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689B1 - 수신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689B1
KR101015689B1 KR1020057001374A KR20057001374A KR101015689B1 KR 101015689 B1 KR101015689 B1 KR 101015689B1 KR 1020057001374 A KR1020057001374 A KR 1020057001374A KR 20057001374 A KR20057001374 A KR 20057001374A KR 101015689 B1 KR101015689 B1 KR 101015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high frequency
filter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676A (ko
Inventor
마사유끼 호소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2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6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applications, e.g. CATV, tuner, antennas ampl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실드 성능을 향상시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의 풀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고주파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30)와, 증폭된 고주파 입력 신호를 동조시켜서 목적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목적 외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34)와, 필터부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직접 변환하여 검파하는 다이렉트 컨버젼부(36)를 탑재한 기판(20)과, 기판(20)에 대하여 고정되고 필터부로부터 생기는 고주파의 전자파의 공간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터부와 다른 부분과의 경계 부분에 세워 필터부를 둘러싸는 제1 고주파 실드부(90)와, 제1 고주파 실드부(90)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필터부에 대면하도록 접근하여 배치되고, 필터부(34)로부터 생기는 고주파의 전자파의 공간 복사의 누설을 제1 고주파 실드부(90)에 의해 방지하는 제2 고주파 실드부(60)를 구비한다.
실드 성능, 풀링 문제, 고주파, 전자파, 공간 복사, 다이렉트 컨버젼부, 필터부, 고주파 실드부, 증폭부

Description

수신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RECEIVER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 및 이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텔레비전 수상기를 들 수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는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 이용되고 있는 수신 장치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소위 헤테로다인 방식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헤테로다인 방식에서는, 안테나(1000)에 대하여 고주파 입력 신호 f가 들어온다. 이 고주파 입력 신호 f는 혼합 주파수 f1에 의해 혼합되어 선국됨으로써 (f-f1)인 중간 주파수가 얻어진다. 이 중간 주파수 (f-f1)은 또한 필터 등을 통한 후에 일정한 주파수 f2에 의해 혼합되어 ((f-f1)-f2)의 베이스 밴드가 얻어진다. 이 베이스 밴드의 주파수는 DC(직류)로부터 수 10㎒까지의 범위를 갖고 있다.
또, 이 경우의 f, f1, f2의 관계는 f=f1+f2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헤테로다인 방식에서는 부품 점수가 많고 주파수 변환을 몇번이나 행하기 때문에 코스트가 높게 된다.
그래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 점수가 적어 구조가 간단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직접 변환 방식)이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 직접 변환 방식에서는, 수신 안테나(1010)에 대하여 고주파 입력 신호 f가 입력되면, 선국 주파수와 동일한 혼합 주파수 f1이 이 고주파 입력 신호와 혼합되어 차 신호가 추출됨으로써 (f-f1)이라고 하는 베이스 밴드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 이 경우의 f, f1의 관계는 f=f1이다.
이러한 종류의 수신 장치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016)에 대하여 증폭부(1020), 필터부(1024), 다이렉트 컨버젼부(1026) 및 디지털 복조부(10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1016)에 대해서는 실드 케이스(1030)와 실드 커버(10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실드 케이스(1030)와 실드 커버(1040)는 기판(1016)의 각 요소를 고주파적으로 실드하고 있다.
실드 커버(1040)는, 외주부에 설치된 복수의 갈고리(1060)를 이용하여 실드 케이스(1030)의 리브(1061)에 대하여 걸리도록 하여 맞물려 있어, 실드 커버(1040)와 실드 케이스(1030)는 접촉하고 또한 상호 고정되어 있다.
실드 케이스(1030)는 틀부(1055)를 갖고 있고, 이 틀부(1055)의 중앙에는 중앙 구획판(1056)이 배치되어 있다. 틀부(1055)는 복수의 갈고리(1050)를 갖고 있고, 이 갈고리(1050)는 기판(1016)의 오목부(1017)에 대해서 끼워 넣음으로써, 실드 케이스(1030)가 기판(1016)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판(1016)의 각 기능 블록인 증폭부(1017), 필터부(1024), 다이 렉트 컨버젼부(1026) 및 디지털 복조부(1030)가 둘러싸여 실드되어 있다.
