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990A - 센터링 유니트, 압착기 및 케이블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센터링 유니트, 압착기 및 케이블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990A
KR20170088990A KR1020177018121A KR20177018121A KR20170088990A KR 20170088990 A KR20170088990 A KR 20170088990A KR 1020177018121 A KR1020177018121 A KR 1020177018121A KR 20177018121 A KR20177018121 A KR 20177018121A KR 20170088990 A KR20170088990 A KR 20170088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ing
cable
centering unit
processing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리 블리켄스토퍼
마르쿠스 발사
마이클 조스트
Original Assignee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8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처리장치용, 특히 압착부용의 센터링 유니트(Z)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프레임(1)과 캐리어프레임에 대해 조정되는 적어도 2개의 센터링조(2a~b)를 갖는다. 센터링조들은 서로에 대해서는 물론 캐리어프레임(1)에 대해서도 독립적으로 조정된다. 이런 종류의 센터링 유니트(Z)는 2개 이상의 처리부들이 일부는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케이블 처리시스템에 사용되고, 처리부들 중의 하나는 절연피복을 벗기는 부분이고 다른 하나에는 압착기(C)가 배치된다.

Description

센터링 유니트, 압착기 및 케이블 처리시스템{CENTERING UNIT, CRIMPING APPARATUS AND CABLE PROCESSING INSTALLA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압착부의 케이블 처리장치용 센터링 유니트, 청구항 8에 따른 압착처리에 의해 케이블 단부에 요소들을 연결하는 장치, 및 청구항 12에 따른 케이블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단면적 0.35~6 ㎟ 정도의 일반 케이블들은 힘을 받아 아래로 밀릴 때 약간 휘어지거나 진동할 경우에도 비교적 문제가 없고, 압착과정에서도 크게 문제될 경우는 없지만, 단면적 0.13㎟ 정도의 아주 가는 케이블들을 자동차에 설치하는 경우도 크게 늘고있다. 심지어는 단면적 0.05㎟ 정도의 케이블들도 사용할 수 있다. 단면적이 작은 가는 케이블들을 전자동 처리시스템에서 처리할 때의 문제점은 단면적이 작을수록 크기비(size ratio)가 안맞는다는데 있다. 그리퍼, 압착스테이션, 압착공구들은 기본적으로 큰 단면적에 맞게 설계되어 있다. 케이블 단부가 그리퍼 밖으로 돌출하는 가는 케이블의 경우 돌출된 케이블 단부가 굵은 케이블만큼 축방향으로 안정되지 않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리퍼가 하강하면 충격모멘텀이 일어난다. 그리퍼 밖으로 돌출한 케이블 단부도 이런 하강운동을 하여 크림핑조 안으로 들어가면, 각각의 와이어들이 크림핑조 안에 있지 않거나 축방향 삽입 깊이가 크게 변해 크림핑조내의 삽입깊이에 필요한 사양(MFU 값) 내의 케이블 생산 적합도를 실현할 수 없거나 극히 일부만 실현할 수 있다. 케이블 단부를 크림핑조 안으로 좀더 조심스럽게 삽입하려면, 케이블 단부와 그리퍼의 충격모멘트가 거의 없도록 하는 하강운동이 필요하다.
