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182A -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Google Patents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182A
KR20220023182A KR1020200104748A KR20200104748A KR20220023182A KR 20220023182 A KR20220023182 A KR 20220023182A KR 1020200104748 A KR1020200104748 A KR 1020200104748A KR 20200104748 A KR20200104748 A KR 20200104748A KR 20220023182 A KR20220023182 A KR 20220023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pad
link
hysteresis module
peda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김현욱
김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3182A/ko
Priority to US17/147,920 priority patent/US11987118B2/en
Priority to DE102021200548.9A priority patent/DE102021200548A1/de
Publication of KR2022002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3Handover processes from vehicle to occupa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8Non-slip pedal treads; Pedal extensions or attachment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28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preventing unauthorised access to the controlling member or its movement to a comman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6Adjusting of accelerator pedal posi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5/00Other details or appurtenances of control mechanisms, e.g. supporting intermediate members elastically
    • G05G25/04Sealing against entry of dust, weathe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상황에서는 페달패드(200)가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운전자쪽으로 노출되게 팝업되고,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는 자율주행모드 상황에서는 페달패드(200)가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어서 운전자쪽으로의 노출이 차단된 숨김(하이드)상태가 되며, 페달패드(200)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을 통해 히스테리시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FOLDABLE ACCELERATOR PEDAL APPARATUS FOR VEHICLE WITH HYSTERESIS MODULE}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운전자쪽으로 노출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운전자쪽으로의 노출이 차단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등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차량으로 최근 들어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 상황이 보편적으로 실현될 경우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및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 차량이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자율주행모드에서는 운전자가 발을 뻗어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어야 하기에 운전석 하부공간에 위치한 페달(가속페달, 브레이크페달)이 실내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운전자의 휴식에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율주행 상황은 운전자가 차량의 페달(가속페달,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지 않는 상황으로, 만약에 자율주행 중에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하게 되면 차량 제어기는 운전자가 자율주행을 종료하고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원하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자율주행을 위한 제어를 종료하게 된다.
그런데, 차량의 페달은 운전석 하부 공간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가 무의식적으로 페달을 조작할 우려가 있고(페달의 오조작 상황), 이럴 경우 도로 상황 또는 차간 거리 등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운전자를 향해 돌출되도록 노출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 및 오조작 방지 등의 안전을 위해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패드의 노출을 차단하는 페달장치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7-0137427호
본 발명은,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운전자쪽으로 노출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운전자쪽으로의 노출이 차단되며, 또한 히스테리시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로서,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된 숨김(하이드)상태가 될 때, 페달하우징속에 고정된 직선형 모터가 페달패드의 내측공간으로 수용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효율적인 레이아웃의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가속페달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적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는, 운전석 하부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 상기 페달하우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하우징내의 고정된 위치에서 일단이 페달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 상기 페달하우징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진퇴운동하는 모터로드를 구비한 직선형 모터; 및 상기 페달패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로드와 연결되며,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시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되도록 동작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패드는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에 의한 회전링크의 회전을 통해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된 숨김(하이드)상태 및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직선형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직선형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 PC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페달패드가 팝업상태에서 숨김상태로 변경될 때에 페달패드의 내부공간속으로 직선형 모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는 하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페달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핀의 위쪽부위에서 회전링크와 연결되며, 상단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는 오르간타입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하우징과 힌지핀에 양단이 고정되어서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페달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링크가 회전해서 히스테리시스모듈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페달패드는 힌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핀을 중심으로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는 회전을 해서 숨김(하이드)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로드에는 모터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드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크에는 