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557B1 -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557B1
KR102574557B1 KR1020230035584A KR20230035584A KR102574557B1 KR 102574557 B1 KR102574557 B1 KR 102574557B1 KR 1020230035584 A KR1020230035584 A KR 1020230035584A KR 20230035584 A KR20230035584 A KR 20230035584A KR 102574557 B1 KR102574557 B1 KR 102574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rimping
length
harn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하
Original Assignee
(주)로아텍
윤정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아텍, 윤정하 filed Critical (주)로아텍
Priority to KR102023003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3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the wires being disposed by mach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선의 단부에 하네스를 압착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전선을 투입하여 규격에 맞게 절단하고, 절단된 전선의 단부에 하네스를 압착할 수 있는,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WIRE HARNESS CRIMP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GUIDE REPLACEMENT FOR EACH WIRE SIZE}
아래 실시예들은 전선의 단부에 하네스를 압착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전선을 투입하여 규격에 맞게 절단하고, 절단된 전선의 단부에 하네스를 압착할 수 있는,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포함한 모든 기계장비들에는 내부 전자 회로를 서로 연결시켜 전기 또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와이어(wire)가 사용된다.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와이어는 선단, 후단 또는 양단에 하네스(전극단자; terminal)를 장착시킨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로 가공된다.
상기와 같이 하네스를 압착시키기 위하여, 피복된 와이어의 선단 혹은 후단의 피복을 제거하며, 와이어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며 절단 부위 주변의 피복을 제거하고, 피복이 제거된 와이어의 선단 또는/및 후단에 하네스를 압착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전선의 규격(직경)이 다양함으로 인해 와이어-하네스 압착 장치에는 와이어의 직경에 따라 와이어를 고정/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필요하며, 이러한 가이드 부재는 작업 대상 와이어의 직경이 바뀔 때마다 수작업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10-2019-0106506 A KR 10-2287874 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와이어-하네스 압착 장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선을 잡아주는 가이드의 교체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전선의 단부에 하네스를 압착하는 과정 대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전선을 투입하여 규격에 맞게 절단하고, 절단된 전선의 단부에 하네스를 압착할 수 있는,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권취된 전선의 일단을 권출시키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를 통해 권출된 전선을 인출하여 펼치는 인장부; 상기 인장부의 단부로부터 토출된 전선을 제1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양단에 하네스를 압착시키는 압착부; 및 상기 권출부, 인장부, 절단부 및 압착부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부는: 전선의 직경에 맞추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전선이 인입되도록 전선의 직경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큰 내경을 가지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단부로부터 신장되며, 상기 전선의 직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집중부;를 포함하여, 상기 집중부의 외측 단부가 상기 절단부의 일측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인장부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의 절단 지점이 상기 절단부에 치합되는,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장부는: 상기 전선을 밀어내도록 다수개의 롤러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인출부; 상기 인출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다수개의 상기 가이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상기 가이드를 교체하는 교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 조절 핀;을 포함하고, 상기 교체부는: 상기 인출부보다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지그; 상기 회전 지그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위치 조절 핀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지그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배치되는 위치 조절 홈;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지그가 회전하면, 상기 위치 조절 핀이 어느 한 위치 조절 홈으로부터 이탈하여 다른 위치 조절 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를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전선을 안착시키는 서로 다른 길이의 레일이 다수개 형성되며, 소정의 쐐기 형상의 몸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전선 안착부; 상기 전선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전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집중부의 단부에 탈착되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로부터 제2 길이만큼 이격 배치되어, 상기 홀딩부로부터 제2 길이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전선을 절단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일단에 대응하는 제1 하네스를 