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559B1 -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559B1
KR101372559B1 KR1020120139126A KR20120139126A KR101372559B1 KR 101372559 B1 KR101372559 B1 KR 101372559B1 KR 1020120139126 A KR1020120139126 A KR 1020120139126A KR 20120139126 A KR20120139126 A KR 20120139126A KR 101372559 B1 KR101372559 B1 KR 101372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duction
terminal pins
termin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영
Original Assignee
(주)아세아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세아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아세아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2013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Abstract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에 다수의 터미널 핀이 삽입된 커넥터의 측면에서 상기 터미널 핀의 도통을 체크하는 측면도통 체크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서 상기 터미널 핀의 도통을 체크하는 하부도통 체크장치와; 상기 측면도통 체크장치와 상기 하부도통 체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도통 체크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 핀 중 인서트 핀과 접촉하여 상기 인서트 핀의 도통 여부를 측정하는 측면도통부재와; 상기 측면도통부재를 전후진 슬라이딩시키는 전후진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부도통 체크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 핀 중 커넥션 핀과 접촉하여 상기 커넥션 핀의 도통 여부를 측정하는 하부도통부재와; 상기 하부도통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LENGTH AND NUMBERS OF TERMINAL PINS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밀하게 도통 검사를 통해 터미널 핀의 유무 및 핀의 길이가 정밀하게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이하 커넥터라 함)는 전선, 케이블, 회로기판, 및 전기전자기기 등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통 회로보드(PCB)측에는 하우징(또는 소켓)이 고정되고 케이블의 커넥터가 하우징에 결합됨으로써 데이터 통신이나 통전이 가능하다.
도 1a에는 일반적인 커넥터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커넥터(100)는 플라스틱 소재의 하우징(101)에 금속 소재의 터미널 핀(102)을 하우징(101)의 빈 공간(101a) 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터미널 핀(102)은 벤딩되어 하우징(101) 내의 삽입공에 삽입 고정되어 케이블의 커넥터(미도시)와 결합되는 커넥션 핀(102a)과, 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하여 회로보드(PCB)에 삽입 고정되는 인서트 핀(102b)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100)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는 터미널 핀 조립장치가 이미 고안되어 있다. 즉, 상기 터미널 핀 조립장치는 하우징(101)에 터미널 핀(102)을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는 장치로, 이러한 터미널 핀 조립장치의 일 예가 미국 등록특허 US 4,365,398(1982.12.28)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터미널 핀 조립장치의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6292호(2010.03.02)에 개시된 '단자 커팅 삽입기'가 있다.
상기한 '터미널 핀 조립장치'나 '단자 커팅 삽입기'에 의해 하우징(101)에 다수개의 터미널 핀(102)이 삽입이 되면, 하우징(101)에 조립된 터미널 핀(102)을 한번에 벤딩을 하게 되어 커넥터(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커넥터(100)의 다른 조립방법으로는, 상기와 같은 '터미널 핀 조립장치'나 '단자 커팅 삽입기'와 유사한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 벤딩되거나, 프레스 성형에 의해 벤딩된 터미널 핀(102)을 하우징(101)에 삽입하여 커넥터(100)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커넥터(100)는 브러싱(brushing) 공정이나 석션(suction) 공정을 거쳐 커넥터(100)의 터미널 핀(102)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어서, 이물질이 제거된 터미널 핀(102)의 길이 측정이 가능하게 구비된 게이지가 구비된 길이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터미널 핀(102)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터미널 핀(102)을 직접 측정한 실제 측정값으로 터미널 핀(102)의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양호한 길이로 조립된 터미널 핀(102)에 대하여 도통 검사를 실시하는데, 프로브 핀(probe pin)이 구비된 도통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직접적인 도통 여부를 검사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미널 핀(102)의 길이 및 도통 검사 방법은 게이지를 통해 직접 터미널 핀(102)의 길이를 측정하므로, 측정 조건에 따라 측정 오차가 크고,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길이 측정과 도통 검사를 각각 별도로 실시하므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통 검사 및 게이지를 통해 터미널 핀의 길이 및 