처리부의 케이블들을 하강시켜 배치하는 방치와 방법이 WO2009/017653에 소개되었는데, 여기서는 압착프레스 행정과 무관하게 케이블 단부와 그리퍼를 하강시키는데 서보드라이브를 사용한다. 압착공구에도 압착프레스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서보드라이브가 있다. 이 장치에서는 컨택트 스트립들을 압착공구내 압착위치로 정확히 밀어준 다음, 케이블 단부와 그리퍼를 압착축선에서 피봇시키고 나서, 케이블 단부가 크림핑조 안에 위치할 때까지 기어와 랙-피니언 드라이브를 통해 서보드라이브의 도움으로 케이블과 그리퍼를 하강시키고, 압착프레스만 작동한 다음 케이블 단부에 플러그를 압착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개별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이런 모든 움직임을 서보 드라이브에 프로그램하여 충격 없이 조작할 수 있지만, 이런 서보드라이브는 아주 고가이다. 이런 공지의 방식이 가는 케이블의 정확한 무충격 조작에는 적합하지만, 역시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 기계의 용량도 순차적인 제어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을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가느다란 케이블들을 압착부에 하강배치하는 장치가 WO2011/004271에 소개되었는데, 여기서는 기본 프레스 프레임에 있는 드라이브가 상사점에서 하사저까지의 사인곡선과 비슷한 속도 곡선으로 중심축을 따라 프레스 캐리지를 움직인다. 또, 이 장치에 있는 중앙 태핏(tappet)은 중심축선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단부가 마운트에 연결되어, 압착부의 프레스 캐리지에 단단히 연결되어, 프레스 캐리지와 태핏이 하강행정에서 동기적으로 움직인다. 그리퍼헤드와 적어도 한쌍의 그리퍼조가 달린 별도의 그리퍼를 통해, 케이블 단부를 압착공구의 압착구역에 배치하고, 압착공구는 프레스 캐리지에 배치되며, 플러그의 압착조로 압착할 피봇 위치에 압착공구의 상부와 하부가 위치한다. 태핏의 하강행정보다 앞서도록 그리퍼헤드를 저속으로 하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선행 하강장치에 의해 케이블 단부가 피봇 위치에서 압착위치로 이동하는데, 이런 하강장치는 중심 태핏 옆에 배치된다. 이 장치의 단점은 제조비와 수고가 많이 들고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제조 수고를 줄임과 동시에 아주 가는 케이블도 정위치시키기 위해, EP2590275에 소개된 케이블 배치장치에서는 하강장치의 압력패드가 스프링의 탄성을 받아 케이블 가이드를 압박하고, 스프링이 튜브 안에 배치되어 있다. 압력패드는 케이블 가이드 안에 있는 케이블의 종축선에 직각인 하강장치의 이동에 의해 케이블 가이드의 윗면을 누른다. 따라서, 케이블 가이드에서 돌출한 케이블의 자유 단부와 케이블 가이드의 진동이 케이블의 종축선에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억제된다. 그러나, 후처리에 필요한 케이블의 더이상의 하강이 방해되고, 위치조정과 다른 처리 인자로의 변환도 상당히 어려워진다.
US6038763에 소개된 장치에서는, 은 펜치나 핀셋 형태의 그리퍼가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케이블에 의해 정위치된다. 따라서, 공통 캐리어 구간에서 시작하는 2개의 그리핑조 구간들이 그 사이에 있으면서 그리핑조 구간들에 나란히 움직이는 작동 텅에 의해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진다. 따라서, 양쪽 그리핑조 구간들 모두 동시에 작동하고 움직이며 서로 연결되어 있어, 캐리어 구간과 서로에 대한 그리핑조 구간들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
EP0586252는 납작펜치나 핀셋과 비슷한 스프링식 그리퍼장치에 관한 것인데, 간단한 스프링식 디자인 때문에, 서로 마주보고 있는 조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런 간단한 구성에서는 캐리어 구조에 대해 그리퍼 장치의 위치를 설정할 수 없다.
반면에, CH673858과 US4779334 둘다 조가 달린 그리퍼 장치를 소개하는데, 여기서는 조에 V형 홈이 형성되고 아암들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아암들은 서로에 대해 피봇 가능하며 펜치와 같이 케이블이나 기다란 물체를 그립하지만, 조들이 서로 연결되어 움직인다. 물체를 그립하는 조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다.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압착 조들의 운동, 특히 직선 경로를 따라 횡방향으로 나란하지 않은 운동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착부를 갖춘 케이블 처리시스템에 케이블을 위치시키되, 처리할 케이블 단부를 축방향으로는 물론 횡방향으로도 최적으로 위치시키는 방법과 장치를 개선하는데 있다. 이런 위치설정을 쉽고 적응적으로 할 수 있으며 케이블 단부의 설정 위치도 아주 유연하게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런 목적은 독립항 1, 10 및 14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은 도면과 종속항들에 소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처리장치용의 센터링 유니트에서는, 마이크로 단위의 아주 가느다란 케이블이나 아주 가느다란 꼬은 케이블도 처리위치에 대한 종방향과 횡방향 위치에 대해 신뢰성있게 삽입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케이블의 단부에 접촉하는 플러그나 다른 요소의 압착조들 사이에 삽입할 수 있으면서도 내부 도체나 유전체나 피복이 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캐리어프레임에 대해 조정이 가능하고 그 사이에 처리할 케이블을 넣을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센터링조와 캐리어프레임의 배열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센터링조를 서로에 대해서는 물론 캐리어프레임에 대해서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링 직경과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바, 즉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센터링조를 통해 캐리어프레임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케이블 단부를 처리위치에 대해서나 케이블에 접촉하는 플러그와 같은 요소에 대해 어떤 높이에서도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런 모든 움직임은 차례대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한 적어도 2개의 센터링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드라이브들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마주보면서 독립적으로 조정되는 센터링조의 최대 가능한 조정 경로들은 적어도 일부 중첩되거나,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또, 이런 센터링조 각각이 어느 경우에도 자체 드라이버에 의해 움직일 수 있고, 이런 드라이브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특히 작동시점, 이동방향 및 작동행정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 센터링조나 그 드라이브들이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에 연결된다. 이런 컨트롤러는 프로그램 가능한 것이 좋다. 모든 처리단계와 모든 종류의 케이블에 대해 센터링조 각각의 위치를 서로 독립적으로 간단하고도 아주 유연하게 프로그램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케이블 센터링 및 케이블 압착을 위한 위치들과 인자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바꿀 수 있고 케이블처리 도중에 각각의 요건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이런 작업을 시스템 컨트롤러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할 수도 있는데, 이를 통해 위치와 인자들을 나머지 시스템 경로의 설정함수로 조정할 수 있다. 센터링 유니트의 개별적인 프로그래밍도 가능하다.