안착시키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압착대; 상기 제1 압착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타단에 대응하는 제2 하네스를 안착시키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제3 길이 범위 내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압착대; 상기 제1 압착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제1 프레스; 및 상기 제2 압착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압착대가 수평 이동할 때 상기 제2 압착대의 변위와 동일하게 수평 이동하는 제2 프레스;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이 상기 전선 안착부의 이송에 따라 상기 제1 압착대 및 제2 압착대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제1 프레스 및 제2 프레스가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 제1 하네스 및 제2 하네스를 압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장부는: 상기 권출부를 통해 권출된 전선이 안착되며,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수직 도르래; 상기 제1 수직 도르래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을 안착시켜, 180도 방향으로 토출시키며, 제2 직경을 가지는 제1 수평 도르래; 상기 제1 수평 도르래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을 안착시켜, 수직 상하 방향으로 교번하여 이송시키며, 제1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제2 수직 도르래; 및 상기 제2 수직 도르래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을 안착시켜, 수평 전후 방향으로 교번하여 이송시키며, 제1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제2 수평 도르래;를 포함하여, 상기 인출부가 상기 제2 수평 도르래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전선을 이송시키되, 상기 제2 직경은: 상기 권취된 전선의 권취 직경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레일 중 최장 길이의 레일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출부는: 상기 권취된 전선이 안착되며, 상기 전선을 권출시키도록 전선에 하중이 가해질 때 회전하는 회전원판; 상기 회전원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이 통과하며, 상기 권취 직경의 1/2 내지 2/3인 제3 직경을 가지는 제1 권취 홀; 상기 제1 권취 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이 접촉하며, 상기 제3 직경보다 큰 제4 직경을 가지는 권취원판; 상기 권취원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이 통과하며, 상기 권취 직경의 1/3 내지 1/2인 제5 직경을 가지는 제2 권취 홀; 상부로부터 상기 제2 권취 홀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원판을 지지하는 원판 지지축; 및 상기 회전원판, 제1 권취 홀, 제2 권취 홀 및 원판 지지축을 지지하는 권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을 절단부(블레이드)의 정위치에 안착시켜 규격에 따라 정밀하게 절단 및 피복 탈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를, 전선의 규격(직경)에 따라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길이를 규격에 맞추어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각 길이에 맞추어 하네스를 정밀하게 압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인장부 구조를 기반으로 권취된 상태로 보관/운송되어 휘어진 상태의 전선을 직선형으로 곧게 펼칠 수 있다.
아울러, 소정의 권출부 구조를 기반으로, 권취된 상태로 권출부에 안착된 전선이 엉키지 않고 인장부로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의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의 교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의 전선 안착부 및 압착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의 인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의 권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권취된 전선(R)의 일단을 권출시키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를 통해 권출된 전선을 인출하여 펼치는 인장부; 상기 인장부의 단부로부터 토출된 전선을 제1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양단에 하네스를 압착시키는 압착부; 및 상기 권출부, 인장부, 절단부 및 압착부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부는: 전선의 직경에 맞추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1);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1)는: 상기 전선이 인입되도록 전선의 직경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큰 내경을 가지는 개방부(11); 및 상기 개방부(11)의 단부로부터 신장되며, 상기 전선의 직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집중부(12);를 포함하여, 상기 집중부(12)의 외측 단부가 상기 절단부의 일측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인장부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의 절단 지점이 상기 절단부에 치합되는, 전선 규격별 가이드(1)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를 제공한다.
권취된 롤 형태로 운송되어 입고된 전선을, 권취된 전선(R)을 감싸는 포장을 제거하고 권출부에 투입하여 권출시킨다.
상기 인장부는, 상기 권출부를 통해 권출된 전선에 소정의 하중(장력)을 가하여 휘어진/꼬인 상태의 전선을 펼친다.
상기 절단부는, 지정된 제1 길이마다 상기 전선을 절단하여, 동일한 규격(제1 길이)의 하네스-전선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에서는 각 전선마다 하나 또는 두 개의 하네스(전극단자; 터미널)를 공급하고, 공급된 하네스와 상기 절단된 전선을 압착시켜 하네스-전선 제품을 제작한다.
이후, 압착부에서 제조된 제품을 취출시켜 포장할 수 있다.
이하, 메인프레임 등, 이러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권취된 전선(R)이 새로이 공급될 때마다, 권취된 전선(R)의 규격(직경)을 확인하고, 이를 소정의 제어부 등에 입력하면, 제어부에서는 상기 가이드(1)를 치환하여 규격(직경)에 맞는 가이드(1)가 인장부에 안착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선은 상기 개방부(11)를 통해 가이드(1) 중심부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집중부(12)를 통해 취출된다.