회전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크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크는 로드구멍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해서 상단이 패드연결핀을 매개로 페달패드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터로드와 회전링크는 링크구멍을 관통하면서 모터로드에 결합된 링크연결핀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구멍의 하측으로 돌출된 회전링크의 하단은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에 의한 회전링크의 회전시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회전링크의 하단이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접촉이 해제되면 페달패드는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는 회전을 해서 숨김(하이드)상태로 변경되고, 회전링크의 하단이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접촉하면 페달패드는 회전링크의 밀림동작에 의해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구멍은 페달패드가 팝업된 상태를 기준으로 히스테리시스모듈을 향하는 하단에서 패드연결핀을 향하는 상단까지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부채꼴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링크의 일면에는 링크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링크돌기는 페달패드의 숨김(하이드)상태시 패드연결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로드구멍속에 위치하고, 로드구멍속에서 로드구멍의 일단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스테리시스모듈은 페달하우징에 중심축을 매개로 일단의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페달패드가 팝업된 상태일 때 회전링크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안착홈부가 구비된 레버부재;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서 레버부재의 회전시 레버부재와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시; 및 상기 페달하우징과 레버부재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되어서 레버부재가 페달패드를 향해 회전하도록 레버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부재의 안착홈부는 회전링크의 하단을 감싸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와 레버부재의 윗면은 경사면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부재에서 안착홈부가 형성된 단부에는 레버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페달하우징에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페달패드가 하이드된 상태 및 팝업된 상태일 때 레버돌기와 스토퍼돌기의 접촉으로 레버부재는 페달패드를 향한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와 패드연결핀에 양단이 고정되어서 회전링크의 하단이 레버부재의 안착홈부를 향하도록 회전링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패드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부재의 힌지부에 결합된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과 대면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속제어 PC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속제어 PCB는 레버부재의 회전시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으로 모터로드가 직선형 모터속으로 삽입되는 후퇴이동을 하고, 모터로드의 후퇴이동시 회전링크가 패드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회전링크의 하단이 레버부재의 안착홈부에 안착되면, 페달패드는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을 해서 팝업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으로 모터로드가 직선형 모터로부터 돌출되는 전진이동을 하고, 모터로드의 전진이동시 회전링크가 패드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회전링크의 하단과 레버부재의 접촉이 해제되면, 페달패드는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는 회전을 해서 숨김(하이드)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에 따른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으로 인해 회전링크와 히스테리시스모듈이 회전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는 오작동의 방지를 위해 가속제어 PCB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가 팝업된 상태이고 직선형 모터가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가 회전하고, 페달패드의 회전에 의해 회전링크가 직선이동하고, 회전링크의 직선이동으로 히스테리시스모듈이 회전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만 가속제어 PCB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운전자쪽으로 노출되게 팝업되고,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는 자율주행모드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운전자쪽으로의 노출이 차단된 하이드상태가 가능한 구성이며, 특히 히스테리시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구성으로,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된 숨김(하이드)상태가 될 때, 페달하우징속에 고정된 직선형 모터가 페달패드의 내측공간으로 수용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효율적인 레이아웃의 구조를 갖게 됨으로서 가속페달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적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로서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직선형 모터를 구비한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된 숨김(하이드)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에서 페달패드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에서 페달패드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8은 팝업된 페달패드가 운전자의 조작으로 회전해서 정상 작동하는 상태의 도면,
도 9는 도 8에서 페달패드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구자석과 가속제어 PC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하부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100); 상기 페달하우징(10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는 페달패드(200); 상기 페달하우징(100)내의 고정된 위치에서 일단이 페달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200)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300); 상기 페달하우징(100)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진퇴운동하는 모터로드(410)를 구비한 직선형 모터(400); 및 상기 페달패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로드(410)와 연결되며, 모터로드(410)의 진퇴운동시 히스테리시스모듈(300)과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되도록 동작하는 회전링크(500)를 포함한다.
페달패드(200)는 모터로드(410)의 진퇴운동에 의한 회전링크(500)의 회전을 통해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된 숨김(하이드, hide)상태 및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pop-up)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페달하우징(100)은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개구되게 형성되며, 내부의 빈공간에는 히스테리시스모듈(300), 직선형 모터(400), 회전링크(500) 및 후술하는 가속제어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이 설치되며, 개구된 일측에는 커버(110)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직선형 모터(400)는 리니어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며, 모터로드(410)는 직선형 모터(400)의 작동시 진퇴운동하는 플런저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직선형 모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직선형 모터(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 PCB(600)를 더 포함한다.
