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493B1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493B1
KR101007493B1 KR1020047003432A KR20047003432A KR101007493B1 KR 101007493 B1 KR101007493 B1 KR 101007493B1 KR 1020047003432 A KR1020047003432 A KR 1020047003432A KR 20047003432 A KR20047003432 A KR 20047003432A KR 101007493 B1 KR101007493 B1 KR 10100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ejection
hole
discharg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6279A (ko
Inventor
야꾸라유우지
스즈끼겐지
도꾸나가히로시
호리이신이찌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1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6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by applying pressur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41J2/075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many-valued deflection
    • B41J2/095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many-valued deflection electric field-contro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41J2/125Sensors, e.g. deflec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잉크 토출공(13)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6)을 갖는 프린트 헤드(4)를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13)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지상에 화상 형성을 행한다. 잉크 토출면(6)의 잉크 토출공(13)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부(41)를 구비하고, 토출 제어부(41)는 입력한 화상 신호에 따라 잉크 토출공(13)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고, 또는 잉크 토출공(13)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화상 신호에 따라 잉크 토출공(13)의 예비 토출량을 제어하고, 또는 잉크 예비 토출공(13)을 선택하여, 잉크 토출면(6)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여, 잉크 토출공(13)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한다.
기록 매체, 화상 형성 장치, 잉크 토출공, 잉크 토출면, 프린트 헤드, 신호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2년 7월 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2-200427호,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2-200428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 출원은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잉크젯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는 런닝 코스트가 낮고, 프린터 화상의 컬러화, 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한 등의 면에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에 설치된 미소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미량의 잉크를 토출시켜 화상 기록을 행하도록 되어 있고, 장시간 계속하여 인쇄 동작을 행하지 않고,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전회의 인쇄 동작에 의해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 부근에 부착된 잉크가 증발 건조하여 증점(增粘), 고화(固化)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정상적인 잉크 토출이 곤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상에 인쇄를 행하기 위해, 어느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하고, 그 후 수초 내지 수십초간 그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다음의 잉크가 토출되지 않으면, 그 잉크 토출공 부근에 부착된 잉크가 증발 건조하여 증점, 고화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 이전의 인쇄 동작에 의해,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 부근에 부착된 잉크가 증발 건조하여 증점, 고화되지 않도록, 인쇄 동작을 행하지 않는 시간에도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 동작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모든 잉크 토출공에서 일정한 예비 토출량으로 예비 토출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잉크젯 프린터의 예비 토출 동작에 있어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직전에 토출된 잉크의 토출량과, 화상 데이터, 토출 잉크의 색에 따라 그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예비 토출량, 예비 토출하는 잉크의 색 등이 제어되지 않아, 예비 토출에 의한 잉크의 소비량이 많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잉크젯 프린터의 예비 토출 동작에 있어서, 임의의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에 있어서의 인쇄 동작시의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그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량을 제어하고, 또는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지 않아, 예비 토출 동작에 의한 잉크의 소비량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예비 토출 동작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잉크 토출공에서 일정한 예비 토출량으로 예비 토출을 행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록 매체상에 인쇄되지 않는 스페이스가 있는 경우에도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이 행해 지고 있어, 잉크의 예비 토출량에 낭비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예비 토출에 의한 잉크의 소비량이 증대하지 않도록,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잉크 토출공을 클리닝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블레이드에 의한 와이핑만으로는 여전히 잉크 토출공 부근에 잉크가 남는 경우가 많아, 충분히 클리닝할 수 없었다.
또, 복수의 블레이드를 회전축에 장착하여 회전시킨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잉크 토출면에 흠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동시에 와이핑 효과에만 의지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잉크 토출공 부근에 잉크가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신규의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 토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여,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도모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토출 제어 수단은 입력한 화상 신호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으 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 토출 제어 수단은 입력한 화상 신호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와,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토출 제어 수단은,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와,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토출 제어 수단은,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 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 토출 제어 수단은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그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 토출 제어 수단은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 및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그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 토출 제어 수단은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 토출 제어 수단은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 및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와,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토출 제어 수단은,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그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와,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토출 제어 수단은,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 및 입 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그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와,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토출 제어 수단은,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와,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토출 제어 수단은,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 및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해질 것이 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로서의 잉크젯 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잉크젯 헤드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한 헤드 캡 및 클리닝 롤러 그리고 잉크 수부(受部)의 구체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헤드 캡 및 클리닝 롤러 그리고 잉크 수부의 구체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6a 내지 도6c는 클리닝 롤러에 의한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의 클리닝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헤드 캡이 프린트 헤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에 행해지는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수단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8a 및 도8b는 클리닝 롤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개략 설명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주로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동작의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11a 내지 도11h는 잉크젯 헤드의 헤드 캡 및 클리닝 롤러에 의한 클리닝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로서의 잉크젯 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잉크젯 헤드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잉크젯 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헤드 캡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도1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를 프린터 본체의 소정 개소에 화살표 H방향으로 삽입하여 수납한 구체적인 기구와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5는 잉크젯 헤드가 헤드 착탈 기구로 프린터 본체의 소정 개소에 고정됨과 함께, 헤드 캡이 이동가능하게 된 구체적인 기구와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6은 잉크 카트리지의 저면측에 장착된 헤드 캡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된 상태의 구체적인 기구와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7은 헤드 캡이 이동 궤적 P를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순차 이동하는 상태의 구체적인 기구와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8은 헤드 캡이 이동 궤적 P를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한껏 이동하여 퇴피 위치로 수납된 상태의 구체적인 기구와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9a 및 도19b는 잉크젯 헤드를 트레이를 통하여 프린터 본체에 장착하는 다른 형식의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로서, 주로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동작의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로서의 잉크젯 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젯 헤드(1)가 독립된 형태를 갖고 프린터 본체(2)에 직접 장착되는 형식의 것을 나타내고 있고, 잉크젯 헤드(1)를 도면 중 화살표 H방향으로 수납하여 프린터 본체(2)에 고정 상태로 세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잉크젯 헤드(1)는 액체 잉크를 예를 들면 전기 열변환식 또는 전기 기계 변환식 등으로 미세하게 입자화하여 토출하고, 기록지(기록 매체)상에 잉크 도트를 내뿜는 것으로,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3)와, 프린트 헤드(4)와, 헤드 캡(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잉크 카트리지(3)는 내부에 1색 또는 복수색의 잉크를 수용하는 것으로, 그 케이스가 도1에 도시한 프린터 본체(2)의 폭방향, 즉 기록지의 폭방향으로 전폭에 걸쳐 가늘고 길게 신장되어 있다. 케이스의 내부에는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예를 들면 4개로 나뉘어진 잉크실이 있고, 옐로우 Y, 마젠타 M, 시안 C, 블랙 K의 4색의 잉크가 충전되어 있다. 또, 잉크 카트리지(3)는 경질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3)의 저면부에는 도2(도1에 도시한 잉크젯 헤드(1)의 확대 횡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린트 헤드(4)는 잉크 카트리지(3)로부터 공급되는 잉크를 미세하게 입자화하여 토출시키는 것으로, 미소한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잉크 토출공이 잉크 카트리지(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록지의 전폭에 대응하여 설치된 잉크 토출면(6)을 갖고 있다. 이 잉크 토출면(6)은 예를 들면 니켈 및 니켈을 함유하는 재질로 니켈 전주법(電鑄法)에 의해 얇은 시트상으로 형성되고, 잉크 카트리지(3)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고, 옐로우 Y, 마젠타 M, 시안 C, 블랙 K의 4색 잉크 토출공의 열(列)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4색 일체형의 라인 헤드로 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잉크 토출면(6)의 Y, M, C, K의 각 색의 잉크 토출공의 열(列)이 있는 부분과, 그 잉크 토출공을 사이에 둔 양측에 헤드 전극을 수지로 피복한 볼록부가 형성된 부분은 물결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3)의 저면측에는 헤드 캡(5)이 장착되어 있다. 이 헤드 캡(5)은 후술하는 클리닝 롤러(7)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을 덮는 잉크 토출공의 건조와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하는 캡 부재가 되는 것으로, 잉크 카트리지(3)의 케이스와 같은 길이로 가늘고 길게 신장하고, 상면이 개구된 얕은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프린트 헤드(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캡(5)은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면 중의 화살표 A방향 또는 화살표 B방향으로 모터 등의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고,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3)로부터 벗어나, 화살표 B방향으로 복귀한 상태에서 다시 잉크 카트리지(3)에 장착된다. 또, 헤드 캡(5)은 경질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 캡(5)의 내부에는 클리닝 롤러(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리닝 롤러(7)는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부재가 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재료로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헤드 캡(5) 내의 일측부에서 그 헤드 캡(5)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클리닝 롤러(7)는 헤드 캡(5)과 함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을 클리닝하도록 되어 있다.
