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043B1 -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043B1
KR100699043B1 KR20057002139A KR20057002139A KR100699043B1 KR 100699043 B1 KR100699043 B1 KR 100699043B1 KR 20057002139 A KR20057002139 A KR 20057002139A KR 20057002139 A KR20057002139 A KR 20057002139A KR 100699043 B1 KR100699043 B1 KR 100699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touch panel
sensitive adhesive
plate memb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0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957A (ko
Inventor
야스지 구스다
다카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05700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0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5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043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상부 절연기판(2)의 하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상부 전극(3)이 형성된 상부 전극판과,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하부 절연기판(4)의 상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하부 전극(3)이 형성되고 상부 전극판과 전극 사이에 공기층(6)을 매개로 대향 배치된 하부 전극판을 갖춘 터치패널 본체(1)를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9) 및 그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가진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가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O.3 ~ 4 0 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필름이다.

Description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출하 전의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에 지장이 없고, 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제품의 구부러짐에 의한 기능열화가 생기지 않는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코드레스 전화기, 휴대전화기, 계산기, 서브노트 PC, PDA(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 디지털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업무용 통신기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나 PC의 모니터 등의 전면에 장착되어, 투시된 화면의 지시에 따르면서 표면을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누름으로써 각종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panel)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터치패널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상부 절연기판(102)의 하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이루어진 상부 전극(103)이 형성된 상부 전극판과, 투명 유리판이나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하부 절연기판(104)의 상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이루어진 하부 전극(105)이 형성된 하부 전극판을 갖추어 터치패널 본체(101)을 구성하고서, 상부 전극판과 하부 전극판이 전극 사이에 공기층(106)을 매개로 대향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도 2 참조). 최근에는, 상기한 PC 등의 제품의 박형경량화가 중요시 되고 있고, 이에 수반해서 터치패널 자체의 박형경량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필름/유리 구성이 아닌 필름/필름 구성이 선택되는 일이 많다. 한편, 참조부호 108은 양면테이프이다.
그리고, 상기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 표면에 전면적으로 접착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그 출하형태로는 다시 디스플레이에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109) 및 그 세퍼레이트 시트(110; 예컨대 두께 50㎛ 정도이고 구부러짐 강성이 0.0038 kgf·cm2 정도인 얇고 허리가 없는 PET 필름)를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터치패널이 상기 필름/필름의 구성을 취한 경우, 출하 전의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 또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즉,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은, 전체의 두께가 얇은 것으로 되기 때문에, 터치패널 전체가 휘어지기 쉽게 되어 있다. 특히, 상부 전극판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는, 제조공정 중에서의 가열 등에 의해 휘어짐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터치패널 전체가 휘어져 있는 상태에서, 외관검사공정을 실행한 경우, 전극 사이의 거리가 균일하다고 하면 뉴톤링이 발생하지 않는 우량품으로 판단되지만, 터치패널의 하부 전극판이 점착층에 의해 플랫하게 디스플레이에 실장되면 전극간 거리가 불균일하게 되어 뉴톤링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또, 반대로, 터치패널 전체가 휘어져 있는 상태에서 전극간 거리가 불균일하게 되면, 뉴톤링이 발생하 는 불량품으로 판단되지만, 터치패널을 디스플레이에 실장하면 전극간 거리가 균일해져 뉴톤링이 발생하지 않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이,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에서는 휘어짐에 기인하는 뉴톤링 등의 외관검사공정에서는 대단히 판단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전기검사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부 절연기판(4)과 세퍼레이트 시트(110)의 합계두께, 나아가 제품의 총두게가 얇고, 구부러짐 강성이 작아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기 쉬운 것으로 되기 때문에, 종래부터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에 사용되고 있는 카셋트 래크(cassette rack)방식의 자동검사기와 공용하는 경우 자동검사화가 곤란해진다. 즉, 카셋트 래크 최하단의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측면방향으로부터 푸셔로 밀어내어 뽑아낼 때, 또는 카셋트 래크에서 뽑아내어진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지그(jig)상에 위치결정하기 위해 측면방향으로부터 푸셔로 누를 때,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지그로부터 빠지거나 하게 된다.
