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131A -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 - Google Patents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131A
KR20180133131A KR1020170069689A KR20170069689A KR20180133131A KR 20180133131 A KR20180133131 A KR 20180133131A KR 1020170069689 A KR1020170069689 A KR 1020170069689A KR 20170069689 A KR20170069689 A KR 20170069689A KR 20180133131 A KR20180133131 A KR 20180133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wder coating
light source
led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구
김헌
Original Assignee
미미라이팅주식회사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미라이팅주식회사, 조광페인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미라이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9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131A/ko
Publication of KR2018013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09C1/3607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광이면서도 반사율이 우수하고 내후성도 우수한 새로운 조성의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되어 휘도가 우수하고 눈의 피로가 적으며 외관도 고급스러운 새로운 구성의 LED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분체도료는 산가가 20~40 mg KOH/g, 점도 2,000-5,000 mPa.s(Brookfield Viscosity @ 200℃)인 폴리에스테르수지 25~55 중량부; 에폭시 당량이 600~800g/eq인 아크릴수지 5~25 중량부; 무기충진제 5-15 중량부; 착색안료 20-40 중량부; 및 첨가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High reflection- matte powder coating composition for LED illumination and LED illumination coated by the same that}
본 발명은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광이면서도 반사율이 우수하고 내후성도 우수한 새로운 조성의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되어 휘도가 우수하고 눈의 피로가 적으며 외관도 고급스러운 새로운 구성의 LED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LED 광원은 반도체 소자의 특성상 점광원이기 때문에 LED 광원을 조명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광원을 면광원으로 만들어야 한다. LED 광원을 면광원화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확산판을 이용하는 것인데, 등기구 프레임에 LED가 실장된 LED모듈을 빛이 하향으로 조사되도록 설치하고, LED모듈에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본체프레임의 저면에 확산판을 설치하여 등기구를 만든다. 그런데 이와 같이 확산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확산판에 의해 빛을 넓게 골고루 확산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확산판에 의한 광손실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LED 광원을 면광원화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등기구 프레임에 반사면을 형성하고, LED모듈을 상기 반사면을 향해 상향으로 조사되도록 설치하여 LED 빛이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하향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확산판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광손실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해 등기구 프레임에 유광도료를 코팅하기 때문에 유광도료에 의한 눈부심이 발생되어 사용자들에게 눈의 피로가 초래되고, 등기구 외관의 고급스러움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무광 분체도료를 코팅하여 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시도가 있기는 하나, 기존의 무광 분체도료는 반사율이 떨어지고, 내후성이 미흡(QUV 200시간, △E≥2.0)한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3291호(2017. 03. 2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광이면서도 반사율이 우수하고 내후성도 우수한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와, 이러한 분체도료가 코팅되어 휘도가 높고,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자의 눈의 피로가 적으며, 은은하고 고급스러움 외관을 가지며, 내후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변색이 거의 없는 새로운 고품질의 LED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산가가 20~40 mg KOH/g, 점도 2,000-5,000 mPa.s(Brookfield Viscosity @ 200℃)인 폴리에스테르수지 25~55 중량부; 에폭시 당량이 600~800g/eq인 아크릴수지 5~25 중량부; 무기충진제 5-15 중량부; 착색안료 20-40 중량부; 및 첨가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는 유리전이온도(Tg)가 55~80℃이고, 겔화시간은 200~300초이며, 반사율이 90%이상이고, 자외선 200시간 조사하는 조건(QUV 200시간) 하에서 색차(△E)가 1.5 이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기충진제는 바륨설페이트, 탄산칼슘, 실리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나, 크레이, 알루미나, 탈크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착색안료는 이산화티타늄, 비스무스바나데이트, 시아닌그린, 카본블랙, 산화철적, 산화철황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며,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레벨링제, 접착력향상제, 핀홀방지제, 경도향상제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향으로 반사면(110)을 제공하는 등기구본체(100); 상기 반사면(110)과 하향으로 이격되는 광원설치부(210)가 구비되어 상기 등기구본체(100)에 체결되는 광원설치프레임(200); 및 LED가 상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광원설치부(210)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면(110)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면(110)은 산가가 20~40 mg KOH/g, 점도 2,000 -5,000 mPa.s(Brookfield Viscosity @ 200℃)인 폴리에스테르수지 25~55 중량부; 에폭시 당량이 600~800g/eq인 아크릴수지 5~25 중량부; 무기충진제 5-15 중량부; 착색안료 20-40 중량부; 및 첨가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분체도료가 코팅된 코팅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등기구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체도료는 90% 이상의 고반사율과 무광특성을 가지며, 내후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분체도료를 코팅하여 LED 등기구를 제조하면 휘도가 우수하면서도 눈부심이 없어서 사용자의 눈의 피로가 발생되지 않으며 무광이여서 은은하면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가지는 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고내후성(QUV 200시간, △E≤1.5)을 가지므로 장기간 사용에 의해서도 변색이 거의 없으므로, 등기구의 수명도 