모터제어 PCB(600)는 와이어를 통해서 배터리와 같은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페달패드(200)는 하단이 힌지핀(710)을 매개로 페달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핀(710)의 위쪽부위에서 회전링크(5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연결되며, 상단이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는 오르간타입 패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페달패드(200)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내부공간(210)이 구비되고, 페달패드(200)가 팝업상태에서 숨김상태로 변경될 때에 페달패드(200)의 내부공간(210)속으로 직선형 모터(400)가 삽입되는 구조가 되며(도 4참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레이아웃의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페달하우징(100)의 사이즈 및 가속페달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적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의 경우, 종래의 구조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이 페달하우징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페달패드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모듈이 움직이는 구조여서,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페달하우징의 크기를 크게 제작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가속페달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적 크기도 커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페달패드(200)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이 움직이지 않고, 페달하우징(100)의 고정된 어느 한 위치에서 회전만 하는 구성으로, 히스테리시스모듈이 움직이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페달하우징(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가속페달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적 사이즈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페달하우징(100)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면에 하우징구멍(12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구멍(120)을 관통하는 형태로 페달패드(300)의 하단이 힌지핀(710)을 매개로 페달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직선형 모터(400)의 작동력이 모터로드(410)와 회전링크(500) 및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을 통해 페달패드(200)로 전달되어서 페달패드(200)가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면 페달패드(200)는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상태가 됨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불가능한 하이드(hide)상태가 되고, 반대로 페달패드(200)가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쪽으로 회전하면 페달패드(200)는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됨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 팝업(pop-up)상태가 된다.
페달패드(200)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면은 운전자가 발로 조작하는 조작면(220)이 되고, 페달패드(200)의 조작면(220)은 외형적인 크기가 하우징구멍(12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서 페달패드(200)의 회전시 하우징구멍(120)은 페달패드(200)의 조작면(220)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가 된다.
페달패드(200)가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풀 회전하면, 페달패드(200)의 조작면(220)이 하우징구멍(120)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조작면(220)은 페달하우징(100)에 의해 지지되고, 이로 인해 페달패드(300)의 전방회전은 자연적으로 구속된다.
또한, 하우징구멍(120)이 페달패드(200)의 조작면(220)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가 되면, 기밀유지에 유리해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실내쪽으로의 소음차단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페달하우징(100)과 힌지핀(710)에 양단이 고정되어서 페달패드(200)가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페달패드(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스프링(720)을 더 포함한다.
직선형 모터(4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링크(500)가 회전해서 히스테리시스모듈(300)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페달패드(200)는 힌지스프링(720)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됨에 따라 페달패드(200)는 숨김(하이드)상태로 변경이 된다.
한편, 모터로드(410)에는 모터로드(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로드구멍(41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회전링크(500)에는 회전링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크구멍(51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링크(500)는 로드구멍(41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가 되고, 회전링크(500)의 상단은 패드연결핀(730)을 매개로 페달패드(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터로드(410)와 회전링크(500)는 링크구멍(411)을 관통하면서 모터로드(410)에 결합된 링크연결핀(740)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구조가 된다.
그리고, 로드구멍(411)의 하측으로 돌출된 회전링크(500)의 하단은 모터로드(410)의 진퇴운동에 의한 회전링크(500)의 회전시 히스테리시스모듈(300)과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회전링크(500)의 하단이 히스테리시스모듈(300)과 접촉이 해제되면 페달패드(200)는 힌지스프링(720)의 탄성력에 의해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는 회전을 해서 숨김(하이드)상태로 변경되고(도 4참고), 회전링크(500)의 하단이 히스테리시스모듈(300)과 접촉하면 페달패드(200)는 회전링크(500)의 밀림동작에 의해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로 변경된다.(도 6참고)
한편, 회전링크(500)에 형성된 링크구멍(510)은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를 기준으로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을 향하는 하단에서 패드연결핀(730)을 향하는 상단까지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부채꼴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에서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페달패드(200)가 숨김상태로 변경될 때나, 또는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에서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운전가가 페달패드(200)를 발로 밟아서 조작할 때에, 페달패드(200)는 하단의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페달패드(200)의 회전시 히스테리시스모듈(300)도 후술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링크연결핀(740)은 링크구멍(510)의 중간정도 위치에서 움직이게 된다.
