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227B1 - 건설 기계의 캡 구조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227B1
KR101002227B1 KR1020087000741A KR20087000741A KR101002227B1 KR 101002227 B1 KR101002227 B1 KR 101002227B1 KR 1020087000741 A KR1020087000741 A KR 1020087000741A KR 20087000741 A KR20087000741 A KR 20087000741A KR 101002227 B1 KR101002227 B1 KR 101002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ost member
cap
rear end
cap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513A (ko
Inventor
다이스케 쓰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1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3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평면에서 볼 때 선회시에서의 하부 주행체(2)로부터의 선회대(3)의 돌출 길이가 선회 반경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이하인, 이른바 후방 소선회형의 캡 구조에 있어서,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전도시에 걸리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캡(10)은, 파이프재를 대략 L자형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나, 직선형의 파이프재로 형성되는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 등에 의해 캡 구조체(20)를 형성하고 있다. 선회대(3)의 선회 궤도를 따라 형성된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캡(10)의 좌측면 쪽에 배치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 부분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 부분은, 후단 빔 부재(33)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캡 구조{CAB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있어서,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선회대에 배치되는 운전실(캡)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토사나 자갈 등의 굴삭을 행하는 토목공사의 현장에서 작업을 행할 때, 유압 셔블(굴삭 기계) 등의 건설 기계가 사용되고 있다.
이 유압 셔블에는, 일반적으로 주요한 구성으로서,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선회대, 및 상기 선회대 상에 고정 배치된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운전실(캡)이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EOPS(6톤을 초과하는 유압 셔블 전도시 등 보호 구조: 사단법인 일본 건설 기계화 협회 규격) 등의 규격에 대응한 운전실의 전도시 보호 구조가 특별히 중요시되고 있고, 캡 구조의 강성 증대가 안전면에서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9-25648호(1997년 1월 28일 공개)에는, 이너 플레이트(inner plate)와 아우터 플레이트(outer plate)를 맞추어 지주를 형성하고, 상기 지주 내부의 중공 공간에 강관 등의 보강재를 설치한 건설 기계(작업 차량)의 캡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너 플레이트 및 아우터 플레이트 등의 금속판 부재 만으로 구성된 캡 구조와 비교하여, 건설 기계가 전도되었을 때의 변형에 대한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공보에 개시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운전실의 강성의 향상에 의해, 운전실의 안전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보강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부품수가 증가되므로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될 우려가 있다.
또, 평면에서 볼 때, 선회시에서의 하부 주행체로부터의 선회대의 돌출 길이가 선회 반경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이하인, 이른바 후방 소선회형의 캡 구조를 채용한 건설 기계에서는, 돌출량 제한에 의한 형상의 제한을 만족시키면서, 오퍼레이터의 쾌적성을 위해 운전실의 크기를 가능한 한 크게 하고, 또한 충분한 강성을 갖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공보에 개시된 캡 구조에서는, 부품수가 증가됨으로써, 운전실의 대형화와 충분한 강성의 확보라고 하는 양면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평면에서 볼 때, 선회시에서의 하부 주행체로부터의 선회대의 돌출 길이가 선회 반경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이하인, 이른바 후방 소선회형의 캡 구조에 있어서,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전도시에 인가되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선회대에 대하여 고정 배치되어 있고, 소정의 선회 반경을 넘지 않도록 선회 궤도를 따라 형성된 원호 부분을 어느 한쪽의 측면에 가지고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와, 제1 접합 부재를 포함한다. 제1 포스트 부재는,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캡의 우측 전방 단부로부터 우측 후방 단부, 및 좌측 전방 단부로부터 좌측 후방 단부에 걸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포스트 부재는,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포스트부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빔부를 가지고 있다. 제2 포스트 부재는, 대략 직선형의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캡의 우측 후방 단부 및 좌측 후방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포스트 부재는,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의 측면의 후단부에 배치된 한쪽의 상단 부분이 제1 포스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합 부재는, 우측 후방 단부 및 좌측 후방 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끼리를 접합한다. 또한, 제1 접합 부재는,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의 후단 부분과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을 접합한다.
여기서는, 평면에서 볼 때, 선회시에서의 선회대가 하부 주행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선회 반경에 대하여 10% 이하가 되는 후방 소선회형의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대략 상자형의 캡의 네 코너의 포스트로서,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 포스트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제1 포스트 부재는, 2개의 대략 L자형 형상으로 절곡된 파이프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좌우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포스트 부재는, 좌우의 전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부와, 좌우 전단부 위쪽으로부터 좌우 후단부 위쪽까지 연장되는 빔부를 포함한다. 좌우의 후단 부분에 배치된 2개의 제2 포스트 부재 중, 캡의 한쪽의 측면에 형성된 원호 부분의 후단부에 배치된 한쪽의 제2 포스트 부재는, 그 상단 부분이,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의 후단 부분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합 부재는, 좌우의 후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끼리를 접합한다. 또한, 제1 접합 부재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의 후단 부분과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을 접합한다.
