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814Y1 - 안정기내장형 램프 - Google Patents

안정기내장형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814Y1
KR200404814Y1 KR20-2005-0028758U KR20050028758U KR200404814Y1 KR 200404814 Y1 KR200404814 Y1 KR 200404814Y1 KR 20050028758 U KR20050028758 U KR 20050028758U KR 200404814 Y1 KR200404814 Y1 KR 200404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glove
lower body
upper bod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궁 이
Original Assignee
재 궁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궁 이 filed Critical 재 궁 이
Priority to KR20-2005-0028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8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8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7"Compact"-lamps, i.e. lamps having a folded discharge path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주 밝은 조명의 조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현관이나 좁은 면적의 실내 또는 화장실 등의 천정이나 벽에 고정한 소켓에 접점스크류를 간단히 접탈시켜 사용하는 안정기내장형 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정기내장형 램프는 접점스크류(3)를 고정한 합성수지제의 상부몸체(1) 내에는 여러 개의 전기부품(6A)과 회로판(6)으로 된 안정기(5)를 고정하고 하부몸체(2)에는 3개의 ∪자 글로브(4)를 고정하여 각 ∪자 글로브(4)와 회로판(6)을 도선(7)으로 견고히 연결고정하고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2)를 서로 빡빡하게 끼워 고정한 구성으로 된 것인바
이는 장기사용으로 ∪자 글로브(4)가 수명을 다하여 점등되지 않을 시에는 견고히 연결된 도선(7) 등에 의하여 ∪자 글로브(4)가 고정된 하부몸체(2)만 간단히 분리하여 폐기처분하지 못하고 아직 재활용할 수 있는 상부몸체(1)와 안정기(5)까지 전체를 폐기처분하게 됨으로 인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이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몸체(1)의 내에 고정한 안정기(5)에는 콘센트(5A)를 형성하고 ∪자 글로브(4)가 고정된 하부몸체(2)에는 플럭(2A)을 형성하여 장기사용으로 점등되지 않을 시에는 상부몸체(1)에서 하부몸체(2)를 간단히 분리하여 폐기처분하고 하부몸체(2)를 새것으로 교체하여 상부몸체(1)와 안정기(5)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으로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안정기내장형 램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안정기내장형 램프{A LAMP}
본 고안은 아주 밝은 조명의 조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현관이나 좁은 면적의 실내 또는 화장실 등의 천정이나 벽에 고정한 소켓에 접점스크류를 간단히 접탈시켜 사용하는 안정기내장형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몸체 내의 안정기에는 콘센트를 형성하고 하부몸체에는 플럭을 형성하여 하부몸체에 고정된 ∪자 글로브(GLOBE)가 장기사용으로 수명이 다하여 점등되지 않을 때는 ∪자 글로브가 고정된 하부몸체만 폐기처분하고 상부몸체와 안정기는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하여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안정기내장형 램프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스크류(3)를 고정한 합성수지제의 상부몸체(1) 내에는 여러 개의 전기부품(6A)과 회로판(6)으로 된 안정기(5)를 고정하고 하부몸체(2)에는 3개의 ∪자 글로브(4)를 고정하여 각 ∪자 글로브(4)와 회로판(6)을 도선(7)으로 견고히 연결고정하고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2)를 서로 빡빡하게 끼워 고정한 구성으로 된 것인바
이는 장기사용으로 ∪자 글로브(4)가 수명을 다하여 점등되지 않을 시에는 견고히 연결된 도선(7) 등에 의하여 ∪자 글로브(4)가 고정된 하부몸체(2)만 간단히 분리하여 폐기처분하지 못하고 아직 재활용할 수 있는 상부몸체(1)와 안정기(5)까지 전체를 폐기처분하게 됨으로 인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이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몸체(1)의 내에 고정한 안정기(5)에는 콘센트(5A)를 형성하고 ∪자 글로브(4)가 고정된 하부몸체(2)에는 플럭(2A)을 형성하여 장기사용으로 점등되지 않을 시에는 상부몸체(1)에서 하부몸체(2)를 간단히 분리하여 폐기처분하고 하부몸체(2)를 새것으로 교체하여 상부몸체(1)와 안정기(5)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으로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안정기내장형 램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스크류(3)를 고정한 합성수지제의 상부몸체(1)의 내에는 여러 개의 전기부품(6A)과 회로판(6)으로 된 안정기(5)를 고정하고
하부몸체(2)에는 수개의 ∪자 글로브(4)를 고정하여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2)를 서로 빡빡하게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안정기(5)의 회로판(6)에는 접점관(9)을 고정한 콘센트(5A)를 형성하고
하부몸체(2)에는 접점핀(8)을 고정한 플럭(2A)을 형성하는 한편 접점핀(8)과 ∪자 글로브(4)를 도선(7)으로 연결하여 플럭(2A)과 콘센트(5A)의 착탈에 의하여 하부몸체(2)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천정이나 벽에 고정된 소켓에다 접점스크류(3)를 나사식으로 돌려 고정하고 벽스위치로 온(ON)하여 점등하거나 오프(OFF)하여 소등시키게 되는 종래의 사용방법과 동일하다.
상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부몸체(1)의 회로판(6)에는 콘센트(5A)를 부설하고
하부몸체(2)에는 콘센트(5A)의 접점관(9)에 삽입되는 접점핀(8)을 고정한 플럭(2A)을 형성하였으므로 장기사용으로 ∪자 글로브(4)가 수명이 다하여 점등이 되지 않을 때에는 조금 힘을 주어 하부몸체(2)를 상부몸체(1)에서 분리시키게 되면 플럭(2A)의 접점핀(8)도 콘센트(5A)의 접점관(9)에서 빠져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점등되지 않을 시에는 ∪자 글로브(4)가 고정된 하부몸체(2)는 폐기처분하고 ∪자 글로브(4)가 점등되는 새 하부몸체(2)를 상부몸체(1)에 결합하여 상부몸체(1)와 안정기(5)를 재활용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상부몸체(1)와 안정기(5)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재사용하게 됨으로 인하여 많은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몸체(1)에 고정한 안정기(5)의 회로판(6)에는 콘센트(5A)가 형성되고 하부몸체(2)에는 플럭(2A)을 형성하여 간단히 접탈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장기사용으로 ∪자 글로브(4)가 점등되지 않을 때는 하부몸체(2)만 교체하고 상부몸체(1)와 안정기(5)는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으로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3은 종래제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몸체 2 하부몸체 2A 플럭
3 접점스크류 4 ∪자 글로브 5 안정기
5A 콘센트 6 회로판 7 도선
8 접점핀 9 접점관