실드 케이스(1030)의 중앙 구획판(1056)은, 예를 들면 필터부(1024)와 다이렉트 컨버젼부(1026) 사이를 실드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중앙 구획판(1056)은 기판(1016)의 그라운드에 납땜됨으로써, 실드판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실드 커버(1040) 및 실드 케이스(1030)의 구조에서는, 중앙 구획판(1056)과 실드 커버(1040)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때문에, 고주파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이 중앙 구획판(1056)과 실드 커버(1040) 사이의 간극으로부터의 고주파의 전자파의 누설이 생겨, 실드 효과가 약하게 된다.
또한, 고주파적으로 보면, 중앙 구획판(1056)에서는 기판(1016)의 그라운드와 납땜되어 있는 개소가 가장 그라운드 임피던스가 낮지만, 이 중앙 구획판(1056)보다 먼 위치에 있는 실드 케이스(1030) 부분은 그라운드 임피던스가 높게 된다.
실드 커버(1040)는, 복수의 갈고리(1060) 및 실드 커버(1040)의 용수철 형상 누름쇠(1070)만이 실드 케이스(1030)측에 접촉하고 있을 뿐이고, 그 이외의 실드 커버(1040)와 실드 케이스(1030)는 접촉하지 않으며, 그라운드 임피던스가 낮게 되는 부분이 이러한 복수의 갈고리(1060) 및 용수철 형상 누름쇠(1070) 이외에는 없다.
그라운드 임피던스가 높은 부분에는 고주파 전류가 유기되기 쉽고, 이 유기된 전류에 의해 공간에 고주파 에너지가 재차 복사되는 경우가 있어, 종래의 실드 커버 및 실드 케이스를 이용한 실드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는, 수신 주파수인 고주파 입력 신호 f와 로컬 주파수 f1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고, 수신 장치의 입력부에 강 레벨의 고주파 입력 신호가 들어간 경우에, 초단의 증폭부(1020), 나아가서는 부 동조 밴드 패스 필터 등의 필터부(1024)에서 고주파 에너지는 매우 높게 된다. 특히, 필터부(1024)는 기판(1016)의 회로의 Q값에 의해, 고주파 에너지는 공간에 복사되기 쉽다. 여기서 복사된 에너지가 선국부의 로컬 주파수를 어지럽힌다고 하는 소위 풀링(Pulling)이라고 하는 문제가,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는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소하여, 실드 성능을 향상시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의 풀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신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목적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부, 및 이 필터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부가 배치되는 기판으로서, 이 기판에 배치되는 필터부와 이 필터부 주위와의 경계에 열려진 구멍의 근방에 기준 전위의 랜드를 갖는 기판과,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실드판부, 및 이 기판의 구멍에 삽입되어, 납땜에 의해 기준 전위의 랜드에 접속되며, 실드판부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갖고, 필터부를 이 실드판부에 의해 둘러싸는 실드 케이스와, 이 실드 케이스의 실드판부에 덮이는 금속의 실드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이다.
이에 의해, 실드 케이스의 돌기부가 기판의 기준 전위의 랜드에 납땜된 상태에서, 실드 케이스는 필터부와 다른 부분과의 경계 부분에 세워 필터부를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실드 커버는 실드 케이스에 덮여 배치됨으로써, 필터부로부터 생기는 고주파의 전자파의 공간 복사의 누설을 방지하기 때문에,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의 풀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수신 장치에서, 이 실드 커버의 일부가 구부려져 낙입 덮개 형상(기판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오목 형상의 덮개 모양)(dropped-lid shape)으로 형성되고, 필터부를 덮는 주면부와, 이 주면부의 양 단부를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주면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 올려지고, 실드 케이스의 실드판부에 면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1 면 접촉부 및 제2 면 접촉부를 갖고, 이 제1 면 접촉부는 주면부와 실드 커버가 구부려져 있지 않은 부분과의 경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실드 케이스의 실드판부에 대하여, 실드 커버는 제1 면 접촉부와 제2 면 접촉부에 의해 면 접촉하여, 기판의 실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수신 장치에서, 실드 커버의 제2 면 접촉부는 주면부에 대하여 직각보다 더욱 각도를 붙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실드 케이스에 덮였을 때에 실드 케이스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검파부의 출력으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복조하는 디지털 복조부와, 이 디지털 복조부로부터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다중되는 데이터로부터 희망하는 프로그램의 압축 데 이터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와, 이 데이터 분리부로부터의 프로그램의 압축 데이터를 신장하는 MPEG 복조부와, 이 MPEG 복조부로부터의 신장된 데이터를 영상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처리부와, 이 화상 처리부로부터의 영상 출력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이다.
