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516B1 - 웨빙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516B1
KR101051516B1 KR1020067022340A KR20067022340A KR101051516B1 KR 101051516 B1 KR101051516 B1 KR 101051516B1 KR 1020067022340 A KR1020067022340 A KR 1020067022340A KR 20067022340 A KR20067022340 A KR 20067022340A KR 101051516 B1 KR101051516 B1 KR 101051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gear wheel
webbing
rotation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431A (ko
Inventor
타쿠히로 사또
카츠끼 아사지리
신지 모리
토모노리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12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7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an electric retract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100)는 기어 휠(116)과 스프링 돌기(182)를 갖추고 기어 휠(116)에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120)를 구비하여, 스프링 돌기(182)로부터의 하중이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120)를 개입시켜 외주 방향을 따라 작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클러치(100)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클러치(100)는 링(176)을 구비하며, 링(176)은 각 클러치 구성 부재를 소정의 조립 위치로 유지하는 커버부(178)와 스프링 돌기(18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어서, 스프링 돌기(182)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터(124)에 일체적으로 보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각 클러치 구성 부재를 일체적으로 가보관 유지(서브 어셈블리화)할 수 있다.
Figure R1020067022340
웨빙, 권취 장치, 클러치, 프리텐셔너

Description

웨빙 권취 장치{WEBBING TAKE-UP DEVICE}
본 발명은 웨빙 권취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모터에 의하여 권취축을 회전시켜 웨빙을 인출시킬 수 있는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무원 구속용 안전 벨트 장치는 웨빙 권취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웨빙 권취 장치는 웨빙 장착시의 과도한 압박감을 경감 또는 해소하기 위하여 소위 텐션 리듀서(tension reducer) 기구나, 차량의 급감속 상태 등에 일정량의 웨빙을 권취축으로 감아 꺼내게 하는 것으로 '슬랙(slack)' 등으로 칭해지는 약간의 느슨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웨빙에 의한 승무원의 신체 구속력을 증가시켜, 보다 한층 확실히 승무원의 신체를 유지하도록 하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기능을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구성을 가진 소위 모터 리트랙터(motor retractor)가 알려져 있다(일례로,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이러한 모터 리트랙터에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텐션 리듀서나 프리텐셔너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의 웨빙 장착시에 있어서 웨빙의 권취나, 인출시의 보조등도 켜는 등이 가능하고,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특히 근래에 있어서, 전술한 모터 리트랙터에 대하여, 전방의 다른 차량이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거리 센서 등의 전방 감시 장치로 검출하여, 전방의 차량이나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일정치 미만이 되면, 모터를 작동시켜 모터의 회전력으로 권취축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 착안되어 있다. 이러한 모터 리트랙터에서는, 권취축으로의 회전이 모터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터의 출력축과 권취축과의 사이에 클러치를 개재시켜, 이 클러치에 의하여 모터 출력축에서의 회전만을 권취축으로 전달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모터 리트랙터에서는 소형 경량화나 제조 코스트 저감 등의 요청이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은 클러치에 대하여도 소형 경량화나 조립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1]
일본국 특개 2001-13037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01-347923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러치에 의하여 모터측에서의 회전만을 권취축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러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조립성이 향상된 웨빙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승무원을 구속시키는 웨빙이 감겨 인출 가능하게 돌려 감아진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상기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 측에서 발생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권취축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과, 상기 기어 휠과 같은 동축상에 설치된 로터와,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통상은 상기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 유지되는 락 바가 구비되되, 상기 로터가 축선 주위 제1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상기 권취축으로 계합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며, 상기 로터가 축선 주위 제2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상기 계합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보관 유지되는 락 바, 및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와의 사이에 외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며, 상기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하중에 의하여 상기 회전의 전달이 분리되어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를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휠은 상기 스프링 돌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외주 방향을 따라 향하도록 하는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특징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는 모터의 회전을 권취축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는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과, 이 기어 휠과 같은 동축상에 설치된 로터를 구비하고 있다. 기어 휠과 로터 사이에는 이러한 외주 방향에 따라 스프링 돌기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기어 휠의 회전이 로터에 전달되게 된다.
또, 로터에는 권취축으로 계합하며, 로터의 축선주위 일방향(즉,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권취축으로 전달하는 락 바가 설치되어 있다. 락 바는 통상은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이 때문에, 통상은 로터와 권취축과는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권취축 측에서 생긴 회전이 모터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무원은 본 권취 장치에 격납된 웨빙을 인출하면, 권취축이 회전하면서 웨빙이 인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승무원은 인출된 웨빙을 신체에 걸어 돌려, 예를 들면, 웨빙에 설치된 탕프레이트를 버클 장치에 계합시켜 웨빙을 신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모터가 회전하면, 클러치의 기어 휠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 휠의 회전은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로터에 전달되어 로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로터에 설치된 락 바가 권취축으로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락 바를 개입시켜 권취축으로 전달되어 권취축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락 바에 의하여 권취축과 로터가 연결된 상태로, 예를 들면, 권취축에 웨빙으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로터에는, 락 바를 개입시켜,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한다.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스프링 돌기는 해당 하중에 의하여 기어 휠과 로터 사이으 l회전의 전달을 분리시켜, 양자를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게 한다(소위 "로드 리미터 기구"). 이것에 의하여, 락 바를 개입시켜 로터에 연결된 권취축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필요 이상의 힘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모터가 역전하면, 클러치의 기어 휠이 축선 주위의 일방향(즉 제2 방향)으로 회전된다. 기어 휠의 회전은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로터에 전달되어 로터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된다. 로터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로터에 설치된 락 바는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보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와 권취축은 다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권취축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에 대하여, 기어 휠에는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 휠과 로터와의 사이의 회전력 전달시에 있어서, 스프링 돌기로부터 기어 휠에 작용하는 하중은 해당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를 개입시켜 기어 휠의 외주 방향을 따라 작용한다. 따라서, 클러치에서는, 상기 회전력의 전달시에 스프링 돌기로부터 기어 휠의 지름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하중을 상정하여 기어 휠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하여 기어 휠은 박판으로 성형하거나 혹은 수지 등에 의해 성형할 수가 있어서 클러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승무원을 구속시키는 웨빙이 감겨 인출 가능하게 돌려 감아진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권취축 측에서 발생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케이스와, 상기 권취축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 및 상기 기어 휠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외주부에 외부 기어를 구비한 로터와, 상기 케이스에 마찰력에 의하여 보관 유지되며, 상기 로터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항상 상기 권취축과의 계합 방향으로 밀착되고 통상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하여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 유지되는 락 바를 구비하되, 상기 로터가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여 상기 보관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밀착력에 의하여 상기 권취축으로 계합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의 상기 로터에 대한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로터가 상기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에 접근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의하여 상기 계합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보관 유지되는 락 바와, 탄성을 구비한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와의 사이에 외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첨단부가 상기 로터의 상기 외부 기어에 계합하여, 기단부가 상기 기어 휠과 계합하고,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단하여 상기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하중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여 상기 첨단부를 상기 외부 기어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는 스프링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휠은 상기 스프링 돌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외주 방향을 따라 향하도록 하는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특징의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을 권취축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는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훨과, 이 기어 휠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외주부에 외부 기어를 구비한 로터를 갖추고 있다. 기어 휠과 로터와의 사이에는 탄성을 가지는 판 모양으로 형성된 스프링 돌기가 기어 훨과 로터와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돌기는 첨단부가 로터의 외부 기어에 계합함과 동시에, 기단부가 기어 휠의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에 계합하여 이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기어 휠의 회전이 로터에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로터에는 권취축으로 계합함으로써, 로터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권취축으로 전달하는 락 바가 설치되어 있다. 락 바는 항상 권취축과의 계합 방향으로 밀착되고 있어 통상은 슬라이더에 의하여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 유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통상은 로터와 권취축과는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권취축 측에서 생긴 회전이 모터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무원은 본 권취 장치에 격납된 웨빙을 인출하면, 권취축이 회전하면서 웨빙이 인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승무원은 인출된 웨빙을 신체에 걸어 돌려, 예를 들면, 웨빙에 설치된 탕프레이트를 버클 장치에 계합시켜 웨빙을 신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차량 주행 중에 차량의 전방으로 장애물이 존재하여, 차량과 장애물과의 간격(차량으로부터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소정 범위 내에 이르게 되면, 모터가 회전하여 클러치의 회전체가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더는 케이스의 마찰력에 의하여 보관 유지되기 때문에, 로터가 슬라이더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여 로터에 설치된 락 바가 슬라이더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락 바는 밀착력에 의하여 권취축에 계합하며, 해당 락 바를 개입시켜 로터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권취축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하여, 권취축이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웨빙이 권취축으로 감겨서 장착 상태에 있는 웨빙의 느슨함, 소위 "슬랙"이 해소되어 웨빙에 의한 승무원의 신체 구속력이 상승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랙"이 해소된 상태에서는, 승무원의 신체가 장애가 되어 기본적으로는 그 이상 권취축으로 웨빙을 감아 인출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권취축으로는 웨빙으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여, 그 결과 로터에는, 락 바를 개입시켜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한다.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스프링 돌기는 해당 하중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여 첨단부를 로터의 외부 기어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여 기어 휠과 로터를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게 한다(소위 "로드 리미터 기구"). 이것에 의하여, 락 바를 개입시켜 로터에 연결된 권취축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필요 이상의 힘으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웨빙이 필요 이상의 힘으로 승무원의 신체를 단단히 조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로 락 바는 권취축의 로터에 대한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슬랙"이 해소된 상태로,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경우에는, 다른 프리텐셔너 장치 등에 의하여 권취축을 웨빙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일도 가능하다. 이 경우, 웨빙에 의한 승무원의 신체의 구속력을 한층 상승시킬 수가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에 승무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이 회피되었을 경우에는, 모터가 역전되어 클러치의 기어 휠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 휠의 회전은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로터의 외부 기어에 전달되어 로터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다. 슬라이더는 케이스에 마찰력에 의해 보관 유지되기 때문에, 로터가 슬라이더에 대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여, 로터에 설치된 락 바가 슬라이더에 접근 이동한다. 이 때문에, 락 바는 슬라이더에 의하여 다시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보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와 권취축은 다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권취축의 회전이 가능하여진다.
