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836B1 - 건설 기계의 캡 구조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836B1
KR101081836B1 KR1020087000742A KR20087000742A KR101081836B1 KR 101081836 B1 KR101081836 B1 KR 101081836B1 KR 1020087000742 A KR1020087000742 A KR 1020087000742A KR 20087000742 A KR20087000742 A KR 20087000742A KR 101081836 B1 KR101081836 B1 KR 10108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cap
post member
post
fl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144A (ko
Inventor
다이스케 쓰카모토
고도 쓰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1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3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캡 구조에 있어서, 캡 구조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캡 구조체(20)에서는, 캡(10)의 배면측에 오목부 공간(40)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른 포스트 부재(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보다 짧고, 플로어 패널(27)(접합 패널(27a))의 레벨까지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를 가지고 있다.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에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하단 부분으로부터 플로어 패널(27)의 높이 위치까지의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서, 제1 배면 패널부(41) 및 판재(42)가 접합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캡 구조{CAB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하부 주행체 상에 상부 선회체를 가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 상에 장착된 운전실(캡)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토사나 자갈 등의 굴삭을 행하는 토목공사의 현장에서 작업을 행할 때, 유압 셔블(굴삭 기계) 등의 건설 기계가 사용되고 있다.
이 유압 셔블에는, 일반적으로 주요한 구성으로서, 하부 주행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상부 선회체, 및 상부 선회체 상에 고정 배치된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운전실(캡)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1에는, 하부 주행체 상에 설치된 상부 선회체의 선회 중심으로부터 편위된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외측에 팽창된 만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외측 측면부에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하고 있고,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롤 오버(roll-over)(전도) 대응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캡 구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4-306893호(2004년 11월 4일 공개)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4-224083호
(특허 문헌3)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1-200412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공보에 개시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4개의 포스트 부재(지주) 중, 다른 포스트 부재보다 짧은 포스트 부재에 대응하는 마운트부(mount portion)를 다른 마운트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상기 공보의 도 3 참조), 짧은 포스트 부재도 마운트부에 대하여 직접 접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포스트 부재보다 짧은 포스트 부재를 가지는 캡 구조에 있어서, 모든 마운트부가 동일한 레벨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캡의 강성이 대폭 저하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캡 구조에 있어서, 캡 구조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하부 주행체 상에 장착된 상부 선회체 상에 배치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 플로어 프레임(floor frame), 마운트부, 및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포스트 부재는,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어 있고, 그 중 중 적어도 1개가 플로어 프레임과 동일한 레벨까지 도달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플로어 프레임은 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대략 수평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마운트부는 플로어 프레임을 복수개의 점에서 지지한다. 보강 부재는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에 포함되고 플로어 프레임과 동일한 레벨의 높이까지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제1 포스트 부재와, 플로어 프레임을 접합한다.
여기서는, 캡의 네 코너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 중, 플로어 프레임의 레벨까지 도달하지 않는 다른 포스트 부재보다 짧은 포스트 부재(제1 포스트 부재)를 가지는 캡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짧은 포스트 부재와 플로어 프레임을 보강 부재에 의해 접합한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하부 주행체에 장착된 상부 선회체 상에 배치되는 캡에서는, 캡의 네 코너에 포스트 부재를 설치하고, 이에 빔 부재 등을 조합하여 골격 부분을 구성한다. 이 경우, 상부 선회체에 복수개의 마운트 부분을 배치하고, 그 위에 플로어 패널, 플로어 프레임, 포스트 부재를 배치하여 상부 선회체와 캡을 접합함으로써, 캡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캡의 형상은 반드시 대략 직육면체로 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부 선회체 상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 캡의 배면측 등에 오목한 부분을 형성한 캡에서는, 포스트 부재가 플로어 프레임의 레벨까지 도달되지 않는 길이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다른 포스트 부재보다 짧은 포스트 부재에 대응하는 마운트부를 높은 위치까지 들어 올렸을 경우에는, 캡의 강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지만, 플로어 프레임의 형상을 단차가 있는 것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플로어 프레임의 레벨까지 도달되지 않는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 다른 포스트 부재보다 짧은 포스트 부재와 플로어 프레임을, 보강 부재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캡의 배면측에 라디에이터 등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플로어 프레임의 레벨까지 도달되지 않는 짧은 포스트 부재가 사용된 캡 구조에서도, 짧은 포스트 부재와 플로어 프레임의 사이를 보강 부재에 의해 보강하여 접합할 수 있다. 이 결과, 캡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캡의 배면측 등에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캡 구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건설 기계에는, 예를 들면, 상부 선회체 상에 캡(운전실)이나 각종 건설 기기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이 포함된다.
제2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보강 부재는 금속판 부재이다.
여기서는, 플로어 프레임과 동일한 레벨의 높이까지 도달되지 않는 짧은 포스트 부재와 플로어 프레임을 접합하는 보강 부재로서, 금속판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보강 부재가 캡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금속판 부재의 형상을 임의의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캡의 배면측에 원하는 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 부재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강도를 가지는 보강 부재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플로어 프레임의 레벨까지 도달되지 않는 포스트 부재의 하단 부분과 마운트부의 레벨까지의 거리가 긴 경우에는, 금속판 부재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구비한 보강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보강 부재는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캡의 배면측에 배치된 보강 부재에, 캡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캡의 배면측에,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 등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상부 선회체 상의 스페이스가 작고, 캡을 필요 최소한의 크기로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오퍼레이터가 캡 내에서 시트 좌석의 후방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선회체 상에 차지하는 캡의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상부 선회체 상의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포스트 부재는,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에 포함되는 포스트 부재 중 적어도 1개를, 파이프재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금속판 부재를 조합시켜 형성되는 포스트 부재와 비교하여, 캡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보강 부재는,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오목부를 가지는 판형 부재와, 측면측에 배치된 판형 부재를 가진다.
