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주제는, 조정풍을 취출하는 부분에서의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 양호한 조정풍의 취출 효율을 갖는 공조용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1 양태에 따른 공조용 레지스터는, 차량 실내를 향해 개구된 공기 취출구를 구비하며, 공조 장치 본체로부터 보내진 조정풍을 통과시켜, 공기 취출구로부터 차량 실내를 향해 조정풍을 취출하는 레지스터 본체; 및 조정풍의 흐름 방향을 조정하고 공기 취출구로부터의 조정풍의 취출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공조용 레지스터는; 상기 레지스터 본체에 복수의 조정풍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조정풍 유로의 각각이 상기 공기 취출구와 소통하고, 조정풍이 상기 조정풍 유로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공기 취출구를 향하는 조정풍의 흐름 방향이 상기 조정풍 유로의 각각에서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풍향 제어 유닛은 개폐부를 갖는 유로 형상 전환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복수의 조정풍 유로 중 임의의 유로를 개방하면서 그 개방된 조정풍 유로 이외의 조정풍 유로를 폐쇄하고, 개폐부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역으로 하며, 또한 공조풍의 흐름 방향을 전환시킨다.
상기한 양태에 의하면, 레지스터 본체에는 복수의 조정풍 유로가 형성된다. 개폐부에 의해 임의의 조정풍 유로가 개방되면, 다른 조정풍 유로가 폐쇄되어, 조정풍은 개방된 조정풍 유로를 통과하여 공기 취출구를 향한다. 이들 조정풍 유로에서는, 조정풍 유로의 내부를 통과해 공기 취출구를 향하는 조정풍의 흐름 방향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개폐부를 조작해 조정풍 유로를 선택함으로써, 조정풍의 흐름 방향을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공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조정풍의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핀 등을 공기 취출구에 형성하는 구성에 비해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공조용 레지스터는, 차량 실내를 향해 개구된 공기 취출구를 구비하며, 공조 장치 본체로부터 보내진 조정풍을 통과시켜, 공기 취출구로부터 차량 실내를 향해 조정풍을 취출하는 레지스터 본체; 및 조정풍의 흐름 방향을 조정하고 공기 취출구로부터의 조정풍의 취출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풍향 제어 유닛은, 상기 공기 취출구에서의 조정풍의 통과 위치를 변경하는 통과 위치 변경부; 및 상기 통과 위치 변경부에 연동하여 상기 레지스터 본체 내에서의 조정풍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고, 조정풍을 상기 통과 위치 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통과 위치로 향하게 하는 편향부를 포함한다. 공기 취출구측에 있는 통과 위치 변경부의 일단과 공기 취출구측에 있는 편향부의 일단 사이의 차량 전단방향에서의 거리가 통과 위치 변경부와 편향부의 거동에 관계없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양태에 의하면, 통과 위치 변경부가 작동하면, 공기 취출구에서의 조정풍의 통과 위치가 변경된다. 또한, 통과 위치 변경부에 연동해 편향부가 작동하면, 레지스터 본체 내부에서의 조정풍의 흐름 방향이 변경되고, 이로써 레지스터 본체 내를 흐르는 조정풍은 통과 위치 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통과 위치를 향한다. 이와 같이, 조정풍의 흐름 방향에 따라 공기 취출구에서의 조정풍의 통과 위치가 변경됨으로 인해, 조정풍의 흐름 방향이 변경되어도 공기 취출구의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공조용 레지스터는, 차량 실내를 향해 개구된 공기 취출구를 구비하며, 공조 장치 본체로부터 보내진 조정풍을 통과시켜, 공기 취출구로부터 차량 실내를 향해 조정풍을 취출하는 레지스터 본체; 및 조정풍의 흐름 방향을 조정하고 공기 취출구로부터의 조정풍의 취출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레지스터 본체의 측벽에 조작부가 형성되고, 상기 풍향 제어 유닛은 유로 형상 변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 형상 변경부는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와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를 포함한다.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의 기단측이 상기 레지스터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 중 일방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가 그 기단측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 인해,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의 선단측이 상기 일방의 내벽에 대해 접근 및 이간하여, 상기 일방의 내벽의 벽면에 대한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의 경사 각도가 변한다.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의 기단측이 상기 레지스터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 중 타방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가 그 기단측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의 회전으로 인해,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의 선단측이 상기 타방의 내벽에 대해 접근 및 이간하여, 상기 타방의 내벽의 벽면에 대한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변한다.
상기한 양태에 의하면,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가 그의 기단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그의 선단측이 레지스터 본체의 내벽들 중 서로 마주보는 내벽의 일방의 내벽에 대해 접근 및 이간한다. 이로써, 일방의 내벽의 벽면에 대한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의 경사 각도가 변한다. 또한, 이와 같이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가 회전하면, 이것에 연동해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가 그의 기단측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의 선단측이 레지스터 본체의 내벽들 중 서로 마주보는 내벽의 타방의 내벽에 대해 접근 및 이간한다. 이로써, 타방의 내벽의 벽면에 대한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의 경사 각도가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의 경사 각도에 따라 변한다.
이와 같이,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 및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의 경사 각도가 변하는 것으로 인해, 조정풍의 유로의 형상이 변하고, 이에 따라 레지스터 본체 내부에서의 조정풍의 흐름 방향이 변한다.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 및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의 경사 각도는 레지스터 본체의 측벽에 형성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변한다. 레지스터 본체의 측벽에 조작부가 제공되면, 공기 취출구에 조작부, 핀 등을 형성하는 구성에 비해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양태는; 상기 레지스터 본체는 레지스터 디자인부 및 핀을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터 디자인부에 상기 공기 취출구에 대응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이, 그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 주위에 형성된 차량의 디자인 부재의 표면과 함께, 디자인 표면을 구성하고, 상기 핀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측이, 핀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보다 더 공기 취출구의 내측을 향해 지지되고, 핀의 회전으로 인해, 그의 단측 방향의 배향이 변경되고, 상기 핀이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정풍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양태에 의하면, 핀을 회전시키면,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정풍의 방향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이 대략 차량의 상하방향이라면, 조정풍의 방향은 대략 차량의 좌우방향 등으로 변경된다). 여기서, 핀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측이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보다 더 공기 취출구의 내측을 향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공기 취출구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양태는;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함으로 인해 단측 방향의 배향이 변경되고,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정풍의 방향을 변경하는 핀; 및 상기 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양태에 의하면, 핀을 회전시키면,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정풍의 방향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이 대략 차량의 상하방향이라면, 조정풍의 방향은 대략 차량의 좌우방향 등으로 변경된다). 여기서, 핀의 내측에는 보강 부재가 형성되고, 이 보강 부재에 의해 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핀의 길이방향을 따른 공기 취출구의 치수를 크게 하고 이에 수반하여 핀을 길게 하더라도, 핀의 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핀의 강성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핀을 더 얇게 만들 수 있다. 이로써, 핀을 형성함으로 인한 공기 취출구의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양태는; 상기 레지스터 본체가 레지스터 디자인부 및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터 디자인부에 상기 공기 취출구에 대응하여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이, 그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 주위에 형성된 차량의 디자인 부재의 표면과 함께, 디자인 표면을 구성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레지스터 디자인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양태에 의하면, 레지스터 디자인부가 레지스터 본체에 형성된다. 차량 실내에 형성된 디자인 부재의 표면과 함께,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이 디자인 표면을 구성한다. 공기 취출구에 대응하여 레지스터 디자인부에 형성된 개구의 근방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된 조정풍이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을 따라 흐르려고 하면, 돌출부가 조정풍에 간섭하여,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으로부터 조정풍을 떨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소위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에의 조정풍의 부착을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조정풍을 효과적으로 차량 실내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양태는;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함으로 인해 단측 방향의 배향이 변경되고,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정풍의 방향을 변경하는 핀; 및 상기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보다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조작되어 상기 핀을 회전시키는 핀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 조작부는 돌출부가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양태에 의하면,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보다 돌출한 핀 조작부를 조작해, 핀을 회전시키면,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정풍의 방향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이 대략 차량의 상하방향이라면, 조정풍의 방향은 대략 차량의 좌우방향 등으로 변경된다).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보다 돌출한 핀 조작부가 상기한 돌출부이다.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을 따라 조정풍이 흐르려고 하면, 핀 조작부가 조정풍에 간섭하여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으로부터 조정풍을 떨어지게 한다.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에의 조정풍의 부착을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이와 같이, 핀 조작부를 돌출부가 되도록 함으로써, 레지스터 디자인부에 특별히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부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돌출부를 레지스터 디자인부에 특별히 형성함으로 인한 외관의 악화를 방지하거나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양태는;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서 회전함으로써 단측 방향의 배향이 변경되고, 조정풍의 풍향을 조정하는 핀; 및 상기 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상기 핀의 회전 중심에 동축으로 형성되고 또 상기 레지스터 본체에 형성된 구멍 부분 내에 배치되는 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양태에 의하면, 핀을 핀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서 회전시키면, 핀은 이 회전 중심 주위에서 폭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조정풍은 핀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로써, 조정풍의 방향이 변경된다.