상기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에서는, 기어 휠에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 휠과 로터의 사이의 회전력 전달시에 있어서, 스프링 돌기로부터 기어 휠에 작용하는 하중은 해당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를 개입시켜 기어 휠의 외주 방향을 따라 작용한다. 이 때문에, 상기 회전력 전달시에 스프링 돌기로부터 기어 휠의 지름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하중을 상정하여 기어 휠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다.
게다가, 스프링 돌기는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탄성 변형되어 첨단부를 로터의 외부 기어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여 기어 휠과 로터와의 사이의 회전의 전달을 분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술한 "로드 리미터 기구"의 작동은, 로터와 스프링 돌기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구성이며, 이 경우에도, 기어 휠에는 지름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없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기어 휠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에서는 기어 휠을 박형화하여 성형하거나 혹은 수지 등에 의하여 성형할 수 있어서 클러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특징은 승무원을 구속시키는 웨빙이 감겨 인출 가능하게 돌려 감아진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상기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 측에서 발생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권취축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과, 상기 기어 휠과 같은 동축상에 설치된 로터와,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통상은 상기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 유지되는 락 바가 구비되며, 상기 로터가 축선 주위 제1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상기 권취축으로 계합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며, 상기 로터가 축선 주위 제2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상기 계합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보관 유지되는 락 바, 및 링이 구비되되, 상기 로터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어 휠 및 상기 락 바를 소정의 조립 위치로 유지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며 상기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하중에 의하여 상기 회전의 전달을 분리시켜 양자를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돌기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에 보관 유지되는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특징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을 권취축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는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과, 상기 기어 휠과 같은 동축상에 설치된 로터를 구비한다. 로터의 축 방향 한 쪽편에는 링의 커버부가 배치되며, 이 커버부에는 스프링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다. 스프링 돌기는 기어 휠과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기어 휠의 회전이 로터에 전달되게 된다.
로터에는 권취축으로 계합하는 것으로 로터의 축선주위 일방향(즉,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권취축으로 전달하는 락 바가 설치된다. 락 바는 통상은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이 때문에 통상은 로터와 권취축과는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권취축 측에서 생긴 회전이 모터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무원은 본 권취 장치에 격납된 웨빙을 인출하면, 권취축이 회전하면서 웨빙이 인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승무원은 인출된 웨빙을 신체에 걸어 돌려, 예를 들면, 웨빙에 설치된 탕프레이트를 버클 장치에 계합시켜 웨빙을 신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모터가 회전하면, 클러치의 기어 휠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된다. 기어 휠의 회전은 링의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로터에 전달되어 로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된다. 로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로터에 설치된 락 바가 권취축으로 계합하여, 이것에 의하여 로터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이 락 바를 개입시켜 권취축으로 전달되어 권취축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락 바에 의하여 권취축과 로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권취축으로 웨빙으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로터에는, 락 바를 개입시켜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한다.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링의 스프링 돌기는 해당 하중에 의하여 기어 휠과 로터와의 사이의 회전 전달을 분리시켜, 양자를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게 한다(로드 리미터 기구). 이것에 의하여, 락 바를 개입시켜 로터에 연결된 권취축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필요 이상의 힘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터가 역전하면, 클러치의 기어 휠이 축선 주위 일방향(즉,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 휠의 회전은 링의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로터에 전달되어 로터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된다. 로터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로터에 설치된 락 바는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에 이동되어 보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와 권취축과는 다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권취축의 회전이 가능해 진다.
상기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에서는, 링은 기어 휠 및 락 바를 소정의 조립 위치로 유지하는 커버부와, 상술한 "로드 리미터 기구" 용도의 스프링 돌기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링은 스프링 돌기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터에 보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클러치에서는, 기어 휠 및 락 바를 소정의 조립 위치에 조립함과 동시에, 스프링 돌기의 탄성력에 의하여 링을 로터에 보관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클러치 구성 부재를 일체적으로 가보관 유지(서브 어셈블리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각 클러치 구성 부재를 웨빙 권취 장치에 조립할 때에 조립성이 큰 폭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승무원을 구속시키는 웨빙이 감겨 인출 가능하게 돌려 감아진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상기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 측에서 발생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케이스와, 상기 권취축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과, 상기 기어 휠과 같은 동축상에 설치된 로터와, 상기 케이스의 마찰력에 의하여 보관 유지되며, 상기 로터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항상 상기 권취축과의 계합 방향으로 밀착되고 통상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하여 상기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되는 락 바가 구비되되, 상기 로터가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하여 상기 보관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밀착력에 의하여 상기 권취축으로 계합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의 상기 로터에 대한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로터가 상기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에 접근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의하여 상기 계합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보관 유지되는 락 바와, 링을 구비하되, 상기 로터의 축방향 한편에 배치되어 상기 기어 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락 바를 소정의 조립 위치로 유지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여 상기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하중에 의하여 상기 회전의 전달을 분리시켜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가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돌기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에 보관 유지되는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특징의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을 권취축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는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과, 상기 기어 휠과 같은 동축상에 설치된 로터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의 축방향 일측에는 링의 커버부가 배치되고 있으며, 이 커버부에는 스프링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다. 스프링 돌기는 기어 휠과 로터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기어 휠의 회전이 로터에 전달되게 된다.