또, 컨트롤러가 센터링조들을 서로를 향해 좁혀지고 벌어지면서 필요한대로 케이블 단부의 안내나 압착을 맞추도록 디자인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트롤러가 센터링조들을 일방향 이동하도록 디자인될 수도 있다. 따라서, 케이블 단부에 접촉할 플러그나 요소에 대한 처리위치에 케이블 단부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케이블의 이동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제공된 케이블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 센터링 유니트가 제공되는데, 어떤 경우에도 센터링조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V형 홈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센터링조들이 각각 슬라이딩 파트에 형성되고, 이런 슬라이딩 파트들은 평행하게 안내되고 캐리어프레임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으며, 슬라이딩 파트들이 각각의 드라이브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링조들이 가장 벌어져있는 센터링조들의 사이의 높이에 해당하는 캐리어프레임의 한쪽에 슬롯이 형성되어, 처리할 케이블을 피봇장치로 케이블 종축선에 직각으로 피봇하여 센터링조들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어, 케이블을 축방향으로 크게 움직일 필요가 없어진다. 이를 위해, 센터링조들의 이동방향에 직각으로 슬롯을 형성해, 센터링 유니트와 이동요소들의 디자인을 가능한한 간단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센터링조들이나 슬라이딩 파트를 갖춘 경우, 슬라이딩 파트에 이런 슬롯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착과정에 의해 케이블 단부에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압착공구의 상류에 센터링 유니트가 위치하는 압착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센터링 유니트는 압착공구의 바로 상류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는 삽입된 케이블의 피복을 벗기는 구간에 직접 연결되는 구역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센터링이 압착 프레스의 바로 상류, 즉 케이블에 연결할 요소의 상류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리고 센터링조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센터링 높이와 직경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단부와 센터링조 사이의 간격이 커서 케이블 돌출이 큰 경우에도 케이블 단부를 정확하게 조정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케이블의 종방향과 횡방향 양쪽으로 이를 위해 필요한 모든 움직임들은 차례대로나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케이블 센터링 유니트를 압착프레스와 그 안에 배치된 플러그 부근에 배치할 수 있다. 프레스의 구조와 이용가능한 공간비에 따라, 케이블 센터링 유니트를 압착프레스에 일체화할 수도 있다. 그리퍼/센터링조가 수직이동(케이블 하강)을 할 필요가 없어, 좀더 튼튼하고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문에 피봇장치의 동력을 강화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센터링 유니트와 압착공구는 공통 캐리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공구와 센터링 유니트의 가동 파트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센터링 유니트를 압착공구에 대해 피봇하도록 한다. 센터링 유니트는 수평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것이 좋다. 이런 축선은 캐리어프레임의 하부영역을 지난다. 센터링 유니트, 특히 캐리어프레임은 이런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도록 공통 캐리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제어와 유지보수를 위해 위에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센터링 유니트의 피봇 축선은 캐리어프레임의 하부영역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군데 이상의 처리부가 적어도 일부는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케이블 처리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처리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절연피복을 벗기는 처리부이고 다른 처리부는 압착기이다. 