핀의 축방향 일단에 형성된 축부는 핀의 회전 중심에 동축이고, 레지스터 본체에 형성된 구멍 부분 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핀의 단부와 레지스터 본체의 표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그러한 간극이 작아진다. 이로써, 간극이 조정풍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거나 또는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정풍의 방향을 원활히 그리고 믿을 수 있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외주부까지의 반경을, 상기 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핀의 폭방향 양단 사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단부까지의 거리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양태에 의하면, 축부의 축심으로부터 외주부까지의 반경이, 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핀의 폭방향 양단부 중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단부까지의 거리 이상이다. 그러므로, 핀을 회전시킴으로써, 축부측에 있는 핀의 단부가 구멍 부분 근방에 있는 레지스터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더라도, 핀의 단부가 떨어짐에 따라, 핀과 일체인 축부가 구멍 부분의 외측에 노출되고, 그러므로, 핀의 단부와 레지스터 본체의 표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핀의 단부와 레지스터 본체의 표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조정풍의 방향을 원활히 그리고 믿을 수 있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공기 취출구의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조정풍을 효율적으로 차량 실내로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개폐부를 조작하여 복수의 조정풍 유로 중 원하는 풍향에 대응하는 조정풍 유로를 선택함으로써, 공기 취출구의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조정풍의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레지스터 본체 내에서의 조정풍의 흐름 방향에 따라 공기 취출구에서의 조정풍의 통과 위치가 변경된다. 이로써, 공기 취출구의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조정풍의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유로 형상 변경부를 변형함으로써, 공기 취출구의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조정풍의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 및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를 회전시켜 쌍방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레지스터 본체 내에서의 조정풍의 유로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취출구의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조정풍의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정풍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핀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측이,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보다 더 공기 취출구의 내측을 향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공기 취출구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풍향 제어 유닛에 의한 조정풍의 변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정풍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핀의 내측에 보강 부재가 형성된다. 이로써, 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러므로 핀을 길게 형성하더라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레지스터 디자인부에 형성된 개구의 근방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레지스터 디자인부의 표면에의 조정풍의 부착을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조정풍을 효과적으로 차량 실내를 향해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핀 조작부를 돌출부가 되도록 함으로써, 레지스터 디자인부에 특별히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부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레지스터 디자인부에 돌출부를 특별히 형성함으로 인한 외관의 악화를 방지하거나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핀의 회전 중심에 대해 동축으로 형성되고 레지스터 본체에 형성된 구멍 부분에 배치되는 축부가 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핀을 회전시키는 때, 핀의 단부와 레지스터 본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그러한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정풍의 방향을 원활히 그리고 믿을 수 있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에서는, 핀의 축부의 회전 축심으로부터 외주부까지의 반경을, 상기 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핀의 폭방향 양단부 중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단부까지의 거리 이상으로 설정한다. 그러므로, 핀을 회전시키는 때에 핀의 단부와 레지스터 본체의 표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조정풍의 방향을 더욱 원활히 그리고 믿을 수 있게 바꿀 수 있다.
<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 (10) 의 외관 을 도 1 의 사시도에 나타내었다.
공조용 레지스터 (10) 는 레지스터 본체 역할을 하는 리테이너 (12) 를 구비하고 있다. 리테이너 (12) 는,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전방 측에 형성된 계기판의 이면측 (계기판의 기관실 측) 에 설치된다. 리테이너 (12) 는 대략 차량의 좌우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측벽 (14) (도 1 에서는 하나의 측벽 (14) 만 도시함) 을 구비하고 있다. 대략 차량 전후방향에서 측벽 (14) 의 전방측 (이하에서 간략히 "전방" 또는 "전방측"이라고 함) 에는, 전벽 (16) (도 3 참조) 이 형성되어 있다. 전벽 (16) 에 의해, 측벽 (14) 의 양 전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대조적으로, 대략 차량 전후방향에서 측벽 (14) 의 후방측 (이하에서 간략히 "후방" 또는 "후방측"이라고 함) 에는, 경사벽 (18)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벽 (18) 에 의해, 측벽 (14) 의 양 후단이 연결되어 있다. 측벽 (14), 전벽 (16) 및 경사벽 (18) 에 의해, 리테이너 (12) 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벽 (16) 및 경사벽 (18) 은 모두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경사진 판 형상이다. 그러나, 대략 차량의 좌우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 방향의 경사 각도가 경사벽 (18) 과 전벽 (16) 에서 상이하다. 전벽 (16) 에 비해, 경사벽 (18) 이 대략 차량의 상하방향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있다. 그러므로, 리테이너 (12) 의 외주 형상 및 내주 형상이 대략 차량의 상하방향에서의 상측 (이하에서 간략히 "상부" 또는 "상측"이라고 함) 을 향해 커진다.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리테이너 (12) 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고, 이 리테이너 (12) 의 개방된 하 단에는, 바람 안내부 (20) 의 상측 개방단이 접속되어 있다. 바람 안내부 (20) 는, 송풍기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이나, 압축기, 증발기, 콘덴서 등의 냉각 사이클 기구, 및 히터 등에 의해 구성된 공조 장치 본체에 접속되어 있다. 공조 장치 본체에서 생성된 조정풍이 바람 안내부 (20) 를 통과하여 리테이너 (12) 의 내측으로 보내진다.
