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971B1 -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 Google Patents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971B1
KR100902971B1 KR1020070048381A KR20070048381A KR100902971B1 KR 100902971 B1 KR100902971 B1 KR 100902971B1 KR 1020070048381 A KR1020070048381 A KR 1020070048381A KR 20070048381 A KR20070048381 A KR 20070048381A KR 100902971 B1 KR100902971 B1 KR 100902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llast
fluorescent
fluorescent lamp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060A (ko
Inventor
문복룡
허성범
Original Assignee
문복룡
허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복룡, 허성범 filed Critical 문복룡
Priority to KR102007004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971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4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는 전원이 접속되는 터미널 블록이 구비된 형광등본체와, 상기 형광등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 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프홀더가 설치되며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을 93%이상으로 반사시키며 눈부심이 적은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과, 상기 형광등본체의 하방에 착탈가능하게 래치에 의하여 결합되는 투명한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를 포함는 방수터널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더에 접속되는 램프는 안정기가 상부에 일체로 램프본체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은 그 하부의 반사면에는 고조도용 도료조성물이 코팅된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이 사용되어,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2개 사용하므로, 1개의 램프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1개의 램프가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가 혼자서,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를 벗기고 간단하게 고장난 램프를 제거하고 새로운 램프를 교체하고 다시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를 부착시켜서 간단하게 램프의 고장을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램프의 교체가 대단히 간편하게 되고 국부적인 부분의 완전 조명상실을 방지하여 터널내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안정기 접지 고장시 발생되던 안정기의 전원공급구간(약 100m)에 있는 약 25여개의 점등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기 내장형 램프 교체작업을 단순화하여 손쉽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1인으로도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교체인력이 절감되고 교체시간도 단축되게 되어 경제성, 작업 효율성면에서 상당한 장점이 있으며, 안정기 내장형 램프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직관형 형광등 보다 작아 순시자나 작업자가 여러개를 휴대하기 용이하게 되어 다수의 안정기 내장형 램프가 고장나더라도 대단히 용이하게 고장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Water tight type tunnel lighting structure with lamp having balla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의 안정기 내장형 스파이럴 램프 교체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방수터널형광등기구의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방수터널형광등기구의 안정기 및 램프 교체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형광등본체 2. 반사판
3. 래치 5.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
6. 램프
본 발명은 전기의 사용이 필요한 터널이나 지하철 등을 모두 포함하는 전력구내에 사용되며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와 투광커버를 연결하는 로커와 전구 소켓이 2개가 설치된 반사판, 이 소켓에 사용하는 안정기 내장형 램프 2개로 구성되어 설치비가 절감되고, 램프의 고장위치의 발견이나 고장램프의 교체 등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작업인원이 절감되고, 국부 조명 상실 방지되어 차량의 터널내의 사고가 방지되며, 안정기 접지고장에 따른 약 100m 정도의 1개 전원공급 구간 조명상실이 방지되어 터널내의 사고가 방지되며, 콤펙트한 사이즈로 순시자가 여러개의 램프의 휴대가 용이하게 되며, 램프의 교체시간이 월등하게 단축되어 작업자의 사고발생확율이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램프 교체 및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게하고 경제성이 높은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의 조명이 필요한 터널의 단면이 크게 확대되는 추세로 계속 터널의 높이가 증가되므로 이에 따라 터널을 조명하는 형광등기구의 설치높이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터널의 조명에 필요한 형광등기구는 여러가지의 방식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터널용 형광등기구의 일종으로 단일의 할로갠램프등 특수램프 를 사용하는 등기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등기구는 단일램프의 사용으로 조도가 낮아 등기구를 촘촘히 설치하므로서, 시공기간과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이 크고, 더욱 단일램프가 끈어졌을 때에는 조명등이 