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652B1 - 액추에이터의 과열보호용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의 과열보호용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652B1
KR101046652B1 KR1020040001175A KR20040001175A KR101046652B1 KR 101046652 B1 KR101046652 B1 KR 101046652B1 KR 1020040001175 A KR1020040001175 A KR 1020040001175A KR 20040001175 A KR20040001175 A KR 20040001175A KR 101046652 B1 KR101046652 B1 KR 101046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value
time interval
predetermined
cp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4624A (ko
Inventor
후카노유지
다나카겐지
모리미츠오
후나야마도모유키
야규미키토
가케가와도모오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64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006Predetermined time interval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액추에이터를 대형화시키지 않으면서 액추에이터를 과열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는 스티어링 축을 잠그기 위해서 스티어링 축과 결합되는 잠금 핀을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잠금 핀이 스티어링 축과 결합된 잠금위치와 잠금 핀이 스티어링 축으로부터 잠금해제된 잠금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잠금 핀을 이동시킨다. 제어유닛은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제어유닛은 액추에이터의 작동시간에 관한 산출값을 생성하며 이 산출값이 소정의 작동 정지 한계값보다 크면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스티어링 휠, 스티어링 축, 액추에이터, 잠금 핀, 과열보호, 제어유닛

Description

액추에이터의 과열보호용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STEERING LOCK APPARATUS FOR PROTECTING ACTUATOR FROM OVERHEATING}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제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플로차트,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제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감산처리의 플로차트,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과열보호 과정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의 잠금 제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가감산처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체된 액추에이터를 과열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계식 스티어링 잠금장치들이 차량의 도난 방지를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11-105673 호에는 키 실린더를 가지는 기계식 스티어링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기계 키는 키 실린더 내로 삽입되어 회동됨으로써 잠금 핀을 움직여, 스티어링 축에 잠금 핀을 결합 및 결합해제시킨다. 스티어링 축과 잠금 핀의 결합은 스티어링 축을 잠그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을 규제한다. 회전 규제는 차량의 도난방지성을 향상시킨다.
최근,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엔진을 시동 및 정지시키는 버튼 스위치를 갖는 원-푸시 타입(one-push type) 엔진 시동/정지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한 시동/정지 시스템의 스티어링 잠금장치(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스티어링 축과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잠금 핀을 움직인다. 잠금 제어유닛은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종래의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에 있어서, 스티어링 축의 빈번한 잠금 및 잠금해제는 액추에이터(모터)를 과열시킬 수 있어 코일의 단선과 같은 열 손상을 야기시킨다. 과열보호기능을 갖춘 모터가 그러한 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과열보호기능을 갖춘 그러한 모터는 바이메탈 등의 하드웨어 구성이 부가되어 있다. 이것은 모터의 크기 및 가격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과열보호기능을 갖춘 모터의 채용은 스티어링 잠금장치를 대형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추에이터를 대형화시키지 않으면서 액추에이터를 과열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스티어링 축을 잠그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 스티어링 잠금장치는 스티어링 축을 잠그기 위해 스티어링 축과 결합 가능한 잠금 핀을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잠금 핀이 스티어링 축과 결합되는 잠금 위치와 스티어링 축으로부터 결합해제되는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잠금 핀을 이동시킨다. 제어 유닛은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은 액추에이터의 작동시간에 관련된 산출값을 생성하여 이 산출값이 소정의 작동정지 한계값보다 클 때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내의 스티어링 축을 잠그기 위해서 사용되는 잠금 핀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액추에이터가 잠금 핀을 이동시키도록 작동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액추에이터가 작동될 때 가산을 수행함으로써 산출값을 증가시키는 단계,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정지되는 때 감산을 수행함으로써 산출값을 감소시키는 단계, 그리고 산출값이 작동정지 한계값보다 클 때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를 들어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과 함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어지는 설명을 참조함에 의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1)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1)는 스티어링 축(11), 잠금 핀(12), 액추에이터로서 작용하는 모터(13), 및 잠금 제어유닛(14)을 포함한다. 잠금 제어유닛(14)은 검출 스위치(16)에 접속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스위치(16)는 바람직하게 노말 오픈(A 접점) 타입의 기계식 스위치(본 실시예에서는 리미트 스위치)이다. 검출 스위치(16)는 배터리의 양극에 접속되는 일단과 잠금 제어유닛(14)에 접속되는 타단을 가진다.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제어하며 구동신호에 의해 모터(13)를 구동시킨다. 모터(13)는 웜 기어(17)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가진다. 웜 기어(17)는 기어(18)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잠금 핀(12)은 스티어링 축(11)의 외주면에서 소켓(11a)과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제1 단부를 가진다. 소켓(11a)과 잠금 핀(12)의 결합(도 1a에 도시된 상태)은 스티어링 축(11)의 회전을 제한한다. 소켓(11a)으로부터의 잠금 핀(12)의 결합해제(도 1b에 도시된 상태)는 스티어링 축(1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랙(12a)은 잠금 핀(12)의 외주표면에 형성되어 기어(18)와 맞물린다. 따라서, 기어(18)의 회전은 스티어링 축(11)의 축선방향(도 1a에서 화살표 F1 및 F2로 지시된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잠금 핀(12)을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잠금 핀(12)은 모터(13)에 의해서 스티어링 축(11)과 결합 및 결합해제된다.
