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715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715B1
KR101030715B1 KR1020090010258A KR20090010258A KR101030715B1 KR 101030715 B1 KR101030715 B1 KR 101030715B1 KR 1020090010258 A KR1020090010258 A KR 1020090010258A KR 20090010258 A KR20090010258 A KR 20090010258A KR 101030715 B1 KR101030715 B1 KR 10103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witch
handle
base
opera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013A (ko
Inventor
카쓰야 이마이
마나부 야노
이종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9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조작 핸들이 스위치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본체(1), 스위치 본체(1)의 전면측에 요동자재로 취부되고 스위치 본체(1)의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 핸들(2), 그리고 스위치 본체(1)를 조영재에 취부하는 프레임 형상의 취부부(3)를 구비하며, 스위치 본체(1)는 취부부(3)의 중앙에 형성된 취부창(3a)으로부터 전면을 노출하는 형태로 취부부(3)에 취부되고, 조작 핸들(2)은 취부창(3a)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스위치 본체(1)의 전면측에 취부되며, 취부부(3)의 취부창(3a)의 개구 테두리부에는 조작 핸들(2)의 전면의 일부분을 덮는 피복부(80d)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벽 등의 조영재에 설치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벽 등의 조영재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의 스위치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스위치 장치로서는, 도 16a 내지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 개폐 기구부(도시되지 않음)를 기체(器體)(101)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스위치 본체(100), 해당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측(도 16b에 있어서의 좌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되며 스위치 본체(100)의 조작(기체(101)에 수납된 상기 접점 개폐 기구부의 개폐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 핸들(110), 그리고 스위치 본체(100)를 조영재에 취부하는 프레임 형상의 취부부(120)를 구비한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5-234466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10-106393호 참조).
스위치 본체(100)의 기체(101)의 전면에는, 조작 핸들(110)을 요동 자재로 취부하기 위한 요동 축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이러한 요동 축부와 조작 핸들(110)의 후면에 형성한 베어링부(도시되지 않음)를 계합함으로써, 조작 핸들(110)이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된다. 여기서, 스위치 본체(100)는 취부부(120)의 중앙에 형성된 취부창(121)으로부터 전면을 노출하는 형 태로 취부부(120)에 취부되며, 조작 핸들(110)은 취부창(121)의 내측에 들어가는 형태로 스위치 본체(110)의 전면측에 취부된다(도 16a 참조).
한편, 스위치 본체(100)의 기체(101)의 후면에는 전원(일예로는 상용 전원)이나 부하(일예로는 조명 기구 등의 조명 부하) 등의 접속에 사용하는 전원선을 기체(101) 내에 삽입하고, 상기 접점 개폐 기구부에 접속하기 위한 전선 삽입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또한, 스위치 본체(100)에는 상기 접점 개폐 기구부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점등 또는 소등하는 도시하지 않은 발광원(일예로는 네온램프)이 수납된다. 해당 발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은 조작 핸들(110)에 형성한 표시창(111)을 통하여 스위치 장치의 전방으로 출사된다.
또한, 도 16a 내지 도 16c에 나타낸 취부부(120)는 스위치 본체(100)를 취부하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취부 프레임(130)과 주로 취부 프레임(130)의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취부 프레임(130)의 전면을 덮는 형태로 취부 프레임(130)에 취부되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화장 플레이트(140)로 구성된다.
상술한 스위치 장치를 조영재에 설치하는 데 있어서, 취부 프레임(130)에 스위치 본체(100)를 취부한 후에 스위치 본체(100)에 조작 핸들(110)을 취부하고, 최후로 화장 플레이트(140)를 취부 프레임(130)에 취부하는 수순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조작 핸들(110)은 상기 요동 축부와 상기 베어링부를 계합시킴으로써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 플레이트(140)를 취부 프레임(130)에 취부할 때 화장 플레이트(140)를 조작 핸들(110)에 부딪혀 버리면, 조작 핸들(110)이 스위치 장치(100)로부터 빠져(탈락하여) 버릴 우 려가 있다. 조작 핸들(110)이 스위치 본체(100)로부터 탈락하였을 때는 조작 핸들(110)에서 숨겨져 있던 스위치 본체(100)에 접속된 전원선을 접촉해 버릴 우려가 있으며, 전원선의 스트립 사이즈가 길 때는 전원선에 접촉한 사람이 감전될 우려가 있었다.