연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LED 등기구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제2실시예의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는 폴리에스테르타입 분체도료로서, 산가가 20~40mgKOH/g인 폴리에스테르수지 25~55중량부, 에폭시 당량이 600~800g/eq인 아크릴수지 5-25중량부, 무기충진제 5-15중량부, 착색안료 20-40중량부, 그리고 기타 첨가제 0.1-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산가가 20~40mgKOH/g이고, 용융점도는 2,000-5,000 mPa.s(200℃, Brookfield Viscosity 점도계) 인 것이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산가가 20mgKOH/g 미만이면 도막의 물성이 저하되고 광택이 상승되며,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산가가 40mgKOH/g을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수지의 반응성이 과도하게 빨라져서 도막에 핀홀이 발생할 수 있고 도막의 레벨링이 과도하게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융융점도가 2,000mPa.s 미만이면 도막의 레벨링 은 매우 우수하나 본 발명의 저장안정성이 떨어지고, 도막의 아랫부분에 맺힘 현상이 발생하여 도막의 외관이 저하되는 형상이 발생된다. 반면에 점도가 5,000 mPa.s를 초과하면 도막의 레벨링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도막 외관이 저하되어 반사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수지는 25~55중량부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수지가 2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피도체와의 부착성이 떨어지고 도막 외관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5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도막의 광택이 지나치게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아크릴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600~800g/eq인 것이 사용되는데, 아크릴 수지의 에폭시 당량이 600g/eq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속도의 증가로 도막 외관이 저하될 수 있고, 에폭시 당량이 800g/eq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교밀도가 저하되어 내오염성과 내용제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아크릴수지는 5~25중량부 포함된다. 아크릴수지가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도막의 광택이 지나치게 상승되고 내오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2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레벨링이 떨어져서 도막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무기충진제는 분체도료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륨설페이트, 탄산칼슘, 실리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나, 크레이, 알루미나, 탈크 중에서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러한 무기충진제는 5∼15중량부 혼합된다. 무기충진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도막의 흐름(sagging) 현상 및 은폐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용융점도가 높아져서 도막의 외관 및 광택을 저하시키며 상대적으로 수지함량이 낮아져서 도막의 물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착색안료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착색안료는 대표적으로 이산화티타늄, 비스무스바나데이트, 시아닌그린, 카본블랙, 산화철적, 산화철황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이러한 착색안료는 20~40중량부 포함되는데, 착색안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은폐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흡유량이 높아져서 도막의 외관에 오렌지필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나타난다.
특히, 도막의 빛 굴절률을 높이고 도막의 광택을 저하시키기 위해 상기 무기충진제와 착색안료의 선택 및 함량의 조절이 중요한데, 무기충진제 및 기타 착색안료의 조성 및 함량이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의 중요한 요소이다. 바람직하게는 착색안료로 굴절률이 높고 백색안료로서 은폐력이 높은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레벨링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 핀홀방지제, 경도향상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선택된다.
이러한 첨가제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데, 0.1~10중량부 포함된다.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첨가제 사용에 따른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효과상의 증가가 거의 없으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생산성 저하 및 도막 외관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조성을 가지는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다.
1) 상기 원료들을 전자저울 등의 측량기를 이용하여 계량한다.
2) 각 원료들을 개량한 양만큼 예비혼합기( Pre-mixer )에 투입하여 1000~2000rpm으로 5~7분 정도 고속으로 혼합한다.
3) 예비혼합한 조성물을 용융분산기(Twin Screw, ZSK-25)를 이용하여 90~110℃의 온도에서 적당한 크기의 칩(Chip)으로 용융분산시켜서, 침형태의 분산물을 만든다.
도료 제조시 용융분산기의 온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분산기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분산기 내에서 경화반응이 진행되어 분산기 내부에서 도료의 겔화(gelation)가 발생되거나 도료의 저장안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융분산기의 온도를 90~110℃로 유지관리한다.
4) 상기 과정에서 제조된 칩형태의 분산물을 분쇄한다. 제조된 칩을 냉각하여 조분쇄하고, 조분쇄 된 칩은 ACM분쇄기를 사용하여 30~70㎛ 정도의 입도를 갖도록 미분쇄한다.
5) 분쇄된 분체도료 입자를 진동분급기(Seive)로 분급하여 오버사이즈 입자를 제거하고, 원하는 크기의 입도를 갖는 분체도료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는 유리전이온도(Tg)가 55~80℃, 바람직하기로 60~70℃를 가지며, 겔화시간은 200~300초를 가지며, 90% 이상의 고반사율과 고내후성(QUV 200시간, △E≤1.5)을 가진다.
유리전이온도가 낮으면 흐름성은 좋아져서 레벨링성은 좋아지나, 저장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좋지 않다.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너무 높으면 저장성은 좋으나 도료의 습윤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유리전이온도의 제어가 중요하다. 그리고 겔화시간이 너무 짧으면 경화조건은 유리해지나 도막의 습윤성이 나빠져서 외관불량이 나빠지며, 너무 길면 도막의 습윤성은 좋아지나 도장라인에서 도막이 경화될 수 있다.
또한, 90% 이상의 고반사율을 가지므로 LED 광원의 광손실이 적어도 본 발명에 의한 분체도료가 적용된 LED 등기구는 휘도가 우수하며, 또한, 자외선 200시간 조사하는 조건(QUV 200시간) 하에서 색차(△E)가 1.5 이하이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변색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실험예 1 ~ 3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체도료를 Shot Blast 처리한 후 인산아연 화성피막 처리된 0.6T 냉간압연강판에 건조도막두께를 60~80㎛으로 도장하여 소재온도기준으로 200℃×10분 조건으로 경화시켰다.
성분
실험예 비교예
1 2 3 1 2 3 4