동일하게 헤드 캡(5)의 내부에는 잉크 수부(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잉크 수부(8)는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 잉크를 받는 것으로, 얕은 상자형의 헤드 캡(5) 저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서 예비 토출된 잉크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헤드 캡(5) 및 클리닝 롤러(7)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4에 있어서, 헤드 캡(5)은 도1에 도시한 잉크 카트리지(3)의 폭과 길이에 맞추어 가늘고 긴 형태로 형성되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저면을 갖고 전체 주위에 측벽이 세워지고 상부가 개구된 얕은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캡(5)은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2 중의 화살표 A방향 또는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지만, 화살표 B방향으로 복귀한 상태에서 다시 잉크 카트리지(3)에 장착될 때의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7)와 반대측 측벽의 상단부에 위치 결정조(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조(12)가 잉크 카트리지(3)의 하부측 가장자리부에 걸려 헤드 캡(5)을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헤드 캡(5)의 프린트 헤드(4)측에서 길이 방향 일측의 측벽 근방에는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전장에 걸쳐 접촉하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닝 롤러(7)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클리닝 롤러(7)의 양단부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9)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 핀(9)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U자형의 형상으로 세워지는 지지 부재(10)로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10)의 상부의 핀 수납부는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핀(9)을 상방으로부터 핀 수납부로 억누름으로써 그 핀 수납부가 열려 핀(9)을 수납하고, 그 후 닫아 지지한다. 반대로, 핀(9)을 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그 핀 수납부가 열려 핀(9)을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클리닝 롤러(7)의 원주 형상은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완만하게 굵어진 소위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클리닝 롤러(7)가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하방으로 휘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휨에 의해 잉크 토출면(6)과 비접촉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클리닝 롤러(7)의 잉크 토출면(6)에 접촉하는 부분은 탄성을 갖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즉, 클리닝 롤러(7)의 심재(芯材)는 예를 들면 금속과 경질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심재보다 외측의 둘레면 부분은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클리닝 롤러(7)의 전체가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클리닝 롤러(7)를 헤드 캡(5)에 지지하는 부분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팅 스프링(11)이 개재되어 있다. 이 플로팅 스프링(11)은 클리닝 롤러(7)를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측면에서 보아 개략 U자형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 부재(10)의 근방에서 핀(9)의 하방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팅 스프링(11)의 탄성력이 양단부의 핀(9)에 작용함으로써, 클리닝 롤러(7)를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에 거의 균일한 힘으로 압압한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3)의 저면측에 헤드 캡(5)이 장착된 상태에서, 플로팅 스프링(11)의 탄성력과, 클리닝 롤러(7)의 탄성력과, 크라운 형상으로, 클리닝 롤러(7)는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전장에 걸쳐 접촉하게 된다. 또, 플로팅 스프링(11)은 거의 U자형의 판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 스프링이어도 된다.
또한, 클리닝 롤러(7)는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과의 접촉에 의해 종동 회전한다. 따라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캡(5)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클리닝 롤러(7)는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전장에 걸쳐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하면서 회전하고, 그 회전 이동에 의해 잉크 토출면(6)에 부착되어 있는 잉크를 클리닝한다.
여기에서, 클리닝 롤러(7)에 의한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 작용에 대하여, 도6a 내지 도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6a 내지 도6c에서 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잉크 토출면(6)과 잉크 토출공(13)과 클리닝 롤러(7)를 확대한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6a 내지 도6c에 있어서, 클리닝 롤러(7)는 도2에 도시한 헤드 캡(5)과 함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 토출면(6)과의 접촉에 의해 화살표 C방향으로 종동 회전한다. 그리고, 클리닝 롤러(7)가 도2에 도시한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어느 열(列)의 잉크 토출공(13)의 위치를 통과하는 것으로 한다.
도6a는 화살표 C방향으로 종동 회전하면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온 클리닝 롤러(7)가 어느 열의 잉크 토출공(13)의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잉크 토출공(13)의 부위에는 잉크실(14)로부터의 잉크(15)가 충만되어 있고, 그 잉크 토출공(13)의 내부에는 잉크(15) 표면의 계면 장력에 의해 오목상 곡면의 메니스커스(16)가 형성되어 있다.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7)가 화살표 C방향으로 종동 회전하면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잉크 토출공(13)을 한쪽측 가장자리부에서 다른쪽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메워 가고, 그 사이에 잉크 토출공(13)내의 공기가 다른쪽측 가장자리부의 간극으로부터 화살표 D방향으로 압출되어 간다.
다음에,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7)가 다시 화살표 C방향으로 종동 회전하면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정확히 잉크 토출공(13)의 위치에 오면, 그 잉크 토출공(13)을 완전하게 막은 상태가 된다. 이 때, 클리닝 롤러(7)는 잉크 토출면(6)에 압압하여 접촉되어 있으므로, 미시적으로는 클리닝 롤러(7) 표면의 일부가 그 탄성에 의해 잉크 토출공(13)의 한쪽측 가장자리부와 다른쪽측 가장 자리부 사이에서 잉크 토출공(13)내로 약간 밀고 들어가서, 그 정도만큼 잉크 토출공(13)내의 공기를 압출한 상태에서 잉크 토출공(13)의 입구를 막고, 내부를 밀봉하고 있다.
그 후,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7)가 다시 화살표 C방향으로 종동 회전하면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잉크 토출공(13)의 다른쪽측 가장자리부를 막은 상태에서 한쪽측 가장자리부만을 열어 간다. 이 때, 미시적으로는 잉크 토출공(13)내로 약간 밀고 들어간 클리닝 롤러(7) 표면의 일부가 잉크 토출공(13)의 한쪽측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질 때에, 잉크 토출공(13)내의 밀봉된 공기가 끌려들어 한쪽측 가장자리부의 간극으로부터 화살표 E방향으로 흡인된다.
즉,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토출공(13)내의 공기가 약간 압출되어 밀봉된 상태(정압)로부터,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토출공(13)내의 공기가 인출되었을 때(부압)의 잉크 토출공(13)내의 압력 변화에 의해, 잉크 토출공(13)내의 잉크가 흡인되게 된다. 이에 따라, 잉크 토출공(13)내에 남겨진 잉크가 도2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4)의 외측으로 인장되는 흡인력이 작용하여, 잉크 토출공(13)내의 잉크를 흡인하여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닝 롤러(7)를 잉크 토출면(6)상에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그 잉크 토출면(6)의 헤드 전극을 수지로 덮은 상태의 보호층을 손상시키지 않고,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을 행할 수 있다.
또, 클리닝 롤러(7)는 이상의 설명에서는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 과의 접촉에 의해 종동 회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잉크 토출면(6)과의 접촉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3에 있어서, 클리닝 롤러(7)의 양단부에 핀(9)을 상하 방향으로 2개 설치하고, 이 2개의 핀(9)을 지지 부재(10)의 거의 U자형의 홈내에 삽입함으로써, 클리닝 롤러(7)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는 클리닝 롤러(7)로 잉크 토출면(6)을 스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잉크 토출면(6)에 부착되어 있는 액상 잉크는 물론이고, 고화되어 달라붙은 잉크도 클리닝할 수 있다.
클리닝 롤러(7)는 브레이크 기구에 의해 회전을 제한하여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을 스치면서 회전하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이 브레이크 기구는 예를 들면 도3에 있어서, 클리닝 롤러(7)의 양단부의 핀(9)을 지지 부재(10)로 지지하는 부분에, 적당한 탄성체를 개재시키고, 그 탄성체에 열려진 구멍에 핀(9)을 압입하거나, 클리닝 롤러(7)의 양단면을 탄성체의 측면에 압접하는 기구로 되어 있어, 클리닝 롤러(7)의 회전시에 적당한 브레이크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는 클리닝 롤러(7)가 잉크 토출면(6)을 스치면서 약간 회전하므로, 잉크 토출면(6)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착되어 있는 액상 잉크는 물론이고 고화되어 달라붙은 잉크도 클리닝할 수 있다.
헤드 캡(5) 내측의 잉크 수부(8)에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인 수면(受面)에 잉크 흡수 부재(8a)가 부설되어 있다. 이 잉크 흡수 부재(8a)는 프린트 헤드(4)로부터 예비 토출된 잉크가 튀어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폰지,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다공질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며,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수부(8)의 수면(受面)의 거의 전면에 걸쳐 부설되어 있다. 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닝 롤러(7) 중앙부의 굵은 지름 부분을 회피하기 위하여, 그 하방 부분에는 부설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흡수 부재(8a)를 부설한 경우는 도2에 도시한 프린트 헤드(4)로부터 예비 토출된 잉크의 튀어 되돌아옴을 방지함과 함께, 그 잉크가 잉크 수부(8)에 머무르지 않도록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비 토출 잉크가 잉크 수부(8)에서 튀어 돌아와서 잉크 토출면(6)에 재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적당한 기간 사용하여, 예비 토출된 잉크를 흡수한 잉크 흡수 부재(8a)를 잉크 수부(8)로부터 떼어서 폐기하고, 새로운 잉크 흡수 부재(8a)를 부설함으로써, 예비 토출 잉크의 청소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예에서는, 헤드 캡(5)의 저면 전체를 잉크 수부(8)로 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저면의 일부를 잉크 수부(8)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2에 있어서, 클리닝 롤러(7)를 약간 중앙부 근처로 이동하여 헤드 캡(5)의 클리닝 롤러(7)측의 측벽과 그 클리닝 롤러(7)와의 사이에 구획판을 설치하여, 이 구획판과 측벽으로 둘러싸인 실(室)을 잉크 수부(8)로서 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 잉크를 받는 장소를, 헤드 캡(5)의 특정 위치로 한정할 수 있다.