조작 핸들(110)의 스위치 본체(100)로부터의 탈락은 화장 플레이트(140)의 취부 시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조작 핸들(110)에 무언가의 물체가 충돌하였을 때나 스위치 장치의 조작 시에 조작 핸들(110)에 과잉의 힘을 가했거나 하였을 때에도 동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핸들이 스위치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본체,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전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되고 상기 스위치 본체의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 핸들 및 상기 스위치 본체를 조영재에 취부하는 프레임 형상의 취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본체는 상기 취부부의 중앙에 형성된 취부창으로부터 전면을 노출하는 형태로 상기 취부부에 취부되고,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취부창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전면측에 취부되며, 상 기 취부부의 취부창의 개구 테두리부에는 상기 조작 핸들의 전면의 일부분을 덮는 피복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취부부의 취부창의 개구 테두리부에 형성한 피복부가 상기 조작 핸들의 전면의 일부분을 덮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조작 핸들에 물체가 충돌하였을 때나, 조작 시에 상기 조작 핸들에 과잉의 힘이 가해졌을 때라도 상기 조작 핸들의 전면에 피복부가 당접함으로써, 상기 조작 핸들이 상기 스위치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상기 조작 핸들이 상기 스위치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스위치 본체와 상기 조작 핸들의 한 쪽에 형성된 요동 축부 및 상기 스위치 본체와 상기 조작 핸들의 다른 쪽에 형성되고 상기 요동 축부와 계합되는 베어링부로 이루어지는 계합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전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되며, 상기 피복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계합부와 중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을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전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하는 상기 계합부가 피복부에 의해 보호되므로, 예를 들면 상기 조작 핸들에 물체가 충돌하였을 때나, 조작 시에 상기 조작 핸들에 과잉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과대한 부하가 상기 계합부에 직접적으로 걸리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상기 스위치 본체와 상기 피복부에 계합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요동 축부와 상기 베어링부와의 계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조작 핸들이 스위치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본체는 조작 상태에 따라서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 핸들의 전면의 하나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발광원이 조사한 광을 전방으로 출사시키는 표시창이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조작 핸들의 하나의 테두리부를 따라서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원이 발광하였을 때에는 상기 조작 핸들의 테두리부가 빛나게 보이므로 상기 발광원의 발광 시에 상기 조작 핸들과 취부부와의 경계를 알기 쉬워지고, 상기 취부부를 조작 핸들로 잘못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가 취부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취부 프레임 및 해당 취부 프레임의 전면을 덮는 형상으로 취부 프레임에 취부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화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화장 플레이트는 상기 취부 프레임의 전면측에 취부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 및 해당 베이스의 전면측에 고정된 화장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4변 중 한 변에는 전면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장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4변 중 상기 팽출부가 형성된 한 변을 제외한 나머지 세변의 전면을 덮는 "ㄷ"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취부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팽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화장 커버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화장 커버를 상기 베이스의 4변의 전면을 덮는 형태의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화장 플레이트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핸들이 스위치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조건이 없는 한 도 1a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상기 스위치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규정한다. 또한, 도 3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상기 스위치 장치의 폭 방향으로 규정하며, 도 3a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스위치 장치의 긴 쪽으로 규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벽 등의 조영재에 취부되는 이른 바 매립 형태를 가지며, 도 1a 내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 해당 스위치 본체(1)의 전면측(도 1a에 있어서의 상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되고 스위치 본체(1)의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 핸들(2), 그리고 스위치 본체(1)를 조영재에 취부하는 프레임 형상의 취부부(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1)는 취부부(3)의 중앙에 형성된 취부창(3a)으로부터 전면을 노출하는 형태로 취부부(3)에 취부되며, 조작 핸들(2)은 취부창(3a)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스위치 본체(2)의 전면측에 취부된다. 도 1a는 도 3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2a는 도 3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스위치 본체(1)는 접점 개폐 기구부(4)와 조광 블록(5)이 수납된 기체(6)를 구비한다. 기체(6)는 전면(두께 방향 일면)이 개구된 직방체 상자 형상의 바디(60), 바디(60)와의 사이에 접점 개폐 기구부(4) 및 조광 블록(5)을 수납하는 형태로 바디(60)의 전면측에 피착되는 커버(61)로 구성된다. 이들 바디(60) 및 커버(61)는,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수지 성형품일 수 있다.
바디(60)의 짧은 쪽(스위치 장치의 긴 쪽을 따른 방향, 도 3b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양 외측면들에는 각기 한 쌍의 조립 돌기(60a)들이 형성된다. 한 쌍의 조립 돌기(60a)들은 바디(60)의 긴 쪽(스위치 장치의 폭 방향을 따른 방향, 도 3c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다. 이들 한 쌍의 조립 돌기(60a)들은 바디(60)에 커버(61)를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바디(60)의 저벽부(후벽부)에는 외부 전원(예를 들면, 상용 전원 등)이나 부하(예를 들면, 조명 부하 등)의 전선(도시되지 않음)을 바디(60) 내(기체(6)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전선 삽입공(도시되지 않음)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전선 삽입공은, 예를 들면 바디(60)의 저벽부의 네 모서리들에 각기 형성된다. 또한, 바디(60)의 저벽부의 긴 쪽 양단 측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전선 삽입공의 근방에는 공구(일예로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조작공(60b)이 관통 형성된다. 해당 조작공(60b)은 후술하는 해제 버튼(43)을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커버(61)는 후면(두께 방향 지면)이 개구한 직방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61)는 전후 방향을 법선 방향으로 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외형 사 이즈가 바디(60)와 거의 동일한 크기이다. 커버(61)의 짧은 쪽(도 3b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양 외측면들 각각의 후단부에는,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조립 설편(舌片)(61a)들이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조립 설편(61a)들은 커버(61)의 긴 쪽(도 3c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다. 조립 설편(61a)들에는 조립공(61b)이 형성된다. 해당 조립공(61b)에 바디(60)의 조립 돌기(60a)를 삽입하고, 조립 설편(61a)과 조립 돌기(60a)를 계합시킴으로써, 바디(60)와 커버(61)가 결합된다. 또한, 커버(61)의 긴 쪽의 양 외측면들 각각에는 후술하는 취부 프레임(70)의 취부공(7b)에 삽입되는 한 쌍의 취부조(爪)(61c)들이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취부조(61c)들은 커버(61)의 짧은 쪽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다.
