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767B1 -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767B1
KR102274767B1 KR1020200003734A KR20200003734A KR102274767B1 KR 102274767 B1 KR102274767 B1 KR 102274767B1 KR 1020200003734 A KR1020200003734 A KR 1020200003734A KR 20200003734 A KR20200003734 A KR 20200003734A KR 102274767 B1 KR102274767 B1 KR 10227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cb
slider
hou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환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씨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to KR1020200003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767B1/ko
Priority to JP2020188856A priority patent/JP6996785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B와 러버 패드와 안테나가 제 1 세트로 조립되고, 슬라이더와 버튼 캡이 제 2 세트로 조립되며, 제 1 세트의 PCB가 하우징의 단턱부에 안착되고, 제 2 세트가 커버 케이싱에 삽입된 후, 하우징과 커버 케이스가 결합되어 조립이 완료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는 핀블록(60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과 커버 케이싱(200)이 결합되고, 결합된 하우징(100)과 커버 케이싱(200)의 내부에 PCB(300), 러버 패드(400), 안테나(500), 슬라이더(700) 및 버튼 캡(800)이 장착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에 있어서,
PCB(300)와 러버 패드(400)가 겹쳐진 상태에서, 안테나(500)의 보빈(510)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2개의 후크 클램프(520, 530)가 러버 패드(400)의 사이드 홈(440, 450)을 통해 PCB(300)의 결합홈(340, 350)에 결합되어, 후크 클램프(520, 530)에 의해 안테나(500)와 러버 패드(400)와 PCB(300)가 결합되고, 안테나(500)의 접속핀(540)이 PCB(300)의 제 1 접속구멍(360)에 끼워짐으로써, PCB(300)와 러버 패드(400)와 안테나(500)가 제 1 세트(G1)를 이루고,
버튼 캡(800)의 테두리 프레임(820)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825)가 슬라이더(700)의 외곽 프레임(720)에 형성된 결합홈(730)에 결합되어, 슬라이더(700)와 버튼 캡(800)이 제 2 세트(G2)를 이루고,
제 1 세트(G1)의 PCB(300)가 하우징(100)의 단턱부(115)에 안착되어, PCB(300)의 제 2 접속구멍(370)에 하우징(100)에 배치된 핀블록(600)의 접속핀(610)이 끼워지고, 제 2 세트(G2)가 커버 케이싱(200)의 원통부(210)에 삽입되어, 커버 케이싱(200)의 받침링(220)에 형성된 내측 받침홈(221)에 버튼 캡(800)의 테두리 프레임(820)과 슬라이더(700)의 외곽 프레임(720)이 끼워지고, 내측 받침홈(221)의 내벽부(222)가 버튼 캡(800)의 수용홈(830)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본체(110)에 커버 케이싱(200)의 원통부(210)가 끼워지고, 원통부(210)에 형성된 결합편(211)의 결합구멍(212)에 본체(110)의 결합돌기(114)가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00)과 커버 케이싱(200)이 결합되고, 슬라이더(700)가 안테나(5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700)의 누름 단추부(760, 770)가 러버 패드(400)의 탄성봉(460, 47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ENGINE START STOP BUTTON ASSEMBLY}
본 발명은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CB와 러버 패드와 안테나가 제 1 세트로 조립되고, 슬라이더와 버튼 캡이 제 2 세트로 조립되며, 제 1 세트의 PCB가 하우징의 단턱부에 안착되고, 제 2 세트가 커버 케이싱에 삽입된 후, 하우징과 커버 케이스가 결합되어 조립이 완료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2005037호(2019년 7월 23일, 등록)에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은 차량의 키박스에 장착되고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및 케이스의 제 1 공간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상면에 이모빌라이저 통신을 위한 안테나 코일과 광원이 실장되고, 하면에 한 쌍 이상의 고정 접점이 형성된 PCB와, PCB의 하부에 설치되며 가동 접점을 가진 하나 이상의 러버돔을 구비한 러버패드를 포함하고, 케이스의 하부에 버튼 어셈블리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러버돔이 탄성 압축 또는 원래의 형태로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러버돔과 접하는 누름자를 구비하고, 버튼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은 PCB, 안테나 코일, 러버패드 등의 구성요소를 세트화하여 조립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버튼으로 물이 뿌려질 경우, 물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방수 구성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PCB와 러버 패드와 안테나를 조립하여 제 1 세트를 구성하고, 슬라이더와 버튼 캡을 조립하여 제 2 세트를 구성하며, 제 1 세트를 하우징의 