한편, 도 1 및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전벽 (16) 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상벽 (22) 이 연장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상벽 (22) 의 대략 차량 좌우방향 양단부가 측벽 (14) 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리테이너 (12) 의 상단은 대략 차량 전후방향에서 중간부보다 전방측이 상벽 (22) 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경사벽 (18) 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하벽 (24) 이 연장되어 있다. 하벽 (24) 에 대응해서, 측벽 (14) 이 경사벽 (18) 보다 후방측을 향해 더 연장되어 있고, 하벽 (24) 의 대략 차량 좌우방향 양단부가 측벽 (14) 에 연결되어 있다. 상벽 (22) 과 하벽 (24) 의 후방측 단부 및 이 단부에 대응하는 측벽 (14) 의 단부에, 공기 취출구로서 작용하는 취출 베젤 (bezel) (26) 이 형성되어 있다. 취출 베젤 (26) 에는, 상벽 (22), 하벽 (24) 및 측벽 (14) 의 각 후방측 단부를 따라 주위 벽부 (28) 가 형성되어 있다. 주위 벽부 (28) 의 개구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위 벽부 (28) 의 선단으로부터, 개구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외측을 향해 레지스터 디자인부로서 작용하는 플랜지부 (30) 가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부 (30) 는, 예를 들어 차량 실내에 형성된 계기판에 형성된 직사각형 구멍 부분에 대응한다. 리테이너 (12) 를 계기판의 이면측에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플랜지부 (30) 가 이 구멍 부분에 끼워맞춰진다. 또한, 도 1 에 나타낸 것처럼, 취출 베젤 (26) 에는 좌우 풍향 조절부 (32) 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 풍향 조절부 (32) 는 복수개 (예시적인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의 좌우 조절 핀 (34) 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좌우 조절 핀 (34) 은, 상벽 (22) 의 후단과 하벽 (24) 의 후단의 대향 방향 (즉,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방향) 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놓인 폭이 좁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좌우 조절 핀 (34) 의 길이방향 단부는 소정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주위 벽부 (28) 에 축지지되어 있다. 좌우 조절 핀 (34) 의 회전으로 인해, 그의 폭방향은 대략 차량 좌우방향에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각 좌우 조절 핀 (34) 의 길이방향 일 단부가 연결편 (36) 에 연결되어 있어서, 좌우 조절 핀 (34)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다른 좌우 조절 핀 (34) 이 그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 1 에 나타낸 것처럼, 개구 형상이 대략 삼각형인 개구부 (38) 가 측벽 (14) 에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개구부 (38) 에 대응하도록 리테이너 (12) 의 내측에 분할부 (40) 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부 (40) 는 양측벽 (14) 의 대향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할부 (40) 의 내주 형상은 개구부 (38) 의 내주 형상에 대응하는 삼각형 형상이다. 분할부 (40) 의 일 단부는 한 측벽 (14) 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다른 측벽 (14) 에 연결된다. 리테이너 (12) 의 내측에 분할부 (40) 를 형성함으로써, 리테이 너 (12) 내에 있어서의 조정풍의 유로가 제 1 유로 (42) 와 제 2 유로 (44) 로 분할된다. 제 1 유로 (42) 는 전벽 (16), 상벽 (22) 과 분할부 (40)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유로 (44) 는 경사벽 (18) 과 분할부 (40)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 안내부 (20) 로부터 리테이너 (12) 내로 보내진 조정풍이 제 1 유로 (42) 내로 흐르면, 조정풍은 먼저 전벽 (16) 의 표면을 따라 상방으로 흐르고, 그 다음, 조정풍의 방향은 상벽 (22) 의 표면을 따라 후방 (도 3 의 화살표 W1 방향) 으로 바뀐다. 바람 안내부 (20) 로부터 리테이너 (12) 내로 보내진 조정풍이 제 2 유로 (44) 내로 흐르면, 조정풍은 경사벽 (18) 의 표면을 따라 상방으로 경사진 도 4 의 화살표 W2 방향으로 흐른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것처럼, 리테이너 (12) 의 내측에서의 상벽 (22) 의 표면을 따른 화살표 W1 방향과 리테이너 (12) 측에서의 경사벽 (18) 의 표면을 따른 화살표 W2 방향은 모두 후방을 향하고 있다. 그렇지만, 화살표 W1 방향에 대해 화살표 W2 방향은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제 1 유로 (42) 및 제 2 유로 (44) 의 취출 베젤 (26) 측의 부분에 대응하도록, 개폐 수단에 의해 풍향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유로 전환 기구 (50) 가 리테이너 (12) 내에 형성되어 있다. 유로 전환 기구 (50) 는 제 1 댐퍼 (52)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댐퍼 (52) 는, 폭방향 치수가 측벽 (14) 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댐퍼 (52) 는 폭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중심은 제 1 댐퍼 (52) 의 길이방향에서 일 단부측에 설정되며, 이 길이방향은 폭방향에 직교한다. 제 1 댐퍼 (52) 에 대응하여 상벽 (22) 에는 수용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54) 는 상벽 (22) 의 일부를 얇은 벽이 되게 하여 형성된다.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제 1 댐퍼 (52) 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상벽 (22) 을 향해 가능한 한 많이 회전했을 때에 수용부 (54) 가 상벽 (22) 의 내측에서 제 1 댐퍼 (52) 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수용부 (54) 에 제 1 댐퍼 (52) 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제 1 유로 (42) 의 취출 베젤 (26) 측이 개방되어, 조정풍이 제 1 유로 (42) 를 통과할 수 있다. 또, 분할부 (40) 로부터는 경사벽 (18) 의 상단부를 향해 접경편 (56) 이 연장되어 있다. 제 1 댐퍼 (52) 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상벽 (2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장 많이 회전되면, 그 길이방향 타단부가 도 4 에 나타낸 것처럼 접경편 (56) 에 접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유로 (42) 의 취출 베젤 (26) 측이 제 1 댐퍼 (52) 에 의해 폐쇄되어, 조정풍은 제 1 유로 (42) 를 통과할 수 없다.
유로 전환 기구 (50) 는 복수의 제 2 댐퍼 (58) 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제 2 댐퍼 (58) 는 양 측벽 (14) 의 대향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댐퍼 (58) 는, 단측 방향에서 대략 중앙부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각각의 제 2 댐퍼 (58) 의 단측 치수의 합은 접경편 (56) 의 선단 부와 경사벽 (18) 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길다. 제 2 댐퍼 (58) 의 단측 방향이 접경편 (56) 의 선단부로부터 경사벽 (18) 의 상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장 가까이 있도록 제 2 댐퍼 (58) 를 회전시키면, 도 4 에 나타낸 것처럼, 인접한 제 2 댐퍼 (58) 들이 접한 상태로 서로 중첩되고, 경사벽 (18) 측의 제 2 댐퍼 (58) 는 경사벽 (18) 의 상단부에 접하고, 접경편 (56) 측의 제 2 댐퍼 (58) 는 접경편 (56) 에 접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유로 (44) 가 접경편 (56) 의 선단부와 경사벽 (18) 의 상단부 사이에서 폐쇄되어, 조정풍은 제 2 유로 (44) 를 통과할 수 없다. 이 상태로부터 제 2 댐퍼 (58) 를 회전시키면, 조정풍은 서로 인접한 제 2 댐퍼 (58) 들의 사이, 그리고 제 2 댐퍼 (58) 와 접경편 (56), 경사벽 (18) 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각각의 제 2 댐퍼 (58) 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있어서, 단측 방향 대략 중앙부에 링크 (60) 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링크 (60) 의 타단부는 제 2 댐퍼 (58) 의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연결편 (62)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어느 한 제 2 댐퍼 (58) 가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다른 제 2 댐퍼 (58) 가 같은 방향으로 같은 각도만큼 회전한다.
복수의 제 2 댐퍼 (58) 중 하나의 제 2 댐퍼 (58) 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제 1 댐퍼 (52) 와 제 2 댐퍼 (58) 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기구 (64) 를 구성하는 기어 (66) 에 연결되어 있다. 기어 (66) 는 리테이너 (12) 의 외측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측벽 (14) 에 지지되어 있다. 측벽 (14) 을 관통하는 제 2 댐퍼 (58) 의 축부가 기어 (66) 에 동축으로 그리고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기어 (66) 는 기어 (66) 의 측방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측벽 (14) 에 지지된 기어 (68) 에 맞물려 있다. 기어 (68) 는 기어 (68) 의 측방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측벽 (14) 에 지지된 조작 다이얼 (70) 의 기어 (72) 에 맞물려 있다. 조작 다이얼 (70) 은 다이얼부 (74) 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얼부 (74) 는 기어 (72)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어 (72) 에 동축으로 그리고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낸 것처럼, 다이얼부 (74) 는 그 일부가 플랜지부 (30) 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개구부 (76) 로부터 돌출하고 있어서, 다이얼부 (74) 의 외주 중 일부가 차량 실내측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차량 실내에서 다이얼부 (74) 를 조작하고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다이얼부 (74) 의 반대측의 면에서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가 기어 (72) 에 형성되어 있다. 요동 아암 (80) 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핀 (82A) 이 안내 홈 (78) 의 선단으로부터 이 개구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안내 홈 (78) 은 조작 다이얼 (70) 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요동 아암 (80) 의 기단측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측벽 (14) 에 지지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 (70) 이 회전하면, 핀 (82) 이 안내 홈 (78) 에 의해 안내되고, 이로써 요동 아암 (80) 이 요동한다. 요동 아암 (80) 의 요동 중심은 제 1 댐퍼 (52) 의 길이방향 일단측에서의 제 1 댐퍼의 폭방향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 (70) 이 회전하면, 조작 다이얼 (70) 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 1 댐퍼 (52) 및 제 2 댐퍼 (58) 모두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
다음으로, 예시적인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예시적인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 (10) 에서, 조작 다이얼 (70) 을 그의 축 주위의 한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다이얼 (70) 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 1 댐퍼 (52) 가 회전하고, 제 1 댐퍼 (52) 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상벽 (22) 에 접근한다. 또한, 이와 같이 조작 다이얼 (70) 을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제 2 댐퍼 (58) 가 회전한다.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제 1 댐퍼 (52) 가 수용부 (54) 에 수용될 때까지 회전하면, 각 제 2 댐퍼 (58) 의 폭방향이 접경편 (56) 의 선단부로부터 경사벽 (18) 의 상단부로의 방향으로 가장 가까워진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한 것처럼, 인접한 제 2 댐퍼 (58) 들이 서로 접한 상태로 서로 중첩되고, 경사벽 (18) 측의 제 2 댐퍼 (58) 는 경사벽 (18) 의 상단부에 접하고, 접경편 (56) 측의 제 2 댐퍼 (58) 는 접경편 (56) 에 접한다. 따라서, 제 1 유로 (42) 가 개방되고, 제 2 유로 (44) 가 폐쇄된다. 제 1 유로 (42) 를 통해 흐르는 조정풍은, 그의 풍향이 도 3 의 화살표 W1 방향인 상태로 취출 베젤 (26) 로부터 차량 실내로 흐른다.
