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842B1 -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842B1
KR101042842B1 KR1020090022277A KR20090022277A KR101042842B1 KR 101042842 B1 KR101042842 B1 KR 101042842B1 KR 1020090022277 A KR1020090022277 A KR 1020090022277A KR 20090022277 A KR20090022277 A KR 20090022277A KR 101042842 B1 KR101042842 B1 KR 101042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eet
unit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9493A (ko
Inventor
료따로 이미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54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9Calibration, test runs, test pr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숙지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롤러 부품의 동작 확인을 쉽게 행하게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는 복수의 롤러 부품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기구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컨트롤러의 CPU는 롤러 부품들로부터 동작 확인을 행하는 롤러 부품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CPU는 선택된 롤러 부품을 지나가는 시트 반송 패스를 결정한다. 또한, CPU는 결정된 반송 패스를 따라 시트가 반송되도록 시트 반송 기구를 제어한다. CPU는 시트가 반송 패스를 따라 반송되는 중에 시트의 반송 상태를 검출한다.
시트 반송 기구, 반송 패스, 롤러 부품, 화상 형성 장치, 동작 확인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복수의 롤러 부품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기구를 구비한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복사기 등의 업무용 장치의 메인티넌스(maintenance)는, 예를 들어, 그 장치가 설치된 사무실에 파견된 서비스 맨에 의해 수행된다.
메인티넌스 작업은 장치에 제공되는 소모품들인 롤러 부품의 교환을 포함하며, 서비스 맨은 롤러 부품들의 교환 후에 각각의 새로운 롤러 부품이 정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방법은, 장치에서 새로운 롤러 부품을 동작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설정을 구성한 후에, 롤러 부품을 실제로 동작시킴으로써 일반적으로 달성된다. 서비스 맨은 교환 후의 새로운 롤러 부품을 동작시키기 위한 복사기 등의 구조를 숙지하고 있으므로, 전문적인 지식에 기초하여 새로운 롤러 부품 및 그 위치에 따른 적절한 설정들을 구성할 수 있다(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072118호를 참조).
이하, 업무용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도 사용자가 스스로 롤러 부품의 교환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용자들 모두가, 모든 서비스 맨들과 마찬가지로, 교환 후의 새로운 롤러 부품을 동작시키기 위한 복사기 등의 장치의 구조를 숙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일부의 사용자들은 새로운 롤러 부품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적절한 설정들을 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복사기에서 시트 반송 패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 부품을 교환하는 경우, 롤러 부품들의 동작 판정을 확인하기 위해 급지단, 반전 패스, 등의 설정들과 롤러 부품들의 동작들 사이의 관계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잘 알지 못하는 사용자라도 롤러 부품에 대한 동작 확인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복수의 롤러 부품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기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롤러 부품들로부터 동작 확인을 행하는 롤러 부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 유닛,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롤러 부품을 지나가는 시트 반송 패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반송 패스를 따라 시트가 반송되도록 상기 시트 반송 기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복수의 롤러 부품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기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롤러 부품들로부터 동작 확인을 행하는 롤러 부품을 선택하는 단계, 그 선택된 롤러 부품을 지나가는 시트 반송 패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반송 패스를 따라 시트가 반송되도록 상기 시트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복수의 롤러 부품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기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롤러 부품들로부터 동작 확인을 행하는 롤러 부품을 선택하는 단계, 그 선택된 롤러 부품을 지나가는 시트 반송 패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반송 패스를 따라 시트가 반송되도록 상기 시트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확인을 위한 대상이 되는 롤러 부품을 포함하는 반송 패스가 자동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숙지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교환 후의 롤러 부품에 대한 동작 확인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스캐너부(10) 및 프린터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스캐너부(10)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40)를 동작시켜 원고들로부터의 화상들의 판독을 개시하기 위한 지시를 주면, 원고 자동 이송 장치(142)로부터 급지 롤러(950)에 의해 급지된 원고들이 원고대 글래스(901) 위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원고대 글래스(901) 위에 배치된 원고에, 예를 들어, 할로겐(halogen) 램프로 구현된 원고 조명 램프(902)로부터 방출된 조명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부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주사 미러들(903, 904, 905)을 통해 촬상 소자 유닛(906)으로 유도한다.