단턱부에 안착하고, 제 2 세트를 커버 케이싱에 삽입한 후, 하우징과 커버 케이스를 결합하여 조립함으로써,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차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튼 캡의 노브 둘레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물이 노브 정면으로 뿌려지거나 제공될 경우, 물이 수용홈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버튼 캡의 테두리 프레임에 배수 구멍이 형성되고, 슬라이더의 외곽 프레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배수구멍을 통해 수용홈의 물이 배출되며, 커버 케이싱과 하우징 사이에 배수로가 형성되어, 배수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배수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로, 하우징의 단자구멍 등을 통해 작은 개미 등과 같은 작은 생물이 하우징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의 일례는,
핀블록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커버 케이싱이 결합되고, 하우징과 커버 케이싱의 내부에 PCB, 러버 패드, 안테나, 슬라이더 및 버튼 캡이 장착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에 있어서,
PCB와 러버 패드가 겹쳐진 상태에서, 안테나의 보빈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2개의 후크 클램프가 러버 패드의 사이드 홈을 통해 PCB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후크 클램프에 의해 안테나와 러버 패드와 PCB가 결합되고, 안테나의 접속핀이 PCB의 제 1 접속구멍에 끼워짐으로써, PCB와 러버 패드와 안테나가 제 1 세트를 이루고,
버튼 캡의 테두리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가 슬라이더의 외곽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더와 버튼 캡이 제 2 세트를 이루고,
제 1 세트의 PCB가 하우징의 단턱부에 안착되어, PCB의 제 2 접속구멍에 하우징에 배치된 핀블록의 접속핀이 끼워지고, 제 2 세트가 커버 케이싱의 원통부에 삽입되어, 커버 케이싱의 받침링에 형성된 내측 받침홈에 버튼 캡의 테두리 프레임과 슬라이더의 외곽 프레임이 끼워지고, 내측 받침홈의 내벽부가 버튼 캡의 수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우징의 본체에 커버 케이싱의 원통부가 끼워지고, 원통부에 형성된 결합편의 결합구멍에 본체의 결합돌기가 결합됨으로써, 하우징과 커버 케이싱이 결합되고, 슬라이더가 안테나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누름 단추부가 러버 패드의 탄성봉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수 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는,
상기 버튼 캡은 노브와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테두리 프레임의 하부 수평부에 배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판부의 둘레에 외곽 프레임이 형성되며, 외곽 프레임의 하부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배수구멍이 버튼 캡의 배수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배수구멍이 형성된 하부면에서 가이드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의 본체에 제 1 상부 평면부와 제 1 하부 평면부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 1 하부 평면부에 배수를 위한 내측 단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본체에 커버 케이싱의 원통부가 끼워져, 원통부가 본체의 내측 단차면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원통부와 본체 사이에 슬라이더의 가이드편이 배치되어, 슬라이더의 가이드편에 의해 물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본체의 내측 단차면에 의해 원통부와 가이드편 사이에 배수로가 형성되어, 버튼 캡의 배수 구멍과 슬라이더의 배수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배수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충 구성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편과 본체의 내측 단차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은 최대 0.2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편은 바깥면의 외측단에 일자형의 방수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 케이싱의 원통부는 가이드편의 방수돌기부에 대응되게 안쪽면에 커플홈이 형성되며, 커플홈과 방수돌기부 사이의 간극이 최대 0.2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블록이 하우징의 단자챔버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핀블록의 접속핀이 단자챔버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돌출되며, 상기 접속핀과 구멍 사이의 간극은 최대 0.125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본체의 일단이 개방되고, 본체의 타단이 밀폐되고, 본체에 제 1 상부 평면부와 제 1 하부 평면부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 1 상부 평면부와 제 1 하부 평면부의 외측에 탄성 그립이 각각 형성되며, 제 1 하부 평면부에 배수를 위한 내측 단차면이 형성되고, 본체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본체의 중간에 단턱부가 형성되어, 단턱부에 의해 본체가 상부 원통부와 하부 