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404B1 - 전선단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선단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404B1
KR102450404B1 KR1020200109553A KR20200109553A KR102450404B1 KR 102450404 B1 KR102450404 B1 KR 102450404B1 KR 1020200109553 A KR1020200109553 A KR 1020200109553A KR 20200109553 A KR20200109553 A KR 20200109553A KR 102450404 B1 KR102450404 B1 KR 102450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support frame
cam
upper support
cam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488A (ko
Inventor
황원주
Original Assignee
황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주 filed Critical 황원주
Priority to KR1020200109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404B1/ko
Priority to PCT/KR2020/016802 priority patent/WO2022045462A1/ko
Publication of KR2022002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6Cam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 및 제조비용 절감가능한 전선단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방에서 인입되는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과정과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을 압착하는 압착과정을 수행하는 전선단부 처리장치는, 상부지지프레임 및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전선의 인입방향에 수직인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고정용캠, 수직탈피용캠 및 수평탈피용캠이 결합된 제1 캠축;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상기 제1 캠축의 전방에 구비되며,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 동안 상기 고정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전선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상기 제1 캠축의 후방에 구비되며, 탈피과정 중 상기 수직탈피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전선단부의 심선을 제외한 피복을 커팅한 후 상기 수평탈피용캠에 의해 후방으로 구동되어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부재;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상기 탈피부재의 후방에 구비되며, 압착과정 중 압착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을 압착하는 압착부재; 및 상기 압착부재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압착용캠이 결합된 제2 캠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선단부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END OF WIRES}
본 발명은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과정 및 피복에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을 압착하는 압착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전선단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용을 절감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전선단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거리로 이격된 각종 전기회로 및 전기부품을 전기회로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을 전기회로나 전기부품에 보다 간편하게 결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선의 선단에 터미널을 압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92859호에 개시된 전선탈피기가 개시되었고, 또한 전선단부에 터미널을 압착하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6-0027086 호에 개시된 전선의 단자압착장치가 개시되었다.
최근에는 전선탈피기능을 갖는 단자압착장치도 등장하였으나, 내구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장비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커서 작업자가 현장에 반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선단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에서 인입되는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과정과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을 압착하는 압착과정을 수행하는 전선단부 처리장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지지프레임 및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 내 전선의 인입방향에 수직인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고정용캠, 수직탈피용캠 및 수평탈피용캠이 결합된 제1 캠축;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 내 상기 제1 캠축의 전방에 구비되며,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 동안 상기 고정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전선을 가압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 내 상기 제1 캠축의 후방에 구비되며, 탈피과정 중 상기 수직탈피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전선단부의 심선을 제외한 피복을 커팅한 후 상기 수평탈피용캠에 의해 후방으로 구동되어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부재;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 내 상기 탈피부재의 후방에 구비되며, 압착과정 중 압착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을 압착하는 압착부재; 및 상기 압착부재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압착용캠이 결합된 제2 캠축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하단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 동안 상기 고정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제1 하단걸림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후방측면에 고정되어 터미널이음부를 커팅하는 상부커팅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프레임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전방수직프레임, 후방수직프레임, 측벽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수직프레임에는, 상기 탈피부재에 형성된 제1 수평가이드홀 및 상기 압착부재에 형성된 제2 수평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수평가이드봉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가이드봉은, 상기 탈피부재 및 상기 압착부재의 전후방구동 및 승하강구동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축이 고정부재, 탈피부재, 압착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지 않고, 고정부재, 탈피부재, 압착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전선단부 처리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캠축의 회전에 따른 캠이 직접 고정부재, 탈피부재, 압착부재를 가압하여 승하강구동 또는 전후방 구동을 시킨다. 따라서 고정부재, 탈피부재, 압착부재의 전후방 구동 및 승하강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치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한 압착부재의 Z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별도의 제2 모터에 공급받으므로, 터미널을 강한 힘으로 압착할 수 있어 터미널 압착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단부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단부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선단부 처리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캠축 및 제2 캠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고정부재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탈피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탈피부재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압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2에 도시된 압착부재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단부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단부 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선단부 처리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선단부 처리장치(1)은, 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고정되어 전선단부를 처리하는 전선단부 처리부(3)를 포함한다.
본체부(2)는 전선단부 처리부(3)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선단부 처리부(3)를 제어한다.
본체부(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선처리부(3)를 제어하기 위한 보드(4), 제1 캠축(210)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 모터(410), 제2 캠축(280)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 모터(420)를 포함한다.