또, 로터에는 권취축으로 계합하여 로터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권취축으로 전달하는 락 바가 구비된다. 락 바는 항상 권취축과의 계합 방향에 밀착되며, 통상은 슬라이더에 의하여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이 때문에, 통상은 로터와 권취축과는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여 권취축 측에서 생긴 회전이 모터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무원은 본 권취 장치에 격납된 웨빙을 인출하면, 권취축이 회전하면서 웨빙이 인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승무원은 인출된 웨빙을 신체에 걸어 돌려, 예를 들면, 웨빙에 설치된 탕프레이트를 버클 장치에 계합시켜 웨빙을 신체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주행 중에 차량의 전방으로 장애물이 존재하여, 차량과 장애물과의 간격(차량으로부터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소정 범위 내에 이르게 되면, 모터가 회전하여 클러치의 기어 휠이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기어 휠의 회전은 링의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로터에 전달되어 로터가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슬라이더는 케이스에 마찰력에 의하여 보관 유지되기 때문에, 로터가 슬라이더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여, 로터에 설치된 락 바가 슬라이더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한다. 락 바는 밀착력에 의하여 권취축으로 계합하며, 해당 락 바를 개입시켜 로터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권취축으로 전달되어 권취축이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하여, 웨빙이 권취축으로 감겨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웨빙의 느슨함, 즉 "슬랙"이 해소되어 웨빙에 의한 승무원의 신체 구속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랙"이 해소된 상태에서는, 승무원의 신체가 장애가 되어 기본적으로는 그 이상 권취축으로 웨빙을 감아 인출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권취축으로는 웨빙으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여, 그 결과 로터에는, 락 바를 개입시켜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한다.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스프링 돌기는 해당 하중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여 첨단부를 로터의 외부 기어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여 기어 휠과 로터를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게 한다(소위 "로드 리미터 기구"). 이것에 의하여, 락 바를 개입시켜 로터에 연결된 권취축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필요 이상의 힘으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웨빙이 필요 이상의 힘으로 승무원의 신체를 단단히 조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로 락 바는 권취축의 로터에 대한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슬랙"이 해소된 상태로,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경우에는, 다른 프리텐셔너 장치 등에 의하여 권취축을 웨빙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일도 가능하다. 이 경우, 웨빙에 의한 승무원의 신체의 구속력을 한층 상승시킬 수가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에 승무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이 회피되었을 경우에는, 모터가 역전되어 클러치의 기어 휠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 휠의 회전은 스프링 돌기를 개입시켜 로터의 외부 기어에 전달되어 로터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다. 슬라이더는 케이스에 마찰력에 의해 보관 유지되기 때문에, 로터가 슬라이더에 대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여, 로터에 설치된 락 바가 슬라이더에 접근 이동한다. 이 때문에, 락 바는 슬라이더에 의하여 다시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보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와 권취축은 다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권취축의 회전이 가능하여진다.
이러한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에서, 링은 기어 휠, 슬라이더 및 락 바를 소정 조립 위치로 유지하는 커버부와, 상술한 "로드 리미터 기구" 용도의 스프링 돌기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즉, 이 클러치에서는 기어 휠, 슬라이더 및 락 바를 소정의 조립 위치에 조립하여 스프링 돌기의 탄성력에 의하여 링을 로터에 보관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클러치 구성 부재를 일체로 가보관 유지(서브 어셈블리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각 클러치 구성 부재를 케이스에 조립할 때 등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는 클러치에 의하여 모터 측에서의 회전만을 권취축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러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부분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락 바가 슬라이더에 보관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락 바가 라쳇에 계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스프링 돌기에 의하여 기어 휠과 로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기어 휠과 로터가 상대적으로 공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락 바가 라쳇에 계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락 바가 라쳇의 로터에 대하여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락 바가 라쳇에 계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락 바가 슬라이더에 보관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모터를 포함한 주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웨빙 권취 장치
20: 권취축
44: 모터
100: 클러치
101: 클러치 케이스(케이스)
102: 커버 클러치(케이스)
116: 기어 휠
124: 로터
144: 슬라이더
154: 락 바
176: 링
178: 커버부
182: 스프링 돌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웨빙 권취 장치(10)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웨빙 권취 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웨빙 권취 장치(10)는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2)은 대략 판 모양의 등받이(14)와, 상기 등받이(14)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각판(脚板, 16, 18), 및 등받이(14)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볼트 등의 도시하지 않은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12)의 한 쌍의 각판(16, 18) 사이에는 다이캐스팅 가공 등에 의하여 제작된 권취축(2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권취축(20)은 전체적으로 보빈(bobbin)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긴띠 모양으로 형성된 웨빙(미도시)의 일측 단부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권취축(20)을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이하, 이 방향을 '권취 방향'이라고 칭한다)으로 회전시키면, 웨빙이 그 일단측으로부터 권취축(20)의 외주부에 층층이 감기는 반면에, 웨빙을 그 끝단에서부터 끌어들이면 이것에 수반하여 권취축(20)이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웨빙이 인출되게 된다(이하, 웨빙을 꺼낼 때의 권취축(20)의 회전 방향을 '인출 방향'이라고 칭한다).
권취축(20)의 일단측은 각판(18)을 관통하여 프레임(12)의 외부로 돌출된다. 각판(18)의 측방에는 미도시한 락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락 기구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 쌍의 각판(16, 18) 사이에 연결되게 배치된 락 플레이트(22) 및 권취축(20)의 축 중심 부분에 설치된 토션바(24)와 연계되어 있다. 차량의 급가속할 경우 등에는, 락 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토션바(24)의 일단이 락 플레이트(22)를 개입시켜 구속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귄취축(20)의 인출 방향 회전이 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권취축(20)의 타단측은 각판(16)을 관통하여 프레임(12)의 바깥쪽에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이 권취축(20)의 타단측은 육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연 결 스크류(21)와 같은 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판(16)의 외측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100)를 구성하는 케이스로서의 클러치 케이스(10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 케이스(101)는 금속 재료 등(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에 의하여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각편(16)의 반대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케이스(101)의 개방측에는 케이싱을 위하여 철판 등으로 구성되는 커버 클러치(10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는 스크류(291)에 의하여 각편(16)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 케이스(101)의 아래판 중앙 부분에는 원형의 관통공(106)이 권취축(20)과 동축상에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 스크류(21)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106)의 주변 부위에는 각편(16)과는 반대편을 향하여 원형 모양으로 일부가 돌출된 링 형태의 접동면(摺動面, 10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106)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각편(16)과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통형의 부싱(bushing) 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싱 지지부(110)에는 수지(resin) 재료 등에 의하여 링 형태로 형성된 부싱(112)(도 1 및 도 2 참조)이 지지를 받고 있다.
클러치 케이스(101) 내부에는 클러치 기어부(28)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어부(28)는 웜 기어(34)를 구비하고 있다. 웜 기어(34)는 권취축(20)과 직교하는 상태로 그 축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부시(36, 37)가 개입되어 클러치 케이스(101)에 지지를 받고 있으며, 또한, 그 일단측은 클러치 케이스(10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웜 기어(34)의 첨단부를 지지하는 클러치 케이스(101)의 베어링 부분에는 강구(鋼球, 38)가 수용되어 웜 기어(34)의 첨단부에 접촉하고 있으며, 또한, 조절 스크류(40)가 나입(螺入)되어 있다. 조절 스크류(40)는 그 첨단부에서 강구(38)를 압압하게 되며, 강구(38)를 웜 기어(34)의 첨단에 압접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웜 기어(34)의 축 방향의 변위가 제한되고 있다(트러스트(thrust) 조정 가능하다). 또한, 강구(38)를 조절 스크류(40)의 첨단부에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조절 스크류(40)의 첨단부를 둥근 모양으로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웜 기어(34)의 상측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100)를 구성하는 클러치 본체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는 클러치 본체부(114)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에 의하여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본체부(114)는 기어 휠(116)을 구비하고 있다. 기어 휠(116)은 수지 재료 등에 의하여 링 형태로 형성되어 권취축(20)과 동축상에 배치되며, 그 외주부에는 소위 웜 휠 티스(1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웜 휠 티스(118)는 상술한 웜 기어(34)와 서로 맞물리고 있다. 또한, 기어 휠(116)의 내주부에는 그 지름 방향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120)는 후술하는 링(176)의 스프링돌기(18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기어 휠(116)의 축선방향의 일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 방향측)의 단면에는, 그 주방 향에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회동정지 요철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정지 요철부(122)는 후술하는 링(176)의 회동정지 돌기(180)에 대응하고 있다.