처리할 케이블 단부를 처리부에 대해 전진/후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장치가 있는데, 이 이송장치는 원형 배열된 처리부들을 따라 케이블의 단부를 피봇시키는 피봇장치일 수 있다. 케이블을 취급하는 이런 이송장치는 케이블을 홀딩하는 압착기, 특히 케이블용의 압착 조들을 갖춘 그리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런 케이블 처리시스템은, 센터링 유니트가 압착기와 이송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압착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 유니트의 전개사시도;
도 1b는 케이블 핸들링 유니트에서 본 센터링 유니트의 사시도;
도 1c는 압착부쪽에서 본 센터링 유니트의 사시도;
도 2는 케이블 단부에 접촉되는 요소인 플러그에 케이블 단부를 삽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3a는 케이블을 피봇하기 위해 측면에 슬롯이 형성된 센터링 유니트의 전개사시도;
도 3b는 케이블의 핸들링 유니트쪽에서 본 도 3a의 센터링 유니트의 사시도;
도 3c는 압착부쪽에서 본 도 3a의 센터링 유니트의 사시도;
도 3d는 케이블 피봇을 위한 슬롯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링 유니트를 갖춘 압착부와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은 처리할 케이블 단부, 구체적으로는 얇은 케이블 단부들을 삽입하기 위한 센터링유니트(Z)의 전개사시도로서, 이런 케이블 단부들은 압착접속을 위해 절연피복을 벗겨낸다. 도 1b~c의 센터링유니트(Z)는 조립상태로서, 도 1b는 바로 옆의 처리부에서 본 것이고, 도 1c는 그 반대쪽에서 본 것이다. 지지대(1a)에 의해 캐리어프레임(1)이 캐리어구조에 결합되고, 지지대(1a)는 캐리어프레임(1)의 하단부의 수평축선을 형성한다. 지지대(1a)는 센터링유니트(Z)와 케이블단부 처리부의 공통 캐리어에 설치되고, 처리부는 하류측, 특히 플러그(9)를 케이블 단부에 결합하기위한 상부 압착공구(11)와 하부 압착공구(12)를 갖는 압착기(C)의 하류에 배치된다.
캐리어프레임(1)에 2개의 센터링조(2a~b)가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고, 센터링조(2a~b)의 오목한 케이블 수용부는 V형이나 삼각형 형태로 서로 마주보고 있다. 센터링조(2a~b)는 슬라이딩 부분인 캐리어 플레이트(3a~b)에 결합되고, 캐리어 플레이트(3a~b)는 캐리어프레임(1)에서 위아래로 안내되지만, 직선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센터링조(2a~b)가 캐리어 플레이트(3a~b)에서 곡선경로들을 따라 움직일 수도 있지만, 이런 곡선경로들은 서로 마주보는 센터링조(2a~b)를 위해 적어도 일부가 일치해야 한다.
캐리어 플레이트(3a~b)의 서로에 대한 움직임 및 캐리어프레임(1)에 대한 움직임은 구동장치인 선형모터(4a~b)에 의해 이루어진다. 선형모터(4a~b) 둘다 공통의 모터 설치판(5)에 설치되고, 모터 설치판은 캐리어프레임(1)에 연결된다. 선형모터(4a~b)의 축(6a~b)은 헬리컬기어를 통해서나 워엄기어 형태로 캐리어 플레이트(3a~b)에 결합된다.
이런 선형모터(4a~b)는 컨트롤러(S)에 연결되어, 작업행정의 작동시점과 정지시점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고 그 방향도 독립적이다. 선형모터의 작동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를 통해 프로그램된 대로 이루어지고, 컨트롤러는 센터링유니트(Z)가 설치된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 플레이트(3a~b)와 센터링조(2a~b)도 선형모터(4a~b)에 의해 프로그램된대로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운동하여, 각각 개폐되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나 나란히 움직이면서 케이블(K)을 위치시킬 수 있고, 센터링조 사이에 케이블의 중심을 맞춰 압착할 수 있다. 이동방향과 모터축의 속도에 따라, 센터링조(2a~b)는 닫히거나 열리거나 "중심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런 모든 움직임을 프로그램하고 중복하여, 센터링조의 개폐를 "중심위치"의 이동과 동시에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캐리어 플레이트(3a~b)는 커버플레이트(7)에 의해 캐리어프레임(1)에 고정되어 캐리어프레임과 함께 안내되며, 오염물의 침입을 방지한다(도 1b 참조). 한편, 캐리어 플레이트(3a~b)가 이미 캐리어프레임(1)의 가이드 안에 움직일 수 있게 삽입되어 있으면, 커버플레이트(7)는 가이드와 캐리어 플레이트(3a~b)를 보호하는 역할만을 한다.
