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563B1 - 현상제 반송 부재, 현상제 수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현상제 반송 부재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제 반송 부재, 현상제 수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현상제 반송 부재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563B1
KR101034563B1 KR1020080013957A KR20080013957A KR101034563B1 KR 101034563 B1 KR101034563 B1 KR 101034563B1 KR 1020080013957 A KR1020080013957 A KR 1020080013957A KR 20080013957 A KR20080013957 A KR 20080013957A KR 101034563 B1 KR101034563 B1 KR 10103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main body
radial
radial direction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367A (ko
Inventor
히로히사 호시노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충격 등에 의해 반송 부재 본체의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반송 부재 본체(22)의 단부 지지 부재(23)에 지지되는 피지지부(22f+22g)는 상기 반송 부재 본체(22)의 회전축으로부터 제 1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와,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제 2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를 갖고, 상기 반부 지지 부재(23)의 지지부는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를 지지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g, 22f)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구멍 형상의 관통공(23b3)과,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를 지지하고 단부 지지 부재(23)의 원통부(23b)의 단부까지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의 외경보다도 큰 폭으로 형성된 홈부(23b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21).
Figure R1020080013957
현상제 반송 부재, 제 1 방사 방향 연신(延伸)부,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 단부 지지 부재, 관통공, 홈부

Description

현상제 반송 부재, 현상제 수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반송 부재 조립 방법{DEVELOPER CONVEYING MEMBER, DEVELOPER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A DEVELOPER CONVEYING MEMBER}
본 발명은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를 구비한 현상제 수용기, 상기 현상제 수용기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반송 부재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로는 상 보호 유지체 표면에 잠상(潛像)이 형성되고, 잠상은 현상기에서 현상제에 의해 가시(可視) 상으로 현상되어, 매체 상에 전사, 정착되어서 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가시 상이 전사 후의 상 보호 유지체 표면에 잔류한 현상제나 부착된 지분(紙粉)은 제거되어 회수된다. 내부에서 현상제가 반송되는 현상기나, 현상기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경로, 보급용의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제 수용 용기, 또는 제거 회수된 현상제를 반송하는 경로나 회수된 회수 용기에는,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부재가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7663호)에는, 토너 카트리지(toner cartridge)(70) 내에 단부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커플링부(100)와, 반송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의 나선 형상의 교반기(攪拌機)(200)에 의해 구성된 현상제를 반송하는 구성에 있어서, 커플링부(100)에 방사 방향으로 제 1 계합홈(104)과 제 2 계합홈(106)을 형성하고, 나선 형상의 교반기(200)에 제 1 계합홈(104)과 계합하는 제 1 절곡부(204)와, 제 2 계합홈(106)과 계합하는 제 2 절곡부(206)를 형성하고, 상기 교반기(200)를 커플링부(100)에 회전축 방향에 따라 감입하여 장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7663호(「0045」~「0050」, 「0053」~「0056」, 도 3∼도 6, 도 10)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충격 등에 의해 반송 부재 본체의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현상제 반송 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반송 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 본체와,
상기 반송 부재 본체를 지지하여 회전하는 단부 지지 부재를 갖는 현상제 반송 부재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회전 지지되는 피(被)지지부는,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제 1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방사 방향 연신(延伸)부와,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의 상기 제 1 반경 방향 내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 1 반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 2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를 갖고,
상기 단부 지지 부재는,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원통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축방향 오목부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외부까지 상기 제 2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구멍 형상의 관통공과,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축방향 오목부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외부까지 상기 제 1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의 단부까지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의 외경보다도 큰 폭으로 형성된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부재에 있어서,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해 구동력을 받는 구동 수취부를 갖고,
상기 구동 수취부의 회전 방향인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홈부까지의 각도는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홈부로부터 상기 관통공까지의 각도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부재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 봉(棒) 형상부와, 상기 봉 형상부의 일단 측에 형성된 나선 형상의 반송부와, 상기 봉 형상부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2 방사 방향 절곡부와, 상기 제 2 방사 방향 절곡부의 타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방향 연신부와, 상기 축 방향 봉 형상부의 타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와,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의 타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갖는 상기 반송 부재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부재에 있어서,
일단 측으로 연장하는 나선 형상의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의 타단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와,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의 타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갖는 상기 반송 부재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부재에 있어서,
긴 구멍에 의해 구성된 상기 관통공을 갖는 상기 단부 지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가 감입된 상태에서 고정하는 감입 고정부를 갖는 상기 축 방향 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의 현상제 수용기는,
현상제가 통과하는 현상제 통과 구(口)를 갖고,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 내부에 배치되어서 내부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의 화상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의 현상제 반송 부재 조립 방법은,
반송 부재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제 1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단부 지지 부재의 원통부에 형성된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방향 오목부로부터 제 2 반경 방향으로 외부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 형상의 관통공에 삽입하는 관통공 삽입 공정,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반송 부재 본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축 방향 오목부 내의 회전축 방향에 따른 상태로 이동시키는 회전축 방향 이동 공정,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반송 부재 본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상기 단부 지지 부재의 상기 축 방향 오목부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외주로 회전축 방향에 따라 또한 상기 축 방향 오목부로부터 외부까지 제 1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홈부에 감입함으로써, 반송 부재 본체를 단부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홈부 장착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충격 등에 의해 반송 부재 본체가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의 이탈하는 힘이 작용해도,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에서 규제할 수 있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반송 부재 본체의 회전 시에, 반송 부재 본체가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체 봉 형상부를 통하는 것으로 반송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단부 지지 부재의 근방으로부터 반송부를 갖는 반송 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반송 부재 본체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감입 고정부에서 반송 부재 본체가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충격 등에 의해 반송 부재 본체가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힘이 작용해도,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가 관통하는 방사 방향 관통공에서 규제할 수 있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부재 본체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규제되어서 빠지지 않도록 현상제 수용 용기의 형상을 정밀도 좋게 제작할 필요가 없어지고, 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 있다.
청구항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수용기의 착탈이나 교환시에 충격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반송 부재 본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반송 부재 본체가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하기 어렵게, 신뢰성 높은 현상제 반송 부재를 조립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체예(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서의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도시하는 방향 또는 도시하는 측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 중에 「ㆍ」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이(裏)로부터 표(表)로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중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로부터 이로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급지 트레이가 착탈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에, 도면에 도시되는 것은 적당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프린터(U)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를 갖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상면에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시트 배출 트레이(TRh)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는 유저가 입력 조작하는 조작부(UI)를 갖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은 제어부(C) 및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잠상 기입 장치 구동 회로의 일례로서의 레이저 구동 회로(DL)나, 화상 처리부(GS), 전원 회로(E) 등을 갖고 있다.