유무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한 장치에서 한번에 실시하여 측정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에 다수의 터미널 핀이 삽입된 커넥터의 측면에서 상기 터미널 핀의 도통을 체크하는 측면도통 체크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서 상기 터미널 핀의 도통을 체크하는 하부도통 체크장치와; 상기 측면도통 체크장치와 상기 하부도통 체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도통 체크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 핀 중 인서트 핀과 접촉하여 상기 인서트 핀의 도통 여부를 측정하는 측면도통부재와; 상기 측면도통부재를 전후진 슬라이딩시키는 전후진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부도통 체크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 핀 중 커넥션 핀과 접촉하여 상기 커넥션 핀의 도통 여부를 측정하는 하부도통부재와; 상기 하부도통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측면 베이스블록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측면구동부와; 상기 측면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측면 볼스크루와; 상기 측면 베이스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볼스크루에 의해 슬라이딩하며, 상부에는 상기 측면도통부재가 장착된 측면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측면 베이스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진 슬라이딩블록의 전후진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제1엘엠가이드;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이 완료된 커넥터의 터미널 핀의 도통 검사와 게이지 플레이트를 통한 검사를 통해 터미널 핀의 길이 검사는 물론이고 터미널 핀의 유무(또는 조립 개수)를 한 장치에서 한번에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어, 정확한 측정 또는 검사가 가능하며, 측정 또는 검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정밀한 검사가 가능하여,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밀한 커넥터의 제조가 가능하며, 신뢰성이 높은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도 1a는 일반적인 커넥터의 측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요부 구성의 상세도.
도 6은 도 2의 로케이팅 체크장치의 상세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를 통해 터미널 핀의 도통 검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2의 요부 구성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는, 프레임(201)과, 이 프레임(2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술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에 다수의 터미널 핀(102)이 삽입된 커넥터(100)의 측면에서 터미널 핀(102)의 도통을 체크하는 측면도통 체크장치와, 상기 프레임(201)의 측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커넥터(100)의 하부에서 터미널 핀(102)의 도통을 체크하는 하부도통 체크장치와, 측면도통 체크장치와 하부도통 체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측면도통 체크장치는, 프레임(201)의 상부에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터미널 핀(102) 중 인서트 핀(102b)과 접촉하여 인서트 핀(102b)의 도통 여부를 측정하는 측면도통부재(40)와, 이 측면도통부재(40)를 전후진 슬라이딩시키는 전후진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통 체크장치는, 프레임(201)의 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터미널 핀(102) 중 커넥션 핀(102a)과 접촉하여 커넥션 핀(102a)의 도통 여부를 측정하는 수직도통핀(90a)이 장착된 하부도통부재(90)와, 이 하부도통부재(9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 슬라이딩수단은, 프레임(201) 상부에 고정된 측면 베이스블록(35)과, 상기 프레임(201) 상부에 장착된 측면구동부(70)와, 이 측면구동부(70)에 의해 회전하는 측면 볼스크루(38)와, 상기 측면 베이스블록(35)에 설치되어 측면 볼스크루(38)에 의해 전후진 슬라이딩하며 상부에는 측면도통부재(40)가 장착된 전후진 슬라이딩블록(39)과, 상기 측면 베이스블록(35)에 설치되어 전후진 슬라이딩블록(39)의 전후진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제1엘엠가이드(40b,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 슬라이딩블록(39)과 측면도통부재(40) 사이에는 측면도통부재(40)의 전후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제2엘엠가이드(42a,42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측면도통부재(40)는, 측면 테스트 하우징(47)과, 이 측면 테스트 하우징(47)의 선단부 내에 터미널 핀(102)의 개수만큼 설치되어 터미널 핀(102)과 일정 위치에서 접촉하여 터미널 핀(102)의 도통 여부를 체크하는 측면 테스트 핀(4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테스트 하우징(47)의 후방에는 측면 테스트 하우징(47)의 슬라이딩시 충격을 완화해주기 위한 측면 탄성부재(4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측면도통부재(40)의 일측에는 측면도통부재(40)의 슬라이딩 거리를 한정하는 측면 스톱퍼 블록(44)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도통 체크장치의 일측에는 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한 터미널 핀(102)의 장착 위치 및 장착 개수를 측정하기 위한 로케이팅 체크장치가 구비된다.