기어 휠(116)의 안쪽에는 금속 재료 등(예를 들면, 아연 알루미늄 합금 등)에 의하여 원반 상에 형성된 로터(124)가 기어 휠(116)과 같은 축 중심상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124)는 밑이 있는 원통형의 본체부(126)와, 본체부(126)의 축선방향 일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B 방향측)에 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28)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6)의 외주부에는, 그 외주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의 외부 기어(13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외부 기어(130)는 본체부(126)의 외주 방향을 따라 일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C 방향측)의 측벽이 본체부(126)의 외주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본체부(126)의 외주 방향에 따라 타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D 방향측)의 측벽에 본체부(126)의 지름 방향에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달리 말하면,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외부 기어(130)는 후술하는 링(176)의 스프링 돌기(182)에 대응하고 있다.
본체부(126)의 아랫쪽 바닥 중앙부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수용부(132)가 동일한 축중심을 가지며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32)의 축선방향 일측(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 A 방향측)에는, 링 형태의 지축부(133)가 같은 축중심을 가지며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지축부(133)는 커버 클러치(102)에 형성된 원공(135)에 후술하는 홀더(170)의 회전 지지부(175)를 개입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또 한, 수용부(132)의 축선방향 외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B 방향측)에는 전술한 부싱(11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수용부(132)의 축선방향 외측은 부싱(112)을 개입시켜 클러치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체부(126)(로터 (126))는 자체적으로 축중심 주위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26)의 수용부(132)내에는, 철판 등에 의하여 대략 링 형태로 형성된 라쳇(134)이 수용되어 있다. 라쳇(134)의 외주부에는 소위 라쳇 티스인 외부 기어(1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쳇(134)의 축 중심부에는 단면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공(연결구멍)(138)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술한 연결 스크류(21)를 개입시켜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라쳇(134)과 권취축(20)은 연결 스크류(21)를 개입시켜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라쳇(134)의 축선방향 일측(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 B 방향측)은 전술한 부싱(112)이 접동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있다. 또한, 라쳇(134)의 축선방향 외단(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 A 방향측)은 수지 재료 등으로 구성되는 와셔(washer, 1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와셔(140)는 수용부(132)에 링 형태의 아랫 바닥에 접동 가능하게 접촉(당접)하고 있어서, 이것에 의하여 라쳇(138)의 축선방향에 따른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한편, 본체부(126)의 아랫 바닥에는 수용부(132)의 지름 방향 외측에 본체부(126)의 외주방향을 따라 만곡된 한 쌍의 가이드 구멍(142)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구멍(142)에는 각각 수지 재료 등에 의해 본체부(126)의 외주 방향을 따 라 만곡한 대략 블럭(block) 형태로 형성된 슬라이더(144)가 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슬라이더(144)는 본체부(126)의 내주면 및 수용부(132)의 외주면에 의하여 보관 유지(안내)되고 있으며, 가이드 구멍(142)에 따라 소정 범위내에서 본체부(126)(로터(124))에 대하여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슬라이더(144)의 일측(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 A 방향측)에는, 접동편(146)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클러치(102)와 당접되어 있다. 또, 각 슬라이더(144)의 접동편(146)의 반대측에는 리테이너(14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148)는 탄성 성질을 가지는 가는 폭을 구비한 금속으로 대략 완만한 "V" 자 형태로 꺽여져 있다(그 중앙부에는 완만하게 굴곡되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148)는 장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연결부(150)가 슬라이더(144)에 형성된 연결 구멍(152)에 끼워 넣어져 슬라이더(144)에 일체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장방향 양단부가 각각 전술한 클러치 케이스(101)의 접동면(108)에 꽉 눌려져서 소정량 탄성 변형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더(144)의 접동편(146)은 리테이너(148)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 클러치(102)에 꽉 눌리고 있어서 가이드 구멍(142)에 따라 슬라이더(144)의 이동(로터(124)에 대한 상대 이동)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부여되게 된다. 이 때문에, 로터(124)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더(144)는 접동편(146) 및 리테이너(148)의 장방향 양단부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보관 유지되어 로터(124)에 대하여 가이드 구멍(142)에 따 라 소정 범위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슬라이더(144)의 만곡 방향의 일단부(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 C 방향측의 단부)에는, 압압 보관 유지편(14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압압 보관 유지편(145)은 각각 한 쌍의 락 바(154)에 대응하고 있다.
각 락 바(154)는 철판 등에 의하여 대략 완만한 "V" 자 형태로 형성되며, 각 슬라이더(144)의 만곡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 형태의 베이링부(156)를 구비하고 있다. 각 베어링부(156)는 본체부(126)의 아랫 바닥에 돌출 설치된 원주상이 지축(15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각 베어링부(156)의 슬라이더(144)와는 반대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C 방향측)에는, 연결편(160)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편(160)은 베어링부(156)와 함께 지축(158) 주위를 회동하는 것으로, 그 첨단부가 로터(124)의 수용부(132)에 형성된 구멍 부분(162)를 관통하여 전술한 라쳇(134)의 외부 기어(136)에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편(160)은 꼬여 형성된 코일 스프링(164)의 밀착력에 의하여 항상 외부 기어(136)(라쳇(134))과 서로 맞물리도록 밀착되고 있다. 아울러, 코일 스프링(164)은 로터(124)의 본체부(126)의 아랫 바닥에 돌출 설치된 원주상의 지축(166)에 의하여 지지를 받고 있다.
각 베어링부(156)의 슬라이더(144)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D 방향측)에는 전술한 압압 보관 유지편(145)에 대응하는 해제편(168)이 돌출 설치되고 있다. 각 해제편(168)은 슬라이더(144)에 대향되는 단부가 슬라이더(144)의 이동방향(도 1 및 도 2의 화살표 C 방향 및 화살표 D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124)가 슬라이더(144)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것으로서, 락 바(154)는 슬라이더(144)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내에서 이동하며 락 바(154)가 슬라이더(144)에 접근한 상태(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락 바(154)의 해제편(168)은 슬라이더(144)의 압압 보관 유지편(145)의 안쪽(라쳇(134)측)에 비집고 들어가는 형상으로, 코일 스프링(164)의 밀착력에 저항하여 계합 해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락 바(154)의 연결편(160)은 라쳇(134)으로부터 간격이 떨어지도록 되게 되어 있다.
한편, 락 바(154)는 슬라이더(144)로부터 간격이 떨어진 상태(도 4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락 바(154)의 해제편(168)은 슬라이더(144)의 압압 보관 유지편(145)에 의하여 유지되는 것이 해제되도록 된다. 이 상태에서는, 락 바(154)의 연결편(160)은 코일 스프링(164)의 밀착력에 의하여 라쳇(134)측(계합 위치)로 이동하여 그 첨단부가 외부 기어(136)에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본체부(114)에서는, 슬라이더(144)는 통상 락 바(154)에 접근하여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락 바(154)는 통상 해제편(168)이 슬라이더(144)의 압압 보관 유지편(145)에 의하여 보관 유지되는 것으로서, 계합 해제 위치(도 4A에 도시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이다.
슬라이더(144)를 보면, 락 바(154)를 개입시켜 로터(124)의 반대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 방향측)에서는,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홀더(170)가 배치되어 있다. 홀더(170)는 링 형태의 본체부(172)와, 본체부(172)의 외주부 에 설치된 한 쌍의 유지 돌기(17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72)는 락 바(154)의 지축(158)(로터(124))에 대하여 축선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고 있어며, 한 쌍의 유지 돌기(174)는 코일 스프링(164)의 지축(166)(로터(124))의 대하여 축선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172)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공(173)에는 로터(124)의 지축부(133)가 관통하고 있다. 상기 원공(173)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로터(124)의 반대측(커버 클러치(102)측)을 향하여 원통형상으로 일부가 돌출된 회전 지지부(175)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터(124)의 지축부(133)는 상기 회전 지지부(175)가 개입되어 커버 클러치(102)의 원공(135)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고 있다.