전선단부 처리부(3)는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과정과,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을 압착하는 압착과정을 수행한다.
전선단부 처리부(3)는 상부 지지프레임(100), 하부지지프레임(150), 제1 캠축(210), 고정부재(250), 탈피부재(260), 압착부재(270), 제2 캠축(280), 이송부재(300)를 포함한다.
상부지지프레임(110)은 본체부(2)의 측면의 중단부분에 고정되고, 하부지지프레임(150)은 본체부(2)의 측면의 하단부분에 상기 상부지지프레임(110)과 이격되어 고정된다.
또는 이와 달리, 하부지지프레임(150)은 상부지지프레임(110)과 이격된 상태로, 별도의 고정부(미도시)를 통해 상부지지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지지프레임(100)은, 전선의 인입방향인 x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전방수직프레임(110), 후방에 위치한 후방수직프레임(120), 상기 전방수직프레임(110)의 일측단부와, 상기 후방수직프레임의 일측단부를 연결하는 측벽수직프레임(130), 그리고 전방수직프레임(110), 후방수직프레임(120), 측벽수직프레임(130)이 이루는 내부공간의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수평프레임(140)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지지프레임(100)은 내부공간의 일부를 막는 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수직프레임(110)에는 전선이 인입되는 전선유입홀(111)이 구비된다.
후방수직프레임(120)에는 터미널이 유입되는 터미널유입홀(121)이 형성되며, 내측면으로부터 x축 상에서 전방을 향해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수평가이드봉(122)이 고정된다. 이때 수평가이드봉(122)에는 수평탄성부재(123)가 결합된다. 수평탄성부재(123)는 압착부재(270)와 후방수직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부재(270)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수평가이드봉(122)은 탈피부재(260) 및 압착부재(270)의 x축 상에서 전 후방구동 및 승하강구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탈피부재(260)에 형성되는 제1 수평가이드홀(263) 및 압착부재(270)에 형성된 제2 수평가이드홀(273)을 관통한다.
수평가이드봉(122)의 전방쪽 단부에는 스토퍼(124)가 결합된다. 스토퍼(124)는 탈피부재(260) 및 압착부재(270)의 x축 상에서 전방으로의 구동거리를 제한한다.
x축 상에서 탈피부재(260) 및 압착부재(270)의 수직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승강구동, 하강구동이 가능하도록, 제1 수평가이드홀(263) 및 제2 수평가이드홀(273)의 단면형상은 z축 방향인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제1 수평가이드홀(263) 및 제2 수평가이드홀(273)을 관통한 수평가이드봉(122)은, 제1 수평가이드홀(263) 및 제2 수평가이드홀(273) 내에서 수평가이드봉(122)이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수평가이드홀(263) 및 제2 수평가이드홀(273)의 홀 형상은 '1'자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수평프레임(140)은 고정부재(260)의 상부고정유닛(252), 탈피부재(260)의 상부탈피유닛(262), 압착부재(270)의 상부압착유닛(272) 및 상부커팅유닛(274)에 간섭되지 않도록 프레임 공간의 바닥면의 일부만을 형성한다.
바닥수평프레임(140)은, 고정부재(250)의 하단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직가이드홀(253)에 삽입되는 수직가이드봉(141), 수직가이드봉(141)에 의해 삽입되어 고정부재(250)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1 수직탄성부재(142), 탈피부재(260)의 하부에 구비되어 탈피부재(260)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2 수직탄성부재(143), 압착부재(270) 하부에 구비되어 압착부재(270)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3 수직탄성부재(144)가 구비된다. 제1 수직탄성부재(142)는 스프링, 제2 및 제3 수직탄성부재(143, 144)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지지프레임(150)은 상부지지프레임(100)의 하부, 구체적으로 상부지지프레임(100)의 바닥수평프레임(140)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된다.
하부지지프레임(150)에는 상부고정유닛(252)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하부고정유닛(151)과, 탈피부재(260)의 상부탈피유닛(262)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하부탈피유닛(152)과, 압착부재(270)의 상부압착유닛(272)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하부압착유닛(153)과, 압착부재(270)의 상부커팅유닛(274)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하부커팅유닛(154)가 구비된다.
하부고정유닛(151)은, 전선을 압착하여 고정한다. 인입되는 전선은 상부고정유닛(252)과 하부고정유닛(151)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고정유닛(252)이 하방으로 구동됨에 따라 가압되어 고정된다.
