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402B1 - 부품 공급기 및 단자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공급기 및 단자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402B1
KR100994402B1 KR1020057017298A KR20057017298A KR100994402B1 KR 100994402 B1 KR100994402 B1 KR 100994402B1 KR 1020057017298 A KR1020057017298 A KR 1020057017298A KR 20057017298 A KR20057017298 A KR 20057017298A KR 100994402 B1 KR100994402 B1 KR 10099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eal
accommodated
recess
sensor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894A (ko
Inventor
히로시 고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데라덴시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데라덴시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데라덴시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0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25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having spherical roll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6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sliding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soldering or welding conne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원반 모양의 회전체(28)의 외주부에 수용 오목부(27)을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한다. 베이스(26)에 회전체(28)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함과 아울러 회전체(28)의 외주 외측에는 원통 모양의 커버(29)를 형성한다. 방수 시일(46)을 수용 오목부(27)에 수용하는 수용영역으로부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 제1브러시(31), 제2브러시(32)를 커버(29)에 부착하고, 더욱 하류측에 검출수단, 취출장치(35)를 베이스(26)에 순차적으로 부착한다.

Description

부품 공급기 및 단자 압착장치{PARTS FEEDER AND TERMINAL PRESS-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부품 공급기 및 단자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착 방향성(付着 方向性)이 있는 방수 시일(防水seal)을 용이하게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공급할 수 있는 부품 공급기 및 단자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의 전송 케이블 등의 단말부(端末部)의 가공 처리를 하는 것으로서 단자 압착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전송 케이블의 단말부의 절단(切斷), 스트립(strip(피복재(被覆材)의 제거)), 꼬기, 솔더링(soldering) 및 접속단자의 압착 등의 가공을 고정밀도로 하고 또 단시간에 하는 것이다. 또한 전송 케이블의 방수 대책으로서 사용되는 방수 시일은, 이 단자 압착장치에 의하여 전송 케이블의 단말부에 삽입 가공되고 있다.
이 방수 시일은 일반적으로는 전체가 통 모양으로 되어 있고, 축 방향 전단측(前端側)은 작은 직경의 원통부(圓筒部)로 되어 있고, 축 방향 중 앙보다 후단측은 큰 직경의 주름상자모양 통부로 되어 있다. 이 전단측의 원통부의 외주(外周)에는 접속 단자의 후단부에 형성된 고정편(固定片)이 휘어져 고정되어, 이에 따라 방수 시일이 전송 케이블의 피복재 표면에 수밀(水密)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접속단자로부터 방수 시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큰 직경의 주름상자모양 통부는, 상기 둘레방향으로 연속하는 홈 내에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내주면이 결합해 수밀하게 시일(seal) 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커넥터에 대하여 접속단자의 설치측으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 압착장치에 있어서 방수 시일의 삽입 가공을 하는 때에는, 방수 시일의 이동경로를 구비해 삽입 가공 위치까지 방수 시일을 이동시키는 직진 공급기(直進 供給機)와, 방수 시일을 수용하여 직진 공급기에 방수 시일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기(部品 供給機)가 구비된다. 이들은 방수 시일을 자동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수 시일을 적절하게 이동시키는 직진 공급기로서, 본 출원인이 제안한 「진동식 부품 공급기(振動式 部品 供給機)」가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310216호). 이것은 진동 기구를 구비하고 이동경로에 소정 주기의 진동을 가함으로써 방수 시일을 이동시키는 것이며, 또한 진동의 진폭을 정기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도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 시일의 공급이 중단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부품 공급기는, 일반적으로 진동 기구를 구비하고 내면측에 나선(螺旋) 모양의 정렬 계단부(整列 階段部)가 형성된 원형 보울(圓形 bowl) 모양 의 보울식 부품 공급기, 또는 회전기구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들어 올리기 날개편이 형성된 밑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모양의 회전 드럼체식(回轉 drum體 式) 부품 공급기(특허공보 제2909689호 「전선단말 처리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는 진동 기구의 진동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방수 시일을 정렬 계단부를 따라 상승시키고, 방수 시일을 순차적으로 직진 공급기의 이동경로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후자는 회전 드럼체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방수 시일이 쓸어 올려 날개편에 의하여 들어 올려져, 직진 공급기의 일단부(一端部) 상으로 자연 낙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보울식 부품 공급기는 상기 지름이 커지게 되면, 다른 기기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직진 공급기의 이동경로를 길게 할 필요가 있어 단자 압착장치가 대형화되고 있다. 또한 이동경로가 길어지면 방수 시일이 도중에 걸릴 우려도 많아진다. 한편 회전 드럼체식 부품 공급기는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방수 시일의 양에 대응하여 들어 올려지는 방수 시일의 양도 변화되고, 직진 공급기에 대하여 방수 시일이 안정하게 공급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방수 시일을 보급하는 경우에는 회전 드럼체를 떼어내서 보급할 필요가 있어 상기 작업은 시간이 걸림과 아울러 번거로웠다.
여기에서 본 출원인은 이전의 출원에 있어서 제7도에 나타나 있는 부품 공급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 부품 공급기100은 상부에 방수 시일을 저장하는 호퍼부(hopper部)101을 구비하고, 호퍼부101의 배출구102 근방에는 방수 시일을 유도하는 안내판10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안내판103과 협 동 하여 배출구로부터의 방수 시일을 받는 브러시104가 구비되어 있고, 이 브러시104는 구동제어부105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브러시104의 회전을 따라 소정량의 방수 시일이 배출구102에서 배출되고 안내판103에 유도되어서 직진 공급기106 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직진 공급기106에 공급된 방수 시일은 직립 상태(直立 狀態)로 직진 공급기106 상에 공급된다.