처리할 케이블(K)의 단부가 통과하는 아래위로 기다란 장공(8)이 캐리어프레임(1)에 있고, 센터링조(2a~b)에 의해 케이블 단부에 플러그(9)와 같은 요소들을 끼우는 도중에 장공(8)을 따라 임의의 높이에 케이블을 압착하거나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한 순서의 가이드 및/또는 케이블의 여러 위치에서의 압착이 필요한 모든 처리 단계에서 센터링 유니트(Z)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b에서 케이블(K)을 볼 수 있다.
센터링 유니트(Z)는 압착과정을 통해 케이블(K)의 단부에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해 압착기(C)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센터링 유니트(Z)는 압착기(C)의 압착공구(11,12) 중의 적어도 하나의 바로 상류의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9)와 같은 요소에 케이블 단부를 삽입할 때 가장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해, 센터링 유니트(Z)를 압착기(C)의 상류에 배치하고, 케이블(K)이 삽입되었을 때, 즉 케이블 단부에 플러그(9)가 압착하기 직전의 이송단계에서 삽입된 케이블(K)의 절연피복을 벗기는 구간에 압착기를 연결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착공구(11,12)가 달린 압착기(C)와 센터링 유니트(Z)를 공통의 캐리어에 설치하되, 케이블 종축선(A)에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여 재생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유지관리와 부품교환이나 수리를 위해 센터링 유니트(Z)와 압착공구(11,12)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압착기(C)나 압착공구(11,12)에 대해 센터링 유니트(Z)를 피봇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런 피봇운동은 공통 캐리어의 수평축선(15)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것이 좋고, 이런 수평축선(15)은 캐리어프레임(1)의 밑에, 바람직하게는 캐리어프레임의 하연부를 통과하는 것이 좋다. 필요하다면, 캐리어프레임(1)에 나란하게나 수직으로 피봇축을 설정하여 캐리어프레임을 압착기(C)에 대해 문처럼 피봇하게 할 수도 있다. 가능한 공간이 특히 작은 경우 피봇운동에 필요한 공간을 없애기 위해, 수직이나 수평 슬라이딩 가이드 안에 캐리어프레임(1)을 연결해 당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센터링 유니트(Z)가 지지대(14)에 있는 2개의 측면 저널을 통해 공통 캐리어에 피봇되도록 설치하되, 케이블 종축선(A)에 직각이면서 가능한 최대 피봇 위치에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 압착기(C)와 컨트롤러(S) 사이의 센서/제어 라인(13)과, 센터링 유니트(Z)와 컨트롤러(S) 사이의 센서/제어 라인(13을 도 4에서 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센터링 유니트(Z)는 처리부가 2개 이상으로서 적어도 일부는 원형으로 배열된 케이블 처리시스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절연피복을 벗겨내는 스테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압착기를 갖춘 시스템에서는 처리할 케이블 단부들을 센터링해야만 하고, 이때 절연피복을 벗겨낸 케이블 단부에 플러그(9)가 압착된다. 이런 시스템에서, 케이블 단부를 처리부에 대해 전후진시키는 이송기에 의해 케이블(K)이 정위치한다. 압착기가 케이블(K)을 물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그리퍼(10)를 갖춘 피봇아암 형태인 이송기가 원형으로 배치된 처리부들을 따라 케이블 단부를 피봇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착기를 처리부처럼 시스템에 일체로 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절연피복을 벗겨낸 케이블(K)의 단부에 플러그를 압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절연피복을 벗겨내고 플러그(9)를 결합할 케이블 단부를 배치한 뒤, 케이블 단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압착을 잘 하기위해 케이블 단부를 플러그(9)에 정확하게 삽입해야 한다. 이때문에, 플러그(9)의 축선에서 벗어나있는 그리퍼(10)로 케이블(K)을 압착한 다음, 케이블(K)을 케이블 단부의 종축선(A) 방향으로 움직여 케이블 단부를 플러그(9)에 삽입하면, 플러그(9)가 완전히 삽입된 케이블(K)을 압착할 수 있다.
