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884B1 -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박리제 물품 및 박리제 물품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박리제 물품 및 박리제 물품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884B1
KR101003884B1 KR1020047018051A KR20047018051A KR101003884B1 KR 101003884 B1 KR101003884 B1 KR 101003884B1 KR 1020047018051 A KR1020047018051 A KR 1020047018051A KR 20047018051 A KR20047018051 A KR 20047018051A KR 101003884 B1 KR101003884 B1 KR 101003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agent
acrylic
meth
acrylate
agent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242A (ko
Inventor
도시히로 스와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5000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6/00Copolymers in which the nature of only the monomers in minority is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8C13or longer chain (meth)acrylate, e.g. stea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5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releas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Abstract

본 발명은 성분에 상관없이 비교적 적은 자외선 조사량으로 아크릴계 박리제를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를 가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20 ℃ 및 1 Hz의 주파수에서 1×102 내지 3×106 Pa의 저장 탄성률을 가지며, 자외선 조사 후의 25.4 N/m의 습윤 장력을 가진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액(부피비 90/10)에 대한 접촉각이 15°이상인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제공한다.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아크릴계 박리제 물품, 자외선 활성기,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Description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박리제 물품 및 박리제 물품의 제조 방법 {Acrylic Release Agent Precursor, Release Agent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Release Agent Article}
본 발명은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같은 중합체를 함유하는 박리제 전구체와 그것을 이용한 박리제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착 테이프나 접착 시트는 기재 표면에 접착제를 형성하여 얻은 것으로서, 통상은 롤상으로 권취되어 보관된다. 이 때, 기재의 뒷면에는 접착 테이프나 접착 시트의 접착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박리제가 코팅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나 접착 시트의 사용시 이들의 용이한 권출도 가능해진다. 별법으로서, 박리제가 코팅된 별도의 기재를 접착면에 덮어 접착면을 보호한다.
박리제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다. 특히, 장쇄 알킬기를 포함하는 박리제(장쇄 알킬 기재 박리제)는 비교적 저렴하며, 오염을 덜 일으키기 때문에 전자 산업에서 유용하다.
장쇄 알킬 기재 박리제의 일례가 국제 공개 제WO 01/64805호 팜플렛 및(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077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장쇄 알킬 기재 박리제의 각각은,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며, 20 ℃ 및 1 Hz의 주파 수에서 1×102 내지 3×106 Pa의 저장 탄성률을 갖는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의 자외선 조사 생성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박리제로서, 25.4 N/m의 습윤 장력을 가진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액(부피비 90/10)에 대해 15 °이상의 접촉각을 갖고 있다. 이 아크릴계 박리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한 기재 상에 도포된 후 그 기재와 비교적 높은 부착력을 갖는다. 이 아크릴계 박리제는 고온에 노출된 후에도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 등의 감압성 접착제로부터의 박리력을 비교적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아크릴계 박리제는 접착제의 잔류 접착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아크릴계 박리제는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 요구되는 자외선 조사량은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의 조성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그 조사량의 차이는 적은 조사량으로 박리제를 형성하는 조성과 대량의 조사량을 필요로 하는 조성을 비교하면 3 내지 5 배에 미치는 경우도 있다.
아크릴계 박리제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1)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의 조성에 따라 필요한 자외선 조사량이 크게 다르지 않고, (2) 자외선 조사량을 적게 하는 것이 생산성 향상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박리 성능을 유지한 채, 비교적 적은 자외선 조사량으로 아크릴계 박리제를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아크릴계 박리 제 전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이용한 박리제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기("자외선 활성기"라고도 지칭함)를 가진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며, 20 ℃ 및 1 Hz의 주파수에서 1×102 내지 3×106 Pa의 저장 탄성률을 갖고, 자외선 조사 후에 25.4 N/m의 습윤 장력을 가진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액(부피비 90/10)에 대한 접촉각이 15 °이상인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제공한다.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기재 상에 형성하고, 이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박리제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이용하면 효율적으로 아크릴계 박리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자유 라디칼 발생제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아크릴계 박리제를 제조하기 위해 자외선 조사량을 감소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자유 라디칼 발생제의 단순한 혼합물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기재되는 이들 실시 양태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접촉각"이란 용어는 JIS K6768: 1999에 기재된, 습윤 장력 25.4 N/m인 혼합 용액(부피비 90/10)에 대해 측정된 접촉각의 값으로서 정의된다.