본 발명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기판은, 고주파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된 고주파 입력 신호를 동조시켜서 목적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목적 외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와, 필터부로부터의 고주파 입력 신호를 다이렉트 컨버젼하여 검파하는 검파부를 탑재하고 있다.
실드 케이스의 돌기부가 기판의 기준 전위의 랜드에 납땜된 상태에서, 실드 케이스는 필터부와 다른 부분과의 경계 부분에 세워져 필터부를 둘러쌀 수 있다. 실드 커버는, 실드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필터부를 덮어 배치되는 것이다. 이 실드 커버는, 실드 케이스와 함께 필터부로부터 생기는 고주파의 전자파의 공간 복사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의 풀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수신 장치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신 장치로부터 실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드 커버만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실드 커버와 실드 케이스 및 기판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실드 커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드 커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드 커버의 낙입 덮개 형상 부분의 형상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수신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수신 장치에서의 실드 커버, 실드 케이스 및 기판의 단면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통상 이용되고 있는 헤테로다인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 이용되고 있는 수신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합한 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의 한정이 부가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서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신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텔레비전 수상기를 들고 있다.
이 텔레비전 수상기(14)는 수신 장치(10), 데이터 분리부(42), MPEG 복조부(44), 화상 처리부(46), 및 표시부(4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신 장치(10)는 기 판(회로 기판이라고도 함)(20)을 갖고 있고, 이 기판(20)은 증폭부(30), 필터부(34), 다이렉트 컨버젼부(36) 및 디지털 복조부(40)를 갖고 있다.
증폭부(30), 필터부(34), 다이렉트 컨버젼부(36) 및 디지털 복조부(40)는 기판(20) 상에 형성된 기능 블록이다. 증폭부(30)는 커넥터(90A)를 통하여 수신 안테나에 접속되어 있고, 수신 안테나는 고주파 입력 신호 f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고주파 입력 신호 f는 증폭부(30)에서 증폭된다. 필터부(34)는 증폭된 고주파 입력 신호를 동조시켜서 목적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목적 외 신호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필터부(34)는 선국 주파수(로컬 주파수) f1을 발생하고 있다.
다이렉트 컨버젼부(36)는 고주파 입력 신호 f로부터 필터부(34)가 발생하고 있는 로컬 주파수 f1을 뺌으로써 베이스 밴드 (f-f1)을 발생시킨다. 즉, 다이렉트 컨버젼부(36)는 증폭된 고주파 입력 신호 f를 필터부(34)가 발생하고 있는 로컬 주파수 f1에 의해 선국시켜서 직접 변환하여 검파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디지털 복조부(40)는 디지털 변조 신호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복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데이터 분리부(42)는 이와 같이 디지털 복조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다중되는 영상 정보, 음성 정보, 프로그램 특정 정보, 프로그램 배열 정보, 및 데이터 방송 정보 등을 패킷 단위로 필터링하고, 희망하는 프로그램의 압축 데이터를 분리·선택한다.
MPEG 복조부(44)는 데이터 분리부(42)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의 압축 데이터를 신장한다. 화상 처리부(46)는 MPEG 복조부(44)에 의해 신장된 데이터로부터 영상 출력 신호를 출력하여,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48)에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음성 정보는, 도시되지 않은 음성 처리부에 의해 음성 처리가 실시된 후에 스피커 등을 통하여 출력된다.
도 2는 도 1의 수신 장치(10)의 실제의 형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수신 장치(10)는 기판(20), 실드 커버(60), 실드 케이스(90)를 갖고 있다.
