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334B1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334B1
KR101011334B1 KR1020057014522A KR20057014522A KR101011334B1 KR 101011334 B1 KR101011334 B1 KR 101011334B1 KR 1020057014522 A KR1020057014522 A KR 1020057014522A KR 20057014522 A KR20057014522 A KR 20057014522A KR 101011334 B1 KR101011334 B1 KR 10101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ember
touch panel
insulating film
transparent insulating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546A (ko
Inventor
신야 야마다
다카오 하시모토
야스지 구스다
다이스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8)에서의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이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11a)을 갖고, 또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8a)에서의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 및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절연필름(22)이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11a, 22a)을 갖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 {TOUCH PANEL}
본 발명은, 핸들링 작업시나 래크 수납시에 투명절연필름의 박리가 생기지 않고, 또 기계에 의한 래크 수납시에도 기계정지 수가 적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컴퓨터에 접속된 LCD(액정 디스플레이)나 CRT(브라운관) 등의 표시화면 상에 배치되어, 투시한 표시화면에 표시된 지시에 따라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위에서 눌러 줌으로써, 누른 곳의 표시화면 중에서의 위치를 컴퓨터에 입력할 수가 있도록 된 터치패널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투명전극형(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에는, 매트릭스형상의 특정한 좌표를 검출하는 형식의 디지털 (매트릭스) 방식과, 임의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는 형식의 아날로그 방식의 2가지 종류의 형식이 있는데, 디지털 방식은 메뉴 입력에 사용하고, 아날로그 방식은 도형이나 손으로 쓴 문자 입력에 사용하는 등, 다른 사용방법으로 사용된다. 또, 디지털 방식, 아날로그 방식의 어느 경우도, 필름/유리 구조나 필름/필름 구조를 취할 수가 있다.
여기서, 필름/유리 구조의 터치패널이라 함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절연필름(111)의 하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위쪽 전극부재(101)와, 유리판(121)의 상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아래쪽 전극부재(102)를 갖춤 더불어, 위쪽 전극부재(101)와 아래쪽 전극부재(102)를 그 주연부에서 점착제(粘着劑)나 양면테이프(104) 등으로 접착시켜 놓은 것을 말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는, 투명전극을 생략하여 필름재료 및 유리재료의 적층상태를 알기 쉽도록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 필름/필름 구조의 터치패널이라 함은, 투명절연필름(111)의 하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위쪽 전극부재(101)와, 투명절연필름(122) 상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아래쪽 전극부재(102)를 갖추고, 또한 유리판(투명지지판; 105)이 아래쪽 전극부재(102)의 하부면 전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도 17 참조).
상기의 필름/유리 구조 및 필름/필름 구조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 제2587975호 공보 및 일본국 실공평 3-3705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패널은, 투명절연필름(111, 122)이나 유리판(121, 105)의 단면(端面)이 각 부재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먼저, 터치패널의 핸들링 작업시에, 잘못해서 투명절연필름(111)을 박리하게 되어 불량품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이다. 터치패널을 손으로 취급하는 경우, 입력영역에 지문 등이 묻지 않도록 터치패널의 평행한 2변의 단면을 손가락으로 잡게 되지만, 항상 단면에 대해 수직으로 손가락(106)을 누른다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터치패널의 치수가 큰 경우에는, 상기의 문제가 특히 일어나기 쉽다. 터치패널의 투명절연필름(111)의 단면에 경사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누르면, 투명절연필름의 단면 상부가 압축되고, 압축되지 않게 되면 투명절연필름(111)의 단면 하부가 부상(浮上)하게 되는, 즉 박리가 일어나게 된다(도 14 참조).
더욱이, 상기 터치패널의 핸들링 작업시에, 터치패널의 투명절연필름의 단면에 경사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눌러, 투명절연필름의 단면 상부가 압축되는 결과, 점착제(104)도 압축되어 위쪽 전극부재(101)와 아래쪽 전극부재(102) 사이로부터 바깥쪽으로 밀려나오는 일이 있다. 양면테이프의 경우도, 심재(芯材)의 표면에 점착제(104)가 도포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양면테이프의 점착제(104)도 압축되어 위쪽 전극부재(101)와 아래쪽 전극부재(102) 사이로부터 바깥쪽으로 밀려나오는 일이 있다. 이 밀려 나온 점착제(104)가 그대로 손가락(106)에 묻으면, 이 손가락(106)으로 다음 터치패널을 접촉할 때 터치패널(108)의 표면이나 이면으로 옮겨질 염려가 있다.
또는, 이 밀려 나온 점착제(104)가 상기 핸들링 작업 후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래크(rack; 7) 내에 터치패널(108)을 수납하기 위한 누름부재가 부착된 경우에도, 이 누름부재에 의한 수납을 반복하고 있는 동안에 당해 누름부재에서 부착물이 박리되고, 그 박리된 부착물이 래크(7) 내의 다른 터치패널(108)의 표면이나 이면으로 옮겨질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이 터치패널(108)의 표면이나 이면으로 옮겨져 문제로 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점이다.
· 시인성(視認性)
· 입력특성(표면에 풀이 부착된 경우)
전자의 「시인성」의 문제라 함은, 터치패널은 LCD 등의 디스플레이 상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표시를 투시하면서 입력을 실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투시를 부착물이 차단해서 표시가 보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말한다.