원통부로 구분되고, 단턱부에 PCB가 안착되며, 하부 원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챔버의 바닥면에 핀블록이 장착되어, 핀블록의 접속핀의 일단이 PCB의 제 2 접속구멍에 끼워지고, 접속핀의 타단이 핀 안내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케이싱은 원통부가 하우징의 본체의 둘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부가 하우징의 본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원통부의 상단에 받침링이 형성되며, 받침링의 내측에 내측 받침홈이 형성되고, 원통부의 선단 외주면에 복수개의 플랜지 리브가 형성되며, 플랜지 리브 사이에 외측 결합홈이 형성되고, 외측 결합홈의 중앙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플랜지 리브가 보호 링에 의해 커버되고, 외측 결합홈의 결합돌기가 보호 링의 결합편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며, 원통부의 하단에 복수개의 결합편이 형성되고, 결합편의 중앙에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결합구멍에 본체의 결합돌기가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러버 패드는 PCB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PCB의 LED를 위한 센터 구멍이 중앙에 형성되고, 센터 구멍의 양 측부에 탄성봉이 각각 형성되며, 탄성봉의 하부면에 가동 단자가 각각 장착되며, 사이드 원호부의 중앙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사이드 원호부 사이에 사이드 홈이 형성되어, 안테나의 접속핀이 사이드 홈을 통해 PCB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판부의 둘레에 외곽 프레임이 형성되며, 외곽 프레임의 하부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배수구멍이 버튼 캡의 배수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배수구멍이 형성된 하부면에서 가이드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곽 프레임에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홈이 버튼 캡의 결합 돌기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원판부에 한 쌍의 누름 단추부가 형성되어, 한 쌍의 누름 단추부가 중공부의 둘레에서 2개의 서포트 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는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차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물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개미 등과 같은 작은 생물이 하우징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를 도시한 도 2에서 PCB와 러버 패드와 안테나가 결합되어 제 1 세트를 구성하고, 슬라이더와 버튼 캡이 결합되어 제 2 세트를 구성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도시한 도 3에서 PCB와 러버 패드로 구성되는 제 1 세트가 하우징에 장착되고, 슬라이더와 버튼 캡으로 구성되는 제 2 세트가 커버 케이싱에 결합되는 예를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버튼 캡이 눌려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에서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하우징과 커버 케이싱과 버튼 캡과 슬라이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를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11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및 일부 확대 상세도
도 12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및 일부 확대 상세도
도 13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하우징을 도시한 일부 절취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는 핀블록(60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과 커버 케이싱(200)이 결합되고, 결합된 하우징(100)과 커버 케이싱(200)의 내부에 PCB(300), 러버 패드(400), 안테나(500), 슬라이더(700) 및 버튼 캡(800)이 장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는 PCB(300)와 러버 패드(400)가 겹쳐진 상태에서, 안테나(500)의 보빈(510)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2개의 후크 클램프(520, 530)가 러버 패드(400)의 사이드 홈(440, 450)을 통해 PCB(300)의 결합홈(340, 350)에 결합되어, 후크 클램프(520, 530)에 의해 안테나(500)와 러버 패드(400)와 PCB(300)가 결합되고, 안테나(500)의 접속핀(540)이 PCB(300)의 제 1 접속구멍(360)에 끼워짐으로써, PCB(300)와 러버 패드(400)와 안테나(500)가 제 1 세트(G1)를 이룬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는 버튼 캡(800)의 테두리 프레임(820)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825)가 슬라이더(700)의 외곽 프레임(720)에 형성된 결합홈(730)에 결합되어, 슬라이더(700)와 버튼 캡(800)이 제 2 세트(G2)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는 제 1 세트(G1)의 PCB(300)가 하우징(100)의 단턱부(115)에 안착되어, PCB(300)의 제 2 접속구멍(370)에 하우징(100)에 배치된 핀블록(600)의 접속핀(610)이 끼워지고, 제 2 세트(G2)가 커버 케이싱(200)의 