여기서는, 보강 부재로서, 캡의 배면측과 측면측에 각각 배치된 판형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로어 프레임의 레벨까지 도달되지 않는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캡 구조에서도, 양 판형 부재에 의해 제1 포스트 부재와 플로어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구비한 캡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플로어 프레임과, 포스트 부재를 가지고, 운전자가 들어가는 실내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프레임체와, 제1 포스트 부재로부터 측방으로 거리를 두고 프레임체의 배면에 설치되고, 하부가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입(陷入)되도록 굴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프레임체의 배면측의 하부에 외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수납 공간 형성부와, 제1 포스트 부재와 외부 수납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에 연통되는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내부 수납 공간의 후방을 덮도록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1 포스트 부재에 접합되는 후 판형부(rear plate-shaped section)와, 내부 수납 공간과 외부 수납 공간의 사이를 구분하도록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후판형부와 연결된 측방 판형부을 가진다.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제1 포스트 부재의 측방에 내부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수납 공간의 측방에 외부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내부 수납 공간은, 실내 공간에 연통되어 있고, 제1 포스트 부재와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와 플로어 프레임에 의해 외부로부터 구분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부 수납 공간은, 프레임체의 배면 하부에 전방으로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캡의 외부에 연통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높은 전장품 등의 기기는,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하고,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비교적 낮은 라디에이터 등의 기기는, 외부 수납 공간에 수납함으로써 한정된 공간 내에 기기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서로 연결된 후 판형부와 측방 판형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가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1 포스트 부재에 접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포스트 부재에 걸린 하중을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즉,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외부 수납 공간과 내부 수납 공간을 구분하는 부재이며, 제1 포스트 부재의 보강 부재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가 제1 포스트 부재를 보강함으로써 강성을 확보하고,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와 외부 수납 공간 형성부에 의해 기기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6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체는, 배면의 타측 단부를 따라 설치된 제2 포스트 부재와,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를 연결하는 창살 부재(bar member)를 추가로 가지고, 후 판형부의 상단부는 창살 부재에 접합되어 있다.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를 연결하는 창살 부재에 후 판형부의 상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보다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6 발명 또는 제7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내부 수납 공간의 앞면을 덮도록 제1 포스트 부재로부터 측방 판형부에 걸쳐 설치되는 커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커버 부재에 의해 내부 수납 공간의 전방이 폐쇄된다. 그러므로,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기기의 실내 공간으로의 노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가 제1 포스트 부재와 측방 판형부에 걸쳐 설치됨으로써, 제1 포스트 부재에 걸린 하중을 커버 부재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보다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8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전장품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내부 수납 공간에 전장품이 수납된다. 그러므로, 전장품을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프레임체, 외부 수납 공간 형성부, 및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를 포함한다. 프레임체는, 저면에 설치되는 플로어 프레임과, 배면의 일측 단부를 따라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1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파이프 모양 부재를 가지고, 운전자가 들어가는 실내 공간을 내부에 형성한다. 외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제1 포스트 부재로부터 측방으로 거리를 두고 프레임체의 배면에 설치되고, 하부가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입되도록 굴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 수납 공간을 프레임체의 배면 하부에 형성한다.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제1 포스트 부재와 외부 수납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에 연통되는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후 판형부와 측방 판형부를 가진다. 후 판형부는 내부 수납 공간의 후방을 덮도록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1 포스트 부재에 접합된다. 측방 판형부는 내부 수납 공간과 외부 수납 공간의 사이를 구분하도록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후 판형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제1 포스트 부재의 측방에 내부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수납 공간의 측방에 외부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내부 수납 공간은, 실내 공간에 연통되어 있고, 제1 포스트 부재와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와 플로어 프레임에 의해 외부로부터 구분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부 수납 공간은, 프레임체의 배면 하부에 전방으로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캡의 외부에 연통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높은 전장품 등의 기기는,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하고,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비교적 낮은 라디에이터 등의 기기는, 외부 수납 공간에 수납함으로써 한정된 공간 내에 기기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서로 연결된 후 판형부와 측방 판형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가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1 포스트 부재에 접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포스트 부재에 걸린 하중을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즉,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외부 수납 공간과 내부 수납 공간을 구분하는 부재이며, 제1 포스트 부재의 보강 부재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가 제1 포스트 부재를 보강함으로써 강성을 확보하고,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와 외부 수납 공간 형성부에 의해 기기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0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체는, 배면의 타측 단부를 따라 설치된 제2 포스트 부재와,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를 연결하는 창살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리고, 후 판형부의 상단부는, 창살 부재에 접합되어 있다.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제1 포스트 부재와 제2 포스트 부재를 연결하는 창살 부재에 후 판형부의 상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보다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0 발명 또는 제1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에 있어서, 커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커버 부재는, 내부 수납 공간의 전방을 폐쇄하도록 제1 포스트 부재와 측방 판형부에 걸쳐 설치된다.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커버 부재에 의해 내부 수납 공간의 전방이 폐쇄된다. 그러므로,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기기의 실내 공간으로의 노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가 제1 포스트 부재와 측방 판형부에 걸쳐 설치됨으로써, 제1 포스트 부재에 걸린 하중을 커버 부재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보다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는, 제10 발명 또는 제1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전장품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내부 수납 공간에 전장품이 수납된다. 그러므로, 전장품을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압 셔블의 외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압 셔블에 장착된 캡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캡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캡이 선회대 상에 마운트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캡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캡을 구성하는 골격을 형성하는 포스트 부재 등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포스트 부재 등의 조립도이다.
도 9는 도 7의 포스트 부재 등을 조립할 때의 각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캡의 배면측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캡의 배면측에 장착되는 각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나타내는 캡을 선회대 상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나타내는 캡을 선회대 상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 다.
도 14는 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5는 프레임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6은 프레임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7은 내부 수납 공간과 외부 수납 공간의 근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커버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압 셔블 2: 하부 주행체
3: 선회대 4: 작업기
5: 카운터 웨이트 6: 엔진
7: 슬라이드 도어 9: 기기실
10: 캡 11: 프레임체
20: 캡 구조체 21a ~ 21c: 사이드 패널
21d: 상면 패널 22a, 22b: 사이드 프레임
22c: 배면 프레임 24: 마운트부
24a: 방진 장치 25: 선회 프레임
27: 플로어 패널 27a: 플로어 프레임
31a: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포스트 부재)
31b: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포스트 부재)
31aa, 31ba: 포스트부 31ab, 31bb: 빔부
32a: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포스트 부재, 제2 포스트 부재)
32b: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포스트 부재, 제1 포스트 부재)
33: 후방 빔 부재 34: 측방 빔 부재
35: 지주 40: 오목부 공간
41: 제1 배면 패널부(보강 부재, 외부 수납 공간 형성부)
42: 판재(보강 부재) 46: 전장품
48: 제2 배면 패널부(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
48a: 후 판형부 48b: 측방 판형부
49: 커버 부재 50: 냉각 부품(라디에이터)
51: 상부 창살 부재(창살 부재) 60: 커버 부재
d: 간격 M: 중앙부
S1: 외부 수납 공간 S2: 내부 수납 공간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를 채용한 운전실(캡)을 장착한 유압 셔블(건설 기계)(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좌우", "전후" 및 "앞면 배면"이라는 용어는, 캡(10)(도 1 등 참조) 내에서 오퍼레이터가 의자에 앉을 때 향하는 방 향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 한다.