또, 후자의 「입력특성」의 문제라 함은, 입력 펜을 가지고 문자 등을 쓰는 경우에 터치패널 표면을 따라 펜 끝을 미끄러지도록 해도, 부착물에 의해 입력면의 평활성이 손상되어 있기 때문에 쓰는 맛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를 말한다. 즉, 펜이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아 의도한 입력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터치패널로서는 치명상이다.
(2) 또, 상기 밀려 나온 점착제(104)가 상기 핸들링 작업 후, 로보트 핸드를 이용하여 터치패널을 반송시키는 경우, 로보트 핸드의 척과 터치패널이 상기 점착제(104)에 의해 떨어지기 어렵게 되는 일이 있다. 그 경우, 예정되어 있던 장소와 다른 장소로 터치패널을 이동시켜 버리는, 즉 책상 등에 떨어뜨려 터치패널을 파손시켜 버린다.
(3) 더욱이, 최근의 터치패널은 내로우프레임(narrow frame)화가 진행되어 양면테이프 등의 폭이 좁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밀려 나온 점착제(104)가 손가락(106)이나 누름부재 등에 부착하게 되면, 손가락(106)이나 누름부재 등에 터치패널이 완전히 옮겨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터치패널의 위쪽 전극부재(101)와 아래쪽 전극부재(102)를 그 주연부에서 접착시키고, 또한 터치패널의 안쪽(전극 사이의 공기층)과 터치패널의 바깥 쪽을 격리시키기 위한 칸막이가 일부에서 없어지게 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 뉴톤 링(Newton's ring)의 발생
· 동작불량
전자의 「뉴톤 링의 발생」은, 상기 칸막이의 결함부분으로부터 공기의 출입이 자유롭기 때문에, 위쪽 전극부재(101)의 변형에 대한 공기층에 의한 반발력이 작용하지 않아, 입력을 반복하는 동안에 위쪽 전극부재(101)가 밑으로 처지게 되어 뉴톤 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후자의 「동작불량」의 문제는, 2가지 경우가 있다. 먼저, 첫째는 상기 칸막이의 결함부분으로부터 습기가 터치패널의 안쪽(전극 사이의 공기층)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금속부분이 열화됨으로써 동작불량으로 되는 경우이다. 그리고, 둘째는 상기 칸막이의 결함부분으로부터 이물이 터치패널의 안쪽(전극 사이의 공기층)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물에 의해 전극 사이가 도통해 버리게 됨으로써 동작불량으로 되는 경우이다.
(4) 또, 터치패널(108)을 래크(7) 내에 수납할 때에도, 투명절연필름(111)의 박리가 문제로 된다. 터치패널(108)의 래크(7)의 각 단(段)으로의 수납은, 터치패널(108)의 평행한 2변을 래크(7)의 옆판 안쪽으로 수평으로 잘려진 홈(7b)을 따라 안쪽으로 삽입해서 이루어지는 바(도 15 참조), 홈(7b)의 폭이 좁기 때문에 래크(7)의 각 삽입구에서 터치패널(108)의 선단부가 래크(7)의 선반(7a)에 접촉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터치패널(108)의 투명절연필름(111)의 단면만이 래크(7)의 선 반(7a)과 충돌한 경우, 투명절연필름(111)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재가 래크(7)의 홈(7b) 내로 삽입되는 데 반해, 투명절연필름(111)은 삽입구의 밖으로 눌려져 있어 박리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도 16 참조).
게다가, 터치패널(108)의 래크(7)의 각 단으로의 수납이 기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투명절연필름(111)의 단면과 래크(7)의 선반(7a)과의 충돌이 일단에서라도 생기면, 그 시점에서 삽입이 불가능하게 된다거나, 다음 단의 삽입에 간격이 맞지 않는다거나 해서 기계가 정지되는 일이 발생했다.
이들은 모두 터치패널 특유의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핸들링 작업시나 래크 수납시에 투명절연필름의 박리가 생기지 않고, 또 기계에 의한 래크 수납시에도 기계정지 수가 적은 터치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태양에 따르면, 투명절연필름의 하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위쪽 전극부재와, 유리판의 상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아래쪽 전극부재를 갖추고서,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이 전체 주변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 안쪽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단면을 가진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제2실시태양에 따르면, 투명절연필름의 하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위쪽 전극부재와, 투명절연필름의 상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아래쪽 전극부재 및,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하부면 전면에 접착된 유리판의 투명지지판을 갖추고서,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 및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이 전체 주변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 안쪽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단면을 각각 갖고, 또한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의 상기 경사단면을 제외한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1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의 전체 주변의 단면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상기 유리판의 전체 주위의 단면보다 안쪽으로 후퇴한 후퇴부가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2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의 전체 주변의 단면이, 상기 유리판의 상기 투명지지판의 전체 주변의 단면보다 안쪽으로 후퇴한 후퇴부가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3 또는 제4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후퇴부의 폭이 0.1∼1.5mm의 범위인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태양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경사단면의 법선이 연직축과 이루는 예각(θ)이 35∼75°의 범위인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들과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다음에 설명되는 내용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가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을 나타낸 면도,
도 3은, 도 1의 터치패널에 대해 핸들링시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터치패널에 대해 래크 수납시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터치패널의 경사단면에 대해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터치패널의 커넥터의 설치에 대해 설명한 도면,
도 9는, 도 6의 터치패널에 대해 커넥터 삽입시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
도 10은, 커넥터 삽입시의 문제에 대해 설명한 도면,
도 11은, 도 7의 터치패널에 대해 커넥터 삽입시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
도 12는, 도 6의 터치패널에 대해 핸들링시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
도 13은, 종래의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의 1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종래기술에서의 핸들링시의 문제에 대해 설명한 도면,
도 15는, 터치패널의 래크 수납에 대해 설명한 사시도,
도 16은, 종래기술에서의 래크 수납시의 문제에 대해 설명한 도면,
도 17은, 종래의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의 1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터치패널에 부착된 먼지제거의 1예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가 위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을 가진 예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20은, 도 2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 및 점착층이 위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 및 아래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을 가진 예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21은, 도 6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가 위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을 가진 예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22는, 도 9 및 도 12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가 위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을 가진 예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23은, 도 7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 및 점착층이 위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 및 아래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을 가진 예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24는, 도 11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 및 점착층이 위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 및 아래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을 가진 예의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8)은, 예컨대 사각형의 투명절연필름(11)의 하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예컨대 사각형 판모양의 투명한 위쪽 전극부재(1)와, 예컨대 사각형의 유리판(21)의 상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예컨대 사각형 판모양의 투명한 아래쪽 전극부재(2)를 다수의 투명한 스페이서(3)를 매개로 대향시켜 주연부(周緣部)에서 접착하고 있는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8)에 있어서, 상기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이 전체 주변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 안쪽방향으로 경사진 상향 경사단면(11a)을 가진다.