한편, 도 3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다이얼 (70) 을 그의 축 주위의 다른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다이얼 (70) 의 회전에 연동한 제 1 댐퍼 (52) 는 길이방향 타단부가 상벽 (22)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한다. 이와 같이 조작 다이얼 (70) 을 회전시키면, 이것에 연동한 제 2 댐퍼 (58) 가 회전하고, 그 중첩 부분이 서로 멀어지며, 경사벽 (18) 이나 접경편 (56) 에 접해 있던 제 2 댐퍼 (58) 의 부분은 경사벽 (18) 이나 접경편 (56) 으로부터 멀어진다.
조작 다이얼 (70) 의 회전으로 인해, 도 4 에 나타낸 것처럼, 제 1 댐퍼 (52) 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접경편 (56) 에 접해서, 제 1 유로 (42) 가 폐쇄되고, 제 2 댐퍼 (58) 의 중첩 부분이 서로 멀어져, 경사벽 (18) 이나 접경편 (56) 에 접해 있던 제 2 댐퍼 (58) 의 부분이 경사벽 (18) 이나 접경편 (56) 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제 2 유로 (44) 가 개방된다. 이로써, 조정풍은 제 2 유로 (44) 를 통과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유로 (44) 를 통과하는 조정풍의 풍향은 도 4 의 화살표 W2 방향이 되어, 제 1 유로 (42) 를 통과하는 조정풍의 풍향 (즉, 도 3 의 화살표 W1 방향) 보다 더 상방으로 기울어진다.
본 공조용 레지스터 (10) 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풍의 풍향을 상하로 바꾸려면, 조작 다이얼 (70) 을 회전시켜 제 1 댐퍼 (52) 및 제 2 댐퍼 (58) 를 회전시키고, 이로써 조정풍이 통과하는 유로가 제 1 유로 (42) 와 제 2 유로 (44)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해, 조정풍의 유로 자체가 전환된다. 그러므로, 동일 유로에서 풍향을 변경하는 종래 핀의 경우에 비해, 조정풍에 대한 저항이 적다. 이로써, 조정풍의 취출 효율이 양호하고, 풍절음 등의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정풍의 풍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함에 있어서, 유로는 제 1 유로 (42) 와 제 2 유로 (44)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전환된다. 제 1 유로 (42) 및 제 2 유로 (44) 의 조정풍이 통과하는 실효 개구 면적이 감소하지 않 는다. 동일 유로에서 풍향을 변경하는 종래 핀의 경우와 같이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수반하는 조정풍의 취출 범위의 감소 등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정풍을 상방 및 하방으로 충분히 취출할 수 있다.
<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의 구성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예시적인 각각의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를 포함하여, 설명하는 이전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 (90) 의 외관을 도 5 의 사시도에 나타내었다. 공조용 레지스터 (90) 의 분해 사시도를 도 6 에 나타내었다. 공조용 레지스터 (90) 는 레지스터 본체로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리테이너 (12) 를 대신하는 리테이너 (92) 를 구비하고 있다. 도 7 에 나타낸 것처럼, 리테이너 (92) 는 제 1 저벽 (94) 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저벽 (94) 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저벽 (94) 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제 2 저벽 (96)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저벽 (96) 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상방으로 기울어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저벽 (94) 과 제 2 저벽 (96) 에 의해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단면 형상은 V자 형상이다.
제 2 저벽 (96) 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평판 형상의 연장 벽 (98) 이 더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 1 저벽 (94) 및 제 2 저벽 (96) 의 폭방향 양단부 로부터 상방으로 측벽 (100) 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측벽 (100) 의 상단부 중, 대략 차량 전후방향에서 전단부측으로부터 중간부까지 위치한 부분은 제 1 저벽 (94) 에 평행하게 경사져 있다. 제 1 저벽 (94) 에 평행하게 경사진 이 부분의 후방측에서는, 측벽 (100) 의 상단부가 제 2 저벽 (96) 의 후방측 단부에 접근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측벽 (100) 의 상단부로부터 리테이너 (92) 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플랜지부 (101) 가 연장되어 있다. 통과 위치 변경부로서 풍향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셔터 (102) 가 플랜지부 (101) 상에 배치되어 있다.
셔터 (102) 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꺼운 벽 부분과 얇은 벽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 판 형상, 또는 두께 방향으로 일측에서 오목부와 융기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파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 (102) 는, 안내벽 (104) 및 상벽 (106) 에 의해 플랜지부 (101) 상에서 측벽 (100) 의 상단부를 따라서만 이동가능하다. 안내벽 (104) 은 플랜지부 (101) 로부터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상벽 (106) 은 대략 차량 전후방향에서 전방측으로부터 중간부까지의 리테이너 (92) 의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폐쇄한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취출 베젤 (26) 을 대신하는 취출 베젤 (108) 이 리테이너 (92) 상에 형성되어 있다. 취출 베젤 (108) 은 플랜지부 (30) 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 (30) 의 두께 방향의 한 면에는, 상기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주위 벽부 (28) 를 대신하는 주위 벽 (110) 이 형성되어 있다. 주위 벽 (110) 은 대략 차량 좌우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측벽부 (110A, 110B) 를 구비하고 있다. 1 쌍의 측벽 부 (110A, 110B) 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경사져 있고, 실질적으로 차량 전후방향이 대략 그 길이방향이다. 또한, 측벽부 (110A, 110B) 의 단측 방향이 차량 상하방향으로 되어 있다. 각 측벽부 (110A, 110B) 의 단측 방향 일단부 (플랜지부 (30) 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 는 리테이너 (92) 의 플랜지부 (101) 의 상단부의 형상 및 연장 벽 (98) 에 따라 적절히 만곡되거나 굽어 있다.
측벽부 (110A, 110B) 와 함께 주위 벽 (110) 을 구성하는 전벽부 (110C) 가 1 쌍의 측벽부 (110A, 110B) 의 전방측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측벽부 (110A, 110B) 및 전벽부 (110C) 와 함께 주위 벽 (110) 을 구성하는 후벽부 (110D) 가 1 쌍의 측벽부 (110A, 110B) 의 후방측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후벽부 (110D) 는 두께 방향은 연장 벽 (98) 의 두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측벽부 (110A, 110B) 의 일 단부가 플랜지부 (101) 에 접한 상태에서, 후벽부 (110D) 의 전방측 단부가 연장 벽 (98) 의 후방측 선단 (제 2 저벽 (96) 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 에 대향해 부딪친다. 이와 같이, 후벽부 (110D) 의 단부와 연장 벽 (98) 의 선단이 서로 부딪친 상태에서, 연장 벽 (98) 의 기단 (제 2 저벽 (96) 측의 단부) 으로부터 후벽부 (110D) 의 후방측 (플랜지부 (30) 측) 단부까지, 연장 벽 (98) 및 후벽부 (110D) 의 두께 방향의 한 면 (상면) 은, 단차가 존재하지 않는 평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 벽 (98) 및 후벽부 (110D) 의 두께 방향의 한 면 위를 조정풍이 흐를 때, 저항이 되는 부위가 없거나 또는 저항이 되는 부위가 매우 작다.