(유압 셔블(1) 전체의 구성)
본 실시예에 관한 유압 셔블(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 선회대(상부 선회체)(3), 작업기(4),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5), 엔진(6), 기기실(9), 및 캡(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압 셔블(1)은, 작업기(4)를 제외한 기계의 선회 반경(R)(도 2 참조)이 소정값 이하이며, 평면에서 볼 때, 선회시에서의 선회대(3)가 하부 주행체(2)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선회 반경에 대하여 10% 이하가 되는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이다.
하부 주행체(2)는, 진행 방향 좌우 양단 부분에 감겨진 엔드리스 벨트(endless belts)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압 셔블(1)을 전진, 후진시키며, 상면 측에 선회대(3)를 선회 가능한 상태로 장착하고 있다.
선회대(3)는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며, 상면에 작업기(4), 카운터 웨이트(5), 엔진(6), 및 캡(10)을 장착하고 있다.
작업기(4)는 붐(boom), 붐의 선단에 장착된 암(arm)), 및 암의 선단에 장착된 버킷(bucket)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에 의해 암이나 버킷 등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토사나 자갈 등의 굴삭을 행하는 토목 공사의 현장에서 작업을 행한다.
카운터 웨이트(5)는, 예를 들면, 강판을 조립하여 형성한 상자 중에 고철(scrap iron)이나 콘크리트 등을 넣어 굳힌 것으로서, 채굴 시 등에서 차체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해 선회대(3)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6)은 하부 주행체(2)나 작업기(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카운터 웨이트(5)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기기실(9)은 작업기(4)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 작동 오일 탱크 및 조작 밸브 등을 수용한다.
캡(10)은 유압 셔블(1)의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운전실로서, 작업기(4)의 선단부를 볼 수 있도록, 선회대(3) 상에서의 작업기(4)의 측방으로 되는 좌측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캡(10)의 캡 구조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캡(10)의 구조]
캡(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포스트 부재(31a, 31b, 32a, 35) 등에 의해 구성되는 상자형의 구조체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0)의 좌측의 측면부의 중앙부(M)를, 선회대(3)의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의 원의 외주 부분을 대략 따르도록 원호형(라운드 형상)으로 부풀린 형상(이하, "원호 부분"이라고 나타냄)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선회시에도, 하부 주행체(2)보다도 외측에 선회대의 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 후방 소선회의 유압 셔블로서, 도로 공사 등의 좁은 스페이스에서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원호형의 부분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7)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도어(7)를 연 경우에도 슬라이드 도어(7)가 선회대(3)의 선회 반경(R)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캡(10)이 차체 폭(B)(도 2 참조)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하는 구축물 등에 간섭되지 않고, 캡(10) 내 부의 용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캡(1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캡 구조체(20)에 대하여, 사이드 패널(21a, 21b, 21c)이나 상면 패널(21d), 사이드 프레임(22a, 22b)이나 배면 프레임(22c)이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패널(21a 내지 21d) 및 각 프레임(22a 내지 22c)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리가 끼워져 캡(10) 내에 오퍼레이터가 타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캡(10)의 좌측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패널(21a)이나 사이드 프레임(22a, 22b)은, 전술한 캡(10)의 좌측의 측면에 나타나는 원호 부분이 형성된 캡 구조체(20)의 부분에 장착되므로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반경 방향으로 팽창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캡(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대(3)의 상면 부분으로 되는 선회 프레임(25)에서의 좌측 전방에 형성된 4개의 마운트부(24) 상에, 방진 장치(24a) 및 플로어 패널(27)을, 캡(10)의 플로어 프레임(27a)에 대하여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 상태로 장착된다. 그러므로, 캡(10)은, 선회대(3)(선회 프레임(25)에 대하여 4점 지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캡(10)은, 그 골조 부분으로 되는 캡 구조체(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캡 구조체(20)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부재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캡 구조체(20)의 구성)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에서는,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와 빔 부재를 조합시켜 캡(10)을 구성하는 골격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캡 구조체(20)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포스트 부재)(31a),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포스트 부재)(31b),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포스트 부재, 제2 포스트 부재)(32a),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포스트 부재, 제1 포스트 부재)(32b), 후방 빔 부재(제1 접합 부재)(33), 측방 빔 부재(제2 접합 부재)(34), 및 지주(제3 포스트 부재)(35)를 포함한다.
상기 각 부재 중, 캡 구조체(20)의 네 코너에 배치되는 좌우 전후의 포스트 부재(31a, 31b, 32a, 32b)는,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금속판 부재를 조합시켜 형성되는 종래의 캡 구조체와 비교하여, 캡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31b)는, 유리창 등을 끼워 넣기 위한 이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재를 중앙 부분 부근에서 절곡시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포스트부(31aa), 및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빔부(31ab)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파이프재를 절곡하여 포스트부(31aa)와 빔부(31ab)를 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면서, 강성이 높은 캡 구조체(20)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31b)에 대해도 마찬가지이다.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접합 상대로 되는 후방 빔 부재(33)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노치가 상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의 부분과 후방 빔 부재(33)의 측면이 접합된다. 또한,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그 하단부가 플로어 프레임(27a)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어 프레임(27a)은, 전술한 마운트부(24)의 대략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방진 장치(24a)를 통하여 플로어 패널(27)과 함께 장착되어 있다.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에 대해서도, 1개의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점, 접합 상대로 되는 후방 빔 부재(33)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노치가 상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의 부분에서 후방 빔 부재(33)의 측면과 접합되는 점에 대하여는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같다. 그리고,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는, 캡(10)의 배면측에 오목부 공간(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단부가 플로어 프레임(27a)의 레벨(높이 위치)까지 도달되지 않는다. 즉,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는,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볼 때 캡 구조체(20)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비교하여 길이가 짧으므로 하단부가 플로어 프레임(27a)까지 도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캡(10)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 주변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를 포함하는 캡(10)의 배면측에서의 보강 구조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후방 빔 부재(3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대략 L자형의 금속판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빔 부재(3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의 빔부(31ab, 31bb)의 후단부와,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의 상단부를 접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의 빔부(31ab, 31bb)의 후단부는, 후방 빔 부재(33)의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에서 연직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에 접합된다. 한편,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의 상단부는, 후방 빔 부재(33)의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에서 수평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에 접합된다.
