 참조)에 접속되어 있고, 웨이트 페달(61)을 조작하면, 아암(81)이 샤프트(87)(도 4 참조)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업라이트 피아노(6)에서는, 웨이트 페달(61)을 조작하면, 무게 추(21)(도 4 참조) 등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무게 추(21)의 작용점이 이동된다. 그 결과, 웨이트 페달(61)을 조작하는 것으로, 연주중에, 건반(3)에 걸리는 정하중을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의 업라이트 피아노(6)는, 종래의 피아노에서는 낼 수 없었던 센 혹은 약한 연주 음을 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업라이트 피아노에 대해 설명했지만, 물론 그랜드 피아노에 웨이트 페달(61)을 달아도 된다. 또한, 제 1, 제 2 실시형태의 L자형 금구(41)와 웨이트 페달(61)을 접속부재로 접속하고, 건반(3)의 정하중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가령, 제 1 실시형태의 무게 추(21)의 밑면에 홈을 뚫어, 접촉부(25)를 그 홈에 대응해 앞 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무게 추(21)가 움직일 때의 작용점이 조정되며, 용이하게 건반(3)의 정하중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 ~ 본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드롭 스크류(85)를 건반(3)측에 설치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21a)를 레버(21) 측에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스크류(21a)를 레버(21) 측에 설치하면, 제 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이동량에 대응해 정하중의 증가량이 갑자기 커지는 것과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고, 이동량과 정하중이 거의 비례하기 때문에, 건반(3)의 정하중을 보다 미묘하게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스크류(21a)를 레버(21) 측에 설치해, 이 레버(21)를 제 5 실시형태의 웨이트 페달(61)로 조작하면, 건반(3)의 정하중을 웨이트 페달(*21)로 미묘하게 컨트롤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폭 넓은 연주가 가능하게 된다.
건반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피아노의 타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피아노 건반의 연주 측과는 반대 측 상부에서 건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한쪽 끝이 피아노 본체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개방단측이 자중으로 건반의 윗면에 접촉하여 건반에 하중을 걸도록 구성된, 긴 형태의 무게 추를 건반마다 갖추고 있고, 상기 무게 추를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추의 상부에서 복수의 무게 추를 걸치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며, 그 복수의 무게 추의 윗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긴 형태의 스톱퍼 레일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추와 건반 사이에 복수의 건반을 걸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무게 추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무게 추가 건반에 접촉 가능한 통상 위치에서 상기 무게 추를 건반으로부터 떼어 놓는 퇴피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피아노 본체에 고정된, 긴 형태의 리프팅 레일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한쪽 끝이 상기 리프팅 레일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피아노의 바깥 측으로 빠진 접속 부재를 갖추며,
    그 접속 부재의 다른 끝을 피아노의 외부에서 조작하여 상기 리프팅 레일을 변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의 타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의 다른 끝은, 연주용 페달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추가 건반과 접촉하는 부분은, 건반의 윗면을 전동 가능한 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추와 마주보는 상기 건반의 표면에는, 드롭 스크류가 설치되며, 한편, 상기 드롭 스크류와 마주보는 상기 무게 추의 밑면에는, 상기 드롭 스크류가 상기 무게 추와 직접 마찰하는 경우보다도 마찰력을 적게 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 되어진 마찰 저감층이 적층 되고,
    그 마찰 저감층은, 상기 무게 추의 요동중심인 회전축에 가까울수록, 상기 마찰력을 적게 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타현 장치.
  9. 피아노 건반의 연주 측과는 반대 측 상부에 있어서 건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건만 마다 배치됨과 동시에, 한쪽 끝이 피아노 본체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개방 단측이 자중으로 건반의 윗면에 접촉하여 건반에 하중을 걸도록 구성된 긴 형태의 무게 추와,
    상기 무게 추의 상부에서 복수의 무게 추를 걸치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며, 그 복수의 무게 추의 윗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밑면이 연주 측과 반대 측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위쪽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한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과,
    상기 무게 추를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타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건반의 윗면이며, 상기 무게 추가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진 경우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상기 무게 추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드롭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
  11. 제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추 흔들림 방지 레일의 밑면에는, 방음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의 타현 장치.
