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348B1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348B1
KR101009348B1 KR1020090059826A KR20090059826A KR101009348B1 KR 101009348 B1 KR101009348 B1 KR 101009348B1 KR 1020090059826 A KR1020090059826 A KR 1020090059826A KR 20090059826 A KR20090059826 A KR 20090059826A KR 101009348 B1 KR101009348 B1 KR 10100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tion
pull
driving signal
transmission lin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304A (ko
Inventor
김관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9005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348B1/ko
Priority to US12/616,464 priority patent/US8004314B2/en
Publication of KR2011000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5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9/01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03K19/0170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 H03K19/0172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by means of a pull-up or down el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45Coupling arrangements; Impedance match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8Arrangements for impedance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gic Circuits (AREA)
  • Dram (AREA)

Abstract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의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여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의 풀스윙(Full Swing) - 터미네이션에 의해 예정된 전압범위내에서 풀스윙함 - 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반도체 장치는, 출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치 구동부;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통해서 전송된 상기 풀업 구동신호 및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 구동부; 및 터미네이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기 위한 터미네이션부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90059826
터미네이션, 풀업 구동신호, 풀다운 구동신호, 데이터 출력, 반도체 장치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 장치의 내부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가 높은 동작 주파수를 통해서 동작 하면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 데이터 윈도우 크기 및 타이밍 마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반도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반도체 장치는, 전치 구동부(11)와, 메인 구동부(12)로 구성된다.
전치 구동부(11)는 출력 데이터 신호(DATA_OUT)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호(PU)와 풀다운 구동신호(PD)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1 전치 구동부(PDRV1)는 풀업 구동신호(PU)를 생성하여 제1 전송라인(LINE1)으로 전송하고, 제2 전치 구동부(PDRV2)는 풀다운 구동신호(PD)를 생성하여 제2 전송라인(LINE2)으로 전송한다.
또한, 메인 구동부(12)는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통해서 전송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에 응답하여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구동하게 된다. 즉,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제어에 따라 메인 구동부(12)의 풀업 구동부(MDRV1) 또는 풀다운 구동부(MDRV2)가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전원전압(VDDQ) 또는 접지전압(VSSQ)으로 풀업/풀다운 구동하게 된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반도체 장치의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출력 데이터 신호(DATA_OUT)가 "0100101101" 일 때의 전치 구동부(11)에서 생성되어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으로 전송되는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파형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적 낮은 동작 주파수(A Hz)를 통해서 동작하면서 저속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제1 파형(21)과, 높은 동작 주파수(2 x A Hz)를 통해서 동작하면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제2 파형(22)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2 파형(22)은 제1 파형(21)에 비해서 동작 주파수가 2배 높을 때의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파형도이다.
동작 주파수가 높아져서 데이터를 고속으로 출력하면서 데이터 1 비트(bit) 의 폭에 해당하는 1UI(Unit Interval)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는데, 이 간격이 너무 좁아지게 되면 제2 파형(22)에서와 같이 신호가 풀스윙(Full Swing)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1UI(Unit Interval) 동안 신호가 풀스윙(Full Swing)을 하지 못하게 되면 패턴 지터(Pattern Jitter) 등을 유발하게 되어 신호의 유효 윈도우 크기 및 타이밍 마진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의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여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의 풀스윙(Full Swing) - 터미네이션에 의해 예정된 전압범위내에서 풀스윙함 - 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치 구동부;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통해서 전송된 상기 풀업 구동신호 및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 구동하기 위한 메인 구동부; 및 터미네이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기 위한 터미네이션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출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치 구동부;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통해서 전송된 상기 풀업 구동신호 및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 구동하기 위한 메인 구동부;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터미네이션 코드를 생성하 기 위한 터미네이션 코드 생성부; 상기 터미네이션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기 위한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 및 상기 터미네이션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기 위한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적용한 반도체 장치는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때 생성되는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의 풀스윙(Full Swing) - 터미네이션에 의해 예정된 전압범위내에서 풀스윙함 - 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고속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더라도 데이터 윈도우 크기 및 타이밍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의 제어를 통해서 데이터 입출력 패드를 구동하는 메인 드라이버가 고속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데이터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소자, 블록 등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용어, 기호, 부호등은 필요에 따라 세부단위별로 표기할 수도 있으므로, 동일한 용어, 기호, 부호가 전체회로에서 동일한 소자 등을 지칭하지 않을 수도 있음에 유의하자.
