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238B1 -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238B1
KR100999238B1 KR1020080122506A KR20080122506A KR100999238B1 KR 100999238 B1 KR100999238 B1 KR 100999238B1 KR 1020080122506 A KR1020080122506 A KR 1020080122506A KR 20080122506 A KR20080122506 A KR 20080122506A KR 100999238 B1 KR100999238 B1 KR 100999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ensor
arm
electronic organ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079A (ko
Inventor
김은식
조양래
김병주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동희산업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동희산업,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238B1/ko
Priority to US12/621,358 priority patent/US8438945B2/en
Publication of KR2010006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8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comprising means to continuously detect ped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10T74/20534Accel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10T74/2054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8Pedal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페달(20)의 힌지부(21)와 패드부(22)가 일체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제작공정의 축소 및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고, 마찰 간섭부에 해당하는 다수 군데가 테프론 코팅(81)이 도포됨으로 인해 원가 및 중량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커버(60)에 결합된 페달센서(70)의 출력 전압이 정상 상태가 될 때까지 타원형의 볼트구멍(72)을 통해 상기 페달센서(70)의 장착 위치를 약간씩 회전시켜 가면서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페달센서(70)의 불필요한 폐기를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하나의 메커니즘을 이루는 가속페달 장치에 저가형의 접촉식 페달센서와 고가형의 비접촉식 페달센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페달센서(70)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전자식, 오르간, 가속페달, 센서

Description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Electronic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본 발명은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가속페달 장치는 가솔린 엔진에서는 혼합기의 흡입량을 조절하고 디젤 엔진에서는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이며, 장착구조에 따라 대시패널에 매달아 설치하는 펜던트 타입(pendant type)과 플로어패널에 설치하는 오르간 타입(organ type)이 있고, 작동방식에 따라 기계식과 전자식이 있다.
상기 펜던트 타입 가속페달 장치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시 투박한 느낌을 받기 때문에 조작감이 좋지 않고, 이에 따라 피로감이 과중되며, 또한 스로틀 밸브의 개폐동작을 정교하게 조작할 수 없음으로 인해 불필요한 연료의 낭비를 초래하여 연비가 나쁘고, 아울러 안정성도 낮은 문제가 있는 바, 이로 인해 최근의 고급차량에는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장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는 액셀케이블을 통해 기화기내의 스로틀 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연소량을 조절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는 주위 환경의 변화나 또는 노후화로 인해 액셀케이블의 장력이 변화되는 경우 트로틀 밸브 및 인젝션 펌프의 작동범위에 오차를 가져오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최근에는 엔진 및 주변장치에 가해지는 각종 제어를 전자식으로 변환시킨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는 액셀케이블의 사용을 배제시킨 구성으로서 여유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케이블의 장력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연료 소비율의 향상을 통해 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원가 절감과 내구성 향상 및 소음 감소를 이룩할 수 있고, 오조립에 의해 발생하는 페달센서의 출력 오류 발생시 출력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상기 페달센서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저가형의 접촉식 페달센서와 고가형의 비접촉식 페달센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페달센서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는,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되면서 위쪽과 일측면으로 개구된 힌지결합홈이 형성된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는 페달하우징과; 운전자가 발로 밟는 패드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힌지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한 페달;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는, 페달의 힌지부와 패드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제작공정의 축소 및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고, 마찰 간섭부에 해당하는 다수 군데가 테프론 코팅이 도포됨으로 인해 원가 및 중량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커버에 결합된 페달센서의 출력 전압이 정상 상태가 될 때까지 타원형의 볼트구멍을 통해 상기 페달센서의 장착 위치를 약간씩 회전시켜 가면서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페달센서의 불필요한 폐기를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하나의 메커니즘을 이루는 가속페달 장치에 저가형의 접촉식 페달센서와 고가형의 비접촉식 페달센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페달센서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1) 및 상기 플로어패널(1)과 연장된 대시패널(2)에 페달하우징(10)이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페달하우징(10)은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1)에 고정 설치되면서 위쪽과 일측면으로 개구된 힌지결합홈(11a)이 형성된 힌지결합부(11)와, 상기 힌지결합부(1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운전석 하부의 대시패널(2)에 고정 설치된 몸체부(12)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결합홈(11a)의 바닥면(11b)에는 돌기결합구멍(11c)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2)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회전암수용공간(12a)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암수용공간(12a)을 형성하는 안쪽의 벽면에는 회전축돌기(12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암수용공간(12a)에서 위쪽으로 개구된 캐리어설치구멍(12c)이 형성된다.