도 2a와 같이 그리퍼(10)로 케이블(K)을 축방향으로 센터링 유니트(Z) 안으로 축방향으로 밀어준다.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 단부는 장공(8)을 지나 센터링조(2a~b)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센터링조(2a~b)가 프로그램된 방식으로 컨트롤러에 의해 서로를 향해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완전히 압착하지 않고 케이블 둘레에 근접한다(도 2b). 케이블 단부는 센터링조(2a~b) 사이에서 상하좌우로 정확하게 안내되면서 플러그(9)를 향해 축방향으로 움직인다(도 2c~d 참조).
도 2a의 센터링조(2a~b)가 벌어져 있고 케이블의 축선과 센터링조의 축선이 같은 높이에 있지만, 가공된 상태의 케이블 종축선(A)과 일치해야 하는 플러그(9)의 축선은 더 깊이 놓여있다.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 단부가 이런 중간 위치에서는 플러그(9)와 전혀 접촉하지 않는다.
도 2c와 같이, 센터링조(2a~b) 모두 프로그램된 방식으로 하강하여, 케이블 단부도 플러그(9)의 축선을 향해 하강하되 아직 플러그 축선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센터링조(2a~b)의 간격은 보통은 여전히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필요하다면 더 좁혀지거나 다시 벌어질 수도 있다.
다음, 도 2d와 같이, 케이블(K)이 그리퍼(10)나 피봇장치의 클램핑조에 의해 플러그(9)를 향해 밀려 축방향으로 정확한 단부위치로 들어간다. 이어서, 케이블(K)을 플러그(9) 안으로 완전히 동축으로 삽입하기 위해 센터링조(2a~b)가 완전히 하강하여 축선들이 일치한다.
플러그(9)가 마지막으로 압착공구(11,12)에 의해 케이블(K)의 단부에 압착된다. 조건에 따라, 케이블(K)은 센터링조(2a~b)에 의해 안내되기만 하거나, 프로그램된 방식으로 센터링조(2a~b)가 닫히면서 케이블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런 횡운동, 특히 센터링조(2a~b)의 운동은 프로그램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각 단계별로 설명한 운동은 다른 어떤 방식과도 조합될 수 있고, 또는 연속적인 이동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센터링-삽입 과정들은 도 1의 센터링 유니트(Z)에 의해 최적으로 설계될 수 있지만, 초기에는 케이블(K)의 축방향으로의 그리퍼(10)의 비교적 큰 운동과 피봇장치의 핸들링 유니트의 운동도 필요하다.
케이블이 지나치게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 단부의 전후진을 위한 비교적 무거운 이동기구의 큰 자유 운동도 방지하기 위해, 센터링 유니트(Z)에 대해 도 3을 참조해 더 설명한다. 캐리어프레임(1)의 적어도 한쪽에 슬롯(1c)를 형성한다. 센터링조(2a~b)의 이동방향과 둔각을 이루고 한쪽 방향을 향하는 슬롯(1c) 쪽에, 상부 센터링조(2b)의 캐리어 플레이트(3b)에도 슬롯이 형성되거나 빈 공간이 형성된다. 커버플레이트(7)도 마찬가지다. 슬롯(1c)의 방향은 센터링조(2a~b)의 수직이동방향에 직각인 것이 좋다. 이때문에 케이블 처리시스템의 피봇장치를 통해 케이블 단부를 센터링 유니트(Z)의 장공(8) 안으로 간단히 횡방향으로 피봇할 수 있다.
캐리어프레임(1)의 슬롯(1c)와 같은 크기의 슬롯(3c)가 하부 센터링조(2a)의 캐리어 플레이트(3a)에도 형성된다. 도 3d에서 보듯이, 센터링조(2a~b)가 가장 많이 벌어졌을 때, 바람직하게는 그 중간 높이에 해당하는 캐리어프레임(1)의 높이에 위치하는 이런 슬롯(1c,3c)에 의해 케이블 종축선에 직각으로 바깥쪽에서부터 벌어진 센터링조(2a~b) 사이로 해서 옆에서부터 케이블(K)을 피봇할 수 있다.