촬상 소자 유닛(906)은, 예를 들어, CCD로 구현된 촬상 소자(908), 촬상 소자(908)에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이 형성된 결상 렌즈(907), 및 촬상 소자(908)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909)로 구성된다.
촬상 소자(908)로부터의 화상 출력 신호는, 예를 들어 8-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에, 컨트롤러(30)에 입력된다. 컨트롤러(30)는 마이크로컴퓨터 및 화상 처리부를 포함하며, 맨 머신 인터페이스 디바이스(94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후술하는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한다.
프린터부(20)에서, 감광 드럼(910) 위에 남아있는 잔여 전하가 화상 형성 동작을 위해 전노광(pre-exposure) 램프(912)에 의해 제거되고, 그 후 감광 드럼(910)의 표면은 일차 대전기(913)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 상태에서, 컨트롤러(30)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광 유닛(917)으로부터의 반도체 레이저 광이 노광을 위해 감광 드럼(910)에 조사되어, 감광 드럼(910)의 표면 위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정전 잠상은, 현상기(918)에 의해 토너 상으로 현상된다. 토너 상이 시트 위로 전사되기 전에, 감광 드럼(910) 위에 현상된 토너 상에 대하여 전사전 대전기(919)로 고전압을 인가한다.
한편, 수동 트레이(920) 및 급지 카세트(922, 924, 942, 944) 중 하나로부터 급지된 시트는, 급송(conveying) 롤러(921) 및 급지(sheet feed) 롤러(923, 925, 943, 945) 중 연관된 것을 구동함으로써 반송 패스로 급송된다.
반송 패스로 급송된 시트는,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롤러(926)에서 일단 정지한 후에, 감광 드럼(910)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의 전사와 동기적인 타이밍으로 감광 드럼(910)과 전사 대전기(927) 사이를 통해 급송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910)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은 시트 위로 전사되고, 전사된 토너 상을 갖는 시트는 분리 대전기(928)에 의해 감광 드럼(910)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시트 위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910)의 표면 위에 남아있는 잔여 토너는, 클리너(911)에 의해 회수된다.
감광 드럼(910)으로부터 분리된 시트는, 반송 벨트(929)에 의해 정착기(930) 로 반송되고, 시트 위의 미정착된 토너 상은, 예를 들어, 열에 의해 정착된다. 정착기(930)를 통과한 시트는, 플래퍼(flapper)(931)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반송 패스를 배지 롤러 쌍(941)으로 또는 반송 패스를 중간 트레이(937)로 선택적으로 유도된다.
중간 트레이(937)로의 반송 패스를 선택하는 경우, 급송 롤러 쌍들(933 내지 936)은 반전(다중 오버레이 인쇄용) 또는 비반전(양면 인쇄용) 후에 시트를 중간 트레이(937)로 반송한다. 중간 트레이(937)로 반송된 시트는 재급송 롤러(938)에 의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926)로 다시 반송되고, 전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상 형성 동작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컨트롤러(30)를 설명한다.
컨트롤러(30)는 스캐너부(10) 및 프린터부(20)에 접속되고,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CPU(1201)를 포함한다.
CPU(1201)는 HDD(120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1202)으로 로드하여, 미리 결정된 프로세스들을 실행한다. RAM(1202)은 동작을 위해 CPU(1202)에 의해 사용되는 시스템 워크 메모리이다. RAM(1202)은 또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ROM(1203)은 시스템 부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HDD(1204)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1206)는 조작부(UI: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조작부(140)에 표시될 화상 데이터를 조작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조작부 인터페이스(1206)는 조작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CPU(1201)로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10)는, 출력용 화상들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및 장치 제어에 관한 정보의 입출력을 위해, LAN(3300)에 접속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10)는, 네트워크 상의 호스트 컴퓨터(1100) 및, 도시되지 않은 출력용 화상 데이터 관리 장치로부터, 조작부(140)를 통해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 조작에 따른 출력용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상 출력을 행한다.
모뎀(1250)은 정보의 입출력을 위해 공중회선(WAN)(1251)에 접속된다. 음성 입출력 유닛(500)은,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고, 핸드셋으로 음성을 입출력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무선 LAN(1270)은, 출력용 화상들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및 장치 제어에 관한 정보의 입출력을 위해, 무선(1252)으로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 및 PC 등의 주변 장치들(1253)에 접속된다.
