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292B1 - 단자커팅삽입기 - Google Patents

단자커팅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292B1
KR100946292B1 KR1020090117684A KR20090117684A KR100946292B1 KR 100946292 B1 KR100946292 B1 KR 100946292B1 KR 1020090117684 A KR1020090117684 A KR 1020090117684A KR 20090117684 A KR20090117684 A KR 20090117684A KR 100946292 B1 KR100946292 B1 KR 10094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utting
link
push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영
Original Assignee
(주)아세아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세아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아세아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9011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이동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터미널단자를 자동으로 커팅하여 삽입시키는 단자커팅삽입기에 관한 것으로, 구동을 위한 제1, 2, 3회전캠을 구성한 회전축; 본체의 상부 전방에 설치되는 커팅다이; 상기 커팅다이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패드; 상기 회전축의 제2회전캠과 패드 사이에 결합되는 제1링크수단과, 상기 본체와 제1링크수단 사이에 결합되는 제1복귀탄성체로 구성된 패드전후이동부; 본체에 구성된 패드의 후방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푸셔결합체와, 상기 푸셔결합체에 결합되는 푸셔로 구성된 단자삽입푸셔; 상기 회전축의 제1회전캠과 단자삽입푸셔의 푸셔결합체에 사이에 결합되는 제2링크수단과, 상기 푸셔결합체의 후방에 결합구성되는 복귀실린더로 구성된 푸셔전후이동부; 상기 커팅다이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단자커팅부; 상기 회전축의 제3회전캠과 단자커팅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3링크수단과, 상기 단자커팅부와 커팅다이 사이에 구성되는 제2복귀탄성체로 구성된 단자커팅상하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캠과 링크수단과 복귀탄성체 및 복귀실린더에 의해 터미널단자를 용이하게 커팅하여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고 깊이가 깊은 케이스에도 터미널단자의 미동 발생 없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크기가 다른 2종류의 터미널단자의 삽입의 한 번의 작업으로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117684
단자, 커팅, 삽입, 터미널, 캠, 링크

Description

단자커팅삽입기{DEVICE FOR CUTTING AND INSERTING A TERMINAL FRAME}
본 발명은 커넥터를 제작하기 위해 케이스에 터미널단자를 삽입하는 단자커팅삽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캠과 링크수단과 복귀탄성체 및 복귀실린더에 의해 터미널단자를 용이하게 커팅하여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고 깊이가 깊은 케이스에도 터미널단자의 미동 발생 없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크기가 다른 2종류의 터미널단자의 삽입의 한 번의 작업으로 이룰 수 있는 단자커팅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케이스에 터미널단자를 삽입함으로써 제작되어 지는데, 이와 같은 작업을 위하여 케이스에 터미널단자를 빠르게 삽입할 수 있는 단자커팅삽입기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단자커팅삽입기는 제작하려는 커넥터에 따라 두 가지 방식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데, 터미널 단자가 비교적 적게 사용되어 조밀하지 않은 커넥터 제작시에는 빠른 제작을 위하여 여러 개를 동시에 삽입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며, 터미널단자가 많이 사용되어 보다 조밀한 커넥터를 제작할 시에는 다 량을 한번에 삽입시키는데에 따른 불량률을 줄이고자 터미널 단자를 커넥터 테이블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삽입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곤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자커팅삽입기로는, 조밀한 커넥터를 제작시 커넥를 하나씩 정밀하게 삽입할 수는 있었으나, 터미널단자를 삽입하는데 있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공간이 좁으면서도 터미널단자를 깊은 곳에 삽입해야 하는 커넥터의 제조시 터미널단자를 제대로 삽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크기가 다른 2종류의 터미널단자를 하나의 커넥터에 삽입해야 할 경우, 터미널단자의 삽입작업을 2번의 공정으로 구분하여 진행해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배로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종래에 사용되던 단자커팅삽입기의 문제점을 보안하는 단자커팅삽입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자커팅삽입기는 구동을 위한 제1, 2, 3회전캠을 구성한 회전축; 본체의 상부 전방에 설치되는 커팅다이; 상기 커팅다이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패드; 