폴리에스테르수지
A 100 100 - - 70 155
B - - 100 114 73 30 -

아크릴수지
A 40 40 40
B - - 35 11 62 - 35

첨가제
A 2 2 3 4 5 2
B 3 3 2 - - 5 5

착색안료
A 100 100 105 100 100
B - - - - - 100 45
무기충진제 - 20 15 15 5 5 5 15

1) 폴리에스테르 수지 A - Acid value:33mgKOH/g,
2) 폴리에스테르 수지 B - Acid value:32mgKOH/g,
3) 아크릴 수지 A - Epoxy equivalent:700g/eq, 
4) 아크릴 수지 B - Epoxy equivalent:600g/eq,
5) 첨가제 A - Levelling agent
6) 첨가제 B - Processing agentt
7) 착색안료 A - 이산화티타늄, 평균입자 : 1~7um
8) 착색안료 B - 이산화티타늄, 평균입자 : 1~10um
9) 무기충진제 - 평균입자 : 1~10um
<도막물성의 시험항목 및 조건>
측정방법
외관
레벨링 육안관찰
광택 60°광택 (BYK Glossmeter), 10% 이하
기계적 물성
충격성 듀폰식 충격시험기, 500g, 20cm ,깨짐 없을 것
부착성 1mm 간격 11줄 교차절단후 테이프박리, 박리 없을 것
내후성 QUV시험 240시간 방치 후 색차값 측정값이 E≤1.5일 것
반사율 반사율 시험 반사율 측정기로 반사율 측정값이 90% 이상일 것
반짝거림성 LED 등 설치 후 작동시 반짝거림이 없어야 한다
<도막물성시험결과>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레벨링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광택(60°) 5% 6% 5% 12% 14% 6% 4%
기계적 물성 충격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부착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내후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반사율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불량 불량
반짝거림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양호 양호
표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경화조건 200℃×10분(소지표면온도기준)에서 실험예1~3의 경우에는 도막물성 평가 항목이 전체적으로 양호하며 특히, 반사율 및 반짝거림성(무광특성)이 우수하나 비교예 1~4는 반사율 및 반짝거림성(무광특성)이 불량하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LED 등기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LED 등기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반사면(110)이 형성된 등기구본체(100)와, 등기구본체(100)에 체결되는 광원설치프레임(200)과, 광원설치프레임(200)에 설치되는 LED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등기구본체(100)는 상기 LED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 등과 같은 전장부품이 장착되며, 저면에는 반사면(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반사면(110)은 등기구본체(100)의 저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분체도료로 코팅된 코팅층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층(112)은 분체도료를 60~80㎛ 정도의 두께로 코팅하여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코팅층이 등기구본체(100)의 저면과 더불어 등기구본체(100)의 표면 전체에 코팅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광원설치프레임(200)은 하단부가 확장되어 ⊥ 형상을 가지는데, 확장된 하단부의 상측이 광원을 설치하기 위한 광원설치부(210)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광원설치부(210)는 상기 반사면(110)에서 하향으로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설치부(210)가 레일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한편, 상기 LED모듈(300)은 LED(310)와 LED(310)가 실장된 기판(320)으로 이루어지는데, LED(310)가 상향으로 향하도록 광원설치부(210)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LED모듈(300)의 빛이 상기 반사면(110)을 향해 상향으로 조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LED 등기구는 무광이면서 고반사 특성을 가지는 분체도료에 의해 반사면(110)이 형성되기 때문에, LED 빛이 반사면(110)에 의해 고반사되므로 높은 휘도를 가진다. 또한, 반사면(110)이 무광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의 피로가 발생되지 않고 또, 은은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천정매입타입의 LED 등기구에 적용된 것을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기구본체(100)가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반사면(110)이 등기구본체(100)의 내구면을 따라 반구형사으로 형성되고, 광원설치프레임(200)은 원형링 형상으로 되어 등기구본체(100)의 하단 둘레부에 설치된다.