일반적으로 회로의 논리신호는 전압레벨에 대응하여 하이레벨(HIGH LEVEL, H) 또는 로우레벨(LOW LEVEL, L)로 구분하며, 각각 '1' 과 '0'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하이임피던스(High Impedance, Hi-Z) 상태 등을 가질 수 있다고 정의하고 기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PMOS(P-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NMOS(N-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의 한 종류임을 미리 밝혀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는, 출력 데이터 신호(DATA_OUT)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치 구동부(31)와,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통해서 전송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구동하기 위한 메인 구동부(32)와, 터미네이션 전원(VDDQ·VSSQ)을 공급받아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터미네이션 하기 위한 터미네이션부(33)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치 구동부(31)는 출력 데이터 신호(DATA_OUT)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 호(PU)와 풀다운 구동신호(PD)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1 전치 구동부(PDRV1)는 풀업 구동신호(PU)를 생성하여 제1 전송라인(LINE1)으로 전송하고, 제2 전치 구동부(PDRV2)는 풀다운 구동신호(PD)를 생성하여 제2 전송라인(LINE2)으로 전송한다.
또한, 메인 구동부(32)는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통해서 전송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구동하게 된다. 즉,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제어에 따라 메인 구동부(32)의 풀업 구동부(MDRV1) 또는 풀다운 구동부(MDRV2)가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전원전압(VDDQ) 또는 접지전압(VSSQ)으로 풀업/풀다운 구동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메인 구동부(32)의 풀업 구동부(MDRV1)는 전원전압단(VDDQ)과 출력노드(N11) 사이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다수의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풀다운 구동부(MDRV2)는 접지전압단(VSSQ)과 출력노드(N11) 사이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다수의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또한, 메인 구동부(32)는 ODT(On Die Termination) 회로 및 구동력 조절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터미네이션부(33)는 전원전압단(VDDQ)과 제1 전송라인(LINE1) 사이에 접속된 제1 터미네이션 로드부(R1)와, 접지전압단(VSSQ)과 제1 전송라인(LINE1) 사이에 접속된 제2 터미네이션 로드부(R2)와, 전원전압단(VDDQ)과 제2 전송라인(LINE2) 사이에 접속된 제3 터미네이션 로드부(R3)와, 접지전압단(VSSQ)과 제2 전송라인(LINE2) 사이에 접속된 제4 터미네이션 로드부(R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터미네이션 로드부(R1~R4)는 수동소자의 저항으로 구성되었다.
터미네이션부(33)는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터미네이션(Termination) 하여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스윙폭을 조절하게 된다.
제1 전송라인(LINE1)의 신호는 제1 및 제2 터미네이션 로드부(R1,R2)와 전원전압(VDDQ) 및 접지전압(VSSQ)에 의해서 'VDDQ/2' 를 기준으로 하여 스윙하게 된다. 결국 제1 전송라인(LINE1)의 신호의 스윙폭은 제1 전치 구동부(PDRV1)의 등가 저항값과 터미네이션 유효 저항값의 전압 분배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적으로 'VDDQ/2' 를 기준으로 신호가 스윙 한다는 것은 제1 터미네이션 로드부(R1)와 제2 터미네이션 로드부(R2)의 저항값이 동일하게 설계되었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며, 저항비 및 전원전압(VDDQ)의 전압레벨 등에 의해서 스윙 기준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송라인(LINE2)의 신호는 제3 및 제4 터미네이션 로드부(R3,R4)와 전원전압(VDDQ) 및 접지전압(VSSQ)에 의해서 'VDDQ/2' 를 기준으로 하여 스윙하게 된다. 결국 제2 전송라인(LINE2)의 신호의 스윙폭은 제2 전치 구동부(PDRV2)의 등가 저항값과 터미네이션 유효 저항값의 전압 분배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적으로 'VDDQ/2' 를 기준으로 신호가 스윙 한다는 것은 제3 터미네이션 로드부(R3)와 제4 터미네이션 로드부(R4)의 저항값이 동일하게 설계되었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며, 저항비 및 전원전압(VDDQ)의 전압레벨 등에 의해서 스윙 기준은 조절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터미네이션부(33)는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통해서 전송되는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를 'VDDQ/2' 를 기준으로 하여 스윙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터미네이션부(33)가 구비되지 않았을 때에 비해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스윙폭이 감소하게 되는데, 작은 스윙폭을 가지는 신호가 고속으로 동작할 때 더 유리하다. 