출원인은 본원 출원시에 있어서 이상의 종래기술이 기재되어 있는 문헌으로서 이하의 것을 알고 있다.
일본 특허출원2001-399697
그러나 상기의 부품 공급기에 있어서도, 방수 시일을 단자 압착장치의 삽입 가공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직진 공급기를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단자 압착장치로서는 직진 공급기 및 부품 공급기를 구비한 것이 되어 장치가 대형화함과 아울러 비용이 높게 되어 있었다.
또한 이 직진 공급기는 방수 시일을 직립 상태로 이송하는 것으로, 부품 공급기는 방수 시일을 직립 상태로 직진 공급기의 이동경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안내판의 설치 각도, 안내판과 브러시와의 간격 등을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방수 시일이 직립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어, 이 조정 작업은 번거로운 것이었다. 또한 방수 시일의 형상이나 크기를 변경할 때마다 조정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이 점에 있어서도 범용성이 낮게 되어 있었다.
또한 방수 시일의 형상이 전단과 후단에서 크게 다른 것에 대하여는, 주름상자모양 통부를 하측으로 하여 방수 시일을 직립 상태로 하여도 비교적 전도(顚倒)하기 어려우므로 직진 공급기에 의하여 이송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접속단자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그에 따라 접속단자의 방수 시일도 소형·작은 직경의 것이 요구되고 있고, 방수 시일의 형상이 축방향에 대하여 크게 변화하지 않는 형상의 경우에는 방수 시일을 직립 상태로 했을 경우에 불안정하게 되어 전도되기 쉽게 된다. 그 때문에 직진 공급기에 의하여 이송을 하면 직진 공급기의 이동경로 상에서 방수 시일이 전도해버려 이동경로가 막혀 버리거나, 직진 공급기로부터 그 다음의 공정으로 방수 시일을 반송할 수 없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소형·작은 직경의 방수 시일도 이송할 수 있는 부품 공급기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에 비추어 방수 시일의 종류에 상관없이, 간단한 구조로 방수 시일을 소정의 방향을 향하게 하여 다음 공정으로 반송할 수 있는 부품 공급기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부품 공급기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원반 모양의 회전체로 이루어지고 방향성을 구비하는 방수 시일을 수용하는 받침부와, 그 받침부의 외주부에 그 받침부의 축직각방향 외측 및 상면으로 개방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방수 시일을 그 선단이 상기 받침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와, 그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상기 방수 시일의 상기 받침부의 축직각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그 받침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커버와, 그 커버의 내주면으로 개구하는 취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상기 방수 시일을 상기 받침부의 축직각방향으로 꺼내는 취출수단과, 상기 받침부를 회전운동 시킴으로써 상기 수용 오목부를, 상기 방수 시일이 상기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는 수용영역으로부터 상기 취출수단까지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그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용영역으로부터 상기 취출수단까지 이동하는 상기 방수 시일의 내에, 상기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방수 시일을 상기 취출수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배제하는 배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수용 오목부」로는, 구체적인 구성을 결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방수 시일을 소정의 방향으로만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상 및 깊이라도 좋다. 또한 「취출수단」으로는, 구체적인 구성을 결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마이너스압에 의하여 흡인함으로써 꺼내는 것」, 「막대 등을 접촉시켜서 밀어냄으로써 꺼내는 것」, 「파지함으로써 꺼내는 것」, 「꼬챙이로 찌름으로써 꺼내는 것」, 「풍압에 의하여 꺼내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배제수단」으로는, 구체적인 구성을 결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방수 시일보다 높은 위치에 플레이트나 브러시 등의 접촉수단을 설치하고,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에 접촉시켜서 상기 방수 시일을 배제하는 것」, 「수용 오목부를 형성한 받침부를 소정 각도 이상의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에 중력을 작용시켜서 배제하는 것」, 「수용 오목부를 형성한 받침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에 원심력을 작용시켜서 배제하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방수 시일에 접촉시키는 것으로는, 접촉에 의하여 방수 시일을 상하게 하거나 파손하거나 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품 공급기에 의하면, 방향성을 구비한 방수 시일은, 받침부에 의하여 수용되고, 그리고 받침부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에 수용됨으로써 소정방향으로 향하여지고 그 상태에서 취출수단에 의하여 꺼내진다. 즉 방수 시일은 소정의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는 일은 없으므로,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방수 시일을 꺼내는 것만으로 방수 시일을 소정의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받침부에 방수 시일을 소정의 방향으로만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방수 시일을 소정의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공급기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시일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변경하는 방수 시일에 맞춘 형상의 수용 오목부를 형성한 받침부로 교환하는 것만으로 좋고, 간단한 작업으로 용이하게 다품종의 방수 시일에 대응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한 부품 공급기로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종류의 방수 시일이 섞여서 받침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 같은 경우이더라도 수용 오목부를 가장 작은 방수 시일로 맞춤으로써 섞여 있는 방수 시일 중에서 가장 작은 방수 시일을 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수용 오목부를 다르게 한 복수의 부품 공급기를 조합시킴으로써 다품종의 방수 시일에 동시에 대응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부품 공급기에 의하면, 이동수단에 의하여 수용 오목부를 수용영역으로부터 취출수단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수용영역과 취출수단을 별도의 장소에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영역에 있어서 방수 시일을 받침부에 투입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방수 시일을 보급할 때에 장치를 정지시키거나 할 필요가 없어져 방수 시일의 보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수단에 의하여 수용영역과 취출수단의 사이에 거리를 확보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그 이외의 장치를 배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압착 단자장치 전체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부품 공급기를 구비한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부품 공급기에 의하면, 배제수단에 의하여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취출수단에 있어서,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방수 시일의 위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이 겹치거나 하여 취출수단에 의하여 꺼내는 경우에, 취출의 방해가 되거나 잘 못하여 수용되어 있지 않은 방수 시일을 