위쪽 전극부재(1)로 쓰이는 투명절연필름(11)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또는 폴리에테르케톤계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 EP), 또는 아크릴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등의 수지필름을 이용할 수가 있다. 한편,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의 상부면에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하드코팅층으로는 실록산계 수지 등의 무기재료나 아크릴에폭시계, 우레탄계의 열경화형 수지나 아크릴레이트계의 광경화형 수지 등의 유기재료가 있다. 또,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의 상부면에는 광반사방지를 위해 논글레어(non-glare: 눈부심방지)처리를 할 수가 있다. 예컨대, 요철(凹凸)가공하거나 하드코팅층 중에 체질안료나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미립자를 혼합시키거나 하면 좋다. 더욱이,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은 1매의 필름이 아닌 복수매의 필름을 중합시킨 적층체로 할 수도 있다.
아래쪽 전극부재(2)로 쓰이는 유리판(21)으로는, 소다유리, 붕규산유리(borosilicate) 또는 강화유리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특징은,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8)에 있어서, 상기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이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11a)을 형성한 점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터치패널(8)의 핸들링 작업시에 터치패널(8)의 투명절연필름(11)의 단면에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눌러도, 투명절연필름(11)의 단면 상부가 크게 압축되지 않게 된다(도 3 참조). 따라서, 투명절연필름(11)의 단면 하부가 부상하는 일이 없게 되는 바, 즉 박리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점착제(4)도 압축되지 않으므로,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 사이로부터 버깥쪽으로 밀려나오는 일도 없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누름부재나 로보트 핸드에 부착되지 않아 터치패널(8)의 표면이나 이면으로 옮겨질 염려도 없게 된다. 따라서, 밀려나온 점착제(4)에 의해 시인성이나 입력특성이 훼손되는 일도 없게 됨과 더불어, 밀려나온 점착제(4)에 의해 로보트 핸드의 척과 터치패널(8)이 떨어지기 어렵게 되는 일도 없어, 책상 등에 잘못해서 떨어뜨려 터치패널(8)을 파손시키는 일도 없게 된다. 더욱이, 밀려나온 점착제(4)에 의해 손가락이나 누름부재 등에 터치패널(8)이 완전히 전이되는 일도 없어 뉴톤 링의 발생이나 동작불량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이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11a)을 갖기 때문에, 터치패널(8)의 래크(7)로의 수납시에 터치패널의 투명절연필름(11)의 단면만이 래크(7)의 선반(7a)과 충돌하게 되더라도, 터치패널(8) 전체가 상기 경사단면(11a)을 따라 경사방향 아래쪽 전방으로 흘러 충돌이 회피된다(도 4 참조). 따라서, 투명절연필름(11)만이 삽입구의 밖으로 밀려지는 일이 없어 박리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터치패널(8)의 래크(7)의 각 단으로의 수납이 기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투명절연필름(11)의 단면과 래크의 선반(7a)과의 충돌이 회피되기 때문에, 기계정지 수도 적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단면(11a)은 투명절연필름(11)의 절단면으로 형성되고, 당해 경사단면(11a)의 법선이 연직축과 이루는 예각(경사각; θ)은 35∼7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θ)이 35°에 못 미치면 투명절연필름(11)의 절단이 곤란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경사각(θ)이 75°를 넘으면, 상기한 경사단면(11a)에 기인하는 효과를 얻기가 곤란하게 된다. 경사단면의 경사각(θ)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40∼70°이다. 경사각(θ)이 40° 이상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투명절연필름(11)의 절단이 곤란하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가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경사각(θ)이 70°이하로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경사단면(11a)에 기인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경사단면(11a)은 평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적인 경향으로서 경사각(θ)을 갖고 있으면 평활하지 않은 것도 포함한다. 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상부면의 절단면 분기점(A)과 필름 하부면의 절단면 분기점(B)을 잇는 선(도면 중의 파선)이 필름 하부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경사각(θ)으로 한다.