즉, 작은 스윙폭을 가지므로 동작 주파수가 높아져서 1UI(Unit Interval)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에도 신호가 풀스윙(Full Swing) - 터미네이션부(33)에 의해 예정된 전압범위내에서 풀스윙함 - 하기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통해서 전송되는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는 터미네이션부(33)에 의해서 풀스윙(Full Swing) - 터미네이션부(33)에 의해 예정된 전압범위내에서 풀스윙함 - 이 확보되며, 이를 통해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데이터 윈도우 크기 및 타이밍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풀스윙폭은 "(VDDQ/2)+α ~ (VDDQ/2)-α" 이며 'α'는 터미네이션 전원(VDDQ,VSSQ) 및 터미네이션 로드부(R1~R4)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동작 주파수가 높아져서 1UI(Unit Interval)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에도 1UI 동안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가 그 스윙 레벨을 충실히 만족시킴으로서 Pattern 관련 Jitter를 유발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풀스윙폭은 터미네이션부(33)에 의해서 조절되므로, 풀스윙이 "VDDQ~VSSQ" 의 스윙폭을 가지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자.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는, 출력 데이터 신호(DATA_OUT)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치 구동부(41)와,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통해서 전송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구동하기 위한 메인 구동부(42)와,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T_ON)에 응답하여 터미네이션 코드(PCODE, NCODE)를 생성하기 위한 터미네이션 코드 생성부(44)와, 터미네이션 코드(PCODE, NCODE)에 응답하여 제1 전송라인(LINE1)을 터미네이션(Termination) 하기 위한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43A)와, 터미네이션 코드(PCODE, NCODE)에 응답하여 제2 전송라인(LINE2)을 터미네이션 하기 위한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43B)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치 구동부(41)는 출력 데이터 신호(DATA_OUT)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호(PU)와 풀다운 구동신호(PD)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1 전치 구동부(PDRV1)는 풀업 구동신호(PU)를 생성하여 제1 전송라인(LINE1)으로 전송하고, 제2 전치 구동부(PDRV2)는 풀다운 구동신호(PD)를 생성하여 제2 전송라인(LINE2)으로 전송한다.
또한, 메인 구동부(42)는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통해서 전송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구동하게 된다. 즉,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제어에 따라 메인 구동부(42)의 풀업 구동부(MDRV1) 또는 풀다운 구동부(MDRV2)가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전원전압(VDDQ) 또는 접지전압(VSSQ)으로 풀업/풀다운 구동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메인 구동부(42)의 풀업 구동부(MDRV1)는 전원전압단(VDDQ)과 출력노드(N11) 사이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다수의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풀다운 구동부(MDRV2)는 접지전압단(VSSQ)과 출력노드(N11) 사이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다수의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또한, 메인 구동부(42)는 ODT(On Die Termination) 회로 및 구동력 조절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터미네이션 코드 생성부(44)는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T_ON) 및 전원전압(VDDQ)을 부정 논리곱 하여 제1 터미네이션 코드(PCODE)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로직부(NAND)와,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T_ON)를 반전시킨 신호 및 접지전압(VSSQ)을 부정 논리합 하여 제2 터미네이션 코드(NCODE)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로직부(NOR)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 로직부(NAND)는 난드 게이트(NAND GATE)로 구성되었으며, 제2 로직부(NOR)는 노어 게이트(NOR GATE)로 구성되었다.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43A)는 전원전압단(VDDQ)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되어 제1 터미네이션 코드(PCODE)의 제어를 받는 제1 액티브 로드부(MP1)와, 제1 노드(N1)와 제1 전송라인(LINE1) 사이에 접속되는 제1 터미네이션 로드부(R1)와, 접지전압단(VSSQ)과 제2 노드(N2) 사이에 접속되어 제2 터미네이션 코드(NCODE)의 제어를 받는 제2 액티브 로드부(MN1)와, 제2 노드(N2)와 제1 전송라인(LINE1) 사이 에 접속되는 제2 터미네이션 로드부(R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터미네이션 로드부(R1,R2)는 수동소자의 저항으로 구성되고, 제1 액티브 로드부(MP1)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제2 액티브 로드부(MN1)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었다.