스캐너/프린터 통신 인터페이스(1208)는 스캐너부(10) 및 프린터부(20)의 각각의, 도시되지 않은, CPU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인, 다양한 종류의 롤러들에 대한 동작 확인을 위한 시트 반송 제어에 관한 지시들은, 스캐너/프린터 통신 인터페이스(1208)를 통해 발행된다.
타이머(1211)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컨트롤러(30)에 대한 시각 설정을 수행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들에서 인터럽트를 생성하도록 기능한다. 전술된 디바이스들은 시스템 버스(1207) 상에 배치되고, 시스템 버스(1207) 및 화상 데이터의 고속 전송을 위한 화상 버스(2008)는 화상 버스 인터페이스(1205)에 의해 데이터 구 조들을 변환하기 위한 버스 브릿지로서 상호접속된다.
화상 버스(2008)는, PCI 버스, IEEE 1394 버스 등으로 구현된다. 화상 버스(2008) 상에는, RIP(1260),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220), 스캐너 화상 처리부(1280), 프린터 화상 처리부(1290), 화상 회전부(1230), 및 화상 압축부(1240)가 배치되어 있다.
RIP(Raster Image Processor)(1260)는, PDL 코드를 비트맵 화상으로 전개한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220)는 컨트롤러(30)를 스캐너부(10), 프린터부(20) 등과 접속시켜, 화상 데이터의 동기-비동기 또는 비동기-동기 변환을 수행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1280)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고, 처리하고, 편집한다. 프린터 화상 처리부(1290)는, 프린터부(20)에 의해 출력될 화상 데이터의 보정, 해상도 변환 등을 수행한다.
화상 회전부(1230)는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킨다. 화상 압축부(1240)는 다치 화상 데이터를 JPEG로 압축하거나 신장하고, 이진 화상 데이터를 JBIG, MMR 또는 MH로 압축하거나 신장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조작부(140)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40)에는 액정 조작 패널(2301), 스타트 키(2302), 스톱 키(2303), 텐 키(2306), 클리어 키(2305), 리셋 키(2304) 등이 배치되어 있다.
액정 조작 패널(2301)은, 예를 들어, 액정 패널과 터치 패널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설정들, 소프트 키 등이 액정 조작 패널(2301) 위에 표시된다. 스타트 키(2302)는 카피 동작 등의 개시 지시를 주는데 사용되는 하드 키이다. 스타트 키(2302)는 녹색 및 적색의 LED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녹색의 LED는 스타트가 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점등하고, 적색의 LED는 스타트가 불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점등한다.
스톱 키(2303)는 동작을 정지시키는데 사용되는 하드 키이다. 텐 키(2306), 클리어 키(2305), 및 리셋 키(2304)도 하드 키 군으로서 배치된다.
도 5는 통상의 카피 동작 모드가 표시되어 있는 액정 조작 패널(2301)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스탠바이 화면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턴 온(turned on)되었을 때 교환될 롤러들이 하나도 검지되지 않은 경우를 표시하는 표준 화면이다.
스탠바이 화면에는, 동작 모드 선택 키들, 즉, COPY 키(2420), SEND 키(2421), BOX 키(2422), 및 SCAN 키(2423)가 배치되어 있다. 동작 모드 선택 키들 중 하나를 누르는 경우, 스탠바이 화면은 누른 키와 연관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된다.
또한, 스탠바이 화면에는, 설정 표시부(2411), 배율 소프트 키 군(2412), 소터 키(2414), 양면 인쇄 키(2415), 용지 선택 키(2416), 농도 지정 키 군(2417), 응용 모드 키(2418), 및 문자/사진 키(2419)가 배치되어 있다.
설정 표시부(2411)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현재의 동작 상황, 현재 설정된, 배율, 시트 유형, 및 부수가 표시된다. 배율 소프트 키 군(2412)은 복사 시의 배율에 관한 소프트 키들로서 100% 배율 키, 확대 키, 축소 키, 및 줌 키로 구성되어 있다.