상기 회전축의 제2회전캠과 패드 사이에 결합되는 제1링크수단과, 상기 본체와 제1링크수단 사이에 결합되는 제1복귀탄성체로 구성된 패드전후이동부; 본체에 구성된 패드의 후방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푸셔결합체와, 상기 푸셔결합체에 결합되는 푸셔로 구성된 단자삽입푸셔; 상기 회전축의 제1회전캠과 단자삽입푸셔의 푸셔결합체에 사이에 결합되는 제2링크수단과, 상기 푸 셔결합체의 후방에 결합구성되는 복귀실린더로 구성된 푸셔전후이동부; 상기 커팅다이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단자커팅부; 상기 회전축의 제3회전캠과 단자커팅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3링크수단과, 상기 단자커팅부와 커팅다이 사이에 구성되는 제2복귀탄성체로 구성된 단자커팅상하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커팅삽입기는 회전축에 결합된 각각의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의 외측에 밀착되어 패드와 단자삽입푸셔와 단자커팅부를 각각 작동시키는 각각의 링크수단과, 각각의 링크수단에 의해 작동된 패드와 단자삽입푸셔와 단자커팅부를 복귀시키는 복귀탄성체 및 복귀실린더에 의해 터미널단자를 용이하게 커팅하여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자삽입푸셔의 이동시 패드가 같이 전진하여 터미널단자를 깊숙히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좁고 깊이가 깊은 케이스에 터미널단자를 삽입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단자커팅부에는 터미널단자를 고정하는 단자고정핀과, 단자커팅부의 가이드핀에 결합되는 스트리퍼에는 가압스프링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터미널단자의 커팅시 터미널단자의 미동이 발생하지 않아 터미널단자의 삽입작업을 정밀하게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터미널단자를 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의 구성이 양측에 구성되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2종류의 터미널단자를 삽입할 경우에도, 한 번의 작업으로 용이 하게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커넥터를 제작하기 위해 회전이동부(2)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터미널단자(미도시)를 자동으로 커팅하여 케이스(미도시)에 삽입시키는 단자커팅삽입기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0)과, 커팅다이(20)와, 패드(30)와, 패드전후이동부(40)와, 단자삽입푸셔(50)와, 푸셔전후이동부(60)와, 단자커팅부(70)와, 단자커팅상하이동부(80)로 구성된다.
먼저, 회전축(10)은 본체(1)에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터미널단자의 커팅과 삽입을 적절히 이룰 수 있도록 불규칙한 타원형상으로 각각 다른 형상을 가진 제1, 2, 3회전캠(11, 12, 13)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커팅다이(20)는 본체(1)의 상부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이동부(2)의 회전운동을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터미널단자가 순차적으로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이동부(2)는 터미널단자를 양쪽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이동부(2)는 본체의 일측에만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본체의 타측에 흡입기(미도시)를 설 치함으로써, 터미널 단자의 절단시 발생하는 찌꺼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패드(30)는 절단된 터미널단자가 케이스에 삽입되기 전까지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커팅다이(2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패드전후이동부(40)는 상기 회전축(10)의 제2회전캠(12)과 패드(30) 사이에 결합되어 패드를 후진운동시키는 제1링크수단(41)과, 상기 본체(1)와 제1링크수단(41) 사이에 결합되어 패드를 전진운동시키는 스프링과 같은 제1복귀탄성체(4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수단(41)은 본체(1)에 설치되는 제1회전고정부(42)와, 상기 회전고정부(42)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45)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45)의 양측에는 롤러가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제1링크(45)의 일측방향에 구성된 롤러(43)는 제2회전캠(12)의 외측면에 밀착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링크(45)의 타측방향에 구성된 롤러(44)는 패드(30)에 롤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10)이 회전운동하면, 불규칙한 제2회전캠(12)의 형상에 따라 제1링크(45)가 제1회전고정부(42)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이에 따라 제1링크(45)의 타측방향에 롤러결합된 패드(30)가 후진운동하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제2회전캠(12)의 지속적인 회전운동에 의하여 제1링크(45)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본체(1)와 제1링크(45) 사이에 결합된 제1복귀탄성체(49)의 탄성력 에 의해 패드(30)가 전진운동하는 것이다.