잠금 핀(12)은 스위치 보스(12b)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단부를 가진다. 도 1a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축(11)은 잠금 핀(12)이 스티어링 축(11)의 소켓(11a)과 결합될 때 잠겨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스(12b)는 검출 스위치(16)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검출 스위치(16)는 스티어링 축(11)이 잠길 때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잠금 제어유닛(14)에는 로 레벨(low level)을 가지는 신호가 입력된다. 잠금 제어유닛(14)은 이 로(low) 신호에 의해 스티어링 축(11)의 잠금상태를 인식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축(11)은 잠금 핀(12)이 소켓(11a)으로부터 결합해제될 때 잠금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스(12b)는 검출 스위치(16)와 접촉된다. 이것은 검출 스위치(16)를 폐쇄시키고 잠금 제어유닛(14)에 입력되는 신호가 높아지게 한다. 잠금 제어유닛(14)은 이 하이(high) 신호에 의해 스티어링 축(11)의 잠금해제 상태를 인식한다. 검출 스위치(16)는 잠금 핀(12)이 스티어링 축(11)의 소켓(11a)으로부터 완전히 결합해제될 때 폐쇄된다.
잠금 제어유닛(14)은 마이크로 컴퓨터(도시생략) 및 모터(13)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 회로(도시생략)를 포함한다. 스티어링 축(11)의 잠금해제를 요구하는 모터 작동신호에 응답하여, 잠금 제어유닛(14)은 잠금해제 구동신호를 모터(13)에 출력한다. 동시에, 모터(13)는 화살표 F1으로 지시된 방향(스티어링 축(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잠금 핀(12)을 이동시키도록 화살표 R1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잠금 핀(12)의 이동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축(11)의 소켓(11a)으로부터 잠금 핀(12)을 결합해제시키고 검출 스위치(16)를 폐쇄시킨다. 그 다음 잠금 제어유닛(14)은 검출 스위치(16)로부터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스티어링 축(11)이 잠금해제된 것을 인식한다.
스티어링 축(11)의 잠금을 요구하는 모터 작동신호에 응답하여, 잠금 제어유닛(14)은 잠금 구동신호를 모터(13)에 출력한다. 동시에, 모터(13)는 화살표 F2로 지시된 방향(스티어링 축(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잠금 핀(12)을 이동시키도록 화살표 R2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잠금 핀(12)의 이동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축(11)의 소켓(11a)과 잠금 핀(12)을 결합시키고 검출 스위치(16)를 개방시킨다. 그 다음 잠금 제어유닛(14)은 검출 스위치(16)로부터 로 신호가 입력되면 스티어링 축(11)이 잠긴 것을 인식한다.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시간 및 작동정지시간에 근거하여 카운터 값(Cptc)을 증감시키고 이 카운터 값(Cptc)에 근거하여 모터(13)를 제어한다. 카운터 값(Cptc)의 증감 및 잠금 제어유닛(14)에 의해 수행되는 이 카운터 값(Cptc)에 근거한 모터(13)의 제어는 도 2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스텝 S1에 있어서,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모터(13)가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2에 있어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이전에 카운터 값(Cptc)을 가산(증가)한 때로부터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값이 소정의 시간간격마다 카운터 값(Cptc)에 가산 또는 감산된다. 따라서,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의 온도 변화를 모의(simulate)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변수로서 기능한다. 1의 값이 소정의 시간간격마다 잠금 제어유닛(14)에 의해 카운터 값(Cptc)에 가산 또는 감산됨으로써 이 카운터 값(Cptc)에 근거하여 모터(13)의 온도를 추정하도록 한다. 초기의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가 작동되기 이전의 모터(13)의 온도(이하 작동전 온도라고 한다)에 상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초기 카운터 값(Cptc)은 "0"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 값(Cptc)은 작동전 온도에 대한 온도변화를 나타낸다.
모터(13)의 온도 상승율로부터 사전에 산출된 가산 시간간격(Ta)은 카운터 값(Cptc)을 가산처리하는 시간의 간격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산 시간간격(Ta)은 24밀리초로 설정되어 있다.
스텝 S2에서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3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카운터 값(Cptc)에 "1"을 더한다. 스텝 S2에서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잠금 제어유닛(14)은 일시적으로 처리를 중단한다. 즉, 잠금 제어유닛(14)은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하였을 때 스텝 S3의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스텝 S3의 처리를 수행하여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을 "1"씩 증가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가 작동되는 동안에 24밀리초가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을 "1"씩 증가시킨다. 따라서,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의 작동시간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스텝 S2에서, 모터(13)가 작동되기 시작하면, 우선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가 작동되기 시작한 때로부터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의 처리를 수행한 이후, 스텝 S4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카운터 값(Cptc)이 작동정지 한계값(Cmax)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작동정지 한계값(Cmax)은 모터(13)의 작동이 강제적으로 정지되는 카운터 값(Cptc)에 상응한다. 초기의 카운터 값(Cptc)이 "0"이므로, 작동정지 한계값(Cmax)은 모터(13)의 온도 상한에 상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13)가 "85℃"의 분위기 중에서 작동되고 모터(13)의 온도 상한이 "180℃"라고 가정한다면, "180 - 85"의 연산이 수행되어 그 값인 "95"가 작동정지 한계값(Cmax)으로서 설정된다. 스텝 S4에서 카운터 값(Cptc)이 작동정지 한계값(Cmax)보다 크다면, 스텝 S5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카운터 값(Cptc)이 작동정지 한계값(Cmax)보다 작거나 같다면, 잠금 제어유닛(14)은 일시적으로 처리를 중단한다.