실드 커버(60)와 실드 케이스(90)는 고주파의 전자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금속, 일례로서 알루미늄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실드 커버(60)는 실드 케이스(90) 위에서 씌워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실드 케이스(90)는 기판(2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3은 실드 케이스(90)만이 기판(20)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실드 커버(60)는 실드 케이스(90)로부터는 제거되어 있다. 도 4는 실드 커버(6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도 2에서의 A-A선에서의 단면 형상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20)의 한쪽 면 위에는 증폭부(30), 필터부(34), 다이렉트 컨버젼부(36), 디지털 복조부(4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b는 실드 케이스(90)의 돌기(170)가 기판(20)의 구멍부(173)에 삽입되어 납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c는 기판(20)의 다른 쪽 면을 도시하며, 기판(20)의 구멍부(173)에 실드 케이스(90)의 돌기(170)가 삽입되어 있지만, 납땜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 이다.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20)의 다른 쪽 면에는 거의 앞면에 걸쳐 그라운드 패턴(171)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20)의 구멍부(173)의 주위에 라운드(175)가 설치되고, 이 라운드(175)와 실드 케이스(90)의 돌기(170)가 납땜됨으로써 실드 케이스(90)를 고정함과 함께, 실드 케이스(90)가 그라운드 패턴(17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실드 케이스(90)를 접지할 수 있다.
이 실드 케이스(90)에 실드 커버(60)를 덮음으로써, 필터부로부터 생기는 고주파의 전자파의 공간 복사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우선,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실드 케이스(9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드 케이스(9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판을 절곡 및 펀칭 등을 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서, 제1 고주파 실드부에 상당한다. 이에 대하여, 실드 커버(60)는 제2 고주파 실드부에 상당한다.
제1 고주파 실드부로서 기능하는 실드 케이스(90)는, 도 5에 도시하는 기판(20)의 각 기능 블록인 증폭부(30), 필터부(34), 다이렉트 컨버젼부(36)의 각각으로부터의 고주파의 전자파의 공간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술한 증폭부(30), 필터부(34), 다이렉트 컨버젼부(36)를 둘러싸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드 케이스(90)는 증폭부(30)를 둘러싸는 제1 틀부(100), 필터부(34)를 둘러싸는 제2 틀부(101), 그리고 다이렉트 컨버젼부(36)를 둘러싸는 제3 틀부(102)를 갖고 있다. 제1 틀부(100), 제2 틀부(101) 및 제3 틀부(102)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틀부(100)는 증폭부(30)와 다른 부분과의 경계 부분에 세워 증폭부(30)를 둘러싸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1 틀부(100)는 측면부(110, 111, 112, 113)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2 틀부(101)는 필터부(34)와 다른 부분과의 경계 부분에 세워 필터부(34)를 둘러싸기 위해서, 제1 실드판부(115), 제2 실드판부(117), 제3 실드판부(118) 및 제4 실드판부(119)를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제1 틀부(100)의 측면부(110)와 측면부(113)는 대면하고 있고, 측면부(111)와 측면부(112)는 마찬가지로 대면하고 있다. 이들 4개의 측면부(110 내지 113)는, 증폭부(30)와, 다른 부분인 필터부(34)를 구분하도록 하여 세워 형성되어 있다.
제2 틀부(101)의 제1 실드판부(115)와 제2 실드판부(117)는 대면하고 있고, 제3 실드판부(118)와 제4 실드판부(119)도 대면하고 있다. 제1 실드판부(115)는 증폭부(30)와 필터부(34) 사이의 제1 경계 부분에 세워 형성되어 있다. 제2 실드판부(117)는 필터부(34)와 다이렉트 컨버젼부(36) 사이의 제2 경계 부분에 세워 형성되어 있다.
제3 실드판부(118)와 제4 실드판부(119)는 필터부(34)와 외부 사이에 세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틀부(101)는 사각 형상의 필터부(34)의 4 모퉁이의 경계 부분에 세워 고주파의 전자파의 실드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113)와 제1 실드판부(115)는 공통화된 부분이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하는 제3 틀부(102)는 다이렉트 컨버젼부(36)를 둘러싸기 위해서 측면부(130, 131, 132, 133)를 갖고 있다. 측면부(130, 132)가 대면 하고 있고, 측면부(131, 133)도 대면하고 있다. 측면부(130)는 필터부(34)와 다이렉트 컨버젼부(36)와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측면부(132)는 다이렉트 컨버젼부(36)와 디지털 복조부(40) 사이의 경계 부분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측면부(131)와 측면부(133)는 다이렉트 컨버젼부와 외부 사이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측면부(130)는 제2 실드판부(117)와 공통 부분이다.