화상 처리부(GS)는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 등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입용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에 잠상 형성용의 화상 데이터로서 레이저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레이저 구동 회로(DL)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응하여 레이저 구동 신호를 잠상 형성 장치(ROS)에 출력한다. 상기 잠상 형성 장치(ROS)는 레이저 구동 신호에 응하여 화상 기입용의 레이저 빔(화상 기입광)(L)을 조사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UI), 화상 처리부(GS) 및 레이저 구동 신호 출력 장치(DL)와, 후술하는 현상 롤(GRy∼GRk), 전사 롤(T1, T2b)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회로(E) 등의 동작은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잠상 형성 장치(ROS)의 상방에 배치된 회전 구동하는 상 보호유지체(감광체)(PR)는, 그 표면이 대전 롤(CR)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후, 잠상 기입 위 치(Q1)에서 상기 잠상 형성 장치(ROS)의 레이저빔(L)에 의해 노광 주사되어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풀 컬러 화상(full-color image)을 형성하는 경우는, K(흑),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의 4색의 화상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단색 화상의 경우에는 K(흑) 화상에 대응한 정전 잠상만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된 상 보호유지체(PR) 표면은 회전 이동하여 현상 영역(Q2), 1차 전사 영역(Q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상기 잠상 형성 장치(ROS)의 상방에는, 회전식, 소위 로터리식의 현상 장치(G)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식의 현상 장치(G)는 회전축(Ga)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현상 영역(Q2)에 순차적으로 회전 이동하는 K(흑),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의 4색의 현상기(GK, GY, GM, GC)를 갖고 있다. 상기 각 색의 현상기(GK, GY, GM, GC)는 상기 현상 영역(Q2)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롤(GRk, GRy, GRm, GRc)을 갖고 있어, 현상 영역(Q2)을 통과하는 상 보호유지체(PR) 상의 정전 잠상을 토너 상에 현상한다.
상기 각 현상기(GK, GY, GM, GC)의 현상 용기에는 각각 토너 보급용 카트리지(TCk, TCy, TCm, TCc)로부터 각 색의 토너가 보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로터리식 현상 장치로서, 종래 공지(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2-13194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2-231250호 등 참조)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상 보호유지체(PR)의 상방에는,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무한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B)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구동 롤(Rd)과, 1차 전사 전압이 인가되는 1차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1차 전사 롤(T1)과, 중간 전사 벨트(B)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력 발생 부재의 일례로서의 텐션 롤(Rt)과, 2차 전사 부재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의 일례로서의 백업 롤(T2a)과, 중간 전사 벨트(B)를 지지하는 프리 롤(Rf)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각 롤(Rd, T1, Rf, Rt, T2a)에 의해 벨트 지지 부재(Rd, T1, Rf, Rt, T2a)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상기 구동 롤(Rd)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어, 화상 형성 동작 시에는 화살표 Yb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색 화상, 즉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할 경우, 잠상 기입 위치(Q1)에서 제1번째 색의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현상 영역(Q2)에서 1번째 색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이 토너 상은 1차 전사 영역(Q3)을 통과할 때에, 1차 전사 롤(T1)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정전적으로 1차 전사된다. 그 후 동일한 방법으로, 제1번째 색의 토너 상을 운반한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제2번째 색, 제3번째 색, 제4번째 색의 토너 상이 순차적으로 거듭 1차 전사되고, 최종적으로 풀 컬러의 다중 토너 상이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형성된다.
단색의 모노 칼라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는 1개의 현상기만을 사용하고, 단색 토너 상이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후, 상 보호유지체(PR) 표면은 상 보호유지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상 보호유지체 클리너(CL1)에 의해 클리닝 된다. 상기 상 보호유지체 클리너(CL1)에 의해 표면에 부착된 잔류 토너가 회수된 상 보호유지체(PR)는 상기 대전 롤(CR) 에 의해 다시 대전된다.
상기 백업 롤(T2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 롤(T2b)이 상기 백업 롤(T2a)에 대하여 격리한 위치와 접촉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백업 롤(T2a) 및 2차 전사 롤(T2b)에 의해 2차 전사기(T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백업 롤(T2a) 및 2차 전사 롤(T2b)의 접촉 영역에 의해 2차 전사 영역(Q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2차 전사 롤(T2b)에는 현상 장치(G)에서 사용하는 토너의 대전 극성과 역(逆) 극성의 2차 전사 전압이 전원 회로(E)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전원 회로(E)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된다.
도 1에 있어서, 급지 매체 수용부의 일례로서의 급지 트레이(TR1)는 상기 2차 전사 영역(Q4)으로 반송하기 위한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용 시트(S)를 수용하고 있고, 그 좌우 양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급지 트레이(TR1)의 급지 측 상부에는 급지 장치(K)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급지 장치(K)의 취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픽업 롤(Rp)은 급지 타이밍에 맞춰서 상기 급지 트레이(TR1)에 적재된 기록 시트(S)를 취출한다. 상기 기록 시트(S)는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피드 롤(Rs1) 및 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리타드(retard) 롤(Rs2)을 갖는 세퍼레이팅(separating) 부재의 일례로서의 세퍼레이팅 롤(Rs)의 압접 영역에서 1매씩 분리되어서, 매체 반송로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로(SH)에 반송된다. 시트 반송로(SH)의 기록 시트(S)는 시트 반송로(SH)에 따라 배치된 복수 의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 롤(Ra)에 의해, 급지 시기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다. 레지스터 롤(Rr)은 기록 시트(S)를 상기 2차 전사 영역(Q4)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반송한다.
또한, 수동 급지부의 일례로서의 수동 트레이(TR0)로부터 급지된 기록 시트(S)도 수동 시트 반송로(SH5)로 반송되고, 상기 시트 반송로(SH)에 따라 배치된 시트 반송 롤(Ra), 레지스터 롤(Rr)에 의해 상기 2차 전사 영역(Q4)으로 반송된다.
2차 전사 영역(Q4)을 통과하는 기록 시트(S)에는, 2차 전사기(T2)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 상의 토너 상이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 후의 중간 전사 벨트(B)의 표면에 잔류한 토너는, 중간 전사체 청소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회수되어, 클리닝 된다. 또한, 상기 2차 전사 롤(T2b)은 2차 전사기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 롤 클리너(CLt)에 의해 부착된 지분 등이 제거된다.
상기 2차 전사 영역(Q4)에서 미정착의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시트(S)는 토너 상이 미정착의 상태에서 정착 영역(Q5)으로 반송된다. 상기 정착 장치(F)는 가열 회전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과 가압 회전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이 접촉하는 정착 영역(Q5)에서 토너 상을 가열, 가압하고, 정착한다. 정착 토너 상이 형성된 기록 시트(S)는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지(排紙) 롤(R1)에 반송되어, 배출구(Ha)로부터 시트 배출 트레이(TRh)로 배출된다.
프린터(U) 내부에는 상기 시트 배출구(Ha)에 접속된 본체 반전로(SH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동 트레이(TRO)의 상부에는, 매체 반전 장치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전 장치(U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시트 반전 장치(U3)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 반전로(SH2)에 접속하는 반전로의 일례로서의 옵션 시트 반전로(SH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면 인쇄 시에는, 상기 정착 영역(Q2)에서 토너 상이 정착된 시트(S)가 상기 본체 시트 반전로(SH2), 옵션 시트 반전로(SH4)를 통과하고, 상기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되어, 시트(S)의 표리(表裏)가 반전한 상태에서 상기 2차 전사 영역(Q4)에 재송된다.