상기 페달하우징(10)에는 운전자가 발로 조작하는 페달(20)이 결합되는데, 상기 페달(20)은 상기 힌지결합홈(11a)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부(21)와, 상기 힌지부(2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운전자가 발로 밟아 조작하는 패드부(22)로 구성되어, 상기 페달하우징(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동작하는 구성이다.
상기 힌지부(21)와 상기 패드부(22)의 일체 구성을 통해 제작공정의 축소 및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부(21)의 밑면에는 상기 힌지부(21)가 상기 힌지결합홈(11a)으로 끼워질 때 상기 돌기결합구멍(11c)으로 끼워지는 힌지부돌기(23)가 아래쪽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돌기(23)는, 상기 힌지부(21)의 밑면으로부터 점차 돌출되는 양이 증가하는 경사면(23a)과, 상기 경사면(23a)의 끝과 상기 힌지부(21)의 밑면을 연결하는 수직면(23)을 구비한 삼각단면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돌기(23)가 상기 힌지결합홈(11a)으로 끼워지는 결합구조로 인해, 상기 페달(20)의 힌지부(21)와 상기 페달하우징(10)의 힌지결합홈(11a)과의 결합력은 더욱 증대되며, 이를 통해 상기 페달(20)을 반복 사용하더라도 상기 페달(20)이 상기 페달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없어진다.
상기 페달하우징(10)에서 상기 몸체부(12)의 회전암수용공간(12a)에는 페달암(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페달암(30)은 상기 회전축돌기(12b)에 끼워져서 상기 회전암수용공간(12a)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에 지지된 스프링부재(40)의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부재(40)의 탄성력을 제공받는 일단의 측면에는 센서결합돌기(32c)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캐리어설치구멍(12c)쪽을 항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캐리어설치구멍(12c)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페달(20)의 패드부(22)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페달암(30)과 결합되어 설치되는 캐리어(50)와, 상기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의 개구된 측면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몸체부(12)에 결합된 하우징커버(60)와, 상기 하우징커버(60)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페달암(30)과 결합되는 페달센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페달암(30)은, 상기 페달하우징(10)에 구비된 상기 회전축돌기(12b)가 삽입되는 회전중심구멍(31a)이 형성되면서 양쪽 측면이 상기 회전축돌기(12b)가 형성된 상기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 및 상기 하우징커버(60)의 안쪽 측면에 회 전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설치되는 원통부(31)와, 상기 원통부(31)에서 일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재(40)의 탄성력이 포크(32a)가 형성된 끝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포크(32a)의 측면에 암브라켓(32b)이 형성되고 상기 암브라켓(32b)에 상기 센서결합돌기(32c)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전방암부(32)와, 상기 원통부(31)에서 일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끝단에 상기 캐리어(50)와 결합되기 위한 로드(33a)가 일체로 구비된 후방암부(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페달하우징(10)의 회전축돌기(12b)와, 상기 페달암(30)의 원통부(31) 양쪽 측면과, 상기 원통부(31)의 양쪽 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 및 상기 하우징커버(60)의 안쪽 측면에는 각각 마찰을 없애기 위하여 테프론 코팅(81; teflon coating)이 처리되어 있다.
상기 테프론 코팅(81)은 테프론(불소수지)을 도료화하여 철, 스테인레스, 알미늄, 동, 유리, 고무, 세라믹, 플라스틱 등 기존 재료에 스프레이(spray) 및 분말정전도장, 건조, 가열, 소성의 공정으로 비접착성(이형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마모성, 전기절연성 등 테프론 고유의 특성을 이용한 우수한 불소수지 도장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테프론 코팅은 특유의 이형성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 내열성, 절연 안전성 및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제품으로는 해결하지 못한 표면 처리의 문제를 보다 쉽게 풀어주는 일석 다조의 기술이다.