다음에,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예비 토출에 대해 설명한다. 잉크의 예비 토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토출공 내의 잉크가 증발 건조하여 점도가 커지거나 또는 고화하여 정상적인 잉크의 토출이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자(印字), 인화를 행하기 전에 잉크 토출공 내의 잉크를 예를 들면 흡인하여 배출하는 것이다. 이 잉크의 예비 토출은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의 실시후에,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헤드 캡(5)의 잉크 수부(8)를 향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10㎑ 정도의 주파수로 잉크 방울을 토출하고, 이것을 수회 반복하여 예비 토출을 행한다.
도2에 있어서, 각 색의 잉크 토출면(6)을 하나의 클리닝 롤러(7)로 클리닝 함에 따른 혼색을 회피하기 위하여, 각 색의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 실시후에 잉크의 예비 토출을 실시하는 경우는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타이밍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캡(5)에, 그 헤드 캡(5)이 프린트 헤드(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에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7에서는 헤드 캡(5)의 이동 방향을 도2와는 반대측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예비 토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수단은, 도7에 있어서, 헤드 캡(5)의 하면측에 설치된 위치 검출 시트(17)와, 이 위치 검출 시트(17)에 대항하여 도1에 도시한 프린터 본체(2)내에 설치된 광전 스위치(18)로 이루어진다. 위치 검출 시트(17)는 헤드 캡(5)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갈 때의 프린트 헤드(4)의 각 색의 잉크 토출면(6)과의 대응 위치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Y, M, C, K의 잉크 토출면(6)의 배열 피치에 맞추어 명암의 패턴이 형성되고, 그 패턴의 배열은 잉크 토출면(6)의 각 색 Y, M, C, K의 차례와는 반대 방향이 되어 있다. 또한, 헤드 캡(5)의 이동의 초기 상태에서는 위치 검출 시트(17)측이 패턴 배열이 화살표 A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어긋나 있다.
광전 스위치(18)는 헤드 캡(5)과 함께 이동하는 위치 검출 시트(17)의 명암의 패턴을 검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지는 발광부(18a)와, 포토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수광 검출부(18b)를 일체적으로 조합시켜 이루어진다. 위치 검출 시트(17)의 명암의 패턴은 발광부(18a)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에 대하여 반사율이 변화하는 것으로, 수광 검출부(18b)도 그 반사광의 파장에 대하여 민감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헤드 캡(5)이 도7 중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갈 때, 헤드 캡(5) 하면의 위치 검출 시트(17)가 광전 스위치(18)의 앞을 통과할 때, 위치 검출 시트(17)의 명암 패턴을 검출하여 Y, M, C, K의 잉크 토출면(6)과의 대응 위치를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 캡(5)과 함께 이동하는 클리닝 롤러(7)의 위치를 알고, 그 클리닝 롤러(7)에 의한 각 색의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의 실시 직후에, 순차적으로 각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의 예비 토출을 실행하도록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 때, 예비 토출된 잉크는 확실하게 잉크 수부(8)내로 수취된다.
도8a 및 도8b는 클리닝 롤러(7)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이 예는 클리닝 롤러(7)를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2에 있어서, 클리닝 롤러(7)의 핀(9)에 프린터 본체(2)내에 설치된 모터(도시 생략)의 회전축을 적당한 감속비의 기어 기구를 개재하여 결합하여, 클리닝 롤러(7)를 적극적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터에 의한 클리닝 롤러(7)의 회전은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7에 도시한 헤드 캡(5)의 화살표 A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됨과 함께, 헤드 캡(5)의 이동 속도 v1보다도 클리닝 롤러(7)의 외주 속도 v2의 쪽이 커지는 회전수로 회전된다. 이 경우,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과 클리닝 롤러(7)의 외주면 간의 속도차에 기인하는 마찰이 발생하여, 그 잉크 토출면(6)이 확실하게 클리닝된다. 또한, 헤드 캡(5)의 이동 속도 v1의 쪽을 클리닝 롤러(7)의 외주 속도 v2보다도 커지는 회전수로 모터를 회전시키는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잉크 토출면(6)과 클리닝 롤러(7)의 외주면 간에 마찰이 발생하여, 잉크 토출면(6)이 확실하게 클리닝된다.
혹은,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7)를 도7에 도시한 헤드 캡(5)의 화살표 A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된다. 이 경우는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과 클리닝 롤러(7)의 외주면 간의 이동 방향의 상위에 따르는 마찰이 발생하여, 그 잉크 토출면(6)이 확실하게 클리닝된다. 이와 같이, 도8a 및 도8b에 도시한 예의 경우는,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은 클리닝 롤러(7)의 적극적인 회전에 의해 차례차례 계속 투입되는 새로운 외주면에 의해 클리닝된다.
도9는 이상과 같이 형성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부(40) 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제어 장치부(40)는 클리닝 롤러(7)를 내부에 수용한 헤드 캡(5)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 토출 동작을 제어하거나 하는 것으로, 제어부(41)와, 메커니즘 구동부(42)와, 헤드 구동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1)는 헤드 캡(5)을 개폐시키는 후술하는 캡 개폐 모터(46)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 및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그 내용에는 각종 정보와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두는 ROM(44)과, 이 ROM(44)으로부터 판독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 제어 지령을 송출하는 CPU(45)를 갖고, 후술하는 메커니즘 구동부(42) 및 헤드 구동부(43)의 제어를 담당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어부(41)는 잉크 토출공에 대응하는 화소의 색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잉크의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는 신호가 포함된 화상 신호로서의 프린트 신호가 입력되면, 그 프린트 신호 중, 예를 들면 직전에 토출된 각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 토출량, 화상 신호, 토출 잉크의 색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갖고 있고, 이 검지 수단은 이들 정보를 기초로 각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량, 예비 토출하는 잉크의 색, 즉 예비 토출하는 잉크 토출공을 판단한다. 이 제어부(41)는 잉크를 충전하는 각 잉크 탱크내의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을 구동하여 잉크 토출을 제어하기 위한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이 토출 제어 수단은 검지 수단의 판단에 따른 신호를 후술하는 헤드 구동부(43)로 송신한다.
메커니즘 구동부(42)는 헤드 캡(5)을 개폐시키기 위한 캡 개폐 모터(46) 및 기록 매체로서의 종이를 공급, 배지하기 위한 급배지 모터(47)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또, 캡 개폐 모터(46)는 클리닝 롤러(7)의 외주면과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그 양자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이 된다.
또한, 헤드 구동부(43)는 상기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에 설치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소자부를 구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발열 저항체로 구성되는 옐로우용 전기 열변환 수단(48)과, 마젠타용 전기 열변환 수단(49)과, 시안용 전기 열변환 수단(50)과, 블랙용 전기 열변환 수단(51)으로 각각 구동 신호를 송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어 장치부(40)는 제어부(41)가 외부로부터의 화상 형성 동작을 나타내는 프린트 신호를 취득함과 함께, 도7에 도시한 광전 스위치(18)로부터의 각 색의 잉크 토출면(6)의 대응 위치의 검출 신호를 입력하여, 메커니즘 구동부(42) 및 헤드 구동부(43)에 구동 신호를 보내고, 클리닝 롤러(7)가 잉크 토출면(6)상의 통과한 색의 잉크 토출공의 열(列)부터 차례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순으로 잉크를 상기 헤드 캡(5)내에 예비 토출시키도록 제어한다.