상기 본체 시트 반전로(SH2), 옵션 시트 반전로(SH4)에 의해, 시트 반전로(SH2+SH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픽업 롤(Rp), 세퍼레이팅 롤(Rs), 시트 반송 롤(Ra) 및 배출 롤(R1)에 의해, 시트 반송 부재(Rp, Rs, Ra, R1)이 구성되어 있다.
(현상제 수용기의 설명)
도 2는 실시예 1의 현상제 수용기의 설명도이고, 도 2의(a)는 사시 설명도, 도 2의(b)는 도 2의(a)에서 리드(lid)가 떨어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의 하방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대하여, 우측면으로부터 착탈,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회수 용기(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수 용기(1)에서는 상 보호유지체 클리너(CL1)나 벨트 클리너(CLB), 2차 전사 롤 클리너(CLt)에서 회수된 현상제나 지분, 방전 생성물 등이 도시되지 않은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1)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용기 본체(2)와, 상기 용기 본체(2)의 상면을 피복하는 리드 부재의 일례로서의 커버(3) 를 갖는다. 도 2의(a)에 있어서, 상기 커버(3)에는, 회수 용기(1)의 착탈에 연동하여 개폐 이동하는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셔터(shutter)(4)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셔터(4)가 이동하면, 회수된 현상제 등이 유입하는 유입구(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3) 전측, 도 2에서 +X측에는, 회수 용기(1)를 이용자가 교환시에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의(a)에 있어서, 커버(3) 전측 좌부, 도 2에서 +X측 -Y부에는, 회수 용기(1)가 가득 찬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기 위한 돌출부(7)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 돌출부는 현상제가 만배(滿杯)하지 않을 경우에는 돌출부(7)를 협지시켜 배치된 만배 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광센서(8)의 광이 통과하고, 현상제가 만배한 경우에는 돌출부(7)의 내부에 현상제가 진입하면 현상제에 의해 광이 차광되어서 광센서(8)에서 만배가 검출된다.
도 2의(b)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2)의 후부, 도 2의 -X부에는 반원 반달 형상의 상면을 갖는 반송 부재 지지부(11, 12)가 형성되고 있고, 좌측(-Y측)에는 좌측(-Y측)으로 향해 가는 것처럼 후측(-X측)으로부터 전측(+X측)으로 경사지는 정류 부재(1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정류 부재(13)에 의해, 용기 본체(2) 내의 현상제의 일부가 돌출부(7) 측에 반송된다.
도 3은 실시예 1의 반송 부재 본체의 설명도이고, 도 3의(a)는 반송 부재 본체의 사시도, 도 3의(b)는 도 3의(a)의 측면도, 도 3의(c)는 도 3의(b)의 화살표 IIIC 측에서 본 단면도, 도 3의(d)는 도 3의(b)의 화살표 IIID 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단부 지지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4의(a)는 측면도, 도 4의(b)는 도 4의(a)의 화살표 IV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의(c)는 도 4의(a)의 화살표 IV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의(d)는 도 4의(a)의 화살표 IVD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의(e)는 도 4의(c)의 IVE-IVE선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2)의 후측(+X측)에서는 현상제 반송 부재(2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도 4에 있어서, 현상제 반송 부재(21)는 반송 부재 본체(22)와, 반송 부재 본체(22)의 좌단부(-Y 단부)를 지지하는 단부 지지 부재(23)를 갖는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 본체(22)는 축 방향으로서의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 봉 형상부(22a)를 갖는다. 상기 본체 봉 형상부(22a)의 일 단부로서의 우단측에는, 회전축의 방사 방향(반경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연결부(22b)가 형성되고 있고, 연결부(22b)에는 좌측으로 연장하는 나선 형상의 반송부(22c)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반송 부재 본체(22)에서는, 도 2의(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송로(22c)의 좌단은 좌측의 반송 부재 지지부(12)와 정류 부재(13)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본체 봉 형상부(22a)의 타단부로서의 좌단측(-Y 단측)에서는, 중심으로부터 제 2 방사 방향으로서의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 2 방사 방향 절곡부(22d)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방사 방향 절곡부(22d)의 방사 방향 외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방향 연신부(22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 방향 연신부(22e)의 좌단에는, 제 2 방사 방향에 따라서 회전 중심 측으로 연장하는 제 2 방사 방향 연신 부(22f)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의 회전 중심 측에는, 제 2 방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 1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제 2 방사 방향은 제 1 방사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 및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에 의해, 단부 지지 부재(23)에 지지되는 피지지부(22g+22f)가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상기 단부 지지 부재(23)는 용기 본체(2)의 좌단벽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23a)와, 피지지부(23a)의 용기 본체(2)의 내측에 형성된 원통부(23b)와, 피지지부(23a)의 용기 본체(2)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동 수취부의 일례로서의 체결부(23c)를 갖는다.
상기 원통부(23b)의 중심부에는, 단부 지지 부재(23)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방향 오목부(23b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23b)의 외주에는, 축 방향에 따라 연장하고, 또한 상기 축 방향 오목부(23b1)로부터 외부까지 제 1 방사 방향으로 관통하는 홈부의 일례로서의 축 방향 홈부(23b2)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축 방향 홈부(23b2)의 폭은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의 외경보다도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부(23b)의 외주에는, 상기 축 방향 오목부(23b1)로부터 외부까지 제 2 방사 방향으로 관통하는 둥근 공(孔) 형상의 관통공의 일례로서의 방사 방향 관통공(23b3)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상기 방사 방향 관통공(23b3)의 외경은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 및 제 2 방사 방향 연신 부(22f)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 방향 오목부(23b1), 축 방향 홈부(23b2) 및 방사 방향 관통공(23b3)에 의해, 반송 부재 본체(22)의 단부를 지지하는 실시예 1의 지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23c)는 원판부(23c1)를 갖고, 상기 원판부(23c)의 좌단면에는 2개의 체결 크로우(claw)부(23c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크로우부(23c2)는 회수 용기(1)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장착된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도시되지 않은 크로우부에 체결되어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체결부(23c)에 구동력이 전달된 경우에 회전하는 방향은 도 4의 (d)에 있어서 시계 회전의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고, 회전 방향을 따라 방사 방향 관통공(23b3)으로부터 축 방향 홈부(23b2)까지의 각도는 축 방향 홈부(23b2)로부터 방사 방향 관통공(23b3)까지의 각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23c) 및 피지지부(23a)의 축 방향 중심부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23c3)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23c3)에는 현상제 반송 부재(21)를 용기 본체(2)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지그(도시 생략)에서 현상제 반송 부재(21)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리세스(recess)(23c4)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제 반송 부재의 조립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5의 (a)는 반송 부재 본체가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설명도,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방사 방향 관통홀에 삽입한 상태의 설명도, 도 5의 (c)는 도 5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송 부재 본체를 본체 봉 형상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5의 (d)는 도 5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5의 (e)는 도 5의 (d)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방사 방향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5의 (f)는 도 5의 (e)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시켜서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현상제 반송 부재(21)를 조립할 경우에는, 우선 관통공 삽입 공정에서,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 지지 부재(23)와 반송 부재 본체(22)가 분리된 상태로부터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 지지 부재(23)의 방사 방향 관통공(23b3)으로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가 삽입된다.