상기 테프론 코팅(81)의 적용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힌지부시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원가절감 및 중량절감의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페달암(30)에서 상기 후방암부(33)에는 아래로 개구된 스위치장착홈(33b)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장착홈(33b)에는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기 위한 킥 다운 스위치(82; kick down switch)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킥 다운 스위치(82)는 상기 후방암부(33)가 상기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 바닥면을 향하여 회전할 때에 상기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 바닥면과 접촉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50)는, 운전자가 상기 페달(20)의 패드부(22)에 답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패드부(22)가 상기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쪽으로 회전할 때, 이때의 회전력을 상기 페달암(3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패드부(22)의 결합구멍(미도시)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기 위한 결합돌기(5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페달암(30)의 후방암부(33)에 구비된 로드(33a)에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포크(52)가 구비되며, 상기 포크(52)의 바로 위쪽에는 상기 회전암수용공간(12a)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몸체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캐리어돌기(53)가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페달(20)이 상기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쪽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페달암하우징(10)의 몸체부(12)에서 상기 회전암수용공간(12a)에는 상기 페달암(30)이 상기 스프링부재(40)의 탄성 복원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캐리어돌기(53)와 접촉하는 댐핑스토퍼(83)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댐핑스토퍼(83)는 상기 페달(20)의 패드부(22)가 운전자의 답력으로 상 기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22)쪽으로 회전하고 난 이후, 상기 스프링부재(40)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몸체부(22)로부터 들어올려지는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캐리어돌기(53)와 접촉을 통해 상기 패드부(22)의 초기위치를 결정지어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캐리어돌기(53)와의 접촉 시 소음방지를 위해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페달암(30)에 구비된 상기 센서결합돌기(32c)는 상기 하우징커버(60)를 관통하여 상기 페달센서(70)의 센서레버(71)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커버(60)에는 상기 센서결합돌기(32c)가 상기 회전축돌기(12b)를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돌기구멍(61)이 형성된다.
상기 페달암(30)이 회전하면 상기 센서결합돌기(32c)가 회전하고, 상기 센서결합돌기(32c)가 회전하면 상기 센서레버(71)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페달센서(70)는 상기 센서레버(71)가 회전할 때, 상기 센서레버(71)의 회전동작에 따른 출력값의 변화를 검출하게 되고, 이때의 검출된 신호를 트로틀 제어유니트로 전달한다.
상기 페달센서(70)를 통해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트로틀 제어유니트는 제어신호를 보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스로틀 밸브가 개폐됨으로써 연소량이 조절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페달센서(70)는 상기 하우징커버(60)의 측면에 다수개의 볼트(84)를 매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페달센서(70)에는 상기 볼트(84)가 관통되기 위한 볼트구 멍(72)이 형성되는데, 상기 볼트구멍(72)은 타원으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구멍(72)이 타원으로 형성된 이유는, 상기 페달센서(70)가 상기 하우징커버(60)에 결합되고 난 이후, 상기 페달센서(70)의 출력 전압이 비정상 상태일 때 상기 페달센서(70)의 장착 위치를 약간씩 회전시켜 가면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종래에는 한번 장착한 페달센서의 장착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어서 페달센서의 출력 전압이 비정상 상태이면 이를 폐기하였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페달센서(70)의 출력 전압이 정상 상태가 될 때까지 타원형의 볼트구멍(72)을 통해 상기 페달센서(70)의 장착 위치를 약간씩 회전시켜 가면서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가절감에 큰 도움이 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메커니즘을 이루는 가속페달 장치에 저가형의 접촉식 페달센서와 고가형의 비접촉식 페달센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페달암(30)에 구비된 상기 센서결합돌기(32c)에 저가형의 접촉식 페달센서나 또는 고가형의 비접촉식 페달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메커니즘을 이루는 가속페달 장치에 저가형의 접촉식 페달센서와 고가형의 비접촉식 페달센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페달센서(70)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적 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점은, 페달센서의 종류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갖춘 가속페달 장치의 개발이 필요했던 종래와 비교하여 볼 때,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페달암(30)에서 상기 전방암부(32)의 양쪽 측면에는 플레이트돌기(32d)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돌기(32d)에는 스프링플레이트(85)가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플레이트(85)의 윗면에는 상기 스프링부재(40)의 하단이 끼워지는 스프링돌기(85a)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페달암(30)에서 상기 전방암부(32)의 포크(32a)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마찰슈(8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찰슈(86)의 선단은 상기 스프링플레이트(85)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마찰슈(86)는 상기 페달암(30)의 동작시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 안쪽면과 선택적인 접촉으로 마찰을 일으키게 되며, 이에 따라 엔진의 출력 증대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달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40)는 압축스프링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스프링부재(40)는 상기 스프링플레이트(85)의 스프링돌기(85a)로 하단이 끼워져 설치되고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상단은 상기 몸체부(12)의 안쪽 윗면에 형성된 스프링홈(미도시)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스프링부재(40)는 본 발명에 따라 내측스프링(41)과 외측스프링(42)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스프링(42)은 상기 내측스프링(41)이 권선된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측스프링(41)의 밖에 끼워져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스프링(41)과 상기 외측스프링(43)사이에는 간섭방지를 위한 패드부재(43)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패드부재(43)로는 스펀지(sponge)를 사용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자가 페달(20)의 패드부(22)에 답력을 가해주면 상기 패드부(22)는 힌지부(21)에 의해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캐리어(50)는 하강이동을 하게 된다.