또한, 단자삽입푸셔(50)은 본체(1)에 구성된 패드(30)의 후방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푸셔결합체(51)와, 상기 푸셔결합체(51)에 결합되는 푸셔(55)로 구성된다.
또한, 푸션전후이동부(60)은 상기 회전축(10)의 제1회전캠(11)과 단자삽입푸셔(50)의 푸셔결합체(51)에 사이에 결합되어 단자삽입푸셔(50)를 전진운동시키는 제2링크수단(61)과, 상기 푸셔결합체(51)의 후방에 결합구성되어 단자삽입푸셔(50)를 후진운동시키는 복귀실린더(6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수단(61)은 본체(1)에 설치되는 제2회전고정부(62)와, 상기 제2회전고정부(62)에 힌지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제2링크(65)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65)의 양측에는 롤러(63, 64)가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제2링크(65)의 일측방향에 구성된 롤러(63)는 제1회전캠(11)의 외측면에 밀착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제2링크(65)의 타측방향에 구성된 롤러(64)는 푸셔결합체(51)에 링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10)이 회전운동하면, 불규칙한 제1회전캠(11)의 형상에 따라 제2링크(65)가 제2회전고정부(62)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이에 따라 제2링크(65)의 타측방향에 링크결합된 푸셔결합체(51)가 전진운동하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제1회전캠(11)의 지속적인 회전운동에 의해 제2링크(65)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질 경우에는 복귀실린더(69)의 후진운동에 의해 단자삽입푸셔(50)가 자동으로 후진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푸셔결합체(51)의 후방에 결합된 복귀실린더(69)는 공압에 의해 후진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제2링크수단(61)이 제1회전캠(11)에 의해 밀리 때에는, 복귀실린더(69)가 가하는 힘보다 제2링크수단(61)으로 부터 전해지는 힘이 크기 때문에 단자삽입푸셔(50)가 전진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자커팅부(70)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다이(20)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와 커팅다이(20)를 관통하여 후술할 단자커팅상하이동부(80)에 구성된 제3링크수단(81)에 결합되는 수직설치봉(71)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수직설치봉(71)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커팅다이(20)의 상측에 이격 형성되는 커팅설치부(72)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커팅설치부(72)에는 단자커팅부(70)의 상하이동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커팅다이(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핀(73)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자커팅부(70)의 하측방향 이동시 터미널단자를 절단하는 커팅펀치(74)와, 터미널단자를 고정하여 미동을 방지하는 단자고정핀(75)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고정핀(75)은 터미널단자에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홈(미도시)에 끼워지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단자커팅부(7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핀(73)에는 단턱(73a)이 구성되어 스트리퍼(77)가 안착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스트리퍼(77)의 하측으로는 커팅펀치(74)가 절단하기 전에 터미널단자를 가압하여 누르는 가압부(77a)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스트리퍼(77)와 커팅설치부(72) 사이에 가압스프링(76)이 끼워진 안내봉(76a)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터미널단자의 훼손 없이 용이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커팅상하이동부(80)는 도 1 또는 도 4,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0)의 제3회전캠(13)과 단자커팅부(70) 사이에 결합되어 단자커팅부(70)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링크수단(81)과, 상기 단자커팅부(70)와 커팅다이(20) 사이에 구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단자커팅부(70)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복귀탄성체(8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링크수단(81)은 본체(1)에 설치되는 제3회전고정부(82)와, 상기 제3회전고정부(82)에 힌지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링크결합체(83)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결합체(83)는 일측에 롤러(84)를 구성하여 제3회전캠(13)의 외측면에 밀착설치되는 