100% 배율 키는, 복사 배율을 100%로 설정할 때에 누르는 키다. 축소 키와 확대 키는 고정된 비율의 축소 및 확대를 수행할 때에 각각 누르는 키다. 줌 키는, 1%의 스텝들로 고정되지 않은 비율의 축소 및 확대를 수행할 때에 누르는 키다.
소터(sorter) 키(2414)는 인쇄된 시트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양면 인쇄 키(2415)는 원고 또는 출력 방법에 대하여 양면 인쇄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용지 선택 키(2416)는, 인쇄 시트들의 사이즈, 색, 재료 등을 지정하기 위한 화면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 선택 키(2416)를 사용하여 선택된 용지들에 기초하여, 급지 제어를 수행한다.
농도 지정 키 군(2417)은 판독 화상 또는 출력 화상의 농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응용 모드 키(2418)는 응용 모드 화면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도 6은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이 표시되어 있는 액정 조작 패널(2301)을 도시한다.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은, 화상 형성 장치를 턴 온하였을 때 롤러의 교환이 검지되는 경우, 액정 조작 패널(2301)에 표시된다.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에는, 교환이 검지된 롤러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박스들(3003), 동작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각각 표시하는 스테이터스 표시 박스들(3002), 및 동작 확인을 행하는 롤러들을 선택하기 위한 체크 박스들(3004)이 배치된다.
또한,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에는, 동작 확인의 실행을 지시하고 동작 확인 잡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동작 체크 버튼(3005), 및 통상 동작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취소 버튼(3006)이 배치된다.
동작 확인을 행하는 롤러 부품의 선택에 대해서는, 교환이 검지된 롤러들의 리스트 대신에,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단면을 도 6의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동작 확인 잡 설정 화면(4001)이 표시되어 있는 액정 조작 패널(2301)을 도시한다.
동작 확인 잡 설정 화면(4001)은, 연관된 체크 박스(3004)에 체크 마크를 입력함으로써 동작이 체크되는 롤러를 선택하는 경우,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에 표시되고, 그 후 선택된 롤러를 포함하는 반송 패스를 결정하기 위해 동작 체크 버튼(3005)을 누른다.
동작 확인 잡 설정 화면(4001)에는, 급지단 설정 표시 박스(4002), 단면/양면 인쇄 설정 표시 박스(4003), 배지 설정 표시 박스(4004), 및 급지 매수 표시 박스(400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박스들(4002, 4003, 4004, 4005)을 사용하여 구성된 설정들에 기초하여, 동작 확인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OK 버튼(4006)이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롤러 부품의 동작 확인을 위한 설정들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설정 테이블은, 각각의 롤러 부품들과 그것들과 연관된 반송 패스 사이의 관계를 미리 결정한다. 설정 테이블은 RAM(1202) 등의 기억 유닛에 기록되고 기억된다.
도 8의 예에서는, 동작 확인을 위해 도 6의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과 연관된 각각의 체크 박스들(3004)에 체크 마크들을 입력함으로써 선택된 롤러 부품들과 연관된 박스들이 진하게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급지 롤러 3에 대해서는, 급지 설정에 의해 "급지단 3"이 지정되고, 단면/양면 설정에 의해 "단면"이 지정되며, 배지 설정에 의해 "배지단 1"이 지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시트가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에서 선택된 각각의 롤러 부품을 통과하도록, 시트를 반송함으로써 동작 확인을 실행하는 경우, 롤러 부품을 동작시키기 위한 설정들은 테이블 형태로서 RAM(1202)에 기록되고 기억된다.
이 테이블은 단지 일례로서 도시되며, 롤러 부품들 및 그것들과 연관된 설정들은 결코 도 8에 도시된 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롤러 부품의 동작 확인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의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에 대응하는 동작 확인 결과 표시 화면(5001)에서, 각각의 선택된 롤러 부품들에 대하여 수행된 동작 확인의 결과는 연관된 동작 확인 박스(5002)(도 6의 스테이터스 표시 박스(3002)에 대응함)에 "OK" 또는 "NG"로 표시된다.
또한, 동작 확인 결과 표시 화면(5001)에는, 동작 확인 결과들의 확인을 나 타내고 확인 동작을 종료하는데 사용되는 OK 버튼(5004), 및 임의의 동작 확인 박스(5002)에서 NG가 표시되는 경우 재확인을 실행하는 지시를 하는데 사용되는 재확인 버튼(5003)이 배치되어 있다.