상기 투명전극은, 아날로그방식의 터치패널이면 위쪽 전극부재(1) 및 아래쪽 전극부재(2)에 1개씩 형성되지만, 디지털방식의 터치패널이면 위쪽 전극부재(1) 및 아래쪽 전극부재(2)에 각각 단책상(短冊狀)의 패턴이 여러 개씩 형성되게 된다. 투명전극의 재료로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안티몬, 산화아연, 산화카드뮴, 또는 인듐틴옥사이드(ITO) 등의 금속산화물막, 이들 금속산화물을 주체로 하는 복합막, 또는 금, 은, 동, 주석, 니켈, 알루미늄이나 팔라듐 등의 금속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투명전극을 2층 이상의 다층막으로 할 수가 있다. 투명전극을 구성하는 이들 투명도전막은 진공증착, 스퍼터링, 이온플레이팅 또는 CVD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투명도전막은, 산(酸) 등으로 에칭처리를 해서 투명전극으로 하는 부분 이외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패턴화할 수가 있다. 또, 투명도전막 상의 투명전극으로 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절연성 피막으로 덮도록 해도 좋다.
한편, 터치패널 본체(81)는, 통상 커넥터(82)를 매개로 외부회로와 접속되고, 상기 투명전극으로부터 터치패널의 입출력단까지는 인회선(引回線)이 설치된다(도 8 참조). 인회선은 통상 금, 은, 동 또는 니켈 등의 금속이나 카본 등의 도전성을 가진 페이스트를 이용해서, 스크린인쇄, 오프셋인쇄, 그라비아인쇄 또는 플렉소인쇄 등의 인쇄법, 또는 쇄모(刷毛: 솔) 도장법 등에 의해 형성하지만, 커넥터(82)와 투명전극 사이의 도통이 이루어지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투명전극과 인회선의 접속부분, 즉 아날로그방식의 터치패널이면 투명전극의 대향하는 2개의 변, 디지털방식의 터치패널이면 각 단책상 패턴의 한 짧은 변에 각각 대상전극(帶狀電極; 버스바라고도 함)이 형성되게 된다. 이 대상전극에는 인회선과 마찬가지의 재료 및 형성수단을 이용할 수가 있다.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 사이에는 통상 스페이서(spacer)가 존재한다. 스페이서는 일반적으로 프레임형태 등으로 형성된다. 스페이서로는, 투명절연기재와 마찬가지의 수지필름 등 외에,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나 실리콘계 수지와 같은 적절한 수지의 인쇄층 또는 도포층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 스페이서는, 일반적으로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를 고정하는 프레임형태의 양면테이프(4),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과 겸하도록 된 것이 많다.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스크린인쇄 등이 이용된다.
또, 면적이 넓은 터치패널을 형성하는 경우,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전극 사이의 공극을 확보하기 위해, 어느 한쪽의 투명전극 표면에 도트형상 스페이서(3)를 형성하게 되는 데(도 1 참조), 터치패널이 작은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도트형상 스페이서(3)로는, 예컨대 멜라민 아크릴레이트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수지, 메타아크릴 아크릴레이트수지나 아크릴 아크릴레이트수지 등의 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비닐알콜수지 등의 광 경화형 수지를 포토프로세스로 미세한 도트형상으로 형성하여 얻을 수가 있다. 또, 인쇄법으로 미세한 도트를 다수 형성하여 스페이서로 할 수도 있다. 또, 무기물이나 유기물로 된 입자의 분산액을 분무 또는 도포해서 건조하는 것에 의해서도 얻을 수가 있다.
이상,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8)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터치패널의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터치패널(8A)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로서, 투명절연필름(11)의 하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위쪽 전극부재(1)와, 투명절연필름(22)의 상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아래쪽 전극부재(2)를 갖추고, 또한 유리판(투명지지판; 5)이 아래쪽 전극부재(2)의 하부면 전면에 투명점착층(10)으로 접착되어 있는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의 경우인 바, 상기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 및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절연필름(22)이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11a, 22a)을 각각 갖고, 또한 상기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절연필름(22) 상에만 배치, 바꿔 말하면 상기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절연필름(22)의 경사단면(22a)을 제외한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다.
아래쪽 전극부재(2)에 쓰여지는 투명절연필름(22)으로는,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과 마찬가지로,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또는 폴리에테르케톤계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아크릴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등의 필름 등을 이용할 수가 있고, 또 1매의 필름 이 아니라 복수매의 필름을 중합시킨 적층체로 할 수도 있다.