그런데, 페달패드(200)의 회전궤적과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의 회전궤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링크구멍(510)의 중간정도 위치에 위치한 링크연결핀(740)이 링크구멍(510)에 끼인 상태가 되면, 페달패드(200)의 회전 및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의 회전이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페달패드(200)와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의 회전궤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좌우 유격을 흡수하면서 페달패드(200) 및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링크구멍(510)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부채꼴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링크구멍(510)이 부채꼴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되면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가 되었을 때, 링크연결핀(740)은 링크구멍(51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고, 링크구멍(510)의 하단의 크기는 링크연결핀(740)의 직경과 거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서, 링크연결핀(740)의 좌우방향 유동을 구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에서 회전링크(500)의 불필요한 유동 및 떨림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페달패드(200)의 불필요한 유동 및 떨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회전링크(500)의 일면에는 링크돌기(52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링크돌기(520)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페달패드(200)의 숨김(하이드)상태시 패드연결핀(730)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로드구멍(411)속에 위치하며, 로드구멍(411)속에서 로드구멍(411)의 일단과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페달패드(200)가 숨김상태일 때 회전링크(500)의 링크돌기(520)가 패드연결핀(730)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로드구멍(411)의 일단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모터로드(410)와 링크돌기(520)사이에 유격이 없어지게 되고, 이 결과 직선형 모터(400)의 작동으로 모터로드(410)가 직선형 모터(400)속으로 삽입되는 후퇴이동을 할 때에(도 5의 화살표 M1), 모터로드(410)의 작동력이 링크돌기(520)를 통해 회전링크(500)로 바로 전달됨에 따라, 작동 응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은 페달하우징(100)에 중심축(310)을 매개로 일단의 힌지부(3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일 때 회전링크(500)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안착홈부(322)가 구비된 레버부재(320), 상기 중심축(310)에 결합되어서 레버부재(320)의 회전시 레버부재(320)와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시(330), 및 상기 페달하우징(100)과 레버부재(320)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되어서 레버부재(320)가 페달패드(200)를 향해 회전하도록 레버부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340)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를 기준으로, 운전자가 페달패드(200)를 발로 밟아서 조작함에 따라 페달패드(200)가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면, 페달패드(200)와 연결된 회전링크(500)가 링크연결핀(740)에 가이드된 상태로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회전링크(500)의 이동에 의해 레버부재(320)는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때 레버스프링(340)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며, 운전자가 페달패드(200)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하면 레버스프링(340)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부재(320)와 회전링크(500) 및 페달패드(200)는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팝업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레버스프링(340)은 스프링력의 튜닝을 통해 답력 튜닝이 가능하고, 특히 페달패드(300)의 미세 떨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스프링력이 서로 다른 2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개수가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버스프링(340)은 압축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가 페달패드(200)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는 레버스프링(340)의 스프링력(압축력)과 마찰부시(330)의 마찰력이 함께 발생해서 저항력으로 작용함에 따라 이러한 큰 저항력을 극복할 수 있는 큰 답력(조작시 답력)이 필요하고, 운전자가 페달패드(200)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함에 따라 페달패드(200)가 복귀할 때에는 마찰부시(330)에 의한 마찰력만이 발생함에 따라 조작시 답력보다 상대적으로 답력(복귀시 답력)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페달패드(200)의 조작시 답력과 복귀시 답력의 차이는 마찰요소에 해당하는 마찰부시(330)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바, 이러한 현상을 페달장치에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라 한다.
가속페달의 히스테리시스는 도로의 요철 등으로 인해 충격 발생시 가속페달의 눌림량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해서 정숙주행을 도모하고, 특히 정속 주행 또는 장시간 주행시 페달암의 눌림양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운전자의 발목 피로도를 경감시켜 주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페달패드(200)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 운전자의 조작력은 대부분이 페달패드(200)와 회전링크(500) 및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을 통해 페달하우징(100)에서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직선형 모터(400)의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가 절감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레버부재(320)의 안착홈부(322)는 회전링크(500)의 하단을 감싸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회전링크(500)의 하단은 원호형상의 안착홈부(322)에 삽입되어서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안착홈부(322)와 레버부재(320)의 윗면(323)은 경사면(324)으로 연결되며, 이로 인해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패드(200)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 회전링크(500)의 하단은 윗면(323)과 경사면(324)이 만나는 모서리에 의해 레버부재(320)의 윗면(323)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이 결과 페달패드(200) 및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은 안정된 상태로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의 레버부재(320)에서 안착홈부(322)가 형성된 단부에는 레버돌기(32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페달하우징(100)에는 스토퍼돌기(130)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페달패드(200)가 하이드된 상태일 때 레버돌기(325)와 스토퍼돌기(130)의 접촉으로 레버부재(320)는 페달패드(200)를 향한 회전이 구속되어서,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의 자리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페달패드(200)와 패드연결핀(730)에 양단이 고정되어서 회전링크(500)의 하단이 레버부재(320)의 안착홈부(322)를 향하도록 회전링크(5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패드스프링(75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일 때 회전링크(500)의 하단은 패드스프링(750)의 스프링력에 의해 레버부재(320)의 안착홈부(322)속에 안정된 상태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일 때에도 레버돌기(325)와 스토퍼돌기(130)는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레버부재(320)의 힌지부(321)에 결합된 영구자석(810), 및 상기 영구자석(810)과 대면하도록 페달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속제어 PCB(820)를 더 포함한다.