원통부(210)에 삽입되어, 커버 케이싱(200)의 받침링(220)에 형성된 내측 받침홈(221)에 버튼 캡(800)의 테두리 프레임(820)과 슬라이더(700)의 외곽 프레임(720)이 끼워지고, 내측 받침홈(221)의 내벽부(222)가 버튼 캡(800)의 수용홈(830)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본체(110)에 커버 케이싱(200)의 원통부(210)가 끼워지고, 원통부(210)에 형성된 결합편(211)의 결합구멍(212)에 본체(110)의 결합돌기(114)가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00)과 커버 케이싱(200)이 결합되고, 슬라이더(700)가 안테나(5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700)의 누름 단추부(760, 770)가 러버 패드(400)의 탄성봉(460, 470)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는 PCB(300)와 러버 패드(400)와 안테나(500)를 먼저 조립하여 제 1 세트(G1)를 구성하고, 슬라이더(700)와 버튼 캡(800)을 조립하여 제 2 세트(G2)를 구성하며, 제 1 세트(G1)를 하우징(100)의 단턱부(115)에 안착하고, 제 2 세트(G2)를 커버 케이싱(200)에 삽입한 후, 하우징(100)과 커버 케이스(200)를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함으로써,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차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유 정보가 부여된 스마트 키(미도시)가 인식 가능한 반경 내에 접근하면 안테나(500)가 스마트 키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전자유닛이 송수신 정보로부터 스마트 키의 고유 정보가 저장된 고유 정보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검증 단계를 거치고, 검증 결과 정보 일치하면 엔진 스타트/스톱 또는 ACC 모드로의 전환을 허용하는 신호를 PCB(300)에 전달한다
이후,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화살표(10) 방향으로 버튼 캡(800)을 누르면, 버튼 캡(800)이 눌려진 만큼 슬라이더(700)가 러버 패드(400) 쪽으로 하강하게 되면서, 슬라이더(700)의 누름 단추부(760, 770)가 러버 패드(400)의 탄성봉(460, 470)을 누르게 됨으로써, 탄성봉(460, 470)이 압축되면서 탄성봉(460, 470)의 하단에 배치된 가동 단자(465, 475)가 PCB(300)의 고정 단자(320, 330)에 접속되어, 스위칭 신호가 핀블록(600)의 핀을 통해 차량의 BCM(Body Control Module)으로 출력된다.
이후, 버튼 캡(8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봉(460, 470)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 단자(465, 475)가 PCB(300)의 고정 단자(320, 330)에 분리되고, 탄성봉(460, 470)이 슬라이더(700)의 누름 단추부(760, 770)의 밀어올려, 슬라이더(700)에 지지된 버튼 캡(800)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에 있어서, 방수구조 특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 캡(800)은 노브(810)와 테두리 프레임(820) 사이에 결합홈(830)이 형성되고, 테두리 프레임(820)의 하부 수평부(821)에 배수 구멍(823)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700)는 중공부(711)가 형성된 원판부(710)의 둘레에 외곽 프레임(720)이 형성되며, 외곽 프레임(720)의 하부면(721)에 배수구멍(723)이 형성되어, 배수구멍(723)이 버튼 캡(800)의 배수구멍(8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배수구멍(723)이 형성된 하부면(721)에서 가이드편(725)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원통형의 본체(110)에 제 1 상부 평면부(111)와 제 1 하부 평면부(11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 1 하부 평면부(112)에 배수를 위한 내측 단차면(113)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에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버튼 캡(800)의 정면으로 물이 뿌려지거나 제공될 경우, 아래와 같이 물이 배수되어, 커버 케이싱(200)과 결합된 하우징(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 케이싱(200)의 받침링(220)에 형성된 내측 받침홈(221)에 버튼 캡(800)의 테두리 프레임(820)과 슬라이더(700)의 외곽 프레임(720)이 끼워지고, 내측 받침홈(221)의 내벽부(222)가 버튼 캡(800)의 수용홈(830)에 끼워짐으로써, 버튼 캡(800)의 정면으로 물이 뿌려지거나 제공될 경우, 물이 버튼 캡(800)의 수용홈(830)을 따라 하부 수평부(821)로 흘러내리게 되고, 하부 수평부(821)로 흘러내린 물이 배수 구멍(823)과 슬라이더(700)의 배수구멍(723)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 케이싱(200)의 원통부(210)가 하우징(100)의 본체(110)에 끼워져, 원통부(210)가 본체(110)의 내측 단차면(113)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원통부(210)와 본체(110) 사이에 슬라이더(700)의 가이드편(725)이 배치되어, 슬라이더(700)의 가이드편(725)에 의해 물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본체(110)의 내측 단차면(113)에 의해 원통부(210)와 가이드편(725) 사이에 배수로(20)가 형성되어, 버튼 캡(800)의 배수 구멍(823)과 슬라이더(700)의 배수구멍(72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배수로(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버튼 캡(800)의 수용홈(830)과 커버 케이싱(200)의 