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921B1 - 차량의 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921B1
KR101459921B1 KR1020130072994A KR20130072994A KR101459921B1 KR 101459921 B1 KR101459921 B1 KR 101459921B1 KR 1020130072994 A KR1020130072994 A KR 1020130072994A KR 20130072994 A KR20130072994 A KR 20130072994A KR 101459921 B1 KR101459921 B1 KR 10145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carrier
housing
pedal arm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김범준
민정선
최지혁
조양래
양희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일단부가 페달 하우징에 연결되어 회동하고, 타단부에 마찰부가 마련되는 페달암; 일단부가 상기 마찰부와 접촉하고, 타단부가 페달패드와 연결되어 페달패드의 작동력을 페달암에 전달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전면부와 페달 하우징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캐리어가 페달 하우징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상기 캐리어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페달 장치{PEDA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페달을 조작하는 운전자에게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하고, 킥 다운의 발생 시점을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박스형 오르간 악셀 페달은 운전석 하부의 차체패널(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페달 하우징, 상기 페달 하우징의 패드결합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서 운전자 발의 조작으로 회전 작동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중간부위가 회전축을 매개로 페달 하우징에 대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페달암, 상기 페달 패드와 상기 페달암의 일단을 연결하는 캐리어, 상기 페달암의 타단과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부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페달암의 회전운동에 탄력적인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의 일단에는 볼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볼을 매개로 페달패드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캐리어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는 엑셀 페달이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개별적인 부품들을 사용되어야 하였으며, 이로 인해 부품수 과다로 조림 공수 및 원가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9-0064209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판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너스프링과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을 제공하는 킥 다운 기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고, 캐리어와 접촉하는 페달암에 마찰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페달 장치는 일단부가 페달 하우징에 연결되어 회동하고, 타단부에 마찰부가 마련되는 페달암; 일단부가 상기 마찰부와 접촉하고, 타단부가 페달패드와 연결되어 페달패드의 작동력을 페달암에 전달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전면부와 페달 하우징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캐리어가 페달 하우징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상기 캐리어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페달암 타단부는 상단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의 일단부는 상기 페달암 타단부의 상단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캐리어가 상하운동을 수행할 때 캐리어의 일단면이 마찰부에 대해 슬라이딩운동을 하면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일단부가 페달 하우징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절곡되어 페달암 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며, 캐리어가 페달 하우징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페달암이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달 하우징에는, 판 스프링의 타단부와 접촉하는 핀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가 페달암과 접촉될 때, 판 스프링의 돌출부는 핀을 축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페달암과 접촉하는 동안 페달암에 상방으로의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다.
페달 하우징 내부의 상단에는 페달암의 상단면과 접촉하는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페달암의 타단부에는 힌지핀이 마련되어 캐리어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의 둘레에 마찰부가 마련되어 페달암이 회동할 때 마찰에 의해 히스테리시스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일단부가 캐리어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캐리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뒤, 타단부가 상측 사선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는 캐리어가 페달 하우징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페달 하우징의 외측 상단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는 페달 하우징과 접촉할 때 캐리어측으로 구부러지면서 동시에 페달 하우징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페달암의 타단부 모서리에는 페달 하우징 내부의 상단면과 접촉하는 완충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페달 장치에 따르면, 판 스프링에 의해 운전자가 킥 다운 감을 느낄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별도의 이너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아도 동일한 역할이 수행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페달암의 타단부에 마찰부가 마련되어 별도의 히스테리시스 제공 장치를 두지 않고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의 조립 공수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달 장치의 킥 다운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달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달 장치의 판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페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달 장치의 구성도로서, 일단부가 페달 하우징(20)에 연결되어 회동하고, 타단부에 마찰부(100)가 마련되는 페달암(10); 일단부가 상기 마찰부(100)와 접촉하고, 타단부가 페달패드(30)와 연결되어 페달패드(30)의 작동력을 페달암(10)에 전달하는 캐리어(40); 및 상기 캐리어(40)의 전면부와 페달 하우징(20)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캐리어(40)가 페달 하우징(20)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상기 캐리어(40)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2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달암(10) 타단부는 상단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40)의 일단부는 상기 페달암(10) 타단부의 상단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캐리어(40)가 상하운동을 수행할 때 캐리어(40)의 일단면이 마찰부(100)에 대해 슬라이딩운동을 하면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캐리어(40)의 일단부는 페달암(10) 타단부의 상단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캐리어(40)의 일단부 또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곡면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캐리어(40)와 페달암(10)의 회동에 대한 상호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히스테리시스는,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캐리어(40)와 페달암(10) 사이에는 마찰부(100)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마찰력은 슬라이딩에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운전자의 페달패드(30) 조작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써 발생하게 된다. 즉, 운전자는 캐리어(40)와 페달암(10)을 서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해 별도의 힘을 더 가해야 하는 것이므로 운전자가 페달패드(30)를 밟을 때는 많은 힘을 요구하게 된다.