도10은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주로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동작의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제어는 도9에 도시한 제어부(41)내의 ROM(4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45)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도10의 작업이 스타트하여, 단계 S1에서, 도9에 도시한 제어부(41)에 화상 형성의 동작 개시를 나타내는 프린트 신호가 입력하면, 단계 S2에서 그 제어부(41)는 헤드 구동부(43)에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을 구동하기 위한 토출 트리거 신호를 송출하여, 그 헤드 구동부(43)가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으로 전기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한다. 또, 단계 S2는 프린트 동작의 개시전에 예비 토출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생략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잉크의 예비 토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토출공 내의 잉크가 고 점도로 증점 및 고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즉, 잉크가 잉크 토출공 내에 머무르고, 그 잉크가 고 점도로 증점 및 고화하면 인쇄시에 원활한 잉크 토출이 가능하지 않게 되며, 그 정도가 클 때에는 잉크가 막히게 된다. 따라서, 잉크의 예비 토출에 의한 잉크 토출공 내부의 클리닝은 도6에 도시한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공 부근을 클리닝함과 함께, 잉크 막힘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9에 도시한 제어 장치부(40)에 있어서, 화상 형성의 동작 개시를 나타내는 프린트 신호가 제어부(41)에 입력된 후,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가 예비 토출됨으로써, 전회까지 사용된 잉크 토출공 부근에 남은 고 점도로 증점된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된 잉크 고화부를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밖으로 불어 날려버린다. 이 불어 날리는 동작이 잉크 토출공을 클리닝하게 되어, 고 점도로 증점 또는 고화된 잉크에 의해 잉크 토출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그 후 원활하게 잉크 토출공으로 부터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후의 프린트 동작, 즉 잉크 토출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10에 도시한 단계 S2에 나타낸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이 행해진 후, 단계 S3에서 프린트 동작, 즉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 토출 동작이 행해지고 단계 S4로 진행한다. 도9에 도시한 광전 스위치(18)가 프린트 동작 종료 신호를 검지할 때까지는 단계 S4는 "No"측으로 진행하여, 각 잉크 토출공은 프린트 신호에 기초하여 잉크 토출 동작을 계속한다. 여기에서, 도9에 도시한 광전 스위치(18)가 프린트 동작 종료 신호를 검지하면, 단계 S4는 "Yes"측으로 진행하여, 광전 스위치(18)에서 제어부(41)로 프린트 종료 신호가 송출된다.
그리고, 도10에 도시한 단계 S5에서, 제어부(41)에 구비된 잉크의 예비 토출량을 계산하는 수단, 또는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잉크 토출공을 결정하는 수단에 의해, 프린트 신호에 따라 각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고, 또는 프린트 신호에 따라 예비 토출하는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잉크 토출공에 각 잉크의 예비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여, 각 잉크 토출공이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한다. 단계 S5에서,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이 종료하면 작업이 종료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프린트 신호는 제어부(41)에서 검지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 구동부(43)에서 검지하여도 된다. 이 경우, 헤드 구동부(43)는 프린트 신호에 의해 예비 토출량을 계산하는 수단, 또는 그 프린트 신호에 의해 예비 토출하는 잉크 토출공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수단은 프린트 신호에 의해 각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량을 제어하고, 또는 프린트 신호에 의해 예비 토출하는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잉크 토출공에 각 잉크의 예비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여, 각 잉크 토출공이 예비 토출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신호에 잉크의 토출량과 잉크의 색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트 신호에는 잉크 토출공에 대응하는 화소의 색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잉크의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잉크 토출량을 선택하는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10의 단계 S5에서, 프린트 신호에 의해 예비 토출량을 제어하고, 또는 프린트 신호에 의해 예비 토출공을 선택하여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도10에 도시한 단계 S5는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직전에 출력되는 프린트 신호에 대해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과거의 프린트 동작시에 토출된 잉크의 토출량에 따라, 다음에 개시되는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면 과거 횟수의 프린트 동작 또는 잉크 토출 동작에 의해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된 각 색의 잉크 토출 총량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색의 잉크 토출 총량에 기초하여 계산된 각 색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량을 결정하고, 이 결정된 각 색의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도9에 도시한 제어부(41) 또는 헤드 구동부(43)에 구비된 토출 제어 수단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제어부(41)로 송신된 각 색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는 헤드 구동부(43)로 송신된다. 각 색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는 헤드 구동부(43)로부터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으로 송신되어, 과거 횟수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된 각 색의 잉크 토출 총량에 기초한 예비 토출량으로 예비 토출이 행해진다.
또한, 도10에 도시한 단계 S5에서, 도9에 도시한 제어부(41)내의 토출 제어 수단이 되는 CPU(45)로부터 출력되는 예비 토출용 신호는 직전에 토출하고난 후의 시간에 따라 설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41)에 구비된 시간 신호 검지 수단이 직전에 입력된 화상 신호 중, 최후에 토출된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으로의 전기 펄스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지한다. 시간 신호 검지 수단은 현재에 가장 가까운 시간과의 차를 산출하여, 현재와의 시간차가 큰 잉크 토출공일수록 예비 토출 시간을 길게, 또는 예비 토출량을 많게 설정한다. 이에 따라, 최근 사용되지 않은 시간이 길었던 잉크 토출공일수록, 토출된 잉크가 고 점도로 증점한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된 잉크 고화부가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고, 효율적으로 예비 토출을 행하여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부를 불어 날려버릴 수 있다.
또한, 도10에 도시한 단계 S5에서, 예비 토출 동작에서의 잉크의 예비 토출량의 제어는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 탱크내의 전기 열변환 수단에 흘리는 전기 펄스의 횟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 전기 펄스는 예를 들면 도9에 도시한 제어부(41)에 구비된 전기 펄스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하고, 헤드 구동부(43)로 송신되어, 각 색 잉크 예비 토출을 위한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으로 송출된다. 전기 펄스 발생 수단은 예비 토출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프린트 동작 시에 잉크의 토출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기 펄스 발생 수단과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전기 펄스 발생 수단을 인쇄를 위한 토출용과 예비 토출용의 2개를 구비할 없게 되어, 집적 회로부 면적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도10에 도시한 단계 S5에서, 도1에 도시한 잉크젯 헤드(1)는 그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을 포함하는 각 색의 잉크를 각각 토출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토출 제어 수단은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의 색에 따라 예비 토출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건조성이 좋은 잉크와 건조성이 나쁜 잉크에 따라 예비 토출량, 또는 예비 토출 시간을 가변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예비 토출을 행하여 잉크 증점 또는 고화부를 불어 날려버릴 수 있다.
특히, 이 때의 예비 토출량은 블랙 잉크가 다른 잉크보다 많게 예비 토출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랙 잉크는 다른 색의 옐로우, 마젠타, 시안 등의 컬러 잉크에 비해, 첨가하는 염료의 양이 많고, 또한 염료의 분자량이 크고, 점도가 높아지는 성질을 갖는다. 이는, 블랙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량을 많게, 또는 예비 토출 시간을 길게 취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또, 예비 토출 시간이 길수록, 예비 토출량이 많아짐은 물론이다. 또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등의 컬러 잉크에 있어서, 염료의 함유량 및 염료의 분자량에 따라 건조 특성에 차이가 있어, 예비 토출량 또는 예비 토출 시간에 대하여 건조 특성을 고려하면, 효율적인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도2에 도시한 탄성을 갖는 재료로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닝 롤러(7)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을 보호하는 헤드 캡(5)을 설치하고, 이 클리닝 롤러(7)와 프린트 헤드(4)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이 되는 메커니즘 구동부(42, 도9 참조)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헤드 캡(5)에서 클리닝 롤러(7)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을 보호하고, 그 헤드 캡(5)의 개방 동작에 의해 클리닝 롤러(7)와 잉크 토출면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이동할 때의 클리닝 롤러(7)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잉크 토출공 내의 증점된 잉크를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은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 전 또는 후에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특히,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이 잉크 예비 토출 동작의 직후에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예비 토출에 의해 잉크 토출공 부근에 남은 잉크를 그 클리닝 롤러(7)에 의해 클리닝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잉크 토출면(6)을 클리닝할 수 있다.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이 잉크 예비 토출 동작 직전에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잉크 토출공 내에 남아 있던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부가 클리닝되어, 그 후의 예비 토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10에 도시한 단계 S5에서, 클리닝 롤러(7)에 의한 클리닝을 도9에 도시한 광전 스위치(18)가 검지하고, 이 광전 스위치(18)로부터 제어부(41)로 검지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송신된 경우, 제어부(41)에 구비된 토출 제어 수단이, 송신된 신호 중, 클리닝 롤러(7)에 의해 클리닝된 시간과, 입력된 프린트 신호에 의 해 각 잉크 토출공이 직전 또는 과거에 토출된 시간을 고려하여, 잉크의 예비 토출량 또는 잉크의 예비 토출 시간을 제어하고, 또는 예비 토출하는 잉크 토출공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5에서,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 직전이 아닌 과거에 클리닝 롤러(7)에 의한 클리닝을 행한 시간이 현재 시각에 가까운 경우에는, 각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량을 적게 하거나, 혹은 예비 토출 시간을 짧게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효율적으로 예비 토출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클리닝 롤러(7)에 의한 클리닝 동작은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 실시후에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잉크 토출면(6)에 접촉하는 클리닝 롤러(7)에 의한 혼색의 우려가 없는 경우는,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 실시전에 잉크의 예비 토출을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도9에 도시한 광전 스위치(18) 등에 의한 Y, M, C, K의 각 색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 타이밍을 제어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일련의 클리닝 동작에 대하여, 도11a 내지 도11h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2에 도시한 잉크젯 헤드(1)에 있어서, 화살표 A방향으로 헤드 캡(5)이 이동하여,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을 행하고, 그 실시후에 잉크의 예비 토출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11a는 잉크 카트리지(3)에 대해 헤드 캡(5)이 닫힌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도1에서, 잉크젯 헤드(1)는 프린터 본체(2)에 수납되어 세팅된다. 다음에, 프린터 본체(2)에 세팅된 상태에서, 헤드 캡 열림 신호 에 의해,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캡(5)이 잉크 카트리지(3)에 대해 상대적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잉크 카트리지(3)에 대해 헤드 캡(5)과 함께 클리닝 롤러(7)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에 압압 접촉한 상태에서 그 잉크 토출면(6)과의 접촉 상태로 종동 회전하여, 혹은 고정 또는 브레이크 기구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또는 모터에 의해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도2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 중, 옐로우 Y의 잉크 토출면(6)이 클리닝된 것으로 한다. 그러면, 헤드 캡(5)의 하면측에 설치된 위트(17, 도7 참조)의 옐로우 Y에 대응하는 부분이 광전 스위치(18)의 검출 위치로 이동해 오고, 옐로우 Y의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이 종료한 것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한 제어부(41)로부터 헤드 구동부(43)에 대해 예비 토출 개시 신호가 송출된다. 즉, 옐로우 Y의 잉크 토출면(6)의 잉크 토출공의 열(옐로우용 전기 열변환 수단; 48)에 대해 예비 토출 개시 신호가 송출된다.