이 경우, 기체(6)의 짧은 쪽의 치수는 취부 프레임(7)의 후술하는 창구멍(7a)의 긴 쪽(스위치 장치의 긴 쪽을 따른 방향)의 치수의 대략 3분의 1 정도의 치수(이하, 이러한 치수를 1개 모듈 치수라 한다)로 형성된다. 즉, 취부 프레임(7)은, 1개 모듈 치수의 기체(6)를 3개까지 취부할 수 있다. 상술한 취부 프레임(7)에 있어서, 취부 구멍(7b)은 창구멍(7a)의 짧은 쪽(스위치 장치의 폭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양 내측면들에 각기 8개씩 형성된다. 이에 따라, 취부 프레임(7)에서는 창구멍(7a) 내에서 기체(6)의 취부 위치를 복수 개소(도 12 내지 도 15 참조)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커버(61)의 전면에 있어서의 긴 쪽 일단측(도 2a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61d)가 형성된다. 오목부(61d)에는 후술하는 누름 버튼 핸들(62)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수납된다. 또한, 커버(61)의 긴 쪽에 있어서의 오목부(61d)의 내측면에는 누름 버튼 핸들(6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취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취부 구멍부(61e)가 형성된다. 이러한 취부 구멍부(61e)는 전단부가 개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누름 버튼 핸들(62)의 커버(61)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오목부(61d)의 저벽부에는 접점 개폐 기구부(4)의 개폐 상태를 스위칭하는 반전 핸들(63)을 기체(6)의 전면측에 대향하게 하는 구멍부(61f)가 개구되어 있으며, 커버(61)의 짧은 쪽에 있어서의 내측면들 각각에는 반전 핸들(63)의 전단부를 구멍부(61f)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형태로 반전 핸들(63)을 요동 자재로 지지하는 베어링부(61g)가 각기 형성된다.
한편, 커버(61)의 전면에 있어서의 긴 쪽 타단측(도 2a에 있어서의 좌측)에는, 조광 블록(5)의 발광원(50)(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나 네온램프)이 방사하는 광을 기체(6)로부터 바깥쪽(전방)으로 출사하기 위한 개구창(61h)이 개구된다. 이와 같은 개구창(61h)에는 투광성을 갖는 램프 커버(64)가 취부된다. 즉, 발광원(50)으로부터 방사된 광은 램프 커버(64)를 통하여 기체(6) 외부로 출사된다. 램프 커버(64)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수지 성형품일 수 있다.
또한, 커버(61)의 전면에 있어서의 긴 쪽 타단측에는 누름 버튼 핸들(62)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핸들(2)을 요동 자재로 취부하기 위한 요동 축부(61i)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커버(61)의 전면에 있어서의 긴 쪽 일단측에는 조작 핸들(2)의 후술하는 계지조(20a)가 삽입되는 계지공(61j)이 형성된다.
전술한 누름버튼 핸들(62)은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 형품일 수 있으며, 후면이 개구된 직방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누름 버튼 핸들(62)은 커버(61)의 오목부(61d)에 들어가는 형태로 형성된다. 누름 버튼 핸들(62)의 긴 쪽(도 2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는 커버(61)의 취부 구멍부(61e)에 감입(嵌入)되는 취부 조부(62a)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누름 버튼 핸들(62)은 각 취부조부(62a)를 커버(61)의 각 취부 구멍부(61c)에 감입함으로써, 커버(61)의 오목부(61d)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취부된다. 여기서, 누름 버튼 핸들(62)과 커버(61)의 오목부(61d)의 저벽부와의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65)과 슬라이드캠(66)이 개재된다. 복귀 스프링(65)은 판 스프링 등에 의해 형성되며, 누름 버튼 핸들(62)을 전방으로 부세한다. 슬라이드캠(66)은 누름 버튼 핸들(62)의 누름 조작에 따라서 반전 핸들(63)을 요동시키는 것으로서, 누름 버튼 핸들(62)을 1회 누름 조작할 때마다 반전 핸들(63)의 방향(즉, 접점 개폐 기구부(4)의 온/오프)이 스위칭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캠(66)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 주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반전 핸들(63)은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품일 수 있으며, 후면측에는 후술하는 반전 스프링(44)의 전단측이 감입되는 보지 구멍(63a)이 형성된다. 또한, 반전 핸들(63)에는, 커버(61)의 한 쌍의 베어링부(61g)들에 개별로 지지되는 축부(63b)가 각기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반전 핸들(63)은 축부(63b)를 베어링부(61g)에 지지시킴으로써 커버(61)에 요동 자재로 취부된다. 또한, 반전 핸들(63)의 전단부에는 슬라이드캠(66)과 계합하는 계합 돌기(63c)가 각기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반전 핸들(63)은 누름 버튼 핸들(62)의 누름 조작 에 따라서 요동한다.