내벽부(222)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화살표(31)는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버튼 캡(800)의 배수 구멍(823)과 슬라이더(700)의 배수구멍(723)을 통과하여 배수로(20)로 흐르게 되고, 배수로(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는 상기와 같은 방수구조를 가짐으로써, 물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PCB(30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한, 상기와 같은 방수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700)의 가이드편(725)과 본체(110)의 내측 단차면(113)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S1)은 최대 0.2mm 이하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작은 개미 등과 같은 작은 생물이 배수로(20)로 들어와도, 슬라이더(700)의 가이드편(725)과 본체(110)의 내측 단차면(113) 사이의 간극(S1)으로 들어갈 수 없어, 작은 개미 등과 같은 작은 생물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편(725)은 바깥면의 외측단에 일자형의 방수돌기부(72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 케이싱(200)의 원통부(210)는 가이드편(725)의 방수돌기부(726)에 대응되게 안쪽면(211)에 커플홈(212)이 형성되며, 커플홈(212)과 방수돌기부(726) 사이의 간극(S2, S3)이 최대 0.2mm 이하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작은 개미 등과 같은 작은 생물이 배수로(20)로 들어와도, 작은 생물이 커플홈(212)의 바닥면과 방수돌기부(726) 사이의 간극(S2, S3)을 통과할 수 없어, 커버 케이싱(20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핀블록(600)이 하우징(100)의 단자챔버(150)의 바닥면(151)에 안착된 상태에서, 핀블록(600)의 접속핀(610)이 단자챔버(150)의 바닥면(151)에 형성된 구멍(152)을 통해 돌출되며, 상기 접속핀(610)과 구멍(152) 사이의 간극(S4)은 최대 0.125mm 이하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작은 개미 등과 같은 작은 생물이 상기 간극(S4)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 특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본체(110)의 일단이 개방되고, 본체(110)의 타단이 밀폐되고, 본체(110)에 제 1 상부 평면부(111)와 제 1 하부 평면부(11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 1 상부 평면부(111)와 제 1 하부 평면부(112)의 외측에 탄성 그립(120, 125)이 각각 형성되며, 제 1 하부 평면부(112)에 배수를 위한 내측 단차면(113)이 형성되고, 본체(11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돌기(114)가 형성되며, 본체(110)의 중간에 단턱부(115)가 형성되어, 단턱부(115)에 의해 본체(110)가 상부 원통부(110a)와 하부 원통부(110b)로 구분되고, 단턱부(115)에 PCB(300 ; 도 2 참조)가 안착되며, 하부 원통부(110b)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챔버(150)의 바닥면(151)에 핀블록(600)이 장착되어, 핀블록(600)의 접속핀(610)의 일단이 PCB(300)의 제 2 접속구멍(370)에 끼워지고, 접속핀(610)의 타단이 핀 안내부(116)로 돌출된다.
상기 탄성 그립(120, 125)은 하우징(100)이 차량의 버튼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케이싱(200)은 원통부(210)가 하우징(100)의 본체(110)의 둘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부(210)가 하우징(100)의 본체(110)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원통부(210)의 상단에 받침링(220)이 형성되며, 받침링(220)의 내측에 내측 받침홈(221))이 형성되고, 원통부(210)의 선단 외주면에 복수개의 플랜지 리브(230)가 형성되며, 플랜지 리브(230) 사이에 외측 결합홈(240)이 형성되고, 외측 결합홈(240)의 중앙에 결합돌기(245)가 형성되며, 플랜지 리브(230)가 보호 링(900)에 의해 커버되고, 외측 결합홈(240)의 결합돌기(245)가 보호 링(900)의 결합편(910)에 형성된 결합홈(915)에 결합되며, 원통부(210)의 하단에 복수개의 결합편(211)이 형성되고, 결합편(211)의 중앙에 결합구멍(212)이 형성되며, 결합구멍(212)에 본체(110)의 결합돌기(114)가 록킹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PCB(300)는 상부면 중앙에 LED(310)가 장착되고, 상부면에 2개의 고정 단자(320, 330)가 장착되고, 2개의 고정 단자(320, 330) 사이에 LED(310)가 배치되어, 고정단자(320, 330)가 러버 패드(400)의 가동 단자(465, 475 ; 도 5 참조)에 대응되고, 사이드 원호부의 중앙에 사이드 홈(440, 450)이 각각 형성되고, 안테나(500)의 접속핀(540)이 끼워지는 제 1 접속구멍(360)과 핀블록(600)의 접속핀(610)이 끼워지는 제 2 접속구멍(370)이 각각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러버 패드(400)는 PCB(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PCB(300)의 LED(310)를 위한 센터 구멍(410)이 중앙에 형성되고, 센터 구멍의 양 측부에 탄성봉(460, 470)이 각각 형성되며, 탄성봉(460, 470)의 하부면에 가동 단자(465, 475)가 각각 장착되며, 사이드 원호부(402, 403)의 중앙에 장착홈(440, 450)이 형성되고, 사이드 원호부(402, 403) 사이에 사이드 홈(480)이 형성되어, 안테나(500)의 접속핀(540)이 사이드 홈(480)을 통해 PCB(300)에 접속된다.