한편, 홀더(170)의 지름 방향 외측에서 로터(124)의 축선 방향 일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 방향측)에는, 탄성을 가진 금속재료(예를 들면, SUS 등)로 이루어지는 링(176)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링(176)은 링 형태로 형성된 커버부(17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버부(178)의 외주부에는 그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회전정지 돌기(18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정지 돌기(180)는 전술한 기어 휠(116)의 회전 정지 요철부(122)에 감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링(176)은 기어 휠(116)에 대하여, 그 외주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178)의 외주부에는 탄성(용수철성)을 가진 가는 폭의 판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스프링 돌기(182)가 커버부(178)의 외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각 스프링 돌기(182)는 각 단 부가 커버부(178)에 일체로 형성되며 각 장방향 중간부가 커버부(178)의 지금 방향 안쪽을 향하여 일부가 접히도록 구부러져 있으며, 각 첨단부가 커버부(178)의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접어져서 구부러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커버부(178)의 외주 방향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돌기(182)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124)의 외부 기어(130)와 기어 휠(116)의 내주면 사이에 로터(124) 및 기어 휠(116)의 외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있어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안쪽 부분을 로터(124)의 외부 기어(130)를 누르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링(176)은 로터(124)에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장착되게 된다.
또한, 각 스프링 돌기(182)의 외측 부분은 각 기어 휠(116)의 내주면에 계합하고 있으며, 기어 휠(116)은 각 스프링 돌기(182)를 개입시켜 로터(124)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링(176)의 커버부(178)에 의하여 슬라이더(144), 락 바(154), 코일 스프링(164) 및 홀더(170)의 로터(124)가 탈락을 방지하고 있는 구성 부재로서 소정의 조립 위치에서 유지되고 있다.
게다가, 각 스프링 돌기(182)의 각 첨단부는 각각 외부 기어(130)의 골 부분에 삽입되어 외부 기어(130)의 한편의 측벽(본체부(126)의 지름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측의 측벽)에 접촉하고 있으며, 각 단부는 전술한 기어 휠(116)의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120)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어 휠(116)과 로터(124)는 그 외주 방향에 대하여는 각 스프링 돌기(182)에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상대 회전이 규제되어 있고), 기어 휠(116)이 회전했을 경우에는 기어 휠(116)과 로터(124)는 기본적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기어 휠(116)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력은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120)를 개입시켜 스프링 돌기(182)의 단부에 전달되어 스프링 돌기(182)의 첨단부로부터 로터(124)의 외부 기어(130)에 전달되게 되며, 기어 휠(116)은 외주방향 하중 수용부(120)를 개입시켜 스프링 돌기(182)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외주 방향에 따라 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기어 휠(116)은 스프링 돌기(182)로부터 하중 작용 방향으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돌기(182)가 탄성을 갖는 금속편이기 때문에, 로터(124)에 대하여 기어 휠(116)의 상대 회전으로 발생하는 회전력이 스프링 돌기(182)의 스프링력(밀착력)에 저항하여 각 스프링 돌기(182)의 첨단부를 외부 기어(130)의 골부분으로부터 빠져나가게 하는데 충분한 크기라면, 스프링 돌기(182)에 의하여 기어 휠(116)과 로터(124)의 축선 주위의 연결이 해제되기 때문에, 기어 휠(116)과 로터(124)의 상대 회전이 가능해지는 구성이 된다(도 5B 참조).
또한, 기어 휠(116)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력은, 회전 정지 요철부(122)를 개입시켜 링(176)의 회전 정지 돌기(180)에 전달되어 링(176)의 스프링 돌기(182)의 첨단부로부터 로터(124)의 외부 기어(130)로 전달되게 된다.
한편, 링(176)의 로터(124) 반대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 방향측)에는,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스페이서(184)가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84)는 링(176)과 커버 클러치(102)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링(176)에 대하여 그 축선 주위에 상대적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184)는 금속제의 링(176)이 직접 커버 클러치(102)로 접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링(176)(클러치 본체부(114))의 커버 클러치(102)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을 원활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클러치(100)는 클러치 기어부(28)의 웜 기어(34)가 회전하는 것으로, 클러치 본체부(114)의 기어 휠(116)이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클러치 본체부(113)와 클러치 기어부(28)는 단일의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일체로 조립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유니트화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클러치(102)의 측방에는 스프링 컴플리트(42)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컴플리트(42)는 내부에 코일 스프링(미도시)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은 코일 외측의 단부가 케이스 본체에 장착되고, 코일 내측 단부가 클러치 본체부(114)를 관통한 연결 스크류(21)의 첨단에 장착되어 권취축(20)을 권취 방향으로 밀착시키고 있다.
한편, 권취축(20)의 하부에 각판(16)과 각판(18) 사이에는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가 배치되어 있다(도 10). 여기서, 도 8에는, 상기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는 하우징(4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48)의 일측에 모터(44)가 장착됨과 동시에, 하우징(48)의 타측에 모터 기어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44)는 그 회전축(50)의 첨단측(출력측)이 하우 징(48)에 향하는 상태로 하우징(48)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50) 첨단(출력측)은 하우징(48)의 타측(모터 기어부(48)의 옆)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모터(44)의 후단측에는 모터 구동용 전기 안전 벨트(52)가 접속된 베이스 플레이트(54)가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4)에는 전기 안전 벨트(52)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기 안전 벨트(52)의 접속 부분은 모터(44)의 본체 부분에 설치된 급전 단자(56)에 압착 단자 구조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전기 안전 벨트(52)의 접속 부분과 급전 단자(56)를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하는 구성도 바람직하다.
더욱이, 모터(44)는 커버 모터(58)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커버 모터(58)에는 돌기부(60)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돌기부(60)가 하우징(48)에 설치된 결합돌기(62)에 결합되어 커버 모터(58)가 하우징(48)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모터 커버(58)에는 제1 요철부(6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요철부(64)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4)에 제1 요철부(64) 내로 결합 가능한 볼록부(66)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전기 모터(44)는 베이스 플레이트(54)의 볼록부(66)에 대응하여 볼록부(66)에 결합 가능한 제2 요철부(68)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볼록부(66)를 제2 요철부(68)에 감입시켜 모터(44)를 베이스 플레이트(54)에 대하여 위치를 결정함과 동시에, 볼록부(66)를 제1 요철부(64)에 감입시켜 베이스 플레이트(54)를 커버 모터(58)에 위치 결정하며, 또한, 돌기부(60)를 결합 돌기(62)에 감합 계지시켜 커버 모터(58)를 하우징(48)에 부착 고정시킴으로써, 하우징(48)에 대하여 모터(44)의 축 주위의 조립 위치가 일의적으로 특정되는 구성 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터 구동용 전기 안전 벨트(52)는 모터(44)의 출력측과 반대의 프레임(12)의 등받이(14)를 향하여, 커버 모터(58)의 후단 부분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 모터(58)의 전기 안전 벨트(52)의 돌출 부분은 고무 캡(70)에 의하여 방수되고 있다.
한편, 하우징(48)의 타측(모터 기어부(46)의 옆)으로 돌출된 모터(44)의 회전축(50)의 첨단에는, 모터 기어부(46)의 복수의 평치 기어(spur gear)를 구성하는 피니언(7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모터 기어부(46)에는 각각 외부 기어의 평치기어로 구성된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성하는 기어(74) 및 기어(76)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기어(74), 기어(76)는 모두 자신의 축이 모터(44)의 회전축(50)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기어(74)는 피니언(72)에 서로 맞물려 있어서, 최종 평치기어로 구성된 기어(76)는 전술한 클러치 기어부(28)의 클러치 케이스(10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웜 기어(34)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게 된다. 이 때문에, 모터(44)가 구동하면, 피니언(72), 기어(74) 및 기어(76)가 개입되어 구동력이 전달되어 웜 기어(34)가 회전되는 구성이 된다.