상기한 구성의 주위 벽 (110) 의 내측에는, 상기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서의 좌우 풍향 조절부 (32) 를 대신하는 좌우 풍향 조절부 (136) 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 풍향 조절부 (136) 에는 복수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의 좌우 조절 핀 (138) 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 조절 핀 (138) 은 플랜지부 (30) 보다 더 주위 벽 (110) 을 향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우 조절 핀 (138) 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고 대체로 차량 실내측에 있는 플랜지부 (30) 의 면에 평행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핀 (138) 의 단부에 형성된 축부 (138A) (전 상방측에 있는 축부) 는, 전벽부 (110C) 에 형성된 축수용 구멍 (141) 에 축지지되어 있다. 이에 대해, 좌우 조절 핀 (138) 의 타 단부에 대응하여 연장 벽 (98) 의 선단에는 대략 반원형의 절결부 (cut-out portion) (14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 (143A) 에 대응하도록, 주위 벽 (110) 의 후벽부 (110D) 의 전방측 단부 (플랜지부 (30) 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 에는 반원형 절결부 (143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낸 것처럼, 주위 벽 (110) 의 측벽부 (110A, 110B) 의 일단이 플랜지부 (101) 에 접하고 후벽부 (110D) 의 전방측 단부 (플랜지부 (30) 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 가 연장 벽 (98) 의 후방측 선단 (제 2 저벽 (96) 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 에 대향하도록 부딪힌 상태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절결부 (143A) 와 절결부 (143B) 에 의해 원형 구멍 부분이 형성된다. 각 좌우 조절 핀 (138) 의 다른 축부 (138B) 가 절결부 (143A) 와 절결부 (143B) 에 의해 구성된 구멍 부분을 통과한다.
절결부 (143A) 와 절결부 (143B) 에 의해 구성된 구멍 부분을 통과한 축부 (138B) 는 후벽부 (110D) 의 이면측에서 연결편 (36) 에 의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핀 조작부로서의 조작 다이얼 (142) (돌출부의 일 태양) 이 연결편 (36) 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 (142) 은 연장 벽 (98) 에 형성된 직사각형 개구부 (144) 를 통과하여, 연장 벽 (98) 의 상방측에서 돌출해 있다. 그러나, 조작 다이얼 (142) 은 취출 베젤 (108) 의 플랜지부 (30) 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고, 주위 벽 (110) 의 차량 상하방향에서 동일한 높이 이내로 유지된다. 이 조작 다이얼 (142) 을 회전시킴으로써, 연결편 (36) 이 이동하고, 연결편 (36) 의 이동에 연동하여 각 좌우 조절 핀 (138) 이 회전한다.
상기한 구성의 좌우 조절 핀 (138)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좌우 조절 핀 (34) 과 유사한 폭이 좁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좌우 조절 핀 (34) 이 단순히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데 반해, 도 10 에 나타낸 것처럼, 좌우 조절 핀 (138) 은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 대략 U자 형상 또는 대략 V자 형상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 (140) 가 좌우 조절 핀 (138) 의 내측에 끼워져 있다. 보강 부재 (140) 는, 예를 들어, 좌우 조절 핀 (138) 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 재료보다 강성이 더 높은 철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폭이 좁고 얇은 벽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면이 대략 U자 형상 또는 대략 V자 형상인 굴곡 부분을 좌우 조절 핀 (138) 사이의 경계로 하는 좌우 조절 핀의 일측에는 클로부 (claw portion, 145) 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 (145) 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조절 핀 (138) 의 개구 단부 측에 형성되어 있고, 좌우 조절 핀 (138) 의 굴곡부의 반대측을 향한 보강 부재 (140) 의 변위를 제한한다. 이로써, 보강 부재 (140) 를 접착제 등에 의해 좌우 조절 핀 (138) 에 접착 및 고정시키지 않거나 또는 나사에 의해 좌우 조절 핀 (138) 에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보강 부재 (140) 가 좌우 조절 핀 (138) 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예를 들어, 좌우 조절 핀 (138) 및 좌우 조절 핀 (34) 의 길이, 폭 및 깊이의 각 치수가 동일하면, 내측에 보강 부재 (140) 가 끼워진 좌우 조절 핀 (138) 은 좌우 조절 핀 (34) 보다 강성이 더 높다.
또한, 주위 벽 (110) 에서, 측벽부 (110A, 110B) 의 하단부 (플랜지부 (30) 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 는, 대략 차량 전후방향에서 중간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위치된 측벽 (100) 의 상단부의 만곡부의 곡률에 대응하여 만곡되어 있다. 이 만곡부의 하측에 셔터 (102) 가 들어간 경우, 셔터 (102) 가 측벽 (100) 의 상단부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주위 벽 (110) 이 셔터 (102) 를 만곡시킨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낸 것처럼, 셔터 (102) 와 함께 통과 위치 변경부를 구성하고 또한 편향부로서 풍향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댐퍼 (112) 가 제 2 저벽 (96) 위에 형성되어 있다. 댐퍼 (112) 는,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이 제공되어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판의 단측 방향의 폭 치수는 양 측벽 (100) 사이의 간격보다 단지 약간 더 짧다. 댐퍼 (112) 는, 제 2 저벽 (96) 보 다 더 높은 위치에서, 폭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측벽 (100) 에 축지지되어 있다. 회전 중심은 길이방향에서 대략 중앙부에 설정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낸 것처럼, 댐퍼 (112) 에 대응하여 측벽 (100) 의 외측에는 연동 기구 (114) 를 구성하는 캠 플레이트 (116) 가 배치되어 있다. 캠 플레이트 (116) 는 댐퍼 (112) 에 대한 캠 플레이트 (116) 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댐퍼 (112) 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댐퍼 (112) 와 캠 플레이트 (116) 는 일체로 회전한다. 캠 플레이트 (116) 의 측방에는, 조작 다이얼 (118) 이 대략 차량 좌우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측벽 (100) 에 축지지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 (118) 은 디스크 형상의 다이얼부 (120) 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얼부 (120) 의 일부가 플랜지부 (101) 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개구부 (122) 및 플랜지부 (30) 의 개구부 (76) 로부터 돌출하여, 다이얼부 (120) 의 외주 중 일부가 차량 실내 측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차량 실내로부터 조작 다이얼 (118) 을 조작하고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이얼부 (120) 의 외주 근방으로부터 핀 (124) 이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핀 (124) 은 조작 다이얼 (118) 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 (118) 이 회전하면, 핀 (124) 은 다이얼부 (120) 와 함께 조작 다이얼 (118) 의 회전 중심의 주위를 회전한다. 이 핀 (124) 은 캠 플레이트 (116) 에 형성된 안내 구멍 (126) 에 배치된다. 조작 다이얼 (118) 의 회전 중심의 주위를 핀 (124) 이 회전하면, 핀 (124) 이 안내 구멍 (126) 의 내벽을 밀어서 캠 플레이트 (116) 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댐퍼 (112) 가 조작 다이얼 (118) 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다이얼부 (120) 의 외주부에는 기어부 (128) 가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 (128) 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측벽 (100) 에 축지지된 기어 (130) 에 서로 맞물려 있다. 또한, 기어 (130) 는 기어 (130) 의 측방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측벽 (100) 에 축지지된 기어 (132) 에 서로 맞물려 있다. 기어 (132) 의 축방향 일 단부에는 기어 (134) 가 동축으로 그리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 (134) 의 외주부에 형성된 외부 치부는 셔터 (102) 의 두께 방향 저면의 요철에 대응하고, 기어 (134) 의 외부 치부가 셔터 (102) 의 저면의 요철에 서로 맞물려 있다. 그러므로, 조작 다이얼 (118) 의 회전이 기어부 (128), 기어 (130) 및 기어 (132) 를 통해 기어 (134) 에 전해지면, 기어 (134) 가 회전하여, 셔터 (102) 를 측벽 (100) 의 상단부를 따라 이동시킨다.