상술한 바디(60)에 커버(61)를 결합함으로써, 스위치 본체(1)의 기체(6)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체(6)에는 3개의 단자판(40)들과 2개의 가동 접점(도시되지 않음)들이 형성된 개폐 소자(41), 각 단자판(40)과 함께 전선(상기 전선 삽입공으로부터 기체(6) 내로 삽입된 전선)을 협지하는 속결 단자를 구성하는 쇄정 스프링(42), 해당 속결 단자에 의한 전선의 쇄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술한 해제 버튼(43), 그리고 개폐 소자(41)와 반전 핸들(63)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서 이용되는 코일 스프링(코일 용수철)으로 이루어지는 반전 스프링(44)이 수납된다. 또한, 3개의 단자판(40)들 중 어느 하나에는 개폐 소자(41)가 요동 자재로 지지되며, 남은 2개의 단자판(40)들에는 개폐 소자(41)의 상기 2개의 가동 접점들에 각기 대응하는 고정 접점(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술한 접점 개폐 기구부(4)는 이러한 복수의 단자판(40), 개폐 소자(41), 쇄정 스프링(42), 해제 버튼(43) 및 반전 스프링(44)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점 개폐 기구부(4)에 있어서, 예를 들면, 누름 버튼 핸들(62)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반전 핸들(63)이 요동하고 반전 스프링(44)으로부터 개폐 소자(41)에 작용하는 스프링 힘의 방향이 반전되고, 개폐 소자(41)에 2개 형성된 상기 가동 접점의 어느 한쪽이 해당 가동 접점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한다. 즉, 개폐 소자(41)를 요동 자재로 지지하는 단자판(40)은 고정 접점이 형성된 2개의 단자판(40)들 중 어느 한 쪽에 택일적으로 접속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소위 3로 스위치(C접점 형의 스위치라고도 한다)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3로 스위치에 이용되는 접점 개폐 기구부(4)의 구성은 종래 주지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접점 개폐 기구부(4)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3로 스위치(단극 스위칭 형태의 스위치)에 이용되는 것에 한정하려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면, 접점 개폐 기구부(4)로서는 한쪽 스위치(단극 단투 형태의 스위치)나, 4로 스위치(2극 스위칭 형태의 스위치), 양쪽 스위치(2극 단투 형태의 스위치) 등, 기타 다양한 스위치에 이용되는 것도 적용될 수 있다.
조광 블록(5)은, 예를 들면 발광원(50)이나, 한류용의 저항(도시되지 않음), 발광원(50)과 단자판(4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촉자(도시되지 않음) 등을 프린트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실장함으로써 형성된다. 조광 블록(5)의 발광원(50)에는 접점 개폐 기구부(4)의 개폐 상태(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단자판(40)을 경유하여 급전이 개시 또는 정지된다. 즉, 조광 블록(5)은 접점 개폐 기구부(4)의 개폐 상태에 따라 발광원(50)이 점등 또는 소등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광 블록(5)은 발광원(50)을 위치 표시(주로 조작 핸들(2)의 위치 표시)를 위하여 점등하는 위치 표시등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조광 블록(5)으로서는 발광원(50)을 접점으로의 통전 시에 점등하는 파이롯등으로 이용하는 것이어도 되며, 그 외의 용도로 이용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러한 종류의 조광 블록(5)은 종래 주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작 핸들(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본체(20), 도광 부재로 이루어지는 렌즈(21) 및 판스프링(22)을 구비한다. 핸들 본체(20)는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품이며, 취부부(3)의 취부창(3a)의 내측에 들어가는 형태의 외주 형상을 갖는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는 핸들 본체(20)의 외주 형상이 취부창(3a)의 내주형상보다 약간 작은 형태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 핸들(2)의 외주 형상은 핸들 본체(20)의 외주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핸들 본체(20)의 후면의 짧은 쪽 일단부(도 5a에 있어서의 우단부)에는 상술한 계지조(20a)가 2개 돌출 형성된다. 2개의 계지조(20a)들은 핸들 본체(20)의 긴 쪽(도 5a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다.
한편, 핸들 본체(20)의 전면측에 있어서의 짧은 쪽 타단부(도 5a에 있어서의 좌단부)에는 단부(20b)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부(20b)에 의해 핸들 본체(20)의 짧은 쪽 타단부의 전면은 짧은 쪽 일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단부(20b)에 있어서 기체(6)의 램프 커버(64)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발광원(50)의 광을 통하는 창부(20c)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단부(20b)의 전면에는 렌즈(21)의 취부에 사용되는 4개의 감합 오목부(20d)들이 핸들 본체(20)의 긴 쪽을 따라 창부(20c)와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다.