가속제어 PCB(820)는 운전자가 페달패드(200)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 레버부재(320)의 회전을 검출하는 APS(Accelater Position Sensor)로서, 레버부재(320)의 회전시 영구자석(810)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200)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가속제어 PCB(820)는 와이어를 통해서 배터리와 같은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비접촉 페달센서로서, 링크 등을 통해 직접 연결된 접촉식 센서와 비교하여 볼 때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출력신호의 정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페달패드(200)는 링크(910)를 통해 스트로크센서(900)와 연결된 구조를 갖출 수 있고, 스트로크센서(900)는 페달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스트로크센서(900)는 페달패드(200)의 조작시 페달패드(200)의 초기위치 복귀여부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내지 도 5는 직선형 모터(400)의 작동으로 페달패드(200)가 전방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게 숨겨진 상태이고, 이에 따라 페달패드(200)는 노출이 차단된 하이드(hide)상태가 된다.
직선형 모터(400)의 동작으로 모터로드(410)가 직선형 모터(400)로부터 돌출되는 전진이동을 하고(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임), 회전링크(500)가 패드연결핀(7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링크(5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링크(500)의 하단과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의 접촉이 해제되면, 페달패드(200)는 힌지스프링(720)의 탄성력에 의해 하단의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된 숨김(하이드)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페달패드(200)가 숨김(하이드)상태가 되면, 운전석 하부공간은 페달의 간섭이 없는 넓은 공간이 됨에 따라 운전자는 릴렉스모드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가 있게 되며, 또한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페달패드(200)가 운전자가 있는 후방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pop up)상태이다.
전술한 페달패드(200)의 숨김(하이드)상태에서, 직선형 모터(400)의 동작으로 모터로드(410)가 직선형 모터(400)속으로 삽입되는 후진이동을 하고(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임), 회전링크(500)가 패드연결핀(730)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링크(5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링크(500)의 하단이 히스테리시스모듈(400)과 접촉해서 최종적으로 레버부재(320)의 안착홈부(322)속으로 삽입되어서 안착되면, 페달패드(200)는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페달패드(200)가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가 되면, 운전자는 돌출된 페달패드(200)의 조작면(220)을 밟아서 정상적인 조작을 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9는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게 팝업된 페달패드(200)를 운전자가 발로 밟아서 조작한 상태이다.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게 팝업된 페달패드(200)를 운전자가 발로 밟아서 조작하면, 페달패드(200)는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고, 페달패드(200)와 연결된 회전링크(500)가 링크연결핀(740)에 가이드된 상태로 하측으로 이동하고, 회전링크(500)의 이동에 의해 레버부재(320)는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때 레버스프링(340)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200)가 회전함에 따라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의 레버부재(320)가 회전하면, 레버부재(320)의 힌지부(321)에 결합된 영구자석(810)도 함께 회전해서 회전에 따른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때 가속제어 PCB(820)는 영구자석(810)의 회전위치 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200)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직선형 모터(400)의 동작에 따른 모터로드(410)의 진퇴운동으로 인해 회전링크(500)와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이 회전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810)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는, 오작동의 방지를 위해 가속제어 PCB(820)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즉, 페달패드(200)가 직선형 모터(400)의 작동으로 도 4와 같은 숨김(하이드)상태 및 도 6과 같은 팝업상태로 변환될 때에는 영구자석(81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가속제어 PCB(820)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오작동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다만, 도 6과 같이 페달패드(200)가 팝업된 상태이고 직선형 모터(400)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200)가 회전하고, 페달패드(2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링크(500)가 직선이동하고, 회전링크(500)의 직선이동으로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이 회전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810)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만 가속제어 PCB(820)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보다 안정된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직선형 모터(400)에는 모터로드(41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고, 가속제어 PCB(820)는 센서를 통해 검출된 모터로드(4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의 발생유무를 결정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20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패드(200)가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운전자쪽으로 노출되게 팝업되고,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는 자율주행모드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200)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패드(200)가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어서 운전자쪽으로의 노출이 차단된 숨김(하이드)상태가 가능한 구성이며, 특히 히스테리시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히스테리시스모듈(300)을 구비한 구성으로,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패드(200)가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된 숨김(하이드)상태가 될 때, 페달하우징(100)속에 고정된 직선형 모터(400)가 페달패드(200)의 내측공간으로 수용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효율적인 레이아웃의 구조를 갖게 됨으로서 가속페달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적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페달하우징 110 - 커버