꺼내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품 공급기에 의하면, 받침부를 원반 모양의 회전체로 하고 또한 이동수단을 회전체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하고 있기 때문에, 받침부를 왕복 운동시킬 필요가 없고 이동수단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를 벨트 모양으로 하거나 할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의 외주 부근에 수용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이 원심력에 의하여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의 외주부로 밀려오므로, 빈 수용 오목부에 대하여 방수 시일이 수용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부품 공급기는, 상기 수용 오목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위치결정공(位置決定孔)을 검출하기 위한 제1센서와, 상기 수용 오목부에 형성된 슬릿을 검출하기 위한 제2센서를 구비한 수용검출수단과, 그 수용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가, 상기 제1센서에 의하여 상기 위치결정공을 검출하고 또 상기 제2센서가 상기 슬릿을 비검출(非檢出)할 때에, 상기 수용 오목부에 상기 방수 시일이 수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취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수용검출수단」으로는, 구체적인 구성을 조금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수용 오목부 내의 방수 시일이 발광부에서의 빛을 막거나 또는 발광부에서의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검출하는 것」, 「수용 오목부 내에 접촉식의 스위치를 설치해 두고 수용 오목부 내의 방수 시일을 검출하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으로는, 구체적인 구성을 조금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CPU, RAM, ROM 그 이외의 입출력 디바이스 등을 구비한 소위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을 부품 공급기를 구비한 다른 장치의 제어수단으로 겸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부품 공급기에 의하면, 수용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제어수단은 취출수단을 제어하도록 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용 오목부에 방수 시일이 수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 후에, 수용 오목부에 방수 시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출수단을 작동시켜서 방수 시일을 꺼내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방수 시일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취출수단은 작동하는 일이 없으므로 취출수단이 쓸데 없는 움직임을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꺼내므로 확실하게 방수 시일을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부품 공급기는, 상기 이동수단은,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취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방수 시일을 꺼낼 때에 상기 받침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품 공급기에 의하면, 방수 시일을 꺼낼 때에, 받침부의 회전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고, 취출수단에 의하여 방수 시일을 그 축방향으로 대략 똑바르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단자 압착장치는, 상기 발명에 기재된 부품 공급기를 구비하고, 전송 케이블의 단말부(端末部)에 상기 부품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방수 시일을 삽입시킴과 아울러 접속단자를 장착하여 압착가공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자 압착장치에 의하면, 단자 압착장치에 상기에 기재된 부품 공급기를 구비시킴으로써 단자 압착장치의 생산 능력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단자 압착장치의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부에 방수 시일을 소정의 방향으로만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방수 시일을 꺼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 시일의 종류에 상관없이 간단한 구조로 방수 시일을 소정의 방향을 향하게 하여 다음 공정으로 반송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부품 공급기를 구비한 단자 압착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2도는 부품 공급기9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1) 및 그 측면도(2)이며,
제3도는 부품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4도는 제2도(2)에 있어서 화살표A의 방향에서 부품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제5도는 수용 오목부 및 위치결정공(位置決定孔)과 검출수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제6도는 취출장치의 취출구 부근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7도는 종래의 부품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단자 압착장치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단자 압착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단자 압착장치1은 전선L의 반송, 방수 시일의 삽입, 피복재의 제거, 접속단자의 압궤(壓潰) 및 전선L의 절단을 일련의 동작으로 하고, 일방의 단부(端部)에 방수 시일이 삽입됨과 아울러 양단(兩端)에 접속단자가 압착된 소정의 길이의 전선L을 연속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압착장치1은 전선L의 선단측에 접속단자를 압착시키기 위한 제1압착기 본체2와, 전선L의 후단측에 접속단자를 압착시키기 위한 제2압착기 본체3과, 전선L을 절단함과 아울러 전선L의 단부의 피복재를 제거하는 절단기구4와, 전선L의 선단측을 제1압착기 본체2로 반송하는 전선이송기구5와, 절단 후의 전선L을 지지해 전선L의 후단측을 제2압착기 본체3으로 반송하는 척 기구(chuck 機構)6과, 전선L의 선단측에 방수 시일을 삽입하는 삽입기구7과, 삽입기구7에 방수 시일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기9를 구비하고 있다.
제1압착기 본체2와 제2압착기 본체3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1압착기 본체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압착기 본체2는 길이방향이 수직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는 지주부재(支柱部材)10과, 지주부재10의 상측에 설치되고 동력기구(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 운동하는 플레이트11과, 지주부재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대(基台)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주부재10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대략 ㄷ자 모양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1에는, 조절기구(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와 압력센서13을 사이에 두고 가압부재14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14는 플레이트1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조절기구에 의하여 하방으로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가압부재14는 플레이트11과 일체가 되어서 상하 운동한다.
기대12는 대략 상면의 전체가 평면으로 되어 있고, 가압부재14의 하방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오목한 모양의 앤빌(anvil)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대12의 앤빌15에 접속단자가 공급된 상태에서 동력기구를 구동시키면, 가압부재14가 플레이트11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고, 가압부재14의 선단과 기대12에 형성된 앤빌15가 맞물려서 접속단자를 압궤한다. 또한 가압부재14와 앤빌15의 사이에서 접속단자를 압궤할 때에 가압부재14에 증가하는 압력은 압력센서13에 의하여 검출된다.