다음에, 도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옐로우 Y의 잉크 토출면(6)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예비 토출 잉크(52)가 분사된다. 그 후, 옐로우 Y의 잉크 토출면(6)이 잉크 토출공에 대해 예비 토출 정지 신호가 보내지고, 예비 토출 잉크(52)의 분사가 정지된다.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도2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M, C, K의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 롤러(7)에 의한 클리닝이 종료할 때마다, 당해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 종료를 광전 스위치(18)에서 검출하여, 제어부(41)로부터 각각의 잉크 토출공의 열에 대해 예비 토출 개시 신호 및 예비 토출 정지 신호가 보내진다. 이 에 따라, 도11d, 도11e, 도1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색의 잉크 토출공의 열로부터의 예비 토출 타이밍이 제어되고, M, C, K의 순으로 예비 토출 잉크(52)의 분사가 순차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색의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과 예비 토출이 종료하면, 도11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캡(5)은 화살표 A방향으로 한껏 이동하여 약간 상방으로 이동하여, 퇴피 위치로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 기록지에 인자, 인화를 행한다.
다음에, 소요 페이지수의 인자, 인화가 종료하면, 헤드 캡 닫힘 신호가 보내지고, 헤드 캡(5)은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도11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잉크 카트리지(3)에 대해 헤드 캡(5)과 함께 클리닝 롤러(7)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힌 상태가 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또, 이 클리닝 롤러(7)가 화살표 B방향으로 복귀할 때는, 클리닝 롤러(7)는 잉크 토출면(6)에는 접촉하지 않고, 그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은 행하지 않는다. 그 후, 다음의 인자, 인화의 지시를 대기한다.
또, 도11a 내지 도11h에 도시한 동작의 설명에서는, 헤드 캡(5)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클리닝 롤러(7)가 잉크 토출면(6)에 접촉하여 그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을 행하고, 헤드 캡(5)이 화살표 B방향으로 복귀할 때에는 클리닝 롤러(7)는 잉크 토출면(6)에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클리닝 롤러(7)가 잉크 토출면(6)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헤드 캡(5)이 화살표 A, B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클리닝 롤러(7)로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을 행하지 않고, 헤드 캡(5)내를 향하여 잉크의 예비 토출만을 행한다. 이 때, 도11g에 도시한 헤드 캡(5)의 퇴피 위치로부터, 도11h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한 곳에서 잉크의 예비 토출을 행하고, 다시 도11g에 도시한 위치로 퇴피하는 시퀀스도 있다.
또한, 도11g에 도시한 헤드 캡(5)이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헤드 캡(5)의 개폐 동작에 관계없이, 따라서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을 행하지 않고, 잉크의 예비 토출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화상 형성 장치, 예를 들면 잉크젯 헤드 프린터의 전체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도1 및 도12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젯 헤드로부터 잉크를 미세하게 입자화하여 토출하고, 기록지 상에 잉크 도트를 내뿜어 인쇄하는 것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1)와, 프린터 본체(2)와, 헤드 착탈 기구(19)와, 헤드 캡 개폐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젯 헤드(1)를 프린터 본체(2)에 직접 장착하는 형식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잉크젯 헤드(1)는 액체 잉크를 예를 들면 전기 열변환식 또는 전기 기계 변환식 등으로 미세하게 입자화하여 토출하고, 기록지상에 잉크 도트를 내뿜는 것으로, 전술한 도1 내지 도1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2)는 잉크젯 헤드(1)를 소정 개소에 장착하여 잉크젯 프린터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것으로, 기록지 트레이, 기록지의 반송계, 동작 구동 계, 전체의 제어 회로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1에 있어서, 부호 21은 기록지를 공급하는 급지 카트리지 및 인쇄후에 배지되는 배지 받이를 나타내고 있다.
헤드 착탈 기구(19)는 잉크젯 헤드(1)를 프린터 본체(2)의 소정 개소에 장착하여 고정함과 함께 그 고정을 해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프린터 본체(2)의 중앙부에 설치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소정 개소에 잉크젯 헤드(1)를 삽입하여 그 상면부를 누르도록 구성된 횡으로 긴 막대(bar) 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프린터 본체(2)의 전폭(全幅) 방향으로 신장하여, 예를 들면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일어나고 눕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잉크젯 헤드(1)를 화살표 H방향으로 수납하여 장착하고,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잉크젯 헤드(1)를 소정 개소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헤드 캡 개폐 기구(20)는 잉크젯 헤드(1)가 프린터 본체(2)의 소정 개소에 고정되는 상태에서 헤드 캡(5)을 프린트 헤드(4, 도2 참조)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잉크 토출면(6, 도2 참조)을 해방함과 함께, 인쇄 종료후에 헤드 캡(5)을 닫는 것으로, 예를 들면 프린터 본체(2)의 측면에 설치된 랙(22)과, 피니언(23)과의 치합으로 이루어진다. 또, 랙(22) 내측의 측면에는 핀형의 돌기가 있고, 이것이 헤드 캡(5)의 대응하는 외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1)를 헤드 착탈 기구(19)로 프린터 본체(2)의 소정 개소에 고정한 상태에서, 피니언(23)을 도시 생략된 모터로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22)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과 함께 도1에 도시한 헤드 캡(5)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열고, 퇴피 위치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 헤드 캡 개폐 기구(20)는 상술한 랙(22)과 피니언(23)의 맞물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무 롤러를 헤드 캡(5)의 양측면으로 눌러, 이 고무 롤러의 회전축에 모터를 결합하고, 그 모터를 회전하여 고무 롤러의 마찰에 의해 헤드 캡(5)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1에 도시한 프린터 본체(2)의 소정 개소에 잉크젯 헤드(1)를 고정하여 헤드 캡(5)을 프린트 헤드(4, 도2 참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잉크 토출면(6, 도2 참조)을 해방하는 구체적인 기구와 동작에 대하여, 도14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14는 도1에서 잉크젯 헤드(1)를 프린터 본체(2)의 소정 개소에 화살표 H방향으로 삽입하여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잉크젯 헤드(1)내에서 그 양측 단부에 설치된 캡 록 후크(24)의 하단부가, 헬리컬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 캡(5) 양측부의 계지편부(26)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헤드 캡(5)은 잉크 카트리지(3)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14에 있어서, 헤드 착탈 기구(19)를 화살표 J방향으로 내리 눌러 고정한다. 그러면, 헤드 착탈 기구(19)의 하변부에 설치된 캡 록 해제편(27)으로 캡 록 후크(24)의 상단부(28)를 내리눌러 회동시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록 후크(24)의 하단부를 집어 올려, 헤드 캡(5) 양측부의 계지편부(26)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1)가 헤드 착탈 기구(19)로 프린터 본체(2)의 소정 개소에 고정됨과 함께, 헤드 캡(5)이 이동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12에 도시한 헤드 캡 개폐 기구(20)를 동작시켜, 피니언(23)을 도시 생략된 모터로 회전시켜 랙(22)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3)의 저면측에 장착된 헤드 캡(5)이 랙(22)과 함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한다. 그리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3)의 저면에 설치된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을, 플로팅 스프링(11)으로 부세된 클리닝 롤러(7)로 클리닝을 개시한다. 또, 도16에 있어서, 부호 P는 헤드 캡(5)의 이동 궤적을 나타낸다.
그 후, 헤드 캡(5)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궤적 P에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순차 이동한다. 이 때, 헤드 캡(5)에 장착된 클리닝 롤러(7)에 의해, 도2에 도시한 Y, M, C, K의 각 색의 잉크 토출면(6)을 순차 클리닝함과 함께, 그 클리닝의 실시후에 잉크의 예비 토출을 행한다.