도 10은 롤러 부품의 확인 동작의 실행을 위해 결정된 반송 패스(990)를 점선으로 표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도 6의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 상의 연관된 체크 박스들(3004)을 사용하여 동작 확인을 위해 선택된 롤러 부품에 대응하는 부품들은 진하게 표시되어 있고, 시트가 이 롤러 부품들을 통과하도록 반송 패스(990)가 설정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반송 패스(990)를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는, 도 7의 동작 확인 잡 설정 화면(4001) 대신에 액정 조작 패널(2301)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진하게 표시된 것들과 상이한 롤러 부품들에 대한 동작 확인을 수행하기 위해 결정된 반송 패스(991)를 점선으로 표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다.
본 예시에서, "급송 롤러 1"과 "배지 롤러 쌍"은 동작 확인을 위한 대상 롤러 부품으로서 지정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서, 본 실시예의 설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관련된 부품명들에 참조 번호들을 더 추가하여 부품들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 확인 처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동작 확인 처리에서, 동작 확인을 행하는 롤러 부품을 지나가는 반송 패스는 자동으로 설정된다. 도 11의 동작 확인 처리는 기억 유닛(즉, ROM(1203) 또는 HDD(1204))으로부터 RAM(1202)에 로드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1201)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단계 S1001에서, CPU(1201)는 동작 확인이 필요한 롤러 부품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 부품의 교환을 검지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교환 검지 유닛으로부터의 신호(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을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하여,사용자는 조작부(140)를 통해 동작 확인이 필요한 롤러 부품을 지정하여, CPU(1201)가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롤러 부품이 동작 확인을 필요로 하는지를 판정하게 할 수 있다.
CPU(1201)가 동작 확인이 필요한 롤러 부품이 있다고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0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11로 진행하여, 통상의 화상 형성 조작을 수행한다.
단계 S1002에서, CPU(1201)는, 동작 확인이 필요한 롤러 부품이 있다는 단계 S1001에서의 판정에 기초하여, 액정 조작 패널(2301)에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도 6을 참조)을 표시하기 위해 조작부 인터페이스(1206)를 제어한다.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동작 확인이 필요한 롤러 부품들의 리스트, 및 전술된 요소들 등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단계 S1003에서, CPU(1201)는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에표시된 리스트로부터 동작 확인이 필요한 롤러 부품들의 선택을 접수한다. 롤러 부품들의 선택은,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에 제공된 체크 박스들(3004) 중에서 선택될 것들을 체크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1004에서, CPU(1201)는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3001)의 동작 체크 버튼(3005)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동작 체크 버튼(3005)이 눌러졌으면, CPU(1201)는 동작 확인이 필요한 롤러 부품들이 지정되었다고 판단하고, 프로세스는 단계 S1005로 진행한다.
단계 S1005에서, CPU(1201)는, 단계 S1004에서 결정된 롤러 부품들과 연관된 설정들을 도 8에 도시된 설정 테이블의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하고, 판독된 설정들에 기초하여 반송 패스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단계 S10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06에서, CPU(1201)는, 도 7에 도시된 동작 확인 잡 설정 화면(4001)을 액정 조작 패널(2301)에 표시하기 위해 조작부 인터페이스(1206)를 제어하고,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단계 S1007로 진행한다.
단계 S1007에서, CPU(1201)는 동작 확인 잡 설정 화면(4001)의 OK 버튼(4006)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OK 버튼(4006)이 눌러졌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08로 진행한다.
단계 S1008에서, CPU(1201)는, 단계 S1005에서 결정된 동작 확인 잡 설정들에 기초하여 결정된 반송 패스를 따라 시트의 급지, 반송, 및 배출을 수행하도록, 롤러 부품들을 포함하는 반송 기구를 제어한다.