또한, 이러한 피니언(72), 기어(74) 및 기어(76)는 하우징(48)에 장착된 커버 기어(78)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커버 기어(78)는 돌기부(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80)는 하우징(48)에 설치된 돌기 수용부(82)에 감합 계지되어 커버 기어(78)가 하우징(48)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는 어느 쪽도 단일의 하우징(48)에 일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유니트화된 구성이 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는 하우징(48)에 일체로 설치된 설치 스테이(84)가 클러치 본체부(114) 및 클러치 기어부(28)를 수용하는 클러치 케이스(101, 즉 프레임(12))에 스크큐(86)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하우징(48)의 클러치 케이스(101)(프레임(12))의 설치 장착 상태에 대해서는, 모터(44)의 회전축(50)이 권취축(20)과 직교하여 그 출력측이 프레임(12)의 등받이(14)에 반대 옆으로 위치하여 있으며, 한 쌍의 각판(16)과 각판(18) 사이에 권취축(20)과 직교한 위치에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는 모터 기어부(46)의 최종 평치 기어로서의 기어(76)가 클러치(26) 및 클러치 기어부(28)의 웜 기어(34)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가, 설치 스테이(84)가 클러치 케이스(101)에 스크류(86)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류(86)를 떼어내 설치 스테이(84)를 클러치 케이스(101)로부터 분리하여,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를 어셈블리 상태인 채로 클러치 케이스(101)(프레임(12))로부터 독립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모터(44)는, 예를 들면, 전방 감시 장치 등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클러치 본체부(114)의 슬라이더(144)는, 일반적으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 바(154)에 접근하여 배치 되어 있다. 따라서, 락 바(154)의 해제편(168)은 통상 슬라이더(144)의 압압 보관 유지편(145)에 의하여 보관 유지되어 있어서 락 바(154)의 연결편(160)은 라쳇(134)의 외부 기어(136)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라쳇(134)(권취축(20))은 로터(12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승무원이 차량의 좌속에 착석하여,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 격납된 웨빙을 인출시키면, 권취축(20)이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웨빙이 나타난다. 이것에 의하여, 승무원은 웨빙을 신체에 걸어 돌려, 예를 들면, 웨빙에 설치된 탕프레이트를 버틀 장치에 계합시키는 것으로, 웨빙을 신체에 장착할 수가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차량 주행중에 차량의 전방으로 장애물이 존재해 차량과 장애물과의 간격(차량으로부터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소정 범위 내에 이르면, 모터(44)의 구동이 개시되어 회전축(50)이 급격하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44)의 회전축(50)이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모터 기어부(46)의 피니언(72), 기어(74) 및 기어(76), 및 클러치 기어부(28)의 웜 기어(34)를 개입시켜 클러치 본체부(114)의 기어 휠(116)에 전달되어 기어 휠(116)이 급격하게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기어 휠(116)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은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120)를 개입시켜 링(176)의 스프링 돌기(182)의 기단부에 전달됨과 동시에, 스프링 돌기(182)의 첨단부로부터 로터(124)의 외부 기어(130)에 전달되어 로터(124)가 급격하게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144)는 접동편(146) 및 리테이너(148)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보관 유지되기 때문에, 로터(124)가 슬라이더(144)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여, 로터(124)에 지지를 받은 락 바(154)가 슬라이더(144)로부터 떨어져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압압 보관 유지편(145)에 의하여 해제편(168)의 보관 유지가 해제되어 락 바(154)의 연결편(160)은 코일 스프링(164)의 밀착력에 의하여 라쳇(134)측으로 이동하며, 연결편(160)의 첨단부가 라쳇(134)의 외부 기어(136)에 서로 맞물리게 된다(도 4B의 화살표 E 참조). 이것에 의하여, 로터(124)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락 바(154)를 개입시켜 라쳇(134)에 전달되어 라쳇(134)이 권취 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라쳇(134)은 권취축(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축(20)이 라쳇(134)과 함께 권취 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웨빙이 권취축(20)에 김기어, 웨빙의 느슨함이 해소되어, 소위 "슬랙(slack)"이 해소되어, 웨빙에 의한 승무원 신체에 대한 구속력이 향상되어, 만일 그 후에 승무원이 차량 급제동(급브레이크)의 조작을 행하여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웨빙이 확실히 승무원의 신체를 보관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슬랙"이 해소된 상태에서는, 승무원의 신체가 장애가 되어 기본적으로는 그 이상 권취축(20)에 웨빙을 감아 꺼낼 수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권취축(20)에는, 웨빙으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여, 그 결과 로터(124)에 라쳇(134) 및 락 바(154)를 개입시켜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게 한다. 로터(124)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돌기(182)가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 스프링 돌기(182)의 각 첨단부가 로터(124)의 외부 기어(130)의 골 부분으로부터 빠져 나가, 기어 휠(116)과 로터(124)의 상대적인 공전이 가능해 진다(소위, "로드 리미터 기구", 도 5B의 화살표 F 참조).
이것에 의하여, 라쳇(134) 및 락 바(154)를 개입시켜 로터(124)에 연결된 권취축(20)이 모터(44)의 구동력에 의하여 필요 이상의 힘으로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웨빙이 필요 이상의 힘으로 승무원의 신체를 단단히 조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라쳇(134)의 외부 기어(136)가 소위 라쳇 티스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쳇(134)(권취축(20))이 로터(124)에 대해서 권취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려고 했을 경우(도 6B의 화살표 H 참조)에는, 락 바(154)는 라쳇(134)의 외부 기어(136)에 의하여(도 6B의 화살표 G 참조), 라쳇(134)(권취축(20))의 로터(124)에 대한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슬랙"이 해소된 상태로,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경우에는, 한층 더 다른 프리텐셔너 장치 등에 의하여 귄취축(20)을 귄취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키는 일도 가능하다. 이 경우, 웨빙의 의한 승무원의 신체의 구속력을 한층 상승시킬 수가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에 있어서 승무원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 위험이 회피되었을 경우에는, 모터(44)의 회전축(50)이 역전된다. 이 회전축(50)의 회전력은 모터 기어부(46)의 피니언(72), 기어(74) 및 기어(76), 및 클러치 기어부(28)의 웜 기어(34)를 개입시켜 클러치 본체부(114)의 기어 휠(116)에 전달되어 기어 휠(116)이 급격하게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7A의 화살표 D 참조).
기어 휠(116)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은, 기어 휠(116)의 회전 정지 요철부(122)를 개입시켜 링(176)의 회전 정치 돌기(180)에 전달됨과 동시에, 링(176)의 스프링 돌기(182)의 첨단부로부터 로터(124)의 외부 기어(130)에 전달되어 로터(124)가 급격하게 인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슬라이더(144)는 접동편(146) 및 리테이너(148)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보관 유지되기 때문에, 로터(124)가 슬라이더(144)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여, 로터(124)에 지지를 받은 락 바(154)가 슬라이더(144)로 접근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144)의 압압 보관 유지편(145)이 락 바(154)의 해제편(168)의 경사진 단면을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해제편(168)이 코일 스프링(164)의 밀착력에 저항하여 라쳇(134)측으로 이동되고(도 7B의 화살표 J 참조), 락 바(154)의 연결편(160)이 라쳇(134)의 외부 기어(136)로부터 떨어진다. 더욱이, 락 바(154)가 슬라이더(144)에 접근하면서, 락 바(154)의 해제편(168)은 슬라이더(144)의 압압 보관 유지편(145)의 안쪽(라쳇(134)측)에 비집고 들어가, 락 바(154)는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도 7B에 도시된 상태). 이것에 의하여, 로터(124)와 라쳇(134)은 다시 상대 회전이 가능해져서 권취축(20)의 회전이 가능하여 진다.
상기 웨빙 권취 장치(10)의 클러치(100)에서는, 클러치 본체부(114)의 기어 휠(116)은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120)가 설치되어 있어서, 기어 휠(116)로부터 로터(124)로의 권취 방향 회전력 전달시에, 스프링 돌기(182)로부터 기어 휠(116)에 작용하는 하중은 해당 외주방향 하중 수용부(120)를 개입시켜 기어 휠(116)의 외주 방향에 따라 작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회전력의 전달시에 스프링 돌기(182)로부터 기어 휠(116)의 지름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하중을 상정하여, 기어 휠(116)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게 된다.