여기서, 상기 건설 기계란, 예를 들면, 선회대 상에 캡(운전실)이나 각종 건설 기기를 구비한 유압 셔블이나 크레인차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후방 소선회형이란, 예를 들면, 선회시에 운전실이 배치된 선회대가, 평면에서 볼 때, 선회 반경에 대한 하부 주행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의 비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선회 반경이 설계된 건설 기계가 포함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에 포함되는 좌우 전후의 방향에 대하여는, 운전실 내에서 건설 기계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로부터 본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이에 따라, 후방 소선회형의 건설 기계와 같이 소정의 선회 반경으로 하기 위해 캡의 한쪽의 측면이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함께 파이프재로 형성된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와 접합 부분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제1 접합 부재에 의해 이들을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1 접합 부재는 제2 포스트 부재 사이를 접합하는 빔으로서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으므로,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를 서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포스트 부재가, 함께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금속판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캡 구조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캡의 강성을 종래보다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제1 포스트 부재는,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는, 좌우 전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1 포스트 부재 사이의 거리가, 좌우 후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2 포스트 부재 사이의 거리와 상이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캡의 앞쪽의 좌우 양단에 설치된 제1 포스트 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캡의 뒤쪽의 좌우 양단에 설치된 제2 포스트 부재 사이의 거리가 길게 되도록 각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캡의 좌우의 전단부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제1 포스트 부재는, 서로 포스트부와 빔부가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쪽의 측면 위쪽에 배치되는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의 후단 부분은,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본 발명의 캡 구조에서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존재하는 제1 및 제2 포스트 부재를, 제1 접합 부재에 의해 접합할 수 있으므로, 운전실로부터 광범위하게 걸치는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한 캡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에 위치한 제1 포스트 부재의 포스트부와 제2 포스트 부재와 제1 접합 부재를 서로 접합하는 제2 접합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는, 캡의 측면에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에,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와 제1 접합 부재를 서로 접합하는 제2 접합 부재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캡 구조의 주요한 구성인 제1 및 제2 포스트 부재와 제1 접합 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포스트 부재의 포스트부와 제2 포스트 부재 사이에 제3 포스트 부재를 설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접합 부재에 의해,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와 제3 포스트 부재의 상단부를 접합할 수도 있다. 이 결과, 강성을 더욱 향상시킨 캡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3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제2 접합 부재는,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의 금속판 부재이다.
여기서는, 제1 포스트 부재의 단부와, 제2 포스트 부재의 단부와, 이들을 접합하는 제1 접합 부재를 접합하는 제2 접합 부재로서, 예를 들면, 대략 L자형 형상의 금속판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합 부재로서 파이프재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캡의 단부의 형상을 임의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쉬워지며, 내부에 전기 배선을 통함으로써 캡 구조의 공간 절약화가 도모된다.
제5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3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에 위치한 제1 포스트 부재의 포스트부와 제2 포스트 부재 사이에서, 제2 접합 부재와 상단 부분이 접합되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3 포스트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는, 대략 상자형의 네 코너에 각각 배치된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캡 구조에 있어서,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의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 사이에 3번째의 포스트로서 제3 포스트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의 측면에 슬라이드 도어나 힌지 부가 도어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도어 분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캡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제1 접합 부재는,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의 금속판 부재이다.
여기서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제1 포스트 부재의 단부와 제2 포스트 부재의 단부를 접합하는 제1 접합 부재로서, 예를 들면, 대략 L자형 형상의 금속판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합 부재로서 파이프재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캡의 단부의 형상을 임의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쉬워지며, 내부에 전기 배선을 통함으로써 캡 구조의 공간 절약화가 도모된다.
제7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의 측면에는, 승강용 슬라이드 도어가 장착된다.