캐리어(50)의 이동에 의해 페달암(30)은 회전축돌기(12b)를 기준으로 하여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스프링부재(40)은 전체의 길이가 짧아지게 변형된다.
한편, 상기 페달암(30)의 회전시 센서결합돌기(32c)가 회전하고, 상기 센서결합돌기(32c)가 회전함에 따라 센서레버(71)가 회전하게 되는 바, 페달센서(70)는 상기 센서레버(71)의 동작에 따른 출력값의 변화를 검출하여 트로틀 제어유니트로 전기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트로틀 제어유니트는 제어신호를 보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스로틀 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연소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패드부(22)로부터 운전자의 답력이 제거되면, 스프링부재(40)의 복원력 에 의해 페달암(30)은 전술한 회전방향에 역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캐리어(50)는 상승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패드부(22)는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로부터 이격되는 회전을 하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패드부(22)의 상승 회전은 그 최대 회전각이 캐리어돌기(53)와 댐핑스톱퍼(83)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상기 패드부(22)는 항상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는 여유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케이블의 장력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연료 소비율의 향상을 통해 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패드부(22)의 역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캐리어(50)의 캐리어돌기(53)와 댐핑스톱퍼(83) 및 2중 구조로 된 스프링부재(40)에 의해 안정성을 극대화시킨 장점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페달하우징(10)쪽으로 회전된 패드부(22)는 답력 제거시 페달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의 신발이나 또는 옷이 패드부(22)에 걸려지게 되면 상기 패드부(22)는 완전히 뒤로 젖혀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은 경사가 심한 등판로를 주행할 때에도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캐리어돌기(53)와 댐핑스톱퍼(83)가 패드부(22)의 역방향 최대 회전각을 구속하는 상황이므로, 상기와 같이 패드부(22)가 정상상태를 벗어나 완전히 뒤로 젖혀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은 안정 성이 크게 향상된다.
반대로,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 패드부(22)는 자중에 의해 페달하우징(10)이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지만, 이때에는 스프링부재(40)의 힘을 페달암(30)을 통해 전달받은 캐리어(30)가 상기 패드부(22)의 회전을 구속하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에 안정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스프링(41)이나 외측스프링(42)중 어느 한 개의 스프링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한 개의 스프링이 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이 역시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20)의 힌지부(21)와 패드부(22)가 일체로 이루어진 구성이므로, 이를 통해 제작공정의 축소 및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 간섭부에 해당하는 상기 페달하우징(10)의 회전축돌기(12b), 상기 페달암(30)의 원통부(31) 양쪽 측면, 상기 원통부(31)의 양쪽 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페달하우징(10)의 몸체부(12) 및 상기 하우징커버(60)의 안쪽 측면에는 테프론 코팅(81)이 되어 있음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힌지부시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원가 및 중량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커버(60)에 결합된 페달센서(70)의 출력 전압이 정상 상태가 될 때까지 타원형의 볼트구멍(72)을 통해 상기 페달센서(70)의 장착 위치를 약간씩 회전시켜 가면서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페달센서(70)의 불필요한 폐기를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메커니즘을 이루는 가속페달 장치에 저가형의 접촉식 페달센서와 고가형의 비접촉식 페달센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페달센서(70)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의 구성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로어패널 2 - 대시패널
10 -페달하우징 20 - 페달
30 - 페달암 40 - 스프링부재
50 - 캐리어 60 - 하우징커버
70 - 페달센서 81 - 테프론 코팅
82 - 킥 다운 스위치 83 - 댐핑스톱퍼

Claims (11)

  1. 운전석 하부의 대시패널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회전암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암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안쪽의 벽면에는 회전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암수용공간에서 위쪽으로 개구된 캐리어설치구멍이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한 페달하우징과;
    상기 회전축돌기에 끼워져서 상기 회전암수용공간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된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제공받는 일단의 측면에는 센서결합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페달암과;
    상기 캐리어설치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페달암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회전암수용공간내에서 상기 페달암과 결합된 부위에 캐리어돌기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 형성된 캐리어와;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측면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하우징커버와;
    상기 페달암의 센서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센서레버를 구비하고서 상기 하우징커버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페달센서;
    를 포함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암의 센서결합돌기는 상기 하우징커버를 관통 하여 상기 페달센서의 센서레버와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에는,