렌즈(21)는, 예를 들면 투광성(적어도 발광원(50)이 방사하는 광에 대하여 투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품일 수 있고, 핸들 본체(20)의 긴 쪽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장척(長尺)형상으로 형성된다. 렌즈(21)의 후면에는 감합 오목부(20d) 각각과 요철 감합하는 4개의 감합 돌기(21a)들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4개의 감합 돌기(21a)들은 렌즈(21)의 긴 쪽을 따라서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렌즈(21)는 감합 돌기(21a)와 핸들 본체(20)의 감합 오 목부(20d)를 요철 감합시킴으로써, 핸들 본체(20)의 단부(段部)(20b)의 전면측에 고정된다. 또한, 핸들 본체(2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렌즈(21)의 긴 쪽과 핸들 본체(20)의 긴 쪽이 평행하다. 즉, 렌즈(21)는 핸들 본체(20)의 짧은 쪽 타단측의 테두리부(조작 핸들(2)에 있어서 취부부(3)보다 전방에 임하는 부위의 테두리부)에 해당 테두리부를 따라서 배치된다. 또한, 창부(20c)를 통과한 광은 렌즈(21)의 후면으로부터 렌즈(21)에 입사되고, 렌즈(21) 내를 통하여 렌즈(21)의 전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따라서, 렌즈(21)를 핸들 본체(20)에 고정함으로써, 조작 핸들(2)의 전면의 하나의 테두리부(도 3a에 있어서의 좌측의 테두리부)에 발광원(50)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방으로 출사시키는 표시창(2a)이 조작 핸들(2)의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된다.
핸들 본체(20)의 단부(20b)의 후면측에는 기체(6)의 요동 축부(61i)가 삽입되는 오목 부분(20e)이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 부분(20e)에 판 스프링(22)을 수납함으로써, 판스프링(22)과 오목 부분(20e)과의 사이에서 요동 축부(61i)를 지지하는 베어링부(23)가 구성된다. 조작 핸들(2)은 베어링부(23)에 요동 축부(61i)를 계합시킴으로써, 기체(6)의 전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된다. 즉, 조작 핸들(2)은 스위치 본체(1)에 형성된 요동 축부(61i)와 조작 핸들(2)에 형성되어 요동 축부(61i)와 계합되는 베어링부(23)로 이루어지는 계합부(S)에 의해 스위치 본체(1)의 전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된다.
취부부(3)는 스위치 본체(1)가 취부되는 취부 프레임(7)과 화장 플레이트(8)로 구성된다. 취부 프레임(7)은,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품(금속 제품이어도 된다)일 수 있으며, 기체(6)의 전면(즉, 스위치 본체(1)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상술한 창구멍(7a)을 중앙부에 구비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창구멍(7a)의 짧은 쪽(도 1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 내측면들 각각에는 기체(6)의 취부조(61c)가 삽입되는 전술한 취부 구멍(7b)이 복수(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8개씩) 개로 형성된다. 취부 구멍(7b)들은 창구멍(7a)의 긴 쪽(도 3a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취부조(61c)를 취부공(7b)에 삽입함으로써, 기체(6)(스위치 본체(1))를 취부 프레임(7)에 취부할 수 있다. 또한, 기체(6)를 취부 프레임(7)에 취부한 상태에서는 기체(6)의 전면(스위치 본체(1)의 전면)이 창구멍(7a)으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된다. 이 경우, 취부 프레임(7)에 스위치 본체(1)의 기체(6)를 취부하는 데 있어서는 기체(6)를 취부 프레임(7)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기체(6)의 취부조(61c)를 취부 구멍(7b)에 삽입하면 된다.
취부 프레임(7)의 긴 쪽 방향 양단측 각각에는 벽 등의 조영재에 매립 배설된 매립 박스(도시되지 않음)의 개구측에 형성한 취부 설편(도시되지 않음)에 나사 결합하는 박스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삽통하기 위한 장공(7c)이 형성된다. 또한, 취부 프레임(7)에는 시공면이 석고 보드와 같은 패널재일 때에 사용하는 가위 금구(도시되지 않음)의 일단부를 계지하는 가위 금구 취부 구멍(7d)이 취부 프레임(7)의 짧은 쪽에 있어서 각 장공(7c)의 양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취부 프레임(7)의 네 모퉁이들에는 화장 플레이트(8)를 취부하기 위한 계지공(7e)이 형성된다.
화장 플레이트(8)는, 도 6a 내지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부 프레임(7)의 전면측에 취부되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80) 및 해당 베이스(80)의 전면측에 고정되는 화장 커버(81)로 구성된다.