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43B)는 전원전압단(VDDQ)과 제3 노드(N3) 사이에 접속되어 제1 터미네이션 코드(PCODE)의 제어를 받는 제3 액티브 로드부(MP2)와, 제3 노드(N3)와 제2 전송라인(LINE2) 사이에 접속되는 제3 터미네이션 로드부(R3)와, 접지전압단(VSSQ)과 제4 노드(N4) 사이에 접속되어 제2 터미네이션 코드(NCODE)의 제어를 받는 제4 액티브 로드부(MN2)와, 제4 노드(N4)와 제2 전송라인(LINE2) 사이에 접속되는 제4 터미네이션 로드부(R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터미네이션 로드부(R3,R4)는 수동소자의 저항으로 구성되고, 제3 액티브 로드부(MP2)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제4 액티브 로드부(MN2)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었다.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43A)는 제1 전송라인(LINE1)을 터미네이션(Termination) 하여 풀업 구동신호(PU)의 스윙폭을 조절하게 된다. 제1 전송라인(LINE1)의 신호는 제1, 제2 터미네이션 로드부(R1,R2) 및 제1, 제2 액티브 로드부(MP1,MN1)와 터미네이션 전원(VDDQ·VSSQ)에 의해서 'VDDQ/2' 를 기준으로 하여 스윙하게 된다. 결국 제1 전송라인(LINE1)의 신호의 스윙폭은 제1 전치 구동부(PDRV1)의 등가 저항값과 터미네이션 유효 저항값의 전압 분배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적으로 'VDDQ/2' 를 기준으로 신호가 스윙 한다는 것은 제1 터미네이션 로드부(R1) 및 제1 액티브 로드부(MP1)와 제2 터미네이션 로드부(R2) 및 제2 액티브 로 드부(MN1)의 저항값이 동일하게 설계되었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며, 저항비 및 터미네이션 전원(VDDQ·VSSQ) - 전원전압(VDDQ) 및 접지전압(VSSQ)임 - 의 전압레벨 등에 의해서 스윙 기준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43B)는 제2 전송라인(LINE2)을 터미네이션(Termination) 하여 풀다운 구동신호(PD)의 스윙폭을 조절하게 된다. 제2 전송라인(LINE2)의 신호는 제3, 제4 터미네이션 로드부(R3,R4) 및 제3, 제4 액티브 로드부(MP2,MN2)와 터미네이션 전원(VDDQ·VSSQ)에 의해서 'VDDQ/2' 를 기준으로 하여 스윙하게 된다. 결국 제2 전송라인(LINE2)의 신호의 스윙폭은 제2 전치 구동부(PDRV2)의 등가 저항값과 터미네이션 유효 저항값의 전압 분배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적으로 'VDDQ/2' 를 기준으로 신호가 스윙 한다는 것은 제3 터미네이션 로드부(R3) 및 제3 액티브 로드부(MP2)와 제4 터미네이션 로드부(R4) 및 제4 액티브 로드부(MN2)의 저항값이 동일하게 설계되었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며, 저항비 및 터미네이션 전원(VDDQ·VSSQ) - 전원전압(VDDQ) 및 접지전압(VSSQ)임 - 의 전압레벨 등에 의해서 스윙 기준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43A) 및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43B)는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T_ON)가 하이레벨로 활성화 되었을 때,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터미네이션 하게 된다. 즉, 데이터 출력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T_ON)를 로우레벨로 비활성화 시켜서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43A) 및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43B)가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터미네이션 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는 불필요한 터미네이션 동작으로 인한 전류 소모를 감소시키고, 메인 구동부(42)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결론적으로,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43A) 및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43B)는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통해서 전송되는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를 'VDDQ/2' 를 기준으로 하여 스윙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43A) 및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43B)가 구비되지 않았을 때에 비해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스윙폭이 감소하게 되는데, 작은 스윙폭을 가지는 신호가 고속으로 동작할 때 더 유리하다. 즉, 작은 스윙폭을 가지므로 동작 주파수가 높아져서 1UI(Unit Interval)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에도 신호가 풀스윙(Full Swing) - 터미네이션에 의해 예정된 전압범위내에서 풀스윙함 - 하기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통해서 전송되는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는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43A) 및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43B)에 의해서 풀스윙(Full Swing) - 터미네이션에 의해 예정된 전압범위내에서 풀스윙함 - 이 확보되며, 이를 통해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데이터 윈도우 크기 및 타이밍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풀스윙폭은 "(VDDQ/2)+α ~ (VDDQ/2)-α" 이며 'α'는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43A) 및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43B)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동작 주파수가 높아져서 1UI(Unit Interval)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에도 1UI 동안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가 그 스윙 레벨을 충실히 만족시킴으로서 Pattern 관련 Jitter를 유발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풀스윙폭은 터미네이션 구동부에 의해서 조절되므로, 풀스윙이 "VDDQ~VSSQ" 의 스윙폭을 가지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자. 