제1압착기 본체2에서는 전선L과 접속단자와의 결합강도 및 접촉저항의 허용 기준이 되는 범위를 미리 정하고, 압력센서13이 검출(檢出)하는 압력의 변화를 분석하여, 접속단자가 전선 단말부에 압착되는 상태에 의하여 전선L과 접속단자 사이의 결합강도 및 접촉저항이 허용 범위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압력센서13이 검지하는 압력의 분석 결과가 압착 불량을 나타낼 경우에 즉 검지되는 압력이 허용 범위 사이에서 일탈 하는 경우에는 불량품으로서 제외된다.
또한 제1압착기 본체2는 접속단자를 기대12의 앤빌15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단자반송수단(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을 구비하고 있다. 단자반송수단은 일련으로 연결된 접속단자를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가압부재14의 동작에 연동되어 있다. 즉 단자반송수단은 접속단자의 압궤가 종료된 후에, 가압부재14를 초기의 위치로 되돌리는 동작에 따라 일련으로 연결된 접속단자를 이동시킨다.
절단기구4는 전선L의 절단이나 전선L의 단부의 피복재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두개 칼날(상도(上刀)·하도(下刀))과, 상도를 하도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도와 하도 사이에 전선L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도가 하도에 접촉하도록 이동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전선L이 절단된다. 또한 전선L의 단부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하도록 상도와 하도 사이에 전선L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도와 하도의 간격이 전선L의 심선의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가 되도록 이동수단을 이동시키고, 계속하여 전선이송기구5 혹은 척 기구6에 의하여 전선L을 잡아 당김으로써 전선L의 단부의 피복재가 제거된다.
전선이송기구5는 전선인입 가이드16, 롤러17 및 가이드 파이프18이 원형판19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 롤러17은 롤러 구동수단(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전선L을 임의의 길이만큼 이송할 수 있다. 전선인입 가이드16을 통하여 인입된 전 선L은 롤러17에 의하여 가이드 파이프18 내로 반송되고 또 가이드 파이프18의 선단으로 유도된다.
또한 전선이송기구5의 원형판19는 모터 등을 구비하는 회전수단(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에 의하여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한다. 즉 회전수단에 의하여 원형판19가 회전하면 가이드 파이프18의 선단 위치가 변위하고, 소정 각도의 회전에 의하여 가이드 파이프18의 선단이 제1압착기 본체2의 앤빌15에 닿는다. 이 상태에서 롤러17에 의하여 전선L을 반송하면, 전선L의 선단이 앤빌15 상에 재치된 접속단자의 소정의 부위에 삽입된다.
척 기구6은 절단기구4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지지수단, 이동수단 및 반송수단(모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수단은 반송수단의 선단에 설치되고 전선L을 삽입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수단은 지지수단이 호(弧)를 그리도록 지지수단 및 반송수단을 소정의 범위내에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지지수단에 의하여 전선L이 지지된 상태에서 전선L의 후단 측을 절단기구4측으로부터 제2압착기 본체3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반송수단은 지지수단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제2압착기 본체3의 앤빌 상에 재치된 접속단자의 소정의 부위에 전선L의 후단측을 반송함과 아울러, 접속단자의 압궤 후에 접속단자가 압착된 전선L을 앤빌로부터 배출한다.
삽입기구7은, 방수 시일을 협지(挾持)하는 한 쌍의 파지 폴(把持 pawl)20과 파지 폴20의 이동기구(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를 구비하고, 파 지 폴20을 방수 시일의 삽입 가공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암(支持arm)21과 지지 암21이 장착되는 상판(上板)22와 상판22를 통하여 지지 암21을 수평축선과 평행하게 지지하는 지주부재(支柱部材)2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 암21은 부품 공급기9로부터 공급된 방수 시일을 90°회전시켜서 방수 시일의 전단측이 위를 향하는 직립 상태로 하는 방향전환 기구(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와, 방향전환 기구로부터 방수 시일을 집는 캐리 핀(carry pin)(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단측이 전선이송기구5를 향하도록 캐리 핀에 의하여 집어진 방수 시일을 캐리 핀마다 회전시키고 그 상태에서 방수 시일을 파지 폴20이 받는다. 그리고 방수 시일을 받은 파지 폴20은 방수 시일을 협지한 상태로 이동기구에 의하여 삽입 가공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런데 단자 압착장치1은 조작부24를 구비하고 있어 작업자는 조작부24로부터 전선L의 반송, 방수 시일의 삽입, 피복재의 제거, 접속단자의 압착 및 전선L의 절단 등의 일련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내용 등에 따라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의 다양하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부품 공급기9의 구성에 대하여 제2도 및 제3도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1)은 부품 공급기9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제2도(2)는 부품 공급기9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제3도는 부품 공급기9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부품 공급기9는 상방에서 투입된 방수 시일을 소정의 방향을 향한 상태로 삽입기구7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품 공급기9는 상면(上面)을 소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하고 단자 압착장치1의 부착 베이스8(제1도 참조)에 설치되는 기대부(基台部)25와, 기대부25의 상면에 부착되는 베이스26과, 베이스26의 상면에 형성되고 방수 시일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오목부27이 형성된 원반 모양의 회전체28과, 회전체28의 외주를 둘러싸는 원통 모양의 커버29와, 기대부25 상면의 뒷편에 설치되고 회전체28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30과, 회전체28의 상면에 설치된 제1브러시31 및 제2브러시32와, 회전체28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센서33 및 제2센서34와, 회전체28의 외주 좌측(도면상)에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된 방수 시일을 꺼내는 취출장치35를 구비하고 있다. 또 부호46은 방수 시일이다.(제5도 참조)
기대부25는 판자 모양의 판금을 절곡 성형(折曲 成形)한 것으로서, 상기 상면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대부25의 좌우 양단부 근방에는 각각 지지 플레이트36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 플레이트36에 의하여 상면이 지지되어 있다. 이 기대부25의 상면에는 사각형판자 모양의 베이스26이 설치되어 있다.