스텝 S1에서 모터(13)가 작동되지 않는다면, 스텝 S6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감산처리를 수행한다. 스텝 S6에서 수행되는 감산처리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의 스텝 S11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카운터 값(Cptc)이 "45"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2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이전에 카운터 값(Cptc)을 감산(감소)한 때로부터 제1 감산 시간간격(Ts1)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터(13)의 온도 하강율로부터 사전에 연산되는 감산 시간간격은 카운터 값(Cptc)이 감산 처리를 행하는 간격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감산 시간간격이 이용된다. 제1 감산 시간간격(Ts1)은 카운터 값(Cptc)이 "45"보다 크거나 같을 때 이용된다.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은 카운터 값(Cptc)이 "45"보다 작을 때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감산 시간간격(Ts1)은 0.5초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은 11초로 설정되어 있다.
스텝 S12에서 제1 감산 시간간격(Ts1)이 경과되었다면, 스텝 S13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1"을 뺀다. 스텝 S12에서 제1 감산 시간간격(Ts1)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잠금 제어유닛(14)은 일시적으로 처리를 중단한다. 즉, 잠금 제어유닛(14)은 제1 감산 시간간격(Ts1)이 경과되었을 때 스텝 S13의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스텝 S13의 처리를 수행하여 제1 감산 시간간격(Ts1)이 경과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을 "1"씩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운터 값(Cptc)이 "45" 이상이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0.5초가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을 "1"씩 감소시킨다. 따라서,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의 작동 정지시간에 비례하여 감소된다.
스텝 S11에서, 카운터 값(Cptc)이 "45" 이상이 아니라면, 즉 "45" 미만이면, 스텝 S14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이전에 카운터 값(Cptc)을 감산(감소)한 때로부터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4에서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잠금 제어유닛(14)은 일시적으로 처리를 중단한다. 즉, 잠금 제어유닛(14)은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하였을 때 스텝 S15의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카운터 값(Cptc)이 45 미만이면, 잠금 제어유닛(14)은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할 때마다 스텝 S15 이후의 처리를 수행한 다.
스텝 S14에서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하였을 때, 스텝 S15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카운터 값(Cptc)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카운터 값(Cptc)이 "0"이 아닐 때, 스텝 S16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1"을 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은 11초이다. 따라서, 모터(13)가 작동하지 않을 때 카운터 값(Cptc)이 "45" 미만이라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매 11초마다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1"을 뺀다. 따라서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의 작동정지 시간에 비례하여 감소된다. 스텝 S15에서 카운터 값(Cptc)이 "0"일 때, 잠금 제어유닛(14)은 일시적으로 처리가 중단된다. 다시 말해서, 카운터 값(Cptc)이 "0"일 때 잠금 제어유닛(14)은 스텝 S16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카운터 값(Cptc)은 "0" 미만으로 되지 않는다.
모터(13)의 작동이 정지되면, 스텝 S12 및 S14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우선 모터(13)의 작동이 정지된 때로부터 제1 감산 시간간격(Ts1) 또는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카운터 값(Cptc)이 "45" 이상이라면, 잠금 제어유닛(14)은 제1 감산 시간간격(Ts1)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을 감산한다. 카운터 값(Cptc)이 "45" 미만이라면, 잠금 제어유닛(14)은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을 감산한다.
카운터 값(Cptc)의 감산 처리 이후에, 잠금 제어유닛(14)은 카운터 값(Cptc)이 무효 한계값(Cth)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효 한계값(Cth)은 잠금 핀(12) 을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또는 잠금해제 위치로부터 잠금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모터(13)에 요구되는 시간(이하 최저 작동시간이라고 한다)에 상응하는 카운터 값(Cptc)을 작동정지 한계값(Cmax)으로부터 뺀 값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최저 작동시간은 300밀리초 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되는 무효 한계값(Cth)은 82 이다.
95(작동정지 한계값(Cmax)) - (300 / 24) ≒ 82
스텝 S7에서 카운터 값(Cptc)이 무효 한계값(Cth)보다 작거나 같으면, 스텝 S8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 작동신호를 확인한 후 일시적으로 처리를 중단한다. 다시 말해서,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 작동신호에 따라서 모터(13)를 제어한다. 스텝 S7에서 카운터 값(Cptc)이 무효 한계값(Cth)보다 크다면, 스텝 S9에서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 작동신호를 무효로 한 후 일시적으로 처리를 중단한다. 다시 말해서, 모터(13)가 작동되는 동안에,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을 계속한다. 그러나, 잠금 제어유닛(14)이 새로운 모터 작동신호를 수신한다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그 다음 잠금 제어유닛(14)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처리를 반복한다.