끊어진 구간은 어두워서 보행자는 물론 운행차량에도 어려움이 많게 되어 별로 사용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종류의 터널용 형광등기구의 일종으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특수램프를 사용하던 방수터널형광등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직관형광램프를 사용하는 터널용형광등기구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 이 경우는 직관형광램프를 사용하므로 생기는 문제점으로는 조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며, 안정기 접지고장으로 인한 약 100m에 이르는 동일전력공급구간의 조명상실을 가져올 수 있어 터널내에서의 사고발생의 확율이 높아지게 되며, 램프고장이나 안정기의 고장이 불분명하여 양자를 다 확인하여야 하므로 고장의 점검시 점검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며, 직관형광램프는 크기가 커서 작업자가 다량을 휴대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많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는 안정기 불량시에는 수리를 하기 위하여 복잡한 여러가지의 과정을,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투명한 외부 투명커버(100)를 분리하고, 둘째로 형광램프(101)를 분리하고, 세번째로 반사판(103)을 분리하고, 네번째로 고장난 상태의 안정기(104)를 철거하고, 다섯번째로 새로운 안정기(104)를 조립하여야 하며, 다시 분리된 반사판(103)을 조립하고, 분리된 형광램프(101)를 조립하고, 투명한 외부 투명커버(100)를 조립하여야 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하므로 과다한 인원이 소요되고, 과다한 유지보수 경비가 소요되 며, 여러명의 인력이 동원되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진행의 어려움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터널을 조명하기 위한 터널내부에 설치되는 방수터널형광등기구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판의 도장을 고조도저휘도반사판을 사용하여 오랜 사용으로 인한 분체도장의 변색으로 인한 조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2개 사용하므로 조도의 향상과 2개의 램프가 동시에 고장나는 경우는 거의 불가능한 경우이므로 국부적인 부분의 완전 조명상실을 방지하고, 안정기 접지 고장시 발생되던 안정기의 전원공급구간(약 100m)에 있는 약 25여개의 점등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기 내장형 램프 교체작업을 단순화하여 손쉽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1인으로도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교체인력이 절감되고 교체시간도 단축되게 되어 경제성, 작업 효율성면에서 상당한 장점이 있으며, 안정기 내장형 램프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직관형 형광등 보다 작아 순시자나 작업자가 여러개를 휴대하기 용이하게 되어 다수의 안정기 내장형 램프가 고장나더라도 대단히 용이하게 고장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상기와 같은 터널을 조명하기 위한 터널내부에 설치되는 방수터널형광등기구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판을 백색 에나멜 분체도장한 것을 고조도저휘도반사판을 사용하여 오랜 사용으로 인한 분체도장의 변색으로 인한 조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별도의 안정기가 필요한 직관형광 램프를 사용하던 것을 반사판에 2개의 전구소켓을 설치하여 이것에 안정기 내장형 형광램프를 2개 사용하므로 조도의 향상과 2개의 램프가 동시에 고장나는 경우는 거의 불가능한 경우이므로 국부적인 부분의 완전 조명상실을 방지하고 1개의 안정기 접지 고장시 1개의 전원공급구간(약 100m)에 있는 약 25여개의 점등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장난 안정기 내장형 램프 교체작업을 단순하게 고장난 램프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단순화하여 작업자가 1인이더라도 손쉽게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경제성, 작업 효율성면에서 상당한 장점이 있으며, 안정기 내장형 램프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직관형형광등 보다 작아 작업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므로 여러개를 휴대하고 점검할 수 있게 되어 여러개의 램프가 고장나더라도 단독으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게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터널형광등기구(A)의 사시도로서,
상기의 본 발명의 방수터널형광등기구(A)는 전원이 접속되는 터미널 블록(11)이 구비된 형광등본체(1)와, 상기 형광등본체(1)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 블록(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프홀더(21)가 설치되며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을 93%이상을 반사하며 눈부심이 적은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2)과, 상기 형광등 본체(1)의 하방에 착탈가능하게 래치(3)에 의하여 결합되는 투명한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5)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홀더(21)에 접속되는 램프(6)는 안정기(61)가 상부에 일체로 램프본체(62)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2)은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을 93%이상을 반사하며 눈부심이 적은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이 사용되었으며, 상기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은 아연도금강판이나 알루미늄판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반사본체를 제조하고 이를 세척 및 건조하고 이를 진공상태에서 450-500℃가열하여 알루미늄 증착 시키는 코팅 공정과, 이를 꺼내어 고조도용 도료조성물을 반사본체에 분사한 다음, 150-180℃의 건조로에서 4-5시간 열처리 하는 코팅공정으로 제조되는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이 사용되었다.