여기서는, 선회 궤도를 따라 형성된 원호 부분을 가지는 캡의 한쪽의 측면에, 오퍼레이터가 운전실에 승강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의 측면은, 선회 궤도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상, 건설 기계의 차체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로써, 건설 기계의 차체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쪽의 캡 측면에 슬라이드 도어를 장착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용이하게 승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측에 팽창하도록 형성된 원호 부분에 슬라이드 도어를 수납함으로써, 원호 부분을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스페이스에 맞는 수납 양호한 캡 구조로 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파이프재 중 적어도 하나는, 이형 단면의 강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단면이 단순한 원형이나 사각형이 아니고, 복수개의 원호부나 직선부를 조합한 이형 단면의 강관을 파이프재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유리창의 끼워넣는 부분 등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 이형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부품수를 줄이고 외관성을 향상시킨 건설 기계의 캡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선회대에 대하여 고정 배치되어 있고, 소정의 선회 반경을 초과하지 않도록 선회 궤도를 따라 형성된 원호 부분을 어느 한쪽의 측면에 가지고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제1 포스트 부재, 제2 포스트 부재, 및 제1 접합 부재를 포함한다. 제1 포스트 부재는,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고, 캡의 우측 전방 단부로부터 우측 후방 단부, 및 좌측 전방 단부로부터 좌측 후방 단부에 걸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포스트 부재는,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포스트부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빔부를 가지고 있다. 제2 포스트 부재는, 대략 직선형의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캡의 우측 후방 단부 및 좌측 후방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포스트 부재는,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의 측면의 후단부에 배치된 한쪽의 상단 부분이,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와는 상이한 위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합 부재는, 우측 후방 단부 및 좌측 후방 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끼리를 접합한다. 또한, 제1 접합 부재는,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의 후단 부분과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을 접합한다.
여기서는, 평면에서 볼 때 선회시에서의 하부 주행체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선회 반경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이하인, 후방 소선회형의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대략 상자형의 캡의 네 코너의 포스트로서 파이프재로 형성된 제1 및 제2 포스트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제1 포스트 부재는, 2개의 대략 L자형 형상으로 절곡된 파이프재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포스트 부재는, 좌우의 전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부와, 좌우 전단부 위쪽으로부터 좌우 후단부 위쪽까지 연장되는 빔부를 포함하고 있다. 좌우의 후단 부분에 배치된 2개의 제2 포스트 부재 중, 캡의 한쪽의 측면에 형성된 원호 부분의 후단부에 배치된 한쪽의 제2 포스트 부재는, 그 상단 부분이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의 후단 부분과는 상이한 위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합 부재는, 좌우의 후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끼리를 접합한다. 또한, 제1 접합 부재는, 서로 상이한 위상에 배치된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의 후단 부분과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을 접합한다.
여기서, 상기 건설 기계란, 예를 들면, 선회대 상에 캡(운전실)이나 각종 건기를 구비한 유압 셔블이나 크레인차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후방 소선회형이란,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 선회시에 운전실이 배치된 선회대가 하부 주행체로부터 돌출 길이가 선회 반경에 대하여 10% 이하가 되도록 선회 반경이 설계된 건설 기계가 포함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에 포함되는 좌우 전후의 방향에 대하여는, 운전실 내에서 건설 기계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로부터 본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위상에 배치되는 것이란, 양 부재를 연장하고 있어도 교차하지 않는 관계를 말한다.
이에 따라, 후방 소선회형의 건설 기계와 같이 소정의 선회 반경으로 하기 위해 캡의 한쪽의 측면이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함께 파이프재로 형성된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와 접합 부분이 서로 상이한 위상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제1 접합 부재에 의해 이들을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1 접합 부재는, 제2 포스트 부재 사이를 접합하는 빔으로서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으므로,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를 서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포스트 부재가, 함께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금속판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캡 구조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캡의 강성을 종래보다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압 셔블의 외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압 셔블에 장착된 캡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캡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캡이 선회대 상에 마운트(mount)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캡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캡을 구성하는 골격을 형성하는 포스트 부재 등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포스트 부재 등의 조립도이다.
도 9는 도 7의 포스트 부재 등을 조립할 때의 각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캡의 배면측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캡의 배면측에 장착되는 각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나타내는 캡을 선회대 상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나타내는 캡을 선회대 상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7의 포스트 부재에 포함되는 이형 단면을 가지는 강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압 셔블 2: 하부 주행체
3: 선회대 4: 작업기
5: 카운터 웨이트 6: 엔진
7: 슬라이드 도어 9: 기기실
10: 캡 20: 캡 구조체
21a~21c: 사이드 패널 21d: 상면 패널
22a, 22b: 사이드 프레임 22c: 배면 프레임
24: 마운트부 24a: 방진 장치
25: 선회 프레임 27: 플로어 패널
27a: 플로어 프레임
31a: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제1 포스트 부재)
31b: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제1 포스트 부재)
31aa, 31ba: 포스트부 31ab, 31bb: 빔부
32a: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제2 포스트 부재)
32b: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제2 포스트 부재)
33: 후방 빔 부재(제1 접합 부재)
34: 측방 빔 부재(제2 접합 부재)
35: 지주(제3 포스트 부재) 41: 배면 패널(보강 부재)
42: 판재(보강 부재) 50: 냉각 부품(라디에이터)
d: 간격 M: 중앙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를 채용한 운전실(캡)을 장착한 유압 셔블(건설 기계)(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좌우", "전후" 및 "앞면 배면"이라는 용어는, 캡(10)(도 1 등 참조) 내에서 오퍼레이터가 의자에 앉을 때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 한다.