상기 집중부(12)는, 전선에 마찰력/압력 등을 가하지 않을 정도로 전선의 외경에 거의 핏(fit)하도록 접하는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중부(12)를 통과하여 취출되는 전선은 후술하는 블레이드의 절단 및 피복 탈거 지점에 정확하게 안착(치합)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1)(집중부(12))의 구조가 없는 경우, 블레이드가 전선의 일측을 잘못 절단하거나, 피복이 덜 벗겨지는 등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부는: 상기 전선을 밀어내도록 다수개의 롤러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인출부; 상기 인출부를 지지하는 베이스(24); 및 다수개의 상기 가이드(1)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상기 가이드(1)를 교체하는 교체부(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24)는: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 조절 핀(21);을 포함하고, 상기 교체부(2)는: 상기 인출부보다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24)의 일측에 연결되어 베이스(2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지그(22); 상기 회전 지그(22)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위치 조절 핀(21)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지그(22)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1)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배치되는 위치 조절 홈(23);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지그(22)가 회전하면, 상기 위치 조절 핀(21)이 어느 한 위치 조절 홈(23)으로부터 이탈하여 다른 위치 조절 홈(23)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1)를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권출부에 권취된 전선(R)을 안착시키고, 포장용 끈 등을 제거한 뒤, 권취된 전선(R)의 일단을 권출부-인장부에 안착시킨 뒤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권취된 전선(R)의 끝단을 상기 다수개의 롤러 사이에 삽입하게 되면, 롤러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롤러의 회전에 의해 전선이 인출부를 통과하며 이송된다.
상기 베이스(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4)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 조절 핀(21);을 포함한다.
도 2 (a)에는 위치 조절 핀(21)이 어느 위치 조절 홈(23)에 안착된 상태가, 도 2 (b)에는 위치 조절 핀(21)이 위치 조절 홈(23)으로부터 탈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c)에는 베이스(24) 및 회전지그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지그(22)가 회전하면, 상기 위치 조절 홈(23)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있던 위치 조절 핀(21)이 그 위치 조절 홈(23)에서 빠져나와 그다음 위치 조절 홈(23)에 안착된다.
이러한 작동 방식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 조절 핀(21) 및 위치 조절 홈(23) 사이에는 소정의 끼워맞춤 공차가 적용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어느 위치 조절 홈(23)에 위치 조절 핀(21)이 안착되게 되면, 그 회전 지그(22)의 각도에 맞추어 어느 가이드(1)가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가이드(1)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구동 모터에 대한 정밀 제어 로직이나, 정밀 제어가 가능한 고가형 모터 없이도 가이드(1)의 정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전선을 안착시키는 서로 다른 길이의 레일(30)이 다수개 형성되며, 소정의 쐐기 형상의 몸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전선 안착부(3); 상기 전선 안착부(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30)에 안착되는 전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집중부(12)의 단부에 탈착되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로부터 제2 길이만큼 이격 배치되어, 상기 홀딩부로부터 제2 길이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전선을 절단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일단에 대응하는 제1 하네스(H1)를 안착시키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압착대(31); 상기 제1 압착대(3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타단에 대응하는 제2 하네스(H2)를 안착시키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제3 길이 범위 내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압착대(32); 상기 제1 압착대(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제1 프레스; 및 상기 제2 압착대(32)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압착대(32)가 수평 이동할 때 상기 제2 압착대(32)의 변위와 동일하게 수평 이동하는 제2 프레스;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30)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이 상기 전선 안착부(3)의 이송에 따라 상기 제1 압착대(31) 및 제2 압착대(32)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제1 프레스 및 제2 프레스가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 제1 하네스(H1) 및 제2 하네스(H2)를 압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안착부(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각 삼각형 형태의 쐐기 형상 몸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선 안착부(3)의 직각 삼각형 형상의 수직 변으로부터 빗변까지를 잇는 수평 방향의 레일(30)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감지센서는, 머신비전 기술이나 적외선 센서 등을 활용하여, 레일(30)을 전산이 가렸는지, 레일(30)의 일단에 전선의 단부가 돌출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레일(30)에의 전선 안착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홀딩부는 상기 집중부(12)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집중부(12)로부터 탈거되도록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홀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제2 길이)만큼 이격 배치된 블레이드는 집중부(12)로부터 제2 길이만큼 이격된 지점을 절단함으로써, 전선의 정확한 지점을 절단 및 피복 탈거할 수 있다.