이 측정은 온도 23±1 ℃, 상대 습도 50±5 %의 조건에서 행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의 저장 탄성률(G')은 점탄성 측정계(예를 들면, 레오메트릭스사 제조의 다이나믹 분석기 RDA II)를 이용하여 20 ℃ 및 1 Hz의 주파수에서 전단 모드로 측정되는 값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리 시트 또는 박리 테이프의 일 실시 양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와 같은 중합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이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탄소수 12 내지 3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이하,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도 지칭함),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이하, "제2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도 지칭함) 및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 성분으로 형성되는 공중합체이다.
이 경우,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는 공중합체에서 비교적 긴 측쇄를 구성한다. 이러한 긴 알킬 측쇄는 아크릴계 박리제의 표면 에너지를 낮추는 데 유효하다. 상기 표면 에너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각"에 의해 측정된다.
바람직한 긴 알킬 측쇄는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질소 또는 인 함유기 등의 극성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긴 알킬 측쇄는 저온 및 고온에서 비교적 낮은 박리력을 유지할 수 있지만, 극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박리제가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비교적 낮은 박리력을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긴 알킬 측쇄를 함유하는 바람직한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베헤닐(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제2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는 상기 공중합체에서 비교적 짧은 측쇄를 구성한다. 이러한 짧은 알킬 측쇄는 박리제 전구체의 유리전이 온도를 30 ℃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탄성률도 1×102 내지 3×106 Pa로 저하되어 아크릴계 박리제에 대하여 감압성 접착제로부터 매끄러운 박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짧은 알킬 측쇄는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 측쇄와 유사하게 상기 극성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상술한 2종의 아크릴 단량체 성분의 양을 한정하지는 않지만,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제2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제2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10 내지 90 중량%가 함유된다.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이 약 90 중량%를 초과하면, 아크릴계 박리제가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비교적 높은 결정성을 가지며 경련적인(jerky) 박리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제2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이 약 90 중량%를 초과하면, 아크릴계 박리제가 제2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비교적 높은 박리력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제2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모두 탄소수 12의 알킬기를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는 탄소수 8 내지 30의 분지된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유도된 것일 수 있다. 탄소수 8 내지 30의 분지된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헥실도데실 아크릴레이트, 2-헵틸운데실 아크릴레이트, 2-옥틸데실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지된 측쇄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그 자체의 결정성 저하에 의해 저장 탄성률 및 표면 에너지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된 알킬기를 갖는 한,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제2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두 성분을 함유할 필요가 없다. 특히, 2-헥실도데실 아크릴레이트나 2-옥틸데실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는 박리제의 표면 에너지를 간편히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 활성기를 갖는다. 이 자외선 활성기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박리제 전구체 중 에 자유 라디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자유 라디칼은 박리제 전구체의 가교 및 기재로의 접착을 촉진시켜 결과적으로 기재와 박리제의 접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한, 자외선 활성기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벤조페논이나 아세토페논으로부터 유도된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로의 자외선 활성기의 도입은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시키고,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양은 단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당 0.01 내지 1.0 중량%이다.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의 양이 0.01 중량% 미만이면, 박리제 형성에 필요한 자외선 조사량을 감소시키는 실질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의 양이 1.0 중량%를 초과하여도 통상의 자외선 조사 조건하에서의 효과는 이미 충분하며, 새로운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박리력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의 중합체는 100,000 내지 2,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00 미만이면 생성된 아크릴레이트계 박리제 전구체는 바람직하지 못한 높은 박리력을 갖게 된다.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00을 초과하면 만족할만한 박리 성능을 얻을 수는 있지만 그의 높은 점도로 인해 후술하는 중합 반응시 중합체의 취급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통상적으로 소정량의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중합되어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중합은 용액 중합이다. 용액 중합은 통상적으로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및 50 내지 100 ℃ 하에서 단량체 성분을 중합 개시제와 함께 용매에 용해한 상태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중합 종료 후에는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 용액을 그대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에틸, 메틸 에틸 케톤 또는 헵탄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연쇄 이동제를 용매에 첨가하여 중합체의 분자량을 상술한 범위로 제어할 수도 있다.