이 경우, CPU(1201)는, 반송 패스 상에 배치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다양 한 센서들을 통해, 반송 타이밍 및 재시도 횟수 등의, 시트의 반송 상태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CPU(1201)는 검출 결과들과 연관된 임계값들 사이의 비교를 수행하여 시트의 반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를 수행함으로써, CPU(1201)는 롤러 부품들의 동작들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계 S1009에서, CPU(1201)는 각각의 롤러 부품과 연관된 단계 S1008에서 취득한 동작 확인 결과들을 나타내는 동작 확인 결과 표시 화면(5001)(도 9를 참조)을 액정 조작 패널(표시부)(2301)에 표시하기 위해 조작부 인터페이스(1206)를 제어한다.
롤러 부품의 동작이 정상인 경우에는, 동작 확인 결과 표시 화면(5001)의 동작 체크 필드들(5002) 중 연관된 것에 "OK"가 표시되지만, 롤러 부품의 동작이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동작 체크 필드들(5002) 중 연관된 것에 "NG"가 표시된다. 또한,단계 S1008에서 취득한 동작 확인 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가 "NG"로서 표시되는 경우, 즉, 적어도 하나의 롤러 부품의 동작이 정상이 아닌 경우, CPU(1201)는 동작 확인 결과 표시 화면(5001)에 재확인 버튼(5003)을 표시하기 위해 조작부 인터페이스(1206)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 S1010에서, CPU(1201)는 동작 확인 결과 표시 화면(5001)의 OK 버튼(5004)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OK 버튼(5004)이 눌러졌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12로 진행한다.
단계 S1012에서, CPU(1201)는 재확인 버튼(5003)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재확인 버튼(5003)이 눌러졌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13에서, CPU(1201)는 단계 S1008의 동작 확인을 위해 구성된 설정들과 동일한 조건들 하에서 롤러 부품의 동작 확인을 다시 실행하고,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 S1014로 진행한다.
단계 S1014에서, CPU(1201)는 재확인 버튼(5003)을 누른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재확인 버튼(5003)을 누른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15로 진행하지만, 재확인 버튼(5003)을 누른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에 도달하였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17로 진행한다.
단계 S1017에서, CPU(1201)는 단계 S1013에서 취득한 동작 확인 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가 "NG"로서 표시되는지의 여부, 즉, 적어도 하나의 롤러 부품의 동작이 정상이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롤러 부품의 동작이 정상이 아니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18로 진행하지만, 모든 롤러 부품들의 동작들이 정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15로 진행한다.
단계 S1018에서, CPU(1201)는, 서비스 콜 지시들을 예를 들어, 액정 조작 패널(2301)에 표시하기 위해 조작부 인터페이스(1206)를 제어한다.
단계 S1015에서, CPU(1201)는, 단계 S1013에서 취득한 동작 확인 결과들을 나타내는 동작 확인 결과 표시 화면(5001)(도 9를 참조)을 단계 S1009와 마찬가지로 액정 조작 패널(2301)에 표시하기 위해, 조작부 인터페이스(1206)를 제어한다.
또한, 단계 S1013에서 취득한 동작 확인 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가 "NG"로서 표시되는 경우, 즉, 적어도 하나의 롤러 부품의 동작이 정상이 아닌 경우, CPU(1201)는 동작 확인 결과 표시 화면(5001)에 재확인 버튼(5003)을 표시하기 위해 조작부 인터페이스(1206)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 S1016에서, CPU(1201)는 동작 확인 결과 표시 화면(5001)의 OK 버튼(5004)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OK 버튼(5004)이 눌러졌으면, 동작 확인 처리를 종료한다.
반면에, 동작 확인 결과 표시 화면(5001)의 OK 버튼(5004)이 눌러지지 않았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12로 복귀하고, 전술된 것과 동일한 처리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작 확인을 위한 대상이 되는 복수의 롤러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 단일 반송 패스를 통해 모든 롤러 부품들에 대한 동작 확인을 수행하는 것은 때때로 불가능하다.
이 경우, 시트들의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급지될 매수들을 최소화하도록, 복수의 반송 패스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기술된 모든 롤러 부품들이 동시에 동작 확인을 위한 대상이 되면, 단일 시트의 급지만으로 모든 롤러 부품들에 대한 동작 확인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 롤러 부품들 모두가 동시에 동작 확인을 위한 대상이 되는 경우, 급지단 3(942)으로부터 1매의 시트가 급지되고, 수동 트레이(920)로부터 1매의 시트가 급지되도록 시트 급지 동작을 두개로 분할함으로써 동작 확인을 2회 수행한다. 따라서, 이 경우, 합계 2매의 시트들이 최소의 급지될 시트 매수이 다.