여기서,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 및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접합 부분(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 부분,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 부분)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위상에 배치된다. 이 위상의 어긋남은, 전술한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1)을 구성하기 위하여, 캡(10)의 측면 부분에 원호 부분을 포함하도록 캡(10)이 형성된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캡 구조체(20)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의 간격(d1)과,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1a, 32b)의 간격(d2)이 상이하도록 각 포스트 부재(31a, 31b, 32a, 32b)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캡(10)에서는, 후방의 폭이 전방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으므로,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 경우에는,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좌측의 전후의 포스트 부재(31a, 32a)의 접합 부분의 위상의 어긋남이 생긴다.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에서는, 이와 같이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에 적합하도록 캡(10)의 구조를 형성한 경우에도, 그에 따라 발생하는 포스트 부재(31a, 32a)의 접합 부분의 위상의 어긋남의 문제를, 후방 빔 부재(33)를 접합 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
측방 빔 부재(34)는, 도 6,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대략 L자형의 금속판 부재를 상하에 조합시켜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캡(10)의 좌측면 쪽에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빔부(31ab))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측방 빔 부재(34)는,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를 접합하고, 지주(35)의 상단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서로 위상이 상이한 위치에 있는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부를, 후방 빔 부재(33)와 함께 보다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측방 빔 부재(34)는, 슬라이드 도어(7)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범위를 따라 그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위쪽의 대략 L자형의 금속판 부재의 하면에 가이드, 아래쪽의 대략 L자형의 금속판 부재의 상면에 롤러 주행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7)의 중량이 걸려도 캡(10)의 밸런스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지주(35)는, 슬라이드 도어(7)가 장착되는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좌측면에서의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포스트부(31a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중간의 위치에,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캡(10)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캡(10)의 좌측면에 장착된 슬라이드 도어(7)를 슬라이드 이동 시킨 경우에도, 측방 빔 부재(34)와 함께 캡(10)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캡(10)의 배면측의 구성)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에서는, 캡(10)의 배면측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오목부 공간(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간에 선회대(3)(선회 프레임(25) 상에 장착된 라디에이터 등의 냉각 부품(50)(도 12 및 도 13 참조)이 배치되도록 캡(1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캡(10)의 형상을, 완전한 직육면체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에 오목부 공간(40)을 형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캡(10)에 의해 차지할 수 있는 선회대(3) 상의 면적을 확대하여 선회대(3) 상의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선회대(3) 자체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오목부 공간(40)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에 접합된 제1 배면 패널부(보강 부재)(41)와 판재(보강 부재)(4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면 패널부(41)는 금속판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 공간(40)의 크기에 맞추어 성형된다. 또한, 제1 배면 패널부(41)는,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측면 부분,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하단부와, 각각 접합되어 있다.
판재(42)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근처의 접합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캡(10)의 우측면을 따라 설치된 금속판 부재이다. 그리고, 판재(42)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측면과 제1 배면 패널부(41)의 측면과, 플로어 패널(27)에 장착되는 부재인 플로어 프레임(27a)을 서로 접합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는, 오목부 공간(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로어 프레임(27a)까지 도달되지 않는 길이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하단부로부터 플로어 프레임(27a)까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제1 배면 패널부(41) 및 판재(42)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제1 배면 패널부(41)와 판재(42)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가, 플로어 프레임(27a)의 레벨까지 도달되고 있는 다른 포스트 부재(31a, 31b, 32a)보다 길이가 짧고, 캡(10)의 강도를 대폭 저하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에도,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하단부가 접합되어 있는 제1 배면 패널부(41) 및 판재(42)에 의해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캡(1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0)의 배면측에 라디에이터 등의 냉각 부품(50)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한 오목부 공간(40)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캡(10)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의 특징)
(1)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0)의 배면측에 오목부 공간(40)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른 포스트 부재(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보다 짧고, 플로어 프레임(27a)의 레벨까지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에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하단부로부터 플로어 프레임(27a)의 높이 위치까지의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서, 제1 배면 패널부(41) 및 판재(42)가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캡(10)의 배면측에 라디에이터 등의 냉각 부품(50) 등을 수용하는 오목부 공간(4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배치되는 포스트 부재(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가 플로어 프레임(27a)의 높이까지 도달되지 않는 경우에도, 캡(10)의 전체의 강성이 대폭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강성을 유지하고, 캡(10)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면서 공간 절약화를 실현한 캡 구조체(20)를 얻을 수 있다.
(2)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부재로서 사용한 제1 배면 패널부(41) 및 판재(42)를 금속판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캡(10)의 배면측의 공간에 맞추어, 금속판 부재를 임의의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 부재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강도를 가지는 보강 부재로서 제1 배면 패널부(41) 및 판재(42)를 사용할 수 있다.
(3)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보강 부재의 하나인 제1 배면 패널부(41)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오목부 공간(4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면 패널부(41)를 가공하여 원하는 크기의 오목부 공간(40)을 형성함으로써, 선회대(3) 상에 장착되는 캡(10)의 배면측의 스페이스를, 라디에이터 등의 냉각 부품(50)을 두는 곳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선회대(3)의 상면에서의 캡(10)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줄여 공간 절약화를 실현한 캡(10)을 얻을 수 있다.
(4)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 및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가, 플로어 프레임(27a), 플로어 패널(27) 및 방진 장치(24a)를 통하여 마운트부(24)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각 포스트 부재(31a ~ 32b)에 대하여 걸린 하중을 선회대(3)와 캡(10)의 접합 부분인 마운트부(24)의 위치에서 받을 수 있으므로, 보다 강성이 높은 캡(10)을 얻을 수 있다.
(5)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1)의 캡 구조체(20)에서는,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 및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가,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금속판 부재를 조합시켜 형성되는 포스트 부재와 비교하여, 캡(10)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건설 기계의 캡 구조를 채용한 운전실(캡)을 장착한 유압 셔블(건설 기계)(1)에 대하여, 도 1, 도 2, 도 5 및 도 14 내지 도 18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향의 정의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캡(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대(3)의 상면 부분으 로 되는 선회 프레임(25)에서 좌측 전방에 형성된 4개의 마운트부(24) 상에, 방진 장치(24a) 및 플로어 패널(27)을, 캡(10)의 플로어 프레임(27a)에 대하여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 상태로 장착한다. 그러므로, 캡(10)은 선회대(3)(선회 프레임(25)에 대하여 4점 지지된 상태로 고정 배치된다.