기대부25 상면의 뒷편에는, 중앙 부근에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로 이루어지는 모터30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모터30의 회전축37은 기대부25 상면 및 베이스26을 관통하고, 베이스26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26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전축37에 회전체28이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고, 회전체28은 회전축37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체28은 베이스2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회전체28은 모터30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 회전체28은 본 발명의 받침부에 해당하고 또한 회전체28 및 모터30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에 해당한다.
이 회전체28의 상면에는 그 외주를 따라 복수의 수용 오목부27이, 방수 시일46의 선단측이 회전체28의 중심을 향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예의 경우에 이 수용 오목부27은 60개 설치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수용 오목부27은 회전체28의 상면측이 개구(開口)하는 오목형상을 이루고, 그 깊이는 방수 시일46 전체가 수용 오목부27에 대략 들어가는 깊이로 하고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수용 오목부27의 형상은 방수 시일46의 외형 형상보다 약간 큰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방수 시일46이 정해진 방향으로만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7은 상기 후단측이 회전체28의 외주에 있어서, 축의 직각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된 방수 시일46이 회전체28의 축 직각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커버29의 내주면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27에는 상기 축방향(회전체28의 축 직각방향)을 따라 회전체28이 관통하도록 슬릿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38을 통하여 후술하는 제2센서34의 센싱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28에는 수용 오목부27과 회전체28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수용 오목부27의 내주측에 소정의 거리를 이간한 위치에 위치결정공(位置決定孔)39가 회전체28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위치결정공39는 수용 오목부27에 대응한 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공39를 통하여 후술하는 제1센서33의 센싱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고, 상기한 제2센서34의 센싱과 함께 수용 오목부27에 방수 시일46이 수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커버29는 원통모양을 하고 회전체28의 외주 외측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29는 그 바닥에 있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부착 플랜지(付着flange)40이 원주 방향으로 4곳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부착 플랜지40을 통하여 커버29가 베이스26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커버29의 상부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작업자가 위치하는 쪽, 즉 제2도(2) 중 좌측이 약간 내려가는 것 같은 각도로 절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29의 상부 개구는 커버29를 축 직각방향으로 절단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그 개구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또 회전체28과 커버29의 사이에는 조금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체28의 외주가 커버29의 내주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커버29의 내주면에는 제1브러시31 및 제2브러시32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제1브러시31 및 제2브러시32는 그 브러시의 선단이 회전체28의 상면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제1브러시31은 회전체28의 회전 방향에 대 하여 상류측, 상세하게는 회전체28의 중심에 대하여 오른쪽 위의 비스듬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브러시32는 제1브러시31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체28의 정상부보다 약간 왼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브러시31 및 제2브러시32에 의하여, 회전체28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46이 회전체28의 회전을 따라 그 회전 방향의 하류측으로 이동할 때에, 회전체28 상면에 재치되어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46이 브러시와 접촉하여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과 아울러 하류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46을 배제하는 것이다. 또 본 예에 있어서 제1브러시31 및 제2브러시32는 본 발명의 배제수단에 해당한다.
제1센서33 및 제2센서34는 발광부(發光部)와 수광부(受光部)를 구비하는 광센서로 이루어지고, 회전체28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베이스26에 고정된 부착 스테이(付着stay)4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1센서33 및 제2센서34는 회전체28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센서33은 회전체28의 위치결정공39를 검출하는 것이고, 제2센서34는 수용 오목부27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센서33, 34로부터의 검출신호는 제어수단(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에 보내지게 되어 있다.
제어수단은 제1센서33 및 제2센서34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수용 오목부27에 방수 시일46이 수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를 제어수단에 설치한 기억부(記憶部)에 각 수용 오목부27마다 각각 기억시킨다. 또한 제어수단은 그 기억부에 기억된 내용을 기초로 모터30의 회전·정지의 제어 및 취출장치35로 압축 공기를 보내는 밸브(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의 개폐 제어를 하고,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된 방수 시일46의 취출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기대부25의 상면 및 베이스26의 제1센서33 및 제2센서34의 센싱 경로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각각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 제1센서33 및 제2센서34의 센싱이 지장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예의 제1센서33 및 제2센서34는 본 발명의 수용검출수단에 해당한다. 취출장치35는 제2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체28의 좌측에서 베이스26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외형이 가늘고 긴 원통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취출장치35의 전단측(前端側; 도면 중에서 우측)에는 커버29의 내주면으로 개구하는 취출구42(제6도 참조)를 구비하는 유입부4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유입부43을 통하여 취출장치35가 베이스26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취출장치35의 후단측에는 이송 튜브44가 부착되어 있고, 이 이송 튜브44는 삽입기구7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취출장치35에는 그 중간부 부근에 있어서 에어 튜브4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에어 튜브45의 일방의 단부에는 밸브(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가 부착되어 있고, 이 밸브의 개폐 동작에 의하여 에어 튜브45에 압축 공기가 반송되게 되어 있다.