제3링크(85)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3링크(85)의 타측에는 힌지결합되는 연결링크(86)를 구성하고 있으며, 일측이 상기 연결링크(86)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단자커팅부(70)에 구성된 수직설치봉(71)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결합부(87)를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회전축(10)이 회전운동하면, 불규칙한 제3회전캠(13)의 형상에 따라 제3링크(85)가 제3회전고정부(82)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이에 따라 제3링크(85)에 힌지결합된 연결링크(86)가 연동되면서 연결링크(86)에 힌지결합된 고정결합부(87)가 하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수직설치봉(71) 즉, 단자커팅부(70) 전 체가 하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3회전캠(13)의 지속적인 회전운동에 의해 제3링크(85)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질 경우에는, 상기 단자커팅부(70)와 커팅다이(20) 사이에 구성된 제2복귀탄성체(89)의 탄성력에 의해 단자커팅부(70)가 자동으로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단자커팅삽입기(100)의 설치를 완료하고,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본 발명을 작동시키면, 회전이동부(2)가 회전하면서, 터미널단자가 커팅다이(20)로 공급된다.
그러면, 회전축(10)의 회전에 따라 제1, 2, 3회전캠(11, 12, 13)에 밀착설치된 각각의 제1, 2, 3링크수단(41, 61, 81)이 각각 연동되는데,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링크수단(81)에 의해 수직설치봉(71)이 작동하여 단자커팅부(70)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이 제일 먼저 일어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3회전캠(13)의 회전에 따라 제3링크수단(81)에 구성된 제3링크(85)가 제3회전고정부(82)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고, 이에 따라 제3링크(85)와 연동되는 연결링크(86)와 고정결합부(87)가 작동하여 고정결합부(87)에 결합고정된 수직설치봉(71)이 하측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단자커팅부(70)가 수직설치봉(71)과, 가이드핀(73)의 안내를 받으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자커팅부(70)에 구성된 스트리퍼(77)의 가압부(77a)가 커팅다이(20)로 이동된 터미널단자를 가압함과 동시에 터미널단자에 구성된 홈에 끼우 져 터미널단자를 완전고정하고, 이 후, 커팅펀치(74)가 터미널단자를 절단하는 작용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커팅부(70)가 하강운동을 할 때에는, 상기 수직설치봉(71)과 안내봉(76a)에 각각 끼워진 제2복귀탄성체(89)와 가압스프링(76)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트리퍼(77)는 가압스프링(76)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기 때문에, 스트리퍼(77)로 터미널단자를 가압할 시에도, 터미널단자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터미널단자의 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커팅부(70)가 제2복귀탄성체(89)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하는 작용이 일어나며, 가압스프링(76) 역시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이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0)에 의한 것으로, 회전축(10)의 회전에 따라 제3회전캠(13)이 제3링크수단(81)을 더 이상 가압하지 않음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처럼, 터미널단자의 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수단(61)이 작동하여 단자삽입푸셔(50)를 전진시키는 작동이 일어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회전캠(11)의 회전에 따라 제2링크수단(61)에 구성된 제2링크(65)가 제2회전고정부(62)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고, 이에 따라 제2링크(65)와 링크결합된 단자삽입푸셔(50)가 전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게 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절단된 터미널단자가 단자삽입푸셔(50)에 구성된 푸셔(55)에 의해 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자삽입퓨셔(50)가 전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중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수단(41)이 작동하여 패드(30)를 전진시키는 작동이 동시에 일어난다. 