각 색의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과 예비 토출이 종료하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캡(5)은 이동 궤적 P를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한껏 이동하여 약간 상방으로 이동하여,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퇴피 위치로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 기록지에 인자, 인화를 행한다. 이 때, 헤드 캡(5)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그 수납시의 스페이스를 적게할 수 있다. 또한, 도18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3)의 저면에 설치된 프린트 헤드(4)의 하방을 기록지가 통과하지만, 헤드 캡(5)의 하면에서 기록지 통과의 안내를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 헤드 캡(5)의 하면측에는 기록지의 안내를 위한 리브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기록지에 인쇄된 상태의 잉크가 붙지 않도록 발수(撥水) 처리를 하여도 된다.
이 상태에서, 소요 페이지수의 인자, 인화가 종료하면, 헤드 캡(5)은 도18에 도시한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역순의 동작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캡(5)이 잉크 카트리지(3)의 저면측으로 복귀한 초기 상태가 된다.
그라고, 도14에서, 헤드 착탈 기구(19)를 화살표 J와 반대 방향으로 개방함으로써, 캡 록 후크(24)가 헬리컬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 캡(5)의 양측부의 계지편부(26)에 걸림 결합하고, 헤드 캡(5)이 잉크 카트리지(3)에 대해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1)를 프린터 본체(2)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 헤드 캡(5)이 도18에 도시한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프린터의 전원을 차단한 경우는, 헤드 캡(5)은 상술한 퇴피 위치에 그대로 남겨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착탈 기구(19)를 화살표 J와 반대 방향으로 개방하면, 헤드 캡(5)을 상기 퇴피 위치에 남긴 채 잉크 카트리지(3)만을 떼어내게 되는 경우가 된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떠한 원인으로 프린터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는 퇴피 위치에 있는 헤드 캡(5)이 도14에 도시한 초기 상태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혹은 헤드 캡(5)이 도14에 도시한 초기 상태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은 경우는 헤드 착탈 기구(19)를 화 살표 J와 반대 방향으로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인터 록 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의 도1 및 도12 내지 도18에서 설명한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젯 헤드(1)를 프린터 본체(2)에 직접 장착하는 형식의 것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젯 헤드(1)를 트레이를 통하여 프린터 본체(2)에 장착하는 형식의 것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다른 형식의 잉크젯 프린터의 개념에 대하여, 도19a 및 도1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3)에 헤드 캡(5)이 일체적으로 장착된 잉크젯 헤드(1)를, 프린터 본체(2)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29)의 내측 소정 위치에 화살표 Q와 같이 장착한다. 그 후, 트레이(29)를 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시켜 프린터 본체(2)내에 세팅한다. 이 때, 도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캡(5)은 트레이(29)의 화살표 R방향의 이동 도중에, 프린터 본체(2)내에 설치된 적당한 계지 수단에 걸려 정지한다. 또, 트레이(29)는 잉크젯 헤드(1)를 프린터 본체(2)내에 세팅하거나, 교환하거나 하기 위한 것이다.
그 후, 트레이(29)는 화살표 R방향으로 그대로 이동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3)가 헤드 캡(5)에 대해 상대적으로 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헤드 캡(5)이 열린다. 그와 동시에, 잉크 카트리지(3)에 대해 헤드 캡(5)이 상대적으로 화살표 R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1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동작에 의해,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을 클리닝함과 함께, 잉크의 예비 토출이 행해진다. 그 후, 기록지에 대해 인자, 인화가 행해진다. 또, 도19a 및 도19b에 있어서, 부호 30은 기록지 트레이를 나타내고, 부호 31은 기록지를 나타내고, 부호 32는 이송 롤러를 나타내고, 부호 33은 이송 벨트를 나타내고, 부호 34는 배지 트레이를 나타내고, 부호 S는 기록지의 배지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예를 들면 라인 헤드형의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한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렬형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 방식이 잉크젯 방식의 팩시밀리 장치와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도 실시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에 설치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에 설치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에 설치된 잉크 토출공에 대응하는 화소의 색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잉크의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잉크 토출공 을 선택하는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화상 신호에 의해, 잉크의 예비 토출량을 제어하여, 또는 화상 신호에 의해 예비 토출공을 선택하여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직전에 토출된 잉크의 토출량에 따라 예비 토출을 제어하는 화상 신호에 의해, 예비 토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직전에 잉크를 토출한 후의 경과 시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사용되지 않은 시간이 길었던 잉크 토출공일수록, 효율적으로 예비 토출을 행하여 잉크 고화부를 불어 날라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 탱크내의 전기 열변환 수단으로 흘리는 전기 펄스의 횟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성이 좋은 잉크와 건조성이 나쁜 잉크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 또는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시간을 가변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예비 토출을 행하여, 잉크 고화부를 불어 날려버릴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을 포함하는 각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프린트 헤드에 있어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토출 되는 잉크의 색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성이 좋은 잉크와 건조성이 나쁜 잉크에 따라 예비 토출량, 또는 예비 토출 시간을 가변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잉크를 예비 토출하여, 잉크 고화부를 불어 날려버릴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블랙 잉크가 다른 잉크보다 많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염료의 함유량 및 염료의 분자량에 의한 건조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예비 토출량 또는 예비 토출 시간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갖는 재료로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닝 부재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을 보호하는 캡 부재를 설치하고, 이 클리닝 부재와 프린트 헤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캡 부재로 클리닝 부재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을 보호하고, 그 캡 부재의 개방 동작에 의해 클리닝 부재와 잉크 토출면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이동할 때의 클리닝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잉크 토출공 내의 잉크를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리닝 부재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은, 잉크의 예비 토출 동 작 전 또는 후에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리닝 부재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이 잉크 예비 토출 동작 직후에 행해질 때에는 예비 토출에 의해 잉크 토출공 부근에 남겨진 잉크를 클리닝 부재에 의해 클리닝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잉크 토출면을 클리닝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부재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이 잉크 예비 토출 동작 직전에 행해질 때에는, 잉크 토출공 내에 남아있던 잉크 고화부가 클리닝되고, 그 후의 예비 토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20 및 도21을 이용하여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부의 구성 및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20 중에서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20에 도시한 구성 및 도21에 도시한 제어 동작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20에 도시한 제어부(41)는 후술하는 용지 사이즈 검지부(53)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매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고, 이 신호를 기초로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용지 사이즈 검지부(53)는 예를 들면 인쇄 용지와 봉인지 등의 기록 매체의 크기를 검지하는 기록 매체 검지 수단이 되는 것으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1에 도시한 프린터 본체(2)측 또는 급지 카트리지(21)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지 카트리지(21)에 소정의 크기의 인쇄 용지가 세팅되면, 용지 사 이즈 검지부(53)에서 그 크기를 검지하고, 그 검지 신호를 제어부(41)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2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주로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동작의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제어는 도20에 도시한 제어부(41)내의 ROM(4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4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실행된다.
먼저, 도20의 작업이 스타트하여, 단계 S101에서, 도20에 도시한 제어부(41)에 화상 형성의 동작 개시를 나타내는 프린트 신호가 입력되면, 단계 S102에서, 제어부(41)는 헤드 구동부(43)에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을 구동하기 위한 토출 트리거 신호를 송출하여, 헤드 구동부(43)가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으로 전기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한다. 또, 단계 S102는 프린트 동작의 개시전에 예비 토출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생략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잉크의 예비 토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토출공 내의 잉크가 고 점도로 증점 또는 고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즉, 잉크가 잉크 토출공 내에 머무르고, 그 잉크가 고 점도로 증점 또는 고화하면 인쇄시에 원활한 잉크 토출이 가능하지 않게 되고, 그 정도가 클 때에는 잉크 막힘이 일어난다. 따라서, 잉크의 예비 토출에 의한 잉크 토출공 내부의 클리닝은 도6에 도시한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공 부근을 클리닝함과 함께, 잉크 막힘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갖는 것이다.
도20에 도시한 제어 장치부(40)에 있어서, 화상 형성의 동작 개시를 나타내는 프린트 신호가 제어부(41)에 입력한 후,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가 예비 토출됨으로써, 전회까지 사용한 잉크 토출공 부근에 남은 고 점도로 증점된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된 잉크 고화부를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밖으로 불어 날려버린다. 이 불어 날리는 동작이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으로 되어, 고 점도로 증점 또는 고화된 잉크에 의해 잉크 토출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그 후 원활하게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후의 프린트 동작, 즉 잉크 토출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21에 도시한 단계 S102에 나타낸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이 행해진 후, 단계 S103에서, 프린트 동작, 즉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 토출 동작이 행해지고, 단계 S104로 진행한다. 도20에 도시한 광전 스위치(18)가 프린트 동작 종료 신호를 검지할 때까지는, 단계 S104는 "No"측으로 진행하고, 각 잉크 토출공은 프린트 신호에 기초하여 잉크 토출 동작을 계속한다. 여기에서, 도20에 도시한 광전 스위치(18)가 프린트 동작 종료 신호를 검지하면, 단계 S104는 "Yes"측으로 진행하고, 광전 스위치(18)에서 제어부(41)로 프린트 종료 신호가 송출된다.
