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506A -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506A
KR20190106506A KR1020180028085A KR20180028085A KR20190106506A KR 20190106506 A KR20190106506 A KR 20190106506A KR 1020180028085 A KR1020180028085 A KR 1020180028085A KR 20180028085 A KR20180028085 A KR 20180028085A KR 20190106506 A KR20190106506 A KR 2019010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iming belt
automatic crimping
wires
cri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희
Original Assignee
애니콘(주)
백승용
주식회사 신풍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니콘(주), 백승용, 주식회사 신풍이엠에스 filed Critical 애니콘(주)
Priority to KR102018002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506A/ko
Publication of KR2019010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3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the wires being disposed by mach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길이에 맞게 다단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길이의 전선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며, 타이밍벨트 상부에 다양한 외경을 갖는 전선에 대응하여 간격조절이 가능한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을 구비하여 타이밍벨트에 전선이 중복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Wire feeder of harness semi-automatic crimping device}
본 발명은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길이에 맞게 다단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길이의 전선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며, 타이밍벨트 상부에 다양한 외경을 갖는 전선에 대응하여 간격조절이 가능한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을 구비하여 타이밍벨트에 전선이 중복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포함한 모든 기계장비들은 내부 전자 회로 간에 서로 연결시켜 전기 또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와이어(wire)가 사용되어진다.
특히,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가공장치를 통해 선단 혹은 후단에 전극단자(terminal)를 장착시킨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로 가공되어진다.
여기서, 와이어 가공장치는, 피복된 와이어의 선단 혹은 후단의 피복을 제거하며, 피복이 제거된 와이어의 선단 혹은 후단에 전극단자를 장착하고, 전극단자가 장착된 와이어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이 수행되어진다.
한편, 와이어 가공장치를 통해 피복된 와이어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가공장치의 공정과 연동되어 피복된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와이어 공급장치는, 피복된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피복된 와이어를 마찰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피복된 와이어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가 장착되어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공장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공급장치는 다양한 길이의 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어 일정한 길이로 제한된 와이어만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선공급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87630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의 길이에 맞게 다단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길이의 전선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며, 타이밍벨트 상부에 다양한 외경을 갖는 전선에 대응하여 간격조절이 가능한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을 구비하여 타이밍벨트에 전선이 중복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는 전선공급장치의 내부구성을 보호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며, 전선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선을 적재하는 적재홈이 형성된 타이밍벨트; 및 상기 타이밍벨트의 상부면 위쪽의 공간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과 상기 타이밍벨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나사를 통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과 상기 타이밍벨트 사이의 간격을 상기 전선의 외경에 맞게 조절하여, 상기 타이밍벨트의 상기 적재홈에 상기 전선이 한 가닥씩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공급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전선의 길이에 맞게 다단으로 펼쳐지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는 타이밍벨트 상부에 다양한 외경을 갖는 전선에 대응하여 간격조절이 가능한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을 구비하여 타이밍벨트에 전선이 중복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절나사를 통해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을 상하로 이동시켜 타이밍벨트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외경의 전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선의 길이에 맞게 다단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길이의 전선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전진롤러를 구비하여, 전진롤러에 의해 전선을 전방으로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이 이송롤러에 물리지 않아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선감지센서를 구비하여 타이밍벨트의 적재홈에 전선이 부재 시에는 타이밍벨트를 한칸 더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에서 연장부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에서 연장부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 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는 하우징(10), 투입부(12), 이송롤러(15), 타이밍벨트(30),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 및 연장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전선공급장치의 내부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상단에는 전선(50)을 공급하는 투입부(12) 및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연장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은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 타이밍벨트(30)의 상부면 위쪽의 공간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타이밍벨트(30)에 전선(50)이 중복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조절부(21)의 하단에 나사(미도시)를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조절부(21)는 조절나사(23)를 통해 결합부(22)에 결합되어 있다.