다음, 회전축 방향 이동 공정에서, 도 5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본체 봉 형상부(22a)를 회전 중심으로서, 반송 부재 본체(22)를 단부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도 5의 (c)에 도시하는 상태를 거쳐서 도 5의 (d)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고,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가 축 방향 오목부(23b1) 내에 진입한다.
다음, 홈부 장착 공정에서, 방사 방향 관통공(23b3)을 중심으로 하여 반송 부재 본체(22)를 회전시키면, 도 5의 (e)에 도시하는 상태를 거쳐서 도 5의 (f)의 상태로 되고, 반송 부재 본체(22)가 단부 지지 부재(23)에 장착된다.
이렇게 하여, 단부 지지 부재(23)와 반송 부재 본체(22)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21)를 조립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2)에 현상제 반송 부재(21) 를 장착하는 것으로 조립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회수 용기(1)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장착되면, 현상제 반송 부재(21)에 구동이 전달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화상 형성 동작이 실행되면, 현상제 반송 부재(21)가 회전하고, 회수 용기(1)의 유입구(4a)로부터 유입한 현상제를 반송 방향, 즉 우측(+Y측)부터 좌측(-Y측)으로 반송된다.
실시예 1의 회수 용기(1)에서는, 교환시나 패키지(package)로부터 취출된 경우에, 낙하시키거나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접촉하여 충격이 발생해도, 반송 부재 본체(22)가 방사 방향 관통공(23b3)으로 관통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축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와 방사 방향 관통공(23b3)과의 감합(嵌合)에 의해 제 1 방사 방향으로의 이탈도 방지되고, 축 방향 홈부(23b2)에 감합하는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에 의해 제 2 방사 방향으로의 이탈도 방지된다. 또한, 구동 전달 시의 단부 지지 부재(23)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방사 방향 관통공(23b3)으로부터 축 방향 홈부(23b2)까지의 각도가 축 방향 홈부(23b2)로부터 방사 방향 관통공(23b3)까지의 각도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있고, 회전에 의해 힘을 받을 때에 방사 방향 관통공(23b3)에서 반송 부재 본체(22)의 이탈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현상제 반송 부재(21)가 회수 용기(1)에 접촉하여 빠지지 않도록 회수 용기(1)의 내부의 형상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비용의 상 승을 피하면서, 현상제 반송 부재(21) 및 회수 용기(1)가 제작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6은 실시예 1의 도 4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단부 지지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6의 (a)는 측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화살표 VI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의 (c)는 도 6의 (a)의 화살표 VI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의 (d)는 도 6의 (a)의 화살표 VID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의 (e)는 도 6의 (c)의 VIE-VIE선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2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서로 다르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실시예 2의 단부 지지 부재(23)에서는 축 방향 홈부(23b2)의 내(內) 단부에는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멍부(23d)가 형성되고, 구멍부(23d)의 외측에는 상기 구멍부(23d)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된 감입 고정부(23e)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제 반송 부재의 조립 방법)
도 7은 실시예 1의 도 5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7의 (a)는 반송 부재 본체가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설명도,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방사 방향 관통공에 삽입한 상태의 설명도, 도 7의 (c)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송 부재 본체를 본체 봉 형상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7의 (d)는 도 7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7의 (e)는 도 7의 (d)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방사 방향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7의 (f)는 도 7의 (e)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시켜서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도 5의 (a)∼도 5의 (e)에 대응하는 도 7의 (a)∼도 7의 (e)의 순으로, 반송 부재 본체(22)가 단부 지지 부재(23)에 감입되고, 도 7의 (e)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송 부재(22)를 회전시키면, 감입 고정부(23e)가 탄성 변형하고,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가 감입 고정부(23e)를 압광하고, 구멍부(23d)에 감입되어, 고정된다. 이 결과, 도 7의 (f)의 상태로 되고, 반송 부재 본체(22)가 단부 지지 부재(23)에 장착되어, 현상제 반송 부재(21)를 조립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회수 용기(1)에서는, 감입 고정부(23e)에 의해,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가 감입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충격 등에 의해 반송 부재(22)가 축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 외, 실시예 2의 회수 용기(1)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3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3은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서로 다르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복사기(U)는 화상 기록부의 일례로서의 프린터부(U1)와, 화상 판독부의 일례로서의 스캐너부(U2)를 구비한다.
상기 스캐너부(U2)는 상면에 투명한 원고(原稿) 테이블(table)의 일례로서의 플라튼(platen) 글라스(PG)를 갖는 판독부 본체(U2a)와, 플라튼 글라스(PG)의 상측에 장착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b)는 복사하려고 하는 복수의 원고(G)가 중복되어 수용되는 원고 수용부(TG1)을 갖고 있다. 상기 원고 수용부(TG1)에 수용된 복수의 각 원고(G)는 순차적으로 플라튼 글라스(PG) 상의 복사 위치를 통과하여 원고 배지부(TG2)에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독부 본체(U2a)는 조작부의 일례로서의 유저 인터페이스(UI)와, 판독 기준 위치의 일례로서의 플라튼 레지스터 위치에 배치된 노광계 위치 검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노광계 레지스터 센서(Sp), 및 노광 광학계(A)를 갖고 있다.
상기 노광 광학계(A)는 그 이동 및 정지가 노광계 레지스터 센서(Sp)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시 기준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b)를 사용하여 복사를 행하는 자동 원고 반송 동작의 경우에는, 상기 노광 광학계(A)는 기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플라튼 글라스(PG) 상의 복사 위치(F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각 원고(G)를 노광한다.
원고(G)를 작업자가 손으로 플라튼 글라스(PG) 상에 놓고 복사를 행하는 수동 복사 동작의 경우, 노광 광학계(A)는 이동하면서 플라튼 글라스(PG) 상의 원고를 노광 주사한다.
노광된 상기 원고(G)로부터의 반사광은 상기 노광 광학계(A)를 통과하여 고체 촬영 소자(CCD) 상에 수속(收束)된다. 상기 고체 촬영 소자(CCD)는 그 촬영면 상에 수속된 원고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부(GS)는 고체 촬영 소자(CCD)로부터 입력된 판독 화상 신호를 디지털의 화상 기입 신호로 변환하여 프린터부(U1)의 레이저 구동 신호 출력 장치(DL)에 출력한다.
상기 레이저 구동 신호 출력 장치(DL)은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레이저 구동 신호를 잠상 기입 장치(ROS)에 출력한다.