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또는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비스계 화합물, 과산화벤조일 또는 과산화라우로일 등의 과산화물을 중합 개시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은 와꼬 쥰야꾸 고교(주)에서 V-60 및 V-59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중합 개시제는 단량체 성분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를 약 0.005 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하면 중합 반응이 비교적 느리게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중합 개시제를 약 0.5 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하면 생성되는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가 비교적 낮은 분자량을 갖는 경향이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기재에 코팅된 후 자외선이 조사되어 아크릴계 박리제로 변환된다. 이 아크릴계 박리제는 25.4 N/m의 습윤 장력을 가진 메탄 올과 물의 혼합 용액(부피비 90/10)에 대하여 15 °이상의 접촉각을 갖는다. 이러한 접촉각은 감압성 접착제가 아크릴계 박리제 표면에 습윤되어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또한 접착제와의 친화력을 낮추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박리제는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 등의 감압성 접착제에 대하여 0.05 내지 3 N/25 mm의 비교적 낮은 일정한 박리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박리력은 접착 테이프나 접착 시트로부터의 박리 시트의 박리를 쉽게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아크릴계 박리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의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일반적인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에 대하여 실시예에서 기재되는 방법으로 측정하여 0.2 N/25 mm 미만의 박리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박리제 물품으로서의 박리 시트(또는 박리 테이프)의 일 실시 양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박리 시트 (1)은 기재 (2)와 기재 (2) 상에 형성된 아크릴계 박리제 (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아크릴계 박리제 (3)은 본 발명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진다. 통상, 상기 아크릴계 박리제는 기재 상에 0.01 내지 1 ㎛의 두께로 설치된다. 상기 아크릴계 박리제는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코팅한 후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얻는다. 국제 공개 제WO 01/64805호 팜플렛 및(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077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크릴계 박리제가 극성 관능기를 갖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아크릴계 박리제가 기재와 부착된다. 기재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 등의 플라스틱(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 트)으로 제조한 필름 또는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의 바람직한 두께는 10 내지 300 ㎛이다.
통상,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용액 중합에 의해 제조되어 중합체 용액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중합체 용액을, 예를 들면 상기 기재 상에 바 코팅기 등의 코팅 수단에 의해 0.01 내지 1 ㎛,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의 두께로 코팅한다. 두께가 0.01 ㎛ 미만이면 균일한 코팅을 형성하기 어려워 아크릴계 박리제의 박리력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두께가 약 1 ㎛를 초과하여도 아크릴계 박리제의 박리력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중합체 용액은 희석제에 의해 소정의 점도까지 희석한 후 코팅할 수도 있다. 상기 희석제에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헥산, 헵탄, 톨루엔, 크실렌 및(또는) 염화메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포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아크릴계 박리제로 변환된다. 자외선 조사는 전자선 조사와는 달리 감압하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는 전자선 조사에 비하여 용이하다. 상기 아크릴계 박리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자외선 조사량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종류 및 구조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10 내지 100 mJ/㎠의 일정하게 낮은 수준이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자외선 활성기를 갖는다. 따라서, 박리제 물품은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는 복수종의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제2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각각 복수종의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단량체 성분은 측쇄에 극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및 아크릴계 박리제가 상기의 저장 탄성률 및 접촉각을 갖는 한 단량체 성분이 측쇄에 극성 관능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부"이다.
박리제 물품의 제조
<실시예 1>
우선, 아세트산 에틸과 n-헵탄을 50:5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혼합 용매에, 단량체 성분으로서 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주) 제조의 NK 에스테르 ISA 100 부와 다이셀-UCB(주) 제조의 에베크릴(EBECRYL) P36 0.03 부를 첨가하여 50 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반응 용액을 제조하였다. NK 에스테르 ISA는 2-옥틸데실 아크릴레이트와 2-헥실도데실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1:1인 혼합물이고, 2-헵틸운데실 아크릴레이트라고도 지칭된다(국제 공개 제WO 01/64085호 팜플렛 참조). 또한, 에 베크릴 P36은 벤조페논으로부터 유도된 자외선 활성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이다. 그 후, 반응 용기에 추가로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을 포함하는 개시제 0.004부를 첨가하였다. 이 개시제는 와꼬 쥰야꾸 고교(주)로부터 V-65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어서, 이 반응 용기의 내부를 질소 가스로 10 분간 퍼징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50 ℃로 유지되는 회전식 항온조로 옮겨 20 시간 그 곳에 방치하였다. 이 때, 용기 내의 단량체 성분이 반응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박리제 전구체가 생성되었다. 얻어진 박리제 전구체의 저장 탄성률을 후술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용액으로부터 취출하지 않고, 아세트산 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 1 중량%의 희석 용액을 제조하였다. 두께 50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기재에 바 코팅기로 희석 용액을 코팅한 후 건조하여 아세트산 에틸과 n-헵탄을 제거하고, 건조하여 두께 약 0.1 ㎛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얻었다.