하부탈피유닛(152)은, 전선피복을 제거한다. 상부탈피유닛(262)이 하방으로 구동됨에 따라 하부탈피유닛(152) 및 상부탈피유닛(262) 사이에 위치한 전선단부의 심선을 제외한 피복이 커팅되고, 상부탈피유닛(262)이 후방으로 구동됨에 따라 커팅된 피복이 후방으로 밀려 제거된다.
하부압착유닛(153)은, 터미널을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압착 고정한다. 상부압착유닛(272)과 하부압착유닛(153)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이 공급되면, 상부압착유닛(272)이 하방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부압착유닛(272)과 하부압착유닛(153) 사이에 위치한 터미널이 압착된다.
하부커팅유닛(154)은, 터미널과 터미널 사이를 연결하는 터미널이음부를 커팅한다. 상부압착유닛(272)과 하부압착유닛(153)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이 공급되면, 상부압착유닛(272)이 하방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부커팅유닛(274)도 하방으로 구동되며, 상부커팅유닛(274)과 하부커팅유닛(154) 사이에 위치한 터미널과 터미널 사이를 연결하는 터미널이음부가 커팅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캠축 및 제2 캠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선의 인입방향이 x축 상에서 제1 방향이고, 인입방향과 반대방향을 x축 상에서의 제2 방향이라고 가정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캠축(210)은 상부지지프레임(100)의 내부에 전선의 인입방향에 수직인 측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캠축(210)은, 측벽수직프레임(1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제1 캠축(210)을 구동하는 제1 모터(410)는 측벽수직프레임(130)의 외측에 설치되며, 제1 캠축(210)은 제1 모터(41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때 제1 모터(410)의 회전축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제1 캠축(2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캠축(210) 상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용캠(220), 수직탈피용캠(230), 수평탈피용캠(240)이 결합된다. 고정용캠(220), 수직탈피용캠(230), 수평탈피용캠(240)은 제1 캠축(2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되어 제1 캠축(210)에 관통된 상태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캠축(210)이 y축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고정용캠(220), 수직탈피용캠(230), 수평탈피용캠(240)은 y축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한다.
고정용캠(220), 수직탈피용캠(230), 수평탈피용캠(240) 각각은,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 동안 고정부재(250), 탈피부재(260), 압착부재(270)를 전후방 구동 또는 승하강 구동하기 위해, 외주면 일부에 돌출부분이 구비된다.
제2 캠축(280)은, 상부지지프레임(100)의 내부공간 내부에, 전선의 인입방향인 x축 방향에 수직인 측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캠축(280)은, 측벽수직프레임(13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제1 캠축(210)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된다.
한편 제2 모터(420)는 상부지지프레임(100) 내부공간의 외부 즉, 측벽수직프레임(110)의 외측에 설치된다. 제2 캠축(280)은 제2 모터(42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제2 캠축(280) 상에는 압착용캠(290)이 결합된다. 압착용캠(290)은 제2 캠축(28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되어 제2 캠축(28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제2 캠축(280)이 Y축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압착용캠(290)도 Y축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한다.
압착용캠(290)은, 압착과정 동안 압착부재(270)를 승하강 구동하기 위해, 외주면 일부에 돌출부분이 구비된다.
고정부재(250)는 상부지지프레임(100) 내부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전방수직프레임(110) 및 제1 캠축(210) 사이에 구비된다. 즉 고정부재(250)는 제1 캠축(210)의 전방에 구비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250)는, 고정부재(250)의 하단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고정용캠(22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제1 하단걸림부재(251)와, 고정부재(250)의 하단부분에 구비되어 전선을 가압 고정하는 상부고정유닛(252)과, 고정부재(250)의 하단부분에 고정부재(250)의 승하강 동작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봉(141)이 제1 탄성부재(142)를 관통한 채로 삽입되는 수직가이드홀(253)을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고정부재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초기상태의 고정부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 중의 고정부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의 초기상태에서 전선이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되면, 고정용캠(220)이 회전한다. 이후 도 6b와 같이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 동안, 제1 하단걸림부재(251)가 회전구동하는 고정용캠(220)에 의해 z축 상에서 하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 동안, 고정부재(250)의 상부고정유닛(251)이 하강구동되어 하부고정유닛(141)과 함께 전선을 고정한다.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 동안 고정부재(250)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용캠(220)의 외주면 일부에 돌출부분이 구비된다.