상기 잠상 기입 장치(ROS)의 하방으로 배치된 상 보호유지체(PR)는 화살표 Ya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상보호유지체(PR) 표면은 대전 영역(Q0)에서 대전 롤(CR)에 의해 대전된 후, 잠상 기입 위치(Q1)에서 상기 잠상 형성 장치(ROS)의 잠상 기입 광으로서의 레이저빔(L)에 의해 노광 주사되어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체 드럼(PR) 표면은 회전 이동하여 현상 영역(Q2), 전사 영역(Q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상기 현상 영역(Q2)에서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G)는 현상제를 현상 롤(RO)에 의해 현상 영역(Q2)에 반송하고, 상기 현상 영역(Q2)을 통과하는 정전 잠상을 토너 상에 현상한다.
상기 현상기(G)에서 소비되는 현상제를 보급하기 위한 보급 용기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카트리지(K)는 보급 용기 장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장착 부재(KS)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K)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배출 용기의 일례로서의 예비 탱크(reserve tank)(RT)에서 교반되고 나서 현상제 반송 장치(GH)에 의해 현상기(G)에 반송된다. 또한, 상기 력(力) 카트리지 장착 부재(KS)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K) 내의 현상제를 예비 탱크(RT)에 반송하는 구성은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OO3-84555호 등에 기재되어 있고, 종래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하게 설명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사 영역(Q3)에서 상기 상보호유지체(PR)에 대향하여 배치된 전사 유닛(TU)는 전사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무한 형상의 전사 벨트(TB)를 갖는다. 상기 전사 벨트(TB)는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구동 롤(Rd) 및 종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종동 롤(Rf)을 갖는 전사체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지지 롤(Rd, Rf)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전사 벨트(TB)의 내부에는, 상보호유지체(PR)에 대향하여 배치된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TR)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사 벨트(TB)의 용지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박리 크로우(SC)와, 전사 반송 부재용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가 배치되어 있다. 전사 롤(TR)은 감광체 드럼(PR) 표면의 토너 상을 시트(S)에 전사하는 부재이며, 현상기(G)에서 사용되는 현상용의 토너의 대전 극성과 역극성의 전사 전압이 전원 회로(E)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전원 회로(E)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제어된다.
급지 용기의 일례로서의 급지 트레이(TR1∼TR4)에 수용된 매체의 일례로서의 시트(S)는 공급로(SH1)로 반송되어서 상기 전사 영역(Q3)에 반송된다. 즉, 상기 각 트레이(TR1∼TR4)의 시트(S)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매체 취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픽업 롤(Rp)에 의해 취출되고, 매체 세퍼레이팅 부재의 일례로서의 세퍼레이팅 롤(Rs)에서 1매씩 분리되어서, 복수의 반송 롤(Ra)에 의해, 반송 시기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다.
상기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 시트(S)는 상기 상보호유지체(PR) 상의 토너 상이 전사 영역(Q3)으로 이동하는 타이밍을 합쳐서, 전사 전 안내 부재(SG1)로부터 전사 유닛(TU)의 전사 벨트(TB)에 반송된다. 전사 벨트(TB)는 반송된 시트(S)를 전사 영역(Q3)에 반송한다.
상기 상보호유지체(PR) 표면에 현상된 토너 상(Tn)은 전사 영역(Q3)에서, 전사 롤(TR)에 의해 시트(S)에 전사된다. 전사 후, 감광체 드럼(PR) 표면은 감광체 클리너(CL1)에 의해 클리닝 되어서 잔류 토너가 제거되고, 다음에 상기 대전 롤(CR)에 의해 다시 대전된다.
전사 영역(Q3)에서 전사 롤(TR)에 의해 토너 상이 전사된 상기 시트(S)는 전사 영역(Q3)의 하류 측의 시트 박리 크로우(SC)에 의해 전사 벨트(TB) 표면으로부터 박리된다. 박리된 시트(S)는 가열 롤(Fh) 및 가압 롤(Fp)을 갖는 정착기(F)에 서 토너 상이 가열 정착된다. 가열 정착된 시트(S)는 반송 방향 규제 부재의 일례로서의 탄성 시트제의 마일러 게이트(mylar gate)(MG)를 통하여 시트 배출로(SH2)의 정역 회전 가능한 반송 롤(Rb)에 반송된다. 마일러 게이트(MG)는 탄성 변형하고, 정착기(F)를 통과한 시트(S)를 배출로(SH2)로 향하게 한다.
기록 필 매체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지 트레이(TRh)에 배출되어야 할 시트(S)는 정역 회전 가능한 반송 롤(Rb) 및 복수의 반송 롤(Ra)이 배치된 배출로(SH2)로 반송된다. 배출로(SH2)의 하류 단부에는 전환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환 게이트(GT1)가 배치되어 있다. 전환 게이트(GT1)는 화상 형성 장치에 후처리 장치(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송되어 온 시트(S)를 배지 트레이(TRh) 또는 도시되지 않은 후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에 배출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 장치가 장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환 게이트(GT1)는 시트 배출로(SH2)의 하류 단부에 반송된 시트(S)를 배지 트레이(TRh)에 배출한다.
양면 인쇄를 행할 경우, 상기 정역 회전 가능한 반송 롤(Rb)은 한 면 기록 필 시트(S)의 후단이 반송 롤(Rb)을 통과하는 직전에 역회전하고, 상기 한 면 기록 필 시트(S)를 역방향으로 반송, 소위 스위치 백 시킨다. 상기 마일러 게이트(MG)는 상기 반송 롤(Rb)에 의해 스위치 백 하고 온 시트(S)를 순환 반송로(SH3)로 향하게 한다. 순환 반송로(SH3)로 반송된 한 면 기록 필 시트(S)는 표리 반전한 상태에서 상기 전사 영역(Q3)에 재송된다. 상기 시트 전사 영역(Q3)에 재송된 한 면 기록 필 시트(S)는 2번째의 토너 상이 전사된다.
또한, 상기 부호(SH1∼SH3, Rp, Rs, Rr, Ra, Rb, MG) 등으로 도시하는 구성 요소로부터 용지 반송 장치(SH)가 구성된다.
(현상제 수용 용기의 설명)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현상제 수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반송 부재 본체의 설명도이고, 도 1O의 (a)는 반송 부재 본체의 측면도, 도 1O의 (b)는 도 1O의 (a)의 X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도 4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단부 지지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11의 (a)는 측면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화살표 XI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1의 (c)는 도 11의 (a)의 화살표 XI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1의 (d)는 도 11의 (a)의 화살표 XID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1의 (e)는 도 11의 (c)의 XlE-XIE선 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상기 순환 반송로(SH3)의 하방 또한 급지 트레이(TR2∼TR4)의 우측에는 실시예 3의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회수 용기(1')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감광체 클리너(CL1), 벨트 클리너(CLB) 등에서 회수된 폐기 현상제가 도시되지 않은 폐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의해 반송되어, 회수된다.