스티어링 잠금장치(1)의 작동이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4에 표시된 포인트 P0에서, 모터(13)는 작동을 시작한다. 포인트 P0에서의 초기 카운터 값(Cptc)은 "0"이다. 잠금 제어유닛(14)에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 작동신호에 응답하여 모터(13)를 작동시킨다. 모 터(13)가 작동됨에 따라, 잠금 제어유닛(14)은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을 "1"씩 증가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 제어유닛(14)은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1"을 더한다. 즉, 모터(13)의 작동시간은 카운터 값(Cptc)에 비례한다.
잠금 제어유닛(14)은 스티어링 축(11)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의 완료를 확인하고 모터(1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잠금 제어유닛(14)은 검출 스위치(16)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의 완료를 확인한다. 모터(13)가 잠금 핀(12)을 이동시키면, 소정의 위치로의 잠금 핀(12)의 이동은 예컨대 과잉의 부하에 의해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이동불능이 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검출 스위치(16)는 장시간에 걸쳐 잠금 제어유닛(14)에 신호를 제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잠금 제어유닛(14)은 장시간 동안 모터(13)를 계속 작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모터(13)는 장시간 동안 통전된다. 모터(13)의 그러한 장시간 작동에 의한 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속 작동시간은 1초로 제한된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포인트 P1에서의 최대 카운터 값(Cptc)은 "42"(1초 / 24밀리초)이다. 즉,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포인트 P1에서의 증가된 최대 카운터 값(Cptc)은 "42"이다. 카운터 값(Cptc)에 "42"를 더한다는 것은 모터(13)의 온도가 작동 전의 온도보다 "42℃"만큼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잠금 제어유닛(14)은 포인트 P1에서 모터(13)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제2 감산 시간간격(Ts2)(카운터 값(Cptc)은 45보다 작음)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을 "1"씩 감소시킨다. 잠금 제어유닛(14)에 의해 수행되는 감산 처리가 이하 설명 된다.
도 5b는 모터(13)의 작동이 정지된 후의 시간에 대한 카운터 값(Cptc)에 있어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의 온도를 의사적으로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따라서, 도 5b에서의 기울어진 선은 모터(13)의 온도 강하율을 나타낸다. 카운터 값(Cptc)이 45 이상이면, 잠금 제어유닛(14)은 제1 감산 시간간격(Ts1)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1"을 뺀다. 카운터 값(Cptc)이 45보다 작으면, 잠금 제어유닛(14)은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1"을 뺀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터(13)가 작동하지 않으면, 그 시점의 카운터 값(Cptc)에 따라서 제1 감산 시간간격(Ts1) 또는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할 때 잠금 제어유닛(14)은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1"을 뺀다. 즉, 모터(13)의 작동 정지시간은 카운터 값(Cptc)에 비례한다.
도 4에 있어서 포인트 P2에서, 잠금 제어유닛(14)에 모터 작동신호가 다시 입력되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을 재시작한다.
포인트 P2에서의 카운터 값(Cptc)은 포인트 P1에서의 카운터 값(Cptc)보다 작다. 예를 들어, 모터(13)가 포인트 P1으로부터 110초 동안 작동을 정지하였다면, 카운터 값(Cptc)은 10회의 감산처리를 수행한다(110초 / 11초(감산 시간간격(Ts2)). 이러한 경우에, 포인트 P2에서의 카운터 값(Cptc)은 포인트 P1에서의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10"을 뺌으로써 구해지는 값이다. "10"이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감산되므로, 포인트 P2에서의 모터(13)의 온도는 포인트 P1에서의 온도로부터 10℃만큼 하강되었다고 추정된다. 모터 작동신호가 포인트 P2에서 잠금 제어유닛(14)에 다시 입력되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작동시킨다. 그 다음, 잠금 제어유닛(14)은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1"씩 더한다.
그 후에, 잠금 제어유닛(14)은 포인트 P3에서 모터(13)의 작동을 정지시킨 다음 제1 감산 시간간격(Ts1)이 경과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1"씩 뺀다. 포인트 P3에서 최대 카운터 값(Cptc)은 포인트 P2의 카운터 값(Cptc)에 "42"를 더함으로써 구해진 값이다. "42"가 더해지면, 모터(13)의 온도는 포인트 P2에서의 온도로부터 42℃ 만큼 상승되었다고 추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P2로부터 포인트 P3로의 온도상승이 포인트 P1으로부터 포인트 P2로의 온도하강보다 크면, 모터(13)의 온도는 포인트 P1 과 P3에서의 카운터 값(Cptc) 사이의 차이(DCptc)에 상응하는 값만큼 포인트 P1에서의 온도로부터 상승된다고 추정된다. 다시 말해서, 모터(13)의 온도가 포인트 P1에서의 카운터 값(Cptc) 및 차이(DCptc)의 합에 상응하는 값만큼 작동 이전의 온도로부터 상승되었다고 추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13)가 작동되는 동안, 잠금 제어유닛(14)은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1"씩 더한다. 모터(13)의 작동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 잠금 제어유닛(14)은 제1 감산 시간간격(Ts1) 또는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1"씩 뺀다.