타이밍벨트(30),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 및 조절나사(2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송롤러(15)는 케이싱(14)에 결합되어 제1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하여 타이밍벨트(30)에 적재된 전선(50)을 어플리케이터(미도시)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케이싱(14)은 평소에는 떠 있다가 전선(50)을 감지 시에만 하강하여 전선(50)의 상부에 이송롤러(15)를 밀착시킨다. 케이싱(14)을 하강시키는 구성은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의 내부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에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타이밍벨트(30), 제2구동모터(33), 전진롤러(40) 및 제3구동모터(41)가 형성되어 있다.
전진롤러(40)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제3구동모터(41)의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전선(50)을 전방의 외벽(16) 내측면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2)를 통해 공급된 전선(50)이 타이밍벨트(30)에 적재될 때, 전방으로 밀착된 상태로 적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타이밍벨트(30)에 적재되어 이송롤러(15)쪽으로 이송된 전선(50)이 이송롤러(15)에 물리지 못해, 어플리케이터(미도시) 쪽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진롤러(40)를 통해 타이밍벨트(3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전선(50)을 전방의 외벽(16) 내측면에 밀착시키면, 전선(50)이 외벽(16)의 내측면에 맞닿아 더 이상 전진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전선(50)이 이송롤러(15)에 정확히 물려 이송롤러(15)의 회전에 의해 원활하게 어플리케이터(미도시)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타이밍벨트(3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는 등간격의 적재홈(31) 및 결합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의 결합홈(32)은 제2구동모터(33)의 회전축(미도시)과 결합된 제1기어(34) 및 제2기어(35)와 결합되어 있으며, 외주면의 적재홈(31)은 투입부(12)를 통해 투입된 전선(50)을 적재하여 이송롤러(15)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송롤러(15)의 하단의 하우징(10) 내부에는 전선감지센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감지결과 전선(50)이 타이밍벨트(30)의 적재홈(31)에 없으면, 전선(50)이 있는 적재홈(31)까지 타이밍벨트(30)를 한 칸 더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타이밍벨트(30)의 상단에는 중복 적재 방지판(20)이 타이밍벨트(30)와 일정한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조절부(21)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조절부(21)는 조절나사(23)를 통해 결합부(22)에 결합되어, 조절나사(23)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부(2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조절부(21)에 결합되어 있는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도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여, 타이밍벨트(3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되는 전선(50)의 외경에 따라 타이밍벨트(30)와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타이밍벨트(30)의 적재홈(31)에 전선(50)이 중복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외경의 전선(50)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전선(50)의 외경이 작을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나사(23)를 회전시켜,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을 하강시킴으로써, 타이밍벨트(30)와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 사이의 간격을 전선(50)의 외경에 맞도록 좁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선(50)의 외경이 클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나사(23)를 회전시켜,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을 상승시킴으로써, 타이밍벨트(30)와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 사이의 간격을 전선(50)의 외경에 맞도록 넓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타이밍벨트(30)와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 사이의 간격을 전선(50)의 외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타이밍벨트(30)의 적재홈(31)에 전선(50)이 중복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외경을 갖는 전선(50)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작업자는 작업 전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선(50)의 길이를 고려하여, 연장부(11)를 펼쳐서 길이를 조정한 후, 공급하고자 하는 전선(50)의 외경을 고려하여, 조절나사(23)를 통해 타이밍벨트(30)와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한다.
다음으로, 투입부(12)에 다수의 전선(50)을 적재하면, 타이밍벨트(30)가 움직일 때 투입부(12)의 하단 배출구에서 배출된 전선(50)이 타이밍벨트(30)의 적재홈(31)에 적재된다. 이때, 전선(50)의 외경에 맞도록 타이밍벨트(30)와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밍벨트(30)의 적재홈(31)에는 전선(50)이 한 가닥씩만 적재된다.