[유압 셔블(1) 전체의 구성]
본 실시예에 관한 유압 셔블(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 선회대(3), 작업기(4), 카운터 웨이트(counterweight)(5), 엔진(6), 기기실(9), 및 캡(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압 셔블(1)은, 작업기(4)를 제외한 기계의 선회 반경(R)(도 2 참조)이 소정값 이하이며, 평면에서 볼 때 선회시에서의 선회대(3)가 하부 주행체(2)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선회 반경에 대하여 10% 이하가 되는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이다.
하부 주행체(2)는 진행 방향 좌우 양단 부분에 감겨진 엔드리스 벨트(endless belts)(P)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압 셔블(1)을 전진 및 후진시키며, 상면 측에 선회대(3)를 선회 가능한 상태로 장착하고 있다.
선회대(3)는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며, 상면에 작업기(4), 카운터 웨이트(5), 엔진(6), 및 캡(10)을 장착하고 있다.
작업기(4)는 붐(boom)과, 붐의 선단에 장착된 암(arm)과, 암의 선단에 장착된 버킷(bucket)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에 의해 암이나 버킷 등을 상하에 이동시키면서, 토사나 자갈 등의 굴삭을 행하는 토목공사의 현장에서 작업을 행한다.
카운터 웨이트(5)는, 예를 들면, 강판을 조립하여 형성한 상자 중에 고철(scrap iron)이나 콘크리트 등을 넣어 굳힌 것으로서, 채굴 시 등에서 차체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해 선회대(3)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6)은 하부 주행체(2)나 작업기(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카운터 웨이트(5)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기기실(9)은 작업기(4)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 작동 오일 탱크 및 조작 밸브 등을 수용한다.
캡(10)은 유압 셔블(1)의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운전실로서, 작업기(4)의 선단부를 볼 수 있도록, 선회대(3) 상에서의 작업기(4)의 측방으로 되는 좌측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캡(10)의 캡 구조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 게 설명한다.
[캡(10)의 구조]
캡(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포스트 부재(31a, 31b, 32a, 35) 등으로 구성되는 상자형의 구조체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0)의 좌측의 측면부의 중앙부(M)를, 선회대(3)의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의 원의 외주 부분에 대략 따르도록 원호형(라운드 형상)으로 부풀린 형상(이하, "원호 부분"으로 나타냄)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선회시에도, 하부 주행체(2)보다 외측에 선회대의 부분이 크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 후방 소선회의 유압 셔블로서, 도로 공사 등의 좁은 스페이스에서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원호형의 부분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7)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도어(7)를 연 경우에도 슬라이드 도어(7)가 선회대(3)의 선회 반경(R)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캡(10)이 차체 폭(B)(도 2 참조)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하는 구축물 등에 간섭되지 않고, 캡(10) 내부의 용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캡(1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캡 구조체(20)에 대하여, 사이드 패널(21a, 21b, 21c)이나 상면 패널(21d), 사이드 프레임(22a, 22b)이나 배면 프레임(22c)이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패널(21a 내지 21d) 및 각 프레임(22a 내지 22c)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리가 끼워져 캡(10) 내에 오퍼레이터가 타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캡(10)의 좌측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패널(21a)이나 사이드 프레임(22a, 22b)은, 전술한 캡(10)의 좌측의 측면에 나타나는 원호 부분이 형성된 캡 구조체(20)의 부분에 장착되므로,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반경 방향으로 팽창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캡(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대(3)의 상면 부분으로 되는 선회 프레임(25)에서의 좌측 전방에 형성된 4개의 마운트부(24) 상에, 방진 장치(24a) 및 플로어 패널(27)을, 캡(10)의 플로어 프레임(27a)에 대하여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 상태로 장착된다. 그러므로, 캡(10)은 선회대(3)(선회 프레임(25)에 대하여 4점 지지된 상태로 고정 배치된다.
또한, 캡(10)은, 그 골조 부분으로 되는 캡 구조체(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캡 구조체(20)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부재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캡 구조체(20)의 구성)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에서는,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와 빔 부재를 조합시켜 캡(10)을 구성하는 골격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캡 구조체(20)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제1 포스트 부재)(31a),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제1 포스트 부재)(31b),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제2 포스트 부재)(32a),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제2 포스트 부재)(32b), 후방 빔 부재(제1 접합 부재)(33), 측방 빔 부재(제2 접합 부재)(34), 및 지주(제3 포스트 부재)(35)를 포함한다.