반면, 운전자가 페달패드(30)에서 발을 떼는 순간, 페달 하우징(20) 내부에 있던 탄성부재에 의해 페달암(10)은 상방으로 회동하게되고, 상기 마찰부(100)의 마찰력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저항력으로 작용되어 운전자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대해 부담해야 하는 힘 또한 저감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마찰부(100)를 둠으로써 별도의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두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부품수가 축소될 수 있고 전체적인 무게 또한 감소될 수 있으며 구조도 더욱 간결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판 스프링(200)은 일단부가 페달 하우징(2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절곡되어 페달암(10) 측으로 돌출부(220)를 형성하며, 캐리어(40)가 페달 하우징(20)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페달암(10)이 돌출부(220)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판 스프링(200)은 페달 하우징(20)의 상단부에 고정된 부분부터 돌출부(220)를 형성하는 부분까지 충분한 길이를 형성하되, 캐리어(40)가 페달 하우징(20)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즉, 운전자가 킥 다운이 수행될 정도까지 페달패드(30)를 밟게 되는 시점에서 상기 페달암(10)이 돌출부(220)와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길이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220)는 판 스프링(200)의 타단부가 우선 일차적으로 페달암(10) 측으로 절곡된 뒤 절곡된 부분에서 다시한번 하방으로 절곡되어 판 스프링(200)의 끝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 인해서 페달암(10)이 돌출부(220)와 접촉할 때 캐리어(40)를 통해 페달패드(30)로 적당한 정도의 저항력을 제공하게 되므로서 킥 다운시의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와 같이 두번 절곡되는 형상이 아닌, 한번만 절곡되어 판 스프링(200)의 타단부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이 되어있었다면, 캐리어(40)의 패달 하우징(20) 내의 삽입에 대한 큰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킥 다운시의 조작감을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달 장치의 킥 다운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페달 하우징(20)에는, 판 스프링(200)의 타단부와 접촉하는 핀(25)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220)가 페달암(10)과 접촉될 때, 판 스프링(200)의 돌출부(220)는 핀(25)을 축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페달암(10)이 돌출부(220)와 접촉하면, 판 스프링(200)을 후방으로, 즉 핀(25)이 마련된 측으로 밀게 되지만, 타단부가 핀(25)에 걸리면서 밀리지 않게 되므로 결국 돌출부(220)를 핀(25)을 축으로 절곡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는 돌출부(220)를 절곡시키기 위해 더 많은 힘을 페달패드(30)에 가했다가, 돌출부(220)가 절곡되면서 다시 페달패드(30)가 자유로워짐을 느끼게 되어 킥 다운의 조작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20)는 페달암(10)과 접촉하는 동안 페달암(10)에 상방으로의 복원력을 인가하게 되는데, 돌출부(220)가 페달암(10)에 의해 절곡된다 하더라도 영구적으로 절곡되는 것은 아니며, 판 스프링(200)으로서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페달암(10)이 돌출부(220)의 복귀를 저지하는 동안에는 계속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힘, 즉 복원력을 페달암(10) 측에 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부(22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페달암(10)은 상방으로의 힘을 받게 되어 상방으로의 회동이 더욱 수월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캐리어(40)가 페달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되게 되면 돌출부(220)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판 스프링(200)의 구비로 인해, 별도의 킥 다운의 조작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이너 스프링이 하던 역할을 판 스프링(200)이 대신 수행하게 되어 기존의 이너 스프링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구성이 간결해지고 중량 절감 효과 또한 발생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페달 하우징(20) 내부의 상단에는 페달암(10)의 상단면과 접촉하는 댐퍼(3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댐퍼(300)의 구비로 인해 페달암(10)의 타단부가 페달 하우징(20)의 상단면에 충돌함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이 저감될 수 있고 이로인해 운전자에게 더욱 향상된 페달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달 장치의 구성도로서, 일단부가 페달 하우징(20)에 연결되어 회동하고, 타단부에 마찰부(500)가 마련되는 페달암(10); 일단부가 상기 마찰부(500)와 접촉하고, 타단부가 페달패드(30)와 연결되어 페달패드(30)의 작동력을 페달암(10)에 전달하는 캐리어(40); 및 상기 캐리어(40)의 전면부와 페달 하우징(20)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캐리어(40)가 페달 하우징(20)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상기 캐리어(40)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600);을 포함한다.