상기 램프(6)는 본 실시예에서는 안정기 내장형 스파이럴 램프가 사용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안정기 내장형 LED 램프나 기타 다른 안정기 내장형의 램프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조도용 도료조성물은, 수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6000이고, 수산가가 40 내지 80이며, 산가가 5내지 15인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15000이고, 수산가가 5 내지 20이며, 산가가 1 내지10인 고분자량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산화티타늄, 용제, 메틸레이티드 멜라민 경화제, 경화 촉매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조도용 도료조성물중에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올 및 다염기산을 단량체(monomer)로 사용한 수지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 중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전체 조성물에 대해 약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광택 및 반사율이 저하되며, 약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전체 조성물에 대해약 5 내지 3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가가 약 40 미만이거나, 약 80을초과하고,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가 약 5 미만이거나, 약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택 및 경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수산가는 약 40 내지 80이고, 산가는 5 내지 15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전체 조성물에 대해 약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성이 저하되며, 약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성은 향상되나 광택 및 반사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량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는전체 조성물에 대해 약 10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분자량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가가 약5 미만이거나, 약 20을 초과하고, 상기 고분자량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가 약 1 미만이거나, 약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에서 짧은 시간 동안 소부할 때 외관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산가는 약 5 내지 20으로 유지하고, 상기 산가는 약 1 내지 10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재에 도장 후, 가공하게 되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량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막의 반사율 및 광택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고분자량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도막 광택 및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수산가를 적용하였으며, 고분자량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조성물에 포함될 높은 안료함량에 의한 가공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고분자량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비율은 약 1:1.5 내지 1: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조도용 도료조성물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약 350 내지 590nm 파장을 나타내는 물질로써,조성물 총량에 대해 함량이 약 4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반사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며 약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공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이산화티타늄의 함량은 약 40 내지 60 중량%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45 내지 55 중량%이다.
일반적으로, 반사율(Reflectivity)이란 빛이나 기타 복사가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반사율은 물질의종류와 표면의 상태로 결정되며, 유기화합물의 특성상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흡수율이 낮아야 한다. 따라서, 흡수율이 낮은 흡수 스펙트럼인 약 200 내지 800nm의 파장 중에서 특히 약 350 내지 590nm 파장이 많이 나타날수록 반사율은 높게 측정된다. 이산화티타늄은 약 350 내지 590nm 파장을 나타내는 물질이므로, 이산화티타늄의 함량을 높이게 되면 반사율이 90% 이상인 고조도용 도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료조성물의 용제는 제조되는 도료 조성물의 점도가 비교적 높으므로 파핑현상 및 표면 평활성을 위해 주로 고비점을 갖는 용제를 사용한다. 상기 용제로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글리콜에테르계, 글리콜에스테르계, 케톤계 용제 및 디메틸아디페이트, 디메틸글루타레이트 및 디메틸 썩시네이트의 혼합 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에 대해 약 10 중량% 미만이거나, 약 50 중량% 초과하면 건조도막의 불량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전체 조성물에 대한 용제의 함량이 약 10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메틸아디페이트, 디메틸글루타레이트 및 디메틸썩시네이트의 혼합 용제가 전체 용제에 대해 약 5 중량% 미만이면, 파핑이나 레벨링 불량으로 건조도막의 외관이 저하되고, 약 20 중량% 초과이면, 잔류용제로 인한 도막물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약 5 내지 2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의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2)에 코팅되는 도료조성물은 메틸레이티드 멜라민 경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메틸레이티드 멜라민 경화제는 반응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물질로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약 2 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내약품성, 내용제성 및 경도 등이 저하되며, 약 10 중량%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메틸레이티드 멜라민 경화제는 약 2 내지 1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의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2)에 코팅되는 도료조성물은 상기 경화제와 함께 경화촉매를 사용한다. 