이와 같은 작동은, 터미널단자를 보다 깊은 곳까지 전진시켜 터미널단자를 케이스의 깊은 곳에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회전캠(12)의 회전에 따라 제1링크수단(41)에 구성된 제1링크(45)가 제1회전고정부(42)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고, 이에 따라 제1링크(45)를 가압하던 제2회전캠(12)의 힘이 사라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링크(45)와 본체(1) 사이에 결합된 제1복귀탄성체(49)의 복귀력에 인해 패드(30)가 전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패드(30)의 전방향 최대 이동은 상기 푸셔(55)의 전방향 최대의 이동이 일어날 때까지 지속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패드(30)는 터미널단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푸셔(55) 보다 먼저 최전방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케이스에 터미널단자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제1회전캠(11)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제1회전캠(11)이 제2링크수단(61)을 더이상 가압하지 않게 되며, 이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실린더(69)에 의해 단자삽입푸셔(50)가 후진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이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 단자삽입푸셔(50)가 후진 됨과 동시에, 제2회전캠(12)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제2회전캠(12)이 제1링크수단(41)을 가압하게 되며, 이로써 제1링크수단(41)에 의해 제1복귀탄성체(49)가 인장되면서 패드(30)가 후진하여 원상태 로 복귀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각 동작에 따른 이동위치 확인 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본체 전후이동 및 본체 고정설치에 관한 구성이 더 포함되는 것과 같이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자커팅삽입기를 측면도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자커팅삽입기를 정면도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자커팅삽입기의 평면도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축과 제1, 2, 3링크수단을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링크수단에 결합된 수직설치봉을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단자커팅부 하강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단자삽입푸셔의 전진운동을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단자삽입푸셔와 패드가 전진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회전이동부
10 : 회전축 11, 12, 13 : 제1, 2, 3회전캠
20 : 커팅다이 30 : 패드
40 : 패드전후이동부 41 : 제1링크수단
42 : 제1회전고정부 43, 44 : 롤러
45 : 제1링크 50 : 단자삽입푸셔
51 : 푸셔결합체 55 : 푸셔
60 : 푸셔전후이동부 61 : 제2링크수단
62 : 제2회전고정부 63, 64 : 롤러
65 : 제2링크 70 : 단자커팅부
71 : 수직설치봉 72 : 커팅설치부
73 : 가이드핀 73a : 단턱
74 : 커팅펀치 75 : 단자고정핀
76 : 가압스프링 76a : 안내봉
77 : 스트리퍼 77a : 가압부
80 : 단자커팅상하이동부 81 : 제3링크수단
82 : 제3고정회전부 83 : 링크결합체
84 : 롤러 85 : 제3링크
86 : 연결링크 87 : 고정결합부
100 : 단자커팅삽입기

Claims (6)

  1. 회전이동부(2)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터미널단자를 자동으로 커팅하여 삽입시키는 단자커팅삽입기에 있어서,
    본체(1)에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구동을 위한 제1, 2, 3회전캠(11, 12, 13)을 구성한 회전축(10);
    본체(1)의 상부 전방에 설치되는 커팅다이(20);
    상기 커팅다이(2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패드(30);
    상기 회전축(10)의 제2회전캠(12)과 패드(30) 사이에 결합되어 패드를 후진운동시키는 제1링크수단(41)과, 상기 본체(1)와 제1링크수단(41) 사이에 결합되어 패드를 전진운동시키는 제1복귀탄성체(49)로 구성된 패드전후이동부(40);
    본체(1)에 구성된 패드(30)의 후방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푸셔결합체(51)와, 상기 푸셔결합체(51)에 결합되는 푸셔(55)로 구성된 단자삽입푸셔(50);
    상기 회전축(10)의 제1회전캠(11)과 단자삽입푸셔(50)의 푸셔결합체(51)에 사이에 결합되어 단자삽입푸셔(50)를 전진운동시키는 제2링크수단(61)과, 상기 푸셔결합체(51)의 후방에 결합구성되어 단자삽입푸셔(50)를 후진운동시키는 복귀실린더(69)로 구성된 푸셔전후이동부(60);
    상기 커팅다이(20)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단자커팅부(70);