카운터 값(Cptc)이 무효 한계값(Cth)보다 작은 포인트 P3'에서, 잠금 제어유닛(14)에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된다. 모터(13)의 작동 동안에 카운터 값(Cptc)이 무효 한계값(Cth)보다 커지더라도,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계속해서 작동시킨다. 그 후에, 카운터 값(Cptc)이 작동 정지 한계값(Cmax)보다 커질 때(포인트 P4)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을 강제로 정지시킨다. 카운터 값(Cptc)이 한계값(Cth)과 작동 정지 한계값(Cmax) 사이에 있을 때 잠금 제어유닛(14)에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 작동신호를 무효로 하고 모터(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카운터 값(Cptc)이 무효 한계값(Cth)을 초과하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계속해서 작동시키지만 새로운 모터 작동신호를 무효로 한다.
모터(13)의 작동이 강제로 정지된 후,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되어도, 그 시점의 카운터값(Cptc)이 무효 한계값(Cth)보다 큰 경우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터 작동신호가 포인트 P5에서 입력되면, 그 시점의 카운터 값(Cptc)은 무효 한계값(Cth)보다 크다. 따라서,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 작동신호를 무효화하고 모터(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즉, 카운터 값(Cptc)이 작동 정지 한계값(Cmax)과 무효 한계값(Cth) 사이에 있을 때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 작동신호를 무효화하고 모터(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최저 작동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무효시간(PT)이 포인트 P4로부터 경과하지 않았다면,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무효시간(PT)은 6.5초이고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0.5초(제1 감산 시간간격(Ts1)) × 13(작동 정지 한계값(Cmax) - 무효 한계값(Cth)) = 6.5초
무효시간(PT)보다도 긴 시간이 경과된 포인트 P6에서,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그 시점의 카운터 값(Cptc)은 무효 한계값(Cth)보다 작다. 따라서,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 작동신호에 응답하여 모터(13)를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의 스티어링 잠금장치(1)는 이하 설명된 장점을 가진다.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제어하기 위해서 카운터 값(Cptc)을 이용한다. 모터(13)의 작동 동안에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1"의 값이 더해진다. 또한, 모터(13)의 작동정지 동안에 제1 감산 시간간격(Ts1) 또는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1"의 값이 빼진다. 즉,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의 작동시간에 비례하여 증가되고 모터(13)의 작동정지에 비례하여 감소된다. 따라서,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의 온도를 의사적으로 구한 값이다. 모터 작동신호에 응답하여, 잠금 제어유닛(14)은모터(13)를 작동시키고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1"을 더한다.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할 때마다 변하는 카운터 값(Cptc)이 작동 정지 한계값(Cmax)보다 큰 경우에는,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온도가 과잉 상승하고 있다고 추정하여 모터(13)의 작동을 강제로 정지시킨다. 모터 작동 정지는 모터(13)의 온도 상승으로 야기될 수 있는 열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모터(13)에 과열 보호장치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스티어링 잠금장치(1)는 대형화되지 않고 비용은 저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카운터 값(Cptc)이 무효 한계값(Cth)과 작동 중지 한계값(Cmax) 사이에 있을 때 잠금 제어유닛(14)에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 작동신호를 무효로 하고 모터(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무효 한계값(Cth)은,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또는 잠금해제 위치로부터 잠금위치로 잠금 핀(12)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모터(13)에 요구되는 시간(최저 작동시간)에 상응하는 카운터 값(Cptc)을 작동 정지 한계값(Cmax)으로부터 뺀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카운터 값(Cptc)이 무효 한계값(Cth)보다 크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것은 스티어링 축(11)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불완전하게 될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모터 작동신호가 무효로 되지 않아 예컨대 도 4에 있어서의 포인트 P5에서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된다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단시간동안만 작동시킨 다음 모터(1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 다른 모터 작동신호가 그 후 즉시 입력된다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단시간 동안만 다시 모터(13)를 작동시킨다. 그러한 경우에, 스티어링 축(11)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불완전한 상태가 계속된다. 그러나, 작동 중지 한계값(Cmax)보다 작은 무효 한계값(Cth)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된다. 더욱이, 카운터 값(Cptc)이 작동 정지 한계값(Cmax)과 무효 한계값(Cth) 사이에 있을 때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스티어링 잠금장치(1)에 있어서, 스티어링 축(11)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계속해서 불완전한 상태로 유지될 우려가 방지될 수 있다.