그 외에, 도 3에 도시하는 제1 고주파 실드부로서의 실드 케이스(90)의 4개의 측면에는 리브(150)가 기판(20)의 X 방향과 Y 방향에 평행하게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앞측의 한쌍의 리브(150, 150)가 도시되어 있지만, 대향측의 2면에도 동일한 리브(150, 1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드 케이스(90)는 제1 실드판부(115)와 제2 실드판부(117)에 복수의 돌기(170)를 갖고 있다. 이들 돌기(170)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에 형성된 구멍부(173)에 대하여 끼워 넣어지며, 구멍부(173)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그라운드 패턴의 랜드에 납땜됨으로써 접지되어, 실드 케이스(90)는 기판(20)에 대하여 돌기(170)를 통해 부착된다.
다음으로,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2 고주파 실드부로서의 실드 커버(6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드 커버(6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거의 직사각 형상의 부재이다. 실드 커버(60)는 도 3에 도시하는 실드 케이스(90)에 대하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에서 씌워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실드 커버(60)는 제1 고주파 실드부로서의 실드 케이스(90)에 의해 증폭부(30), 필터부(34), 다이렉트 컨버젼부(36) 및 디지털 복조부(40)로부터의 공간 복사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드 커버(60)의 주면부(200)가 필터부(34)에 대하여 대면하도록 접근함으로써, 덮어 씌울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필터부(34)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의 전자파가 외부로 공간 복사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의 실드 커버(60)는, 개략적으로는 프레임(201), 주면부(200), 제1 면 접촉부(202), 제2 면 접촉부(203), 및 구멍(204) 등을 갖고 있다.
프레임(201)은 직사각 형상을 형성하고 있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4개의 측면에는 각각 복수의 갈고리(220, 230, 240, 250)가 아래쪽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7a는 도 6의 C-C선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에의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면 접촉부(202)와 제2 면 접촉부(203) 및 주면부(200)는 프레임(201)의 양면부(206)를 잘라 넣음으로써, 낙입 덮개 형상 부분(210)으로 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낙입 덮개 형상 부분(210)은 필터부(34)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면 접촉부(202)가 표면부(206)에 대하여 직각으로 구부려져 있고, 주면부(200)는 제1 면 접촉부(202)에 대하여 또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제2 접촉부(203)는 주면부(200)에 대하여 또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낙입 덮개 형상 부분(210)은 거의 단면에서 보아 U자 형을 갖고 있다.
제1 면 접촉부(202)의 내면은 실드 케이스(90)의 제1 실드판부(115)의 외면과 면 접촉하고 있다. 제2 면 접촉부(203)의 내면은 실드 케이스(90)의 제2 실드판부(117)의 외면에 대하여 면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주면부(200)는 필터부(34)의 약간의 간극이 빈 위치에 대면하여, 즉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필터부(34)가 발생하는 고주파의 전자파는 도 3에 도시하는 제1 실드판부(115), 제2 실드판부(117), 제3 실드판부(118), 제4 실드판부(119)와 도 5에 도시하는 주면부(200), 제1 면 접촉부(202) 및 제2 면 접촉부(203)에 의해 외부로 공간 복사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면 접촉부(203)의 단부는 L자형의 절곡부(203A)로 되어 있고, 이 절곡부(203A)가 제2 실드판부(117)의 상단면에 대하여 부딪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면부(200)는 필터부(34)에 대하여 접근한 상태에서 기판(20)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 결정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실드 케이스(90)는 안테나(45)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90A)를 갖고 있다.
구멍(204)은 다이렉트 컨버젼부(36)의 위치에 대면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드 커버(6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갈고리(220, 230, 240, 250)를 갖고 있지만, 이들 갈고리는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도 2의 실드 커버(60)의 리브(150)에 대하여 맞물리게 함으로써, 실드 커버(60)는 실드 케이스(9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도록 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신 장치는, 소위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 수신 장치(10)에서, 부 동조 밴드 패스 필터 등을 갖고 있는 필터부(34)가 다른 부분에 비해 큰 고주파 에너지를 부차적으로 복사한다.
따라서, 이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실드 케이스(90) 및 실드 커버(60)는 이러한 가장 높은 고주파 에너지를 부차적으로 복사하는 필터부(34) 뿐만 아니라,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폭부(30), 다이렉트 컨버젼부(36)에 대하여도 실드할 수 있도록 하는 실드 커버(60) 및 실드 케이스(90)의 구조를 갖고 있다.