아래쪽 전극부재(2)의 하부면 전면에 접착되어 있는 유리판(투명지지판; 5)으로는, 소다유리, 붕규산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8A)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8)과 마찬가지로, 터치패널(8A)의 핸들링 작업시에 터치패널(8A)의 투명절연필름(11) 및 투명절연필름(22)의 단면(11a, 22a)에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눌러도, 이들 단면 상부가 크게 압축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투명절연필름(11) 및 투명절연필름(22)의 단면 하부가 부상하는 일도 없게 되는 바, 즉 박리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점착제(4)도 압축되지 않으므로,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 사이로부터 바깥쪽으로 밀려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누름기구나 로보트 핸드에 부착되지 않게 됨으로써, 터치패널(8A)의 표면이나 이면으로 옮겨질 염려도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밀려나온 점착제(4)에 의해 시인성이나 입력특성이 훼손되는 일도 없게 됨과 더불어, 밀려나온 점착제(4)에 의해 로보트 핸드의 척과 터치패널(8A)이 떨어지기 어렵게 되는 일도 없어, 책상 등에 잘못해서 떨어드려 터치패널(8A)을 파손시켜 버리는 일도 없게 된다. 더욱이, 밀려나온 점착제(4)에 의해 손가락이나 누름기구 등에 터치패널(8A)이 완전히 전이되는 일도 없어 뉴톤 링의 발생이나 동작불량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 터치패널(8A)의 래크(7)로의 수납시에 터치패널(8A)의 투명절연필름(11) 및 투명절연필름(22)의 단면만이 래크(7)의 선반(7a)과 충돌하게 되더라도,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8)과 마찬가지로, 터치패널(8A) 전체가 상기 경사단면(11a, 22a)을 따라 경사방향 아래쪽 전방으로 흘러 충돌이 회피된다. 따라서, 투명절연필름(11) 또는 투명절연필름(22)만이 삽입구의 밖으로 밀려지는 일이 없어 박리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터치패널(8A)의 래크(7)의 각 단으로의 수납이 기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투명절연필름(11) 및 투명절연필름(22)의 단면과 래크의 선반(7a)의 충돌이 회피되므로, 기계정지 수도 적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8A)에서의 상기 경사단면(11a, 22a)은 투명절연필름(11, 22)의 절단면으로 형성되고, 당해 경사단면(11a, 22a)의 법선이 연직축과 이루는 예각(경사각; θ)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8)의 경우와 마찬가지 이유로 35∼75°의 범위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단면의 경사각(θ)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서도,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 이유로 40∼70°이다. 또, 상기 경사단면(11a, 22a)은 평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적인 경향으로 경사각(θ)을 갖고 있다면 평활하지 않은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8A)의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절연필름(22)과 점착층(10) 및 유리판(투명지지판; 5) 이외의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상기한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과 마찬가지의 것을 쓰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터치패널은, 필름재료의 단부에 인접해서 후퇴부(유리판 노출 부; 9)를 갖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8)에 있어서는, 상기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이 전체 주변에서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유리판(21)보다 안쪽으로 후퇴해서 후퇴부(유리판 노출부; 9)를 형성하도록 한다(도 6 참조). 또,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8A)에 있어서는,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절연필름(22)이 전체 주변에서 상기 유리판(투명지지판; 5)보다 안쪽으로 후퇴해서 후퇴부(유리판 노출부; 9)를 형성하도록 한다(도 7 참조). 한편,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8A)의 경우,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절연필름(22)이 후퇴하더라도, 상기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절연필름(22) 상에만 배치, 바꿔 말하면 상기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절연필름(22)의 경사단면(22a)을 제외한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는 관계에 변함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터치패널 본체(81)로의 커넥터(82)의 설치가 쉬워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를, 주연부에서 절결부(4a)가 형성된 양면테이프(4) 등으로 접착시킨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 터치패널 본체(81)의 1변에서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 사이에 커넥터(82)로서 플렉시블 인쇄배선판(FPC)의 단부를 삽입하고, 그 플렉시블 인쇄배선판의 단부를 이방도전성(異方導電性) 접착제를 써서 열압착기로 열압착하고 있다. 그러나,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 사이의 갭이 작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82)의 삽입은 바늘에 실을 꿰는 것과 같이 작업성이 나빠(도 10 참조) 생산효율의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8)에 있어서, 상기 위쪽 전극부재(1)의 투명절연필름(11)이 전체 주변에서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유리판(21)보다 안쪽으로 후퇴한 후퇴부(유리판 노출부; 9)가 배치되어 있도록 하면, 먼저 커넥터(82)의 단부를 아래쪽 전극부재(2)의 유리판(21) 상부면에 설치된 후퇴부(9)에 닿게 한 후 그대로 아래쪽 전극부재(2) 상부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 사이에 커넥터(82)의 단부를 쉽게 삽입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도 9 참조). 또,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8A)에 있어서도,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투명절연필름(22)이 전체 주변에서 상기 유리판(투명지지판; 5)보다 안쪽으로 후퇴한 후퇴부(유리판 노출부; 9)가 배치되어 있도록 하면, 먼저 커넥터(82)의 단부를 유리판(투명지지판; 5) 상부면에 설치한 후퇴부(9)에 닿게 한 후 그대로 유리판(투명지지판; 5)의 상부면 및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2)의 경사단면(22a)을 따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 사이에 커넥터(82)의 단부를 쉽게 삽입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도 11 참조).
또, 후퇴부(9)를 설치함으로써, 터치패널의 핸들링 작업시에도 투명절연필름(11, 22)의 단면에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게 되어, 경사단면(11a, 22a)만을 형성한 경우와 비교해서 박리방지가 보다 쉬워지게 된다(도 12 참조).
상기 후퇴부(9)의 폭(d)은 0.1∼1.5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d)이 0.1mm 미만이면 커넥터(82)를 단부가 닿도록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폭(d)이 1.5mm를 넘으면, 터치패널(8, 8A)에서 전기적 기능을 하고 있지 않은 면적이 쓸데없이 커져서 업계의 내로우프레임화의 흐름에 역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위쪽 전극부재와 아래쪽 전극부재의 접착이나 아래쪽 전극부재와 투명지지판의 접착에 쓰여지는 접착층(점착층(10)이나 양면테이프(4))은, 도 1∼도 4, 도 6, 도 7 및 도 9∼도 12의 어느 도면에서는 경사단면을 갖고 있지 않지만, 위쪽 전극부재나 아래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과 마찬가지로 경사져 있어도 상관없다.