Claims (15)

  1. 하나의 캐리어프레임(1)과 적어도 2개의 센터링조(2a~b)를 가지며, 이들 센터링조가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며 캐리어프레임(1)에 대해 조정될 수 있고, 처리할 케이블(K)이 센터링조 사이로 들어가는, 압착기(C)를 포함한 케이블처리기용의 센터링 유니트(Z)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상기 센터링조(2a~b)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캐리어프레임(1)에 대해서도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고 있으면서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센터링조(2a~b)의 최대 이동경로가 적어도 일부 중복되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서로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 유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터링조(2a~b)가 제각기 자체 드라이브(4a~b)에 의해 움직이고, 상기 드라이브(4a~b)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작동시점에서 이동방향과 작동행정이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 유니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조(2a~b)나 드라이브(4a~b)가 프로그램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S)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 유니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S)가 상기 센터링조(2a~b)를 서로를 향해 좁혀지고 벌어지도록 디자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 유니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S)가 상기 센터링조(2a~b)를 일방향 이동하도록 디자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 유니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조(2a~b)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V형 홈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 유니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조(2a~b)가 각각 슬라이딩 파트(3a~b)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파트(3a~b)는 평행하게 안내되고 캐리어프레임(1)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으며, 슬라이딩 파트(3a~b)가 드라이브(4a~b)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 유니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조(2a~b)가 가장 벌어진 위치 사이의 높이에, 바람직하게는 가장 벌어진 위치의 중간 위치로 캐리어프레임(1)에 슬롯(1c)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링조(2a~b)의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위치한 측면에 슬라이딩 파트(3a~b)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 유니트.
  10. 압착공구(11,12)의 상류에 센터링 유니트가 배치되어 있고, 압착과정에 의해 케이블의 단부에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압착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센터링 유니트를 특징으로 하는 압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케이블 처리과정중에 삽입된 케이블(K)의 피복이 벗겨진 구간이 위치하는 부분인 압착공구(11,12)의 상류에 센터링 유니트(Z)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유니트(Z)와 압착공구(11,12)가 공통 캐리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기.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유니트(Z)가 수평축선(15)을 중심으로 압착공구에 대해 피봇할 수 있고 캐리어프레임(1)의 하부에서 공통 캐리어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기.
  14. 2군데 이상의 처리부가 적어도 일부는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처리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절연피복을 벗기는 처리부이고 다른 처리부는 압착기(C)이며, 처리할 케이블 단부를 처리부에 대해 전진/후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는 원형으로 배치된 처리부들을 따라 케이블 단부를 피봇시키고, 상기 이송장치가 케이블을 홀딩하는 압착기를 갖는 케이블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센터링 유니트(Z)가 압착기(C)와 이송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처리시스템.
  15. 2군데 이상의 처리부가 적어도 일부는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처리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절연피복을 벗기는 처리부이고 다른 처리부는 압착기(C)이며, 처리할 케이블 단부를 처리부에 대해 전진/후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는 원형으로 배치된 처리부들을 따라 케이블 단부를 피봇시키고, 상기 이송장치가 케이블을 홀딩하는 압착기를 갖는 케이블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착기(C)가 제10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처리시스템.
KR1020177018121A 2014-12-04 2015-12-04 센터링 유니트, 압착기 및 케이블 처리시스템 KR20170088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6417.1 2014-12-04
EP14196417 2014-12-04
PCT/IB2015/059356 WO2016088091A1 (de) 2014-12-04 2015-12-04 Zentriereinheit, crimpvorrichtung und kabelbearbeitungs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990A true KR20170088990A (ko) 2017-08-02

Family

ID=520068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121A KR20170088990A (ko) 2014-12-04 2015-12-04 센터링 유니트, 압착기 및 케이블 처리시스템
KR1020177018123A KR20170088991A (ko) 2014-12-04 2015-12-04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의 단부에 요소를 끼워맞춤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123A KR20170088991A (ko) 2014-12-04 2015-12-04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의 단부에 요소를 끼워맞춤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2017538268A (ko)
KR (2) KR20170088990A (ko)
CN (2) CN107005015B (ko)
CH (2) CH712087B1 (ko)
WO (2) WO2016088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3877B1 (de) 2017-06-13 2022-05-13 Komax Holding Ag Absenker für ein Kabelgreifermodul einer Crimppresse und Verfahren zum Positionieren eines Kabelgreifermoduls einer Crimppresse.