퓨전 시스템 코퍼레이션(Fusion System Corporation) 제조의 고압 수은 램프(H형-밸브)를 이용하여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에 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에너지 밀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시트상의 박리제 물품(이하, "박리 시트"라고 지칭함)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박리 시트의 박리력 및 접촉각을 후술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NK 에스테르 ISA 100 부와 다이셀-UCB(주) 제조의 에베크릴 P36 0.1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박리 시트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NK 에스테르 ISA 100 부와 다이셀-UCB(주) 제조의 에베크릴 P36 0.4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박리 시트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NK 에스테르 ISA 100 부와 다이셀-UCB(주) 제조의 에베크릴 P36 0.8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박리 시트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본 비교예에서는 에베크릴 P36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박리 시트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박리제 전구체의 저장 탄성률
상술한 각각의 박리제 전구체의 저장 탄성률은 점탄성 측정계(예를 들면, 레오메트릭스사 제조, 다이나믹 분석기 RDA II)를 이용하여 20 ℃ 및 1 Hz의 주파수에서 전단 모드로 측정하였다. 이들 박리제 전구체의 저장 탄성률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박리제 물품의 박리력
상술한 각각의 박리 시트의 박리력은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아세트산 비닐을 100:8:1.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를, 중량비 1 %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로 가교시킨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박리 시트에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를 접착한 후 110 ℃의 오븐 중에 6 시간 방치하였다. 박리 시트를 아크릴계 접착 시트와 함께 오븐에서 취출한 후, 실온(25 ℃)에서 하룻밤 방치하였다. 시마즈 세이사꾸쇼(주) 제조의 오토그래프(Autograph)(AGS-100B)를 이용하여 180 °의 박리각 및 300 mm/분의 박리 속도로 아크릴계 접착 시트로부터 박리 시트를 연속적으로 폭 25 mm로 박리했을 때, 박리 시트에 가해진 하중을 측정하여 얻어진 하중을 박리력으로 하였다. 다양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및 자외선 에너지 밀도에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력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박리제의 접촉각
박리 시트의 접촉각을 교와 가가꾸(주) 제조의 접촉각계 CA-A로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JIS K6768: 1999에 기재된 습윤 장력 25.4 N/m의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액(부피비 90/10)을 이용하였다. 이 때, 측정은 적하 후 5 초 이내에 행하였다. 다양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및 자외선 에너지 밀도에서의 박리 시트의 접촉각을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51755348-pct00001
표 1에 따르면, 실시예 1 내지 4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의 저장 탄성률 및 아크릴계 박리제의 접촉각은 1.4×103 내지 2.2×103 Pa 및 37.3 내지 42.0 °로서, 국제 공개 제WO 01/64805호 및(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0775호 공보에 개시된 1×102 내지 3×106 Pa의 저장 탄성률 및 15 °이상의 접촉각이라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밑줄 그은 범위의 박리력은 안정적인 소정의 값을 가져 바람직한 것이었다. 비교예 1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조사량 100 mJ/㎠ 이상의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으면 목적하는 박리력을 가진 박리 시트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4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에베크릴 P36의 사용량에 따라 감소된 자외선 조사량으로 목적하는 박리력을 가진 박리 시트를 제공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박리 시트는 모두 비교예 1의 박리 시트에 비하여 동등 수준의 박리력을 가지며, 에베크릴 P36, 즉 자외선 활성기에 의해 박리력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4와 같이 에베크릴 P36을 0.8 중량% 사용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에베크릴 P36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박리력을 유지한 채 5 배 이상의 생산성으로 박리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과는 박리제 전구체의 조성에 따라 박리 시트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자외선 조사량이 다른 경우에도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일정한 자외선 조사량으로 박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5 내지 8>
본 예에서는 에베크릴 P36 대신에 4-아크릴로일옥시벤조페논(ABP)을 벤조페논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제조하여 박리 시트를 제조 및 평가하였다. 다양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및 자외선 에너지 밀도에서의 상기 박리 시트의 박리력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51755348-pct00002
표 2에 따르면, 실시예 5 내지 8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의 저장 탄성률 및 아크릴계 박리제의 접촉각은 1.1×103 내지 2.2×103 Pa 및 36.4 내지 41.6 °로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국제 공개 제WO 01/64805호 및(또는) 일 본 특허 공개 제2001-240775호 공보에 개시된 1×102 내지 3×106 Pa의 저장 탄성률 및 15 °이상의 접촉각이라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밑줄 그은 범위의 박리력은 안정적인 소정의 값을 가져 바람직한 것이었다.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에 ABP를 사용하면 표 1의 에베크릴 P36의 경우와 유사하게 ABP의 사용량에 따라 감소된 자외선 조사량으로 목적하는 박리력을 안정적으로 가진 박리 시트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5 내지 8의 박리 시트는 모두 비교예 1에 비하여 동등 수준의 박리력을 가지며, ABP, 즉 자외선 활성기에 의해 박리력이 손상되지 않았다.