무효 한계값(Cth)은,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또는 잠금해제 위치로부터 잠금위치로 잠금 핀(12)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모터(13)에 요구되는 시간에 상 응하는 카운터 값(Cptc)을 작동 정지 한계값(Cmax)으로부터 뺀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카운터 값(Cptc)이 무효 한계값(Cth)보다 작을 때 잠금 제어유닛(14)에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를 작동하여 잠금위치 또는 잠금해제 위치로 잠금 핀(12)을 이동시킨다. 그러한 제어는 스티어링 축(11)이 불완전하게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 동안에 가산 시간간격(Ta)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1"을 더한다. 또한,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정지 동안에 제1 감산 시간간격(Ts1) 또는 제2 감산 시간간격(Ts2)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1"을 뺀다. 즉,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온도를 추정하기 위해서 카운터 값(Cptc)이 소정의 시간간격마다 가감되는 간단한 연산을 수행한다. 이것은 잠금 제어유닛(14)에 적용되는 제어 부하를 감소시킨다.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은 모터(13)의 작동이 강제적으로 정지되는 카운터 값((Cptc)이다. 초기의 카운터 값(Cptc)이 "0"이므로,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은 모터(13)의 허용 온도상승폭에 상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운터 값(Cptc)의 초기 값 "0"은, 모터가 작동되는 최악의 환경온도를 상정하여 설정된 "85℃"에 상응한다. 또한, 모터(13)의 작동 보증온도 상한은 180℃라고 상정한다. 결과적으로,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은 "95"로 설정된다. 모터(13)가 사용되는 환경 온도가 85℃ 미만이면, 모터(13)의 실제 온도가 180℃보다 낮더라도 카운터 값(Cptc)이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을 초과할 때 모터(13)의 작동은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다시 말해서, 모터(13)의 작동 이전의 온도가 보다 낮아짐에 따라, 열 손상으로부터 모터(13)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은 모터(13)가 작동되는 최악의 환경온도 하에서 작동되는 것을 상정하여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모터(13)가 최악의 환경온도 하에서 작동되더라도 열 손상으로 인하에 통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할 우려가 없어진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많은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하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은 "95" 이외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은 초기의 카운터 값(Cptc)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의 카운터 값(Cptc)은 "85"로 설정될 수 있고,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은 "18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은 작동 정지 한계값(Cmax)과 초기 카운터 값(Cptc) 사이의 차이가 "95"로 되도록 설정된다.
변경적으로,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은 작동 정지 한계값(Cmax)과 초기 카운터 값(Cptc) 사이의 차이가 "95"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것은 작동 정지 한계값(Cmax)에 도달되기 어렵도록 하여 스티어링 축(11)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한다. 한편,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은 작동 정지 한계값(Cmax)과 초기 카운터 값(Cptc) 사이의 차이가 "95"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것은 모터(13)가 고온까지 가열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13)가 열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무효 한계값(Cth)은 "82" 이외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작동 정지 한계값(Cmax)과 무효 한계값(Cth) 사이의 차이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13"이라면, 잠금 제어유닛(14)에 의한 스티어링 축(11)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확실하게 된다. 작동 정지 한계값(Cmax)과 무효 한계값(Cth) 사이의 차이가 확보되어 있다면, 무효 한계값(Cth)은 작동 정지 한계값(Cmax)에 따라서 큰 값 또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이 "105"로 설정되어 있다면, 무효 한계값(Cth)은 "92"로 설정될 수 있다.
작동 정지 한계값(Cmax)과 무효 한계값(Cth) 사이의 차이가 "13"보다 클 수 있다. 이것은 잠금 제어유닛(14)이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또는 잠금해제 위치로부터 잠금위치로 모터(13)를 가지고 잠금 핀(12)을 보다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스티어링 축(11)의 불완전한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한편, 작동 정지 한계값(Cmax)과 무효 한계값(Cth) 사이의 차이가 "13"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모터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이 강제적으로 정지된 후 작동 정지 한계값(Cmax)과 무효 한계값(Cth) 사이의 차이가 작아지는 만큼 이전의 시점에서 모터 작동신호를 유효하게 한다. 그러한 제어는 작동요구에 대한 모터(13)의 응답성을 향상시킨다.
복수개의 가산 시간간격이 카운터 값(Cptc)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터 값(Cptc)은 2개의 단계로 나눠질 수 있다. 하나의 가산 시간간격(Ta1)이 제1 단계에서 설정되고, 또 하나의 가산 시간간격(Ta2)이 제2 단계에서 설정된다(Ta1 > Ta2). 카운터 값(Cptc)이 제1 단계에 있을 때, 잠금 제어유닛(14)은 가산 시간간격(Ta1)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1"을 더한다. 카운터 값(Cptc)이 제2 단계에 있을 때, 잠금 제어유닛(14)은 가산 시간간격(Ta2)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1"을 더한다. 변경적으로, 3개 이상의 가산 시간간격이 카운터 값(Cptc)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감산 시간간격을 이용하는 대신에, 3개 이상의 감산 시간간격이 이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산 시간간격 및 감산 시간간격이 이용됨으로써,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모의할 수 있다. 이것은 모터(13)의 온도에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모터(13)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카운터 값(Cptc)의 가산 시간간격 및 감산 시간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이것은 카운터 값(Cptc)의 연산을 용이하게 하여 잠금 제어유닛(14)에 작용되는 제어 부하를 감소시킨다.
카운터 값(Cptc)에 더해지는 값은 "1"이 아니어도 좋고 카운터 값(Cptc)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변화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카운터 값(Cptc)이 소정의 값보다 작으면, 가산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2"가 더해지고, 카운터 값(Cptc)이 소정의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가산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에 "1"이 더해질 수 있다. 또한,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빼는 값은 단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터 값(Cptc)이 소정의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감산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4"를 빼고, 카운터 값(Cptc)이 소정의 값보다 작으면, 감산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카운터 값(Cptc)으로부터 "3"을 뺄 수 있다. 카운터 값(Cptc)에 더해지거나 빼지는 값은 상술한 것 이외의 값일 수도 있다. 또한, 더해지거나 빼지는 값은 카운터 값(Cptc)에 따라서 3개의 값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초기의 카운터 값(Cptc)은 작동 이전의 모터의 온도(작동 전 온도)에 상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의 추정온도(℃)를 나타낸다.