특히, 실드 커버(60)와 실드 케이스(90)는 가장 높은 고주파 에너지(고주파의 전자파)를 발생하는 필터부(34)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낙입 덮개 부분(210)을 설치하여, 실드 커버(60)의 낙입 덮개 부분(210)의 제1 면 접촉부(202)와 제2 면 접촉부(203) 및 주면부(200)와, 실드 케이스(90)의 도 3에 도시하는 제1 실드판부(115), 제2 실드판부(117), 제3 실드판부(118) 및 제4 실드판부(119)를 조합함으로써, 필터부(34)로부터의 고주파 에너지의 외부 공간으로의 복사를 방지하는 것이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면 접촉부(202)가 제1 실드판부(115)에 면 접촉하고 있고, 또한 제2 면 접촉부(203)가 제2 실드판부(117)에 면 접촉하고 있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드 커버(60)와 실드 케이스(90)의 간극이 필터부(34)에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필터부(34)가 발생하는 고주파의 전자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실드 커버(60)와 실드 케이스(90)는, 낙입 덮개 형상 부분(210)의 제1 면 접 촉부(202), 제2 면 접촉부(203)와 실드 케이스(90)의 제1 실드판부(115)와 제2 실드판부(117)를 이용하여 면 접촉하고 있다. 이로부터, 고주파적으로 보아 가장 그라운드 임피던스가 낮은 장소인 제2 실드판부(117)와 기판(20)의 그라운드가 납땜되어 있는 개소의 근방에서, 실드 커버(60)와 구획판으로서의 제2 실드판부(117) 사이에 강고한 면 접촉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 커버(60)의 그라운드 임피던스의 대폭적인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그라운드 임피던스의 감소를 도모함으로써, 고주파 전류의 유기를 억제하고, 그 결과, 고주파의 전자파의 재 복사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제2 고주파 실드부로서의 실드 커버(60)는 실드 케이스(90)의 전체를 덮도록 하는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낙입 덮개 형상 부분(210)의 제2 면 접촉부(203)는, 개방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θ분만큼 기울어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낙입 덮개 형상 부분(210)을 실드 케이스(90)의 제1 실드판부(115)와 제2 실드판부(117) 사이에 강제적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제2 면 접촉부(203)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낙입 덮개 형상 부분(210)이 실드 케이스(9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와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제2 고주파 실드부로서의 실드 커버(360)가 도 2에 도시하는 실드 커버(60)에 비해 소형으로 되어 있다. 이 실드 커버(360)는 실드 케이스(90)에 대하여 갈고리(220)를 이용하여 리브(15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 게 부착되어 있다.
실드 커버(36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부(34)에 대면하는 부분만의 구조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하는 실드 케이스(9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하는 실드 케이스(90)의 구조와 동일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20)도 도 2에 도시하는 기판(20)과 동일하다.
실드 커버(360)는 프레임(301)과 낙입 덮개 형상 부분(310)을 갖고 있다. 이 낙입 덮개 형상 부분(310)은 제1 면 접촉부(202), 제2 면 접촉부(203) 및 주면부(200)를 갖고 있다. 따라서, 낙입 덮개 형상 부분(31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하는 낙입 덮개 형상 부분(210)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드판부(115)는 제1 면 접촉부(202)에 면 접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2 실드판부(117)는 제2 면 접촉부(203)에 면 접촉하고 있다. 주면부(200)는 필터부(34)에 대하여 약간의 간극을 두어 대면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실드 커버(360)의 형상을 작게 할 수가 있고, 특히 고주파의 전자파를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필터부(34)로부터의 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위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 특히 고주파의 전자파를 부차적으로 복사하는 필터부에서의 실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의 풀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드 성능의 향상에 의해, 수신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방해가 있었다 고 하여도, 이 전자파의 진입을 경감할 수 있다.