120 - 하우징구멍 130 - 스토퍼돌기
200 - 페달패드 210 - 내부공간
220 - 조작면 300 - 히스테리시스모듈
310 - 중심축 320 - 레버부재
321 - 힌지부 322 - 안착홈부
323 - 윗면 324 - 경사면
325 - 레버돌기 330 - 마찰부시
340 - 레버스프링 400 - 직선형 모터
410 - 모터로드 411 - 로드구멍
500 - 회전링크 510 - 링크구멍
520 - 링크돌기 600 - 모터제어 PCB
710 - 힌지핀 720 - 힌지스프링
730 - 패드연결핀 740 - 링크연결핀
750 - 패드스프링 810 - 영구자석
820 - 가속제어 PCB 900 - 스트로크센서
910 - 링크

Claims (18)

  1. 운전석 하부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
    상기 페달하우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하우징내의 고정된 위치에서 일단이 페달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
    상기 페달하우징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진퇴운동하는 모터로드를 구비한 직선형 모터; 및
    상기 페달패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로드와 연결되며,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시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되도록 동작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패드는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에 의한 회전링크의 회전을 통해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된 숨김(하이드)상태 및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직선형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직선형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 PC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페달패드가 팝업상태에서 숨김상태로 변경될 때에 페달패드의 내부공간속으로 직선형 모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는 하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페달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핀의 위쪽부위에서 회전링크와 연결되며, 상단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는 오르간타입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페달하우징과 힌지핀에 양단이 고정되어서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페달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링크가 회전해서 히스테리시스모듈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페달패드는 힌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핀을 중심으로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는 회전을 해서 숨김(하이드)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로드에는 모터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드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크에는 회전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크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크는 로드구멍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해서 상단이 패드연결핀을 매개로 페달패드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터로드와 회전링크는 링크구멍을 관통하면서 모터로드에 결합된 링크연결핀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드구멍의 하측으로 돌출된 회전링크의 하단은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에 의한 회전링크의 회전시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회전링크의 하단이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접촉이 해제되면 페달패드는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는 회전을 해서 숨김(하이드)상태로 변경되고, 회전링크의 하단이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접촉하면 페달패드는 회전링크의 밀림동작에 의해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멍은 페달패드가 팝업된 상태를 기준으로 히스테리시스모듈을 향하는 하단에서 패드연결핀을 향하는 상단까지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부채꼴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의 일면에는 링크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링크돌기는 페달패드의 숨김(하이드)상태시 패드연결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로드구멍속에 위치하고, 로드구멍속에서 로드구멍의 일단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모듈은 페달하우징에 중심축을 매개로 일단의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페달패드가 팝업된 상태일 때 회전링크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안착홈부가 구비된 레버부재;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서 레버부재의 회전시 레버부재와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시; 및
    상기 페달하우징과 레버부재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되어서 레버부재가 페달패드를 향해 회전하도록 레버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의 안착홈부는 회전링크의 하단을 감싸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와 레버부재의 윗면은 경사면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에서 안착홈부가 형성된 단부에는 레버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페달하우징에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페달패드가 하이드된 상태 및 팝업된 상태일 때 레버돌기와 스토퍼돌기의 접촉으로 레버부재는 페달패드를 향한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와 패드연결핀에 양단이 고정되어서 회전링크의 하단이 레버부재의 안착홈부를 향하도록 회전링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패드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의 힌지부에 결합된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과 대면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속제어 PC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속제어 PCB는 레버부재의 회전시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으로 모터로드가 직선형 모터속으로 삽입되는 후퇴이동을 하고, 모터로드의 후퇴이동시 회전링크가 패드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회전링크의 하단이 레버부재의 안착홈부에 안착되면, 페달패드는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을 해서 팝업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으로 모터로드가 직선형 모터로부터 돌출되는 전진이동을 하고, 모터로드의 전진이동시 회전링크가 패드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회전링크의 하단과 레버부재의 접촉이 해제되면, 페달패드는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는 회전을 