또한,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T_ON)는 데이터 출력상태에서 하이레벨로 활성화 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T_ON)는 데이터 출력상태를 나타내는 내부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는, 출력 데이터 신호(DATA_OUT)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치 구동부(51)와,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을 통해서 전송된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구동하기 위한 메인 구동부(52)와,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T_ON)에 응답하여 터미네이션 코드(PCODE<0:1>, NCODE<0:1>)를 생성하기 위한 터미네이션 코드 생성부(54)와, 터미네이션 코드(PCODE<0:1>, NCODE<0:1>)에 응답하여 제1 전송라인(LINE1)을 터미네이션(Termination) 하기 위한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53A)와, 터미네이션 코드(PCODE, NCODE)에 응답하여 제2 전송라인(LINE2)을 터미네이션 하기 위한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53B)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터미네이션 코드 생 성부(54)에서 생성되는 터미네이션 코드(PCODE<0:1>, NCODE<0:1>)의 비트 수가 더 추가 되었다. 따라서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53A) 및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53B)는 터미네이션 코드(PCODE<0:1>, NCODE<0:1>)의 제어에 따라 제1 전송라인(LINE1) 및 제2 전송라인(LINE2)의 터미네이션을 좀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T_ON)는 데이터 출력상태에서 하이레벨로 활성화 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T_ON)는 데이터 출력상태를 나타내는 내부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출력 데이터 신호(DATA_OUT)가 "0100101101" 일 때의 전치 구동부에서 생성되어 제1 및 제2 전송라인(LINE1,LINE2)으로 전송되는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파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적 낮은 동작 주파수(A Hz)를 통해서 동작하면서 저속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제1 파형(60)과, 높은 동작 주파수(2 x A Hz)를 통해서 동작하면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제2 파형(61) -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은 반도체 장치임 - 과, 높은 동작 주파수(2 x A Hz)를 통해서 동작하면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제3 파형(62) - 본 발명을 적용한 반도체 장치임 - 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2 파형(61) 및 제3 파형(62)은 제1 파형(60)에 비해서 동작 주 파수가 2배 높을 때의 풀업 구동신호(PU) 및 풀다운 구동신호(PD)의 파형도이다. 동작 주파수가 높아져서 데이터를 고속으로 출력할 때 데이터 1 비트(bit) 의 폭에 해당하는 1UI(Unit Interval)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는데, 이 간격이 너무 좁아지게 되면 제2 파형(61)에서와 같이 신호가 풀스윙(Full Swing)을 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을 적용한 반도체 장치의 경우, 제3 파형(62)과 같이 동작 주파수가 높아져서 데이터를 고속으로 출력할 때 데이터 1 비트(bit) 의 폭에 해당하는 1UI(Unit Interval)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더라도 신호가 풀스윙(Full Swing) - 터미네이션에 의해 예정된 전압범위내에서 풀스윙함 - 을 할 수 있으며 신호의 유효 윈도우 크기 및 타이밍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을 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부분이지만,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한 실시예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및 회로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액티브 하이(Active High) 또는 액티브 로우(Active Low)의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동 일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즉,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의 구성은 서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로직 게이트(LOGIC GATE)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즉 부정논리곱 수단, 부정논리합 수단 등은 난드 게이트(NAND GATE), 노어 게이트(NOR GATE), 인버터(INVERTER) 등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회로의 변경은 너무 경우의 수가 많고, 이에 대한 변경은 통상의 전문가라면 누구나 쉽게 유추할 수 있기에 그에 대한 열거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반도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반도체 장치의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41, 51 : 전치 구동부
32, 42, 52 : 메인 구동부
44, 54 : 터미네이션 코드 생성부
33 : 터미네이션부
43A, 53A :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
53A, 53B :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
도면에서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는 각각 MPi, MNi (i=0,1,2, … ) 으로 표시함.