또 다른 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반송 패스(990)에서, 급송 롤러 쌍 4와 배지 롤러 쌍은 각각 새로운 것들로 교환되어 있다.
이 경우, 배지 롤러 쌍을 지나가는 반송 패스와 급송 롤러 쌍 4를 지나가는 반송 패스는 2개의 독립적인 패스들로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일 패스로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1매의 시트만을 급지함으로써 롤러 부품의 동작 확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반송 패스를 결정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확인을 위한 대상이 되는 롤러 부품들을 지나가는 반송 패스가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숙지하지 않아도 각각의 롤러 부품의 동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롤러 부품들을 스스로 교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 등을 사용하는 전자사진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본 발명에 적용하였지만, 미세한 노즐들의 어레이로부터 시트 위로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시트에 직접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젯 화상 형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의 기능들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가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고 실행 하게 함으로써 실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는 전술된 실시예의 기능들을 구현하므로,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가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의 예시들은,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 CD-RW, DVD-ROM, DVD-RAM, DVD-RW, 또는 DVD+RW 등의 광 디스크,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및 ROM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들에 기초하여,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OS(operating system) 등이 실제의 동작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전술된 실시예의 기능들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삽입된 확장 보드 또는 컴퓨터에 접속된 확장 유닛에 제공되는 메모리에 기입한 후에,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들에 기초하여, 확장 보드 또는 확장 유닛에 제공된 CPU 등이 실제의 동작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전술된 실시예의 기능들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경들 및 등가 구조물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 다.
본 출원은 2008년 3월 1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08-06788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조작부의 외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통상의 카피 동작 모드에서의 스탠바이 화면이 표시되는 액정 조작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부품 교환 스테이터스 화면이 표시되는 액정 조작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동작 확인 잡 구성 화면이 표시되는 액정 조작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롤러 부품의 동작 확인을 위한 설정들을 구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성 테이블의 일례의 도면이다.
도 9는 롤러 부품의 동작 확인 결과들을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의 도면이다.
도 10은 롤러 부품들에 대한 동작 확인의 실행을 위해 결정된 반송 패스를 점선으로 표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 확인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대상이 되는 롤러 부품들과 상이한 롤러 부품들에 대한 동작 확인의 실행을 위해 결정된 반송 패스를 점선으로 표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캐너부
20: 프린터부
30: 컨트롤러
140: 조작부
142: 원고 자동 이송 장치
901: 원고대 글래스
902: 원고 조명 램프
906: 촬상 소자 유닛
907: 결상 렌즈
908: 촬상 소자
910: 감광 드럼
918: 현상기
920: 수동 트레이
921: 급송 롤러
950: 급지 롤러

Claims (9)

  1. 복수의 롤러 부품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기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롤러 부품들 중 정상 동작 확인의 대상이 되는 롤러 부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 유닛;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롤러 부품을 지나가는(passing) 시트 반송 패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반송 패스를 따라 시트가 반송되도록 상기 시트 반송 기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및
    상기 롤러 부품들과, 상기 롤러 부품들 각각에 대한 반송 패스를 결정하기 위한 설정들 사이의 관계들을 나타내는 설정 테이블(configuration table)을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설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시트 반송 패스를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상기 반송 패스를 따라 반송될 때, 시트의 반송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반송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된 롤러 부품이 정상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확인 유닛; 및
    상기 확인 유닛에 의해 상기 롤러 부품에 수행되는 정상 동작 확인의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
    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품의 교환을 검지하도록 구성된 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검지 유닛에 의해 교환이 검지된 롤러 부품을 정상 동작 확인의 대상이 되는 롤러 부품으로서 선택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정상 동작 확인의 대상이 되는 롤러 부품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시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롤러 부품을 정상 동작 확인의 대상이 되는 롤러 부품으로서 선택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복수의 반송 패스의 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반송 패스로 급지될 시트들의 매수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반송 패스들을 구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삭제