그리고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이 완료되면, 고정부재(250)는 제1 탄성부재(142)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도 6a의 초기상태와 같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탈피부재(260)는 제1 캠축(210)의 후방에 구비되며, 압착부재(270)의 전방에 구비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탈피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탈피부재(260)는, 상부지지프레임(110) 내 제1 캠축(210)의 후방에 구비되며, 탈피과정 중 수직탈피용캠(230)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전선단부의 심선을 제외한 피복을 커팅한 후, 수평탈피용캠(240)에 의해 후방으로 구동되어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한다.
탈피부재(260)는, 탈피부재(260)의 하단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수직탈피용캠(23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제2 하단걸림부재(261)와, 탈피부재(260)의 하단부분에 구비되어 전선의 피복을 커팅하는 상부탈피유닛(262)과, 탈피부재(260)의 전후방 동작을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봉(122)이 관통되는 제1 수평가이드홀(263)을 포함한다.
한편, 도 2와 같이 탈피부재(260)의 후방에 압착부재(270)가 인접 배치된다. 그리고 수평가이드봉(122)은 탈피부재(260)에 형성된 제1 수평가이드홀(263) 및 압착부재(270)에 형성된 제2 수평가이드홀(273)을 관통한다. 이때 제1 및 제2 수평가이드홀(263, 273)은 수평가이드봉(263)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z축 방향인 수직방향으로 넓게 형성된다. 탈피부재(260)의 하강구동과, 압착부재(270)의 하강구동은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평탄성부재(123)는 후방지지프레임(120)과 압착부재(270)의 제2 수평가이드홀(273) 사이에 배치된다. 수평탄성부재(264)는 압착부재(270)를 탈피부재(260)와 함께 전방으로 가압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탈피부재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탈피과정 중 탈피부재가 하방으로 구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탈피과정 중 탈피부재가 하방으로 구동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구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c는 탈피과정 완료 시 탈피부재가 원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와 같이, 수직탈피용캠(230)에 의해 우선 제2 하단걸림부재(261)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탈피부재(260)가 z축 상에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수직탈피용캠(230)에 의해 탈피부재(260)가 하방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부 상부탈피유닛(262)도 하방으로 구동된다. 이때 탈피부재(260)의 후방에 인접 배치되는 압착부재(270)는 탈피부재(260)와 달리 하방으로 구동되지 않는다.
상부 상부탈피유닛(262)의 하단면에는 '^'자 형의 홈이 형성된 칼날이 구비될 수 있다. 전선은 하방으로 구동한 상부탈피유닛(262) 및 하부 지지프레임(150)에 구비되는 하부 하부탈피유닛(142)에 의해 전선의 심선을 제외한 전선의 피복이 커팅된다.
이후 도 8b와 같이, 탈피부재(260)가 탈피과정 동안 수직탈피용캠(230)에 의해 Z축 방향 중 하방으로 구동된 상태에서, 수평탈피용캠(230)에 의해 탈피부재(260)가 x축 상에서 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탈피부재(260)는 x축 상에서 후방으로 구동된다.
이때 탈피부재(260)의 후방에 인접 배치되는 압착부재(270)는 탈피부재(260)에 가압되어, 탈피부재(260)와 함께 후방으로 구동된다.
전선은 고정부재(250)가 고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탈피부재(26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선의 피복만 상부탈피유닛(262)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제거된다.
한편 수평가이드봉(122)의 외주면에는 스프링과 같은 수평탄성체(123)가 구비된다. 수평탄성체(123)는 압착부재(270)를 탈피부재(260)과 함께 후방수직프레임(130)으로부터 전방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도 8c와 같이, 탈피부재(260)의 탈피과정이 완료되어 수평탈피용캠(230)의 가압이 없어지면, 수평탄성체(123)가 압착부재(270)를 탈피부재(260)와 함께 전방으로 가압하여 탈피부재(260) 및 압착부재(270)를 원위치시킨다. 이때 스토퍼(124)가 탈피부재(260)의 전방으로의 구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탈피부재(26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터미널(T)이 압착부재(270)의 위치로 제공된다. 이때 터미널(T)은 터미널이음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탈피부재(260) 및 압착부재(270)는 X축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 구동 시, 수평가이드봉(122)에 의해 틀어짐이 방지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압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압착부재(270)은, 상부지지프레임(100) 내 탈피부재(260)의 후방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압착과정 중 압착용캠(290)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T)을 압착하며, 터미널 이음부를 커팅한다.
압착부재(270)는, 하단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압착용캠(29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제3 하단걸림부재(271)와,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을 압착하기 위한 상부압착유닛(272)과, 탈피부재(260)에 구비된 수평가이드봉(264)이 관통되며, 수평가이드봉(264)이 Z축 방향으로 이동 시 간섭받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2 수평가이드홀(273)과, 압착부재(270)의 후방측면에 고정되어 터미널이음부를 커팅하는 상부커팅유닛(274)을 포함한다.