이하에서, 이 캡(10)의 캡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캡(10)의 구조)
캡(10)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운전자용 공간이 형성된 상자형의 구조체이며, 운전자가 앉는 시트, 조작용 핸들이나 페달 등, 각종의 계기류가 내장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캡(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0)의 좌측의 측면부의 중앙부(M)를, 선회대(3)의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의 원의 외주 부분을 대략 따라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만곡된 형상(이하, "원호 부분"으로 나타냄)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선회시에서도, 하부 주행체(2)보다 외측에 선회대의 부분이 크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 후방 소선회의 유압 셔블로서, 도로 공사 등의 좁은 스페이스에서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원호 부분에는, 운전자가 승강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7)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도어(7)를 연 경우에도 슬라이드 도어(7)가 선회대(3)의 선회 반경(R)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캡(10)이 차체 폭(B)(도 2참조)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하는 구축물 등에 간섭되지 않고, 캡(10) 내부의 용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 캡(10)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체(11)(도 15 참조), 측방 빔 부재(34)(도 15 참조), 복수개의 패널 부재(13 내지 16), 슬라이드 도어(7) 등을 포함한다.
(프레임체(11))
프레임체(11)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파이프형 부재와 금속판 부재가 조합되어 운전자가 들어가는 실내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캡(10)의 골격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체(11)는 플로어 프레임(27a),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31b),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제2 포스트 부재),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제1 포스트 부재), 후방 빔 부재(33), 중간 빔 부재(55), 지주(35), 상부 창살 부재(51)(창살 부재), 및 하부 창살 부재(52)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은, 프레임체(11)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14에서의 캡(10)으로부터 복수개의 패널 부재(13 내지 16)나 슬라이드 도어(7) 등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플로어 프레임(27a)은 프레임체(11)의 저면에 설치된 판형의 부재이다. 플로어 프레임(27a)은 대략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중앙에 큰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의 주위를 따라 후술하는 파이프형 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형의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프레임(27a)의 좌측 후방부에는 후방(캡(10)의 실외측)에 돌출된 볼록형 부분(43)이 설치되어 있고(도 17 참조), 플로어 프레임(27a)의 후단부는 좌측이 우측보다 후방으로 연장된 단차가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플로어 프레임(27a)의 우측 후방부에는 전방(캡(10)의 실내 공간측)으로 돌출된 오목형 부분(44)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는, 1개의 파이프 모양 부재를 중앙 부분 부근에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포스트부(31aa)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전단부가 포스트부(31aa)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빔부(31ab)를 가지고 있다. 포스트부(31aa)는 플로어 프레임(27a)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가 후방에 위치하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파이프형 부재를 절곡하여 포스트부(31aa)와 빔부(31ab)를 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면서, 강성이 높은 프레임체(11)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31b)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이다.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1개의 직선형의 파이프형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으로 배면의 좌측 단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접합 상대로 되는 후방 빔 부재(33)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노치가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의 부분과 후방 빔 부재(33)의 측면이 접합된다. 또한,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그 하단부가 플로어 프레임(27a)의 볼록형 부분(43)에 장착되어 있고(도 17 참조), 포스트부(31aa)와 마찬가지로 플로어 프레임(27a)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는, 그 하단부가 볼록형 부분(43)의 좌측 단부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어 프레임(27a)은 전술한 마운트부(24)의 대략 바로 위에 위치되는 부분에서, 방진 장치(24a)를 통하여 플로어 패널(27)과 함께 장착되어 있다(도 5 참조).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도,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마찬가지로 1 개의 직선형의 파이프형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면의 우측 단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합 상대로 되는 후방 빔 부재(33)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노치가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의 부분에서 후방 빔 부재(33)의 측면과 접합되는 점에 대해서도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같다. 그리고,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는, 측면에서 볼 때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대체로 중첩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하단부는 플로어 프레임(27a)의 레벨(높이 위치)까지 도달되지 않고, 하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제1 배면 패널부(41)의 상부에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면 패널부(41)의 배면측에 캡(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오목부 공간(이하, "외부 수납 공간(S1)"이라고 함)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 빔 부재(33)는, 단면 형상이 대략 L자형의 금속판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 빔 부재(33)는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부를 접합한다. 또한, 후방 빔 부재(33)는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31b)의 빔부(31bb)의 후단부와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상단부를 접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후단부는, 후방 빔 부재(33)의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에서 연직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에 접합된다. 한편,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단부는, 후방 빔 부재(33)의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에서 수평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에 접합된다.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31b)의 빔부(31bb) 및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에 대해 서도 마찬가지이다.
중간 빔 부재(55)는 1개의 직선형의 금속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중간 빔 부재(55)는, 일단이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의 내측의 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우측 전방 포스트 부재(31b)의 빔부(31bb)의 내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지주(35)는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된 직선형의 파이프형 부재이다. 지주(35)는 포스트부(31aa)의 후방에,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포스트부(31aa)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캡(10)의 좌측의 측면은 외측으로 팽창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지주(35)는 포스트부(31aa)의 바로 뒤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있고, 빔부(31ab)의 바로 아래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지주(35)의 하단부는 플로어 프레임(27a)에 고정되어 있고, 지주(35)는 플로어 프레임(27a)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주(35)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제1 지지 부재(37)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지주(35)에 의해, 캡(10) 전체의 강성이 향상되며, 캡(10)의 좌측면에 장착된 슬라이드 도어(7)를 슬라이드 이동시킨 경우에도, 캡(10)의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다.
상부 창살 부재(51)는 프레임체(11)의 배면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서 플로어 프레임(27a)과 후방 빔 부재(3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창살 부재(51)는,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를 연결하고, 일단이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 에 접합되고, 타단이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하단부 근처에 접합되어 있다. 상부 창살 부재(51)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 부재가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수직면부(51a)와 경사면부(51b)를 가지고 있다. 수직면부(51a)는, 연직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양단이 각각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뒤쪽 면에 접합되어 있다. 경사면부(51b)는, 상단이 수직면부(51a)의 하단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부(51b)는 좌우 방향으로 수직면부(51a) 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고,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내측의 면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하부 창살 부재(52)는, 플로어 프레임(27a)의 후단부 근처에 수직으로 설치된 금속판 부재이며,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나 후술하는 제1 배면 패널부(41)와 비교하여 매우 작은 높이 방향 치수를 가지고 있다. 하부 창살 부재(52)는, 플로어 프레임(27a)의 후단부 우측의 오목형 부분(44)을 따라 설치되고, 볼록형 부분(43)을 횡단하여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하단부 근처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창살 부재(52)의 우측 단부는, 후술하는 우측면 보강용 판재(42)에 접합되어 있다.