실드 커버는 낙입 덮개 형상 부분을 갖고 있으므로, 실드 커버와 실드 케이스와의 조립은 이 낙입 덮개 형상 부분을 이용함으로써 실드 커버와 실드 케이스의 상호의 위치 결정이 간단하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조립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 증폭부(앰프 회로부)와, 그 다음의 필터부(필터 회로부라고도 함)를 실드 커버로 덮는 경우에, 필터부에 대하여 낙입 덮개 형상 부분을 배치함으로써, 필터 회로로부터의 고주파의 전자파의 공간으로의 복사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신 장치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텔레비전 수상기에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전자 기기이더라도 본 발명의 수신 장치는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고주파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그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고주파 입력 신호를 동조시켜 목적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로부터의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주파수의 로컬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차 신호인 베이스 밴드 신호를 얻는 다이렉트 컨버젼부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필터부의 주위에 형성되는 실드 케이스용의 구멍의 주위에 기준 전위의 랜드를 갖는 기판과,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증폭부, 필터부 및 다이렉트 컨버젼부를 둘러싸는 실드 케이스로서, 또한 상기 필터부를 둘러싸는 틀부와 그 틀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돌기를 갖고, 그 돌기가 납땜에 의해 상기 기준 전위의 랜드에 접속되는 실드 케이스와,
    상기 필터부를 둘러싸는 틀부를 적어도 덮는 금속의 실드 커버로서, 상기 필터부에 접근하도록 기판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오목 형상의 덮개 모양으로 형성되는 실드 커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 컨버젼부의 출력으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복조하는 디지털 복조부가 상기 기판에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커버는, 구부림으로써 기판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오목 형상의 덮개 모양으로 형성되는 낙입 덮개부와, 그 낙입 덮개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틀부를 갖고,
    상기 낙입 덮개부는 상기 필터부를 덮는 주면부, 그 주면부와 상기 틀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틀부에 면 접촉하는 제1 면 접촉부 및 그 제1 면 접촉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틀부에 면 접촉하는 제2 면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 접촉부는, 상기 실드 케이스에 덮였을 때에 상기 실드 케이스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각도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5. 제1항의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 컨버젼부의 출력으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복조하는 디지털 복조부와,
    상기 디지털 복조부로부터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다중되는 데이터로부터 희망하는 프로그램의 압축 데이터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와,
    상기 데이터 분리부로부터의 프로그램의 압축 데이터를 신장하는 MPEG 복조부와,
    상기 MPEG 복조부로부터의 신장된 데이터를 영상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처리부와,
    상기 화상 처리부로부터의 영상 출력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KR1020057001374A 2002-07-25 2003-07-25 수신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KR101015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6687 2002-07-25
JP2002216687 2002-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676A KR20050025676A (ko) 2005-03-14
KR101015689B1 true KR101015689B1 (ko) 2011-02-22

Family

ID=3118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374A KR101015689B1 (ko) 2002-07-25 2003-07-25 수신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24953B2 (ko)
EP (1) EP1553761B1 (ko)
JP (1) JP4341554B2 (ko)
KR (1) KR101015689B1 (ko)
CN (1) CN100493155C (ko)
DE (1) DE60329010D1 (ko)
WO (1) WO2004012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214U (ja) * 2003-09-03 2004-05-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3100213U (ja) * 2003-09-03 2004-05-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4182430B2 (ja) * 2003-11-28 2008-11-19 オムロン株式会社 送信機
JP2006211530A (ja) * 2005-01-31 2006-08-10 Sharp Corp 衛星放送・地上波放送受信用一体型チューナ
JP2007028129A (ja) * 2005-07-15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受信装置
JP4063841B2 (ja) * 2005-09-09 2008-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システム
JP4350084B2 (ja) * 2005-11-07 2009-10-21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システム
CN100485932C (zh) * 2005-12-22 2009-05-06 株式会社东芝 半导体器件、电气设备
JP2007251446A (ja) * 2006-03-15 2007-09-27 Sharp Corp 受信装置、受信システム
JP2007251702A (ja) * 2006-03-17 2007-09-27 Sharp Corp 受信装置、受信システム
JP4338710B2 (ja) * 2006-03-27 2009-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システム