이 취출장치35는 마이너스압(負壓)을 발생시켜서 흡인(吸引)함으로써 수용 오목부27로부터 방수 시일46을 꺼내는 것으로서, 이 취출장치35의 내부는 유입부43으로의 통로와 이송 튜브44로의 통로가 방수 시일46을 삽입시킬 수 있는 크기의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에어 튜브45로의 통로는 취출장치35 내에서 그 방향이 이송 튜브44로의 통로와 연결되도록 직각으로 구부려져 있다. 그 때문에 에어 튜브45에서 보내진 압축 공기가 이송 튜브44 내로 보내져, 그 압축 공기의 이동에 의하여 유입부43에서의 통로측이 마이너스압이 된다. 그리고 유입부43의 내부가 마이너스압이 되어 취출구42에 있어서 흡인력이 발생하고, 그 흡인력에 의하여 취출구42의 전면에 위치한 방수 시일46이 취출구42 내로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방수 시일46은 취출장치35 내를 빠져나가서 이송 튜브44 내로 반송되고 압축 공기의 이동과 함께 방수 시일46은 삽입기구7에 공급된다.
다음에 본 예의 부품 공급기9의 동작에 대하여 제4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제2도(2)에 있어서 화살표A의 방향에서 본 부품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5도는 수용 오목부 및 위치결정공과 검출수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제6도는 취출장치의 취출구 부근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버29의 상부 개구로부터 방수 시일을 회전체28의 상면으로 투입한다. 그리고 회전체28은 모터30에 의하여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체28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회전체28 상의 방수 시일46이 전동(轉動) 함과 아울러 회전체28의 회전운동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방수 시일46은 회전체28의 외주측으로 밀려간다. 또한 회전체28은 경사져 있고, 이에 따라 방수 시일46은 회전체28의 하측으로 밀려온다. 한편 회전체28의 외주에는 커버29를 설치하여 이 커버29에 의하여 회전체28의 외주보다 외측으로는 나갈 수 없고, 회전체28의 회전운동과 회전체28의 경사에 의하여 제4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방수 시일46은 회전체28의 중심으로부터 하방 우측으로 밀려간다. 밀려간 이 영역이 본 발명의 수용영역에 해당한다.
이 수용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방수 시일46은 각각 불규칙하게 전동하고 있고, 이에 따라 방수 시일46의 방향이 회전체28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27의 수용 방향과 일치하면 방수 시일46은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된다. 그리고 방수 시일46을 수용한 수용 오목부27은 회전체28의 회전을 따라, 수용영역으로부터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되지 않고 회전체28의 상면에 재치된 채의 방수 시일46도 회전체28의 회전을 따라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하지만, 수용영역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1브러시31이 하류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46을 상류측으로 배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된 방수 시일46은 제1브러시31에 의하여 이동이 저지되는 일은 없고 제1브러시31의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본 예에 있어서는, 제1브러시31의 하류측에 또 제2브러시3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제2브러시32에 있어서도 제1브러시31과 동일한 작용을 한다. 그 밖에 제2브러시32는, 방수 시일을 회전체28 위로 투입했을 때에 제1브러시31의 하류측의 회전체28 상면에 방수 시일46이 놓인 경우에도, 그 방수 시일46이 취출장치35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된 방수 시일46은 회전체28의 회전을 따라, 제5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용검출수단을 구성하는 제1센서33 및 제2센서34를 설치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들 제1센서33 및 제2센서34의 검출결과는 제어수단으로 보내져, 제어수단에 있어서 그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수용 오목부27에 방수 시일46이 수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있다. 여기에서 그 판단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센서는 수광부가 발광부로부터의 빛을 수광하면 「ON」, 수광하지 않으면 「OFF」로 하여 설명한다.
제1센서33의 위치에 위치결정공39가 위치하면 제1센서33은 ON이 된다. 그리고 제어수단에서는 제1센서33이 ON일 때에 수용 오목부27이 검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제2센서34의 검출 상태를 본다. 이 때에 수용 오목부27에 방수 시일46이 수용되어 있으면, 제2센서34는 OFF가 된다. 즉, 수용 오목부27에 방수 시일46이 수용되어 있을 때에는 제1센서33이 ON, 제2센서가 OFF가 되고, 제어수단은 수용 오목부27이 방수 시일46을 수용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수용 오목부27이 방수 시일46을 수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센서34는 ON이 된다. 여기에서 제어수단은 제1센서33이 ON, 제2센서가 ON일 때에 수용 오목부27이 방수 시일을 수용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 한다.
그런데 제1센서33이 OFF인 경우에 즉 제1센서33이 위치결정공39를 검출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수용 오목부27이 센서를 설치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이므로, 제2센서3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관계 없이 제어수단에서는 수용 오목부27이 검출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제1센서33 및 제2센서34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각 수용 오목부27에 방수 시일46이 수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각 수용 오목부27 마다 그 기억부에 각각 기억시킨다.