상기 각 부재 중, 캡 구조체(20)의 네 코너에 배치되는 좌우 전후의 포스트 부재(31a, 31b, 32a, 32b)는,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금속판 부재를 조합시켜 형성되는 종래의 캡 구조체와 비교하여, 캡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31b)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원호 부분과 서로 평행한 직선 부분을 조합시켜 구성되는, 유리창 등을 끼워 넣기 위한 이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재를 중앙 부분 부근에서 절곡시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포스트부(31aa), 및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빔부(31ab)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파이프재를 절곡하여 포스트부(31aa)와 빔부(31ab)를 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면서, 강성이 높은 캡 구조체(20)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31b)에 대해도 마찬가지이다.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접합 상대로 되는 후방 빔 부재(33)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노치가 상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의 부분과 후방 빔 부재(33)의 측면이 접합된다. 또한,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그 하단부가 플로어 프레임(27a)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어 프레임(27a)은, 전술한 마운트부(24)의 대략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방진 장치(24a)를 통하여 플로어 패널(27)과 함께 장착되어 있다.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에 대해서도, 1개의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점, 접합 상대로 되는 후방 빔 부재(33)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노치가 상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의 부분에서 후방 빔 부재(33)의 측면과 접합되는 점에 대하여는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같다. 그리고,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는, 하단부가 플로어 프레임(27a)의 레벨(높이 위치)에까지 도달되지 않는다.
후방 빔 부재(3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대략 L자형의 금속판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빔 부재(3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의 빔부(31ab, 31bb)의 후단부와,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의 상단부를 접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의 빔부(31ab, 31bb)의 후단부는, 후방 빔 부재(33)의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에서 연직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에 접합된다. 한편,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의 상단부는, 후방 빔 부재(33)의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에서 수평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에 접합된다.
여기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 및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접합 부분(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 부분,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 부분)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위상에 배치된다. 이 위상의 어긋남은, 전술한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1)을 구성하기 위하여, 캡(10)의 측면 부분에 원호 부분을 포함하도록 캡(10)이 형성된 것에 기인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캡 구조체(20)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의 간격(d1)과,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1a, 32b)의 간격(d2)이 상이하도록 각 포스트 부재(31a, 31b, 32a, 32b)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캡(10)에서는, 후방의 폭이 전방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으므로,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 경우에는,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좌측의 전후의 포스트 부재(31a, 32a)의 접합 부분의 위상의 어긋남이 생긴다. 환언하면, 좌측의 전후의 포스트 부재(31a, 32a)는, 각각을 연장한 경우에도, 서로 교차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다.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에서는, 이와 같이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에 적합하도록 캡(10)의 구조를 형성한 경우에서도, 그에 따라 발생하는 포스트 부재(31a, 32a)의 접합 부분의 위상의 어긋남의 문제를, 후방 빔 부재(33)를 접합 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
측방 빔 부재(34)는, 도 6,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대략 L자형의 금속판 부재를 조합시켜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캡(10)의 좌측면 측에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빔부(31ab))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측방 빔 부재(34)는,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를 접합하고, 지주(35)의 상단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서로 위상이 상이한 위치에 있는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부를, 후방 빔 부재(33)와 함께 보다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측방 빔 부재(34)는, 슬라이드 도어(7)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범위에 따라 그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위쪽의 대략 L자형의 금속판 부재의 하면에 가이드, 아래쪽의 대략 L자형의 금속판 부재의 상면에 롤러 주행 부분을 설치하고 있다.
지주(35)는, 슬라이드 도어(7)가 장착되는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좌측면에서의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포스트부(31a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중간의 위치에,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캡(10)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캡(10)의 좌측 측면에 장착된 슬라이드 도어(7)를 슬라이드 이동시킨 경우에도, 상기 측방 빔 부재(34)와 함께 캡(10)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의 특징]
(1)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선회대(3)를 포함하고, 또한 선회대(3) 상에 오퍼레이터가 승강하기 위한 캡(10)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캡(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재를 대략 L자형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나, 직선형의 파이프재로 형성되는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 등에 의해 캡 구조체(20)를 형성하고 있다. 또, 선회대(3)의 선회 궤도를 따라 형성된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캡(10)의 좌측면 쪽에 배치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 부분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 이, 서로 상이한 위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이한 위상에 배치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 부분은, 후방 빔 부재(33)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1)의 좌측면에 형성된 원호 부분(라운드 형상)을 포함하는 쪽에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접합 부분이 서로 상이한 위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도,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의 상단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빔으로서 기능하는 후방 빔 부재(33)를 사용함으로써,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함께 파이프재로 형성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를 서로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함께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금속판 부재를 조합시켜 구성되는 종래의 캡 구조와 비교하여 캡(10)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2)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캡(10)의 좌측면에 원호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의 간격이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의 간격보다 좁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좌측면에 배치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서로의 접합 부분에서 상이한 위상에 배치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캡 구조체(20)에서는, 이와 같이 서로의 접합 부분이 상이한 위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후방 빔 부재(33)를 사용하여 양자를 접합함으로써,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를 서로 접합하여 강성이 높은 캡 구조체(20)를 얻을 수 있다.