    상기 페달암이 회전할 때 상기 센서결합돌기가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돌기구멍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수용공간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페달하우징의 몸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페달암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 복원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캐리어돌기와 접촉하도록 고무로 형성된 댐핑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위쪽과 일측면으로 개구된 힌지결합홈을 구비한 상기 페달하우징의 힌지결합부와;
    상기 캐리어와 결합된 패드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힌지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한 페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홈의 바닥면에는 돌기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밑면에는 상기 힌지부가 상기 힌지결합홈으로 끼워질 때 상기 돌기결합구멍으로 끼워지는 힌지부돌기가 아래쪽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돌기는,
    상기 힌지부의 밑면으로부터 점차 돌출되는 양이 증가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끝과 상기 힌지부의 밑면을 연결하는 수직면;
    을 구비한 삼각단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암은,
    상기 회전축돌기가 삽입되는 회전중심구멍이 형성되면서 양쪽 측면이 상기 회전축돌기가 형성된 상기 페달하우징의 몸체부 및 상기 하우징커버의 안쪽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설치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서 일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이 끝단부에 제공되며 측면에 상기 센서결합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전방암부와;
    상기 원통부에서 타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끝단에 상기 캐리어가 결 합된 후방암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돌기, 상기 페달암의 원통부의 양쪽 측면, 상기 원통부의 양쪽 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페달하우징의 몸체부 및 상기 하우징커버의 안쪽 측면에는 마찰을 없애기 위하여 각각 테프론 코팅(teflon coating)이 도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후방암부에는 킥 다운 스위치가 결합되고, 상기 킥 다운 스위치는 상기 후방암부가 상기 페달하우징의 몸체부 바닥면을 향하여 회전할 때에 상기 페달하우징의 몸체부 바닥면과 접촉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센서에는 상기 하우징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구멍이 형성되는데, 상기 볼트구멍은 타원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KR1020080122506A 2008-12-04 2008-12-04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KR100999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506A KR100999238B1 (ko) 2008-12-04 2008-12-04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US12/621,358 US8438945B2 (en) 2008-12-04 2009-11-18 Electronic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506A KR100999238B1 (ko) 2008-12-04 2008-12-04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079A KR20100064079A (ko) 2010-06-14
KR100999238B1 true KR100999238B1 (ko) 2010-12-07

Family

ID=4222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506A KR100999238B1 (ko) 2008-12-04 2008-12-04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38945B2 (ko)
KR (1) KR1009992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396B1 (ko) 2013-06-17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페달장치
KR101428397B1 (ko) 2013-06-20 2014-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459921B1 (ko) * 2013-06-25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페달 장치
KR20190081295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차량 페달 장치
KR102054470B1 (ko) * 2019-02-08 2019-12-10 경창산업주식회사 이중 히스테리시스 생성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속 페달
JP7347407B2 (ja) 2020-12-21 2023-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17713U1 (de) * 2008-08-30 2010-04-29 MÄNNLE, Erik Pedalanordnung mit einem um eine horizontale Achse schwenkbaren stehenden Pedal
JP5838761B2 (ja) * 2011-11-28 2016-0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1481300B1 (ko) * 2013-07-25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
KR101508874B1 (ko) * 2014-02-25 2015-04-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클러치 스위치
CN108674181B (zh) * 2018-07-23 2024-01-26 安徽省锦瑞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电子踏板结构
JP7067457B2 (ja) * 2018-12-20 2022-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JP7095652B2 (ja) * 2019-05-21 2022-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JP2021046053A (ja) * 2019-09-18 2021-03-25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DE102020103801A1 (de) 2020-02-13 2021-08-19 HELLA GmbH & Co. KGaA Fahrpedal
KR20210130296A (ko) 2020-04-21 2021-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10149966A (ko) * 2020-06-02 2021-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KR20210158464A (ko) 2020-06-23 2021-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더블 페달장치를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의 수동운전모드 전환시 제어방법
KR20220021054A (ko) 2020-08-12 202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20023871A (ko) 2020-08-20 2022-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수동운전모드시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의 작동제어방법