도 8∼도 11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1')는 용기 본체(2')가 세로 방향으로 긴 상자 모양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용기 본체(2')의 후측(-X측) 상단부에는 상기 폐기 현상제 반송 부재가 접속되어서 폐기 현상제가 유입하는 유입구(4a')가 형성되어 있고, 후측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는 반송 부재(2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9, 도 10에 있어서, 실시예 3의 반송 부재 본체(22')는 일단 측으로 연장하는 나선 형상의 반송부(22c')와, 반송부(22c')의 후단부(-X단부)로부터 회전 중심 방향, 즉 제 2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와,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의 중심부로부터 제 2 방사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를 갖는다.
도 9, 도 11에 있어서, 실시예 3의 단부 지지 부재(23')는 실시예 1의 단부 지지 부재(23)의 방사 방향 관통공(23b3)으로 변환하고, 관통공의 일례로서의 방사 방향 관통공(23b3')이 축 방향으로 긴 긴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현상제 반송 부재의 조립 방법)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12의 (a)는 반송 부재 본체가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 (b)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방사 방향 관통공에 삽입한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 (c)는 도 12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송 부재 본체를 반송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 (d)는 도 12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 (e)는 도 12의 (d)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방사 방향 관통공을 중심으로서 회전시켜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현상제 반송 부재(21')를 조립할 경우에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 지지 부재(23')와 반송 부재 본체(22')가 분리된 상태로부터, 우선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 지지 부재(23')의 방사 방향 관통공(23b3')에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가 삽입된다. 도 12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나선 형상의 반송부(22c')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도 12의 (c)에 도시하는 상태를 거쳐서 도 12의 (d)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고,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가 축 방향 오목부(23b1) 내에 진입한다. 이 상태로부터 반송 부재 본체(22')를 방사 방향 관통공(23b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도 12의 (e)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고, 반송 부재 본체(22')가 단부 지지 부재(23')에 장착되어, 현상제 반송 부재(21')를 조립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2')에 현상제 반송 부재(21')를 장착하는 것으로 조립할 수 있다.
(실시예 3의 작용)
도 13은 실시예 3의 반송 부재의 회전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13의 (a)는 도 9에 도시하는 회전 상태에서의 단부 지지 부재와 반송 부재 본체와의 연결 부분의 설명도,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단부 지지 부재가 180도 회전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 도 13에 있어서,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3의 회수 용기(1')에서는 회수 용기(1') 내의 현상제가 적은 상태에서는 반송 부재(21')는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가 관통하는 방사 방향 관통공(23b3')이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9의 파선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부재 본체(22')의 자체 중량에 의해, 반송 부재 본체(22')의 자유단이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단부 지지 부재(23')에 회전이 전달되어서, 현상제 반송 부재(21')가 회전하면, 중력에 의해 반송 부재(22')의 자유단 측, 즉 전단 측이 하방으로 경사 지는 상태로 되도록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가 긴 구멍 형상의 방사 방향 관통공(23b3')에 따라 왕복 운동하는 동시에,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가 축 방향 홈부(23b2)에 따라 왕복 운동한다. 이 때문에, 현상제 반송 부재(21')는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하고, 유입구(4b')로부터 내측이나 전측(+X측)으로 현상제를 반송한다.
회수 용기(1') 내의 현상제가 증가하면, 증가하는 현상제에 합하여 반송 부재(21')의 경사도 변화되고, 도 9의 일점 쇄선에서 도시하는 높이에 달하면, 반송 부재(21')의 경사가 수평화되고, 도 9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높이로 되면, 반송 부재(21')의 경사가 상향화되고, 현상제가 내측에 반송된다. 이 때문에, 현상제의 량에 대응하여 반송 부재(21')의 경사 각도가 자동적으로 변동하면서 현상제가 반송된다.
[실시예 4]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의 보급 용기 장착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보급 용기 장착 부재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4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분해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4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3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4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3과 서로 다르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8, 도 14∼도 16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U)의 실시예 4에서는 카트리지 장착 부재(KS)에는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카트리지(K)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트리지 장착부(KS)는 후측 원통부(31)와 전측 반 원통부(32)와, 후단벽(33)을 갖고 있다. 전측 반 원통부(32)의 내면의 하부에는, 전후로 연장하는 가이드 홈(32a)과, 상기 가이드 홈(32a)의 후단에 접속하는 보급구(3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단벽(33)에는 원호 형상의 2개의 위치 결정 핀 삽입공(33a ,3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단벽(33)의 중앙부에는 베어링(34)을 통하여 회전축(3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후단벽(33)을 관통하는 회전축(35)의 전단에는 커플러(36)가 고정되어 있고, 후단에는 기어(G9)가 고정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KS)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카트리지(K)는 보급용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38)를 갖고 있다. 현상제 수용 용기(38)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9)와, 용기 본체(39)의 전단에 착탈 불능하게 고정된 전단벽(40)과, 용기 본체(39)의 후단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후단벽(41)을 갖는다.
도 16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39)의 후측의 내주면에는 링 형상의 장착 홈(39a)이 형성되어 있고, 후측 외주면에는 장착 방향을 지시하는 지지 표시(39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 도 16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39)의 후부 외주면에 는 현상제 배출용의 현상제 통과구의 일례로서의 개구(39c),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부의 일례로서의 가이드 레일(39d) 및 상기 가이드 레일(39d)에 의해 가이드 되어서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개구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셔터(39e)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 상기 전단벽(40)의 전면에는 조작용 손잡이(4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단벽(40)에는 현상제 카트리지(K)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신품인지 비어 있는 지의 정보가 기억된 기억 매체(40b), 소위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emory)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기억매체(40a)에 기억된 정보는 현상제 카트리지(K) 장착시에 카트리지 장착부(KS)의 정보 판독 부재(32c)에 의해, 비접촉 무선 통신에서 판독 및 기입이 된다.
도 15, 도 16에 있어서, 상기 후단벽(41)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41a)과, 후단벽(41)의 후면에서 관통공(41a)으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41b)와, 후단벽(41)의 후면의 외주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핀(41c, 41c)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벽(41)의 후측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 홈(39a)에 대응하여 형성된 링 형상의 장착 볼록부(41d)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 볼록부(41d)가 장착 홈(39a)에 감입함으로써, 후단벽(41)이 용기 본체(39)에 장착된다.
상기 관통공(41a)은 체결 크로우(23c2)의 수가 4개인 이외는 실시예 1의 경우 와 동일하게 구성된 단부 지지 부재(2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체결 크로우(23c2)는 커플러(36)와 체결하여 구동이 전달된다.
상기 단부 지지 부재(23)에는 실시예 4의 반송 부재 본체(22")가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4의 반송 부재 본체(22")는 실시예 1의 반송 부재 본체(22)와 동일하게,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 봉 형상부(22a")와, 회전축의 방사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연결부(22b")와, 연결부(22b")의 외단(外端)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나선 형상의 반송부(22c")와, 본체 봉 형상부(22a)의 후단으로부터 제 2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방사 방향 절곡부(22d")와, 제 2 방사 방향 절곡부(22d")의 방사 방향 외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방향 연신부(22e")와, 축 방향 연신부(22e")의 좌단으로부터 제 2 방사 방향에 따라 회전 중심 측으로 연장하는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와,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22f")의 회전 중심 측으로부터 제 1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22g")를 갖는다.