게다가, 상기 클러치(100)에서 스프링 돌기(182)는 로터(124)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경우, 탄성 변형하여 첨단부를 로터의 외부 기어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여, 기어 휠(116)과 로터(124) 사이의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로드 리미터 기구"의 작동은 로터(124)와 스프링 돌기(182) 사이에 행하여지는 구성이며, 이 경우에도 기어 휠(116)에는 지름 방향에 따른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기어 휠(116)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클러치(100)에서는 기어 휠(116)을 얇게 성형하거나, 혹은 수지 등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100)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웨빙 권취 장치(10)의 클러치(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4)의 슬라이더(144)를 마찰력에 의하여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보관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슬라이더(144)와 락 바(154)를 상대 이동시켜, 이 상대 이동에 의하여 락 바(154)를 라쳇(134)과의 계합 위치 또는 계합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구성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클러치와 같이, 대형으로 중량이 있는 원반을 이용하여 파울을 이동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클러치(100) 전체 구성을 큰 폭으로 소형화(특히, 박형화)할 수 있어서, 이것에 의하여 웨빙 권취 장치(10) 전체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웨빙 권취 장치(10)의 클러치(100)에서는, 클러치 본체부(114)는 권취축(20)에 지지를 받는 구성이 아니고,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의해 지지를 받는 구성이다. 즉, 클러치 본체부(114)는 로터(124)의 수용부(132)의 축선 방향 일측에 설치된 지축부(133)가 홀더(170)의 회전 지지부(175)를 개입키셔 커버 클러치(102)의 원공(135)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음과 동시에, 수용부(132)의 축선 방향 외측이 부싱(112)를 개입시켜 클러치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는 것이므로,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고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락 바(154)에 의하여 로터(124)와 라쳇(134)(권취축(20))이 연결된 상태(차량 급감속때 등) 이외에는, 권취축(20)은 클러치 본체부(114)와 관계없이 회전할 수가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권취축(20)의 원활한 회전이 보증되어 통상 사용시에 있어서, 웨빙의 인출과 권취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웨빙 권취 장치(10)의 클러치(100)에서 클러치 본체부(114)의 링(176)은 기어 휠(116), 슬라이더(144), 락 바(154), 코일 스프링(164) 및 홀더(170)를 소정의 조립 위치에 유지하는 커버부(178)가 상술한 "로드 리미터 기구"용도의 스프링 돌기(18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링(176)은 스프링 돌기(182)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터(124)에 일체적으로 보관 유지하는 구성이다. 즉, 이 클러치 본체부(114)에서는 기어 휠(116), 슬라이더(144), 락 바(154), 코일 스프링(164) 및 홀더(170)를 소정의 조립 위치에 조립함과 동시에, 스프링 돌기(182)의 탄성력에 의하여 링(176)을 로터(124)에 보관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각 클러치 구성 부재를 일체적으로 가보관 유지(서브 어셈블리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본체부(114)를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조립할 때 등 조립성이 큰 폭으로 향상하여, 웨빙 권취 장치(10)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상기 웨빙 권취 장치(10)의 클러치(100)에서는, 클러치 본체부(114)의 기어 휠(116)에는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120)가 설치되어 기어 휠(116)로부터 로터(124)에 권취 방향의 회전력 전달시에 있어서, 스프링 돌기(182)로부터 기어 휠(116)에 작용하는 하중은 해당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120)를 개입시켜 기어 휠(116)의 외주 방향을 따라 작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회전력 전달시에 스프링 돌기(182)로부터 기어 휠(116)의 지름 방향에 따라 작용하는 하중을 상정하여 기어 휠(116)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게 된다.
게다가, 상기 클러치(100)에서는, 스프링 돌기(182)가 로터(124)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경우에, 탄성 변형하여 첨단부를 로터의 외부 기어로부 터 빠져 나가게 하여, 기어 휠(116)과 로터(124) 사이의 회전의 전달이 떨어지는 구성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로드 리미터 기구"의 작동은 로터(124)와 스프링 돌기(182) 사이에 행하여지는 구성이며, 이 경우에도 기어 휠(116)에는 지름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도 기어 휠(116)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100)에서는 기어 휠(116)을 얇게 성형하거나 혹은 수지 등에 의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클러치(100)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웨빙 권취 장치(10)에서, 클러치(100)에 의하여 모터(44)측에서의 회전만을 권취축(20)에 전달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클러치(100)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한편,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클러치(100)에 의하여 모터(44)의 회전축(50)의 회전을 권취축(20)에 전달하여, 권취축(20)을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클러치에 의하여 모터(44)의 회전축(50)의 회전을 권취축(20)에 전달하여 권취축(20)을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를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한편, 조립성이 향상되므로 텐션 리듀서나 프리텐셔너 기구를 제공하는 모터 리트랙터를 소형 경량화하여 제조하여 코스트를 절감시킬 수 있는 구성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6)

  1. 승무원을 구속시키는 웨빙이 감겨 인출 가능하게 돌려 감아진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권취축 측에서 발생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권취축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
    상기 기어 휠과 같은 동축상에 설치된 로터; 및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와의 사이에서 외주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스프링 돌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며, 상기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하중에 의하여 상기 회전의 전달이 분리되어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를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스프링 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프링 돌기는 링 형상의 커버부에 일체적으로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웨빙 권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휠은 상기 스프링 돌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외주 방향을 따라 수용하는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돌기는, 기단부가 상기 커버부에 접속되고, 첨단부가 상기 로터에 계합되며, 상기 기단부 단면(端面)이 상기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에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는 상기 기어 휠의 외주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4. 승무원을 구속시키는 웨빙이 감겨 인출 가능하게 돌려 감아진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상기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 측에서 발생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권취축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
    상기 기어 휠과 같은 동축상에 설치된 로터;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통상은 상기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 유지되는 락 바가 구비되며, 상기 로터가 축선 주위 제1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상기 권취축으로 계합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며, 상기 로터가 축선 주위 제2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상기 계합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보관 유지되는 락 바; 및
    링이 구비되되, 상기 로터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어 휠 및 상기 락 바를 상기 로터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조립 위치로 유지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며 상기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하중에 의하여 상기 회전의 전달을 분리시켜 양자를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돌기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에 보관 유지되는 링;
    을 포함하는 웨빙 권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휠은 상기 스프링 돌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외주 방향을 따라 향하도록 하는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웨빙 권취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웨빙 인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외주부에 외부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돌기는 그 첨단부가 상기 로터의 외부 기어에 계합하여 기단부가 상기 기어 휠에 계합함으로써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돌기는 상기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하중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여 상기 첨단부를 상기 로터의 외부 기어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는 것으로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를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돌기의 기단부는 상기 기어 휠의 상기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와 접촉하는 것으로써,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보관 유지되며 상기 로터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
    락 바를 권취축과 계합 방향으로 밀착하는 스프링; 및
    락 바의 로터에 대한 축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홀더;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은 기어 휠, 슬라이더, 락 바, 스프링, 홀더를 소정의 조립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11. 승무원을 구속시키는 웨빙이 감겨 인출 가능하게 돌려 감아진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상기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권취축 측에서 발생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케이스;
    상기 권취축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
    상기 기어 휠과 같은 동축상에 설치된 로터;
    상기 케이스의 마찰력에 의하여 보관 유지되며, 상기 로터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항상 상기 권취축과의 계합 방향으로 밀착되고 통상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하여 상기 권취축과의 계합 해제 위치에 보관되는 락 바에 있어서, 상기 로터가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하여 상기 보관 유지가 해제되고 밀착력에 의하여 상기 권취축으로 계합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의 상기 로터에 대한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로터가 상기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에 접근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의하여 상기 계합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보관 유지되는 락 바; 및