도 1, 도 3, 도 4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4)가 위쪽 전극부재(1)의 경사단면(11a)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4b)을 가진 예를 도 19에 나타내었다. 또, 도 2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4) 및 점착층(10)이 위쪽 전극부재(1)의 경사단면(11a) 및 아래쪽 전극부재(2)의 경사단면(22a)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4b, 10a)을 가진 예를 도 20에 나타내었다. 또, 도 6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4)가 위쪽 전극부재(1)의 경사단면(11a)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4b)을 가진 예를 도 21에 나타내었다. 또, 도 9 및 도 12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4)가 위쪽 전극부재(1)의 경사단면(11a)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4b)을 가진 예를 도 22에 나타내었다. 또, 도 7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4) 및 점착층(10)이 위쪽 전극부재(1)의 경사단면(11a) 및 아래쪽 전극부재(2)의 경사단면(22a)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4b, 10a)을 가진 예를 도 23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 11의 터치패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4) 및 점착층(10)이 위쪽 전극부재(1)의 경사단면(11a) 및 아래쪽 전극부재(2)의 경사단면(22a)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4b, 10a)을 가진 예를 도 24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양면테이프(4) 및/또는 점착층(10)이 위쪽 전극부재(1)의 경사단면(11a) 및/또는 아래쪽 전극부재(2)의 경사단면(22a)과 마찬가지로 경사단면(4b) 및/또는 경사단면(10a)을 가짐으로써, 핸들링 작업시나 래크 수납시에 투명절연필름의 박리가 생기지 않고, 또 기계에 의한 래크 수납시에도 기계정지 수가 적어지는 등의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터치패널의 전체 주위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단면(11a) 및/또는 경사단면(22a)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더 나아가서 경사단면(11a) 및/또는 경사단면(22a)에 더해 경사단면(4b) 및/또는 경사단면(10a)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터치패널의 전체 주위에서 보다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 결과로서 접착층의 경사단면이 상기 후퇴부(9) 내에 존재하게 되더라도, 접착층은 위쪽 전극부재(1)와 아래쪽 전극부재(2)에 비해 유연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82)의 단부를 유리판(21, 5) 상부면에 설치된 후퇴부(9)에 닿게 하는 장애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위쪽 전극부재와 아래쪽 전극부재의 접착이나 아래쪽 전극부재와 투명지지판의 접착에 쓰여지는 접착층(점착층(10)이나 양면테이프(4))의 단면이 위쪽 전극부재나 아래쪽 전극부재의 경사단면과 마찬가지로 경사져 있는 경우, 먼지제거용 롤러(100)의 롤 사이로 터치패널(8)을 통과시킴으로써(도 18 참조), 터치패널(8) 표리면(表裏面)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뿐만 아니라 접착층의 단면에 그 접착력에 의해 강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먼지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접착층의 단면이 상기한 바와 같은 경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롤 사이로의 삽입시에 접착층 의 단면을 롤과 접촉시킬 수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필름의 경사단면에 부착된 먼지도 마찬가지 이유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
두께 185㎛이고, 또한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경사각 60°)을 가진 PET 필름을 이용해서 그 상부면에 두께 15nm의 ITO막을 스퍼터링으로 형성하고, ITO막의 주연부분을 제거해서 투명전극으로 하였다. 이어서, 은페이스트를 써서 스크린인쇄로 투명전극의 평행한 2변의 버스바 및 인회선이 형성된 위쪽 전극부재를 얻었다. 또, 두께 0.7mm의 소다유리를 써서 위쪽 전극부재와 마찬가지로 해서 아래쪽 전극부재를 얻었다. 다음으로, 양 전극부재를 투명전극 사이에 공기층을 매개로 대향 배치시키고, 양자를 주연부에서 절결부를 가진 양면테이프로 접착시켜 터치패널 본체(각 층 세로 50mm × 가로 40mm)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터치패널 본체의 상기 양면테이프의 절결부에 커넥터로서 플렉시블 인쇄배선판(FPC)의 단부를 삽입하고서, 이방도전성 접착제를 써서 열압착기로 열압착해서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을 얻었다.