이 로케이팅 체크장치는, 멀티블록(56)과, 이 멀티블록(56)의 선단에 설치되어 터미널 핀(102)이 결합될 수 있도록 터미널 핀(102)의 같은 개수와 같은 위치로 핀수 체크홀(71a)이 형성되어 터미널 핀(102)과 결합되는 게이지 플레이트(71)와, 이 게이지 플레이트(71)를 상기 터미널 핀(102)에 결합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멀티블록(56)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실린더(81)와, 이 구동실린더(81)에 수직으로 설치된 볼스크루(81a)와, 상기 멀티블록(56)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실린더(81)의 작동시 게이지 플레이트(71)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제3엘엠가이드(82a,8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게이지 플레이트(71)에는 커넥터(100)의 터미널 핀(102) 중 인서트 핀(102b)을 향해 전진하여 인서트 핀(102b)에 결합되어 터미널 핀(102)의 조립 개수를 검사하기 위한 핀수 체크홀(7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엘엠가이드(82a,82b) 위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드 플레이트(72)가 설치되고,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72)의 상부에는 게이지 플레이트(71)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73)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프레임(201)에 수직으로 고정된 수직 베이스블록(94)과, 상기 프레임(201)의 측면에 장착된 수직구동부(99)와, 이 수직구동부(99)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 볼스크루(98)와, 상기 수직 베이스블록(94)에 설치되어 수직 볼스크루(98)에 의해 슬라이딩하며 상부에는 수직도통부재(90)가 장착된 수직 슬라이딩블록(95)과, 상기 수직 베이스블록(94)에 설치되어 수직 슬라이딩블록(95)의 전후진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제4엘엠가이드(99a,99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엘엠가이드는 공지의 기술로,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블록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구동부(70)와 수직구동부(99)는 이송 거리 제어가 용이한 서보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 슬라이딩블록(95)과 수직도통부재(90) 사이에는 수직도통부재(90)의 전후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제5엘엠가이드(93a,93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도통부재(90)는, 수직 테스트 하우징(97)과, 이 수직 테스트 하우징(97)의 선단부에 터미널 핀(102)의 개수만큼 설치되어 터미널 핀(102)과 일정 위치에서 접촉하여 터미널 핀(102)의 도통 여부를 체크하는 수직 테스트 핀(9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테스트 하우징의 후방에는 측면 테스트 하우징의 슬라이딩시 충격을 완화해주기 위한 수직 탄성부재(9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도통부재(90)의 일측에는 수직도통부재(90)의 슬라이딩 거리를 한정하는 수직 스톱퍼 블록(90b)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측면도통핀(40a)이나 수직도통핀(90a)이 미리 지정된 위치에서 인서트 핀(102b)이나 커넥션 핀(102a)과 접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측면도통핀(40a)이나 수직도통핀(90a)이 인서트 핀(102b)이나 커넥션 핀(102a)과 미리 지정된 위치에서 접촉하지 않으면, 터미널 핀(102)이 하우징(101)에 잘못 삽입되었다고 판정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58은 압소바(absorber)를 나타내 보인 것이고, 도면부호 75는 실린더 스톱퍼(stopper)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전술한 바 있는 '단자 커팅 삽입기'의 선단에 설치된 작업 레일(미도시)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어, '단자 커팅 삽입기' 등으로부터 조립이 완료된 커넥터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의 선단의 작업 레일로 이송되어 온 것이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커넥터는 상기한 작업 레일에 안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측면도통부재(40)와 하부도통부재(90)는 그 구성 및 작동이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 핀(102b)을 향해 접근하는 측면도통 체크장치의 측면도통부재(4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우선, 커넥터(100)의 터미널 핀(102) 중 인서트 핀(102b)을 향해 측면도통 체크장치의 측면도통부재(40)가 접근하게 되고, 동시에 하부도통 체크장치의 하부도통부재(90)도 커넥션 핀(102a)을 향해 접근한다.
즉, 상기한 전후진 슬라이딩수단의 측면구동부(70)가 작동을 하면, 측면 볼스크루(38)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 슬라이딩블록(39)이 슬라이딩 전진한다.