해서 숨김(하이드)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에 따른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으로 인해 회전링크와 히스테리시스모듈이 회전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는 오작동의 방지를 위해 가속제어 PCB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가 팝업된 상태이고 직선형 모터가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가 회전하고, 페달패드의 회전에 의해 회전링크가 직선이동하고, 회전링크의 직선이동으로 히스테리시스모듈이 회전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만 가속제어 PCB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KR1020200104748A 2020-08-20 2020-08-20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KR20220023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48A KR20220023182A (ko) 2020-08-20 2020-08-20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US17/147,920 US11987118B2 (en) 2020-08-20 2021-01-13 Foldable accelerator pedal apparatus for vehicle with hysteresis module
DE102021200548.9A DE102021200548A1 (de) 2020-08-20 2021-01-21 Klappbare gaspedalvorrichtung für fahrzeuge mit hysterese-modu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48A KR20220023182A (ko) 2020-08-20 2020-08-20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82A true KR20220023182A (ko) 2022-03-02

Family

ID=8011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748A KR20220023182A (ko) 2020-08-20 2020-08-20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87118B2 (ko)
KR (1) KR20220023182A (ko)
DE (1) DE102021200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007A (ko) * 2020-04-23 2021-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20061587A (ko) * 2020-11-06 2022-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르간 타입 전자식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20062831A (ko) * 2020-11-09 2022-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르간 타입 전자식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20136745A (ko) * 2021-04-01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20142256A (ko) * 2021-04-14 2022-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20162516A (ko) * 2021-06-01 2022-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20164863A (ko) * 2021-06-04 2022-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KR20230015133A (ko) * 2021-07-22 2023-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30016461A (ko) * 2021-07-26 2023-0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30027672A (ko) * 2021-08-19 2023-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더블 전자식 페달장치
KR20230049184A (ko) * 2021-10-05 2023-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페달장치
KR20240011299A (ko) * 2022-07-18 2024-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40021354A (ko) * 2022-08-09 2024-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427A (ko) 2016-06-03 2017-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페달 조작 안전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990A (en) 1910-11-18 1915-10-19 Eugene S Foljambe Pedal-locking mechanism.
US6289763B1 (en) 1995-08-09 2001-09-18 Teleflex Incorporated Electronic adjustable pedal assembly
GB2341151A (en) 1998-08-29 2000-03-08 Rover Group A motor vehicle foot pedal
US6182525B1 (en) 1999-02-25 2001-02-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ovable vehicle pedal apparatus
US6364047B1 (en) 2000-09-27 2002-04-02 Teleflex Incorporated Adjustable pedal assembly—floating floor
EP1444108B1 (de) 2001-11-05 2010-12-2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orrichtung mit zusätzlicher rückstellkraft am gaspedal in abhängigkeit von der sollwert - abweichung eines fahrzeugparameters
US6877394B2 (en) 2001-12-14 2005-04-12 Freightliner Llc Adjustable vehicle throttle pedal and method
JP4458072B2 (ja) 2006-06-28 2010-04-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KR100879061B1 (ko) 2006-12-14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 페달 시스템
KR100844559B1 (ko) 2006-12-14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 페달 시스템
KR100934994B1 (ko) 2008-03-10 2009-12-31 에스엘 주식회사 조절 가능한 페달 시스템
KR100999238B1 (ko) 2008-12-04 2010-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KR101126847B1 (ko) 2009-12-04 2012-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작동모드 구현 펜던트타입 조정식페달장치
GB2477123B (en) * 2010-01-22 2011-12-07 Koopal Farshid An automated vehicle security device
FR2981889B1 (fr) 2011-10-26 2014-01-3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edalier de commande d'embrayage
KR101272927B1 (ko) 2011-11-23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101470145B1 (ko) 2013-04-23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KR101470146B1 (ko) 2013-04-23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KR101428398B1 (ko) 2013-06-24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US20150107402A1 (en) 2013-10-18 2015-04-23 KSR IP Holdings, LLC Adjustable pedal assembly with hysteresis
DE102015201540B4 (de) * 2014-03-07 2018-05-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mit einem automatischen Fahrmodus
US9283934B2 (en) 2014-06-02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brake pedal system