Claims (15)

  1. 출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치 구동부;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통해서 전송된 상기 풀업 구동신호 및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 구동부; 및
    터미네이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기 위한 터미네이션부
    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네이션부는,
    데이터 출력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여 상기 풀업 구동신호 및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의 스윙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네이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여 상기 풀업 구동신호 및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가 1 UNIT INTERVAL 동안 목표된 스윙레벨을 갖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네이션부는,
    전원전압단과 상기 제1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된 제1 터미네이션 로드부;
    접지전압단과 상기 제1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된 제2 터미네이션 로드부;
    상기 전원전압단과 상기 제2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된 제3 터미네이션 로드부; 및
    상기 접지전압단과 상기 제2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된 제4 터미네이션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출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풀업 구동신호 및 풀다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전송라인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치 구동부;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통해서 전송된 상기 풀업 구동신호 및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 구동부;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터미네이션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터 미네이션 코드 생성부;
    상기 터미네이션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기 위한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 및
    상기 터미네이션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기 위한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
    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는,
    상기 제1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여 상기 제1 전송라인을 통해서 전송되는 상기 풀업 구동신호의 스윙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는,
    상기 제2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여 상기 제2 전송라인을 통해서 전송되는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의 스윙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는,
    상기 제1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여 상기 제1 전송라인을 통해서 전송되는 상기 풀업 구동신호가 1 UNIT INTERVAL 동안 목표된 스윙레벨을 갖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는,
    상기 제2 전송라인을 터미네이션 하여 상기 제2 전송라인을 통해서 전송되는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가 1 UNIT INTERVAL 동안 목표된 스윙레벨을 갖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는,
    전원전압단과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터미네이션 코드의 제어를 받는 제1 액티브 로드부;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1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되는 제1 터미네이션 로드부;
    접지전압단과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터미네이션 코드의 제어를 받는 제2 액티브 로드부; 및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1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터미네이션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는,
    상기 전원전압단과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터미네이션 코드의 제어를 받는 제3 액티브 로드부;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2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되는 제3 터미네이션 로드부;
    상기 접지전압단과 제4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터미네이션 코드의 제어를 받는 제4 액티브 로드부; 및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2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되는 제4 터미네이션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네이션 코드 생성부는,
    상기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 및 전원전압을 부정 논리곱 하여 제1 터미네이션 코드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로직부; 및
    상기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를 반전시킨 신호 및 접지전압을 부정 논리합 하여 제2 터미네이션 코드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로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네이션 구동부는,
    전원전압단과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터미네이션 코드의 제어를 받는 제1 액티브 로드부;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1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되는 제1 터미네이션 로드부;
    접지전압단과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2 터미네이션 코드의 제어를 받는 제2 액티브 로드부; 및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1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터미네이션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미네이션 구동부는,
    상기 전원전압단과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터미네이션 코드의 제어를 받는 제3 액티브 로드부;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2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되는 제3 터미네이션 로드부;
    상기 접지전압단과 제4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2 터미네이션 코드의 제어를 받는 제4 액티브 로드부; 및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2 전송라인 사이에 접속되는 제4 터미네이션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5. 제5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네이션 인에이블 신호는 데이터 출력상태에서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090059826A 2009-07-01 2009-07-01 반도체 장치 KR10100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26A KR101009348B1 (ko) 2009-07-01 2009-07-01 반도체 장치