상기 경화촉매는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할 때, 약 0.01 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경화 밀도가 불충분하게 되어 경도 및 내오염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약 1 중량% 초과하면, 건조 도막 내에 촉매의 분해 산물로 인한 파핑 현상이나 도막에 황변이 오는 가스-체킹 같은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약 0.01 내지 1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 촉매로는 p-톨루엔 술폰산, 디노닐나프탈렌 디술폰산, 디노닐디나프탈렌 술폰산 및 플로로술폰산 등의 물질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의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에 피복되는 도료조성물은 각종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로는 분체도료의 반사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표면의 조도 및 광택을 높일 수 있는 분산제, 표면평활성을 향상시키는 평활제, 기포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소포제 및 점착시트와의 블로킹성을 개선하기 위한 블로킹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약 1 내지 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분산제는 첨가제 중 약 50 내지 6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도막의 레벨링 및 도장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포제로써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첨가제를 약 10 내지 4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의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2)에 피복되는 도료조성물의 실시예를 보면, 고분자량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 30g 및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10g이 담긴 용기에 방향족 탄화수소계 2g, 셀로솔브아세테이트 4.5g, 분산제 1g 및 이산화티타늄 40g을 넣고 상기 물질들의 입도가 10㎛ 이하가 되도록 고속분산한다. 분산 후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 5g 및 메틸레이티드 멜라민 3g을 교반하며 투입하고 RPDE 1g 및 싸이클로헥사논 1g의 용제, 소포제 1g, 평활제 0.5g, 블로킹방지제 0.5g 및 경화촉매 0.5g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도료 100g을 수득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A)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A)의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2)은 알루미늄판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반사본체를 제조하고 이를 세척 및 건조하고 이를 진공상태에서 450-500℃가열하여 알루미늄 증착 시키는 코팅 공정과, 이를 꺼내어 위에 상술한 조성을 갖는 고조도용 도료조성물을 반사본체에 분사한 다음, 150-180℃의 건조로에서 4-5시간 열처리 하는 코팅공정으로 제조되어,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2)의 반사율이 93%이상으로 대폭적으로 향상되고 장기간의 사용에도 아무런 성능의 저하가 없게 되었다.
그리고,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2개 사용하므로, 1개의 램프(6)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1개의 램프(6)가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가 혼자서,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5)를 벗기고 간단하게 고장난 램프(6)를 제거하고 새로운 램프(6)를 교체하고 다시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5)를 부착시켜서 간단하게 램프(6)의 고장을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램프의 교체가 대단히 간편하게 되고 국부적인 부분의 완전 조명상실을 방지하여 터널내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안정 기 접지 고장시 발생되던 안정기의 전원공급구간(약 100m)에 있는 약 25여개의 점등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기 내장형 램프 교체작업을 단순화하여 손쉽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1인으로도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교체인력이 절감되고 교체시간도 단축되게 되어 경제성, 작업 효율성면에서 상당한 장점이 있으며, 안정기 내장형 램프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직관형 형광등 보다 작아 순시자나 작업자가 여러개를 휴대하기 용이하게 되어 다수의 안정기 내장형 램프가 고장나더라도 대단히 용이하게 고장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는 전원이 접속되는 터미널 블록이 구비된 형광등본체와, 상기 형광등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 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프홀더가 설치되며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을 93%이상으로 반사시키며 눈부심이 적은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과, 상기 형광등본체의 하방에 착탈가능하게 래치에 의하여 결합되는 투명한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를 포함는 방수터널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더에 접속되는 램프는 안정기가 상부에 일체로 램프본체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은 그 하부의 반사면에는 고조도용 도료조성물이 코팅된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이 사용되어,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2개 사용하므로, 1개의 램프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1개의 