그리고, 도21에 도시한 단계 S105에서, 제어부(41)에 구비된 잉크 토출 위치를 검지하는 수단, 또는 예비 토출하는 잉크 토출공을 결정하는 수단에 의해, 임의의 잉크 토출공이 예비 토출하는 동작 전의 프린트 동작시(단계 S104)에 있어서의 잉크 토출 위치를 검지하고, 그 검지한 결과에 따라 그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량이 제어되고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이 선택된다. 다음에, 단계 S106에서, 이 선택된 잉크 토출공에 각 잉크의 예비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여, 각 잉크 토출공이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한다.
이 단계 S106에서,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이 종료하면, 작업이 종료한다.
여기에서, 기록 매체가 되는 인쇄 용지의 사이즈로서는 통상, 예를 들면 A3, B4, A4, B5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인쇄 용지의 사이즈에 따라, 도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급지 카트리지(21)에 미리 인쇄 용지를 세팅하여 둔다. 이 급지 카트리지(21)는 예를 들면 오른쪽 맞춤, 왼쪽 맞춤 등의 편측 기준과 양측 기준 등의 형상이 있고, 인쇄 용지를 인쇄하기 위해 잉크 토출공이 토출하면서 동작하는 범위까지 자동적으로 그 인쇄 용지가 보내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인쇄 용지의 사이즈, 또는 급지 카트리지(21)의 형상이 도20에 도시한 용지 사이즈 검지부(53)에서 검지된다.
또한, 제어부(41)에 프린트 신호가 입력하면, 잉크 토출공을 구비한 잉크면의 동작하는 범위가 설정되고, 이와 같은 잉크면의 동작 범위에 대해 프린트 신호가 보내지는 잉크 토출공과 보내지지 않는 잉크 토출공이 결정된다. 이 프린트 신호가 보내지지 않은 잉크 토출공에 대응하는 스페이스는 인쇄가 되지 않은 인쇄용지상의 스페이스에 상당하고, 이와 같은 스페이스가 프린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그 스페이스 내에는 각 색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지 않고, 그 각 색의 잉크 토출공은 마르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프린트 동작 종료의 신호를 검지한 후에 있어서의 각 색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량을 많게 설정하여 두면, 잉크 토출공에 남은 잉크의 고화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인쇄용지의 사이즈, 또는 급지 카트리지(21)의 형상에 따라, 각 색의 잉크 예비 토출량과 잉크 토출공을 설정하면, 낭비되는 예비 토출을 행하지 않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는 도20에 도시한 제어부(41)에서 검지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 구동부(43)에서 검지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헤드 구동부(43)는 토출한 잉크 토출 위치를 검지하는 수단, 또는 예비 토출하는 잉크 토출공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수단은 임의의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잉크 토출 위치를 검지하여, 상기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량을 제어하고, 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여, 이 선택된 잉크 토출공에 각 잉크의 예비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여, 각 잉크 토출공이 예비 토출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임의의 잉크 토출공이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하기 전의 인쇄 동작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프린트 신호로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도21에 도시한 단계 S105는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직전에 출력되는 프린트 신호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과거의 프린트 동작시에 토출된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다음에 개시되는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면 과거 횟수의 프린트 동작 또는 잉크 토출 동작에 의해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토출한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를 검출하고, 각 색의 잉크 토출 총량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색의 잉크 토출 총량에 기초하여 계산된 각 색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량을 결정하고, 이 결정된 각 색의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도20에 도시한 제어부(41) 또는 헤드 구동부(43)에 구비된 토출 제어 수단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제어부(41)로 송신된 각 색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는, 헤드 구동부(43)로 송신된다. 그리고, 각 색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량을 나타내는 신호는 헤드 구동부(43)로부터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으로 송신되어, 과거 횟수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된 각 색의 잉크 토출 총량에 기초한 예비 토출량으로 예비 토출이 행해진다.
도21에 도시한 단계 S105에서, 도20에 도시한 제어부(41) 내의 토출 제어 수단이 되는 CPU(45)로부터 출력되는 예비 토출용 신호는, 직전에 토출한 후의 시간에 따라 설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41)에 구비된 시간 신호 검지 수단이 직전에 입력된 화상 신호 중, 최후에 토출된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으로의 전기 펄스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지한다. 시간 신호 검지 수단은 최근에 가장 가까운 시간에 각 잉크 토출공이 인쇄를 위해 토출된 시간을 검지하고, 그것과 현재 시간과의 차를 산출하여, 현재와의 시간차가 큰 잉크 토출공일수록 예비 토출 시간을 길게, 또는 예비 토출량을 많게 설정한다.
이에 따라, 최근 사용되지 않은 시간이 길었던 잉크 토출공일수록, 토출된 잉크가 고 점도로 증점한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된 잉크 고화부가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고, 효율적으로 예비 토출을 행하여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부를 불어 날려버릴 수 있다.
또한, 도21에 도시한 단계 S105에서, 예비 토출 동작에서의 잉크의 예비 토출량의 제어는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 탱크내의 전기 열변환 수단에 흘리는 전기 펄스의 횟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 전기 펄스는 예를 들면 도20에 도시한 제어부(41)에 구비된 전기 펄스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하고, 헤드 구동부(43)로 송신되어, 각 색 잉크 예비 토출을 위한 각 색의 전기 열변환 수단(48 내지 51)으로 송출된다. 전기 펄스 발생 수단은 예비 토출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프린트 동작시에 잉크의 토출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기 펄스 발생 수단과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전기 펄스 발생 수단을 인쇄를 위한 토출용과 예비 토출용의 2개를 구비할 없게 되어, 집적 회로부 면적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도21에 도시한 단계 S105에서, 도1에 도시한 잉크젯 헤드(1)는 그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을 포함하는 각 색의 잉크를 각각 토출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토출 제어 수단은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의 색에 따라 예비 토출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건조성이 좋은 잉크와 건조성이 나쁜 잉크에 따라 예비 토출량, 또는 예비 토출 시간을 가변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예비 토출을 행하여 잉크 증점 또는 고화부를 불어 날려버릴 수 있다.
특히, 이 때의 예비 토출량은 블랙 잉크가 다른 잉크보다 많게 예비 토출되 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랙 잉크는 다른 색의 옐로우, 마젠타, 시안 등의 컬러 잉크에 비해, 첨가하는 염료의 양이 많고, 또한 염료의 분자량이 크고, 점도가 높아지는 성질을 갖는다. 이는, 블랙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량을 많게, 또는 예비 토출 시간을 길게 취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또, 예비 토출 시간이 길수록, 예비 토출량이 많아짐은 물론이다. 또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등의 컬러 잉크에 있어서, 염료의 함유량 및 염료의 분자량에 따라 건조 특성에 차이가 있고, 예비 토출량 또는 예비 토출 시간에 대하여 건조 특성을 고려하면, 효율적인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도2에 도시한 탄성을 갖는 재료로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닝 롤러(7)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을 보호하는 헤드 캡(5)을 설치하고, 이 클리닝 롤러(7)와 프린트 헤드(4)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이 되는 메커니즘 구동부(42, 도9 참조)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헤드 캡(5)에서 클리닝 롤러(7)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을 보호하고, 그 헤드 캡(5)의 개방 동작에 의해 클리닝 롤러(7)와 잉크 토출면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이동할 때의 클리닝 롤러(7)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잉크 토출공 내의 증점된 잉크를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은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의 전 또는 후에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특히,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이 잉크 예비 토출 동작의 직후에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예 비 토출에 의해 잉크 토출공 부근에 남은 잉크를 그 클리닝 롤러(7)에 의해 클리닝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잉크 토출면(6)을 클리닝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이 잉크 예비 토출 동작 직전에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잉크 토출공 내에 남아 있던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부가 클리닝되어, 그 후의 예비 토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21에 도시한 단계 S105에서, 클리닝 롤러(7)에 의한 클리닝을 도20에 도시한 광전 스위치(18)가 검지하고, 이 광전 스위치(18)로부터 제어부(41)로 검지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송신된 경우, 제어부(41)에 구비된 토출 제어 수단이, 송신된 신호 중, 클리닝 롤러(7)에 의해 클리닝된 시간과, 입력된 프린트 신호에 의해 각 잉크 토출공이 직전 또는 과거에 토출된 시간을 고려하여, 잉크의 예비 토출량 또는 잉크의 예비 토출 시간을 제어하고, 또는 예비 토출하는 잉크 토출공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105에서,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 직전이 아닌 과거에 클리닝 롤러(7)에 의한 클리닝을 행한 시간이 현재 시각에 가까운 경우에는, 각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량을 적게 하거나, 혹은 예비 토출 시간을 짧게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효율적으로 예비 토출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클리닝 롤러(7)에 의한 클리닝 동작은 프린트 헤드(4)의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 실시후에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잉크 토출면(6)에 접촉하는 클리닝 롤러(7)에 의한 혼색의 우려가 없는 경우는, 클리닝 롤러(7)에 의한 잉크 토출면(6)의 클리닝 실시전에 잉크의 예비 토출을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도20에 도시한 광전 스위치(18) 등에 의한 Y, M, C, K의 각 색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예비 토출의 타이밍을 제어할 필요는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에 설치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에 의해,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에 설치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에 의해,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 및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에 설치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에 의해,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에 설치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에 의해,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 및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직전에 토출된 잉크의 토출량에 따라 예비 토출을 제어하는 화상 신호에 의해, 예비 토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직전에 잉크를 토출한 후의 경과 시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사용되지 않은 시간이 길었던 잉크 토출공일수록, 효율적으로 예비 토출을 행하여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부를 불어 날라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여,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 탱크내의 전기 열변환 수단으로 흘리는 전기 펄스의 횟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성이 좋은 잉크와 건조성이 나쁜 잉크에 따라 예비 토출량, 또는 예비 토출 시간을 가변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예비 토출을 행하여, 잉크 고화부를 불어 날려버릴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여,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을 포함하는 각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프린트 헤드에 있어서,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의 색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성이 좋은 잉크와 건조성이 나쁜 잉크에 따라 예비 토출량, 또는 예비 토출 시간을 가변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잉크를 예비 토출하여,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부를 불어 날려버릴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여,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블랙 잉크가 다른 잉크보다 많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염료의 함유량 및 염료의 분자량에 의한 건조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예비 토출량 또는 예비 토출 시간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예비 토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여,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갖는 재료로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닝 부재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을 보호하는 캡 부재를 설치하고, 이 클리닝 부재와 프린트 헤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이에 따라, 캡 부재로 