또, 다른 방식의 자동 또는 반자동 전기검사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하부 절연기판(4)과 세퍼레이트 시트(110)의 합계두께가 얇고 구부러짐 강성이 작아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전기검사기의 지그상에 먼지와 같은 이물(異物)이 있으면 하부 절연기판이 이물을 따라 국부적으로 상부 절연기판측으로 돌출하는 변형이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우량품이라 하더라도, 하부 전극판과 상부 전극판이 접촉해서 절연불량판정으로 되거나, 또는 하부 전극판과 상부 전극판이 접촉하지는 않더라도 매우 접근하게 됨으로써, 펜 등으로 입력면을 덧대고 쓰면서 리니어리티(linearity: 선형성)의 검사를 하게 되면 입력부분 근방에서 입력이 되어 버려 불량판정으로 되어 버린다. 이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기검사공정을 클린룸에서 실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비용이 들고, 또 그것으로도 완전하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에 무사히 합격을 했다고 해도, 제품 총두께가 얇고 구부러짐 강성이 작아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어떤 부하가 가해지면, 제품이 구부러지게 됨으로써 크랙이 발생하여 투명도전막 등의 기능열화를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출하 전의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에 지장이 없고, 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제품의 구부러짐에 따른 기능열화가 생기지 않는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상부 절연기판의 하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상부 전극이 형성된 상부 전극필름과,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하부 절연기판의 상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하부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전극필름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에 공기층을 매개로 대향 배치된 하부 전극필름을 갖춘 터치패널 본체를 디스플레이에 전면적으로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 및 터치패널을 사용할 때에는 이 점착층으로부터 박리되어 폐기되는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가진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박리되어 폐기되는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그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0.3 ~ 40 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시트로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박리되어 폐기되는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그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1.5 ~ 8.O 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시트로 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태양 또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을, 아크릴계 점착층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심재(芯材) 및, 실리콘계 자기점착제층으로 구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의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점착층으로부터 벗겨낸 후 점착층을 디스플레이에 전면적으로 접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부호 1은 터치패널 본체이고, 2는 상부 절연기판, 3은 상부 절연기판(2)의 내면에 배치된 상부 전극, 4는 상부 절연기판(2)에 대향해서 배치된 하부 절연기판, 5는 하부 절연기판(4)의 내면에 배치되고 또한 상부 전극(3)과 대향하는 하부 전극, 6은 상부 전극(3)과 하부 전극(5) 사이에 개재된 공기층, 8은 상부 절연기판(2)과 하부 절연기판(4)의 주위를 서로 밀착시키는 양면테이프, 9는 하부 절연기판(4)의 외면에 배치된 점착층, 10은 점착층(9)에 배치된 세퍼레이트 시트의 기능과 지지판의 기능을 모두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범용의 점착시트인 세퍼레이트 시트는, 접착 직전까지의 접착방지역할을 하면 족하고, 「판」에 가까운 본 발명 정도의 두께는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서, 지지기능은 전혀 갖고 있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세퍼레이트 시트와 지지기능을 가진 판모양의 본 발명의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상부 절연기판(2)의 하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상부 전극(3)이 형성된 상 부 전극판과,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하부 절연기판(4)의 상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하부 전극(3)이 형성되고 상부 전극판과 전극 사이에 공기층을 매개로 대향 배치된 하부 전극판을 갖춘 터치패널 본체(l)를 도 3의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9) 및 그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가진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가 그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0.3 ~ 40 kgf·cm2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이다.
상기 터치패널 본체(1)의 상부 절연기판(2) 및 하부 절연기판(4)의 각 투명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폴리에스테르술폰 수지(PES), 폴리아릴레이트 수지(PAR), 또는 노보넨(norbornene) 수지 등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절연기판(2) 및 하부 절연기판(4)은 복층 구성이어도 좋다. 상부 절연기판(2) 및 하부 절연기판(4)의 두께는 75 ~ 200㎛ 정도로 하면 좋다. 또, 상부 절연기판(2)의 상부면에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하드코팅층으로는, 실록산계 수지 등의 무기재료, 또는 아크릴에폭시계, 우레탄계의 열경화형 수지나 아크릴레이트계의 광경화형 수지 등의 유기재료가 있다.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 ~ 7㎛ 정도가 적당하다. 또, 상부 절연기판(2)의 상부면에는 광반사방지를 위해 난글래어(non-glare)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예컨대, 투명 절연기재나 하드코팅층을 요철(凹凸)가공하거나, 하드코팅층 중에 체질안료나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미립자를 혼 합하거나 한다.