그러면, 상기 제2엘엠가이드(42a,42b) 위의 측면도통부재(40)의 측면 테스트 하우징(47)이 전진하며, 이 측면 테스트 하우징(47)의 선단부 내에 터미널 핀(102)의 개수만큼 설치되어 터미널 핀(102)과 일정 위치에서 접촉하여 터미널 핀(102)의 도통 여부를 체크하는 측면 테스트 핀(40a)이 전진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도통부재(40)의 측면 테스트 핀(40a)이 1차 및 2차 동작을 구분하여 실시하는 데, 도 8과 같이 2차 동작 후 미리 지정한 불량 위치에 인서트 핀(102b)과 측면 테스트 핀(40a)이 접촉하여 통전이 이루어지면 이 제품은 불합격 처리된다.
이때, 상기 측면 테스트 하우징(47)의 후방에는 측면 탄성부재(41)가 설치되어 있어, 측면 테스트 하우징(47)의 슬라이딩시 충격을 완화해 준다.
또한 상기 측면도통부재(40)의 일측에는 측면 스톱퍼 블록(44)이 설치되어 있어, 측면도통부재(40)의 슬라이딩 거리를 한정한다.
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지정한 정상 위치에서 통전이 되면 이 제품은 합격 처리된다.
이러한 작동을 통해 조립이 완료된 커넥터(100)의 터미널 핀(102)에 대하여 도통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통 검사를 함으로써, 조립된 커넥터(100)의 터미널 핀(102)의 길이가 일정하게 결합되었는지 알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측면도통부재(40)가 후방으로 후퇴한 후, 상기한 로케이팅 체크장치가 하강하고, 측면구동부(70)의 구동에 의해 로케이팅 체크장치가 다시 전진한다.
그러면, 상기한 바와 같이 도통 검사가 완료된 커넥터(100)의 인서트 핀(102b)을 향해 로케이팅 체크장치가 전진하면, 인서트 핀(102b)에 게이지 플레이트(71)의 핀수 체크홀(71a)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 조립된 커넥터(100)의 터미널 핀(102)이 원하는 개수대로 삽입이 되었는지 알 수가 있다.
특히, 상기한 터미널 핀(102)의 도통 검사나 개수 검사는 측면구동부(70)가 서보모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측면구동부(7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원하는 이송 거리로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하부도통 체크장치의 하부도통부재(90)도 측면도통부재(40) 전진시 같이 상승하여, 수직도통핀(90a)이 커넥터(100)의 커넥션 핀(102a)과 접촉하여 커넥션 핀(102a)의 도통 여부를 측정한다.
따라서, 거의 오차 발생 없이 터미널 핀(102)의 길이 및 개수 검사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1. 프레임
101. 하우징
102. 터미널 핀
100. 커넥터
200. 제어부
102b. 인서트 핀
40. 측면도통부재
90a. 수직도통핀
90. 하부도통부재
71. 플레이트
71a. 핀수 체크홀

Claims (11)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에 다수의 터미널 핀이 삽입된 커넥터의 측면에서 상기 터미널 핀의 도통을 체크하는 측면도통 체크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서 상기 터미널 핀의 도통을 체크하는 하부도통 체크장치와;
    상기 측면도통 체크장치와 상기 하부도통 체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도통 체크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 핀 중 인서트 핀과 접촉하여 상기 인서트 핀의 도통 여부를 측정하는 측면도통부재와;
    상기 측면도통부재를 전후진 슬라이딩시키는 전후진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부도통 체크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 핀 중 커넥션 핀과 접촉하여 상기 커넥션 핀의 도통 여부를 측정하는 하부도통부재와;
    상기 하부도통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측면 베이스블록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측면구동부와;
    상기 측면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측면 볼스크루와;
    상기 측면 베이스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볼스크루에 의해 전후진 슬라이딩하며 상부에는 상기 측면도통부재가 장착된 전후진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측면 베이스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진 슬라이딩블록의 전후진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제1엘엠가이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측면도통부재 사이에는 상기 측면도통부재의 전후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제2엘엠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도통부재는,
    측면 테스트 하우징과;
    상기 측면 테스트 하우징의 선단부에 상기 터미널 핀의 개수만큼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 핀과 일정 위치에서 접촉하여 상기 터미널 핀의 도통 여부를 체크하는 측면 테스트 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테스트 하우징의 후방에는 상기 측면 테스트 하우징의 슬라이딩시 충격을 완화해주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도통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측면도통부재의 슬라이딩 거리를 한정하는 스톱퍼 블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도통 체크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한 상기 터미널 핀의 장착 위치 및 장착 개수를 측정하기 위한 로케이팅 체크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팅 체크장치는,