Claims (5)

  1. 산가가 20~40 mg KOH/g, 점도 2,000-5,000 mPa.s(Brookfield Viscosity @ 200℃)인 폴리에스테르수지 25~55 중량부;
    에폭시 당량이 600~800g/eq인 아크릴수지 5~25 중량부;
    무기충진제 5-15 중량부;
    착색안료 20-40 중량부; 및
    첨가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는 유리전이온도(Tg)가 55~80℃이고, 겔화시간은 200~300초이며, 반사율이 90%이상이고, 자외선 200시간 조사하는 조건(QUV 200시간) 하에서 색차(△E)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진제는 바륨설페이트, 탄산칼슘, 실리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나, 크레이, 알루미나, 탈크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레벨링제, 접착력향상제, 핀홀방지제, 경도향상제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안료는 이산화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5. 하향으로 반사면(110)을 제공하는 등기구본체(100);
    상기 반사면(110)과 하향으로 이격되는 광원설치부(210)가 구비되어 상기 등기구본체(100)에 체결되는 광원설치프레임(200); 및
    LED가 상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광원설치부(210)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면(110)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면(110)은,
    산가가 20~40 mg KOH/g, 점도 2,000 -5,000 mPa.s(Brookfield Viscosity @ 200℃)인 폴리에스테르수지 25~55 중량부;
    에폭시 당량이 600~800g/eq인 아크릴수지 5~25 중량부;
    무기충진제 5-15 중량부;
    착색안료 20-40 중량부; 및
    첨가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분체도료가 코팅된 코팅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반사 무광택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
KR1020170069689A 2017-06-05 2017-06-05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 KR20180133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689A KR20180133131A (ko) 2017-06-05 2017-06-05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689A KR20180133131A (ko) 2017-06-05 2017-06-05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31A true KR20180133131A (ko) 2018-12-13

Family

ID=6467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689A KR20180133131A (ko) 2017-06-05 2017-06-05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1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877B1 (ko) * 2019-05-02 2019-08-20 주식회사 알프스이십일 고광량 분체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led 조명 장치
KR101986601B1 (ko) * 2019-02-26 2019-09-30 주식회사 알프스이십일 고광량 분체 도료 조성물 및 그 분체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led 조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601B1 (ko) * 2019-02-26 2019-09-30 주식회사 알프스이십일 고광량 분체 도료 조성물 및 그 분체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led 조명 장치
KR102011877B1 (ko) * 2019-05-02 2019-08-20 주식회사 알프스이십일 고광량 분체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led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7031B1 (en) White prepreg, white laminated plate, and metal foil clad white laminated plate
EP2940747B1 (en)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and light-emitting device
EP1942162A1 (en) Anti-UV coating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CN1571901A (zh) 照明设备
EP2260079B1 (de) WEIß NACHLEUCHTENDE BESCHICHTUNG FÜR INNENKABINEN
CN103288384A (zh) 具有天然纹理和发光图案的人造大理石及其制备方法
KR20180133131A (ko) Led 등기구용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 및 고반사 무광 분체도료가 코팅된 led 등기구
KR101502030B1 (ko) 조명등용 고반사 led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74125A (ko) 청색, 녹색, 황색 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기구
WO2018005440A1 (en) Method to improve remote phosphor optical properties in polycarbonate
JPH11130992A (ja) 放光性塗料組成物、放光性塗膜形成方法及び放光性塗装物
JP2002366065A (ja) 誘導プレート
KR101986601B1 (ko) 고광량 분체 도료 조성물 및 그 분체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led 조명 장치
KR101560734B1 (ko) Led 전등 디퓨저용 칼라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칼라 코팅유리
KR102011877B1 (ko) 고광량 분체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led 조명 장치
JP2007276205A (ja) 被覆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92551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867617B1 (ko) 축광성 분체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08205B1 (ko) 2액형 광확산 코팅제 조성물
KR102264197B1 (ko) 블루라이트 파장이 제거된 고백색성 led 등기구
KR100393873B1 (ko) 형광램프 반사판용 도료 및 형광램프 반사판의 제조 방법
JP2007217629A (ja) 高反射性白色粉体塗料及びその塗料を用いた照明器具用反射板
US20120154917A1 (en) Color-shifting reflector
US8501311B2 (en) Rear-illuminable aircraft interior component
KR100576143B1 (ko) 고조도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