<비교예 2>
본 예에서는 NK 에스테르 ISA 100 부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함유하는 희석 용액에 0.1 중량%의 벤조페논(BP)을 더 첨가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박리 시트를 제조 및 평가하였다.
<비교예 3>
본 예에서는 NK 에스테르 ISA 100 부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희석 용액에 0.5 중량%의 벤조페논(BP)을 더 첨가하여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박리 시트를 제조 및 평가하였다.
다양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및 자외선 에너지 밀도에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력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51755348-pct00003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비교예 2 및 3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비교예 1과 동등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비교예 1과 동등한 수준의 박리 시트 밖에 제공할 수 없었다. 반면, 실시예 1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불과 0.03 중량%의 에베크릴 P36을 사용하여 자외선 활성기를 분자 내에 도입하는 것 만으로도 자외선 조사량을 감소시켜 박리 시트를 제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벤조페논의 단순한 첨가로는 자외선 조사량의 감소는 발견되지 않으며, 생산성의 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에 함유되는 자외선 활성기를 갖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와 자외선 활성기를 가진 자유 라디칼 발생제의 단순한 혼합물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며, 본 발명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박리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성분에 상관없이 비교적 적은 자외선 조사량으로 아크릴계 박리제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6)

  1.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박리제 전구체 중에 자유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기를 갖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20 ℃ 및 1 Hz의 주파수에서 1×102 내지 3×106 Pa의 저장 탄성률을 갖고, 자외선 조사 후, 25.4 N/m의 습윤 장력을 갖는 부피비 90/10의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15 °이상인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가
    (a) C12-30 알킬기를 갖는 제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C1-12 알킬기를 갖는 제2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및
    (b) 분지된 C8-30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3.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박리제 전구체 중에 자유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기가 벤조페논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4. 기재, 및 이 기재 상에 형성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를 포함하며, 이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는 자외선을 조사한 것인 박리제 물품.
  5.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박리제 전구체 중에 자유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기를 갖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20 ℃ 및 1 Hz의 주파수에서 1×102 내지 3×106 Pa의 저장 탄성률을 갖는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로 기재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25.4 N/m의 습윤 장력을 갖는 부피비 90/10의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액에 대해 15 °이상의 접촉각을 갖는 아크릴계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박리제 물품의 제조 방법.
  6. 삭제
KR1020047018051A 2002-05-10 2003-04-21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박리제 물품 및 박리제 물품의제조 방법 KR101003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5660A JP4436030B2 (ja) 2002-05-10 2002-05-10 アクリル系剥離剤前駆体、剥離剤物品及び剥離剤物品の製造方法
JPJP-P-2002-00135660 2002-05-10
PCT/US2003/012236 WO2003095578A1 (en) 2002-05-10 2003-04-21 Acrylic release agent precursor, release agent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release ag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242A KR20050006242A (ko) 2005-01-15
KR101003884B1 true KR101003884B1 (ko) 2010-12-30

Family

ID=2941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051A KR101003884B1 (ko) 2002-05-10 2003-04-21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박리제 물품 및 박리제 물품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816477B2 (ko)
EP (1) EP1504071B1 (ko)
JP (1) JP4436030B2 (ko)
KR (1) KR101003884B1 (ko)
CN (1) CN100513503C (ko)
AT (1) ATE370206T1 (ko)
AU (1) AU2003228613A1 (ko)
DE (1) DE60315635T2 (ko)
MY (1) MY141004A (ko)
TW (1) TWI298740B (ko)
WO (1) WO2003095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2771B2 (en) * 2004-12-29 2010-03-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photosensitive fluorochemical and uses thereof
US20080003420A1 (en) * 2006-06-29 2008-01-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fer hardcoat films for graphic substrates
ES2340533T3 (es) * 2007-04-02 2010-06-04 Nitto Europe N.V Protector de liberacion.