Claims (1)

  1. 접점스크류(3)를 고정한 합성수지제의 상부몸체(1)의 내에는 여러 개의 전기부품(6A)과 회로판(6)으로 된 안정기(5)를 고정하고
    하부몸체(2)에는 수개의 ∪자 글로브(4)를 고정하여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2)를 서로 빡빡하게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안정기(5)의 회로판(6)에는 접점관(9)을 고정한 콘센트(5A)를 형성하고
    하부몸체(2)에는 접점핀(8)을 고정한 플럭(2A)을 형성하는 한편 접점핀(8)과 ∪자 글로브(4)를 도선(7)으로 연결하여 플럭(2A)과 콘센트(5A)의 착탈에 의하여 하부몸체(2)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안정기내장형 램프.
KR20-2005-0028758U 2005-10-10 2005-10-10 안정기내장형 램프 KR200404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758U KR200404814Y1 (ko) 2005-10-10 2005-10-10 안정기내장형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758U KR200404814Y1 (ko) 2005-10-10 2005-10-10 안정기내장형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814Y1 true KR200404814Y1 (ko) 2005-12-28

Family

ID=4929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758U KR200404814Y1 (ko) 2005-10-10 2005-10-10 안정기내장형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8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71B1 (ko) 2007-05-18 2009-06-15 문복룡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71B1 (ko) 2007-05-18 2009-06-15 문복룡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1840B2 (en) Incandescent tube bulb replacement assembly
US7021968B1 (en) End socket applicable to christmas decoration low-voltage bulbs
KR101622022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CN201983025U (zh) 一种led灯及其灯体连接结构
KR200404814Y1 (ko) 안정기내장형 램프
KR101853187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20080034688A (ko) 조명등용 전원 연결장치
KR20120107598A (ko) 엘이디 조명등
JP4689512B2 (ja) ねじ込み式凹ソケット、ねじ込み式凸ソケット、ねじ込み式コネクタ、照明器具および照明装置
KR20150116628A (ko) 분리 체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엘이디 다운라이트 조명기구
US20150009651A1 (en) LED Lamp
KR101053151B1 (ko) 배전함용 조명장치
CN108826250A (zh) 一种灯具
KR101009685B1 (ko) 엘이디 조명기구
KR20160139683A (ko) 조명 기능을 구비하는 지팡이
CN204026459U (zh) 一种灯具
KR200456295Y1 (ko) 엘이디 조명등용 엘이디 램프의 고정장치
KR101053153B1 (ko) 배전함용 조명장치
KR200399889Y1 (ko) 등기구의 마구리 구조
JP5172470B2 (ja) 照明器具
KR200451619Y1 (ko) 복수 개의 led 기판에 대해 영역별로 선택적인 온오프가 가능한 조명기구
CN209278894U (zh) 灯管及灯具
CN204345338U (zh) Led照明灯管
KR200350513Y1 (ko)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형광등케이스
KR200323548Y1 (ko) 교체가 용이한 터치스위치/디머센서용 소형 퓨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