상기 페달암(10)의 타단부에는 힌지핀이 마련되어 캐리어(40)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520)의 둘레에 마찰부(500)가 마련되어 페달암(10)이 회동할 때 마찰에 의해 히스테리시스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500)는 힌지핀(520)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그 위에 캐리어(4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것이므로 캐리어(40)가 페달 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될 때 캐리어(40)와 힌지핀(520) 사이의 마찰부(500)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는 캐리어(40)의 페달 하우징(20) 내부로의 삽입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운전자는 히스테리시스를 느끼게 된다.
상기 마찰부(500)의 경우 힌지핀(520)의 둘레를 전부 감싸는 것이 아니고, 상단부만 감싸돌고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힌지핀(520)에서 힘을 가장 많이 받는 곳이 바로 힌지핀(520)의 상단이므로 상단부에만 마찰부(500)를 형성하므로 불필요한 비용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달 장치의 판 스프링(60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판 스프링(600)은 일단부가 캐리어(40)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캐리어(4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뒤, 타단부(620)가 상측 사선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타단부(620)는 캐리어(40)의 외측으로 사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캐리어(40)가 페달 하우징(20)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페달 하우징(20)의 외측 상단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캐리어(40)가 페달 하우징(20)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란, 운전자가 킥 다운이 수행될 정도까지 페달패드(30)를 밟게 되는 시점을 말한다.
사선으로 절곡된 부분이 페달 하우징(20)의 외측 상단면과 접촉하기 위하여 캐리어(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판 스프링(600)의 전체 길이는 캐리어(40)와 페달 하우징(20) 사이의 간극을 조금 덮는 정도의 길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캐리어(40)와 페달 하우징(20) 사이의 간극에서 판 스프링(600) 상에 절곡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판 스프링(600)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판 스프링(600)의 타단부(620)는 페달 하우징(20)과 접촉할 때 캐리어(40)측으로 구부러지면서 동시에 페달 하우징(2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게 되는데, 운전자는 판 스프링(600)의 저항력을 이기고 페달패드(30)를 밟아야 하므로 더욱 많은 힘을 요구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의 돌출부(220)를 절곡시킬 때와 같이 킥 다운에 대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600)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페달 하우징(20)의 상단부에 복원력을 인가하게 되고, 이러한 복원력은 캐리어(40)에 상방으로의 힘으로 작용하게 되어 제1실시예에서의 돌출부(220)와 같이 페달암(10)의 회동을 수월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판 스프링(600)의 구비로 인해, 별도의 킥 다운의 조작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이너 스프링이 하던 역할을 판 스프링(600)이 대신 수행하게 되어 이너 스프링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되므로 구성이 간결해지고 중량 절감 효과 또한 발생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페달암(10)의 타단부 모서리에는 페달 하우징(20) 내부의 상단면과 접촉하는 완충댐퍼(700)가 설치되는데, 완충댐퍼(700)의 구비로 인해 페달암(10)의 타단부가 페달 하우징(20)의 상단면에 충돌함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이 저감될 수 있고 이로인해 운전자에게 더욱 향상된 페달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페달 장치에 따르면, 판 스프링(200,600)에 의해 운전자가 킥 다운 감을 느낄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판 스프링(200,600)의 탄성에 의해 별도의 이너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아도 동일한 역할이 수행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페달암(10)의 타단부에 마찰부(100,500)가 마련되어 별도의 히스테리시스 제공 장치를 두지 않고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의 조립 공수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페달암 20 : 페달 하우징
25 : 핀 30 : 페달패드
40 : 캐리어 100,500 : 마찰부
200,600 : 판 스프링 220 : 돌출부
300 : 댐퍼 520 : 힌지핀
620 : 타단부 700 : 완충댐퍼

Claims (10)

  1. 일단부가 페달 하우징에 연결되어 회동하고, 타단부에 마찰부가 마련되는 페달암;
    일단부가 상기 마찰부와 접촉하고, 타단부가 페달패드와 연결되어 페달패드의 작동력을 페달암에 전달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전면부와 페달 하우징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캐리어가 페달 하우징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상기 캐리어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판 스프링은 일단부가 페달 하우징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절곡되어 페달암 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며, 캐리어가 페달 하우징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페달암이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암 타단부는 상단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의 일단부는 상기 페달암 타단부의 상단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캐리어가 상하운동을 수행할 때 캐리어의 일단면이 마찰부에 대해 슬라이딩운동을 하면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하우징에는, 판 스프링의 타단부와 접촉하는 핀이 마련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돌출부가 페달암과 접촉될 때, 상기 돌출부는 핀을 축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페달암과 접촉하는 동안 페달암에 상방으로의 복원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페달 하우징 내부의 상단에는 페달암의 상단면과 접촉하는 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암의 타단부에는 힌지핀이 마련되어 캐리어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의 둘레에 마찰부가 마련되어 페달암이 회동할 때 마찰에 의해 히스테리시스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