(3)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캡(10)의 좌측면에 형성된 원호 부분에 있어서,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중간 위치에 지주(35)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캡(10)의 좌측면에, 오퍼레이터가 캡(10)에 승강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7)가 장착된 경우에도, 슬라이드 도어(7)를 지지하여 캡(1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에서는, 서로 위상이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접합 부분을 접합하는 후방 빔 부재(33)는, 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 부재를 대략 L자형 형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캡(10)의 외형에 맞추어 임의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대략 L자형 형상과 같이 가공한 경우에는, 전기 배선 등을 통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캡 구조체(20)를 구성하는 빔의 부분에 확보할 수 있다.
(5)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전술한 서로 상이한 위상에 배치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 부분을 접합하는 부재로서, 또한 캡(10)의 좌측면의 위쪽에 측방 빔 부재(34)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를 더욱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캡(10)의 좌측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7)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무거워져 있지만, 이 측방 빔 부재(34)를, 캡(10)의 좌측면의 위쪽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6)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빔 부재(34)가 대략 L자형 형상의 금속판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측방 빔 부재로서 파이프재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캡(10)의 외형을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대략 L자형의 오목한 부분에 전기 배선 등을 통하게 함으로써 캡(10) 내의 공간 절약화가 도모된다.
(7)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캡(10)의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좌측면에, 오퍼레이터가 캡(10) 내로 승강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7)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회시에서의 선회 궤도를 따라 외측에 팽창하도록 형성된 원호 부분에 슬라이드 도어(7)를 장착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7)의 개폐시에도 선회대(3)의 외측에 도어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캡(10)의 좌측면은, 선회대(3)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오퍼레이터가 승강하기 쉬운 위치에 슬라이드 도어(7)를 장착할 수 있다.
(8)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캡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를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재,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31b)를 이형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리창 등을 끼워 넣기 위한 홈 등을 이형 단면의 부분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유리창 끼워 넣기용으로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거나, 가공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부품수를 줄여 수납이 좋은 캡 구조체(20)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로 위상이 상이한 위치(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부를, 후방 빔 부재(33) 및 측방 빔 부재(34)에 의해 접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로 위상이 상이한 위치(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부를, 후방 빔 부재(33)만으로 접합한 캡 구조라도 된다. 이 경우에도,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캡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슬라이드 도어나 힌지가 부착된 도어가 장착되는 등, 보다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캡의 좌측면에서는 캡의 강성을 높은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측방 빔 부재(34)도 접합 부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캡(10)의 전후의 간격(폭)(d1, d2)이 상이한 것에 기인하여,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부가, 서로 상이한 위상(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캡(10)의 폭의 차이에 의한 것이 아니고, 다른 이유에 기인하여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부가, 서로 상이한 위상(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캡 구조체(20)라도 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캡(10)의 좌측의 측면에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캡(10)이, 선회대(3)의 우측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로 하기 위한 라운드 형상(원호 부분)이, 캡의 우측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쪽의 포스트 부재를 후방 빔 부재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로 위상이 상이한 위치(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 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부를 접합하는 후방 빔 부재(33)로서, 대략 L자형 형상으로 가공된 금속판 부재에 의해 형성된 후방 빔 부재(33)나 측방 빔 부재(34)를 사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금속판 부재의 대신에,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나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와 마찬가지로,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후방 빔 부재(33)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강성을 향상시킨 캡 구조체(20)를 구성해도 된다.