    상기 회전축(10)의 제3회전캠(13)과 단자커팅부(70) 사이에 결합되어 단자커팅부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링크수단(81)과, 상기 단자커팅부(70)와 커팅 다이(20) 사이에 구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단자커팅부(70)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복귀탄성체(89)로 구성된 단자커팅상하이동부(8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단자커팅삽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동부(2)는 터미널단자를 양쪽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는 단자커팅삽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전후이동부(40)의 제1링크수단(41)은 본체(1)에 설치되는 제1회전고정부(42)와, 상기 제1회전고정부(42)에 힌지결합되며 양측에 롤러(43, 44)를 형성한 제1링크(45)로 구성되되, 상기 제1링크(45)의 일측롤러(43)는 제2회전캠(12)의 외측면에 밀착설치되고, 제1링크(45)의 타측롤러(44)는 패드(30)에 롤러결합된 것에 특징이 있는 단자커팅삽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전후이동부(60)의 제2링크수단(61)은 본체(1)에 설치되는 제2회전고정부(62)와, 상기 제2회전고정부(62)에 힌지결합되며 양측에 롤러(63, 64)를 형성한 ㄴ자 형상의 제2링크(65)로 구성되되, 상기 제2링크(65)의 일측롤러(63)는 제1회전캠(11)의 외측면에 밀착설치되고, 제2링크(65)의 타측롤 러(64)는 푸셔결합체(51)에 링크결합된 것에 특징이 있는 단자커팅삽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팅부(70)는 상기 본체(1)와 커팅다이(20)를 관통하여 단자커팅상하이동부(80)의 제3링크수단(71)에 결합되는 수직설치봉(71)과 상기 커팅다이(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수직설치봉(71)에 설치되는 커팅설치부(72)로 구성되되, 상기 커팅설치부(72)에는 커팅다이(20)를 관통하여 설치된 가이드핀(73)과, 터미널단자를 절단하는 커팅펀치(74)와, 터미널단자를 고정하는 단자고정핀(75)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핀(73)에는 단턱(73a)이 구성되어 스트리퍼(77)가 안착되고, 상기 스트리퍼(77)에는 가압스프링(76)이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는 단자커팅삽입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팅상하이동부(80)의 제3링크수단(81)은 본체(1)에 설치되는 제3회전고정부(82)와, 상기 제3회전고정부(82)에 힌지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링크결합체(83)로 구성되되, 상기 링크결합체(83)는 일측에 롤러(84)를 구성하여 제3회전캠(13)의 외측면에 밀착설치되는 제3링크(85)와, 상기 제3링크(85)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링크(86)와, 일측이 상기 연결링크(86)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단자커팅부(7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결합부(87)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단자커팅삽입기.
KR1020090117684A 2009-12-01 2009-12-01 단자커팅삽입기 KR10094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84A KR100946292B1 (ko) 2009-12-01 2009-12-01 단자커팅삽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84A KR100946292B1 (ko) 2009-12-01 2009-12-01 단자커팅삽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292B1 true KR100946292B1 (ko) 2010-03-08

Family

ID=4218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684A KR100946292B1 (ko) 2009-12-01 2009-12-01 단자커팅삽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29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96B1 (ko) 2012-12-03 2013-12-09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용 그립핑 및 벤딩장치
KR101339197B1 (ko) 2012-11-27 2013-12-09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 이물질 석션장치
KR101348813B1 (ko) 2012-12-04 2014-01-08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장치
KR101360237B1 (ko) 2012-11-27 2014-02-12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용 브러싱장치
KR101360236B1 (ko) 2012-11-27 2014-02-12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용 벤딩 그립퍼
KR101372560B1 (ko) 2012-12-03 2014-03-13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 핀 게이지 검사장치
KR101372559B1 (ko) 2012-12-03 2014-03-13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KR101527397B1 (ko) * 2015-02-09 2015-06-09 조항일 스티칭 머신
KR20160038863A (ko) * 2014-09-30 2016-04-07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CN106363698A (zh) * 2016-11-01 2017-02-01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一体式送料裁切机构
KR101813628B1 (ko) 2017-01-26 2017-12-29 신성전자기업주식회사 전선 단자와 그 하우징의 결합장치