US12/616,464 US8004314B2 (en) 2009-07-01 2009-11-11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26A KR101009348B1 (ko) 2009-07-01 2009-07-01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04A KR20110002304A (ko) 2011-01-07
KR101009348B1 true KR101009348B1 (ko) 2011-01-19

Family

ID=4341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826A KR101009348B1 (ko) 2009-07-01 2009-07-01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04314B2 (ko)
KR (1) KR101009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0017B2 (en) 2013-07-08 2015-08-04 Samsung Display Co., Ltd. Impedance component having low sensitivity to power supply vari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478B1 (ko) 2013-04-22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KR102268564B1 (ko) * 2017-05-24 2021-06-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송수신 회로 및 수신 회로
US10630289B1 (en) * 2019-03-01 2020-04-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On-die-termination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of the same
EP4195509A1 (en) * 2020-08-07 2023-06-14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Drive circu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036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슬루레이트 조정이 이루어지는 반도체메모리장치의데이터출력버퍼회로
KR20080065100A (ko) * 2007-01-08 2008-07-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870A (en) * 1987-10-14 1989-08-22 Lsi Logic Incorporated Two-mode driver circuit
US5568081A (en) * 1995-06-07 1996-10-2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Variable slew control for output buffers
US6051995A (en) * 1998-09-11 2000-04-18 Sharp Electronics Corporation Constant impedance, low noise CMOS buffer
US6420899B1 (en) * 2000-12-29 2002-07-16 Intel Corporation Dynamic impedance matched driver for improved slew rate and glitch termination
KR100427037B1 (ko) * 2001-09-24 2004-04-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적응적 출력 드라이버를 갖는 반도체 기억장치
US6937111B2 (en) * 2001-11-21 2005-08-30 Hynix Semiconductor Inc. Device and system having self-terminated driver and active terminator for high speed interface
US6664805B2 (en) * 2002-01-30 2003-12-16 Agilent Technologies, Inc. Switched capacitor piecewise linear slew rate control methods for output devices
KR100631941B1 (ko) * 2003-12-15 2006-10-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용 출력 드라이버
US7170324B2 (en) * 2004-07-15 2007-01-30 Agere Systems Inc. Output buffer with selectable slew rate
KR100555571B1 (ko) * 2004-09-0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송신기
KR100670699B1 (ko) * 2004-11-01 2007-0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갖는 반도체메모리소자
KR100738961B1 (ko) * 2006-02-22 2007-07-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출력 드라이빙 장치
KR20090022108A (ko) * 2007-08-29 2009-03-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드라이버
KR100951659B1 (ko) * 2007-12-11 2010-04-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출력 드라이빙 회로
KR20090074427A (ko) * 2008-01-02 2009-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US7646215B2 (en) * 2008-03-24 2010-01-12 Sony Corporation Efficient method for implementing programmable impedance output drivers and programmable input on die termination on a bi-directional data bus
KR100933814B1 (ko) * 2008-04-25 2009-12-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 다이 터미네이션 테스트 장치 및 온 다이 터미네이션테스트 방법
KR20090114630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출력드라이버,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036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슬루레이트 조정이 이루어지는 반도체메모리장치의데이터출력버퍼회로
KR20080065100A (ko) * 2007-01-08 2008-07-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0017B2 (en) 2013-07-08 2015-08-04 Samsung Display Co., Ltd. Impedance component having low sensitivity to power supply vari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1510A1 (en) 2011-01-06
US8004314B2 (en) 2011-08-23
KR20110002304A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9831B2 (en) Semiconductor device
US8581620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ata output circuit supporting pre-emphasis operation
KR100940854B1 (ko) 데이터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09348B1 (ko) 반도체 장치
JP2007213773A (ja) 半導体記憶装置のデータ出力回路及び方法
KR101116362B1 (ko) 반도체 장치
JP2003078406A (ja) データバッファ回路およびデータ出力バッファ
KR102021336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64842A (ko) 송신 회로 및 반도체 장치
KR100942972B1 (ko) 출력 드라이버
US7994835B2 (en) Duty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KR20100021119A (ko) 반도체 회로의 출력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US20130162314A1 (en) Signal out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996193B1 (ko) 출력 드라이빙장치
JP4804926B2 (ja) 半導体集積回路
JP6880663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
JP4086193B2 (ja) オープンドレイン出力バッファ
KR20080100948A (ko)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출력회로
KR100885488B1 (ko) 반도체 소자
KR100985411B1 (ko) 집적회로
KR101020299B1 (ko) 임피던스 매칭장치
KR101024333B1 (ko) 데이터 출력버퍼
KR100500946B1 (ko) 전자기 방해를 개선한 데이터 입출력 버퍼
WO2008028012A1 (en)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input buffer level shifting circuit
JP2010220185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データ出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