JP6198768B2 (ja) 2015-04-27 2017-09-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ペダル反力付与装置
US9789813B2 (en) 2015-05-26 2017-10-17 Anthony Gralto Vehicle safety alert system
DE102015109810A1 (de) * 2015-06-19 2016-12-22 Hella Kgaa Hueck & Co. Fahrpedal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US10053110B2 (en) 2016-05-06 2018-08-2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ologies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US20180093675A1 (en) 2016-09-30 2018-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ake Alarm For Vehicles With An Autonomous Mode
JP6657160B2 (ja) 2017-10-25 2020-03-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操作システム、車両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310678A1 (en) 2018-04-05 2019-10-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edal Assembly For A Vehicle
DE102018206586B4 (de) 2018-04-27 2020-06-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es mit einem elektrohydraulischen Bremssystem sowie elektrohydraulisches Bremssystem eines Fahrzeuges
US10739011B2 (en) 2018-09-19 2020-08-11 Midea Group Co., Ltd. Retracting and extending control selectors
US11613268B2 (en) 2019-02-26 2023-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erationally customizable smart vehicle access
WO2020180141A1 (en) 2019-03-06 2020-09-10 Mando Corporation Floor mounted brake pedal
WO2020181421A1 (en) 2019-03-08 2020-09-17 SZ DJI Technology Co., Ltd. Techniques for switching between manual and autonomous control for a movable object
US10988097B2 (en) 2019-04-03 2021-04-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tractable pedal assembly for a vehicle
US10913419B2 (en) 2019-06-19 2021-0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oot pedal stowage and concealment system
US10889226B1 (en) 2019-10-14 2021-01-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pedal cover
KR20210059859A (ko) * 2019-11-15 2021-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및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를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
KR20210125733A (ko) * 2020-04-09 2021-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10130296A (ko) 2020-04-21 2021-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10149966A (ko) * 2020-06-02 2021-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KR20210158464A (ko) * 2020-06-23 2021-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더블 페달장치를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의 수동운전모드 전환시 제어방법
KR20220021054A (ko) * 2020-08-12 202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20060242A (ko) * 2020-11-04 2022-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20064791A (ko) * 2020-11-12 2022-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20068300A (ko) * 2020-11-18 2022-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안정화 시스템
KR20230027672A (ko) * 2021-08-19 2023-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더블 전자식 페달장치
KR20230049184A (ko) * 2021-10-05 2023-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페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427A (ko) 2016-06-03 2017-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페달 조작 안전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55477A1 (en) 2022-02-24
US11987118B2 (en) 2024-05-21
DE102021200548A1 (de)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3182A (ko)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KR20210149966A (ko)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KR20220064791A (ko)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20021054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10131007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10125733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US10906514B1 (en) Foldable brake pedal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KR20210059859A (ko)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및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를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
KR20220142256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CN115027261A (zh) 用于车辆的可折叠踏板装置
KR20220061587A (ko) 오르간 타입 전자식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20062831A (ko) 오르간 타입 전자식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10116742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10116743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CN115923505A (zh) 可折叠电子踏板装置
CN115923506A (zh) 电子踏板装置
KR20230035843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30096205A (ko) 오르간 타입 전자식 페달장치
KR20220162516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10120154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US11630476B2 (en) Foldable pedal apparatus for vehicles
KR20230146703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US11630478B1 (en) Foldable pedal apparatus for vehicle
KR102439263B1 (ko) 차량용 가속페달장치
KR102325959B1 (ko) 차량용 가속페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