상부 전극(3) 및 하부 전극(5)에 이용되는 투명도전막의 재료로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안티몬, 산화아연, 산화카드뮴, 또는 ITO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나, 금, 은, 동, 주석, 니켈, 알루미늄, 또는 팔라듐과 같은 금속이 있다. 이들 투명도전막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도금법, 또는 CVD법 등이 이용된다.
또, 상부 전극판 및 하부 전극판의 전극쪽 면에는, 버스바(bus bar)나 인회선(引回線: 둘러친 선) 등의 소정 패턴의 회로가 형성된다(도시되지 않음). 회로의 재료로는, 예컨대 금, 은, 동, 또는 니켈 등과 같은 금속 또는 카본 등과 같은 도전성을 가진 페이스트 외에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스크린인쇄, 오프셋인쇄, 그라비어인쇄, 플렉소(flexo)인쇄 등의 인쇄법, 포토레지스트법, 또는 인쇄솔 도포법 등이 있다.
한편, 상부 전극판과 하부 전극판은 통상적으로 상부 전극(3) 또는 하부 전극(5)의 표면에 형성된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사이가 떨어지도록 되어 있어,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부 전극판 위로부터 누름으로써 비로소 상부 전극(3)과 하부 전극(5)이 접촉하게 되어 입력이 실행된다. 스페이서로는, 투명한 광경화형 수지를 포토프로세스(photo process)로 미세한 도트모양으로 형성하여 얻을 수가 있다. 또, 인쇄법으로 미세한 도트를 다수 형성하여 스페이서로 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의 높이는 통상적으로 2 ~ 10㎛이다.
터치패널 본체(1)를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시키기 위한 점착층 (9)으로는, 실리콘계 점착제층/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심재/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적층체로 구성되는 점착시트(뒤에 설명되는 도 5 참조)로 된 것이나, 실리콘계 점착제층만으로 된 것,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층만으로 된 것 등이 있다. 점착층(9)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20 ~ 100㎛ 정도로 하면 좋다. 또, 점착층(9)의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되는 쪽의 면에는, 그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갖게 된다. 이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점착층(9)으로부터 벗겨낸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9)을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가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0.3 ~ 40 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필름인 점에 있다. 이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구부러짐 강성은 인장탄성률×I(단면 2차 모멘트(cm4))로 나타내어지고,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단면이 장방형인 경우는 I(단면 2차 모멘트) = bh3/12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b는 단면의 폭(cm), h는 단면의 높이(cm)이다. 또, 상온(常溫)이라 함은 20 ~ 25℃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제로 사용하는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단면의 폭(b)이 12cm가 아닌 경우에도, b = 12cm로 가정하여 상기 식에 기초해 구부러짐 강성값을 얻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단면의 폭(b)을 12cm로 한 이유는,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O)의 구부러짐 강성을 재료의 두께와 탄성률로 나타내기 위함이다. 세퍼레이트 지지판부 재(10)의 구부러짐 강성을 나타내는 식은,
구부러짐 강성 = 인장탄성률×bh3/12
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b는 단면의 폭, h는 단면의 높이(두께)이기 때문에, 식 중의 분모의 값인 12에 맞추어, b = 12cm로 고정하면, 재료의 두께와 탄성률만으로 구부러짐 강성을 나타낼 수가 있게 된다.
또, 상온으로 한 이유는, 검사작업환경이나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박리작업환경이 상온환경이기 때문이다(한편, 환경온도에 따라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재료의 탄성률은 변화하고 구부러짐 강성값도 변화한다).
또,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의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5 ~ 8.0 kgf·cm2이다.
구부러짐 강성이 O.3 kgf·cm2에 미치지 못하면, 종래의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과 마찬가지의 문제가 생길 염려가 있다. 또, 구부러짐 강성이 40 kgf·cm2를 넘으면,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점착층(9)으로부터 벗길 때, 터치패널 본체(1)가 크게 구부러져 투명도전막에 크랙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생길 염려가 있다.