  8. 복수의 롤러 부품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기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롤러 부품들 중 정상 동작 확인의 대상이 되는 롤러 부품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롤러 부품을 지나가는 시트 반송 패스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반송 패스를 따라 시트가 반송되도록 상기 시트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롤러 부품들과, 상기 롤러 부품들 각각에 대한 반송 패스를 결정하기 위한 설정들 사이의 관계들을 나타내는 설정 테이블을 기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억하는 단계에서 기억된 설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시트 반송 패스를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9. 복수의 롤러 부품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기구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롤러 부품들 중 정상 동작 확인의 대상이 되는 롤러 부품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롤러 부품을 지나가는 시트 반송 패스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반송 패스를 따라 시트가 반송되도록 상기 시트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롤러 부품들과, 상기 롤러 부품들 각각에 대한 반송 패스를 결정하기 위한 설정들 사이의 관계들을 나타내는 설정 테이블을 기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억하는 단계에서 기억된 설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시트 반송 패스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090022277A 2008-03-17 2009-03-16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042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7881 2008-03-17
JP2008067881A JP5264229B2 (ja) 2008-03-17 2008-03-17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493A KR20090099493A (ko) 2009-09-22
KR101042842B1 true KR101042842B1 (ko) 2011-06-17

Family

ID=4097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277A KR101042842B1 (ko) 2008-03-17 2009-03-16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232521A1 (ko)
EP (1) EP2107426A1 (ko)
JP (1) JP5264229B2 (ko)
KR (1) KR101042842B1 (ko)
CN (1) CN1015397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1286B2 (ja) * 2014-05-21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83180B2 (ja) * 2016-07-29 2019-10-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09395A2 (en) * 1999-12-16 2001-06-20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image quality based diagnostics and remediation of document processing systems
US20050240376A1 (en) * 2004-04-21 2005-10-27 Fuji Xerox Co., Ltd. Failure diagnosis method, failure diagnosis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070053701A1 (en) * 2005-09-06 2007-03-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521A (en) 1998-03-05 1999-08-31 Xerox Corporation Xerographic xerciser including a hierarchy system for determining part replacement and failure
KR100341323B1 (ko) * 1999-11-20 2002-06-21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용지 이송 제어방법
KR100331338B1 (ko) * 2000-05-22 2002-04-03 윤종용 인쇄기의 교환용 부품의 교신방법
JP2003244375A (ja) * 2002-02-18 2003-08-29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4145083A (ja) * 2002-10-25 2004-05-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48714A (ja) * 2002-10-31 2004-05-27 Seiko Epson Corp 機器調整装置および機器の調整方法
JP4101074B2 (ja) * 2003-02-03 2008-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335164A (ja) * 2004-05-26 2005-12-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6082930A (ja) * 2004-09-16 2006-03-30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用紙搬送方法
JP2006189786A (ja) * 2004-12-06 2006-07-2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後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326844A (ja) * 2005-05-23 2006-12-07 Fuji Xerox Co Ltd 印刷装置
US7756428B2 (en) * 2005-12-21 2010-07-13 Xerox Corp. Media path diagnostics with hyper module elem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09395A2 (en) * 1999-12-16 2001-06-20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image quality based diagnostics and remediation of document processing systems
US20050240376A1 (en) * 2004-04-21 2005-10-27 Fuji Xerox Co., Ltd. Failure diagnosis method, failure diagnosis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070053701A1 (en) * 2005-09-06 2007-03-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2521A1 (en) 2009-09-17
JP5264229B2 (ja) 2013-08-14
JP2009223025A (ja) 2009-10-01
CN101539736A (zh) 2009-09-23
CN101539736B (zh) 2011-08-10
EP2107426A1 (en) 2009-10-07
KR20090099493A (ko) 200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165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160284A (ja) 印刷処理装置及び印刷処理方法
JP5991341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4018568B2 (ja) 画像形成装置、用紙設定制御方法
US2013013565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64893A (ja) 画像形成装置
JP524572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25389A (ja) 画像形成装置の表示装置
KR101042842B1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JP576418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95927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43361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232561A (ja)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3699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基本設置値の変更処理方法
JP410269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6460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015202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8506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48112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廃棄トナーの搬送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786389B2 (ja) 画像形成装置
JP430005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01230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5411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11678B2 (ja) 画像形成装置
JP6036332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