    링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축방향 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기어 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락 바를 상기 로터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조립 위치로 유지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여 상기 로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하중에 의하여 상기 회전의 전달을 분리시켜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가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돌기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에 보관 유지되는 링;
    을 포함하는 웨빙 권취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휠은 상기 스프링 돌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외주 방향을 따라 향하도록 하는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돌기의 기단부는 상기 기어 휠의 상기 외주 방향 하중 수용부와 접촉하는 것으로써,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락 바를 권취축과 계합 방향으로 밀착하는 스프링; 및
    락 바의 로터에 대한 축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홀더;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은 기어 휠, 슬라이더, 락 바, 스프링, 홀더를 소정의 조립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휠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휠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휠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67022340A 2004-04-01 2005-03-31 웨빙 권취 장치 KR101051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9313A JP4571427B2 (ja) 2004-04-01 2004-04-01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JP-P-2004-00109313 2004-04-01
PCT/JP2005/006247 WO2005095164A1 (ja) 2004-04-01 2005-03-31 ウエビング巻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431A KR20070012431A (ko) 2007-01-25
KR101051516B1 true KR101051516B1 (ko) 2011-07-22

Family

ID=3504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340A KR101051516B1 (ko) 2004-04-01 2005-03-31 웨빙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33842B2 (ko)
EP (2) EP1731389B1 (ko)
JP (1) JP4571427B2 (ko)
KR (1) KR101051516B1 (ko)
CN (2) CN2799336Y (ko)
AU (1) AU2005227968A1 (ko)
CA (1) CA2563089A1 (ko)
ES (1) ES2372018T3 (ko)
TW (1) TWI306437B (ko)
WO (1) WO20050951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354B1 (ko) * 2012-03-14 2013-06-18 주식회사 삼송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KR101743649B1 (ko) 2011-08-17 2017-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벨트 클러치 및 시트벨트 리트렉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29164D0 (en) * 2003-12-17 2004-01-21 Britax Roemer Kindersicherheit Gmbh Belt tension indicator
WO2005097562A1 (ja) * 2004-04-01 2005-10-20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7806357B2 (en) * 2006-07-07 2010-10-05 Autoliv Asp, Inc Retractor pretensioner with clutch
US8491439B2 (en) * 2007-02-06 2013-07-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ectively controlled rocker one-way clutch
KR100850922B1 (ko) * 2007-05-18 2008-08-08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토션 바 지지 구조
WO2008149746A1 (ja) * 2007-05-31 2008-12-11 Autoliv Development Ab シートベルト装置
WO2009055428A2 (en) * 2007-10-25 2009-04-30 Pacific Scientific Company Emergency locking retractor
DE102007056816B4 (de) * 2007-11-23 2015-09-10 Autoliv Development Ab Aufroller für das Gurtband eines Sicherheitsgurtsystems
JP5364463B2 (ja) * 2009-06-19 2013-12-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0985223B1 (ko) * 2009-09-01 2010-10-05 신석호 디스플레이 패널 회전조정장치
EP2497693B1 (en) * 2009-11-04 2014-08-06 Autoliv Development AB Seatbelt retractor
JP5430440B2 (ja) 2010-02-19 2014-02-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9194179B2 (en) 2010-02-23 2015-11-24 Qmotion Incorporated Motorized shade with the transmission wir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shaft
US8659246B2 (en) 2010-02-23 2014-02-2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US9249623B2 (en) 2010-02-23 2016-02-02 Qmotion Incorporated Low-power architectural covering
US8575872B2 (en) 2010-02-23 2013-11-0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and method for setting artificial stops
WO2012005538A2 (ko) * 2010-07-09 2012-01-12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및 이에 이용되는 클러치
KR20130143496A (ko) 2012-06-21 2013-12-31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 권취 장치
JP5872390B2 (ja) * 2012-06-21 2016-03-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8739854B2 (en) * 2012-07-02 2014-06-03 Qmotion Incorporated Pre-assembled and pre-tensioned shade with indexing gear tensioner
JP5819331B2 (ja) * 2013-01-15 2015-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3220956B3 (de) * 2013-10-16 2015-01-29 Autoliv Development Ab Getriebe für einen reversiblen Gurtstraffer
CN104760567B (zh) * 2014-01-06 2017-02-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卷绕装置
JP6127006B2 (ja) * 2014-03-07 2017-05-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278916B2 (ja) * 2015-02-24 2018-0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ートベルト装置
WO2016199525A1 (ja) * 2015-06-08 2016-12-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US10135147B2 (en) 2016-10-18 2018-11-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launching guided waves via an antenna
CN109869593B (zh) * 2019-03-29 2021-07-27 北京电影学院 一种可平面自由移动的摄影机器人机构
JP7411532B2 (ja) * 2019-10-29 2024-01-11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駆動装置
JP7313305B2 (ja) * 2020-03-24 2023-07-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13803382B (zh) * 2021-09-16 2022-08-30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棘轮式航空双速离合器结构
CN113819158B (zh) * 2021-09-29 2023-08-15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单向离合器和安全带卷收器
CN113819157B (zh) * 2021-09-29 2023-04-28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单向离合器和安全带卷收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782A (ja) 2002-07-11 2004-02-12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7987A (en) * 1947-02-18 1953-05-12 Hil Jon Safety Crown Corp Overload release coupling
US5601491A (en) * 1993-07-21 1997-02-11 Emerson Electric Co. Quiet appliance clutch
KR970000440B1 (en) * 1993-12-03 1997-01-11 Sungwoo Co Ltd Device of reducing the tension for a safety belt
JP3886088B2 (ja) * 1999-11-05 2007-02-28 タカタ株式会社 乗員拘束保護装置
JP3396027B2 (ja) * 2000-03-16 2003-04-14 サンコール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の巻取り装置
JP4726099B2 (ja) 2000-04-21 2011-07-20 タカタ株式会社 モータ式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ES2224982T3 (es) * 2000-09-08 2005-03-16 Societe Bic Acoplamiento deslizante para la transmision de fuerza con limitacion de par, en particular para un dispositivo portatil de transferencia de una pelicula a paretir de una banda portadora sobre un substrato.
JP3810060B2 (ja) * 2001-12-27 2006-08-1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3964750B2 (ja) * 2002-07-11 2007-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4042789A (ja) 2002-07-11 2004-02-12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924212B2 (ja) * 2002-07-11 2007-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102004012165A1 (de) * 2004-03-09 2005-10-06 Takata Corp. Gurtstraffer
WO2005097562A1 (ja) * 2004-04-01 2005-10-20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ウエビング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782A (ja) 2002-07-11 2004-02-12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649B1 (ko) 2011-08-17 2017-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벨트 클러치 및 시트벨트 리트렉터
KR101276354B1 (ko) * 2012-03-14 2013-06-18 주식회사 삼송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89259A (ja) 2005-10-20
EP1731389A1 (en) 2006-12-13
TW200536737A (en) 2005-11-16
WO2005095164A1 (ja) 2005-10-13
EP2284050A1 (en) 2011-02-16
CN100381307C (zh) 2008-04-16
CN2799336Y (zh) 2006-07-26
ES2372018T3 (es) 2012-01-13
EP1731389B1 (en) 2011-05-18
KR20070012431A (ko) 2007-01-25
US7533842B2 (en) 2009-05-19
CA2563089A1 (en) 2005-10-13
US20070284870A1 (en) 2007-12-13
EP1731389A4 (en) 2008-12-10
JP4571427B2 (ja) 2010-10-27
EP2284050B1 (en) 2011-10-19
CN1676379A (zh) 2005-10-05
TWI306437B (en) 2009-02-21
AU2005227968A1 (en)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516B1 (ko) 웨빙 권취 장치
KR101012915B1 (ko) 웨빙 권취 장치
KR101060300B1 (ko) 웨빙 권취 장치
US8256699B2 (en) Webbing take-up device
US20110006147A1 (en) Webbing winding device
JP3924212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238079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004896B1 (ko) 웨빙 권취 장치
JP4491266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437963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
JP519931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4042789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408403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
JP430873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020863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