KR1020057017457A 2002-11-14 2004-06-22 피아노의 타현장치 KR101054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0816A JP4006322B2 (ja) 2001-11-14 2002-11-14 ピアノの打弦装置
JPJP-P-2003-00178660 2003-06-23
JP2003178660 2003-06-23
JP2003271416A JP4648616B2 (ja) 2003-07-07 2003-07-07 ピアノの打弦装置
JPJP-P-2003-00271416 2003-07-07
JP2003284273A JP4518761B2 (ja) 2003-07-31 2003-07-31 ピアノの打弦装置
JPJP-P-2003-00284273 2003-07-31
JP2004120661A JP4434822B2 (ja) 2003-06-23 2004-04-15 ピアノの打弦装置
JPJP-P-2004-00120661 2004-04-15
PCT/JP2004/008755 WO2004114275A1 (ja) 2003-01-14 2004-06-22 ピアノの打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208A KR20060029208A (ko) 2006-04-05
KR101054551B1 true KR101054551B1 (ko) 2011-08-04

Family

ID=323106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393A KR100953140B1 (ko) 2002-11-14 2003-01-14 피아노의 타현장치
KR1020057017457A KR101054551B1 (ko) 2002-11-14 2004-06-22 피아노의 타현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393A KR100953140B1 (ko) 2002-11-14 2003-01-14 피아노의 타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145062B2 (ko)
KR (2) KR100953140B1 (ko)
CN (2) CN100533547C (ko)
DE (2) DE10392654B4 (ko)
WO (1) WO2004044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4885A1 (ja) * 2002-11-14 2004-05-27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ピアノの打弦装置
JP3873034B2 (ja) * 2003-02-28 2007-01-2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アクション
CN103403959B (zh) 2011-09-02 2015-12-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源天线
US9159302B2 (en) * 2013-10-03 2015-10-1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 extended soft pedal/CIP
CN105702241A (zh) * 2016-03-10 2016-06-22 武汉致嘉乐器有限公司 四脚踏式数码钢琴及加强重音的方法
JP6785608B2 (ja) * 2016-09-30 2020-11-1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楽器のストローク調整装置
JP6822240B2 (ja) * 2017-03-16 2021-01-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6857327B2 (ja) 2017-03-17 2021-04-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6930258B2 (ja) * 2017-07-12 2021-09-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6143A (ja) 2001-11-14 2003-07-30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打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9011A (ja) 1975-02-26 1976-09-01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Kenbansochi
JPS5731318Y2 (ko) 1976-02-23 1982-07-09
JPS5916952Y2 (ja) 1978-12-29 1984-05-17 日本コロムビア株式会社 鍵盤楽器
JPS5645887U (ko) 1979-09-13 1981-04-24
JPS57147691A (en) 1981-03-09 1982-09-11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Keyboard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67316B2 (ja) 1984-08-07 1994-01-26 ヤマハ株式会社 ピアノのアクション機構
US4685371A (en) * 1985-06-12 1987-08-11 Levinson Gary M Grand piano action
JPS6370895A (ja) 1986-09-12 1988-03-31 斉藤 司郎 キ−タツチ調節装置
JPH07118388B2 (ja) 1986-11-17 1995-1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薄膜el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06048B2 (ja) 1991-10-18 2001-09-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
US5406875A (en) * 1992-03-10 1995-04-18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board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5323219A (ja) 1992-05-22 1993-12-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多段光スイッチの切替接続方法
JPH06102861A (ja) * 1992-09-22 1994-04-15 Yamaha Corp 鍵盤楽器
JP3772440B2 (ja) 1997-03-03 2006-05-10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3680687B2 (ja) * 2000-03-10 2005-08-1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装置
WO2004044885A1 (ja) * 2002-11-14 2004-05-27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ピアノの打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6143A (ja) 2001-11-14 2003-07-30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打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45062B2 (en) 2006-12-05
DE112004000489T5 (de) 2006-05-04
CN1761991B (zh) 2010-07-21
CN1695178A (zh) 2005-11-09
KR20060029208A (ko) 2006-04-05
DE10392654B4 (de) 2014-12-24
CN100533547C (zh) 2009-08-26
KR20050075389A (ko) 2005-07-20
KR100953140B1 (ko) 2010-04-16
CN1761991A (zh) 2006-04-19
DE10392654T5 (de) 2005-06-30
WO2004044885A1 (ja) 2004-05-27
US20060169123A1 (en) 2006-08-03
US7265283B2 (en) 2007-09-04
US20060060058A1 (en)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3242B2 (en) Composit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ilent system for performance without acoustic tones and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changing escape timing depending upon mode of operation
KR101054551B1 (ko) 피아노의 타현장치
JP3341438B2 (ja) 鍵盤楽器
JPH07152366A (ja) 平形鍵盤楽器
US20100294108A1 (en) String-striking device for piano
JP4006322B2 (ja) ピアノの打弦装置
US20100326261A1 (en) Multi-function musical instrument pedal controller
JP3861906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2570704Y2 (ja) 鍵盤楽器
US7915509B2 (en) Movable pivot bearing for changing key leverage in string keyboard instruments
KR970005213B1 (ko) 그랜드피아노의 뮤팅(muting)장치
JP4648616B2 (ja) ピアノの打弦装置
JP4518761B2 (ja) ピアノの打弦装置
JP4434822B2 (ja) ピアノの打弦装置
JP4518760B2 (ja) ピアノの打弦装置
JP382399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WO2004114275A1 (ja) ピアノの打弦装置
JP2005338612A (ja) ピアノの打弦装置
JP369304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2004264567A (ja) アクション
JP2605473B2 (ja) グランドピアノの弱音装置
JP4083079B2 (ja) アクション
CN103383842A (zh) 用于具有声学和静音模式的钢琴的琴槌止动器
JPH0481895A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弱音装置
JPH0836379A (ja) 鍵盤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