<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의 작용 >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 (90) 에서는, 조작 다이얼 (118) 을 그의 축 주위에 회전 조작하면, 조작 다이얼 (118) 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어 (134) 가 회전하고, 셔터 (102) 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조작 다이얼 (118) 을 그의 축 주위의 일 방향으로 가장 많이 회전 조작하면, 도 7 에 나타낸 것처럼, 셔터 (102) 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상벽 (106) 의 하측에 수용된다. 한편, 조작 다이얼 (118) 을 그의 축 주위의 다른 방향으로 가장 많이 회전 조 작하면, 도 9 에 나타낸 것처럼, 셔터 (102) 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상벽 (106) 으로부터 인출된다.
조작 다이얼 (118) 을 그의 축 주위의 일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캠 플레이트 (116) 가 회전하고, 댐퍼 (112) 가 회전한다. 조작 다이얼 (118) 을 그의 축 주위의 일 방향으로 가장 많이 회전 조작하면, 댐퍼 (112) 의 전방측 단부가 제 2 저벽 (96) 에 접하고, 댐퍼 (112) 의 두께 방향 상면은, 전방측을 향해 가장 많이 기울어진다 (도 7 참조). 이 상태에서는, 리테이너 (92) 에 보내진 조정풍의 방향이 댐퍼 (112) 의 상면에 평행한 도 7 의 화살표 W3 방향으로 바뀌어, 조정풍이 차량 실내로 보내진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다이얼 (118) 을 그의 축 주위의 다른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캠 플레이트 (116) 가 회전하고, 댐퍼 (112) 가 회전한다. 댐퍼 (112) 의 상면은 대략 차량 상측을 향해 기울어진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것처럼, 도 7 의 화살표 W3 보다 더 하방으로 경사진 화살표 W4 방향으로 조정풍의 풍향이 바뀐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다이얼 (118) 을 그의 축 주위의 다른 방향으로 가장 많이 회전 조작하면, 도 9 에 나타낸 것처럼, 댐퍼 (112) 의 상면은 더욱 상방으로 기울어지고, 댐퍼 (112) 의 길이방향 후단이 연장 벽 (98) 에 접해, 제 2 저벽 (96) 과 댐퍼 (112) 사이의 유로가 폐쇄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는, 도 8 의 화살표 W4 보다 대략 차량 하측을 향해 더 경사진 화살표 W5 방향으로 조정풍의 풍향이 바뀐다. 이와 같이, 공조용 레지스터 (90) 에서는 조정풍의 풍향을 상 하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조작 다이얼 (118) 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연동하여, 셔터 (102) 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상벽 (106) 의 하측에 수용되고, 댐퍼 (112) 의 길이방향 전방측 단부는 제 2 저벽 (96) 에 접하도록 회전한다. 조작 다이얼 (118) 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에 연동하여, 셔터 (102) 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상벽 (106) 으로부터 인출되고, 댐퍼 (112) 의 길이방향 후단은 연장 벽 (98) 에 접하도록 회전한다.
바꾸어 말하면, 댐퍼 (112) 와 셔터 (102) 사이의 위치 관계, 즉 댐퍼 (112) 의 길이방향 후단과 셔터 (102) 의 대략 차량 후방측에 있는 단부 사이의 간격은, 차량 전후방향에서 대략 일정한 크기로 유지된다. 상기 간격, 즉 공조용 레지스터 (90) 에서의 조정풍의 통과 범위 (통과 위치) 는 상대적으로 이동하지만, 실효 개구 면적은 변하지 않거나 또는 실효 개구 면적의 변화율이 매우 작다. 그러므로, 조정풍의 풍향을 변화시켜도,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수반하는 조정풍의 취출 범위의 감소 등이 발생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조정풍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다이얼 (142) 을 회전시키고, 좌우 조절 핀 (138) 을 회전시키면, 대략 차량 좌우방향에서의 좌우 조절 핀 (138) 의 방향이 변하고, 이로써 조정풍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조절 핀 (138) 의 내측에 보강 부재 (140) 가 끼워져 있다. 그러므로, 합성 수지 재료만으로 좌우 조절 핀 (138) 을 형성한 구성에 비해, 판 두께를 얇게 해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좌우 조절 핀 (138) 의 길이방향을 따른 개구 치수가 비교적 긴 주위 벽 (110) 에 대응하도록 좌우 조절 핀 (138) 의 길이방향 치수를 길게 설정하더라도, 좌우 조절 핀 (138) 이 굴곡되고 접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보강 부재 (140) 를 사용함으로써 좌우 조절 핀 (138) 을 얇게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좌우 조절 핀 (138) 의 제공에 수반되는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조정풍의 취출 범위의 감소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좌우 조절 핀 (138) 은 플랜지부 (30) 보다 주위 벽 (110) 측을 더 향해 위치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좌우 조절 핀 (138) 이 차량 실내 측을 향해 돌출하는 것으로 인한 외관 악화가 야기되지 않는다.
연장 벽 (98) 및 주위 벽 (110) 의 후벽부 (110D) 위를 흐르도록 취출 베젤 (108) 로부터 취출되는 조정풍은, 조작 다이얼 (142) 이 플랜지부 (30) 의 표면 (디자인 표면) 보다 더 돌출해 있기 때문에, 연장 벽 (98) 상에서 조작 다이얼 (142) 에 의해 간섭을 받아, 연장 벽 (98) 과 후벽부 (110D) 로부터 멀어지도록 (벗겨지도록) 이동한다. 이런 식으로, 후벽부 (110D) 의 표면으로부터 플랜지부 (30) 의 표면을 거쳐 계기판의 표면을 따른 조정풍의 유동, 즉 이른바 "조정풍의 부착"을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조정풍을 차량 실내로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조정풍에 간섭하는 돌출부를 조작 다이얼 (142) 이 되도록 함으로써, 플랜지부 (30) 등에 조정풍에 간섭하기 위한 돌출부를 특별히 제공 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돌출부를 별도로 제공하는 것으로 인한 플랜지부 (30) 의 외관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 예시적인 제 3 실시형태 >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제 3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 (147) 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 11 의 사시도에 나타내었다. 공조용 레지스터 (147) 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 12 의 단면도에 나타내었다.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낸 공조용 레지스터 (147) 의 주요부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의 공조용 레지스터 (90) 의 연장 벽 (98) 및 주위 벽 (110) 의 후벽부 (110D) 의 부분이며, 공조용 레지스터 (90) 와 구성이 상이한 부위 이외에는, 공조용 레지스터 (90) 와 구성은 동일하다.
도 7 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 (90) 에서는, 절결부 (143A) 및 절결부 (143B) 에 의해 구성된 구멍 부분을 통과하는 좌우 조절 핀 (138) 의 축부 (138B) 의 외경은 좌우 조절 핀 (138) 의 폭보다 더 작다.