단, 상기 실시예와 같이, 금속판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캡의 형상에 맞추어 가공이 용이하게 되고, 배선 등을 통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는 면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금속판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 빔 부재(33)나 측방 빔 부재(34)의 형상으로서는, 대략 L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ㄷ자 형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캡(10)의 좌측면에 슬라이드 도어(7)를 장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7)의 대신에, 힌지가 부착된 도어를 캡(10)의 좌측면에 장착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 사이에 배치된 지주(35) 등에 의해 힌지가 부착된 도어를 지지할 수 있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캡 구조체(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플로어 프레임(27a)을 플로어 패널(27)과는 다른 부재로서 설치하고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플로어 프레임(27a)을 플로어 패널(27)과 일체의 부재로 하여도 된다. 즉,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 및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를, 직접 플로어 패널(27)과 접속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캡 구조체(20)가, 방진 장치(24a)를 통하지 않고 선회대(3) 상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라도 된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캡 구조를, 유압 셔블(1)에 대하여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캡을 장착한 선회대를 구비하고 있는 다른 건설 기계에 대해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 구조는, 평면에서 볼 때 선회시에서의 하부 주행체로부터의 선회대의 돌출 길이가 선회 반경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 이하가 되는 후방 소선회형의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캡의 강성을 종래보다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건설 기계나 농업기계 등의 작업용 기계의 운전실에 대해서도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9)

  1.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선회대에 대하여 고정 배치되어 있고, 소정의 선회 반경을 넘지 않도록 선회 궤도를 따라 형성된 원호 부분을 어느 한쪽의 측면에 가지고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L자형으로 절곡된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고, 캡의 우측 전방 단부로부터 우측 후방 단부, 및 좌측 전방 단부로부터 좌측 후방 단부에 걸쳐 각각 배치되고,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포스트부와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빔부를 가지는 제1 포스트 부재;
    직선형의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고, 연직 방향을 따라 캡의 우측 후방 단부 및 좌측 후방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의 측면의 후단부에 배치된 한쪽의 상단 부분이,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제2 포스트 부재; 및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끼리를 접합하고,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의 상기 빔부의 후단 부분과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을 접합하는 제1 접합 부재와,
    상기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에 위치한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와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부재를 서로 접합하는 제2 접합 부재
    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스트 부재는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와 상기 제2 포스트 부재는, 상기 좌측 전방 단부 및 상기 우측 전방 단부에 각각 배치된 상기 제1 포스트 부재 사이의 거리가, 상기 좌측 후방 단부 및 상기 우측 후방 단부에 각각 배치된 상기 제2 포스트 부재 사이의 거리와 상이하게 배치되어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 부재는, 단면이 L자 형상의 금속판 부재인, 건설 기계의 캡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에 위치한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의 포스트부와 상기 제2 포스트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2 접합 부재와 상단 부분이 접합되고,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3 포스트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부재는, 단면이 L자 형상의 금속판 부재인, 건설 기계의 캡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의 측면에는, 승강용 슬라이드 도어가 장착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으로 절곡된 파이프재 및 상기 직선형의 파이프재 중 적어도 하나는, 이형 단면의 강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9.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선회대에 대하여 고정 배치되어 있고, 소정의 선회 반경을 넘지 않도록 선회 궤도를 따라 형성된 원호 부분을 어느 한쪽의 측면에 가지고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L자형으로 절곡된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고, 캡의 우측 전방 단부로부터 우측 후방 단부, 및 좌측 전방 단부로부터 좌측 후방 단부에 걸쳐 각각 배치되고,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포스트부와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빔부를 가지는 제1 포스트 부재;
    직선형의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고, 연직 방향을 따라 캡의 우측 후방 단부 및 좌측 후방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의 측면의 후단부에 배치된 한쪽의 상단 부분이,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와는 상이한 위상에 배치된 제2 포스트 부재;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끼리를 접합하고,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의 상기 빔부의 후단 부분과 상기 빔부와는 상이한 위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의 상단 부분을 접합하는 제1 접합 부재와,
    상기 원호 부분을 가지는 쪽에 위치한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의 빔부와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부재를 서로 접합하는 제2 접합 부재
    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KR1020087000741A 2005-07-19 2006-07-13 건설 기계의 캡 구조 KR101002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8251 2005-07-19
JPJP-P-2005-00208251 2005-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513A KR20080015513A (ko) 2008-02-19
KR101002227B1 true KR101002227B1 (ko) 2010-12-20

Family

ID=3766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741A KR101002227B1 (ko) 2005-07-19 2006-07-13 건설 기계의 캡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87124B2 (ko)
JP (1) JP4999689B2 (ko)
KR (1) KR101002227B1 (ko)
CN (1) CN101223076B (ko)
GB (1) GB2441485B8 (ko)