(실시예 2)
두께 185㎛이고, 또한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경사각 60°)을 가진 PET 필름을 이용해서 그 상부면에 두께 15nm의 ITO막을 스퍼터링으로 형성하고, ITO막의 주연부분을 제거해서 투명전극으로 하였다. 이어서, 은페이스트를 써서 스크린인쇄로 투명전극의 평행한 2변의 버스바 및 인회선이 형성된 위쪽 전극부재를 얻었다. 또, 두께 125㎛이고, 또한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경사각 60°) 을 가진 PET 필름을 써서 위쪽 전극부재와 마찬가지로 해서 아래쪽 전극부재를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 상에만 배치되어 있도록 양 전극부재를 투명전극 사이에 공기층을 매개로 대향 배치시키고, 양자를 주연부에서 절결부를 가진 양면테이프로 접착하며, 더욱이 아래쪽 전극부재의 하부면 전면에 두께 0.7mm의 소다유리판을 투명지지판으로 하여 점착제로 접착해서 터치패널 본체(각 층 세로 50mm × 가로 40mm)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터치패널 본체의 상기 양면테이프의 절결부에 커넥터로서 플렉시블 인쇄배선판(FPC)의 단부를 삽입하고서, 이방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해서 열압착기로 열압착하여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을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의 종횡치수를 세로 49.85mm, 가로 39.85mm로 작게 함으로써, 전체 주변에서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유리판보다 0.15mm 안쪽으로 후퇴시켜 후퇴부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의 종횡치수를 세로 49.85mm, 가로 39.85mm로 작게 함으로써, 전체 주변에서 상기 유리판으로 된 투명지지판보다 0.15mm 안쪽으로 후퇴시켜 후퇴부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상, 실시예 1∼4와 같이 해서 얻어진 터치패널은, 모두 투명절연필름이 상 향 경사단면을 갖게 됨으로써 핸들링 작업시나 래크 수납시에 투명절연필름의 박리가 생기지 않게 되고, 또 기계에 의한 래크 수납시에도 기계정지 수가 적은 것으로 되었다. 또, 실시예 3 및 4에 있어서는, 필름재료가 안쪽으로 후퇴하여 후퇴부가 형성됨으로써 커넥터 삽입의 작업성이 좋고, 또 핸들링 작업시의 박리방지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패널은, 상기한 구성 및 작용을 갖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은, 위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이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터치패널의 핸들링 작업시에 터치패널의 투명절연필름 단면에 경사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눌러도, 투명절연필름의 단면 상부가 크게 압축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투명절연필름의 단면 하부가 부상하는 일도 없게 되는 바, 즉 박리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점착제도 압축되지 않으므로, 위쪽 전극부재와 아래쪽 전극부재 사이로부터 밖으로 밀려나오는 일도 없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누름기구나 로보트 핸드에 부착하지 않게 되어, 터치패널의 표면이나 이면으로 옮겨질 염려도 없게 된다. 따라서, 밀려나온 점착제에 의해 시인성이나 입력특성이 훼손되는 일도 없게 됨과 더불어, 밀려나온 점착제에 의해 로보트 핸드의 척과 터치패널이 떨어지기 어렵게 되는 일도 없게 되어, 책상 등에 잘못해서 떨어뜨려 터치패널을 파손시켜 버리는 일 도 없게 된다. 더욱이, 밀려나온 점착제에 의해, 손가락이나 누름기구 등에 터치패널이 완전히 전이되는 일도 없어, 뉴톤 링의 발생이나 동작불량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은, 위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 필름이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터치패널의 래크로의 수납시에 터치패널의 투명절연필름의 단면만이 래크의 선반과 충돌하게 되더라도, 터치패널 전체가 상기 경사단면을 따라 경사방향 아래쪽 전방으로 흘러 충돌이 회피되게 된다. 따라서, 투명절연필름만이 삽입구의 밖으로 밀려지는 일이 없어 박리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터치패널의 래크의 각 단으로의 수납이 기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투명절연필름의 단면과 래크의 선반과의 충돌이 회피되기 때문에, 기계정지 수도 적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은, 위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 및 아래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이 전체 주변에서 상향 경사단면을 각각 형성하고, 또한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 상에만 배치, 바꿔 말하면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투명절연필름의 경사단면을 제외한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본 발명의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여러 가지 실시형태 중의 임의의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함으로 써, 각각이 가진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해서 충분히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의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에게는 여러 가지로 변형이나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은 명백한 바,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따른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

  1. 투명절연필름(11)의 하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위쪽 전극부재(1)와,
    유리판(21)의 상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아래쪽 전극부재(2)를 갖추고서,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이 전체 주변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 안쪽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단면(11a)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2. 투명절연필름(11)의 하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위쪽 전극부재(1)와,
    투명절연필름(22)의 상부면에 투명전극을 가진 아래쪽 전극부재(2) 및,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하부면 전면에 접착된 유리판으로 이루어진 투명지지판(5)을 갖추고서,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 및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이 전체 주변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감에 따라 안쪽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단면(11a, 22a)을 각각 갖고, 또한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의 상기 경사단면을 제외한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에서의 전체 주변의 단면이,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상기 유리판에서의 전체 주위의 단면보다 안쪽으로 후퇴한 후퇴부(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래쪽 전극부재의 상기 투명절연필름에서의 전체 주변의 단면이, 상기 유리판의 상기 투명지지판에서의 전체 주변의 단면보다 안쪽으로 후퇴한 후퇴부(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부(9)의 폭(d)이 0.1∼1.5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단면의 법선이 연직축과 이루는 예각(θ)이 35∼7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KR1020057014522A 2003-02-12 2004-02-12 터치패널 KR101011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3653 2003-02-12
JPJP-P-2003-00033653 2003-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546A KR20050101546A (ko) 2005-10-24
KR101011334B1 true KR101011334B1 (ko) 2011-01-28

Family

ID=3286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522A KR101011334B1 (ko) 2003-02-12 2004-02-12 터치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0400B2 (ko)
EP (1) EP1594042B1 (ko)
KR (1) KR101011334B1 (ko)
CN (1) CN100416477C (ko)