JP4573812B2 (ja) * 2006-07-31 2010-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小型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モバイル用途機器
KR100803348B1 (ko) * 2006-09-15 2008-02-13 주식회사유비와이즈 내장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rf 수신기용 어셈블리
JP2011139321A (ja) * 2009-12-28 2011-07-14 Sony Corp チューナモジュールおよび受信装置
JP2012256654A (ja) * 2011-06-07 2012-12-27 Sony Corp 回路基板及び電子機器
JP5330573B1 (ja) * 2012-06-15 2013-10-30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基板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BR112016016041A2 (pt) * 2014-01-08 2021-08-17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blindagem de sintonizador de rf de altura dupla
US9980418B2 (en) 2014-02-18 2018-05-22 Thomson Licensing RF shield assembly
CN107018645A (zh) * 2017-05-15 2017-08-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屏蔽结构、屏蔽结构制作方法、电路模组与移动电子终端
WO2019106957A1 (ja) * 2017-11-28 2019-06-0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チューナモジュール及び受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3755A (ja) * 1997-11-27 1999-06-18 Sharp Corp Up/Downチューナ
JP2000294950A (ja) * 1999-04-09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27Y2 (ja) * 1988-08-12 1994-08-03 三洋電機株式会社 Sawフィルタのシールド装置
US4956526A (en) * 1989-07-18 1990-09-11 Kabushikikaisha Wacom Digitizer having flat tablet with magnetic shield plate
CA2069781C (en) * 1991-05-31 1997-01-07 Masahiro Matai Radio pager
GB2270206A (en) * 1992-08-26 1994-03-02 John Y Ma Housing arrangement for radio frequency devices
JP3153711B2 (ja) * 1994-07-27 2001-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ップダウンチューナ
US6249256B1 (en) * 1994-08-01 2001-06-19 Rangestar Wireless, Inc. Radiation shielding and range extending antenna assembly
EP1271763B1 (en) * 1995-12-25 2006-04-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 frequency apparatus
US6281946B1 (en) * 1996-04-04 2001-08-28 Sony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TW443717U (en) * 1996-06-28 2001-06-23 Sharp Kk Tuner structure and cable modem tuner using the same
JP4320920B2 (ja) * 2000-05-31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6434372B1 (en) * 2001-01-12 2002-08-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ng-range, full-duplex, modulated-reflector cell phone for voice/data transmission
JP4197585B2 (ja) * 2001-06-14 2008-12-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再生プログラムの修正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4112484B2 (ja) * 2003-12-17 2008-07-02 株式会社東芝 無線機器及び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3755A (ja) * 1997-11-27 1999-06-18 Sharp Corp Up/Downチューナ
JP2000294950A (ja) * 1999-04-09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12446A1 (ja) 2004-02-05
US20060050186A1 (en) 2006-03-09
KR20050025676A (ko) 2005-03-14
JPWO2004012446A1 (ja) 2005-11-24
EP1553761B1 (en) 2009-08-26
JP4341554B2 (ja) 2009-10-07
EP1553761A1 (en) 2005-07-13
DE60329010D1 (de) 2009-10-08
CN1682529A (zh) 2005-10-12
US7224953B2 (en) 2007-05-29
EP1553761A4 (en) 2007-08-29
CN100493155C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689B1 (ko) 수신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JP3537299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ナ
KR100957257B1 (ko) 신호 수신 장치 및 신호 수신 회로
EP1357779A1 (en) High frequency device
JP4009941B2 (ja) 衛星放送受信用フロントエンド
US20060174283A1 (en) Integrated tuner for satellite and terrestrial broadcast reception
JP2000294950A (ja) 高周波装置
KR101875951B1 (ko) 인쇄회로기판
JP3729708B2 (ja) 電子機器
US20040169776A1 (en) Television tuner unit having a small motherboard-mounted surface area
JP2003037510A (ja) 受信装置
JP2007103610A (ja) 電子装置
KR101946883B1 (ko) 신호 처리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US7194245B2 (en) High-frequency signal receiving apparatus
JP3610196B2 (ja) ダブルコンバージョンチューナ
JP4873127B2 (ja) フィルタカバー実装方法及びアンテナ装置
JP2005167314A (ja) チューナーを備えた電子機器
KR0136126Y1 (ko) 튜너의 접지 구조
JPH10209669A (ja) 高周波機器ユニットのシールド構造
JPH07327176A (ja) Bsチューナ
JP3956761B2 (ja) 信号受信装置及び信号受信回路
TW566038B (en) Signal processing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GB2324665A (en) VTR tuner assembly with rejection of modulator harmonics in tuner channel
JP2007104224A (ja) チューナユニット
KR200232469Y1 (ko) 튜너용커버와케이스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