WO (1) WO2007010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4078B2 (ja) * 2005-09-06 2011-10-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キャブ構造
DE202007006500U1 (de) 2007-05-07 2008-09-18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Baumaschine
DE112009001218B4 (de) * 2008-07-16 2015-10-01 Komatsu Ltd. Führerhaus für eine Baumaschine
US8579363B2 (en) * 2008-12-16 2013-11-12 Daniel E. Davis Rollover protection cab
WO2011061993A1 (ja) * 2009-11-20 2011-05-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DE102010015163A1 (de) * 2010-04-16 2011-10-20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Baumaschine oder Umschlaggerät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JP5516439B2 (ja) * 2011-01-25 2014-06-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2219516A (ja) * 2011-04-08 2012-11-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5582167B2 (ja) * 2012-05-18 2014-09-0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181076B1 (ja) * 2012-08-03 2013-04-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DE112013000122B4 (de) * 2013-02-15 2017-06-14 Komatsu Ltd. Hydraulikbagger
GB2531762A (en) 2014-10-29 2016-05-04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US10494038B2 (en) * 2015-05-13 2019-12-03 Kobe Steel, Ltd. Upper slewing body
US9856626B2 (en) * 2015-05-21 2018-01-02 Komatsu Ltd. Hydraulic excavator
JP2017040096A (ja) * 2015-08-20 2017-02-23 共和産業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
JP6971773B2 (ja) * 2017-10-20 2021-11-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キャブ、作業車両およびホイールローダ
US10556492B2 (en) * 2017-11-10 2020-02-11 Deere & Company Operator cab with segmented door
EP3418453B1 (en) * 2018-03-26 2020-07-01 Komatsu Ltd. Cover for work vehicle, work vehicle cab, and work vehicle
CN109049085A (zh) * 2018-08-13 2018-12-21 浙江环龙机器有限公司 一种弯梁结构
JP7195105B2 (ja) * 2018-10-09 2022-12-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及び作業機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098A (ja) 1999-12-28 2001-07-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2317466A (ja) 2001-04-20 2002-10-31 Komatsu Ltd 作業車両のキャブ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13234A (en) * 1984-11-26 1987-09-30 Kubota Ltd Front screen for tractor cabin
JPH0925648A (ja) 1995-07-12 1997-01-28 Komatsu Ltd 作業車両のキャブ構造
US5820199A (en) * 1995-11-08 1998-10-13 Caterpillar Inc. Frame assembly for an operator's compartment
DE19604942C2 (de) * 1996-02-10 2002-09-12 Daimler Chrysler Ag Fahrwerksträger
US6189955B1 (en) * 2000-04-18 2001-02-20 Deere & Company Operator enclosure for an agricultural tractor
KR100476336B1 (ko) * 2000-09-18 2005-03-10 프레스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건설기계용 캐브
KR100412838B1 (ko) * 2001-07-21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휀더부 구조
JP4397147B2 (ja) 2002-07-10 2010-01-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運転室
US6695396B1 (en) * 2002-11-01 2004-02-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djustable fastener assembly
JP4201126B2 (ja) 2003-04-10 2008-12-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05008035A (ja) 2003-06-19 2005-01-13 Komatsu Ltd キャブ
JP4744296B2 (ja) * 2003-09-09 2011-08-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キャブ
US7575272B2 (en) * 2004-06-07 2009-08-1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US7243982B2 (en) * 2004-06-22 2007-07-17 Caterpillar Inc Operator's cab for a work machine
WO2006121127A1 (ja) * 2005-05-13 2006-11-16 Komatsu Ltd. 作業機械用キャブ
KR101081836B1 (ko) * 2005-07-19 2011-11-0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건설 기계의 캡 구조
JP2007069799A (ja) * 2005-09-08 2007-03-22 Komatsu Ltd 建設車両
JP2007106286A (ja) * 2005-10-14 2007-04-2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のキャブ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098A (ja) 1999-12-28 2001-07-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2317466A (ja) 2001-04-20 2002-10-31 Komatsu Ltd 作業車両のキャブ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10808A1 (ja) 2009-01-29
GB2441485B (en) 2010-01-06
WO2007010808A1 (ja) 2007-01-25
KR20080015513A (ko) 2008-02-19
GB2441485B8 (en) 2010-03-03
JP4999689B2 (ja) 2012-08-15
CN101223076B (zh) 2011-03-23
CN101223076A (zh) 2008-07-16
US20090115223A1 (en) 2009-05-07
US7887124B2 (en) 2011-02-15
GB0800043D0 (en) 2008-02-13
GB2441485A (en)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227B1 (ko) 건설 기계의 캡 구조
KR101081836B1 (ko) 건설 기계의 캡 구조
US7665801B2 (en) Structure of upper frame for supporting cabin of construction machinery
US6582010B2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3747733B2 (ja) 建設機械の運転室
JP2004042739A (ja) 作業車両における運転室
JP6647997B2 (ja) 建設機械
JP5043188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5582167B2 (ja) 建設機械
JP3634723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673009B2 (ja)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7063839A (ja) 建設機械用保護構造物及び建設機械用キャブ
JP6012845B2 (ja) 建設機械
US20220220700A1 (en) Work vehicle
JP3927563B2 (ja)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5065968B2 (ja) 柱支持部材および建設機械用キャブ
JP5112149B2 (ja) 柱支持構造および建設機械用キャブ
CN116479970A (zh) 挖掘装载机的车架和挖掘装载机
JPH051433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2005170112A (ja) 建設機械
JP2002206255A (ja) 建設機械
JPH11256614A (ja) 作業機のアッパーフレームの構造
KR20110073783A (ko) 소선회 굴삭기의 캐빈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