  7. 일단부가 페달 하우징에 연결되어 회동하고, 타단부에 마찰부가 마련되는 페달암;
    일단부가 상기 마찰부와 접촉하고, 타단부가 페달패드와 연결되어 페달패드의 작동력을 페달암에 전달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전면부와 페달 하우징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캐리어가 페달 하우징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상기 캐리어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판 스프링은 일단부가 캐리어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캐리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뒤, 타단부가 상측 사선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캐리어가 페달 하우징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페달 하우징의 외측 상단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페달 하우징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가 페달 하우징과 접촉할 때,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는 캐리어측으로 구부러지면서 동시에 페달 하우징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
  10.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암의 타단부 모서리에는 페달 하우징 내부의 상단면과 접촉하는 완충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달 장치.
KR1020130072994A 2013-06-25 2013-06-25 차량의 페달 장치 KR10145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994A KR101459921B1 (ko) 2013-06-25 2013-06-25 차량의 페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994A KR101459921B1 (ko) 2013-06-25 2013-06-25 차량의 페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921B1 true KR101459921B1 (ko) 2014-11-07

Family

ID=5228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994A KR101459921B1 (ko) 2013-06-25 2013-06-25 차량의 페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8683A (zh) * 2016-03-30 2016-08-03 东南大学 一种卧式油门踏板机械结构
JP2019101574A (ja) * 2017-11-29 2019-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899A (ja) * 2003-06-05 2005-01-20 Mikuni Corp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0718541B1 (ko) * 2005-12-13 2007-05-15 주식회사 동희산업 기계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KR100724700B1 (ko) * 2006-06-15 2007-06-04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0999238B1 (ko) * 2008-12-04 2010-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899A (ja) * 2003-06-05 2005-01-20 Mikuni Corp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0718541B1 (ko) * 2005-12-13 2007-05-15 주식회사 동희산업 기계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KR100724700B1 (ko) * 2006-06-15 2007-06-04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0999238B1 (ko) * 2008-12-04 2010-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8683A (zh) * 2016-03-30 2016-08-03 东南大学 一种卧式油门踏板机械结构
CN105818683B (zh) * 2016-03-30 2018-03-20 东南大学 一种卧式油门踏板机械结构
JP2019101574A (ja) * 2017-11-29 2019-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28574B (zh) 加速踏板的踏板力调整装置
JP5364162B2 (ja) 扉開閉装置
US8973719B2 (en) Mounting system for disk brake pad
KR101419208B1 (ko) 차량의 페달 조립체
JP7199446B2 (ja) 抵抗ベースの触覚デバイス
EP1154347A3 (en) Pedal mechanism
US8445765B2 (en) Keyboard device
JP6314178B2 (ja) ヒンジ及びその制動装置
CA2523860A1 (en) Accelerator pedal for motorized vehicle
KR101459921B1 (ko) 차량의 페달 장치
JP2018112632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KR101526730B1 (ko)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의 답력 균일화 장치
US9266507B2 (en) Adjustable brake pedal system
SE1650657A1 (en) A pedal feel simul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1050775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JP2020063749A (ja) ダンパ付きヒンジ
JP2016142005A (ja) ドアハンドルユニット
US9255615B2 (en) Clutch pedal apparatus for vehicle for reducing effort
KR101470187B1 (ko)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
KR101755998B1 (ko)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100580503B1 (ko) 클러치페달의 스프링 지지구조
KR101272926B1 (ko)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20190081759A (ko) 차량용 페달 장치
JP2009145730A (ja) 鍵盤装置
JP2001336559A (ja) ロータリー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