이들 문제를 보다 확실히 없애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인 1.5 ~ 8.0 kgf·cm2로 한다.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구부러짐 강성을 상기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출하(出荷) 전의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에서 발생하고 있던 문제가 생기 지 않게 된다.
즉, 전기검사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종래부터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에 사용하고 있던 카셋트 래크방식의 자동검사기와 공용하는 경우에도, 자동검사화가 쉬워진다. 즉,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측면방향으로부터 푸셔로 누를 때, 종래 기술과 같이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지그로부터 빠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 다른 방식의 자동 또는 반자동 전기검사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기검사기의 지그상에 먼지와 같은 이물이 있더라도 하부 절연기판이 완만하게 휘어져, 종래 기술과 같이 이물을 따라 국부적으로 상부 절연기판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절연이나 리니어리티에 대한 오판이 없어, 전기검사공정을 크린룸 밖에서 실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부 절연기판에 휘어짐이 발생해도 종래 기술과 같이 터치패널 전체가 휘어져 버리는 일이 없어 뉴톤링 등의 외관검사공정에 있어서도 양부 판단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 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어떤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제품의 구부러짐에 의한 투명도전막 등의 크랙이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에 사용하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아크릴로니트릴 수지(AC),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는, 최종적으로는 제거해서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PET, PC, 또는 PMMA 등과 같은 저가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두께는, 상기한 구부러짐 강성의 범위 내라면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수치예로는, 예컨대 탄성률 2300 MPa(23460 kgf/cm3)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서, 두께 0.025 ~ 0.12cm이고, 구부러짐 강성은 약 0.37 ~ 40 kgf·cm2로 된다. 바람직한 범위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서, 두께 0.04 ~ 0.07cm이고, 구부러짐 강성은 1.5 ~ 8.0 kgf·cm2이다. 한편, 점착층(9)의 디스플레이(20)와 전면적으로 첩합(貼合)되는 면이 강고한 점착성 기능을 갖는 경우(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층(9)을 가진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예컨대 실리콘 박리층(25)이 형성된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이용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9)을 아크릴계 점착층(9a)과, 예컨대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심재(9b) 및, 실리콘계 자기 점착제층(9c)으로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실리콘계 자기 점착제층(9c)을 사용함으로써, 터치패널 본체(1)와 디스플레이(20)의 재박리가 가능해져 유지관리가 쉬워지게 된다. 또, 박리되지 않은 아크릴계 점착층(9a)과 조합시킴으로써, 재박리면을 터치패널 본체(1)의 하부면 또는 디스플레이(20)의 상부면 중 어느 하나로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의 사이즈로는 100mm×75mm, 80mm×60mm, 50mm×40mm 등이 있다.
(실험예 1)
두께 125㎛의 PET 필름을 하부 절연기판으로 이용해서, 그 상부면에 두께 O.02㎛의 ITO막으로 된 하부 전극을 스퍼터링으로 형성하여 하부 전극판으로 했다. 한편, 두께 200㎛의 PET 필름을 상부 절연기판으로 이용해서, 그 하부면에 두께 O.02㎛의 ITO막으로 된 상부 전극을 스퍼터링으로 형성하여 상부 전극판으로 하고, 더욱이 상부 절연기판의 상부 전극을 형성한 면과는 반대측 면에 아크릴레이트계의 광경화형 수지를 롤코터로 5㎛로 되도록 코팅해서 하드코팅층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상기의 상부 전극판과 하부 전극판에 소정 패턴의 회로를 스크린인쇄로 형성한 후, 상부 전극판과 하부 전극판을 전극 사이에 공기층을 매개로 대향 배치시키고, 양자를 주연부(周緣部)에서 두께 50㎛의 양면 테이프로 접착시켜 80mm×60mm 크기의 터치패널 본체를 얻었다.
두께 500㎛,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2.9 kgf·cm2인 PC 필름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로 이용해서, 그 한쪽 면에 두께 40㎛의 실리콘계 자기점착제층,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심재, 두께 20㎛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점착층을 형성했다(예컨대 도 5 참조). 이 적층필름을 그 점착층에 의해 상기 터치패널 본체의 하부 전극판의 하부면에 전면적으로 접착시켜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로 했다.
(비교예 1)
두께 50㎛,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O.0038 kgf·cm2인 PET 필름을 세퍼레이트 시트로서 이용한 것 이외는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로 했다.