상기 안테나(500)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보빈(510)의 둘레에 이모빌라이저 코일(도시하지 않음)이 권선되고, 보빈(510)에 한 쌍의 후크 클램프(520, 530)가 형성되어, 후크 클램프(520, 530)가 보빈(510)의 원호부(511, 512)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보빈(510)의 어느 한 직선부에 접속핀(540)이 장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더(700)는 중공부(711)가 형성된 원판부(710)의 둘레에 외곽 프레임(720)이 형성되며, 외곽 프레임(720)의 하부면(721)에 배수구멍(723)이 형성되어, 배수구멍(723)이 버튼 캡(800)의 배수구멍(8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배수구멍(723)이 형성된 하부면(721)에서 가이드편(725)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곽 프레임(720)에 복수개의 결합홈(730)이 형성되어, 결합홈(730)이 버튼 캡(800)의 결합 돌기부(825)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원판부(710)에 한 쌍의 누름 단추부(760, 770)가 형성되어, 한 쌍의 누름 단추부(760, 770)가 중공부(711)의 둘레에서 2개의 서포트 돌기부(781, 78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버튼 캡(800)은 노브(810)와 테두리 프레임(820) 사이에 결합홈(830)이 형성되고, 테두리 프레임(820)의 하부 수평부(821)에 배수 구멍(823)이 형성되고, 테두리 프레임(820)에 결합 돌기부(825)가 형성된다.
100 : 하우징 200 : 커버 케이싱
300 : PCB 400 : 러버 패드
500 : 안테나 600 : 핀블록
700 : 슬라이더 800 : 버튼 캡

Claims (10)

  1. 핀블록(60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과 커버 케이싱(200)이 결합되고, 결합된 하우징(100)과 커버 케이싱(200)의 내부에 PCB(300), 러버 패드(400), 안테나(500), 슬라이더(700) 및 버튼 캡(800)이 장착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에 있어서,
    PCB(300)와 러버 패드(400)가 겹쳐진 상태에서, 안테나(500)의 보빈(510)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2개의 후크 클램프(520, 530)가 러버 패드(400)의 사이드 홈(440, 450)을 통해 PCB(300)의 결합홈(340, 350)에 결합되어, 후크 클램프(520, 530)에 의해 안테나(500)와 러버 패드(400)와 PCB(300)가 결합되고, 안테나(500)의 접속핀(540)이 PCB(300)의 제 1 접속구멍(360)에 끼워짐으로써, PCB(300)와 러버 패드(400)와 안테나(500)가 제 1 세트(G1)를 이루고,
    버튼 캡(800)의 테두리 프레임(820)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825)가 슬라이더(700)의 외곽 프레임(720)에 형성된 결합홈(730)에 결합되어, 슬라이더(700)와 버튼 캡(800)이 제 2 세트(G2)를 이루고,
    제 1 세트(G1)의 PCB(300)가 하우징(100)의 단턱부(115)에 안착되어, PCB(300)의 제 2 접속구멍(370)에 하우징(100)에 배치된 핀블록(600)의 접속핀(610)이 끼워지고, 제 2 세트(G2)가 커버 케이싱(200)의 원통부(210)에 삽입되어, 커버 케이싱(200)의 받침링(220)에 형성된 내측 받침홈(221)에 버튼 캡(800)의 테두리 프레임(820)과 슬라이더(700)의 외곽 프레임(720)이 끼워지고, 내측 받침홈(221)의 내벽부(222)가 버튼 캡(800)의 수용홈(830)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본체(110)에 커버 케이싱(200)의 원통부(210)가 끼워지고, 원통부(210)에 형성된 결합편(211)의 결합구멍(212)에 본체(110)의 결합돌기(114)가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00)과 커버 케이싱(200)이 결합되고, 슬라이더(700)가 안테나(5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700)의 누름 단추부(760, 770)가 러버 패드(400)의 탄성봉(460, 470)에 밀착되고,
    상기 핀블록(600)이 하우징(100)의 단자챔버(150)의 바닥면(151)에 안착된 상태에서, 핀블록(600)의 접속핀(610)이 단자챔버(150)의 바닥면(151)에 형성된 구멍(152)을 통해 돌출되며, 상기 접속핀(610)과 구멍(152) 사이의 간극(S4)은 최대 0.125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캡(800)은 노브(810)와 테두리 프레임(820) 사이에 결합홈(830)이 형성되고, 테두리 프레임(820)의 하부 수평부(821)에 배수 구멍(823)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700)는 중공부(711)가 형성된 원판부(710)의 둘레에 외곽 프레임(720)이 형성되며, 외곽 프레임(720)의 하부면(721)에 배수구멍(723)이 형성되어, 배수구멍(723)이 버튼 캡(800)의 배수구멍(8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배수구멍(723)이 형성된 하부면(721)에서 가이드편(725)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은 원통형의 본체(110)에 제 1 상부 평면부(111)와 제 1 하부 평면부(11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 1 하부 평면부(112)에 