US20090000727A1 (en) * 2007-06-29 2009-01-01 Kanta Kumar Hardcoat layers on release liners
US20090004478A1 (en) * 2007-06-29 2009-01-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hardcoat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EP2222463A4 (en) * 2007-11-28 2013-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HARD-FILM FILMS FOR GRAPHIC SUBSTRATES
WO2010002725A2 (en) * 2008-07-03 2010-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xed abrasive particle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02272961B (zh) 2008-12-30 2014-11-26 3M创新有限公司 机电材料和包括该机电材料的装置
JP5680621B2 (ja) * 2009-04-17 2015-03-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転写物品を使用して作製される平面状の研磨物品及びその作製方法
JP2011184582A (ja) 2010-03-09 2011-09-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光学用粘着シート
WO2012054283A1 (en) 2010-10-18 2012-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unctional particle transfer liner
US9711744B2 (en) 2012-12-21 2017-07-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tterned structured transfer tape
US20140175707A1 (en) 2012-12-21 2014-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using nanostructured transfer tap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140242343A1 (en) 2013-02-27 2014-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amination transfer films for forming embedded nanostructures
JP2017511755A (ja) 2014-01-22 2017-04-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ガラス用微小光学要素
TW201539736A (zh) 2014-03-19 2015-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 用於藉白光成色之 oled 裝置的奈米結構
US10294394B2 (en) 2014-05-08 2019-05-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with microstructured elastomeric core
US10982122B2 (en) 2014-09-05 2021-04-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conformable curable adhesive films
JP7009992B2 (ja) 2014-10-20 2022-01-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及び微細構造化拡散部を含む微小光学層並びに方法
WO2016136759A1 (ja) * 2015-02-24 2016-09-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剤組成物、剥離シート、片面粘着シートおよび両面粘着シート
US10518512B2 (en) 2015-03-31 2019-12-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forming dual-cure nanostructure transfer film
US10106643B2 (en) 2015-03-31 2018-10-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al-cure nanostructure transfer film
WO2016168283A1 (en) 2015-04-17 2016-10-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ressible, multilayer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WO2016205189A1 (en) 2015-06-19 2016-1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optical assemblies including transparent substrates having graphic layer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7820461B (zh) 2015-06-19 2019-12-17 3M创新有限公司 分段式转印带及其制备和使用方法
EP3311430B1 (en) 2015-06-19 2019-12-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gmented transfer tap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7810433B (zh) 2015-06-30 2021-03-05 3M创新有限公司 包括微结构化各向异性漫射体的隔热玻璃窗单元和微光学层以及方法
CN109076703A (zh) 2016-04-15 2018-12-21 3M创新有限公司 通过粘合剂转移制备电子电路
WO2017200964A1 (en) 2016-05-19 2017-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ressible multilayer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6280286A (zh) * 2016-08-30 2017-01-04 山东圣泉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及其应用和保温墙连接件
WO2018080830A1 (en) 2016-10-28 2018-05-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anostructured article
CN110300662A (zh) 2017-02-20 2019-10-01 3M创新有限公司 微结构化弹性体膜及其制备方法
EP3587526B1 (en) 2018-06-29 2022-0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oth sides coated automotive paint compatible liner for structural adhesive film
CN111076991A (zh) * 2018-12-11 2020-04-28 广东特地陶瓷有限公司 一种快速测定瓷砖外照射剂量基片制备方法及应用
US20220127396A1 (en) 2018-12-11 2022-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polymers with cationic, nitrogen-containing group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made therefrom
WO2020250057A1 (en) 2019-06-10 2020-1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tionic copolymers with pendant n-allylimidazolium groups
CN113939522A (zh) 2019-06-17 2022-01-14 3M创新有限公司 有机硅烷、离子有机硅烷、膜组合物和膜
US20220332887A1 (en) 2019-08-23 2022-10-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onic copolymer, curable membrane precursor composition, membrane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WO2021123997A1 (en) 2019-12-19 2021-06-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polymers containing pendant ionomeric carbosilane groups