램프가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가 혼자서,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를 벗기고 간단하게 고장난 램프를 제거하고 새로운 램프를 교체하고 다시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를 부착시켜서 간단하게 램프의 고장을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램프의 교체가 대단히 간편하게 되고 국부적인 부분의 완전 조명상실을 방지하여 터널내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안정기 접지 고장시 발생되던 안정기의 전원공급구간(약 100m)에 있는 약 25여개의 점등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기 내장형 램프 교체작업을 단순화하여 손쉽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1인으로도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교체인력이 절감되고 교체시간도 단축되게 되어 경제성, 작업 효율성면에서 상당한 장점이 있으며, 안정기 내장형 램프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직관형 형광등 보다 작아 순시자나 작업자가 여러개를 휴대하기 용이하게 되어 다수의 안정기 내장형 램프가 고장나더라도 대단히 용이하게 고장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원이 접속되는 터미널 블록(11)이 구비된 형광등본체(1)와, 상기 형광등본체(1)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 블록(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프홀더(21)가 설치되며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을 93%이상을 반사하는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2)과, 상기 형광등본체(1)의 하방에 착탈가능하게 래치(3)에 의하여 결합되는 투명한 투명폴리카보네이트덮개(5)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홀더(21)에 접속되는 램프(6)는 안정기(61)가 상부에 일체로 램프본체(62)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2)은 그 외표면에 고조도용 도료조성물이 피복된 고조도 저휘도 반사판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도용 도료조성물은, 수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6000이고, 수산가가 40 내지 80이며, 산가가 5내지 15인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15000이고, 수산가가 5 내지 20이며, 산가가 1 내지10인 고분자량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산화티타늄, 용제, 메틸레이티드 멜라민 경화제, 경화 촉매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KR1020070048381A 2007-05-18 2007-05-18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KR100902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81A KR100902971B1 (ko) 2007-05-18 2007-05-18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81A KR100902971B1 (ko) 2007-05-18 2007-05-18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060A KR20080102060A (ko) 2008-11-24
KR100902971B1 true KR100902971B1 (ko) 2009-06-15

Family

ID=4028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381A KR100902971B1 (ko) 2007-05-18 2007-05-18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870Y1 (ko) 2013-01-25 2013-05-10 주식회사 퓨쳐누리 엘이디 등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6419A (zh) * 2015-11-19 2016-01-27 华蓥市双河第三小学 一种大功率灯泡的灯泡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519A (ko) * 2003-06-21 2003-07-04 김영종 형광방전등을 이용한 터널용 조명등
KR20030082661A (ko) * 2002-04-17 2003-10-23 주식회사 명도에너지 형광등용 반사갓
KR200350103Y1 (ko) 2004-02-02 2004-05-13 우성전기주식회사 복수등을 갖는 터널용 등기구의 반사갓 연결구조.
KR200404814Y1 (ko) 2005-10-10 2005-12-28 재 궁 이 안정기내장형 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661A (ko) * 2002-04-17 2003-10-23 주식회사 명도에너지 형광등용 반사갓
KR20030057519A (ko) * 2003-06-21 2003-07-04 김영종 형광방전등을 이용한 터널용 조명등
KR200350103Y1 (ko) 2004-02-02 2004-05-13 우성전기주식회사 복수등을 갖는 터널용 등기구의 반사갓 연결구조.
KR200404814Y1 (ko) 2005-10-10 2005-12-28 재 궁 이 안정기내장형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870Y1 (ko) 2013-01-25 2013-05-10 주식회사 퓨쳐누리 엘이디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060A (ko) 2008-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3965B (zh) 一种节能路灯
KR100902971B1 (ko) 안정기 내장형 램프를 구비한 방수터널형광등기구
CN108180434A (zh) 一种可收纳的伸缩式路灯
CN206247259U (zh) 一种led高漫反射防眩灯盘结构
CN104879698A (zh) 一种汽车led车头大灯
CN202660270U (zh) 带有柔光结构的led灯具
CN102628558A (zh) 带有柔光结构的led灯具
CN103629621A (zh) 一种自发光景观灯及其制造方法
CN101761839B (zh) 易于拆装的led照明装置
CN2793533Y (zh) 防爆平台灯
CN206130718U (zh) 一种中功率和大功率led双用洗墙灯
CN104061477B (zh) 一种高效散热的led光源模组
KR102353949B1 (ko) 터널용 조명등
CN201348224Y (zh) 一种节能灯盘
KR20180133131A (ko)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
CN204665097U (zh) 汽车led车头大灯
CN201502933U (zh) 组合式大功率led隧道灯
KR100393873B1 (ko) 형광램프 반사판용 도료 및 형광램프 반사판의 제조 방법
CN201331039Y (zh) 防水式led灯具
CN217928459U (zh) 一种照明检修马道用的照明装置
CN204372640U (zh) 一种具有大出光角的led灯结构
CN204853209U (zh) 一种组合式led洗墙灯
CN107906385A (zh) 一种警示照明灯
CN102734722A (zh) 一种基于led光源的客车照明系统
CN204477763U (zh) 一种全方位led灯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