(측방 빔 부재(34))
측방 빔 부재(34)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캡(10)의 좌측면 상부에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측방 빔 부재(34)는 좌측 전방 포스트 부재(31a)의 빔부(31ab)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를 접합하고, 지주(35)의 상단에 고정된다. 또한, 측방 빔 부재(34)는, 슬라이드 도어(7)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범위를 따라 그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드 도어(7)를 안내하는 안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측방 빔 부재(34)는,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 지지 부재(37)와 제2 지지 부재(38)가 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패널 부재(13 내지 16)의 전체 구성)
도 14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패널 부재(13 내지 16)는, 프레임체(11)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고, 프레스 가공 등의 가공을 행한 금속판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패널 부재(13 내지 16)에는, 사이드 패널(14, 16)이나 상면 패널(13), 배면 패널(15), 우측면 보강용 판재(42) 등이 있고, 각 패널 부재(13 내지 16)에 형성된 개구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리 창이 끼워진다. 또한, 캡(10)의 좌측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패널(16)이나 측방 빔 부재(34)의 외측을 덮도록 장착된 사이드 프레임(39)은, 캡(10)의 좌측면에 나타나는 원호 부분을 구성하므로,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호에 근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도어(7)는, 프레임체(11)의 좌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포스트부(31aa)와 지주(35) 사이에 설치된 출입구를 개폐한다.
또한, 이 캡(10)의 배면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0)의 내부를 향하여 오목형으로 오목한 외부 수납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수납 공간(S1)은 캡(10)의 외부에 연통되는 공간이며, 선회대(3)(선회 프레임(25)) 상에 장착된 라디에이터 등의 냉각 부품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캡(10)의 형상을, 완 전한 직육면체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에 외부 수납 공간(S1)을 형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선회대(3) 상에서의 캡(10)의 점유 면적을 축소하여 선회대(3) 상의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선회대(3)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수납 공간(S1)은, 캡(10)의 배면 하부의 우측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의 좌측은 배면 상부와 면(1)에 형성되어 있다. 즉, 캡(10)의 배면 하부의 좌측 부분은 우측 부분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내부는 실내 공간에 연통되고 전장품(46)이 수용되는 내부 수납 공간(S2)으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 외부 수납 공간(S1)과 내부 수납 공간(S2)을 형성하는 배면 패널(15)과, 우측면 보강용 판재(4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면 패널(15))
배면 패널(15)은, 프레임체(11)의 배면 하부를 덮는 판형의 부재이며, 프레임체(11)의 배면의 대략 하반부를 덮어 있다. 배면 패널(15)은, 그 우측 약 3분의 2 정도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좌측 부분은 우측 부분과 비교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배면 패널(15)의 상단부는 상부 창살 부재(51)에 접합되어 있고, 하단부는 하부 창살 부재(52)를 통하여 플로어 프레임(27a)에 접합되어 있다. 배면 패널(15)은 제1 배면 패널부(41)(도 15 및 도 16 참조)와, 제2 배면 패널부(48)(도 17 참조)를 가진다.
제1 배면 패널부(41)(외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외부 수납 공간(S1)을 형성하는 부재이며, 금속판 부재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면 패널부(41)는,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로부터 측방으로 거리를 두고 프레임체(11)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의 사이에 제2 배면 패널부(48)를 협지하고 있다. 제1 배면 패널부(41)는, 프레임체(11)의 배면 하부 중, 제2 배면 패널부(48)의 우측 단부로부터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까지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배면 패널부(41)는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소정 각도로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배면 패널부(41)의 상부(41a)는, 상부 창살 부재(51)의 경사면부(51b)와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상부(41a)의 상단부는 경사면부(51b)에 접합되어 있다. 제1 배면 패널부(41)의 하부(41b)는,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체(11)의 배면 상부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배면 패널부(41)의 하단부는, 하부 창살 부재(52)를 통하여 플로어 프레임(27a)에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면 패널부(41)는, 하부(41b)가 프레임체(11)의 배면 상부의 하단, 즉 상부 창살 부재(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굴곡된 형상인 것에 의해, 외부 수납 공간(S1)을 프레임체(11)의 배면 하부에 형성하고 있다.
제2 배면 패널부(48)(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수납 공간(S1)과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 사이에 내부 수납 공간(S2)을 형성하는 부재이며, 금속판 부재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은 내부 수납 공간(S2)과 외부 수납 공간(S1)의 근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의 구조를 생략하고 있다. 제2 배면 패널부(48)의 일측 단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에 접합되고, 타측단은 제1 배면 패널부(41)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2 배면 패널부(48)의 상단부는 상부 창살 부재(51)에 접합되어 있고, 하단부는 플로어 프레임(27a)에 접합되어 있다. 제2 배면 패널부(48)는 후 판형부(48a)와 측방 판형부(48b)를 가진다.
후 판형부(48a)는, 내부 수납 공간(S2)의 후방을 덮도록 플로어 프레임(27a)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 판형부(48a)는 플로어 프레임(27a)의 볼록형 부분(43)의 후단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후 판형부(48a)는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부 창살 부재(51)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후 판형부(48a)의 좌측 단부는,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후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후 판형부(48a)의 우측 단부는, 측방 판형부(48b)의 후단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측방 판형부(48b)는 내부 수납 공간(S2)과 외부 수납 공간(S1) 사이를 구분하도록 플로어 프레임(27a)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후 판형부(48a)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측방 판형부(48b)는 플로어 프레임(27a)의 볼록형 부분(43)의 우측 단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고, 사이에 내부 수납 공간(S2)을 협지하여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측방 판형부(48b)는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측방 판형부(48b)의 상단부는 제1 배면 패널부(41)의 상부(47a)의 경사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배면 패널부(41)의 상부(47a)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측방 판형부(48b)의 전단부는 제1 배면 패널부(41)의 하부(47b)에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로어 프레임(27a)의 볼록형 부분(43)과 좌측 후방 포스트 부 재(32a)와 제2 배면 패널부(48)에 의해 하방, 후방, 양측방이 덮히고, 실내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내부 수납 공간(S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수납 공간(S2)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장품(46)이 수납된다. 전장품(46)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의 구동계의 제어 컴퓨터, 에어컨의 제어 컴퓨터, 퓨즈, 통신 장치 등이며, 이들 복수개의 전장품(46)이 일체적으로 유닛화되어 있다.
또한, 내부 수납 공간(S2)의 측방에는, 제1 배면 패널부(41)와 제2 배면 패널부(48)의 측방 판형부(48b)에 의해, 캡(10)의 외부에 외부 수납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수납 공간(S1)에는, 캡(10)의 후방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 등의 기기의 일부가 수납된다.