터미널이음부는 터미널과 터미널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이고, 상부커팅유닛(274)은 'ㄱ'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커팅유닛(274)는 압착부재(270)의 후방측면, 구체적으로 터미널압착유닛(272)의 후방측면에 고정된다.
압착부재(270)는 탈피부재(260)의 후방에 인접 배치됨으로써, 탈피부재(260)의 x축상에서 전후방 구동의 영향을 받는다. 즉, 탈피부재(260)가 X축 방향인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동 시, 압착부재(270)도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동된다. 즉, 탈피과정동안, 압착부재(270)는 탈피부재(26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2에 도시된 압착부재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압착과정 중 압착부재가 하방으로 구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b는 압착과정 완료 시 압착부재가 원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압착과정 중 압착용캠(290)에 의해 제3 하단걸림부재(271)가 하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압착부재(270)가 하강한다. 압착부재(270)의 상부압착유닛(272)과 하부압착유닛(153) 사이에 외부에서 제공되어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삽입된 터미널(T)이 압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커팅유닛(274)이 하방으로 구동되어, 하부커팅유닛(154) 사이에 위치하는 터미널 이음부를 커팅한다.
이후 도 10b를 참조하면, 압착과정 완료 후 제3 수직탄성부재(144)가 압착부재(270)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압착부재(270)는 상방으로 구동되어 원위치된다. 이때 수평가이드봉(122)에 의해 압착부재(270)의 상방으로의 구동거리가 제한된다.
제1 캠축 및 제2 캠축의 동기화는, 본체부(2)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체부(2)는 제1 캠축이 1회전하여 탈피과정이 완료되는 시점을 센싱하고, 탈피과정의 완료시점에 제2 캠축을 1회전하여 압착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본체부(2)는 제1 캠축 및 제2 캠축을 동시에 회전구동을 시키고, 동시에 1회전이 완료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감속기어가 제2 캠축에 장착되는 경우, 제2 캠축의 1회전 완료시간이 제1 캠축의 1회전 완료시간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송부재(3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터미널을 압착부재(270)에 제공한다. 이송부재(300)는 복수의 롤러 또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축이 고정부재, 탈피부재, 압착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지 않고, 고정부재, 탈피부재, 압착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전선단부 처리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캠축의 회전에 따른 캠이 직접 고정부재, 탈피부재, 압착부재를 가압하여 승하강구동 또는 전후방 구동을 시킨다. 따라서 고정부재, 탈피부재, 압착부재의 전후방 구동 및 승하강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치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한 압착부재의 Z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별도의 제2 모터에 공급받으므로, 터미널을 강한 힘으로 압착할 수 있어 터미널 압착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22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전선단부 처리장치 2: 본체부
3: 전선단부 처리부 100; 상부지지프레임
110: 전방수직프레임 120: 후방수직프레임
121: 터미널유입홀 122: 수평가이드봉
123: 수평탄성부재 124: 스토퍼
130: 측벽수직프레임 140: 바닥수평프레임
141: 수직가이드봉 142: 제1 수직탄성부재
143: 제2 수직탄성부재 144: 제3 수직탄성부재
150: 하부지지프레임 151: 하부고정유닛
152: 하부탈피유닛 153: 하부압착유닛
154: 하부커팅유닛 210: 제1 캠축
220: 고정용캠 230: 수직탈피용캠
240: 수평탈피용캠 250: 고정부재
251: 제1 하단걸림부재 252: 상부고정유닛
253: 수직가이드홀 260: 탈피부재
261: 제2 하단걸림부재 262: 상부탈피유닛
263: 제1 수평가이드홀 270: 압착부재
271: 제3 하단걸림부재 272: 상부압착유닛
273: 제2 수평가이드홀 274: 상부커팅유닛
280: 제2 캠축 290: 압착용캠
300: 이송부 410: 제1 모터
420: 제2 모터

Claims (4)

  1. 전방에서 인입되는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과정과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을 압착하는 압착과정을 수행하는 전선단부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부지지프레임 및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전선의 인입방향에 수직인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고정용캠, 수직탈피용캠 및 수평탈피용캠이 결합된 제1 캠축;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상기 제1 캠축의 전방에 구비되며,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 동안 상기 고정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전선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상기 제1 캠축의 후방에 구비되며, 탈피과정 중 상기 수직탈피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전선단부의 심선을 제외한 피복을 커팅한 후 상기 수평탈피용캠에 의해 후방으로 구동되어 전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부재;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상기 탈피부재의 후방에 구비되며, 압착과정 중 압착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에 터미널을 압착하는 압착부재; 및
    상기 압착부재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내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압착용캠이 결합된 제2 캠축을 포함하는 전선단부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하단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탈피과정 및 압착과정 동안 상기 고정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제1 하단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피부재는, 하단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탈피과정 동안 상기 수직탈피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제2 하단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부재는, 하단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압차과정 동안 상기 압착용캠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제3 하단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단부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후방측면에 고정되어 터미널이음부를 커팅하는 상부커팅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단부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프레임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전방수직프레임, 후방수직프레임, 측벽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수직프레임에는, 상기 탈피부재에 형성된 제1 수평가이드홀 및 상기 압착부재에 형성된 제2 수평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수평가이드봉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가이드봉은, 상기 탈피부재 및 상기 압착부재의 전후방구동 및 승하강구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단부 처리장치.