JP6839056B2 (ja) * 2017-09-20 2021-03-03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電線クラン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線処理装置
WO2020165209A1 (de) * 2019-02-12 2020-08-20 Metzner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fektionierung eines elektrischen kabels
CN111613955B (zh) * 2020-05-18 2021-07-16 戴文忠 一种电缆接头的压接装置
DE102022106802A1 (de) 2022-03-23 2023-09-28 Kromberg & Schubert Automotive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ügen mehradriger Leitungen
CN117175295B (zh) * 2023-11-02 2023-12-26 南通永祥机电有限公司 一种电缆快接插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7718A (en) * 1981-08-31 1985-05-21 Amp Incorporated Cable clamping and orienting apparatus
CH673858A5 (en) * 1986-12-03 1990-04-12 Megomat Ag Cable sections make-up set - consisting of two grippers, two auxiliary grippers, and cutting stripping unit for cable press
US4862587A (en) * 1987-02-25 1989-09-05 Shin Meiwa Industry Co., Ltd. Harness 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4779334A (en) 1988-02-10 1988-10-25 Amp Incorporated Apparatus for inserting terminals on the ends of wires into cavities in an electrical connector
JP2706408B2 (ja) 1992-09-02 1998-01-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挿入装置
DE4413577C2 (de) * 1994-03-31 1996-06-20 Buero H E P Pfletschinger Gmbh System und Verfahren zum vollautomatischen Konfektionieren von flexiblen, endlosen Einzeladern
CN1056475C (zh) * 1995-07-10 2000-09-13 株式会社小寺电子制作所 加工后的导线用的连接设备
EP0785599B1 (en) 1995-07-10 2000-12-13 Kodera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inserting a wire to be worked on
US7774927B2 (en) 2007-07-27 2010-08-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ire positioning device for a wire termination machine
JP2011003363A (ja) * 2009-06-17 2011-01-06 Hirose Electric Co Ltd 圧着端子構造と端子圧着装置
WO2011004272A1 (en) 2009-07-08 2011-01-13 Schleuniger Holding Ag Device and method for lowering and positioning thin wires
JP5048885B1 (ja) * 2011-03-07 2012-10-17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端子挿入装置、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装置、物品検出装置、及び、端子挿入方法、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方法、物品検出方法
ES2575158T3 (es) 2011-11-02 2016-06-24 Schleuniger Holding Ag Dispositivo de colocación de líneas
CN103022853A (zh) * 2012-12-25 2013-04-03 天津市力干科技有限公司 全自动双头线束压接机
CN203734110U (zh) * 2014-02-24 2014-07-23 慈溪市宏晟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端子压着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5015B (zh) 2020-02-07
WO2016088091A1 (de) 2016-06-09
WO2016088088A1 (de) 2016-06-09
JP2017536684A (ja) 2017-12-07
KR20170088991A (ko) 2017-08-02
CN107005016A (zh) 2017-08-01
CN107005016B (zh) 2020-03-03
CH712088B1 (de) 2020-03-13
JP2017538268A (ja) 2017-12-21
CH712087B1 (de) 2019-11-15
CN107005015A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8990A (ko) 센터링 유니트, 압착기 및 케이블 처리시스템
JP4230534B2 (ja) 端子圧着方法、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電線製造装置
US10056728B2 (en) Cable processing apparatus for trimming, stripping insulation from and fitting crimp contacts to a cable
JP6147267B2 (ja) ワイヤ配置装置
EP3158613B1 (en) A method of crimping a terminal to a wire
KR101074623B1 (ko) 와이어 종단 기계를 위한 와이어 위치조정 장치
US10840663B2 (en) Cable processing device
CN105551689B (zh) 用来将导线端部供应给加工设备的装置
JP2015211039A (ja) 圧着接続部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775804A2 (en) Apparatus for producing an electrical wiring
US10109972B2 (en) Terminal crimping device
US3455006A (en) Wire positioning apparatus
CN113783074A (zh) 一种数据线全自动双头剥皮焊接机
US4559702A (en) Harness making machine having improved wire jig
JPH08236243A (ja) コネクタシェルの自動装着方法および装置
JP2007123189A (ja) 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方法
CN112643606A (zh) 用于汽车零配件生产的活动式装配定位柱调整孔心线的方法
JP7027345B2 (ja) 羽目板工作機械の曲げ加工群
JP7233574B2 (ja) 端子付き車載用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213460449U (zh) 一种芯线姿态整形机构
WO2024029012A1 (ja) 端子圧着装置
CN115007756A (zh) 一种压接设备及压接方法
US20240120696A1 (en) Wire Processing Device
CN112659054A (zh) 用于汽车零配件自动化生产的定孔柱活动式装配孔心调整装置
CN111786233A (zh) 一种接线端子修整装置和修整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