상기 단부 지지 부재(23)와 반송 부재 본체(22")에 의해, 실시예 4의 반송 부재(21")가 구성되어 있다.
도 14∼도 16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K)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삽입하면, 현상제 카트리지(K)의 상기 가이드 레일(39d) 및 셔터(39e)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KS)의 가이드 홈(32a)에 가이드 되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 15의 상태로부터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K)를 후방으로 삽입하면, 핀(41c, 41c)은 원호 형상의 위치 결정 핀 삽입 구멍(33a, 33a)에 삽입된다. 그 삽입 상태에서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K)의 단부 지지 부재(23)와 카트리지 장착부(KS)의 커플러(26)는 결합한다.
상기 삽입 상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K)를 회전시키면, 셔터(39e)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서 현상제 수용 용기(38) 및 가이드 레일(39d)이 회전한다. 그때, 개구(39c)는 상기 보급구(32b)로 통과하는 위치에서 회전 이동한다. 상기 보급구(32b)는 예비 탱크(RT) 내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현상제 카트리지(K) 내부의 보급용의 현상제를 상기 개구(39c) 및 보급구(32b)로부터, 예비 탱크(RT) 내에 보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비 탱크(RT)에 보급된 현상제는 한 쌍의 순환 반송 부재(51, 52)에 의해 순환 반송되고 교반 되어, 일부가 배출 부재(53)에 의해 배출구(54)로부터 배출되어서 현상제 반송 장치(GH)에 의해 현상기(G)로 반송되어, 보급된다.
(현상제 카트리지의 조립 방법)
도 14∼도 16에 있어서, 실시예 4의 현상제 카트리지(K)를 조립할 경우에는, 우선, 후단벽(41)에 단부 지지 부재(23)를 장착한 상태에서, 실시예 1의 도 5에 도시하는 경우와 동일한 순서로 단부 지지 부재(23)에 반송 부재 본체(22")를 장착하고, 현상제 반송 부재(21")를 조립한다. 다음에, 용기 본체(39)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한 상태에서, 현상제 반송 부재(21")를 갖는 후단벽(41)을 용기 본체(39)에 장착함으로써, 현상제 카트리지(K)를 조립할 수 있다.
(사용 필 현상제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현상제가 사용되어서 비어있는 현상제 카트리지(K)를 재생할 경우, 우선 현상제 반송 부재(21")를 조립할 수 있었던 후단벽(41)을 용기 본체(39)로부터 떼어낸다.
다음에, 반송 부재 본체(22")를 단부 지지 부재(23)로부터 떼어내고, 단부 지지 부재(23)도 후단벽(41)으로부터 떼어낸다. 이때, 용기 본체(39)의 셔터(39e)나 전단벽(40)에 장착된 기억 매체(40b)도 떼어내어, 분해한다.
다음에, 용기 본체(39)의 내부나 후단벽(41), 반송 부재 본체(22") 등의 각 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정제한다.
다음에,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조립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현상제 카트리지(K)를 조립한다. 이때, 기억 매체(40b)에 기억된 정보를 초기화하여 갱신하고, 현상제 카트리지(K)에 설치한다.
이 결과, 사용 필의 현상제 카트리지(K)가 재생된다.
(실시예 4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현상제 카트리지(K)의 현상제 반송 부재(21)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사 방향 관통공(23b3)이 형성된 단부 지지 부재(23)를 사용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K)의 운반시나 작업시, 낙하시에 반송 부재 본체(22")가 빠져버리는 것이 저감된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H01)∼(H06)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AX나 복사기 혹은 이것들 전부 또는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컬러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흑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여, 소위 로터리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탠덤식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제 수용기로서 폐기되는 현상제가 회수되는 회수 용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현상제를 반송하는 임의의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현상기(GK, GY, GM, GC) 내의 현상제 반송 부재나, 토너 보급용 카트리지(TCk, TCy, TCm, TCc) 내의 현상제 반송 부재, 상 보호유지체 클리너(CL1)나 벨트 클리너(CLB), 2차 전사 롤 클리너(CLt)로부터 회수 용기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적용 가능하다. 이 외에도,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 용기, 소위 디스펜서(dispenser)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이것들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교환 가능한 현상제 수용기에 적용할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 조립할 수 있는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시의 충격 등에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H0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반송 부재 본체와 단부 지지 부재와의 조합은 실시예 1∼3에 예시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 1의 단부 지지 부재와 실시예 3의 반송 부재 본체를 조합시키거나, 그 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반송 부재 본체의 형상은 실시예 1∼4에 예시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회전 축과 회전축의 외주에 반송 날개를 설치한 반송 부재, 소위 나선 형상(auger)으로 구성하고, 회전축의 단부에 실시예 1∼3에 기재된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 및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방사 방향과 제 2 방사 방향이 직교할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면 90도로부터 다소 벗어난 각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의 현상제 수용기의 설명도이고, 도 2의(a)는 사시 설명도, 도 2의(b)는 도 2의(a)에 있어서 리드(lid)가 떨어진 상태의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반송 부재 본체의 설명도이고, 도 3의(a)는 반송 부재 본체의 사시도, 도 3의(b)는 도 3의(a)의 측면도, 도 3의(c)는 도 3의(b)의 화살표 IIIC 측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3의(d)는 도 3의(b)의 화살표 IIID 측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1의 단부 지지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4의(a)는 측면도, 도 4의(b)는 도 4의(a)의 화살표 IV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의(c)는 도 4의(a)의 화살표 IV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의(d)는 도 4의(a)의 화살표 IVD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의(e)는 도 4의(c)의 IVE-IVE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 도 5의(a)는 반송 부재 본체가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설명도, 도 5의(b)는 도 5의(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방사 방향 관통공에 삽입한 상태의 설명도, 도 5의(c)는 도 5의(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송 부재 본체를 본체 봉 형상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5의(d)는 도 5의(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5의(e)는 도 5의(d)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방사 방향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5의(f)는 도 5의(e)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시켜서 장착한 상 태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의 도 4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단부 지지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6의(a)는 측면도, 도 6의(b)는 도 6의(a)의 화살표 VI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의(c)는 도 6의(a)의 화살표 VI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의(d)는 도 6의(a)의 화살표 VID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의(e)는 도 6의(c)의 VIE-VIE선 단면도.