    멀티블록과;
    상기 멀티블록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 핀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핀수 체크홀이 상기 터미널 핀의 개수와 위치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핀과 결합되는 게이지 플레이트와;
    상기 게이지 플레이트를 상기 터미널 핀에 결합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멀티블록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에 수직으로 설치된 볼스크루와;
    상기 멀티블록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의 작동시 상기 게이지 플레이트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제3엘엠가이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엘엠가이드 위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게이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11. 삭제
KR1020120139126A 2012-12-03 2012-12-03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KR10137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126A KR101372559B1 (ko) 2012-12-03 2012-12-03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126A KR101372559B1 (ko) 2012-12-03 2012-12-03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559B1 true KR101372559B1 (ko) 2014-03-13

Family

ID=5064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126A KR101372559B1 (ko) 2012-12-03 2012-12-03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5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660A (ko) * 2014-09-30 2016-04-07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회로 핀 검사장치
CN109556488A (zh) * 2018-11-29 2019-04-02 北京航星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检验装置及方法
CN114018192A (zh) * 2021-11-03 2022-02-08 深圳恩泽瑞显示科技有限公司 检查lcd金属管脚超长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92B1 (ko) 2009-12-01 2010-03-08 (주)아세아에프에이 단자커팅삽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92B1 (ko) 2009-12-01 2010-03-08 (주)아세아에프에이 단자커팅삽입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660A (ko) * 2014-09-30 2016-04-07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회로 핀 검사장치
KR101688055B1 (ko) 2014-09-30 2016-12-20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회로 핀 검사장치
CN109556488A (zh) * 2018-11-29 2019-04-02 北京航星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检验装置及方法
CN109556488B (zh) * 2018-11-29 2020-10-16 北京航星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检验装置及方法
CN114018192A (zh) * 2021-11-03 2022-02-08 深圳恩泽瑞显示科技有限公司 检查lcd金属管脚超长的装置
CN114018192B (zh) * 2021-11-03 2023-09-26 深圳恩泽瑞显示科技有限公司 检查lcd金属管脚超长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9398B (zh) 电阻测试装置
CN110108909B (zh) 一种ict测试治具
KR101372559B1 (ko)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CN208953657U (zh) 一种芯片自动连接测试设备
CN113587804B (zh) 一种hdi板钻孔深度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N111551841A (zh) 一种自动ict测试装置
KR101625951B1 (ko) 이어잭 어셈블리용 검사장치
CN219810424U (zh) 电路板引脚长度检测装置
CN219016369U (zh) 一种侧位测试针模模组及测试设备
CN208109978U (zh) 连接器测试装置
KR101372560B1 (ko) 커넥터 핀 게이지 검사장치
KR101639262B1 (ko) 커넥터용 하우징 공급장치
CN212082677U (zh) 光纤全自动插拔力测试装置
KR100886307B1 (ko) 검사 신호 공급 장치 및 검사 신호 인가 방법
CN112098753A (zh) 一种电子组件老化测试系统、方法
CN218727921U (zh) 一种高电压一出四功能测试装置
KR101688055B1 (ko) 커넥터용 회로 핀 검사장치
CN219980781U (zh) 一种光伏发电监控装置的测试工装
CN216991503U (zh) 一种pdu测试快插工装
CN216779514U (zh) 一种usb线测试机
CN218456575U (zh) 一种自动插针机的可移动式精准送插针机构
CN220671605U (zh) 一种板式阵列电容器的电性能测量设备
CN215526062U (zh) 电池绝缘测试装置及其电池侧面绝缘测试组件
CN215114386U (zh) 一种外径检测工作台
CN217830850U (zh) 一种数据线接头自动化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