베이스(80)는,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품일 수 있으며, 중앙부에 개구창(80a)을 구비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개구창(80a)의 개구 사이즈는 취부 프레임(7)의 창구멍(7a)의 개구 사이즈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또한, 베이스(80)의 외형 사이즈는 취부 프레임(7)의 외형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러한 베이스(80)의 후면측에 있어서의 네 모서리들에는 베이스(80)를 취부 프레임(7)에 취부하기 위한 계지편(80b)들이 각기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80)는 4개의 계지편(80b)들을 각기 4개의 계지공(7e)들에 삽입하고, 취부 프레임(7)의 후면에 계지편(80b)의 선단부를 계지함으로써, 취부 프레임(7)의 전면측에 취부된다. 그런데, 베이스(80)의 짧은 쪽의 한 변(도 6a에 있어서의 좌변), 즉 베이스(80)의 네 변들 중 한 변(도 6a에 있어서의 좌변)에는 전면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80c)가 형성된다. 팽출부(80c)는 베이스(80)의 긴 쪽을 자신의 긴 쪽으로 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가진다.
화장 커버(81)는 베이스(80)의 긴 쪽의 양변(도 6a에 있어서의 상변 및 하변) 각각을 덮을 수 있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한 쌍의 각편(脚片)(81a)들과 한 쌍의 각편(81a)들을 그 긴 쪽 일단측(도 6a에 있어서의 우단측)끼리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편(81b)을 갖는 "ㄷ"자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연결편(81b)은 베이스(80)의 짧은 쪽의 타변(도 6a에 있어서의 우변)을 덮을 수 있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화장 커버(81)는 베이스(80)의 네 변들 중 팽출부(80c)가 형성된 한 변을 제외한 나머지 세 변들의 전면을 덮는 형태의 "ㄷ"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화장 커버(81)에 있어서의 한 쌍의 각편(81a)들 사이의 거리 치수는 팽출부(80c)의 긴 쪽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와 동일하게(실제로는 약간 크게) 설정된다.
상술한 화장 커버(81)는 표리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ㄷ"자 형의 접착 시트(82)에 의해 베이스(80)의 전면측에 취부된다. 화장 커버(81)를 베이스(80)에 취부하는 데 있어서, 먼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80)의 전면에 접착 시트(82)를 접착한다. 그 후에, 한 쌍의 각 편(81a)들 사이에 팽출부(80c)를 배치함과 동시에 팽출부(80c)의 짧은 쪽 타단면(도 8a에 있어서의 좌단면)과 한 쌍의 각편(81a)들의 선단면이 면일(面一)이 되도록 함으로써, 화장 커버(81)를 베이스(8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고 나서, 화장 커버(81)를 베이스(80)의 전면에 배치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팽출부(80c)에 의해 화장 커버(81)를 베이스(80)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착 시트(81)를 이용하여 화장 커버(81)를 베이스(80)에 고정하고 있으나, 접착 시트(82) 대신에 접착제(일예로서는 겔 형상의 접착제) 등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도 된다.
상술한 취부부(3)에서는 베이스(80)의 팽출부(80c)와 화장 커버(81)로 둘러싼 공간부가 스위치 본체(1)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취부창(3a)이 된다. 여기서, 취부창(3a)의 개구 테두리부가 되는 팽출부(80c)의 짧은 쪽 일단부(도 3a에 있어서의 우단부)에는, 도 1a 및 도 1b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핸들(2)의 전면의 일부분을 덮는 피복부(80d)가 형성된다. 피복부(80d)는 단부(20b)의 전 면에 있어서 렌즈(2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피복부(80d)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계합부(S)와 중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취부부(3)의 취부창(3a)의 개구 테두리부에 조작 핸들(2)의 전면의 일부분(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조작 핸들(2)의 단부(20b)의 전면에 있어서 렌즈(2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덮는 피복부(80d)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취부부(3)의 취부창(3a)의 개구 테두리부에 형성한 피복부(80d)가 조작 핸들(2)의 전면의 일부분을 덮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화장 커버(8)의 취부 프레임(7)에의 취부 시에 화장 커버(8)가 조작 핸들(2)에 접촉하였을 때에나, 조작 핸들(2)에 물체가 충돌하였을 때, 그리고 스위치 장치의 조작 시에 조작 핸들(2)에 과잉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조작 핸들(2)의 전면에 피복부(80d)가 당접함으로써, 조작 핸들(2)이 스위치 본체(1)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조작 핸들(2)이 스위치 본체(1)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의로 조작 핸들(2)을 스위치 본체(1)로부터 떼려고 하더라도, 피복부(80d)의 존재에 의해 화장 커버(8)를 취부 프레임(7)에 취부한 상태에서는 조작 핸들(2)을 스위치 본체(1)로부터 뗄 수 없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조작 핸들(2)이 스위치 본체(1)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조작 핸들(2)로 감추어져 있던 스위치 본체(1)에 접속된 전원선을 건드리는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조작 핸들(2)을 스위치 본체(1)의 전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하는 계합부(S)가 피복부(80d)에 의해 보호되므로, 예를 들면 조작 핸들에 물체가 충돌하였을 때 등이라도 과대한 부하가 계합부(S)에 직접적으로 걸리는 것이 방지되며, 더욱이 스위치 본체(1)와 피복부(80d)에서 계합부(S)를 끼워 넣음으로써, 요동 축부(61i)와 베어링부(23)와의 계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작 핸들(2)이 스위치 본체(1)로부터 탈락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는 조작 핸들(2)의 하나의 테두리부를 따라서 표시창(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발광원(50)이 발광하였을 때에는 조작 핸들(2)의 테두리부가 빛나 보인다. 