이에 대해,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 (147) 에서는, 좌우 조절 핀 (138) 의 축부 (138B) 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축부 (148) 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 (148) 의 외경은 좌우 조절 핀 (138) 의 폭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절결부 (143A, 143B) 에 의해 구성된 구멍 부분의 내경도 축부 (148) 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7 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조절 핀 (138) 의 축부 (138B) 의 축방향이 연장 벽 (98) 및 후벽부 (110D) 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연장 벽 (98) 및 후벽부 (110D) 측에서 좌우 조절 핀 (138) 의 일부가 연장 벽 (98) 및 후벽부 (110D) 의 표면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절단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좌우 조절 핀 (138) 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연장 벽 (98) 이 좌우 조절 핀 (138) 에 불필요하게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여, 좌우 조절 핀 (138) 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서는, 좌우 조절 핀 (138) 을 회전시키면, 한편으로 연장 벽 (98) 또는 후벽부 (110D) 와 다른 한편으로 좌우 조절 핀 (138) 을 절단한 부분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그러한 간극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좌우 조절 핀 (138) 에 의해 조정풍의 방향을 조정할 수 없거나, 또는 간극 근방을 통과하는 조정풍으로 인해 조정풍의 방향 조정이 곤란하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 (147) 에서는, 축부 (148) 의 외경이 좌우 조절 핀 (138) 의 폭 (도 12 의 치수 D)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축부 (148) 의 외경은, 좌우 조절 핀 (138) 의 회전 중심과, 좌우 조절 핀 (138) 의 폭방향 양 단부 중, 좌우 조절 핀 (138) 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라 좌우 조절 핀 (138) 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단부와의 거리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 좌우 조절 핀 (138) 을 회전시켰을 때에 간극이 되는 부분에 축부 (148) 가 위치된다. 이로써, 좌우 조절 핀 (138) 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간극 없이 조정풍의 방향을 원활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축부 (148) 의 외경이 좌우 조절 핀 (138) 의 폭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축부 (148) 가 통과할 수 있는 절결부 (143A, 143B) 에 의해 구성되는 구멍 부분에 좌우 조절 핀 (138) 이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간극이 가장 커지는 좌우 조절 핀 (138) 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축부 (148) 측의 좌우 조절 핀 (138) 의 단부를 연장하는 경우라도, 상기 회전 위치로부터 좌우 조절 핀 (138) 을 회전시키면, 좌우 조절 핀 (138) 의 축부 (148) 측의 단부가 절결부 (143A, 143B) 에 의해 구성되는 구멍 부분에 들어가고, 좌우 조절 핀 (138) 이 불필요하게 연장 벽 (98) 또는 후벽부 (110D) 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 (148) 의 통과부인 연장 벽 (98) 및 후벽부 (110D) 의 표면이 축부 (148) 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지 않더라도, 좌우 조절 핀 (138) 과 연장 벽 (98) 및 후벽부 (110D) 의 표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연장 벽 (98) 및 후벽부 (110D) 의 표면이 회전하는 좌우 조절 핀 (138) 에 불필요하게 간섭함이 없이, 좌우 조절 핀 (138) 을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고 조절풍의 방향을 원활히 조정할 수 있다.
< 예시적인 제 4 실시형태의 구성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 (150) 의 외관을 도 13 의 사시도에 나타내었다. 도 13 에 나타낸 것처럼, 공조용 레지스터 (150)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리테이너 (12) 를 대신하며 레지스터 본체로서 역할하는 리테이너 (152)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5 에 나타낸 것처럼, 리테이너 (152) 는 평판 형상의 저벽 (154) 을 구비하고 있다. 대략 차량 좌우방향에서 저벽 (154) 의 양단으로부터 측벽 (156) 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측벽 (156) 의 상측에는 상벽 (158) 이 저벽 (154) 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152) 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5 에 나타낸 것처럼, 이 튜브 형상의 리테이너 (152) 의 후단 (차량 실내측에 있는 단부) 에서는, 상벽 (158) 보다 저벽 (154) 이 리테이너 (152) 의 관통 방향에서 더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측벽 (156) 의 후단은, 저벽 (154) 의 후단과 상벽 (158) 의 후단을 대략 직선적으로 연결하도록 차량의 대략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리테이너 (152) 의 후단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취출 베젤 (26) 에 대응하는 디자인벽 (160) 이 형성되어 있다. 디자인벽 (160) 의 표면 (외면) 이 측벽 (156) 의 일단에 대응하여 경사져 있다.
디자인벽 (160) 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공기 취출구 (162) 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152) 의 전단측으로부터 리테이너 (152) 의 내측을 통과한 조정풍이 공기 취출구 (162) 를 통과하여 차량 실내를 향해 취출된다. 또한, 공기 취출구 (162) 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만곡편 (164) 이 연장되어 있다. 만곡편 (164) 의 선단측이 리테이너 (152) 의 내측을 향해 만곡되어 있다. 만곡편 (164) 은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므로, 공기 취출구 (162) 의 전체 개구 면적 중, 실효 개구 면적은 만곡편 (164) 의 선단부와 공기 취출구 (162) 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공기 취출구 (162) 의 개구 면적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리테이너 (152) 의 내측에는, 유로 형상 변경부로서 역할하는 조정풍 유도 기구 (166)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낸 것처럼, 조정풍 유도 기구 (166) 는 제 1 조정풍 유도 부재로서 역할하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하측 유도판 (168) 을 구비하고 있다. 도 15 에 나타낸 것처럼, 하측 유도판 (168) 은, 리테이너 (152) 의 관통방향 중간부보다 후단 측에서, 저벽 (154) 을 대체로 하측 유도판 (168) 의 두께에 거의 대응하는 두께로 얇게 하여 형성된 하측 수용부 (170) 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 (152) 의 전단 측에서의 하측 유도판 (168) 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원주 형상의 샤프트 (172)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172) 에 대응하여 측벽 (156) 에는 하측 안내 홈 (174) 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안내 홈 (174) 은 리테이너 (152) 의 내주측에서 개구된 홈이며, 그 길이방향은 리테이너 (152) 의 관통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하측 안내 홈 (174) 의 내부 폭은 샤프트 (172) 의 외경보다 단지 약간 크다. 샤프트 (172) 는 하측 안내 홈 (174) 의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하측 안내 홈 (174) 의 길이방향 양단부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유도판 (168) 의 디자인벽 (160) 측에는, 회전판 (176) 이 하측 수용부 (170) 에 수용되어 있다. 회전판 (176) 은 하측 유도판 (168) 과 동일한 평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 (176) 의 디자인벽 (160) 측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샤프트 (178)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178) 에 대응하여 측벽 (156) 에는 리테이너 (152) 의 내주측에서 개구된 축수용 구멍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 (178) 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더욱이, 회전판 (176) 의 하측 유도판 (168) 측에서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원주 형상의 샤프트 (180)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180) 에 대응하여 측벽 (156) 에는 하측 원호형상 홈 (182) 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원호형상 홈 (182) 은 리테이너 (152) 의 내주측에서 개구되어 있고, 샤프트 (178) 가 축지지되는 축수용 구멍이 곡률 중심이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하측 원호형상 홈 (182) 의 내부 폭은 샤프트 (180) 의 외경보다 단지 약간 크다. 샤프트 (180) 는 하측 원호형상 홈 (182)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하측 원호형상 홈 (182) 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하측 유도판 (168) 의 회전판 (176) 측에서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원주 형상의 샤프트 (184)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184) 에 대응하여 측벽 (156) 에는 하측 원호형상 홈 (186) 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원호형상 홈 (186) 은 리테이너 (152) 의 내주측에서 개구된 홈이며, 샤프트 (178) 가 축지지되는 축수용 구멍이 곡률 중심이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하측 원호형상 홈 (186) 의 내부 폭은 샤프트 (184) 의 외경보다 단지 약간 크다. 샤프트 (184) 는 하측 원호형상 홈 (186)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하측 원호형상 홈 (186) 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샤프트 (180) 와 샤프트 (184) 는 자신의 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편 (188)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조정풍 유도 기구 (166) 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미끄러짐/회전 판 (190) 을 구비하고 있다. 미끄러짐/회전 판 (190) 은, 리테이너 (152) 의 관통방향 중간부보다 전단측에서 상벽 (158) 을 대체로 미끄러짐/회전 판 (190) 의 두께에 거의 대응하는 두께만큼 엷게 하여 형성되는 상측 수용부 (192) 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 (152) 의 관통방향 전단 측에서의 미끄러짐/회전 판 (190) 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는 원주 형상의 샤프트 (194)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194) 에 대응하여 측벽 (156) 에는 상측 안내 홈 (196) 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안내 홈 (196) 은 리테이너 (152) 의 내주측에서 개구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은 리테이너 (152) 의 관통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측 안내 홈 (196) 의 내부 폭은 샤프트 (194) 의 외경보다 단지 약간 크다. 샤프트 (194) 는 상측 안내 홈 (196)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측 안내 홈 (196) 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미끄러짐/회전 판 (190) 의 디자인벽 (160) 측에는, 제 2 조정풍 유도 부재로서 작용하는 상측 유도판 (198) 이 상측 수용부 (192) 에 수용되어 있다. 상측 유도판 (198) 은 미끄러짐/회전 판 (190) 과 동일한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유도판 (198) 의 디자인벽 (160) 측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샤프트 (200)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200) 에 대응하여 측벽 (156) 에는 리테이너 (152) 의 내주측에서 개구된 축수용 구멍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 (200) 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 (200) 를 지지하고 있다.