전선의 피복을 탈거하고 절단하는 기술은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압착대(31) 및 제2 압착대(32)에는 각각 제1 하네스(H1) 및 제2 하네스(H2)가 공급되어 안착된다.
상기 제1 압착대(31)와 제2 압착대(32)는 기본적으로 서로 밀착/접촉한 상태로 대기하며, 상기 전선 안착부(3)가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대(32) 사이에 삽입되면 전선 압착부가 밀어내는 힘에 의해 제2 압착대(32)가 도 3의 우측 방향으로 이송되며 제1 압착대(31)로부터 멀어진다.
도 3 (a)에는 전선 안착부(3)가 압착대 사이에 삽입되기 전 상태가, 도 3 (b)에는 전선 안착부(3)가 압착대 사이에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 상기 제1 하네스(H1) 및 제2 하네스(H2) 사이에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이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프레스 및 제2 프레스가 제1 하네스(H1) 및 제2 하네스(H2)를 각각 압착시킨다.
아울러, 상기 인장부는: 상기 권출부를 통해 권출된 전선이 안착되며,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수직 도르래(41); 상기 제1 수직 도르래(41)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을 안착시켜, 180도 방향으로 토출시키며, 제2 직경을 가지는 제1 수평 도르래(42); 상기 제1 수평 도르래(42)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을 안착시켜, 수직 상하 방향으로 교번하여 이송시키며, 제1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제2 수직 도르래(43); 및 상기 제2 수직 도르래(43)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을 안착시켜, 수평 전후 방향으로 교번하여 이송시키며, 제1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제2 수평 도르래(44);를 포함하여, 상기 인출부가 상기 제2 수평 도르래(44)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전선을 이송시키되, 상기 제2 직경은: 상기 권취된 전선(R)의 권취 직경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레일(30) 중 최장 길이의 레일(30)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권출부에 안착된 권취된 전선(R)의 일단이 상기 제1 수직 도르래(41)-제1 수평 도르래(42)-제2 수직 도르래(43)-제2 수평 도르래(44)를 통과하며, 휘어졌던 상태의 전선이 곧게 펼쳐지게 된다.
상기 제1 수직 도르래(41)는 권취된 전선(R)이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수직 도르래(41)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은 제2 직경의 제1 수평 도르래(42)를 따라 180도 회전하며, 이 과정에서 휘어진 부분이 일부분 직선 형태로 회복된다.
상기 제1 수평 도르래(42)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은 상기 제2 수직 도르래(43)를 통과하며 휘어진 부분들이 펼쳐진다. 도 4에는 상부에 3개의 제2 수직 도르래(43)가, 하부에 2개의 수직 도르래가 각각 하나씩 교번하여 배치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수직 도르래(43)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은 제2 수직 도르래(43)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것과 동일한 형태의 제2 수평 도르래(44)를 통과하며, 상기 제2 수직 도르래(43)에서 펼쳐지지 않은 방향의 휘어진 부분들이 마저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직경 및 제2 직경을 상기와 같이 규정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규격(길이)에 맞추어 휘어진 전선을 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출부는: 상기 권취된 전선(R)이 안착되며, 상기 전선을 권출시키도록 전선에 하중이 가해질 때 회전하는 회전원판(51); 상기 회전원판(5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이 통과하며, 상기 권취 직경의 1/2 내지 2/3인 제3 직경을 가지는 제1 권취 홀(52); 상기 제1 권취 홀(5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이 접촉하며, 상기 제3 직경보다 큰 제4 직경을 가지는 권취원판(53); 상기 권취원판(5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이 통과하며, 상기 권취 직경의 1/3 내지 1/2인 제5 직경을 가지는 제2 권취 홀(54); 상부로부터 상기 제2 권취 홀(54)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원판(53)을 지지하는 원판 지지축(55); 및 상기 회전원판(51), 제1 권취 홀(52), 제2 권취 홀(54) 및 원판 지지축(55)을 지지하는 권출프레임(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원판(51)은, 소정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는 힌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권취된 전선(R)이 권출되며 하중(장력)을 받으면, 권취된 전선(R)과 회전원판(51)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 권취 홀(52)-권취원판(53)-제2 권취 홀(54)을 통과하는 전선은, 꼬이거나 엉키지 않고 상기 인장부에 투입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W : 전선
R : 권취된 전선
T : 피복이 탈거된 단부
1 : 가이드
11 : 개방부
12 : 집중부