따라서, 도 16a 내지 도 16c에 나타낸 종래의 경우와 같이 조작 핸들(110)의 일부분에 조작 핸들(110)의 폭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표시창(111)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면, 발광원(50)의 발광 시에 조작 핸들(2)과 취부부(3)와의 경계를 알기 쉬워지며, 취부부(3)를 조작 핸들(2)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조작 핸들(2)을 조작하려고 하여 취부부(3)를 눌러버리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스위치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취부부(3)는 취부 프레임(7)과 해당 취부 프레임(7)의 전면을 덮는 형태로 취부 프레임(7)에 취부된 화장 플레이트(8)를 구비하기 때문에, 취부 프레임(7)만으로 취부부(3)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화장 플레이트(8)의 베이스(80)에 형성한 팽출부(80c)를 이용하여 화장 커 버(81)의 베이스(8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 8a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 커버(81)를 베이스(80)의 4변의 전면을 덮는 형태의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ㅁ"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면, 화장 플레이트(8)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화장 커버(81)가 "ㄷ"자 형상이므로, 복수의 화장 커버(81)들을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화장 커버(81)를 금속판의 펀칭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화장 커버(81)가 "ㅁ"자 형상인 경우에 비교하면, 화장 커버(81)의 중앙 부분과 같은 쓸데없는 부분(W)(도 11b 참조)을 제거할 수 있다. 즉, "ㄷ"자 형상의 화장 커버(81)를 이용함으로써,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금속판으로 형성할 수 있는 화장 커버(81)의 수를 화장 커버(81)가 "ㅁ"자 형상인 경우보다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 커버(81)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런데,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조작 핸들(2)은 3개용의 취부 프레임(7)에 1개 모듈 치수의 기체(6)를 1개 취부할 때에 이용하는 조작 핸들(취부부(3)의 취부창(3a)을 1개로 덮을 정도의 치수를 갖는 조작 핸들, 이하 이러한 조작 핸들은 1개용 조작 핸들이라 칭한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이용되는 조작 핸들(2)로서는, 전술한 1개용의 조작 핸들(2)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도 12a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용의 취부 프레임(7)에 1개 모듈 치수의 기체(6)를 2개 취부할 때에 이용하는 조작 핸들(취부부(3)의 취부창(3a)을 2개로 덮을 정도의 치수를 가진 조작 핸들, 이하 이러한 조작 핸들을 2개 용의 조작 핸들이라 칭한다)이어도 되고, 또한, 도 14a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용의 취부 프레임(7)에 1개 모듈 치수의 기체(6)를 3개 취부할 때에 이용하는 조작 핸들(취부부(3)의 취부창(3a)을 3개로 덮을 정도의 치수를 가진 조작 핸들, 이하 이러한 조작 핸들을 3개용의 조작 핸들이라 호칭한다)이어도 된다.
상술한 3종류의 조작 핸들(2)의 길이 방향(기체(6)의 짧은 쪽을 따른 방향이고, 도 3a, 도 12a 및 도 14a 각각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치수의 관계는 (1개용의 조작 핸들(2)의 길이 방향의 치수)≒(2개용의 조작 핸들(2)의 길이 방향의 치수)×2≒(3개용의 조작 핸들(2)의 길이 방향의 치수)×3이 된다.
결국, 상술한 스위치 장치는,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와 조작 핸들(2)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를 1개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2a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부를 2개 구비하는 것이어도 되고, 도 14a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부를 3개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술한 스위치 장치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구현된 구조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본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피복부(80d)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계합부(S)와 중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피복부(80d)는 반드시 전후 방향에 있어서 계합부(S)와 중복하는 형태로 할 필요는 없다. 일예로, 피복부(80d)는 조작 핸들(2)의 전면에 있어서의 짧 은 쪽 일단부(도 1a에 있어서의 우단부)를 덮는 형태의 것이어도 되고, 요점은 조작 핸들(2)의 전면의 일부분을 덮은 형태이면 된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1a는 단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P1"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2a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P2"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3a는 전면도이고, 도 3b는 좌면도이며, 도 3c는 하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작 핸들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5a는 전면도이고, 도 5b는 좌면도이며, 도 5c는 하면도이고, 도 5d는 도 5a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취부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6a는 전면도이고, 도 6b는 좌면도이며, 도 6c는 우면도이고, 도 6d는 하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베이스에 접착 시트를 취부한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취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8a는 전면도이고, 도 8b는 좌면도이며, 도 8c는 하면도이다.