배수를 위한 내측 단차면(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본체(110)에 커버 케이싱(200)의 원통부(210)가 끼워져, 원통부(210)가 본체(110)의 내측 단차면(113)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원통부(210)와 본체(110) 사이에 슬라이더(700)의 가이드편(725)이 배치되어, 슬라이더(700)의 가이드편(725)에 의해 물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본체(110)의 내측 단차면(113)에 의해 원통부(210)와 가이드편(725) 사이에 배수로(20)가 형성되어, 버튼 캡(800)의 배수 구멍(823)과 슬라이더(700)의 배수구멍(72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배수로(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700)의 가이드편(725)과 본체(110)의 내측 단차면(113)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S1)은 최대 0.2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725)은 바깥면의 외측단에 일자형의 방수돌기부(72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 케이싱(200)의 원통부(210)는 가이드편(725)의 방수돌기부(726)에 대응되게 안쪽면(211)에 커플홈(212)이 형성되며, 커플홈(212)과 방수돌기부(726) 사이의 간극(S2, S3)이 최대 0.2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본체(110)의 일단이 개방되고, 본체(110)의 타단이 밀폐되고, 본체(110)에 제 1 상부 평면부(111)와 제 1 하부 평면부(11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 1 상부 평면부(111)와 제 1 하부 평면부(112)의 외측에 탄성 그립(120, 125)이 각각 형성되며, 제 1 하부 평면부(112)에 배수를 위한 내측 단차면(113)이 형성되고, 본체(11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돌기(114)가 형성되며, 본체(110)의 중간에 단턱부(115)가 형성되어, 단턱부(115)에 의해 본체(110)가 상부 원통부(110a)와 하부 원통부(110b)로 구분되고, 단턱부(115)에 PCB(300)가 안착되며, 하부 원통부(110b)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챔버(150)의 바닥면(151)에 핀블록(600)이 장착되어, 핀블록(600)의 접속핀(610)의 일단이 PCB(300)의 제 2 접속구멍(370)에 끼워지고, 접속핀(610)의 타단이 핀 안내부(116)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케이싱(200)은 원통부(210)가 하우징(100)의 본체(110)의 둘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부(210)가 하우징(100)의 본체(110)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원통부(210)의 상단에 받침링(220)이 형성되며, 받침링(220)의 내측에 내측 받침홈(221))이 형성되고, 원통부(210)의 선단 외주면에 복수개의 플랜지 리브(230)가 형성되며, 플랜지 리브(230) 사이에 외측 결합홈(240)이 형성되고, 외측 결합홈(240)의 중앙에 결합돌기(245)가 형성되며, 플랜지 리브(230)가 보호 링(900)에 의해 커버되고, 외측 결합홈(240)의 결합돌기(245)가 보호 링(900)의 결합편(910)에 형성된 결합홈(915)에 결합되며, 원통부(210)의 하단에 복수개의 결합편(211)이 형성되고, 결합편(211)의 중앙에 결합구멍(212)이 형성되며, 결합구멍(212)에 본체(110)의 결합돌기(114)가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400)는 PCB(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PCB(300)의 LED(310)를 위한 센터 구멍(410)이 중앙에 형성되고, 센터 구멍의 양 측부에 탄성봉(460, 470)이 각각 형성되며, 탄성봉(460, 470)의 하부면에 가동 단자(465, 475)가 각각 장착되며, 사이드 원호부(402, 403)의 중앙에 장착홈(440, 450)이 형성되고, 사이드 원호부(402, 403) 사이에 사이드 홈(480)이 형성되어, 안테나(500)의 접속핀(540)이 사이드 홈(480)을 통해 PCB(300)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700)는 중공부(711)가 형성된 원판부(710)의 둘레에 외곽 프레임(720)이 형성되며, 외곽 프레임(720)의 하부면(721)에 배수구멍(723)이 형성되어, 배수구멍(723)이 버튼 캡(800)의 배수구멍(8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배수구멍(723)이 형성된 하부면(721)에서 가이드편(725)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곽 프레임(720)에 복수개의 결합홈(730)이 형성되어, 결합홈(730)이 버튼 캡(800)의 결합 돌기부(825)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원판부(710)에 한 쌍의 누름 단추부(760, 770)가 형성되어, 한 쌍의 누름 단추부(760, 770)가 중공부(711)의 둘레에서 2개의 서포트 돌기부(781, 78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KR1020200003734A 2020-01-10 2020-01-10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KR10227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734A KR102274767B1 (ko) 2020-01-10 2020-01-10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JP2020188856A JP6996785B2 (ja) 2020-01-10 2020-11-12 エンジンスタートストップボタ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734A KR102274767B1 (ko) 2020-01-10 2020-01-10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767B1 true KR102274767B1 (ko) 2021-07-07