KR1020200109553A 2020-08-28 2020-08-28 전선단부 처리장치 KR102450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553A KR102450404B1 (ko) 2020-08-28 2020-08-28 전선단부 처리장치
PCT/KR2020/016802 WO2022045462A1 (ko) 2020-08-28 2020-11-25 전선단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553A KR102450404B1 (ko) 2020-08-28 2020-08-28 전선단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488A KR20220028488A (ko) 2022-03-08
KR102450404B1 true KR102450404B1 (ko) 2022-09-30

Family

ID=8035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553A KR102450404B1 (ko) 2020-08-28 2020-08-28 전선단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0404B1 (ko)
WO (1) WO2022045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66B1 (ko) * 2022-12-01 2023-08-25 이민후 전선의 직선 가공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399A (ja) 2003-12-02 2005-06-23 Kodera Electronics Co Ltd 端子圧着装置
WO2018198757A1 (ja) 2017-04-26 2018-11-0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部セット装置および端部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0864A (ja) * 1996-01-09 1997-07-22 Kato Teruyoshi 電線端末処理装置
KR100400334B1 (ko) * 2000-03-03 2003-10-01 박세재 전기선로의 분기를 위한 터미널을 갖는 선재 제조장치
KR100449420B1 (ko) * 2001-06-04 2004-09-30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단자압착기
KR100952992B1 (ko) * 2007-10-08 2010-04-16 (주)케이엠 디지텍 전선의 탈피 겸용 압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399A (ja) 2003-12-02 2005-06-23 Kodera Electronics Co Ltd 端子圧着装置
WO2018198757A1 (ja) 2017-04-26 2018-11-0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部セット装置および端部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488A (ko) 2022-03-08
WO2022045462A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2937B2 (ja) ハーネス製造方法と圧接機及びコネクタ保持竿並びに圧接装置
KR102450404B1 (ko) 전선단부 처리장치
JP2016517152A (ja) ケーブルを切断し、ケーブルから絶縁体を剥離し、ケーブルを圧着端子に取り付けるためのケーブル処理装置
WO2018198757A1 (ja) 端部セット装置および端部加工装置
KR20170088990A (ko) 센터링 유니트, 압착기 및 케이블 처리시스템
JP2520066B2 (ja) 電力線ハ―ネ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10474220A (zh) 一种用于端子线生产的单头一次插壳机
KR100226202B1 (ko) 전선의 중간영역의 피복제거방법
WO2016122800A1 (en) Crimping device with seal depressor
KR100952992B1 (ko) 전선의 탈피 겸용 압착장치
CN109830871A (zh) 剥皮机和剥皮方法
KR200402665Y1 (ko) 전선 처리기기의 터미널 결합장치
CN212542925U (zh) 一种电力工程用压接机
JP2010015701A (ja) 端子圧着装置
JPS6144388B2 (ko)
KR101485316B1 (ko) 플렛 케이블용 컨넥터 핀 자동 압착장치
EP3739696B1 (en) Crimp tooling having guide surfaces
CN116525207A (zh) 绞线设备及绞线方法
EP2564475B1 (en) Tool for crimping a connector
JPH0681453B2 (ja) コイル成形装置
JP4142659B2 (ja) 電線圧接装置及び電線圧接方法
CN219041005U (zh) 一种压接机构
CN116207584B (zh) 一种料带式端子护套高效压接装置
US5184651A (en) Wire winding apparatus
JP3024499B2 (ja) 電線付端子の挿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