2 : 교체부
21 : 위치 조절 핀
22 : 회전 지그
23 : 위치 조절 홈
24 : 베이스
3 : 전선 안착부
30 : 레일
31 : 제1 압착대
32 : 제2 압착대
H1 : 제1 하네스
H2 : 제2 하네스
41 : 제1 수직 도르래
42 : 제1 수평 도르래
43 : 제2 수직 도르래
44 : 제2 수평 도르래
51 : 회전원판
52 : 제1 권취 홀
53 : 권취원판
54 : 제2 권취 홀
55 : 원판 지지축
56 : 권출프레임

Claims (3)

  1. 삭제
  2. 권취된 전선의 일단을 권출시키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를 통해 권출된 전선을 인출하여 펼치는 인장부;
    상기 인장부의 단부로부터 토출된 전선을 제1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양단에 하네스를 압착시키는 압착부; 및
    상기 권출부, 인장부, 절단부 및 압착부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부는: 전선의 직경에 맞추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전선이 인입되도록 전선의 직경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큰 내경을 가지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단부로부터 신장되며, 상기 전선의 직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집중부;를 포함하여,
    상기 집중부의 외측 단부가 상기 절단부의 일측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인장부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의 절단 지점이 상기 절단부에 치합되고,
    상기 인장부는:
    상기 전선을 밀어내도록 다수개의 롤러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인출부;
    상기 인출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다수개의 상기 가이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상기 가이드를 교체하는 교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 조절 핀;을 포함하고,
    상기 교체부는:
    상기 인출부보다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지그;
    상기 회전 지그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위치 조절 핀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지그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배치되는 위치 조절 홈;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지그가 회전하면, 상기 위치 조절 핀이 어느 한 위치 조절 홈으로부터 이탈하여 다른 위치 조절 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를 교체하는,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3. 권취된 전선의 일단을 권출시키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를 통해 권출된 전선을 인출하여 펼치는 인장부;
    상기 인장부의 단부로부터 토출된 전선을 제1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양단에 하네스를 압착시키는 압착부; 및
    상기 권출부, 인장부, 절단부 및 압착부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부는: 전선의 직경에 맞추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전선이 인입되도록 전선의 직경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큰 내경을 가지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단부로부터 신장되며, 상기 전선의 직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집중부;를 포함하여,
    상기 집중부의 외측 단부가 상기 절단부의 일측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인장부로부터 토출되는 전선의 절단 지점이 상기 절단부에 치합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전선을 안착시키는 서로 다른 길이의 레일이 다수개 형성되며, 소정의 쐐기 형상의 몸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전선 안착부;
    상기 전선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전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집중부의 단부에 탈착되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로부터 제2 길이만큼 이격 배치되어, 상기 홀딩부로부터 제2 길이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전선을 절단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일단에 대응하는 제1 하네스를 안착시키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압착대;
    상기 제1 압착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타단에 대응하는 제2 하네스를 안착시키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제3 길이 범위 내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압착대;
    상기 제1 압착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제1 프레스; 및