그리고,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앞면과 측방 판형부(48b)의 전단부 에는, 내부 수납 공간(S2)의 전방을 닫도록 커버 부재(4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49)는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앞면과 측방 판형부(48b)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측방 판형부(48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우측면 보강용 판재(42))
우측면 보강용 판재(42)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근처의 접합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캡(10)의 우측면에 따라 설치된 금속판 부재이다. 우측면 보강용 판재(42)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 배면 패널(15) 및 플로어 프레임(27a)을 서로 접합하고 있다. 우측면 보강용 판재(42)의 상단부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외측의 면과 접합되어 있고, 하단부는 플로어 프레임(27a)에 접합되어 있다. 우측면 보강용 판재(42)의 후단부는, 제1 배면 패널부(41)의 굴곡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배면 패널부(41)의 우측 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배면 패널부(41)와 우측면 보강용 판재(42)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특징)
(1)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측방에 내부 수납 공간(S2)이 형성되고, 내부 수납 공간(S2)의 측방에 외부 수납 공간(S1)이 형성된다. 내부 수납 공간(S2)은 실내 공간에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보호된 공간이므로, 바람과 비나 먼지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높은 기기의 수용에 적합하다. 또한, 외부 수납 공간(S1)은 프레임체(11)의 배면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캡(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기기의 수용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바람과 비 등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높은 전장품(46)은, 내부 수납 공간(S2)에 수납하고, 바람과 비 등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비교적 낮은 라디에이터 등의 기기는, 외부 수납 공간(S1)에 수납함으로써, 한정된 공간 내에 기기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수납 공간(S2)은 실내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수납된 전장품(46)이 운전자를 방해하지 않고, 실내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2)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내부 수납 공간(S2)을 형성하고 있는 제2 배면 패널부(48)는, 서로 수직으로 연결된 후 판형부(48a)와 측방 판형부(48b)를 가지고 있고, 90도로 굴곡된 외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배면 패널부(48)가 플로어 프레임(27a)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 및 상부 창살 부재(51)에 접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에 걸린 측방으로의 하중을 제2 배면 패널부(48)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즉, 제2 배면 패널부(48)는, 외부 수납 공간(S1)과 내부 수납 공간(S2)을 구분하는 부재임과 동시에,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의 보강 부재로서도 기능할 수 있어, 캡(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이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서는, 내부 수납 공간(S2)을 실내 공간 측으로부터 폐쇄하는 커버 부재(49)가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와 측방 판형부(48b)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에 걸린 측방으로의 하중을 커버 부재(49)에 의해서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캡(10)의 강성을 보다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제1 실시예에서는, 플로어 프레임(27a)까지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근처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로서, 제1 배면 패널부(41)와 판재(42)를 사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배면 패널부(41)를 얇은 금속판 부재로 형성하고, 판재(42)를 두꺼운 금속판 부재로 형성하여, 판재(42)만을 보강 부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금속판 부재의 두께에 차이를 둠으로써, 한쪽의 부재를 보강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B) 제1 실시예에서는,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후방 소선회형 이외의 통상의 유압 셔블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캡의 일부에 오목부 공간 등을 형성하여 선회대 상의 면적에 차지하는 캡의 비율을 줄여, 선회대 상의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C) 제1 실시예에서는, 캡 구조체(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플로어 프레임(27a)을 플로어 패널(27)과는 다른 부재로서 설치하고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플로어 프레임(27a)을 플로어 패널(27)과 일체의 부재로 하여도 된다. 즉,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 및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를, 직접 플로어 패널(27)과 접속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캡 구조체(20)가, 방진 장치(24a)를 통하지 않고 선회대(3) 상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라도 된다.
(D) 제1 실시예에서는, 우측 후방 포스트 부재(32b)의 1개만이, 플로어 프레임(27a)까지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포스트 부재인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 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좌측 후방 포스트 부재(32a) 등의 다른 포스트 부재에 대해서도 플로어 프레임(27a)까지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포스트 부재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짧은 포스트 부재와 플로어 프레임(27a) 사이에 보강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캡(10)(캡 구조체(2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단, 캡(10)의 강성을 고려하면, 짧은 포스트 부재는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1 실시예와 같이, 1개의 포스트 부재만이 플로어 프레임(27a)까지 도달되지 않는 짧은 포스트 부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E) 제1 실시예에서는, 좌우 전방 포스트 부재(31a, 31b) 및 좌우 후방 포스트 부재(32a, 32b)가,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캡 구조체(20)의 네 코너에 각각 배치되는 포스트 부재 중, 1개 내지 3개의 포스트 부재가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금속판 부재를 조합시켜 형성되는 포스트 부재와 비교하여, 캡(10)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 제1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캡 구조를, 유압 셔블(1)에 대하여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캡을 장착한 선회대를 포함하고 있는 다른 건설 기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G) 제2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49)는 내부 수납 공간(S2)의 전방을 덮고 있지만, 전방에만 한정되지 않고, 도 18에 나타내는 커버 부재(60)와 같이, 내부 수납 공간(S2)의 윗쪽도 덮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H)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배면 패널부(48)는 약 90도의 각도로 굴곡되어 있지만, 90도 이외의 소정 각도로 굴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소정 각도로 굴곡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캡(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배면 패널부(4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소정 각도로 굴곡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캡 구조는, 캡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에 대하여, 플로어 프레임까지 도달되지 않는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캡 구조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건설 기계나 농업기계 등의 작업용 기계의 운전실에 대해도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13)

  1. 하부 주행체 상에 장착된 상부 선회체 상에 배치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에 있어서,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
    수평면에 따라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프레임(floor frame);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에 포함되고 상기 플로어 프레임과 같은 레벨의 높이까지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제1 포스트 부재와 상기 플로어 프레임을 접합하는 동시에, 상기 캡의 배면 측에 배치된 판형 부재와 상기 캡의 측면 측에 배치된 판형 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구성되는 보강 부재; 및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마운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캡의 배면 측에 배치된 판형 부재와 상기 캡의 측면 측에 배치된 판형 부재는, 직교하도록 서로 접합되고, 각각이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의 하단부(下端部)에 접합되어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금속판 부재인, 건설 기계의 캡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 부재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포스트 부재는,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프레임과,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2 포스트 부재를 가지고, 운전자가 들어가는 실내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프레임체,
    상기 제2 포스트 부재로부터 측방으로 거리를 두고 상기 프레임체의 배면에 설치되고, 하부가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입(陷入)되도록 굴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프레임체의 배면측의 하부에 외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수납 공간 형성부, 및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와 상기 외부 수납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에 연통되는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상기 내부 수납 공간의 후방을 덮도록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에 접합되는 후 판형부, 및
    상기 내부 수납 공간과 상기 외부 수납 공간 사이를 구분하도록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 판형부와 연결된 측방 판형부
    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배면의 타측 단부를 따라 설치된 상기 제1 포스트 부재, 및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와 상기 제2 포스트 부재를 연결하는 창살 부재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후 판형부의 상단부는 상기 창살 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납 공간의 앞면을 덮도록 상기 제2 포스트 부재로부터 상기 측방 판형부에 걸쳐 설치되는 커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전장품을 추가로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10. 저면에 설치되는 플로어 프레임과, 배면의 일측 단부를 따라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2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파이프형 부재를 가지고, 운전자가 들어가는 실내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프레임체;
    상기 제2 포스트 부재로부터 측방으로 거리를 두고 상기 프레임체의 배면에 설치되고, 하부가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입되도록 굴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프레임체의 배면 하부에 외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수납 공간 형성부; 및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와 상기 외부 수납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에 연통되는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수납 공간 형성부는,
    상기 내부 수납 공간의 후방을 덮도록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에 접합되는 후 판형부, 및
    상기 내부 수납 공간과 상기 외부 수납 공간의 사이를 구분하도록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 판형부와 연결된 측방 판형부
    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배면의 타측 단부를 따라 설치된 제1 포스트 부재, 및
    상기 제1 포스트 부재와 상기 제2 포스트 부재를 연결하는 창살 부재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후 판형부의 상단부는 상기 창살 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납 공간의 전방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2 포스트 부재와 상기 측방 판형부에 걸쳐 설치되는 커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전장품을 추가로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캡 구조.