카운터 값(Cptc)은 모터(13)의 추정온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이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터(13)가 작동하지 않는 시간에 소정의 정수를 곱한 값을 모터(13)가 작동하는 동안의 시간에 소정의 정수를 곱한 값으로부터 뺌으로써 구해진 값이 모터(13)의 온도를 추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연산을 수행할 때, 하나의 동작을 완료하기 위한 모터(13)의 작동시간을 일정하게 하면, 잠금 제어유닛(14)에 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 모터(13)의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3)가 작동을 시작하기 전에, 산출값이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사전에 알 수 있게 된다. 잠금 제어유닛(14)은 산출값이 작동 정지 한계값(Cmax)을 초과할 때까지 모터(13)를 작동시킨다.
변경적으로, 산출값이 작동 정지 한계값(Cmax)보다 큰 것으로 잠금 제어유닛(14)이 판단하면, 잠금 제어유닛(14)은 모터(13)의 작동을 즉시 정지시킨다.
본 실시예 및 실시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칭 있어서, 모터의 대형화와 비용을 억제하면서 과열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0)

  1. 스티어링 축(11)을 잠그기 위한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1)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잠금장치는,
    스티어링 축을 잠그기 위해서 스티어링 축과 결합 가능한 잠금 핀(12);
    잠금 핀이 스티어링 축과 결합된 잠금위치와 잠금 핀이 스티어링 축으로부터 잠금해제된 잠금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잠금 핀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13); 및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1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유닛은 액추에이터의 작동시간에 관한 산출값(Cptc)을 생성하며 이 산출값이 소정의 작동 정지 한계값(Cmax)보다 크면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즉시 강제로 정지시키며,
    상기 제어유닛은 액추에이터 작동 요구에 따라서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산출값(Cptc)이 상기 작동 정지 한계값(Cmax)보다 작은 무효 한계값(Cth)보다 크면 현재 액추에이터 작동 요구에 대해서는 액추에이터를 계속 작동시키지만 새로운 액추에이터 작동 요구를 무효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정지 한계값은 액추에이터의 허용 온도 상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 한계값은, 스티어링 축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액추에이터의 작동 시간에 상응하는 값을 상기 작동 정지 한계값으로부터 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액추에이터가 작동중이면 소정의 제1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산출값을 증가시키고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정지되면 소정의 제2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산출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산출값이 작동 이전의 액추에이터의 온도에 상응하는 초기값과 동일하면 소정의 제2 시간간격이 경과되더라도 산출값을 감소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소정의 제1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산출값에 1의 값을 더하고 소정의 제2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산출값으로부터 1의 값을 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1 시간간격은 액추에이터의 온도 상승율에 따라서 설정되며, 상기 소정의 제2 시간간격은 액추에이터의 온도 하강율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2 시간간격은, 산출값이 소정의 값 이상일 때 설정되는 소정의 제3 시간간격 및 산출값이 소정의 값보다 작을 때 설정되는 소정의 제4 시간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1 시간간격은 24밀리초이고, 상기 소정의 제3 시간간격은 0.5초이고, 상기 소정의 제4 시간간격은 11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11.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1) 내에서 스티어링 축(11)을 잠그기 위해서 이용되는 잠금 핀(12)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13)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액추에이터가 잠금 핀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작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액추에이터가 작동중일 때 가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산출값(Cptc)을 증가시키는 단계;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정지되어 있을 때 감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산출값을 감소시키는 단계;
    산출값(Cptc)이 작동 정지 한계값(Cmax)보다 크면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즉시 강제로 정지시키는 단계;
    액추에이터의 작동요구에 따라서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산출값(Cptc)이 작동 정지 한계값(Cmax)보다 작은 무효 한계값(Cth)보다 크면 현재 액추에이터 작동 요구에 대해서는 액추에이터를 계속 작동시키지만 새로운 액추에이터의 작동요구를 무효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내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정지 한계값은 액추에이터의 허용 온도 상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내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 한계값은, 스티어링 축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액추에이터의 작동 시간에 상응하는 값을 상기 작동 정지 한계값으로부터 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내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액추에이터가 작동중일 때 소정의 제1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산출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산출값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정지되어 있을 때 소정의 제2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산출값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내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값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산출값이 작동 이전의 액추에이터의 온도에 상응하는 초기값과 동일하면 소정의 제2 시간간격이 경과되더라도 산출값을 감소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내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소정의 제1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산출값에 1의 값을 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값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소정의 제2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산출값으로부터 1의 값을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내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1 시간간격은 액추에이터의 온도 상승율에 따라서 설정되며, 상기 소정의 제2 시간간격은 액추에이터의 온도 하강율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내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2 시간간격은, 산출값이 소정의 값 이상일 때 설정되는 소정의 제3 시간간격 및 산출값이 소정의 값보다 작을 때 설정되는 소정의 제4 시간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내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1 시간간격은 24밀리초이고, 상기 소정의 제3 시간간격은 0.5초이고, 상기 소정의 제4 시간간격은 11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내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040001175A 2003-01-10 2004-01-08 액추에이터의 과열보호용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46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4834 2003-01-10
JP2003004834A JP4084200B2 (ja) 2003-01-10 2003-01-10 電動式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624A KR20040064624A (ko) 2004-07-19