클리닝 부재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을 보호하고, 그 캡 부재의 개방 동작에 의해 클리닝 부재와 잉크 토출면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이동할 때의 클리닝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잉크 토출공 내의 잉크를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리닝 부재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은,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의 전 또는 후에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리닝 부재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이 잉크 예비 토출 동작 직후에 행해질 때에는 예비 토출에 의해 잉크 토출공 부근에 남겨진 잉크를 클리닝 부재에 의해 클리닝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잉크 토출면을 클리닝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부재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이 잉크 예비 토출 동작의 직전에 행해질 때에는, 잉크 토출공 내에 남아있던 잉크 증점부 또는 고화부가 클리닝되어, 그 후의 예비 토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을 손상하지 않고, 낭비되는 잉크 토출량을 저감하고, 잉크 토출공 부근의 클리닝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청구의 범위 및 그 주된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치환 또는 그 동등한 것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는 분명하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클리닝 코스트가 낮고, 프린트 화상의 컬러화, 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한 등의 면에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 제어 수단은 상기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그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 제어 수단은 상기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 및 입력한 화상 신호 에 따라,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 제어 수단은 상기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 제어 수단은 상기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 및 입력한 화상 신호 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토출 제어 수단으로 입력하는 화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토출 제어 수단으로 입력하는 기록 매체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신호는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직전에 토출된 잉크의 토출량에 따라 예비 토출을 제어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은, 직전에 잉크를 토출한 후의 경과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 은,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 탱크내의 전기 열변환 수단으로 흘리는 전기 펄스의 횟수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는 그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을 포함하는 각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것이며,
    상기 토출 제어 수단은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의 색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은 블랙 잉크가 다른 잉크보다 많게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재료로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닝 부재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상기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을 보호하는 캡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은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 전 또는 후에 행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4.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출 제어 수단은 상기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그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35.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출 제어 수단은 상기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 및 입력한 화상 신호에 따라,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36.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 고,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출 제어 수단은 상기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37. 잉크 토출공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토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 매체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출 제어 수단은 상기 잉크 토출공의 예비 토출 동작 전의 인쇄 동작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위치 및 입력한 화상 신호에 따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 토출공을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토출 제어 수단으로 입력하는 화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39.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토출 제어 수단으로 입력하는 기록 매체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40.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신호는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직전에 토출된 잉크의 토출량에 따라 예비 토출을 제어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41.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은, 직전에 잉크를 토출한 후의 경과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42.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은,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 탱크내의 전기 열변환 수단으로 흘리는 전기 펄스의 횟수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43.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는 그 잉크 토출면의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을 포함하는 각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것이며,
    상기 토출 제어 수단은 상기 잉크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의 색에 따 라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를 예비 토출하는 양은 블랙 잉크가 다른 잉크보다 많게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45.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재료로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닝 부재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상기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을 보호하는 캡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에 의한 잉크 토출공의 클리닝은 잉크의 예비 토출 동작 전 또는 후에 행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47003432A 2002-07-09 2003-07-08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07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0428 2002-07-09
JPJP-P-2002-00200427 2002-07-09
JP2002200427 2002-07-09
JPJP-P-2002-00200428 2002-07-09
PCT/JP2003/008663 WO2004005034A1 (ja) 2002-07-09 2003-07-08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279A KR20050016279A (ko) 2005-02-21
KR101007493B1 true KR101007493B1 (ko) 2011-01-12

Family

ID=3011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432A KR101007493B1 (ko) 2002-07-09 2003-07-08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50062791A1 (ko)
EP (1) EP1520705A4 (ko)
JP (1) JP4033195B2 (ko)
KR (1) KR101007493B1 (ko)
CN (1) CN1309574C (ko)
WO (1) WO2004005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8734B2 (en) * 2004-01-21 2008-11-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with pagewidth printhead
US7913467B2 (en) * 2006-07-25 2011-03-29 Zephyros, Inc. Structural reinforcements
JP5344596B2 (ja) 2009-06-02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該装置の制御方法
US20110279615A1 (en) * 2010-05-17 2011-11-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rive belt tensioning apparatus for printer
US8833919B2 (en) 2010-05-17 2014-09-16 Memjet Technology Ltd. Method of shaping media at printhead
JP2018008398A (ja) * 2016-07-12 2018-01-18 株式会社リコー ヘッド、ヘッドユニット、液体吐出ユニット、液体を吐出する装置
JP2018051890A (ja) * 2016-09-28 2018-04-05 京セラ株式会社 記録装置
JP6904819B2 (ja) * 2017-07-07 2021-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931A (ja) * 1993-02-24 1994-09-0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H0747696A (ja) * 1993-08-04 1995-02-2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342621A (ja) 1998-05-29 1999-12-14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86A (ja) * 1989-06-02 1991-01-10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複写機
US5617122A (en) * 1992-12-10 1997-04-0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head driving timing
JP3157945B2 (ja) * 1993-03-10 2001-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3332569B2 (ja) * 1994-04-26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方法
DE69535997D1 (de) * 1994-12-29 2009-10-08 Canon Kk Tintenstrahlkopf mit verschiedenen Heizelementen pro Düse und Tintenstrahldrucker unter Verwendung desselben
JPH09234862A (ja) * 1995-12-26 1997-09-0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その駆動方法
JP3413052B2 (ja) * 1996-04-23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制御方法
JPH10246607A (ja) * 1997-03-04 1998-09-14 Kawasaki Heavy Ind Ltd 変位検出装置
JPH10258524A (ja) * 1997-03-19 1998-09-29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87648B2 (ja) * 1997-03-27 2004-11-10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010083A (ja) * 1999-06-30 2001-01-1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2144599A (ja) * 2000-11-13 2002-05-21 Canon Inc インクジェト記録装置および予備吐出方法
JP2003039693A (ja) * 2001-07-31 2003-02-13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931A (ja) * 1993-02-24 1994-09-0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H0747696A (ja) * 1993-08-04 1995-02-2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342621A (ja) 1998-05-29 1999-12-14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05034A1 (ja) 2004-01-15
KR20050016279A (ko) 2005-02-21
CN1309574C (zh) 2007-04-11
US20080180472A1 (en) 2008-07-31
US7997679B2 (en) 2011-08-16
CN1556755A (zh) 2004-12-22
JP4033195B2 (ja) 2008-01-16
EP1520705A1 (en) 2005-04-06
JPWO2004005034A1 (ja) 2005-11-04
US20050062791A1 (en) 2005-03-24
EP1520705A4 (en)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5843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01982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81731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8290451A (ja) 記録装置及びインク残量検知方法
KR100975453B1 (ko) 클리닝 부재, 헤드 클리닝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US79976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401983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054949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3931698B2 (ja) クリーニング部材及びヘッドクリーニング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360225B2 (ja) 液体吐出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JP3887985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17504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17504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501447B2 (ja) ヘッドキャップ、ヘッド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吐出装置
JP2003266716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ヘッドクリーニング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H1110910A (ja) 記録装置
JP3931699B2 (ja) クリーニング部材及びヘッドクリーニング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5022317A (ja)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266712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ヘッドクリーニング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5022314A (ja)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306438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2154213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5022315A (ja)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