KR1020087000742A 2005-07-19 2006-07-13 건설 기계의 캡 구조 KR101081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08252 2005-07-19
JP2005208252 2005-07-19
JP2005258523 2005-09-06
JPJP-P-2005-00258523 2005-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144A KR20080015144A (ko) 2008-02-18
KR101081836B1 true KR101081836B1 (ko) 2011-11-09

Family

ID=3766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742A KR101081836B1 (ko) 2005-07-19 2006-07-13 건설 기계의 캡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70963B2 (ko)
JP (1) JP4814235B2 (ko)
KR (1) KR101081836B1 (ko)
CN (1) CN101223077B (ko)
GB (1) GB2441484B8 (ko)
WO (1) WO2007010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27B1 (ko) * 2005-07-19 2010-12-20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건설 기계의 캡 구조
DE202007006500U1 (de) * 2007-05-07 2008-09-18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Baumaschine
US8235156B2 (en) * 2007-05-26 2012-08-07 Micheal James Koss Retrofitable ROPS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ab raiser interface
DE112009001218B4 (de) * 2008-07-16 2015-10-01 Komatsu Ltd. Führerhaus für eine Baumaschine
EP2503066B1 (en) * 2009-11-20 2014-08-2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KR101640605B1 (ko) * 2009-12-24 2016-07-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소선회 굴삭기의 캐빈 지지구조
DE102010015163A1 (de) * 2010-04-16 2011-10-20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Baumaschine oder Umschlaggerät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JP5189155B2 (ja) * 2010-11-05 2013-04-2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US8905173B2 (en) * 2011-02-24 2014-12-09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2012219516A (ja) * 2011-04-08 2012-11-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US20140017053A1 (en) * 2011-06-13 2014-01-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991350B2 (ja) * 2014-08-01 2016-09-1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US20160222691A1 (en) * 2015-01-29 2016-08-04 Clarence Williams, Jr. Screen canopy for zero turn mower
EP3517413B1 (en) * 2018-01-25 2020-07-08 Kubota Corporation Cabin-protection structure and tractor
EP3418453B1 (en) * 2018-03-26 2020-07-01 Komatsu Ltd. Cover for work vehicle, work vehicle cab, and work vehicle
CN111691490B (zh) * 2020-06-19 2022-08-12 罗永胜 一种民用工程机械用驾驶室辅助防护机构
WO2023200871A1 (en) * 2022-04-12 2023-10-19 Manitou Equipment America, Llc Utility vehicle operator cab ro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8035A (ja) * 2003-06-19 2005-01-13 Komatsu Ltd キャブ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0199A (en) * 1995-11-08 1998-10-13 Caterpillar Inc. Frame assembly for an operator's compartment
JP3714785B2 (ja) * 1998-01-09 2005-11-0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6189955B1 (en) * 2000-04-18 2001-02-20 Deere & Company Operator enclosure for an agricultural tractor
US6325449B1 (en) * 2000-06-08 2001-12-04 Deere & Company ROPS structure for work vehicle
KR100418073B1 (ko) * 2000-09-18 2004-02-14 프레스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건설기계용 캐브
WO2002022968A1 (fr) * 2000-09-18 2002-03-2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abine d'engin de construction
GB2367038A (en) * 2000-09-20 2002-03-27 New Holland Uk Ltd Cab for an agricultural vehicle
JP3608157B2 (ja) * 2000-11-28 2005-01-05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電装品収納構造
US7004533B2 (en) * 2001-08-29 2006-02-28 Deere & Company Composite floor for utility vehicle
JP3908547B2 (ja) * 2002-01-30 2007-04-2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4161114A (ja) 2002-11-12 2004-06-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4236942B2 (ja) * 2003-01-20 2009-03-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4201126B2 (ja) 2003-04-10 2008-12-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キャブ
KR100856993B1 (ko) 2003-12-24 2008-09-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중장비 운전실 하부 고정구조
US7290829B2 (en) * 2004-06-29 2007-11-06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with a ca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8035A (ja) * 2003-06-19 2005-01-13 Komatsu Ltd キャ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3077A (zh) 2008-07-16
US7770963B2 (en) 2010-08-10
JP4814235B2 (ja) 2011-11-16
JPWO2007010807A1 (ja) 2009-01-29
WO2007010807A1 (ja) 2007-01-25
GB2441484B (en) 2010-06-02
GB0800041D0 (en) 2008-02-13
GB2441484A (en) 2008-03-05
KR20080015144A (ko) 2008-02-18
GB2441484B8 (en) 2010-07-28
CN101223077B (zh) 2010-05-26
US20090127888A1 (en)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836B1 (ko) 건설 기계의 캡 구조
KR101002227B1 (ko) 건설 기계의 캡 구조
EP1582635B1 (en) Swiveling work machine
JP4201126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KR100418073B1 (ko) 건설기계용 캐브
KR101014641B1 (ko) 건설 기계의 캡 구조
US8079636B2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WO2006132170A1 (ja) 作業車両の冷却装置
KR101523777B1 (ko) 건설 기계
JP2007069799A (ja) 建設車両
JP4673009B2 (ja) 建設機械用キャブ
EP3978690A1 (en) Working machine
US20220220700A1 (en) Work vehicle
CN112550470B (zh) 工程机械
JP3927563B2 (ja)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CN107386355B (zh) 工程机械
WO2019146667A1 (ja) 建設機械
JPH11229436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544514B2 (ja) 建設機械用キャブ
JP4883725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ブ
JP2020139369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