KR101046652B1 true KR101046652B1 (ko) 2011-07-05

Family

ID=3250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175A KR101046652B1 (ko) 2003-01-10 2004-01-08 액추에이터의 과열보호용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87089B2 (ko)
EP (1) EP1437271B1 (ko)
JP (1) JP4084200B2 (ko)
KR (1) KR101046652B1 (ko)
CN (1) CN1310785C (ko)
DE (1) DE60200400004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0972B2 (ja) 2004-08-03 2010-05-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6273115A (ja) * 2005-03-29 2006-10-12 Alpha Corp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及び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制御方法
US7475577B2 (en) * 2006-11-08 2009-01-13 Kabushiki Kaisha Honda Lock Electric steering lock system
DE102007033365A1 (de) * 2007-07-16 2009-0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ine ein temperaturabhängiges Signal liefernde Watchdog-Schaltung für einen Mikrocontroller einer ELV
DE102008013487A1 (de) * 2008-03-10 2009-09-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Sperrgliedes
US8126575B2 (en) * 2008-03-26 2012-02-28 Fakhruddin T Attarwala Universal model predictive controller
JP5020153B2 (ja) * 2008-04-18 2012-09-05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08023997B4 (de) * 2008-05-16 2019-04-2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perrvorrichtung mit einem Sperrglied zur Sperrung eines funktionswesentlichen Bauteils
DE102008048771B4 (de) * 2008-09-24 2018-10-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Lenkungsverriegelung
DE102009029682B4 (de) * 2009-09-22 2019-11-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V-Baugruppe zur Ankopplung an ein Steuergerät
US20140069224A1 (en) 2012-09-07 2014-03-13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teering lock
US8424348B2 (en) * 2010-01-27 2013-04-23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teering lock
FR2955816A1 (fr) * 2010-02-01 2011-08-0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deverrouillage d'un antivol electrique de colonne de direction de vehicule et antivol electrique associe
JP2013022972A (ja) 2011-07-15 2013-02-04 Yuhshin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1240627B1 (ko) * 2011-09-29 2013-03-11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전기 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락킹장치
KR101559476B1 (ko) * 2014-03-18 2015-10-13 (주) 파루 웜 기어 장치
JP6378561B2 (ja) * 2014-07-08 2018-08-22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過熱防止方法
EP3234314B1 (en) 2014-12-19 2020-03-11 General Electric Company Active noise control system
CA3035307C (en) 2016-09-02 2024-04-02 Kongsberg Inc. Techniques for limiting electrical current provided to a motor in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BR112021015729A2 (pt) 2019-04-05 2021-11-23 Dormakaba Usa Inc Fechadura eletrônica
JP2021146841A (ja) * 2020-03-18 2021-09-27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盗難防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96A (ja) * 1996-06-20 1998-01-16 Brother Ind Ltd モータの温度制御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20020021500A (ko) * 2000-09-15 2002-03-21 밍 루 전동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 모터의 과열 방지 방법
JP2003034231A (ja) * 2001-07-19 2003-02-04 Yuhshin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719A (ja) * 1989-09-29 1991-05-21 Seikosha Co Ltd モータの制御方法
US6125671A (en) * 1996-11-13 2000-10-03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teering lock system
JPH11105673A (ja) 1997-10-08 1999-04-20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ック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96A (ja) * 1996-06-20 1998-01-16 Brother Ind Ltd モータの温度制御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20020021500A (ko) * 2000-09-15 2002-03-21 밍 루 전동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 모터의 과열 방지 방법
JP2003034231A (ja) * 2001-07-19 2003-02-04 Yuhshin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84200B2 (ja) 2008-04-30
EP1437271B1 (en) 2005-08-10
DE602004000045T2 (de) 2006-06-08
DE602004000045D1 (de) 2005-09-15
US20040221628A1 (en) 2004-11-11
CN1310785C (zh) 2007-04-18
US7187089B2 (en) 2007-03-06
EP1437271A1 (en) 2004-07-14
JP2004217002A (ja) 2004-08-05
KR20040064624A (ko) 2004-07-19
CN1521064A (zh)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652B1 (ko) 액추에이터의 과열보호용 전동식 스티어링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40263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
CA2464921A1 (en) Window glass obstruction detector
WO2008056727A1 (fr) Dispositif antivol électrique sur la direction
JP2013022972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6273115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及び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制御方法
EP1655204B1 (en) Power steering apparatus
JPH06307138A (ja) 車両用防盗装置
GB2290824A (en) Door lock device with anti-theft mechanism
US8174228B2 (en) Motor control device
JP2008195097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875506B2 (ja) 自動車用スタータの過熱保護装置および方法
KR20000005591A (ko) 차량용도난방지장치
JP442258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791438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制御装置
CN101367373B (zh) 发动机起动·停止控制系统
JP2003020844A (ja) 自動車用電子ラッチシステム
JP6533152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8195098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5212505A (ja) 車両用自動ドア開閉装置
CN117795172A (zh) 机动车锁
JP2006076479A (ja)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JP2527501Y2 (ja) バックドア用パワーウインドウの制御装置
JP2004345588A (ja) ミラー制御装置
JP2022094343A (ja) 自動車のモータ駆動式のフラップアセンブリを作動させ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708

Effective date: 201105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