상측 유도판 (198) 의 미끄러짐/회전 판 (190) 측에서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원주 형상의 샤프트 (202)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202) 에 대응하여 측벽 (156) 에는 상측 원호형상 홈 (204) 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원호형상 홈 (204) 은 리테이너 (152) 의 내주측에서 개구되어 있고, 샤프트 (200) 가 축지지되는 축수용 구멍이 곡률 중심이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상측 원호형상 홈 (204) 의 내부 폭은 샤프트 (202) 의 외경보다 단지 약간 크다. 샤프트 (202) 는 상측 원호형상 홈 (204)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측 원호형상 홈 (204) 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미끄러짐/회전 판 (190) 의 상측 유도판 (198) 측에서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원주 형상의 샤프트 (206)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206) 에 대응하여 측벽 (156) 에는 상측 원호형상 홈 (208) 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원호형상 홈 (208) 은 리테이너 (152) 의 내주측에서 개구되어 있고, 샤프트 (200) 가 축지 지되는 축수용 구멍이 곡률 중심이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상측 원호형상 홈 (208) 의 내부 폭은 샤프트 (206) 의 외경보다 단지 약간 크다. 샤프트 (206) 는 상측 원호형상 홈 (208)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측 원호형상 홈 (208) 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샤프트 (202) 와 샤프트 (206) 는 자신의 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편 (21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미끄러짐/회전 판 (190) 의 샤프트 (194) 중 하나와 하측 유도판 (168) 의 샤프트 (172) 중 하나는 자신의 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편 (212) 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 (172) 가 하측 안내 홈 (174) 을 따라 이동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샤프트 (194) 가 상측 안내 홈 (196) 을 따라 이동한다.
조정풍 유도 기구 (166) 는 조작 다이얼 (214) 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 다이얼 (214) 은 디스크 형상의 다이얼부 (216) 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얼부 (216) 는 측벽 (156) 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리테이너 (152) 의 내측에서 일방의 측벽 (156) 에 축지지되어 있다. 다이얼부 (216) 에 대응하여 디자인벽 (160) 에는 직사각형의 개구부 (218) 가 형성되어 있다. 다이얼부 (216) 의 일부가 개구부 (218) 를 통과하여 리테이너 (152) 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다이얼부 (216) 를 차량 실내로부터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다이얼부 (216) 의 축방향 측방에는 기어 (222) 가 다이얼부 (216)에 대해 동축으로 그리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다이얼 (214) 의 측방에는 기어 (224) 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224) 는, 측벽 (156) 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리테이너 (152) 의 내측에서 일방의 측벽 (156) 에 축지지되어 있고, 기어 (222) 에 맞물려 있다. 기어 (224) 의 축방향 일단부에서의 기어 (224) 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는, 연결편 (226) 의 일단이 기어 (224) 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 (226) 의 타단에는 다른 샤프트 (172) 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 예시적인 제 4 실시형태의 작용 >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 (150) 에 있어서, 하측 유도판 (168) 및 회전판 (176) 이 하측 수용부 (170) 에 수용되고 미끄러짐/회전 판 (190) 및 상측 유도판 (198) 이 상측 수용부 (192) 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리테이너 (152) 의 내측을 향하는 하측 유도판 (168) 및 회전판 (176) 의 두께방향 상측 표면은 저벽 (154) 의 내면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고, 리테이너 (152) 의 내측을 향하는 미끄러짐/회전 판 (190) 및 상측 유도판 (198) 의 두께방향 하측 표면은 상벽 (158) 의 내면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그러므로, 리테이너 (152) 에 보내진 조정풍은 리테이너 (152) 내에서 리테이너 (152) 의 관통방향에 평행하게 (도 15 의 화살표 W6 방향) 흐르고, 공기 취출구 (162) 를 통과하여, 차량 실내로 취출된다.
이 상태로부터, 다이얼부 (216) 를 그 축 주위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 (224) 가 회전하고, 이로써 연결편 (226) 의 일단이 디자인벽 (160) 을 향해 회전한다. 연결편 (226) 의 회전으로 인해, 샤프트 (172) 가 하측 안내 홈 (174) 을 따라 디자인벽 (160) 을 향해 미끄러진다. 도 16 에 나타낸 것처럼, 샤프트 (172) 가 디자인벽 (160) 을 향해 미끄러짐으로 인해 샤프트 (172) 와 샤프트 (178)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하측 유도판 (168) 이 샤프트 (172) 주위에서 회전하고, 샤프트 (184) 가 하측 원호형상 홈 (186) 을 따라 상승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샤프트 (180) 가 하측 원호형상 홈 (182) 을 따라 상승하고, 회전판 (176) 이 샤프트 (178) 주위에서 회전한다.
샤프트 (172) 가 미끄러지면, 이 미끄러짐에 수반하여 연결편 (212) 이 디자인벽 (160) 을 향해 미끄러지고, 이로써 샤프트 (194) 가 상측 안내 홈 (196) 을 따라 디자인벽 (160) 을 향해 미끄러진다. 샤프트 (194) 가 디자인벽 (160) 을 향해 미끄러짐으로 인해 샤프트 (194) 와 샤프트 (2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미끄러짐/회전 판 (190) 이 샤프트 (194) 주위에서 회전하고, 샤프트 (206) 가 상측 원호형상 홈 (208) 을 따라 하강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샤프트 (202) 가 상측 원호형상 홈 (204) 을 따라 하강하고, 상측 유도판 (198) 이 샤프트 (200) 주위에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측 유도판 (168) 및 상측 유도판 (198) 이 회전하고 하측 유도판 (168) 의 두께방향 상면 및 상측 유도판 (198) 의 두께방향 하면이 기울어지면, 리테이너 (152) 의 내측을 통과하는 조정풍은 하측 유도판 (168) 과 상측 유도판 (198) 사이를 통과한다. 하측 유도판 (168) 의 두께방향 상면 및 상측 유도판 (198) 의 두께방향 하면에 따라 리테이너 (152) 의 관통 방향에 대해 대략 상방을 향해 기울어진 방향 (도 16 의 화살표 W7 방향) 으로 풍향이 변경되고, 조정풍은 디자인벽 (160) 을 통과한다.
이 상태로부터 다이얼부 (216) 를 그 축 주위에서 일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17 에 나타낸 것처럼, 하측 유도판 (168) 의 두께방향 상면 및 상측 유도 판 (198) 의 두께방향 하면이 더욱 기울어진다. 이로써, 조정풍이 하측 유도판 (168) 과 상측 유도판 (198) 사이를 통과할 때, 조정풍은 더욱 상방을 향해 기울어진다 (즉, 도 17 의 화살표 W8 방향을 향한다).
이와 같이, 본 공조용 레지스터 (150) 에서는, 하측 유도판 (168) 과 상측 유도판 (198) 사이의 영역이 조정풍의 유로가 된다. 다이얼부 (216) 를 회전 조작하고 하측 유도판 (168) 및 상측 유도판 (198) 을 기울임으로써, 조정풍의 유로 형상이 변경되고, 이로써 풍향을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기울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것처럼 조정풍의 풍향을 조절해도, 조정풍이 디자인벽 (160) 의 공기 취출구 (162) 를 통과할 때의 실효 개구 면적은 공기 취출구 (162) 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만곡편 (164) 의 선단부 사이의 개구 폭에 대응하는 개구 면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실효 개구 면적의 감소를 수반하는 조정풍의 취출 범위의 감소 등이 야기되지 않고, 조정풍의 방향을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전방측에 있는 계기판에 공조용 레지스터 (10, 90, 150) 를 장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관련된 공조용 레지스터의 장착 위치는 어떤 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한 공조용 레지스터 (10, 90, 150) 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방향 등은 공조용 레지스터의 장착 위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