이후, 타이밍벨트(30)의 적재홈(31)에 적재된 전선(50)이 이송롤러(15) 쪽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전진롤러(40)의 상단과 맞닿게 되는데, 이때, 전진롤러(40)의 회전에 의해 전진롤러(40)의 상단과 맞닿은 전선(50)이 전방으로 밀착되고, 전방으로 밀착된 전선(50)은 이송롤러(15)에 의해 어플리케이터(미도시)로 공급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는 타이밍벨트 상부에 다양한 외경을 갖는 전선에 대응하여 간격조절이 가능한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을 구비하여 타이밍벨트에 전선이 중복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절나사를 통해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을 상하로 이동시켜 타이밍벨트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외경의 전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선의 길이에 맞게 다단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길이의 전선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전진롤러를 구비하여, 전진롤러에 의해 전선을 전방으로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이 이송롤러에 물리지 않아 공급이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선감지센서를 구비하여 타이밍벨트의 적재홈에 전선이 부재 시에는 타이밍벨트를 한칸 더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연장부
12 : 투입부
13 : 제1구동모터
14 : 케이싱
15 : 이송롤러
16 : 외벽
20 :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
21 : 조절부
22 : 결합부
23 : 조절나사
30 : 타이밍벨트
31 : 적재홈
32 : 결합홈
33 : 제2구동모터
34 : 제1기어
35 : 제2기어
40 : 전진롤러
41 : 제3구동모터
50 : 전선

Claims (3)

  1. 전선공급장치의 내부구성을 보호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며, 전선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선을 적재하는 적재홈이 형성된 타이밍벨트; 및
    상기 타이밍벨트의 상부면 위쪽의 공간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과 상기 타이밍벨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나사를 통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전선 중복 적재 방지판과 상기 타이밍벨트 사이의 간격을 상기 전선의 외경에 맞게 조절하여, 상기 타이밍벨트의 상기 적재홈에 상기 전선이 한 가닥씩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공급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전선의 길이에 맞게 다단으로 펼쳐지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 공급장치.
KR1020180028085A 2018-03-09 2018-03-09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KR20190106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85A KR20190106506A (ko) 2018-03-09 2018-03-09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85A KR20190106506A (ko) 2018-03-09 2018-03-09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06A true KR20190106506A (ko) 2019-09-18

Family

ID=6807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085A KR20190106506A (ko) 2018-03-09 2018-03-09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5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557B1 (ko) 2023-03-20 2023-09-07 (주)로아텍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557B1 (ko) 2023-03-20 2023-09-07 (주)로아텍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140B2 (en) Parts feeder and terminal press-connection device
CN109121380B (zh) 部件安装设备
CN103369944B (zh) 设置载体带的方法、带盒、安装装置和制造基板的方法
WO2014041712A1 (ja) テープフィーダ
JP4934468B2 (ja) 電線の端子圧着装置及び電線の端子圧着方法
KR101086388B1 (ko) 케이블 포설장치
KR20190106506A (ko)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CN107867102B (zh) 片材装订装置及片材装订方法
KR20170006043A (ko) 케이블 단자 및 수축튜브 조립장치
JP2007069946A (ja)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装置
US20200084927A1 (en) Component supply device and tape peeling method in component supply device
CN109074921B (zh) 线束制造系统和线束制造方法
KR101780174B1 (ko) 단자대 자동 압착기용 전선 공급장치
KR101336009B1 (ko) 텐션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공급장치
JPH0614476B2 (ja) ターミナルストリップ巻き戻し装置
KR102346063B1 (ko) 케이블 단자 자동 조립 장치
JP2005142193A (ja) テープフィーダ
WO2007013243A1 (ja) 防水シール装着装置
EP0600415B1 (en) Automatic terminal crimping apparatus
US3804603A (en) Manual assist terminal applicator
CN1717760B (zh) 用于带绕焊片引出线的方法和设备
KR20170108652A (ko) 라벨공급장치
JP2012038826A (ja) キャスタ保護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
JP6166696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00113800A (ko) 라벨 피더의 공급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