    상기 제2 압착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압착대가 수평 이동할 때 상기 제2 압착대의 변위와 동일하게 수평 이동하는 제2 프레스;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이 상기 전선 안착부의 이송에 따라 상기 제1 압착대 및 제2 압착대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제1 프레스 및 제2 프레스가 상기 제1 길이로 절단된 전선, 제1 하네스 및 제2 하네스를 압착시키는,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KR1020230035584A 2023-03-20 2023-03-20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KR102574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584A KR102574557B1 (ko) 2023-03-20 2023-03-20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584A KR102574557B1 (ko) 2023-03-20 2023-03-20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557B1 true KR102574557B1 (ko) 2023-09-07

Family

ID=8797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584A KR102574557B1 (ko) 2023-03-20 2023-03-20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55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042A (ja) * 1995-03-24 1996-10-11 Seiko Denki Seisakusho:Kk 電線端末処理装置用電線ガイド
JP2606253Y2 (ja) * 1993-11-10 2000-10-10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電線の矯正把持装置
KR20110130548A (ko) * 2010-05-28 2011-12-06 (주)티에이치엔 전선 가공장치
JP2012146638A (ja) * 2010-12-24 2012-08-02 Hitachi Magnet Wire Corp 塗装ダイスおよびエナメル線の製造方法
KR20150114756A (ko) * 2014-04-02 2015-10-13 (주)금화전선 내경가변 전선피복금형
KR20190106506A (ko) 2018-03-09 2019-09-18 애니콘(주)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KR102287874B1 (ko) 2020-10-22 2021-08-09 (주)지성테크 전선 하네스 제조장치
KR20220131708A (ko) * 2021-03-22 2022-09-29 (주)케이엠 디지텍 와이어링 하네스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253Y2 (ja) * 1993-11-10 2000-10-10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電線の矯正把持装置
JPH08264042A (ja) * 1995-03-24 1996-10-11 Seiko Denki Seisakusho:Kk 電線端末処理装置用電線ガイド
KR20110130548A (ko) * 2010-05-28 2011-12-06 (주)티에이치엔 전선 가공장치
JP2012146638A (ja) * 2010-12-24 2012-08-02 Hitachi Magnet Wire Corp 塗装ダイスおよびエナメル線の製造方法
KR20150114756A (ko) * 2014-04-02 2015-10-13 (주)금화전선 내경가변 전선피복금형
KR20190106506A (ko) 2018-03-09 2019-09-18 애니콘(주) 하네스 반자동 압착 장치의 전선공급장치
KR102287874B1 (ko) 2020-10-22 2021-08-09 (주)지성테크 전선 하네스 제조장치
KR20220131708A (ko) * 2021-03-22 2022-09-29 (주)케이엠 디지텍 와이어링 하네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08989B (zh) 屏蔽线束及其制造方法
US9240662B2 (en) Terminal treatment method and terminal treatment apparatus for coaxial cable
US10032544B2 (en) Terminal treatment apparatus for a coaxial cable to separate a sheath from a conductor
US1055989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ion structure, wire harn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nnection structure
CN106067646A (zh) 电线排列装置、捆绑加工机和电线排列方法
US11783970B2 (en) Method for center twisting wires
US4685636A (en) Reel and reel handling system
KR102574557B1 (ko) 전선 규격별 가이드 교체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선 하네스 압착 장치
CN212714269U (zh) 一种捻股机导线调节机构
CN106463257A (zh) 多线绕线方法、多线绕线装置以及绕线型线圈部件
CN103038837A (zh) 用于扭绞成对电线的反张力施加装置和用于通过采用反张力施加装置制造双绞线缆的方法
JP6577220B2 (ja) 処理方法、製造方法及び位置決め装置
CN103026427B (zh) 电线扭绞装置及采用该电线扭绞装置的双绞电缆制造方法
CN215008808U (zh) 一种带柔性保护套的耐磨可调汽车线束
JPH02281583A (ja) ターミナルストリップ巻き戻し装置
US202101547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er twisting wires
KR102450404B1 (ko) 전선단부 처리장치
JPS6232564B2 (ko)
CN111682464A (zh) 电缆中间接头制作施工工法和高压电缆
CN114420446B (zh) 网络滤波器的绕脚制作工艺
CN216785298U (zh) 线束卷绕装置和线束处理系统
JPS59219881A (ja) 端子の接続方法および装置
JP7451484B2 (ja) 端子リールユニット及び電線加工装置
CN218695767U (zh) 端子组装设备
KR101858415B1 (ko) 와이어 코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