EP4284857A1 (en) 2021-01-29 2023-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rylic polymer release agent, release sheet, tape and double-sided tap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775A (ja) 2000-02-29 2001-09-0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剥離剤形成用重合性組成物、剥離剤物品及び剥離剤物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8997A (en) * 1975-02-26 1976-12-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ing interpolymer of acrylates, oxypropyl acrylamides and acrylic acid
US4165266A (en) * 1977-03-30 1979-08-21 Union Carbide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DE2743979C3 (de) 1977-09-30 1981-09-10 Beiersdorf Ag, 2000 Hambur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t einer Selbstklebemasse auf Basis vernetzter Polyacrylsäure-Derivate beschichteten Produkten
US4111769A (en) * 1977-12-29 1978-09-05 Union Carbide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4600649A (en) * 1984-10-22 1986-07-15 Desoto, Inc. Abrasion-resistant ultraviolet-curable coatings
US4737559A (en) * 1986-05-19 1988-04-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osslinked by copolymerizable aromatic ketone monomers
DE3844445A1 (de) * 1988-12-31 1990-07-19 Basf Ag Uv-vernetzbare massen auf basis von (meth)-acrylesterpolymerisaten
US5283092A (en) * 1991-12-31 1994-02-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maging manifold
TW221061B (ko) 1991-12-31 1994-02-11 Minnesota Mining & Mfg
US5262232A (en) * 1992-01-22 1993-1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ibration damping constructions using acrylate-containing damping materials
JPH07186597A (ja) * 1993-12-27 1995-07-25 Sakura Color Prod Corp 転写紙
JPH07300569A (ja) 1994-05-02 1995-11-14 Tosoh Corp 保護コート剤
US5954907A (en) * 1997-10-07 1999-09-21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ocess using electrostatic spraying for coating substrates with release coating compositions,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combination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775A (ja) 2000-02-29 2001-09-0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剥離剤形成用重合性組成物、剥離剤物品及び剥離剤物品の製造方法
WO2001064805A2 (en) * 2000-02-29 2001-09-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material, release material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release material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7412A (en) 2004-05-16
AU2003228613A1 (en) 2003-11-11
JP4436030B2 (ja) 2010-03-24
KR20050006242A (ko) 2005-01-15
US7816477B2 (en) 2010-10-19
CN1729263A (zh) 2006-02-01
US20050118352A1 (en) 2005-06-02
TWI298740B (en) 2008-07-11
DE60315635D1 (de) 2007-09-27
WO2003095578A1 (en) 2003-11-20
EP1504071A1 (en) 2005-02-09
DE60315635T2 (de) 2008-06-05
MY141004A (en) 2010-02-12
JP2003327945A (ja) 2003-11-19
EP1504071B1 (en) 2007-08-15
CN100513503C (zh) 2009-07-15
ATE370206T1 (de) 200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884B1 (ko) 아크릴계 박리제 전구체, 박리제 물품 및 박리제 물품의제조 방법
KR100347777B1 (ko) 열 자유라디칼 접착제, 경화방법 및 이것으로 제조한 제품
US20030118770A1 (en) Release material, release material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release material article
EP1112289B1 (en) Low temperature electron beam polymerization
EP1704197A1 (en) Method of prepar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JP2000073025A (ja)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7964249B2 (en) Method for producing crosslinked acrylate hot-melt adhesive compounds
JP4636649B2 (ja) 剥離剤形成用重合性組成物、剥離剤物品及び剥離剤物品の製造方法
JP2798331B2 (ja) 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US6830726B2 (en) Method of sterilizing a radiation-resistant medical adhesive product
JP2000336326A (ja) 粘着テープ
JPH04153284A (ja) 表面保護テープ
JP2000073026A (ja)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66103A (ja) 光重合性組成物及び粘弾性製品
JPH04153285A (ja) 巻止め用テープ
JPH02110180A (ja)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3096114A (ja) 光重合性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JP4776060B2 (ja) 表面反応性官能基修飾粘着剤及び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2017082023A (ja)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4097454B2 (ja) 表面反応性官能基修飾粘着剤及び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H04366104A (ja) 光重合性組成物及びアクリル系粘着剤
JPH0820749A (ja) 放射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てなる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JPH04353505A (ja) 光重合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剤製品
JPH0549681B2 (ko)
JPH05331426A (ja) 軟質ポリ塩化ビニルを基材とする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