Family

ID=7686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734A KR102274767B1 (ko) 2020-01-10 2020-01-10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96785B2 (ko)
KR (1) KR102274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3944A1 (fr) 2022-03-22 2023-09-29 Psa Automobiles Sa Bouton de commande fonctionnelle pour véhicules automobi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420U (ko) * 2009-10-28 2011-05-04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KR20120045839A (ko) * 2010-11-01 2012-05-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KR20120050040A (ko) * 2010-11-10 2012-05-18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KR20150027002A (ko) * 2013-09-03 2015-03-11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7903B2 (ja) * 2009-02-16 2013-04-2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749754B2 (ja) * 2013-02-13 2015-07-15 東洋電装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KR102005037B1 (ko) * 2018-03-22 2019-07-29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420U (ko) * 2009-10-28 2011-05-04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KR20120045839A (ko) * 2010-11-01 2012-05-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KR20120050040A (ko) * 2010-11-10 2012-05-18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KR20150027002A (ko) * 2013-09-03 2015-03-11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3944A1 (fr) 2022-03-22 2023-09-29 Psa Automobiles Sa Bouton de commande fonctionnelle pour véhicules automob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96785B2 (ja) 2022-01-17
JP2021111615A (ja)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5072C (fi) Kopplingsanordning.
KR102274767B1 (ko)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KR101170199B1 (ko)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정 장치
CN109140699A (zh) 显示盒及具有其的空调器
KR910000379Y1 (ko) 전화기용 송수화기
WO2013042403A1 (ja) 防水防塵スイッチ
US10157715B2 (en) Switch apparatus having wireless function
JPS59109028U (ja) リミツトスイツチ
KR101789925B1 (ko)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JP2023517237A (ja) アンテナ付き自動車用小型スタートスイッチ
JPH03258195A (ja) キーコード送信装置
KR100647981B1 (ko)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KR100549027B1 (ko) 스위치 장치
JP2002070373A (ja) 送信機
KR200274032Y1 (ko) 휴대용 전화기의 메탈 돔 스위치 모듈
KR200176988Y1 (ko) 텀블러스위치의스위치커버구조
CN216269148U (zh) 一种指纹识别点火开关
KR970004053Y1 (ko) 전화기의 키패드 고무 구조
KR101097127B1 (ko) 배자 장치를 갖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
JPH0236647A (ja) 送受話器におけるダイヤルユニツトの組込構造
KR960002205B1 (ko) 자동카메라용 릴리즈 버튼 작동구조
KR200305039Y1 (ko) 개선된 자동차의 도어스위치
KR100192092B1 (ko) 콘넥터내에 벤트홀을 형성한 경음기
KR200182283Y1 (ko) 휴대용 전화기의 키 버튼
KR200247001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케이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