다음에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된 방수 시일46은 회전체28의 회전을 따라, 제6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취출장치35의 취출구42의 개구단(開口端) 전면에 위치하면, 제어수단에 의하여 모터30의 회전이 정지함과 아울러 취출장치35에 압축 공기를 유입시키는 밸브가 열리고, 취출구42에 마이너스압이 발생한다. 그리고 수용 오목부27 내의 방수 시일46이 흡인되어, 취출장치35 내부를 통하여 방수 시일46이 다음 공정의 삽입기구7에 공급된다. 또 제어수단은 그 기억부에 기억했던 수용 오목부27에 방수 시일46이 수용되어 있을 것인가 아닌가의 정보를 바탕으로, 방수 시일46을 수용하지 않고 있는 수용 오목부27에 대하여는 모터30의 정지 및 취출장치35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부품 공급기9에서는, 방향성을 구비한 방수 시일46을 수용하는 회전체28에 방수 시일46을 소정의 방향으로만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27을 형성하고, 그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된 방수 시일46을 취출장치35로 꺼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 시일46은 소정의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되는 일은 없고,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된 방수 시일46을 꺼내는 것만으로 방수 시일46을 소정의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고, 부품 공급기9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시일46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변경하는 방수 시일46에 맞춘 형상의 수용 오목부27을 형성하는 회전체28과 교환하는 것만으로 좋아, 간단한 작업으로 용이하게 다품종의 방수 시일46에 대응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한 부품 공급기9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종류의 방수 시일이 섞여서 회전체28에 수용되어 있는 것 같은 경우이더라도 수용 오목부27을 가장 작은 방수 시일에 맞춤으로써 혼재하고 있는 방수 시일 중에서 가장 작은 방수 시일을 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수용 오목부27을 서로 다르게 한 복수의 부품 공급기9를 조합시킴으로써 다품종의 방수 시일에 동시에 대응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브러시31 및 제2브러시32를 설치하고 있어, 이에 따라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46을 배제할 수 있고,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된 방수 시일46 상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46이 겹치거나 하여 취출장치35로 꺼내지는 경우에 취출의 방해가 되거나 잘못하여 수용되어 있지 않은 방수 시일46을 꺼내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8의 회전에 의하여 수용 오목부27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8의 외주 부근에 수용 오목부27을 형성하고 있고, 수용 오목부27에 수용되지 않은 방수 시일46이 원심력에 의하여 수용 오목부27을 형성한 회전체28의 외주부로 밀려오므로, 빈 수용 오목부27에 대하여 방수 시일46을 쉽게 수용할 수 있다.
이상에 본 발명에 대하여 적합한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수단으로서 받침부를 원반 모양의 회전체28로 하여 회전체28의 회전에 의하여 수용 오목부27을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회전체를 원통형상의 드럼 으로 하여 그 드럼의 외주면에 수용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용 오목부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는 받침부를 무한고리 모양의 벨트로 하여 그 벨트를 한 쌍의 풀리 또는 드럼에 권취(卷取)함과 아울러, 벨트 표면에 수용 오목부를 형성하고 벨트를 구동시켜서 수용 오목부를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28을 직접 모터30의 회전축37에 부착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회전체에 풀리를 설치함과 아울러 모터의 회전축에도 풀리를 설치하고, 이들 풀리 간에 벨트를 감아 벨트를 통하여 모터의 회전을 회전체에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풀리 대신에 기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벨트 또는 기어를 통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모터의 회전수에 대하여 회전체의 회전수를 빠르게 하거나 또는 느리게 하거나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압착 단자장치1의 삽입기구7에 있어서 부품 공급기9로부터 공급된 방수 시일46을 일단 방향전환 기구에서 방향을 바꾼 후 캐리 핀으로 집고, 또한 캐리 핀으로부터 파지 폴20이 방수 시일을 받게 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품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방수 시일46을 직접 캐리 핀 또는 파지 폴에 반송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방향전환 기구 또는 방향전환 기구 및 캐리 핀을 생략할 수 있고, 단자 압착장치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 공급기에 의하여 소정 방향으로 향하여 꺼내는 것으로서 방수 시일을 나타냈지만, 방수 시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향성을 구비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나 본 발명의 부품 공급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 공급기를 단자 압착장치에 구비한 것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부품 공급기를 단자 압착장치 이외의 장치에 구비할 수도 있다.

Claims (6)

  1. 소정 각도로 경사진 원반 모양의 회전체로 이루어지고 방향성을 구비하는 방수 시일(防水 seal)을 수용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외주부에 받침부의 축직각방향 외측 및 상면으로 개방(開放)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방수 시일을 그 선단이 상기 받침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와,
    상기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상기 방수 시일이 상기 받침부의 축직각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받침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주면으로 개구(開口)하는 취출구(取出口)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상기 방수 시일을 상기 받침부의 축직각방향으로 꺼내는 취출수단과,
    상기 받침부를 회전운동 시킴으로써 상기 수용 오목부를, 상기 방수 시일이 상기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는 수용영역으로부터 상기 취출수단까지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용영역으로부터 상기 취출수단까지 이동하는 상기 방수 시일 중에서, 상기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방수 시일을 상기 취출수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배제하는 배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위치결정공(位置決定孔)을 검출하기 위한 제1센서와, 상기 수용 오목부에 형성된 슬릿을 검출하기 위한 제2센서를 구비한 수용검출수단과,
    상기 수용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가, 상기 제1센서에 의하여 상기 위치결정공을 검출하고 또 상기 제2센서가 상기 슬릿을 비검출(非檢出)할 때에, 상기 수용 오목부에 상기 방수 시일이 수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취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취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방수 시일을 꺼낼 때에 상기 받침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기.