CN109834495A (zh) * 2019-03-13 2019-06-04 昆山佰奥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凸轮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75U (ja) * 1992-06-25 1994-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圧着機
JPH0945406A (ja) * 1995-07-31 1997-02-14 Fukui Byora Kk 導通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50873B1 (ko) 2004-05-17 2004-10-01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KR100877672B1 (ko) 2007-05-10 2009-01-08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앤빌위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75U (ja) * 1992-06-25 1994-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圧着機
JPH0945406A (ja) * 1995-07-31 1997-02-14 Fukui Byora Kk 導通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50873B1 (ko) 2004-05-17 2004-10-01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KR100877672B1 (ko) 2007-05-10 2009-01-08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앤빌위치 조절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37B1 (ko) 2012-11-27 2014-02-12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용 브러싱장치
KR101339197B1 (ko) 2012-11-27 2013-12-09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 이물질 석션장치
KR101360236B1 (ko) 2012-11-27 2014-02-12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용 벤딩 그립퍼
KR101372559B1 (ko) 2012-12-03 2014-03-13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KR101372560B1 (ko) 2012-12-03 2014-03-13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 핀 게이지 검사장치
KR101339196B1 (ko) 2012-12-03 2013-12-09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용 그립핑 및 벤딩장치
KR101348813B1 (ko) 2012-12-04 2014-01-08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장치
KR20160038863A (ko) * 2014-09-30 2016-04-07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KR101689001B1 (ko) 2014-09-30 2016-12-22 이금영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KR101527397B1 (ko) * 2015-02-09 2015-06-09 조항일 스티칭 머신
CN106363698A (zh) * 2016-11-01 2017-02-01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一体式送料裁切机构
KR101813628B1 (ko) 2017-01-26 2017-12-29 신성전자기업주식회사 전선 단자와 그 하우징의 결합장치
CN109834495A (zh) * 2019-03-13 2019-06-04 昆山佰奥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凸轮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292B1 (ko) 단자커팅삽입기
KR101348813B1 (ko)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장치
CN103124041A (zh) 实现端子传送、裁切及插入的机构
US6108881A (en) Terminal pressing machine
CN102610980A (zh) 电连接器自动组装机的插端子机构
JP4464604B2 (ja) パイプ穴明装置及び穴明パイプの製造方法
CN105081771A (zh) 一种两孔插座的自动装配装置
KR101656271B1 (ko) 지그의 밀림이 방지된 하나 이상의 절곡 리브를 갖는 알루미늄바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딩 방법
CN110167326B (zh) 一种整形装置
CN109406841B (zh) 写号治具
CN207756697U (zh) 管件加工用模具装置及管件加工用穿孔加工装置
CN109759494A (zh) 金属棒材截料装置和利用棒材截料装置截断棒材控制方法
CN214053341U (zh) 一种自动快速冲压装置
JP4185786B2 (ja) プレス機械のノックアウト装置
CN103960834A (zh) 拉链头组装机的打点装置
CN213495956U (zh) 一种bsuv天窗导轨槽内撕口折弯装置
CN208662855U (zh) 一种纺织布料切断按压装置
CN211630742U (zh) 一种整形装置及电子元件送料设备
CN108262597B (zh) 一种前风窗弧形密封条装配滑动夹紧装置
CN220387623U (zh) 一种冲排孔设备
KR100832739B1 (ko) 에이비에스 센서 소자의 리드 벤딩 및 커팅 장치
CN110890683A (zh) 一种凸轮插针机构
JP2006224250A (ja) 穿孔方法及び穿孔装置
WO2019053761A1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製造装置
KR101092911B1 (ko) 스티칭머신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