TW (1) TWI341983B (ko)
WO (1) WO2004072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264B1 (ko) * 2006-02-28 201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130202B2 (en) * 2007-05-01 2012-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rared touch screen gated by touch force
JP5331437B2 (ja) * 2008-10-09 2013-10-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TWI459436B (zh) * 2008-10-27 2014-11-01 Tpk Touch Solutions Inc The Method of Making Double - sided Graphic Structure of Touch Circuit
US9367150B2 (en) 2010-05-20 2016-06-1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30109090A (ko) * 2010-06-11 2013-10-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힘 측정을 갖는 포지셔널 터치 센서
KR20120038823A (ko) * 2010-10-14 2012-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KR20120045581A (ko) * 2010-10-29 2012-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저항막식 터치스크린
US9253892B2 (en) * 2012-04-13 2016-02-02 Wistron Corporation Peripheral circuit of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443720A (zh) * 2013-05-07 2014-11-16 Jian-Ji Zhong 於觸控面板上形成電路之裝置及電路形成方法
JP6152409B1 (ja) 2015-12-21 2017-06-2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粘着部材および電子機器
JP7112838B2 (ja) * 2016-09-30 2022-08-0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並びに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7066920A (zh) * 2016-12-23 2017-08-18 浙江大学 指纹识别面板及装置
KR20210114140A (ko) * 2020-03-10 2021-09-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63A (ja) * 1996-07-11 1998-01-27 Toray Ind Inc マウスパッド
JP2000020226A (ja) * 1998-07-06 2000-01-21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
JP2002278701A (ja) * 2001-03-21 2002-09-27 Nissha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4400A (ja) * 1982-05-24 1983-11-2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像変換パネル
JPS6476109A (en) * 1987-09-17 1989-03-22 Fujitsu Ltd Panel construction for finger touch detecting device
JP2587975B2 (ja) 1988-02-29 1997-03-0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
JP2645478B2 (ja) * 1988-10-07 1997-08-25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R2648703B1 (fr) 1989-06-21 1998-04-03 Benoist Girard Cie Cotyle pour prothese de hanche
JP3018780U (ja) * 1995-05-30 1995-11-2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5723385A (en) * 1996-12-16 1998-03-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Wafer edge seal ring structure
JP3304828B2 (ja) * 1997-06-10 2002-07-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製造方法
WO1999063394A1 (en) 1998-06-02 1999-12-09 Nissha Printing Co., Ltd. Touch screen with front lighting
TW523627B (en) * 1998-07-14 2003-03-11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303294B2 (ja) * 1999-06-11 2002-07-15 株式会社東京精密 半導体保護テープの切断方法
JP2001127024A (ja) * 1999-10-28 2001-05-11 Iwate Toshiba Electronics Kk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026974A1 (de) * 2000-05-31 2002-01-03 Schott Glas Kanalplatte aus Glas für Flachbildschirm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TWI286629B (en) * 2000-07-20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lexible circuit board
JP3596807B2 (ja) * 2000-08-09 2004-12-0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739640B2 (ja) * 2000-08-28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02287901A (ja) * 2001-03-28 2002-10-04 Seiko Epson Corp 入力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3006950A (ja) * 2001-06-20 2003-01-10 Victor Co Of Japan Ltd 光情報記録媒体製造装置及び光情報記録媒体
SE0103835L (sv) * 2001-11-02 2003-05-03 Neonode Ab Pekskärm realiserad av displayenhet med ljussändande och ljusmottagande enheter
US7187367B2 (en) * 2003-05-22 2007-03-06 Meng-Ju Chuang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63A (ja) * 1996-07-11 1998-01-27 Toray Ind Inc マウスパッド
JP2000020226A (ja) * 1998-07-06 2000-01-21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
JP2002278701A (ja) * 2001-03-21 2002-09-27 Nissha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16477C (zh) 2008-09-03
US20060132450A1 (en) 2006-06-22
TWI341983B (en) 2011-05-11
EP1594042B1 (en) 2012-04-18
EP1594042A4 (en) 2008-11-19
CN1751285A (zh) 2006-03-22
WO2004072841A1 (ja) 2004-08-26
KR20050101546A (ko) 2005-10-24
US7710400B2 (en) 2010-05-04
EP1594042A8 (en) 2006-03-08
TW200419434A (en) 2004-10-01
EP1594042A1 (en)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334B1 (ko) 터치패널
CN101819495B (zh) 图案化衬底、具有其的触摸屏传感器组件及其制造方法
KR101276023B1 (ko)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입력기능을 가진 보호패널 및 전자기기
CN102171630B (zh) 用于电容性触摸面板的玻璃基板及其制造方法
EP1397775B1 (en) Display system and touch screen
KR101023500B1 (ko) 투명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
KR20120018059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13073460A1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5413A (ko) 내로우프레임 터치패널
WO2005114367A1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
KR101140954B1 (ko) 투명 전도성 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TW201316854A (zh) 可撓性印刷電路板及觸控螢幕
JP5004855B2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207803A (zh) 触摸屏
CN104750327A (zh) 元件基板的制作方法
JP3823110B2 (ja) タッチパネル
JP4550251B2 (ja) 狭額縁タッチパネル
JP2004213187A (ja) アイコン付きタッチパネル
KR102100954B1 (ko) 저항차 보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과 그 제조 방법
JPH1195926A (ja) タッチパネル
KR100699043B1 (ko)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CN215932598U (zh) 触控面板及包含其的电子设备
KR100469357B1 (ko) 터치패널
JPH0418628A (ja) タッチパネル
JP4346437B2 (ja) パネル型入力装置及び接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