  4. 제1항의 부품 공급기를 구비하고, 전송 케이블의 단말부(端末部)에 상기 부품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방수 시일을 삽입시킴과 아울러 접속단자를 장착하여 압착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압착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57017298A 2003-04-07 2004-03-30 부품 공급기 및 단자 압착장치 KR100994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02530 2003-04-07
JP2003102530A JP4005530B2 (ja) 2003-04-07 2003-04-07 パーツフィーダ及び端子圧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894A KR20060006894A (ko) 2006-01-20
KR100994402B1 true KR100994402B1 (ko) 2010-11-15

Family

ID=3315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298A KR100994402B1 (ko) 2003-04-07 2004-03-30 부품 공급기 및 단자 압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27140B2 (ko)
EP (1) EP1626016A4 (ko)
JP (1) JP4005530B2 (ko)
KR (1) KR100994402B1 (ko)
CN (1) CN100515889C (ko)
TW (1) TWI242530B (ko)
WO (1) WO2004089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4495A1 (en) * 2007-08-09 2009-02-19 Aylward Enterprises, Inc. Packaging Apparatus for Handling Pills and Associated Method
US20090094947A1 (en) * 2007-08-09 2009-04-16 Aylward Enterprises, Llc Packaging Apparatus for Handling Pills and Associated Method
US8424274B2 (en) * 2008-11-07 2013-04-23 Aylward Enterprises, Llc Packaging apparatus for handling pills and associated method
JP5656471B2 (ja) * 2010-06-24 2015-01-21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US8733535B2 (en) * 2011-06-17 2014-05-27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Shallow angle vertical rotary loader for electronic device testing
CN102390699B (zh) * 2011-10-29 2014-11-19 广东华盛塑料有限公司 盖子自动整理机
US8684163B2 (en) * 2012-06-01 2014-04-01 Joseph Y. Ko Destroying apparatus for electronic elements
JP2015147658A (ja) * 2014-02-07 2015-08-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パーツ供給装置
CN104393466B (zh) * 2014-10-21 2017-06-06 广东中德电缆有限公司 端子压接机的自动上料装置
WO2016072314A1 (ja) * 2014-11-06 2016-05-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搬送装置
US9440801B1 (en) * 2015-04-15 2016-09-13 David R. Ramnarain Mechanism for orienting packaging elements such as container caps
JP6593142B2 (ja) * 2015-12-10 2019-10-23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
JP7125585B2 (ja) * 2017-10-06 2022-08-25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ワーク搬送装置
JP7152199B2 (ja) * 2018-06-22 2022-10-12 株式会社Fuji ワーク供給装置
US11220361B2 (en) 2018-10-12 2022-01-11 Aylward Enterprises, Llc Packaging apparatus for handling pills and associated method
JP7231423B2 (ja) * 2019-01-30 2023-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栓付き電線の製造装置
CN110311282B (zh) * 2019-07-11 2024-04-23 台州浩然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led焊接端子压着机及绞线焊接方法
US11305908B2 (en) 2019-09-20 2022-04-19 Aylward Enterprises, Llc Tablet counter and packaging module and associated method
JP7464482B2 (ja) 2020-08-31 202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栓の姿勢制御装置
CN117526038B (zh) * 2023-12-08 2024-04-19 江苏俊知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压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1917U (ko) 1985-03-11 1986-09-19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9823U (ko) * 1980-12-10 1982-06-19
JPH076519Y2 (ja) * 1987-06-24 1995-02-15 静岡製機株式会社 穀物の単粒移送装置
JPH021286U (ko) * 1988-06-14 1990-01-08
JPH0275182A (ja) * 1988-09-12 1990-03-14 Yazaki Corp 防水栓を装着した線条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IL106222A (en) * 1992-07-07 1996-08-04 Sala Jaime Marti A machine for automatic display and the alignment of its capacity as plastic bottles
JP3018883B2 (ja) * 1993-12-28 2000-03-13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栓供給装置
KR970706192A (ko) * 1995-07-25 1997-11-03 모리시타 요오이찌 부품정렬장치(part aligning device)
JPH09290332A (ja) * 1996-03-01 1997-11-11 Yazaki Corp ゴム栓挿入装置とゴム栓供給方法及びゴム栓挿入方法
JP3231008B2 (ja) * 1997-09-30 2001-11-19 テンチ機械株式会社 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1917U (ko) 1985-03-11 1986-09-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9791A1 (ja) 2004-10-21
CN100515889C (zh) 2009-07-22
CN1771175A (zh) 2006-05-10
US20060201781A1 (en) 2006-09-14
TW200502149A (en) 2005-01-16
TWI242530B (en) 2005-11-01
EP1626016A1 (en) 2006-02-15
US7527140B2 (en) 2009-05-05
JP4005530B2 (ja) 2007-11-07
KR20060006894A (ko) 2006-01-20
EP1626016A4 (en) 2008-05-14
JP2004307131A (ja)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402B1 (ko) 부품 공급기 및 단자 압착장치
US7861889B2 (en) Thin-part feeding device
CN107533989B (zh) 毛细管输送装置、安装装置及更换装置
CN100355158C (zh) 复式压接装置及端子供给组件
CN104541595A (zh) 载带送进装置、芯片安装系统以及芯片安装方法
WO2016157436A1 (ja) 自動スプライシング装置
JP2005166399A (ja) 端子圧着装置
JP4812356B2 (ja) 防水シール装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線処理装置
CN112809374A (zh) 按键组装机
WO2007013243A1 (ja) 防水シール装着装置
CN218701337U (zh) 3d打印耗材检测装置及3d打印设备
JP3186531B2 (ja) 端子圧着電線の製造装置
JP6577022B2 (ja) 自動スプライシング装置
JP2003197342A (ja) 端子圧着装置
CN210808110U (zh) 带自动搬运装置
JP2001076835A (ja) 圧接コネクタ用端子実装機
KR102104402B1 (ko)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CN109626133B (zh) 一种水平复绕机
JP3280337B2 (ja) 端子圧着システム
JP2005158485A (ja) 端子圧着装置
JP2009032530A (ja) 電線処理システム
CN220131223U (zh) 一种选向送料机
KR20190106506A (ko)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JP2005151706A (ja) 電線ストリップ装置
CN218587053U (zh) 一种转子自动化安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