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988Y1 - 텀블러스위치의스위치커버구조 - Google Patents

텀블러스위치의스위치커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988Y1
KR200176988Y1 KR2019990015473U KR19990015473U KR200176988Y1 KR 200176988 Y1 KR200176988 Y1 KR 200176988Y1 KR 2019990015473 U KR2019990015473 U KR 2019990015473U KR 19990015473 U KR19990015473 U KR 19990015473U KR 200176988 Y1 KR200176988 Y1 KR 200176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ver
templar
cover structure
right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철
Original Assignee
진흥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흥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흥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5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벽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의 커버부분에 다양한 색상으로 결합되는 장식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조립함으로서, 실내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텀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접지단자들을 내장하고 그 상측에 작동노브체가 긴밀하게 위치 고정되는 스위치본체와, 상기 스위치본체의 상부에 조립되어 마감되는 커버체, 로 이루어지는 템블러스위치의 커버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자유롭게 결합 또는 탈거되는 조립구조를 갖는 좌우 한쌍의 측면판체,를 구비하여; 상기 템블러스위치 커버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텀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switch cover construction of tumbler switch}
본 고안은 텀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벽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의 커버부분에 다양한 색상으로 결합되는 장식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조립함으로서, 실내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텀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가정을 비롯한 건물의 내벽에는 전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매립형의 텀블러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텀블러스위치는, 전원 또는 부하에 접속되는 각각의 개별단자와 이들 단자를 이어주는 접지면을 내장하고 있는 스위치박스(몸체)와, 상기 스위치박스를 건물내벽에 매립되어 있는 배설함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용 브라켓과, 그 전방을 가리우면서 그 형태에 따라 1구,2구 3구의 누름버튼을 가지는 커버로 구성되어 제공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버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관계로 그 단조로움을 벗어나지 못하여 다양한 형태의 커버를 제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떨어뜨리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장식적인 효과를 부과하기 위하여 여러 테두리무늬모양을 형성한 금속판형 또는 사출형태들을 커버의 대용으로 대치하여 설치하고는 있지만 이같은 교체 역시, 장식적인 단조로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흥미를 떨어뜨리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었다.
그래서, 상기 커버에 다양한 변화를 주도록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강하게 부각시킬 수 있는 스위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통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템블러스위치의 외장을 이루는 커버체에 자유롭게 분해 및 조립되어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커버구조를 설치하여, 그에 따른 여러형태의 인테리어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템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단조로움을 벗어나면서도 다양한 색깔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커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위치커버 구조를 분해한 전체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스위치커버 구조를 결합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위치본체, 11 :스위치박스, 12 :램프소자, 13 :고정판, 15 :작동노브체, 17 :커버플레이트, 18 :걸림편, 20 :커버체, 21 :결합돌기, 22 :개방부, 23 :단턱부, 24(24') :좌우 연결부, 25 :관통홀, 26(26') :측면판체, 27 :둘레턱, 28 :탄성돌기부, 28a :돌출편, 28b :절개홈, 29 :노브덮개, 29a :램프투시창, 30 :점등스위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접지단자들을 내장하고 그 상측에 작동노브체가 긴밀하게 위치 고정되는 스위치본체와, 상기 스위치본체의 상부에 조립되어 마감되는 전면 커버체, 로 이루어지는 템블러스위치의 커버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자유롭게 결합 또는 탈거되는 조립구조를 갖는 좌우 한쌍의 측면판체,를 구비하여; 상기 템블러스위치 커버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커버체를 형성하되, 상기 측면판체가 조립될 수 있도록 그 양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좌우 연결부와, 상기 좌우 연결부와 커버체가 이격되는 경계를 이루는 곳에 소정폭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이지는 단턱부와, 상기 좌우 연결부의 상부면에 관통되면서 하부로 일부 돌출되는 복수의 관통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체의 좌우 연결부에 조립되는 측면판체는, 상기 좌우 연결부의 단턱부에 맞닿아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그 하단 외주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둘레턱과, 상기 둘레턱이 형성된 그 안쪽의 하단 연장면에 상기 커버체의 관통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탄성돌기부, 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측면판체를 형성하되,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판체가 색깔을 달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스위치커버 구조를 분해한 전체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고안의 스위치커버 구조를 결합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템블러스위치(30)는, 전원 또는 부하에 접속되는 각기의 개별단자와 이들 단자를 이어주는 접지면을 내장하고, 그 상측에 작동노브체(15)가 긴밀하게 위치 고정되는 스위치본체(10)와, 상기 스위치본체(10)의 상부에 조립되어 마감되는 커버체(20)로 구성된다.
스위치본체(10)는, 전원 단자들을 내장하는 스위치박스(11)와, 상기 스위치박스(11)의 상측에 긴밀하게 위치 고정되면서 내장된 단자와 접지될 수 있도록 시이소오 작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작동노브체(15)와, 상기 스위치박스(11)의 상부에 위치하여 스위치박스(11)와 고정된 금속의 고정판(13), 및 상기 고정판(13)의 상부에 위치 결합되어 상기 커버체(2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17)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3)과 커버플레이트(17)는 볼트결합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17)의 안쪽 모서리부에는 4곳 정도에 걸림편(18)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체(20)와 결합될시 조립을 용이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본체(10)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체(20)는, 상기 작동노브체(15)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작동노브체(15)와 더불어 시이소오 작동 가능하도록 위치 형성되는 노브덮개(29)와, 상기 스위치본체(20)의 커버플레이트(17) 상부에 포개어지면서 그 중앙으로 상기 노브덮개(29)의 전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개방부(22)와, 상기 커버체(20)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측면판체(26)(26')를 형성하여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체(26)(26')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체(20)는, 그 양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좌우 연결부(24)(24')를 형성하되, 상기 좌우 연결부(24)(24')는 커버체(20)와 이격되도록 경계를 이루는 곳에 소정폭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이지는 단턱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 연결부(24)(24')의 상부면 일측에는 관통되면서 하부로 일부 돌출되는 관통홀(25)을 복수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체(20)의 개방부(22)가 형성되는 하단부 안쪽에는 상기 플레이트(17)에 안쪽 모서리에 형성되는 걸림편(18)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돌기(21)를 4곳정도에 돌출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체(20)의 좌우 연결부(24)(24')의 상측으로 포개어지는 좌우 한 쌍의 측면판체(26)(26')를 형성하되, 상기 좌우 연결부(24)(24')의 단턱부(23)에 맞닿아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는 둘레턱(27)이 그 하단 외주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둘레턱(27)이 형성된 그 안쪽의 하단 연장면에는 상기 커버체(20)의 관통홀(25)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돌기부(28)가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돌기부(28)는 커버체(20)의 좌우 연결부(24)(24')에 측면판체(26)(26')가 조립될시, 상기 좌우 연결부(24)(24')에 형성된 관통홀(25)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탄성돌기부(28) 하단에는 탄력적으로 결합과 탈거가 용이하도록 돌출편(28a)과 절개홈(28b)이 각기 형성되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측면판체(26)(26')의 상부는 커버체(20)의 모양정도에 따라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완만하게 라운딩되도록 형성하게 됨으로서, 커버체(20)와 더불어 측면판체(26)(26')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면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마련된다.
그리고, 기존과 같이 상기 노브덮개(29)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스위치박스(11)와 연결되는 램프소자(12)가 발광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램프투시창(29a)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템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접지단자들을 내장하고 그 상측에 작동노브체(15)가 긴밀하게 위치 고정되는 스위치본체(10)와, 상기 스위치본체(10)의 상부에 조립되어 마감되는 커버체(20)의 양측으로 그 양측 길이방향과 같은 길이로 형성되면서 자유롭게 결합되거나 탈거되는 조립구조를 갖는 좌우 한 쌍의 측면판체(26)(26')를 형성함으로서, 그 제작되는 상기 측면판체(260(26')의 모양과 색깔에 따라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표출하여 실내분위기를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의 템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는, 템블러스위치의 외장을 이루는 커버체에 자유롭게 분해 및 조립되는 커버구조를 설치하여 그에 따른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여러 인테리어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조로움을 벗어나면서도 다양한 색깔변화 또한 줄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접지단자들을 내장하고 그 상측에 작동노브체가 긴밀하게 위치 고정되는 스위치본체와, 상기 스위치본체의 상부에 조립되어 마감되는 전면 커버체로 이루어지는 템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양측단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좌우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좌우 연결부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좌우 한 쌍의 측면판체를 구비하되,
    상기 각 측면판체가 상기 각 연결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연결부에는 관통홀을, 그리고, 상기 각 관통홀과 대응되는 각 측면판체 부위에는 탄성돌기부를 각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와 상기 좌우 연결부 사이의 경계부에는 소정폭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이지는 단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측면판체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각 좌우 연결부의 단턱부에 맞닿아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둘레턱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체와 좌우 연결부의 결합시 표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체를 형성하되,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판체가 색깔을 달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블러스위치의 스위치커버 구조.
KR2019990015473U 1999-07-30 1999-07-30 텀블러스위치의스위치커버구조 KR200176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473U KR200176988Y1 (ko) 1999-07-30 1999-07-30 텀블러스위치의스위치커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473U KR200176988Y1 (ko) 1999-07-30 1999-07-30 텀블러스위치의스위치커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988Y1 true KR200176988Y1 (ko) 2000-04-15