도 9는 도 8a 내지 도8c에 나타낸 취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낸 취부부의 베이스에 접착 부재를 취부한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화장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1a는 "ㄷ"자 형상의 화장 커버를 나타내고, 도 11b는 "ㅁ"자 형상의 화장 커버를 나타낸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12a는 전면도이고, 도 12b는 좌면도이며, 도 12c는 하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14a는 전면도이고, 도 14b는 좌면도, 도 14c는 하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16a는 전면도이고, 도 16b는 좌면도이며, 도 16c는 하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스위치 본체 2:조작 핸들
2a:표시창 3:취부부
3a:취부창 7:취부 프레임
8:화장 플레이트 23:베어링부
50:발광원 61i:요동 축부
80:베이스 80c:팽출부
80d:피복부 81:화장 커버
S:계합부

Claims (5)

  1. 스위치 본체, 계합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전면측에 요동 자재로 취부되고 상기 스위치 본체의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 핸들 및 상기 스위치 본체를 조영재에 취부하는 프레임 형상의 취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본체는 상기 취부부의 중앙에 형성된 취부창으로부터 전면을 노출하는 형태로 상기 취부부에 취부되고,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취부창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전면측에 취부되며,
    상기 계합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와 상기 조작 핸들의 한쪽에 형성된 요동 축부 및 상기 스위치 본체와 상기 조작 핸들의 다른 쪽에 형성되고 상기 요동 축부와 계합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취부부의 상기 취부창의 개구 테두리부에는 상기 조작 핸들의 전면의 일부분을 덮는 피복부가 형성되며, 상기 피복부는 상기 계합부와 중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본체는 조작 상태에 따라서 전방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 핸들의 전면의 하나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발광원이 조사한 광을 전방으로 출사시키는 표시창이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가 취부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취부 프레임 및 상기 취부 프레임의 전면을 덮는 형상으로 상기 취부 프레임에 취부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화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화장 플레이트는 상기 취부 프레임의 전면측에 취부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측에 고정된 화장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네 변들 중의 한 변에는 전면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장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네 변들 중 상기 팽출부가 형성된 한 변을 제외한 나머지 세 변들의 전면을 덮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가 취부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취부 프레임 및 상기 취부 프레임의 전면을 덮는 형상으로 상기 취부 프레임에 취부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화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화장 플레이트는 상기 취부 프레임의 전면측에 취부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측에 고정된 화장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네 변들 중의 한 변에는 전면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장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네 변들 중 상기 팽출부가 형성된 한 변을 제외한 나머지 세 변들의 전면을 덮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90010258A 2008-02-21 2009-02-09 스위치 장치 KR101030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0519 2008-02-21
JP2008040519A JP4655097B2 (ja) 2008-02-21 2008-02-21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013A KR20090091013A (ko) 2009-08-26
KR101030715B1 true KR101030715B1 (ko) 2011-04-26

Family

ID=4103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258A KR101030715B1 (ko) 2008-02-21 2009-02-09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55097B2 (ko)
KR (1) KR101030715B1 (ko)
CN (1) CN101515517B (ko)
TW (1) TWI3793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5785B2 (ja) * 2017-08-30 2019-03-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用取付枠、操作ハンドル、及び配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6393A (ja) * 1996-09-25 199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KR200176988Y1 (ko) * 1999-07-30 2000-04-15 진흥전기주식회사 텀블러스위치의스위치커버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5325U (ja) * 1984-08-07 1986-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スイツチ表示パネル
JP2761040B2 (ja) * 1989-06-27 1998-06-04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イッチ機器
JP3102131B2 (ja) * 1992-04-24 2000-10-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装置
JPH10134674A (ja) * 1996-10-28 1998-05-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滴形押釦スイッチ
JP2004296231A (ja) * 2003-03-26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6210191A (ja) * 2005-01-28 2006-08-10 Orion Denki Kk 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子機器
JP4622922B2 (ja) * 2006-04-05 2011-02-0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用ランプ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6393A (ja) * 1996-09-25 199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KR200176988Y1 (ko) * 1999-07-30 2000-04-15 진흥전기주식회사 텀블러스위치의스위치커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79335B (en) 2012-12-11
CN101515517B (zh) 2011-11-30
CN101515517A (zh) 2009-08-26
TW200937474A (en) 2009-09-01
JP4655097B2 (ja) 2011-03-23
KR20090091013A (ko) 2009-08-26
JP2009199895A (ja)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88850T1 (de) Druckknopfanordnung
SK4302000A3 (en) Door terminal with an emergency door opening button and a display module
JP4626567B2 (ja) 操作スイッチ器具
KR101030715B1 (ko) 스위치 장치
JP4481099B2 (ja) 車両用室内照明灯
JP4470779B2 (ja) スイッチ用プリズ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波動スイッチ
JP2007015562A (ja) 車両用照明装置
JP5210214B2 (ja) スイッチ
JP3567699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6294562A (ja) 表示付きスイッチ
JP2002203455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3823687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4340038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用プリズム
JP2001216871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3533845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4388572B2 (ja) スイッチ装置
JP3940860B2 (ja) スイッチ装置
WO2021106494A1 (ja) 電気機器及び電気機器システム
KR100458445B1 (ko) 영상표시기기의 겸용 버튼구조
JP4533131B2 (ja) 操作盤
JP2001210181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1210183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4387204B2 (ja) スイッチノブ取付構造
JP3876617B2 (ja) スイッチ
JP2001216870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