상기 비교예 1의 터치패널은, 세퍼레이트 시트의 구부러짐 강성이 작기 때문에, 출하 전의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에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제품의 구부러짐에 의한 기능열화가 생겼다. 이에 대해, 상기 실험예 1의 터치패널은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의 구부러짐 강성이 크기 때문에, 비교예 1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
본 발명의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구성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은,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가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0.3 ~ 40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필름이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전기검사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 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종래부터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에 사용하고 있던 카셋트 래크방식의 자동검사기와 공용하는 경우에도 자동검사화가 쉬워진다. 즉,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측면방향으로부터 푸셔로 누를 때, 종래 기술과 같이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지그로부터 빠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 다른 방식의 자동 또는 반자동 전기검사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기검사기의 지그상에 먼지와 같은 이물이 있더라도 하부 절연기판이 완만하게 휘어져, 종래 기술과 같이 이물에 따라 국부적으로 상부 절연기판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변형이 생기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절연이나 리니어리티에 대한 오판정이 없게 되어, 전기검사공정을 크린룸 밖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부 절연기판에 휘어짐이 발생하더라도 종래 기술과 같이 터치패널 전체가 휘어져 버리는 일이 없어, 뉴톤링 등의 외관검사공정에서도 양부의 판단을 정확히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어떤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제품의 구부러짐에 의한 투명도전막 등의 크랙이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그들 각각이 가진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하기는 했으나,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로서는 여러 가지로 변형하거나 수정해서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상부 절연기판(2)의 하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상부 전극(3)이 형성된 상부 전극필름과,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하부 절연기판(4)의 상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하부 전극(5)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전극필름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에 공기층(6)을 매개로 대향 배치된 하부 전극필름을 갖춘 터치패널 본체(1)를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9) 및 터치패널을 사용할 때에는 이 점착층(9)으로부터 박리되어 폐기되는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가진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박리되어 폐기되는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그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0.3 ~ 40 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시트로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되어 폐기되는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그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1.5 ~ 8.0 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시트로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9)을, 아크릴계 점착층(9a)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심재(9b) 및, 실리콘계 자기점착제층(9c)으로 구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KR20057002139A 2002-09-03 2003-09-02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KR100699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7002139A KR100699043B1 (ko) 2002-09-03 2003-09-02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8202 2002-09-03
KR20057002139A KR100699043B1 (ko) 2002-09-03 2003-09-02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957A KR20050056957A (ko) 2005-06-16
KR100699043B1 true KR100699043B1 (ko) 2007-03-23

Family

ID=3725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2139A KR100699043B1 (ko) 2002-09-03 2003-09-02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54B1 (ko) * 2008-04-07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3500B2 (ja) 2008-02-08 2012-10-3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パネル型入力装置、パネル型入力装置の製造方法、及びパネル型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102083869B1 (ko) * 2013-05-27 2020-03-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박막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64276B1 (ko) * 2013-05-27 2020-02-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153975B1 (ko) * 2013-12-30 2020-09-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본딩 부재 및 그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표시패널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54B1 (ko) * 2008-04-07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957A (ko)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1588B2 (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029490B1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266712B1 (ko)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와 이에 이용되는실장용 시트
EP2573660B1 (en) Touch panel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US7830367B2 (en) Touch panel and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window of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920904B2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10032938A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085413A (ko) 내로우프레임 터치패널
CN106853704B (zh) 用于多曲面触控显示模组的内防爆膜及其制备方法
CN105765505A (zh) 输入装置
CN107422904B (zh) 触摸屏与电子设备
CN110187792A (zh) 触控显示设备、触控传感器、触控模组及制备方法
JP588578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699043B1 (ko)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KR20160043965A (ko)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JP2005115728A (ja) タッチパネル
JP2004213187A (ja) アイコン付きタッチパネル
WO2010117186A2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저항방식 터치 센서
CN205103796U (zh) 触控感测装置
JPH06309990A (ja) ペン入力用タツチパネル
TWI275026B (en)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CN112406233B (zh) 保护膜、柔性显示模组及柔性终端
KR20160009630A (ko)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JP2004119373A (ja) 粘着層付きタッチパネル
CN204833212U (zh) 触控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