Family

ID=1958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473U KR200176988Y1 (ko) 1999-07-30 1999-07-30 텀블러스위치의스위치커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9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715B1 (ko) * 2008-02-21 2011-04-26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KR200474280Y1 (ko) * 2013-02-15 2014-09-05 조경군 옥내 배선기구의 플레이트타입 커버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715B1 (ko) * 2008-02-21 2011-04-26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KR200474280Y1 (ko) * 2013-02-15 2014-09-05 조경군 옥내 배선기구의 플레이트타입 커버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42921S1 (en) Push button front element for an electrical control and signaling unit
US5678920A (en) Illuminating brick
WO2017206647A1 (zh) 透明体积木块件
KR200176988Y1 (ko) 텀블러스위치의스위치커버구조
KR102274767B1 (ko)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USD499212S1 (en) Miniature hair trimmer housing
KR200195988Y1 (ko) 2조식 형광등기구
KR100350611B1 (ko) 조립식 함체
KR100640179B1 (ko) 조명기구
KR200225755Y1 (ko) 램프가 장착된 장식용 목걸이
JPH0114512Y2 (ko)
KR200257861Y1 (ko) 벽 스위치의 브라켓트 구조
KR200404814Y1 (ko) 안정기내장형 램프
CN211482502U (zh) 具有背景照明光效的水族养殖箱
JPS628104Y2 (ko)
KR200254291Y1 (ko) 전면 은폐구가 설치된 할로겐 조명기구
KR200257850Y1 (ko) 텀블러 스위치의 누름버튼 구조
CA2173170C (en) Illuminating brick
KR910003984Y1 (ko) 수족관의 조명 장치
KR200258338Y1 (ko) 텀블러 스위치의 단자 접속 구조
KR200438705Y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천정등
KR200259306Y1 (ko) 전등갓
JPH10154406A (ja) 照明器具とその組立て方法
KR200361317Y1 (ko) 조명기구를 가진 열쇠
JPS61443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