JP7400701B2 (ja) * 2020-11-19 2023-12-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KR102609696B1 (ko) * 2022-06-10 2023-12-08 아센텍 주식회사 페달 각도 센서 유닛
US20230409069A1 (en) * 2022-06-15 2023-12-21 KSR IP Holdings, LLC Floor mounted pedal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796B1 (ko) 2005-12-13 2006-11-15 (주) 동희산업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KR100718541B1 (ko) 2005-12-13 2007-05-15 주식회사 동희산업 기계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US20070193401A1 (en) 2006-02-02 2007-08-23 Cts Corporatio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KR100841924B1 (ko) 2006-07-19 2008-06-2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페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4096A (en) * 1968-12-09 1971-01-12 Xomox Corp Vane-type actuator
DE19511716C1 (de) * 1995-03-30 1996-04-04 Porsche Ag Verbindungseinrichtung
US6155133A (en) * 1998-11-13 2000-12-05 Honeywell Commercial Vehicle Systems Company Electronic treadle four bar assembly
DE19924410A1 (de) * 1999-05-27 2000-11-30 Hella Kg Hueck & Co Fahrpedalgeber
DE19939810A1 (de) * 1999-08-21 2001-02-22 Bosch Gmbh Robert Fahrpedalmodul
US6209418B1 (en) * 1999-08-26 2001-04-03 Teleflex Incorporated Mechanical kickdown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pedal assembly
DE69923320T2 (de) * 1999-11-04 2006-04-06 Cts Corp., Elkhart Elektronisches Fahrpedal mit einem Kickdown-System
KR100376401B1 (ko) 2000-07-20 2003-03-15 (주) 동희산업 전자식 가속페달장치
JP2005173274A (ja) 2003-12-12 2005-06-30 Robert A Gatzen 楽器用ペダル組立体
JP4370618B2 (ja) * 2004-02-20 2009-11-25 株式会社デンソー ペダルモジュール
KR100589190B1 (ko) * 2004-06-25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페달장치
JP4335238B2 (ja) 2006-07-24 2009-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
KR100816002B1 (ko) * 2006-10-04 2008-03-21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796B1 (ko) 2005-12-13 2006-11-15 (주) 동희산업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KR100718541B1 (ko) 2005-12-13 2007-05-15 주식회사 동희산업 기계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US20070193401A1 (en) 2006-02-02 2007-08-23 Cts Corporatio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KR100841924B1 (ko) 2006-07-19 2008-06-2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페달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396B1 (ko) 2013-06-17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페달장치
KR101428397B1 (ko) 2013-06-20 2014-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459921B1 (ko) * 2013-06-25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페달 장치
KR20190081295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차량 페달 장치
KR102470457B1 (ko) 2017-12-29 2022-11-23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차량 페달 장치
KR102054470B1 (ko) * 2019-02-08 2019-12-10 경창산업주식회사 이중 히스테리시스 생성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속 페달
JP7347407B2 (ja) 2020-12-21 2023-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079A (ko) 2010-06-14
US20100139445A1 (en) 2010-06-10
US8438945B2 (en)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238B1 (ko)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KR100644796B1 (ko)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US8161842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hysteresis of electronic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KR100718541B1 (ko) 기계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US6658963B2 (en) Pedal mechanism
KR100941260B1 (ko)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
JP3954490B2 (ja) 踏力調節機能を備えた電子式加速ペダル装置
US7984664B2 (en)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for vehicle
US20100077886A1 (e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JP2012517932A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
US20070289402A1 (en) Accelerator Pedal Module And Full Load Indicator For Said Accelerator Pedal Module
KR20000029165A (ko) 가속 페달 모듈
KR101691035B1 (ko) 전자식 가속 페달
JP2003507246A (ja) アクセルペダルモジュール
KR101272946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JPH1083224A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1272947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GB2349447A (en) Control pedal assembly
KR20050123468A (ko) 전자식 페달장치
KR101553615B1 (ko) 히스테리시스 발생 구조를 구비한 가속페달
US9069371B2 (en) Hysteresis generating pedal apparatus
KR100815157B1 (ko) 전자제어식 쓰로틀밸브장치
JP4078826B2 (ja)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用いた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3559196B2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0376399B1 (ko) 전자식 가속페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