도 7은 실시예 1의 도 5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7의(a)는 반송 부재 본체가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설명도, 도 7의(b)는 도 7의(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방사 방향 관통공에 삽입한 상태의 설명도, 도 7의(c)는 도 7의(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송 부재 본체를 본체 봉 형상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7의(d)는 도 7의(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7의(e)는 도 7의(d)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방사 방향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7의(f)는 도 7의(e)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시켜서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현상제 수용기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반송 부재 본체의 설명도이고, 도 1O의(a)는 반송 부재 본체의 측면도, 도 10의(b)는 도 10의(a)의 X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1은 실시예 1의 도 4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단부 지지 부재 의 설명도이고, 도 11의(a)는 측면도, 도 11의(b)는 도 11의(a)의 화살표 XI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1의(c)는 도 11의(a)의 화살표 XI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1의(d)는 도 11의(a)의 화살표 XID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1의(e)는 도 11의(c)의 XIE-XIE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12의(a)는 반송 부재 본체가 단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b)는 도 12의(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방사 방향 관통공에 삽입한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c)는 도 12의(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송 부재 본체를 반송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d)는 도 12의(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e)는 도 12의(d)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방사 방향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서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3의 반송 부재의 회전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13의(a)는 도 9에 도시하는 회전 상태에서의 단부 지지 부재와 반송 부재 본체와의 연결 부분의 설명도, 도 13의(b)는 도 13의(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단부 지지 부재가 180도 회전한 상태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의 보급 용기 장착 부재의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보급 용기 장착 부재의 단면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 4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분해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K : 현상제 수용기
2, 2', 38 : 현상제 수용 용기
4a, 4a', 39d : 현상제 통과구
21, 21', 21" : 현상제 반송 부재
22, 22', 22" : 반송 부재 본체
22a, 22a" : 본체 봉 형상부
22c, 22c', 22c" : 반송부
22d, 22c" : 제 2 방사 방향 절곡부
22e, 22e" : 축 방향 연신부
22f, 22f', 22f" :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
22g, 22g', 22g" :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
22f+22g, 22f'+22g', 22f"+22g" : 피지지부
23, 23', 23" : 단부 지지 부재
23b : 원통부
23b1 : 축 방향 오목부
23b2 : 축 방향 홈부
23b3, 23b3' : 방사 방향 관통공
23e : 감입 고정부
U : 화상 형성 장치
U1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Claims (9)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반송 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 본체와,
    상기 반송 부재 본체를 지지하여 회전하는 단부(端部) 지지 부재를 갖는 현상제 반송 부재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회전 지지되는 피(被)지지부는,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제 1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방사 방향 연신(延伸)부와,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의 상기 제 1 반경 방향 내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 1 반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 2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를 갖고,
    상기 단부 지지 부재는,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원통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원통부의 중심부에 상기 단부 지지 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축방향 오목부와,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축방향 오목부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외부까지 상기 제 2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구멍 형상의 관통공(貫通孔)과,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축방향 오목부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외부까지 상기 제 1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의 단부까지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의 외경보다도 큰 폭으로 형성된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받는 구동 수취부를 갖고,
    상기 구동 수취부의 회전 방향인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에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관통공의 위치로부터 상기 홈부의 위치까지 도달하기 위한 회전 각도는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에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홈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관통공의 위치까지 도달하기 위한 회전 각도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 봉(棒) 형상부와, 상기 봉 형상부의 일단 측에 형성된 나선 형상의 반송부와, 상기 봉 형상부의 타단부에 상기 제 2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방사 방향 절곡부와, 상기 제 2 방사 방향 절곡부의 타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방향 연신부와, 상기 축 방향 봉 형상부의 타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와,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의 타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갖는 상기 반송 부재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단 측으로 연장하는 나선 형상의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의 타단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와, 상기 제 2 방사 방향 연신부의 타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갖는 상기 반송 부재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긴 구멍에 의해 구성된 상기 관통공을 갖는 상기 단부 지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가 감입(嵌入)된 상태에서 고정하는 감입 고정부를 갖는 상기 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
  7. 현상제가 통과하는 현상제 통과 구(口)를 갖고,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 내부에 배치되어서 내부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8.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제 7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반송 부재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제 1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단부 지지 부재의 원통부에 형성된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방향 오목부로부터 제 2 반경 방향으로 외부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 형상의 관통공에 삽입하는 관통공 삽입 공정,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반송 부재 본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축 방향 오목부 내의 회전축 방향에 따른 상태로 이동시키는 회전축 방향 이동 공정,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반송 부재 본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상기 제 1 방사 방향 연신부를, 상기 단부 지지 부재의 상기 축 방향 오목부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외주로 회전축 방향에 따라 또한 상기 축 방향 오목부로부터 외부까지 제 1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홈부에 감입함으로써, 반송 부재 본체를 단부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홈부 장착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 조립 방법.
KR1020080013957A 2007-03-28 2008-02-15 현상제 반송 부재, 현상제 수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현상제 반송 부재 조립 방법 KR101034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85611 2007-03-28
JP2007085611A JP4086084B1 (ja) 2007-03-28 2007-03-28 現像剤搬送部材組み立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367A KR20080088367A (ko) 2008-10-02
KR101034563B1 true KR101034563B1 (ko) 2011-05-12

Family

ID=3944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957A KR101034563B1 (ko) 2007-03-28 2008-02-15 현상제 반송 부재, 현상제 수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현상제 반송 부재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76188B2 (ko)
JP (1) JP4086084B1 (ko)
KR (1) KR101034563B1 (ko)
CN (1) CN1012761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5525B2 (ja) * 2006-03-20 2010-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トナー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55595B2 (ja) * 2013-03-27 2016-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488955B2 (en) * 2013-10-09 2016-11-08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connecting a centerless auger to a rotatable memb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3085A (ja) * 1996-11-14 1999-03-1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296051A (ja) * 1998-04-08 1999-10-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198826A (ja) * 2002-12-19 2004-07-15 Fuji Xerox Co Ltd 現像剤取扱い物品
JP2005037663A (ja) * 2003-07-14 2005-02-10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7211A (en) * 1998-08-25 2000-12-26 Minolt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recycling collected t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747720B2 (ja) * 1999-12-24 2006-02-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3085A (ja) * 1996-11-14 1999-03-1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296051A (ja) * 1998-04-08 1999-10-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198826A (ja) * 2002-12-19 2004-07-15 Fuji Xerox Co Ltd 現像剤取扱い物品
JP2005037663A (ja) * 2003-07-14 2005-02-10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40813A1 (en) 2008-10-02
CN101276183A (zh) 2008-10-01
CN101276183B (zh) 2012-09-05
US7676188B2 (en) 2010-03-09
JP4086084B1 (ja) 2008-05-14
KR20080088367A (ko) 2008-10-02
JP2008242297A (ja)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67016B (zh) 显影剂传送装置和图像形成设备
JP4802872B2 (ja) 着脱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511583B2 (ja)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5446764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10001992A (ko) 화상 형성 장치
KR101034563B1 (ko) 현상제 반송 부재, 현상제 수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현상제 반송 부재 조립 방법
JP4641405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366877A (ja) 画像形成装置
US8121522B2 (en) Transfer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945980B2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145777A (ja) 現像装置、可視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215406A (ja) 画像形成装置
JP6583225B2 (ja) 現像剤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40661B1 (ja) 現像剤搬送部材、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02682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6775066B2 (ja) 画像形成装置
JP7353584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81769A (ja) 搬送部材、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4365083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3885439B2 (ja) 画像形成装置
JP4610995B2 (ja) 一成分現像剤を用いる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436685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17427A (ja) 画像形成装置
JPH0389367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618889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